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5335B1 - Block set, korean alphabet block set, korean character input method and recording medium - Google Patents

Block set, korean alphabet block set, korean character input method and recording mediu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5335B1
KR101295335B1 KR1020110147696A KR20110147696A KR101295335B1 KR 101295335 B1 KR101295335 B1 KR 101295335B1 KR 1020110147696 A KR1020110147696 A KR 1020110147696A KR 20110147696 A KR20110147696 A KR 20110147696A KR 101295335 B1 KR101295335 B1 KR 1012953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communication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vowel
hangu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4769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30089780A (en
Inventor
곽소나
김은호
김지명
손영빈
박준신
이은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글봇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글봇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글봇
Priority to KR10201101476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5335B1/en
Publication of KR201300897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978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53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533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00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 G09B1/02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and having a support carrying or adapted to carry the elements
    • G09B1/04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and having a support carrying or adapted to carry the elements the elements each bearing a single symbol or a single combination of symbols
    • G09B1/06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and having a support carrying or adapted to carry the elements the elements each bearing a single symbol or a single combination of symbols and being attachable to, or mounted on, the suppor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00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 G09B1/02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and having a support carrying or adapted to carry the elements
    • G09B1/16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and having a support carrying or adapted to carry the elements the elements each bearing a plurality of different symbols, signs, or combinations of symbols and signs, only one symbol, sign, or combination thereof, of each element to be used at a tim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7/00Teaching reading
    • G09B17/003Teaching reading electrically operated apparatus or devices
    • G09B17/006Teaching reading electrically operated apparatus or devices with audible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4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audible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블록 간의 조합을 인지하고 인지된 결과를 출력할 수 있는 블록 세트, 한글 블록 세트, 한글 입력 방법 및 기록 매체에 관한 것으로서, 제1 통신 장치를 포함하는 제1블록, 및 제1 통신 장치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수신하는 제2 통신 장치를 포함하고, 수신된 신호를 기초로 하여 제1블록의 상대적인 위치 및 상대적인 회전 정도를 인지하는 제2블록을 포함하는 블록 세트를 제공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lock set, a Korean block set, a Korean input method and a recording medium capable of recognizing a combination between blocks and outputting a recognized result, the first block including a first communication device, and And a second communication device for receiving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and a second block for recognizing the relative position and relative degree of rotation of the first block based on the received signal.

Description

블록 세트, 한글 블록 세트, 한글 입력 방법 및 기록 매체{BLOCK SET, KOREAN ALPHABET BLOCK SET, KOREAN CHARACTER INPUT METHOD AND RECORDING MEDIUM}Block Set, Hangul Block Set, Hangul Input Method and Recording Media {BLOCK SET, KOREAN ALPHABET BLOCK SET, KOREAN CHARACTER INPUT METHOD AND RECORDING MEDIUM}

본 발명의 실시예는 블록 간의 조합을 인지하고 인지된 결과를 출력할 수 있는 블록 세트, 한글 블록 세트, 한글 입력 방법 및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lock set, a Korean block set, a Korean input method, and a recording medium capable of recognizing a combination between blocks and outputting a recognized result.

블록 세트, 특히 알파벳이나 한글 자모를 형상화한 블록 세트는 완구용 또는 학습용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특히, 일반 가정집, 유치원 또는 언어 학원 등에서 유아 또는 새로운 언어를 배우려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하여 많이 사용되고 있다. Block sets, particularly block sets in which alphabets or Korean letters are formed, are widely used for toys or learning. In particular, it is widely used for children or people who want to learn a new language in a general home, kindergarten or language school.

블록 세트의 사용자는 블록 세트에 포함되어 있는 블록들을 서로 조합하거나 끼워 맞추는 과정을 통해 공간 지각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알파벳이나 한글 자모를 형상화한 블록 세트의 경우 블록들을 서로 조합하는 과정을 통해 기초적인 문자를 습득할 수 있다.The user of the block set may improve spatial perception through a process of combining or fitting blocks included in the block set with each other.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a block set in which an alphabet or a Hangul alphabet is formed, basic characters may be acquired through a process of combining blocks.

다만, 종래의 블록 세트는 사용자가 임의로 블록들을 조합하였을 때, 사용자가 이미 알고 있었던 경우라거나 다른 누군가가 알려주는 경우가 아니라면, 상기 조합이 가능한 조합인지 또는 상기 조합된 블록들의 배치가 정확한 것인지 여부에 대하여 쉽게 알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conventional block set is when the user arbitrarily combines the blocks, whether the combination is a possible combination or the arrangement of the combined blocks is correct, unless the user already knows or someone else informs them. There is a problem that cannot be known easily.

본 발명의 실시예는 블록 세트 중에서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블록이 조합된 경우, 상기 조합이 가능한 조합인지 또는 상기 조합된 블록들의 배치가 정확한 것인지 여부에 대해 자동으로 인지되고 인지된 결과가 소리 또는 기타 수단을 통해 출력되는 블록 세트를 제공할 수 있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automatically recognized when at least two or more blocks in a block set are combined, whether the combination is a possible combination or the arrangement of the combined blocks is correct and the recognized result is sound or other means. It can provide a set of blocks output through.

본 발명의 실시예는 사용자의 시각, 청각 및 촉각을 통한 체감형 학습이 가능해지고, 블록 세트 사용자의 공간지각력 및 창의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블록 세트를 제공할 수 있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sensational learning through the user's visual, auditory, and tactile sense, and can provide a block set that can improve spatial perception and creativity of the block set user.

본 발명의 실시예는 언어 학습을 통해 좌뇌와 관련된 언어 능력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블록놀이를 통해 우뇌와 관련된 공간지각력 및 창의력을 향상시킴으로써 좌뇌와 우뇌를 동시에 자극할 수 있는 블록 세트를 제공할 수 있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provide a block set capable of simultaneously stimulating the left brain and the right brain by improving language ability related to the left brain through language learning and improving spatial perception and creativity associated with the right brain through block play.

본 발명의 실시예는 사용자의 자기주도형 학습이 가능해지는 블록 세트를 제공할 수 있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provide a block set that enables self-directed learning of a user.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 세트는 제1 통신 장치를 포함하는 제1블록, 및 상기 제1 통신 장치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수신하는 제2 통신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수신된 신호를 기초로 하여 상기 제1블록의 상대적인 위치 및 상대적인 회전 정도를 인지하는 제2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A block s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block including a first communication device, and a second communication device to receive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based on the received signal. It may include a second block for recognizing the relative position and the relative degree of rotation of the first block.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한글 블록 세트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통신 장치를 포함하는 제1 통신 장치군을 포함하는 자음 블록, 및 상기 제1 통신 장치군으로부터 송신된 신호를 수신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통신 장치를 포함하는 제2 통신 장치군을 포함하는 모음 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통신 장치군에 포함된 각각의 상기 제1 통신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각각의 상기 신호는 각각의 상기 제1 통신 장치마다 서로 다른 제1 식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통신 장치군에 포함된 각각의 상기 제2 통신 장치는 서로 다른 제2 식별 정보를 갖는 모음 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A Hangul block s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sonant block including a first group of communication devices including at least one first communication device, and at least one agent receiving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first group of communication devices. And a vowel block comprising a second group of communication devices, the second group of communication devices, wherein each of said signals transmitted from each said first communication device included in said first group of communication devices are each said first communication Each device may include different first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each of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s included in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group may include a collection block having different seco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한글 블록 세트는 제1 통신 장치를 포함하고, 한글 자음 'ㄱ'을 형상화한 자음 블록, 및 상기 제1 통신 장치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수신하는 제2 통신 장치 및 특정된 음절을 소리로 변환하는 소리 변환부를 포함하고, 한글 모음 'ㅏ'를 형상화한 모음 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모음 블록은 상기 수신된 신호를 기초로 하여 상기 자음 블록의 상대적인 위치 및 상대적인 회전 정도를 인지하고, 상기 모음 블록은 상기 상대적인 위치 및 상기 상대적인 회전 정도에 따라 '가', '거', '고', '구', '나', '너', '노' 또는 '누' 중에서 어느 하나의 음절을 특정하고, 상기 소리 변환부는 상기 상대적인 위치 및 상기 상대적인 회전 정도에 따라 특정된 상기 음절을 소리로 변환할 수 있다.A Hangul block se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communication device, a consonant block shaped like a Hangul consonant 'a', and a second communication device and a specific signal received from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And a vowel block in which a Hangul vowel 'ㅏ' is shaped, wherein the vowel block has a relative position and relative degree of rotation of the consonant block based on the received signal. Recognizing, the vowel block is any one of 'ga', 'near', 'high', 'sphere', 'me', 'you', 'no' or 'nu' depending on the relative position and the degree of relative rotation One syllable may be specified, and the sound converting unit may convert the specified syllables into sounds according to the relative position and the relative degree of rota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한글 블록 세트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통신 장치를 포함하는 제1 통신 장치군을 포함하는 초성 블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통신 장치를 포함하는 제2 통신 장치군을 포함하는 종성 블록, 및 상기 제1 통신 장치군으로부터 송신된 제1신호 및 상기 제2 통신 장치군으로부터 송신된 제2신호를 수신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3 통신 장치를 포함하는 제3 통신 장치군을 포함하는 중성 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통신 장치군에 포함된 각각의 상기 제1 통신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각각의 상기 제1신호는 각각의 상기 제1 통신 장치마다 서로 다른 제1 식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통신 장치군에 포함된 각각의 상기 제2 통신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각각의 상기 제2신호는 각각의 상기 제2 통신 장치마다 서로 다른 제2 식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3 통신 장치군에 포함된 각각의 상기 제3 통신 장치는 서로 다른 제3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The Hangul block se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block including a first communication device group including at least one first communication device, and a second communication device group including at least on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And a third communication device group including a final block comprising; and at least one third communication device receiving the first signal transmitted from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group and the second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group. Each of the first signals transmitted from each of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s included in the first group of communication devices includes a neutral block that includes a neutral block that includes different first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each of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s. And each of the second signals transmitted from each of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s included in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group is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each of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s. Each third communication device including information and included in the third communication device group may include different third identification informa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한글 입력 방법은 자음 및 모음을 배치하여 하나의 음절을 특정하는 한글 입력 방법에 있어서, 2차원 또는 3차원 공간에서의 제1위치 및 제1 회전 정도를 입력받고, 입력된 상기 제1위치 및 상기 제1 회전 정도에 따라 상기 2차원 또는 3차원 공간에 상기 자음을 배치하고 화면에 표시하는 자음 배치 단계, 2차원 또는 3차원 공간에서의 제2위치 및 제2 회전 정도를 입력받고, 입력된 상기 제2위치 및 상기 제2 회전 정도에 따라 상기 2차원 또는 3차원 공간에 상기 모음을 배치하고 상기 화면에 표시하는 모음 배치 단계, 상기 제1위치 및 상기 제2위치를 기초로 하여 상기 배치된 자음과 상기 배치된 모음간의 상대적인 위치를 계산하고, 상기 제1 회전 정도 및 상기 제2 회전 정도를 기초로 하여 상기 배치된 자음과 상기 배치된 모음간의 상대적인 회전 정도를 계산하는 계산 단계, 계산된 상기 상대적인 위치 및 상기 상대적인 회전 정도를 기초로 하여 하나의 음절을 특정하는 특정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Hangul inpu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Hangul input method in which one syllable is specified by arranging consonants and vowels, the first position and the first rotation degree in a two-dimensional or three-dimensional space are received and input. A consonant arrangement step of arranging the consonants in the two-dimensional or three-dimensional space according to the first position and the first degree of rotation, and displaying them on a screen; second positions and the second degree of rotation in the two-dimensional or three-dimensional space A vowel arrangement step of placing the vowel in the two-dimensional or three-dimensional space according to the inputted second position and the second degree of rotation and displaying the vowel on the screen; Calculate a relative position between the arranged consonant and the arranged vowel based on the basis, and between the arranged consonant and the arranged vowel based on the first degree of rotation and the second degree of rotation A calculating step of calculating a relative degree of rotation may include a specific step of specifying one syllable based on the calculated relative position and the degree of relative rotation.

또한, 상기 제2블록은, 상기 수신된 신호의 세기 및 종류를 기초로 하여 상기 제1블록의 상기 상대적인 위치 및 상기 상대적인 회전 정도를 인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block may recognize the relative position and the relative degree of rotation of the first block based on the strength and type of the received signal.

또한, 상기 제2블록은, 상기 제1블록의 상기 상대적인 위치 및 상기 상대적인 회전 정도에 따라 적어도 둘 이상의 서로 다른 값을 인지할 수 있다.The second block may recognize at least two different values according to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first block and the degree of relative rotation.

또한, 상기 제2블록은, 상기 인지된 값 또는 상기 인지된 값에 대응하는 정보를 전송하는 제3 통신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block may further include a third communication device configured to transmit the recognized value or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recognized value.

또한, 상기 제2블록은, 상기 인지된 값 또는 상기 인지된 값에 대응하는 정보를 소리로 변환하는 소리 변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block may further include a sound converting unit converting the recognized value or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recognized value into sound.

또한, 상기 제2블록은, 상기 소리 변환부에서 변환된 소리를 출력하는 소리 출력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block may further include a sound output device for outputting a sound converted by the sound converter.

또한, 상기 제1 통신 장치는 적외선 발광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통신 장치는 광 트랜지스터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may include an infrared light emitting element,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may include an optical transistor.

또한, 상기 제1블록은, 상기 제1 통신 장치를 제어하는 제1프로세서, 및 전원을 공급하는 제1전원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블록은, 상기 제2 통신 장치를 제어하는 제2프로세서, 및 전원을 공급하는 제2 전원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block may further include a first processor for controlling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and a first power supply unit for supplying power, and the second block may include a second processor for controlling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And a second power supply unit for supplying power.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 세트는 상기 제1 통신 장치와 통신하는 제3 통신 장치를 포함하는 제3블록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블록은 제1 탈착 결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블록은 상기 제1 탈착 결합부와 대응하여 결합되는 제2 탈착 결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lock se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third block including a third communication device for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the first block further includes a first detachable coupling portion, The third block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detachable coupler coupled to correspond to the first detachable coupler.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 세트는 상기 제2 통신 장치와 통신하는 제3 통신 장치를 포함하는 제3블록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블록은 제1 탈착 결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블록은 상기 제1 탈착 결합부와 대응하여 결합되는 제2 탈착 결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lock se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third block including a third communication device for communicating with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the second block further comprises a first detachable coupling portion, The third block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detachable coupler coupled to correspond to the first detachable coupler.

또한, 상기 제1 탈착 결합부 및 상기 제2 탈착 결합부는 자석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removable coupling unit and the second removable coupling unit may include a magnet.

