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8683B1 -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in apartment housing - Google Patents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in apartment hous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8683B1
KR101258683B1 KR1020110129708A KR20110129708A KR101258683B1 KR 101258683 B1 KR101258683 B1 KR 101258683B1 KR 1020110129708 A KR1020110129708 A KR 1020110129708A KR 20110129708 A KR20110129708 A KR 20110129708A KR 101258683 B1 KR101258683 B1 KR 1012586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unit
household
home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970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규환
Original Assignee
(주)유코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유코스텍 filed Critical (주)유코스텍
Priority to KR10201101297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8683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86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868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04M11/02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with bell or annunciator systems
    • H04M11/025Door telephon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04M11/002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with telemetering systems

Abstract

PURPOSE: A household convenience alarm device of a complex building is provided to control household convenienc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person who goes out. CONSTITUTION: A home returning sensing unit senses home returning when a door of household is opened. A memory(150) stores visiting image data obtained from a door phone. The memory stores message data registered by a family member. A control unit(110) controls a display unit to output the visiting image data in the memory in response to the home returning sensing signal of the home returning sensing unit. The control unit controls an output unit in order to acoustically output the message data stored in the memory. [Reference numerals] (110) Control unit; (120) Communication unit; (130) Display unit; (140) Flag unit; (150) Memory; (160) Input unit; (170) Output unit; (185) Sensor interface

Description

집합건물의 세대 편의 정보 알림 장치{Information providing device in apartment housing}Information providing device for household convenience of assembly building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in apartment housing}

본 발명은 아파트, 타운 하우스, 빌라, 또는 오피스텔 등과 같은 집합건물에 채용하기 적합한 이용자 맞춤형 세대 편의 정보 알림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user-specific household convenience information notification device suitable for employing in the aggregate, such as apartment, townhouse, villa, or officetel.

통상적으로, 아파트, 타운 하우스, 빌라, 또는 오피스텔 등과 같은 집합건물에서는 월패드라고 불리우는 가정용 기기 예컨대 가정용 네트워크 장치가 일반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Typically, in a building such as an apartment, a town house, a villa, or an officetel, a household device such as a wall pad, such as a home network device, may be generally installed.

또한, 각 세대 내의 건물 현관에는 출입 시에 이용자의 모습을 비춰보기 위해 거울이 설치될 수 있다. In addition, a mirror may be installed at the entrance of each building to reflect the user's appearance when entering or exiting the building.

통상적으로 하프 미러를 통해 이용자에게 필요한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는 기술은 몇몇 선행기술들에서 알려져 있다. 그러한 선행기술들의 대부분은 인터넷 상의 뉴스, 광고, 날씨, 스케줄 정보를 받아 하프 미러 상에 단순히 표시하는 기능을 가질 뿐, 귀가 시에 외부 방문자의 방문 현황이나 다른 가족 구성원의 축하 메시지를 제대로 표시하기 어려웠다. 또한, 외출 시에 각종 필요한 세대 편의 정보를 함께 표시하는 것도 요구되지만 건물 현관에서의 기술 구현이 힘들었다.
Techniques for displaying information needed by a user, typically through a half mirror, are known in some prior art. Many of these prior arts had the ability to simply receive news, advertisements, weather, and schedule information on the Internet and simply display them on the half mirror, making it difficult to properly display the status of outside visits or other family members' congratulations when returning home. . In addition, it is also required to display various necessary household convenience information when going out, but it was difficult to implement the technology in the building entrance.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외출하는 사람에 맞추어 해당되는 세대 편의 정보를 표시하고 제어할 수 있는 세대 편의 정보 알림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ousehold convenience information notification device that can display and control the household convenienc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person going out.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귀가 시에 기 등록된 메시지를 시각 또는 청각적으로 표시함은 물론, 날씨 정보를 필요로 하는 출근 시간 대에 이용자가 현관 문을 나서려 할 때 날씨 정보를 그림, 문자, 또는 음성으로 적절히 표시해 주고 아울러 필요 시 주차 위치정보나 외부 온도도 함께 알려 줄 수 있는 세대 편의 정보 알림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Another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visually or acoustically display a pre-registered message when returning home, and to provide weather information when the user tries to leave the front door during the rush hour when the weather information is required.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household convenience information notification device that can properly display pictures, texts, or voices, and also provide parking location information and external temperature if necessary.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귀가 시에 외부 방문자의 현황을 알림으로써 이용자의 생활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세대 편의 정보 알림 장치 및 알림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Another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ousehold convenience information notification device and notification method that can improve the user's life convenience by notifying the status of external visitors when returning home.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외출이나 귀가에 맞는 세대 세대 편의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이용자의 생활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세대 편의 정보 알림 장치 및 알림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Another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ousehold convenience information notification device and notification method that can improve the convenience of users by providing household generation convenience information suitable for going out or returning home.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양태에 따라, 집합건물에 사용하기 적합한 세대 편의 정보 알림 장치는, According to the technical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the household convenience information notification device suitable for use in the assembly building,

세대 출입구의 개방시 귀가를 감지하는 귀가 감지부와;A return sensor detecting a return when the household entrance is opened;

