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1814B1 - System for managing facilities in real time - Google Patents

System for managing facilities in real ti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1814B1
KR101291814B1 KR1020130019268A KR20130019268A KR101291814B1 KR 101291814 B1 KR101291814 B1 KR 101291814B1 KR 1020130019268 A KR1020130019268 A KR 1020130019268A KR 20130019268 A KR20130019268 A KR 20130019268A KR 101291814 B1 KR101291814 B1 KR 1012918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cility
management server
unit
network
che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926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황경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미션소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미션소프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미션소프트
Priority to KR10201300192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1814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18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181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06Q50/265Personal security, identity or safe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30/00Character recognition; Recognising digital ink; Document-oriented image-based pattern recognition
    • G06V30/10Character recognition
    • G06V30/22Character recogni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writing
    • G06V30/224Character recogni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writing of printed characters having additional code marks or containing code marks

Abstract

PURPOSE: A real-time facility management system manages a facility in real time by employing quick response codes or near field communication tags installed across the entire facility in inspecting the current status of the facility and receiving the inspection results from them. CONSTITUTION: A facility management server (100) comprehensively controls a management process of a facility. The facility management server stores the result of a multi-item inspection of the facility. A manager device (200) is informed about the inspection with multiple items and inspects the facility to identify its current status. The manager device transmits the result of the multi-item inspection of the facility to the facility management server in real time. [Reference numerals] (100) Facility management server; (200) Manager device; (300) User device; (AA) Network

Description

실시간 시설물 관리 시스템 {System for managing facilities in real time}System for managing facilities in real time}

본 발명은 실시간 시설물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관리하고자 하는 시설물에 QR 코드(Quick Response Code), NFC 태그(Near Field Communication Tag)를 미리 구비해두거나, 시설물의 위치 정보를 표시해둠으로써 관리자가 구비하고 있는 단말기를 이용하여 QR 코드를 스캔하거나, NFC 태그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거나, 직접 시설물의 위치 정보를 입력하여 시설물의 관리를 위한 현황 점검 항목을 전달받아 실시간으로 시설물을 신속하게 관리할 수 있는 실시간 시설물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al-time facility management system, and more specifically, by providing a QR code (Quick Response Code), NFC tag (Near Field Communication Tag) to the facility to be managed in advance, or by display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facility Using the terminal provided by the administrator to scan a QR code, perform near field communication with NFC tags, or directly enter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facility, and receive the status check items for the management of the facility. It relates to a real-time facility management system that can be managed.

최근들어 각종 시설물의 사후관리의 중요성이 대두되면서 시설 현황에 대한 점검 실태를 의무적으로 기록하는 것을 주택관리법 등의 관련법으로 제정되고 있다.Recently, as the importance of the follow-up management of various facilities has emerged, mandatory recording of the inspection status of facilities has been enacted in related laws such as the Housing Management Act.

그러나,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시설물의 관리 방법은, 사업시행사, 건축시공가, 시설운영사, 주무관청, 관리사무소, 평가위원회, 각종 용역업체 등의 많은 이해관계자별로 통합하지 못하고, 초기에 수행되던 관리 방법과 관리 기술, 즉, 직접 수기로 일일이 기록함으로써 관리비용과 사회적 간접비용이 증가되고 있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국내의 부동산 및 시설물 관리 시장이 개방되면서 외국의 부동산 관리업체 등은 글로벌 자본과 기술적 우위를 바탕으로 빠른 속도로 관리 영역의 확대를 추진하고 있으나, 국내의 부동산 및 시설물 관리 시장은 과다한 경쟁과 영세성으로 인하여 관리 운영의 기술적 개발이 절실하게 필요한 실정이다.
However, the current management methods of facilities are not integrated by many stakeholders such as project operators, builders, facility operators, competent authorities, management offices, evaluation committees, and various service providers. There is a problem in that management costs, that is, direct management by hand, manual management and social overhead costs are increasing. In particular, with the opening of the domestic real estate and facility management market, foreign real estate managers are rapidly expanding the scope of management based on global capital and technological superiority. Therefore, technical development of management operation is urgently needed.

일반적으로 인터넷(Internet)은 전세계 어디서나, 누구나 접속하고자 하는 상대편 컴퓨터에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등의 공통의 프로토콜을 적용하여 자유롭게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개방형 네트워크이며, 이를 토대로 기본적인 문자 정보의 전달은 물론 압축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멀티미디어 정보의 전달에 이용되는 등, 다양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In general, the Internet is an open network that can be connected and used freely by applying a common protocol such as TCP / IP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 Internet Protocol) to a computer that anyone wants to access anywhere in the world. As well as the transmission of text information, various services are available, such as the use of multimedia information with the development of compression technology.

이를 시설물 관리에 이용함으로써, 인터넷 디지털정보화 시대에 발맞추어 시설물의 관리에 있어서, 경제적, 과학적 전문성과 다양한 통합 정보 서비스 등을 기대하고 있다.
By using it for facility management, we expect economic and scientific expertise and various integrated information services in the management of facilities in line with the era of Internet digital information.

국내공개특허 제2004-0041340호 ("피디에이를 이용한 광고물/시설물 관리 시스템 및 그 관리 방법", 이하 선행문헌 1)에서는 각 도시에 무분별하게 설치되어 있는 간판 등의 옥외 광고물을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손쉽게 관리하고, 불법으로 설치하는 광고물을 바로 적발할 수 있도록 하여 무분별한 광고물의 설치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PDA를 이용한 광고물/시설물 관리 시스템 및 그 관리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04-0041340 (“Advertisement / Facility Management System and Management Method Using PDA”, hereinafter, Prior Art 1), outdoor advertisements such as signboards installed in each city indiscriminately by using a network.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n advertisement / facility management system using a PDA and a method of managing the same, which can be easily managed and directly detect illegally installed advertisements, thereby preventing indiscriminate installation of advertisements.

그러나, 선행문헌 1의 경우, 반드시 PDA를 통해서만 광고물/시설물 관리가 가능하며, 최근에 널리 이용되고 있는 QR 코드나 NFC 태그는 전혀 인식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case of Prior Art 1, it is possible to manage advertisements / facilities only through PDA, and there is a problem that QR codes or NFC tags which are widely used recently are not recognized at all.

