KR101324038B1 - Power monitor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Power monitoring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4038B1
KR101324038B1 KR1020120064571A KR20120064571A KR101324038B1 KR 101324038 B1 KR101324038 B1 KR 101324038B1 KR 1020120064571 A KR1020120064571 A KR 1020120064571A KR 20120064571 A KR20120064571 A KR 20120064571A KR 101324038 B1 KR101324038 B1 KR 1013240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consumption
electronic device
electronic devices
total power
limit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457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근배
배경원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645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4038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40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403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2/00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 G01R22/06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by electronic method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1/00Electromechanical 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of consumption
    • G01R11/56Special tariff meters
    • G01R11/63Over-consumption meters, e.g. measuring consumption while a predetermined level of power is exceede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1/00Arrangements for measuring electric power or power factor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Power-Distribution Networks (AREA)

Abstract

PURPOSE: A consumption power monitoring device is provided to reduce consumption power monitor and to adjust power usage. CONSTITUTION: A consumption power monitoring device (10) includes a detecting unit (11), a control unit (12), and an input unit (16). The detecting unit measures the total amount of power used by electronic devices connected to a main power line. The input unit receives a basic consumption power pattern of each device, a consumption power limit value, and a total consumption power limit value of the devices. The control unit forms a total consumption power pattern of the electronic devices by combining basic consumption power patterns of each device and compares the total consumption power pattern to the basic consumption power patterns to calculate actual consumption power. [Reference numerals] (11) Detecting unit; (12) Control unit; (13) Storing unit; (14) Communication unit; (15) Display unit; (16) Input unit

Description

소비 전력 감시 장치 {POWER MONITORING APPARATUS}Power consumption monitoring device {POWER MONITORING APPARATUS}

본 발명은 소비 전력 감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주 전력선에서 분기되어 전력을 공급받는 기기들의 개별적인 소비 전력을 감시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wer consumption monitor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pparatus for monitoring individual power consumption of devices branched from a main power line and powered.

일반적으로, 전력량계는 사용자가 사용하는 개별적인 기기의 전력량의 절대치를 적산하여 표시함으로써 사용자 등에게 총소비전력 사용량을 알려준다. 그런데 사용한 전력량에 대한 요금은 누진수가가 적용이 되어 많이 사용할수록 더 많은 요금이 부과된다. 또, 요금 부과는 단계적으로 증가하기 때문에 어느 일정량을 초과하여 사용하면 요금이 급격히 증가한다.In general, the electricity meter indicates the total power consumption to the user by integrating and displaying the absolute value of the power amount of the individual device used by the user. However, the charge for the amount of power used is applied to the cumulative price, the more you use the more you will be charged. In addition, since charges increase in stages, charges increase rapidly when a certain amount is used.

따라서 소비 전력의 사용량을 미리 조절하여 이러한 전력량 사용요금 체계에 대응하여 전력요금을 절감하려는 시도가 있어 왔다. 즉, 총소비전력 사용량에서 비 정상적인 전력 소비만을 감시하여 전력 사용을 제어하는 방법이나, 또는 각 기기별로 개별적인 소비 전력을 감시하여 전력 사용을 개별 기기 단위로 제어하는 방법 등이 제안되어 왔다.Therefore, there has been an attempt to reduce the electricity bill in response to the electricity usage fee system by adjusting the consumption of power consumption in advance. That is, a method of controlling power usage by monitoring only abnormal power consumption in total power consumption or a method of controlling power usage by individual devices by monitoring individual power consumption for each device has been proposed.

그러나, 이러한 전력 사용 제어를 위한 종래의 전력 감시 방법들은 시스템의 구현 비용의 측면과 개별적인 소비 전력 및 총소비전력의 분석의 정확도 및 편의성 측면에서 모두 만족할만한 방법을 제시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However, the conventional power monitoring methods for controlling the power usage have a problem in that they cannot provide a satisfactory method both in terms of implementation cost of the system and in terms of accuracy and convenience of analysis of individual power consumption and total power consumption.

한국특허출원 제10-2006-0022425호Korean Patent Application No. 10-2006-0022425 한국특허출원 제10-2007-0084789호Korean Patent Application No. 10-2007-0084789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개별 기기들의 전력 사용량과 전체 사용량의 소비 전력을 정확하고 간편하게 분석함으로써 소비 전력을 절감할 수 있는 소비 전력 감시 장치와 그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wer consumption monitoring device and method that can reduce power consumption by accurately and simply analyzing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individual devices and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total usage.

또한 소비 전력을 감시하는 장치의 구현이 비교적 간단하고 비용의 면에서 경제적이어서 소비 전력 감시 시스템의 대중화를 달성할 수 있는 장치와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In addition, the implementation of a device for monitoring the power consumption is relatively simple and cost-effective to provide a device and method for achieving the popularization of the power consumption monitoring system.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소비 전력 감시 장치는, 주 전력선에 연결되고 상기 주 전력선에 연결된 복수의 전자기기에 대한 총소비전력량을 실측하는 검출부와, 상기 복수의 전자기기 각각에 대한 기초소비전력패턴, 소비전력제한값 및 상기 복수의 전자기기에 대한 총소비전력제한값을 입력받는 입력부와, 상기 복수의 전자기기 각각에 대한 기초소비전력패턴을 조합하여 복수의 전자기기에 대한 총소비전력패턴을 형성하고, 상기 총소비전력패턴과 상기 총소비전력량을 비교하여 상기 복수의 전자기기 각각에 대한 실제소비전력량을 산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총소비전력량이 상기 총소비전력제한값 이상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실제소비전력량을 바탕으로 경고알림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ower consumption monitoring apparatus including a detector configured to measure a total power consumption for a plurality of electronic devices connected to a main power line and a basic power consumption pattern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electronic devices. A total power consumption pattern for the plurality of electronic devices is formed by combining a power consumption limit value and an input unit for receiving the total power consumption limit value for the plurality of electronic devices, and a basic power consumption pattern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electronic devices. 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compare the total power consumption pattern and the total power consumption amount to calculate an actual power consumption amount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electronic devices, and if the total power consumption amount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total power consumption limit value, Alert notification information can be generated based on the actual power consumption.

소비 전력 감시 장치는 상기 경고알림정보를 외부기기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power consumption monitoring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communication unit configured to transmit the warning notification information to an external device.

상기 총소비전력량이 상기 총소비전력제한값 이상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경고알림정보를 생성하되, 상기 실제소비전력량이 상기 소비전력제한값 이상인 전자기기에 대해 상기 경고알림정보가 생성될 수 있다. When the total power consumption amount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total power consumption limit value, the control unit may generate the warning no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warning notification information may be generated for an electronic device whose actual power consumption amount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power consumption limit value.

상기 총소비전력량이 상기 총소비전력제한값 이상이고, 상기 복수의 전자기기 전부가 각각에 설정된 소비전력제한값 미만의 전력을 소비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경고알림정보를 생성하되, 상기 소비전력제한값에 상응하는 상기 실제소비전력량을 갖는 전자기기에 대해 상기 경고알림정보가 생성될 수 있다. If the total power consumption amount is more than the total power consumption limit value, and all of the plurality of electronic devices consume power less than the power consumption limit value set in each, the controller generates the warning notification information and corresponds to the power consumption limit value. The warning notification information may be generated for an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actual power consumption.

상기 총소비전력량이 상기 총소비전력제한값 이상이고, 상기 복수의 전자기기 전부가 각각에 설정된 상기 소비전력제한값 미만의 전력을 소비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경고알림정보를 생성하되, 상기 실제소비전력량이 가장 큰 전자기기에 대해 상기 경고알림정보가 생성될 수 있다. If the total power consumption amount is more than the total power consumption limit value and all of the plurality of electronic devices consume power less than the power consumption limit value set in each, the controller generates the warning notification information, but the actual power consumption amount is The warning notification information may be generated for the largest electronic device.

본 발명에 따르면, 가정에 인입되는 주 전력선에 연결된 개별 기기들의 전력 사용량과 이들 기기들에 대한 전체 사용량의 소비 전력 분석 방법을 통하여 정확하고 간편하게 객관적인 지표를 사용자에게 알려줌으로써 사용자가 전력 사용을 조절하고 소비 전력을 절감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can adjust the power usage by providing an accurate and simple objective indicator to the user through the power consumption analysis method of the individual devices connected to the main power line entering the home and the total power consumption of these devices. The power consumption can be reduced.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소비 전력을 감시하는 장치를 비교적 간단하고 저비용으로 구현할 수 있어서 소비 전력 감시 시스템의 대중화를 달성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implement a device for monitoring the power consumption relatively simple and low cost to achieve the popularization of the power consumption monitoring system.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비 전력 감시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비 전력 감시 장치의 제어부에 대한 블록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비 전력 감시 방법에서 이용되는 개별 기기의 기초소비전력패턴을 예시한 그래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비 전력 감시 방법에 의해 분석되는 총소비전력량을 예시한 그래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비 전력 감시 방법에 의해 총소비전력량으로부터 개별 기기의 소비 전력이 분석되는 과정을 도시한 그래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비 전력 감시 방법에 대한 순서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비 전력 감시 방법에 대한 순서도.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ower consumption monito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of a control unit of the power consumption monito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and 4 are graphs illustrating a basic power consumption pattern of individual devices used in the power consumption monitor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graph illustrating the total power consumption analyzed by the power consumption monitor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graph illustrating a process of analyzing power consumption of individual devices from total power consumption by a power consumption monitor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ower consumption monitor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ower consumption monitoring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ous embodiments, and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tailed description.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to be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but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The term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xample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this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indicate that there is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and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exclud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the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components, or a combination thereof.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비 전력 감시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ower consumption monito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여 알 수 있듯이, 외부 전력은 주 전력선(100)을 통해서 인입되어 각각의 개별 전력선(101 내지 104)으로 분기되어 전달된다. 그래서 외부 전력은 각각의 전자기기(D1 내지 D4)로 전달되어 소비된다. 여기서 전자기기(D1 내지 D4)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전기로 구동되는 모든 전력 소비 기기(예를 들어 텔레비전, 냉장고, 사무기기, 자동화 기기 등)가 전자기기에 해당될 수 있다. As can be seen with reference to Figure 1, the external power is drawn through the main power line 100 is branched to each individual power line (101 to 104) and delivered. Thus, external power is delivered to and consumed by each of the electronic devices D1 to D4. The type of the electronic devices D1 to D4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all of the electric power consumption devices (eg, televisions, refrigerators, office equipment, automation devices, etc.) driven by electricity may correspond to the electronic devices.