또한, 상기 제1블록은 제1 3차원 자세 측정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통신 장치는 상기 제1 3차원 자세 측정 장치로부터 측정된 정보에 대응되는 신호를 더 전송하고, 상기 제2블록은 상기 수신된 신호를 기초로 하여 연직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블록의 회전 정도를 더 인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block further includes a first three-dimensional attitude measuring device,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further transmits a signal corresponding to the information measured from the first three-dimensional attitude measuring device, the second block May further recognize a degree of rotation of the first block based on the vertical direction based on the received signal.

또한, 상기 제2블록은 제2 3차원 자세 측정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블록은 상기 수신된 신호 및 상기 제2 3차원 자세 측정 장치로부터 측정된 정보를 기초로 하여 연직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2블록에 대한 상기 제1블록의 상대적인 회전 정도를 더 인지할 수 있다.The second block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three-dimensional attitude measuring device, and the second block may be based on the vertical direction based on the received signal and the information measured from the second three-dimensional attitude measuring device. The degree of rotation of the first block relative to the second block may be further recognized.

또한, 상기 제2블록은 3차원 자세 측정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블록은 상기 3차원 자세 측정 장치로부터 측정된 정보를 기초로 하여 연직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2블록의 회전 정도를 더 인지할 수 있다.The second block may further include a 3D posture measuring device, and the second block may further include a degree of rotation of the second block based on the vertical direction based on the information measured from the 3D posture measuring device. It can be recognized.

또한, 상기 자음 블록은 서로 결합되거나 서로 인접하여 배치되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자음 서브 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sonant blocks may include at least two consonant sub-blocks coupled to or adjacent to each other.

또한, 상기 모음 블록은 서로 결합되거나 서로 인접하여 배치되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모음 서브 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vowel block may include at least two vowel sub-blocks that are coupled to each other or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또한, 상기 모음 블록은, 상기 수신된 신호에 포함된 상기 제1 식별 정보 및 상기 신호를 수신한 상기 제2 통신 장치의 상기 제2 식별 정보를 기초로 하여 상기 자음 블록의 상대적인 위치 및 상대적인 회전 정도를 인지할 수 있다.The vowel block may further include a relative position and a relative degree of rotation of the consonant block based on the first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received signal and the seco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that receives the signal. It can be recognized.

또한, 상기 모음 블록은, 상기 제1 식별 정보 및 상기 제2 식별 정보에 따라 적어도 둘 이상의 음절을 특정 가능하고, 상기 수신된 신호에 포함된 상기 제1 식별 정보 및 상기 신호를 수신한 상기 제2 통신 장치의 상기 제2 식별 정보를 기초로 하여 하나의 음절을 특정할 수 있다.The vowel block may specify at least two syllables according to the first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seco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seco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second signal received from the first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received signal. One syllable may be specified based on the seco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communication device.

또한, 상기 모음 블록은, 상기 특정된 음절을 소리로 변환하는 소리 변환부 및 상기 소리 변환부에서 변환된 소리를 출력하는 소리 출력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vowel block may further include a sound converter for converting the specified syllables into sounds, and a sound output device for outputting the sound converted by the sound converter.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한글 블록 세트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자음 블록을 포함하는 자음 블록군을 포함하고, 상기 자음 블록군에 포함된 각각의 자음 블록의 상기 제1 통신 장치군으로부터 송신되는 상기 신호는 각각의 상기 자음 블록마다 서로 다른 제3 식별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Hangul block s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sonant block group including at least one consonant block, and is transmitted from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group of each consonant block included in the consonant block group. The signal may further include different third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each consonant block.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한글 블록 세트는 제1 탈착 결합부를 포함하는 결합 블록을 더 포함하고, 상기 자음 블록은 상기 제1 탈착 결합부와 대응되어 결합되는 제2 탈착 결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탈착 결합부 및 상기 제2 탈착 결합부의 결합으로써 상기 결합 블록 및 상기 자음 블록이 결합되면 상기 자음 블록의 상기 제1 통신 장치군으로부터 송신되는 상기 신호에 포함되는 상기 제3 식별 정보는 다른 값으로 갱신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Hangul block s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coupling block including a first detachable coupling portion, and the consonant block further includes a second detachable coupling portion corresponding to and coupled to the first detachable coupling portion. And the third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group of the consonant block when the coupling block and the consonant block are combined by combining the first detachable coupling part and the second detachable coupling part. Can be updated to other values.

또한, 상기 모음 블록은, 상기 제1 식별 정보, 상기 제2 식별 정보 및 상기 제3 식별 정보에 따라 적어도 둘 이상의 음절을 특정 가능하고, 상기 수신된 신호에 포함된 상기 제1 식별 정보 및 상기 제3 식별 정보, 및 상기 신호를 수신한 상기 제2 통신 장치의 상기 제2 식별 정보를 기초로 하여 하나의 음절을 특정할 수 있다.The vowel block may specify at least two syllables according to the first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e seco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third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first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first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received signal. One syllable can be specified based on the third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seco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that has received the signal.

또한, 상기 자음 블록은 제1 3차원 자세 측정 장치를 더 포함하고, 각각의 상기 제1 통신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각각의 상기 신호는 상기 제1 3차원 자세 측정 장치로부터 측정된 제1 가속도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onsonant block further includes a first three-dimensional attitude measuring device, and each of the signals transmitted from each of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s further includes first acceleration information measured from the first three-dimensional attitude measuring device. It may include.

또한, 상기 모음 블록은 제2 3차원 자세 측정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모음 블록은 상기 제1 식별 정보, 상기 제2 식별 정보, 상기 제1 가속도 정보 및 상기 제2 3차원 자세 측정 장치로부터 측정된 제2 가속도 정보에 따라 적어도 둘 이상의 음절을 특정 가능하고, 상기 모음 블록은 상기 수신된 신호에 포함된 상기 제1 식별 정보 및 상기 제1 가속도 정보, 상기 신호를 수신한 상기 제2 통신 장치의 상기 제2 식별 정보, 및 상기 제2 가속도 정보를 기초로 하여 하나의 음절을 특정할 수 있다.The vowel block further includes a second three-dimensional attitude measuring device, wherein the vowel block is measured from the first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e seco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e first acceleration information, and the second three-dimensional attitude measuring device. At least two syllables may be specified according to the received second acceleration information, and the vowel block may include the first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first acceler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received signal,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receiving the signal. One syllable may be specified based on the seco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second acceleration information.

또한, 상기 자음 블록은 한글 자음 'ㄱ'을 형상화한 블록이고, 상기 모음 블록은 한글 모음 'ㅏ'를 형상화한 블록이고, 상기 모음 블록은 상기 수신된 신호에 포함된 상기 제1 식별 정보 및 상기 신호를 수신한 상기 제2 통신 장치의 상기 제2 식별 정보를 기초로 하여 '가', '거', '고', '구', '나', '너', '노' 또는 '누' 중에서 어느 하나의 음절을 특정하고, 상기 모음 블록은 상기 특정된 음절을 소리로 변환하는 소리 변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sonant block is a block in the form of a Hangul consonant 'ㄱ', the vowel block is a block in the form of a Hangul vowel 'ㅏ', and the vowel block is the first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received signal and the Based on the seco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that has received the signal, 'a', 'almost', 'high', 'old', 'me', 'you', 'no' or 'nu' One syllable may be specified, and the vowel block may further include a sound converter for converting the specified syllable into sound.

또한, 상기 모음 블록은, 한글 모음 'ㅣ'를 형상화한 블록, 및 상기 모음 블록이 상기 한글 모음 'ㅏ'의 형상을 갖도록 상기 한글 모음 'ㅣ'를 형상화한 블록의 가운데 부분에 배치되는 '.'을 형상화한 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The vowel block may include a block in which the Hangul vowel '및' is shaped, and a vowel block disposed at the center of the block in which the Hangul vowel '' 'is shaped so that the vowel block has a shape of the Hangul vowel' ㅏ '. It may include a block shaped '.

또한, 상기 중성 블록은 상기 수신된 제1신호에 포함된 상기 제1 식별 정보 및 상기 제1신호를 수신한 상기 제3 통신 장치의 상기 제3 식별 정보를 기초로 하여 상기 초성 블록의 상대적인 위치 및 상대적인 회전 정도를 인지하고, 상기 중성 블록은 상기 수신된 제2신호에 포함된 상기 제2 식별 정보 및 상기 제2신호를 수신한 상기 제3 통신 장치의 상기 제3 식별 정보를 기초로 하여 상기 종성 블록의 상대적인 위치 및 상대적인 회전 정도를 인지할 수 있다.The neutral block may further include a relative position of the initial block based on the first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received first signal and the third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third communication device that receives the first signal. Recognizing a relative degree of rotation, the neutral block is configured based on the seco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received second signal and the third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third communication device receiving the second signal. The relative position and relative degree of rotation of the block can be known.

또한, 상기 중성 블록은, 상기 제1 식별 정보, 상기 제2 식별 정보 및 상기 제3 식별 정보에 따라 적어도 둘 이상의 음절을 특정 가능하고, 상기 수신된 제1신호에 포함된 상기 제1 식별 정보, 상기 제1신호를 수신한 상기 제3 통신 장치의 상기 제3 식별 정보, 상기 수신된 제2신호에 포함된 상기 제2 식별 정보 및 상기 제2신호를 수신한 상기 제3 통신 장치의 상기 제3 식별 정보를 기초로 하여 하나의 음절을 특정할 수 있다.The neutral block may specify at least two syllables according to the first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e seco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third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first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received first signal; The third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third communication device receiving the first signal, the seco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received second signal and the third of the third communication device receiving the second signal. One syllable can be specified based o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또한, 상기 중성 블록은, 상기 특정된 음절을 소리로 변환하는 소리 변환부 및 상기 소리 변환부에서 변환된 소리를 출력하는 소리 출력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neutral block may further include a sound converter for converting the specified syllables into sounds, and a sound output device for outputting the sound converted by the sound converter.

또한, 상기 자음 배치 단계는, 배치할 상기 자음의 종류를 더 입력받고, 상기 입력된 종류의 자음을 입력된 상기 제1위치 및 상기 제1 회전 정도에 따라 상기 2차원 또는 3차원 공간에 배치하고 상기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The consonant arrangement step may further include receiving a type of the consonant to be arranged, and placing the consonant in the two-dimensional or three-dimensional space according to the first position and the degree of rotation of the input consonant. It can be displayed on the screen.

또한, 상기 모음 배치 단계는, 배치할 상기 모음의 종류를 더 입력받고, 상기 입력된 종류의 모음을 입력된 상기 제2위치 및 상기 제2 회전 정도에 따라 상기 2차원 또는 3차원 공간에 배치하고 상기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The vowel arrangement step may further include receiving a type of the vowel to be arranged, and arranging the vowel of the input type in the two-dimensional or three-dimensional space according to the input second position and the degree of rotation. It can be displayed on the screen.

또한, 상기 자음은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서브 유닛이 서로 인접하여 배치됨으로써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sonants may be configured by arranging at least two or more subunits adjacent to each other.

또한, 상기 모음은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서브 유닛이 서로 인접하여 배치됨으로써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llection may be configured by arranging at least two sub-units adjacent to each other.

또한, 상기 특정 단계는, 상기 3차원 공간 상에 배치된 상기 자음의 기울기 정보 및 상기 3차원 공간 상에 배치된 상기 모음의 기울기 정보를 더 이용하여 하나의 음절을 특정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specifying step, one syllable may be specified by further using inclination information of the consonants arranged in the three-dimensional space and inclination information of the vowel arranged in the three-dimensional space.

또한, 상기 자음은 한글 자음 'ㄱ'의 형상을 갖고, 상기 모음은 한글 모음 'ㅏ'의 형상을 갖고, 상기 특정 단계에서 특정되는 상기 음절은 '가', '거', '고', '구', '나', '너', '노' 또는 '누' 중에서 어느 하나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sonants have the shape of the Hangul consonant 'ㄱ', the vowels have the shape of the Hangul vowel 'ㅏ', and the syllables specified in the specific step are 'ga', 'geo', 'high', ' Phrase, 'me', 'you', 'no' or 'nu'.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한글 입력 방법은 상기 특정된 음절을 소리로 출력하는 출력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Hangul inpu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n output step of outputting the specified syllable as a soun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블록 세트 중에서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블록이 조합된 경우, 상기 조합이 가능한 조합인지 또는 상기 조합된 블록들의 배치가 정확한 것인지 여부에 대해 자동으로 인지되고 인지된 결과가 소리 또는 기타 수단을 통해 출력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t least two or more blocks in a block set are combined, whether the combination is a possible combination or whether the arrangement of the combined blocks is correct is automatically recognized and the recognized result is sound or other. Can be output through the means.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블록 세트를 통해 블록 세트 사용자의 시각, 청각 및 촉각을 통한 체감형 학습이 가능해지고, 블록 세트 사용자의 공간지각력 및 창의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lock set enables the sensory learning through the visual, auditory, and tactile sense of the block set user, and improves the spatial perception and creativity of the block set user.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언어 학습을 통해 좌뇌와 관련된 언어 능력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블록놀이를 통해 우뇌와 관련된 공간지각력 및 창의력을 향상시킴으로써 좌뇌와 우뇌를 동시에 자극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eft brain and the right brain can be simultaneously stimulated by improving language ability related to the left brain through language learning and improving spatial perception and creativity associated with the right brain through block play.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블록 세트를 통해 블록 세트 사용자의 자기주도형 학습이 가능해진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block set user can self-directed learning.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들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 세트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수평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 세트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수평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 세트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수평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한글 블록들의 조합을 나타내는 참고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한글 블록들의 조합으로써 구성한 한글 자음을 나타내는 참고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한글 블록들의 조합으로써 구성한 한글 모음을 나타내는 참고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한글 블록들의 조합을 인지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한글 블록들의 조합을 인지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block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horizontal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block s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horizontal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block s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horizontal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block s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reference diagram illustrating a combination of Hangul block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reference diagram illustrating a Hangul consonant configured as a combination of Hangul block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reference diagram illustrating a Korean vowel configured as a combination of Korean block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method for recognizing a combination of Hangul block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for recognizing a combination of Hangul block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내용을 보다 쉽게 개시하기 위하여 설명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첨부된 도면의 범위로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appended drawings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more easi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You will know.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이외의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한다는 의미가 아니라 이외의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In addition,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to another part, it is not only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but also "indirectly connected" And the like. In addition, when a part is referred to as including an element, it is not meant to exclude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but may include other elements.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 세트, 한글 블록 세트 및 한글 입력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block set, a Korean block set, and a Korean inpu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들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block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 세트는 적어도 두 가지 종류의 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 세트는 도 1의 상부에 도시된 종류의 제1블록(100)과 도 1의 하부에 도시된 종류의 제2블록(200)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a block s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t least two kinds of blocks. That is, the block se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first block 100 of the type shown in the upper portion of FIG. 1 and a second block 200 of the type shown in the lower portion of FIG. 1.

