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5940B1 - Detachable mask - Google Patents

Detachable mas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5940B1
KR101245940B1 KR1020120053457A KR20120053457A KR101245940B1 KR 101245940 B1 KR101245940 B1 KR 101245940B1 KR 1020120053457 A KR1020120053457 A KR 1020120053457A KR 20120053457 A KR20120053457 A KR 20120053457A KR 101245940 B1 KR101245940 B1 KR 1012459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t
wearer
fixed
fac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345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병학
Original Assignee
김병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병학 filed Critical 김병학
Priority to KR10201200534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5940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59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594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24Hats; Caps; Hoods with means for attaching articles thereto, e.g. memorandum tablets or mirror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018Hats; Caps; Hoods with means for protecting the eyes, ears or nape, e.g. sun or rain shields; with air-inflated pads or removable linings
    • A42B1/0181Hats; Caps; Hoods with means for protecting the eyes, ears or nape, e.g. sun or rain shields; with air-inflated pads or removable linings with means for protecting the eye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18Coverings for protecting hats, caps or hoods against dust, rain, or sunshine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3/00Hook or eye fasten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PURPOSE: A detachable functional mask is provided to enhance anti-ultraviolet efficiency and to improve air ventilation on the face. CONSTITUTION: A detachable functional mask comprises a pair of fixing clamps(10) which are detachably clamped to both sides of a cap, a frame(1) which is arranged to cross the face of a cap wearer, a sunshade(30) which is extended downward from the frame, a horizontal direction adjusting unit for horizontally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sunshade, a vertical direction adjusting unit for vertically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cap. The frame comprises a rod support part(3) and a connection rod part(5).

Description

착탈식 기능성 마스크{DETACHABLE MASK}Detachable functional mask {DETACHABLE MASK}

본 발명은 착탈식 기능성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외선 차단효율이 좋으면서 얼굴부분의 통풍성을 현저하게 개선시킬 수 있고, 착용자의 얼굴윤곽과 눈의 위치에 따라 위치조절이 가능한 착탈식 기능성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movable functional mask, and more particularly, it is possible to remarkably improve the breathability of the face while having good UV blocking efficiency, and the removable functional mask which can be adjusted in position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face contour and eyes of the wearer. It is about.

야외 활동 시에는, 자외선에 많이 노출되므로, 자외선 차단을 위한 모자와 안면 마스크 등을 착용하는 것이 보통이다. During outdoor activities, people are exposed to ultraviolet rays, so it is common to wear a hat and a face mask to block ultraviolet rays.

특히, 안면 마스크는, 착용자의 얼굴부분을 직접 차단하므로, 자외선의 차단효율이 매우 높다. 따라서, 많은 사람들이 사용하고 있다.In particular, the face mask directly blocks the face part of the wearer, so that the ultraviolet ray blocking efficiency is very high. Therefore, many people use it.

안면 마스크의 일례로서, 이중막 구조의 자외선 차단 마스크가 있다. 이 마스크는, 상부체와 하부체로 구성되는 것으로, 상부체는 얼굴의 윗부분을 차단하고, 하부체는 얼굴의 아랫부분을 차단하며, 상부체와 하부체 사이의 개방부는 착용자의 코부분에 대응되게 구성된다. As an example of the face mask, there is a sunscreen mask having a double film structure. The mask consists of an upper body and a lower body, the upper body blocks the upper part of the face, the lower part blocks the lower part of the face, and the opening between the upper and lower parts corresponds to the nose part of the wearer. It is composed.

이러한 이중막 구조의 자외선 차단 마스크는, 착용자의 코부분이 개방되는 구조이므로, 착용자의 호흡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자외선을 효율좋게 차단할 수 있다. Since the double-layered UV blocking mask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wearer's nose is opened, the UV blocking mask can efficiently block ultraviolet rays without disturbing the wearer's breathing.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자외선 차단 마스크는, 착용 시에 착용자의 얼굴부분과 직접적으로 접촉된다는 단점이 있으며, 이러한 단점 때문에 착용감이 떨어지고 사용하기가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such a conventional sunscreen mask has a disadvantage in that it is in direct contact with the face of the wearer when worn,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wear feeling is inferior and it is inconvenient to use.

특히, 착용자의 얼굴부분과 직접 접촉되므로, 착용자의 얼굴부분에 통풍이 안된다는 단점이 있으며, 이러한 단점 때문에 기온이 높은 여름철, 매우 덥다는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In particular, the direct contact with the face of the wearer,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the ventilation is not in the face of the wearer, due to this disadvantage has been pointed out that the problem is that the temperature is very hot in the summer.

또한, 여성의 경우에는, 대부분이 얼굴부분에 화장을 하는데, 얼굴부분에 바른 화장품이 마스크에 묻어서 지워지거나 번질 우려가 있다는 단점이 있으며, 이러한 단점 때문에 대부분의 여성들이 마스크 착용 후, 매우 조심스러워하는 실정이다. In addition, in the case of women, most of the makeup is applied to the face part, there is a risk that the cosmetics applied to the face part may be removed or smeared by the mask, which is why most women are very careful after wearing the mask It is true.

한편, 이를 감안하여, 얼굴부분에 직접적으로 접촉하지 않고서도 자외선을 차단할 수 있고, 이로써, 통풍성과 착용감을 향상시킨 마스크들이 다양하게 제안되고 있다.On the other hand, in consideration of this, it is possible to block ultraviolet rays without directly contacting the face portion, thereby, a variety of masks have been proposed to improve the ventilation and wearing comfort.

그 일례로서, 한국 특허등록 제531752호의 "모자용 착탈 그늘막"이 있다. 이 기술은, 모자의 챙부분에 지지판을 착탈가능하게 설치한 다음, 이 지지판에 착용자의 얼굴부분과 목부분을 차단할 수 있는 차양막을 설치한 구성을 갖는다. As an example, there is a "detachable shade film for a hat" of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531752. This technology has a configuration in which a support plate is detachably installed on the visor of a hat, and then a sunscreen is installed on the support plate to block the face part and the neck part of the wearer.

이러한 구성의 모자용 착탈 그늘막은, 모자의 챙부분에 설치되는 구조이므로, 착용자의 얼굴부분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된다. 따라서, 착용자의 얼굴부분과 직접적인 접촉이 방지되면서 햇빛의 자외선을 차단한다. 이로써, 통풍성과 착용감을 향상시킨다. The removable shade film for a hat of this structure is provided in the visor part of a hat, and is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with the face part of a wearer. Therefore, direct contact with the face of the wearer is prevented while blocking the ultraviolet rays of sunlight. This improves breathability and wearing comfort.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기술은, 통풍성과 착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장점은 있으나, 착용자의 얼굴구조에 관계없이 무조건 착용자의 얼굴부분을 차단하는 구조이므로, 착용자의 얼굴과 차양막이 정렬되지 않을 경우, 이를 조절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By the way, such a conventional technology has the advantage that can improve the breathability and fit, but because the structure to block the face of the wearer irrespective of the wearer's face structure, if the wearer's face and the sunscreen is not aligned, The disadvantage is that it can not be adjusted.

즉, 사람의 얼굴윤곽과 눈의 위치는 각기 다르다. 따라서, 마스크의 착용시, 착용자는 자신의 얼굴윤곽과 눈의 위치에 따라 마스크의 전,후위치와 상,하위치를 조절할 필요가 있다. In other words, the contours of human faces and the positions of eyes are different. Therefore, when wearing the mask, the wearer needs to adjust the front, rear and up and down positions of the mask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his face outline and eyes.

그러나, 종래의 기술은, 착용자의 얼굴구조와 관계없이 착용자의 얼굴부분을 일률적으로 차단하는 구조이므로, 착용자의 얼굴윤곽과 눈의 위치가 차양막과 정렬되지 않을 경우, 이를 조절할 방법이 없다는 단점이 있다. However, the related art is a structure that blocks the face part of the wearer irrespective of the wearer's face structure, so that if the face contour and the eye position of the wearer are not aligned with the sunscreen, there is no method of adjusting the face. .

특히, 착용자의 눈높이와 차양막이 조절되지 않을 경우, 착용자의 시야가 좁아지거나 사각지대(死角地帶)가 발생되기도 한다. 그리고 착용자의 코높이가 높은 경우에는, 코부분이 차양막과 접촉되기도 한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 때문에 많은 착용자가 불편함을 겪고 있다. In particular, when the wearer's eye level and the awning are not adjusted, the wearer's field of view may be narrowed or blind spots may occur. And if the nose height of the wearer is high, the nose portion may come into contact with the sunscreen. Therefore, many wearers suffer from this inconvenienc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자외선 차단효율이 좋으면서 얼굴부분의 통풍성을 현저하게 개선시킬 수 있는 착탈식 기능성 마스크를 제공하는 데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problems, and an object thereof is to provide a removable functional mask which can significantly improve the air permeability of the face part while having good UV blocking efficiency.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착용자 자신의 얼굴윤곽과 눈의 위치에 따라 위치조절이 가능한 착탈식 기능성 마스크를 제공하는 데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movable functional mask that can be adjusted in position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wearer's own face contour and eyes.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착용자 자신의 얼굴윤곽과 눈의 위치에 따라 위치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최대한 향상시킬 수 있는 착탈식 기능성 마스크를 제공하는 데 있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movable functional mask that can be configured to be able to adjust the position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wearer's own face contour and eyes, to maximize the convenience of the user.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착탈식 기능성 마스크는, 모자 착용자의 얼굴부분을 차단할 수 있도록, 상기 모자에 착탈가능한 착탈식 기능성 마스크에 있어서, 상기 모자의 챙 양쪽부분에 착탈가능하게 클램핑되는 한 쌍의 고정클램프들과; 양단이 상기 고정클램프에 고정되며, 모자 착용자의 얼굴부분을 가로지르도록 배열되는 프레임과; 상기 모자 착용자의 얼굴부분을 가릴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으로부터 하방으로 길게 연장되는 차양막과; 상기 차양막의 위치를 상기 모자 착용자의 얼굴부분에 대해 전,후 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는 전,후방향 조절수단과; 상기 차양막의 위치를 상기 모자 착용자의 얼굴부분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는 상,하방향 조절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Removable functional mask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is object, in a removable functional mask detachable to the hat, so as to block the face portion of the hat wearer, a pair of removable clamping on both sides of the visor of the hat Fixed clamps; A frame fixed at both ends to the fixing clamp and arranged to cross the face portion of the hat wearer; A sunshade that extends downwardly from the frame to cover the face portion of the hat wearer; Front and rear adjustment means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sunscreen in front and rear directions with respect to the face portion of the hat wearer;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upper and lower direction adjustment means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sunshade up and down with respect to the face portion of the hat wearer.