또한, 관리자의 입장에서만 광고물/시설물 관리가 가능할 뿐, 사용자의 입장에서 시설물을 이용함에 있어서 발생하는 다양한 문제점이나, 불편사항 등의 민원정보를 전달하여 이를 토대로 실시간으로 광고물/시설물 관리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manage advertisements / facilities only from the manager's point of view, and delivers complaint information such as various problems or inconveniences in using the facilities from the user's point of view, and manages advertisements / facilities in real time based on this. It is impossible to lose.

국내공개특허 제10-2004-0041340호 (공개일자 2004.05.17.)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4-0041340 (published date 2004.05.17.)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관리하고자 하는 시설물에 QR 코드(Quick Response Code), NFC 태그(Near Field Communication Tag)를 미리 구비해두거나, 시설물의 위치 정보를 표시해둠으로써 관리자가 구비하고 있는 단말기를 이용하여 QR 코드를 스캔하거나, NFC 태그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거나, 직접 시설물의 위치 정보를 입력하여 시설물의 관리를 위한 현황 점검 항목을 전달받아 실시간으로 시설물을 신속하게 관리할 수 있는 실시간 시설물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QR code (Quick Response Code), NFC tag (Near Field Communication Tag) in advance to the facilities to be managed or By display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facility, the administrator checks the QR code using the terminal equipped with the NFC tag, conducts near field communication with the NFC tag, or directly input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facility to check the current status of the facility. It is to provide a real-time facility management system that can quickly receive the management of facilities in real tim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시설물 관리 시스템은, 기설정된 현황 점검 항목에 따른 항목별 점검 결과를 이용하여 시설물의 관리 동작을 통합 제어하는 제어부(110)와, 상기 제어부(110)의 제어를 받고, 네트워크와의 연결을 관리하는 네트워크 관리부(120)와, 상기 제어부(110)의 제어를 받고, 상기 현황 점검 항목에 따른 항목별 점검 결과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하는 점검 데이터베이스부(130)를 포함하는 시설물 관리 서버(100) 및 상기 시설물 관리 서버(100)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고, 상기 시설물 관리 서버(100)로부터 상기 현황 점검 항목을 전달받아 항목별로 상기 시설물을 점검하여 실시간으로 상기 시설물 관리 서버(100)로 상기 시설물에 대한 상기 현황 점검 항목의 항목별 점검 결과를 전달하는 관리자 단말기(2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real-time facility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110 and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10 for the integrated control of the management operation of the facility using the check result for each item according to the preset status check item And a network management unit 120 for managing the connection with the network, and a check database unit 130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10 and storing and storing a database-based check result according to the status check item. The facility management server 100 and the facility management server 100 are connected through a network, and receive the status check item from the facility management server 100 to check the facilities for each item, and the facility management server in real time.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manager terminal 200 for delivering a check result for each item of the status check item for the facility to 100 The features.

이 때, 상기 관리자 단말기(200)는 적어도 하나의 리더기를 포함하되, 상기 리더기를 통해서 상기 시설물에 미리 구비되어 있는 QR 코드(Quick Response Code)를 스캔하여 매칭되는 상기 시설물에 대한 상기 현황 점검 항목을 전달받는 제 1 점검부(210), 상기 시설물의 위치 정보를 직접 입력하여 상기 위치 정보에 매칭되는 상기 시설물에 대한 상기 현황 점검 항목을 전달받는 제 2 점검부(220) 및 상기 시설물에 미리 구비되어 있는 NFC 태그(Near Field Communication Tag)와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서 매칭되는 상기 시설물에 대한 상기 현황 점검 항목을 전달받는 제 3 점검부(23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관리자 단말기(200)는 상기 제 1 점검부(210), 제 2 점검부(220) 또는 제 3 점검부(230)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시설물 관리 서버(100)로부터 상기 현황 점검 항목을 전달받아 항목별로 상기 시설물을 점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is case, the manager terminal 200 includes at least one reader, and scans the current status check item for the matching facilities by scanning a QR code (Quick Response Code) pre-prepared in the facility through the reader The first check unit 210 receives the transmission, the second check unit 220 and the facility received in advance to receive the status check items for the facilities that match the location information by directly inputt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facility is provided in advance And a third check unit 230 which receives the status check item for the facility matched through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 near field communication tag, wherein the manager terminal 200 includes the first check unit 230. The present situation point from the facility management server 100 using any one selected from the first inspection unit 210, the second inspection unit 220, or the third inspection unit 230. The inspection item is received and characterized in that for checking the facility for each item.

더불어, 상기 실시간 시설물 관리 시스템은 상기 시설물 관리 서버(100)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고, 상기 시설물의 이용에 있어서 발생하는 민원 정보를 입력하여 실시간으로 상기 시설물 관리 서버(100)로 전달하는 소비자 단말기(3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real-time facility management system is connected to the facility management server 100 via a network, the consumer terminal for inputting the complaint information generated in the use of the facility to the facility management server 100 in real time (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300).

이 때, 상기 소비자 단말기(300)는 적어도 하나의 리더기를 포함하되, 상기 리더기를 통해서 상기 시설물에 미리 구비되어 있는 QR 코드(Quick Response Code)를 스캔하여 매칭되는 상기 시설물에 대한 상기 민원 정보를 입력하는 제 1 입력부(310), 상기 시설물의 위치 정보를 직접 입력하여 상기 위치 정보에 매칭되는 상기 시설물에 대한 상기 민원 정보를 입력하는 제 2 입력부(320) 및 상기 시설물에 미리 구비되어 있는 NFC 태그(Near Field Communication Tag)와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서 매칭되는 상기 시설물에 대한 상기 민원 정보를 입력하는 제 3 입력부(33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소비자 단말기(300)는 상기 제 1 입력부(310), 제 2 입력부(320) 또는 제 3 입력부(330)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시설물 관리 서버(100)로 상기 시설물의 이용에 있어서 발생하는 상기 민원 정보를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the consumer terminal 300 includes at least one reader, through the reader to scan the QR code (Quick Response Code) provided in advance in the facility to input the complaint information for the facility matched The first input unit 310 to input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facility directly to the second input unit 320 for inputting the complaint information for the facility matching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NFC tag (preliminarily provided in the facility) And a third input unit 330 for inputting the complaint information about the facility matched through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 Near Field Communication Tag, wherein the consumer terminal 300 includes the first input unit 310, By using any one selected from the second input unit 320 or the third input unit 330, the facility management server 100 to initiate the use of the facility. Which it is characterized in that forwarding the complaint information.

