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1599B1 - Method for Offering User Interface for Web Page Menu Control of n-tier Architecture Based Digital Map - Google Patents

Method for Offering User Interface for Web Page Menu Control of n-tier Architecture Based Digital Map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1599B1
KR101291599B1 KR1020110052772A KR20110052772A KR101291599B1 KR 101291599 B1 KR101291599 B1 KR 101291599B1 KR 1020110052772 A KR1020110052772 A KR 1020110052772A KR 20110052772 A KR20110052772 A KR 20110052772A KR 101291599 B1 KR101291599 B1 KR 1012915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p
information
web page
menu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277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20133875A (en
Inventor
유기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닉신디케이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닉신디케이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닉신디케이트
Priority to KR10201100527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1599B1/en
Publication of KR201201338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387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15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159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6Drag-and-dro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Instructional Devices (AREA)
  • Navig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온라인망에 접속된 단말기의 화면 위에 활성화된 지도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다층 구조의 웹페이지 메뉴를 컨트롤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과 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a) 온라인망에 접속된 단말기 화면에 노출된 지리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각종 정보제공을 위한 어플(application, 앱)이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되면, 단말기의 제어부는 어플과 관련된 해당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단계; (b) 상기 제어부는 GPS, WiFi, 이동통신망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부터 수신된 위치좌표 정보로 현재 위치좌표가 결정되면 지도DB 및 지도속성DB에서 현재 위치의 지도이미지와 메인메뉴 및 서브메뉴 정보를 화면에 표출시키는 단계; (c) 상기 제어부는 메인메뉴 및 서브메뉴와 관련된 정보를 온라인망을 통해 메인서버로부터 다운로드받는 단계; (d)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에 의해 화면을 통해 드래깅이 이루어지면 지도배경 웹페이지를 지도기반 웹페이지 위에 중첩되게 표시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은 사용자와 정보제공자 모두에게 보다 직관적이면서도 간편하고, 또, 수많은 지도기반의 다층 구조를 갖는 웹페이지를 이용할 경우에 전혀 새로운 방식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직관적이고 매우 편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정보제공자에게도 직관적이면서 기능 설계와 구현의 편의성을 제공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 user interface for controlling a web page menu of a multi-layer structure based on map information activated on a screen of a terminal connected to an online network. If an application (application, app) for providing various information based on geographic information exposed on the terminal screen is selected by the user, the control unit of the terminal to execute the corresponding program associated with the application; (b) If the current position coordinate is determined by the position coordinate information received from at least one of GPS, WiFi, and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he controller displays the map image and the main menu and submenu information of the current position in the map DB and the map property DB. Expressing to; (c) the control unit downloading information related to the main menu and the submenu from the main server through an online network; and (d) the control unit displaying the map background web page to be superimposed on the map-based web page when the user drags through the screen. The present invention is more intuitive and convenient for both users and information providers, and enables users to implement a completely new user interface when using web pages having a large number of map-based multi-layered structures. It provides an interface and provides the information provider with intuitive and functional design and implementation convenience.

Description

지도기반의 다층 구조를 갖는 웹페이지 메뉴 컨트롤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방법 {Method for Offering User Interface for Web Page Menu Control of n-tier Architecture Based Digital Map}Method for Offering User Interface for Web Page Menu Control of n-tier Architecture Based Digital Map}

본 발명은 지도기반의 다층 구조를 갖는 웹페이지의 메뉴를 컨트롤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온라인망에 접속된 단말기의 화면 위에 활성화된 지도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다층 구조의 웹페이지 메뉴를 컨트롤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과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user interface for controlling a menu of a web page having a map-based multi-layered structure.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layered webpage based on map information activated on a screen of a terminal connected to an online network. A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 user interface for controlling a menu.

일반적으로 지리정보시스템(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은 지리 공간 데이터를 분석, 가공하여 교통이나 통신 등과 같은 지형 관련 분야에 활용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서 지도에 관한 속성정보를 컴퓨터를 이용해서 해석하는 것이다. 취급하는 정보는 인구밀도나 토지이용 등의 인위적 요소, 기상조건이나 지질 등의 자연적 환경요소 등 다양하다. 속성정보를 가공하여 특정 목적을 위해 해석하고 계획수립을 지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시설관리시스템(FMS)과는 구별하는 경우도 있다. 지리정보시스템은 도시계획, 토지관리, 기업의 판매전략 계획 등 여러 가지 용도로 활용된다. 또한, 사용자의 요구에 즉시 부응할 수 있는 도면검색시스템을 통해 도면과 속성정보를 유기적으로 결합할 수 있고, 각종 정보를 쉽게 교체할 수 있으며, 도면의 반영구적 사용과 수작업 관리로 인한 인위적인 오차배제 등이 가능하다.In general, the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 is a system that analyzes and processes geospatial data and utilizes it in terrain-related fields such as traffic and communication. The information handled varies, including human factors such as population density and land use, and natural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weather conditions and geology. It aims to process attribute information, interpret it for specific purposes, and support planning, and sometimes distinguish it from a facility management system (FMS).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is used for various purposes such as city planning, land management, corporate sales strategy planning. In addition, the drawing retrieval system that can immediately respond to the user's needs, it is possible to organically combine the drawings and attribute information, to easily replace various information, and to eliminate artificial errors due to semi-permanent use of the drawings and manual management This is possible.

이러한 지리정보시스템(GIS)은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위성항법장치), WiFi(Wireless Fidelity, 무선데이터전송시스템 또는 무선랜), 이동통신망(Mobile Radio Communication Network) 중 어느 하나와 결합되어 현재 위치를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예컨대, 항법을 위한 내비게이션(Navigation)이 포함될 수 있다. 더욱이 지리정보시스템이 탑재된 휴대가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로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단말기의 현재 위치를 표시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The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 is combined with any one of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WiFi (Wireless Fidelity, Wireless Data Transmission System, or Wireless LAN), and Mobile Radio Communication Network. It can be recognized correctly. For example, navigation for navigation may be included. In addition, the mobile information terminal equipped with a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receives location information to display the current location of the terminal.