바람직하게는, 상기 프레임은, 상기 양쪽의 각 고정클램프로부터 상기 모자 착용자의 전방측을 향해 연장되는 양쪽의 지지로드부들과; 상기 모자 착용자의 얼굴부분을 가로지르도록, 상기 지지로드부들의 말단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로드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frame includes: both support rods extending from the fixing clamps on both sides toward the front side of the hat wearer;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nnecting rod for connecting the ends of the support rods to cross the face portion of the hat wearer.

그리고 상기 전,후방향 조절수단은, 양단이 상기 프레임의 양쪽 지지로드부 각각에 텔레스코픽(Telescopic) 형태로 끼워져 조립되는 상기 연결로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로드부는, 상기 양쪽의 지지로드부에 대해 신장 및 수축운동하면서 상기 차양막을 모자 착용자의 얼굴부분에 대해 전,후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front and rear adjustment means, the connecting rods are both ends of the telescopic (telescopic) type is assembled to each of the support rods of each of the frame, the connection rods, the support rods of both sides While the stretch and contraction movement, the sunshad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ront, rear movement with respect to the face of the hat wearer.

그리고 상기 상,하방향 조절수단은, 상기 고정클램프들과 상기 프레임의 양단 사이에 설치되는 스위블 조인트(Swivel Joint)들을 포함하며, 상기 스위블 조인트는, 상기 고정클램프 각각에 일체로 고정되는 고정몸체들과, 상기 프레임의 양단에 각각 고정되며 상기 고정몸체에 상,하 방향 회전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몸체 및, 상기 고정몸체에 대해 상,하 방향 위치 조절된 상기 회전몸체를 록킹시키는 록킹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각 회전몸체는, 상기 양쪽의 고정몸체에 대해 상,하방향 회전운동하면서 상기 차양막을 모자 착용자의 얼굴부분에 대해 상,하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upper and lower adjustment means include swivel joints installed between the fixed clamps and both ends of the frame, and the swivel joints are fixed bodies integrally fixed to each of the fixed clamps. And a rotating body fixed to both ends of the frame and installed on the fixed body so as to be rotatable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and a locking device for locking the rotating body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fixed body. And, each of the rotating body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unshade to move up and down with respect to the face portion of the hat wearer while the upper and lower rotational movement with respect to both of the fixed body.

본 발명에 따른 착탈식 기능성 마스크에 의하면, 착용자의 얼굴부분으로부터 이격되는 구조이므로, 자외선 차단효율이 좋으면서 얼굴부분과의 접촉문제와 얼굴부분의 통풍성을 현저하게 개선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removable functional mas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tructure is spaced apart from the face part of the wearer, there is an effect that the UV blocking efficiency is good and the problem of contact with the face part and the breathability of the face part can be remarkably improved.

또한, 본 발명의 마스크는, 필요에 따라 전,후방향과 상,하방향으로 위치조절할 수 있는 구조이므로, 착용자 자신의 얼굴윤곽과 눈의 위치에 맞춰 위치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mask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tructure can be adjusted in the front, rear and up, down direction as needed,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adjusted in accordance with the position of the wearer's own face contour and eyes.

또한, 자신의 얼굴윤곽과 눈의 위치에 맞춰 위치조절할 수 있으므로, 사각지대가 발생하지 않고, 보다 넓은 전방 시야를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position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his face contour and eyes, blind spots do not occur, there is an effect that can secure a wider forward field of view.

또한, 자신의 얼굴윤곽과 눈의 위치에 맞춰 위치조절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을 최대한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position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his face contour and eyes,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improved to the maximum convenience of the use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착탈식 기능성 마스크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사용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본 발명의 착탈식 기능성 마스크를 정면에서 바라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사용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본 발명의 착탈식 기능성 마스크를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고정클램프와 스위블 조인트를 상세하게 나타내는 정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프레임의 지지로드부와 연결로드부의 연결부분 및 스위블 조인트를 상세하게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7은 프레임의 연결로드부를 구성하는 좌측로드부와 우측로드부의 연결부분을 상세하게 나타내는 단면도,
도 8은 좌,우측로드부를 구성하는 선단부와 말단부의 연결부분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차양막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측면도,
도 11은 차양막을 모자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클립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12와 도 13은 고정클립의 작동예를 나타내는 작동도들,
도 14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차양막 지지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5는 차양막 지지부재의 사용예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16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고정클램프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7은 도 16의 측단면도로서, 다른 실시예의 고정클램프 사용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8은 차양막을 모자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클립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removable functional mas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upling state of FIG. 1;
3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use of the present invention, a front view of the removable functional mask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use of the present invention, a side view of the removable functional mask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front sectional view showing in detail the fixed clamp and the swivel joint constituting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in detail the connection portion and the swivel joint of the support rod and the connecting rod of the frame constituting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in detail the connecting portion of the left rod portion and the right rod portion constituting the connecting rod portion of the frame;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necting portion of the front end and the end of the left and right rods;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sunscreen constituting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side view of Fig. 9,
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xing clip for fixing the sunscreen to the hat,
12 and 13 are operation diagrams showing an example of the operation of the fixed clip,
1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unscreen support member constituting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 side view showing an example of use of the sunshade support member;
1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fixing clamp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7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FIG. 16, illustrating an example of using a fixed clamp of another embodiment;
1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fixing clip for fixing the sunscreen to the hat.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착탈식 기능성 마스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removable functional mas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먼저,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착탈식 기능성 마스크는, 프레임(1)과, 프레임(1)을 모자(A)의 챙(A1)부분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클램프(10)를 구비한다.First, referring to FIGS. 1 to 4, the detachable functional mas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xing clamp 10 for fixing the frame 1 and the frame 1 to the visor A1 of the hat A. It is provided.

프레임(1)은, 대략 "∪"자형 로드(Rod)로 구성되며, 양쪽의 지지로드부(3)와, 지지로드부(3)의 끝부분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로드부(5)로 구성된다.The frame 1 is composed of an approximately " 로드 " shaped rod, and comprises a support rod portion 3 on both sides and a connecting rod portion 5 connecting the ends of the support rod portion 3 to each other. do.

양쪽의 지지로드부(3)는, 모자(A)의 챙(A1)부분에 고정되는 것으로, 중공(中空)의 파이프(Pipe)로 구성되며, 고정클램프(10)와 연결된다. The supporting rods 3 on both sides are fixed to the visor A1 of the hat A, and are formed of a hollow pipe, and are connected to the fixed clamp 10.

고정클램프(1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2)와, 모자(A)의 챙(A1)부분 가장자리를 물어서 죌 수 있도록 몸체(12)에 설치되는 한 쌍의 죠(Jaw)(14)와, 한 쌍의 죠(14)들의 간격을 좁혀서 죄는 클램프 노브(15)를 포함한다.Fixing clamp 10, as shown in Figure 5, a pair of jaws (Jaw) which is installed on the body 12 and the body 12 so as to bite the edge of the brim (A1) portion of the cap (A) 14 and a clamp knob 15 for narrowing and tightening the pair of jaws 14.

특히, 클램프 노브(15)는, 사용자가 힌지축(15a)을 중심으로 눌러서 회전시킴에 따라 상부의 죠(14)를 가압하는 것으로, 상,하부의 죠(14)들을 서로 죄어준다. 따라서, 상기 죠(14)들이 모자(A)의 챙(A1)에 견고하게 물어서 죌 수 있게 한다. 이로써, 양쪽의 지지로드부(3)들이 모자(A)의 챙(A1)부분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게 한다.In particular, the clamp knob 15 presses the upper jaw 14 as the user presses and rotates about the hinge axis 15a, and clamps the upper and lower jaws 14 to each other. Thus, the jaws 14 are firmly bitten by the visor A1 of the hat A. As a result, both of the support rods 3 can be firmly fixed to the visor A1 of the hat A.

연결로드부(5)는, 도 1과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단 각각이 양쪽의 지지로드부(3) 내경부에 각각 끼워지며, 이렇게 끼워진 연결로드부(5)는, 양쪽의 지지로드부(3)들을 서로 연결한다. As shown in FIGS. 1, 2, and 3, each of the connecting rods 5 is fitted to inner diameter portions of both of the supporting rods 3, respectively. Both support rods 3 are connected to each other.

양쪽의 지지로드부(3)들을 연결한 연결로드부(5)는, 상기 지지로드부(3)들을 모자(A)의 챙(A1)부분에 고정시켰을 경우, 모자(A) 착용자의 얼굴부분을 가로지르도록 구성된다. 특히, 착용자 얼굴부분의 콧등부분을 가로지르도록 구성된다.The connecting rod part 5 connecting both supporting rod parts 3, when the supporting rod parts 3 are fixed to the visor A1 of the hat A, are worn on the face of the hat A wearer. It is configured to cross. In particular, it is configured to cross the dorsal part of the wearer's face.

한편, 연결로드부(5)는, 그 양단이 양쪽의 지지로드부(3) 내경부에 끼워지되, 텔레스코픽(Telescopic) 형태로 끼워져 조립되며, 이렇게 조립된 연결로드부(5)는 지지로드부(3)에 대해 슬라이딩운동하면서 신축가능하다. On the other hand, the connecting rod portion 5, both ends of which are fitted to the inner diameter portion of both of the support rod portion 3, is assembled in a telescopic (Telescopic) form is assembled, the connection rod portion 5 thus assembled is a support rod portion It is flexible while sliding about (3).

