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7833B1 - 관련 음향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방법, 서비스 서버 및 종단단말기 - Google Patents

관련 음향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방법, 서비스 서버 및 종단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7833B1
KR101267833B1 KR1020080115796A KR20080115796A KR101267833B1 KR 101267833 B1 KR101267833 B1 KR 101267833B1 KR 1020080115796 A KR1020080115796 A KR 1020080115796A KR 20080115796 A KR20080115796 A KR 20080115796A KR 101267833 B1 KR101267833 B1 KR 1012678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server
terminal
communication terminal
music fi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57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56810A (ko
Inventor
이정훈
류정민
김인환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157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7833B1/ko
Priority to US13/128,487 priority patent/US8805440B2/en
Priority to PCT/KR2009/005956 priority patent/WO2010058909A2/ko
Priority to JP2011537349A priority patent/JP5244982B2/ja
Publication of KR201000568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68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78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78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8Information format or content conversion, e.g. adaptation by the network of the transmitted or received information for the purpose of wireless delivery to users or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60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 H04L65/75Media network packet handling
    • H04L65/765Media network packet handling intermedia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관련 음향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방법, 서비스 서버 및 종단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종단 단말기에서 재생 또는 저장중인 음악 파일의 전부 또는 일부를 이동통신단말기의 이용 중에 사용되는 각종 음향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제공 시스템은, 근거리 통신망을 통해 이동통신단말기와 연결되고, 재생 중이거나 저장된 음악 파일에 대응하고 이동통신단말기의 이용 중에 사용되는 관련 음향 컨텐츠를 이동통신단말기로 전송할 것을 서비스 서버에 요청하는 종단 단말기; 근거리 통신망을 통해 상기 종단 단말기에 연결되고 이동 통신망을 통해 서비스 서버와 연결되고, 상기 종단 단말기와 서비스 서버 사이의 데이터 전달을 담당하고 서비스 서버로부터 관련 음향 컨텐츠를 다운받아 사용하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이동 통신망을 통해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에 연결되고, 상기 종단 단말기의 관련 음향 컨텐츠 전송 요청을 수신하여 상기 음악 파일에 대응하는 관련 음향 컨텐츠를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 전송하는 서비스 서버;를 포함한다.
CPNS, 이동통신단말기, 종단 단말기, 컨텐츠, 네트워크, 콜링, 벨소리

Description

관련 음향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방법, 서비스 서버 및 종단 단말기{A system, a method, a service server and an end terminal for related sound contents supply}
본 발명은 관련 음향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방법, 서비스 서버 및 종단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종단 단말기에서 재생 또는 저장중인 음악 파일의 전부 또는 일부를 이동통신단말기의 이용 중에 사용되는 각종 음향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정보 통신 기술의 발전에 따라, 문서, 이미지 및 동영상 등(이하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별다른 설명이 없는 한 '문서, 이미지 및 동영상 등'은 간략히 '컨텐츠'라 한다)을 재생할 수 있는 MP3(Mpeg audio layer-3) 플레이어, PMP(Personal Multimedia Player), UMPC(Ultra Mobile Personal Computer)와 같은 다양한 종단 단말기가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종단 단말기는 사용자가 원하는 컨텐츠를 PC(Personal Computer)로부터 다운받아 재생하는데, 사용자가 이동 중이거나 PC와 연결할 수 없는 상황에서는 원하는 컨텐츠의 다운로드가 불가능한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종단 단말기에 블루투스, UWB(UltraWideBand)와 같은 근거리 통신망에 연결 가능한 통신 수단을 부가하고, 종단 단말기와 이동통신단말기를 근거리 통신망을 통해 연결하는 기술이 제안되었다.
한편, 이동통신단말기는 사용자의 다양한 취향과 요구에 대응하기 위하여, 각종 음향 효과(여기서 음향 효과란, 벨소리, 착신음, 수신음, 동작음과 같은 이동통신단말기의 이용 중에 사용될 수 있는 모든 음향 효과를 포함한다)를 사용한다. 이와 같은 음향 효과는 제조사에서 기본으로 제공되는데, 제공되는 음향 효과는 사용자의 취향과 요구에 모두 대응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다양한 사용자의 취향과 요구에 대응하기 위하여, 통신사나 협력업체 등에서 음향 효과를 지속적으로 생성하고 공급하고 있다. 사용자는 원하는 음향 효과를 인터넷이나 이동통신단말기를 조작하여 검색하고 다운받아 사용하게 된다.