종래에 여러 가지 주제를 지닌 지도, 즉 주제도 레이어(Layer)와 그 주제도 레이어에 관련된 기능을 제공하는 인터페이스는 복잡한 구조의 메뉴 선택방식에 의존하고 있었다. 예를 들어, 현재 구글(Google)이나 네이버(Naver), 다음(Daum) 같은 포털사이트들은 모두 지오포털, 즉 지도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모두 유사한 방식의 메뉴 구조를 이용하여 주제도 레이어와 관련된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이는 주제도 레이어들과 관련된 기능들을 전체적으로 같이 복잡하게 묶어 놓은 형태의 메뉴 구조이다. 그러다 보니 하나 또는 복수의 주제도 레이어 주변에 별도의 복잡한 메뉴판을 만들어 사용자가 이리 저리 생각을 하면서 메뉴조합을 선택하도록 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있다. 여기에는 주로 지형도와 항공사진이 이용되고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방식은 한 두 개의 주제도 레이어를 이용하는 데는 큰 문제가 없으나 주제도 레이어의 수가 많아지고 각 주제도 레이어와 관련된 고유메뉴가 많아질 경우에는 매우 이해하기 어렵고 혼란스러워지는 문제가 있었다. 사용자 입장에서 보다 직관적인 인터페이스가 필요할 뿐 아니라, 정보제공자 입장에서도 설계가 간편하면서도 많은 메인메뉴나 서브메뉴들을 간편하게 제공하기 위해서는 전혀 새로운 방식의 인터페이스가 필요한 실정이다.Conventionally, a map having various themes, that is, an interface providing a theme map layer and a function related to the theme map layer, has been dependent on a complicated menu selection method. For example, portal sites such as Google, Naver, and Daum all provide geo portals, or map services. Providing. This is a menu structure that combines the functions related to thematic map layers. As a result, one or more themes also provide an interface that allows users to think about and choose menu combinations by creating separate, complex menu boards around layers. Topographic maps and aerial photographs are mainly used here. However, this method does not have a big problem in using one or two thematic map layers, but when the number of thematic map layers increases and the number of unique menus associated with each theme map layer increases, it is very difficult to understand and confused. In addition to a more intuitive interface from the user's point of view, it is easy to design from an information provider's point of view, but to provide a number of main menus or submenus, an entirely new interface is needed.

따라서 종래에는 주제도 레이어별 관련 메뉴들을 별도로 묶는 방법이 아니어서 사용자의 메뉴선택 방식이 복잡하다. 주제도의 수가 많아질 경우에는 종래 방식의 메뉴 컨트롤은 한계에 부딪혀 사용자에게 충분한 기능을 제공할 수 없게 되고 결국 사용자의 외면을 받게 될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Therefore, in the related art, the menu selection method of the user is complicated because it is not a method of separately grouping related menus for each theme map layer. When the number of thematic maps increases, the conventional menu control hits a limit and cannot provide a sufficient function to the user, which inevitably results in the user's appearance.

본 발명은 지도기반의 다층 구조(n-tier)를 갖는 웹페이지 메뉴를 효과적으로 컨트롤할 수 있고, 정보제공자와 사용자에게 매우 직관적이면서도 간편한 사용자 위주의 인터페이스를 제작 및 활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 목적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fficiently control a web page menu having a map-based n-tier and to create and utilize a user-oriented interface that is very intuitive and simple for information providers and users.

또한, 본 발명은 다층 구조를 갖는 웹페이지 메뉴와 관련된 고유한 그래픽이미지와 메뉴들을 단말기 화면에서 동시에 이동시키고 지도기반의 지도이미지 위에 서로 중첩해 보여주기 위한 것이 다른 목적이다.
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imultaneously display unique graphic images and menus associated with a web page menu having a multi-layered structure on a terminal screen and overlap each other on a map-based map image.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지도기반의 다층 구조를 갖는 웹페이지 메뉴 컨트롤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방법으로서, (a) 온라인망에 접속된 단말기 화면에 노출된 지리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각종 정보제공을 위한 어플(application, 앱)이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되면, 단말기의 제어부는 어플과 관련된 해당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단계; (b) 상기 제어부는 GPS, WiFi, 이동통신망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부터 수신된 위치좌표 정보로 현재 위치좌표가 결정되면 지도DB 및 지도속성DB에서 현재 위치의 지도이미지와 메인메뉴 및 서브메뉴 정보를 화면에 표출시키는 단계; (c) 상기 제어부는 메인메뉴 및 서브메뉴와 관련된 정보를 온라인망을 통해 메인서버로부터 다운로드받는 단계; (d)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에 의해 화면을 통해 드래깅이 이루어지면 지도배경 웹페이지를 지도기반 웹페이지 위에 중첩되게 표시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user interface for a web page menu control having a map-based multi-layer structure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a variety of information based on geographic information exposed on the terminal screen connected to the online network If an application (application) for providing is selected by the user, the control unit of the terminal to execute the corresponding program associated with the application; (b) If the current position coordinate is determined by the position coordinate information received from at least one of GPS, WiFi, and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he controller displays the map image and the main menu and submenu information of the current position in the map DB and the map property DB. Expressing to; (c) the control unit downloading information related to the main menu and the submenu from the main server through an online network; (d) The control unit includes a step of displaying a map background web page superimposed on the map-based web page when dragging is made through the screen by the user.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어부는 지도배경 웹페이지가 지도기반 웹페이지 위에 중첩 표시될 때에 메인서버에서 다운로드받은 지도배경 웹페이지와 관련된 메인메뉴 및 서브메뉴가 동시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map background web page is overlaid on the map-based web page, the control unit may be displayed at the same time the main menu and sub-menus associated with the map background web page downloaded from the main server.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지도배경 웹페이지는 날씨정보, 교통정보, 이벤트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the map background web page may include weather information, traffic information, event information.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어부는 단말기 화면에 표시된 메인메뉴와, 해당하는 메인메뉴와 연동되는 서브메뉴 각각의 선택에 의하여 지도배경 웹페이지를 지도기반 웹페이지 위에 중첩되게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may be displayed so that the map background web page is superimposed on the map-based web page by the selection of each of the main menu displayed on the terminal screen and the sub-menu linked to the corresponding main menu.

또한, 본 발명은 지도기반의 다층 구조를 갖는 웹페이지 메뉴 컨트롤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시스템으로서, 지도정보, 날씨정보, 교통정보, 이벤트정보 데이터를 해당 정보공급자시스템에서 실시간으로 수신하여 복수의 DB에 저장하고, 복수의 DB에 저장된 해당 정보데이터를 온라인망을 통해 실시간으로 사용자 단말기로 송수신하는 지도기반검색서비스시스템의 메인서버; 상기 메인서버로 지도정보 데이터를 입출력하고 저장하는 지도DB; 상기 메인서버로 지도속성정보 데이터를 입출력하고 저장하는 지도속성DB; 상기 메인서버로 메인메뉴정보 및 서브메뉴정보 데이터를 입출력하고 저장하는 메뉴DB; 상기 메인서버로 날씨정보 데이터를 입출력하고 저장하는 날씨DB; 상기 메인서버로 교통정보 데이터를 입출력하고 저장하는 교통DB, 및 상기 메인서버로 각종 이벤트정보 데이터를 입출력하고 저장하는 이벤트DB를 포함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 user interface providing system for web page menu control having a map-based multi-layer structure, the map information, weather information, traffic information, event information data received in real time from the corresponding information provider system to a plurality of DB A main server of a map-based search service system for storing and transmitting corresponding information data stored in a plurality of DBs to a user terminal in real time through an online network; Map DB for inputting and storing map information data to the main server; A map attribute DB for inputting and storing map attribute information data to the main server; A menu DB for inputting and storing main menu information and sub-menu information data to the main server; A weather DB for inputting and storing weather information data to the main server; And a traffic DB for inputting and storing traffic information data to and from the main server, and an event DB for inputting and storing various event information data to and from the main server.