특히, 지지로드부(3)에 대해 신장 및 수축되면서 착용자의 얼굴부분에 대해 전,후운동하며, 이렇게 운동하는 연결로드부(5)는, 얼굴부분에 대한 차양막(후술함)(30)의 전,후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한다.In particular, while extending and contracting with respect to the support rod portion 3, the front and rear movement of the wearer's face portion, the connecting rod portion 5 to do this movement of the sunshade (described later) 30 for the face portion Allows you to adjust the front and rear positions.

여기서, 연결로드부(5)는, 지지로드부(3)에 대해 전,후위치 조절된 후, 별도의 고정장치(20)(도 6참조)에 의해 고정된다.Here, the connecting rod portion 5 is fixed by a separate fixing device 20 (see FIG. 6) after the front and rear positions are adjusted with respect to the supporting rod portion 3.

고정장치(20)는, 도 1과 도 2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로드부(5)의 양쪽부분에 설치되는 버튼(22)들과, 버튼(22)과 회전축(22a)을 중심으로 시소(Seesaw)운동할 수 있도록, 연결로드부(5)의 내부에 설치되는 걸림후크(24)와, 걸림후크(24)가 걸려서 고정될 수 있도록 지지로드부(3)에 형성되는 다수의 걸림구멍(26)들을 포함한다.As shown in FIGS. 1, 2, and 6, the fixing device 20 includes buttons 22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connecting rod 5, the button 22, and the rotating shaft 22a. A hook hook 24 installed inside the connecting rod 5 and a plurality of support rods 3 formed on the support rod 3 so that the hook hook 24 can be fixed by being able to move the seesaw to the center. The engaging holes 26 of the.

버튼(22)은, 연결로드부(5)의 내부로부터 외측을 향해 돌출되게 설치되며, 이렇게 설치된 버튼(22)은, 사용자가 눌러서 가압함에 따라 회전축(22a)을 중심으로 누름운동한다.The button 22 is installed to protrude outward from the inside of the connecting rod portion 5, and the button 22 thus installed is pushed about the rotation shaft 22a as the user presses and presses it.

걸림후크(24)는, 연결로드부(5)의 내부로부터 외측을 향해 돌출되게 설치된다. 특히, 연결로드부(5)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스프링(25)의 탄성력에 의해 연결로드부(5)의 내부로부터 외측을 향해 돌출되는데, 이렇게 돌출된 걸림후크(24)는, 지지로드부(3)에 형성된 다수의 걸림구멍(26)중 어느 하나에 걸리며, 이렇게 걸린 걸림후크(24)는, 연결로드부(5)와 지지로드부(3)를 서로 고정시킨다. The locking hook 24 is provided to protrude outward from the inside of the connecting rod portion 5. In particular, the projecting hook portion 24 protrudes outward from the inside of the connecting rod portion 5 by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25 installed in the connecting rod portion 5, and the supporting hook portion 24 is supported by the supporting rod portion. One of the plurality of engaging holes 26 formed in (3) is caught, and the engaging hook 24 thus secures the connecting rod portion 5 and the supporting rod portion 3 to each other.

따라서, 지지로드부(3)에 대해 전,후 위치조절된 연결로드부(5)를 위치 고정시킨다. 이로써, 연결로드부(5)에 설치된 차양막(30)의 위치도 고정시킨다.Therefore, the fixed position of the connecting rod portion 5 is adjusted before and after the support rod portion (3). As a result, the position of the sunscreen 30 provided in the connecting rod part 5 is also fixed.

한편, 걸림후크(24)는, 사용자가 버튼(22)을 눌러서 가압하면, 회전축(22a)을 중심으로 시소운동하면서 연결로드부(5)의 내부로 삽입되고, 연결로드부(5)의 내부로 삽입된 걸림후크(24)는 지지로드부(3)의 걸림구멍(26)으로부터 이탈되며, 걸림구멍(26)으로부터 이탈된 걸림후크(24)는, 연결로드부(5)와 지지로드부(3)의 고정을 해제하면서 서로간의 운동을 허용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user presses the button 22 and presses the button, the hook hook 24 is inserted into the connecting rod part 5 while seesawing about the rotating shaft 22a, and the inside of the connecting rod part 5. The hook hook 24 inserted into the hook hook is separated from the hook hole 26 of the support rod part 3, and the hook hook 24 detached from the hook hole 26 is connected to the connecting rod part 5 and the support rod part. Unlock (3) to allow movement between each other.

따라서, 상기 연결로드부(5)를 지지로드부(3)로부터 연장시키거나 또는 수축시키면서 전,후 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한다. 이로써, 연결로드부(5)에 설치된 차양막(30)의 전,후 위치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그 결과, 착용자의 얼굴윤곽에 따라 차양막(30)의 전,후 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front and rear positions while extending or contracting the connecting rod portion 5 from the supporting rod portion 3. As a result, the front and rear positions of the awning film 30 installed in the connecting rod part 5 can be adjusted. As a result, the front and rear positions of the sunscreen 30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contour of the wearer.

여기서, 걸림후크(24)는, 후면의 경사부(24a)를 구비하는데, 후면의 경사부(24a)는, 지지로드부(3)측을 향하도록 구성된다.Here, the hook hook 24 is provided with the inclination part 24a of the back surface, but the inclination part 24a of the back surface is comprised so that it may face the support rod part 3 side.

이렇게 구성한 이유는, 연결로드부(5)의 양단을 지지로드부(3)에 삽입하면서 수축시킬 경우, 상기 걸림후크(24)가 지지로드부(3)의 걸림구멍(26)으로 자연스럽게 이탈되면서 걸림해제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며, 이는, 연결로드부(5)와 차양막(30)을 얼굴부분에 근접한 방향으로 당겨서 위치 조절할 시에는, 별도의 버튼(22) 조작없이도 위치 조절이 가능하게 하기 위함이다.The reason for this configuration is that when the both ends of the connecting rod portion 5 are contracted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supporting rod portion 3, the locking hook 24 naturally escapes to the engaging hole 26 of the supporting rod portion 3. In order to be able to be released, this is to enable the position adjustment without the operation of a separate button 22, when the position adjustment by pulling the connecting rod portion 5 and the sunshade 30 in the direction close to the face portion. to be.

한편, 이러한 연결로드부(5)는, 도 1 내지 도 3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부분을 기준으로 좌측로드부(6)와 우측로드부(7)로 나눠지며, 이렇게 나눠진 좌,우측로드부(6, 7)는, 연결슬리브(Sleeve)(8)에 의해 서로 분리가능하게 연결된다.Meanwhile, as shown in FIGS. 1 to 3 and 7, the connecting rod part 5 is divided into a left rod part 6 and a right rod part 7 based on the middle part. The left and right rod parts 6 and 7 are detachably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connecting sleeve 8.

연결슬리브(8)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경부(8a)를 갖추고 있으며, 이 내경부(8a)의 양쪽에는 좌측로드부(6)와 우측로드부(7)의 말단부가 각각 끼워져 삽입된다. 따라서, 좌,우측로드부(6, 7)는, 연결슬리브(8)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As shown in Fig. 7, the connecting sleeve 8 is provided with an inner diameter portion 8a, and both ends of the left rod portion 6 and the right rod portion 7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inner diameter portion 8a, respectively. Inserted and inserted. Therefore, the left and right rod parts 6 and 7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connecting sleeve 8.

여기서, 서로 연결 조립된 연결슬리브(8)와 좌,우측로드부(6, 7)는, 결합장치(9)에 의해 고정적으로 결합된다.Here, the connecting sleeve 8 and the left and right rod parts 6 and 7 connected to each other are fixedly coupled by the coupling device 9.

결합장치(9)는, 좌,우측로드부(6, 7)의 각 말단부에 설치되는 결합볼(9a)과, 결합볼(9a)이 결합될 수 있도록 연결슬리브(8)의 양쪽에 각각 형성되는 결합구멍(9b)을 포함한다.Coupling device (9)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coupling ball (9a) and the coupling sleeve (8a) so that the coupling ball (9a) can be coupled to each end of the left and right rods (6, 7) Engaging holes 9b.

결합볼(9a)은, 좌,우측로드부(6, 7)의 내부에 설치되며, 이렇게 설치된 결합볼(9a)은, 그 일측부분이 좌,우측로드부(6, 7)의 외면으로 돌출되게 구성된다. 특히, 내부의 스프링(9c)에 탄성지지되면서 좌,우측로드부(6, 7)의 외측면을 향해 탄성적으로 돌출되게 구성된다.The coupling ball 9a is installed inside the left and right rod parts 6 and 7, and the coupling ball 9a provided in this way protrudes to the outer surface of the left and right rod parts 6 and 7. It is configured to be. In particular, while being elastically supported by the inner spring (9c) is configured to elastically project toward the outer surface of the left and right rods (6, 7).

결합구멍(9b)은, 좌,우측로드부(6, 7) 각각을 연결슬리브(8)의 양단에 끼워서 조립했을 경우, 좌,우측로드부(6, 7)의 결합볼(9a)과 결합될 수 있게 구성된다. 따라서, 결합볼(9a)이 설치된 좌,우측로드부(6, 7)를 연결슬리브(8)와 결합시킨다. The coupling holes 9b are engaged with the coupling balls 9a of the left and right rod parts 6 and 7 when the left and right rod parts 6 and 7 are assembled by inserting the left and right rod parts 6 and 7 at both ends of the connecting sleeve 8, respectively. It is configured to be. Accordingly, the left and right rod parts 6 and 7 provided with the coupling ball 9a are coupled to the connecting sleeve 8.

이로써, 좌,우측로드부(6, 7)와 연결슬리브(8)가 고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게 한다. 그 결과, 좌,우측로드부(6, 7)가 서로 연결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한다.As a result, the left and right rod parts 6 and 7 and the connecting sleeve 8 can be fixedly coupled. As a result, the left and right rod parts 6 and 7 can be connected to each other.