또한, 상기 시설물 관리 서버(100)는 상기 제어부(110)의 제어를 받고, 상기 소비자 단말기(300)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민원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하는 민원 데이터베이스부(1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facility management server 100 is further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110,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complaint database unit 140 for storing the civil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consumer terminal 300 to the database. It is done.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실시간 시설물 관리 시스템은 관리하고자 하는 시설물에 QR 코드(Quick Response Code), NFC 태그(Near Field Communication Tag)를 미리 구비해두거나, 시설물의 위치 정보를 표시해둠으로써 관리자가 구비하고 있는 단말기를 이용하여 QR 코드를 스캔하거나, NFC 태그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거나, 직접 시설물의 위치 정보를 입력하여 시설물의 관리를 위한 현황 점검 항목을 전달받아 실시간으로 시설물을 신속하게 관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 real-time facility management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is provided with a QR code (Quick Response Code), NFC tag (Near Field Communication Tag) in advance to the facilities to be managed, or by display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facility manager Quickly manage facilities in real time by scanning a QR code, conducting near field communication with NFC tags, or directly entering location information of a facility by receiving a status check item for management of the facility There is an advantage to this.

더불어, 현황 점검 항목의 항목별 점검 결과에 따라서, 시설물의 상태가 불량일 경우, 시설물을 관리하는 관리 서버 뿐만 아니라, 관리 담당자에게도 문자 메시지나 SNS(Social Network Service) 등을 통해서 점검 결과가 전달되어 시설물 관리에 있어서 미흡한 부분을 재빠르게 시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check result of each item of the status check item, if the condition of the facility is poor, not only the management server managing the facility but also the management person through the text message or social network service (SNS), etc. In the management of facilities, there is an effect that can quickly correct the lack.

또한, 사용자가 시설물을 이용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불편한 점이나, 부족한 점 또는 개선하고자 하는 건의사항 등의 민원 정보를 실시간으로 전달받을 수 있으며, 이를 통해서 사용자가 시설물의 이용에 있어서 불편한 점을 신속하게 처리함으로써 사용자의 시설물 이용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user may receive complaint information in real time, such as an inconvenience, a lack, or a suggestion for improvement, which may occur in the process of using the facility, thereby prompting the user to quickly feel uncomfortable in using the facility. By processing,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increase the user's satisfaction of using the facility.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시설물 관리 시스템을 간략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설물 관리 서버(100)를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리자 단말기(200)를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300)를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diagram briefly showing a real-time facility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in detail the facility management serv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in detail a manager terminal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in detail the user terminal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시설물 관리 시스템을 상세히 설명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도면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제시되는 도면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또한,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Hereinafter, a real-time facility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drawings introduced below are provided by way of example so that the spirit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fully convey.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ollowing drawings, but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In addition, like reference numerals designate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이 때,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지며, 하기의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In this case, unless otherwise defined, technical terms and scientific terms used herein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that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시설물 관리 시스템을 간략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시설물 관리 시스템을 상세히 설명한다.
1 is a diagram briefly showing a real-time facility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ure 1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real-time facility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시설물 관리 시스템은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있는 시설물 관리 서버(100), 관리자 단말기(200) 및 사용자 단말기(300)로 이루어질 수 있다.Real-time facility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mposed of a facility management server 100, a manager terminal 200 and a user terminal 300 connected to the network.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시설물 관리 서버(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10), 네트워크 관리부(120), 점검 데이터베이스부(130) 및 민원 데이터베이스부(14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In detail, the facility management server 100 may further include a control unit 110, a network management unit 120, a check database unit 130, and a complaint database unit 140 as shown in FIG. 2. have.

상기 시설물 관리 서버(100)의 제어부(110)는 시설물의 관리를 위해서 미리 설정되어 있는 현황 점검 항목에 따른 항목별 점검 결과를 이용하여 시설물의 관리 동작을 통합 제어할 수 있다.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시설물 관리 서버(100)의 제어부(110)는 상기 현황 점검 항목에 따른 항목별 점검 결과를 상기 관리자 단말기(200)를 통해서 전달받을 수 있으며, 전달받은 상기 현황 점검 항목에 따른 항목별 점검 결과를 토대로 시설물의 관리 동작을 제어하여, 시설물의 관리에 있어서 미흡한 부분을 실시간으로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10 of the facility management server 100 may collectively control the management operation of the facility by using the check result for each item according to the present condition check item which is set in advance for the management of the facility. In detail, the control unit 110 of the facility management server 100 may receive the check result for each item according to the present condition check item through the manager terminal 200, and the item according to the received present condition check item. By controlling the management operation of facilitie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individual inspections, it is possible to promptly respond inadequately in the management of the facilities in real time.

즉, 상기 시설물 관리 서버(100)의 관리 책임자가 상기 관리자 단말기(200)를 통해서 전달받은 상기 현황 점검 항목에 따른 항목별 점검 결과를 실시간으로 푸쉬 알림, SNS(Social Network Service) 또는 문자 서비스를 통해서 확인할 수 있다. 이를 토대로 상기 시설물이 관리되도록 관리 동작을 실시간으로 제어함으로써, 시설물의 관리에 있어서 미흡한 부분을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다.
That is, the manager in charge of the facility management server 100 receives a real-time push notification, a social network service (SNS), or a text service to check the result of each item according to the status check item received through the manager terminal 200. You can check it. Based on this, by controlling the management operation in real time so that the facility is managed, it is possible to quickly respond to the inadequate part in the management of the facility.

일 예를 들자면, 상기 시설물에 구비되어 있어야하는 비품이 부족하다는 점검 결과를 전달받을 경우, 상기 비품을 보충하는 관리 동작을 제어할 수 있으며, 상기 시설물의 온도, 습도 등의 조절이 필요하다는 점검 결과를 전달받을 경우, 상기 시설물 내부로 토출되는 공기의 온도를 조절하는 관리 동작을 제어하여 시설물 내부의 온도 및 습도를 쾌적하게 제어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receiving a check result of the shortage of equipment that should be provided in the facility,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management operation to replenish the equipment, the result of the check that the adjustment of the temperature, humidity, etc. of the facility is required When receiving the, it is possible to comfortably control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inside the facility by controlling the management operation to adjust the temperature of the air discharged into the facility.

더 나아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300)를 통해서, 사용자가 상기 시설물을 이용하는 과정에서 느낀 불편사항이나, 개선사항 등의 민원 정보를 실시간으로 전달받아, 상기 민원 정보를 상기 시설물의 관리에 있어서 신속하게 적용하여 상기 시설물을 통합 관리할 수 있다.Furthermore, through the user terminal 300, receiving complaint information such as inconveniences or improvements that the user felt in the process of using the facility in real time, and quickly apply the complaint information in the management of the facility It can be integrated management of the facility.