또한, 본 발명은, 현재, 내일, 주간, 월간, 기간별 날씨정보에 관한 데이터를 생성 및 가공하여 온라인망을 통해 지도기반검색서비스시스템의 메인서버로 제공하는 날씨정보제공자시스템과, 버스 및 지하철 노선, 노선번호, 정류장별 교통정보에 관한 데이터를 생성 및 가공하여 온라인망을 통해 지도기반검색시스템의 메인서버로 제공하는 교통정보제공자시스템, 및 바겐세일, 무료행사, 사건사고별 이벤트정보에 관한 데이터를 생성 및 가공하여 온라인망을 통해 지도기반검색시스템의 메인서버로 제공하는 이벤트정보제공자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the weather information provider system for generating and processing data on the weather information for each of the present, tomorrow, weekly, monthly, period to provide to the main server of the map-based search service system through the online network, bus and subway lines Traffic information provider system that creates and processes data about traffic information by route, route number, and stop and provides it as the main server of map-based search system through online network, and data about bargains, free events, and accident events It may include the event information provider system to generate and process the provided to the main server of the map-based search system through the online network.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GPS, WiFi, 이동통신망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부터 수신된 위치좌표 정보로 현재 위치좌표를 결정하는 위치결정부와, 상기 위치결정부에서 결정된 좌표정보로부터 단말기의 현재위치를 화면에 지도로 표출되도록 하고, 복수의 DB에 저장된 해당 정보데이터를 지도 위에 중첩되게 표시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로 지도정보 이미지를 입출력하고 저장하는 지도DB와, 상기 제어부로 지도속성정보 이미지를 입출력하고 저장하는 지도속성DB와, 상기 제어부로 날씨정보 이미지를 입출력하고 저장하는 날씨DB와, 상기 제어부로 교통정보 이미지를 입출력하고 저장하는 교통DB와, 상기 제어부로 이벤트정보 이미지를 입출력하고 저장하는 이벤트DB, 및 상기 제어부로 메인메뉴정보 및 서브메뉴정보 데이터를 입출력하고 저장하는 메뉴DB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terminal is a positioning unit for determining the current position coordinates with the position coordinate information received from one or more of the GPS, WiFi,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current information of the terminal from the coordinate information determined by the positioning unit A controller for displaying a location on a screen and displaying corresponding information data stored in a plurality of DBs on a map; a map DB for inputting and storing a map information image through the controller; and a map attribute information image with the controller. Map attribute DB for inputting and storing the information, Weather DB for inputting and storing the weather information image to the control unit, Traffic DB for inputting and storing the traffic information image to the control unit, Input and output and storage of the event information image to the control unit Input and output main menu information and sub-menu information data to the control unit Which may include a menu DB.

본 발명은 상기 해결 수단에 의하여, 사용자와 정보제공자 모두에게 보다 직관적이면서도 간편하고, 또, 수많은 지도기반의 다층 구조를 갖는 웹페이지를 이용할 경우에 전혀 새로운 방식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직관적이고 매우 편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정보제공자에게도 직관적이면서 기능 설계와 구현의 편의성을 제공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the user to implement a completely new method of user interface when using a web page that is more intuitive and simple to both the user and the information provider, and has a large number of map-based multilayer structures. It provides the user with an intuitive and very convenient user interface, and provides the information provider with the convenience of design and implementa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지도기반의 다층 구조를 갖는 웹페이지 메뉴 컨트롤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지도기반의 다층 구조를 갖는 웹페이지 메뉴 컨트롤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단말기에 구현하기 위한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지도기반의 다층 구조를 갖는 웹페이지 메뉴 컨트롤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기본 구조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지도기반의 다층 구조를 갖는 웹페이지 메뉴 컨트롤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기본 웹페이지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지도기반의 다층 구조를 갖는 웹페이지 메뉴 컨트롤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주소검색을 실행한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지도기반의 다층 구조를 갖는 웹페이지 메뉴 컨트롤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날씨를 실행한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지도기반의 다층 구조를 갖는 웹페이지 메뉴 컨트롤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버스노선을 실행한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지도기반의 다층 구조를 갖는 웹페이지 메뉴 컨트롤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각종 이벤트를 실행한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지도기반의 다층 구조를 갖는 웹페이지 메뉴 컨트롤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작동에 관한 흐름을 나타낸 것이다.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user interface providing system for web page menu control having a map-based multilayer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for implementing a user interface for a web page menu control having a map-based multilayer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 terminal.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basic structure of a user interface for a web page menu control having a map-based multilayer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llustrates a basic web page of a user interface for a web page menu control having a map-based multilayer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shows that the address search of the user interface for the web page menu control having a map-based multi-layer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shows the execution of the weather of the user interface for the web page menu control having a map-based multi-layer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7 shows a bus route of a user interface for web page menu control having a map-based multilayer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llustrates execution of various events of a user interface for a web page menu control having a map-based multilayer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a user interface for web page menu control having a map-based multilayer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지도기반의 다층 구조를 갖는 웹페이지 메뉴 컨트롤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시스템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 user interface providing system for web page menu control having a map-based multilayer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에서, 온라인망(30)에 사용자 단말기(10), 지도기반검색서비스시스템의 서버(20), 날씨정보공급자시스템의 서버(40), 교통정보공급자시스템의 서버(50), 이벤트정보공급자시스템의 서버(60) 등이 실시간으로 접속되어 각종 정보데이터를 송수신한다.1, the user terminal 10, the server 20 of the map-based search service system, the server 40 of the weather information provider system, the server 50 of the traffic information provider system, the event information provider in the online network 30 The server 60 of the system is connected in real time to transmit and receive various information data.

사용자 단말기(10)는 온라인망(30)을 통해 이동통신이 가능한 스마트폰(10, 이하 '단말기' 로 통칭함), 태블릿PC(11) 또는 노트북을 포함한 퍼스널 컴퓨터(12)가 포함된다. 단말기(10)는 지도기반의 다층 구조를 갖는 웹페이지 메뉴 컨트롤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고, 이를 구현할 수 있는 하드웨어가 구비되어 있는 것이 좋다. 그리고 단말기(10)에는 지도기반의 다층 구조를 갖는 웹페이지 메뉴 컨트롤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구현을 위한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앱 또는 어플, 이하 '어플' 로 통침함)이 저장되어 있어야 한다.The user terminal 10 includes a smart phone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terminal”), a tablet PC 11, or a personal computer 12 including a laptop capable of mobile communication through the online network 30. The terminal 10 stores a user interface program for controlling a web page menu having a map-based multilayer structure, and is preferably provided with hardware capable of implementing the same. In addition, the terminal 10 should store an application (application, app or applica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application') for implementing a user interface for web page menu control having a map-based multilayer structure.