여기서, 좌,우측로드부(6, 7) 각각을 연결슬리브(8)로부터 강제로 분리시키면, 좌,우측로드부(6, 7)의 결합볼(9a)이 연결슬리브(8)의 결합구멍(9b)으로부터 이탈된다. 그리고 결합볼(9a)이 결합구멍(9b)으로부터 이탈되면, 좌,우측로드부(6, 7)는, 연결슬리브(8)로부터 분리되며, 이러한 상태에서 좌,우측로드부(6, 7)는 좌,우로 분리될 수 있다.Here, when the left and right rod parts 6 and 7 are forcibly separated from the connecting sleeve 8, the engaging balls 9a of the left and right rod parts 6 and 7 are coupled to the coupling holes of the connecting sleeve 8, respectively. Departure from (9b). When the engaging ball 9a is separated from the engaging hole 9b, the left and right rod parts 6 and 7 are separated from the connecting sleeve 8, and in this state, the left and right rod parts 6 and 7 Can be divided into left and right.

한편, 연결슬리브(8)는, 다양한 길이를 갖도록 구성된다. 다양한 길이의 연결슬리브(8)는, 필요에 따라 교체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onnecting sleeve 8 is configured to have various lengths. The connecting sleeve 8 of various lengths can be replaced as needed.

연결슬리브(8)의 길이를 다양하게 구성한 이유는, 좌,우측로드부(6, 7)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함이며, 이는, 좌,우측로드부(6, 7)의 간격을 모자(A) 착용자의 얼굴폭에 맞춰서 조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The reason why the length of the connecting sleeve 8 is variously configured is to adjust the distance between the left and right rod parts 6 and 7, which is used to control the distance between the left and right rod parts 6 and 7. This is to adjust it according to the wearer's face width.

다시, 도 1 내지 도 3 및 도 8을 참조하면, 연결로드부(5)의 좌,우측로드부(6, 7)각각은, 선단부(先端部)(6a, 7a)와 말단부(末端部)(6b, 7b)로 구성되는데, 이때, 말단부(6b, 7b)는 선단부(6a, 7a)와 경사피봇축(6c, 7c)에 의해 연결되며, 이렇게 연결된 말단부(6b, 7b)는, 선단부(6a, 7a)에 대해 상부방향으로 스윙운동가능하게 연결된다. Referring again to FIGS. 1 to 3 and 8, the left and right rod portions 6 and 7 of the connecting rod portion 5 each have a front end portion 6a and 7a and a distal end portion. 6b and 7b, wherein the distal ends 6b and 7b are connected by the distal ends 6a and 7a and the inclined pivot shafts 6c and 7c, and the distal ends 6b and 7b thus connected are distal end portions (6b and 7b). 6a, 7a) is swingably connected in an upward direction.

특히, 말단부(6b, 7b)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피봇축(6c, 7c)을 중심으로 착용자의 머리 윗부분 외측을 향해 사선방향으로 스윙운동하며, 이렇게 스윙운동하는 말단부(6b, 7b)는, 차양막(30)을 착용자의 얼굴부분으로부터 걷어내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착용자가 자신의 얼굴을 개방할 수 있게 한다. In particular, the distal ends 6b and 7b, as shown in Fig. 3, swing in an oblique direction toward the outside of the upper part of the wearer's head about the inclined pivot shafts 6c and 7c. , 7b) removes the sunscreen 30 from the face of the wearer. Thus, the wearer can open his or her face.

다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마스크는, 프레임(1)에 설치되는 차양막(30)을 구비한다.Again, referring to FIGS. 1 to 4, the mask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hading film 30 provided in the frame 1.

차양막(30)은, 프레임(1)에 상단이 지지된 상태에서 하방으로 길게 연장되며, 이렇게 연장된 차양막(30)은, 착용자의 얼굴부분을 차단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착용자의 얼굴부분으로 조사되는 자외선을 차단한다.The sunshade 30 extends downwardly while the upper end is supported by the frame 1, and the sunshade 30 extended in this manner is configured to block the face part of the wearer. Therefore, the ultraviolet rays emitted to the face of the wearer are blocked.

여기서, 차양막(30)은, 그 상단부분이 주름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단부분이 프레임(1)을 따라 신축변형될 수 있게 구성된다. 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upper end part of the shading film 30 is wrinkled. Thus, the upper portion is configured to be elastically deformed along the frame (1).

이렇게 구성한 이유는, 프레임(1)의 연결로드부(5)가 지지로드부(3)에 대해 신장 및 수축되면서 전,후위치 조절될 경우, 이에 대응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The reason for this configuration is that the connecting rod portion 5 of the frame 1 can be coped with when it is adjusted before and after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with respect to the support rod portion 3.

그리고 차양막(30)은, 좌측차양막(32)과 우측차양막(34)으로 나눠지는데, 이때, 좌측차양막(32)은, 연결로드부(5)의 좌측로드부(6)에 대응되고, 우측차양막(34)은 연결로드부(5)의 우측로드부(7)에 대응되게 구성된다.And the sunshade 30 is divided into a left sunshade 32 and a right sunshade 34, wherein the left sunshade 32 corresponds to the left rod 6 of the connecting rod 5, the right sunshade 34 is configured to correspond to the right rod 7 of the connecting rod (5).

따라서, 연결로드부(5)의 좌,우측로드부(6, 7)를 좌,우로 분리하였을 경우, 차양막(30)도 이에 대응하여 좌,우로 분리될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left and right rods 6 and 7 of the connecting rod 5 are separated into left and right, the sunshade 30 may also be separated into left and right correspondingly.

또한, 좌,우로 분리된 좌,우측로드부(6, 7)를 상방으로 스윙운동시켰을 경우, 좌,우측차양막(32, 34)도 이에 대응하여 상방으로 회전되면서 착용자의 얼굴부분으로부터 걷어질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left and right rod parts 6 and 7 separated by left and right swing upwards, the left and right sunscreens 32 and 34 may also be rolled up from the face of the wearer while being rotated upwards correspondingly. have.

여기서, 좌,우측차양막(32, 34)은, 연결수단, 예를 들면, 벨크로 테입, 단추 등을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게 구성된다.Here, the left and right sunscreens 32 and 34 are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connecting means, for example, Velcro tapes, buttons, and the like.

한편, 차양막(30)은, 도 1과 도 2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용자의 얼굴부분만 차단할 수도 있지만, 도 9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우에 따라 착용자의 목부분을 차단할 수 있다. Meanwhile, as shown in FIGS. 1 and 2 and 4, the sunscreen 30 may block only the face of the wearer, but as shown in FIGS. 9 and 10, in some cases, the neck of the wearer is blocked. You can block.

이러한 경우, 차양막(30)은, 프레임(1)으로부터 후방으로 향해 연장되는데, 이러한 연장부분(35)은, 별도의 고정클립(37)에 의해 모자(A)의 본체부분(A2)에 간격을 두고 고정된다.In this case, the shading film 30 extends rearward from the frame 1, and the extension part 35 is spaced apart from the main body part A2 of the hat A by a separate fixing clip 37. Is fixed.

고정클립(37)은, 차양막(30)에 고정되는 것으로, 도 11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양막(30)에 고정되는 탄성재질의 압착판(38a)과, 모자(A)의 본체부분(A2)에 꽂아서 고정시킬 수 있도록 압착판(38a)에 일체로 설치되는 고정핀(38b)을 포함한다. The fixed clip 37 is fixed to the awning film 30, as shown in Figures 11 to 13, the pressing plate 38a of the elastic material is fixed to the awning film 30, the main body of the cap (A) It includes a fixing pin (38b) integrally installed on the pressing plate (38a) so as to be plugged into the portion (A2).

특히, 압착판(38a)은, 차양막(30)에 고정적으로 꿰매지는 일종의 판스프링으로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핀(38b)의 반대방향을 향하는 제 1변형위치(S)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핀(38b)을 향하는 제 2변형위치(T) 사이에서 탄성변형한다.In particular, the pressing plate 38a is a kind of leaf spring fixedly sewn to the sunshade film 30, and as shown in FIG. 12, the first deformation position S facing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fixing pin 38b, As shown in FIG. 13, elastic deformation is performed between the second deformation positions T facing the fixing pins 38b.

이러한 고정클립(37)은, 압착판(38a)을 제 1변형위치(S)로 변형시킨 다음,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핀(38b)을 모자(A)의 본체부분(A2) 둘레에 꽂아서 고정시킨다. 그리고 나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착판(38a)을 제 2변형위치(T)로 뒤집어 변형시켜 고정핀(38b)을 향해 탄성변형시키면, 상기 압착판(38a)은, 모자(A)의 본체부분(A2)을 고정핀(38b)에 압착시킨다. The fixing clip 37 deforms the pressing plate 38a to the first deformation position S, and then, as shown in FIG. 12, the fixing pin 38b is attached to the main body portion A2 of the cap A. FIG. Secure it by plugging it around. Then, as shown in FIG. 13, when the pressing plate 38a is inverted and deformed to the second deformation position T, the elastic plate 38a is elastically deformed toward the fixing pin 38b. ) The main body portion (A2) to the fixing pin (38b).

따라서, 고정핀(38b)과 모자(A)의 본체부분(A2)이 일체로 고정될 수 있게 한다. 이로써, 고정핀(38b)과 연결된 차양막(30)이 모자(A)의 본체부분(A2)에 일체로 고정될 수 있게 한다. 그 결과, 차양막(30)의 연장부분이 모자(A)에 고정적으로 연결되게 한다.Thus, the fixing pin 38b and the main body portion A2 of the cap A can be fixed integrally. As a result, the sunshade 30 connected to the fixing pin 38b may be integrally fixed to the main body portion A2 of the hat A. As a result, the extension portion of the sunscreen 30 is fixedly connected to the hat A.

