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0238B1 - Cctv system for safety zone - Google Patents

Cctv system for safety zo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0238B1
KR101310238B1 KR1020130073467A KR20130073467A KR101310238B1 KR 101310238 B1 KR101310238 B1 KR 101310238B1 KR 1020130073467 A KR1020130073467 A KR 1020130073467A KR 20130073467 A KR20130073467 A KR 20130073467A KR 101310238 B1 KR101310238 B1 KR 1013102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otographing
safety zone
unit
call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7346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배경
Original Assignee
배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경 filed Critical 배경
Priority to KR10201300734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0238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02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023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1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plurality of remote sour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G08B13/19654Details concerning communication with a camer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6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provided with illuminating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9Control of means for changing angle of the field of view, e.g. optical zoom objectives or electronic zoom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PURPOSE: A safety area CCTV system is provided to monitor a plurality of calling device with one photographing device, thereby minimizing the installation cost for the system construction and widening the range of the safety area. CONSTITUTION: A plurality of calling device (100) includes an emergency button. A photographing device (200) communicates with the calling device.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emergency button, the photographing device takes a picture of the range of the calling device. A control device (300) receives and indicates a photographic image of the photographing device through the communication with the photographing device. A plurality of calling device is prepared within the safety area. The photographing device adjusts the posture to the area of the calling device in which the emergency button is operated, and takes a picture of the area. By the operation of the emergency button, the calling device and the control device communicate with each other.

Description

안전구역 씨씨티브이 시스템{CCTV SYSTEM FOR SAFETY ZONE}Safety Zone Citizen System {CCTV SYSTEM FOR SAFETY ZONE}

본 발명은 안전구역 씨씨티브이(closed circuit television, 이하 'CCTV'와 '씨씨티브이"를 병기하여 설명한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적은비용으로 안전구역의 범위를 확장할 수 있으며, 상황실 등의 관리자에 의한 피동적 방범 서비스가 아닌 서비스 당사자들인 시민들의 능동적인 요구에 의한 방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losed area televis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CCTV" and "Citizen" in parallel) system, and more specifically, it is possible to expand the scope of the safe area at a low cost, the situation room It is not a passive security service by a manager, but a security system based on the active demands of citizens who are service parties.

본 발명은 위급상황 발생시 안전구역내의 비상버튼을 누르면 CCTV로 범죄 현장을 촬영하고 있음을 호출자와 범죄자에게 동시에 알림으로써 호출자(시민)은 안심할 수 있고 범죄자는 범죄를 더 이상 진행하지 못하도록 하여 범죄를 예방할 수 있으며, 호출자로부터 현장 인근의 범죄 신고에 의한 경찰관 등이 현장도착 이전에 사건 발생 현장에서 즉각적인 대처, 증거 동영상 확보 및 사고 예방뿐만 아니라 현장 인근의 응급상황 발생시 상황실에서 관계기관에 즉시 연락하여 시민의 안전을 도울 수 있는 안전구역 CCTV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by pressing the emergency button in the safe zone when the emergency situation occurs, the caller (civil) can be assured by simultaneously notifying the caller and the offender that the crime scene is photographed by the CCTV and the offender prevents the crime to proceed any further to prevent crime Police officers who report a crime near the site from the caller can immediately contact the relevant authorities in the situation room in case of an emergency situation near the site, as well as to immediately respond to the incident, secure evidence videos, and prevent accidents. It is about a safety zone CCTV system that can help safety.

현대 사회는 고도 성장에 따라 물질적으로 유익해 졌지만, 부산물인 반사회적 부작용도 발생하고 있다. 즉, 가정의 해체, 물질 만능주의의 만연 그리고 인터넷 등으로 유포되는 음란물 및 잔혹 콘텐츠 등으로 인한 반사회적 인격장애에 따라 아동을 대상으로 하는 범죄가 증가하고 있다.Modern society has materially benefited from high growth, but anti-social side effects are also a byproduct. In other words, crimes against children are increasing due to antisocial personality disorders caused by the dismantling of families, the prevalence of materialism, and pornographic and cruelty contents spread over the Internet.

또한 잠재적 피해자인 아동은 학업부담, 가족과의 대화 부족, 건전한 놀이 문화의 부재 등으로 인한 스트레스가 증가하여 가출하거나 거리를 배회하는 경우가 증가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아동을 대상으로 하는 범죄자가 증가되고 있는 상황에서 이 범죄에 노출되는 아동이 늘고 있다는 사실이 아동 범죄의 증가를 가속화하고 있다.In addition, children who are potential victims are increasingly runaway or wandering due to increased stress due to academic burden, lack of communication with their families, and lack of a healthy play culture. The increasing number of offenders targeting children is accelerating the growth of child crimes.

이에 각 지자체 등에서는 아동 범죄가 발생될 수 있는 구역을 안전구역(safety zone)으로 정하고, 안전구역에 범죄 예방으로 위한 다양한 시스템을 설치하고 있다.
Accordingly, each local government has designated a zone where child crime can occur as a safety zone, and installs various systems for crime prevention in the safety zone.

이러한 안전구역에 범죄 예방을 위한 시스템 중 하나로, 공개특허공보 제10-2007-0000643호에 감시카메라와 비상벨 장치가 결합된 방범시스템이 기재되었다.As one of the systems for crime prevention in such a safe a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07-0000643 discloses a security system combined with a surveillance camera and an emergency bell device.

위에 기재된 방범시스템은 회전형 카메라를 제어하도록 현장에 제공되는 현장제어반에 비상버튼 및 경광등으로 이루어진 비상벨 유닛의 제어케이블을 연결시키고, 현장제어반은 회전형 카메라와 비상벨 유닛으로부터 소정 신호를 인가받아 신호변환부를 매개하여 제어모듈부로 전달하도록 구성하며, 비상벨 유닛의 비상버튼이 조작되면 대응되는 장소에 구비된 경광등이 구동되고 그 조작 신호가 현장제어반 및 신호변환부를 통해 제어모듈부로 전달되어 해당 위치가 모니터에 표시되는 한편, 제어모듈부는 비상버튼이 조작된 지역에 설치되어 있는 회전형 카메라로부터 영상정보를 전송받아 모니터에 표시하면서 기록매체에 저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하고 있다.The security system described above connects an emergency bell unit control cable consisting of an emergency button and a warning light to an on-site control panel provided to the site to control the rotating camera, and the site control panel receives a predetermined signal from the rotating camera and the emergency bell unit. When the emergency button of the emergency bell unit is operated, the warning lamp provided in the corresponding place is driven and the operation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module through the field control panel and the signal conversion unit. Is displayed on the monitor, while the control module unit is configured to receive image information from the rotating camera installed in the region where the emergency button is operated, and display the information on the monitor and to store it on the recording medium.

즉, 위에 기재된 기술은 안전구역 내에 카메라, 비상벨 및 경광등을 구비한 장치를 복수 개 설치하고 안전에 위험에 노출되는 경우 비상벨을 조작하여 해당 구역의 영상이 원격지로 전송되는 것이다. 그런데 위 시스템은 카메라, 비상벨 및 경광등이 하나의 장치에 포함되어 설치되므로, 장치를 제작하는 비용이 상당하여 많은 수의 장치를 설치하지 못하는 실정이다. 이에 장치가 설치된 근처만 안전구역으로 유지되므로, 안전구역의 범위가 협소해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안전구역과 안전구역 사이의 거리가 멀어서 안전구역에 도착하기까지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므로, 범죄에 대처하지 못하는 실정이다. 이에 더하여 안전구역의 상황(영상)만 확인할 수 있으므로 안전구역에서 발생되는 범죄를 확인하는 데 어려움이 발생된다.
In other words, the technology described above is to install a plurality of devices with a camera, an emergency bell and a warning light in the safety zone, and when the danger is exposed to safety, the image of the zone is transmitted to a remote location by operating the emergency bell. By the way, the above system is installed because the camera, emergency bell and warning lights are included in one device, the cost of manufacturing the device is a considerable situation that can not install a large number of devices. Since only the vicinity of the device is installed as a safe zone, a problem occurs that the scope of the safe zone is narrow. In addition, since the distance between the safety zone and the safety zone is far, it takes a considerable time to reach the safety zone, and thus cannot deal with crime. In addition, since only the situation (image) of the safety zone can be checked, it is difficult to identify a crime occurring in the safety zone.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등록특허공보 제10-0995569호에 범죄예방 지능형 씨씨티브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범죄예방 시스템 및 방법이 기재되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0995569 describes an intelligent crime prevention system and a crime prevention system and method using the same.

