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3799B1 - A pill box and a method for managing an administration of a medication - Google Patents

A pill box and a method for managing an administration of a medica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3799B1
KR101233799B1 KR1020100061016A KR20100061016A KR101233799B1 KR 101233799 B1 KR101233799 B1 KR 101233799B1 KR 1020100061016 A KR1020100061016 A KR 1020100061016A KR 20100061016 A KR20100061016 A KR 20100061016A KR 101233799 B1 KR101233799 B1 KR 1012337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dication
medicine
box
storage box
medicine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101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20000659A (en
Inventor
이원희
홍승범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610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3799B1/en
Priority to PCT/KR2010/005553 priority patent/WO2012002609A1/en
Publication of KR201200006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065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37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379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7/00Devices for administering medicines orally, e.g. spoons; Pill counting devices; 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 A61J7/04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 A61J7/0409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with timers
    • A61J7/0481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with timers working on a schedule basi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1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drugs or medications, e.g. for ensuring correct administration to patients
    • G16H20/13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drugs or medications, e.g. for ensuring correct administration to patients delivered from dispens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2200/00General characteristics or adaptations
    • A61J2200/30Compliance analysis for taking medic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약관리를 하는 약상자 및 이를 이용한 복약관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복용자에게 복약을 하도록 지시를 하거나 또는 복용자의 복약여부를 확인하는 약상자 및 이를 이용한 복약지도와 복약확인을 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약상자는 약상자의 기울기를 감지하여 감지된 기울기에 근거하여 복약여부를 확인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dicine box for medication management and a medication management method using the same. In detail,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dicine box for instructing the user to take the medicine or to confirm whether the medicine is taken, and a method for confirming the medicine and the medicine using the medicine. Here, the medicine box detects the tilt of the medicine box and checks whether the medicine is taken based on the detected tilt.

Description

약상자 및 약상자를 이용한 복약관리방법{A PILL BOX AND A METHOD FOR MANAGING AN ADMINISTRATION OF A MEDICATION} Medication box and medicine management method using medicine box {A PILL BOX AND A METHOD FOR MANAGING AN ADMINISTRATION OF A MEDICATION}

본 발명은 복약관리를 하는 약상자 및 이를 이용한 복약관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복약지도와 복약확인을 하는 약상자 및 이를 이용한 복약지도와 복약확인을 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dicine box for medication management and a medication management method using the same. In detail,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dicine box for medication guidance and medication confirmation, and a method for medication guidance and medication identification using the same.

약은 질병이나 부상, 기타 신체의 이상을 치료, 완화 및 예방하기 위해 생물에게 투여하는 물질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건강한 사람이라도 일년에 수 차례 약을 복용하게 마련이며, 특정 질환이 있는 사람의 경우에는 일생 동안 주기적으로 복약을 해야 하기도 한다. 이러한 약들은 각각 서로 다른 화학적 성분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약마다 인체 내에서 흡수 및 분해되는 작용과정이 달라 대부분 복약시간이 미리 정해져 있다. 따라서 올바른 투약효과를 위해서는 약의 성분과 목적 및 약효의 지속시간에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정해진 시간에 복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A medicine is a substance administered to a living organism to treat, alleviate, or prevent a disease, injury, or other physical condition. In general, even healthy people take the medicine several times a year, and people with certain diseases may need to take medicine periodically throughout their lives. Since these drugs are made of different chemical components, different drugs have different processes of absorption and decomposition in the human body, and most medication time is predetermined.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take at regular intervals according to the composition and purpose of the drug and the duration of the drug for the correct dosage effect.

일반적으로 약에 대한 처방전을 작성하는 의사나 약사는 투약시간에 대해 기상 후, 식전, 식후 및 취침 전 등으로 가능한 일반인들의 생활패턴에 맞춰 복약시간 및 방법 등에 대해 안내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이러한 복약지도는 의·약사들의 구두에 따라 설명되며 이후 복약과정에서 복용자의 기억과 주의에 전적으로 의존하는 것이므로 복용자 개개인이 주의를 기울이지 않는다면 복약스케줄에 따른 효과적인 복용을 기대하기 힘들다. 특히 분초를 다투는 현대인의 경우 바쁜 일상생활로 인하여 외출 시에 항상 약을 소지하여 정해진 시간에 올바로 복용하기란 그리 쉬운 일이 아니다. 더욱이 아동이나 노인의 경우에는 일반인에 비해 주의력이 약할 수 있어 별도의 복약관리가 없다면 실제로 정확한 시간에 복약스케줄에 따라 정기적으로 약을 복용하는데 어려움이 있을 뿐 아니라 복약여부를 기억하지 못해 약을 오·남용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도 있다.In general, a doctor or pharmacist who writes a prescription for a medicine provides information on medication time and methods in accordance with the life patterns of ordinary people, such as after waking up, before meals, after meals, and before bed. However, such medication guidance is explained according to oral medicine and pharmacists, and since it depends solely on the memory and attention of the patient during the medication process, it is difficult to expect effective medication according to the medication schedule unless the individual takes care of the medication. Particularly in the case of modern man struggling with minutes and minutes, it is not easy to take medicine correctly at the time when going out due to busy daily life. In addition, children and the elderly may be less alert than the general public, so if there is no separate medication management, it is difficult to take the medicine regularly according to the medication schedule at the exact time, and it is impossible to remember whether or not to take the medicine. Abuse may occur.

종래에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복약관리를 보조하는 별도의 기록지를 이용하여 왔다. 별도의 기록지란 복약 직후에 복약 사실을 하나하나 기록하는 노트나 메모 등이다. 그러나 이러한 기록지를 이용한 복약관리는 사람이 수기로 작성하는 것이어서 효율적인 관리가 이루어지기 힘들 수 있다. 복용자가 매번 복약 시마다 기록지에 복약사실을 수기로 기록하는 것은 누락이나 오기의 우려가 크며, 양로원이나 보육시설 등에서 간호인에게 기록하도록 하는 경우라도 모든 복약여부를 빠짐없이 기록하기란 현실적으로 곤란할 수 있다.Conventionally, a separate recording sheet for assisting medication management has been used to solve this problem. A separate record sheet is a note or memo that records the medication facts one by one immediately after the medication. However, medication management using such a recording sheet is written by a person by hand, so it may be difficult to efficiently manage the medication. It is very likely that the person taking the medication record on the record sheet every time they take the medication, there is a high risk of omission or coming, and even if the nursing home or nursery to be recorded to the caregiver, it may be practically difficult to record all the medication.

이에 대해 최근에는 정해진 시기에 복용해야 하는 약을 분류하여 수납해 놓는 약상자 등이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약상자는 기록지에 복약기록을 하는 것에 비해서는 복약순응도면에서 유리하지만 크기나 무게상 휴대하기 곤란하고 복약시기별로 약을 분류하는 작업이 요구되므로 번거로울 뿐 아니라 분류 시 실수로 약이 잘못 수납되는 문제가 생길 수 있다. 또한 복용자에게 복약시간을 알리기 위해서는 별도의 자명종 등을 이용해야 하므로 체계적인 복약관리를 위해서는 아직 미흡한 점이 많다.Recently, medicine boxes, etc., which classify and store medicines to be taken at a predetermined time have been used. These medicine boxes are advantageous in terms of compliance with medication records compared to recording medication records, but they are difficult to carry in size and weight, and are required to classify drugs by medication time. Can occur. In addition, in order to inform the taking time to take a separate alarm clock, such as to use a systematic dosing management is still insufficient in many points.

따라서, 사회가 발전하여 점차적으로 개인의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일반인은 물론 유아나 노인의 경우에도 올바른 복약을 위해 사용하기 간편하면서도 높은 복약순응도를 확보할 수 있도록 효과적인 복약지도 및 복약관리를 위한 약상자에 대한 필요성이 점차 커지고 있다.
Therefore, as the society develops and the interest in personal health gradually increases, effective medication guidance and medication management is easy to use for the correct medication and high medication compliance for the general public as well as infants and the elderly. There is a growing need for medicine boxes.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이하와 같다.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as follows.

본 발명의 일 과제는, 약을 효과적으로 복용하도록 하는 약상자를 제공하는 것이다.On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dicine box for effectively taking a medicine.

본 발명의 다른 과제는, 복약순응도가 향상되도록 하는 약상자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dicine box for improving medication compliance.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복약지도 및 복약확인을 하는 약상자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dicine box for medication guidance and medication confirma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건강관리서버 등과 연동하여 종합적인 복약관리를 하는 약상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dicine box for comprehensive medication management in conjunction with a health care server.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Technical problems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above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ould be.

본 발명은 이하와 같은 약상자를 제공함으로써 상술한 과제를 해결한다.The present invention solves the above problems by providing the following medicine box.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약상자는, 일측에 개구가 형성된 하우징, 내부에 약이 수용되는 보관함, 약상자의 기울기를 감지하는 기울기센서 및 약배출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어부는, 보관함이 개방된 때, 기울기센서가 감지한 기울기가 미리 정해진 범위 내인 경우 보관함으로부터 약이 배출되는 것으로 판단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dicine box includes a housing in which an opening is formed at one side, a storage box in which a medicine is received, a tilt sensor for detecting a tilt of the medicine box, and a controller for determining whether the medicine is discharged. Here, the control unit determines that the medicine is discharged from the storage box when the inclination sensed by the tilt sensor is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when the storage box is opened.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른 약상자는, 일측에 개구가 형성된 하우징, 내부에 약이 수용되는 보관함, 보관함의 개방여부를 감지하는 개방센서, 약상자의 기울기를 감지하는 기울기센서 및 약배출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어부는, 개방센서가 감지한 결과에 따라 보관함의 개방여부를 판단하고, 판단결과에 근거하여 보관함이 개방된 때, 기울기센서가 감지한 기울기가 미리 정해진 범위 내인 경우 보관함으로부터 약이 배출되는 것으로 판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dicine box, a housing having an opening formed on one side, a storage box for receiving medicine therein, an opening sensor for detecting whether the storage box is opened, a tilt sensor for detecting the inclination of the medicine box, and determining whether the medicine is discharged It includes a control unit. Herein, the control unit determines whether the storage box is opened according to the detection result of the opening sensor, and when the storage box is opened based on the determination result, the medicine is discharged from the storage box when the tilt detected by the tilt sensor is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I think that.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른 약상자는, 일측에 개구가 형성된 하우징, 내부에 약이 수용되는 보관함, 보관함의 개방여부를 감지하는 개방센서, 약상자의 기울기를 감지하는 기울기센서, 외부기기와 통신하는 통신부 및 약배출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어부는, 개방센서가 감지한 결과에 따라 보관함의 개방여부를 판단하고, 판단결과에 근거하여 보관함이 개방된 때, 기울기센서가 감지한 기울기가 미리 정해진 범위 내인 경우 보관함으로부터 약이 배출되는 것으로 판단하고, 통신부가 약배출여부에 대한 판단 결과를 송출하도록 제어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edicine box, a housing having an opening formed on one side, a storage box for receiving medicine therein, an opening sensor for detecting whether the storage box is opened, a tilt sensor for detecting the tilt of the medicine box, and communicating with an external device It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and a control unit for determining whether or not to discharge. Herein, the control unit determines whether the storage box is opened according to the detection result of the opening sensor, and when the storage box is opened based on the determination result, the medicine is discharged from the storage box when the tilt detected by the tilt sensor is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And the communication unit transmits the result of the determination on whether the medicine is discharged.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른 복약관리방법은, 내부에 약이 수용되는 보관함을 포함하는 약상자를 이용하되, 보관함이 개방되는 단계, 약상자의 기울기를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보관함이 개방된 때, 상기 기울기가 미리 정해진 범위 내인 경우, 상기 보관함에서 상기 약이 배출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Medication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using a medicine box including a storage box containing the medicine therein, the step of opening the storage box, the step of detecting the tilt of the medicine box and when the storage box is opened, If the slope is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determining that the drug is discharged from the storage box.

본 발명은 이하와 같은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본 발명에 의하면, 복용자가 복약관리에 따라 복약하도록 함으로써, 복용자의 복약순응도가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taking the medication according to the medication management, there is an effect that the medication compliance of the medication is improved.

본 발명에 의하면, 복약확인을 통해 복용자가 약물을 오 ·남용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effect of preventing the user from misusing drugs by taking the medication confirmation.

본 발명에 의하면, 약상자가 건강관리서버 등과 연동되므로 보다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복약관리가 이루질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medicine box is linked with the health care server, more systematic and comprehensive medication management can be achieved.

본 발명에 의하면, 올바른 복약관리를 통해 약 복용의 효과가 향상되므로, 복용자가 보다 건강한 삶을 영위할 수 있고, 사회적으로 불필요한 의료비용의 낭비를 줄일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effect of taking medicine is improved through proper medication management, the user can lead a healthier life and can reduce socially unnecessary waste of medical expense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복약관리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약상자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상자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상자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약상자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약상자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관함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관함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관함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관함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구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구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뚜껑의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약상자의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의 단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약지시방법에 관한 순서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남용방지방법에 관한 순서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울기센서에 관한 도면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방센서의 단면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방센서의 단면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방센서의 단면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약확인방법에 관한 순서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 medication tracker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of the medicine box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medicine bo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medicine bo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medicine box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medicine box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orage bo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orage box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orage box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torage box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open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perspective view of an opening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perspective view of a driv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perspective view of a li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 perspective view of a medicine box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driving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dicine-taking instruc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preventing misu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9 is a diagram of a tilt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0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opening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opening sens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opening sens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dication check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을 용이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의해 한정되지 아니한다.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re used to easi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terms used herein.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아니하고 수정 또는 변형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아니하는 수정 또는 변형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아니하는 수정예 또는 변형예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dified or modifi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t this time, modifications or variations that do not depart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modifications or varia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도면상 동일한 도면부호가 사용되고, 중복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For the same component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in the drawings, and redundant descriptions may be omitted.

본 발명은 이하에서 기재되는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아니한다.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Example described below.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복약관리시스템에 대하여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복약관리시스템의 구성도이다.Hereinafter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ure 1 for the medication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 is a block diagram of a medication tracker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복약관리시스템이란, 처방받은 약을 올바르게 복용할 수 있도록 복약을 관리하는 시스템이다. 이러한 복약관리는 효과적인 복약을 위한 복약지도 및 복약시기에 복약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복약확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복약지도는 복약스케줄에 따라 복약시기에 복약하도록 하는 복약지시 및 약을 오용 또는 남용하는 것을 방지하는 오·남용방지를 포함할 수 있다.Medication management system is a system for managing medications so that the prescribed medicine can be taken correctly. Such medication management may include medication guidance for effective medication and medication identification to confirm whether or not medication was taken at the time of medication. Here, the medication map may include medication instruction to take medication at the medication time according to the medication schedule and prevention of misuse and abuse to prevent misuse or abuse of medicine.