도어폰으로부터 획득된 방문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와;A memory for storing visited video data obtained from the door phone;

상기 귀가 감지부의 귀가 감지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방문 영상 데이터가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알림 제어부를 포함한다. And a notification controller configured to output the visited image data stored in the memory in response to the ear detection signal of the ear detector.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영상 데이터의 출력은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으로서 출력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utput of the image data may be output as a still image or a moving image.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알림 제어부는 상기 귀가 감지신호가 없는 경우에 날씨 정보, 주차 위치정보, 환율 정보, 가스, 난방, 일괄소등, 전력사용량, 주변의 버스 운행 안내정보, 및 방범 중의 적어도 하나 이상이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notification control uni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weather information, parking location information, exchange rate information, gas, heating, collective lighting, power consumption, neighboring bus operation guide information, and crime prevention when there is no return detection signal. You can have more than one output.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귀가 감지부는 세대 출입구의 개방이 있고 나서 세대 현관 조명이 점등되거나 인체 감지센서가 동작된 경우에 귀가를 감지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home sensor may detect a home when the household door light is turned on or the human body sensor is operated after the household entrance is opened.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귀가 감지부는 세대 현관에 설치된 방향성 센서의 검출 출력이 있는 경우에 귀가 및 외출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home sensor may detect a home condition and an outing state when there is a detection output of a directional sensor installed in a generation porch.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메모리는 귀가 감지 신호의 발생시 송출할 축하 메시지를 문자 또는 소리 관련 데이터로서 더 저장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memory may further store a congratulatory message to be sent when a home detection signal is generated as text or sound related data.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양태에 따라, 집합건물에 사용하기 적합한 세대 편의 정보 알림 장치는, According to another technical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the household convenience information notification device suitable for use in the assembly building,

세대 출입구를 통한 출문이 수행되려고 할 때 외출을 감지하는 외출 감지부;An outing detector for detecting outing when a door through the household entrance is to be performed;

통신부를 통해 외부 기기나 서버와 연결되어 세대 편의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A memory connected to an external device or a server through a communication unit to store generation convenience information;

상기 외출 감지부의 외출 감지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세대 편의 정보가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output the generation convenience information stored in the memory in response to the outgoing detection signal of the outgoing detection unit.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세대 편의 정보는 날씨 정보, 주차 위치정보, 환율 정보, 가스, 난방, 일괄소등, 전력사용량, 세대 주변 버스 운행정보, 및 방범 중의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household convenience informa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or more of weather information, parking location information, exchange rate information, gas, heating, batch lighting, power consumption, bus operation information around generations, and crime prevention.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기술적 양태에 따라, 집합건물에 사용하기 적합한 세대 편의 정보 알림 장치는, According to another technical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the household convenience information notification device suitable for use in the assembly building,

세대 출입구를 통한 입문이 수행되면 귀가를 감지하는 귀가 감지부;An ear sensor for detecting an ear when the entry through the household entrance is performed;

상기 세대 출입구를 통한 출문이 수행되려고 할 때 외출을 감지하는 외출 감지부;An outing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outing when the door through the household entrance is to be performed;

등록되는 메시지 데이터나 도어폰을 통해 인가되는 방문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A memory for storing registered message data or visited image data applied through the door phone;

외부 기기나 서버와 연결되어 세대 편의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A communication unit connected to an external device or a server to receive generation convenience information; And

상기 귀가 감지부의 귀가 감지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가 출력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외출 감지부의 외출 감지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세대 편의 정보가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And a control unit configured to output data stored in the memory in response to an ear detection signal of the ear detector and to display the generation convenience information in response to an outgoing detection signal of the outgoing detector.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세대 편의 정보는 날씨 정보, 주차 위치정보, 환율 정보, 가스, 난방, 일괄소등, 전력사용량, 세대 주변 버스 운행정보, 및 방범 중의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household convenience informa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or more of weather information, parking location information, exchange rate information, gas, heating, batch lighting, power consumption, bus operation information around generations, and crime prevention.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세대 편의 정보는 터치 디스플레이에 의해 계층적 메뉴를 가질 수 있다.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generation convenience information may have a hierarchical menu by the touch display.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메시지 데이터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경우에 이를 외부로 표시하기 위한 플래그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when the message data is stored in the memory, a flag unit for displaying the message data to the outside may be further provided.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외출 감지부나 귀가 감지부의 감지 전후에 사용자 키로부터 고유 ID를 리드한 경우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 키에 맞게 대응 설정된 세대 편의 정보가 표시되도록 하는 세대 편의 정보 알림 장치.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f the unique ID is read from the user key before and after the detection of the outgoing detection unit or the ear detection unit, the control unit for displaying the generation convenience information so that the generation convenienc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user key is displayed.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 예적 구성에 따르면, 등록자의 축하 전달 메시지를 시간대별 사람별로 귀가하는 사람에 맞추어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exemplary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ongratulatory delivery message of the registrant to the person returning home for each time zone.