이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시설물 관리 서버(100)의 관리 책임자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300)를 통해서 전달받은 상기 민원 정보를 실시간으로 푸쉬 알림, SNS(Social Network Service) 또는 문자 서비스를 통해서 확인할 수 있다. 이를 토대로 상기 시설물이 관리되도록 관리 동작을 실시간으로 제어함으로써, 시설물의 관리에 있어서 미흡한 부분을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다.
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the management officer of the facility management server 100 to confirm the complaint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user terminal 300 in real time through push notification, Social Network Service (SNS) or text service Can be. Based on this, by controlling the management operation in real time so that the facility is managed, it is possible to quickly respond to the inadequate part in the management of the facility.

상기 네트워크 관리부(120)는 상기 제어부(110)의 제어를 받고, 상기 시설물 관리 서버(100)와 네트워크와의 연결을 관리할 수 있다.
The network manager 120 may control the connection between the facility management server 100 and the network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10.

상기 점검 데이터베이스부(130)는 상기 제어부(110)의 제어를 받고, 상기 현황 점검 항목에 따른 항목별 업데이트되는 점검 결과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할 수 있다.The inspection database unit 130 may be controlle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10 and may store a database of the inspection results updated for each item according to the current state inspection items.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시설물 관리 서버(100)의 제어부(110)는 상기 현황 점검 항목에 따른 항목별 점검 결과를 상기 관리자 단말기(200)를 통해서 전달받을 수 있다. 이 때, 상기 현황 점검 항목에 따른 항목별 상기 시설물의 점검은 관리자의 설정 또는, 관련 법률 등에 의거하여 매주, 매일 또는 매시간 담당자에 의해서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점검 데이터베이스부(130)는 상기 현황 점검 항목에 따른 항목별 상기 시설물의 점검에 따른 업데이트되는 항목별 상기 점검 결과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하여 이를 분석하여 추후에 시설물 관리를 위해 예측 데이터로 이용함으로써 좀 더 사용자 만족도가 높은 시설물로 관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 unit 110 of the facility management server 100 may receive a check result for each item according to the status check item through the manager terminal 200. At this time, the inspection of the facility for each item according to the status check item is performed by the person in charge every week, every day or every hour according to the manager's setting or related laws. The inspection database 130 stores a database of the inspection results updated according to the inspection of the facilities for each item according to the status check item, stores the database, analyzes them, and then uses them as predictive data for future facility management.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managed as a facility with a higher user satisfaction.

상기 관리자 단말기(200)는 상기 시설물 관리 서버(100)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고, 상기 시설물 관리 서버(100)로부터 상기 시설물을 관리하기 위한 상기 현황 점검 항목을 전달받아 항목별로 상기 시설물을 점검하여 실시간으로 상기 시설물 관리 서버(100)로 상기 시설물에 대한 상기 현황 점검 항목의 항목별 점검 결과를 전달할 수 있다.The manager terminal 200 is connected to the facility management server 100 through a network, receives the status check item for managing the facility from the facility management server 100, and checks the facility for each item in real time. As a result, the facility management server 100 may transmit a check result for each item of the present condition check item for the facility.

이 때, 상기 관리자 단말기(200)는 종래에 관리자가 상기 현황 점검 항목판에 수기로 ○, △ 및 × 표시로 상기 시설물에 대한 점검을 수행하는 것이 아닌,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상기 현황 점검 항목을 상기 관리자 단말기(200)로 전달받을 수 있으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점검부(210), 제 2 점검부(220) 또는 제 3 점검부(230)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시설물 관리 서버(100)로부터 상기 현황 점검 항목을 전달받아 상기 현황 점검 항목에 따른 항목별로 상기 시설물을 점검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manager terminal 200 conventionally checks the current status by various methods using a network, rather than performing a check on the facilities by a manual, ○, △, and × marks on the current status check item panel. An item may be delivered to the manager terminal 200, and as shown in FIG. 3, any one selected from the first inspecting unit 210, the second inspecting unit 220, or the third inspecting unit 230 is provided. By using, the facility check server receives the status check item from the facility management server 100 may check the facility for each item according to the status check item.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제 1 점검부(210)는 적어도 하나의 QR 코드 리더기를 포함하여, 상기 리더기를 통해서 상기 시설물에 미리 구비되어 있는 QR 코드(Quick Response Code)를 스캔하여 매칭되는 상기 시설물에 대한 상기 현황 점검 항목을 전달받을 수 있다.In detail, the first checker 210 includes at least one QR code reader, and scans a QR code (Quick Response Code) previously provided in the facility through the reader for the facility to be matched. The status check item may be delivered.

일반적으로 QR 코드란, 흑백 격자무늬 패턴으로 이루어지며 다양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매트릭스 형색의 바코드를 의미한다.In general, the QR code is a matrix barcode formed of a black and white lattice pattern and storing various information.

상기 시설물을 관리하고자 하는 관리자가 상기 관리자 단말기(200)의 제 1 점검부(210)를 통해서, 상기 시설물에 구비되어 있는 QR 코드를 스캔하여, 매칭되는 상기 시설물에 대한 상기 현황 점검 항목 정보를 확인, 즉, 상기 현황 점검 항목을 전달받아, 상기 현황 점검 항목에 따른 항목별로 상기 시설물을 점검하여 이에 대한 점검 결과값을 다시 상기 시설물 관리 서버(100)로 전달할 수 있다.
The manager who wants to manage the facility scans the QR code provided in the facility through the first inspection unit 210 of the manager terminal 200 to check the status check item information on the matching facility. That is, the status check item may be received, the facility may be inspected for each item according to the status check item, and the result of the check may be transmitted to the facility management server 100 again.

상기 제 2 점검부(220)는 상기 시설물을 관리하고자 하는 관리자가 상기 관리자 단말기(200)의 제 2 점검부(220)를 통해서 상기 시설물의 위치 정보를 직접 입력하여 상기 위치 정보에 매칭되는 상기 시설물에 대한 상기 현황 점검 항목을 전달받을 수 있다.The second checker 220 is a manager who wants to manage the facility directly input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facility through the second checker 220 of the manager terminal 200 to match the facility information Receive the status check item for the can be received.