도 1은 위의 범죄예방 시스템에 대한 구성도를 나타낸 것으로, 폴(1)에 암(2)이 설치되고, 암(2)의 하부에 카메라(3)가 설치된다. 또한 폴(1)에는 하측을 비추는 조명등(4a)이 마련되며, 그 하부측 폴(1)에는 스피커(5a), 모니터(8), 제2카메라(6), 방범버튼(7) 및 마이크(5b)가 순차적으로 설치된다. 이 구성에서 방범버튼(7)의 입력이 감지되면 카메라(3)는 조준점을 방범버튼(7)이 설치된 영역으로 변경시키고, 접수된 영상 테이터를 방범 서버의 관리자가 모니터링한 후 용의자 정보표출이나 사고현장 영상표출 등 적절한 대응 영상을 표시하도록 구성된다.Figure 1 shows the configuration of the above crime prevention system, the arm 2 is installed on the pole 1, the camera 3 is installed under the arm (2). In addition, the pole 1 is provided with a lamp 4a for illuminating the lower side, and the lower pole 1 is provided with a speaker 5a, a monitor 8, a second camera 6, a security button 7 and a microphone ( 5b) are installed sequentially. In this configuration, when the input of the security button 7 is detected, the camera 3 changes the aiming point to the area where the security button 7 is installed, and monitors the received image data by the administrator of the security server and expresses suspect information or accidents. It is configured to display an appropriate corresponding video, such as on-site video display.

위에 기재된 기술에서 카메라(3)는 용의자의 머리 부분 상단에 설치되는 것으로, 카메라(3)에 촬영되는 영상은 용의자의 정수리 부분이다.In the technique described above, the camera 3 is installed on top of the head of the suspect, and the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3 is the crown of the suspect.

따라서 안면을 촬영하기 위한 제2카메라(6)가 구비된다. 즉, 장치를 구성하는데, 카메라(3) 및 제2카메라(6) 등이 구성되어 장치의 비용이 상승하는 문제점이 발생되며, 이에 더하여 제2카메라(6)의 촬영각에서 용의자가 이탈되는 경우, 용의자의 안면을 확인할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Therefore, the second camera 6 for photographing the face is provided. That is, when the device is configured, a problem arises in that the cost of the device increases due to the configuration of the camera 3 and the second camera 6, etc. In addition, when the suspect is separated from the photographing angle of the second camera 6. The problem arises that the suspect's face cannot be identified.

또한 장치가 설치된 근처만 안전구역으로 유지되므로, 안전구역의 범위가 협소해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In addition, since only the vicinity of the device is installed as a safe zone, the problem of narrowing the scope of the safe zone occurs.

이러한 종래의 구성도 안전구역과 안전구역 사이의 거리가 멀어서 범죄를 인지하고 안전구역에 도착하기까지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므로, 범죄에 신속히 대처하지 못하는 실정이다.
In the conventional configuration, since the distance between the safety zone and the safety zone is far, it takes a considerable time to recognize the crime and arrive at the safety zone.

본 발명은 위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안전구역 씨씨티브이 시스템은 설치 비용을 최소화하면서 안전구역의 범위를 확장할 수 있는 안전구역 씨씨티브이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safety zone Citize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afety zone Citizen system that can expand the scope of the safety zone while minimizing the installation cost.

또한 본 발명은 안전구역 내에서 발생하는 상황을 보다 효과적으로 촬영하여 범죄 발생시 근거 자료로 활용할 수 있고, 넓은 범위를 촬영할 수 있는 안전구역 씨씨티브이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In another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to effectively photograph the situation occurring in the safe zone can be used as the basis data when the crime occurs, to provide a safe zone CSI system that can shoot a wide range.

본 발명은 전자태그를 인식하여 전자태그를 착용한 범죄자의 접근을 미연에 확인할 수 있는 안전구역 씨씨티브이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afe zone Citizen system that can recognize the electronic tag to confirm the access of the criminal wearing the electronic tag in advance.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안전구역 씨씨티브이 시스템은 비상버튼을 구비한 호출장치; 호출장치와 통신하여 비상버튼의 작동에 따라 호출장치의 영역을 촬영하는 촬영장치 및 촬영장치와 통신으로 촬영장치의 촬영영상을 수신하여 표시하는 통제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호출장치는 안전구역 내에 복수 개로 구비되며, 촬영장치는 비상버튼이 작동된 호출장치의 영역으로 자세를 조정하여 촬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구역 씨씨티브이 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고자 한다.Safety zone Citize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 problems call device having an emergency button; And a control device for receiving and displaying a captured image of the recording device in communication with the recording device and a recording device for photographing the area of the calling device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emergency button in communication with the calling device. It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the imaging device is to provide a safe zone Citize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o adjust the posture to the area of the call device operating the emergency button, to solve the technical problem.

또한 상기 호출장치는, 전자태그리더부 및 경광등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전자태그리더부에서 근접하는 전자팔찌의 태그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경광등을 점등하거나 점멸하는 안전구역 씨씨티브이 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In addition, the call device is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n electronic tag reader unit and a warning light, when receiving the tag signal of the electronic bracelet in close proximity to the electronic tag reader unit, by providing a safety zone CSI system that lights or flashes the warning light; To solve technical problems.

본 발명에 따르면, 하나의 촬영장치로 복수 개의 호출장치를 감시할 수 있으므로, 시스템 구축을 위한 설치 비용을 최소화하면서, 안전구역의 범위를 넓힐 수 있어 안전구역을 확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a plurality of call apparatuses can be monitored by one photographing apparatus, the scope of the safety zone can be expanded while minimizing the installation cost for constructing the system, thereby extending the safety zone.

또한 안전구역 내에 많은 수의 호출장치를 구비할 수 있으므로, 범죄발생시 호출장치로의 접근이 용이하여 범죄발생에 따른 호출을 빠르게 수행할 수 있으므로, 범죄발생에 따른 신고를 신속히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a large number of calling devices can be provided in a safe area, access to the calling device can be easily performed when a crime occurs, so that a call can be made quickly according to a crime occurrence. have.

또한 용의자의 식별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촬영범위가 넓고, 촬영각에서 쉽게 이탈되지 않으므로, 범죄발생에 따른 근거자료로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suspect is not only easy to identify, but the shooting range is wide, and since it is not easily separated from the shooting angle,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used as the basis data for crime occurrence.

도 1은 종래 범죄예방 씨씨티브이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구역 씨씨티브이 시스템의 구성도,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구역 씨씨티브이 시스템에서 일실시예에 따른 호출장치의 사시도,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구역 씨씨티브이 시스템에서 일실시예에 따른 촬영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구역 씨씨티브이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구역 씨씨티브이 시스템의 내부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구역 씨씨티브이 시스템에서 일실시예에 따른 메모리부에 저장되는 데이터 테이블,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구역 씨씨티브이 시스템을 맵에 배치한 일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구역 씨씨티브이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구성도,
도 8은 도 7에 따른 본 발명의 안전구역 씨씨티브이 시스템을 맵에 배치한 일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9 및 도 10은 각각 학교 및 군부대에 본 발명의 안전구역 씨씨티브이 시스템을 맵에 배치한 일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 conventional crime prevention CSI system,
2 is a block diagram of a safety zone CSI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a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all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 the safety zone Citize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b is a perspective view of a photograph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 a safety zone Citize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safety zone CC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safety zone CSI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ata table stored in a memory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safety zone CSI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in which the safety zone Citiz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laced the system on a map,
7 is a block diagra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safety zone CSI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in which the safety zone CSI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FIG.
9 and 10 are diagrams illustrating an embodiment in which the safety zone CSI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on a map in a school and a military unit, respectively.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The terms and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ordinary or dictionary terms and the inventor may properly define the concept of the term in order to best describe its invention It should be construed as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mere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intended to represent all of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various equivalent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water and variations may be present.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요지를 드러내기 위해서 필요하지 않은 사항 즉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가 자명하게 부가할 수 있는 공지 구성에 대해서는 도시하지 않거나, 구체적으로 기술하지 않았음을 밝혀둔다.
Before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should be note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described or specifically described with respect to a known configuration that can be easily added b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Let the sound be revealed.

본 발명은 안전구역 내에 설치되어 비상상황 발생시 관계기관을 호출할 수 있는 안전구역 CCTV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안전구역의 범위를 확장할 수 있으면서 설치비용이 적게 소요되고, 보다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안전구역 CCTV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afety zone CCTV system that can be installed in the safety zone to call the relevant authorities in the event of an emergency, more specifically, the installation cost is reduced and more efficiently managed while extending the scope of the safety zone. To safe zone CCTV systems.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구역 씨씨티브이 시스템의 구성도를 나타낸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안전구역 씨씨티브이 시스템은 호출장치(100), 촬영장치(200) 및 통제장치(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2 and 3 show the configuration of the safety zone Citize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afety zone Citize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call device 100, a photographing device 200 and the control device 300 It is configured to include.

또한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구역 씨씨티브이 시스템의 내부 구성도를 나타낸 것으로, 도 2 내지 도 4를 통해 본 발명의 구성을 설명한다.
In addition, Figure 4 shows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safety zone Citize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described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FIGS.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구역 씨씨티브이 시스템에서 일실시예에 따른 호출장치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Figure 2a shows a perspective view of a pag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 a safe zone Citizen system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첨부된 도 2a 및 도 3을 통해 호출장치(100)를 설명한다.
The call device 10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A and 3.

호출장치(100)는 안전구역 내에 방범이 취약한 구역에 복수 개 설치된다. 이 호출장치(100)는 지면에 설치되는 경우 지주(101, 폴(pole))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벽면에 설치되는 경우 함체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첨부된 도면에는 지주(101) 형상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Calling device 100 is installed in a plurality of areas where security is vulnerable in the safety zone. The paging device 100 may be configured in the form of a pole 101 when installed on the ground, and may be configured in the shape of a enclosure when installed on a wall. Therefore, although shown in the shape of the strut 101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is not limited to this, of course, can be configured in various forms.