또한, 귀가 시에 도어폰을 통해 저장된 댁내의 방문 영상 데이터를 표시함은 물론, 외출 시에 날씨 정보, 주차 위치정보, 환율 정보, 가스, 난방, 일괄소등, 전력사용량, 세대 주변 버스 운행정보, 방범 등과 같은 세대 편의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시하거나 음성으로 안내함으로써 이용자의 생활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사용성과 건물 내 공간 활용성을 보다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it displays not only the visited home image data stored in the house through the door phone at the time of returning home, but also the weather information, parking location information, exchange rate information, gas, heating, batch light, power consumption, bus operation information, etc. By visually displaying or guiding the convenience information of the household, such as crime prevention, there is an effect of improving the user's convenience of life and increasing the usability and space utilization in the building.

또한, 특정 시간 대에 귀가 이벤트가 발생된 경우에만 메시지를 송출하여 불필요한 전원소모를 줄이는 이점도 있다. In addition, there is an advantage of reducing unnecessary power consumption by sending a message only when a return event occurs in a specific time period.

더구나, 아파트나 주택 등의 건설 및 보급에 있어 이용자 친화적인 제품 옵션의 공급에 수요자의 선택 폭을 넓히고 상품 가치를 증진시키는 부가적 이점이 있다.
Moreover, in the construction and distribution of apartments and houses, there is an additional advantage of widening the choice of consumers and increasing the value of products in supplying user-friendly product option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대 편의 정보 알림 장치의 블록도,
도 2는 도 1중 세대 편의 정보 알림 장치의 세부적 구성블록도,
도 3는 도 2의 세대 편의 정보 알림 장치의 운영관련 동작 제어흐름도,
도 4는 도 3의 동작 수행에 이용되는 메모 데이터의 테이블 맵도, 및
도 5 내지 도 12는 각종 세대 편의 정보의 안내 및 조작을 위해 보여지는 디스플레이 화면 상태도들.
1 is a block diagram of a household convenience information notific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detailed block diagram of the household convenience information notification device of FIG. 1; FIG.
3 is an operation control flow chart of the operation of the household convenience information notification device of FIG. 2;
FIG. 4 is a table map diagram of memo data used to perform an operation of FIG. 3. FIG.
5 to 12 are state diagrams of the display screen shown for guiding and manipulating various generation convenience informa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라, 세대 편의 정보 알림 장치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이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회로블록의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이 생략될 것이다.Hereinaft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household convenience information notification devic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Meanwhile, 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s of well-known functions or configurations of related circuit blocks will be omitte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세대 편의 정보 알림 장치는 기 저장된 메모 데이터를 직접적으로 혹은 간접적으로 받아 다이렉트로 표시하거나, 하프 미러를 통해 시각적으로 표시하거나, 청각적으로 송출하기 위해 도 1과 같이 구성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ousehold convenience information notification device may be configured as shown in FIG. 1 to directly or indirectly receive previously stored memo data, display them directly through a half mirror, or visually transmit them. Can b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세대 편의 정보 알림 장치의 블록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n apparatus for notifying generation convenience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을 참조하면, 세대 편의 정보 알림 장치(100)는 현관 근처에 단독으로 또는 하프 미러의 일부에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하프 미러는 반투명성 미러라고도 불리우며, 평상시에는 거울로서 활용되고 있다가 구동 제어신호가 인가되면 메모 데이터를 문자 또는 숫자로서 표현하여 거울 면에 원하는 정보가 표시되도록 한다. 조작의 편의를 위해서 상기 세대 편의 정보 알림 장치(100)는 스탠드 어론 장비의 형태의 세대 현관 근방에 시인성 있게 설치될 수 있다.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household convenience information notification device 100 may be installed alone or in a part of the half mirror near the entrance. The half mirror is also referred to as a semi-transparent mirror, and is usually used as a mirror. When a driving control signal is applied, the half mirror is expressed as letters or numbers so that desired information is displayed on the mirror surface. For convenience of operation, the generation convenience information notification device 100 may be installed in the vicinity of the generation porch in the form of stand-alone equipment.

상기 세대 편의 정보 알림 장치(100)는 세대 기기인 월패드(90)를 통해 연결되거나 다이렉트로 외부 기기나 서버들과 연결될 수 있다. The household convenience information notification device 100 may be connected through a wall pad 90 which is a household device or directly connected to external devices or servers.

이에 따라, 외출 감지 시에 상기 날씨(10), 주차정보(20), 가스(30), 난방(40), 일괄소등(50), 전력사용량(60), 버스 정보(70), 및 방범(80) 중의 적어도 하나 이상이 표시될 수 있다. Accordingly, the weather (10), parking information 20, gas (30), heating (40), collective lighting (50), power consumption (60), bus information (70), and crime prevention At least one or more of 80) may be displayed.

상기 세대 편의 정보 알림 장치(100)에 포함되어 설치되거나 이격 설치될 수 있는 귀가 감지부(180)와 외출 감지부(190)가 도 1에서 보여진다. 1 illustrates a return sensor 180 and an outing detector 190 that may be included in the generation convenience information notification device 100 or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상기 귀가 감지부(180)는 세대 출입구를 통한 입문이 수행되면 귀가를 감지한다. The return sensor 180 detects a return home when an entry through the household entrance and exit is performed.

상기 외출 감지부(190)는 상기 세대 출입구를 통한 출문이 수행되려고 할 때 외출을 감지한다. The outing detection unit 190 detects the outing when the door through the household entrance and exit is about to be performed.