이러한 복약관리시스템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건강관리서버(10), 약상자(100) 및 이동통신단말기(20)를 포함할 수 있다. 건강관리서버(10)는 환자, 복용자 등의 피건강관리자의 건강을 관리하기 위한 정보를 수집, 관리 및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다. 이동통신단말기(20)는 건강을 관리하기 위한 정보를 건강관리서버(10) 또는 약상자(100)로 전송하거나 또는 이들로부터 전송받을 수 있다. 약상자(100)는 약을 보관할 수 있으며, 건강관리를 위한 정보를 이용하여 복약지도를 하거나 복약확인을 할 수 있다. Such a medication management system may include a health care server 10, a medicine box 100, and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 as shown in FIG. 1. The health care server 10 may be a server that collects, manages, and provides information for managing the health of a health manager such as a patient or a dose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 may transmit or receive information for managing health to or from the health care server 10 or the medicine box 100. The medicine box 100 may store the medicine and may use the information for health care to guide the medication or confirm the medication.

이러한 건강관리서버(10), 약상자(100) 및 이동통신단말기(20)는 서로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이러한 정보의 교환은 유무선통신망을 통한 통신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건강관리서버(10), 약상자(100) 및 이동통신단말기(20)는 이러한 정보교환 및 유무선통신을 통해, 복용자와 복용자의 건강관리자(health manager)를 보다 가깝게 이어주고 서로 정보를 공유하도록 함으로써 보다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복약관리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The health care server 10, the medicine box 100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 may exchange information with each other. The exchange of such information may be achieved through communication through a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t this time, the health care server 10, the medicine box 100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 through such information exchange and wired and wireless communication, to connect the health manager of the doser and the doser closer to each other and share information with each other. By doing so, more comprehensive and systematic medication management can be achieved.

이때 건강관리자란, 환자 또는 복용자의 건강에 관한 지도 및 관리를 수행하는 사람 또는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건강관리자는 의사, 약사, 간호사 및 간병인 등일 수 있으며, 또는 이러한 사람들이 하는 역할의 일부 또는 전부를 수행할 수 있는 장치가 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health manager may mean a person or a device that performs guidance and management regarding the health of a patient or a patient. For example, a health care worker may be a doctor, a pharmacist, a nurse, a caregiver, or the like, or may be a device capable of performing some or all of these people's roles.

이하에서는 건강관리서버(10), 이동통신단말기(20) 및 약상자(100)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health care server 10,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 and the medicine box 100 will be described.

먼저 건강관리서버(10)에 관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건강관리서버(10)는 환자, 복용자 등의 피건강관리자의 건강을 관리하기 위한 정보를 수집, 관리 및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다. First, the contents of the health care server 10 are as follows. The health care server 10 may be a server that collects, manages, and provides information for managing the health of a health manager such as a patient or a doser.

이러한 건강관리서버(10)는 병원이나, 약국 및 건강관리센터 중 적어도 하나의 장소에 마련될 수 있다. 건강관리서버(10)는 각종 단말 또는 그 외의 서버 등과 통신할 수 있다. 건강관리서버(10)와 통신하는 장치는, 예를 들어 병원측 단말기(11), 병원측 서버, 약국측 단말기(12), 약국측 서버, 건강관리센터측 단말기(13), 건강관리센터측 서버, 복용자측 단말기, 이동통신단말기(20), 약상자(100) 및 그 외의 건강관리에 관련된 단말기 등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통신은 유무선망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건강관리서버(10)와 각 기기들은 인터넷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한 예를 들어, 의사는 병원측 단말기(11)를 통해 건강관리서버(10)와 통신할 수 있다. 또는, 복용자는 이동통신단말기(20)나 약상자(100) 등을 통해 건강관리서버(10)로부터 건강관리서버(10)가 제공하는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The health care server 10 may be provided in at least one place of a hospital, a pharmacy and a health care center. The health care server 10 may communicate with various terminals or other servers. The apparatus for communicating with the health care server 10 includes, for example, a hospital terminal 11, a hospital server, a pharmacy terminal 12, a pharmacy server, a health care center terminal 13, and a health care center side. There may be a server, a terminal on the user's sid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 the medicine box 100, and other terminals related to health care. Such communication may be performed through a wired or wireless network. For example, the health care server 10 and each device may be connected through the Internet. For example, the doctor may communicate with the health care server 10 through the hospital terminal 11. Alternatively, the taker may obtain information provided by the health care server 10 from the health care server 10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 or the medicine box 100.

건강관리서버(10)는 건강관리에 관한 정보를 제공함에 있어 인증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건강관리서버(10)는 인증된 외부기기로만 건강관리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건강관리서버(10)는 약국측 단말기(12)가 정보를 요구하는 경우, 약사면허번호를 입력받아 허가된 약사면허번호인지 판단하여 유효한 약사면허인 경우에만 약국측 단말기(12)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건강관리에 관한 정보는 환자나 복용자 개개인의 신상에 관한 것이므로 건강관리서버(10)는 이와 같은 인증절차를 통해 보안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 health care server 10 may perform an authentication procedure in providing information about health care. For example, the health care server 10 may provide health care information only to an authorized external device. For example, when the pharmacy terminal 12 requests the information, the health care server 10 receives the pharmacist license number and determines whether the licensed pharmacist license number is a valid pharmacist license. Information can be provided by Since the information on health care is related to the personal identity of the patient or individual taking the health care server 10 has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security through such authentication procedures.

건강관리서버(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건강에 관한 정보를 관리하는데, 이러한 정보는 예를 들어, 복약관리를 위한 정보일 수 있다. 복약관리에 관한 정보는 복용자정보, 처방전정보, 복약스케줄 및 복약확인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정보에 대한 간략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As described above, the health care server 10 manages information on health, and this information may be, for example, information for medication management. The information on the medication managemen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taking information, prescription information, medication schedule, and medica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A brief description of this information follows.

복용자정보는 약을 복용하는 개인에 관한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용자정보는 복용자의 이름, 성별, 연령, 체중, 혈압, 혈당, 병력 및 그 외의 복용자의 건강상태 등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건강관리서버(10)는 건강관리자나 복용자로부터 복용자정보를 입력받아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건강관리서버(10)는 저장된 복용자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건강관리자는 건강관리서버(10)가 제공하는 복용자정보를 이용하여 복용자의 건강을 관리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의사는 병원측 단말기(11)를 이용하여 건강관리서버(10)에 접근하여 복용자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복용자정보를 참고하여 약을 처방하거나 진료를 할 수 있다. The taker information may be information about the individual taking the medicine. For example, the taking inform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about the taking name, sex, age, weight, blood pressure, blood sugar, medical history and other taking health of the taking person. The health care server 10 may receive and store taking user information from a health manager or a doser. The health care server 10 may provide stored dose information. The health care manager may manage the health of the intake person by using the ingestion information provided by the health care server 10. For example, the doctor may access the health care server 10 using the hospital terminal 11 to obtain the taking information, and may prescribe a medicine or treat the medicine by referring to the obtained taking information.

처방전정보는 복용자에게 처방된 약품에 관한 정보일 수 있다. 처방전정보는 처방된 개인에 관한 정보 및 처방된 약품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방전정보는 피처방자정보, 처방자정보, 처방시간, 처방약품의 명칭, 처방약품의 분류, 조제방법, 복약방법 및 복약 시의 주의사항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약방법은 복약시기나 복약스케줄, 약품의 복용량 등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 예를 들어, 복약 시의 주의사항은 복약 시 병용금기약품이나 예상되는 부작용 등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건강관리서버(10)는 이러한 처방전정보를 처방자로부터 입력받아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Prescription information may be information about the medicine prescribed to the taker. Prescription inform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about the prescribed individual and information about the prescribed medication. For example, the prescription information may include prescriber information, prescriber information, prescription time, name of the prescription drug, classification of the prescription drug, preparation method, medication method and precautions during medication. For example, the medication method may include information about medication time, medication schedule, dosage of medication, and the like. In addition, for example, precautions when taking a medic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on concomitant contraindications and anticipated side effects. The health care server 10 may receive and store such prescription information from the prescriber.

건강관리서버(10)는 이와 같이 저장된 처방전정보는 제공할 수 있다. 복용자나 건강관리자는 이러한 정보를 활용하여 보다 효과적인 복약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건강관리서버(10)는 의사측 단말기를 거쳐 처방자로부터 처방전정보를 얻어 저장할 수 있다. 건강관리서버(10)는 약사측 단말기를 통해 약사에게 저장된 처방전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로써, 약사는 별도의 처방전, 예를 들어 종이 처방전 등이 없이도 건강관리서버(10)에 접속함으로써 약 제조를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건강관리서버(10)를 통한 처방전정보의 송수신을 통해 약사나 피처방자는 보다 편리하게 약을 제조하고 또 구입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의사 등의 처방자는 약 처방 시 건강관리서버(10)에 접속하여 현재 피처방자의 과거의 처방전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약의 경우 그 화학적 성분에 따라 병용하여서는 아니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는데, 건강관리서버(10)는 처방자에게 복용자의 과거의 처방전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처방자가 약 처방하는 것을 보조할 수 있다.The health care server 10 may provide the prescription information stored as described above. You or your health care provider can use this information to better manage your medication. For example, the health care server 10 may obtain and store prescription information from a prescriber via a doctor's terminal. The health care server 10 may provide stored prescription information to the pharmacist through the terminal of the pharmacist. Thus, the pharmacist can manufacture the medicine by connecting to the health care server 10 without a separate prescription, for example, paper prescription. Through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prescription information through the health care server 10, the pharmacist or prescriber can manufacture and purchase the medicine more conveniently. As another example, a prescriber such as a doctor may check the past prescription information of the current prescriber by accessing the health care server 10 when prescribing a medicine. In the case of drugs may not be used in combination depending on the chemical composition, the health care server 10 may assist the prescriber to prescribe the drug by providing the prescriber with the past prescription information.

복약스케줄은 복용자의 복약시기에 관한 일정일 수 있다. 이러한 복약스케쥴은 일단위나 주단위 또는 월단위의 일정일 수 있다. 건강관리서버(10)는 처방자나 건강관리자로부터 복약스케줄을 입력받을 수 있다. 또는 건강관리서버(10)는 저장된 복용자정보 및 처방전정보를 근거로 복약스케줄을 생성할 수 있다. 건강관리서버(10)는 유무선통신망을 통해 복용자의 약상자(100)나 이동통신단말기(20)로 복약스케줄을 전송할 수 있다. 약상자(100)나 이동통신단말기(20)는 복약스케줄에 따라 복용자에게 복약시기에 약을 복용하도록 복약지시를 할 수 있다. 이로써, 복용자는 복약시기를 알 수 있고 이에 따라 복약함으로써 복약순응도가 향상될 수 있다. 한편 이동통신단말기(20)나 약상자(100)는 처방전정보를 이용하여 자체적으로 복약스케줄을 생성할 수 있다.The medication schedule may be a schedule regarding the time of taking the medication. This medication schedule may be a daily, weekly or monthly schedule. The health care server 10 may receive an input of a medication schedule from a prescriber or a health care manager. Alternatively, the health care server 10 may generate a medication schedule based on stored dose information and prescription information. The health care server 10 may transmit a medication schedule to the medicine box 100 o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 of the doser through the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The medicine box 100 o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 may instruct the user to take the medicine at the time of taking medicine according to the medication schedule. As a result, the doser can know the medication time and accordingly medication dose can be improved. Meanwhil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 or the medicine box 100 may generate a medication schedule by itself using prescription information.

건강관리서버(10)는 복약확인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복약확인정보는 복용자가 복약했는지 여부 및 약의 복용이 복약스케줄에 따라 이루어졌는지 등에 관한 정보일 수 있다. 건강관리서버(10)는 복용자나 약상자(100) 또는 이동통신단말기(20)로부터 복약확인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건강관리서버(10)는 복약확인정보를 의사나 약사 등의 건강관리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건강관리자는 이러한 복약확인정보를 이용해 복용자의 복약여부 및 복약순응도 등을 알 수 있고 이에 근거하여, 복용자에 대해 보다 효과적인 복약관리를 할 수 있다.
The health care server 10 may provide medication confirmation information. Here, the medication confirmation information may be information about whether the person taking the medicine and whether the medicine was taken according to the medication schedule. The health care server 10 may obtain medication confirmation information from the doser or the medicine box 100 o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 The health care server 10 may provide the medication check information to a health manager such as a doctor or a pharmacist. The health care manager can use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medication to find out whether the medication is taken and the medication compliance, and based on this, the medication can be more effectively administered to the medication.

다음으로 이동통신단말기(20)에 관한 설명은 다음과 같다.Next, a descrip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 is as follows.

이동통신단말기(20)는 복약관리에 대한 정보를 건강관리서버(10) 또는 약상자(100)로 전송하거나 또는 이들로부터 전송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통신단말기(20)는 건강관리서버(10)나 약상자(100)와의 통신을 통해 복약스케줄이나 복약확인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동통신단말기(20)는 이와 같이 획득된 정보를 복용자에게 제공하여 복약지시를 하거나 또는 복용자나 약상자(100)로부터 복약확인정보를 획득하여 이를 건강관리서버(10)로 송출하여 건강관리서버(10)에서 복용자의 복약확인정보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이동통신단말기(20)에 낙상감지센서가 있는 경우에는, 복용자가 낙상한 경우 이를 건강관리서버(10)나 복용자의 가족측 통신단말기(11) 및 응급구조대측 통신단말기(12), 건강관리자측 통신단말기(13) 등과 통신하여 이들에게 위급상황임을 알릴 수 있다.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 may transmit information about the medication management to the health care server 10 or the medicine box 100 or may be transmitted from them. For exampl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 may obtain medication schedule or medication confirmation information through communication with the health care server 10 or the medicine box 100.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 provides the information obtained as described above to the taker to instruct the medication or to obtain the medication confirmation information from the taker or medicine box 100 and sends it to the health care server 10 to manage the health care server 10 ), You can make your medication information available. For example, if there is a fall detection sensor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 if the taker falls, this is the health care server 10 or the family side communication terminal 11 and the emergency rescue party communication terminal 12 of the taker ), Communication with the health care terminal 13 and the like can inform them of an emergency situation.

끝으로, 약상자(100)에 관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Finally, the information about the medicine box 100 is as follows.