도 1의 실시예에 따른 소비 전력 감시 장치(10)는 주 전력선(100)에 연결되어 전자기기(D1 내지 D4)의 개별적인 소비 전력을 감시한다. 도 1의 소비 전력 감시 장치(10)는 검출부(11), 제어부(12), 저장부(13), 통신부(14), 표시부(15), 입력부(16)를 포함한다. 또한 도 1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추가적으로 경고 알림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power consumption monitoring apparatus 1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1 is connected to the main power line 100 to monitor individual power consumption of the electronic devices D1 to D4. The power consumption monitoring apparatus 10 of FIG. 1 includes a detection unit 11, a control unit 12, a storage unit 13, a communication unit 14, a display unit 15, and an input unit 16. 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Figure 1, it may be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warning notification unit.

검출부(11)는 주 전력선(100)에 직접 연결되어 주 전력선(100)을 통해 공급받는 소비 전력을 측정한다. 이때 측정되는 소비 전력은 주 전력선(100)에 연결되어 있는 모든 전자기기(도 1에 의하면 전자기기 D1 내지 D4)가 외부 전력을 공급받아 소비하는 총소비전력량을 의미한다.The detector 11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main power line 100 to measure power consumption supplied through the main power line 100. In this case, the measured power consumption refers to the total amount of power consumed by all the electronic devices (electronic devices D1 to D4 according to FIG. 1) connected to the main power line 100 by receiving external power.

검출부(11)는 소비 전력을 측정하는 전력량계일 수 있으나 이에 반드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검출부(11)에 의해 측정되는 총소비전력량(즉, 주 전력선(100)에 연결된 모든 전자기기(D1 내지 D4)가 소비하는 총소비전력 사용량)은 단위 시간 간격으로 검출되어 감시될 수 있다. 또한 총소비전력량은 시간 간격 없이 연속적으로 감시될 수도 있다. 검출된 총소비전력량은 일별, 월별, 연도별로 기록될 수 있으며, 이러한 총소비전력량으로부터 일별, 월별, 연도별의 목표 사용량이 설정될 수도 있다. 또한, 개별 전자기기에 대한 기초소비전력패턴(즉, 입력부(16)를 통해 입력된 개별 전자기기 각각에 대한 기준 시간 동안의 소비전력사용량)과 총소비전력량은 동일한 기준의 시간 동안 측정된 정보가 이용된다. 즉, 개별 전자기기에 대한 소비전력사용량을 산출하기 위한 기기별 전력 사용 패턴과 대비될 수 있도록 총소비전력량 중 전력 사용 패턴과 동일한 기준의 시간 동안 측정된 총소비전력량 정보가 이용된다.The detector 11 may be a power meter measuring power consumption,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The total power consumption measured by the detector 11 (that is, the total power consumption consumed by all the electronic devices D1 to D4 connected to the main power line 100) may be detected and monitored at unit time intervals. The total power consumption can also be monitored continuously without time intervals. The detected total power consumption may be recorded daily, monthly, or yearly, and a target usage for daily, monthly, or yearly may be set from the total power consumption. In addition, the basic power consumption pattern for the individual electronic devices (that is, the power consumption during the reference time for each of the individual electronic devices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16) and the total power consumption are the information measured during the same reference time. Is used. That is, the total power consumption information measured during the same reference time as the power usage pattern of the total power consumption is used so as to be contrasted with the power usage pattern for each device for calculating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individual electronic devices.

또한, 검출부(11)에 의해 측정되는 총소비전력량은 개별 전자기기의 소비 전력 감시를 위한 분석 과정을 거치기 위해 제어부(12)에 전달된다.In addition, the total power consumption measured by the detection unit 11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12 to undergo an analysis process for monitoring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individual electronic devices.

제어부(12)는 검출부(11)에 연결되고, 또한 저장부(13), 통신부(14), 표시부(15), 입력부(16) 등의 각 구성부와 모두 연결되어 있다. 제어부(12)는 검출부(11)로부터 전달된 총소비전력량을 기반으로 전자기기 각각에 대한 기초소비전력패턴을 이용하여 전자기기(D1 내지 D4) 각각에 대한 소비전력사용량을 분리한다. 여기서, 전자기기별 기초소비전력패턴은 기준 시간 동안의 각 기기별 전력의 소비 패턴으로서, 입력부(16)을 통해 입력되거나, 제어부(12)에 미리 저장되거나, 저장부(13)에 미리 저장되고 제어부(12)가 필요한 경우 독출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2 is connected to the detection unit 11, and is also connected to each component such as the storage unit 13, the communication unit 14, the display unit 15, the input unit 16 and the like. The control unit 12 separates power consumption for each of the electronic devices D1 to D4 using the basic power consumption pattern for each of the electronic devices based on the total power consumption transmitted from the detection unit 11. Here, the basic power consumption pattern for each electronic device is a power consumption pattern for each device during the reference time, and is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16, stored in advance in the control unit 12, or stored in advance in the storage unit 13. The control unit 12 may read if necessary.

구체적으로, 제어부(12)는 전자기기별 기초소비전력패턴의 다양한 조합 중에서, 총소비전력량에 대응하는 기초소비전력패턴 조합을 추출한다. 그리고 제어부(12)는 추출된 기초소비전력패턴 조합과 총소비전력량 정보를 대비하여, 개별 전자기기에 대한 소비전력사용량을 산출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controller 12 extracts a combination of basic power consumption patterns corresponding to the total power consumption from various combinations of basic power consumption patterns for each electronic device. The controller 12 may calculate power consumption for individual electronic devices by comparing the extracted basic power consumption pattern combination and total power consumption information.

또한, 제어부(12)는 산출된 개별 기기의 실제소비전력량이 해당 기기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기준 소비전력사용량(소비전력제한값) 이상인 경우, 해당 기기 정보, 초과 사용한 전력의 양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경고알림정보를 생성하여 통신부(14)로 출력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calculated actual power consumption of the individual devic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preset standard power consumption (power consumption limit value) for the device, the control unit 12 includes a warning including information on the corresponding device information, the amount of excess power used, and the like. The notification information may be generated and output to the communication unit 14.

저장부(13)는 제어부(12)와 연결되고 제어부(12)를 통해 취득되거나 분석되는 정보들을 저장한다. 한편으로는 제어부(12)가 저장부(13)로부터 저장된 정보들을 추출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감시 방법에 활용할 수 있다. 도 1의 실시예에서 저장부(13)는 제어부(12)에 연결되어 구성되지만 이는 하나의 실시 형태이고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저장부(13)는 입력부(16)에 직접 연결되고 입력부(16)를 통해 입력되는 정보가 직접 저장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저장부(13)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비 전력 감시 장치 외부의 다른 장치에 구성되고, 후술하는 통신부(14)를 통하여 제어부(12)에 연결될 수도 있을 것이다. The storage unit 13 is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12 and stores the information obtained or analyzed through the control unit 12. On the other hand, the control unit 12 may extract information stored from the storage unit 13 and use it in the monitor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embodiment of FIG. 1, the storage unit 13 is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12, but this is one embodiment and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 storage unit 13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input unit 16 and directly store information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16. As another example, the storage unit 13 may be configured in another device outside the power consumption monito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ay be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12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4 described later.

통신부(14)는 제어부(12)와 연결되고 제어부(12)에서 생성된 신호들을 외부 기기에 전달하거나 또는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신호들을 수신하여 제어부(12)에 전달한다. 일 실시예로서 통신부(14)는 외부 전자기기에 대한 신호 전달을 매개하도록 구성되지만, 내부 구성간 신호 전달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통신부(14)는 제어부(12)로부터 입력된 경고알림정보를 통신망(미도시)를 통하여 연결된 외부기기로 전송한다. The communication unit 14 is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12 and transmits signals generated by the control unit 12 to an external device, or receives and transmits signals transmitted from the outside to the control unit 12. In one embodiment, the communication unit 14 is configured to mediate signal transmission to external electronic devices, but may of course be configured to include signal transmission between internal components. 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unit 14 transmits the warning notification information input from the control unit 12 to an external device connected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not shown).

표시부(15)는 제어부(12)에 연결되어, 입력부(16)를 통하여 입력되는 정보, 제어부(12)에서 처리하는 정보 및 제어부(12)로부터 전달되는 정보 또는 경고알림정보에 따라 대응하는 영상 또는 문자를 표시한다. The display unit 15 is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12, and corresponding images according to information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16, information processed by the control unit 12 and information or warning notification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control unit 12 or Display characters.

따라서, 표시부(15)는 복수의 전자기기의 총소비전력량, 전자기기별 기초소비전력패턴, 상기 전자기기별 기초소비전력패턴의 다양한 조합, 상기 제어부(12)가 산출한 개별 전자기기의 소비전력사용량 등을 표시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display unit 15 may include various combinations of total power consumption of a plurality of electronic devices, basic power consumption patterns for each electronic device, basic power consumption patterns for each electronic device, and power consumption of individual electronic devices calculated by the controller 12. Usage amount can be display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부(15)는 제어부(12)로부터 전달되는 경고알림정보를 전달받아 소비 전력의 기 설정된 기준 소비전력사용량, 즉 소비전력제한값 이상의 전력을 사용한 기기 정보를 포함하는 경고를 표시할 수 있다. 경고의 표시 방법은 제한되지 않는데, 예를 들어, 표시 방법은 연결될 다수의 전자기기 중 기준 소비전력사용량(전자기기별 소비전력제한값) 이상의 전력을 사용한 전자기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경고 표시등이 점멸하는 형태일 수 있다. The display unit 15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the warning notification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control unit 12 and receives a warning including device information using a preset reference power consumption of power consumption, that is, a power consumption of more than the power consumption limit value. I can display it. The display method of the warning is not limited. For example, the display method may include a warning indicator flashing including information on an electronic device that uses power above a reference power consumption (consumption limit per electronic device) among a plurality of electronic devices to be connected. It may be in the form of.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라 소비 전력 감시 장치는 경고 알림부(도면 미도시)를 추가적으로 더 포함하여, 제어부(12)의 제어 하에 표시부(15)의 경고 표시와 함께 경고음을 발생시킬 수도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wer consumption monitoring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warning notification unit (not shown), and may generate a warning sound together with the warning display of the display unit 15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2.