한편, 사용자가 종단 단말기를 통해 음악을 청취하는 중에, 청취중인 또는 저장된 음악 파일의 전부 또는 일부를 이동통신단말기의 음향 효과에 사용하고자 할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청취중인 또는 저장된 음악 파일에 대응하는 음향 효과(이하에서 '청취중인 또는 저장된 음악 파일에 대응하는 음향 효과'는 간략히 '관련 음향 컨텐츠'라 한다)를 컴퓨터나 이동통신단말기를 사용하여 검색하고, 검색 결과가 있으면 이를 다운받아 사용하고, 검색 결과가 없으면 종단 단말기의 음악 파일을 서비스 서버로 제공하고 서비스 서버에서 생성된 관련 음향 컨텐츠를 다운받아 사용해야 하는데 이는 매우 많은 단계를 거쳐야 하기 때문에 사용이 불편한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컴퓨터에서 실행가능한 프로그램의 형태로 음악 파일을 이동통신단말기용 관련 음향 컨텐츠로 변환하는 기술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법은 사용자가 컴퓨터나 파일 구조에 대한 높은 수준의 지식을 요구하기 때문에 보급이 곤란한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서, 사용자가 종단 단말기를 통해 재생 중이거나 저장된 음악 파일의 전체 또는 일부를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사용 가능한 관련 음향 컨텐츠로 제공할 수 있는 기술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관련 음향 컨텐츠 제공 시스템은, 근거리 통신망을 통해 이동통신단말기와 연결되고, 재생 중이거나 저장된 음악 파일에 대응하고 이동통신단말기의 이용 중에 사용되는 관련 음향 컨텐츠를 이동통신단말기로 전송할 것을 서비스 서버에 요청하는 종단 단말기; 근거리 통신망을 통해 상기 종단 단말기에 연결되고 이동 통신망을 통해 서비스 서버와 연결되고, 상기 종단 단말기와 서비스 서버 사이의 데이터 전달을 담당하고 서비스 서버로부터 관련 음향 컨텐츠를 다운받아 사용하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이동 통신망을 통해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에 연결되고, 상기 종단 단말기의 관련 음향 컨텐츠 전송 요청을 수신하여 상기 음악 파일에 대응하는 관련 음향 컨텐츠를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 전송하는 서비스 서버;를 포함한다.
본 실시형태에서, 상기 종단 단말기는 음악 파일의 일부를 상기 서비스 서버로 전달하고, 상기 서비스 서버는 수신된 음악 파일의 일부를 기반으로 관련 음향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 유선 통신망을 통해 상기 서비스 서버와 연결되고, 상기 음악 파일에 대응하는 음원을 상기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는 어플리케이션 서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종단 단말기는 음악 파일의 구간을 나타내는 오프셋 정보를 상기 서비스 서버로 전달하고, 상기 서비스 서버는 상기 오프셋 정보를 기반으로 어플리케이션 서버에서 음원을 검색하고, 검색된 음원에서 오프셋 정보에 대응하는 구간에 대해 관련 음향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 이동 통신망 또는 유선 통신망을 통해 상기 서비스 서버와 연결되고,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이동통신단말기로 관련 음향 컨텐츠가 제공된 경우,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에 대해 과금을 수행하는 과금 서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관련 음향 컨텐츠 제공 방법은, 종단 단말기가 근거리 통신망을 통해 이동통신단말기에 연결되고,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와 서비스 서버가 이동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고, 상기 서비스 서버와 어플리케이션 서버가 유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시스템에 있어서, a) 상기 종단 단말기가 이동통신단말기를 경유하여 서비스 서버에 연결되는 단계; b) 상기 종단 단말기가 음악 파일에 대한 관련 음향 컨텐츠의 제공을 서비스 서버에 요청하는 단계; c) 상기 종단 단말기가 음악 파일 정보를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 는 단계; d) 상기 서비스 서버가 음악 파일 정보를 기반으로 관련 음향 컨텐츠를 생성하는 단계; 및 e) 상기 서비스 서버가 관련 음향 컨텐츠를 이동통신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실시형태에서, d-1) 상기 d) 단계에서 생성된 관련 음향 컨텐츠를 이동통신단말기의 하드웨어 사양에 따라 변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종단 단말기는 음악 파일의 일부를 상기 서비스 서버로 전달하고, 상기 d) 단계에서 상기 서비스 서버는 수신한 음악 파일의 일부를 이용하여 관련 음향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종단 단말기는 음악 파일의 구간을 나타내는 오프셋 정보를 상기 서비스 서버로 전달하고, 상기 d) 단계에서 상기 서비스 서버는 어플리케이션 서버에서 음원을 검색하고, 검색된 음원에서 오프셋 정보에 대응하는 구간에 대해 관련 음향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 f) 상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종단 단말기로 결과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관련 음향 컨텐츠 제공 서비스 서버는, 이동 통신망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된 이동통신단말기 정보를 관리하는 이동통신단말기 관리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된 종단 단말기 정보를 관리하는 종단 단말기 관리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와 종단 단말기 사이의 통신을 중계하는 근거리 통신망 정보를 관리하는 근거리 통신망 