상기 세대 편의 정보 알림 장치(100)의 구성 세부는 도 2에 도시된다. A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generation convenience information notification device 100 is shown in FIG. 2.

도 2는 도 1중 세대 편의 정보 알림 장치의 세부적 구성블록도이다. FIG. 2 is a detailed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e generation convenience information notification device of FIG. 1.

도면을 참조하면, 제어부(110), 통신부(120), 디스플레이부(130), 플래그부(140), 메모리(150), 입력부(160), 출력부(170), 및 외출 및 귀가 감지부와 연결된 센서 인터페이스(185)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control unit 110, the communication unit 120, the display unit 130, the flag unit 140, the memory 150, the input unit 160, the output unit 170, and the outing and return sensor and Includes a connected sensor interface 185.

상기 통신부(120)는 RS 485 통신라인 등을 통해 집합건물의 세대 기기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세대 기기는 상기 날씨정보 및/또는 주차 위치정보를 처리 또는 인터페이싱 하기 위한 가정용 네트워크 장치로서 기능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원격지에서 메모 데이터를 전송할 경우에 상기 제어부(110)는 집합건물에 설치되는 홈 네트워크 서버 또는 월패드(wall pad)라고 불려지는 세대기기와 연결되어 메모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120)는 범용 제품 "MAX485"를 사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 The communication unit 120 may be connected to the generation device of the assembly building through an RS 485 communication line. The generation device functions as a home network device for processing or interfacing the weather information and / or parking location information.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ransmitting the memo data from a remote location, the control unit 110 may be connected to a generation device called a home network server or a wall pad installed in the assembly building and receive the memo data. . The communication unit 120 may be implemented using a general-purpose product "MAX485".

상기 귀가 감지부(180)는 세대 출입구의 개방이 있고 나서 세대 현관 조명이 점등되는 경우에 귀가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에 세대 현관 조명이 먼저 점등되고 나서 세대 출입구의 개방이 있는 경우에는 외출 상태라고 감지할 수 있다. The home detecting unit 180 may detect a home when the household entrance lighting is turned on after the household entrance is opened. 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detect that the household entrance lighting is turned on first, and then, when there is an opening of the household entrance.

또한, 상기 귀가 감지부(180)는 세대 현관에 설치된 방향성 센서의 검출 출력이 있는 경우에 이에 의해서도 귀가 및 외출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세대 현관의 조명 제어나 상태 감지를 위해 적외선 센서 또는 마이크로 웨이브, 초음파 센서등이 예시적으로 설치될 수 있으며, 패시브 적외선 모션 검출 방식의 방향성 센서 예컨대 PA-0012DD를 이용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re is a detection output of the directional sensor installed in the home porch, the home ears detecting unit 180 may sense the home and the go out state. An infrared sensor, a microwave, an ultrasonic sensor, or the like may be exemplarily installed for lighting control or state detection of a generation porch, and a directional sensor such as PA-0012DD using a passive infrared motion detection method may be used.

상기 귀가 감지부(180)는 상기 하프 미러(50)의 몰딩 프레임이나 바디 부분 또는 오리지날 미러의 몰딩 프레임이나 바디 부분에 일부 노출형으로 설치될 수 있다. The ear sensor 180 may be partially exposed to the molding frame or body portion of the half mirror 50 or the molding frame or body portion of the original mirror.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귀가 감지부(180)의 귀가 감지신호에 응답하여 메모리(150)에 저장된 축하 메시지 데이터가 출력부(170)를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110 may control the congratulatory message data stored in the memory 150 to be output through the output unit 170 in response to the ear detection signal of the ear sensor 130.

따라서, 메모리(150)에 저장된 메시지 데이터가 있을 때, "우리 귀염둥이! 생일 축하해 " 라는 음성이 귀가의 감지 시에 음성 또는 문자로 송출될 수 있다. 또한, 7시 경에 남편이 귀가하면, "여보 나 ! 외출 나가는데, 식탁에 저녁 차려 놨으니 나 기다리지 말고 먼저 식사 맛있게 하세요" 등과 같은 메시지가 음성 또는 문자로서 나타날 수 있다. Therefore, when there is message data stored in the memory 150, a voice of "our little cutie! Happy Birthday" can be sent out as voice or text upon detection of returning home. Also, when her husband returns home around 7 o'clock, a message such as "Hey I'm going out, I've got dinner at the table, don't wait and enjoy your meal first" can appear as a voice or text.

또한, 메모리(150)에 도어폰을 통해 수신된 방문자 영상 데이터가 저장된 경우에 댁내의 방문 영상 데이터가 표시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visitor image data received through the door phone is stored in the memory 150, the visit image data of the home may be displayed.

한편, 외출 시에는 날씨 정보, 주차 위치정보, 환율 정보, 가스, 난방, 일괄소등, 전력사용량, 세대 주변 버스 운행정보, 방범 등과 같은 세대 편의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시하거나 음성으로 안내함으로써 이용자의 생활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사용성과 건물 내 공간 활용성을 보다 높일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you go out, you can visually display or voice the household convenience information such as weather information, parking location information, exchange rate information, gas, heating, batch light, power consumption, bus operation information around the household, crime prevention, etc. Improve usability and use of space in buildings.