도 2에서, 사용자 단말기(10)의 위치결정부(111)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위성항법장치), WiFi(Wireless Fidelity, 무선데이터전송시스템 또는 무선랜), 이동통신망(Mobile Radio Communication Network) 중 어느 하나 또는 어느 하나이상, 즉 각각 또는 하나 이상 또는 모두로부터 위치좌표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 단말기(10)의 현재 위치좌표를 결정한다. 이는 위치결정부(111)가 GPS, WiFi 또는 이동통신망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위치좌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In FIG. 2, the positioning unit 111 of the user terminal 10 includes a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a WiFi (Wireless Fidelity, a wireless data transmission system or a wireless LAN), and a mobile radio communication network. The position coordinate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10 is determined by receiving the position coordinate information from any one or any one or more, that is, one or more or all of them. This is for the positioning unit 111 to receive the position coordinate information from at least one of the GPS, WiFi or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제어부(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API)(117)는 위치결정부(111)에서 수신된 좌표정보로부터 단말기(10)의 현재위치를 화면(100)에 지도로 표출되도록 하고, 복수의 DB에 저장된 해당 정보데이터를 지도 위에 중첩되게 표시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것이다. 제어부(110)는 단말기(10)의 각종 기능을 제어하는 마이컴 또는 CPU 등이다. 제어부(110)는 날씨, 교통 및 각종 이벤트 등에 관한 정보를 단말기 화면에 표시된 지도 위에 해당하는 위치 좌표에 중첩되게 표시되도록 제어한다.The control unit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API) 117 is to display the current position of the terminal 10 on the screen 100 in a map from the coordinat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positioning unit 111, the corresponding information stored in a plurality of DB You control the display of data overlaid on the map. The controller 110 is a microcomputer or a CPU that controls various functions of the terminal 10. The controller 110 controls the information such as weather, traffic, and various events to be superimposed on the position coordinates corresponding to the map displayed on the terminal screen.

지도DB(112)는 제어부(110)로 지도정보 이미지를 입출력하고 저장하는 것이고, 지도속성DB(113)는 제어부(110)로 지도속성정보 이미지를 입출력하고 저장하는 것이다. 또한, 날씨DB(114)는 제어부(110)로 날씨정보 이미지를 입출력하고 저장하는 것이고, 교통DB(115)는 제어부(110)로 교통정보 이미지를 입출력하고 저장하는 것이며, 이벤트DB(116)는 제어부(110)로 이벤트정보 이미지를 입출력하고 저장하는 것이다. 메뉴DB(117)는 제어부(110)로 메인메뉴정보 및 서브메뉴정보 데이터를 입출력하고 저장하는 것이다. 상기 복수DB, 즉 지도DB(112), 지도속성DB(113), 날씨DB(114), 교통DB(115), 이벤트DB(116), 메뉴DB(117)는 단말기(10) 내부에 구성된 메모리에 할당될 수 있고, 복수DB는 단말기(10)에 외장형 메모리로 적용이 가능할 것이다.The map DB 112 inputs and stores the map information image to the controller 110, and the map attribute DB 113 inputs and stores the map attribute information image to the controller 110. In addition, the weather DB 114 is to input and output the weather information image to the control unit 110, the traffic DB 115 is to input and output the traffic information image to the control unit 110, the event DB 116 is The controller 110 inputs and stores an event information image. The menu DB 117 inputs and stores main menu information and submenu information data to the controller 110. The plurality of DBs, that is, the map DB 112, the map attribute DB 113, the weather DB 114, the traffic DB 115, the event DB 116, the menu DB 117 is a memory configured in the terminal 10 The plurality of DBs may be applied to the terminal 10 as an external memory.

상기 지도DB(112), 지도속성DB(113), 날씨DB(114), 교통DB(115), 이벤트DB(116), 메뉴DB(117)는 지도기반검색서비스시스템의 메인서버(20)를 통해 각종 정보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업데이트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지만, 설정된 시간에 각종 정보데이터가 업데이트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좋다. 더욱이 단말기(10)가 온라인망에 접속되지 않은 오프라인 상태에서도 지도정보의 검색은 가능할 것이다.The map DB 112, map attribute DB 113, weather DB 114, traffic DB 115, event DB 116, menu DB 117 is the main server 20 of the map-based search service system It is good to allow various information data to be updated in real time through, but it is also good to allow various information data to be updated at a set time. Furthermore, even when the terminal 10 is not connected to the online network, the map information may be searched.

또한, 지도기반검색서비스시스템의 구성으로, 메인서버(20)는 지도정보, 날씨정보, 교통정보, 이벤트정보 데이터를 해당 정보공급자시스템에서 실시간으로 수신하여 복수의 DB에 저장하고, 복수의 DB에 저장된 해당 정보데이터를 온라인망(30)을 통해 실시간으로 사용자 단말기(10)로 송수신하는 것이다. 지도기반검색서비스시스템의 메인서버(20)에는 복수의 DB가 연결된다. 지도DB(21)는 메인서버(20)로 지도정보 데이터를 입출력하고 저장하는 것이고, 지도속성DB(22)는 메인서버(20)로 지도속성정보 데이터를 입출력하고 저장하는 것이다. 지도속성DB(22)의 속성정보는 해당하는 장소의 자연, 사회, 경제적 특성을 포함하는 것으로, 사용자가 서브메뉴(103)의 선택으로 지도의 검색, 즉 주소검색이나 건물검색 등을 할 때에 명칭입력, 검색된 정보의 표시, 검색된 위치의 주소나 건물과 관련된 상세정보 등을 포함한다.In addition, as a configuration of a map-based search service system, the main server 20 receives map information, weather information, traffic information, and event information data in real time from the corresponding information provider system and stores them in a plurality of DBs. The stored information data is transmitted and received to the user terminal 10 in real time through the online network 30. A plurality of DBs are connected to the main server 20 of the map based search service system. The map DB 21 inputs and stores map information data to and from the main server 20, and the map attribute DB 22 inputs and stores map attribute information data to and from the main server 20. The attribute information of the map attribute DB 22 includes the natural, social, and economic characteristics of the corresponding place. When the user searches the map by selecting the submenu 103, that is, the address search or the building search, the name is used. Inputs, display of retrieved information, address of the retrieved location or detailed information related to the building.

