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0474B1 - Method of managing browser history using web-page tags and location of mobile terminals,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with browser management program for the same - Google Patents

Method of managing browser history using web-page tags and location of mobile terminals,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with browser management program for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0474B1
KR101300474B1 KR1020120057538A KR20120057538A KR101300474B1 KR 101300474 B1 KR101300474 B1 KR 101300474B1 KR 1020120057538 A KR1020120057538 A KR 1020120057538A KR 20120057538 A KR20120057538 A KR 20120057538A KR 101300474 B1 KR101300474 B1 KR 1013004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story
browser
tag information
webpage
mobi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753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정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인프라웨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인프라웨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인프라웨어
Priority to KR10201200575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0474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04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047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8Organisation or management of web site content, e.g. publishing, maintaining pages or automatic lin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5Retrieval from the web using information identifiers, e.g. uniform resource locators [UR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5Retrieval from the web using information identifiers, e.g. uniform resource locators [URL]
    • G06F16/9566URL specific, e.g. using aliases, detecting broken or misspelled lin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PURPOSE: A browser history management method using webpage tag information and position information of a mobile terminal and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recording a history management program therefor are provided to efficiently search and access a visited webpage by variously using a browser history of the mobile terminal. CONSTITUTION: A browser of a mobile terminal accesses a webpage and a history collecting unit obtains a URL of the webpage (S220). A tag information extracting unit parses a source code of the webpage and extracts tag information set for the webpage (S230). The history collecting unit combines the URL with the tag information to generate a history item about the webpage. A user provides a history inquiry command to the browser and a history inquiry unit arranges and displays the history item based on a keyword included in the tag information. [Reference numerals] (AA) Start; (BB) End; (S210) Visit a website through a browser of a mobile terminal; (S220) Obtain URL of the webpage and title; (S230) Extract the tag information set in the webpage by making a tag information extracting unit to parse the webpage; (S240) Obtain location information of a mobile terminal from a GPS module when a location obtaining unit accesses the webpage; (S250) Manage history by integrating URL, title , webpage tag information, an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Description

모바일 단말의 위치정보와 웹페이지 태그정보를 이용한 브라우저 히스토리 관리 방법, 그리고 이를 위한 브라우저 히스토리 관리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METHOD OF MANAGING BROWSER HISTORY USING WEB-PAGE TAGS AND LOCATION OF MOBILE TERMINALS,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WITH BROWSER MANAGEMENT PROGRAM FOR THE SAME}METHOD OF MANAGING BROWSER HISTORY USING WEB-PAGE TAGS AND LOCATION OF MOBILE TERMINALS,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WITH BROWSER MANAGEMENT PROGRAM FOR THE SAME}

본 발명은 모바일 단말의 위치정보와 웹페이지 태그정보를 이용하여 브라우저 히스토리를 관리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모바일 단말의 브라우저로 웹페이지를 액세스할 때 히스토리 데이터를 생성함에 있어서 당해 웹페이지를 액세스할 당시의 모바일 단말의 위치정보 및 당해 액세스하는 웹페이지에 포함된 태그정보와 결합된 히스토리 데이터를 생성하여 보관함으로써 이를 통해 사용자가 브라우저의 히스토리 데이터를 활용하고자 할 때 모바일 단말의 위치정보나 웹페이지 태그정보를 기준으로 정렬 및 조회함으로써 모바일 단말의 브라우저 사용 편의성을 개선하고 효과적으로 자신이 찾고자하는 웹페이지를 액세스할 수 있도록 해주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chnology for managing a browser history using location information and web page tag information of a mobile terminal.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when generating the history data when accessing the web page with the browser of the mobile terminal,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at the time of accessing the web page and the tag information included in the accessing web page and By generating and storing the combined history data, when users want to utilize the browser's history data, they can sort and search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or web page tag information of the mobile device to improve the convenience of using the browser of the mobile device and effectively This is about a technology that allows you to access the webpage you are looking for.

아이폰이나 아이팟, 아이패드와 같은 모바일 단말은 휴대가 가능하면서 무선 네트워크 기능을 이용하여 음성이나 영상 통화를 수행할 수 있는 기능, 각종의 데이터를 입출력할 수 있는 기능, 그리고 데이터를 지정할 수 있는 기능 등을 갖춘 휴대용 기기이다. 이러한 모바일 단말은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 파일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플레이, 방송 수신 등과 같은 다양한 기능을 갖추게 되었으며, 특히 브라우저를 내장함에 따라 무선랜을 통해 인터넷을 액세스할 수 있게 되어 휴대용 정보단말로서 활용되고 있다.Mobile terminals such as iPhones, iPods, and iPads are portable and can perform voice and video calls using wireless network functions, input and output various data, and specify data. It is equipped with a portable device. Such a mobile terminal has various functions such as photographing and photographing of a moving picture, playback of a music file or a video file, game play, reception of a broadcast, etc. Especially, since a browser is built in, the mobile terminal can access the Internet through a wireless LAN, And is utilized as a terminal.

최근에는 이러한 모바일 단말을 이용하여 웹 브라우징을 하는 것이 일상적인 문화가 되어가고 있다. 사람들은 이동중에 잠시라도 여유시간이 생기면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단말을 꺼내들고 브라우저를 통해 인터넷을 하는 것을 쉽게 볼 수 있다. 모바일 단말은 개인용컴퓨터(PC) 환경에 비해 화면 크기가 작고 데이터 통신 속도도 느리기 때문에 브라우저 활용이 아무래도 불편할 수밖에 없다. 따라서 모바일 단말에서 브라우저를 조금이라도 더 편리하고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지원해주는 것은 굉장히 중요한 요소이며, 지금까지 여러가지 아이디어가 제안되어 왔다.Recently, web browsing using these mobile terminals has become a common culture. People can take a mobile device such as a smart phone and easily browse the Internet through a browser if there is time to spare even for a while while on the move. The mobile terminal has a small screen size and a slow data communication speed compared to a personal computer (PC) environment, so it is inconvenient to use a browser. Therefore, it is very important to support the use of a browser in a mobile terminal in a more convenient and effective manner. So far, various ideas have been proposed.