약상자(100)는 약을 보관할 수 있다. 또한 약상자(100)는 복약스케줄에 따라 복약지시를 하고, 약의 오남용을 방지하고, 복약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약상자(100)는 확인한 복약여부에 대한 복약확인정보를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약상자(100)에 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The medicine box 100 may store medicine. In addition, the medicine box 100 can be instructed to take medication according to the medication schedule, to prevent misuse of the drug, it is possible to check whether or not the medication. The medicine box 100 may output the medication confirmation information regarding the confirmed medication. Mor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medicine box 100 will be described later.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약상자(100)의 구성에 대하여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약상자(100)의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상자(100)의 사시도이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medicine box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and 3. 2 is a block diagram of the medicine box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medicine box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약상자(100)는 하우징(110), 보관함(120), 개구(130) 및 뚜껑(135)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10)은 약상자(100)의 외관을 형성하여 다른 구성을 내부에 수용할 수 있다. 보관함(120)은 약을 수용하여 보관할 수 있다. 개구(130)는 보관함(120)이 개방되도록 할 수 있다. 뚜껑(135)은 여닫히는 동작을 통해 개구(130)를 개폐함으로써, 개구(130)를 통해 보관함(120)이 개방되는 것을 조절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3, the medicine box 100 may include a housing 110, a storage box 120, an opening 130, and a lid 135. The housing 110 may form an exterior of the medicine box 100 to accommodate another configuration therein. The storage box 120 may accommodate and store medicines. The opening 130 may allow the storage box 120 to be opened. The lid 135 opens and closes the opening 130 through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thereby controlling the opening of the storage box 120 through the opening 130.

이하에서는 하우징(110), 보관함(120), 개구(130) 및 뚜껑(135)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the housing 110, the storage box 120, the opening 130, and the lid 135 will be described.

이하에서는 하우징(110)에 대하여 도 4,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4, 도 5 및 도 6은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상자(100)의 분해사시도이다.Hereinafter, the housing 11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 5, and 6. 4, 5 and 6 are exploded perspective views of the medicine box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하우징은 약상자(100)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하우징(110)은 약상자(100)의 다른 구성요소를 내부에 수납할 수 있다. 따라서 하우징(110)은 내부에 수납된 구성요소를 보호하기에 적합한 강도를 가진 재질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우징(110)의 재질은 알루미늄이나 강화플라스틱일 수 있다.The housing may form an appearance of the medicine box 100. The housing 110 may accommodate other components of the medicine box 100 therein. Therefore, the housing 110 may be a material having strength suitable for protecting the components stored therein. For example, the material of the housing 110 may be aluminum or reinforced plastic.

하우징은 약상자(100)의 다른 구성요소를 내부에 수납할 수 있다. 이러한 하우징(110) 내에 수납되는 구성요소는 탈착이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관함(120)은 하우징(110) 내부에 장착되거나 또는 하우징(110)으로부터 탈착될 수 있다. 따라서, 하우징(110)은 다른 구성요소가 수납되기 용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housing may house other components of the medicine box 100 therein. Components housed in the housing 110 may be removable. For example, the storage box 120 may be mounted inside or detached from the housing 110. Thus, the housing 110 may be configured to accommodate other components easily.

도 4 및 도 5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상자(100)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10)은 상부하우징(111)과 하부하우징(112)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부하우징(111)과 하부하우징(112)은 합체되거나 또는 분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부하우징(111)과 하부하우징(112)은 억지끼워맞춤으로 결합될 수 있다. 또는 상부하우징(111)과 하부하우징(112) 중 적어도 하나에 걸림쇠를 마련하여 이러한 걸림쇠의 작용에 의해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4 and 5 are exploded perspective views of the medicine box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As shown in FIGS. 4 and 5, the housing 110 may include an upper housing 111 and a lower housing 112. The upper housing 111 and the lower housing 112 may be combined or separated. For example, the upper housing 111 and the lower housing 112 may be coupled by interference fit. Alternatively, at least one of the upper housing 111 and the lower housing 112 may be provided with a latch to be coupled by the action of the latch.

도 6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약상자(100)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10)은 하우징(110)의 일면에 구멍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관함(120)은 상기 구멍을 통해 하우징(110)으로 삽입되거나 또는 하우징(110)으로부터 토출될 수 있다.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medicine box 1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6, the housing 110 may include a hole in one surface of the housing 110. For example, the storage box 120 may be inserted into or discharged from the housing 110 through the opening.

도 4 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련된 하우징(110)은 용이하게 구성요소가 수납하거나 토출하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하우징(110)은 보관함(120)이 하우징(110)으로부터 손쉽게 토출되도록 함으로써 다량의 약을 한번에 보관함(120)에 투입하는데 유리할 수 있다. 보관함(120)에는 약이 수용될 수 있으며, 수용된 약은 상술한 바와 같이 개구(130)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방법은 복용자가 약을 복약시기에 맞게 복용하는데는 유리할 수 있지만, 최초에 약을 약상자(100)에 투약하는데는 적합하지 아니할 수 있다. 최초에 약을 약상자(100)에 투약하는 것은 예를 들어, 약사가 조제한 약을 약상자(100)에 투약하는 경우 또는 처방받은 약을 복용자가 직접 약상자(100)로 투입하는 경우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110)은 보관함(120)이 손쉽게 외부로 토출되도록 함으로써 다량의 약을 투입하기 용이한 효과가 있을 수 있다.The housing 110 provided as shown in FIG. 4 or 6 has an effect that the component is easily accommodated or discharged. The housing 110 may be advantageous in that the container 120 is easily discharged from the housing 110, thereby introducing a large amount of medicine into the container 120 at one time. Medicine 120 may be accommodated in the storage box 120, and the received medicine may be discharged through the opening 130 as described above. By the way, such a method may be advantageous for the taker to take the medicine at the time of medication, but may not be suitable for initially administering the medicine to the medicine box (100). The first dose of the medicine in the medicine box 100 may be, for example, in the case of administering a medicine prepared by the pharmacist in the medicine box 100 or the case that the prescribed medicine is directly put into the medicine box 100. Therefore, the housing 11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n effect of easily putting a large amount of medicine by allowing the storage box 120 to be easily discharged to the outside.

상술한 바와 같이 하우징(110)의 내부에는 약이 수용될 수 있다. 이러한 하우징(110)은 내부에 수용된 약제가 변질되지 아니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약제는 빛이나 온도 또는 습도에 민감하게 반응하여 이에 따라 변질될 수 있다. 하우징(110)은 빛이 투과되지 아니하는 재질 또는 온도나 습도가 전달되지 아니하는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재질로 마련된 하우징(110)은 내부의 약재가 변질되지 아니하는 효과가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우징(110)은 불투명한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하우징(110)은 일측에 구멍이 있어 통풍이 자유롭도록 형성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medicine may be accommodated in the housing 110. The housing 110 may be provided so that the drug contained therein is not altered. In general, the medicament may react sensitively to light or temperature or humidity and thus deteriorate accordingly. The housing 110 may be made of a material that does not transmit light or a material that does not transmit temperature or humidity. Housing 110 provided with such a material may have an effect that the internal medicine does not deteriorate. For example, the housing 110 may be made of an opaque material. In another example, the housing 110 may be formed to have a hole in one side so that ventilation is free.

본 발명에 따르는 약상자(100)는 거취용 약상자(100) 또는 휴대용 약상자(100)일 수 있다. 여기서 약상자(100)가 휴대용인 경우에는, 휴대하기 용이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우징(110)은 무게가 가볍고 크기가 작게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하우징(110)은 휴대가 간편하므로, 복용자가 장소에 구애됨 없이 약상자(100)를 휴대함으로써, 외출하는 때에도 복약스케줄에 따라 약을 복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Medicine box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medicine box 100 or a portable medicine box 100. In the case where the medicine box 100 is portable, the medicine box 100 may be formed to be easy to carry. For example, the housing 110 may be provided with a light weight and a small size. Since the housing 110 is easy to carry, by taking the medicine box 100 without regard to the place, there is an effect that can take the medicine according to the medication schedule when going out.

이하에서는 보관함(120)에 대하여 도 7, 도 8,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7, 도 8 및 도 9은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관함의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관함의 단면도이다. Hereinafter, the storage box 12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7, 8, 9, and 10. 7, 8, and 9 are perspective views of a storage bo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and FIG. 10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torage bo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보관함(120)은 내부에 약을 수용할 수 있다. 이러한 보관함(120)은 하우징(110)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관함(120)은 하우징(110)에서 탈착이 가능한 별도의 카트리지 형태로 마련되며, 하우징(110) 내부에 삽입 또는 수납되어 위치할 수 있다. 다른 예로는 보관함(120)은 하우징(110)의 내부에 일정한 공간으로 고정되어 마련될 수도 있다. The storage box 120 may accommodate medicine therein. The storage box 120 may be located inside the housing 110. For example, the storage box 120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separate cartridge detachable from the housing 110, it may be inserted or accommodated in the housing 110. In another example, the storage box 120 may be provided to be fixed to a predetermined space inside the housing 110.

이러한 보관함(120)은 도 7,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약상자(100)로부터 탈·부착이 가능한 카트리지 형태 또는 하우징(110) 내부에 형성된 일정한 공간일 수 있다.As illustrated in FIGS. 7, 8, and 9, the storage box 120 may be a predetermined space formed inside the housing 110 or a cartridge form detachable from the medicine box 100.

보관함(120)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관함(120)의 사시도이다. 보관함(120)은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10) 내부의 일정한 공간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Storage box 120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torage box 1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torage box 120 may be provided as a predetermined space inside the housing 110, as shown therein.

도 7 및 도 8은 각각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관함(120)의 사시도이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관함(120)은 카트리지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관함(120)은 상부하우징(111)과 하부하우징(112)을 포함하는 하우징(110)이 분리되면 그 내부로 수용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관함(120)은 하우징(110)의 일측에 마련된 구멍을 통해 하우징(110) 내부로 수용될 수 있다. 이러한 형태의 보관함(120)은 약상자(100) 내부로 탈·부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보관함(120)이 탈착됨으로써, 그 전부가 외부로 노출되어 사용자가 다량의 약을 투입하기에 용이한 효과가 있을 수 있다. 7 and 8 are perspective views of a storage box 12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As shown in Figure 7 and 8, the storage box 120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cartridge. For example, as shown in FIG. 4, the storage box 120 may be accommodated therein when the housing 110 including the upper housing 111 and the lower housing 112 is separated. For another example, as shown in FIG. 6, the storage box 120 may be received into the housing 110 through a hole provided at one side of the housing 110. The storage box 120 of this type may be attached and detached into the medicine box 100. In this case, since the storage box 120 is detached as described above, the entirety of the storage box 120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so that the user may easily insert a large amount of medicine.

이러한 보관함(120)은 복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보관함(120)은 도7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트리지 또는 하우징(110)에 격벽을 설치하여 구획을 나눔으로써 마련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복수의 보관함(120)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리적으로 복수인 보관함(120)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보관함(120)이 복수인 경우에는 각각 하나의 보관함(120)에 1회에 복용해야 하는 분량의 약을 수용함으로써, 복수의 복용분량을 약상자(100)에 보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예를 들어, 하루 3회 복용을 요하는 약 1일치를 위한 약상자(100)에는 3개의 보관함(120)이 마련될 수 있다.The storage box 120 may be a plurality. For example, the plurality of storage boxes 120 may be provided by dividing the compartment by installing a partition wall in the cartridge or the housing 110 as shown in FIGS. 7 and 9. For another example, the plurality of storage boxes 120 may be configured as a plurality of physical storage box 120 as shown in FIG.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storage boxes 120, by receiving the amount of medicine to be taken once in each storage box 120,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stored in a plurality of doses in the medicine box (100). For example, three boxes 120 may be provided in the medicine box 100 for about one day requiring three doses per day.

이와 같이, 보관함(120)이 복수인 경우에는 하우징(110) 내에 다수의 보관함(120)이 수납 또는 설치되어야 하므로 공간적인 제약이 있을 수 있다. 약상자(100)는 거취용 약상자(100) 또는 휴대용 약상자(100)일 수 있다. 거취용 약상자(100)는 복용자가 휴대용으로 사용하지 아니하며, 일정한 위치에 고정되어 사용되므로 비교적 공간적인 제약이 약할 수 있다. 따라서 거취용 약상자(100)의 보관함(120)은 비교적 개수가 비교적 많을 수 있다. 그러나 휴대용 약상자(100)의 경우에는 휴대성을 위하여 공간적 또는 무게에 따른 제약이 클 수 있다. 반면 보관함(120)의 개수가 지나치게 작은 경우에는 약상자(100)에 보관되는 분량이 작으므로 약을 새로 투입할 일이 잦아 불편할 수 있다. 나아가 투입이 누락된 경우, 약이 없어 복약스케줄에 따라 복용하기 곤란할 수 있다. 따라서, 약상자(100)의 보관함(120)은 약상자(100)의 용도, 휴대성, 공간적인 제약, 무게제한, 투약편리성 및 복약관리에 용이성 등의 다양한 요소를 고려하여 정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약상자(100)의 보관함(120)의 개수는 7개일 수 있다. 보관함(120)의 개수가 7개인 경우에는 일주일단위로 약을 투입해주면 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약을 투입하는 것을 기억하기 쉬운 효과가 있다.As such,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storage boxes 120, the plurality of storage boxes 120 may be accommodated or installed in the housing 110, and thus there may be a space limitation. The medicine box 100 may be a medicine box 100 or a portable medicine box 100. Hangover medicine box 100 is not used by the person who is taking the portable, because it is fixed to a certain position can be used relatively weak spatial constraints. Therefore, the storage box 120 of the medicine box 100 for deodorization may be relatively large. However, in the case of the portable medicine box 100 may be large constraints depending on space or weight for portability. On the other hand, if the number of the storage box 120 is too small, the amount stored in the medicine box 100 is small, it may be inconvenient to put a new medicine often. In addition, if the input is missing, it may be difficult to take according to the medication schedule because there is no medicine. Therefore, the storage box 120 of the medicine box 100 may be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various factors such as the use of the medicine box 100, portability, spatial constraints, weight restrictions, ease of administration and medication management. For example, the number of the storage box 120 of the medicine box 100 may be seven. In the case where the number of the storage box 120 is seven, since the medicine is to be added in a weekly unit, the user may easily remember to input the medicine.

이와 같이 다수의 보관함(120)이 하우징(110) 내에 위치하는 경우, 보관함(120)은 가능한한 적은 공간에 다수의 보관함(120)이 마련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약상자(100) 또는 하우징(110)이 원통형의 형상인 경우, 다수의 보관함(120)은 각각 부채꼴 모양으로 마련될 수 있다.As such, when the plurality of storage boxes 120 are located in the housing 110, the storage box 120 may be provided so that the plurality of storage boxes 120 may be provided in as little space as possible. For example, as illustrated in FIGS. 7, 8, and 9, when the medicine box 100 or the housing 110 has a cylindrical shape, the plurality of storage boxes 120 may be provided in a fan shape.