그리고 좌,우측차양막(32, 34)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속끈(36)을 각각 갖추고 있다.The left and right sunscreens 32 and 34 are provided with the tie straps 36, respectively, as shown in Figs.

양쪽의 결속끈(36)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목 뒤로 감은 후, 서로 묶을 수 있도록 구성되며, 이렇게 구성된 결속끈(36)은 차양막(30)의 아랫부분을 착용자의 목부분에 고정시킬 수 있게 한다. As shown in FIG. 4, the two straps 36 are wound to the back of the neck and then tied to each other, and the tie straps 36 thus configured are connected to the neck of the wearer 30. To be fixed.

따라서, 차양막(30)의 유동을 방지한다. 특히, 차양막(30)이 바람에 휘날리면서 펄럭이는 것을 방지한다.Therefore, the flow of the shading film 30 is prevented. In particular, the sunscreen 30 is prevented from fluttering in the wind.

다시,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마스크는, 프레임(1)의 위치를 상,하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는 상,하방향 위치조절수단을 구비한다.Again, referring to Figures 1 to 6, the mask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and lower position adjustment means that can adjust the position of the frame 1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상,하방향 위치조절수단은, 양쪽의 고정클램프(10)와 프레임(1)의 양단 사이에 설치되는 스위블 조인트(Swivel Joint)(40)들로 구성된다.The up and down position adjusting means is composed of swivel joints 40 installed between both fixed clamps 10 and both ends of the frame 1.

스위블 조인트(40)는, 도 5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쪽의 고정클램프(10)각각에 일체로 고정되는 고정몸체(42)와, 고정몸체(42)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프레임(1)에 고정되는 회전몸체(44)로 구성된다. 5 and 6, the swivel joint 40 is fixed to the fixed body (42) integrally fixed to each of the two fixed clamps (10), rotatably installed relative to the fixed body 42 It consists of a rotating body 44 fixed to the frame (1).

고정몸체(42)는, 별도의 컨넥터(42a)에 의해 고정클램프(10)에 설치되며, 이렇게 설치된 고정몸체(42)는, 고정클램프(10)와 일체로 구성된다.The fixed body 42 is provided to the fixed clamp 10 by a separate connector 42a, and the fixed body 42 thus provided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fixed clamp 10.

회전몸체(44)는, 프레임(1)의 지지로드부(3)에 고정되며, 이렇게 고정된 회전몸체(44)는 고정몸체(42)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특히, 회전중심축(44a)을 중심으로 상,하 방향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The rotating body 44 is fixed to the support rod portion 3 of the frame 1, the fixed rotating body 44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fixed body 42. In particular, it is installed so as to be rotated up and down about the rotation center axis 44a.

이러한 회전몸체(44)는, 고정몸체(42)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므로, 일체로 연결된 프레임(1)이 고정클램프(10)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회전운동할 수 있게 한다. Since the rotating body 44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fixed body 42, the frame 1 integrally connected to the rotating body 44 can rotate upward and downward with respect to the fixed clamp 10.

이로써,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과, 프레임(1)에 설치된 차양막(30)이 모자(A)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위치조절될 수 있게 한다. 그 결과, 마스크 착용자로 하여금 자신의 얼굴윤곽에 맞게 마스크의 상,하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한다.As a result, as shown in FIG. 4, the frame 1 and the sunscreen 30 provided in the frame 1 can be positioned in the up and down directions with respect to the hat A. As shown in FIG. As a result, the mask wearer can adjust the upper and lower positions of the mask according to the contour of his face.

한편, 회전몸체(44)는, 고정몸체(42)에 대해 상,하 회전위치가 조절된 후, 별도의 록킹장치(45)(도 5, 도 6참조)에 의해 고정된다.On the other hand, the rotation body 44 is fixed by a separate locking device 45 (see Figs. 5 and 6) after the upper and lower rotational position is adjusted relative to the fixed body 42.

록킹장치(45)는, 고정몸체(42)에 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록킹노브(46)와, 록킹노브(46)에 일체로 형성되는 록킹핀(47)과, 록킹노브(46)의 록킹핀(47)이 끼워져 록킹될 수 있도록 회전몸체(44)에 형성되는 다수의 록킹홈(48)들을 포함한다.The locking device 45 includes a locking knob 46 movably mounted to the fixed body 42, a locking pin 47 integrally formed with the locking knob 46, and a locking pin of the locking knob 46. It includes a plurality of locking grooves 48 formed in the rotary body 44 so that the 47 can be inserted and locked.

록킹노브(46)는, 고정몸체(42)에 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특히, 고정몸체(42)의 반경방향 외측을 향하는 록킹해제위치(X)와, 반경방향 내측을 향하는 록킹위치(Y) 사이에서 직선운동한다.The locking knob 46 is installed on the fixed body 42 so as to be movable. In particular, the linear movement is performed between the unlocking position X toward the radially outer side of the fixed body 42 and the locking position Y towards the radially inner side.

이렇게 구성된 록킹노브(46)는, 록킹해제위치(X)와 록킹위치(Y) 사이에서 직선운동하면서 상기 회전몸체(44)에 대해 운동한다. 특히, 록킹해제위치(X)에서는 회전몸체(44)로부터 이격되며, 록킹위치(Y)에서는 회전몸체(44)에 근접한다. The locking knob 46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moves with respect to the rotating body 44 while linearly moving between the unlocking position X and the locking position Y. FIG. In particular, it is spaced apart from the rotating body 44 in the unlocking position (X), and close to the rotating body 44 in the locking position (Y).

여기서, 록킹노브(46)는, 더브테일(Dovetail)(46a)이 형성되어 있으며, 고정몸체(42)에는 록킹노브(46)의 더브테일(46a)이 슬라이딩가능하게 끼워질 수 있는 더브테일홈(46b)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더브테일(46a)과 더브테일홈(46b)은, 록킹노브(46)의 직선운동을 가이드 한다. Here, the locking knob 46, a dovetail (Dovetail) (46a) is formed, the fixed body 42, the dovetail groove that can be slidably fitted the dovetail (46a) of the locking knob 46 46b is formed. These dovetail 46a and dovetail groove 46b guide the linear motion of the locking knob 46.

록킹핀(47)은, 록킹노브(46)의 내측면으로부터 회전몸체(44)를 향해 돌출되며, 이렇게 돌출된 록킹핀(47)은, 록킹노브(46)와 함께 회전몸체(44)에 대해 직선운동한다.The locking pin 47 protrudes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locking knob 46 toward the rotary body 44, and the locking pin 47 protrudes with respect to the rotary body 44 together with the locking knob 46. Linear movement.

특히, 록킹노브(46)가 록킹해제위치(X)로 운동할 경우에는, 회전몸체(44)로부터 이격되고, 록킹노브(46)가 록킹위치(Y)로 운동할 경우에는, 회전몸체(44)에 근접하면서 상기 회전몸체(44)의 둘레부분에 간격을 두고 형성된 다수의 록킹홈(48) 중 어느 하나에 끼워져 록킹된다.In particular, when the locking knob 46 moves to the unlocking position X, it is spaced apart from the rotating body 44, and when the locking knob 46 moves to the locking position Y, the rotating body 44 The lock is inserted into any one of the plurality of locking grooves 48 formed at intervals on the circumferential portion of the rotating body 44 while being close to).

이렇게, 회전몸체(44)의 록킹홈(48)에 끼워져 록킹된 록킹핀(47)은, 록킹노브(46)와 회전몸체(44)를 서로 록킹시키고, 이로써, 고정몸체(42)와 회전몸체(44)를 서로 록킹시킨다.Thus, the locking pin 47 fitted into the locking groove 48 of the rotating body 44 locks the locking knob 46 and the rotating body 44 to each other, whereby the fixed body 42 and the rotating body are locked. Lock (44) to each other.

따라서, 상,하방향으로 회전위치가 조절된 회전몸체(44)를 위치 고정시킨다. 이로써, 회전몸체(44)와 연결된 프레임(1)의 상,하 위치도 고정시킨다. 그 결과, 프레임(1)에 설치된 차양막(30)의 상,하 위치도 고정될 수 있게 한다.Therefore, the fixed position of the rotating body 44 is rotated in the up, down direction. As a result, the upper and lower positions of the frame 1 connected to the rotating body 44 are also fixed. As a result, the upper and lower positions of the sunscreen 30 provided in the frame 1 can be fixed.

한편, 록킹노브(46)는, 사용자가 록킹위치(Y)에서 록킹해제위치(X)로 잡아당기면, 반경방향 외측으로 운동하면서 회전몸체(44)로부터 이격되고, 록킹노브(46)가 회전몸체(44)로부터 이격되면, 록킹노브(46)의 록킹핀(47)도 회전몸체(44)로부터 이격되면서 록킹홈(48)으로부터 이탈되며, 록킹홈(48)으로부터 이탈된 록킹핀(47)은, 회전몸체(44)의 회전운동을 허용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user pulls the locking knob 46 from the locking position Y to the unlocking position X, the locking knob 46 is spaced apart from the rotating body 44 while moving radially outward, and the locking knob 46 is the rotating body. When it is spaced apart from the 44, the locking pin 47 of the locking knob 46 is also separated from the locking groove 48 while being spaced apart from the rotating body 44, the locking pin 47 is separated from the locking groove 48 , Allows rotational movement of the rotating body (44).

따라서, 회전몸체(44)와, 이에 설치된 프레임(1)의 상,하방향 위치조절이 가능하다. 이로써, 프레임(1)에 설치된 차양막(30)의 상,하방향 위치 조절도 가능하다. 그 결과, 마스크 착용자로 하여금 자신의 얼굴윤곽에 맞게 차양막(30)의 상,하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한다.Therefore,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upper and lower positions of the rotating body 44 and the frame 1 installed therein. Thereby, up and down position adjustment of the awning film 30 provided in the frame 1 is also possible. As a result, the mask wearer can adjust the upper and lower positions of the sunshade 30 according to the contour of his face.