관리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 정보, 종단 단말기 정보 및 근거리 통신망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각 구성요소의 동작을 제어하되, 상기 종단 단말기로부터 관련 음향 컨텐츠 전송 요청을 수신한 경우, 상기 종단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음악 파일을 기반으로 관련 음향 컨텐츠를 생성하고, 상기 통신부가 생성된 관련 음향 컨텐츠를 이동통신단말기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실시형태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통신단말기 관리부에서 관리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하드웨어 사양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관련 음향 컨텐츠의 변환이 필요한지 조사하고, 변환이 필요할 경우 관련 음향 컨텐츠를 변환하는 동작을 추가로 수행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종단 단말기로부터 음악 파일의 구간을 나타내는 오프셋 정보만을 수신한 경우, 어플리케이션 서버에서 음원을 검색하고, 검색된 음원에서 오프셋 정보에 대응하는 구간에 대해 관련 음향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관련 음향 컨텐츠 요청 종단 단말기는, 근거리 통신망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 음악 파일을 재생하는 재생부; 및 각 구성요소의 동작을 제어하되,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음악 파일에 대한 관련 음향 컨텐츠를 이동통신단말기로 전송하도록 요청하는 메시지를 이동통신단말기를 경유하여 서비스 서버에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실시형태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가 음악 파일의 일부를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가 음악 파일의 구간을 나타내는 오프셋 정보를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서비스 서버로 종단 단말기를 통해 재생 중이거나 저장된 음악 파일의 전체 또는 일부나 오프셋 정보의 전송만으로,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사용할 수 있는 관련 음향 컨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한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가 기술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 용어들은 제품을 생산하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용어들의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먼저 첨부된 도면 도1, 도2 및 도6을 참조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련 음향 컨텐츠 제공 시스템을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공 시스템의 블럭도이고, 도2는 도1에서 이동통신단말기의 세부 블럭도이고, 도6은 본 발명을 위한 초기 설정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여기서 본 추천 시스템(100)은 효율적 연결 경로 추천을 위해 도6에 도시된초기 설정 과정을 거치게 된다.
제1단계, 종단 단말기(150)는 서비스 이용을 위해 서비스 서버(110)에 연결된 게이트웨이 역할을 수행할 이동통신단말기를 검색한다(S10).
제2단계, 종단 단말기(150)는 제1단계에서 검색된 이동통신단말기로 서비스를 요청한다. 이때, 종단 단말기는 서비스 이용을 위한 계정 정보 등을 함께 전송한다(S20).
제3단계, 이동통신단말기는 종단 단말기를 전송되는 서비스 요청을 수신하면, 종단 단말기(150)의 서비스 가능 여부를 체크한다(S30).
제4단계, 제3단계의 체크 결과, 종단 단말기(150)의 서비스가 가능할 경우, 이동통신단말기는 종단 단말기(150)로 서비스가 가능하다는 인증 메시지를 전송한다(S40). 한편, 제3단계의 체크 결과, 서비스가 불가능할 경우, 이동통신단말기는 종단 단말기로 서비스 불가 메시지를 보내고 종료하게 된다.
제5단계, 종단 단말기(150)는 자신의 계정 정보(ID)를 전송한다(S50).
제6단계, 이동통신단말기는 종단 단말기(150)로부터 전송되는 계정 정보의 포맷이 서비스 서버에서 발급한 것과 일치하는지 여부를 체크하여, 일치하는 경우 종단 단말기(150)로 서비스가 가능하다는 인증 메시지를 전송한다(S60, S70).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동통신단말기는 서비스 불가 메시지를 종단 단말기로 보내고 종료하게 된다.
제7단계, 이동통신단말기는 서비스 서버(110)로 자신과 종단 단말기(150)의 인 증 정보 및 계정 정보를 전송한다(S80).
제8단계, 서비스 서버(110)는 계정 정보를 체크하여 서비스 가능 여부를 판단한다(S90).
제9단계, 이동통신단말기와 종단 단말기(150) 모두 서비스가 가능한 경우, 서비스 서버(110)는 이를 종단 단말기로 알려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S95).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관련 음향 컨텐츠 제공 시스템(100: 이하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별다른 설명이 없는 한 '관련 음향 컨텐츠 제공 시스템'은 간략히 '제공 시스템'이라 한다)은 유선 통신망(101) 및/또는 이동 통신망(102)을 통해 서비스 서버(110), 어플리케이션 서버(120) 및 과금 서버(130)가 연결되고, 이동 통신망(102)을 통해 서비스 서버(110)와 이동통신단말기(140)가 연결되고, 근거리 통신망(103)을 통해 이동통신단말기(140)와 종단 단말기(150)가 연결된 구성을 갖는다. 이때 사용되는 근거리 무선랜, 블루투스, UWB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어플리케이션 서버(120) 및/또는 과금 서버(130)는 서비스 서버(110)의 일 구성요소로 포함될 수 있다.