브라우저의 사용 편의성을 높이기 위한 기술로 대표적인 것은 즐겨찾기 기능과 히스토리 기능이다. 즐겨찾기 기능은 사용자가 자주 방문하는 웹사이트의 URL을 즐겨찾기 또는 책갈피라는 이름으로 브라우저에 저장해두는 것이다. 사용자는 각자 취향에 따라 자주 방문하는 사이트를 즐겨찾기로 등록해두고 필요에 따라 해당 항목을 클릭함으로써 간편하게 방문할 수 있다. 다만, 즐겨찾기 기능은 사용자가 일일히 등록해야하는 불편함이 있다.Representative technologies to improve the usability of the browser is the bookmark function and the history function. The bookmark feature saves the URL of a website you visit often in your browser as a bookmark or bookmark. Users can easily visit the sites that they frequently visit according to their preferences as favorites and click the corresponding items as needed. However, the bookmark function is inconvenient to be registered by the user one by one.

히스토리 기능은 사용자가 브라우저로 웹페이지를 방문할 때마다 해당 기록을 브라우저가 저장해두었다가 사용자가 조회하면 표시해주는 것이다. 히스토리 기능은 브라우저가 자동적으로 관리해주기 때문에 사용자의 관리부담이 적다는 장점은 있으나, 수백개의 히스토리 항목 중에서 사용자가 소망하는 특정 항목을 찾아내는 과정이 매우 번거롭다는 단점이 있다.The history feature is that whenever a user visits a web page with a browser, the browser saves the record and displays it when the user views it. The history function has the advantage that the user's management burden is small because the browser manages automatically, but the disadvantage is that the process of finding a specific item desired by the user is very cumbersome among hundreds of history items.

이에 따라 특히 여러가지 제약이 따르는 모바일 단말 환경에서 사용자가 인터넷 브라우저를 활용함에 있어서 조작 편의성을 제고하기 위한 기술이 관련 기술분야에서 절실히 요망되어 왔다.
Accordingly, there is an urgent need in the related art for a technology for improving the convenience of operation in the user's use of the Internet browser, especially in a mobile terminal environment subject to various restrictions.

본 발명의 목적은 모바일 단말의 위치정보와 웹페이지 태그정보를 이용하여 브라우저 히스토리를 관리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목적은 모바일 단말의 브라우저로 웹페이지를 액세스할 때 히스토리 데이터를 생성함에 있어서 당해 웹페이지를 액세스할 당시의 모바일 단말의 위치정보 및 당해 액세스하는 웹페이지에 포함된 태그정보와 결합된 히스토리 데이터를 생성하여 보관함으로써 이를 통해 사용자가 브라우저의 히스토리 데이터를 활용하고자 할 때 모바일 단말의 위치정보나 웹페이지 태그정보를 기준으로 정렬 및 조회함으로써 모바일 단말의 브라우저 사용 편의성을 개선하고 효과적으로 자신이 찾고자하는 웹페이지를 액세스할 수 있도록 해주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echnique for managing the browser history by using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web page tag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More specifical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generate the history data when accessing a web page with a browser of the mobile terminal,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at the time of accessing the web page and the tag included in the accessing web page By generating and storing history data combined with information, when users want to utilize the browser's history data, they can sort and search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or web page tag information of the mobile device to improve the usability of the browser of the mobile device. It is about providing technology that allows you to effectively access the web pages you are looking for.

이러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모바일 단말에 설치된 브라우저의 히스토리를 관리하는 방법으로서, 모바일 단말의 브라우저가 웹페이지를 액세스하는 단계; 히스토리 수집부가 웹페이지의 URL을 획득하는 단계; 태그정보 추출부가 웹페이지의 소스코드를 파싱하여 웹페이지에 대해 설정된 태그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히스토리 수집부가 URL과 태그정보를 결합하여 웹페이지에 대한 히스토리 항목을 생성하는 단계; 브라우저에 대해 사용자로부터 히스토리 조회 명령을 제공받는 단계; 히스토리 조회부가 브라우저 수집부에 의해 생성된 복수의 히스토리 항목에 대해 태그정보에 포함된 키워드를 기준으로 히스토리 항목을 정렬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managing a history of a browser installed in a mobile terminal, the method comprising: accessing a web page by a browser of the mobile terminal; Obtaining a URL of the web page by the history collector; Parsing source code of the web page to extract tag information set for the web page; Generating a history item for the web page by combining the URL and tag information by the history collector; Receiving a history inquiry command from a user for a browser; And a history inquiry unit sorting and displaying the history items based on the keywords included in the tag information with respect to the plurality of history items generated by the browser collecting unit.

본 발명에 따른 브라우저 히스토리 관리 방법은, 위치정보 획득부가 웹페이지 액세스 시점에서 모바일 단말의 지리적 위치정보를 GPS 모듈로부터 제공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이때 히스토리 수집부는 URL과 태그정보에 위치정보를 더 결합하여 웹페이지에 대한 히스토리 항목을 생성하며, 히스토리 조회부는 복수의 히스토리 항목에 대해 위치정보를 기준으로 히스토리 항목을 정렬하여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Browser history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the invention, the location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receiving the geographic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from the GPS module at the time of the web page access, wherein the history collector is located in the URL and tag information The information is further combined to generate a history item for the web page, and the history inquiry unit preferably displays the plurality of history items by sorting the history items based on location information.