입력부(16)는 제어부(12)에 연결되고, 주 전력선(100)에 연결된 전자기기별 기초소비전력패턴, 소비전력제한값 및/또는 총소비전력제한값이 입력될 수 있다. 이들 정보들의 입력 방법은 제한되지 않으며 사용자에 의해 각 전자기기의 등록 정보가 입력되고, 각 전자기기별로 전력 사용 패턴 정보가 수동적으로 입력될 수 있다. 여기서, 각 전자기기의 기초소비전력패턴은 기기의 기능별, 용량별, 사용 시간대에 따라 다양한 패턴을 가질 수 있다. 사용자는 각 기기의 실제 사용을 통해 실측되는 전력량을 검출하여 이로부터 전력의 소비 패턴을 확보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기 확보된 기기별 기초소비전력패턴을 입력부(16)에 입력할 수도 있다. The input unit 16 may be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12, and a basic power consumption pattern, a power consumption limit value, and / or a total power consumption limit value for each electronic device connected to the main power line 100 may be input. The method of inputting these pieces of information is not limited, and registration information of each electronic device may be input by a user, and power usage pattern information may be manually input for each electronic device. Here, the basic power consumption pattern of each electronic device may have various patterns according to function, capacity, and usage time of the device. The user can detect the amount of power measured through actual use of each device to obtain a power consumption pattern therefrom. In addition, the user may input a predetermined basic power consumption pattern for each device to the input unit 16.

또는, 다른 실시예로서, 제어부(12)가 각 기기별로 소비 전력을 실측하여 해당 기기별 실제 소비전력패턴을 산출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제어부(12)는 주 전력선(100)에 연결된 개별 전자기기의 전원의 턴온/턴오프(turn on/turn off)를 직접 감지하거나, 공지된 수단을 이용하여 감지할 수 있다. 이 경우, 다른 전자기기가 동일하게 사용되는 상황에서 특정 전자기기가 턴온/턴오프 되는 경우에, 제어부(12)는 검출부(11)로부터 수신되는 총소비전력량의 차이로, 특정 전자기기의 실제 소비전력패턴을 감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2)는 설정에 따라서, 저장부(13)에 저장된 해당 전자기기의 기초소비전력패턴을 실제 소비전력패턴을 이용하여 업데이트 하거나, 추후 표시부(15)에 표시하여 사용자가 해당 전자기기의 기초소비전력패턴 정보를 업데이트 할 것인지에 대해서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Alternatively, as another embodiment, the controller 12 may measure power consumption for each device to calculate an actual power consumption pattern for each device. In more detail, the controller 12 may directly detect turn on / turn off of a power source of an individual electronic device connected to the main power line 100 or may use a known means. . In this case, when a specific electronic device is turned on / off in a situation where other electronic devices are used in the same manner, the control unit 12 is a difference in the total power consumption received from the detection unit 11, and thus the actual consumption of the specific electronic device. Power pattern can be detected. 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12 updates the basic power consumption pattern of the electronic device stored in the storage unit 13 using the actual power consumption pattern according to the setting, or later displays it on the display unit 15 so that the user It is possible to select whether to update the basic power consumption pattern information of the devic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각 전자기기별 소비 전력의 절감을 위해 바람직한 소비전력사용량을 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2)는 입력부(16)를 통하여 입력되는 정보를 해당 기기의 소비전력사용량(소비전력제한값)으로 설정하고, 해당 정보를 제어부(12) 또는 저장부(13)에 저장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user may set a desirable power consumption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of each electronic device. 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12 may set the information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16 as the power consumption consumption (consumption limit value) of the device, and store the information in the control unit 12 or the storage unit 13. .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비 전력 감시 장치의 제어부에 대한 블록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of a control unit of the power consumption monito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 따르면 제어부(12)는 소비전력패턴 추출모듈(120), 개별 소비 전력 분석모듈(121), 전력 소비 경고 판단모듈(122), 및 정보 및 신호 생성모듈(123)을 포함한다. 소비전력패턴 추출모듈(120)은 저장부(13)에 기저장되어 있거나 입력부(16)를 통해 입력된 각 전자기기에 대한 기초소비전력패턴을 추출한다. 전자기기의 기초소비전력패턴은 이후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후술한다.According to FIG. 2, the controller 12 includes a power consumption pattern extraction module 120, an individual power consumption analysis module 121, a power consumption warning determination module 122, and an information and signal generation module 123. The power consumption pattern extraction module 120 extracts a basic power consumption pattern for each electronic device previously stored in the storage unit 13 or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16. The basic power consumption pattern of the electronic device will be described later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4.

소비전력패턴 추출모듈(120)은 소비 전력 감시 장치에 등록된 전자기기 중 주 전력선에 현재 연결된 전자기기에 대한 기초소비전력패턴을 선택적으로 추출한다. 앞서 상술한 바와 같이, 소비전력패턴 추출모듈(120)은 저장부(13)에 저장된 해당 전자기기별 기초소비전력패턴을 추출할 수 있다. 또는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실측되어 업데이트된 전자기기별 기초소비전력패턴에 대해서, 입력부(16)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선택된 기초소비전력패턴을 추출할 수 있다. 추출된 전자기기별 기초소비전력패턴은 개별 소비 전력 분석모듈(121)에 전달된다. The power consumption pattern extraction module 120 selectively extracts a basic power consumption pattern for an electronic device currently connected to a main power line among electronic devices registered in the power consumption monitoring apparatus. As described above, the power consumption pattern extraction module 120 may extract the basic power consumption pattern for each electronic device stored in the storage unit 13. Alternativel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basic power consumption pattern for each measured and updated electronic device may be extracted based on a user input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16. The extracted basic power consumption pattern for each electronic device is transmitted to the individual power consumption analysis module 121.

또한 소비전력패턴 추출모듈(120)은 주 전력선에 연결된 복수의 전자기기에 대한 기초소비전력패턴을 다양하게 조합하여 그 조합에 따른 총합 패턴(이하, '총소비전력패턴'이라 칭함)을 추출할 수도 있다. 즉, 총소비전력패턴은 다양한 전자기기의 기초소비전력패턴이 조합되어 생성된 패턴일 수 있다. 또한, 총소비전력패턴 역시 개별 소비 전력 분석모듈(121)에 전달될 수 있다. 그러나 실시 형태에 따라서는 전자기기의 기초소비전력패턴을 조합하여 생성된 총소비전력패턴은 개별 소비 전력 분석모듈(121)에서, 검출부(11)로부터 수신되는 총소비전력량과 대비되어 추출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In addition, the power consumption pattern extraction module 120 may combine the basic power consumption patterns for a plurality of electronic devices connected to the main power line in various ways to extract a total pattern according to the combina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total power consumption pattern'). It may be. That is, the total power consumption pattern may be a pattern generated by combining the basic power consumption patterns of various electronic devices. In addition, the total power consumption pattern may also be transmitted to the individual power consumption analysis module 121. However,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the total power consumption pattern generated by combining the basic power consumption patterns of the electronic device may be extracted by the individual power consumption analysis module 121 in comparison with the total power consumption received from the detection unit 11. Of course.

제어부(12)를 구성하는 개별 소비 전력 분석모듈(121)은 검출부(11)로부터 총소비전력량을 전달받고, 총소비전력량으로부터 상기 소비전력패턴 추출모듈(120)에서 전달된 전자기기별 기초소비전력패턴 또는 주 전력선과 연결된 전자기기에 대한 기초소비전력패턴의 다양한 조합을 통하여 실제 총소비전력량에 대응하는 총소비전력패턴을 추출한다. The individual power consumption analysis module 121 constituting the control unit 12 receives the total power consumption from the detection unit 11, and the basic power consumption for each electronic device transmitted from the power consumption pattern extraction module 120 from the total power consumption. The total power consumption pattern corresponding to the actual total power consumption is extracted through various combinations of the basic power consumption pattern for the electronic device connected to the pattern or the main power line.

그런 다음, 개별 소비 전력 분석모듈(121)은 추출된 기초소비전력패턴을 조합하여 총소비전력패턴을 형성하고, 총소비전력패턴을 구성하는 전자기기의 실제소비전력량을 산출한다. 구체적인 전자기기별 실제소비전력량을 산출하는 방법은 도 6에서 후술하기로 한다.Then, the individual power consumption analysis module 121 combines the extracted basic power consumption patterns to form a total power consumption pattern, and calculates the actual power consump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constituting the total power consumption pattern. A method of calculating the actual power consumption for each specific electronic device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6.

상기 총소비전력패턴을 구성하는 전자기기 각각의 실제소비전력량을 산출한 후 해당 기기에 대한 소비전력사용량은 정보 및 신호 생성모듈(123)에 전달될 수 있다. 또는 해당 기기의 소비전력사용량 정보는 절전을 위한 경고 제한값(전자기기별 소비전력제한값) 이상의 전력을 사용하였는지 판단하기 위해 전력 소비 경고 판단모듈(122)에 전달될 수도 있다.After calculating the actual power consumption of each electronic device constituting the total power consumption pattern,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corresponding device may be transmitted to the information and signal generation module 123. Alternatively, the power consumption information of the device may be transmitted to the power consumption warning determination module 122 in order to determine whether the power of more than the warning limit value (power consumption limit for each electronic device) for power saving is used.

해당 기기의 실제소비전력량이 산출되어 전력 소비 경고 판단모듈(122)에 전달되면, 전력 소비 경고 판단모듈(122)은 입력부(16)를 통해 사용자가 설정한 해당 기기의 전력 사용 제한값(전자기기별 소비전력제한값) 이상인지 비교, 판단한다. 만일 해당 기기의 전력 사용 제한값(전자기기별 소비전력제한값) 이상의 전력을 소비한 것으로 판단되면, 정보 및 신호 생성모듈(123)에서 해당 전자기기에 대한 경고알림정보를 생성한다. 또한, 총소비전력량이 입력된 총소비전력제한값 이상인 경우에도 신호 생성모듈(123)에서 미리 설정된 기준에 상응하는 전자기기에 대한 경고알림정보를 생성한다(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When the actual power consumption of the device is calculated and delivered to the power consumption warning determination module 122, the power consumption warning determination module 122 is the power usage limit value of the corresponding device set by the user through the input unit 16 (by electronic device) Compare and judge whether the power consumption limit value is over.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electric power consumption of the device is greater than the power usage limit value (power consumption limit value for each electronic device), the information and signal generation module 123 generates warning notification information for the electronic device. Further, even when the total power consumption amount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input total power consumption limit value, the signal generation module 123 generates warning notification information for an electronic device corresponding to a preset criterion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described later).