한편, 오전 시간과 같이 미리 설정된 시간대에 이용자의 외출이 감지되면 상기 날씨정보 및/또는 주차 위치정보가 상기 디스플레이부(130)에 표시될 수 있다. Meanwhile, when the user's outing is detected in a preset time zone such as the morning time, the weather information and / or parking location information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30.

메모리(150)는 제어부(110)에 연결되어 상기 메모 데이터를 저장하며, 날씨 정보 및/또는 주차 위치정보의 표시에 관련된 프로그램 및 작업 데이터를 저장한다. 상기 메모리(150)는 디램 및 플래시 메모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The memory 150 is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110 to store the memo data, and stores program and work data related to the display of weather information and / or parking location information. The memory 150 may include a DRAM and a flash memory.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110)는 "ATMEGA64"를 사용하여 구현하였다. 필요한 경우에 음성 인식부가 상기 제어부(110)에 연결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ler 110 is implemented using "ATMEGA64". If necessary, the voice recognition unit may be connected to the controller 110.

상기 디스플레이부(130)는 LCD로 구현될 수 있으며, LCD를 드라이빙하기 위한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에 LCD와 구동부는 "디지털 RGB" 및 "AT070TN83"을 각기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The display unit 130 may be implemented as an LCD, and may include a driving unit for driving the LCD. In this case, the LCD and the driver may be implemented using "digital RGB" and "AT070TN83", respectively.

입력부(160)는 이용자 또는 사용자의 터치 또는 키 조작에 응답하여 조작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조작신호는 조작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제어부(110)에 인가된다. 상기 입력부(160)와 상기 조작 인터페이스는 HT100A-NDOBP02, HT-EBS4-1/RS232C로 각기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입력부(160)에는 등록 버튼 및 확인 버튼을 포함하는 다양한 키이 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기 등록 버튼은 전달할 메시지 데이터를 등록할 때 사용된다. 또한, 확인 버튼은 메모리 데이터의 재확인이나 수동으로 확인을 할 경우에 사용된다. The input unit 160 generates an operation signal in response to a user or a user's touch or key operation, and the operation signal is applied to the controller 110 through an operation interface. The input unit 160 and the operation interface may be configured as HT100A-NDOBP02 and HT-EBS4-1 / RS232C, respectively. The input unit 160 may have various keys including a registration button and a confirmation button. The registration button is used to register the message data to be delivered. In addition, the confirm button is used to reconfirm the memory data or to confirm manually.

상기 메모리(150)에 날씨별 표시 정보, UPIS 정보, 외부 온도 정보, 및 습도 정보가 저장된 경우에 외출 모드에서 그 저장된 정보들이 음성 또는 문자나 형상 부호로써 출력될 수 있다. When weather display information, UPIS information, external temperature information, and humidity information are stored in the memory 150, the stored information may be output as voice, text, or shape code in the outing mode.

원격에서 컴퓨터, 핸드폰 등을 통해 전송되는 정보 데이터는 월패드를 통해 상기 통신부(120)에 인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110)는 원격에서 전송된 정보 데이터 즉 메시지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150)에 저장한다. Information data transmitted from a remote computer, a mobile phone, etc. may be applied to the communication unit 120 through a wall pad. Accordingly, the controller 110 stores the remotely transmitted information data, that is, message data, in the memory 150.

상기 원격 데이터는 크게, 헤드, 바디, 및 테일 영역들로 구성된다. 상기 바디 영역은 로케이션 LOC, 코멘드 CMD, 및 아규먼트 ARG1-ARGn로 이루어 질 수 있다. The remote data is largely composed of head, body, and tail regions. The body region may consist of a location LOC, a command CMD, and the arguments ARG1-ARGn.

도 3은 도 2의 세대 편의 정보 알림 장치의 알림 운영관련 동작 제어흐름도이다. FIG. 3 is a flow chart illustrating a notification operation related operation of the generation convenience information notification device of FIG. 2.

도면을 참조하면, 단계 S30에서는 등록 모드인지의 유무가 체크되고, 단계 S33에서는 귀가 감지의 유무가 체크된다. 단계 S36에서는 외출모드 또는 일반 모드인지의 유무가 체크된다. 상기 동작 제어흐름은 도 2의 제어부(110)가 수행하는 프로그램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Referring to the drawing, in step S30, it is checked whether the registration mode is present, and in step S33, it is checked whether home ears are detected. In step S36, it is checked whether the home mode or the normal mode is present. The operation control flow may be performed by a program executed by the controller 110 of FIG. 2.

단계 S31에서는 시간대별, ID 별로 알림 메뉴를 세팅하는 동작이 실행된다. 단계 S32에서 등록 모드의 완료 유무가 체크된다. 등록 모드의 완료가 있게 되면, 플래그부(140)에는 메시지 데이터나 방문 영상 데이터 등과 같은 저장 메시지가 존재하고 있다는 것이 시그날로서 나타날 수 있다. In step S31, an operation of setting a notification menu for each time zone and ID is executed. In step S32, whether the registration mode is completed or not is checked. When the registration mode is completed, it may appear as a signal that the storage unit such as message data or visited video data exists in the flag unit 140.