또한, 메뉴DB(23)는 메인서버(20)로 메인메뉴정보 및 서브메뉴정보 데이터를 입출력하고 저장하는 것이고, 날씨DB(24)는 메인서버(20)로 날씨정보 데이터를 입출력하고 저장하는 것이며, 교통DB(25)는 메인서버(20)로 교통정보 데이터를 입출력하고 저장하는 것이고, 이벤트DB(26)는 메인서버(20)로 각종 이벤트정보 데이터를 입출력하고 저장하는 것이다. 메인서버(20)에는 각종 정보데이터를 입출력 및 저장하기 위한 각종 DB가 더 연결되거나 포함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menu DB 23 inputs and stores main menu information and submenu information data to the main server 20, and the weather DB 24 inputs and stores weather information data to the main server 20. The traffic DB 25 inputs and stores traffic information data to and from the main server 20, and the event DB 26 inputs and stores various event information data to and from the main server 20. The main server 20 may further include or include various DBs for inputting and storing various information data.

상기 지도기반검색서비스제공시스템에 포함된 지도DB(21), 지도속성DB(22), 메뉴DB(23), 날씨DB(24), 교통DB(25) 및 이벤트DB(26)는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해당하는 정보공급자시스템으로부터 데이터 정보를 업데이트 받아 저장하였다가 단말기(10)의 요청에 따라 각각의 데이터 정보를 단말기(10)의 지도DB(112), 지도속성DB(113), 날씨DB(114), 교통DB(115), 이벤트DB(116) 또는 메뉴DB(117)에 각각 저장되도록 한다.The map DB 21, the map attribute DB 22, the menu DB 23, the weather DB 24, the traffic DB 25, and the event DB 26 included in the map-based search service providing system are real-time or periodically. After receiving and updating data information from the corresponding information provider system, the terminal 10 requests each of the data information on the map DB 112, the map attribute DB 113, and the weather DB 114 of the terminal 10. ), Traffic DB 115, event DB 116, or menu DB 117, respectively.

또한, 날씨정보제공자시스템의 서버(40)는 현재, 내일, 주간, 월간, 기간별 날씨정보에 관한 데이터를 생성 및 가공하여 온라인망(30)을 통해 지도기반검색서비스시스템의 메인서버(20)로 제공하는 것이다. 날씨정보제공자시스템에는 날씨와 관련된 정보데이터를 입출력 및 저장하는 DB(41)가 포함된다.In addition, the server 40 of the weather information provider system generates and processes data on weather information for each day, tomorrow, weekly, monthly, and period, and then, to the main server 20 of the map-based search service system through the online network 30. To provide. The weather information provider system includes a DB 41 for inputting and storing information data related to weather.

교통정보제공자시스템의 서버(50)는 버스 및 지하철 노선, 노선번호, 정류장별 교통정보에 관한 데이터를 생성 및 가공하여 온라인망(30)을 통해 지도기반검색시스템의 메인서버(20)로 제공하는 것이다. 교통정보제공자시스템에는 교통과 관련된 정보데이터를 입출력 및 저장하는 DB(51)가 포함된다.The server 50 of the traffic information provider system generates and processes data on bus and subway lines, route numbers, and traffic information for each stop, and provides the main server 20 of the map based search system through the online network 30. will be. The traffic information provider system includes a DB 51 for inputting and storing information data related to traffic.

이벤트정보제공자시스템의 서버(60)는 바겐세일, 무료행사, 사건사고별 이벤트정보에 관한 데이터를 생성 및 가공하여 온라인망(30)을 통해 지도기반검색시스템의 메인서버(20)로 제공하는 것이다. 이벤트정보제공자시스템은 이벤트와 관련된 정보데이터를 입출력 및 저장하는 DB(61)가 포함된다.The server 60 of the event information provider system generates and processes data related to bargains, free events, and event information for each incident and provides the main server 20 of the map based search system through the online network 30. . The event information provider system includes a DB 61 for inputting and storing information data related to the event.

본 발명에 따른 지도기반의 다층 구조를 갖는 웹페이지 메뉴 컨트롤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제공 및 다양한 구현을 위하여 상기 정보공급자시스템 이외에 수많은 정보공급자시스템이 더 구비될 수 있을 것이다.In addition to the information provider system, a number of information provider systems may be further provided to provide a user interface and various implementations for a web page menu control having a map-based multilayer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상기 시스템의 구성에 의한 지도기반의 다층 구조를 갖는 웹페이지 메뉴 컨트롤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방법에 관하여 도 2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through 9 for a method of providing a user interface for web page menu control having a map-based multilayer structure by the configuration of the system.

도 2에서, 단말기(10)의 화면(100)에는 제어부(110)의 제어로 지도이미지(101)와 메인메뉴(102) 및 서브메뉴(103)가 표시된다. 그리고 지도이미지(101) 위에는 날씨이미지(104), 교통이미지(105), 또는 이벤트이미지(106) 등이 중첩되어 표시된다. 그리고 날씨이미지(104), 교통이미지(105), 또는 이벤트이미지(106)는 해당되는 각각의 메인메뉴와 서브메뉴가 표시된다. 따라서 단말기(10)의 화면에는 지도이미지(101) 위에 사용자의 좌우 드래깅에 의하여 날씨이미지(104), 교통이미지(105), 이벤트이미지(106) 또는 지도이미지(101)가 표시된다. 날씨이미지(104), 교통이미지(105), 이벤트이미지(106) 또는 지도이미지(101)는 중첩되어 있어 사용자가 단순히 좌우 드래깅 또는 메인메뉴나 서브메뉴의 선택에 의하여 중첩된 이미지가 화면(100)에 나타나게 된다. 이때, 날씨, 교통 또는 이벤트 등과 관련된 웹페이지 이미지 데이터와 메인메뉴 및/또는 서브메뉴들은 화면 위에 동시에 이동이 된다. 즉 메인메뉴 및/또는 서브메뉴들은 해당하는 날씨, 교통 또는 이벤트 등과 관련된 웹페이지 이미지 데이터만을 이용하거나 또는 지도와 관련된 웹페이지 이미지 데이터들을 함께 동시에 이용할 수 있도록 연동이 이루어진다.In FIG. 2, the map image 101, the main menu 102, and the submenu 103 are displayed on the screen 100 of the terminal 10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10. The weather image 104, the traffic image 105, or the event image 106 are superimposed on the map image 101. In addition, the weather image 104, the traffic image 105, or the event image 106 displays respective main menus and submenus. Therefore, on the screen of the terminal 10, the weather image 104, the traffic image 105, the event image 106, or the map image 101 are displayed by dragging the left and right of the user on the map image 101. The weather image 104, the traffic image 105, the event image 106, or the map image 101 are superimposed so that the image is superimposed by the user simply dragging left or right or by selecting a main menu or submenu. Will appear on the screen. At this time, the web page image data related to the weather, traffic or events, and the main menu and / or submenus are simultaneously moved on the screen. That is, the main menu and / or submenus are linked to use only webpage image data related to a corresponding weather, traffic or event, or to simultaneously use webpage image data related to a map.