정보 및 신호 생성모듈(123)은 개별 소비 전력 분석모듈(121) 및 전력 소비 경고 판단모듈(122)에 연결된다. 정보 및 신호 생성모듈(123)는 개별 소비 전력 분석모듈(121)에서 산출한 전자기기의 개별 소비 전력량 정보를 전달받고, 전력 소비 경고 판단모듈(122)에서 생성된 경고알림정보를 전달받는다.The information and signal generation module 123 is connected to the individual power consumption analysis module 121 and the power consumption warning determination module 122. The information and signal generation module 123 receives the individual power consumption informa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calculated by the individual power consumption analysis module 121, and receives the warning notification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power consumption warning determination module 122.

정보 및 신호 생성모듈(123)는 주 전력선에 연결된 전자기기에 대한 개별 소비전력사용량 정보를 취합하고 분류하여 저장부(13)에 전달한다. 또한 경고 제한값(전자기기별 소비전력제한값) 이상의 전력 소비를 한 것으로 판단되는 해당 전자기기에 대한 정보인 경고알림정보를 전달받아 통신부(14)로 출력한다. The information and signal generation module 123 collects and classifies individual power consumption information of electronic devices connected to the main power line, and transmits the information to the storage unit 13. In addition, it receives the warning notification information that is information on the electronic device that is determined to consume more than the warning limit value (power consumption limit for each electronic device) and outputs it to the communication unit 14.

경고알림정보는 통신부(14)를 경유하여 상기 경고알림정보를 외부의 지정된 장치로 전달될 수 있다. 또는 경고알림정보가 표시부(15)에 전달되어, 표시부(15)에서 해당 기기에 대한 전력 사용이 기준 소비전력사용량 이상임을 표시할 수 있다.The warning notification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to the external designated device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4. Alternatively, the warning notification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to the display unit 15, and the display unit 15 may indicate that power use of the devic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reference power consumption.

한편, 정보 및 신호 생성모듈(123)은 취득된 개별 소비전력사용량 정보, 경고알림정보가 필요한 해당 전자기기의 정보, 및 소비전력제한값 이상의 전력 사용량 정보 등을 포함하는 각종 정보를 표시하기 위하여 표시부(15)에 정보 데이터를 전달한다.On the other hand, the information and signal generation module 123 is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 variety of information, including the acquired individual power consumption information,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electronic device requiring the warning notification information, power consumption information above the power consumption limit value, and the like ( 15) transmit the information data.

도 2에 도시된 제어부(12)의 각 구성과 배치는 일 실시예일뿐이며, 이러한 실시예에 반드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례로, 제어부(12)에 연결된 저장부(13), 통신부(14), 표시부(15) 등은 반드시 정보 및 신호 생성모듈(123)에 연결되는 것이 아니라, 제어부(12)의 다양한 구성에 연결되어 해당 정보들을 즉각적으로 저장하거나, 전달하거나, 표시할 수 있다.Each configuration and arrangement of the control unit 12 shown in FIG. 2 is only one embodiment,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is embodiment. For example, the storage unit 13, the communication unit 14, and the display unit 15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12 are not necessarily connected to the information and signal generation module 123, but are connected to various configurations of the control unit 12. The information can then be instantly stored, forwarded or displayed.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비 전력 감시 방법에서 이용되는 개별 기기의 기초소비전력패턴을 예시한 그래프이다.3 and 4 are graphs illustrating basic power consumption patterns of individual devices used in the power consumption monitor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서 알 수 있듯이, 소비 전력 감시 장치의 입력부(16)를 통해 사용자가 입력하는 전자기기의 기초소비전력패턴은 크게 전자기기가 작동하는 동작 시간(OPT)과 휴지하는 대기 시간(SBT) 각각의 전력 사용량으로 구분될 수 있다. 동작 시간(OPT)과 대기 시간(SBT)이 반복되어 전자기기의 동작 주기(OPC)를 구성한다.As can be seen in Figure 3, the basic power consumption pattern of the electronic device input by the user through the input unit 16 of the power consumption monitoring device is largely the operating time (OPT) and the standby time (SBT) of the opera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respectively It can be divided into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operation time OPT and the standby time SBT are repeated to form an operation cycle OPC of the electronic device.

동작 시간(OPT)에 소비되는 전력이 동작 전력(OPP)이고, 대기 시간(SBT)에 소비되는 전력이 대기 전력(SBP)이다. 만일 해당 전자기기가 휴지되면서 대기하는 것이 아니라 전원이 오프된 상태에서 대기하였다가 필요한 때 전원이 공급되는 소비 형태를 가진다면 대기 전력(SBP)는 0가 된다.The power consumed for the operation time OPT is the operating power OPP, and the power consumed for the standby time SBT is the standby power SBP. If the electronic device does not stand by while being idle but has a form of consumption in which the power is turned off and then supplied when necessary, the standby power SBP becomes zero.

전자기기의 동작 시간(OPT)과 대기 시간(SBT), 동작 전력(OPP)과 대기 전력(SBP), 및 동작 주기(OPC)가 주 전력선에 연결된 전자기기의 총소비전력량에 대입하여 실제 사용된 전자기기들을 추출할 수 있는 전력 패턴의 비교 인자가 된다.The operating time (OPT) and standby time (SBT), operating power (OPP) and standby power (SBP), and operating cycle (OPC) of the electronic device are substituted for the total power consump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connected to the main power line. It is a comparison factor of the power pattern from which the electronic devices can be extracted.

전자기기의 기초소비전력패턴이 작성되는 전체 시간을 패턴 주기로 정할 수 있는데, 상기 패턴 주기를 1일, 1주일, 1개월, 또는 1년 등의 기간으로 필요에 따라 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1일을 주기로 전자기기의 기초소비전력패턴을 추출할 수 있다. 전자기기의 기초소비전력패턴은 패턴 주기를 기준으로 각 단위 시간별로 구한 평균 전력 사용량을 표로 표시한 것이지만, 표시 형태는 달리 설정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The entire time at which the basic power consumption pattern of the electronic device is prepared may be determined as a pattern period, and the pattern period may be determined as necessary for one day, one week, one month, or one year. Preferably, the basic power consumption pattern of the electronic device may be extracted every one day. The basic power consumption pattern of the electronic device is a table showing the average power consumption obtained for each unit time based on the pattern period, but the display form can be set differently.

패턴 주기를 결정하여 단위 시간별로 해당 전자기기의 전력 소비 패턴을 구하면 도 3과 같은 형태로 동작 시간(OPT)과 대기 시간(SBT)의 동작 주기(OPC)를 반복하는 패턴을 얻을 수 있다. 도 3의 기초소비전력패턴은 일례일 뿐이고, 전자기기의 사용 기능과 시간에 따라 다양한 패턴이 얻어지며, 일정한 동작 주기(OPC)를 반복하는 패턴이 아닐 수도 있다.By determining the pattern period and obtaining the power consumption pattern of the corresponding electronic device for each unit time, a pattern of repeating the operation period OPC of the operation time OPT and the standby time SBT may be obtained as shown in FIG. 3. The basic power consumption pattern of FIG. 3 is just an example, and various patterns are obtained according to the use function and time of the electronic device, and may not be a pattern of repeating a certain operation cycle (OPC).

소비 전력의 사용 패턴을 구하는 기본 단위시간은 임의로 설정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1시간마다 측정되는 전자기기의 소비전력사용량으로부터 구할 수 있다.The basic unit time for calculating the usage pattern of the power consumption can be arbitrarily set, but preferably can be obtained from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measured every hour.

도 4에는 다양한 전자기기들의 일별 전력 사용량의 그래프가 도시되어 있다. 즉, 도 4에 도시된 전자기기들의 기초전력사용패턴의 패턴 주기는 1일이며, 패턴을 구한 단위시간은 1시간을 기준한 것이다.4 shows a graph of daily power usage of various electronic devices. That is, the pattern period of the basic power use pattern of the electronic devices shown in FIG. 4 is one day, and the unit time for obtaining the pattern is based on one hour.

또한 도 4의 기초소비전력패턴은 가정에 공급되는 주 전력선과 연결된 가정용 전자기기들의 패턴을 상정한 것이다. 전자기기들 중에서 A기기의 기초소비전력패턴은, 대기 시간에 사용되는 대기 전력량이 다른 전자기기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고, 간헐적으로 집중적으로 구동되는 동작 시간의 사용 전력이 일정한 간격으로 반복되는 형태이다. A기기의 예를 들면, 다른 전자제품에 비해 대기 시간의 대기 전력 사용량이 높은 냉장고를 들 수 있다.In addition, the basic power consumption pattern of FIG. 4 assumes a pattern of household electronic devices connected to a main power line supplied to a home. Among the electronic devices, the basic power consumption pattern of the A device is a form in which the amount of standby power used for the standby time is relatively higher than that of other electronic devices, and the use power of the operating time driven intermittently and intensively is repeated at regular intervals. As an example of A equipment, the refrigerator which has high standby power consumption of standby time compared with other electronic products is mentioned.

B기기의 기초소비전력패턴은, 1일 동안 낮은 소비 전력을 사용하면서 대기하고 있지만, 오전에 단시간 동안 급격하게 전력을 사용하는 전력 소비 패턴을 가진다. B기기에는 가정에서 주부들이 오전에 집안 일을 할 때 사용하는 세탁기, 청소기 등의 전자기기들이 해당될 수 있다.The basic power consumption pattern of the B device has a low power consumption for one day and waits, but has a power consumption pattern that rapidly uses power for a short time in the morning. The B device may be an electronic device such as a washing machine or a vacuum cleaner used by housewives in the morning at home.

C기기의 기초소비전력패턴은 대기 전력이 0이고, 필요한 때에만 주 전력선에 연결되어 전력을 소비하는 형태이다. 아침, 점심, 및 저녁에 한 번씩 구동되는 전력 사용 패턴을 가지는 전자기기가 C기기에 해당될 수 있다. 주로 식사시간에 사용되는 주방용 전자기기들이 C기기에 해당될 수 있을 것이다.The basic power consumption pattern of the C device is a standby power of 0 and is connected to the main power line only when necessary to consume power. An electronic device having a power usage pattern that is driven every morning, lunch, and evening may correspond to the C device. Kitchen appliances, which are mainly used at mealtimes, may correspond to C appliances.