보관함(120)은 약을 보관하기 적합한 재질일 수 있다. 하우징(110)에 관한 설명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약제는 빛이나 온도 또는 습도에 민감하게 반응하여 이에 따라 변질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보관함(120)은 약이 변질되지 아니하도록 빛을 차단하거나 온도나 습도가 급격하게 변하지 아니하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관함(120)은 불투명한 재질로 마련되어 빛을 차단할 수 있으며, 보관함(120)의 일측에 구멍을 형성함으로써, 보관함(120)의 통풍이 자유롭도록 형성될 수 있다.Storage box 120 may be a material suitable for storing medicine. As described above in the description of the housing 110, in general, the medicament is sensitive to light, temperature, or humidity, and thus may be deteriorated accordingly. Therefore, the storage box 120 may be formed of a material that blocks the light so that the drug does not deteriorate or the temperature or humidity does not change abruptly. For example, the storage box 120 may be made of an opaque material to block light, and by forming a hole in one side of the storage box 120, the storage box 120 may be freely ventilated.

보관함(120)은 내부에 수용된 약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개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용자는 보관함(120)으로부터 약을 획득하여 복용할 수 있다. 여기서, 보관함(120)이 개방되는 것은, 보관함(120)이 개구(130)와 연결되어 보관함(120)의 내부가 외부로 노출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또는 보관함(120)이 개구(130)를 통해 보관함(120)의 전부 또는 일부가 약상자(100) 외부로 토출됨으로써 보관함(120)이 개방될 수 있다. The storage box 120 may be opened so that the medicine contained therein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Accordingly, the dose may be obtained by taking the medicine from the storage box (120). Here, the storage box 120 is opened, the storage box 120 is connected to the opening 130 may be made by the inside of the storage box 120 is exposed to the outside. Alternatively, the storage box 120 may be opened by discharging all or a part of the storage box 120 to the outside of the medicine box 100 through the opening 130.

보관함(120)은, 개구(130)에 의해 개방된 경우, 수용된 약이 외부로 배출되기 적합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관함(120)은 일면이 이동하도록 마련됨으로써 그 이동에 따라 약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보관함(120)은 보관함(120)의 상태에 따라 약이 중력에 의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관함(120)은 도립상태가 됨에 따라 내부의 약이 배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Storage box 120, when opened by the opening 130, may be provided so that the received medicine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For example, the storage box 120 may be provided so that one surface is moved so that the medicine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according to the movement. As another example, the storage box 120 may be provided so that the medicine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by gravity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storage box 120. For example, the storage box 120 may be provided to discharge the medicine as the inverted state.

한편, 보관함(120)의 적어도 일면은 일정한 경사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관함(120)의 측면 또는 하면은 개구(130)방향으로 기울어져 마련될 수 있다. 보관함(120)의 일면에 일정한 경사가 마련된 경우에는, 보관함(120)이 도립상태는 물론 수직상태가 되는 경우에도 중력에 따라 약이 배출될 수 있다. 이러한 보관함(120)은 보다 쉽게 약이 배출되는 효과가 있을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t least one surface of the storage box 120 may be formed with a constant inclination.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0, the side or bottom surface of the storage box 120 may be inclined toward the opening 130. When a predetermined slope is provided on one surface of the storage box 120, even when the storage box 120 is inverted as well as in the vertical state, the medicine may be discharged according to gravity. This storage box 120 may have an effect that the drug is discharged more easily.

이하에서는 개구(130) 및 뚜껑(135)에 대하여 도 11, 도 12,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1 및 도 12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구(130)의 사시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190)의 사시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뚜껑(135)의 사시도이다.Hereinafter, the opening 130 and the lid 135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1, 12, 13, and 14. 11 and 12 are perspective views of an opening 1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3 is a perspective view of a driving unit 19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4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erspective view of a lid 135 according to an example.

개구(130)는 약상자(100)의 일측에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개구(130)는 하우징(110)의 일측에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개구(130)는 보관함(120)을 개방시킬 수 있다. 보관함(120)은 개구(130)를 통해 개방될 수 있다. 도 11 및 도 12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개구(130)를 나타낸 도면이다. 예를 들어, 보관함(120)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구(130)와 연통되어 내부가 약상자(100) 외부로 노출됨에 따라 개방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보관함(120)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구(130)를 통해 보관함(120)의 적어도 일부가 약상자(100) 외부로 토출됨에 따라 개방될 수 있다.The opening 130 may be provided at one side of the medicine box 100. For example, the opening 130 may be provided at one side of the housing 110. The opening 130 may open the storage box 120. The storage box 120 may be opened through the opening 130. 11 and 12 respectively show openings 130 in accordance with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1, the storage box 120 may communicate with the opening 130 to be opened as the inside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medicine box 100. For another example, the storage box 120 may be opened as at least a portion of the storage box 120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medicine box 100 through the opening 130, as shown in FIG. 12.

상술한 바와 같이 개구(130)는 보관함(120)이 개방되도록 할 수 있다. 보관함(120)이 복수인 경우에는, 개구(130)는 복수의 보관함(120) 중 적어도 하나의 보관함(120)을 선택적으로 개방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개구(130)는 복수의 보관함(120) 중 해당 복약시기에 복용해야 하는 약이 수납된 보관함(120)이 개방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보관함(120)이 개방되도록 하는 것은 상술한 바와 같이, 보관함(120)이 개구(130)와 연통되거나 또는 보관함(120)의 적어도 일부가 개구(130)를 통해 토출되어 보관함(120)의 내부가 약상자(100)의 외부로 노출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opening 130 may allow the storage box 120 to be opened.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storage boxes 120, the opening 130 may selectively open at least one storage box 120 of the plurality of storage boxes 120. For example, the opening 130 may allow the storage box 120 containing the medicines to be taken at the medication time of the plurality of storage boxes 120 to be opened. As described above, the storage box 120 is opened, as described above, the storage box 120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opening 130 or at least a portion of the storage box 120 is discharged through the opening 130 of the storage box 120. The inside may be made by exposing to the outside of the medicine box 100.

복수의 보관함(120) 중 개구(130)에 의해 개방되는 보관함(120)은 그 보관함(120)과 개구(130)의 상대적인 위치에 따라 정해질 수 있다. 즉, 개방되는 보관함(120)은 개구(130)가 있는 지점에 위치함으로써 보관함(120)이 개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관함(120)이 이동하여 개구(130)를 통해 연통되거나 토출될 수 있다. 또는 이와 반대로 개구(130)가 이동하여 보관함(120)이 개구(130)를 통해 연통되거나 토출될 수 있다. The storage box 120 opened by the opening 130 among the plurality of storage boxes 120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a relative position of the storage box 120 and the opening 130. That is, the storage box 120 to be opened can be opened by being located at the point where the opening 130 is located. For example, as illustrated in FIG. 13, the storage box 120 may be moved to communicate with or be discharged through the opening 130. Alternatively, the opening 130 may be moved so that the storage box 120 may communicate with or discharge through the opening 130.

이러한 개구(130) 또는 보관함(120)은 외부의 힘 또는 약상자(100)에 설치된 구동부(190)에 의해 이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의 힘이란 사용자에 의한 힘일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구동부(190)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10)에 설치된 모터일 수 있다.The opening 130 or the storage box 120 may be moved by an external force or the driving unit 190 installed in the medicine box 100. For example, the external force may be a force by the user. For another example, the driving unit 190 may be a motor installed in the housing 110 as shown in FIG. 13.

이러한 개구(130)는 약이 통과하기 용이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알약은 수 mm에서 수 cm의 크기를 가지므로 개구(130)는 수 mm에서 수 cm의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개구(130)는 원형, 반원형 또는 다각형 등으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개구(130)는 복용자에게 심리적 안정감을 줄 수 있는 원형이나 반원형일 수 있다. 이로써, 복용자는 개구(130)를 통해 알약을 섭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약상자(100)에는 돌출부가 마련되고 그 돌출부 상에 개구(130)가 마련될 수 있다. 또는 이러한 개구(130)는 보관함(120)이 토출되기 용이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The opening 130 may be provided to facilitate the passage of medicine. In general, since pills have a size of several mm to several cm, the opening 130 may have a size of several mm to several cm. The opening 130 may be provided in a circular, semi-circular or polygonal shape. For example, the opening 130 may be circular or semicircular, which may give psychological stability to the user. As such, the doser may take the pill through the opening 130. To this end, the medicine box 100 may be provided with a protrusion and an opening 130 may be provided on the protrusion. Alternatively, the opening 130 may be provided to facilitate the discharge of the storage box 120.

개구(130)는 하우징(110)의 일측에 마련되는데 이러한 위치는 하우징(110)의 상면, 측면 또는 하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우징(110)의 상면에 개구(130)가 마련될 수 있다. 이때는 하우징(110)이 도립상태가 됨으로써 보관함(120)이 개구(130)를 통해 토출되거나 또는 연통되어 보관함(120)으로부터 약이 배출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개구(130)는 하우징(110)의 측면에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하우징(110)이 수직상태가 됨으로써 개구(130)와 연결된 보관함(120)이 토출되거나 연통되어 약이 배출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보관함(120)은 하우징(110)의 하면에 마련될 수 있다. 이때는, 개구(130)와 보관함(120)이 연결됨으로써 보관함(120)이 토출되거나 연통됨으로써 중력에 의해 보관함(120)에 수용된 약이 배출될 수 있다.
The opening 130 i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housing 110, and this position may be an upper surface, a side surface, or a lower surface of the housing 110. For example, the opening 130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110. In this case, the housing 110 is in an inverted state, so that the storage box 120 may be discharged or communicated through the opening 130, and the medicine may be discharged from the storage box 120. For another example, the opening 130 may be provided on the side of the housing 110. In this case, since the housing 110 is vertical, the storage box 120 connected to the opening 130 may be discharged or communicated to discharge the medicine. For another example, the storage box 120 may be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housing 110. In this case, the opening 130 and the storage box 12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so that the storage box 120 is discharged or communicated with each other, and thus the medicine contained in the storage box 120 may be discharged by gravity.

뚜껑(135)은 개구(130)를 열거나 막을 수 있다. 즉,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구(130)는 뚜껑(135)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보관함(120)과 개구(130)가 서로 대응되는 지점에 위치하게 되면 보관함(120)이 개방될 수 있다. 이때, 개구(130)에 뚜껑(135)이 마련되어 있는 경우에는 비록 보관함(120)과 개구(130)가 연결되어도 뚜껑(135)이 열린 경우에만 보관함(120)이 개방될 수 있다. 이러한 뚜껑(135)에 의해 개구(130)와 보관함(120)이 연결되더라도 뚜껑(135)에 의해 보관함(120)의 개방여부를 조절할 수 있다. 이로써, 복약시기가 아닌 경우에 개구(130)와 보관함(120)이 연결된 것만으로 약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뚜껑(135)은 개구(130)를 개폐함으로써 복용자가 원하는 때에만 약이 보관함(120)으로부터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뚜껑(135)은 하우징(110) 상의 개구(130)와 인접한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뚜껑(135)은 개구(130)와 억지끼워맞춤에 의해 개구(130)에 장착되거나 나선형홈을 마련하여 회전에 의해 개구(130)에 장착될 수 있다.
The lid 135 can open or close the opening 130. That is, as shown in FIG. 14, the opening 130 may be opened and closed by the lid 135. As described above, when the storage box 120 and the opening 130 are located at point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the storage box 120 may be opened. At this time, when the lid 135 is provided in the opening 130, even if the storage box 120 and the opening 130 are connected, the storage box 120 may be opened only when the lid 135 is opened. Even if the opening 130 and the storage box 120 are connected by the lid 135, the opening of the storage box 120 may be controlled by the lid 135. As a result, when the medication is not in the medication period, only the opening 130 and the storage box 120 may be prevented from discharging the medicine. In other words, as shown in FIG. 14, the lid 135 may open and close the opening 130 so that the medicine is discharged from the container 120 only when the dose is desired. The lid 135 may be provided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opening 130 on the housing 110. The lid 135 may be mounted to the opening 130 by forcibly fitting with the opening 130 or may be mounted to the opening 130 by rotation by providing a spiral groove.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약상자(100)의 다른 구성에 대하여 도 2 및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약상자(100)의 구성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상자(100)의 사시도이다.Hereinafter, another configuration of the medicine box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and 15. 2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medicine box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medicine box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약상자(100)는 외부기기와 통신하는 통신부(170), 복약관리를 위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165), 외부로부터 입력을 받는 입력부(180), 외부로 출력을 하는 출력부(185), 약상자(10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195), 보관함(120) 또는 개구(130)를 이동시키는 구동부(190) 및 각 구성요소를 제어하는 제어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2 and FIG. 15, the medicine box 100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170 for communicating with an external device, a storage unit 165 for storing information for medication management, an input unit 180 for receiving an input from the outside, An output unit 185 for outputting to the outside, a power supply unit 195 for supplying power to the medicine box 100, a driving unit 190 for moving the storage box 120 or the opening 130,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each component ( 160) may be further included.

이하에서는 통신부(170), 저장부(165), 입력부(180), 출력부(185), 전원부(195), 구동부(190) 및 제어부(160)에 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the communication unit 170, the storage unit 165, the input unit 180, the output unit 185, the power supply unit 195, the driving unit 190, and the control unit 160 will be described.

통신부(17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기기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통신은 유무선망을 통한 유선통신 또는 무선통신일 수 있다. 유선통신은 예를 들어, RS-232 또는 USB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무선통신은 예를 들어,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Bluetooth), 직비(Zigbee)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외부기기는 예를 들어, 이동통신단말기(20)를 포함하는 각종 단말기 또는 건강관리서버(10) 등일 수 있다. 통신부(170)는 외부기기로부터 복약관리에 필요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 통신부(170)는 외부기기로 복약관리에 필요한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복약관리에 필요한 정보는 예를 들어, 복용자정보, 처방전정보, 복약스케줄 및 복약확인정보 등일 수 있다. 이러한 통신을 통해 약상자(100)는 건강관리서버(10), 이동통신단말기(20) 및 그 외의 외부기기와 정보를 주고 받음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복약관리를 할 수 있다.The communicator 170 may communicate with an external device as shown in FIG. 1. Such communication may be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through a wired or wireless network. Wired communication may be, for example, by RS-232 or USB. Wireless communication may be performed by, for example, Wi-Fi, Bluetooth, or Zigbee. The external device may be, for example, various terminals includ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 or the health care server 10. The communication unit 170 may receive information necessary for medication management from an external device. 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unit 170 may transmit information necessary for medication management to an external device. Information necessary for medication management may be, for example, taking information, prescription information, medication schedule and medica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rough such communication, the medicine box 100 may perform more efficient medication management by exchanging information with the health care server 10,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 and other external devices.

입력부(180)는 사용자 등으로부터 입력을 받을 수 있다. 입력부(180)는 예를 들어, 복수의 버튼, 터치패드, 음성인식장치, 마우스, 광마우스, 약상자(100)의 동작인식하는 장치 등일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는 입력부(180)를 통해 복약관리에 필요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The input unit 180 may receive an input from a user. The input unit 180 may be, for example, a plurality of buttons, a touch pad, a voice recognition device, a mouse, an optical mouse, and a device for recognizing the operation of the medicine box 100. Here, the user may input information necessary for medication management through the input unit 180.