또한 주간 및 야간에 식별가능한 구조 또는 조명 등을 조사하거나 발광하여 눈에 띄는 식별부호 또는 장치 등이 구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a prominent identification code or device may be configured by irradiating or emitting a structure or lighting that can be distinguished during the day and at night.

또한 호출장치(100)의 주변 또는 지면에는 설치된 호출장치(100)를 안내하는 안내판 및 안내문구 등을 표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urroundings or the ground of the call device 100 may display a guide plate and a guide phrase for guiding the installed call device 100.

이러한 호출장치(100)는 비상버튼(110), 신고버튼(115), 제1통신부(120), 제1조명부(130), 제1메모리부(140), 제1센서부(150), 전자태그리더부(160) 및 혼스피커(170)를 포함한다.
The call device 100 is an emergency button 110, report button 115,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120, the first lighting unit 130, the first memory unit 140, the first sensor unit 150, electronic The tag reader unit 160 and the horn speaker 170 are included.

비상버튼(110)은 지주(101)의 외측에 사용자의 신장 등을 고려하여 지면으로부터 1~2m 범위에 구비되며, 야간에 식별하기 위해서 버튼의 내부에 조명을 구비한 조명 내장형 버튼으로 구성될 수 있다. 호출자(위험 상황을 인지한 사람)는 비상버튼(110)을 조작하는 것으로, 후술되는 통제장치(300)에 비상상황을 통지한다.Emergency button 110 is provided in the range of 1 ~ 2m from the ground in consideration of the user's height and the like on the outside of the support 101, and may be configured as a light-embedded button having a light inside the button to identify at night. have. The caller (a person who has recognized the dangerous situation) notifies the emergency situation to the control device 3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by operating the emergency button 110.

즉, 비상버튼(110)은 조작하게 되면, 통제장치(300)와 음성통화가 가능함은 물론, 촬영장치(200)의 촬영부(210)는 자세(방향)을 비상버튼(110)이 조작된 호출장치(100) 측으로 변경하여 촬영하게 되며, 조도에 따라 서치라이트(231)가 조명되도록 구성된다. That is, when the emergency button 110 is operated, the voice call with the control device 300 is possible, as well as the photographing unit 210 of the photographing device 200 is the posture (direction) of the emergency button 110 is operated The image is changed and photographed by the calling device 100, and the search light 231 is configured to be illuminated according to the illumination.

이 비상버튼(110)의 주위에는 버튼을 조작하는 경우에 대한 안내문 및 경고문 등이 기재될 수 있다.
In the vicinity of the emergency button 110, a guide and a warning message for operating the button may be described.

여기서, 주변에서 발생되는 사건을 목격하거나 주변 상황을 신고하기 위한 신고버튼(115)가 구비될 수 있다.Here, a report button 115 may be provided for witnessing an event occurring in the vicinity or reporting a surrounding situation.

즉, 신고버튼(115)은 직접적인 피해자가 아닌 주변 상황을 인지한 주변 사람이 주변 상황을 통지하기 위한 것으로, 신고버튼(115)을 조작하는 것으로 통제장치(300)에 위치한 관계자와 음성통신을 위한 것이다. 여기서 신고버튼(115)을 조작하는 것으로, 통제장치(300)의 관리자와 음성통화가 가능하도록 마이크(121) 및 스피커(122)가 구동된다. 이때, 신고버튼(115)의 조작에 따라 촬영부(210)는 신고버튼(115) 조작된 방향으로 자세를 조정하여 촬영하도록 하되, 서치라이트(231)는 소등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at is, the report button 115 is to notify the surrounding situation by the person around the perception of the surrounding situation, not the direct victim, and by operating the report button 115 for voice communication with the official located in the control device 300 will be. Here, by operating the report button 115, the microphone 121 and the speaker 122 are driven to enable a voice call with the manager of the control device 300. At this time,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report button 115, the photographing unit 210 to adjust the posture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report button 115 is operated, but the search light 231 may be configured to maintain an unlit state. .

제1통신부(120)는 비상버튼(110)의 조작상태 및 제어신호 또는 통신신호를 전송하거나 수신하기 위한 것으로, 유선 또는 무선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제1통신부(120)는 후술되는 촬영장치(200)와 통신하기 위한 것으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장치이면 충분하다. 다만, 호출장치(100)와 촬영장치(200) 사이에 통신선로의 확보가 어려운 경우, 무선을 통해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first communication unit 120 is for transmitting or receiving an operation state and a control signal or a communication signal of the emergency button 110, and may be configured by wire or wirelessly.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120 communicates with the photographing apparatus 200 to be described later, and any device capable of performing communication is sufficient. However, when it is difficult to secure a communication line between the calling device 100 and the photographing device 200, the call device 100 may be configured to communicate via wireless.

설계조건에 따라 제1통신부(120)는 후술되는 통제장치(300)와 직접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design conditions,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120 may be configured to directly communicate with the control device 300 to be described later.

또한 제1통신부(120)는 통제장치(300)의 관리자와 음성통화가 가능하도록 마이크(121) 및 스피커(122)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120 includes a microphone 121 and a speaker 122 to enable a voice call with the manager of the control device 300.

이때, 스피커(122)는 호출장치(100)의 주변에 경고음 또는 경고방송을 발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speaker 122 may be configured to send a warning sound or warning broadcast in the vicinity of the call device (100).

제1조명부(130)는 야간에 조명 등을 조사하거나 발광하여 식별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조명등(131), 경광등(132) 및 안내등(133)을 포함한다.The first lighting unit 130 is for illuminating or irradiating lights or the like at night to be distinguishable. The first lighting unit 130 includes a lighting lamp 131, a warning lamp 132, and a guide lamp 133.

조명등(131)은 야간에 빛을 조사하여 호출장치(100)를 비추는 것으로, 지주(101)에 설치되는 바(102, 도 2 참조)에 설치될 수 있다. 물론 호출장치(100)가 벽면 등에 설치되는 함체 형상으로 구성되는 경우, 조명등(131)은 벽면에 돌출 설치되는 브라켓 등에 설치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조명등(131)은 설치 환경에 따라 바닥에 매립하여 설치될 수 있다.The illumination lamp 131 illuminates the caller 100 by irradiating light at night, and may be installed in the bar 102 (see FIG. 2) installed in the support 101. Of course, if the call device 100 is configured in a housing shape installed on the wall, etc., it is natural that the lamp 131 may be installed on a bracket protruding from the wall. In addition, the lamp 131 may be installed to be buried in the floor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environment.

이 조명등(131)은 호출장치(100)의 영역을 조명하는 것으로, 주간에는 소등된 상태로 유지하고, 야간에는 점등된 상태로 유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는 설계조건에 따라 야간에도 소등된 태로 유지하되, 비상버튼(110), 신고버튼(115) 등이 조작되거나 접근하는 인체가 센싱된 경우 점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lamp 131 is to illuminate the area of the call device 100, it may be configured to maintain a lighted out state during the day, and to maintain a lighted state at night. Alternatively, according to design conditions, the light source may be maintained at night, but may be configured to be turned on when the emergency button 110, the report button 115, or the like is manipulated or approached by a human body.

경광등(132)은 비상상황을 알리는 조명으로, 비상버튼(110)의 조작에 따라 점등되거나 점멸되도록 구성되어 주의를 환기시킨다. 또는 후술되는 전자태그리더부(160)의 센싱값에 따라서 점등되거나 점멸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경광등(132)은 지주(101)의 상부에 설치되거나 지주의 측면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점등되거나 점멸되는 경광등(132)은 조명등(131)의 색과 달리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경광등(132)이 점멸되는 경우 조명등(131)도 이에 연계하여 점멸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Beacon 132 is a light indicating an emergency situation, it is configured to turn on or flash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emergency button 110 to call attention. Or it may be configured to be lit or flashing in accordance with the sensing value of the electronic tag reader 160 to be described later. Here, the warning light 132 may be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upport 101 or may be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support. At this time, the beacon 132 that is turned on or flashing may be configured differently from the color of the lamp 131, and when the beacon 132 is blinking, the lamp 131 may be configured to blink in association with the lamp.

안내등(133)은 호출장치(100)의 위치를 안내하는 조명으로, 호출장치(100)의 위치를 인지시키기 위한 것으로, 지주(101) 내에 설치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회전되는 표시체 등을 구비하여 주간에도 주변에서 눈에 띄도록 구성되며, 야간에는 그 내부에 조명을 구비하여 조명에 의해 인식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Guide light 133 is a light for guiding the location of the call device 100, to recognize the position of the call device 100, may be installed in the support (101). More preferably, it may be configured to be visible in the surroundings even during the day by having a display or the like that is rotated, and may be configured to be recognized by illumination by having a light therein at night.

제1메모리부(140)는 호출장치(100)를 식별하는 아이디(ID), 호출장치(100)의 위치 등이 저장 관리된다.The first memory unit 140 stores and manages an ID for identifying the calling device 100, a location of the calling device 100, and the like.