마지막으로 D기기는 C기기와 마찬가지로 대기 전력이 0이고, 필요한 때에 주 전력선에 연결되어 전력을 소비하는데, 주로 오후나 저녁 때에 상당히 장시간 동안 집중적으로 많은 량의 전력을 소비하는 패턴을 가진 전자기기임을 알 수 있다. 예를 들면 텔레비전, 컴퓨터, 에어컨과 같은 전자기기들의 전력 소비 패턴이라고 할 수 있다.Finally, device D, like device C, has zero standby power and is connected to the mains power line when needed, consuming power, mainly an electronic device with a pattern that consumes large amounts of power over a fairly long period of time, usually in the afternoon or evening. Able to know. For example, the power consumption pattern of electronic devices such as televisions, computers, and air conditioners.

주 전력선에 연결된 개별 전자기기 각각의 기초소비전력패턴은 사용자가 총소비전력량 정보를 이용하여 수동적으로 구하거나, 혹은 개별 전자기기의 전력량을 검출하는 전력량계로부터 실시간 자동적으로 소비 전력량을 측정하여 구할 수도 있다. The basic power consumption pattern of each electronic device connected to the main power line can be obtained manually by the user using the total power consumption information, or by measuring the power consumption automatically in real time from a power meter that detects the power of the individual electronic devices. .

도 4와 같이 다양한 패턴으로 추출된 전자기기 각각의 기초소비전력패턴은 도 1의 입력부(16)를 통해 입력되어 본 발명의 소비 전력 감시 방법에 이용된다.The basic power consumption pattern of each of the electronic devices extracted in various patterns as shown in FIG. 4 is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16 of FIG. 1 to be used in the power consumption monitor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한편, 입력부(16)를 통해서는 각각의 전자기기에 대한 소비전력제한값이 입력되어 저장부(13)에 저장될 수 있다. 이때, 전자기기 각각에 대한 소비전력제한값은 서로 상이한 값으로 입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기A에 대한 소비전력제한값(즉, 기기A 소비전력제한값)은 'a값'이고, 기기B에 대한 소비전력제한값(즉, 기기B 소비전력제한값)은 'b값'이고, 기기C에 대한 소비전력제한값(즉, 기기C 소비전력제한값)은 'c값'이고, 기기D에 대한 소비전력제한값(즉, 기기D 소비전력제한값)은 'd값'이며, a, b, c 및 d는 각각은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Meanwhile, the power consumption limit value for each electronic device may be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16 and stored in the storage unit 13. At this time, the power consumption limit value for each of the electronic devices may be input to different values. For example, the power consumption limit value for the device A (ie, the device A power consumption limit value) is a value 'a', and the power consumption limit value for the device B (ie, the device B power consumption limit value) is 'b value', The power consumption limit value for the device C (that is, the device C power consumption limit value) is 'c value', and the power consumption limit value for the device D (that is, the device D power consumption limit value) is 'd value', a, b, c and d may each be the same or different from each other.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전자기기들이 정상적으로 동작되는 경우에 각 전자기기의 소비전력은 상응하는 소비전력제한값을 초과하지 않을 것이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 4, when each of the electronic devices is normally operated, the power consumption of each electronic device will not exceed the corresponding power consumption limit value.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비 전력 감시 방법에 의해 분석되는 총소비전력량을 예시한 그래프이다.5 is a graph illustrating the total power consumption analyzed by the power consumption monitor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와 같은 총소비전력량(총소비전력)은 주 전력선에 연결된 도 1의 검출부(11)를 통해 검출될 수 있다.The total power consumption (total power consumption) as shown in FIG. 5 may be detected through the detector 11 of FIG. 1 connected to the main power line.

본 발명의 소비 전력 감시 방법을 적용하려면, 상기 검출되는 총소비전력량은 기 취득된 전자기기 각각의 기초소비전력패턴의 패턴 주기와 동일한 시간 동안 사용된 전력량이어야 한다. 또한 총소비전력량을 검출하는 단위시간 역시 전자기기의 기초소비전력패턴의 측정 단위 시간과 동일하여야 한다.In order to apply the power consumption monitor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ected total power consumption should be the amount of power used for the same time period as the pattern period of the basic power consumption pattern of each of the previously acquired electronic devices. In addition, the unit time for detecting the total power consumption should also be the same as the unit time of measurement of the basic power consumption pattern of the electronic device.

따라서, 도 4에서의 실시예에 따른 기초소비전력패턴의 패턴 주기가 1일이고 측정 단위 시간은 1시간을 기준하였을 경우, 도 5에서 측정되는 주 전력선의 총소비전력량은 1일 동안, 1시간 단위로 측정된 전력량이다. Therefore, when the pattern period of the basic power consumption patter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n FIG. 4 is 1 day and the measurement unit time is based on 1 hour, the total power consumption of the main power line measured in FIG. 5 is 1 day for 1 hour. The amount of power measured in units.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비 전력 감시 방법에 의해 분석되는 총소비전력량을 예시한 그래프이다.5 is a graph illustrating the total power consumption analyzed by the power consumption monitor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와 같은 형태로 1일 동안에 총소비전력량이 검출되어 검출부(11)를 통해 제어부(12)에 전달되면, 제어부(12)에서는 도 4와 같이 주 전력선에 연결된 전자기기별 전력 사용 패턴을 이용하여 기기별 소비 전력량을 산출한다.When the total power consumption is detected and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12 through the detection unit 11 in the form as shown in FIG. 5, the control unit 12 uses a power usage pattern for each electronic device connected to the main power line as shown in FIG. 4. To calculate the power consumption of each device.

기기별 소비 전력량의 산출 과정은 도 6에서와 같이 총소비전력량 그래프로부터 개별 기기의 기초소비전력패턴을 도입하여 분석한다.The process of calculating power consumption for each device is analyzed by introducing a basic power consumption pattern of individual devices from the total power consumption graph as shown in FIG. 6.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비 전력 감시 방법에 의해 총소비전력량으로부터 개별 기기의 소비 전력이 분석되는 과정을 도시한 그래프이다.6 is a graph illustrating a process of analyzing power consumption of individual devices from total power consumption by a power consumption monitor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에서 알 수 있듯이, 총소비전력량의 그래프를 검출부(11)로부터 취득하면, 주 전력선에 연결된 전자 기기들의 기초소비전력패턴의 다양한 조합으로부터 얻어지는 총소비전력패턴을 대입하여 총소비전력량의 그래프 패턴의 형태와 일치하는 총소비전력패턴을 추출한다. 그러면 해당 총소비전력패턴을 나타내는 전자기기의 조합을 알 수 있으며 상기 총소비전력량은 해당 전자기기의 사용으로 인하여 검출된 것임을 알 수 있게 된다. 총소비전력량 그래프와 전자기기 조합의 총소비전력패턴을 비교하면, 소정의 전자기기에서의 전력 사용량이 증가 또는 감소할 수 있으므로 총소비전력패턴에 비해 총소비전력량의 높이에 있어 차이가 날 수 있으나, 총소비전력량의 그래프는 전자기기의 패턴 조합을 반영한 것이므로 전체 형태가 일치하게 되어 그로부터 해당 전자기기의 패턴 조합을 추출할 수 있다. 상술하였듯이, 총소비전력량의 그래프에 전자기기의 조합에 따른 총소비전력패턴을 비교할 때 비교 인자들은 패턴 주기를 포함한 전자기기의 동작 시간(OPT)과 대기 시간(SBT), 동작 전력(OPP)과 대기 전력(SBP), 및 동작 주기(OPC)이 될 수 있다.As can be seen in FIG. 6, when the graph of the total power consumption is acquired from the detection unit 11, the graph pattern of the total power consumption by substituting the total power consumption pattern obtained from various combinations of the basic power consumption patterns of the electronic devices connected to the main power line. The total power consumption pattern matching the shape of is extracted. Then, a combination of electronic devices representing the corresponding total power consumption pattern may be known, and the total power consumption may be detected due to the use of the electronic device. Comparing the total power consumption graph of the total power consumption graph with the total power consumption pattern of the electronic device combination, the power consumption of a given electronic device may increase or decrease, which may result in a difference in height of the total power consumption compared to the total power consumption pattern. Since the graph of the total power consumption reflects the pattern combina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the overall form is matched and the pattern combina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can be extracted therefrom. As described above, when comparing the total power consumption pattern according to the combination of electronic devices to the graph of the total power consumption, the comparison factors include the operating time (OPT), standby time (SBT), operating power (OPP) and Standby power SBP, and an operating cycle OPC.

도 6의 실시예는 총소비전력의 그래프가 도 5의 경우와 같이 도출되고, 이에 형태가 일치하는 전자기기의 기초소비전력패턴을 대입한 것으로서, 전자기기 A, B, C, D의 기초소비전력패턴이 종합된 결과임을 알 수 있다. 이렇게 총소비전력 그래프에 형태가 일치하는 총소비전력패턴으로부터 전자기기의 조합을 추출한 후 각 전자기기의 초과 전력 사용량을 측정하여 구체적인 전자기기의 전력 소비량을 산출한다.In the embodiment of FIG. 6, the graph of total power consumption is derived as in the case of FIG. 5, and the basic power consumption pattern of the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shape is substituted. It can be seen that the result of the power pattern is synthesized. Thus, after extracting the combination of electronic devices from the total power consumption pattern that matches the shape of the total power consumption graph, the excess power consumption of each electronic device is measured to calculate the specific power consump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도 6에서 정상적인 전력의 소비일 경우 총소비전력은 각 전자기기 A, B, C, D의 소비 패턴을 조합한 총소비전력패턴의 그래프 내에 속하는 범주에 있다. 그러나, 전자기기 A, B, C, D 중 어느 하나의 전자기기의 전력 소비량이 증가할 경우 해당 총소비전력량 그래프는 해당 전자기기의 기초소비전력패턴의 총소비전력패턴 중 전력 소비가 증가된 해당 전자기기의 전력 패턴에 대응하는 부분에서 증가할 것이므로, 이를 바탕으로 해당 전자기기의 증가된 소비 전력량을 구체적으로 산출해낼 수 있다.In the case of normal power consumption in FIG. 6, the total power consumption is in a category belonging to a graph of the total power pattern combining the power consumption patterns of the electronic devices A, B, C, and D. However, when the power consumption of any one of the electronic devices A, B, C, or D increases, the corresponding total power consumption graph shows that the increased power consumption among the total power consumption patterns of the basic power consumption pattern of the electronic device. Since it will increase in th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power pattern of the electronic device, it is possible to specifically calculate the increased power consump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based on this.