더욱 상세하게는 도 3에서, 기본적인 이미지로서 지도기반 웹페이지인 지도이미지(101)가 화면(100)에 표시되고, 화면의 상단에는 메인메뉴가 표시되며, 화면의 하단에는 서브메뉴가 표시된다. 그리고 사용자의 드래깅에 의하여 지도이미지(101) 위에 날씨이미지(104), 교통이미지(105), 이벤트이미지(106) 또는 기타이미지 등이 중첩되어 표시된다. 또한, 지도, 날씨, 교통, 이벤트의 드래깅에 따라 해당하는 서브메뉴가 표시된다.More specifically, in FIG. 3, a map image 101, which is a map-based web page, is displayed on the screen 100 as a basic image, a main menu is displayed at the top of the screen, and a sub menu is displayed at the bottom of the screen. The weather image 104, the traffic image 105, the event image 106, or other images are superimposed on the map image 101 by the dragging of the user. In addition, a corresponding submenu is displayed according to dragging of a map, weather, traffic, and event.

도 4에서, 사용자가 단말기 화면(100)에 표시된 어플을 선택하였을 때에 초기에 나타나는 기본 이미지로 지도이미지(101)가 표시된다. 지도이미지(101) 위에는 메인메뉴(102)가 표시되고, 메인메뉴(102) 양측에는 메인메뉴의 좌우 이동 또는 표시되지 않은 메뉴가 노출되도록 하기 위한 아이콘(102a, 102b), 즉 '<' 및 '>' 이 표시된다. 그리고 지도이미지(101) 아래에는 서브메뉴(103)가 표시된다. 서브메뉴(103)는 현재위치, 주소검색, 건물검색, 설정을 위한 메뉴가 포함되어 있다.In FIG. 4, the map image 101 is displayed as a basic image initially displayed when the user selects an application displayed on the terminal screen 100. The main menu 102 is displayed on the map image 101, and icons 102a and 102b for exposing left and right menus of the main menu or exposed menus on both sides of the main menu 102, that is, '<' and ' > 'Is displayed. The submenu 103 is displayed below the map image 101. The submenu 103 includes a menu for the current location, address search, building search, and setting.

지도이미지(101)로부터 사용자에 의한 주소검색을 위한 실시예로서, 도 5에서, 사용자가 서브메뉴(103)의 주소검색을 선택하면 주소검색 화면이 나타난다. 주소검색을 위하여 공공기관, 주민센터, 문화, 체육, 교육/강좌, 보건/복지, 화장실, 기타 등의 선택버튼이 표시되고, 주소가 입력되는 주소창에는 문자와 숫자의 입력이 가능한 키보드버튼의 입력으로 주소입력 및 검색이 가능하다. 해당하는 주소의 검색이 이루어지면 제어부(110)로부터 검색된 결과가 화면으로 표시된다. 검색된 결과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면 해당 위치의 지도정보나 상세정보가 표시된다. 그리고 사용자에 의하여 주소검색 때에는 지도로부터 해당 위치를 선택 및 검색할 수 있을 것이다.As an embodiment for searching the address by the user from the map image 101, in FIG. 5, if the user selects the address search of the submenu 103, the address search screen appears. In order to search the address, public institution, resident center, culture, physical education, education / lecture, health / welfare, restroom, etc. selection buttons are displayed, and in the address window where the address is input, input of keyboard buttons that can input letters and numbers It is possible to input address and search. If a corresponding address is searched, the searched result from the controller 110 is displayed on the screen. If one of the search results is selected, map information or detailed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location is displayed. And when the address search by the user will be able to select and search the location from the map.

도 6에서, 사용자가 지도이미지(101)가 표시된 화면을 드래깅으로 터치하면 지도이미지(101) 위에 날씨이미지(104)가 중첩되어 표시된다. 이때, 서브메뉴는 날씨와 관련된 메뉴가 표시된다. 서브메뉴로는 오늘날씨, 주간날씨, 월간날씨, 주소검색 또는 설정 등의 메뉴를 선택할 수 있을 것이다. 주소검색에 의한 날씨는 해당하는 주소의 검색에 의하여 표시되는 지도이미지 위에 해당하는 날씨정보가 중첩되어 표시되도록 하는 것이다. 더욱이 지도이미지(101) 위에 날씨이미지(104)가 중첩될 때에 제어부(110)는 해당하는 위치 좌표에 따른 해당하는 날씨정보가 표시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전국을 포함하여 어느 지역에 대하여 현재의 날씨, 온도 등의 정보가 표시되도록 한다. 이는 화면(100)에 표시되는 지도이미지(101)의 크기에 따라 날씨이미지(104)의 위치나 크기가 달라질 수 있을 것이다.In FIG. 6, when the user touches the screen on which the map image 101 is displayed by dragging, the weather image 104 is displayed on the map image 101 by overlapping it. At this time, the sub-menu displays a menu related to the weather. The submenu will allow you to choose from menus such as Today, Day, Monthly, Address Search or Settings. Weather by address search is to display the corresponding weather information is superimposed on the map image displayed by the search of the corresponding address. Furthermore, when the weather image 104 is superimposed on the map image 101, the controller 110 causes the corresponding weather information to be displayed according to the corresponding location coordinates. For example, information about current weather, temperature, etc. may be displayed for a certain region including the whole country. The location or size of the weather image 104 may vary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map image 101 displayed on the screen 100.

또한, 도 7에서, 사용자가 지도이미지(101) 위에 중첩되어 표시된 날씨이미지(104) 위를 드래깅으로 화면을 터치하면 지도이미지(101) 위에 교통이미지(105)가 중첩되어 표시된다. 이때, 서브메뉴는 교통과 관련된 메뉴가 표시된다. 지도이미지(101) 위에 교통이미지(105)가 중첩될 때에 제어부(110)는 해당하는 위치 좌표에 따른 해당하는 교통관련 정보가 표시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전국을 포함하여 어느 지역에 대하여 현재의 교통 관련정보가 표시되도록 하는 것으로, 사용자가 서브메뉴의 선택에 의하여 버스나 지하철노선, 노선번호, 정류장 또는 설정 등의 검색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는 화면(100)에 표시되는 지도이미지(101)의 크기에 따라 교통이미지(105)의 위치나 크기가 달라질 수 있을 것이다.In addition, in FIG. 7, when the user touches the screen by dragging the weather image 104 displayed on the map image 101 by overlapping, the traffic image 105 is displayed on the map image 101. At this time, the sub menu is a menu related to traffic. When the traffic image 105 is superimposed on the map image 101, the controller 110 displays corresponding traffic related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corresponding location coordinates. For example, the current traffic related information is displayed for a certain area including the whole country, and the user can search for a bus or subway line, a route number, a stop, or a setting by selecting a submenu. . The position or size of the traffic image 105 may vary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map image 101 displayed on the screen 100.