단계 S34에서는 귀가의 감지 시 귀가시 필요한 알림정보 즉, 예를 들어 메시지 데이터, 방문자 영상 데이터, 또는 방범 체크 결과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거나 출력하는 동작이 실행된다. 이 경우에 출력의 순서는 시간대별 사람별 혹은 특별한 우선 순위별이 될 수 있다. 단계 S35에서는 출력 완료 유무가 체크된다. In step S34, an operation of displaying or outputting notification information necessary for returning home, for example, message data, visitor image data, or security check result data, is detected when the return home is detected. In this case, the order of output may be by time of day or by special priority. In step S35, the presence or absence of output completion is checked.

상기 단계 S36이 패스되면, 단계 S37에서 상기 날씨 정보, 주차 위치정보, 환율 정보, 가스, 난방, 일괄소등, 전력사용량, 세대 주변 버스 운행정보, 및 방범 중의 적어도 하나 이상이 표시되는 외출 또는 일반 모드에 속하는 동작이 실행된다.When the step S36 passes, the outing or general mode in which at least one of the weather information, parking location information, exchange rate information, gas, heating, batch lighting, power consumption, bus operation information around the household, and crime prevention are displayed in step S37. An operation belonging to is executed.

단계 S38에서는 외출 또는 일반 모드의 동작 완료유무가 체크된다. In step S38, it is checked whether the operation of the outing or the normal mode is completed.

도 4는 도 3의 동작 수행에 이용되는 메모 데이터의 테이블 맵도로서, 메시지 데이터의 등록 이력이 저장 순위별로 나타나 있다. FIG. 4 is a table map diagram of memo data used to perform an operation of FIG. 3, and a registration history of message data is shown for each storage rank.

도면을 참조하면, 저장 메시지 T1은 가장 최근에 등록된 요청 메시지 데이터로서, 문자 메시지로서 저장 및 출력될 수 있다. Referring to the drawing, the stored message T1 is the most recently registered request message data, and may be stored and output as a text message.

한편, 저장 메시지 T6는 가장 나중에 등록된 요청 메시지 데이터이며 동영상 데이터로서 저장 및 출력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동영상 데이터는 도어폰을 통해 인가되는 방문 영상 데이터 혹은 인터넷 등을 통해 원격에서 제공되는 것일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stored message T6 is the last request message data registered and can be stored and output as moving picture data. Here, the video data may be provided remotely through the visited video data or the Internet applied through the door phone.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세대 편의 정보 알림 장치(100)의 디스 플레이부(130)의 메인 화면이 나타나 있다. 메인 화면에는 주차 위치 정보와 날씨 정보가 표시되어 있는 것이 보여진다. Referring to FIG. 5, a main screen of the display unit 130 of the generation convenience information notification device 100 is shown. The main screen shows parking location information and weather information.

도 5의 기본 메뉴 아이콘이 눌려진 경우에 도 6과 같은 하위 메뉴의 아이콘들이 다시 보여질 수 있다. 도 6의 경우에는 가스, 난방, 일괄소등, 방범 설정의 아이콘들과, 승강기, 메모, 주차 위치 아이콘 등이 함께 보여진다. When the main menu icon of FIG. 5 is pressed, the icons of the submenu shown in FIG. 6 may be displayed again. In the case of FIG. 6, icons of gas, heating, turn off lights, and crime prevention settings are displayed together with a lift, a memo, a parking location icon, and the like.

도 7의 경우에는 외출 시에 가스 차단을 세대의 현관에서 수행하는 예가 나타나 있다. In the case of Figure 7, an example of performing the gas block at the entrance of the household when going out is shown.

한편, 도 8의 경우에는 외출 시에 난방을 차단하거나 조절하는 예가 나타나 있다.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Figure 8 is shown an example of blocking or adjusting the heating when going out.

도 9는 주차 위치 정보를 보여준다. 가장 최근에 주차된 차량의 위치가 지하 1층의 013번이라는 것이 확인된다. 9 shows parking position information. It is confirmed that the most recently parked car is located at 013 on the first floor of the basement.

도 10은 전등을 켜놓고 세대의 현관까지 이미 와버린 경우에 일괄 소등 스위치를 눌러 일괄소등을 실시 하는 예를 보여준다. FIG. 10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collective lighting is turned off by pressing the collective off switch when the lamp is turned on and the door of the household has already come.

도 11은 방범의 설정을, 도 12는 승강기의 호출을 각기 보여준다. Fig. 11 shows the setting of the security and Fig. 12 shows the call of the elevator, respectively.