제1블록(100)은 제1블록(10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제1전원부(110), 제1블록(10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1프로세서(120), 제1블록(100)의 외부로 신호를 전송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통신 장치(130), 다른 블록과 결합되는 제1 탈착 결합부(140), 3차원의 자세를 측정하는 제1 3차원 자세 측정 장치(150)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block 100 includes a first power supply unit 110 that supplies power to the first block 100, a first processor 120 tha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first block 100, and a first block 100. At least one first communication device 130 for transmitting a signal to the outside, the first detachable coupling unit 140 is coupled to another block, and the first three-dimensional attitude measuring device 150 for measuring the three-dimensional posture can do.

제1전원부(110)는 제1블록(10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제1전원부(110)는 제1블록(100)에 포함된 각 구성 요소들이 작동할 수 있도록 전기를 공급할 수 있다. 제1전원부(110)는 제1블록(100)의 크기 및 용도에 따라 소형 배터리(battery), 대형 축전지, 전원 공급 장치, UPS(Uninterruptible Power Supply)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제1전원부(110)는 리튬-이온 배터리인 것을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The first power supply unit 110 may supply power to the first block 100. The first power supply unit 110 may supply electricity to operate each component included in the first block 100. The first power supply 110 may be a small battery, a large storage battery, a power supply, an UPS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or the like according to the size and use of the first block 100. Hereinafter, it will be described on the assumption that the first power supply unit 110 is a lithium-ion battery.

제1프로세서(120)는 제1블록(10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제1프로세서(120)는 MCU(Micro Controller Unit)일 수 있다. 제1프로세서(120)는 제1블록(100)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적합한 목적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제1블록(100)의 각 구성 요소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The first processor 120 ma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first block 100. The first processor 120 may be a micro controller unit (MCU). The first processor 120 may control the operation of each component of the first block 100 so that the first block 100 may perform a purpose function suitable for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 통신 장치(130)는 제1블록(100)의 외부로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제1 통신 장치(130)는 예를 들어, 근거리 통신 모듈 또는 무선 통신 모듈일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은 예를 들어,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모듈,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모듈, 적외선 통신 모듈, 블루투스(Bluetooth) 모듈 또는 ZigBee 모듈 등일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은 예를 들어, 와이파이(Wi-fi) 모듈, 3G 모듈 또는 LTE(Long Term Evolution) 모듈 등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제1 통신 장치(130)는 적외선 발광 소자인 것을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제1블록(10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통신 장치(13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통신 장치(130)를 제1 통신 장치(130)군이라 부르기로 한다.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130 may transmit a signal to the outside of the first block 100.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130 may be, for example, a short range communication module or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The short range communication module may be, for example, a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module, a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module, an infrared communication module, a Bluetooth module, a ZigBee module, or the like.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may be, for example, a Wi-Fi module, a 3G module, or a Long Term Evolution (LTE) module. Hereinafter, it will be assumed that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130 is an infrared light emitting device. The first block 100 may include at least one first communication device 130, hereinafter, the at least one first communication device 130 will be referred to as a group of first communication devices 130.

제1 탈착 결합부(140)는 제1블록(100)이 다른 블록과 결합하도록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다른 블록에는 제1 탈착 결합부(140)와 결합할 수 있도록 대응되는 탈착 결합부가 포함될 수 있다. 제1 탈착 결합부(140) 및 대응되는 다른 블록의 탈착 결합부는 예를 들어, 자기력에 의한 결합, 나사 결합, 벨크로 테이프에 의한 결합, 홈에 의한 끼워맞춤 결합 등의 방식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The first removable coupling unit 140 may serve to couple the first block 100 to another block. The other block may include a detachable coupling part corresponding to the first detachable coupling part 140. The detachable coupling portion of the first detachable coupling portion 140 and the corresponding other blocks may be coupled by, for example, magnetic coupling, screw coupling, Velcro tape coupling, groove coupling, or the like. .

이하에서는 제1 탈착 결합부(140) 및 대응되는 다른 블록의 탈착 결합부는 자기력에 의한 결합 방식을 통해 결합되는 것을 가정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위해 제1 탈착 결합부는 네오디뮴 자석을 포함하는 것을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제1 탈착 결합부(140)는, 제1블록(100)과 결합되는 다른 블록과의 신호 송수신을 위하여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네오디뮴 자석을 포함할 수 있다.Hereinafter, it will be assumed that the detachable coupler of the first detachable coupler 140 and the corresponding other block are coupled through a coupling method by magnetic force. For this purpose, it will be described on the assumption that the first detachable coupling part includes a neodymium magnet. The first detachable coupling unit 140 may include at least two neodymium magnets for signal transmission and reception with other blocks coupled to the first block 100.

제1 3차원 자세 측정 장치(150)는 3차원의 자세를 측정할 수 있다. 제1 3차원 자세 측정 장치(150)는 3차원 자세, 기울기, 또는 가속도를 측정할 수 있는 것이면 어느 것이라도 무방하다. 예를 들어, 제1 3차원 자세 측정 장치(150)는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기울기 센서, 지자기 센서, 외부에 설치된 카메라, 또는 외부에 설치된 적외선 발광 소자 등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1 3차원 자세 측정 장치(150)는 가속도 센서인 것을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The first 3D pose measuring device 150 may measure a 3D pose. The first three-dimensional attitude measuring device 150 may be any one that can measure the three-dimensional attitude, tilt, or acceleration. For example, the first 3D posture measuring device 150 may be an acceleration sensor, a gyro sensor, an inclination sensor, a geomagnetic sensor, an external camera, or an infrared light emitting device installed externally. Hereinafter, it will be described assuming that the first three-dimensional attitude measuring device 150 is an acceleration sensor.

제1 3차원 자세 측정 장치(150)는 주로 중력 가속도의 크기 및 방향을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측정된 값은 연직방향을 기준으로 제1블록(100)의 회전 정도를 인지하는 데에 이용될 수 있다.The first three-dimensional attitude measuring device 150 may mainly measure the magnitude and direction of gravity acceleration. The measured value may be used to recognize the degree of rotation of the first block 100 based on the vertical direction.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제2블록(200)은 제2블록(20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제2전원부(210), 제2블록(20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2프로세서(220), 제2블록(200)의 외부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수신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통신 장치(230), 다른 블록과 결합되는 제2 탈착 결합부(240), 3차원의 자세를 측정하는 제2 3차원 자세 측정 장치(250),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260), 특정 정보를 소리로 변환하는 소리 변환부(270), 상기 소리 변환부(270)에서 변환된 소리를 출력하는 소리 출력 장치(28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back to FIG. 1, the second block 200 may include a second power source 210 for supplying power to the second block 200, a second processor 220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second block 200, At least one or mor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230 for receiving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outside of the second block 200, the second detachable coupling unit 240 is coupled to another block, the second 3 to measure the three-dimensional attitude Dimensional posture measuring device 250, a memory 260 for storing a program, a sound converting unit 270 for converting specific information into a sound, a sound output device for outputting the sound converted by the sound converting unit 270 ( 280).

제2전원부(210)는 제2블록(20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제2전원부(210)는 제2블록(200)에 포함된 각 구성 요소들이 작동할 수 있도록 전기를 공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제2전원부(210)는 리튬-이온 배터리인 것을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The second power supply unit 210 may supply power to the second block 200. The second power supply unit 210 may supply electricity to operate each component included in the second block 200. Hereinafter, the second power supply unit 210 will be described on the assumption that it is a lithium-ion battery.

제2프로세서(220)는 제2블록(20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제2프로세서(220)는 MCU(Micro Controller Unit)일 수 있다. 제2프로세서(220)는 제2블록(200)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적합한 목적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제2블록(200)의 각 구성 요소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The second processor 220 ma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second block 200. The second processor 220 may be a micro controller unit (MCU). The second processor 220 may control the operation of each component of the second block 200 so that the second block 200 may perform a purpose function suitable for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2 통신 장치(230)는 제2블록(200)의 외부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제2 통신 장치(230)는 예를 들어, 근거리 통신 모듈 또는 무선 통신 모듈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제2 통신 장치(230)는 광 트랜지스터인 것을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제2블록(20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통신 장치(23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통신 장치(230)를 제2 통신 장치(230)군이라 부르기로 한다.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230 may receive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outside of the second block 200.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230 may be, for example, a short range communication module or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it is assumed that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230 is a phototransistor. The second block 200 may include at least one or more second communication devices 230. Hereinafter, the at least one or more second communication devices 230 will be referred to as a group of second communication devices 230.

제2 탈착 결합부(240)는 제2블록(200)이 다른 블록과 결합하도록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다른 블록에는 제2 탈착 결합부(240)와 결합할 수 있도록 대응되는 탈착 결합부가 포함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2 탈착 결합부(240)는 네오디뮴 자석을 포함하는 것을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제2 탈착 결합부(240)는, 제2블록(200)과 결합되는 다른 블록과의 신호 송수신을 위하여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네오디뮴 자석을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detachable coupling part 240 may serve to couple the second block 200 to another block. The other block may include a detachable coupling unit corresponding to the second detachable coupling unit 240. Hereinafter, it will be described on the assumption that the second detachable coupling part 240 includes a neodymium magnet. The second detachable coupling unit 240 may include at least two neodymium magnets for signal transmission and reception with other blocks coupled to the second block 200.

제2 3차원 자세 측정 장치(250)는 3차원의 자세를 측정할 수 있다. 제2 3차원 자세 측정 장치(250)는 3차원 자세, 기울기, 또는 가속도를 측정할 수 있는 것이면 어느 것이라도 무방하다. 예를 들어, 제2 3차원 자세 측정 장치(250)는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기울기 센서, 지자기 센서, 외부에 설치된 카메라, 또는 외부에 설치된 적외선 발광 소자 등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2 3차원 자세 측정 장치(250)는 가속도 센서인 것을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The second 3D pose measuring apparatus 250 may measure a 3D pose. The second three-dimensional attitude measuring device 250 may be any one that can measure three-dimensional attitude, tilt, or acceleration. For example, the second 3D pose measuring device 250 may be an acceleration sensor, a gyro sensor, an inclination sensor, a geomagnetic sensor, an external camera, or an infrared light emitting device installed externally. Hereinafter, it will be described on the assumption that the second three-dimensional attitude measuring device 250 is an acceleration sensor.

제2 3차원 자세 측정 장치(250)는 주로 중력 가속도의 크기 및 방향을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측정된 값은 연직방향을 기준으로 제2블록(200)의 회전 정도를 인지하는 데에 이용될 수 있다.The second 3D pose measuring device 250 may mainly measure the magnitude and direction of the gravity acceleration. The measured value may be used to recognize the degree of rotation of the second block 200 based on the vertical direction.

메모리(260)는 제2블록(200)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적합한 목적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메모리(260)는 512KB 프로그램 메모리(260)인 것을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The memory 260 may store a program for allowing the second block 200 to perform a function suitable fo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it will be described on the assumption that the memory 260 is a 512KB program memory 260.

소리 변환부(270)는 특정 정보를 소리로 변환할 수 있다. 소리 변환부(270)는 예를 들어, DAC(Digital-to-Analog Converter) 및 증폭기(amplifier)를 포함할 수 있다.The sound converter 270 may convert specific information into sound. The sound converter 270 may include, for example, a digital-to-analog converter (DAC) and an amplifier.

소리 출력 장치(280)는 상기 소리 변환부(270)에서 변환된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소리 출력 장치(280)는 예를 들어, 스피커(speaker)일 수 있다.The sound output device 280 may output the sound converted by the sound converter 270. The sound output device 280 may be, for example, a speaker.

한편, 실시예에 따라서는, 제2블록(200)은 제2블록(200)에서 판단된 정보를 제2블록(200)의 외부로 전송하는 제3 통신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3 통신 장치는 예를 들어, 근거리 통신 모듈 또는 무선 통신 모듈일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the second block 200 may further include a third communication device that transmits the information determined by the second block 200 to the outside of the second block 200. The third communication device may be, for example, a short range communication module or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1블록(100)과 제2블록(200)이 조합된 경우, 상기 조합이 가능한 조합인지 또는 상기 조합된 블록들의 배치가 정확한 것인지 여부에 대해 자동으로 인지되고 인지된 결과가 소리 또는 기타 수단을 통해 출력될 수 있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first block 100 and the second block 200 are combined, the result is automatically recognized and recognized as to whether the combination is possible or whether the arrangement of the combined blocks is correct. Can be output via sound or other means.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 세트를 이용하여 블록의 조합이 인식되고 인식된 결과가 출력되는 과정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process of recognizing a combination of blocks using a block s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outputting a recognized resul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 세트는, 포함된 블록 간의 조합이 가능한 모든 종류의 블록 세트일 수 있다. 블록 세트는 예를 들어, 영어 알파벳 블록 세트, 한글 자모 블록 세트, 정육면체 및 구 등을 포함한 기본 모형 블록 세트, 숫자 블록 세트, 동물 모형 블록 세트 등일 수 있다.The block s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ny kind of block set that can be combined between included blocks. The block set may be, for example, a basic model block set including an English alphabet block set, a Korean alphabet block set, a cube and a sphere, a number block set, an animal model block set, and the like.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블록 세트는 한글 자모 블록 세트인 것을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it is assumed that the block set is a Hangul alphabet block set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도 2,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 세트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수평 단면도이다.2, 3 and 4 are horizontal cross-sectional view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block s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한글 자음 'ㄱ'(혹은 한글 자음 'ㄴ')을 형상화한 제1블록(100) 및 한글 모음 'ㅏ'를 형상화한 제2블록(200)이 도시되어 있다. 제1블록(100)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총 8개의 제1 통신 장치(130)가 각각의 모퉁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2블록(200)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총 4개의 제2 통신 장치(230)가 좌우에 2개씩 배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0 내지 7번 제1 통신 장치(130) 및 0 내지 3번 제2 통신 장치(230)라 부르기로 한다.2, 3 and 4, the first block 100 in the form of the Hangul consonant 'ㄱ' (or the Hangul consonant 'b') and the second block 200 in the form of the Hangul vowel 'ㅏ' Is shown. As shown in the first block 100, a total of eight first communication devices 130 may be disposed at each corner. In addition, as shown in the second block 200, a total of four second communication devices 230 may be disposed two at each side.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No. 0 to 7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230 of No. 0 to 3 will be referred to.

8개의 제1 통신 장치(130) 각각은 일정한 주파수로 발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0 내지 7번 제1 통신 장치(130)가 각각 1.7^0 kHz, 1.7^1 kHz, 1.7^0 kHz, 1.7^2 kHz, 1.7^0 kHz, 1.7^3 kHz, 1.7^0 kHz, 1.7^4 kHz로 발광되고 있다고 가정하기로 한다.Each of the eight first communication devices 130 may emit light at a constant frequency. In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130, which is 0-7, has 1.7 ^ 0 kHz, 1.7 ^ 1 kHz, 1.7 ^ 0 kHz, 1.7 ^ 2 kHz, 1.7 ^ 0 kHz, 1.7 ^ 3 kHz, 1.7, respectively. It is assumed that light is emitted at ^ 0 kHz and 1.7 ^ 4 kHz.