종단 단말기(150)는 재생 중이거나 저장된 음악 파일에 대응하고 이동통신단말기(140)의 이용 중에 사용되는 관련 음향 컨텐츠를 이동통신단말기로 전송할 것을 서비스 서버에 요청한다. 종단 단말기(150)는 근거리 통신망(103) 연결을 위한 통신부를 구비한 MP3 플레이어, PMP, UMPC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관련 음향 컨텐츠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이용 중에 사용될 수 있는 벨소리, 착신음, 수신음, 동작음과 같은 음향 효과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 전반에 걸쳐 ‘관련 음향 컨텐츠’는 음악 파일의 일부 구간을 의미함에 유의한다. 종단 단말기(150)는 음악 파일의 일부 또는 음악 파일의 구간을 나타내는 오프셋 정보를 음악 파일 정보로서 서비스 서버(110)에 전송할 수 있다.
이동통신단말기(140)는 종단 단말기(150)와 서비스 서버(110) 사이의 데이터 전달을 담당하고 서비스 서버(110)로부터 관련 음향 컨텐츠를 다운받아 사용한다. 첨부된 도면 도2를 참조로 이동통신단말기(140)의 구성을 설명하면, 제1통신부(141)는 이동 통신망(102)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제2통신부(142)는 근거리 통신망(103)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다양한 근거리 통신망의 종류에 대응하기 위하여, 제2통신부(142)는 2개 이상의 근거리 통신망 통신 규격에 대응할 수 있다. 종단 단말기 관리부(143)는 종단 단말기 정보를 저장한다. 제어부(144)는 각 구성요소의 동작을 제어한다. 저장부(145)는 종단 단말기 정보를 저장한다.
서비스 서버(110)는 종단 단말기(150)의 관련 음향 컨텐츠 전송 요청을 수신하여 음악 파일에 대응하는 관련 음향 컨텐츠를 이동통신단말기(140)로 전송한다. 서비스 서버(110)는 종단 단말기(150)로부터 음악 파일의 일부를 음악 파일 정보로 수신한 경우, 이를 기반으로 관련 음향 컨텐츠를 생성한다. 또한 서비스 서버(110)가 음악 파일의 구간을 나타내는 오프셋 정보를 음악 파일 정보로 수신한 경우, 오프셋 정보를 기반으로 어플리케이션 서버(120)에서 음원을 검색하고, 검색된 음원에서 오프셋 정보에 대응하는 구간에 대해 관련 음향 컨텐츠를 생성할 수도 있다.
어플리케이션 서버(120)는 음악 파일에 대응하는 음원을 서비스 서버(110)로 전송한다.
과금 서버(130)는 서비스 서버(110)로부터 이동통신단말기(140)로 관련 음향 컨텐츠가 제공된 경우, 이동통신단말기(140)에 대해 과금을 수행한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 도3을 참조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련 음향 컨텐츠 제공 방법을 설명한다.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공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관련 음향 컨텐츠 제공 방법(이하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별다른 설명이 없는 한 '관련 음향 컨텐츠 제공 방법'은 간략히 '제공 방법'이라 한다)은 종단 단말기가 근거리 통신망을 통해 이동통신단말기에 연결되고, 이동통신단말기와 서비스 서버가 이동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고, 서비스 서버와 어플리케이션 서버가 유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시스템에 적용된다.
제1단계, 종단 단말기가 이동통신단말기를 경유하여 서비스 서버에 연결된다(S100).
제2단계, 종단 단말기가 음악 파일에 대한 관련 음향 컨텐츠의 제공을 서비스 서버에 요청한다(S110).
제3단계, 종단 단말기가 음악 파일 정보를 서비스 서버로 전송한다(S120). 이때 전송되는 음악 파일 정보는 음악 파일의 일부 또는 음악 파일의 구간을 나타내는 오프셋 정보가 될 수 있다.
제4단계, 서비스 서버가 음악 파일 정보를 기반으로 관련 음향 컨텐츠를 생 성한다(S130). 제3단계에서 음악 파일의 일부를 수신한 경우, 서비스 서버는 이를 이용하여 관련 음향 컨텐츠를 생성한다. 한편 제3단계에서 오프셋 정보를 수신한 경우, 서비스 서버는 어플리케이션 서버에서 음원을 검색하고, 검색된 음원에서 오프셋 정보에 대응하는 구간에 대해 관련 음향 컨텐츠를 생성하게 된다.
제5단계, 관련 음향 컨텐츠를 이동통신단말기의 하드웨어 사양에 따라 변환한다(S140). 이동통신단말기는 제조사, 제조 일자 등에 따라 다양한 하드웨어 사양을 갖고 있다. 따라서 서비스 서버는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인식 가능하고 사용가능한 포맷으로 관련 음향 컨텐츠를 변환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제6단계, 서비스 서버가 관련 음향 컨텐츠를 이동통신단말기로 전송한다(S150). 전송이 완료된 이후, 서비스 서버는 종단 단말기로 결과 메시지를 전송할 수도 있다.