본 발명에서 호출장치(100)는 복수 개 구비되므로, 각각의 호출장치(100)를 구분할 수 있어야 한다. 즉 제1메모리부(140)에는 각각의 호출장치(100)를 식별하는 식별부호가 저장 관리되며, 설계조건에 따라 호출장치(100)의 위치 및 촬영장치(200)가 호출장치(100)의 영역을 촬영하도록 하는 촬영영역 정보가 저장 관리될 수 있다. Since the calling device 100 is provided in plural in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able to distinguish each call device 100. That is, the first memory unit 140 stores and manages an identification code for identifying each call device 100, and the position of the call device 100 and the photographing device 200 according to design conditions are determined by the call device 100. The photographing area information for photographing the area may be stored and managed.

이때 촬영영역 정보는 비상버튼(110)이 조작된 호출장치(100)의 부근 영역을 촬영할 수 있는 촬영장치(200)의 패닝(panning) 각도, 틸팅(tilting) 각도 및 줌인/아웃(zoom-in & out) 배율을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photographing area information includes a panning angle, a tilting angle, and a zoom in / out of the photographing apparatus 200 capable of capturing a region near the caller 100 in which the emergency button 110 is operated. & out) magnification.

여기서 호출장치(100)의 위치를 자동으로 검출하기 위해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도면에 미표시)가 이용될 수 있다.
In this case, a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not shown in the drawing) may be used to automatically detect the position of the calling device 100.

제1센서부(150)는 조명등(131) 및 안내등(133)의 점등 제어를 위한 것으로, 조도센서 및 인체감지센서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first sensor unit 150 is for controlling the lighting of the lamp 131 and the guide light 133, and may include an illumination sensor and a human body sensor.

조도센서는 입력되는 조도값을 검출하는 것으로, 야간에 조명등(131) 및 안내등(133)을 점등시키는 데이터 신호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전력 소비의 낭비를 방지하기 위해 야간에도 조명등(131)을 소등하고 인체감지센서를 통해 인체가 감지되는 경우, 또는 비상버튼(110) 및 신고버튼(115)가 조작된 경우, 조명등(131)과 안내등(133)을 점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illuminance sensor detects an input illuminance value and may be used as a data signal for turning on the illumination lamp 131 and the guidance lamp 133 at night. In addition, in order to prevent waste of power consumption, the lamp 131 is turned off even at night and the human body is detected through the human body sensor, or when the emergency button 110 and the report button 115 are operated, the lamp 131. And guide light 133 may be configured to light.

또는 설계조건에 따라 조도센서 및 인체감지센서를 모두 구비하고, 조도센서에 의해서 조명등(131)을 점등하되 최소 밝기를 조절하여 디밍제어하고 인체감지센서에서 인체가 감지되는 경우, 조명등(131)의 밝기를 최대 밝기로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Or according to the design conditions, and equipped with both the illumination sensor and the human body sensor, lighting the lighting 131 by the illuminance sensor, but dimming control by adjusting the minimum brightness and when the human body is detected by the human body sensor, The brightness may be configured to control the maximum brightness.

전자태그리더부(160)는 전자팔찌(electronic bracelet)에서 발생하는 태그신호를 수신한다.The electronic tag reader unit 160 receives a tag signal generated from an electronic bracelet.

전자팔찌는 범죄자의 위치를 추적하는 기구로 손목이나 발목에 착용하는 방식으로 개발된 것으로, 그 구성은 크게 센서모듈, 통신모듈, 전자식잠금모듈 및 전자감독모듈 등으로 이루어진다.Electronic bracelet is a device that tracks the location of the criminal was developed by wearing on the wrist or ankle, the configuration is composed of a sensor module, a communication module, an electronic locking module and an electronic supervision module.

센서모듈은 GPS방식, CELL방식 및 RFID방식 등으로 구성된다.Sensor module is composed of GPS method, CELL method and RFID method.

GPS방식은 전자팔찌에 구비되는 GPS 수신기는 전세계적으로 24개의 GPS 위성 중 최소한 3개 이상을 정상적으로 수신하는 경우 10~30m 정도의 위치정확도로 전자팔찌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위성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주기는 매 1초마다 1회씩 신호를 수신한다. 이에 GPS 방식은 24시간 지속적으로 위치를 추적할 수 있지만, 실내 또는 지하 등 위성신호 수신이 불가능한 지역에서는 위치를 파악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In the GPS method, the GPS receiver provided in the electronic bracelet can detect the location of the electronic bracelet with a position accuracy of about 10 to 30m when the GPS receiver normally receives at least three or more of the 24 GPS satellites worldwide. The period of receiving a signal from the satellite receives the signal once every 1 second. The GPS method can track the location continuously for 24 hours, but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the location cannot be determined in areas where satellite signals cannot be received, such as indoors or underground.

휴대폰 중계기를 기반으로 하는 Cell 방식은 별도의 위치센서가 필요없이 휴대폰 만으로 위치 파악이 가능하므로 간단하고, GPS방식과는 달리 실내나 지하철 등 무선 전화가 가능한 지역이면 24시간 위치파악이 가능한 장점을 지니고 있다. 그러나 위치정확도는 중계기와의 거리에 따라 정해지기 때문에, 비교적 광중계기 등이 많이 설치된 대도시 중심지에서는 위치정확도가 수십m 정도로 정해지지만, 시골이나 외곽 지역에서는 위치정확도가 수Km에 이르기도 하기 때문에 지역에 따라 정확도가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The cell method based on the cell phone repeater is simple because it can be located only by the mobile phone without the need of a separate position sensor. Unlike the GPS method,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identify the location 24 hours in areas where wireless phones such as indoors or subways are available. have. However, since the location accuracy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distance from the repeater, the location accuracy is determined to be several tens of meters in the center of a large city where there are relatively many optical repeaters. Therefore, there is a disadvantage in accuracy.

RFID 방식은 물류 등에서 상품의 위치추적으로 위해 개발된 최신 기술인데, GPS와 다른 방식으로 전자팔찌에 쉽게 적용될 수 있다. 스마트 태그(smart tag)라고 불리는 마이크로칩(micro-chip)을 전자팔찌에 내장하게 되는데, 전자팔찌를 착용한 범죄자가 RFID 리더기능이 있는 장치(RFID gateway)가 설치된 곳 가까이 접근하면 전자팔찌의 스마트 태그가 미리 정해진 데이터를 자동적으로 전송하게 된다. RFID리더기는 전자팔찌에서 전송하는 데이터를 수신하여 파악하는 방식이다.RFID is the latest technology developed for location tracking of goods in logistics, and can be easily applied to electronic bracelets differently from GPS. A micro-chip called a smart tag is embedded in an electronic bracelet. When a criminal wearing the electronic bracelet approaches a place where an RFID reader function is installed, the smart of the electronic bracelet is smart. The tag will automatically transmit the predetermined data. The RFID reader is a method of receiving and identifying data transmitted from an electronic bracelet.

RFID 방식은 전자팔찌내부의 스마트 태그가 RFID 수신기와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거리가 수~수십m 정도이다.In the RFID method, a smart tag inside an electronic bracelet can transmit data from an RFID receiver to several tens of meters.

따라서 전자태그리더부(160)는 RFID 방식의 전자팔찌를 착용한 범죄자가 안전구역에 접근하거나 진입하는 경우, 이를 인식하여 경광등(132)를 통해 주위의 다른 사람에게 인지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경광등(132)의 동작에 따라 혼스피커(170)를 통한 안내 방송이 출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refore, the electronic tag reader unit 160 performs a function of recognizing this when a criminal wearing an RFID-type electronic bracelet approaches or enters a safe area and recognizes it to other people around via the warning light 132. In this case, the guide broadcast through the horn speaker 170 may be output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beacon 132.

또는 전자태그리더부(160)에서 태그신호가 검출된 경우, 경광등(132)은 점등되지 않고 수신된 태그 신호만 통제장치(300)로 전송하여 혼스피커(170)를 통해 안내 방송이 출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Alternatively, when the tag signal is detected by the electronic tag reader unit 160, the beacon 132 is not turned on and transmits only the received tag signal to the control device 300 to output the guide broadcast through the horn speaker 170. Can be.

설계조건에 따라 전자태그리더부(160)는 RFID 방식의 전자팔찌뿐만 아니라 GPS 방식 또는 CELL 방식으로 변경되거나 GPS 방식 및 CELL 방식을 병행하여 구성될 수 있다.
Depending on the design conditions, the electronic tag reader 160 may be changed to the GPS method or the CELL method as well as the electronic bracelet of the RFID method, or may be configured in parallel with the GPS method and the CELL method.

혼스피커(170)는 혼을 통해서 소리를 공중으로 방사하는 스피커로, 파라볼라형(음원으로부터의 거리에 단면적이 비례하는 것), 원뿔형(음원으로부터의 거리의 제곱에 단면적이 비례하는 것), 익스포넨셜형(음원으로부터의 거리의 지수 함수에 단면적이 비례하는 것) 등이 있다.Horn speaker 170 is a speaker that emits sound to the air through the horn, parabola type (proportional cross-sectional area proportional to the distance from the sound source), conical shape (cross-sectional area proportional to the square of the distance from the sound source), And a potential type (where the cross-sectional area is proportional to the exponential function of the distance from the sound source).