또한, 도 8에서, 사용자가 화면의 지도이미지(101) 위에 중첩되어 표시된 교통이미지(105) 위를 드래깅으로 터치하면 지도이미지(101) 위에 이벤트이미지(106)가 중첩되어 표시된다. 이때, 서브메뉴는 각종 이벤트와 관련된 메뉴가 표시된다. 지도이미지(101) 위에 이벤트이미지(106)가 중첩될 때에 제어부(110)는 해당하는 위치 좌표에 따른 해당하는 이벤트관련 정보가 표시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전국을 포함하여 어느 지역에 대하여 현재의 이벤트 관련정보가 표시되도록 하는 것으로, 사용자가 서브메뉴의 선택에 의하여 바겐세일, 무료행사, 사건사고 또는 설정 등의 검색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는 화면(100)에 표시되는 지도이미지(101)의 크기에 따라 이벤트이미지(106)의 위치나 크기가 달라질 수 있을 것이다. 사용자가 화면에 표시된 이벤트를 선택하면 해당하는 이벤트의 위치정보와 상세정보 등이 나타날 것이다.In addition, in FIG. 8, when the user touches the traffic image 105 overlapping the displayed traffic image 105 by dragging, the event image 106 is displayed on the map image 101. At this time, the submenu displays a menu related to various events. When the event image 106 is superimposed on the map image 101, the controller 110 displays corresponding event-related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corresponding location coordinates. For example, the current event-related information is displayed for a certain region including the whole country, and the user can search for bargains, free events, accidents or settings by selecting a submenu. The location or size of the event image 106 may vary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map image 101 displayed on the screen 100. When the user selects an event displayed on the screen, location information and detailed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event will appear.

본 발명의 지도기반의 다층 구조를 갖는 웹페이지 메뉴 컨트롤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방법은 도 9의 흐름도에서, 우선 온라인망(30)에 접속된 단말기 화면(100)에 노출된 지리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각종 정보제공을 위한 어플(application, 앱)이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되면(S1), 단말기(10)의 제어부(110)는 어플과 관련된 해당 프로그램을 실행시킨다(S2).In the flowchart of FIG. 9, a method of providing a user interface for controlling a web page menu having a multi-layered map-based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based on geographical information exposed on a terminal screen 100 connected to an online network 30. When an application (application, app) for providing various information is selected by the user (S1), the controller 110 of the terminal 10 executes a corresponding program related to the application (S2).

상기 어플이 실행되면, 제어부(110)는 위치결정부(111)에서 단말기(10)의 현재 위치좌표를 입력받아 지도DB(112) 및 지도속성DB(113)로부터 현재 위치의 지도이미지(101)와 메뉴DB(117)에서 메인메뉴(102) 및 서브메뉴(103) 정보를 화면(100)에 표출시킨다(S3).When the application is executed, the control unit 110 receives the current position coordinates of the terminal 10 from the positioning unit 111 and the map image 101 of the current position from the map DB 112 and the map attribute DB 113. In the menu DB 117, the main menu 102 and the sub-menu 103 information are displayed on the screen 100 (S3).

그리고 제어부(110)는 메인메뉴(102) 및 서브메뉴(103)와 관련된 정보를 온라인망(30)을 통해 메인서버(20)로부터 다운로드받는다(S4).The controller 110 downloads information related to the main menu 102 and the submenu 103 from the main server 20 through the online network 30 (S4).

제어부(110)는 사용자에 의해 화면(100)을 통해 드래깅이 이루어지면 지도배경 웹페이지를 지도기반 웹페이지 위에 중첩되게 표시되도록 한다(S5).If the dragging is made through the screen 100 by the user, the controller 110 causes the map background webpage to be superimposed on the map-based webpage (S5).

또한, 상기 제어부(110)는 지도배경 웹페이지가 지도기반 웹페이지 위에 중첩 표시될 때에 메인서버(20)에서 다운로드받은 지도배경 웹페이지와 관련된 메인메뉴(102) 및 서브메뉴(103)가 동시에 표시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지도배경 웹페이지는 날씨정보, 교통정보, 이벤트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10)는 단말기(10)의 화면(100)에 표시된 메인메뉴(102) 또는 서브메뉴(103)의 선택에 의하여 지도배경 웹페이지를 지도기반 웹페이지 위에 중첩되게 표시되도록 한다. 따라서 메인메뉴 및/또는 서브메뉴들은 해당하는 날씨, 교통 또는 이벤트 등과 관련된 웹페이지 이미지 데이터만을 이용하거나 또는 지도기반의 웹페이지 이미지 데이터들을 함께 이용하는 연동이 가능해진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110 displays the main menu 102 and the submenu 103 related to the map background web page downloaded from the main server 20 simultaneously when the map background web page is overlaid on the map based web page. Be sure to In addition, the map background web page includes weather information, traffic information, and event information. In addition, the controller 110 allows the map background webpage to be displayed on the map-based webpage by selecting the main menu 102 or the submenu 103 displayed on the screen 100 of the terminal 10. Therefore, the main menu and / or submenus can be linked using only webpage image data related to a corresponding weather, traffic or event, or using map-based webpage image data together.

이와 같이 지도기반의 다층 구조를 갖는 웹페이지 메뉴 컨트롤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방법은 단말기 화면에서 사용자의 직관적인 드래깅과 선택으로 지도정보의 기반 위에 수많은 층의 구조를 갖는 웹페이지를 제어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한 장점이 있다.In this way, a user interface for controlling web page menus having a multi-layered map-based interface is an interface that can control web pages having a large number of layers on the basis of map information by intuitive dragging and selection of a user on a terminal screen. There is an advantage provided.

이상의 설명에서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While the invention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with respect to the specific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Anyone who has it will know it easily.