4개의 제2 통신 장치(230)는 제1 통신 장치(130)군으로부터 송신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제2블록(200)이, 어떤 제2 통신 장치(230)가 어떤 종류의 신호를 수신하고 있는지 즉, 어떤 제1 통신 장치(130)로부터 송신된 신호를 수신하고 있는지를 구분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위하여, 제2 통신 장치(230) 각각에는 서로 다른 식별 정보가 부여될 수 있으며, 제1 통신 장치(130) 각각으로부터 송신되는 신호에는 각각의 제1 통신 장치(130)마다 서로 다른 식별 정보가 포함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2블록(200)은 제2 통신 장치(230)가 제1 통신 장치(130)로부터 어떠한 세기의 신호를 수신하고 있는지를 구분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The four second communication devices 230 may receive signals transmitted from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130 group. The second block 200 may be able to distinguish which type of signal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230 is receiving, that is, which signal is transmitted from which first communication device 130. . For this purpose, different identification information may be assigned to each of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s 230, and signals transmitted from each of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s 130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for each first communication device 130. Oth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can be included. In addition, the second block 200 may enable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230 to distinguish what strength the signal is being received from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130.

제2블록(200)이 어떤 제2 통신 장치(230)가 어떤 제1 통신 장치(130)로부터 송신된 신호를 수신하였는지를 구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2블록(200)은 제2블록(200)에 대한 제1블록(100)의 상대적인 위치 및 상대적인 회전 정도를 인지할 수 있다.By allowing the second block 200 to distinguish which second communication device 230 has received a signal transmitted from which first communication device 130, the second block 200 is assigned to the second block 200. The relative position and relative degree of rotation of the first block 100 relative to each other may be recognized.

도 2를 참조하면, 제1블록(100)과 제2블록(200)이 특정한 문자를 구성하지 못한 채 배치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 it can be seen that the first block 100 and the second block 200 are arranged without forming a specific character.

1번 제2 통신 장치(230)가 5번 제1 통신 장치(130)의 신호와 4번 제1 통신 장치(130)의 신호가 약하게 섞인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충분한 세기의 신호가 아니라고 판단하여 상기 신호를 무시할 수 있다.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230 may receive a signal in which the signal of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130 and the signal of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130 are weakly mixed. In this case,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signal is not of sufficient strength and the signal may be ignored.

0번 제2 통신 장치(230)는 6번 제1 통신 장치(130)의 신호를 충분한 세기로 수신할 수 있다. 결국 제2블록(200)에서 수신한 것으로 판단된 신호는 0번 제2 통신 장치(230)에서 수신한 6번 제1 통신 장치(130)의 신호 밖에 없다.The 0 th communication device 230 may receive the signal of the 6 th communication device 130 with sufficient intensity. As a result, the signal determined to be received by the second block 200 is only a signal of the sixth communication device 130 received by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230.

제2블록(200)은 상기와 같은 정보를 메모리(260)에 저장되어 있는 신호-문자 매핑 테이블(mapping table)에서 검색할 수 있다. 상기 매핑 테이블에는 상기 정보에 대응하는 문자에 대해 미리 정의되어 있을 수 있다.The second block 200 may search for such information in a signal-to-character mapping table stored in the memory 260. The mapping table may be predefined for a character corresponding to the information.

제2블록(200)은 상기 검색 결과, 제2블록(200)에 대한 제1블록(100)의 상대적인 위치 및 상대적인 회전 정도는 특정한 문자를 구성하지 못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As a result of the search, the second block 200 may determine that the relative position and relative degree of rotation of the first block 100 with respect to the second block 200 do not constitute a specific character.

도 3을 참조하면, 제1블록(100)과 제2블록(200)이 '가'를 구성하도록 배치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 it can be seen that the first block 100 and the second block 200 are arranged to form a 'ga'.

제2블록(200)에서 수신한 것으로 판단된 신호는, 0번 제2 통신 장치(230)에서 수신한 3번 제1 통신 장치(130)의 신호와, 1번 제2 통신 장치(230)에서 수신한 2번 제1 통신 장치(130)의 신호이다.The signal determined to be received by the second block 200 is the signal of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No. 3 received by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No. 230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230 of No. 1. It is the signal of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130 received.

제2블록(200)은 상기와 같은 정보를 신호-문자 매핑 테이블에서 검색할 수 있다. 제2블록(200)은 상기 검색 결과, 제2블록(200)에 대한 제1블록(100)의 상대적인 위치 및 상대적인 회전 정도는 '가'를 구성하고 있음을 판단할 수 있다.The second block 200 may search for the above information in the signal-character mapping table. As a result of the search, the second block 200 may determine that the relative position and relative degree of rotation of the first block 100 with respect to the second block 200 constitute 'a'.

도 5b를 참조하면, 제1블록(100)과 제2블록(200)이 비록 정확히 정렬되지는 않았지만 '가'를 구성하도록 배치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Referring to FIG. 5B, it can be seen that the first block 100 and the second block 200 are arranged to constitute 'a', although not exactly aligned.

1번 제2 통신 장치(230)에서는 2번 제1 통신 장치(130)의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충분한 세기의 신호라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0번 제2 통신 장치(230)에서는 충분한 크기의 3번 제1 통신 장치(130)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230 may receive the signal of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130 and may determine that the signal has a sufficient strength. In addition, the 0 th communication device 230 may receive a signal of the 3 th communication device 130 of sufficient size.

결국 제2블록(200)에서 수신한 것으로 판단된 신호는, 0번 제2 통신 장치(230)에서 수신한 3번 제1 통신 장치(130)의 신호와, 1번 제2 통신 장치(230)에서 수신한 2번 제1 통신 장치(130)의 신호이다.As a result, the signal determined to be received by the second block 200 is the signal of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No. 3 received by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No. 230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No. 1 230. Signal from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130 received from.

제2블록(200)은 상기와 같은 정보를 신호-문자 매핑 테이블에서 검색할 수 있다. 제2블록(200)은 상기 검색 결과, 제2블록(200)에 대한 제1블록(100)의 상대적인 위치 및 상대적인 회전 정도는 '가'를 구성하고 있음을 판단할 수 있다.The second block 200 may search for the above information in the signal-character mapping table. As a result of the search, the second block 200 may determine that the relative position and relative degree of rotation of the first block 100 with respect to the second block 200 constitute 'a'.

제2블록(200)의 판단 결과, 제1블록(100)과 제2블록(200)의 상대적인 위치 및 상대적인 회전 정도가 특정한 문자를 구성하고 있다고 판단된 경우, 제2블록(200)의 소리 변환부(270)에서는 상기 특정된 문자를 대응되는 소리로 변환할 수 있다. 또한, 제2블록(200)의 소리 출력 장치(280)는 상기 변환된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of the second block 200,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relative position and the relative degree of rotation of the first block 100 and the second block 200 constitute a specific character, the sound conversion of the second block 200 The unit 270 may convert the specified character into a corresponding sound. In addition, the sound output device 280 of the second block 200 may output the converted sound.

따라서, 도 3 또는 도 4에서와 같은 경우, 제2블록(200)은 소리 출력 장치(280)를 통해 '가' 발음을 출력할 수 있다.Therefore, in the case of FIG. 3 or FIG. 4, the second block 200 may output a 'ga' pronunciation through the sound output device 280.

한편, 실시예에 따라서는, 제2블록(200)은 상기 특정된 문자에 대한 정보를 제2블록(200)의 제3 통신 장치를 통해 외부의 다른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이로써, 외부의 다른 장치가 상기 정보를 이용하여 소리를 출력하거나 화면에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Meanwhi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second block 200 may transmit the information on the specified character to another external device through the third communication device of the second block 200. As a result, other external devices can output the sound or display the screen using the information.

또는, 제2블록(200)은 상기 인지된 제2블록(200)에 대한 제1블록(100)의 상대적인 위치 및 상대적인 회전 정도에 대한 정보를 제2블록(200)의 제3 통신 장치를 통해 외부의 다른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이로써, 외부의 다른 장치가 상기 정보를 이용하여 매핑 테이블에서의 검색을 통해 문자를 특정하고 소리를 출력하거나 화면에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second block 200 may transmit information about the relative position and the degree of rotation of the first block 100 with respect to the recognized second block 200 through the third communication device of the second block 200. Can send to other external devices. In this way, the external device can use the information to search for a mapping table to specify a character and output a sound or display it on the screen.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한글 블록들의 조합을 나타내는 참고도이다.5 is a reference diagram illustrating a combination of Hangul block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한글 자음 'ㄱ'(혹은 한글 자음 'ㄴ')을 형상화한 제1블록(100) 및 한글 모음 'ㅏ'를 형상화한 제2블록(200)을 사용하는 경우, 제2블록(200)은 제1블록(100)과 제2블록(200)의 상대적인 위치 및 상대적인 회전 정도에 따라 총 8가지의 서로 다른 음절을 구분하여 인식할 수 있고, 각각의 발음을 출력할 수 있다. 즉, 제2블록(200)은 '가', '거', '고', '구', '나', '너', '노' 또는 '누' 중에서 어느 하나의 음절을 특정하고, 상기 특정된 음절을 소리로 변환하여 출력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when the first block 100 representing the Hangul consonant 'ㄱ' (or the Hangul consonant 'b') and the second block 200 representing the Hangul vowel 'ㅏ' are used, the second block 200 is used. The block 200 may recognize and recognize a total of eight different syllables according to the relative position and relative degree of rotation of the first block 100 and the second block 200, and may output each pronunciation. . That is, the second block 200 specifies one syllable of 'ga', 'ger', 'high', 'gu', 'me', 'you', 'no' or 'nu', The specified syllable can be converted into sound and output.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서는, 한글 블록 세트는 상기와 같은 한글 자음 'ㄱ'을 형상화한 블록 외에 예를 들어, 한글 자음 'ㅇ'을 형상화한 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한글 블록 세트는 상기와 같은 한글 모음 'ㅏ'를 형상화한 블록 외에 예를 들어, 한글 모음 'ㅣ'를 형상화한 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angul block set may include, for example, a block forming the Hangul consonant 'ㅇ' in addition to the block forming the Hangul consonant 'AB'. In addition, the Hangul block se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for example, a block in which the Hangul vowel 'ㅣ' is shaped in addition to the block in which the Hangul vowel 'ㅏ' is shaped.

위와 같은 경우, 제1블록(100)은 한글 자음 'ㄱ'을 형상화한 블록 또는 한글 자음 'ㅇ'을 형상화한 블록이 될 수 있다. 또한, 제2블록(200)은 한글 모음 'ㅏ'를 형상화한 블록 또는 한글 모음 'ㅣ'를 형상화한 블록이 될 수 있다.In the above case, the first block 100 may be a block in which the Hangul consonant 'ㄱ' is shaped or a block in which the Hangul consonant 'ㅇ' is shaped. In addition, the second block 200 may be a block in which the Hangul vowel 'ㅏ' is shaped or a block in which the Hangul vowel 'ㅣ' is shaped.

예를 들어, 제2블록(200)은 한글 모음 'ㅣ'를 형상화한 블록이라고 가정한다. 제2블록(200)이 제1블록(100)으로부터 송신된 신호를 수신하여 하나의 문자를 특정하기 위해서는, 제2블록(200)에 대한 제1블록(100)의 상대적인 위치 및 상대적인 회전 정도에 대한 정보 이외에 상기 제1블록(100)이 어떠한 한글 자음을 형상화한 블록인지에 대한 정보가 필요할 수 있다.For example, it is assumed that the second block 200 is a block in which the Hangul vowel 'ㅣ' is shaped. In order for the second block 200 to receive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first block 100 and specify one character, the second block 200 may be located at a relative position and relative degree of rotation of the first block 100 with respect to the second block 200. In addition to the information on the first block 100, the information on which Korean consonant is a block shape.

따라서, 제1블록(100)의 제1 통신 장치(130)군으로부터 송신되는 신호에는 각각의 한글 자음을 형상화한 블록마다 서로 다른 제3 식별 정보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즉, 한글 자음 'ㄱ'을 형상화한 블록 또는 한글 자음 'ㅇ'을 형상화한 블록 각각으로부터 송신되는 신호에는 서로 다른 제3 식별 정보가 더 포함될 수 있다.Therefore,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130 group of the first block 100 may further include different third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each block in which each Hangul consonant is shaped. That is, the third transmission information different from each other may be further included in the signal transmitted from each of the blocks forming the Hangul consonant 'a' or the blocks forming the Hangul consonant 'o'.

이로써, 제2블록(200)은 제1블록(100)으로부터 송신된 신호를 수신하여, 제3 식별 정보로부터 제1블록(100)이 어떠한 한글 자음을 형상화한 블록인지를 구분하여 인지할 수 있고, 상술한 제1 식별 정보로부터 제1블록(100)의 어떠한 제1 통신 장치(130)로부터 송신된 신호인지를 구분하여 인지할 수 있다. 또한, 제2블록(200)은 상술한 제2 식별 정보로부터 어떠한 제2 통신 장치(230)가 상기 신호를 수신하였는지를 구분하여 인지할 수 있고, 이로써 제2블록(200)에 대한 제1블록(100)의 상대적인 위치 및 상대적인 회전 정도를 인지할 수 있다.As a result, the second block 200 may receive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first block 100 and may recognize which Korean consonant is the block formed by the first block 100 from the third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 addition, the first identification information may be distinguished to recognize which signal is transmitted from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130 of the first block 100. In addition, the second block 200 may recognize which second communication device 230 has received the signal from the above-described seco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ereby identifying the first block (for the second block 200). The relative position and relative degree of rotation of 100) can be recognized.

따라서 제2블록(200)은 제1블록(100)으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포함된 제1 식별 정보 및 제3 식별 정보, 및 상기 신호를 수신한 제2 통신 장치(230)의 제2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매핑 테이블로부터 검색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검색 결과, 제2블록(200)은 하나의 음절을 특정할 수 있고, 상기 특정된 음절을 소리로 변환하여 출력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second block 200 may include the first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third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signal received from the first block 100, and the seco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230 receiving the signal. You can search from the mapping table. As a result of the search, the second block 200 may specify one syllable, and may convert the specified syllable into a sound and output the sound.