즉, 스피커(122)를 통하여 경고방송을 하는 경우, 음원이 멀리까지 도달하지 못할 수 있으므로, 통제장치(300)에서 출력되는 경고방송은 이 혼스피커(170)를 통하여 출력되도록 구성된다.
That is, when the warning broadcast through the speaker 122, since the sound source may not reach far, the warning broadcast output from the control device 300 is configured to be output through the horn speaker 170.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구역 씨씨티브이 시스템에서 일실시예에 따른 촬영장치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Figure 2b shows a perspective view of a photograph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 a safety zone Citize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첨부된 도 2b 및 도 3을 통해 촬영장치(200)를 설명한다.
The photographing apparatus 20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B and 3.

촬영장치(200)는 호출장치와 통신하여 비상버튼의 작동에 따라 상기 호출장치의 영역을 촬영하는 장치로, 지면에 입설되는 지주(201)에 설치되거나 건물의 벽면 또는 건물 옥상의 난간 등에 설치될 수 있다.Photographing device 200 is a device for photographing the area of the caller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of the emergency button in communication with the caller, which is to be installed on the shore 201 to be installed on the ground or to be installed on the wall of the building or the handrail of the building roof, etc. Can be.

이 촬영장치(200)는 복수 개의 호출장치 중에서 비상버튼(110)이 작동된 해당 호출장치(100)의 영역으로 자세를 조정하여 촬영하는 것으로, 카메라를 포함하는 촬영부(210), 자세조정부(220), 제2조명부(230), 제2통신부(240), 제2메모리부(250), 제2센서부(260), 전자태그리더부(270) 및 혼스피커(280)를 포함한다.
The photographing apparatus 200 is to shoot by adjusting the posture to the area of the corresponding call device 100 in which the emergency button 110 is operated among a plurality of call devices, the photographing unit 210, the posture adjusting unit (including a camera) 220, a second lighting unit 230, a second communication unit 240, a second memory unit 250, a second sensor unit 260, an electronic tag reader unit 270, and a horn speaker 280.

촬영부(210)는 감시 영역을 촬영하는 것으로, 통상의 카메라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1개의 촬영장치(200)는 복수 개의 호출장치(100)에 대응하여 구성되는 것으로, 원거리에 위치한 호출장치(100)를 촬영할 수 있도록 고성능의 카메라로 구성될 수 있다.
The photographing unit 210 photographs a surveillance area and performs a normal camera function. In this case, the one photographing apparatus 200 is configured to correspond to the plurality of calling apparatuses 100 and may be configured as a high performance camera to photograph the calling apparatus 100 located at a long distance.

자세조정부(220)는 촬영부(210)의 촬영방향 및 배율을 조정하는 것으로, 패닝(panning) 각도, 틸팅(tilting) 각도 및 줌인/아웃(zoom-in & out) 배율로 구성된 촬영영역 정보에 근거하여 구동된다. 여기서 패닝은 좌우로 수평적으로 카메라를 이동시키는 것을 의미하며, 틸팅은 상하로 움직이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줌인/아웃은 특정 지역을 확대/축소하는 기능을 의미한다.
The posture adjusting unit 220 adjusts the photographing direction and the magnification of the photographing unit 210. The posture adjusting unit 220 adjusts the photographing area 210 to the photographing area information including a panning angle, a tilting angle, and a zoom-in & out magnification. Driven on the basis of Here, panning means moving the camera horizontally from side to side, and tilting means moving up and down. In addition, zoom in / out means a function of zooming in / out a specific area.

제2조명부(230)는 야간 동안 촬영영역에 빛을 조사하거나 촬영장치(200)를 인식할 수 있도록 조명하는 것으로, 서치라이트(231) 및 경광등(232)을 포함한다.The second lighting unit 230 illuminates the photographing area so as to irradiate light or recognize the photographing apparatus 200 during the night, and includes a search light 231 and a warning lamp 232.

이때 서치라이트(231)는 촬영부(210)의 촬영방향과 동기화되어 동작된다. 즉, 촬영부(210)가 패닝 또는 틸팅되면 동일한 각도로 패닝 및 틸팅되어 촬영영역에 빛을 조사한다. 따라서 도 2, 도 2b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치라이트(231)는 촬영부(210)에 부착 설치될 수 있다. 또는 설계 조건에 따라서 서치라이트(231)는 별도의 자세조정장치에 부착되어 촬영영역에 빛을 조사하도록 구성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At this time, the search light 231 operates in synchronization with the photographing direction of the photographing unit 210. That is, when the photographing unit 210 is panned or tilted, the photographing unit 210 is panned and tilted at the same angle to irradiate light to the photographing area. Therefore, as illustrated in FIGS. 2, 2B and 3, the search light 231 may be attached to the photographing unit 210. Alternatively, according to design conditions, the search light 231 may be attached to a separate posture adjusting device and configured to irradiate light to the photographing area.

경광등(232)은 비상버튼(110)의 조작신호를 수신한 경우, 점등되거나 점멸되어 촬영장치(200)의 현재 상태를 인지시키도록 한다. 또는 후술하는 전자태그리더부(270)에서 근접하는 전자팔찌의 태그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경광등을 점등하거나 점멸하도록 구성하여 전자팔찌를 착용한 범죄자가 안전구역에 진입하는 경우, 이를 인식하여 주위의 다른 사람에게 인지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When the warning light 232 receives the operation signal of the emergency button 110, it is turned on or flashes to recognize the current state of the photographing apparatus 200. Alternatively, when receiving the tag signal of the electronic bracelet adjacent to the electronic tag reader unit 270 to be described later, it is configured to turn on or flashing the warning light to recognize when the criminal wearing the electronic bracelet enters the safe area, Perform the function of making others aware.

또는 경광등(232)은 설계조건에 따라 비상버튼(110)을 조작하는 경우, 통제장치(300)의 제어신호에 따라 점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Alternatively, the beacon 232 may be configured to be turned on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 device 300 when operating the emergency button 110 according to design conditions.

제2통신부(240)는 호출장치(100)와 통신하여 호출장치(100)로부터 비상버튼(110) 또는 신고버튼(115)의 조작신호를 수신하고 이를 통제장치(300)로 전송하며, 통제장치(300)와 호출장치(100)가 서로 통신하도록 중계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통제장치(300)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호출장치(100)로 전송한다.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40 communicates with the calling device 100 to receive an operation signal of the emergency button 110 or report button 115 from the calling device 100 and transmits it to the control device 300, the control device The 300 and the call device 100 perform a relay function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300 receives the control signal and transmits to the calling device (100).

제2메모리부(250)는 촬영장치(200)의 촬영 범위에 있는 호출장치(100)의 식별코드와 각각 호출장치(100)의 촬영영역 정보를 저장 관리한다.The second memory unit 250 stores and manages the identification code of the calling device 100 in the photographing range of the photographing device 200 and the photographing area information of the calling device 100, respectively.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구역 씨씨티브이 시스템에서 일실시예에 따른 메모리부에 저장되는 촬영영역 정보의 데이터 테이블을 나타낸 것이다.5 illustrates a data table of photographing area information stored in a memory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system for safe zone CSI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일실시예에 따른 촬영영역 정보는 호출장치(100)의 아이디(ID), 패닝 각도, 틸징 각도 및 줌인/아웃 배율이 저장 관리된다.The recording area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store and manage ID, panning angle, tilting angle, and zoom in / out magnification of the calling device 100.

따라서 ID 001번의 호출장치(100)에서 비상버튼(110)의 조작이 수신되면, 자세조정부(220)는 제2메모리부(250)의 001번에 저장된 패닝 각도, 틸팅 각도 및 줌 배율을 로드하고, 로드된 각도 및 배율에 따라 촬영부(210)의 자세를 제어한다.Therefore, when the operation of the emergency button 110 is received from the caller 100 of the ID 001, the posture adjusting unit 220 loads the panning angle, tilting angle, and zoom magnification stored in the 001 of the second memory unit 250. The posture of the photographing unit 210 is controlled according to the loaded angle and magnification.

설계조건에 따라 아이디(ID), 패닝 각도, 틸팅 각도 및 줌인/아웃 배율은 호출장치(100)의 제1메모리부(140)에 저장될 수 있다. 즉, 호출장치(100)의 비상버튼(110) 또는 신고버튼(115)이 조작되는 경우, 해당되는 호출장치(100)는 제1메모리부(140)에 저장된 자신의 촬영영역 정보(아이디(ID), 패닝 각도, 틸팅 각도 및 줌인/아웃 배율)를 촬영장치(200)로 전송하고, 촬영장치(200)는 전송된 촬영영역 정보에 근거하여 촬영부(210)의 자세를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According to design conditions, ID, panning angle, tilting angle, and zoom in / out magnification may be stored in the first memory unit 140 of the calling device 100. That is, when the emergency button 110 or the report button 115 of the calling device 100 is operated, the corresponding calling device 100 stores its own photographing area information (ID (ID) stored in the first memory unit 140). ), Panning angle, tilting angle, and zoom in / out magnification) may be transmitted to the photographing apparatus 200, and the photographing apparatus 200 may be configured to control the posture of the photographing unit 210 based on the transmitted photographing area information. have.