10: 단말기 11: 태블릿PC 12: 퍼스널컴퓨터 20: 메인서버 21, 112: 지도DB 22, 113: 지도속성DB 23: 메뉴DB 24, 114: 날씨DB 25, 115: 교통DB 26, 116: 이벤트DB 30: 온라인망 40, 50, 60: 서버 41, 51, 61: DB 100: 화면 110: 제어부 111: 위치결정부 117: 메뉴DB10: terminal 11: tablet PC 12: personal computer 20: main server 21, 112: map DB 22, 113: map properties DB 23: menu DB 24, 114: weather DB 25, 115: traffic DB 26, 116: event DB 30: online network 40, 50, 60: server 41, 51, 61: DB 100: screen 110: control unit 111: positioning unit 117: menu DB

Claims (7)

(a) 온라인망에 접속된 단말기 화면에 노출된 지리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각종 정보제공을 위한 어플(application, 앱)이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되면, 단말기의 제어부는 어플과 관련된 해당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단계;
(b) 상기 제어부는 GPS, WiFi, 이동통신망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부터 위치결정부에서 수신된 위치좌표 정보로 현재 위치좌표가 결정되면 지도DB 및 지도속성DB에서 현재 위치의 지도이미지와 메인메뉴 및 서브메뉴 정보를 화면에 표출시키는 단계;
(c) 상기 제어부는 메인메뉴 및 서브메뉴와 관련된 정보를 온라인망을 통해 메인서버로부터 다운로드받는 단계;
(d)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에 의해 화면을 통해 드래깅이 이루어지거나 메인메뉴 또는 해당하는 메인메뉴와 연동되는 서브메뉴의 선택에 의하여 지도배경 웹페이지(날씨이미지, 교통이미지 또는 이벤트이미지)의 해당하는 위치좌표에 따른 해당하는 정보(날씨정보, 교통정보 또는 이벤트정보)가 지도기반 웹페이지(지도이미지) 위에 해당DB(날씨DB, 교통DB 또는 이벤트DB)로부터 다층구조로 중첩되게 표시되도록 하고, 메인서버에서 다운로드받은 지도배경 웹페이지와 관련된 메인메뉴 및 해당하는 서브메뉴가 지도기반 웹페이지 위에 동시에 중첩 표시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으로써,
지도배경 웹페이지와 관련된 메인메뉴 및 해당하는 서브메뉴가 동시에 이동하게 되고, 지도정보의 기반 위에 층의 구조를 갖는 상기 지도배경 웹페이지를 제어할 수 있는, 지도기반의 다층 구조를 갖는 웹페이지 메뉴 컨트롤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방법.
(a) when an application (application) for providing various information based on geographic information exposed on a screen of a terminal connected to an online network is selected by a user, the controller of the terminal executes a corresponding program related to the application ;
(b) If the current position coordinate is determined by the position coordinat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positioning unit from at least one of GPS, WiFi, and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he control unit maps the map image of the current position, main menu, and sub in the map DB and the map property DB. Displaying menu information on a screen;
(c) the control unit downloading information related to the main menu and the submenu from the main server through an online network;
(d) The controller controls the corresponding position of the map background web page (weather image, traffic image or event image) by dragging through the screen by the user or by selecting a sub menu linked with the main menu or the corresponding main menu. Corresponding information (weather information, traffic information or event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coordinates is displayed in a multi-layered structure from the corresponding DB (weather DB, traffic DB or event DB) on the map-based web page (map image), and the main server. And superimposing the main menu and the corresponding sub-menu related to the downloaded map background web page on the map-based web page at the same time.
The main menu and the corresponding sub-menu related to the map background web page are moved simultaneously, and the web page menu having a map-based multilayer structure that can control the map background web page having a layer structure on the base of map information. How to provide a user interface for the control.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도배경 웹페이지는 날씨정보, 교통정보, 이벤트정보를 포함하는 지도기반의 다층 구조를 갖는 웹페이지 메뉴 컨트롤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map background web page has a map-based multilayer structure including weather information, traffic information, and event information.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10052772A 2011-06-01 2011-06-01 Method for Offering User Interface for Web Page Menu Control of n-tier Architecture Based Digital Map KR10129159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2772A KR101291599B1 (en) 2011-06-01 2011-06-01 Method for Offering User Interface for Web Page Menu Control of n-tier Architecture Based Digital Map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2772A KR101291599B1 (en) 2011-06-01 2011-06-01 Method for Offering User Interface for Web Page Menu Control of n-tier Architecture Based Digital Map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3875A KR20120133875A (en) 2012-12-11
KR101291599B1 true KR101291599B1 (en) 2013-08-01

Family

ID=475171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2772A KR101291599B1 (en) 2011-06-01 2011-06-01 Method for Offering User Interface for Web Page Menu Control of n-tier Architecture Based Digital Map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1599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5283B1 (en) 2013-03-14 2019-07-02 삼성전자 주식회사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pp in portable terminal
KR101591285B1 (en) * 2015-08-27 2016-02-03 한국지질자원연구원 Geological survey system using personal portable device and geological survey method using thereof
KR102418460B1 (en) * 2020-08-28 2022-07-07 주식회사 티알큐 Event item placement server in a virtual space that recommends event item placement information of similar event by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KR102292832B1 (en) * 2020-10-27 2021-08-26 (주)인투월드테크놀러지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sequential web pages between platform business operators and service provider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21172A (en) 2001-10-12 2003-04-23 Equos Research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map
JP2003121187A (en) 2001-10-16 2003-04-23 Denso Corp Map display and program thereof
JP2004062551A (en) 2002-07-30 2004-02-26 Nippon Seiki Co Ltd Information display method for display devic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21172A (en) 2001-10-12 2003-04-23 Equos Research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map
JP2003121187A (en) 2001-10-16 2003-04-23 Denso Corp Map display and program thereof
JP2004062551A (en) 2002-07-30 2004-02-26 Nippon Seiki Co Ltd Information display method for displa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3875A (en) 2012-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13265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individualized portable asset applications
US9954989B2 (en) Lock screen graphical user interface
US8363065B2 (en) Method of graphically indicating on a wireless communications device that map data is still being downloaded
EP3103271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sioning geofences
US10480955B2 (en) Travel time mapping using isochrones
CN103069370A (en) Methods, apparatuse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automatically generating suggested information layers in augmented reality
US10073896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nearby search service using POI clustering scheme
JP5289379B2 (en) Map display apparatus, method, program, and map display server
JP5952667B2 (en) Message management apparatus, message management method, and program
KR102108488B1 (en) Contextual Map View
US11663694B2 (en) Zoom-adaptive data granularity to achieve a flexible high-performance interface for a geospatial mapping system
KR101291599B1 (en) Method for Offering User Interface for Web Page Menu Control of n-tier Architecture Based Digital Map
US1033171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n interactive map section on a user interface of a client device
Batty et al. Data mash-ups and the future of mapping
US10515100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interactive boundary mapping
JP5389851B2 (en) Map providing server, map providing method and program
CN106796498B (en) Method, system, and storage medium for rendering a map for a user
JP2016170270A (en) Map display system and map display method
US9865034B1 (en) Zoom-adaptive data granularity to achieve a flexible high-performance interface for a geospatial mapping system
JP4884458B2 (en) Map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area with comparison object
CN103838602A (en) Method and device for loading map information in browser
Andreucci Pro iOS Geo: Building Apps with Location Based Services
Loeffler Improving geoscience data access and interoperability through the Flyover Country mobile app
Kienberger et al. ArcGIS explorer review
Brovelli et al. Open Source mobile GIS solutions for different application fiel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