제7단계, 이동통신단말기가 수신된 관련 음향 컨텐츠를 적용한다(S160).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 도4를 참조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련 음향 컨텐츠 제공 서비스 서버를 설명한다.
도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서버의 세부 블럭도이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관련 음향 컨텐츠 제공 서비스 서버(110: 이하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별다른 설명이 없는 한 '관련 음향 컨텐츠 제공 서비스 서버'는 간략히 '서비스 서버'라 한다)에서 통신부(111)는 이동 통신망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이동통신단말기 관리부(112)는 통신부(111)를 통해 수신된 이동통신단말기 정보를 관리한다. 관리되는 이동통신단말기 정보는, 이동통신단말기 기종, 하드웨어 사양, 이동통신단말기 사용자 정보, 사용 요금 종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종단 단말기 관리부(113)는 통신부(111)를 통해 수신된 제1종단 단말기와 제2종단 단말기 정보를 관리한다. 관리되는 종단 단말기 정보는, 종단 단말기 기종, 하드웨어 사양, 종단 단말기 고유 계정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망 관리부(114)는 이동통신단말기와 종단 단말기 사이의 통신을 중계하는 근거리 통신망 정보를 관리한다. 관리되는 근거리 통신망 정보는, 통신망의 규격, 로그인이 필요한 경우 로그인 계정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저장부(116)는 이동통신단말기 정보, 종단 단말기 정보 및 근거리 통신망 정보를 저장한다.
제어부(115)는 각 구성요소의 동작을 제어하되, 종단 단말기로부터 관련 음향 컨텐츠 전송 요청을 수신한 경우, 종단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음악 파일을 기반으로 관련 음향 컨텐츠를 생성하고, 통신부(111)가 생성된 관련 음향 컨텐츠를 이동통신단말기로 전송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제어부(115)는 이동통신단말기 관리부(112)에서 관리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하드웨어 사양 정보를 기반으로 관련 음향 컨텐츠의 변환이 필요한지 조사하고, 변환이 필요할 경우 관련 음향 컨텐츠를 변환하는 동작을 추가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어부(115)가 종단 단말기로부터 음악 파일의 구간을 나타내는 오프셋 정보만을 수신한 경우, 어플리케이션 서버에서 음원을 검색하고, 검색된 음원에서 오프셋 정보에 대응하는 구간에 대해 관련 음향 컨텐츠를 생성하게 된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 도5를 참조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련 음향 컨텐츠 요청 종단 단말기를 설명한다.
도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종단 단말기의 세부 블럭도이다.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관련 음향 컨텐츠 요청 종단 단말기(150: 이하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별다른 설명이 없는 한 '관련 음향 컨텐츠 요청 종단 단말기'는 간략히 '종단 단말기'라 한다)에서 통신부(151)는 근거리 통신망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입력부(152)는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받는다. 입력부(152)는 스위치, 키패드, 키보드, 터치 스크린 등의 입력 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
재생부(153)는 음악 파일을 재생한다.
제어부(154)는 각 구성요소의 동작을 제어하되, 입력부(151)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음악 파일에 대한 관련 음향 컨텐츠를 이동통신단말기로 전송하도록 요청하는 메시지를 이동통신단말기를 경유하여 서비스 서버에 전송한다. 이때 제어부(154)는 통신부(151)가 음악 파일의 일부를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고, 음악 파일의 구간을 나타내는 오프셋 정보를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음악 파일의 일부를 전송할 경우, 서비스 서버는 어플리케이션 서버로 음원을 검색하고 다운로드하는 과정을 생략할 수 있다. 반면, 오프셋 정보를 전송할 경우, 종단 단말기에서 서비스 서버로 전달되는 데이터 양을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 도7을 참조로 본 발명의 적용예를 설명한다.
도7은 본 발명의 적용예에 따른 종단 단말기에서 표시 장치의 화면을 도시한 것이다.
제1단계, 사용자가 종단 단말기를 통해 음악 파일을 재생한다.
제2단계, 사용자가 음악 파일 중 일부가 맘에 들어 이를 이동통신단말기의 음향 효과로 사용하고자 할 경우, 종단 단말기를 조작하여 음악 파일의 소정 구간을 선택한다. 이때의 상태가 도7에 도시된다.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단 단말기의 표시 장치(200)에는 컨텐츠 정보 표시 영역(201)이 위치하고, 구간을 표시하는 바(bar: 202)가 있으며, 사용자가 선택한 구간(203)이 바로 다시 표시된다. 한편 표시된 구간은 숫자로 다시 표시(204)되어 사용자가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사용자가 구간을 선택하면, 팝업창(205)이 표시되며, 팝업창(205)의 내용 중 사용자가 원하는 동작을 화면 터치나 입력장치 조작에 의해 선택하게 된다.