이와 같이, 등록자의 메시지나 방문 영상 데이터를 시간대별 사람별로 귀가하는 사람에 맞추어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귀가 시에 기 등록된 메모 데이터를 시각 또는 청각적으로 표시함은 물론, 외출 시에 상기 날씨 정보, 주차 위치정보, 환율 정보, 가스, 난방, 일괄소등, 전력사용량, 세대 주변 버스 운행정보, 방범, 외부 온습도 등을 표시되게 함으로써 이용자의 생활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사용성과 건물 내 공간 활용성을 보다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특정 시간 대에 귀가 이벤트가 발생된 경우에만 메시지를 송출하여 불필요한 전원소모를 줄이는 이점도 있다. 더구나, 아파트나 주택 등의 건설 및 보급에 있어 이용자 친화적인 제품 옵션의 공급에 수요자의 선택 폭을 넓히고 상품 가치를 증진시키는 부가적 이점이 있다. In this manner, the registrant's message or the visited video data can be provided according to the person returning for each time zone. In addition, the memo data registered at the time of returning home is visually or audibly displayed, as well as the weather information, parking location information, exchange rate information, gas, heating, collective lighting, power consumption, bus operation information of households when going out. By displaying security, crime prevention, external temperature and humidity, etc., there is an effect of improving the user's convenience and improving usability and space utilization in the building. In addition, there is an advantage of reducing unnecessary power consumption by sending a message only when a return event occurs in a specific time period. Moreover, in the construction and distribution of apartments and houses, there is an additional advantage of widening the choice of consumers and increasing the value of products in supplying user-friendly product options.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메모 데이터를 등록하고 표시하는 제어 동작은 다양한 컴퓨터로 구현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의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control operation of registering and displaying memo data may include a computer readable medium including program instructions for performing operations implemented by various computers. The computer readable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etc. alone or in combination. The program instructions on the media may be those specially designed and constructed for the purposes of the present invention, or they may be of the kind well-known and available to those having skill in the computer software arts.

상기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위주로 도면을 따라 예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형 또는 변경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당업자에게는 명백한 것이다. 예를 들어, 사안이 다른 경우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남이 없이 하프 미러의 구조나 세대 편의 정보 알림 장치내의 세부적 구성 및 알림의 방법들이나 귀가 감지의 방법을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통신부를 통한 통신 방식도 직렬 통신이외에 타의 통신방식이나 무선통신 등으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화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
In the above descriptio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 For example, if the matter is different, the structure of the half mirror, the detailed configuration within the generation convenience information notification device, the methods of notification or the method of home detection may be chang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metho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may be variously changed or changed to other communication method or wireless communication in addition to serial communica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세대 편의 정보 알림 장치
110 : 제어부
120 : 통신부
180 : 귀가 감지부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0002]
100: household convenience information notification device
110:
120: communication unit
180: ear detection unit

Claims (13)

세대 출입구의 개방시 귀가를 감지하는 귀가 감지부와;
도어폰으로부터 획득된 방문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며, 가족 구성원에 의해 등록되는 메시지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와;
상기 귀가 감지부의 귀가 감지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방문 영상 데이터가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메시지 데이터가 시각 또는 청각적으로 출력부를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알림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세대 편의 정보 알림 장치.
A return sensor detecting a return when the household entrance is opened;
A memory for storing visited video data obtained from the door phone and storing message data registered by a family member;
And a notification controller configured to control the visited image data stored in the memory to be output through the display in response to the ear detection signal of the ear sensor. Generation convenience information notific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데이터의 출력은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으로서 출력됨을 특징으로 하는 세대 편의 정보 알림 장치.
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output of the image data is output as a still image or a moving imag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 제어부는 상기 귀가 감지신호가 없는 경우에 날씨 정보, 주차 위치정보, 환율 정보, 가스, 난방, 일괄소등, 전력사용량, 주변의 버스 운행 안내정보, 및 방범 중의 적어도 하나 이상이 출력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세대 편의 정보 알림 장치.
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notification controller comprises at least one of weather information, parking location information, exchange rate information, gas, heating, collective lighting, power consumption, surrounding bus operation guide information, and crime prevention when there is no home detection signal. Generation convenience information notific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output is abnorm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귀가 감지부는 세대 출입구의 개방이 있고 나서 세대 현관 조명이 점등되거나 인체 감지센서가 동작된 경우에 귀가를 감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세대 편의 정보 알림 장치.
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home detecting unit detects a home when the household door light is turned on or the human body sensor is operated after the household entrance is open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귀가 감지부는 세대 현관에 설치된 방향성 센서의 검출 출력이 있는 경우에 귀가 및 외출 상태를 감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세대 편의 정보 알림 장치.
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home sensor detects a home condition and an outing state when there is a detection output of a directional sensor installed in a home porch.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데이터는 상기 귀가 감지 신호의 발생시 문자 또는 소리로서 송출될 축하 메시지임을 특징으로 하는 세대 편의 정보 알림 장치.
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message data is a congratulatory message to be transmitted as a text or a sound when the ear detection signal is generated.
삭제delete 삭제delete 세대 출입구를 통한 입문이 수행되면 귀가를 감지하는 귀가 감지부;
상기 세대 출입구를 통한 출문이 수행되려고 할 때 외출을 감지하는 외출 감지부;
가족 구성원에 의해 세대 내부 또는 원격지에서 등록되는 메시지 데이터나 도어폰을 통해 인가되는 방문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외부 기기나 서버와 연결되어 세대 편의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귀가 감지부의 귀가 감지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방문 영상 데이터 또는 메시지 데이터가 디스플레이부 또는 출력부를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외출 감지부의 외출 감지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세대 편의 정보가 상기 디스플레이부 또는 상기 출력부를 통해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세대 편의 정보 알림 장치.
An ear sensor for detecting an ear when the entry through the household entrance is performed;
An outing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outing when the door through the household entrance is to be performed;
A memory for storing message data registered in a household or remotely by a family member or visiting video data authorized through a door phone;
A communication unit connected to an external device or a server to receive generation convenience information; And
The visit image data or the message data stored in the memory is output through the display unit or the output unit in response to the home detection signal of the home sensor, and the generation convenience information is displayed in response to the outgoing detection signal of the home sensor. Generation convenience information notific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o be displayed through the output unit or the output unit.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세대 편의 정보는 날씨 정보, 주차 위치정보, 환율 정보, 가스, 난방, 일괄소등, 전력사용량, 세대 주변 버스 운행정보, 및 방범 중의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세대 편의 정보 알림 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household convenience information includes at least one or more of weather information, parking location information, exchange rate information, gas, heating, batch lighting, power consumption, bus operation information around households, and crime prevention. Generation convenience information notification device.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세대 편의 정보는 터치 디스플레이에 의해 계층적 메뉴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세대 편의 정보 알림 장치.
The apparatus of claim 10, wherein the household convenience information has a hierarchical menu by a touch display.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데이터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경우에 이를 외부로 표시하기 위한 플래그부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세대 편의 정보 알림 장치.
The apparatus of claim 10, further comprising a flag unit for displaying the message data to the outside when the message data is stored in the memory.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외출 감지부나 귀가 감지부의 감지 전후에 사용자 키로부터 고유 ID를 리드한 경우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 키에 맞게 대응 설정된 세대 편의 정보가 표시되도록 하는 세대 편의 정보 알림 장치.The apparatus of claim 10, wherein the control unit displays generation convenienc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user key when the unique ID is read from the user key before and after the outing detection unit or the ear detection unit.
KR1020110129708A 2011-12-06 2011-12-06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in apartment housing KR10125868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9708A KR101258683B1 (en) 2011-12-06 2011-12-06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in apartment hous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9708A KR101258683B1 (en) 2011-12-06 2011-12-06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in apartment housi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58683B1 true KR101258683B1 (en) 2013-05-09