제2센서부(260)는 서치라이트(231)의 점등 제어를 위한 것으로, 조도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즉, 검출된 조도에 근거하여 서치라이트(231)의 점등을 제어한다.The second sensor unit 260 is for controlling the lighting of the search light 231 and may be configured as an illumination sensor. That is, the lighting of the search light 231 is controlled based on the detected illuminance.

이때, 서치라이트(231)의 점등은 호출장치(100)로부터 비상버튼(110)의 조작신호가 수신된 경우에만 동작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lighting of the search light 231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only when the operation signal of the emergency button 110 is received from the call device 100.

설계조건에 따라 조도센서는 생략될 수 있다. 즉, 비상버튼(110)의 조작신호가 수신되어 촬영부(210)가 해당 호출장치(100) 영역을 촬영하게 되면, 주간이라도 서치라이트(231)를 조명하게 구성하여 서치라이트(231)의 점등에 따라 촬영되고 있음을 인지시켜서 경각심을 느끼도록 구성될 수 있다.Depending on the design conditions, the illuminance sensor may be omitted. That is, when an operation signal of the emergency button 110 is received and the photographing unit 210 photographs the call device 100 region, the search light 231 is configured to illuminate the search light 231 even during the day. It can be configured to sense the awareness by recognizing that is being taken according to.

일반적으로 카메라에 의해서 촬영되고 있는 경우에는 누군가가 이를 지켜본다는 심리에 커다란 경각심을 일으키게 된다. 따라서 촬영되고 있음을 서치라이트(231)를 통해 인지시켜 범죄를 지속하지 못하도록 하는 것이다.In general, when being photographed by a camera, it raises a big alarm in the mind that someone watches. Therefore, the searchlight 231 recognizes that the image is being taken so that the crime cannot be continued.

또한 서치라이트(231)는 조사영역의 범위를 제어하는 줌 기능을 포함하여 구성하고, 서치라이트(231)의 줌 기능은 촬영영역 정보의 줌 배율과 동기화되어 동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earch light 231 may include a zoom function for controlling a range of the irradiation area, and the zoom function of the search light 231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in synchronization with the zoom magnification of the photographing area information.

전자태그리더부(270)는 RFID 방식의 전자팔찌를 착용한 범죄자가 안전구역에 접근하는 경우, 이를 인식하여 주위의 다른 사람에게 인지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경광등(232)와 연계되어 동작된다. 이때, 전자태그리더부(270)의 설명은 상기 호출장치(100)의 전자태그리더부(160)과 동일한 것으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electronic tag reader 270 performs a function of recognizing this when a criminal wearing an RFID-type electronic bracelet approaches a safe area and recognizing it to other people around it, and is operated in connection with a warning light 232. . At this time, the description of the electronic tag reader unit 270 is the same as the electronic tag reader unit 160 of the call device 100, and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설계조건에 따라 전자태그리더부(270)는 RFID 방식의 전자팔찌뿐만 아니라 GPS 방식 또는 CELL 방식으로 변경되거나 GPS 방식 및 CELL 방식을 병행하여 구성될 수 있다.
According to design conditions, the electronic tag reader unit 270 may be changed to the GPS method or the CELL method as well as the electronic bracelet of the RFID method, or may be configured in parallel with the GPS method and the CELL method.

혼스피커(280)는 호출장치(100)의 혼스피커(170)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Since the horn speaker 280 is the same as the horn speaker 170 of the caller 100,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이와 같이 구성된 촬영장치(200)는 비상버튼이 작동된 호출장치의 영역으로 자세를 조정하여 촬영하도록 하는 것으로, 비상버튼의 조작신호가 없는 평상시에는 저장된 로직에 따라 각각 호출장치의 촬영영역 정보(패닝 각도, 틸팅 각도 및 줌 배율)을 순차적으로 로드하여 호출장치 주변을 촬영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photographing apparatus 20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configured to shoot by adjusting the posture to the area of the call device in which the emergency button is operated. Angle, tilt angle, and zoom magnification) may be sequentially loaded to capture the surroundings of the paging device.

또한 본 발명의 안전구역 CCTV 시스템은 카메라를 포함하는 촬영장치에 의해 촬영 가능한 영역 내에 복수 개의 호출장치가 설치된다. 즉, 1개의 촬영장치와 이 촬영장치의 촬영 범위에 있는 복수 개의 호출장치로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시스템은 설치 환경에 따라 호출장치가 복수 개로 구성하더라도 전체적인 설치 비용이 종래 촬영부와 호출부가 일체로 구성되는 장치보다 저렴하면서, 보다 많은 비상버튼을 설치할 수 있으므로, 안전구역의 범위를 확장할 수 있음은 물론, 안전구역과 안전구역 사이의 거리를 좁힐 수 있으므로 범죄 예방을 위한 환경을 구축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afety zone CCTV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call devices in the area that can be photographed by a photographing apparatus including a camera. That is, in th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osed of one recording apparatus and a plurality of calling apparatuses in the photographing range of the photographing apparatus, even if the calling apparatus is configured in plural numbers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environment, the overall installation cost is integrated with the conventional photographing unit and the calling unit. It is cheaper than the device to be configured, and more emergency buttons can be installed, so that the range of the safety zone can be expanded,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safety zone and the safety zone can be shortened, thus creating an environment for crime prevention. .

통제장치(300)는 관계기관에 설치되어, 촬영장치(200)로부터 전송되는 영상 및 비상버튼(110)의 조작신호를 수신하여 표시한다. 여기서, 관계기관은 경찰서, 소방서, 구조대 및 방범센터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촬영 영상을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상주하는 관리자가 있을 수 있다.The control device 300 is installed in the relevant institution, receives and displays the image and the operation signal of the emergency button 110 transmitted from the photographing device 200. Here, the related organization may be composed of a police station, a fire station, a rescue team and a crime prevention center, and there may be a manager residing to monitor the captured image.

이러한 통제장치(300)는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부(310, 디스플레이), 호출장치(100)에 위치한 사용자와 음성통화를 위한 음성통신부(320), 해당 호출장치(100)의 주변에 경고 방송을 위한 경고방송부(330) 및 촬영되는 영상 및 수신된 음성을 저장 관리하는 녹화부(340)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비상버튼(110)의 조작신호가 수신된 경우, 수신된 조작신호에 따라 경보음(buzzer)이 울리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control device 300 is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n image (310, display), a voice communication unit 320 for a voice call with a user located in the call device 100, for warning broadcasts around the call device 100 Alert broadcast unit 330 and the recording image and the recorded image and the received audio may include a recording unit 340, and the like. In addition, when the operation signal of the emergency button 110 is received, it may be configured to sound an alarm (buzzer) according to the received operation signal.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구역 씨씨티브이 시스템을 맵에 배치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6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afety zone Citiz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laced the system on the map.

도면에서 도면부호 S1, S2, …, S6는 호출장치(100)이며, M은 촬영장치(200)를 의미한다.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촬영장치가 촬영할 수 있는 촬영범위에 호출장치를 복수 개 설치된다. 호출장치의 주변은 촬영장치의 촬영영역(C)이므로 안전구역으로 설정될 수 있으며, 호출장치가 설치된 구역은 안전구역이 설정될 수 있다. 이에 안전구역의 범위가 넓어지고, 안전구역과 안전구역 사이의 거리가 짧아져서 범죄에 따른 관계기관의 호출을 보다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In the drawings, reference numerals S1, S2,... , S6 is the calling device 100, M means the recording device 200. As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a plurality of call apparatuses are installed in a shooting range in which the photographing apparatus can photograph. Since the periphery of the calling device is a shooting area (C) of the photographing device, it may be set as a safe area, and the area in which the calling device is installed may be set as a safe area. As a result, the range of the safe zone is widened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safe zone and the safe zone is shortened, so that the call of the related authorities due to the crime can be performed more efficiently.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구역 씨씨티브이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구성도이다.Figure 7 is a block diagra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safety zone Citize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첨부된 도면에 따르면, 촬영장치는 복수 개로 구성되며, 호출장치를 적어도 2개 이상의 촬영장치에 의해 촬영되도록 구성한다. 즉, 하나의 호출장치는 2개 이상의 촬영장치에 의해서 촬영되도록 촬영장치 및 호출장치가 배치된다.According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hotographing apparatus is composed of a plurality, the caller is configured to be photographed by at least two or more photographing apparatus. That is, the recording apparatus and the calling apparatus are arranged so that one calling apparatus is photographed by two or more imaging apparatuses.

이러한 구성은 용의자를 적어도 2측 방향에서 촬영하게 되므로, 용의자의 식별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촬영범위가 넓다. 또한 호출장치를 촬영하는 2개의 촬영장치 중 1개에서 작동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 다른 1개의 촬영장치로 호출장치 영역을 촬영할 수 있는 장점이 있어, 고장 오류에 대한 대처가 자유롭다.Such a configuration allows the suspect to be photographed in at least two directions, so that the suspect is easily identified and the photographing range is wide. In addition, when an operation error occurs in one of the two recording apparatuses for photographing the pager,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area of the pager can be photographed with the other one of the recording apparatuses.