제3단계, 사용자가 이동통신단말기를 경유하여 서비스 서버로 음악 파일의 소정 구간 파일 또는 오프셋 정보를 전송하고 관련 음향 컨텐츠의 제공을 요청한다.
제4단계, 서비스 서버가 음악 파일의 소정 구간 파일을 수신한 경우, 이를 기반으로 관련 음향 컨텐츠를 생성하고, 이동통신단말기의 하드웨어 사양에 따라 변환한다.
제5단계, 서비스 서버가 관련 음향 컨텐츠를 이동통신단말기로 전송하고, 결과 메시지를 종단 단말기로 전송한다.
제6단계, 결과 메시지를 수신한 사용자는, 이동통신단말기에 전송된 관련 음 향 컨텐츠를 이동통신단말기의 이용 중에 사용되는 음향 효과로 적용한다.
제7단계, 서비스 서버가 오프셋 정보를 수신한 경우, 어플리케이션 서버에서 음원을 검색하고, 이 음원에서 오프셋 정보에 해당하는 구간을 분리한 뒤 관련 음향 컨텐츠를 생성하고, 이동통신단말기의 하드웨어 사양에 다라 변환한다. 이후의 과정은 전술한 제5단계와 제6단계와 동일한 단계를 수행한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고도의 컴퓨터 조작 기술이나 파일 지식이 없이도 음악 파일의 특정 위치에 해당하는 음향을 이동통신단말기의 음향 효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기술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만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당업자에 의해, 첨부된 청구범위의 정신과 사상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함에 유의해야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공 시스템의 블럭도이다.
도2는 도1에서 이동통신단말기의 세부 블럭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공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서버의 세부 블럭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종단 단말기의 세부 블럭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을 위한 초기 설정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적용예에 따른 종단 단말기에서 표시 장치의 화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제공 시스템 101: 유선 통신망
102: 이동 통신망 103: 근거리 통신망
110: 서비스 서버 120: 어플리케이션 서버
130: 과금 서버 140: 이동통신단말기
150: 종단 단말기

Claims (15)

  1. 근거리 통신망을 통해 이동통신단말기와 연결되고, 재생 중이거나 저장된 음악 파일에 대응하고 이동통신단말기의 이용 중에 사용되는 관련 음향 컨텐츠를 이동통신단말기로 전송할 것을 서비스 서버에 요청하는 종단 단말기;
    근거리 통신망을 통해 상기 종단 단말기에 연결되고 이동 통신망을 통해 서비스 서버와 연결되며, 상기 종단 단말기와 서비스 서버 사이의 데이터 전달을 담당하고 서비스 서버로부터 관련 음향 컨텐츠를 다운받아 사용하는 이동통신단말기;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에 이동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고, 상기 종단 단말기의 관련 음향 컨텐츠 전송 요청을 수신하여 상기 음악 파일에 대응하는 관련 음향 컨텐츠를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 전송하는 서비스 서버; 및
    상기 서비스 서버와 유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고, 상기 음악 파일에 대응하는 음원을 상기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는 어플리케이션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종단 단말기는 음악 파일의 구간을 나타내는 오프셋 정보를 상기 서비스 서버로 전달하고, 상기 서비스 서버는 상기 오프셋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에서 음원을 검색하고, 검색된 음원에서 상기 오프셋 정보에 대응하는 구간에 대해 관련 음향 컨텐츠를 생성하여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련 음향 컨텐츠 제공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종단 단말기는 음악 파일의 일부를 상기 서비스 서버로 전달하고,
    상기 서비스 서버는 수신된 음악 파일의 일부를 기반으로 관련 음향 컨텐츠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련 음향 컨텐츠 제공 시스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이동 통신망 또는 유선 통신망을 통해 상기 서비스 서버와 연결되고,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이동통신단말기로 관련 음향 컨텐츠가 제공된 경우,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에 대해 과금을 수행하는 과금 서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련 음향 컨텐츠 제공 시스템.
  5. 이동 통신망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된 이동통신단말기 정보를 관리하는 이동통신단말기 관리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된 종단 단말기 정보를 관리하는 종단 단말기 관리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와 종단 단말기 사이의 통신을 중계하는 근거리 통신망 정보를 관리하는 근거리 통신망 관리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 정보, 종단 단말기 정보 및 근거리 통신망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종단 단말기로부터 관련 음향 컨텐츠 전송 요청을 수신한 경우 상기 종단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음악 파일을 기반으로 관련 음향 컨텐츠를 생성하되, 상기 종단 단말기로부터 음악 파일의 구간을 나타내는 오프셋 정보만을 수신한 경우, 어플리케이션 서버에서 음원을 검색하고, 검색된 음원에서 오프셋 정보에 대응하는 구간에 대해 관련 음향 컨텐츠를 생성하며, 상기 관련 음향 컨텐츠를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관련 음향 컨텐츠 제공 서비스 서버.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통신단말기 관리부에서 관리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하드웨어 사양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관련 음향 컨텐츠의 변환이 필요한지 조사하고, 변환이 필요할 경우 관련 음향 컨텐츠를 변환하는 동작을 추가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련 음향 컨텐츠 제공 서비스 서버.