이하에서는 제1블록(100)의 제1 탈착 결합부(140) 또는 제2블록(200)의 제2 탈착 결합부(240)를 더 이용하여 문자를 특정하는 과정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or the process of specifying the character further using the first removable coupling unit 140 of the first block 100 or the second removable coupling unit 240 of the second block 200. I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블록 세트는 한글 자모 블록 세트인 것을 가정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제1블록(100)은 한글 자음 'ㄱ'(혹은 한글 자음 'ㄴ')을 형상화한 블록이고, 상기 제2블록(200)은 한글 모음 'ㅣ'(혹은 한글 모음 'ㅡ')를 형상화한 블록이라고 가정하기로 한다.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it is assumed that the block set is a Hangul alphabet block set. In addition, the first block 100 is a block in the form of a Hangul consonant 'ㄱ' (or Hangul consonant 'b'), and the second block 200 is a Hangul vowel 'ㅣ' (or Hangul vowel 'ㅡ'). Assume that is a shaped block.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 세트는 상기 제1블록(100), 상기 제2블록(200), 및 제3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제1블록(100)의 제1 통신 장치(130)는, 제1블록(100)의 외부로 신호를 전송하는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외부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수신하는 역할도 할 수 있다. 제3블록은 제1블록(100)과 내부 구성이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제3블록에서 제1 통신 장치(130)에 대응하는 부분은 제4 통신 장치라 부르고, 제3블록에서 제1 탈착 결합부(140)에 대응하는 부분은 제3 탈착 결합부라 부르기로 한다. 또한, 제3블록의 제4 통신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신호에 포함되는 제3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부분은 동일하게 제3 식별 정보라 부르기로 한다.A block s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the first block 100, the second block 200, and a third block. In this case,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130 of the first block 100 may not only transmit a signal to the outside of the first block 100 but also receive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outside. . The third block may have the same internal configuration as the first block 100.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130 in the third block is called a fourth communication device, and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detachable coupling part 140 in the third block is called a third detachable coupling part. In addition, the part corresponding to the 3rd identification information contained in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4th communication apparatus of a 3rd block is similarly called 3rd identification information.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한글 블록들의 조합으로써 구성한 한글 자음을 나타내는 참고도이다.6 is a reference diagram illustrating a Hangul consonant configured as a combination of Hangul block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예를 들어 한글 자음 'ㄷ'은 한글 자음 'ㄱ'을 형상화한 제1블록(100)과 한글 자음 'ㄱ'을 형상화한 제3블록이 서로 결합되거나 서로 인접하여 배치됨으로써 구성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6, for example, the Hangul consonant 'ㄷ' is formed by combining the first block 100 representing the Hangul consonant 'ㄱ' and the third block forming the Hangul consonant 'ㄱ' by being combined with or adjacent to each other. Can be configured.

제1블록(100)의 1번 또는 6번 제1 통신 장치(130) 부근에는 제1 탈착 결합부(140)가 배치될 수 있다. 이로써, 예를 들어 제1블록(100)의 1번 제1 통신 장치(130) 부근에 배치된 제1 탈착 결합부(140)는, 제1블록(100)과 내부 구성이 동일하게 구성된 제3블록의 6번 제4 통신 장치 부근에 배치된 제3 탈착 결합부와 대응하여 결합될 수 있다.The first detachable coupling unit 140 may be disposed near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130 of the first block 100 or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130. As a result, for example, the first detachable coupling unit 140 disposed in the vicinity of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130 of the first block 100 may be configured to have the same internal configuration as that of the first block 100. And a third detachable engagement portion disposed in the vicinity of the fourth communication device at No. 6 of the block.

제1 탈착 결합부(140)와 제3 탈착 결합부가 결합되면 제1블록(100) 및 제3블록 각각이 서로 결합된 사실을 인지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위해서, 제1블록(100)으로부터 송신된 신호를 제3블록이 수신하고, 제3블록으로부터 송신된 신호를 제1블록(100)이 수신할 수 있다. 또는, 제1 탈착 결합부(140) 및 제3 탈착 결합부의 네오디뮴 자석을 통하여 제1블록(100) 내부의 회로와 제3블록 내부의 회로가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제1블록(100) 및 제3블록 각각이 서로 결합된 사실을 인지하도록 할 수 있다.When the first detachable coupler 140 and the third detachable coupler are combined, each of the first block 100 and the third block may be recognized as being coupled to each other. For this purpose, the third block may receive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first block 100, and the first block 100 may receive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third block. Alternatively, the first block 100 and the third block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by connecting a circuit inside the first block 100 and a circuit inside the third block through neodymium magnets of the first detachable coupler 140 and the third detachable coupler. Each block can be made aware of the fact that it is combined with each other.

제1블록(100) 및 제3블록 각각이 서로 결합된 사실을 인지한 경우, 매핑 테이블에서의 검색을 통해, 제1블록(100)과 제3블록의 결합으로써 구성되는 새로운 자음이 무엇인지를 특정할 수 있다. 새로운 자음이 특정되면, 제1블록(100)의 제1 통신 장치(130)로부터 송신되는 신호에 포함되는 제3 식별 정보는 새로운 자음에 대응하는 것으로 갱신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3블록의 제4 통신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신호에 포함되는 제3 식별 정보는 새로운 자음에 대응하는 것으로 갱신될 수 있다.If it is recognized that each of the first block 100 and the third block are combined with each other, a search in the mapping table shows what new consonants are formed by combining the first block 100 and the third block. It can be specified. When a new consonant is specified, the third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130 of the first block 100 may be updated to correspond to the new consonant. Similarly, the third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fourth communication device of the third block can be updated to correspond to the new consonant.

이로써, 제2블록(200)에서는 상기 제1블록(100) 또는 상기 제3블록으로부터 송신된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신호에 포함된 제3 식별 정보로부터 새로운 자음을 특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신호에 포함된 제1 식별 정보 및 제2 통신 장치(230)의 제2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제2블록(200)에 대한 제1블록(100) 및 제3블록의 상대적인 위치 및 상대적인 회전 정도를 인지할 수 있다. 이로써 제2블록(200)은 하나의 문자를 특정할 수 있고 소리로 변환하여 출력할 수 있다.As a result, the second block 200 may receive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first block 100 or the third block and specify a new consonant from third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signal. In addition, the relative position and relative position of the first block 100 and the third block with respect to the second block 200 by using the first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seco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230 included in the signal. The degree of rotation can be recognized. As a result, the second block 200 can specify one character and convert the sound into a sound.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한글 블록들의 조합으로써 구성한 한글 모음을 나타내는 참고도이다.7 is a reference diagram illustrating a Korean vowel configured as a combination of Korean block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모음의 경우 역시 상기 자음의 경우와 비슷하게, 결합된 블록들이 서로 결합된 사실을 인지하도록 할 수 있고, 새로운 모음이 무엇인지를 특정하도록 할 수 있다. 이로써, 하나의 문자를 특정할 수 있고 소리로 변환하여 출력할 수 있다.In the case of vowels, similarly to the case of the consonants, the combined blocks can be made aware of the fact that they are combined with each other and can specify what the new vowel is. In this way, one character can be specified and converted into sound and output.

도 7을 참조하면, 예를 들어 한글 모음 'ㅏ'는 한글 모음 'ㅣ'를 형상화한 제2블록(200)과 '.'을 형상화한 제4블록이 서로 결합되거나 서로 인접하여 배치됨으로써 구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for example, the Hangul vowel 'ㅏ' may be configured by combining the second block 200 in the form of the Hangul vowel 'ㅣ' and the fourth block in the form of '.' Can be.

상기와 같은 목적을 위해서, 제2블록(200)의 제2 통신 장치(230)는, 제2블록(200)의 외부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수신하는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외부로 신호를 전송하는 역할도 할 수 있다. 제2 통신 장치(230)로부터 송신되는 상기 신호는 각각의 블록마다 서로 다른 제4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4블록은 제2블록(200)과 내부 구성이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제4블록에서 제2 통신 장치(230)에 대응하는 부분은 제5 통신 장치라 부르고, 제4블록에서 제2 탈착 결합부(240)에 대응하는 부분은 제4 탈착 결합부라 부르기로 한다. 또한, 제4블록의 제5 통신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신호에 포함되는 제4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부분은 동일하게 제4 식별 정보라 부르기로 한다.For this purpose,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230 of the second block 200 not only serves to receive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outside of the second block 200 but also transmits a signal to the outside. You can also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230 may include different fourth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each block. The fourth block may have the same internal configuration as the second block 200.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230 in the fourth block is called a fifth communication device, and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detachable coupling part 240 in the fourth block is called a fourth detachable coupling part. In addition, the part corresponding to the 4th identification information contained in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5th communication apparatus of a 4th block will be similarly called 4th identification information.

제2블록(200)으로부터 송신된 신호를 제4블록이 수신하고, 제4블록으로부터 송신된 신호를 제2블록(200)이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제2블록(200) 또는 제4블록은 상기 수신된 신호에 포함된 제4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서로가 어떤 블록인지를 인지할 수 있다. The fourth block may receive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econd block 200, and the second block 200 may receive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fourth block. In this case, the second block 200 or the fourth block may recognize which blocks are each other using the fourth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received signal.

또는, 제2 탈착 결합부(240) 및 제4 탈착 결합부의 네오디뮴 자석을 통하여 제2블록(200) 내부의 회로와 제4블록 내부의 회로가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제2블록(200) 및 제4블록 각각이 서로 결합된 사실을 인지하도록 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second block 200 and the fourth block by connecting the circuit inside the second block 200 and the circuit inside the fourth block through the neodymium magnet of the second removable coupling part 240 and the fourth removable coupling part. Each block can be made aware of the fact that it is combined with each other.

제2블록(200) 및 제4블록 각각이 서로 결합된 사실을 인지한 경우, 매핑 테이블에서의 검색을 통해, 제2블록(200)과 제4블록의 결합으로써 구성되는 새로운 모음이 무엇인지를 특정할 수 있다. 새로운 모음이 특정되면, 제2블록(200)의 제2 통신 장치(230)로부터 송신되는 신호에 포함되는 제4 식별 정보는 새로운 모음에 대응하는 것으로 갱신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4블록의 제5 통신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신호에 포함되는 제4 식별 정보는 새로운 모음에 대응하는 것으로 갱신될 수 있다.When the second block 200 and the fourth block each recognize that they are combined with each other, a search in the mapping table shows what new vowels are formed by combining the second block 200 and the fourth block. It can be specified. If a new vowel is specified, the fourth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230 of the second block 200 may be updated to correspond to the new vowel. Similarly, the fourth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fifth communication device of the fourth block can be updated to correspond to the new collection.

이로써, 제2블록(200) 또는 제4블록에서는 제1블록(100)으로부터 송신된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신호에 포함된 제1 식별 정보 및 제3 식별 정보, 및 제2 통신 장치(230) 또는 제5 통신 장치의 제2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하나의 문자를 특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특정된 문자를 소리로 변환하여 출력할 수 있다.As a result, the second block 200 or the fourth block receives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first block 100, and the first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third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signal,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230. Alternatively, one character may be specified using the seco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fifth communication device. In addition, the specified character may be converted into sound and output.

이하에서는 제1블록(100)의 제1 3차원 자세 측정 장치(150) 및 제2블록(200)의 제2 3차원 자세 측정 장치(250)를 더 이용하여 문자를 특정하는 과정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process of specifying a character using the first 3D posture measuring device 150 of the first block 100 and the second 3D posture measuring device 250 of the second block 200 is attached. I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블록 세트는 한글 자모 블록 세트인 것을 가정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제1블록(100)은 한글 자음 'ㄱ'(혹은 한글 자음 'ㄴ')을 형상화한 블록이고, 상기 제2블록(200)은 한글 모음 'ㅣ'(혹은 한글 모음 'ㅡ')를 형상화한 블록이라고 가정하기로 한다.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it is assumed that the block set is a Hangul alphabet block set. In addition, the first block 100 is a block in the form of a Hangul consonant 'ㄱ' (or Hangul consonant 'b'), and the second block 200 is a Hangul vowel 'ㅣ' (or Hangul vowel 'ㅡ'). Assume that is a shaped block.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한글 블록들의 조합을 인지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8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method for recognizing a combination of Hangul block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참조하면, 제1블록(100) 및 제2블록(200)은 연직방향으로 세워져 있을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블록(100) 및 제2블록(200)은 정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문자가 인식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8, the first block 100 and the second block 200 may be erec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other words, the first block 100 and the second block 200 may be arranged to recognize characters when viewed from the front.

도 8을 참조하면, 정면에서 제1블록(100) 및 제2블록(200)을 바라보는 경우 '기'로 특정될 수 있다. 또한, 후면에서 고개를 시계 방향으로 90도 돌려서 제1블록(100) 및 제2블록(200)을 바라보는 경우 '느'로 특정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8, when looking at the first block 100 and the second block 200 from the front, it may be specified as 'group'. In addition, when looking at the first block 100 and the second block 200 by turning the head 90 degrees clockwise from the rear, it may be specified as 'yes'.

도 9를 참조하면, 제1블록(100) 및 제2블록(200)은 지면에 평행한 방향으로 뉘어져 있을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블록(100) 및 제2블록(200)은 평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문자가 인식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9, the first block 100 and the second block 200 may be divide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ground. In other words, the first block 100 and the second block 200 may be arranged to recognize characters when viewed in a plane.

도 9를 참조하면, 평면에서 제1블록(100) 및 제2블록(200)을 바라보는 경우 '기'로 특정될 수 있다. 또한, 저면에서 고개를 시계 방향으로 90도 돌려서 제1블록(100) 및 제2블록(200)을 바라보는 경우 '느'로 특정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9, when looking at the first block 100 and the second block 200 in a plane, it may be specified as 'group'. In addition, when looking at the first block 100 and the second block 200 by turning the head 90 degrees clockwise from the bottom surface may be specified as 'ne.'

즉, 제1 식별 정보, 제2 식별 정보 및 제 3식별 정보만 가지고는 제2블록(200)이 하나의 문자를 특정하기가 곤란한 경우가 있을 수 있다.That is, it may be difficult for the second block 200 to specify one character only with the first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e seco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third identification information.

따라서, 제2블록(200)이 제1블록(100)으로부터 송신된 신호를 수신하여 하나의 문자를 특정하기 위해서는, 제2블록(200)에 대한 제1블록(100)의 상대적인 위치 및 상대적인 회전 정도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제1블록(100)이 어떠한 한글 자음을 형상화한 블록인지에 대한 정보 이외에 추가적인 정보가 필요할 수 있다.Therefore, in order for the second block 200 to receive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first block 100 and specify one character, the relative position and relative rotation of the first block 100 with respect to the second block 200. Additional information may be needed in addition to the information on the degree and information on which Hangul consonant is the first block 100.

블록 세트의 사용자는 블록을 정면 또는 평면에서 바라보는 것이 일반적일 것이므로, 제2블록(200)이 문자를 특정한 결과는 블록 세트의 사용자가 블록을 정면 또는 평면에서 바라보고 인식한 결과와 동일하도록 할 수 있다.Since the user of the block set generally views the block from the front or the plane, the result of specifying the letter by the second block 200 may be the same as the result of the user of the block set looking at the block from the front or the plane. Can be.