Family

ID=486652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9708A KR101258683B1 (en) 2011-12-06 2011-12-06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in apartment hous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8683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7424B1 (en) * 2013-10-23 2015-01-06 삼성물산 주식회사 Smart Information Display Device Capable of Interworking with User Terminal and System Thereof
KR20190103525A (en) * 2018-02-14 2019-09-05 안동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Apparatus for smart home display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KR20220126986A (en) * 2021-03-10 2022-09-19 (주)알트온 Switching devices for the front door that work with the home network system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3817B1 (en) * 2008-12-10 2009-12-24 주식회사 유코스텍 Weather information display device and display management system
JP2011155416A (en) 2010-01-26 2011-08-11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Interphone system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3817B1 (en) * 2008-12-10 2009-12-24 주식회사 유코스텍 Weather information display device and display management system
JP2011155416A (en) 2010-01-26 2011-08-11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Interphone system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7424B1 (en) * 2013-10-23 2015-01-06 삼성물산 주식회사 Smart Information Display Device Capable of Interworking with User Terminal and System Thereof
KR20190103525A (en) * 2018-02-14 2019-09-05 안동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Apparatus for smart home display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KR102021326B1 (en) * 2018-02-14 2019-09-16 안동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Apparatus for smart home display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KR20220126986A (en) * 2021-03-10 2022-09-19 (주)알트온 Switching devices for the front door that work with the home network system
KR102651672B1 (en) * 2021-03-10 2024-03-27 (주)알트온 Switching devices for the front door that work with the home network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70358160A1 (en) Access system with persistent display
CN102404450B (en) Mobile telephone hosted meeting controls
EP2675143B1 (en) User terminal apparatus providing a navigation function, server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1633062B1 (en) System for automatic door using transparent display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JP2002291057A (en) Remote controller
CN105974807A (en) Intelligent household control system
KR20150136969A (en) Display apparatus, control mehtod thereof and server
JP2016538796A (en) How to provide ads
KR101258683B1 (en)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in apartment housing
JP5652934B2 (en) Intercom system
KR101923401B1 (en) System for controlling elevator
KR101477424B1 (en) Smart Information Display Device Capable of Interworking with User Terminal and System Thereof
KR101225480B1 (en)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in apartment housings
KR100933817B1 (en) Weather information display device and display management system
KR20160115620A (en) Household situation inform system using intelligent entry equipment
KR20200068506A (en) Network based portable dining table
KR101784364B1 (en) Method for controlling car by using home scree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JP5004913B2 (en) Communication system for entrance (entrance)
JP2022009213A (en) Intercom system
CN116235227A (en) Door opening and closing control device and system
JP6065352B2 (en) Housing information board and intercom system for collective housing
JP6776167B2 (en) Security systems, mobile terminals, security devices, security methods and programs
JP2023168560A (en) Intercom system, terminal device, control method for terminal device, and program
KR102651672B1 (en) Switching devices for the front door that work with the home network system
JP5633933B2 (en) Housing information board, web server device, and intercom system for collective hous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