출력부(185)는 외부로 출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력부(185)는 디스플레이, 스피커, 진동장치 등일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는 출력부(185)를 통해 복약관리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The output unit 185 may output to the outside. For example, the output unit 185 may be a display, a speaker, a vibration device, or the like. Here, the user may be provided with information necessary for medication management through the output unit 185.

저장부(165)는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정보는 복약관리에 관한 정보일 수 있다. 복약관리에 관한 정보는 예를 들어 복용자정보, 처방전정보, 복약스케줄 및 복약확인정보일 수 있다. 저장부(165)는 통신부(170), 입력부(180) 또는 제어부(160)로부터 정보를 받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65)는, 통신부(170), 출력부(185) 등을 통해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저장부(165)는 메모리일 수 있다. 메모리는 예를 들어, 플래쉬메모리, 램(RAM), 롬(ROM), 하드디스크 등일 수 있다. 이러한 저장부(165)는 약상자(100)에 내장된 형태 또는 탈착이 가능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The storage unit 165 may store information. Here, the information may be information on medication management. The information on the medication management may be, for example, taking user information, prescription information, medication schedule, and medica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e storage unit 165 may receive and store information from the communication unit 170, the input unit 180, or the control unit 160. In addition, the storage unit 165 may provide information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70, the output unit 185, or the like. The storage unit 165 may be a memory. The memory may be, for example, a flash memory, a RAM, a ROM, a hard disk, or the like. The storage unit 165 may be provided in a form embedded in the medicine box 100 or a removable form.

전원부(195)는 약상자(100)의 각 구성에 전원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전원부(195)는 전기적인 에너지를 제공할 수 있다. 전원부(195)는 약상자(100) 내에 고정되어 있거나 또는 탈착될 수 있다. 전원부(195)는 예를 들어, 건전지일 수 있다. 이러한 건전지는 재충전이 가능한 건전지일 수 있다. 또는 전원부(195)는 무선방식에 의해 충전될 수 있다. 또는 전원부(195)는 자체적으로 에너지를 생산하여 이를 약상자(100)에 공급할 수 있다. 에를 들어 전원부(195)는 태양전지(solar cell)일 수 있다.The power supply unit 195 may provide power to each component of the medicine box 100. The power supply unit 195 may provide electrical energy. The power supply unit 195 may be fixed in or detached from the medicine box 100. The power supply 195 may be, for example, a battery. Such batteries may be rechargeable batteries. Alternatively, the power supply unit 195 may be charged by a wireless method. Alternatively, the power supply unit 195 may produce energy by itself and supply it to the medicine box 100. For example, the power supply unit 195 may be a solar cell.

구동부(190)에 관하서는 도 13 및 도 1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190)의 사시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190)의 단면도이다. 구동부(190)는 보관함(120), 하우징(110) 또는 개구(130)를 이동시킬 수 있다. 구동부(190)는 제어부(16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부(190)는 보관함(120), 개구(130) 또는 개구(130)를 포함하는 하우징(110)을 이동시켜 보관함(120)과 개구(130)가 서로 대응되는 지점에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구동부(190)에 의해 보관함(120)과 개구(130)가 서로 대응되는 지점에 위치함으로써 보관함(120)의 내부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보관함(120)이 복수개인 경우에는 구동부(190)는 그 중 복약시기에 해당하는 보관함(120)과 개구(130)가 서로 대응되는 지점에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구동부(190)는 회전력을 발생하고 이를 보관함(120) 또는 하우징(110)에 전달하여 이를 이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모터일 수 있다.The driving unit 19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3 and 16. 1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driving unit 19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driving unit 19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riving unit 190 may move the storage box 120, the housing 110, or the opening 130. The driving unit 190 may be controlled by the controller 160. As shown in FIG. 13, the driving unit 190 moves the housing 120 including the storage box 120, the opening 130, or the opening 130 so that the storage box 120 and the opening 130 correspond to each other. It can be located at a point. The interior of the storage box 120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by being located at a point where the storage box 120 and the opening 130 correspond to each other by the driving unit 190.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storage boxes 120, the driving unit 190 may be located at a point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storage box 120 and the opening 130 corresponding to the medication time. The driving unit 190 may generate a rotational force and transfer it to the storage box 120 or the housing 110 to move it. For example, it may be a motor.

구동부(190)는 보관함(120)이 개구(130)를 통해 적어도 일부가 하우징(110) 외부로 노출되는 경우에, 보관함(120)을 외부로 토출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부(190)는 스프링일 수 있다.The driving unit 190 may discharge the storage box 120 when the storage box 120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110 through at least a portion thereof.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6, the driving unit 190 may be a spring.

제어부(160)는 약상자(100)가 복약관리를 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복약관리는 예를 들어, 복약지시, 오남용방지 또는 복약확인일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160)의 기능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The controller 160 may control the medicine box 100 to manage medication. Medication management can be, for example, medication instruction, prevention of abuse or medication confirmation. The function of the control unit 160 will be described later.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복약지도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the medication guid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복약지도방법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약상자(100)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이때, 약상자(100)는 본 발명에 따른 복약지도방법을 용이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이용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복약지도방법은 본 발명에 따른 약상자(100)에 의해 한정되지 아니한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medication guid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described using the medicine box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t this time, the medicine box 100 is used to easily explain the medication guidanc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medication guid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medicine box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복약지도방법은 본 발명에 따른 약상자(100)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다른 장치를 이용할 수 있다.The medication guid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use another device performing the same function as the medicine box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복약지도는, 약상자(100)가 복용자에게 복약을 지시하는 복약지시와 복용자가 약의 오·남용하는 것을 방지하는 오남용방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복약지시는 약상자(100)가 복약스케줄을 획득하고 복약스케줄에 따라 복약시기 등에 제공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복약지시 및 오남용방지에 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The medication map may include a medication instruction that the medicine box 100 instructs the user to take the medicine, and prevention of misuse of the medicine that prevents the abuser from using the medicine. Here, the medication instruction box 100 may obtain a medication schedule and may be provided to the medication time according to the medication schedule. Hereinafter will be described with respect to medication instructions and abuse prevention.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복약지시방법에 대하여 도 1 및 도 1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는 본 발명에 따른 복약관리시스템의 구성도이고,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약지시방법에 관한 순서도이다.First, the medication instru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17. 1 is a block diagram of a medication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7 is a flow chart related to the medication instruc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약상자(100)는 복약지시를 위해 복약시기에 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러한 복약시기에 관한 정보는 복약스케줄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약은 처방된 약의 특성 및 복용자의 특성에 따라 복약시기가 정해질 수 있는데, 복약스케줄은 이러한 처방된 약에 대해 복약해야 하는 복약시기들의 일정일 수 있다 복약스케줄은 예를 들어, 일단위, 주단위 또는 월단위의 복약시기에 관한 일정일 수 있다.The medicine box 100 may obtain information about the medication time for the medication instruction. The information on the medication time may be a medication schedule. In general, medications may be scheduled according to the nature of the prescribed medication and the nature of the person taking the medication. The medication schedule may be a schedule of medication medications that must be taken for such prescribed medication. It can be a schedule of medications on a weekly, weekly or monthly basis.

이러한 복약스케줄은 복용자정보 및 처방전정보에 근거하여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건강관리서버(10)는 건강관리자로부터 복용자정보 및 처방전정보를 입력받아 이에 근거하여 복약스케줄을 생성할 수 있다. 또는 건강관리서버(10)는 건강관리자로부터 직접 복약스케줄을 입력받을 수 있다. 이러한 복약스케줄은 유무선통신을 통해 이동통신단말기(20) 또는 약상자(100)로 전송될 수 있다. 이때, 건강관리서버(10)는 소정의 기간에 관한 복약스케줄을 1회에 전부 전송하거나, 수차례에 나누어 주기적으로 전송하거나 또는 실시간으로 전송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이동통신단말기(20)나 약상자(100)는 건강관리서버(10)나 사용자로부터 복용자정보 및 처방전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하여 자체적으로 복약스케줄을 생성할 수 있다.Such medication schedule may be generated based on the taking information and the prescription information. For example, the health care server 10 may receive the taking information and the prescription information from the health care manager and generate a medication schedule based on this. Alternatively, the health care server 10 may receive a medication schedule directly from the health care manager. The medication schedule may be transmit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 or the medicine box 100 through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In this case, the health care server 10 may transmit all of the medication schedules for a predetermined period at once, or may be divided into several times and periodically or in real time. As another exampl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 or the medicine box 100 may generate at least one of medication information and prescription information from the health care server 10 or the user to generate a medication schedule by itself.

약상자(100)는 통신부(170)를 통해 이러한 복약스케줄을 건강관리서버(10)나 이동통신단말기(2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또는 약상자(100)는 입력부(180)를 통해 복용자정보 및 처방전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거나 통신부(170)를 통해 건강관리서버(10)나 이동통신단말기(20)로부터 전송받을 수 있다. 여기서 약상자(100)의 제어부(160)는 획득한 복용자정보 및 처방전정보를 이용하여 복약스케줄을 생성할 수 있다. 또는 약상자(100)는 입력부(180)를 통해 직접 복약스케줄을 입력받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약상자(100)는 복약스케줄을 획득할 수 있다(S101). 이때, 획득된 복약스케줄은 저장부(165)에 저장될 수 있다.The medicine box 100 may receive the medication schedule from the health care server 10 o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70. Alternatively, the medicine box 100 may receive at least one of taking information and prescription information from the user through the input unit 180 or may be transmitted from the health care server 10 o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70. In this case, the controller 160 of the medicine box 100 may generate a medication schedule using the acquired dose information and prescription information. Alternatively, the medicine box 100 may directly receive a medication schedule through the input unit 180. In this way, the medicine box 100 may obtain a medication schedule (S101). In this case, the obtained medication schedule may be stored in the storage unit 165.

복약스케줄을 획득하면, 약상자(100)는 이에 따라 복약시기에 복약지시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복약지시메시지란 복용자에게 복약할 것을 지시하는 메시지일 수 있다. 복약지시메시지는 예를 들어, 화상 메시지 또는 음성 메시지일 수 있다. 더욱 상세히 복약지시메시지는 현재시간, 복약예정시간, 복약해야 하는 약품, 복약 시의 주의사항 등에 관한 내용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복약지시는 반드시 약상자(100)에서 제공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이동통신단말기(2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When the medication schedule is obtained, the medicine box 100 may output a medication instruction message at the medication time accordingly. The medication instruction message may be a message instructing the user to take the medication. The medication indication message may be, for example, a video message or a voice message. In more detail, the medication instruction message may include information on the current time, scheduled medication time, medication to be taken, and medication precautions. Such medication instruction is not necessarily provided in the medicine box 100, it may be perform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

약상자(100)는 이러한 복약지시메시지를 복약스케줄에 따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약상자(100)는 복약시기, 즉 복약해야 하는 시간에 복약지시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이로써, 약상자(100)는 복용자가 복약지시메시지에 따라 복약시기에 적절하게 약을 복약할 수 있는 효과가 있을 수 있다. 또는 약상자(100)는 복약시기로부터 일정한 시간 이전에 복약지시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약상자(100)는 복약시기로부터 5분 또는 10분 전에 복약지시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이로써, 약상자(100)는 복용자가 복약을 준비하여 제때 복용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을 수 있다. 또는 약상자(100)는 복약시기로부터 일정한 시간이 경과한 시점에 복약지시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약상자(100)는 복약시기로부터 5분 또는 10분이 경과한 시점에 복약지시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이로써, 약상자(100)는 복용자가 복약시기를 잊고 복약하지 아니한 경우 다시 복약해야 한다는 것을 알림으로써 복약을 유도하는 효과가 있을 수 있다.The medicine box 100 may output the medication instruction message according to the medication schedule. For example, the medicine box 100 may output a medication instruction message at the medication time, that is, the time to take the medication. As a result, the medicine box 100 may have an effect of taking the medicine appropriately at the time of taking the medication according to the medication instruction message. Alternatively, the medicine box 100 may output a medication instruction message before a predetermined time from the medication time. For example, the medicine box 100 may output a medication instruction message 5 or 10 minutes before the medication time. As a result, the medicine box 100 may have the effect of allowing the ingestor to prepare a medicine and take it in a timely manner. Alternatively, the medicine box 100 may output a medication instruction message when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from the medication time. For example, the medicine box 100 may output a medication instruction message when 5 or 10 minutes have elapsed from the medication time. As a result, the medicine box 100 may have an effect of inducing medication by informing the user that the medication should be taken again if the patient forgets the medication time and does not take the medication.

다음은 약상자(100)가 이러한 복약지시메시지를 출력하는 방법에 대한 실시예이다. 먼저 제어부(160)는 저장된 복약스케줄에 근거하여 현재 시간이 복약시기인지, 복약시기로부터 일정한 시간 이전 또는 이후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S102). 이때, 현재 시간이 복약시기로부터 일정한 시간 범위 내에 속하지 아니하는 경우에는 복약지시메시지를 출력하지 아니할 수 있다. 한편, 복약시기로부터 일정한 시간 범위 내에 속하는 경우에는 제어부(160)는 복용자가 현재 복약시기에 해당하는 약을 복용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103). 여기서 제어부(160)가 약복용여부를 판단하는 것은 약배출여부에 근거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제어부(160)는 약배출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데, 약배출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에 관한 상세한 내용은 후술하기로 한다. 약배출여부에 근거하여 해당 복약시기에 대해서 복약한 것으로 판단한 경우에는 복약지시를 하지 아니할 수 있다. 반면, 아직 복약하지 않은 경우로 판단된 경우에는 제어부(160)는, 출력부(185)가 복약지시메시지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S104). The following is an embodiment of how the medicine box 100 outputs such medication instruction message. First, the controller 160 may determine whether the current time is a medication time, a predetermined time before or after the medication time based on the stored medication schedule (S102). At this time, if the current time does not belong to a certain time range from the medication time may not output the medication instruction message. On the other hand, if it is within a certain time range from the medication time, the controller 160 may determine whether the user taking the medicine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medication time (S103). Here, the control unit 160 may determine whether the medicine is taken based on whether the medicine is discharged. In this regard, the controller 160 may determine whether the medicine is discharged. Details of the method of determining whether the medicine is discharged will be described later.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medication was taken based on whether or not the medication was discharged, the medication instruction may not be given. On the other h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rug has not yet taken, the controller 160 may control the output unit 185 to output a medication instruction message (S104).