본 발명에 따른 브라우저 히스토리 관리 방법에서 히스토리 조회명령은 검색키워드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히스토리 조회부는 복수의 히스토리 항목에 대해 검색키워드를 포함하는 태그정보를 구비한 히스토리 항목을 탐색한 후 정렬하여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히스토리 조회부는 복수의 히스토리 항목에 대해 검색키워드를 포함하는 위치정보를 구비한 히스토리 항목을 탐색한 후 정렬하여 표시할 수도 있다.In the browser history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history inquiry command is configured to include a search keyword, and the history inquiry unit searches for a history item having tag information including a search keyword for a plurality of history items, and then sorts and displays them. It is preferable. In this case, the history inquiry unit may search for history items including location information including a search keyword for a plurality of history items, and then sort and display the history items.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브라우저 히스토리 관리 방법에서 태그정보 추출부는 웹페이지의 소스코드에 포함된 미리 설정된 ID를 탐색함으로써 웹페이지에 대해 설정된 태그정보를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n the browser history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tag information extracting unit extracts the tag information set for the web page by searching for a preset ID included in the source code of the web page.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는 이상과 같은 모바일 단말의 위치정보와 웹페이지 태그정보를 이용한 브라우저 히스토리 관리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것이다.
On the other hand,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cords a program for executing the browser history management method using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web page tag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as described above.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자신이 머물렀던 위치정보나 웹페이지의 내용을 기준으로 브라우저 히스토리를 정렬 및 조회할 수 있어 모바일 단말의 브라우저 히스토리를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게 되고 이를 통해 자신이 한번 방문하였던 웹페이지를 효과적으로 검색하여 액세스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can sort and view the browser history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or the content of the web page, so that the user can use the browser history of the mobile terminal in various ways. The advantage is that you can search and access effectively.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이처럼 사용자가 자신이 한번 방문하였던 웹페이지를 그 당시의 위치정보 내지 웹페이지 내의 태그정보를 활용하여 효과적으로 검색하여 액세스할 수 있게 됨에 따라 모바일 단말의 브라우저에 대한 사용편의성을 제고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the user can effectively search and access the webpage visited by the user once us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r the tag information in the webpage at that time, the user's convenience for the browser of the mobile terminal can be improved. There are advantages to it.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모바일 단말의 브라우저 히스토리 관리 기술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을 적용한 모바일 단말의 내부 구성을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모바일 단말의 브라우저 히스토리를 수집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4]는 발명에 따라 모바일 단말의 브라우저 히스토리를 이용하는 과정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5]는 발명에 따라 모바일 단말의 브라우저 히스토리를 이용하는 과정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내는 흐름도.
1 is a flow chart showing a browser history management technology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ior art.
2 is a block diagram conceptually show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mobile terminal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collecting a browser history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first embodiment of a process of using a browser history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econd embodiment of a process of using a browser history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모바일 단말의 브라우저 히스토리 관리 기술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일반적으로 아이폰이나 아이패드와 같은 모바일 단말에는 임베디드 브라우저가 설치되어 있는데, 이들 브라우저는 사용자가 액세스한 히스토리를 관리하고 있다. 사용자는 나중에 히스토리를 조회하고 필요에 따라 특정 항목을 선택함으로써 간편하게 액세스할 수 있다.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browser history management technology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ior art. Mobile terminals, such as the iPhone and iPad, typically have embedded browsers that manage the history of user access. Users can easily access it later by viewing the history and selecting specific items as needed.

먼저, 사용자가 모바일 단말의 브라우저를 기동한 후에 각종 조작을 통하여 다수의 웹페이지를 방문한다(S110).First, a user visits a plurality of web pages through various operations after starting a browser of a mobile terminal (S110).

사용자가 브라우저를 통해 웹페이지를 방문할 때마다 브라우저의 히스토리 관리부는 당해 웹페이지의 URL 정보와 타이틀 정보(예: 구글뉴스 페이지의 경우 URL 정보는 "http://news.google.co.kr/nwshp?hl=ko&tab=wn"이고 타이틀 정보는 "Google 뉴스"임)를 획득하고(S120), 이어서 당해 웹페이지를 액세스한 날짜 내지 시간 정보를 모바일 단말의 시스템 시간관리 모듈로부터 획득한다(S130). 일반적으로는 당해 웹페이지를 브라우저가 완전히 로딩한 시점을 기준으로 날짜(시간) 정보를 관리한다.Whenever a user visits a webpage through the browser, the browser's history management unit will display the URL information and title information of the webpage (e.g. for Google News pages, the URL information is "http://news.google.com/ nwshp? hl = en & tab = wn " and the title information is " Google News " (S120), and then the date to time information of accessing the web page is obtained from the system time management module of the mobile terminal (S130). . In general, date (time) information is managed based on the time when the web page is completely loaded by the browser.

그리고, 브라우저의 히스토리 관리부는 이들 히스토리(방문 히스토리)를 위의 단계(S130)에서 획득한 액세스 날짜(시간) 기준으로 관리한다. 즉, 일자별로 히스토리를 관리하며, 동일 날짜 내에서는 예컨대 나중에 액세스한 순서대로 히스토리를 관리한다.Then, the history management unit of the browser manages these history (visit history) on the basis of the access date (time) obtained in the above step (S130). That is, history is managed by date, and history is managed in the same date, for example, in the order of later access.