상기 제 2 점검부(220)도 상기 제 1 점검부(210)와 마찬가지로, 전달받은 상기 현황 점검 항목을 토대로 상기 현황 점검 항목에 따른 항목별로 상기 시설물을 점검하여 이에 대한 점검 결과값을 다시 상기 시설물 관리 서버(100)로 전달할 수 있다.
Similarly to the first inspection unit 210, the second inspection unit 220 also checks the facilities for each item according to the current state inspection items based on the received state inspection items, and checks the result of the inspection again. It can be delivered to the management server 100.

상기 제 3 점검부(230)는 상기 시설물에 미리 구비되어 있는 NFC 태그(Near Field Communication Tag)와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서 매칭되는 상기 시설물에 대한 상기 현황 점검 항목을 전달받을 수 있다.The third checker 230 may receive the present condition check item for the facility that is matched through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 NFC field (Near Field Communication Tag) previously provided in the facility.

일반적으로 근거리 무선 통신이란, 10cm 이내의 가까운 거리에서 다양한 무선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는 무선태그 통신 기술 중 하나로서, 비접촉식 통신 기술을 의미한다.In general,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is one of wireless tag communication technologies that can transmit and receive various wireless data within a short distance of less than 10 cm, means a contact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이러한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함으로써, 상기 시설물을 관리하고자 하는 관리자가 상기 제 1 점검부(210) 및 상기 제 2 점검부(220)를 통해서 상기 현황 점검 항목을 전달받으려면, 상술한 바와 같이 QR 코드를 직접 스캔하거나, 또는 상기 시설물의 위치 정보를 직접 입력해야하는 번거로움을 줄여줄 수 있다.By using such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the manager who wants to manage the facility to receive the status check item through the first check unit 210 and the second check unit 220, the QR code as described above It can reduce the need to scan directly or to enter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facility directly.

또한, 상기 제 3 점검부(230)도 상기 제 1 점검부(210), 상기 제 2 점검부(220)와 마찬가지로, 전달받은 상기 현황 점검 항목을 토대로 상기 현황 점검 항목에 따른 항목별로 상기 시설물을 점검하여 이에 대한 점검 결과값을 다시 상기 시설물 관리 서버(100)로 전달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third inspection unit 230, like the first inspection unit 210 and the second inspection unit 220, based on the received status check items received by the item according to the status check items for each facility The inspection result may be transmitted to the facility management server 100 again.

더불어, 상기 관리자 단말기(2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가 점검부(24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관리자가 상기 시설물 관리 서버(100)를 통해서 상기 관리자 단말기(200)로 전달받은 상기 현황 점검 항목을 이용하여 상기 현황 점검 항목의 항목별로 상기 시설물을 점검하는 과정에 있어서, 상기 현황 점검 항목에 해당하지 않는 상기 시설물의 상태 정보를 상기 추가 점검부(240)를 통해서 추가적으로 상기 시설물 관리 서버(100)로 전달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anager terminal 200 may be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n additional check unit 240, as shown in Figure 3, the manager to the manager terminal 200 through the facility management server 100 In the process of checking the facilities for each item of the status check item using the received status check item, the status information of the facility that does not correspond to the status check item is additionally provided through the additional checking unit 240. The facility management server 100 can be delivered.

즉, 미리 설정되어 있는 상기 현황 점검 항목이 아닌, 관리자가 상기 관리자 단말기(200)를 이용하여 상기 시설물을 실질적으로 관리함에 있어서 예상치 못한 상황이나, 상기 시설물의 상태 정보를 원활하게 상기 시설물 관리 서버(100)로 전달할 수 있다.
That is, the facility management server (not the status check item which is set in advance) is unexpected in managing the facility substantially by the manager using the manager terminal 200 or the status information of the facility smoothly. 100).

또한, 상기 관리자 단말기(2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데이터베이스부(25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데이터베이스부(250)는 상기 시설물 관리 서버(100)와 상기 관리자 단말기(200) 간의 네트워크 연결이 용이하지 않을 경우, 관리자가 상기 관리자 단말기(200)를 통해서 상기 시설물을 점검한 점검 결과값을 우선적으로 저장하고 있다가, 상기 시설물 관리 서버(100)와 상기 관리자 단말기(200) 간의 네트워크가 복구되면 상기 시설물 관리 서버(100)로 저장되어 있던 상기 점검 결과값을 전달하게 된다.In addition, the manager terminal 200 may further include a first database unit 250, as shown in FIG. When the network connection between the facility management server 100 and the manager terminal 200 is not easy, the first database unit 250 checks the result of checking the facility through the manager terminal 200. Is stored first, and when the network between the facility management server 100 and the manager terminal 200 is restored, the inspection result value stored in the facility management server 100 is transmitted.

다시 말하자면, 관리자가 상기 제 1 점검부(210), 상기 제 2 점검부(220) 또는 상기 제 3 점검부(230)를 통해서 상기 현황 점검 항목에 따른 항목별로 상기 시설물을 점검한 상기 점검 결과값 및 상기 추가 점검부(240)를 통해서 상기 현환 점검 항목에 해당하지 않은 상기 시설물의 상태 정보를 전달받아,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상기 제 1 데이터베이스부(250)에 임시 저장하고 있다가, 상기 시설물 관리 서버(100)로 전달하게 된다. 이를 통해서, 어떠한 상황에도 상기 시설물을 지속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In other words, the inspection result value in which an administrator inspects the facility for each item according to the present condition inspection item through the first inspection unit 210, the second inspection unit 220, or the third inspection unit 230. And receiving the state information of the facility that does not correspond to the current check item through the additional checking unit 240, making a database, and temporarily storing the state information of the facility in the first database unit 250. 100). Through this, the facility can be continuously managed in any situation.

상기 사용자 단말기(300)는 상기 시설물 관리 서버(100)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고, 상기 시설물의 이용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불편한 점이나, 부족한 점 또는 건의사항 등의 다양한 민원 정보를 입력하여 실시간으로 상기 시설물 관리 서버(100)로 전달할 수 있으며, 상기 민원 정보를 입력하기 위해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입력부(310), 제 2 입력부(320) 및 제 3 입력부(3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user terminal 300 is connected to the facility management server 100 through a network, and inputs various complaint information such as inconveniences or shortcomings or suggestions that may occur in the process of using the facility in real time. Can be delivered to the facility management server 100, as shown in Figure 4 to input the complaint information, comprising a first input unit 310, a second input unit 320 and a third input unit 330 Can be.