이와 같이 출력되는 복약지시메시지는 복약을 지시하는 시기에 따라 그 내용이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약시기 이전인 경우에는, 복약지시메시지는 복약시기에 해당하는 시간 및 복약시기까지 남은 시간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복약시기인 경우에는 복약시기임을 알릴 수 있다. 복약시기로부터 경과한 경우, 복약지시메시지는 복약시기의 경과사실, 복약시기로부터 경과한 시간 및 복약하지 않았음을 알리는 경고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복약지시메시지는 복약을 지시하는 시기에 따라 출력방식이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약시기 이전의 복약지시메시지는 작은 소리로 출력되거나 화상으로 출력될 수 있다. 복약시기 이후의 복약지시메시지는 큰 소리로 출력될 수 있다.
The medication instruction message output as described above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depending on the timing of instructing medication. For example, before the medication time, the medication instruction message may include information about the time corresponding to the medication time and the time remaining until the medication time. In addition, if the medication time can be informed that the medication time. If it has passed since the medication time, the medication instruction message may include the fact that the medication time has passed, the time elapsed from the medication time, and a warning indicating that the medication was not taken. In addition, the medication instruction message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timing of instructing the medication. For example, the medication instruction message before the medication period may be output as a small sound or as an image. The medication instruction message after the medication period may be output aloud.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오남용방지방법에 대하여 도 18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남용방지방법에 관한 순서도이다.Hereinafter, a method for preventing misu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8. 1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preventing misu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약상자(100)는 복약스케줄에 따라 복약지시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이로써 복용자는 복약시기에 제때 약을 복용할 수 있다. 그런데 유아나 노인의 경우에는, 일반인에 비하여 주의력이 약할 수 있어 복약시기가 아님에도 불구하고 약을 복용하거나 또는 복용한 약을 다시 재복용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또 약물의존성 환자의 경우에는 필요 이상의 약을 복용하려고 할 수 있으며, 인지력이 약한 영아의 경우에 실수로 약상자(100)에서 약을 먹을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약상자(100)는 복약스케줄에 따라 복약지시를 하는 것 이외에 별도로 약의 오용 및 남용을 방지할 필요성이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medicine box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output a medication instruction message according to the medication schedule. This allows the person to take the medicine on time during the medication. However, in the case of infants and the elderly, the attention can be weak compared to the general public, even if not taking the drug may take the drug or retake the medicine again. In the case of drug-dependent patients may try to take more than necessary drugs, in the case of infants with weak cognition, there is a possibility of accidentally taking medicine in the medicine box (100). Therefore, the medicine box 100 is required to prevent the misuse and abuse of the drug separately in addition to the medication instructions according to the medication schedule.

본 발명에 따른 약상자(100)의 제어부(160)는 해당 복약시기에 약을 복용한 경우에는 다음 복약시기까지 약을 복용하지 못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먼저 제어부(160)는 현재 복약시기에 해당하는 약이 배출되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S201). 여기서 제어부(160)가 후술할 복약확인정보에 근거하여 현재 복약시기에 해당하는 약이 배출된 것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이러한 판단결과에 따라 현재 복약시기의 약이 복용된 경우에는 개구(130), 보관함(120) 및 뚜껑(135)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함으로써 약물의 오남용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60)는 현재시간이 복약시기 전후의 일정시간 범위 내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이에 따라 오남용을 방지할 수 있다(S202). 제어부(160)는 현재 복약시기에 해당하는 약이 배출된 경우에는, 개구(130) 또는 보관함(120)의 이동을 제어하여 다음 복약시기의 보관함(120)이 개방되지 아니하도록 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약상자(100)는 복약시기임에도 해당 약을 복용하지 않은 경우에는 보관함(120)이 개방되도록 할 수 있다(S203a). 또 다른 예를 들어, 제어부(160)는 뚜껑(135)을 제어하여 현재 복약시기의 약이 복용된 경우 다음 복약시기까지 뚜껑(135)이 열리지 아니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S203b). 이로써, 복용자가 다음 복약시기까지 다음 복약시기의 약을 복용할 수 없을 효과가 있을 수 있다.
The controller 160 of the medicine box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control the medicines to be taken until the next medication time when the medicines are taken at the medication time. First, the controller 160 may determine whether the medicine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medication time is discharged (S201). Here, the controller 160 may determine whether the medicine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medication time is discharged based on the medication confirmation information to be described later.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the controller 160 may prevent misuse of the drug by controlling at least one of the opening 130, the storage box 120, and the lid 135 when the medicine of the current medication time is taken. For example, the controller 160 may determine whether the current time is within a predetermined time range before and after the medication time and thereby prevent misuse (S202). When the medicine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medication time is discharged, the controller 160 may control the movement of the opening 130 or the storage box 120 so that the storage box 120 of the next medication time is not opened. For another example, the medicine box 100 may be to open the storage box 120 in the case of not taking the medicine even during the medication time (S203a). As another example, the controller 160 may control the lid 135 to control the lid 135 to not open until the next medication time when the medicine at the current medication time is taken (S203b). As a result, there may be an effect that the user cannot take the medicine of the next medication period until the next medication period.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약상자(100)의 또 다른 구성에 대해서 도 2 및 도 1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약상자(100)의 구성도이고,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울기센서(140)에 관한 도면이다.Hereinafter, another configuration of the medicine box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and 19. 2 is a block diagram of the medicine box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9 is a view of the tilt sensor 14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약상자(100)는 약상자(100)의 기울기를 감지하는 기울기센서(140), 보관함(120)의 개방여부를 판단하는 개방센서(150)를 포함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2, the medicine box 100 may include an inclination sensor 140 that detects an inclination of the medicine box 100 and an opening sensor 150 that determines whether the storage box 120 is open.

먼저 기울기센서(140)는 약상자(100)의 기울기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울기센서(140)는 약상자(100)가 정립상태인지 도립상태인지를 감지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기울기센서(140)는 약상자(100)가 중력방향을 기준으로 몇 도 기울어졌는지를 감지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립상태인 경우가 0도라면 도립상태인 경우는 180도로 정의될 수 있다. 또는 약상자(100)가 수직상태인 경우에는 90도일 수 있다. 기울기센서(140)는 약상자(100)의 하우징(110) 또는 보관함(120), 보관함(120)이 복수인 경우의 그 중 어느 하나의 보관함(120)의 기울기를 감지할 수 있다. 복수의 보관함(120) 중의 어느 하나의 보관함(120)은 예를 들어, 현 복약시기에 해당하는 약제가 들어있는 보관함(120)이거나 또는 내부가 외부로 노출된 보관함(120)일 수 있다. First, the tilt sensor 140 may detect the tilt of the medicine box 100. For example, the tilt sensor 140 may detect whether the medicine box 100 is upright or inverted. As another example, the tilt sensor 140 may detect how many degrees the medicine box 100 is tilted based on the gravity direction. In this case, as shown in FIG. 19, if the upright state is 0 degrees, the upright state may be defined as 180 degrees. Alternatively, when the medicine box 100 is in a vertical state, it may be 90 degrees. The inclination sensor 140 may detect the inclination of any one of the storage boxes 120 when the housing 110 or the storage box 120 and the storage box 120 of the medicine box 100 is plural. Any one of the plurality of storage boxes 120 (120), for example, may be a storage box 120 containing a drug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medication time or a storage box 120 is exposed to the outside.

기울기센서(140)는 약상자(100)의 일측에 마련될 수 있다. 약상자(100)의 일측이란, 예를 들어, 하우징(110)의 일측 또는 보관함(120)의 일측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기울기센서(140)는 하우징(110)에 장착되어 하우징(110)의 기울기를 감지하거나 또는 보관함(120)에 장착되어 보관함(120)의 기울기를 감지할 수 있다.The tilt sensor 140 may be provided at one side of the medicine box 100. One side of the medicine box 100 may be, for example, one side of the housing 110 or one side of the storage box 120. As described above, the inclination sensor 140 may be mounted on the housing 110 to detect the inclination of the housing 110 or mounted on the storage box 120 to detect the inclination of the storage box 120.

이러한 기울기센서(140)는 약상자(100)의 기울기를 감지하는데, 기울기센서(140)는 예를 들어, 가속도센서, 중력센서, 지자기센서, 자이로센서가 있을 수 있다. 또는 기울기센서(140)는 복수의 센서의 조합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울기센서(140)는 가속도센서와 지자기센서의 조합일 수 있다. 공간상에서 보다 정확한 약상자(100)의 기울기 또는 자세를 감지하기 위하여 복수의 기울기센서(140)가 사용될 수 있다. 기울기센서(140)는 예를 들어, XYZ축의 3방향의 가속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3개의 가속도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즉, 기울기센서(140)는 3축 가속도센서일 수 있다.
The inclination sensor 140 detects the inclination of the medicine box 100, and the inclination sensor 140 may include, for example, an acceleration sensor, a gravity sensor, a geomagnetic sensor, and a gyro sensor. Alternatively, the tilt sensor 140 may be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sensors. For example, the tilt sensor 140 may be a combination of an acceleration sensor and a geomagnetic sensor. A plurality of tilt sensors 140 may be used to detect a tilt or posture of the medicine box 100 more accurately in space. The tilt sensor 140 may be configured of three acceleration sensors, for example, to measure acceleration in three directions of the XYZ axis. That is, the tilt sensor 140 may be a three-axis acceleration sensor.

다음으로 개방센서(150)는 보관함(120)의 개방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보관함(120)의 개방여부란 보관함(120)이 개방되었는지 여부를 의미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개방여부는 보관함(120)의 내부가 약상자(100)의 외부로 개방 또는 노출되었는지 여부를 의미할 수 있다. 개구(130) 및 뚜껑(135)에 대한 설명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보관함(120)은 개구(130) 또는 뚜껑(135)에 의하여 그 내부가 약상자(100)의 외부로 개방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내부의 약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는 상태가 될 수 있다. 개방센서(150)는 이러한 보관함(120)의 내부가 외부로 개방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보관함(120)의 내부는 개구(130)와 보관함(120)이 대응되는 지점에 위치하거나 또는 보관함(120)의 전부 또는 일부가 개구(130)를 통해 하우징(110) 외부로 토출됨으로써 개방될 수 있다.Next, the open sensor 150 may detect whether the storage box 120 is open. Here, whether the storage box 120 is open may mean whether the storage box 120 is open. In other words, whether the opening is open may mean whether the inside of the storage box 120 is opened or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medicine box 100. As described above in the description of the opening 130 and the lid 135, the storage box 120 may be opened to the outside of the medicine box 100 by the opening 130 or the lid 135, so Therefore, the medicine inside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e open sensor 150 may detect whether the inside of the storage box 120 is opened to the outside. Here, the inside of the storage box 120 may be opened at a point where the opening 130 and the storage box 120 correspond to each other, or all or a portion of the storage box 120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110 through the opening 130. Can be.

개방센서(150)는 보관함(120), 개구(130), 뚜껑(135) 및 하우징(110) 중 적어도 하나에 마련될 수 있다. 보관함(120)이 복수인 경우에는 복수의 보관함(12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관함(120)에 마련될 수 있다. 또는 개방센서(150)는 각각의 보관함(120)마다 모두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개방센서(150)는 광센서 또는 스위치일 수 있다.The opening sensor 150 may be provided in at least one of the storage box 120, the opening 130, the lid 135, and the housing 110.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storage boxes 120, the plurality of storage boxes 120 may be provided in at least one or more storage boxes 120. Alternatively, the open sensor 150 may be provided for each storage box 120. The open sensor 150 may be an optical sensor or a switch.

개방센서(150)는 광센서일 수 있다. 광센서는 예를 들어, 적외선센서, 가시광센서, 자외선센서 등일 수 있다. 여기서 광센서는 빛을 조사하는 발광부 및 빛을 수용하는 수광부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광부는 발광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이고, 수광부는 수광다이오드(photo diode)일 수 있다.The open sensor 150 may be an optical sensor. The light sensor may be, for example, an infrared sensor, a visible light sensor, an ultraviolet sensor, or the like. The optical sensor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light emitting unit for emitting light and a light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light. For example, the light emitting unit may be a light emitting diode (LED), and the light receiving unit may be a photodiode (photo diode).

개방센서(150)는 발광부와 수광부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발광부는 일정한 주파수의 빛을 조사할 수 있으며 수광부는 그 일정한 주파수의 빛을 수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개방센서(150)는 보관함(120)에 마련되되,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광부는 조사된 빛이 보관함(120)이 외부로 개방된 상태에서는 반사되지 아니하고 외부로 개방되지 아니한 상태에서는 조사된 빛이 반사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수광부는 반사되는 빛을 수용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수광부에서의 빛의 수용여부에 따라 보관함(120)의 내부가 약상자(100)의 외부로 개방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센서(150) 중 발광부와 수광부 중 하나는 보관함(120)에 또 다른 하나는 개구(130) 또는 뚜껑(135)에 마련되되, 보관함(120)이 개방된 경우에는 발광부에 조사된 빛이 수광부로 수용되지 아니하고, 개방되지 아니한 경우에는 빛이 수용되게 마련할 수 있다. 따라서, 수광부의 빛 수광여부에 따라 보관함(120)의 개방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The open sensor 150 may include a light emitting unit and a light receiving unit. The light emitter may emit light of a constant frequency and the light receiver may receive light of a constant frequency. For example, the opening sensor 150 is provided in the storage box 120, but as shown in FIG. 20, the light emitting unit is not reflected when the light is irradiated from the storage box 120 to the outside and is not opened to the outside. In the non-state, the irradiated light may be provided to be reflected. The light receiving unit may be provided to receive the reflected light. Therefore, it is possible to detect whether the inside of the storage box 120 is opened to the outside of the medicine box 100 according to whether the light is received in the light receiving unit. For another example, as shown in FIG. 21, one of the light emitting unit and the light receiving unit of the open sensor 150 is provided in the storage box 120, and the other is provided in the opening 130 or the lid 135. When the 120 is open, the light irradiated to the light emitting unit is not received by the light receiving unit, and when not opened, the light may be provided to be accommodated. Therefore, the opening of the storage box 120 may be detected according to whether the light receiving unit receives light.

개방센서(150)는 수광부만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에를 들어,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관함(120) 내부에 수광부를 마련하여, 수광부가 보관함(120)이 외부로 개방된 경우에는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빛을 수광하고, 노출되지 아니한 경우에는 빛을 수용하지 아니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개방센서(150)는 수광부의 빛 수용여부에 따라 개방여부를 감지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관함(120)의 내부가 외부와 차단된 경우에는 빛이 들어오지 아니하므로 수광부는 실질적으로 빛을 수용할 수 없을 수 있다. 한편 보관함(120)의 내부가 외부로 노출된 경우에는 외부로부터 빛이 들어올 수 있으므로 수광부는 실질적으로 빛을 수용할 수 있다. 따라서 수광부는 외부로부터 빛을 수용하여 보관함(120)의 내부가 외부에 개방된 것을 감지할 수 있다.The open sensor 150 may be configured of only a light receiving unit. For example, as illustrated in FIG. 22, a light receiving unit is provided in the storage box 120, and when the light receiving unit is open to the outside, the light receiving unit receives light from the outside, and the light is not exposed. May not be accepted. Accordingly, the open sensor 150 may detect whether the light is opened depending on whether light is received by the light receiver. For example, when the inside of the storage box 120 is blocked from the outside, light does not enter, and thus the light receiving unit may not substantially receive light. Meanwhile, when the inside of the storage box 120 is exposed to the outside, light may enter from the outside, and thus the light receiving unit may substantially receive the light. Therefore, the light receiving unit may receive the light from the outside to detect that the inside of the storage box 120 is open to the outside.