상기와 같은 목적을 위해, 제1블록(100)으로부터 송신되는 신호에는 제1블록(100)의 제1 3차원 자세 측정 장치(150)로부터 측정된 가속도 정보(이하 '제1 가속도 정보'라 한다)가 더 포함될 수 있다.For the above purposes,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first block 100 includes acceleration information measured from the first three-dimensional attitude measuring device 150 of the first block 100 (hereinafter referred to as 'first acceleration information'). ) May be further included.

제2블록(200)은 제1블록(100)으로부터 송신된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신호에 포함된 제1 가속도 정보를 기초로 하여 연직방향을 기준으로 제1블록(100)이 얼마나 회전되어 있는지를 인지할 수 있다.The second block 200 receives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first block 100, and how much the first block 100 is rotated based on the vertical direction based on the first acceler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signal. It can be recognized.

예를 들어, 제1블록(100)이 도 8에서와 같이 배치되어 있는 경우, 제1블록(100)은 연직방향을 기준으로 0도만큼 회전되어 있는 것으로 정의할 수 있다. 그리고, 제1블록(100)이 도 9에서와 같이 배치되어 있는 경우, 제1블록(100)은 연직방향을 기준으로 90도만큼 회전되어 있는 것으로 정의할 수 있다. 비슷하게, 제1블록(100)이 연직방향을 기준으로 180도 또는 270도만큼 회전되어 있는 경우를 정의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first block 100 is arranged as shown in FIG. 8, the first block 100 may be defined as being rotated by 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direction. In addition, when the first block 100 is arranged as shown in FIG. 9, the first block 100 may be defined as being rotated by 9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direction. Similarly, it may be defined that the first block 100 is rotated by 180 degrees or 27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direction.

만약 도 8에서와 달리, 블록 세트의 사용자가 정면에서 바라보면 '니'로 인식되도록 제1블록(100) 및 제2블록(200)이 배치되어 있다고 하면, 제2블록(200)은 제1 가속도 정보를 기초로 하여 제1블록(100)이 연직방향을 기준으로 180도만큼 회전되어 있는 것으로 인지할 수 있다.Unlike in FIG. 8, if the first block 100 and the second block 200 are arranged to be recognized as 'nee' when the user of the block set is viewed from the front, the second block 200 may be configured as a first block. It may be recognized that the first block 100 is rotated by 180 degrees based on the vertical direction based on the acceleration information.

도 8을 다시 참조하면, 제2블록(200)은 제1 가속도 정보로부터 제1블록(100)이 연직방향을 기준으로 0도만큼 회전되어 있다는 사실을 인지할 수 있고, 이로써 '기'와 '느' 중에서 '기'로 특정할 수 있다. 만약, 제1 가속도 정보로부터, 제1블록(100)이 연직방향을 기준으로 180도만큼 회전되어 있는 것으로 제2블록(200)이 인지하였다면 '기'와 '느' 중에서 '느'로 특정할 수 있다.Referring back to FIG. 8, the second block 200 may recognize from the first acceleration information that the first block 100 is rotated by 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direction, whereby 'gi' and ' Can be specified as 'ki'. If the second block 200 recognizes from the first acceleration information that the first block 100 is rotated by 180 degrees based on the vertical direction, it may be specified as 'ne' among 'gi' and 'ne'. Can be.

도 9를 다시 참조하면, 제2블록(200)은 제1 가속도 정보로부터 제1블록(100)이 연직방향을 기준으로 90도만큼 회전되어 있다는 사실을 인지할 수 있고, 이로써 '기'와 '느' 중에서 '기'로 특정할 수 있다. 만약, 제1 가속도 정보로부터, 제1블록(100)이 연직방향을 기준으로 270도만큼 회전되어 있는 것으로 제2블록(200)이 인지하였다면 '기'와 '느' 중에서 '느'로 특정할 수 있다.Referring back to FIG. 9, the second block 200 may recognize from the first acceleration information that the first block 100 is rotated by 9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direction, whereby 'gi' and ' Can be specified as 'ki'. If the second block 200 recognizes from the first acceleration information that the first block 100 is rotated by 270 degrees based on the vertical direction, it may be specified as 'ne' among 'gi' and 'ne'. Can be.

따라서, 제2블록(200)은 제1블록(100)으로부터 수신된 제1 식별 정보, 제3 식별 정보 및 제1 가속도 정보, 및 제2 통신 장치(230)의 제2 식별 정보를 기초로 하여 하나의 음절을 특정할 수 있고, 소리로 변환하여 출력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second block 200 is based on the first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e third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first acceleration information, and the seco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230 received from the first block 100. One syllable can be specified, converted to sound, and output.

한편, 실시예에 따라서는, 제2블록(200)은 제2블록(200)의 제2 3차원 자세 측정 장치(250)로부터 측정된 가속도 정보(이하 '제2 가속도 정보'라 한다)와 상기 제1 가속도 정보를 비교하여, 연직방향을 기준으로 제2블록(200)에 대한 제1블록(100)의 상대적인 회전 정도를 인지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the second block 200 may include acceleration informa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second acceleration information') measured from the second three-dimensional attitude measuring device 250 of the second block 200. By comparing the first acceleration information, it is possible to recognize the relative degree of rotation of the first block 100 with respect to the second block 200 based on the vertical direction.

상기 인지 결과, 연직방향을 기준으로 제2블록(200)에 대한 제1블록(100)의 상대적인 회전 정도가 약 90도 또는 약 270도인 경우에는, 제2블록(200)은 제1블록(100) 및 제2블록(200)의 조합이 특정한 문자를 구성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즉, 제1블록(100)은 도 8에서와 같이 세워져 있고 제2블록(200)은 도 9에서와 같이 뉘어져 있는 경우에는, 제2블록(200)은 제1블록(100) 및 제2블록(200)의 조합이 특정한 문자를 구성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As a result of the recognition, when the relative degree of rotation of the first block 100 with respect to the second block 200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direction is about 90 degrees or about 270 degrees, the second block 200 is the first block 100. ) And the second block 200 do not constitute a specific character. That is, when the first block 100 is erected as shown in FIG. 8 and the second block 200 is divided as shown in FIG. 9, the second block 200 is the first block 100 and the second block.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 combination of blocks 200 does not constitute a particular character.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제1블록(100), 제2블록(200) 및 제5블록을 이용하여 문자를 특정하는 과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초성 역할을 하는 상기 제1블록(100), 중성 역할을 하는 상기 제2블록(200) 및 종성 역할을 하는 상기 제5블록을 이용하여, 초성, 중성 및 종성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하나의 음절을 특정하는 과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process of specifying a character using the first block 100, the second block 200, and the fifth block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Hereinafter, one using the first block 100 to act as a primary, the second block 200 to act as a neutral, and the fifth block to act as a final, one configured to include the initial, neutral, and final The process of specifying syllables of syllable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블록 세트는 한글 자모 블록 세트인 것을 가정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제1블록(100)은 한글 자음 'ㄱ'(혹은 한글 자음 'ㄴ')을 형상화한 블록이고, 상기 제2블록(200)은 한글 모음 'ㅣ'(혹은 한글 모음 'ㅡ')를 형상화한 블록이라고 가정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제5블록은 한글 자음 'ㅇ'을 형상화한 블록이라고 가정하기로 한다.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it is assumed that the block set is a Hangul alphabet block set. In addition, the first block 100 is a block in the form of a Hangul consonant 'ㄱ' (or Hangul consonant 'b'), and the second block 200 is a Hangul vowel 'ㅣ' (or Hangul vowel 'ㅡ'). Assume that is a shaped block. In addition, it is assumed that the fifth block is a block formed by the Hangul consonant 'O'.

제5블록은 제1블록(100)과 내부 구성이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제5블록에서 제1 통신 장치(130)에 대응하는 부분은 제6 통신 장치라 부르고, 제5블록의 제6 통신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신호에 포함되는 제1 식별 정보 및 제3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부분은 동일하게 각각 제1 식별 정보 및 제3 식별 정보라 부르기로 한다.The fifth block may have the same internal structure as the first block 100.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130 in the fifth block is called a sixth communication device and corresponds to the first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third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ixth communication device of the fifth block. The parts will be similarly referred to as first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ird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spectively.

제2블록(200)은 제1블록(100)으로부터 송신된 신호를 수신하여, 제3 식별 정보로부터 제1블록(100)이 어떠한 한글 자음을 형상화한 블록인지를 구분하여 인지할 수 있고, 제1 식별 정보로부터 제1블록(100)의 어떠한 제1 통신 장치(130)로부터 송신된 신호인지를 구분하여 인지할 수 있다. 또한, 제2블록(200)은 제2 식별 정보로부터 어떠한 제2 통신 장치(230)가 상기 신호를 수신하였는지를 구분하여 인지할 수 있고, 이로써 제2블록(200)에 대한 제1블록(100)의 상대적인 위치 및 상대적인 회전 정도를 인지할 수 있다.The second block 200 may receive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first block 100 and may recognize which Korean consonant is the block formed by the first block 100 from the third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may be distinguished from any first communication device 130 of the first block 100. In addition, the second block 200 may recognize which second communication device 230 has received the signal from the seco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ereby identifying the first block 100 with respect to the second block 200. The relative position of and the degree of rotation can be recognized.

또한, 제2블록(200)은 제5블록으로부터 송신된 신호를 수신하여, 제3 식별 정보로부터 제5블록이 어떠한 한글 자음을 형상화한 블록인지를 구분하여 인지할 수 있고, 제1 식별 정보로부터 제5블록의 어떠한 제6 통신 장치로부터 송신된 신호인지를 구분하여 인지할 수 있다. 또한, 제2블록(200)은 제2 식별 정보로부터 어떠한 제2 통신 장치(230)가 상기 신호를 수신하였는지를 구분하여 인지할 수 있고, 이로써 제2블록(200)에 대한 제5블록의 상대적인 위치 및 상대적인 회전 정도를 인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block 200 may receive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fifth block, and may recognize which Korean consonant is the block in which the fifth block is shaped from the third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y sixth communication device of the fifth block may be distinguished and recognized. In addition, the second block 200 may recognize which second communication device 230 has received the signal from the seco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ereby identifying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fifth block with respect to the second block 200. And relative degrees of rotation.

따라서 제2블록(200)은 제1블록(100)으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포함된 제1 식별 정보 및 제3 식별 정보, 제5블록으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포함된 제1 식별 정보 및 제3 식별 정보, 및 상기 신호들을 수신한 제2 통신 장치(230)의 제2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매핑 테이블로부터 검색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검색 결과, 제2블록(200)은 하나의 음절을 특정할 수 있고, 상기 특정된 음절을 소리로 변환하여 출력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second block 200 may include the first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third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signal received from the first block 100, the first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third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signal received from the fifth block. , And search from the mapping table by using the seco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230 that has received the signals. As a result of the search, the second block 200 may specify one syllable, and may convert the specified syllable into a sound and output the sound.

이상에서는 블록 세트에 대하여 적용하는 경우만을 예시하여 설명하였으나, 상기와 같이 한글의 자음 및 모음을 조합하여 하나의 문자를 특정하는 방법은 다양한 산업 분야에 걸쳐서 활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터 또는 이동 단말에서 한글을 입력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문자를 특정하여 입력할 수 있다.In the above description, only a case of applying to a block set has been described. However, the method of specifying one character by combining consonants and vowels of Korean characters as described above may be utilized in various industrial fields. For example, when a computer or a mobile terminal wants to input Korean, a character may be specified and input in the same manner as described above.

예를 들어, 컴퓨터 또는 이동 단말 등의 전자기기(이하 '전자기기'라 한다)에서 구동되는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이하 '프로그램'이라 한다) 상에서 한글을 입력하고자 하는 경우를 가정하기로 한다. 상기 한글 입력은, 전자기기의 사용자에 의해 이루어지거나 다른 전자기기 또는 다른 프로그램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한글 입력은, 2차원 또는 3차원 공간 상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For example, suppose that a user wants to input Korean characters on a program or an applica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program”) that is driven by an electronic device (hereinafter, referred to as an “electronic device”) such as a computer or a mobile terminal. The Hangul input may be made by a user of an electronic device or by another electronic device or another program. The Hangul input may be made in a two-dimensional or three-dimensional space.

먼저 전자기기는, 배치될 자음의 종류를 선택받을 수 있다. 다음으로, 전자기기는 선택된 자음이 배치될 2차원 또는 3차원 공간에서의 제1위치 및 제1 회전 정도를 입력받을 수 있다. 다음으로, 전자기기는 입력된 제1위치 및 제1 회전 정도에 따라 2차원 또는 3차원 공간에 자음을 배치하고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First, the electronic device may be selected a type of consonant to be arranged. Next, the electronic device may receive a first position and a first degree of rotation in a two-dimensional or three-dimensional space in which the selected consonant is to be arranged. Next, the electronic device may arrange and display consonants in a two-dimensional or three-dimensional space according to the input first position and the degree of first rotation.

다음으로, 전자기기는 배치될 모음의 종류를 선택받을 수 있다. 다음으로, 전자기기는 선택된 모음이 배치될 2차원 또는 3차원 공간에서의 제2위치 및 제2 회전 정도를 입력받을 수 있다. 다음으로, 전자기기는 입력된 제2위치 및 제2 회전 정도에 따라 2차원 또는 3차원 공간에 모음을 배치하고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Next, the electronic device may be selected a type of vowel to be arranged. Next, the electronic device may receive a second position and a second degree of rotation in a two-dimensional or three-dimensional space in which the selected vowel is to be placed. Next, the electronic device may arrange and display the vowel in a two-dimensional or three-dimensional space according to the input second position and the degree of rotation.

다음으로, 전자기기는 제1위치 및 제2위치를 기초로 하여 배치된 모음에 대한 배치된 자음의 상대적인 위치를 계산할 수 있다. 또는, 전자기기는 제1위치 및 제2위치를 기초로 하여 배치된 자음에 대한 배치된 모음의 상대적인 위치를 계산할 수 있다. 또한, 전자기기는 제1 회전 정도 및 제2 회전 정도를 기초로 하여 배치된 모음에 대한 배치된 자음의 상대적인 회전 정도를 계산할 수 있다. 또는, 전자기기는 제1 회전 정도 및 제2 회전 정도를 기초로 하여 배치된 자음에 대한 배치된 모음의 상대적인 회전 정도를 계산할 수 있다.Next, the electronic device may calculate a relative position of the arranged consonants with respect to the arranged vowels based on the first position and the second position. Alternatively, the electronic device may calculate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arranged vowels with respect to the arranged consonants based on the first position and the second position. In addition, the electronic device may calculate a relative degree of rotation of the arranged consonants with respect to the arranged vowels based on the first degree of rotation and the second degree of rotation. Alternatively, the electronic device may calculate a degree of rotation of the arranged vowels relative to the arranged consonants based on the first degree of rotation and the second degree of rotation.