이후에 사용자는 모바일 단말의 브라우저를 기동시킨 후에 예전에 방문하였던 웹페이지의 내용을 다시한번 살펴보기 위해 브라우저의 히스토리 내역을 조회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때 히스토리 관리부는 브라우저의 방문 히스토리를 날짜(시간) 별로 정렬하여 제공한다(S150). 즉, 다수의 히스토리 항목을 날짜별로 묶어서 폴더로 나열하며, 각 날짜폴더 안으로 들어가면 나중에 액세스한 순서대로 그 날짜에 해당하는 히스토리 항목을 정렬하여 제공한다.Afterwards, the user may look up the history of the browser in order to review the contents of the previously visited webpage after starting the browser of the mobile terminal. In this case, the history management unit records the visit history of the browser in the date (time). Provided by sorting (S150). In other words, a number of history items are grouped by date and listed as folders. When entering each date folder, the history items corresponding to the date are provided in the order of access later.

사용자는 자신이 찾고자 하는 히스토리 항목(예: 며칠 전에 보았었던 BMW 신차관련 뉴스)의 날짜를 개략적으로 기억한 후에 그 날짜폴더에 들어가서 히스토리 항목을 찾아본다. 히스토리 관리부는 각 항목의 타이틀 정보를 표시하므로 사용자는 타이틀을 보면서 해당 여부를 판단한다. 각 날짜에 해당하는 히스토리 항목이 적게는 수십개 내지 많게는 수백개에 달하므로 사용자는 이들 히스토리 항목을 스크롤하면서 자신이 찾고자하는 히스토리 항목을 탐색한다. 하지만 일반적으로는 그 날짜를 정확하게 기억하지 못하므로 날짜를 변경해가며 반복하여 히스토리 항목을 찾기 마련이다. The user roughly remembers the date of the history item he wants to find (e.g. news about a BMW new car that he saw a few days ago) and then enters the date folder to look up the history item. Since the history manager displays title information of each item, the user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title is viewed by looking at the title. Since there are at least tens or hundreds of history items for each date, the user scrolls through these history items and searches for the history items he or she is looking for. However, you usually don't remember the date exactly, so you'll find history items over and over again.

이러한 과정을 거쳐서 사용자가 자신이 소망하는 히스토리 항목을 찾아 선택하면 브라우저의 히스토리 관리부는 그 선택된 히스토리 항목에서 URL 정보를 추출한 후 URL에 따른 웹페이지로 액세스한다(S160).
If the user finds and selects a history item desired by the user, the history management unit of the browser extracts URL information from the selected history item and accesses the web page according to the URL (S160).

[도 2]는 본 발명을 적용한 모바일 단말(100)의 내부 구성을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적용한 모바일 단말(100)은 브라우징부(110), 사용자 UI부(120), GPS 모듈(130), 히스토리 관리부(140), 저장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히스토리 관리부(140)는 태그정보 추출부(141), 위치정보 획득부(142), 히스토리 수집부(143), 히스토리 조회부(14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2 is a block diagram conceptually illustrat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mobile terminal 100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mobile terminal 100 to which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includes a browsing unit 110, a user UI unit 120, a GPS module 130, a history management unit 140, and a storage unit 150. It is configured by. In addition, the history manager 140 may include a tag information extractor 141, a location information acquirer 142, a history collector 143, and a history searcher 144.

먼저, 브라우징부(110)는 모바일 단말(100)의 무선랜과 같은 네트워크 성능을 이용하여 인터넷 브라우징 서비스를 제공하는 모듈이다. 일반적으로는 각종의 임베디드 브라우저 소프트웨어를 설치할 때 브라우징부(110)가 모바일 단말(100)에 구현된다.First, the browsing unit 110 is a module that provides an Internet browsing service by using a network capability such as a wireless LAN of the mobile terminal 100. In general, when installing various embedded browser software, the browsing unit 110 is implemented in the mobile terminal 100.

사용자 UI부(120)는 모바일 단말(100)의 사용자에 대한 유저인터페이스(User Interface)를 담당하는 구성으로서, 일반적으로 키패드나 터치스크린 등으로 이루어진다.The user UI unit 120 is a component in charge of a user interface (User Interface) for the user of the mobile terminal 100, and generally consists of a keypad or a touch screen.

GPS 모듈(130)은 모바일 단말(100)의 지리적 위치를 판단하는 구성으로서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위성신호를 이용하는 방식에 한정되지 않으며, 현재 스마트폰에서 널리 구현되고 있는 방식인 이동통신 기지국의 위치를 이용한 단말기 위치확인 기술, 즉 가상의(virtual) GPS 기술을 활용하여 GPS 모듈(130)을 구현할 수 있다.The GPS module 130 may be implemented in hardware or software as a configuration for determining the geographical loca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Meanwhile, the GPS module 130 is not limited to a method using a satellite signal, and uses a terminal positioning technology using a loc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that is, a virtual GPS technology, which is widely implemented in a smartphone. Can be implemented.

저장부(150)는 모바일 단말(100)의 각종 동작을 위한 저장공간을 제공하는 구성으로서 바람직하게는 플래시메모리로 이루어진다. 특히 본 명세서에서는 히스토리 관리부(140)에서 브라우저의 방문 히스토리를 관리하기 위한 데이터 저장공간으로서 활용한다.The storage unit 150 is configured to provide a storage space for various operations of the mobile terminal 100, and preferably consists of a flash memory. In particular,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history manager 140 is used as a data storage space for managing the visit history of the browser.

히스토리 관리부(140)는 모바일 단말(100)의 브라우징부(110)를 활용하여 사용자가 인터넷 웹서핑을 할 때, 그 방문 히스토리를 자동적으로 관리해주는 구성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달성하기 위해 히스토리 관리부(140)는 태그정보 추출부(141), 위치정보 획득부(142), 히스토리 수집부(143), 히스토리 조회부(14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히스토리 관리부(140)를 구성하는 이들 요소는 브라우저 소프트웨어에 포함되어 설치될 수도 있고, 브라우저 소프트웨어와는 구분되는 별도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제공될 수도 있다.The history manager 140 is a configuration that automatically manages the visit history when a user surfs the Internet by using the browsing unit 110 of the mobile terminal 100. In order to achieve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istory manager 140 includes a tag information extractor 141, a location information acquirer 142, a history collector 143, and a history searcher 144. These elements constituting the history management unit 140 may be included in the browser software and installed, or may be provided as a separate software module separate from the browser software.