개방센서(150)는 스위치일 수 있다. 이러한 스위치는 보관함(120)과 개구(130)의 연통여부, 개구(130)를 통한 보관함(120)의 토출여부 및 뚜껑(135)에 의한 개구(130)의 개폐여부를 검출하여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이러한 신호들에 근거하여 보관함(120)의 개방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60)는 스위치로부터 보관함(120)이 개구(130)를 통해 연통되고 동시에 뚜껑(135)에 의해 개구(130)가 열린 상태라는 신호를 수신하면 보관함(120)이 열린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60)는 스위치로부터 개구(130)를 통해 보관함(120)이 토출된 것을 지시하는 신호를 수신하면 보관함(120)이 개방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스위치는 제어부(160)를 단락하도록 마련되어 보관함(120)과 개구(130)가 연결된 경우에만 제어부(160)가 기울기센서(140)로부터 신호를 입력받도록 할 수 있다. 이로써, 스위치는 보관함(120)의 개방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The open sensor 150 may be a switch. Such a switch may generate a signal by detecting whether the storage box 120 and the opening 130 communicate, whether the storage box 120 is discharged through the opening 130, and whether the opening 130 is opened or closed by the lid 135. have. The controller 160 may determine whether the storage box 120 is opened based on these signals. For example, the controller 160 receives the signal from the switch when the storage box 120 communicates through the opening 130 and at the same time receives a signal indicating that the opening 130 is opened by the lid 135. You can judge. Alternatively, when the control unit 160 receives a signal indicating that the storage box 120 is discharged through the opening 130 from the switch, the controller 160 may determine that the storage box 120 is open. For another example, the switch may be provided to short the control unit 160 to allow the control unit 160 to receive a signal from the tilt sensor 140 only when the storage box 120 and the opening 130 are connected. As a result, the switch can detect whether the storage box 120 is open.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복약확인방법에 대하여 도 2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약확인방법에 관한 순서도이다.Hereinafter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ure 23 with respect to the medication check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dication check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복약확인방법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약상자(100)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이때, 약상자(100)는 본 발명에 따른 복약확인방법을 용이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이용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복약확인방법은 본 발명에 따른 약상자(100)에 의해 한정되지 아니한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medication check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described using the medicine box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t this time, the medicine box 100 is to be used to easily explain the medication check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medication check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medicine box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복약확인방법은 본 발명에 따른 약상자(100)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다른 장치를 이용할 수 있다.Medication confirm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use another device that performs the same function as the medicine box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복약확인은, 복용자가 약상자(100)의 보관함(120)에 보관된 약을 복용하였는지 여부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복약확인은 보관함(120)의 내부에 보관된 약이 외부로 배출되었는지 여부, 즉 약배출여부에 따라 정해질 수 있다.Medication confirmation, may mean whether or not the user taking the medicine stored in the storage box 120 of the medicine box (100). Medication confirm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determined depending on whether the drug stored in the inside of the storage box 120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at is, whether the drug is discharged.

약이 배출되려면 먼저 보관함(120)이 개방될 수 있다. 여기서 보관함(120)은 먼저 하우징(110)의 개구(130)가 마련된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개구(130)가 있는 지점으로 이동한 보관함(120)은 개구(130)에 의해 개방될 수 있다. 상술한 대로 보관함(120)은 개구(130)와 연통되거나 또는 개구(130)를 통해 보관함(120)의 적어도 일부가 토출됨으로써 개방될 수 있다. 이때 약상자(100)에 뚜껑(135)이 포함된 때에는 뚜껑(135)에 의해 개구(130)가 열릴 수 있다. In order for the medicine to be discharged, the storage box 120 may first be opened. Here, the storage box 120 may first move to a position where the opening 130 of the housing 110 is provided. The storage box 120 moved to the point where the opening 130 is located may be opened by the opening 130. As described above, the storage box 120 may communicate with the opening 130 or may be opened by discharg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storage box 120 through the opening 130. In this case, when the lid 135 is included in the medicine box 100, the opening 130 may be opened by the lid 135.

이러한 보관함(120)의 개방여부는 도 20, 도 21 및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센서(150)에 의해 감지될 수 있다(S301). 여기서 개방센서(150)는 광센서와 같은 감지장치 또는 스위치와 같은 검출장치일 수 있다. 개방센서(150)는 이러한 개방여부를 감지하여 이를 지시하는 신호를 제어부(160)로 전송하거나 또는 개방된 경우에만 제어부(160)가 약배출여부를 판단하도록 할 수 있다.The opening of the storage box 120 may be detected by the opening sensor 150 as shown in FIGS. 20, 21 and 22 (S301). The open sensor 150 may be a detection device such as a light sensor or a detection device such as a switch. The open sensor 150 may detect such an openness and transmit a signal indicating this to the control unit 160 or allow the control unit 160 to determine whether the medicine is discharged only when it is opened.

개방센서(150)는 항상 작동할 수 있다. 이에 대해 제어부(160)는, 개방센서(150)가 일정한 시간간격 동안에만 작동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일정한 시간간격이란 보관함(120)이 개방될 것으로 예측되는 미리 정해진 시기 또는 보관함(120)의 개방여부를 감지할 필요성이 있는 미리 정해진 시기일 수 있다. 보다 상세한 예를 들어, 이런 미리 정해진 시기는 복약시간 또는 그 전후의 일정한 시간 동안일 수 있다. 이로써, 약상자(100)는 개방센서(150)가 항상 동작하는 경우보다 적은 에너지를 소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open sensor 150 can always operate. On the other hand, the controller 160 may control the open sensor 150 to operate only during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For example, the predetermined time interval may be a predetermined time when the storage box 120 is expected to be opened or a predetermined time when it is necessary to detect whether the storage box 120 is open. For a more detailed example, this predetermined time period may be for a time before or after the medication time. As a result, the medicine box 100 has an effect of consuming less energy than when the open sensor 150 is always operated.

제어부(160)는 이러한 개방센서(150)에 의해 보관함(120)이 개방된 경우에만 약배출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60)는 개방센서(150)로부터 보관함(120)이 개방된 것을 지시하는 신호를 전달받아 이에 근거하여 약배출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302). The controller 160 may determine whether the medicine is discharged only when the storage box 120 is opened by the open sensor 150. Alternatively, the controller 160 may receive a signal indicating that the storage box 120 is opened from the open sensor 150 and determine whether the medicine is discharged based on the received signal (S302).

기울기센서(140)는 약상자(100), 보관함(120) 및 하우징(110) 중 적어도 하나의 기울기나 자세를 감지할 수 있다(S303). 본 발명에 따른 약상자(100)에 있어서, 약이 배출되기 위해서는 약이 수용된 보관함(120)이 개방된 상태로 되어야 한다. 그러나 보관함(120)이 개방된 것만으로는 약이 배출되지 아니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보관함(120)이 개방된 후 약상자(100)가 도립상태가 되면 약이 중력에 의해 보관함(120)으로부터 배출될 수 있다. 또는 반대의 순서로 약상자(100)가 도립상태가 된 후 보관함(120)이 열려서 역시 중력에 의해 보관함(120)으로부터 약이 배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는 약상자(100)는 기울기센서(140)로 이러한 약상자(100)의 기울기나 자세를 감지함으로써 약배출여부에 대해 보다 정확한 판단을 할 수 있다. 이러한 기울기센서(140)는 감지한 기울기 또는 자세에 관한 신호를 제어부(160)로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울기센서(140)는 3축 가속도센서로서, 약상자(100)의 일측에 마련되어 약상자(100)의 기울기를 감지할 수 있다.The tilt sensor 140 may detect an inclination or posture of at least one of the medicine box 100, the storage box 120, and the housing 110 (S303). In the medicine box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for the medicine to be discharged, the storage box 120 containing the medicine should be in an open state. However, the medicine 120 may not be discharged only by opening the storage box 120. For example, when the medicine box 100 is inverted after the storage box 120 is opened, the medicine may be discharged from the storage box 120 by gravity. Alternatively, after the medicine box 100 is inverted in the reverse order, the storage box 120 is opened so that medicine may be discharged from the storage box 120 by gravity. Therefore, the medicine box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make a more accurate determination of whether the medicine is discharged by detecting the inclination or posture of the medicine box 100 by the inclination sensor 140. The tilt sensor 140 may transmit a signal regarding the detected tilt or posture to the controller 160.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9, the inclination sensor 140 is a three-axis acceleration sensor and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medicine box 100 to detect the inclination of the medicine box 100.

기울기센서(140)는 항상 작동하거나 또는 특정한 조건에서 작동할 수 있다. 기울기센서(140)는 기울기를 감지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만 선택적으로 작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60)는 특정한 조건에 해당하는 경우에만 기울기센서(140)가 작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특정한 조건이란, 기울기를 감지할 필요가 있는 시기일 수 있다. 이때, 기울기를 감지할 필요가 있는 시기는, 개방센서(150)에 의해 보관함(120)이 개방된 때 또는 복약스케줄에 따른 복약시기로부터 일정한 시간 이내에 속하는 시간 동안 일 수 있다. 이와 같이 기울기센서(140)가 특정한 조건에서만 작동하는 경우에는, 기울기센서(140)가 보다 적은 에너지를 소모하는 효과가 있을 수 있다.Tilt sensor 140 may operate at all times or under certain conditions. The tilt sensor 140 may selectively operate only when it is necessary to detect tilt. For example, the controller 160 may control the tilt sensor 140 to operate only when a specific condition is met. The specific condition may be a time when it is necessary to detect the tilt. In this case, the time necessary to detect the tilt may be during the time when the storage box 120 is opened by the opening sensor 150 or within a predetermined time from the medication time according to the medication schedule. As such, when the inclination sensor 140 operates only in a specific condition, the inclination sensor 140 may have an effect of consuming less energy.

제어부(160)는 보관함(120)의 개방여부 및 약상자(100)의 기울기에 따라 약배출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304). 제어부(160)는 개방센서(150)가 감지한 보관함(120)의 개방여부 및 기울기센서(140)가 감지한 약상자(100)의 기울기에 따라 약배출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60)는 개방센서(150)로부터 수신한 신호가 보관함(120)이 개방된 것을 지시하고, 기울기센서(140)로부터 수신한 신호가 약상자(100)의 기울기가 미리 정해진 기울기 범위 내에 속하는 것을 지시하는 경우, 이에 근거하여 약이 배출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S305a). 또, 기울기가 미리 정해진 범위에 속하지 아니하는 경우에는 약이 배출되지 아니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S305b). 또 다른 예를 들어, 제어부(160)는 개방센서(150)로부터 보관함(120)이 개방된 것을 지시하는 신호를 받은 경우에만 기울기센서(140)로부터 약상자(100)의 기울기를 지시하는 신호를 수신하고, 기울기를 지시하는 상기 신호가 약상자(100)의 기울기가 미리 정해진 기울기범위 내에 해당하는 기울기를 지시하는 경우에 약이 배출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는, 개방센서(150)가 개구(130)와 보관함(120)과 연통된 것 및 뚜껑(135)에 의해 개구(130)가 열린 것을 검출한 경우, 제어부(160)가 기울기센서(140)로부터 신호를 수신받다 그 신호에 근거하여 약상자(100)로부터 약이 배출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다시 또 다른 예로는 먼저 기울기센서(140)로부터 감지한 기울기를 지시하는 신호를 수신받고, 그 신호가 기울기가 미리 정해진 범위에 속하는 것을 지시하는 경우에 개방센서(150)로부터 보관함(120)의 개방여부에 관한 신호를 수신받아 약배출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The controller 160 may determine whether the medicine is discharged according to whether the storage box 120 is opened and the inclination of the medicine box 100 (S304). The controller 160 may determine whether the medicine is discharged according to whether the storage box 120 sensed by the open sensor 150 and the inclination of the medicine box 100 detected by the tilt sensor 140. For example, the controller 160 indicates that the signal received from the open sensor 150 is the storage box 120 is opened, and the signal received from the tilt sensor 140 is a predetermined slope of the medicine box 100. When instructing to fall within the range,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drug is discharged based on this (S305a). In addition, if the slope does not belong to a predetermined range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 drug is not discharged (S305b). For another example, the controller 160 receives a signal indicating the inclination of the medicine box 100 from the tilt sensor 140 only when a signal indicating that the storage box 120 is opened from the open sensor 150 is received. In addition, when the signal indicating the slope indicates the inclination corresponding to the inclination of the medicine box 100 within a predetermined inclination range,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medicine is discharged. In another example, when the opening sensor 150 detects that the opening 130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opening 130 and the storage box 120 and the opening 130 is opened by the lid 135, the control unit 160 determines the inclination sensor ( Receive a signal from the 140 may determine whether the medicine is discharged from the medicine box 100 based on the signal. In another example, first, a signal indicating an inclination sensed by the inclination sensor 140 is received, and when the signal indicates that the inclination falls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the opening of the storage box 120 from the opening sensor 150. Receiving a signal on whether or not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o discharge.

제어부(160)는 기울기가 미리 정해진 범위 내로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유지되는 경우에 약이 배출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60)는 약상자(100)가 도립상태로 2초간 유지되는 경우에 약이 배출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기울기를 지속적으로 감지하여 약배출여부를 판단하는 약상자(100)는, 순간적으로 약상자(100)가 뒤집어졌다 약이 배출되지 아니하고 다시 정립상태로 돌아가는 경우에는 약이 배출되지 아니한 것으로 판단하므로 보다 정확한 복약여부확인을 수행하는 효과가 있을 수 있다.The controller 160 may determine that the medicine is discharged when the slope is maintained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for a predetermined time. For example, the controller 160 may determine that the medicine is discharged when the medicine box 100 is maintained for 2 seconds in an inverted state. The medicine box 100 that continuously detects the tilt for such a predetermined time to determine whether the medicine is discharged, the medicine box 100 is turned over at the moment, if the medicine is not discharged and is returned to the sizing state that the medicine is not discharged As it is determined, it may be effective to perform a more accurate medication check.