한편, 록킹장치(45)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록킹노브(46)를 록킹위치(Y)와 록킹해제위치(X)에서 위치 제한하는 디텐트 장치(49)를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the locking device 45 includes a detent device 49 for limiting the locking knob 46 at the locking position Y and the unlocking position X, as shown in FIG.

디텐트 장치(49)는, 록킹노브(46)의 일부분에 일체로 형성되는 걸림돌기(49a)와, 록킹위치(Y)로 이동한 걸림돌기(49a)가 걸릴 수 있도록 회전몸체(44)에 형성되는 제 1걸림부(49b)와, 록킹해제위치(X)로 이동한 걸림돌기(49a)가 걸릴 수 있도록 회전몸체(44)에 형성되는 제 2걸림부(49c)로 구성된다.The detent device 49 includes a locking protrusion 49a formed integrally with a part of the locking knob 46 and a rotating body 44 to catch the locking protrusion 49a moved to the locking position Y. The first locking portion 49b is formed, and the second locking portion 49c is formed on the rotating body 44 so that the locking protrusion 49a moved to the unlocking position X can be caught.

제 1걸림부(49b)는, 록킹위치(Y)로 이동한 록킹노브(46)의 걸림돌기(49a)가 걸리는 구조이므로, 록킹위치(Y)로 이동한 록킹노브(46)의 위치를 제한한다. 따라서, 록킹위치(Y)로 이동한 록킹노브(46)가 임의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한다.Since the first locking portion 49b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locking protrusion 49a of the locking knob 46 moved to the locking position Y is locked, the position of the locking knob 46 moved to the locking position Y is limited. do. Therefore, the locking knob 46 moved to the locking position Y is restricted from moving arbitrarily.

제 2걸림부(49c)는, 록킹해제위치(X)로 이동한 록킹노브(46)의 걸림돌기(49a)가 걸리는 구조이므로, 록킹해제위치(X)로 이동한 록킹노브(46)의 위치를 제한한다. 따라서, 록킹해제위치(X)로 이동한 록킹노브(46)가 임의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한다.Since the second locking portion 49c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locking protrusion 49a of the locking knob 46 moved to the unlocking position X is engaged, the position of the locking knob 46 moved to the unlocking position X is obtained. Restrict Therefore, the locking knob 46 moved to the unlocking position X is restricted from moving arbitrarily.

다음으로, 도 14 내지 도 17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을 나타내는 도면들이 도시되어 있다.Next, FIGS. 14 to 17 are views showing oth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4와 도 15의 다른 실시예는, 프레임(1)에 착탈가능한 차양막 지지부재(50)를 더 구비한다. 14 and 15 further includes a sunscreen support member 50 detachable from the frame 1.

차양막 지지부재(50)는, 둘레의 지지살(52)과, 내측의 메쉬(Mesh)망(54) 및, 지지살(52)에 설치되는 착탈클립(56)으로 구성된다.The sun visor film supporting member 50 is composed of a circumferential support body 52, an inner mesh network 54, and a detachable clip 56 provided on the support body 52.

특히, 착탈클립(56)은, 프레임(1)에 착탈가능하게 걸어지는 것으로, 차양막 지지부재(50)를 프레임(1)에 착탈가능하게 고정시킨다.In particular, the detachable clip 56 is detachably hooked to the frame 1 to secure the sunscreen support member 50 to the frame 1.

이러한 차양막 지지부재(50)는, 프레임(1)에 설치된 상태에서, 차양막(30)의 뒷면을 지지한다. 따라서, 차양막(30)이 마스크 착용자의 얼굴부분으로 휘날리면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특히, 전방의 바람에 의해 착용자의 얼굴부분으로 휘날리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차양막(30)이 착용자의 얼굴부분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한다.The awning film support member 50 supports the rear surface of the awning film 30 in a state where it is installed in the frame 1. Therefore, the sunscreen 30 is prevented from being moved while flying to the face portion of the mask wearer. In particular, it prevents the front wind from flying to the wearer's face. Thus, the sunscreen 30 is prevented from contacting the face portion of the wearer.

이러한 차양막 지지부재(50)는, 본 발명의 마스크를 착용하고, 자전거 또는 오토바이를 탈 때 매우 유용하게 사용된다.The sunshade support member 50 is very useful when wearing a mask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riding a bicycle or a motorcycle.

도 16과 도 17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고정클램프(10)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16 and 17 show another embodiment of the fixed clamp 10 constituting the present invention.

다른 실시예의 고정클램프(10)는, 햇(Hat) 형태의 모자(A)의 챙(A1)부분에 고정되는 것으로, 프레임(1)의 양쪽 지지로드부(3)에 설치되는 몸체(16)와, 몸체(16)의 상측부분에 설치되는 고정핀(17)과, 고정핀(17)을 클램핑할 수 있는 클램핑캡(18)을 구비한다.The fixing clamp 10 of another embodiment is fixed to the visor A1 of the hat A having a hat shape, and the body 16 is installed on both supporting rods 3 of the frame 1. And a fixing pin 17 install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body 16 and a clamping cap 18 capable of clamping the fixing pin 17.

몸체(16)는, 지지로드부(3)에 설치된 스위블 조인트(40)에 고정적으로 설치된다.The body 16 is fixedly attached to the swivel joint 40 provided in the support rod part 3.

고정핀(17)은, 몸체(16)로부터 상측방향으로 돌출되며, 이렇게 돌출된 고정핀(17)은, 모자(A)의 챙(A1)부분을 관통하도록 구성된다. 특히, 챙(A1)부분의 상면으로 돌출되도록 관통된다.The fixing pin 17 protrudes upward from the body 16, and the fixing pin 17 protruding in this way is configured to penetrate the visor A1 of the hat A. In particular, it penetrates to protrude to the upper surface of the visor (A1) portion.

클램핑캡(18)은, 챙(A1)부분의 상면으로 돌출된 고정핀(17)을 클램핑하도록 구성되며, 이렇게 클램핑한 클램핑캡(18)은 고정핀(17)을 모자(A)의 챙(A1)부분에 고정시키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양쪽의 지지로드부(3)를 햇 형태의 모자(A)의 챙(A1)부분에 고정시킨다. 이로써, 본 발명의 마스크를 모자(A)에 고정시킨다.The clamping cap 18 is configured to clamp the fixing pin 17 protruding to the upper surface of the visor (A1) portion, the clamping cap 18 is clamped so that the fixing pin (17) of the cap (A) visor ( A1) is configured to be fixed to the part. Therefore, both the support rods 3 are fixed to the visor A1 of the hat A of the hat shape. Thereby, the mask of this invention is fixed to the hat A. FIG.

한편, 클램핑캡(18)은, 클램핑한 고정핀(17)을 록킹시킬 수 있는 별도의 록킹장치(19)을 구비한다. On the other hand, the clamping cap 18 is provided with a separate locking device 19 that can lock the clamping fixing pin 17.

록킹장치(19)는,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램핑캡(18)에 설치되는 록킹노브(19a)와, 록킹노브(19a)에 설치되는 록킹핀(19b)을 포함한다.As shown in FIG. 17, the locking device 19 includes a locking knob 19a installed in the clamping cap 18 and a locking pin 19b installed in the locking knob 19a.

록킹노브(19a)는, 클램핑캡(18)을 관통하도록 구성되며, 이렇게 구성된 록킹노브(19a)는, 일측부분과 타측부분이 클램핑캡(18)의 양측으로 각각 돌출되게 구성된다. The locking knob 19a is configured to penetrate the clamping cap 18, and the locking knob 19a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configured such that one side portion and the other portion protrude to both sides of the clamping cap 18.

일측과 타측이 클램핑캡(18)의 양측으로 각각 돌출된 록킹노브(19a)는, 사용자가 일측부분과 타측부분을 각각 번갈아가면서 누르면, 록킹위치(E)와 해제위치(F) 사이에서 운동한다.The locking knob 19a, which one side and the other side protrude to both sides of the clamping cap 18, is pressed between the locking position E and the release position F by the user pressing the one side and the other side alternately. .

록킹핀(19b)은, 클램핑캡(18)에 클램핑된 고정핀(17)의 록킹구멍(19c)에 끼워져 록킹될 수 있게 구성된다.The locking pin 19b is configured to be locked by being fitted into the locking hole 19c of the fixing pin 17 clamped to the clamping cap 18.

특히, 록킹노브(19a)가, 해제위치(F)에서 록킹위치(E)로 운동하면, 고정핀(17)의 록킹구멍(19c)에 끼워져 록킹된다. 따라서, 고정핀(17)을 클램핑캡(18)에 록킹시킨다.In particular, when the locking knob 19a moves from the release position F to the locking position E, the locking knob 19a is fitted into the locking hole 19c of the fixing pin 17 to be locked. Thus, the fixing pin 17 is locked to the clamping cap 18.

반대로, 록킹노브(19a)가, 록킹위치(E)에서 해제위치(F)로 운동하면, 고정핀(17)의 록킹구멍(19c)으로부터 이탈된다. 따라서, 고정핀(17)을 클램핑캡(18)으로부터 해제시킨다. On the contrary, when the locking knob 19a moves from the locking position E to the release position F, the locking knob 19a is released from the locking hole 19c of the fixing pin 17. Thus, the fixing pin 17 is released from the clamping cap 18.

도 17과 도 18에는, 차양막(30)을 모자(A)의 챙(A1)부분에 고정하는 고정클립(37)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17 and 18, another embodiment of a fixing clip 37 for fixing the sunscreen 30 to the visor A1 portion of the hat A is shown.

다른 실시예의 고정클립(37)은, 차양막(30)에 고정되는 몸체부(39a)와, 모자(A)의 챙(A1)부분에 꿰어서 고정시킬 수 있는 후크부(39b)와, 후크부(39b)의 끝부분을 개방하거나 또는 폐쇄시킬 수 있도록 몸체부(39a)에 설치되는 로커부(Locker)(39c)를 구비한다.The fixing clip 37 of another embodiment includes a body portion 39a fixed to the sunshade 30, a hook portion 39b which can be fixed to the visor A1 of the hat A, and a hook portion. A locker (39c) is provided on the body (39a) to open or close the end of the (39b).