상기 시설물 관리 서버(100)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300)의 상기 제 1 입력부(310), 제 2 입력부(320) 또는 제 2 입력부(330)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로부터 전달되는 상기 민원 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시설물을 신속하게 보수 및 관리하게 된다.
The facility management server 100 checks the complaint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any one selected from the first input unit 310, the second input unit 320, or the second input unit 330 of the user terminal 300. The facility will be repaired and managed quickly.

상기 제 1 입력부(310)는 적어도 하나의 QR 코드 리더기를 포함하며, 상기 리더기를 통해서 상기 시설물에 미리 구비되어 있는 상기 QR 코드를 스캔하여 매칭되는 상기 시설물에 대한 상기 민원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The first input unit 310 may include at least one QR code reader, and scan the QR code provided in advance in the facility through the reader to input the complaint information on the matching facility.

다시 말하자면, 상기 시설물을 이용하는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300)의 제 2 입력부(310)를 통해서, 상기 시설물에 구비되어 있는 QR 코드를 스캔하여 매칭되는 상기 시설물에 대한 상기 민원 정보를 입력하게 된다.In other words, a user who uses the facility inputs the complaint information about the facility that is matched by scanning a QR code provided in the facility through the second input unit 310 of the user terminal 300.

이 때, 상기 관리자 단말기(200)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300)가 동일한 QR 코드를 스캔할 수 있으나, 상기 관리자 단말기(200)로는 상기 시설물을 관리하기 위한 상기 현황 점검 항목이 전달되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300)로는 상기 민원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부가 제공된다.
At this time, the manager terminal 200 and the user terminal 300 may scan the same QR code, but the status check item for managing the facility is delivered to the manager terminal 200, the user terminal In 300, an input unit for inputting the complaint information is provided.

상기 제 2 입력부(320)는 상기 시설물을 이용하는 사용자가 상기 시설물의 위치 정보를 상기 제 2 입력부(320)에 직접 입력하여 상기 위치 정보에 매칭되는 상기 시설물에 대한 상기 민원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The second input unit 320 may input the civil information for the facility that matches the location information by the user using the facility directly input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facility to the second input unit 320.

또한, 상기 제 3 입력부(330)는 상기 시설물에 미리 구비되어 있는 NFC 태그와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서 매칭되는 상기 시설물에 대한 상기 민원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이러한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함으로써, 상기 시설물을 이용함에 있어서 발생하는 상기 민원 정보를 입력하기 위해서 사용자가 상기 제 1 입력부(310) 및 상기 제 2 입력부(320)를 통해서 QR 코드를 직접 스캔하거나, 또는 상기 시설물의 위치 정보를 직접 입력해야하는 번거로움을 줄여줄 수 있고, 상기 시설물에 미리 구비되어 있는 NFC 태그(Near Field Communication Tag)와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서 매칭되는 상기 시설물에 대한 상기 민원 정보를 실시간으로 용이하게 입력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third input unit 330 may input the civil information about the facility that is matched through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NFC tag that is provided in advance in the facility. By using such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 user directly scans a QR code through the first input unit 310 and the second input unit 320 in order to input the complaint information generated in using the facility, or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hassle of having to directly enter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facility, and in real time the civil information about the facility that is matched through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NFC field (Near Field Communication Tag) pre-equipped in the facility You can enter it easily.

더불어, 상기 사용자 단말기(3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데이터베이스부(34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데이터베이스부(340)는 상기 시설물 관리 서버(100)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300) 간의 네트워크 연결이 용이하지 않을 경우,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300)를 통해서 입력하는 상기 민원 정보를 우선적으로 저장하고 있다가, 상기 시설물 관리 서버(100)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300) 간의 네트워크가 복구되면 상기 시설물 관리 서버(100)로 저장하고 있던 상기 민원 정보를 전달하게 된다.
In addition, the user terminal 300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database unit 340, as shown in FIG. When the network connection between the facility management server 100 and the user terminal 300 is not easy, the second database unit 340 preferentially receives the civil information input by the user through the user terminal 300. After storing, when the network between the facility management server 100 and the user terminal 300 is restored, the civil information stored in the facility management server 100 is transmitted.

이 때, 상기 시설물 관리 서버(100)는 별도의 상기 민원 데이터베이스부(140)를 구성함으로써, 상기 사용자 단말기(300)를 통해서 전달되는 상기 민원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facility management server 100 may configure a separate complaint database unit 140 to store a database of the complaint information transmitted through the user terminal 300.

상기 민원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상기 시설물을 이용함에 있어서 고질적으로 발생하는 문제점을 발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빠르게 변화하는 사용자의 시설물 이용 패턴까지 파악하여 상기 시설물 관리함에 있어서 긍정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By using the complaint information, the user may not only find a problem that occurs in the use of the facility, but also identify the facility usage pattern of the rapidly changing user and use it positively in managing the facility.

즉, 다시 말하자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시설물 관리 시스템은 상기 관리자 단말기(200)를 이용하여 상기 시설물에 미리 구비되어 있는 QR 코드(Quick Response Code)를 스캔하거나, NFC 태그(Near Field Communication Tag)와의 근거리 무선 통신 또는 상기 시설물의 위치 정보를 직접 입력하여 상기 시설물에 매칭되는 상기 현황 점검 항목을 전달받을 수 있다. 전달받은 상기 현황 점검 항목에 따른 항목별 상기 시설물을 점검하여 점검 결과를 상기 시설물 관리 서버(100)로 전달하며, 상기 시설물 관리 서버(100)는 상기 점검 결과를 토대로 상기 시설물을 실시간으로 관리할 수 있다.
That is, in other words, the real-time facility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cans a QR code (Quick Response Code) previously provided in the facility by using the manager terminal 200, or NFC field (Near Field)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 communication tag or directly inpu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facility to receive the status check item matching the facility. Checking the facility by item according to the received status check item delivered to the facility management server 100, the facility management server 100 can manage the facility in real time based on the inspection result. have.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소자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 정된 실시예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일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specific embodiments such as specific components and exemplary embodiment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may be made thereto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되는 특허 청구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 청구 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Accordingly,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nd all of the equivalents or equivalents of the claims, as well as the following claims,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100 : 시설물 관리 서버
110 : 제어부 120 : 네트워크 관리부
130 : 점검 데이터베이스부 140 : 민원 데이터베이스부
200 : 관리자 단말기
210 : 제 1 점검부 220 : 제 2 점검부
230 : 제 3 점검부 240 : 추가 점검부
250 : 제 1 데이터베이스부
300 : 사용자 단말기
310 : 제 1 입력부 320 : 제 2 입력부
330 : 제 3 입력부 340 : 제 2 데이터베이스부
100: facility management server
110: control unit 120: network management unit
130: check database unit 140: complaint database unit
200: manager terminal
210: first inspection unit 220: second inspection unit
230: third inspection unit 240: additional inspection unit
250: first database unit
300: user terminal
310: first input unit 320: second input unit
330: third input unit 340: second database unit