예를 들어, P1 기간에서의 총소비전력량(총소비전력)은 전자기기 A와 전자기기 B의 해당 시간에 대한 소비 전력량을 합한 것이다.For example, the total power consumption (total power consumption) in the P1 period is the sum of the power consumption for the corresponding time of the electronic device A and the electronic device B.

정상적인 전력의 소비인 경우, 실제 총소비전력량은 전자기기 A의 기초소비전력패턴의 전력량(PPa)과 전자기기 B의 기초소비전력패턴의 전력량(PPb)을 더한 값 PP1 이하의 범위 내에 속한다.In the case of normal power consumption, the actual total power consumption is in a range equal to or less than the value PP1 plus the power amount PPa of the basic power consumption pattern of the electronic device A and the power amount PPb of the basic power consumption pattern of the electronic device B.

그러나, 총소비전력량 그래프 중 P1 기간 이외의 다른 기간 동안의 총소비전력량은 정상 그래프 내에 속하나, P1 기간에서 총소비전력량이 PPx으로 증가하였다면, 이는 전자기기 B의 소비 전력량이 상승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만일 전자기기 A의 소비 전력이 상승하였다면 다른 기간에서도 총소비전력량이 상승되었을 것이지만, P1 기간에만 소비 전력량이 상승한 것은 전자기기 B의 사용량이 증가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However, if the total power consumption during the period other than the P1 period of the total power consumption graph is within the normal graph, but the total power consumption increased to PPx in the P1 period,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B has increased. . If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A has risen, the total power consumption will have increased in other periods, but the increase in the power consumption in the P1 period may be considered to have increased the consump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B.

그러면, P1 기간에서의 총소비전력량의 증가분(PPx-PP1)을 전자기기 B의 소비 전력량 증가분으로 판단하여 전자기기 B의 실제소비전력량(PPb+(PPx-PP1))이 산출될 수 있다.Then, the actual power consumption amount PPb + (PPx-PP1) of the electronic device B may be calculated by determining the increase PPx-PP1 of the total power consumption amount in the P1 period as the increase of power consump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B.

제어부(12)는 이렇게 산출된 전자기기 B의 실제소비전력량이 기준 전력 사용량(소비전력제한값)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이상인 경우에는 해당 전자기기 B에 대한 경고알림정보를 생성하여 통신부(14)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4)는 입력된 전자기기 B에 대한 경고알림정보를 통신망을 통하여 연결된 외부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외부기기(예를 들어, 이동통신 단말기 등)를 통해 사용자는 전자기기B가 소비전력제한값 이상의 전력을 소비하고 있다는 것을 언제 어디에서나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다. The control unit 12 determines whether the calculated actual power consump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B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reference power consumption (power consumption limit value), and if abnormal, generates warning notification information for the corresponding electronic device B to communicate with the communication unit 14. Can be printed as 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unit 14 may transmit the warning notification information on the input electronic device B to an external device connected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ly, through an external device (e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user can easily recognize at any time and anywhere that the electronic device B consumes more than the power consumption limit value.

다른 전자기기의 전력량 분석의 예로서, P2 기간의 총소비전력량은 전자기기 A와 전자기기 D의 패턴에 기록된 전력량의 합이다. P2 기간 동안의 총소비전력량만 증가하고, 나머지 기간 동안의 총소비전력량은 정상 범위 내인 경우, P2 기간의 증가된 소비 전력량은 전자기기 D가 사용한 전력량임을 알 수 있다.As an example of power amount analysis of another electronic device, the total power consumption of the P2 period is the sum of the power amounts recorded in the patterns of the electronic device A and the electronic device D. If only the total power consumption during the P2 period is increased and the total power consumption for the remaining period is within the normal range, it can be seen that the increased power consumption of the P2 period is the amount of power used by the electronic device D.

따라서, P2 기간의 증가된 소비 전력량과 전자기기 D의 패턴에 기록된 전력량을 합하면 실제 전자기기 D의 실제소비전력량을 구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전자기기D의 실제소비전력량이 상응하는 소비전력제한값(즉, d값) 이상이면 제어부(12)는 전자기기D에 대한 경고알림정보를 생성하여 통신부(14)로 출력할 수 있고, 통신부(14)는 전자기기D에 대한 경고알림정보를 외부기기로 전송할 수 있을 것이다. Therefore, the sum of the increased power consumption in the P2 period and the amount of power recorded in the pattern of the electronic device D can be obtained to obtain the actual power consumption of the actual electronic device D. Even in this case, if the actual power consump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D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corresponding power consumption limit value (that is, the d value), the control unit 12 may generate warning notification information for the electronic device D and output it to the communication unit 14, The communication unit 14 may transmit the warning notification information about the electronic device D to an external device.

한편, 위에서는 각 전자기기의 실제소비전력량이 기준 전력 사용량(즉, 소비전력제한값) 이상인 경우에만 해당 전자기기에 대한 경고알림정보를 알리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하지만, 전자기기 각각은 실제소비전력량이 소비전력제한값 이상이지는 않았지만 전자기기 전체의 총소비전력량이 기준 전력 사용량(즉, 총소비전력제한값)이상일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above described a case in which the warning notification information for the electronic device is notified only when the actual power consumption of each electronic device is more than the reference power consumption (that is, the power consumption limit value). However, although the actual power consumption of each electronic device is not more than the power consumption limit value, the total power consumption of the entire electronic device may be more than the reference power consumption (that is, the total power consumption limit value).

예를 들어, 입력부(16)를 통해서는 총소비전력제한값이 입력되어 저장부(13)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는 주전력선(100)에 연결된 모든 전자기기들이 소비하는 총소비전력량이 총소비전력제한값 이상인 경우 미리 설정된 기준에 상응하는 전자기기(이하, '경고대상전자기기'라 칭함, 즉 '경고대상전자기기'는 미리 설정된 기준에 상응하는 전자기기를 의미함)에 대한 경고알림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total power consumption limit value may be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16 and stored in the storage unit 13. In addition, the controller 12 is an electronic device corresponding to a preset standard when the total power consumption consumed by all the electronic devices connected to the main power line 100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total power consumption limit value (hereinafter, referred to as “alert target electronic device”, That is, the 'alert target electronic device' refers to an electronic device corresponding to a preset criterion).

즉, 제어부(12)는 주전력선(100)에 연결된 모든 전자기기들이 소비하는 총소비전력량이 총소비전력제한값 이상인 경우, 전자기기들 중 실제로 소비하는 전력량(즉, 실제소비전력량)이 각 기기에 설정된 소비전력제한값 이상인 경고대상전자기기를 검출하여, 검출된 전자기기에 대한 경고알림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2)는 주전력선(100)에 연결된 모든 전자기기들이 소비하는 총소비전력량이 총소비전력제한값 이상이고, 동일한 기간 내에서 전자기기 A, B 및 D가 정상적인 상태에 비하여 실제 소비 전력이 증가하였음을 검출한 경우를 가정한다. 이때, 제어부(12)는 전자기기 D만 소비전력제한값 이상의 전력을 소비하고 있다고 판단되면 전자기기 D에 대한 경고알림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즉, 전자기기 D가 경고대상전자기기인 경우임). 한편, 상술한 예시에서 전자기기 D 이외에 전자기기 A도 소비전력제한값 이상의 전력을 소비하고 있다고 판단되면 제어부(12)는 전자기기 A에 대해서도 경고알림정보를 생성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That is, when the total power consumption consumed by all the electronic devices connected to the main power line 100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total power consumption limit, the control unit 12 uses the actual amount of power consumed among the electronic devices (ie, the actual power consumption) to each device. The warning target electronic device that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set power consumption limit value may be detected to generate warning notification information on the detected electronic device. For example, the controller 12 may determine that the total power consumption consumed by all the electronic devices connected to the main power line 100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total power consumption limit, and that the electronic devices A, B, and D are actually compared to the normal state within the same period. Assume a case where it is detected that power consumption has increased. In this case, when it is determined that only the electronic device D consumes more than the power consumption limit value, the controller 12 may generate warning notification information for the electronic device D (that is, when the electronic device D is a warning target electronic device). . On the other h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electronic device A in addition to the electronic device D consumes more than the power consumption limit value in the above-described example, it is apparent that the control unit 12 may generate warning notification information for the electronic device A as well.

또한, 총소비전력량이 총소비전력제한값 이상임에도 불구하고, 모든 전자기기가 상응하는 소비전력제한값 미만의 전력을 소비하는 경우를 가정한다. 이때, 제어부(12)는 주전력선(100)에 연결된 전자기기 중, 실제소비전력량이 상응하는 소비전력제한값에 가장 근접한 경고대상전자기기에 대해서 경고알림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즉, 전자기기 A가 소비전력제한값에 10와트, 전자기기 B가 소비전력제한값에 50와트, 전자기기 C가 소비전력제한값에 5와트 및 전자기기 D가 소비전력제한값에 10와트 모자란 경우를 가정한다. 이때, 제어부(12)는 전자기기C에 대하여 경고알림정보를 생성할 수 있을 것이다. In addition, even if the total power consumption amount is more than the total power consumption limit, it is assumed that all the electronic devices consume less than the corresponding power consumption limit value. 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12 may generate warning notification information for the electronic device to which the actual power consumption is closest to the corresponding power consumption limit among the electronic devices connected to the main power line 100. That is, suppose that the electronic device A has a power consumption limit of 10 watts, the electronic device B has a power consumption limit of 50 watts, the electronic device C has a power consumption limit of 5 watts, and the electronic device D has a power consumption limit of 10 watts. . At this time, the controller 12 may generate warning notification information about the electronic device C.