또한 촬영범위에서 쉽게 이탈되지 않으므로, 범죄발생에 따른 근거자료로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it is not easily deviated from the shooting range,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used as the evidence data for crime occurrence.

여기서, 촬영장치(200) 각각에서 촬영되는 영상은 통제장치(300)의 표시부(310)에 화면 분할하여 표시되거나 복수의 표시부를 구성하여 표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Here, the image photographed by each of the photographing apparatuses 200 may be configured to be displayed by splitting the screen on the display unit 310 of the control device 300 or by configuring a plurality of display units.

도 8은 도 7에 따른 본 발명의 안전구역 씨씨티브이 시스템을 맵에 배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서 도면부호 S1, S2, …, S10은 호출장치(100)이며, M1, M2 및 M3는 촬영장치(200)를 의미한다. 또한 각각의 원은 각 촬영장치가 촬영할 수 있는 범위를 의미한다.FIG.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safety zone CSI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FIG. 7 is arranged on a map. Where reference numerals S1, S2,... S10 denotes the call apparatus 100, and M1, M2, and M3 denote the photographing apparatus 200. FIG. In addition, each circle means a range in which each photographing apparatus can photograph.

촬영장치 M1의 촬영범위에 속하는 호출장치는 S2, S3, S6, S7, S8, S9 및 S10이나 S9는 건물(building, B4)에 막혀서 촬영할 수 없으므로, 실제로 촬영할 수 있는 호출장치의 영역은 S2, S3, S6, S7, S8 및 S10이다.Since the caller belonging to the shooting range of the recording device M1 cannot be photographed because S2, S3, S6, S7, S8, S9, and S10 or S9 are blocked by the building (B4), the area of the caller that can be actually photographed is S2, S3, S6, S7, S8 and S10.

촬영장치 M2의 촬영범위에 속하는 호출장치는 S2, S3, S4, S8 및 S9이나 S2는 건물(B2)에 막혀서 촬영할 수 없고, 실제로 촬영할 수 있는 호출장치의 영역은 S3, S4, S8 및 S9이다.S2, S3, S4, S8, and S9 or S2 cannot be captured by the building B2 because the call devices belonging to the shooting range of the recording device M2 are actually S3, S4, S8, and S9. .

촬영장치 M3의 촬영범위에 속하는 호출장치는 S1, S2, S5 및 S6이다.Calling apparatuses belonging to the photographing range of the photographing apparatus M3 are S1, S2, S5 and S6.

이 구성에서 M1, M2 및 M3는 각각 촬영할 수 있는 영역의 호출장치의 촬영영역 정보가 저장된다. 즉, M1 촬영장치의 제2메모리부(250)는 호출장치인 S2, S3, S6, S7, S8 및 S10의 촬영영역 정보가 저장 관리되며, M2 촬영장치의 제2메모리부(250)는 호출장치인 S3, S4, S8 및 S9의 촬영영역 정보가 저장 관리되고, M3 촬영장치의 제2메모리부(250)는 호출장치인 S1, S2, S5 및 S6의 촬영영역 정보가 저장 관리된다. 즉, 촬영장치는 복수 개로 구성되되, 각각의 촬영장치는 호출장치들을 그룹으로 묶어서 관리된다.
In this configuration, M1, M2 and M3 store the photographing area information of the call device of the area where the images can be photographed, respectively. That is, the second memory unit 250 of the M1 photographing apparatus stores and manages photographing area information of S2, S3, S6, S7, S8, and S10, which are calling apparatuses, and the second memory unit 250 of the M2 photographing apparatus is called. The shooting area information of the devices S3, S4, S8 and S9 is stored and managed, and the second memory unit 250 of the M3 shooting device stores and manages the shooting area information of the calling devices S1, S2, S5 and S6. That is, the photographing apparatus is composed of a plurality, each of the photographing apparatus is managed by grouping the calling apparatus in a group.

첨부된 도면의 도 8은 일실시예에 따른 배치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1개의 호출장치는 2개 이상의 촬영장치에 의해 촬영되는 구성은 아니다. 다만 S3 및 S8은 M1 및 M2의 촬영영역에 동시에 존재하고, S2 및 S6는 M1 및 M3의 촬영영역에 동시에 존재하는 배치도이다. 따라서 S3 또는 S8의 호출장치(100)에서 비상버튼(110)을 조작하는 신호가 발생하면, M1 및 M3의 촬영장치(200)는 해당하는 호출장치(100) 측으로 촬영영역을 자세를 조정하여 촬영한다. 마찬가지로, S2 또는 S6 중 하나의 호출장치에서 비상버튼(110)의 조작신호가 발생하면, M1 및 M3의 촬영장치(200)는 해당하는 호출장치(100) 측으로 촬영영역을 조정하여 촬영한다.8 of the accompanying drawings shows an arrangement st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ne calling device is not configured to be photographed by two or more photographing devices. However, S3 and S8 are simultaneously present in the photographing regions of M1 and M2, and S2 and S6 are simultaneously arranged in the photographing regions of M1 and M3. Therefore, when a signal for operating the emergency button 110 is generated in the calling device 100 of S3 or S8, the recording device 200 of M1 and M3 is photographed by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shooting area toward the corresponding calling device 100. do. Similarly, when an operation signal of the emergency button 110 is generated in one of the calling device of S2 or S6, the photographing device 200 of M1 and M3 adjusts the photographing area toward the corresponding calling device 100 to photograph.

따라서 촬영장치 및 호출장치의 적절한 배치를 통해서 하나의 호출장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촬영장치의 촬영영역에 배치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Therefore, it is natural that one caller can be arranged in the photographing area of at least two or more photographing apparatuses through proper arrangement of the photographing apparatus and the calling apparatus.

도 9 및 도 10은 각각 학교 및 군부대에 본 발명의 안전구역 씨씨티브이 시스템을 맵에 배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에서도 도면부호 S1, S2, …, S10은 호출장치(100)이며, M1, M2 및 M3는 촬영장치(200)를 의미한다.9 and 10 are diagrams showing the state of the safe zone Citize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on the map to the school and military units, respectively. 9 and 10, reference numerals S1, S2,... S10 denotes the call apparatus 100, and M1, M2, and M3 denote the photographing apparatus 200. FIG.

도 9에서는 학교 건물의 구조에 따라 촬영장치를 적절히 조절하여 배치되며, 각각의 호출장치 또는 촬영장치의 범위에 속하도록 배치된다. 특히, 나무 사이에도 범죄의 대상지역이 되므로, 호출장치를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으로 학교내에서의 폭력을 예방할 수 있음은 물론, 학교내에서 발생될 수 있는 범죄를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FIG. 9, the photographing apparatus is properly adjusted according to the structure of the school building, and arranged to belong to the range of each caller or photographing apparatus. In particular, it is preferable to arrange a call device because the area is a crime target even between trees. This configuration can prevent violence in the school, as well as block crimes that can occur in the school.

도 10은 군부대에 설치되는 일실시예의 배치도를 나타낸 것이다.10 shows a layout view of an embodiment installed in the military unit.

군부대는 선임이 후임을 구타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는데, 막사 주변에 호출장치를 배치하고 이의 영역을 촬영하는 촬영장치를 적절히 배치하여 구성함으로써, 군대 폭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여기서 통제장치(300)가 설치되는 관계기관은 각 사단의 헌병대 또는 군 수사기관으로 설정될 수 있다.
Military units often beat their successors, which can reduce military violence by arranging a caller around the barracks and an appropriately positioned photographing device to photograph their area. In this case, the related organization in which the control device 300 is installed may be set as a military police or military investigation agency of each division.

본 발명에 따르면, 하나의 촬영장치로 복수 개의 호출장치의 영역을 감시할 수 있으므로, 시스템 구축을 위한 설치 비용이 최소화하면서, 안전구역의 범위를 넓힐 수 있어 안전구역을 확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one imaging apparatus can monitor the area of a plurality of call apparatuses, the installation cost for system construction can be minimized, and the scope of the safety zone can be widened, thereby extending the safety zone. .

또한 안전구역 내에 많은 수의 호출장치를 구비할 수 있으므로, 범죄발생시 호출장치로의 접근이 용이하여 범죄발생에 따른 호출을 빠르게 수행할 수 있으므로, 범죄발생에 따른 신고를 신속히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a large number of calling devices can be provided in a safe area, access to the calling device can be easily performed when a crime occurs, so that a call can be made quickly according to a crime occurrence. have.

또한 용의자의 식별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촬영범위가 넓고, 촬영각에서 쉽게 이탈되지 않으므로, 범죄발생에 따른 근거자료로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suspect is not only easy to identify, but the shooting range is wide, and since it is not easily separated from the shooting angle,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used as the basis data for crime occurrence.

한편, 상기에서 도 2 내지 도 10을 이용하여 서술한 것은, 본 발명의 주요 사항만을 서술한 것으로, 그 기술적 범위 내에서 다양한 설계가 가능한 만큼, 본 발명이 도 2 내지 도 10의 구성 및 기능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자명하다.
Meanwhile, the above descriptions using only FIGS. 2 to 10 describe only the main matter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pplied to the configurations and functions of FIGS. It is obvious that it is not limited.