다음으로, 전자기기는 자음의 종류, 모음의 종류 및 상기 계산된 결과를 기초로 하여 매핑 테이블에서 검색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매핑 테이블에는 자음의 종류, 모음의 종류, 배치된 자음과 모음간의 상대적인 위치 및 상대적인 회전 정도에 대응하는 문자에 대해 미리 정의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검색 결과, 전자기기는 하나의 문자를 특정할 수 있다.Next, the electronic device may perform a search in the mapping table based on the type of consonant, the type of vowel, and the calculated result. The mapping table may be defined in advance with respect to a character corresponding to the type of consonant, the type of vowel, the relative position between the arranged consonants and the vowel, and the degree of relative rotation. As a result of the search, the electronic device may specify one letter.

다음으로, 전자기기는 상기 특정된 문자를 소리로 변환하여 출력할 수 있다.Next, the electronic device may convert the specified text into sound and output the sound.

실시예에 따라서는, 상기 자음 또는 상기 모음은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서브 유닛이 서로 인접하여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구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consonant or the vowel may be configured by having at least two or more sub-units arranged adjacent to each other.

실시예에 따라서는, 전자기기는 3차원 공간 상에 배치된 상기 자음의 기울기 정보 및 3차원 공간 상에 배치된 상기 모음의 기울기 정보를 더 이용하여 하나의 문자를 특정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electronic device may further specify one character by using inclination information of the consonants arranged in the three-dimensional space and inclination information of the vowels arranged in the three-dimensional space.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Although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merely an exampl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appreciate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applications are not possible. For example, each component specifically shown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dified. It is to be understood that all changes and modifications that come within the meaning and range of equivalency of the claims are therefore intended to be embraced therein.

100 : 제1블록
110 : 제1전원부
120 : 제1프로세서
130 : 제1 통신 장치
140 : 제1 탈착 결합부
150 : 제1 3차원 자세 측정 장치
200 : 제2블록
210 : 제2전원부
220 : 제2프로세서
230 : 제2 통신 장치
240 : 제2 탈착 결합부
250 : 제2 3차원 자세 측정 장치
260 : 메모리
270 : 소리 변환부
280 : 소리 출력 장치
100: first block
110: first power supply unit
120: first processor
130: first communication device
140: first removable coupling portion
150: first three-dimensional attitude measuring device
200: second block
210: second power supply
220: second processor
230: second communication device
240: second detachable coupling portion
250: second three-dimensional attitude measuring device
260: memory
270 sound conversion unit
280: sound output device

Claims (44)

제1 통신 장치를 포함하는 제1블록; 및
상기 제1 통신 장치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수신하는 제2 통신 장치를 포함하는 제2블록
을 포함하고,
상기 제2블록은 상기 수신된 신호의 세기 및 종류를 기초로 하여 상기 제2블록에 대한 상기 제1블록의 상대적인 위치 또는 상대적인 회전 정도를 인지하고,
상기 제2블록은 상기 제1블록의 상기 상대적인 위치 또는 상기 상대적인 회전 정도를 이용하여 적어도 둘 이상의 서로 다른 후보 값 중에서 어느 하나의 값을 인식하는 블록 세트.
A first block comprising a first communication device; And
A second block including a second communication device to receive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 RTI >
The second block recognizes the relative position or relative degree of rotation of the first block relative to the second block based on the strength and type of the received signal,
And the second block recognizes any one of at least two different candidate values us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relative degree of rotation of the first block.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블록은,
상기 인식된 값 또는 상기 인식된 값에 대응하는 정보를 전송하는 제3 통신 장치를 더 포함하는 블록 세트.
The method of claim 1,
The second block is,
And a third communication device for transmitting the recognized value or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recognized valu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블록은,
상기 인식된 값 또는 상기 인식된 값에 대응하는 정보를 소리로 변환하는 소리 변환부를 더 포함하는 블록 세트.
The method of claim 1,
The second block is,
And a sound converting unit converting the recognized value or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recognized value into sound.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블록은,
상기 소리 변환부에서 변환된 소리를 출력하는 소리 출력 장치를 더 포함하는 블록 세트.
The method of claim 5,
The second block is,
And a sound output device for outputting the sound converted by the sound conversion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 장치는 적외선 발광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통신 장치는 광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블록 세트.
The method of claim 1,
And said first communication device comprises an infrared light emitting element and said second communication device comprises a photo transisto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블록은,
상기 제1 통신 장치를 제어하는 제1프로세서; 및
전원을 공급하는 제1전원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블록은,
상기 제2 통신 장치를 제어하는 제2프로세서; 및
전원을 공급하는 제2 전원부
를 더 포함하는 블록 세트.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block,
A first processor controlling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And
First power supply for supplying power
Further comprising:
The second block is,
A second processor controlling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And
Second power supply unit for supplying power
Block set including mor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 장치와 통신하는 제3 통신 장치를 포함하는 제3블록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블록은 제1 탈착 결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블록은 상기 제1 탈착 결합부와 대응하여 결합되는 제2 탈착 결합부를 더 포함하는 블록 세트.
The method of claim 1,
And a third block comprising a third communication device in communication with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The first block further includes a first detachable coupler, and the third block further comprises a second detachable coupler coupled correspondingly to the first detachable coupl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통신 장치와 통신하는 제3 통신 장치를 포함하는 제3블록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블록은 제1 탈착 결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블록은 상기 제1 탈착 결합부와 대응하여 결합되는 제2 탈착 결합부를 더 포함하는 블록 세트.
The method of claim 1,
And a third block comprising a third communication device in communication with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The second block further includes a first detachable coupler, and the third block further comprises a second detachable coupler coupled correspondingly to the first detachable coupler.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탈착 결합부 및 상기 제2 탈착 결합부는 자석을 포함하는 블록 세트.
11.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9 or 10,
The first detachable coupling portion and the second removable coupling portion block set comprising a magne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블록은 제1 3차원 자세 측정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통신 장치는 상기 제1 3차원 자세 측정 장치로부터 측정된 정보에 대응되는 신호를 더 전송하고, 상기 제2블록은 상기 수신된 신호를 기초로 하여 연직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블록의 회전 정도를 더 인지하는 블록 세트.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block further includes a first three-dimensional attitude measuring device,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further transmits a signal corresponding to the information measured from the first three-dimensional attitude measuring device, and the second block is based on the received signal based o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first block. A block set that knows more about the degree of rotation.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블록은 제2 3차원 자세 측정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블록은 상기 수신된 신호 및 상기 제2 3차원 자세 측정 장치로부터 측정된 정보를 기초로 하여 연직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2블록에 대한 상기 제1블록의 상대적인 회전 정도를 더 인지하는 블록 세트.
The method of claim 12,
The second block further includes a second three-dimensional attitude measuring device,
The second block is a block that further recognizes a relative degree of rotation of the first block relative to the second block based on the vertical direction based on the received signal and the information measured from the second three-dimensional attitude measuring apparatus. se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블록은 3차원 자세 측정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블록은 상기 3차원 자세 측정 장치로부터 측정된 정보를 기초로 하여 연직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2블록의 회전 정도를 더 인지하는 블록 세트.
The method of claim 1,
The second block further includes a three-dimensional attitude measuring device,
The second block is a block set that further recognizes the degree of rotation of the second block based on the vertical direction based on the information measured from the three-dimensional attitude measuring device.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통신 장치를 포함하는 제1 통신 장치군을 포함하는 자음 블록; 및
상기 제1 통신 장치군으로부터 송신된 신호를 수신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통신 장치를 포함하는 제2 통신 장치군을 포함하는 모음 블록
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통신 장치군에 포함된 각각의 상기 제1 통신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각각의 상기 신호는 각각의 상기 제1 통신 장치마다 서로 다른 제1 식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통신 장치군에 포함된 각각의 상기 제2 통신 장치는 서로 다른 제2 식별 정보를 갖는 모음 블록
을 포함하는 한글 블록 세트.
A consonant block including a first group of communication devices including at least one first communication device; And
A collection block comprising a second communication device group including at least on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for receiving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group.
/ RTI >
Each of the signals transmitted from each of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s included in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group includes different first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each of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s, and is included in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group. Each said second communication device has a different collection of seco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Hangul block set comprising a.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자음 블록은 서로 결합되거나 서로 인접하여 배치되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자음 서브 블록을 포함하는 한글 블록 세트.
16. The method of claim 15,
The consonant block set includes at least two consonant sub-blocks coupled to or adjacent to each other.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모음 블록은 서로 결합되거나 서로 인접하여 배치되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모음 서브 블록을 포함하는 한글 블록 세트.
16. The method of claim 15,
And the vowel block includes at least two vowel subblocks coupled to or adjacent to each other.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모음 블록은, 상기 수신된 신호에 포함된 상기 제1 식별 정보 및 상기 신호를 수신한 상기 제2 통신 장치의 상기 제2 식별 정보를 기초로 하여 상기 자음 블록의 상대적인 위치 및 상대적인 회전 정도를 인지하는 한글 블록 세트.
16. The method of claim 15,
The vowel block recognizes a relative position and relative degree of rotation of the consonant block based on the first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received signal and the seco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that has received the signal. Hangul block set.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모음 블록은, 상기 제1 식별 정보 및 상기 제2 식별 정보에 따라 적어도 둘 이상의 음절을 특정 가능하고, 상기 수신된 신호에 포함된 상기 제1 식별 정보 및 상기 신호를 수신한 상기 제2 통신 장치의 상기 제2 식별 정보를 기초로 하여 하나의 음절을 특정하는 한글 블록 세트.
16. The method of claim 15,
The vowel block may specify at least two syllables according to the first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seco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that has received the first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signal included in the received signal. A Hangul block set that specifies one syllable based on the seco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모음 블록은, 상기 특정된 음절을 소리로 변환하는 소리 변환부 및 상기 소리 변환부에서 변환된 소리를 출력하는 소리 출력 장치를 더 포함하는 한글 블록 세트.
20. The method of claim 19,
The vowel block further comprises a sound converting unit for converting the specified syllables into sounds and a sound output device for outputting the sound converted by the sound converting unit.
제15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자음 블록을 포함하는 자음 블록군을 포함하고, 상기 자음 블록군에 포함된 각각의 자음 블록의 상기 제1 통신 장치군으로부터 송신되는 상기 신호는 각각의 상기 자음 블록마다 서로 다른 제3 식별 정보를 더 포함하는 한글 블록 세트.
16. The method of claim 15,
A third consonant block group including at least one consonant block, wherein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group of each consonant block included in the consonant block group is different from each other by the consonant block; A Hangul block set that further contains identifying information.
제21항에 있어서,
제1 탈착 결합부를 포함하는 결합 블록
을 더 포함하고,
상기 자음 블록은 상기 제1 탈착 결합부와 대응되어 결합되는 제2 탈착 결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탈착 결합부 및 상기 제2 탈착 결합부의 결합으로써 상기 결합 블록 및 상기 자음 블록이 결합되면 상기 자음 블록의 상기 제1 통신 장치군으로부터 송신되는 상기 신호에 포함되는 상기 제3 식별 정보는 다른 값으로 갱신되는 한글 블록 세트.
The method of claim 21,
Coupling block comprising a first removable coupling
Further comprising:
The consonant block further includes a second detachable coupler coupled to correspond to the first detachable coupler, and when the coupling block and the consonant block are coupled by combining the first detachable coupler and the second detachable coupler, And the third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group of the consonant block is updated with a different value.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모음 블록은, 상기 제1 식별 정보, 상기 제2 식별 정보 및 상기 제3 식별 정보에 따라 적어도 둘 이상의 음절을 특정 가능하고, 상기 수신된 신호에 포함된 상기 제1 식별 정보 및 상기 제3 식별 정보, 및 상기 신호를 수신한 상기 제2 통신 장치의 상기 제2 식별 정보를 기초로 하여 하나의 음절을 특정하는 한글 블록 세트.
The method of claim 21,
The vowel block may specify at least two syllables according to the first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e seco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third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first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third identification included in the received signal. A Hangul block set that specifies one syllable based on information and the seco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that has received the signal.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모음 블록은, 상기 특정된 음절을 소리로 변환하는 소리 변환부를 더 포함하는 한글 블록 세트.
24. The method of claim 23,
The vowel block further comprises a sound converting unit for converting the specified syllables into sounds.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모음 블록은, 상기 소리 변환부에서 변환된 소리를 출력하는 소리 출력 장치를 더 포함하는 한글 블록 세트.
25. The method of claim 24,
The vowel block further includes a sound output device for outputting a sound converted by the sound converter.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자음 블록은 제1 3차원 자세 측정 장치를 더 포함하고, 각각의 상기 제1 통신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각각의 상기 신호는 상기 제1 3차원 자세 측정 장치로부터 측정된 제1 가속도 정보를 더 포함하는 한글 블록 세트.
16. The method of claim 15,
The consonant block further includes a first three-dimensional attitude measuring device, and each of the signals transmitted from each of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s further includes first acceleration information measured from the first three-dimensional attitude measuring device. Hangul block set.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모음 블록은 제2 3차원 자세 측정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모음 블록은 상기 제1 식별 정보, 상기 제2 식별 정보, 상기 제1 가속도 정보 및 상기 제2 3차원 자세 측정 장치로부터 측정된 제2 가속도 정보에 따라 적어도 둘 이상의 음절을 특정 가능하고, 상기 모음 블록은 상기 수신된 신호에 포함된 상기 제1 식별 정보 및 상기 제1 가속도 정보, 상기 신호를 수신한 상기 제2 통신 장치의 상기 제2 식별 정보, 및 상기 제2 가속도 정보를 기초로 하여 하나의 음절을 특정하는 한글 블록 세트.
The method of claim 26,
The vowel block further includes a second three-dimensional attitude measuring device, wherein the vowel block includes a first measured information measured from the first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e seco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e first acceleration information, and the second three-dimensional attitude measuring device. At least two syllables may be specified according to the acceleration information, and the vowel block may include the first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first acceler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received signal,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receiving the signal. 2. A Hangul block set that specifies one syllable based 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second acceleration information.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모음 블록은, 상기 특정된 음절을 소리로 변환하는 소리 변환부 및 상기 소리 변환부에서 변환된 소리를 출력하는 소리 출력 장치를 더 포함하는 한글 블록 세트.
28. The method of claim 27,
The vowel block further comprises a sound converting unit for converting the specified syllables into sounds and a sound output device for outputting the sound converted by the sound converting unit.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자음 블록은 한글 자음 'ㄱ'을 형상화한 블록이고, 상기 모음 블록은 한글 모음 'ㅏ'를 형상화한 블록이고, 상기 모음 블록은 상기 수신된 신호에 포함된 상기 제1 식별 정보 및 상기 신호를 수신한 상기 제2 통신 장치의 상기 제2 식별 정보를 기초로 하여 '가', '거', '고', '구', '나', '너', '노' 또는 '누' 중에서 어느 하나의 음절을 특정하고, 상기 모음 블록은 상기 특정된 음절을 소리로 변환하는 소리 변환부를 더 포함하는 한글 블록 세트.
16. The method of claim 15,
The consonant block is a block in the form of a Hangul consonant 'a', the vowel block is a block in the form of a Hangul vowel 'ㅏ', and the vowel block includes the first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signal included in the received signal. Based on the received seco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any one of 'a', 'almost', 'high', 'old', 'me', 'you', 'no' or 'nu' Specifying one syllable, and the vowel block further includes a sound converting unit converting the specified syllable into sounds.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모음 블록은,
한글 모음 'ㅣ'를 형상화한 블록; 및
상기 모음 블록이 상기 한글 모음 'ㅏ'의 형상을 갖도록 상기 한글 모음 'ㅣ'를 형상화한 블록의 가운데 부분에 배치되는 '.'을 형상화한 블록
을 포함하는 한글 블록 세트.
30. The method of claim 29,
The vowel block,
A block representing the Hangul vowel 'ㅣ'; And
Block shaped '.' Disposed at the center of the block forming the Hangul vowel 'ㅣ' so that the vowel block has a shape of the Hangul vowel 'ㅏ'
Hangul block set comprising a.
제1 통신 장치를 포함하고, 한글 자음 'ㄱ'을 형상화한 자음 블록; 및
상기 제1 통신 장치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수신하는 제2 통신 장치 및 특정된 음절을 소리로 변환하는 소리 변환부를 포함하고, 한글 모음 'ㅏ'를 형상화한 모음 블록
을 포함하고,
상기 모음 블록은 상기 수신된 신호를 기초로 하여 상기 자음 블록의 상대적인 위치 및 상대적인 회전 정도를 인지하고, 상기 모음 블록은 상기 상대적인 위치 및 상기 상대적인 회전 정도에 따라 '가', '거', '고', '구', '나', '너', '노' 또는 '누' 중에서 어느 하나의 음절을 특정하고, 상기 소리 변환부는 상기 상대적인 위치 및 상기 상대적인 회전 정도에 따라 특정된 상기 음절을 소리로 변환하는 한글 블록 세트.
A consonant block comprising a first communication device and shaped a Hangul consonant 'ㄱ'; And
A vowel block, comprising a second communication device for receiving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and a sound converting unit for converting a specified syllable into sounds, comprising a Hangul vowel 'ㅏ'.
/ RTI >
The vowel block recognizes the relative position and the relative degree of rotation of the consonant block based on the received signal, and the vowel block is based on the relative position and the relative degree of rotation. Specifies a syllable of any one of ',''','me','you','no' or 'nu', and the sound converting unit sounds the syllable specified according to the relative position and the relative degree of rotation. Hangul block set to convert to.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통신 장치를 포함하는 제1 통신 장치군을 포함하는 초성 블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통신 장치를 포함하는 제2 통신 장치군을 포함하는 종성 블록; 및
상기 제1 통신 장치군으로부터 송신된 제1신호 및 상기 제2 통신 장치군으로부터 송신된 제2신호를 수신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3 통신 장치를 포함하는 제3 통신 장치군을 포함하는 중성 블록
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통신 장치군에 포함된 각각의 상기 제1 통신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각각의 상기 제1신호는 각각의 상기 제1 통신 장치마다 서로 다른 제1 식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통신 장치군에 포함된 각각의 상기 제2 통신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각각의 상기 제2신호는 각각의 상기 제2 통신 장치마다 서로 다른 제2 식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3 통신 장치군에 포함된 각각의 상기 제3 통신 장치는 서로 다른 제3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한글 블록 세트.
An initial block including a first group of communication devices including at least one first communication device;
A terminal block comprising a second group of communication devices including at least on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And
A neutral block including a third communication device group including at least one third communication device for receiving a first signal transmitted from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group and a second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group
/ RTI >
Each of the first signals transmitted from each of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s included in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 group includes different first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each of the first communication devices,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group. Each of the second signals transmitted from each of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s included in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 includes different seco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each of the second communication devices, and each of the second signals included in the third communication device group. And the third communication device comprises different third identification information.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중성 블록은 상기 수신된 제1신호에 포함된 상기 제1 식별 정보 및 상기 제1신호를 수신한 상기 제3 통신 장치의 상기 제3 식별 정보를 기초로 하여 상기 초성 블록의 상대적인 위치 및 상대적인 회전 정도를 인지하고, 상기 중성 블록은 상기 수신된 제2신호에 포함된 상기 제2 식별 정보 및 상기 제2신호를 수신한 상기 제3 통신 장치의 상기 제3 식별 정보를 기초로 하여 상기 종성 블록의 상대적인 위치 및 상대적인 회전 정도를 인지하는 한글 블록 세트.
33. The method of claim 32,
The neutral block has a relative position and relative rotation of the initial block based on the first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received first signal and the third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third communication device that has received the first signal. Recognizing a degree, the neutral block is based on the seco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received second signal and the third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third communication device receiving the second signal. A set of Hangul blocks that recognize relative position and relative degree of rotation.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중성 블록은, 상기 제1 식별 정보, 상기 제2 식별 정보 및 상기 제3 식별 정보에 따라 적어도 둘 이상의 음절을 특정 가능하고, 상기 수신된 제1신호에 포함된 상기 제1 식별 정보, 상기 제1신호를 수신한 상기 제3 통신 장치의 상기 제3 식별 정보, 상기 수신된 제2신호에 포함된 상기 제2 식별 정보 및 상기 제2신호를 수신한 상기 제3 통신 장치의 상기 제3 식별 정보를 기초로 하여 하나의 음절을 특정하는 한글 블록 세트.
33. The method of claim 32,
The neutral block may specify at least two syllables according to the first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e seco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third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first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first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received first signal. The third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third communication device receiving the first signal, the seco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received second signal, and the third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third communication device receiving the second signal. A set of Hangul blocks that specify one syllable based on.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중성 블록은, 상기 특정된 음절을 소리로 변환하는 소리 변환부 및 상기 소리 변환부에서 변환된 소리를 출력하는 소리 출력 장치를 더 포함하는 한글 블록 세트.
35. The method of claim 34,
The neutral block may further include a sound converter for converting the specified syllables into sounds, and a sound output device for outputting the sound converted by the sound converter.
자음 및 모음을 배치하여 하나의 음절을 특정하는 한글 입력 방법에 있어서,
2차원 또는 3차원 공간에서의 제1위치 및 제1 회전 정도를 입력받고, 입력된 상기 제1위치 및 상기 제1 회전 정도에 따라 상기 2차원 또는 3차원 공간에 상기 자음을 배치하고 화면에 표시하는 자음 배치 단계;
2차원 또는 3차원 공간에서의 제2위치 및 제2 회전 정도를 입력받고, 입력된 상기 제2위치 및 상기 제2 회전 정도에 따라 상기 2차원 또는 3차원 공간에 상기 모음을 배치하고 상기 화면에 표시하는 모음 배치 단계;
상기 제1위치 및 상기 제2위치를 기초로 하여 상기 배치된 자음과 상기 배치된 모음간의 상대적인 위치를 계산하고, 상기 제1 회전 정도 및 상기 제2 회전 정도를 기초로 하여 상기 배치된 자음과 상기 배치된 모음간의 상대적인 회전 정도를 계산하는 계산 단계;
계산된 상기 상대적인 위치 및 상기 상대적인 회전 정도를 기초로 하여 하나의 음절을 특정하는 특정 단계
를 포함하는 한글 입력 방법.
In the Hangul input method for specifying one syllable by arranging consonants and vowels,
The first position and the first degree of rotation in a two-dimensional or three-dimensional space are input, and the consonants are displayed on the screen in the two-dimensional or three-dimensional space according to the input first position and the first degree of rotation. Consonant arrangement step;
Receiving the second position and the second degree of rotation in a two-dimensional or three-dimensional space, and placing the vowel in the two-dimensional or three-dimensional space according to the input second position and the second degree of rotation and Displaying a collection arrangement step;
Calculate a relative position between the arranged consonant and the arranged vowel based on the first position and the second position, and the arranged consonant and the based on the first degree of rotation and the second degree of rotation Calculating a relative degree of rotation between the arranged vowels;
Specifying a syllable based on the calculated relative position and the relative degree of rotation
Hangul input method comprising a.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자음 배치 단계는, 배치할 상기 자음의 종류를 더 입력받고, 상기 입력된 종류의 자음을 입력된 상기 제1위치 및 상기 제1 회전 정도에 따라 상기 2차원 또는 3차원 공간에 배치하고 상기 화면에 표시하는 한글 입력 방법.
37. The method of claim 36,
The consonant arrangement step may further include receiving a type of the consonant to be arranged, and placing the consonant in the two-dimensional or three-dimensional space according to the first position and the degree of rotation of the input consonant. Hangul input method displayed in.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모음 배치 단계는, 배치할 상기 모음의 종류를 더 입력받고, 상기 입력된 종류의 모음을 입력된 상기 제2위치 및 상기 제2 회전 정도에 따라 상기 2차원 또는 3차원 공간에 배치하고 상기 화면에 표시하는 한글 입력 방법.
37. The method of claim 36,
In the vowel arrangement step, the type of the vowel to be arranged is further input, and the vowel of the type is arranged in the two-dimensional or three-dimensional space according to the input second position and the second degree of rotation, and the screen is arranged. Hangul input method displayed in.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자음은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서브 유닛이 서로 인접하여 배치됨으로써 구성되는 한글 입력 방법.
37. The method of claim 36,
And the consonant is composed of at least two sub-units arranged adjacent to each other.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모음은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서브 유닛이 서로 인접하여 배치됨으로써 구성되는 한글 입력 방법.
37. The method of claim 36,
And the vowel is composed of at least two sub-units arranged adjacent to each other.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단계는, 상기 3차원 공간 상에 배치된 상기 자음의 기울기 정보 및 상기 3차원 공간 상에 배치된 상기 모음의 기울기 정보를 더 이용하여 하나의 음절을 특정하는 한글 입력 방법.
37. The method of claim 36,
The specifying step may further include specifying a syllable by further using gradient information of the consonants arranged in the 3D space and gradient information of the vowel arranged in the 3D space.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자음은 한글 자음 'ㄱ'의 형상을 갖고, 상기 모음은 한글 모음 'ㅏ'의 형상을 갖고, 상기 특정 단계에서 특정되는 상기 음절은 '가', '거', '고', '구', '나', '너', '노' 또는 '누' 중에서 어느 하나인 한글 입력 방법.
37. The method of claim 36,
The consonants have the shape of the Hangul consonant 'ㄱ', the vowels have the shape of the Hangul vowel 'ㅏ', and the syllables specified in the specific step are 'ga', 'geo', 'high', 'gu' Hangul input method, which can be one of 'Me', 'You', 'No' or 'Nu'.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된 음절을 소리로 출력하는 출력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한글 입력 방법.
37. The method of claim 36,
An output step of outputting the specified syllable as sound
Hangul input method comprising more.
제36항 내지 제4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한글 입력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having recorded thereon a program for executing a Hangul input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36 to 43.
KR1020110147696A 2011-12-30 2011-12-30 Block set, korean alphabet block set, korean character input method and recording medium KR10129533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7696A KR101295335B1 (en) 2011-12-30 2011-12-30 Block set, korean alphabet block set, korean character input method and recording mediu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7696A KR101295335B1 (en) 2011-12-30 2011-12-30 Block set, korean alphabet block set, korean character input method and recording mediu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9780A KR20130089780A (en) 2013-08-13
KR101295335B1 true KR101295335B1 (en) 2013-09-12