  7. 삭제
  8. 근거리 통신망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
    음악 파일을 재생하는 재생부; 및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음악 파일에 대한 관련 음향 컨텐츠를 이동통신단말기로 전송하도록 요청하는 메시지를 이동통신단말기를 경유하여 서비스 서버에 전송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통신부가 음악 파일의 구간을 나타내는 오프셋 정보를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관련 음향 컨텐츠 요청 종단 단말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가 음악 파일의 일부를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련 음향 컨텐츠 요청 종단 단말기.
  10. 삭제
  11. 종단 단말기가 근거리 통신망을 통해 이동통신단말기에 연결되고,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와 서비스 서버가 이동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고, 상기 서비스 서버와 어플리케이션 서버가 유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시스템에 의한 관련 음향 컨텐츠 제공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종단 단말기가 이동통신단말기를 경유하여 상기 서비스 서버에 연결되는 단계;
    b) 상기 종단 단말기가 음악 파일의 구간을 나타내는 오프셋 정보를 상기 서비스 서버로 전달하여, 상기 음악 파일에 대한 관련 음향 컨텐츠의 제공을 서비스 서버에 요청하는 단계;
    c) 상기 종단 단말기가 음악 파일 정보를 상기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d) 상기 서비스 서버가 음악 파일 정보를 기반으로 관련 음향 컨텐츠를 생성하되,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에서 음원을 검색하고, 검색된 음원에서 오프셋 정보에 대응하는 구간에 대해 관련 음향 컨텐츠를 생성하는 단계; 및
    e) 상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관련 음향 컨텐츠를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관련 음향 컨텐츠 제공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d-1) 상기 d) 단계에서 생성된 관련 음향 컨텐츠를 이동통신단말기의 하드웨어 사양에 따라 변환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련 음향 컨텐츠 제공 방법.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종단 단말기는 음악 파일의 일부를 상기 서비스 서버 로 전달하고,
    상기 d) 단계에서 상기 서비스 서버는 수신한 음악 파일의 일부를 이용하여 관련 음향 컨텐츠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련 음향 컨텐츠 제공 방법.
  14. 삭제
  15. 제 11 항에 있어서,
    f) 상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종단 단말기로 결과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련 음향 컨텐츠 제공 방법.
KR1020080115796A 2008-11-20 2008-11-20 관련 음향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방법, 서비스 서버 및 종단단말기 KR1012678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5796A KR101267833B1 (ko) 2008-11-20 2008-11-20 관련 음향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방법, 서비스 서버 및 종단단말기
US13/128,487 US8805440B2 (en) 2008-11-20 2009-10-16 System, method, service server, and end-point terminal for providing relevant sound content
PCT/KR2009/005956 WO2010058909A2 (ko) 2008-11-20 2009-10-16 관련 음향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방법, 서비스 서버 및 종단 단말기
JP2011537349A JP5244982B2 (ja) 2008-11-20 2009-10-16 関連音響コンテンツ提供システム、方法、サービスサーバーおよび終端端末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5796A KR101267833B1 (ko) 2008-11-20 2008-11-20 관련 음향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방법, 서비스 서버 및 종단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6810A KR20100056810A (ko) 2010-05-28
KR101267833B1 true KR101267833B1 (ko) 2013-05-27

Family

ID=421986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5796A KR101267833B1 (ko) 2008-11-20 2008-11-20 관련 음향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방법, 서비스 서버 및 종단단말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805440B2 (ko)
JP (1) JP5244982B2 (ko)
KR (1) KR101267833B1 (ko)
WO (1) WO2010058909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0111B1 (ko) 2021-09-17 2022-09-07 인천광역시 신선편이 농산물의 갈변 방지용 조성물을 이용한 갈변 방지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6438B1 (ko) * 2008-11-04 2013-02-21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Cpns 환경에서 종단 단말기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cpns 서버, 이동통신 단말기 및 종단 단말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33877A (ja) * 2004-11-02 2006-05-25 Canon Inc ファイル変換方法及びそのシステム、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69380A (ja) * 1999-12-14 2001-06-22 Casio Comput Co Ltd 耳装着型音楽再生装置、及び音楽再生システム
JP3414352B2 (ja) * 2000-02-03 2003-06-09 日本電気株式会社 無線端末、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外部処理端末
JP2002073493A (ja) 2000-08-24 2002-03-12 Nec Software Hokuriku Ltd 携帯音楽プレーヤシステム