100: 호출장치 101, 201: 지주
102: 바 110: 비상버튼
115: 신고버튼 120: 제1통신부
121: 마이크 122: 스피커
130: 제1조명부 131: 조명등
132, 232: 경광등 133: 안내등
140: 제1메모리부 150: 제1센서부
160, 270: 전자태그리더부
170, 280: 혼스피커 200: 촬영장치
210: 촬영부 220: 자세조정부
230: 제2조명부 231: 서치라이트
240: 제2통신부 250: 제2메모리부
260: 제2센서부 300: 통제장치
310: 표시부 320: 음성통신부
330: 경고방송부 340: 녹화부
100: call device 101, 201: prop
102: bar 110: emergency button
115: report button 120: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121: microphone 122: speaker
130: lighting unit 131: lighting
132, 232: warning light 133: guide light
140: first memory unit 150: first sensor unit
160, 270: electronic tag reader
170, 280: Horn speaker 200: Shooting device
210: photographing unit 220: posture adjustment unit
230: Second lighting unit 231: Searchlight
240: second communication unit 250: second memory unit
260: second sensor unit 300: control device
310: display unit 320: voice communication unit
330: warning broadcasting unit 340: recording unit

Claims (15)

비상버튼을 구비한 호출장치; 상기 호출장치와 통신하여 비상버튼의 작동에 따라 상기 호출장치의 영역을 촬영하는 촬영장치 및 상기 촬영장치와 통신으로 촬영장치의 촬영영상을 수신하여 표시하는 통제장치를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호출장치는 안전구역 내에 복수 개로 구비되며,
상기 촬영장치는 비상버튼이 작동된 상기 호출장치의 영역으로 자세를 조정하여 촬영하고,
상기 비상버튼을 조작하는 것으로, 상기 호출장치와 상기 통제장치는 통화가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구역 씨씨티브이 시스템.
Calling device having an emergency button; It includes a photographing device for photographing the area of the paging device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of the emergency button in communication with the call device and a control device for receiving and displaying a photographed image of the photographing device in communication with the photographing device,
The call device is provided in plurality in a safe zone,
The photographing apparatus is photographed by adjusting the posture to the area of the caller device the emergency button is operated,
By operating the emergency button, the paging device and the control device is a safety zone Citize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enable the call.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호출장치는,
제1센서부와 제1조명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1센서부의 센싱값에 따라 상기 조명부의 조명을 점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구역 씨씨티브이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aller,
It further comprises a first sensor unit and the first lighting unit,
Safety zone Citize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for lighting the illumination of the lighting unit in accordance with the sensing value of the first sensor.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센서부는,
인체감지센서 또는 조도센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구역 씨씨티브이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the first sensor unit comprises:
Safety zone CC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human body sensor or the illumination senso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호출장치는,
전자태그리더부와 제1조명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전자태그리더부에서 태그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제1조명부를 점등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구역 씨씨티브이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aller,
It further comprises an electronic tag reader unit and the first lighting unit,
The safety zone Citize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turn on the first lighting unit when receiving the tag signal from the electronic tag reader unit.
청구항 3 또는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1조명부는,
상기 호출장치의 영역을 조명하는 조명등, 비상상황을 알리는 경광등 및 상기 호출장치의 위치를 안내하는 안내등 중에서 하나 이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구역 씨씨티브이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or 5,
The first lighting unit,
Safety zone Citize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composed of one or more of the light to illuminate the area of the call device, the warning light to inform the emergency situation and the guide light to guide the position of the call devic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호출장치는
상기 통제장치로부터 안내되는 방송을 출력하는 혼스피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구역 씨씨티브이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alling device is
And a horn speaker for outputting a broadcast guided from the control devic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촬영장치는,
자세조정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호출장치의 비상버튼의 작동을 수신하고, 상기 비상버튼이 작동된 호출장치를 촬영하는 영역으로 촬영방향을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구역 씨씨티브이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hotographing apparatus,
Including a posture adjuster,
Receiving the operation of the emergency button of the call device, the safety zone Citize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for adjusting the shooting direction to the area for shooting the call device operated the emergency button.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촬영방향은,
저장되어 관리되는 패닝각도, 틸팅각도 및 줌인/아웃 배율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구역 씨씨티브이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8,
The shooting direction is,
Safety zone Citize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selected from among the stored and managed panning angle, tilting angle and zoom in / out magnificatio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촬영장치는,
촬영영역을 조명하는 서치라이트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구역 씨씨티브이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hotographing apparatus,
Safety zone Citize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search light for illuminating the shooting area.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서치라이트는 제2센서부의 센싱값 또는 상기 호출장치로부터 비상버튼이 작동에 따라 점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구역 씨씨티브이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0,
The searchlight is a safety zone CC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emergency value from the sensing value of the second sensor unit or the call device is turned on according to the operatio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촬영장치는 복수 개로 구성되되, 상기 촬영장치는 상기 호출장치를 그룹으로 묶어서 관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구역 씨씨티브이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hotographing apparatus is composed of a plurality, the photographing apparatus is secure zone Citize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call device is managed by grouping.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촬영장치는 복수 개로 구성되며, 상기 호출장치를 적어도 2개 이상의 촬영장치에 의해 촬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구역 씨씨티브이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hotographing apparatus is composed of a plurality, the safety zone Citize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image pickup device by at least two or more photographing apparatus.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촬영장치는
상기 통제장치로부터 안내되는 방송을 출력하는 혼스피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구역 씨씨티브이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hotographing device is
And a horn speaker for outputting a broadcast guided from the control devic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촬영장치는
전자태그리더부 및 경광등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전자태그리더부에서 태그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경광등을 점멸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구역 씨씨티브이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hotographing device is
It is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n electronic tag reader and a warning light,
The safety zone Citize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blink the flashing light when the tag tag unit receives the tag signal.
KR1020130073467A 2013-06-26 2013-06-26 Cctv system for safety zone KR10131023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3467A KR101310238B1 (en) 2013-06-26 2013-06-26 Cctv system for safety zo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3467A KR101310238B1 (en) 2013-06-26 2013-06-26 Cctv system for safety zon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10238B1 true KR101310238B1 (en) 2013-09-23

Family

ID=494564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3467A KR101310238B1 (en) 2013-06-26 2013-06-26 Cctv system for safety zo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0238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4757B1 (en) 2014-01-08 2014-04-14 전재현 Convergence with cctv, broadcast, and video bell using the child safety keeping system
KR20230045770A (en) * 2021-09-29 2023-04-05 (주)코스템 A system for constructing a safety net with an emergency bell equipped with an independent line and a method for installing an emergency bell for a new building equipped with the system.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10464A (en) * 2007-07-23 2009-01-30 롯데건설 주식회사 Total security system of apartment complex and application method thereof
KR20100106049A (en) * 2009-03-23 2010-10-01 (주) 이니투스 A crime prevention system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10464A (en) * 2007-07-23 2009-01-30 롯데건설 주식회사 Total security system of apartment complex and application method thereof
KR20100106049A (en) * 2009-03-23 2010-10-01 (주) 이니투스 A crime prevention system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4757B1 (en) 2014-01-08 2014-04-14 전재현 Convergence with cctv, broadcast, and video bell using the child safety keeping system
KR20230045770A (en) * 2021-09-29 2023-04-05 (주)코스템 A system for constructing a safety net with an emergency bell equipped with an independent line and a method for installing an emergency bell for a new building equipped with the system.
KR102655927B1 (en) * 2021-09-29 2024-04-17 (주)코스템 A system for constructing a safety net with an emergency bell equipped with an independent line and a method for installing an emergency bell for a new building equipped with the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295207A1 (en) Security system
KR100963028B1 (en) Apparatus for Notifying Accident
KR101705753B1 (en) Evacuation path guidance system
KR100995569B1 (en) Intelligence cctv system for preventing crime and crime prevent system and method using the same
EP2128833A1 (en) Security light, and emergency warning receiving system
KR101610026B1 (en) The hybrid security streetlamp system
KR101245165B1 (en) Crime prevention security system
KR101114989B1 (en) Sex offender monitoring system using electronic anklet sensing camera for cctv
KR20100106049A (en) A crime prevention system
KR101514696B1 (en) Safety Accident Management System Of Bridge
KR101336724B1 (en) Camera system of light integration
KR101377184B1 (en) Safety and disaster prevention system by using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CN110148272A (en) A kind of monitoring method of passageway for fire apparatus, monitoring device and passageway for fire apparatus system
JP2011141787A (en) Security system
KR101310238B1 (en) Cctv system for safety zone
JP2009080524A (en) Security device
KR101950755B1 (en) System for Public Place Security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KR20200065936A (en) Real-time monitoring system equipped with camera module for communication
KR20180068436A (en) Visual observation system for prevention of suicide
JP2004288132A (en) Wide area alarm system and alarm receiver used therefor
KR20200084963A (en) Extended monitoring system using voice recognition module installed in mulyi spot and drone
JP2003256961A (en) Network type emergency report system
KR102410061B1 (en) Security light system having a fuction of automatic notifying of emergency situation
KR101602604B1 (en)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using sticky camera for security maintenance and security of evidence
JP2009134707A (en) Alarm device and alarm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