태그정보 추출부(141)는 웹페이지의 소스코드로부터 그 웹페이지에 대해 설정되어 있는 태그정보를 추출하는 구성이다. 구글이나 네이버 등과 같은 포탈사이트에서의 키워드 검색결과에 양호하게 반영될 수 있도록 웹페이지의 소스코드 내에는 여러가지 태그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의 포탈사이트인 네이버와 관련하여 TAGLIST_XXX 라는 ID와 함께 기입되어 있는 텍스트는 해당 웹페이지에 대한 태그정보에 해당한다. 태그정보 추출부(141)는 웹페이지의 소스코드를 파싱하고 그 소스코드에 포함된 미리 설정된 ID를 탐색함으로써 웹페이지에 대해 설정된 태그정보를 추출한다.The tag information extracting unit 141 is configured to extract tag information set for the web page from the source code of the web page. Various tag information is included in the source code of a web page so that it can be well reflected in keyword search results in portal sites such as Google and Naver. For example, the text entered with the ID TAGLIST_XXX in relation to Naver, the portal site of Korea, corresponds to the tag information for the web page. The tag information extraction unit 141 parses the source code of the web page and searches for a preset ID included in the source code to extract tag information set for the web page.

위치정보 획득부(142)는 브라우징부(110)가 웹페이지를 액세스하는 시점에서 모바일 단말(100)이 위치하는 지리적 위치정보를 GPS 모듈(130)로부터 획득하는 구성이다. 모바일 단말(100)은 사용자가 휴대한 상태에서 여러 장소를 이동하기 마련인데, 사용자가 특정 웹페이지를 액세스할 시점의 해당 위치정보를 그 웹페이지 액세스 이벤트와 결합시켜 저장할 수 있도록 GPS 모듈(130)로부터 지리적 위치정보를 제공받는다.The location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142 is configured to obtain geographical location information from the GPS module 130 where the mobile terminal 100 is located at the time when the browsing unit 110 accesses a web page. The mobile terminal 100 moves to various places while the user is carrying the GPS module 130 so that the user can store the location information associated with the webpage access event when the user accesses a specific webpage. Geographic location information is provided.

히스토리 수집부(143)는 사용자가 브라우징부(110)를 사용하여 인터넷을 통해 웹서핑을 시행함에 따라 이루어지는 웹페이지 방문 히스토리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는 구성이다. 본 발명에서 히스토리 수집부(143)는 태그정보 추출부(141)에서 추출하는 태그정보와 위치정보 획득부(142)가 획득하는 지리적 위치정보를 웹페이지 액세스 이벤트와 결합시켜 관리한다.The history collector 143 is a component that collects information about a webpage visit history made as a user performs web surfing through the Internet using the browsing unit 110.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history collecting unit 143 manages the tag information extracted by the tag information extracting unit 141 and the geographical location information obtained by the location information obtaining unit 142 in combination with a webpage access event.

히스토리 조회부(144)는 히스토리 수집부(143)가 생성한 웹페이지 액세스 히스토리를 사용자가 조회할 수 있도록 해주는 구성이다. 본 발명에서는 특히 태그정보와 지리적 위치정보를 활용하여 사용자가 히스토리를 조회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점이 특징이다. 본 명세서에서는 히스토리 조회 방식으로 태그정보와 위치정보를 기준으로 히스토리 항목을 정렬하여 제시하는 제 1 방식과 사용자가 입력한 검색키워드를 사용하여 태그정보와 위치정보에 포함된 특정 용어를 탐색하여 결과물을 제시하는 제 2 방식을 들 수 있다.
The history inquiry unit 144 is a configuration that allows a user to inquire a web page access history generated by the history collector 143. 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user can look up the history by using the tag information and geographic location informa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first method of sorting and presenting history items based on tag information and location information using a history search method and a search keyword input by a user is used to search for specific terms included in tag information and location information. The second method to present is mentioned.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모바일 단말(100)의 브라우저 히스토리를 수집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collecting a browser history of the mobile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사용자가 모바일 단말(100)의 브라우징부(110)를 활용하여 인터넷 웹서핑을 한 결과 여러 웹페이지를 방문한다(S210). First, as a result of a user surfing the Internet using the browsing unit 110 of the mobile terminal 100, the user visits various web pages (S210).

사용자가 웹페이지를 방문할 때마다 히스토리 수집부(143)는 당해 웹페이지의 URL 정보와 타이틀 정보를 획득하는데(S220), 이에 대해서는 [도 1]을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다.Each time a user visits a web page, the history collector 143 obtains URL information and title information of the web page (S220),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브라우징부(110)가 웹페이지를 화면에 표시하기 위해서는 원격지의 웹서버로부터 그 웹페이지에 대한 소스코드를 제공받아 파싱한다. 태그정보 추출부(141)는 이 소스코드의 파싱결과로부터 그 웹페이지에 대해 설정되어 있는 태그정보를 추출한다(S230). 즉, 구글이나 네이버 등과 같은 포탈사이트에서의 키워드 검색결과에 양호하게 반영될 수 있도록 웹페이지의 소스코드 내에는 여러가지 태그정보가 포함되어 있는데, 이러한 태그정보는 해당 웹페이지의 내용과 관련된 키워드를 사람이 입력한 것이다.In order to display the web page on the screen, the browsing unit 110 receives and parses the source code for the web page from a remote web server. The tag information extracting unit 141 extracts tag information set for the web page from the parsing result of the source code (S230). In other words, various tag information is included in the source code of web page so that it can be reflected in keyword search results in portal sites such as Google and Naver. This is what you typed.