후크부(39b)는, 몸체부(39a)로부터 연장되며, 이렇게 연장된 후크부(39b)는 모자(A)의 챙(A1)부분에 꿰어지면서 고정된다. 따라서, 몸체부(39a)에 연결된 차양막(30)을 모자(A)의 챙(A1)부분에 고정시킨다.The hook portion 39b extends from the body portion 39a, and the hook portion 39b thus extended is fixed to the visor A1 of the hat A. Therefore, the sunshade 30 connected to the body portion 39a is fixed to the visor A1 of the hat A.

로커부(39c)는, 몸체부(39a)에 탄성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특히, 복원위치(U)와 가압위치(V) 사이에서 탄성운동가능하게 설치되는데, 이때, 복원위치(U)에서는 후크부(39b)의 끝부분을 폐쇄하고, 가압위치(V)에서는 후크부(39b)의 끝부분을 개방한다.The rocker portion 39c is installed on the body portion 39a so as to be elastically movable. In particular, elastically installed between the restoring position (U) and the pressing position (V), at this time, the end of the hook portion (39b) in the restoring position (U), the hook portion in the pressing position (V) Open the end of 39b.

이러한 고정클립(37)은, 사용자가 로커부(39c)를 가압위치(V)로 가압하여 후크부(39b)의 끝부분을 개방한 다음, 개방된 후크부(39b)의 끝부분을 모자(A)의 챙(A1)에 꿰어서 고정시킨다. 따라서, 고정클립(37)과 연결된 차양막(30)을 모자(A)의 챙(A1)부분에 고정시킬 수 있게 한다.The fixing clip 37, the user presses the rocker portion 39c to the pressing position (V) to open the end of the hook portion 39b, and then cap the end of the open hook portion 39b ( Thread it to the visor (A1) of A) and fix it. Therefore, the sunshade 30 connected to the fixing clip 37 to be fixed to the visor (A1) portion of the hat (A).

이러한 고정클립(37)은, 한줄로 구성된 탄성재질의 와이어를 기계적으로 꼬거나 변형시켜서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fixing clip 37 is preferably manufactured by mechanically twisting or deforming a wire made of a single elastic material.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면, 착용자의 얼굴부분으로부터 이격되는 구조이므로, 자외선 차단효율이 좋으면서 얼굴부분과의 접촉문제와 얼굴부분의 통풍성을 현저하게 개선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since the structure is spaced apart from the face part of the wearer, it is possible to remarkably improve the problem of contact with the face part and air permeability of the face part with good UV blocking efficiency.

또한, 본 발명의 마스크는, 필요에 따라 전,후방향과 상,하방향으로 위치조절할 수 있는 구조이므로, 착용자 자신의 얼굴윤곽과 눈의 위치에 맞춰 위치조절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mask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ructure can be adjusted in the front, rear and up, down direction, if necessary, it can be adjusted in accordance with the position of the wearer's own face contour and eyes.

또한, 자신의 얼굴윤곽과 눈의 위치에 맞춰 위치조절할 수 있으므로, 사각지대가 발생하지 않고, 보다 넓은 전방 시야를 확보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position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his face and the eye, blind spots do not occur, it is possible to secure a wider forward field of view.

또한, 자신의 얼굴윤곽과 눈의 위치에 맞춰 위치조절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을 최대한 향상시킨다.In addition, the position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his face contour and eyes, thereby improving the user's convenience as much as possible.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by way of exampl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only to such specific embodiments, but may be appropriately changed within the scope described in the claims.

1: 프레임(Frame) 3: 지지로드부
5: 연결로드부 6: 좌측로드부
6a: 좌측로드부의 선단부 6b: 좌측로드부의 말단부
6c: 경사피봇축 7: 우측로드부
7a: 우측로드부의 선단부 7b: 우측로드부의 말단부
7c: 경사피봇축 10: 고정클램프(Clamp)
12: 몸체 14: 죠(Jaw)
15: 클램프 노브(Clamp Knob) 16: 몸체
17: 고정핀 18: 클램핑캡(Clamping Cap)
20: 고정장치 22: 버튼(Button)
22a: 회전축 24: 걸림후크(Hook)
26: 걸림구멍 30: 차양막
32: 좌측차양막 34: 우측차양막
35: 차양막의 연장부분 37: 고정클립(Clip)
38a: 압착판 38b: 고정핀(Pin)
39a: 몸체부 39b: 후크부
39c: 로커(Locker)부 40: 스위블 조인트(Swivel Joint)
42: 고정몸체 44: 회전몸체
45: 록킹장치 46: 록킹노브(Locking Knob)
47: 록킹핀(Locking Pin) 48: 록킹홈
50: 차양막 지지부재
1: Frame 3: Support Rod
5: connecting rod part 6: left rod part
6a: distal end of the left rod 6b: distal end of the left rod
6c: inclined pivot shaft 7: right rod part
7a: distal end of right rod part 7b: distal end of right rod part
7c: inclined pivot shaft 10: fixed clamp
12: Body 14: Jaw
15: Clamp Knob 16: Body
17: fixing pin 18: clamping cap
20: Fixture 22: Button
22a: rotating shaft 24: hook
26: Hanging Hole 30: Shades
32: left awning 34: right awning
35: extension part of the sunshade 37: fixing clip (Clip)
38a: Crimping Plate 38b: Fixing Pin
39a: body portion 39b: hook portion
39c: locker part 40: swivel joint
42: fixed body 44: rotating body
45: locking device 46: locking knob (Locking Knob)
47: Locking Pin 48: Locking Groove
50: sunshade support member

Claims (11)