Claims (5)

기설정된 현황 점검 항목에 따른 항목별 점검 결과 정보를 이용하여 시설물의 관리 동작을 통합 제어하는 제어부(110)와,
상기 제어부(110)의 제어를 받고, 네트워크와의 연결을 관리하는 네트워크 관리부(120)와,
상기 제어부(110)의 제어를 받고, 상기 현황 점검 항목에 따른 항목별 점검 결과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하는 점검 데이터베이스부(130)와,
상기 제어부(110)의 제어를 받고, 소비자 단말기(300)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시설물의 이용에 있어서 발생하는 민원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하는 민원 데이터베이스부(140)를 포함하는 시설물 관리 서버(100);
상기 시설물 관리 서버(100)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고, 적어도 하나의 리더기를 포함하되 상기 리더기를 통해서 상기 시설물에 미리 구비되어 있는 QR 코드(Quick Response Code)를 스캔하여 상기 시설물 관리 서버(100)로부터 상기 QR 코드와 매칭되는 상기 시설물에 대한 상기 현황 점검 항목을 전달받는 제 1 점검부(210)와,
상기 시설물 관리 서버(100)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고, 상기 시설물의 위치 정보를 직접 입력하여 상기 시설물 관리 서버(100)로부터 상기 위치 정보에 매칭되는 상기 시설물에 대한 상기 현황 점검 항목을 전달받는 제 2 점검부(220)와,
상기 시설물 관리 서버(100)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고, 상기 시설물에 구비되어 있는 NFC 태그(Near Field Communication Tag)와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서 상기 시설물 관리 서버(100)로부터 매칭되는 상기 시설물에 대한 상기 현황 점검 항목을 전달받는 제 3 점검부(230)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점검부(210), 상기 제 2 점검부(220) 및 상기 제 3 점검부(230)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전달받은 상기 현황 점검 항목별로 상기 시설물을 점검하여 실시간으로 상기 시설물 관리 서버(100)로 상기 시설물에 대한 상기 현황 점검 항목의 항목별 점검 결과 정보를 전달하는 관리자 단말기(200); 및
상기 시설물 관리 서버(100)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고, 적어도 하나의 리더기를 포함하되 상기 리더기를 통해서 상기 시설물에 구비되어 있는 상기 QR 코드를 스캔하여 매칭되는 상기 시설물에 대한 상기 민원 정보를 입력하는 제 1 입력부(310)와,
상기 시설물 관리 서버(100)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고, 상기 시설물의 위치 정보를 직접 입력하여 상기 위치 정보에 매칭되는 상기 시설물에 대한 상기 민원 정보를 입력하는 제 2 입력부(320)와,
상기 시설물 관리 서버(100)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고, 상기 시설물에 미리 구비되어 있는 상기 NFC 태그와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서 매칭되는 상기 시설물에 대한 상기 민원 정보를 입력하는 제 3 입력부(330)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입력부(310), 상기 제 2 입력부(320) 및 상기 제 3 입력부(330)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민원 정보를 입력하여 실시간으로 상기 민원 정보를 상기 시설물 관리 서버(100)로 전달하는 소비자 단말기(300);
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관리자 단말기(200)는
상기 시설물 관리 서버(100)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고, 상기 제 1 점검부(210), 상기 제 2 점검부(220) 및 상기 제 3 점검부(230)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전달받은 상기 현황 점검 항목 외의 상기 시설물의 상태 정보를 입력하여 실시간으로 상기 시설물 관리 서버(100)로 전달하는 추가 점검부(240)와,
상기 시설물 관리 서버(100)와 네트워크 연결이 불안정할 경우, 상기 제 1 점검부(210), 상기 제 2 점검부(220) 또는 상기 제 3 점검부(230)를 통해서 입력되는 상기 현황 점검 항목의 항목별 점검 결과 정보나, 상기 추가 점검부(240)를 통해서 입력되는 상기 시설물의 상태 정보를 우선적으로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한 후, 상기 시설물 관리 서버(100)와 네트워크가 안정된 후 실시간으로 상기 시설물 관리 서버(100)로 전달하는 제 1 데이터베이스부(25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소비자 단말기(300)는
상기 시설물 관리 서버(100)와 네트워크 연결이 불안정할 경우, 상기 제 1 입력부(310), 상기 제 2 입력부(320) 또는 상기 제 3 입력부(330)를 통해서 입력되는 상기 시설물의 이용에 있어서 발생하는 상기 민원 정보를 우선적으로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한 후, 상기 시설물 관리 서버(100)와 네트워크가 안정된 후 실시간으로 상기 시설물 관리 서버(100)로 전달하는 제 2 데이터베이스부(34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시설물 관리 시스템.
A control unit 110 for integrally controlling the management operation of the facility by using the check result information for each item according to a preset status check item;
A network manager 120 that is controlled by the controller 110 and manages a connection with a network;
A check database unit 130 under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10 and storing check result information for each item according to the present condition check item as a database;
A facility management server (100) under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10) and including a complaint database unit (140) for storing a database of complaint information generated in the use of the facility received from the consumer terminal (300);
The facility management server 100 is connected to the network through a network, and includes at least one reader from the facility management server 100 by scanning a QR code (Quick Response Code) provided in advance in the facility through the reader A first check unit 210 which receives the present condition check item for the facility matching the QR code;
A second state connected to the facility management server 100 through a network and directly receiving location information of the facility and receiving the current condition check item for the facility matching the location information from the facility management server 100; The inspection unit 220,
The current state of the facilities that are connected to the facility management server 100 through a network and matched from the facility management server 100 through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 near field communication tag provided in the facility Including the third check unit 230 receives the check item,
The facility is checked in real time by checking the facility by the present condition check items received using any one selected from the first checker 210, the second checker 220, and the third checker 230. A manager terminal 200 which transmits check result information for each item of the present condition check item to the management server 100; And
A facility for connecting the facility management server 100 with a network and including the at least one reader, and inputting the complaint information about the facility to be matched by scanning the QR code provided in the facility through the reader; 1 input unit 310,
A second input unit 320 connected to the facility management server 100 through a network, and directly inputting location information of the facility to input the complaint information about the facility matching the location information;
A third input unit 330 connected to the facility management server 100 through a network and inputting the complaint information about the facility that is matched through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NFC tag that is previously provided in the facility; Including,
The facility management server 100 receives the complaint information in real time by inputting the complaint information using any one selected from the first input part 310, the second input part 320, and the third input part 330. Consumer terminal 300 to deliver to;
, ≪ / RTI >
The manager terminal 200 is
The facility management server 100 is connected through a network, and received using any one selected from the first inspecting unit 210, the second inspecting unit 220, and the third inspecting unit 230. An additional inspection unit 240 for inputting state information of the facility other than the current state check item and transmitting the state information of the facility to the facility management server 100 in real time;
When the network connection with the facility management server 100 is unstable, the present condition check item input through the first check unit 210, the second check unit 220, or the third check unit 230. After the itemized check result information or the state information of the facility input through the additional checker 240 is first stored in a database, and the facility management server 100 and the network is stabilized and the facility management in real time Further comprising a first database unit 250 for transmitting to the server 100,
The consumer terminal 300
When the network connection with the facility management server 100 is unstable, it occurs in the use of the facility input through the first input unit 310, the second input unit 320 or the third input unit 330 And further comprising a second database unit 340 for storing the complaint information in a database first, and then transmitting the facility management server 100 to the facility management server 100 in real time after the network is stabilized. Real-time facility managemen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30019268A 2013-02-22 2013-02-22 System for managing facilities in real time KR10129181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9268A KR101291814B1 (en) 2013-02-22 2013-02-22 System for managing facilities in real ti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9268A KR101291814B1 (en) 2013-02-22 2013-02-22 System for managing facilities in real ti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91814B1 true KR101291814B1 (en) 2013-09-05