또한, 총소비전력량이 총소비전력제한값 이상임에도 불구하고, 모든 전자기기가 상응하는 소비전력제한값 미만의 전력을 소비하면서 모두 각각의 소비전력제한값에 동일한 값이 모자란 전력을 사용하고 있는 경우를 가정한다. 즉, 전자기기 A가 소비전력제한값에 10와트, 전자기기 B가 소비전력제한값에 10와트, 전자기기 C가 소비전력제한값에 10와트 및 전자기기 D가 소비전력제한값에 10와트 모자란 경우를 가정한다. 이때 제어부(12)는 소비전력이 가장 큰 전자기기에 대한 경고알림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소비전력이 가장 큰 전자기기가 경고대상전자기기가 되는 경우임). 즉, 전자기기A가 1킬로와트, 전자기기B가 10킬로와트, 전자기기C가 15킬로와트, 전자기기D가 5킬로와트를 소비하는 경우, 제어부(12)는 전자기기 C에 대한 경고알림정보를 생성할 수 있을 것이다. In addition, even if the total power consumption is more than the total power consumption limit, it is assumed that all the electronic devices consume less than the corresponding power consumption limit while using the power that is less than the same value for each power consumption limit. . That is, suppose that the electronic device A has a power consumption limit of 10 watts, the electronic device B has a power consumption limit of 10 watts, the electronic device C has a power consumption limit of 10 watts, and the electronic device D has a power consumption limit of 10 watts. . In this case, the controller 12 may generate warning notification information for the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largest power consumption (when the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largest power consumption becomes the warning target electronic device). That is, when the electronic device A consumes 1 kilowatt, the electronic device B 10 kilowatts, the electronic device C 15 kilowatts, and the electronic device D consumes 5 kilowatts, the control unit 12 generates warning notification information for the electronic device C. Could be.

즉, 총소비전력량이 총소비전력제한값 이상인 경우 제어부(12)는 소비전력제한값 이상의 전력을 실제 사용하고 있는 전자기기에 대하여 경고알림정보를 생성할 수 있고, 소비전력제한값 이상의 전력을 사용하고 있는 전자기기가 없다면 소비전력제한값에 가장 근접한 전자기기에 대하여 경고알림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며, 모든 전자기기가 소비전력제한값에서 동일한 전력 이하의 전력을 사용하는 경우라면 소비전력이 가장 큰 전자기기에 대하여 경고알림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That is, when the total power consumption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total power consumption limit value, the control unit 12 may generate warning notification information for an electronic device that is actually using power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power consumption limit value. If there is no device, the alarm notification information can be generated for the electronic device that is closest to the power consumption limit value. If all the electronic devices use less than the same power level in the power consumption limit value, the alarm will be warned for the electronic device with the highest power consumption. Notification information may be generated.

또한, 제어부(12)에서 생성된 각 전자기기에 상응하는 경고알림정보는 통신부(14)로 출력되어 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외부기기로 전송될 수 있음은 상술한 바와 같다. 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the warning notifi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each electronic device generated by the controller 12 may be output to the communication unit 14 and transmitted to an external device connected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비 전력 감시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ower consumption monitor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도 2 및 도 3에 예시된 소비 전력 감시 장치의 구성은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기능별로 더 세분화 되거나 반대로 통합되어 다양한 구성부로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비 전력 감시 방법을 설명함에 있어서, 주체는 소비 전력 감시 장치를 주체로 하여 설명한다.As described above, the configuration of the power consumption monitoring apparatus illustrated in FIGS. 2 and 3 is just an embodiment, and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components by being further subdivided into functions or integrated in reverse. Therefore, hereinafter, in describing the power consumption monitoring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bject will be described mainly using the power consumption monitoring apparatus.

먼저 전자기기별로 기초소비전력 패턴이 취득된다(S1).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비 전력 감시 장치에서 얻어지는 것이 아니라, 외부에서 전자기기별로 실측된 소비 전력을 바탕으로 얻어진다. 전자기기의 제조 단계에서 또는 별도의 과정에서 전력량 검출계를 사용하여 수동적으로 또는 자동적으로 소비 전력이 검출된 후 이를 바탕으로 각 전자기기별로 기초소비전력 패턴을 추출할 수 있다.First, a basic power consumption pattern is acquired for each electronic device (S1). This is not obtained in the power consumption monito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is obtained based on power consumption actually measured for each electronic device from the outside. In the manufacturing stage of the electronic device or in a separate process, the power consumption may be manually or automatically detected using a power amount detector, and then the basic power consumption pattern may be extracted for each electronic device based on the power consumption.

기기별 기초소비전력패턴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비 전력 감시 장치에 전달되어 소비 전력 감시 장치의 저장공간에 저장된다(S2). 기초소비전력패턴은 하나의 전자기기라 하더라도 용량, 측정 시기, 측정 기간 등의 기준별로 다양한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고, 다양한 기준에 따라 분류되어 저장될 수 있다.The basic power consumption pattern for each device is transmitted to the power consumption monito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tored in the storage space of the power consumption monitoring apparatus (S2). The basic power consumption pattern may be formed in various patterns according to criteria such as capacity, measurement time, measurement period, etc., even in one electronic device, and may be classified and stored according to various criteria.

이어서, 소비 전력 감시 장치는 주 전력선을 통해 공급되는 총소비전력량을 측정한다(S3). 이때 측정되는 총소비전력량은 주 전력선을 통해 전력을 공급받아 사용하는 각 전자기기들의 사용 전력의 총합이다.Subsequently, the power consumption monitoring apparatus measures the total power consumption supplied through the main power line (S3). The total power consumption measured at this time is the sum of the power used by each electronic device that is supplied with power through the main power line.

다음으로 소비 전력 감시 장치는 S3 단계에서 실측된 상기 총소비전력량으로부터 주 전력선에 연결되어 실제 전력을 사용한 전자기기들에 대한 기기별 소비 전력 패턴 조합(즉, 총소비전력패턴)을 추출해낸다(S4). Next, the power consumption monitoring apparatus extracts a power consumption pattern combination (that is, total power consumption pattern) for each device for electronic devices using actual power by being connected to the main power line from the total power consumption measured in step S3 (S4). ).

이어서, 주 전력선에 연결되어 실제 사용된 전자기기들의 총소비전력패턴을 추출한 후, 전자기기 각각의 실제소비전력을 산출한다(S5). 여기서, 기기별 기초소비전력패턴의 각 단위시간당 전력 사용량의 총합에서 오차 범위를 벗어난 전력 소비인 경우, 해당 기간에 전력을 소비한 전자기기들의 다른 기간 동안의 전력 소비 패턴을 분석하여 실제로 과다하게 전력을 소비한 전자기기를 검출하고, 해당 전자기기의 실제소비전력량을 계산해낸다. Subsequently, after extracting the total power consumption pattern of the electronic devices actually connected to the main power line, the actual power consumption of each of the electronic devices is calculated (S5). Here, when the power consumption is out of the error range from the sum of the power consumption per unit time of the basic power consumption pattern for each device, the power consumption pattern during the other period of the electronic devices that consumed the power during the period is analyzed and actually excessively powered. Detects the electronic devices consumed and calculates the actual power consump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다음 단계에서 주전력선에 연결된 각 전자기기들의 실제소비전력량이 상응하는 소비전력제한값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고(S6), 상응하는 소비전력제한값 이상인 전자기기가 검출되면 해당 전자기기에 상응하는 경고알림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즉, 소비전력제한값 이상의 전력을 실제로 소비하는 전자기기에 대하여 경고알림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S7).In the next step,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actual power consumption of each electronic device connected to the main power lin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corresponding power consumption limit value (S6). Can be generated. That is, the warning notification information may be generated for the electronic device that actually consumes more than the power consumption limit value (S7).

이후, 생성된 경고알림정보를 통신망을 통하여 연결된 외부기기로 전송한다 (S8). 만일 모든 전자기기들의 실제소비전력량이 상응하는 소비전력제한값 미만인 경우라면 전력 감시 과정을 종료한다. 이러한 전력 감시 과정은 일회성에 제한되지 않고 연속적으로 감시하도록 구성할 수 있으므로, 상기 과정에서 해당 전자기기의 전력 사용이 전자기기별 소비전력제한값 미만인 경우, 감시 과정을 종료하지 않고 S3 단계로 돌아가서 주 전력선의 총소비전력을 다시 측정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Thereafter, the generated warning notification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connected external device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S8). If the actual power consumption of all electronic devices is less than the corresponding power consumption limit, the power monitoring process is terminated. Since the power monitoring process can be configured to monitor continuously without being limited to one-time, if the power use of the electronic device is less than the power consumption limit value for each electronic device in the above process, the process returns to step S3 without ending the monitoring process and the main power line. It is obvious that the total power consumption of can be measured again.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비 전력 감시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ower consumption monitoring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도 2 및 도 3에 예시된 소비 전력 감시 장치의 구성은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기능별로 더 세분화 되거나 반대로 통합되어 다양한 구성부로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비 전력 감시 방법을 설명함에 있어서, 주체는 소비 전력 감시 장치를 주체로 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될 각 단계들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 단계 S1 내지 S5가 수행된 뒤에 수행되는 단계들일 수 있다. 따라서, 도 8의 단계 S1 내지 S5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As described above, the configuration of the power consumption monitoring apparatus illustrated in FIGS. 2 and 3 is just an embodiment, and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components by being further subdivided into functions or integrated in reverse. Therefore, hereinafter, in describing the power consumption monitoring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bject will be described mainly using the power consumption monitoring apparatus. In addition, the steps to be described below may be steps performed after steps S1 to S5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7 are performed. Therefore, description of steps S1 to S5 in FIG. 8 will be omitted.

단계 S86에서 주전력선에 연결된 모든 전자기기의 총소비전력량이 총소비전력제한값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총소비전력제한값 이상인 경우라면 미리 설정된 기준에 상응하는 경고대상전자기기에 대한 경고알림정보를 생성한다(S87). 예를 들어, 총소비전력량이 총소비전력제한값 이상이면 상응하는 소비전력제한값 이상의 전력을 실제 소비하는 전자기기에 대한 경고알림정보를 생성할 수 있을 것이다.In step S86,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total power consumption of all the electronic devices connected to the main power lin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total power consumption limit value, and if the total power consumption valu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total power consumption limit value, generates warning notification information on the warning target electronic device corresponding to the preset criteria. (S87). For example, if the total power consumption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total power consumption limit, it may be possible to generate the alert notification information for the electronic device that actually consumes power above the corresponding power consumption limit.

다른 예를 들어, 총소비전력량이 총소비전력제한값 이상임에도 불구하고, 모든 전자기기가 상응하는 소비전력제한값 미만의 전력을 소비하는 경우, 상응하는 소비전력제한값에 가장 근접한 전자기기에 대한 경고알림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In another example, when all the electronic devices consume less than the corresponding power limit, even though the total power consumption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total power limit, the warning notification information for the electronic device closest to the corresponding power limit. Can be generated.