Family

ID=492155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47696A KR101295335B1 (en) 2011-12-30 2011-12-30 Block set, korean alphabet block set, korean character input method and recording mediu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5335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14530A1 (en) * 2015-07-20 2017-01-26 이준희 Block toy having topology recognition function and content providing system using same
KR102482445B1 (en) * 2020-11-11 2022-12-29 주식회사 위키즈 Alphabet block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for use in education of alphabe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88533A (en) * 1990-06-01 1993-02-23 Wood Michael C Speech synthesizing indicia for interactive learning
KR20060107438A (en) * 2006-08-28 2006-10-13 배봉규 A learning toy with built in synthetic voice and infrared data acces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88533A (en) * 1990-06-01 1993-02-23 Wood Michael C Speech synthesizing indicia for interactive learning
US5188533B1 (en) * 1990-06-01 1997-09-09 Leapfrog Rbt Llc Speech synthesizing indicia for interactive learning
KR20060107438A (en) * 2006-08-28 2006-10-13 배봉규 A learning toy with built in synthetic voice and infrared data acces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9780A (en) 2013-08-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8444B1 (en) Apparatus for recognizing blocks and method for recognizing blocks
KR101713085B1 (en) Contents providing system by smart block
KR100940299B1 (en) Educational Toy For Outputting Combination Information
CN205055346U (en) Ball
US20220139257A9 (en) Tactile and visual display with paired and active stylus with means and methods
KR101295335B1 (en) Block set, korean alphabet block set, korean character input method and recording medium
CN106297434A (en) A kind of intelligent infant educational system and operational approach thereof
CN103295432A (en) Touch and read story telling machine
KR101754483B1 (en) Sender module and method of terminal apparatus with linked to the sender module
KR20160026522A (en) Assembly toys
CN106781725A (en) Rotary assembled pinyin learning toy
US10573027B2 (en) Device and method for digital painting
CN102663906A (en) Omnibearing interactive wireless teaching system
KR101734987B1 (en) Robot controller for the infantile education and operating method
KR101988835B1 (en) Cube mouse
CN103223250A (en) Magic wand, marking device and method and system for identifying and searching object
CN203055212U (en) Multimedia teaching system based on Bluetooth
CN200990154Y (en) Requested reading sounding digital educatinal appliance
KR20140093553A (en) Learning pen equipped with playing function for audio and video
JP5385983B2 (en) A plurality of body parts, each having a processor and a plurality of body parts, wherein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visualizations can be formed on at least one surface using a plurality of outer surfaces of different body parts; Base station with visualization on the outer surface of the
US11392392B2 (en) Plug and play module assembly and plug and play system
CN107393350A (en) The teaching aid and programming teaching aid of multi-faceted simplified programming learning process
KR101407594B1 (en) Appratus for providing educational contents,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ents thereof
KR102064078B1 (en) 3D educational system using Braille Toys
CN202662176U (en) Omnibearing interactive wired teach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