US20020062467A1 (en) * 2000-11-22 2002-05-23 Hunzinger Jason F. System and method for reliable billing of content delivered over networks
KR20020069145A (ko) 2001-02-22 2002-08-29 오정석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실시간/주문형 무선방송시스템및 그 방법
JP4423584B2 (ja) * 2001-09-04 2010-03-03 ヤマハ株式会社 電子音楽装置
JP2003223167A (ja) 2002-01-30 2003-08-0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着信メロディ編集システム
JP4109937B2 (ja) 2002-09-13 2008-07-02 ソフトバンクモバイル株式会社 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および、携帯電話網の移動機
JP2004171291A (ja) 2002-11-20 2004-06-17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コンテンツ配信方法とその通信装置
KR20050061412A (ko) 2005-05-20 2005-06-22 주식회사파일론 다중채널 음원 편곡 및 벨소리 다운로드 시스템
KR100747695B1 (ko) * 2006-03-07 2007-08-08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라이브 스크린 컨텐츠를이용하는 방법 및 시스템
JP2008271151A (ja) * 2007-04-19 2008-11-06 Sony Corp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通信装置、プログラムおよび無線通信方法
DE602008001344D1 (de) * 2007-07-27 2010-07-08 Research In Motion Ltd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Betrieb eines drahtlosen Servers
US7970350B2 (en) * 2007-10-31 2011-06-28 Motorola Mobility, Inc. Devices and methods for content sharing
US8396951B2 (en) * 2007-12-20 2013-03-12 Napo Enterprises, Llc Method and system for populating a content repository for an internet radio service based on a recommendation network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33877A (ja) * 2004-11-02 2006-05-25 Canon Inc ファイル変換方法及びそのシステム、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0111B1 (ko) 2021-09-17 2022-09-07 인천광역시 신선편이 농산물의 갈변 방지용 조성물을 이용한 갈변 방지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805440B2 (en) 2014-08-12
WO2010058909A2 (ko) 2010-05-27
US20110223861A1 (en) 2011-09-15
WO2010058909A3 (ko) 2010-08-05
JP5244982B2 (ja) 2013-07-24
JP2012509637A (ja) 2012-04-19
KR20100056810A (ko) 2010-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97749B2 (ja) 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方法、サービスサーバー、移動通信端末および記憶媒体
US7421067B2 (en) System and methodology for peer-to-peer voice communication employing a pushed interactive multimedia announcement
KR101369713B1 (ko) 스트리밍 콘텐츠로부터 로컬 콘텐츠로 전환하는 시스템 및 방법
JP2006048529A (ja) ダウンロード方法、ダウンロードシステム、クライアント装置及びサーバ装置
JP2009521765A (ja) 携帯用コンテンツ共有
JP2007104656A (ja) コンテンツダウンロードシステム及び方法
WO2007086712A1 (en) Method and system for transmitting multimedia contents in communication network
KR20100054195A (ko) Cpns 환경에서 원거리의 종단 단말기를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cpns 서버, 이동통신 단말기
KR101285119B1 (ko) 관련 컨텐츠 제공 시스템, 제공 방법, 서비스 서버, 종단 단말기 및 저장 매체
US20160156622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service to end terminal that uses authentication information of anothe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ervice serve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nd terminal, and storage medium
US8577715B2 (en) Pushed ringtones based on device-side content
KR101297164B1 (ko) 복수의 종단 단말기에 대한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방법, 서비스 서버, 컨텐츠 중계 방법, 저장 매체, 어플리케이션 서버,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이동통신단말기
KR101267833B1 (ko) 관련 음향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방법, 서비스 서버 및 종단단말기
JP4629661B2 (ja) あるデジタル著作権管理スキームを別のものに変換することを可能にする方法
KR101273909B1 (ko) 효율적 연결을 위한 추천 시스템, 추천 방법, 서비스 서버,종단 단말기, 연결 방법 및 저장 매체
KR101378403B1 (ko) 변환된 컨텐츠를 제공하는 서비스 서버, 제공 방법 및 저장매체
KR101253550B1 (ko) 다중 컨텐츠 전송 시스템, 방법, 서비스 서버, 저장 매체 및 종단 단말기
JP2004171291A (ja) コンテンツ配信方法とその通信装置
WO200809463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istributing messages to mobile devices
KR20060118246A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웹 컨텐츠 관리 방법
KR20080055308A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개인화된 컨텐츠 제공 서비스시스템 및 방법
KR100650671B1 (ko) 멀티컨텐츠 플레이타임 전송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및 그 제어방법
KR101399324B1 (ko) 음원 콘텐츠 관련 메시지 관리 시스템 및 방법
JP2008134359A (ja) 情報端末におけるオンライン音楽受信方法
KR20100046083A (ko) 콘텐츠 관련 정보의 디스플레이 온/오프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cpns 서버와 이동통신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