또 다른 예를 들어, 총소비전력량이 총소비전력제한값 이상임에도 불구하고, 모든 전자기기가 상응하는 소비전력제한값 미만의 전력을 소비하면서 모두 상응하는 소비전력제한값에 동일한 값이 모자란 전력을 사용하고 있는 경우, 전자기기들 중 가장 소비전력이 큰 전자기기에 대한 경고알림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In another example, although the total power consumption is more than the total power consumption limit, all the electronic devices consume less than the corresponding power consumption limit and all use the power that is not equal to the corresponding power limit. 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generate warning notification information for the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highest power consumption among the electronic devices.

이후, 생성된 경고알림정보를 통신망을 통하여 연결된 외부기기로 전송한다 (S88). 만일 총소비전력량이 총소비전력제한값 미만인 경우라면 전력 감시 과정을 종료한다. 이러한 전력 감시 과정은 일회성에 제한되지 않고 연속적으로 감시하도록 구성할 수 있으므로, 상기 과정에서 총소비전력량이 총소비전력제한값 미만인 경우, 감시 과정을 종료하지 않고 S3 단계로 돌아가서 주 전력선의 총소비전력을 다시 측정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Thereafter, the generated warning notification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connected external device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S88). If the total power consumption is less than the total power consumption limit, the power monitoring process is terminated. Since the power monitoring process can be configured to monitor continuously without being limited to one-time, if the total power consumption is less than the total power consumption limit in the above process, return to step S3 without ending the monitoring process to reduce the total power consumption of the main power line. It is obvious that it can be measured again.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소비 전력 감시 방법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해독될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된 모든 종류의 기록 매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자기 테이프, 자기 디스크, 플래쉬 메모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을 수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통신망으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The power consumption monitor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may be embodied as computer readable codes on a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all kinds of recording media having data stored thereon that can be decrypted by a computer system. For example, it may be a ROM (Read Only Memory), a RAM (Random Access Memory), a magnetic tape, a magnetic disk, a flash memory, an optical data storage device, or the like. In addition,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be distributed and executed in a computer system connected to a computer network, and may be stored and executed as a code readable in a distributed manner.

또한,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In addition, while the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claims below. It will be understoo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10: 소비 전력 감시 장치 11: 검출부
12: 제어부 13: 저장부
14: 통신부 15: 표시부
16: 입력부 100: 주 전력선
101,102,103,104: 전자기기
120: 소비전력패턴 추출모듈 121: 개별 소비 전력 분석모듈
122: 전력 소비 경고 판단모듈 123: 정보 및 신호 생성모듈
10: power consumption monitoring device 11: detection unit
12: control unit 13: storage unit
14: communication unit 15: display unit
16: input unit 100: main power line
101,102,103,104: electronics
120: power consumption pattern extraction module 121: individual power consumption analysis module
122: power consumption warning determination module 123: information and signal generation module

Claims (5)

주 전력선에 연결되고 상기 주 전력선에 연결된 복수의 전자기기에 대한 총소비전력량을 실측하는 검출부;
상기 복수의 전자기기 각각에 대한 기초소비전력패턴, 소비전력제한값 및 상기 복수의 전자기기에 대한 총소비전력제한값을 입력받는 입력부; 및
상기 복수의 전자기기 각각에 대한 기초소비전력패턴을 조합하여 복수의 전자기기에 대한 총소비전력패턴을 형성하고, 상기 총소비전력패턴과 상기 총소비전력량을 비교하여 상기 복수의 전자기기 각각에 대한 실제소비전력량을 산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총소비전력량이 상기 총소비전력제한값 이상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실제소비전력량을 바탕으로 경고알림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총소비전력량이 상기 총소비전력제한값 이상이고, 상기 복수의 전자기기 전부가 각각에 설정된 소비전력제한값 미만의 전력을 소비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경고알림정보를 생성하되,
상기 소비전력제한값에 상응하는 상기 실제소비전력량을 갖는 전자기기에 대해 상기 경고알림정보가 생성되는 소비 전력 감시 장치.
A detector configured to measure a total power consumption for a plurality of electronic devices connected to a main power line and connected to the main power line;
An input unit configured to receive a basic power consumption pattern, a power consumption limit value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electronic devices, and a total power consumption limit value for the plurality of electronic devices; And
Combining basic power consumption patterns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electronic devices to form a total power consumption pattern for a plurality of electronic devices, and comparing the total power consumption pattern with the total power consumption amount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electronic devices. It includes a control unit for calculating the actual power consumption,
If the total power consumption amount is more than the total power consumption limit value, the controller generates warning notification information based on the actual power consumption amount,
If the total power consumption amount is more than the total power consumption limit value and all of the plurality of electronic devices consume power less than the power consumption limit value set in each,
The control unit generates the warning no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warning notification information is generated for the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actual power consumption amount corresponding to the power consumption limit valu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고알림정보를 외부기기로 전송하는 통신부;
를 더 포함하는 소비 전력 감시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warning notification information to an external device;
Power consumption monitoring device further compris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총소비전력량이 상기 총소비전력제한값 이상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경고알림정보를 생성하되,
상기 실제소비전력량이 상기 소비전력제한값 이상인 전자기기에 대해 상기 경고알림정보가 생성되는 소비 전력 감시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If the total power consumption amount is more than the total power consumption limit value,
The control unit generates the warning no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warning notification information is generated for the electronic device whose actual power consumption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power consumption limit value.
삭제delete 주 전력선에 연결되고 상기 주 전력선에 연결된 복수의 전자기기에 대한 총소비전력량을 실측하는 검출부;
상기 복수의 전자기기 각각에 대한 기초소비전력패턴, 소비전력제한값 및 상기 복수의 전자기기에 대한 총소비전력제한값을 입력받는 입력부; 및
상기 복수의 전자기기 각각에 대한 기초소비전력패턴을 조합하여 복수의 전자기기에 대한 총소비전력패턴을 형성하고, 상기 총소비전력패턴과 상기 총소비전력량을 비교하여 상기 복수의 전자기기 각각에 대한 실제소비전력량을 산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총소비전력량이 상기 총소비전력제한값 이상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실제소비전력량을 바탕으로 경고알림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총소비전력량이 상기 총소비전력제한값 이상이고, 상기 복수의 전자기기 전부가 각각에 설정된 상기 소비전력제한값 미만의 전력을 소비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경고알림정보를 생성하되,
상기 실제소비전력량이 가장 큰 전자기기에 대해 상기 경고알림정보가 생성되는 소비 전력 감시 장치.
A detector configured to measure a total power consumption for a plurality of electronic devices connected to a main power line and connected to the main power line;
An input unit configured to receive a basic power consumption pattern, a power consumption limit value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electronic devices, and a total power consumption limit value for the plurality of electronic devices; And
Combining basic power consumption patterns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electronic devices to form a total power consumption pattern for a plurality of electronic devices, and comparing the total power consumption pattern with the total power consumption amount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electronic devices. It includes a control unit for calculating the actual power consumption,
If the total power consumption amount is more than the total power consumption limit value, the controller generates warning notification information based on the actual power consumption amount,
If the total power consumption amount is more than the total power consumption limit value, and all of the plurality of electronic devices consume power less than the power consumption limit value set in each,
The control unit generates the warning notification information,
The power consumption monitoring device for generating the warning notification information for the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largest actual power consumption.
KR1020120064571A 2012-06-15 2012-06-15 Power monitoring apparatus KR10132403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4571A KR101324038B1 (en) 2012-06-15 2012-06-15 Power monitor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4571A KR101324038B1 (en) 2012-06-15 2012-06-15 Power monitoring apparatu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24038B1 true KR101324038B1 (en) 2013-11-01

Family

ID=498564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4571A KR101324038B1 (en) 2012-06-15 2012-06-15 Power monitoring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4038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34329A (en) * 2020-09-11 2022-03-18 현지훈 Apparatus and method for analyzing it to reduce electricity bill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68566A (en) 2008-01-15 2009-07-30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Device and method for measuring power consumption amount
KR20090095452A (en) * 2008-03-05 2009-09-09 청화 텔레콤 코., 엘티디. Power demand control system for air conditioning equipment
KR100938819B1 (en) * 2009-03-02 2010-01-26 (주)다나에너지 A power-usage monitoring system based on the pattern of using power
KR20100130099A (en) * 2009-06-02 2010-12-10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for controlling d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68566A (en) 2008-01-15 2009-07-30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Device and method for measuring power consumption amount
KR20090095452A (en) * 2008-03-05 2009-09-09 청화 텔레콤 코., 엘티디. Power demand control system for air conditioning equipment
KR100938819B1 (en) * 2009-03-02 2010-01-26 (주)다나에너지 A power-usage monitoring system based on the pattern of using power
KR20100130099A (en) * 2009-06-02 2010-12-10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for controlling d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34329A (en) * 2020-09-11 2022-03-18 현지훈 Apparatus and method for analyzing it to reduce electricity bills
KR102471473B1 (en) * 2020-09-11 2022-11-28 현지훈 Apparatus and method for analyzing it to reduce electricity bill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5406B1 (en) Power monitoring apparatus and power monitoring method
JP5604089B2 (en) Power consumption measurement system, control device, and power consumption measurement method
JP5378434B2 (en) Electric energy detection device
US20130116952A1 (en) Power metering system and a method of displaying reading derived from the same
US8237586B2 (en) Method and system for recognizing statuses of electric appliances
CN110646664B (en) Method and device for monitoring power consumption of multi-split system and multi-split system
KR101893013B1 (en) Power management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RU2607828C2 (en) Method for determining power consumption, supervision system and electric installation comprising same
US20110037455A1 (en) System for measuring electrical power
US20130110424A1 (en) Apparatus and method to detect power
US20150088441A1 (en) Energy usage estimation device and energy usage estimation method
US20240061028A1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arc in an electrical meter
KR101521585B1 (en) The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use time information of mobile battery
JP2006349519A (en) Demand factor analyzing system and demand factor analysis method
KR101313182B1 (en) Power monitoring apparatus and power monitoring method
KR101324038B1 (en) Power monitoring apparatus
JP2017191522A (en) Electricity charge estimate system, electricity charge estimate method, and program
CN117241159A (en) Intelligent water meter communication method and system based on Internet of things
KR101324036B1 (en) Power monitoring apparatus and power monitoring method
KR101145319B1 (en) A Monitoring Method For Electric Power Consumption and a Monitoring System for Electric Power Consumption
KR101302160B1 (en) Power monitoring apparatus and power monitoring method
JP6202988B2 (en) Power measurement system, power measurement method, and program
JP6116493B2 (en) Electronic indicator
KR100550106B1 (en) Mornitoring system with electronic watthours-meter
CN107238754B (en) Method and device for detecting electric quanti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