이러한 태그정보는 웹페이지의 소스코드에 미리 설정된 ID로 표시되어 있는데, 예를 들어 대한민국의 포탈사이트인 네이버와 관련하여 TAGLIST_XXX 라는 ID와 함께 기입되어 있는 텍스트는 해당 웹페이지에 대한 태그정보에 해당한다. 태그정보를 식별하기 위한 ID는 포탈사이트마다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으나, 그러한 ID는 사이트별로 미리 결정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 태그정보 추출부(141)는 웹페이지의 소스코드를 파싱하고 그 소스코드에 포함된 미리 설정된 ID를 탐색함으로써 웹페이지에 대해 설정된 태그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Such tag information is indicated with a preset ID in the source code of the web page. For example, the text written with the ID TAGLIST_XXX in relation to Naver, the portal site of Korea, corresponds to the tag information for the web page. . The ID for identifying the tag information may be set differently for each portal site, but such ID is predetermined for each sit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ag information extracting unit 141 may extract the tag information set for the web page by parsing the source code of the web page and searching for a preset ID included in the source code.

단계(S230) 이후에, 위치정보 획득부(142)가 브라우징부(110)의 웹페이지 액세스 시점에서 모바일 단말(100)의 지리적 위치정보를 GPS 모듈(130)로부터 제공받는다(S240). 모바일 단말(100)은 사용자가 휴대한 상태에서 여러 장소를 이동하기 마련인데, 사용자가 특정 웹페이지를 액세스할 때에는 그 당시의 장소와 밀접한 관련성이 있을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경주에 있을 때 불국사 웹사이트를 액세스할 가능성이 높은 것이다. 또한, 웹페이지와 지리적 위치가 직접적인 관련성이 없다고 하더라도 사용자는 그 지리적 위치가 관련지어 웹페이지 내용을 기억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다. 예를 들어, 자신이 서울 인사동 카페에서 읽었던 웹페이지 내용이 다시 궁금해지는 경우를 들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 감안하여 본 발명에서는 위치정보 획득부(142)가 브라우징부(110)의 웹페이지 액세스 시점에서 모바일 단말(100)의 지리적 위치정보를 획득한다After step S230, the location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142 receives the geographic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from the GPS module 130 at the time of accessing the webpage of the browsing unit 110 (S240). The mobile terminal 100 may move to various places while the user is carrying it. When the user accesses a specific web page, there may be a close relationship with the place at that time. For example, a user is more likely to access a Bulguksa website when in a race. In addition, even if the web page and the geographical position are not directly related, the user may remember the web page contents because the geographical position is related. For example, you may be curious about the contents of a web page that you read at an Insadong cafe in Seoul. In view of such a situa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location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142 obtains the geographical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at the time of accessing the web page of the browsing unit 110.

이상과 같이 웹페이지 액세스에 관련된 정보를 획득함에 따라, 히스토리 수집부(143)는 특정 웹페이지 액세스 이벤트에 관련하여 URL, 태그정보, 위치정보를 결합하여 당해 웹페이지에 대한 히스토리 항목을 생성하고, 그에 따라 히스토리를 관리한다(S250).
As described above, as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web page access is acquired, the history collecting unit 143 generates a history item for the web page by combining URL, tag information, and location information with respect to a specific web page access event. Accordingly, history is managed (S250).

[도 4]는 발명에 따라 모바일 단말(100)의 브라우저 히스토리를 이용하는 과정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의 제 1 실시예는 웹페이지의 태그정보와 모바일 단말(100)의 지리적 위치정보를 기준으로 다수의 히스토리 항목들을 정렬하여 제시한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first embodiment of a process of using a browser history of the mobile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embodiment of FIG. 4 arranges and presents a plurality of history items based on the tag information of the web page and the geographic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먼저, 사용자가 모바일 단말(100)의 브라우저를 기동하고(S310), 그 브라우저에서 관리하는 히스토리에 대한 조회를 요청한다(S320).First, a user starts a browser of the mobile terminal 100 (S310), and requests an inquiry about a history managed by the browser (S320).

이어서, 사용자가 요청하는 정렬조건을 판단한다(S330). Next, the sorting condition requested by the user is determined (S330).

정렬조건이 지리적 위치정보인 경우, 각 히스토리 항목에 포함된 지리적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히스토리 항목을 분류 및 정렬한다(S340). 즉, 각각의 히스토리 항목에는 사용자가 당해 웹페이지를 액세스할 때 그 모바일 단말(100)이 위치하였던 지리적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데, 이를 바람직하게는 행정구역 단위로 분류하여 정렬한다. 행정구역으로는 바람직하게는 동 단위로 할 수 있는데, 유적지나 관광지 등은 별도로 관리할 수 있다.If the alignment condition is geographic location information, the history items are classified and sorted based on the geographic lo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each history item (S340). That is, each history item includes geographic information where the mobile terminal 100 is located when the user accesses the web page. The history items are classified and arranged in units of administrative districts. The administrative area may be preferably in the same unit, but the historic site or the tourist spot may be separately managed.