Family

ID=494545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9268A KR101291814B1 (en) 2013-02-22 2013-02-22 System for managing facilities in real ti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1814B1 (en)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8781B1 (en) * 2013-10-17 2014-03-27 (주)칩센 Method for providing check service by using mobile device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applying the same
KR101580867B1 (en) * 2015-03-09 2016-01-11 유제원 Children's playground smart safety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KR101656440B1 (en) * 2015-11-03 2016-09-09 주식회사 한결아이플레이 System for managing playground equipment
KR20160140088A (en) * 2015-05-29 2016-12-07 프라임방재주식회사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firefighting facilities
KR102018811B1 (en) * 2018-11-08 2019-10-11 (주)바이콕 FACILITIES MANAGEMENT APPARATUS BASED ON IoT CODE
KR20200027686A (en) 2018-09-05 2020-03-13 에스티엘 주식회사 Method for processing integrated facility management system based on ict
KR20200027685A (en) 2018-09-05 2020-03-13 에스티엘 주식회사 Integrated facility management system based on ict
KR20200031246A (en) 2018-09-14 2020-03-24 에스티엘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for integrated facility management system based on ict and method thereof
KR20210046977A (en) 2019-10-21 2021-04-29 김정규 Integration operating service method and integration operating service system for facility managem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28717A (en) * 2008-11-26 2010-06-10 Shoei Computer:Kk Check management server, check management method, and check management system
KR101227800B1 (en) * 2010-04-16 2013-01-29 이오순 Internet based garbage managemnnt system, method for operating garbage vehicle using thesam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reof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28717A (en) * 2008-11-26 2010-06-10 Shoei Computer:Kk Check management server, check management method, and check management system
KR101227800B1 (en) * 2010-04-16 2013-01-29 이오순 Internet based garbage managemnnt system, method for operating garbage vehicle using thesam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reof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8781B1 (en) * 2013-10-17 2014-03-27 (주)칩센 Method for providing check service by using mobile device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applying the same
KR101580867B1 (en) * 2015-03-09 2016-01-11 유제원 Children's playground smart safety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KR20160140088A (en) * 2015-05-29 2016-12-07 프라임방재주식회사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firefighting facilities
KR101709157B1 (en) * 2015-05-29 2017-02-22 프라임방재주식회사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firefighting facilities
KR101656440B1 (en) * 2015-11-03 2016-09-09 주식회사 한결아이플레이 System for managing playground equipment
KR20200027686A (en) 2018-09-05 2020-03-13 에스티엘 주식회사 Method for processing integrated facility management system based on ict
KR20200027685A (en) 2018-09-05 2020-03-13 에스티엘 주식회사 Integrated facility management system based on ict
KR20200031246A (en) 2018-09-14 2020-03-24 에스티엘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for integrated facility management system based on ict and method thereof
KR102018811B1 (en) * 2018-11-08 2019-10-11 (주)바이콕 FACILITIES MANAGEMENT APPARATUS BASED ON IoT CODE
KR20210046977A (en) 2019-10-21 2021-04-29 김정규 Integration operating service method and integration operating service system for facility managemen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91814B1 (en) System for managing facilities in real time
CN104798096B (e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ordering device
US11908257B2 (en) Premises access system
US11640739B2 (en) Method and systems for event entry with facial recognition
US9621621B2 (en)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activity guidance and monitoring
US1003212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workforce management
WO2013144787A1 (en) Work and quality management system, device and method
US11340966B2 (en) Issue tracking system having temporary notification suppression corresponding to group activity
CN105621180A (en) Obtaining method and device for elevator information
KR101869697B1 (en) Managing system power plant using the internet of things and the method thereof
US9582837B2 (en) Management system for gas cock opening and closing
CN104680341A (en) Room control method and device
US20200286017A1 (en) Death care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KR20210107042A (en)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apartment house management task order automation device and method
US20130191182A1 (en) Work and quality management system, device and method
KR20190141423A (en) Access authentication management system
KR20130142646A (en) System for managing group using qr code and method therefor
KR20160146362A (en) Visitor management apparatus and method based on Internet of things
KR101166920B1 (en) Building management service providing method using smart device
US11908297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nfirming property services
KR20200119571A (en) Computing device and system for store order with the same
US1097759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worksite safety management and tracking
KR101689623B1 (en) building control system based Near Field Communication
KR20180076260A (en) A system for providing car wash information using a control device
EP3080756A1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products, product services, and stakeholders over an intern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