삭제delete 삭제delete 모자(A)의 챙(A1) 양쪽부분에 착탈가능하게 클램핑되는 한 쌍의 고정클램프(10)들과;
양단이 상기 고정클램프(10)에 고정되며, 모자(A) 착용자의 얼굴부분을 가로지르도록 배열되는 프레임(1)과;
상기 모자(A) 착용자의 얼굴부분을 가릴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1)으로부터 하방으로 길게 연장되는 차양막(30)과;
상기 차양막(30)의 위치를 상기 모자(A) 착용자의 얼굴부분에 대해 전,후 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는 전,후방향 조절수단과;
상기 차양막(30)의 위치를 상기 모자(A) 착용자의 얼굴부분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는 상,하방향 조절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모자(A) 착용자의 얼굴부분을 차단하도록 상기 모자(A)에 착탈가능한 착탈식 기능성 마스크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은,
상기 양쪽의 각 고정클램프(10)로부터 상기 모자(A) 착용자의 전방측을 향해 연장되는 양쪽의 지지로드부(3)들과;
상기 모자(A) 착용자의 얼굴부분을 가로지르도록, 상기 지지로드부(3)들의 말단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로드부(5)로 구성되고,
상기 전,후방향 조절수단은,
양단이 상기 프레임(1)의 양쪽 지지로드부(3) 각각에 텔레스코픽(Telescopic) 형태로 끼워져 조립되는 상기 연결로드부(5)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로드부(5)는, 상기 양쪽의 지지로드부(3)에 대해 신장 및 수축운동하면서 상기 차양막(30)을 모자(A) 착용자의 얼굴부분에 대해 전,후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기능성 마스크.
A pair of fixed clamps 10 detachably clamped on both sides of the visor A1 of the hat A;
A frame 1 fixed at both ends to the fixing clamp 10 and arranged to cross the face portion of the hat A wearer;
A sunshade 30 extending downward from the frame 1 so as to cover the face portion of the hat A wearer;
Front and rear adjustment means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sunscreen 30 in the front, rear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face portion of the hat (A) wearer;
It comprises a top and bottom adjustment means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sunshade 30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face portion of the hat (A) wearer,
In the removable functional mask detachable to the hat (A) to block the face portion of the wearer of the hat (A),
The frame 1,
Both support rods (3) extending from the fixing clamps (10) on both sides toward the front side of the wearer of the hat (A);
Consists of the connecting rod portion 5 for connecting the ends of the support rods 3 so as to cross the face portion of the hat (A) wearer,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adjusting means,
Both ends include the connecting rods 5 which are fitted to each of the supporting rods 3 of the frame 1 in a telescopic form, and are assembled.
The connecting rod portion 5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ront and rear movement of the sunshade 30 with respect to the face of the wearer of the hat (A) while extending and contracting the movement of the support rods (3) on both sides. Removable functional mask.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방향 조절수단은,
상기 고정클램프(10)들과 상기 프레임(1)의 양단 사이에 설치되는 스위블 조인트(Swivel Joint)(40)들을 포함하며, 상기 스위블 조인트(40)는,
상기 고정클램프(10) 각각에 일체로 고정되는 고정몸체(42)들과, 상기 프레임(1)의 양단에 각각 고정되며 상기 고정몸체(42)에 상,하 방향 회전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몸체(44) 및, 상기 고정몸체(42)에 대해 상,하 방향 위치 조절된 상기 회전몸체(44)를 록킹시키는 록킹장치(45)를 포함하며,
상기 각 회전몸체(44)는, 상기 양쪽의 고정몸체(42)에 대해 상,하방향 회전운동하면서 상기 차양막(30)을 모자(A) 착용자의 얼굴부분에 대해 상,하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기능성 마스크.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up and down direction adjusting means,
Swivel joints 40 are installed between the fixed clamps 10 and both ends of the frame 1, and the swivel joint 40 includes:
Fixed bodies 42 integrally fixed to each of the fixing clamps 10, and rotating bodies fixed to both ends of the frame 1 and installed on the fixing body 42 so as to be rotatable in an upward and downward direction. (44), and a locking device 45 for locking the rotating body 44 is positioned up and down relative to the fixed body 42,
Each of the rotating body 44, while the up and down rotational movement with respect to both of the fixed body 42, the sunshade 30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up and down movement with respect to the face portion of the hat (A) wearer Removable functional mask to say.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의 연결로드부(5)는,
중간부분을 기준으로 좌측로드부(6)와 우측로드부(7)로 나눠지되, 상기 좌,우측로드부(6, 7)의 말단부(6b, 7b)는 선단부(6a, 7a)에 대해 경사피봇축(6c, 7c)을 중심으로 모자(A) 착용자의 상측부분으로 스윙운동가능하며,
상기 차양막(30)은, 상기 좌,우측로드부(6, 7)에 각각 대응되게 좌측차양막(32)과 우측차양막(34)으로 나눠지며, 상기 좌,우측차양막(32, 34)은 상기 좌,우측로드부(6, 7)를 상방으로 스윙운동시켰을 시, 이에 대응하여 모자(A) 착용자의 얼굴부분으로부터 상방으로 걷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기능성 마스크.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connecting rod 5 of the frame 1,
It is divided into a left rod portion 6 and a right rod portion 7 based on the middle portion, and the distal portions 6b and 7b of the left and right rod portions 6 and 7 ar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tip portions 6a and 7a. It is possible to swing to the upper part of the hat (A) wearer around the pivot shaft (6c, 7c),
The awning film 30 is divided into a left awning film 32 and a right awning film 34 so as to correspond to the left and right rod parts 6 and 7, respectively, and the left and right awning films 32 and 34 are formed on the left side. , When the right-side rod portion (6, 7) swings upward, the functional mask according to claim 1, which walks upward from the face of the wearer of the hat (A).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차양막(30)은,
상기 모자(A) 착용자의 목부분을 차단할 수 있도록 후방으로 길게 연장되며,
후방으로 연장된 상기 차양막(30)은 고정클립(37)에 의해 상기 모자(A)의 일부분에 간격을 두고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기능성 마스크.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sunshade 30 is,
The hat (A) is extended to the rear long to block the wearer's neck,
Removable functional mask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unscreen (30) extending to the rear is fixed at a portion of the cap (A) by a fixed clip (3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클립(37)은,
상기 차양막(30)에 고정되는 탄성재질의 압착판(38a)과, 상기 모자(A)의 일부분에 꽂아서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압착판(38a)에 일체로 설치되는 고정핀(38b)을 포함하며,
상기 압착판(38a)은, 고정핀(38b) 반대방향의 제 1변형위치(S)와, 고정핀(38b) 방향의 제 2변형위치(T) 사이에서 탄성변형하며, 제 1변형위치(S)에서 제 2변형위치(T)로 탄성변형되면서 상기 모자(A)의 일부분에 꽂아진 고정핀(38b)을 상기 모자(A)부분으로 압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기능성 마스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fixing clip 37,
An elastic pressing plate 38a fixed to the awning film 30 and a fixing pin 38b integrally installed on the pressing plate 38a to be fixed by being inserted into a portion of the hat A. ,
The pressing plate 38a is elastically deformed between the first deformation position S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fixing pin 38b and the second deformation position T in the direction of the fixing pin 38b, and the first deformation position ( Removable functional mask, characterized in that the elastically deformed in the second deformation position (T) in the S) and the fixing pin (38b) inserted into a portion of the cap (A) to the cap (A) portion.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클립(37)은,
상기 차양막(30)에 고정되는 몸체부(39a)와, 상기 모자(A)의 일부분에 꿰어서 고정시킬 수 있는 후크부(39b)와, 상기 후크부(39b)에 꿰어진 상기 모자(A)의 일부분이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후크부(39b)의 끝부분을 개방하거나 폐쇄시키는 로커부(Locker)(39c)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기능성 마스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fixing clip 37,
Body portion 39a fixed to the awning film 30, hook portion 39b which can be fixed by sewing on a portion of the hat A, and the hat A sewed on the hook portion 39b. And a locker (39c) for opening or closing the end of the hook portion (39b) so that a part of the portion is not detached.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클램프(10)는,
몸체(12)와, 상기 모자(A)의 챙(A1)부분 가장자리를 물어서 죌 수 있도록 상기 몸체(12)에 설치되는 한 쌍의 죠(Jaw)(14)와, 상기 몸체(12)에 힌지결합되며 사용자가 힌지축(15a)을 중심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죠(14)들 중 어느 하나를 다른 하나에 압착하여 죄어주는 클램프 노브(1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기능성 마스크.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fixing clamp 10,
A body 12, a pair of jaws 14 installed on the body 12 so as to bite the edge of the visor A1 of the hat A, and a hinge to the body 12. And a clamp knob (15) coupled and clamping one of the jaws (14) to the other as the user rotates about the hinge axis (15a).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클램프(10)는,
몸체(16)와, 모자(A)의 챙(A1)부분을 하부에서 상부로 관통하도록 상기 몸체(16)로부터 돌출되는 고정핀(17)과, 챙(A1)부분의 상면으로 돌출된 상기 고정핀(17)을 클램핑하는 클램핑캡(1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기능성 마스크.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fixing clamp 10,
Body 16, the fixing pin 17 protruding from the body 16 to penetrate the visor (A1) portion of the cap (A) from the top to the upper portion of the visor (A1) portion Removable functional mask,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lamping cap (18) for clamping the pin (17).
제 3항 내지 제 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차양막(30)의 뒷면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1)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메쉬형태의 차양막 지지부재(5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기능성 마스크.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3 to 10,
Removable functional mask,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mesh-shaped sunshade support member (50) detachably installed on the frame (1) to support the back of the sunshade (30).


KR1020120053457A 2012-05-21 2012-05-21 Detachable mask KR10124594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3457A KR101245940B1 (en) 2012-05-21 2012-05-21 Detachable mas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3457A KR101245940B1 (en) 2012-05-21 2012-05-21 Detachable mask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45940B1 true KR101245940B1 (en) 2013-03-22

Family

ID=481823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3457A KR101245940B1 (en) 2012-05-21 2012-05-21 Detachable mas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5940B1 (en)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41950A1 (en) * 2014-03-17 2015-09-24 최종주 Sunshade mask
CN108938193A (en) * 2018-10-12 2018-12-07 中国电建集团贵州工程有限公司 A kind of protective face mask
KR102173696B1 (en) * 2020-03-17 2020-11-03 이왕호 Face shield mask having prevention of corona virus infection
USD924395S1 (en) 2020-05-24 2021-07-06 Osun Labs, LLC Face mask retention clip for releasably fastening to apparel
WO2021195114A1 (en) * 2020-03-24 2021-09-30 Brown Ii Daniel Patrick Brim mounted face shields and methods of using same
US11278067B2 (en) 2020-03-24 2022-03-22 II Daniel Patrick Brown Brim mounted face shields and methods of using same
USD992236S1 (en) 2020-07-27 2023-07-18 New Era Cap, Llc Face covering cap clip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4341A (en) * 2003-12-23 2004-01-13 주식회사 쥬비랜드 Facial cover for cap
KR20080026709A (en) * 2006-09-21 2008-03-26 김성욱 Mask connected with cap
KR101026848B1 (en) 2010-03-30 2011-04-04 곽태식 Sunshade hat configured cover
KR20120025129A (en) * 2010-09-07 2012-03-15 심규성 Hygienic hat fixation type hygienic mask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4341A (en) * 2003-12-23 2004-01-13 주식회사 쥬비랜드 Facial cover for cap
KR20080026709A (en) * 2006-09-21 2008-03-26 김성욱 Mask connected with cap
KR101026848B1 (en) 2010-03-30 2011-04-04 곽태식 Sunshade hat configured cover
KR20120025129A (en) * 2010-09-07 2012-03-15 심규성 Hygienic hat fixation type hygienic mask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41950A1 (en) * 2014-03-17 2015-09-24 최종주 Sunshade mask
CN108938193A (en) * 2018-10-12 2018-12-07 中国电建集团贵州工程有限公司 A kind of protective face mask
CN108938193B (en) * 2018-10-12 2024-02-06 中国电建集团贵州工程有限公司 Protective mask
KR102173696B1 (en) * 2020-03-17 2020-11-03 이왕호 Face shield mask having prevention of corona virus infection
WO2021195114A1 (en) * 2020-03-24 2021-09-30 Brown Ii Daniel Patrick Brim mounted face shields and methods of using same
US11278067B2 (en) 2020-03-24 2022-03-22 II Daniel Patrick Brown Brim mounted face shields and methods of using same
USD924395S1 (en) 2020-05-24 2021-07-06 Osun Labs, LLC Face mask retention clip for releasably fastening to apparel
USD992236S1 (en) 2020-07-27 2023-07-18 New Era Cap, Llc Face covering cap clip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5940B1 (en) Detachable mask
JP3207233U (en) Close-adjustment type multifunctional hair wear
US10070673B2 (en) Protective skin shields system
KR200486464Y1 (en) Mask detachable hat
KR20090004298A (en) Portable sunscreen
KR200472982Y1 (en) A sunshade mask
KR200399101Y1 (en) Sunlight interception device which is used a cap
KR101163379B1 (en) An improved cap with the air permeability
KR200426425Y1 (en) Suncap with double visor
JP2020180416A (en) Sunburn-prevention cycling mask
JP7299661B2 (en) convertible hat
KR200363370Y1 (en) Frame separation type cap
KR200363377Y1 (en) A peaked cap
KR20120000506U (en) The cap where the curtain is formed
CN213881804U (en) Adjustable breathable sweater
KR20110011800U (en) A suncap to possible the size control
KR200231925Y1 (en) a cap visor control sweet smell
KR100956367B1 (en) A broad-brimmed cap
KR200395300Y1 (en) A Mask of Intercept in Ultraviolet Rays
KR20170016785A (en) Fastening adjustable hair-ware having multi-functions
KR200299411Y1 (en) Blind cap.
KR200424300Y1 (en) Clothes for sunlight interception
KR200213459Y1 (en) A hat with up and down right and left rotating visor
KR200360099Y1 (en) Connected cap to glasses frame
KR200286272Y1 (en) An auxiliary brim attachable to a hat or a ca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