정렬조건이 태그정보인 경우, 각 히스토리 항목에 포함된 태그정보에 기초하여 키워드 단위로 히스토리 항목을 분류 및 정렬한다(S350). 웹페이지에 할당된 태그의 갯수가 많게는 수십개에 달하기도 하므로 이들 태그를 모두 활용하는 것은 때로는 부작용이 생길 수도 있으므로, 이들 태그 중에서 반복해서 나타나는 용어 또는 미리 설정된 범위의 용어를 키워드로 삼고, 이들 키워드를 중심으로 히스토리 항목을분류하여 정렬한다. 하나의 웹페이지가 복수 개의 키워드에 해당될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에는 중복하여 표시함이 바람직하다.If the sort condition is tag information, the history items are classified and sorted on a keyword basis based on the tag information included in each history item (S350). Since the number of tags assigned to a web page can be as high as dozens, using all of these tags can sometimes have side effects, so use these keywords as a keyword that appears repeatedly or in a preset range. Sort and sort history items around them. One web page may correspond to a plurality of keywords. In this case, the web page may be displayed in duplicate.

이상 정렬하여 제시된 히스토리에 대해 사용자가 특정의 히스토리 항목을 선택하며(S360), 브라우징부(110)는 그 선택된 히스토리 항목에 포함된 URL 정보에 기초하여 웹페이지를 액세스한다(S370).
The user selects a specific history item with respect to the history presented by sorting (S360), and the browsing unit 110 accesses a web page based on URL information included in the selected history item (S370).

[도 5]는 발명에 따라 모바일 단말(100)의 브라우저 히스토리를 이용하는 과정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의 제 2 실시예는 사용자가 입력한 검색키워드를 사용하여 태그정보와 지리정보에 포함된 특정 용어를 탐색하여 결과물을 제시한다.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econd embodiment of a process of using a browser history of the mobile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embodiment of FIG. 5 searches for a specific term included in tag information and geographic information using a search keyword input by a user and presents a result.

먼저, 사용자가 모바일 단말(100)의 브라우저를 기동하고(S410), 그 브라우저에서 관리하는 히스토리에 대한 키워드 검색을 요청한다(S420).First, a user starts a browser of the mobile terminal 100 (S410), and requests a keyword search for a history managed by the browser (S420).

이어서, 사용자가 요청하는 검색조건을 판단한다(S430). Next, the search condition requested by the user is determined (S430).

검색조건이 지리적 위치정보인 경우, 각 히스토리 항목에 포함된 지리적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히스토리 검색 결과를 제시한다(S440). 각각의 히스토리 항목에는 사용자가 당해 웹페이지를 액세스할 때 그 모바일 단말(100)이 위치하였던 지리적 정보(예: 행정구역, 관광지, 유적지, 식당이름, 건물이름, 회사이름 등)가 포함되어 있는데, 이들에 대해 검색키워드와 매칭되는 히스토리 항목을 추출하여 제시하는 것이다.When the search condition is geographic location information, the history search result is presented based on the geographic lo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each history item (S440). Each history item contains geographic information (eg, administrative area, tourist destination, historic site, restaurant name, building name, company name, etc.) where the mobile terminal 100 was located when the user accessed the web page. For this, history items matching the search keywords are extracted and presented.

검색조건이 태그정보인 경우, 각 히스토리 항목에 포함된 태그정보에 기초하여 히스토리 검색 결과를 제시한다(S450). 각각의 히스토리 항목에는 당해 웹페이지로부터 추출한 태그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므로 검색키워드와 매칭되는 태그정보를 갖는 히스토리 항목을 추출하여 제시하는 것이다.When the search condition is tag information, the history search result is presented based on the tag information included in each history item (S450). Since each history item includes tag information extracted from the web page, a history item having tag information matching the search keyword is extracted and presented.

이상 정렬하여 제시된 히스토리에 대해 사용자가 특정의 히스토리 항목을 선택하며(S460), 브라우징부(110)는 그 선택된 히스토리 항목에 포함된 URL 정보에 기초하여 웹페이지를 액세스한다(S470).
The user selects a specific history item with respect to the history presented by sorting (S460), and the browsing unit 110 accesses a web page based on URL information included in the selected history item (S470).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의 형태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be embodied in the form of computer readable code on a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At this time,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s all kinds of recording devices in which data that can be read by a computer system is stored.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캐리어웨이브(예: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된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 프로그램, 코드,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Examples of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 a ROM, a RAM, a CD-ROM, a magnetic tape, a floppy disk, an optical data storage, and the like, and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carrier wave .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can also be stored and executed by a computer-readable code in a distributed manner on a networked computer system. And functional programs, codes, and code segments for implementing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deduced by programmers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가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As described above,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drawings, and although specific terms have been used, they have been used only in a general sense to easily describe the technical cont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o facilitate understanding of the invention.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invention.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other modifications based o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ossible in addition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100 : 모바일 단말
110 : 브라우징부
120 : 사용자 UI부
130 : GPS 모듈
140 : 히스토리 관리부
141 : 태그정보 추출부
142 : 위치정보 획득부
143 : 히스토리 수집부
144 : 히스토리 조회부
150 : 저장부
100: mobile terminal
110: browsing
120: user UI unit
130: GPS module
140: history management unit
141: tag information extraction unit
142: location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143: history collector
144: history inquiry
150:

Claims (6)

모바일 단말에 설치된 브라우저의 히스토리를 관리하는 방법으로서,
모바일 단말의 브라우저가 웹페이지를 액세스하는 단계;
히스토리 수집부가 상기 웹페이지의 URL을 획득하는 단계;
태그정보 추출부가 상기 웹페이지의 소스코드를 파싱하여 상기 웹페이지에 대해 설정된 태그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히스토리 수집부가 상기 URL과 상기 태그정보를 결합하여 상기 웹페이지에 대한 히스토리 항목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브라우저에 대해 사용자로부터 히스토리 조회 명령을 제공받는 단계;
히스토리 조회부가 상기 브라우저 수집부에 의해 생성된 복수의 히스토리 항목에 대해 상기 태그정보에 포함된 키워드를 기준으로 상기 히스토리 항목을 정렬하여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브라우저 히스토리 관리 방법.
As a method of managing the history of the browser installed on the mobile terminal,
Accessing a web page by a browser of the mobile terminal;
Obtaining a URL of the web page by a history collector;
Parsing source code of the web page to extract tag information set for the web page;
Generating a history item for the web page by combining the URL and the tag information by the history collector;
Receiving a history inquiry command from the user for the browser;
A history inquiry unit sorting and displaying the history items based on keywords included in the tag information for a plurality of history items generated by the browser collector;
Browser history management method that is configured to include.
청구항 1에 있어서,
위치정보 획득부가 상기 웹페이지 액세스 시점에서 상기 모바일 단말의 지리적 위치정보를 GPS 모듈로부터 제공받는 단계;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히스토리 수집부는 상기 위치정보를 더 결합하여 상기 웹페이지에 대한 히스토리 항목을 생성하며,
상기 히스토리 조회부는 상기 복수의 히스토리 항목에 대해 상기 위치정보를 기준으로 상기 히스토리 항목을 정렬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라우저 히스토리 관리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Receiving, by a location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geographical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from a GPS module when the webpage is accessed;
It is configured to include more
The history collector further combines the location information to generate a history item for the web page.
And the history inquiry unit sorts and displays the history items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with respect to the plurality of history items.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히스토리 조회명령은 검색키워드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히스토리 조회부는 상기 복수의 히스토리 항목에 대해 상기 검색키워드를 포함하는 태그정보를 구비한 히스토리 항목을 탐색한 후 정렬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라우저 히스토리 관리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The history inquiry command is configured to include a search keyword,
And the history inquiry unit searches for history items including tag information including the search keyword and sorts the plurality of history items and displays the sorted items.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히스토리 조회부는 상기 복수의 히스토리 항목에 대해 상기 검색키워드를 포함하는 위치정보를 구비한 히스토리 항목을 탐색한 후 정렬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라우저 히스토리 관리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And the history inquiry unit searches for history items including location information including the search keyword for the plurality of history items, and displays the sorted items.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태그정보 추출부는 상기 웹페이지의 소스코드에 포함된 미리 설정된 ID를 탐색함으로써 상기 웹페이지에 대해 설정된 태그정보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라우저 히스토리 관리 방법.
The method of claim 4,
And the tag information extracting unit extracts tag information set for the web page by searching for a preset ID included in the source code of the web page.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하나의 항에 따른 브라우저 히스토리 관리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브라우저 히스토리 관리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having recorded thereon a browser history management program for executing the browser history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KR1020120057538A 2012-05-30 2012-05-30 Method of managing browser history using web-page tags and location of mobile terminals,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with browser management program for the same KR10130047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7538A KR101300474B1 (en) 2012-05-30 2012-05-30 Method of managing browser history using web-page tags and location of mobile terminals,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with browser management program for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7538A KR101300474B1 (en) 2012-05-30 2012-05-30 Method of managing browser history using web-page tags and location of mobile terminals,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with browser management program for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00474B1 true KR101300474B1 (en) 2013-09-02

Family

ID=494545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7538A KR101300474B1 (en) 2012-05-30 2012-05-30 Method of managing browser history using web-page tags and location of mobile terminals,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with browser management program for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0474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46412A (en) * 2018-09-25 2019-03-08 中国平安人寿保险股份有限公司 Product data method for pushing, device, equipment and medium based on web page tag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43616A (en) * 2006-10-17 2007-04-25 엔에이치엔(주) Visited website search system and method using the same
KR20080030196A (en) * 2006-09-29 2008-04-04 한지희 The way of internet web page tagging and tag search system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30196A (en) * 2006-09-29 2008-04-04 한지희 The way of internet web page tagging and tag search system
KR20070043616A (en) * 2006-10-17 2007-04-25 엔에이치엔(주) Visited website search system and method using the sam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46412A (en) * 2018-09-25 2019-03-08 中国平安人寿保险股份有限公司 Product data method for pushing, device, equipment and medium based on web page tag
CN109446412B (en) * 2018-09-25 2023-07-21 中国平安人寿保险股份有限公司 Product data pushing method, device, equipment and medium based on webpage labe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80925B2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website popularity by location
KR101953303B1 (en) Identifying matching applications based on browsing activity
KR101343609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recommending Application using Augmented Reality Data
US8639685B2 (en) Journaling on mobile devices
KR101123217B1 (en) Scalable visual search system simplifying access to network and device functionality
US9374670B2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a location-based preferred media file
RU2666460C2 (en) Support of tagged search results
CN106156244B (en) Information search navigation method and device
KR101955463B1 (en) System and Method for recommending application using contents analysis
WO2014105399A1 (en) Predictive selection and parallel execution of applications and services
CN104899220A (en) Application program recommendation method and system
JP2010009315A (en) Recommended store presentation system
CN104380768B (en) Address book information service system and method and device for address book information service
JP2015106347A (en) Recommendation device and recommendation method
CN103577544A (en)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information to be sent
TWI442339B (en) Method, system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synchronizing spot information
US20150052117A1 (en) Search results with common interest information
JP2006139470A (en) Information provision device, information provision method and program therefor
KR101637016B1 (en) Method for providing user reaction web page
KR101300474B1 (en) Method of managing browser history using web-page tags and location of mobile terminals,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with browser management program for the same
KR20140056635A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ents recommendation service
KR20150059206A (en) Advertising Method Using Lock Screen of Mobile Device, Mobile Device and Program Distributing Server therefor
KR20160104981A (en) Method, user terminal and computer program for unified searching information
CA2806485C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a location-based preferred media file
JP4827863B2 (en) Information search server, information search system, information search method, and progra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