여기서 미리 정해진 기울기의 범위는 약상자(100)가 해당 기울기로 기울어진 때에 개방된 보관함(120)으로부터 약이 배출되는 기울기를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약배출은 예를 들어, 중력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미리 정해진 기울기 범위는 예를 들어, 도립상태를 지시하는 180도일 수 있다. 또는 수직상태를 지시하는 90도 이상으로 정해질 수 있다. Here, the range of the predetermined tilt may refer to a slope in which the medicine is discharged from the open storage box 120 when the medicine box 100 is inclined at the corresponding slope. Such drug discharge can be carried out by gravity, for example. The predetermined tilt range may be, for example, 180 degrees indicating the inverted state. Or it can be set to 90 degrees or more indicating the vertical state.

여기서 미리 정해진 기울기는 보관함(120)의 형상에 의해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약상자(100)가 정립상태에서 보관함(120)의 하면이 지면과 수평하게 마련된 경우에는 약이 배출되기 위해서는 기울기가 90도 이상이어야 할 수 있다. 반면, 보관함(120)의 하면이 일정한 경사로 마련된 경우에는 그보다 적은 기울기로도 약이 배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관함(120)의 단면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성된 경우에는 약상자(100)가 45도의 기울기로 기울어져도 약이 배출될 수 있다. Herein, the predetermined slope may be changed by the shape of the storage box 120. For example, when the medicine box 100 is provided in the upright state when the lower surface of the storage box 120 is provided horizontally, the inclination of the medicine box may be 90 degrees or more. On the other hand, when the lower surface of the storage box 120 is provided with a constant inclination, the medicine may be discharged even with less inclination.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0, when the cross section of the storage box 120 is formed, the medicine may be discharged even when the medicine box 100 is inclined at an inclination of 45 degrees.

또한 미리 정해진 기울기는 개구(130)의 위치에 따라서도 변경될 수 있다. 상술한 기울기는 개구(130)가 하우징(110)의 상부에 마련된 경우를 가정하고 서술된 것인데, 이에 비해 개구(130)가 하우징(110)의 하면이나 측면에 위치한 경우에는 보다 작은 기울기에서도 약이 배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개구(130)가 하우징(110)의 측면에 마련된 경우에는 90도 이하의 기울기에서도 약이 배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20도나 30도에서도 개방된 보관함(120)으로부터 약이 배출될 수 있다. Also, the predetermined inclination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opening 130. The above-described inclination is described on the assumption that the opening 130 is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110. On the other hand, when the opening 130 is located on the lower surface or the side surface of the housing 110, the inclination is about the same. May be discharged. For example, when the opening 130 is provided at the side of the housing 110, the medicine may be discharged even at an inclination of 90 degrees or less. For example, medicine may be discharged from the open storage box 120 at 20 degrees or 30 degrees.

제어부(160)는, 이와 같이 보관함(120)의 개방여부 및 기울기에 따라 약배출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이러한 판단 결과를 포함하는 복약확인정보를 통신부(170)가 외부기기로 송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S306). 여기서 외부기기는 이동통신단말기(20), 복용자측단말기 및 건강관리서버(10)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이때, 이동통신단말기(20) 및 복용자측단말기는 약상자(100)로부터 수신한 복약확인정보를 건강관리서버(1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로써, 약상자(100)와 외부기기는 복약확인정보를 공유하고 이에 따라 복약관리시스템은 보다 효과적인 복용자의 복약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The controller 160 may determine whether the medicine is discharged according to whether the storage box 120 is opened or inclined 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ler 160 may control the communication unit 170 to transmit the medication confirmation information including the determination result to the external device (S306). Here, the external device may be at least on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 the taking side terminal and the health care server 10. At this tim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 and the taking side terminal may transmit the medication confirm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medicine box 100 to the health care server (10). As a result, the medicine box 100 and the external device share the medication confirmation information, and accordingly the medication management system can perform the medication management of the effective dose.

이처럼 제어부(160)에 의해 외부기기로 송신되는 복약확인정보는 약배출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복약확인정보는 복약여부에 관련된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복약에 관련된 정보는 예를 들어, 복용시점, 복약시기와 복용시점 간의 시간적 차이 등에 관한 정보 일 수 있다. As such, the medication confirmation information transmitted to the external device by the controller 160 may include drug discharge. Furthermore, the medication confirmation information may further include information related to medication.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medication may be, for example, information about a time of taking, a time difference between the time of taking the medication and the time of taking the medication.

이와 같은 복약확인정보에 대하여, 통신부(170)는 실시간으로 송신할 수 있다. 또는 통신부(170)는 미리 정해진 시점에 약배출여부를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미리 정해진 시점이란 복용시기 이후 일정한 시간이 경과한 시점일 수 있다. 또는 통신부(170)는 미리 정해진 회수 분의 복약확인정보를 일괄적으로 송신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170 may transmit the medication confirmation information in real time. Alternatively, the communication unit 170 may transmit whether the medicine is discharged at a predetermined time. Here, the predetermined time point may be a time point after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after the taking time. Alternatively, the communication unit 170 may collectively transmit medication confirmation information for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건강관리서버(10)는 약상자(100) 또는 이동통신단말기(20)로부터 복약확인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307). 건강관리서버(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신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으며, 이렇게 저장된 정보는 상술한 바와 같이 각 종 단말을 통해 복용자 또는 건강관리자 등에게 제공될 수 있다.
The health care server 10 may receive medication confirmation information from the medicine box 100 o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 (S307). As shown in FIG. 1, the health care server 10 may store the received information in a database, and the stored information may be provided to the doser or the health care manager through various terminals as described above.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본 문서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은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rawings. In addition,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is document can be applied to not only the present invention, but also all or some of the embodiments may be selectively combined so that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10: 건강관리서버 11: 병원측 단말기
12: 약국측 단말기 13: 건강관리센터측 단말기
20: 이동통신단말기
21: 이동통신단말기 22: 이동통신단말기 23: 이동통신단말기
100: 약상자
110: 하우징 111: 상부하우징 112: 하부하우징
120: 보관함 130: 개구 135: 뚜껑
140: 기울기센서 150: 개방센서 160: 제어부
165: 저장부 170: 통신부 180: 입력부
185: 출력부 190 구동부 195: 전원부
10: Health Care Server 11: Hospital Terminal
12: pharmacy terminal 13: health care center terminal
20: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1: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2: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3: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medicine box
110: housing 111: upper housing 112: lower housing
120: storage box 130: opening 135: lid
140: tilt sensor 150: open sensor 160: control unit
165: storage unit 170: communication unit 180: input unit
185: output section 190 driving section 195: power supply section

Claims (23)

휴대용 약상자에 있어서,
일측에 개구가 형성된 하우징;
내부에 약이 수용되는 보관함;
상기 약상자의 기울기를 감지하는 기울기센서; 및
약배출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보관함이 개방된 때, 상기 기울기센서가 감지한 기울기가 미리 정해진 범위 내인 경우 상기 보관함으로부터 상기 약이 배출되는 것으로 판단하는
휴대용 약상자.
In portable medicine box,
A housing having an opening formed at one side thereof;
Storage container for medicine therein;
A tilt sensor for detecting a tilt of the medicine box; And
And a controller for determining whether the medicine is discharged.
The control unit may determine that the medicine is discharged from the storage box when the inclination detected by the inclination sensor is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when the storage box is opened.
Portable medicine box.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관함은, 상기 개구와 연통됨에 따라 개방되는
휴대용 약상자.
The method of claim 1,
The storage box is opened as it communicates with the opening.
Portable medicine box.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개구와 상기 보관함의 연통여부에 따라 상기 보관함의 개방여부를 판단하는
휴대용 약상자.
The method of claim 2,
The controller determines whether the storage box is open according to whether the opening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storage box.
Portable medicine box.
제1항에 있어서,
뚜껑;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개구는, 상기 뚜껑에 의해 개폐되는
휴대용 약상자.
The method of claim 1,
It further comprises a lid;
The opening is opened and closed by the lid
Portable medicine box.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보관함과 상기 개구의 연통여부 및 상기 뚜껑에 의한 상기 개구의 개폐여부에 따라 상기 보관함의 개방여부를 판단하는
휴대용 약상자.
5. The method of claim 4,
The control unit determines whether the storage box is opened according to whether the storage box and the opening are in communication and whether the opening is opened or closed by the lid.
Portable medicine box.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관함은, 상기 개구를 통해 적어도 일부가 하우징 외부로 토출됨에 따라 개방되는
휴대용 약상자.
The method of claim 1,
The storage box is opened as at least a portion of the storage box is discharged out of the housing through the opening.
Portable medicine box.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보관함의 토출여부에 따라 상기 보관함의 개방여부를 판단하는
휴대용 약상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controller determines whether the storage box is open according to whether the storage box is discharged.
Portable medicine box.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관함의 개방여부를 감지하는 개방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개방센서가 감지한 결과에 따라 상기 보관함의 개방여부를 판단하는
휴대용 약상자.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n opening sensor for detecting whether the storage box is open
The controller determines whether the storage box is open based on a result detected by the opening sensor.
Portable medicine box.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센서는 광센서인
휴대용 약상자.
9. The method of claim 8,
The opening sensor is an optical sensor
Portable medicine box.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센서는, 발광다이오드 및 포토다이오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휴대용 약상자.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opening sensor includes at least one of a light emitting diode and a photodiode.
Portable medicine box.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울기센서는, 가속도센서, 지자기센서, 중력센서 및 자이로센서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약상자.
The method of claim 1,
The inclination sensor is at least one of an acceleration sensor, a geomagnetic sensor, a gravity sensor and a gyro sensor
Portable medicine box.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관함은, 일면이 일정한 경사로 형성된
휴대용 약상자.
The method of claim 1,
The storage box, one surface is formed with a constant slope
Portable medicine box.
제1항에 있어서,
외부기기와 통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가 상기 약배출여부에 대한 판단의 결과를 송출하도록 제어하는
휴대용 약상자.
The method of claim 1,
It further comprises a communication unit for communicating with an external device,
The controller controls the communication unit to transmit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on whether the medicine is discharged.
Portable medicine box.
제1항에 있어서,
복약스케줄을 저장하는 저장부; 및 출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출력부가 상기 복약스케줄에 근거하여 미리 정해진 시간에 복약을 지시하는 메시지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휴대용 약상자.
The method of claim 1,
A storage unit for storing a medication schedule; And an output unit;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output unit to output a message instructing to take a medication at a predetermined time based on the medication schedule.
Portable medicine box.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약스케줄에 근거하여 상기 보관함이 미리 정해진 시간에 개방되도록 제어하는
휴대용 약상자.
15. The method of claim 14,
The control unit controls to open the storage box at a predetermined time based on the medication schedule
Portable medicine box.
제14항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받는 입력부; 및 외부기기와 통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 또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복약스케줄 및 처방전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하고, 상기 처방전정보만을 획득한 경우에는, 상기 처방전정보에 근거하여 복약스케줄을 생성하는
휴대용 약상자.
15. The method of claim 14,
An input unit to receive an input from a user; And a communication unit configured to communicate with an external device.
The control unit obtains at least one of the medication schedule and prescription information through the input unit or the communication unit, and when only the prescription information is obtained, generates the medication schedule based on the prescription information.
Portable medicine box.
내부에 약이 수용되는 보관함을 포함하는 휴대용 약상자를 이용하는 복약관리방법에 있어서,
상기 보관함이 개방되는 단계;
상기 약상자의 기울기를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보관함이 개방된 때, 상기 기울기가 미리 정해진 범위 내인 경우, 상기 보관함에서 상기 약이 배출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용 약상자를 이용한 복약관리방법.
In the medication management method using a portable medicine box including a storage box for receiving the medicine therein,
Opening the storage box;
Detecting a tilt of the medicine box; And
Determining that the medicine is discharged from the storage box when the inclination is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when the storage box is opened;
Medication management method using a portable medicine box.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보관함의 개방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 약상자를 이용한 복약관리방법.
18. The method of claim 17,
Determining whether the storage box is opened; further comprising:
Medication management method using a portable medicine box.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한 약배출여부를 외부기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 약상자를 이용한 복약관리방법.
18. The method of claim 17,
And transmitting the determined drug discharge to an external device.
Medication management method using a portable medicine box.
제19항에 있어서,
복약스케줄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복약스케줄에 근거하여 미리 정해진 시간에 복약을 지시하는 메시지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 약상자를 이용한 복약관리방법.
20. The method of claim 19,
Obtaining a medication schedule; And
Outputting a message indicative of medication at a predetermined time based on the medication schedule;
Medication management method using a portable medicine box.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복약스케줄에 근거하여 미리 정해진 시간에 상기 보관함이 개방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 약상자를 이용한 복약관리방법.
21. The method of claim 20,
Further comprising opening the storage box at a predetermined time based on the medication schedule.
Medication management method using a portable medicine box.
휴대용 약상자에 있어서,
일측에 개구가 형성된 하우징;
내부에 약이 수용되는 보관함;
상기 보관함의 개방여부를 감지하는 개방센서;
상기 약상자의 기울기를 감지하는 기울기센서; 및
상기 개방여부 및 상기 기울기에 근거하여 약배출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약상자.
In portable medicine box,
A housing having an opening formed at one side thereof;
Storage container for medicine therein;
An opening sensor for detecting whether the storage box is open;
A tilt sensor for detecting a tilt of the medicine box; And
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determine whether the medicine is discharged based on the opening and the slope.
Portable medicine box.
휴대용 약상자에 있어서,
일측에 개구가 형성된 하우징;
내부에 약이 수용되는 보관함;
상기 보관함의 개방여부를 감지하는 개방센서;
상기 약상자의 기울기를 감지하는 기울기센서; 및
상기 보관함이 개방된 때,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상기 기울기가 미리 정해진 범위 내로 유지되는 경우에 약이 배출된 것으로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약상자.
In portable medicine box,
A housing having an opening formed at one side thereof;
Storage container for medicine therein;
An opening sensor for detecting whether the storage box is open;
A tilt sensor for detecting a tilt of the medicine box; And
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determine that the medicine is discharged when the inclination is maintained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for a predetermined time when the storage box is opened.
Portable medicine box.
KR1020100061016A 2010-06-28 2010-06-28 A pill box and a method for managing an administration of a medication KR101233799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1016A KR101233799B1 (en) 2010-06-28 2010-06-28 A pill box and a method for managing an administration of a medication
PCT/KR2010/005553 WO2012002609A1 (en) 2010-06-28 2010-08-20 Medicine box and method for managing medicine dosage us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1016A KR101233799B1 (en) 2010-06-28 2010-06-28 A pill box and a method for managing an administration of a medica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0659A KR20120000659A (en) 2012-01-04
KR101233799B1 true KR101233799B1 (en) 2013-02-18

Family

ID=454022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1016A KR101233799B1 (en) 2010-06-28 2010-06-28 A pill box and a method for managing an administration of a medication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233799B1 (en)
WO (1) WO2012002609A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4974B1 (en) * 2015-09-04 2017-10-12 (주)매직에코 Smart clip and system for managing medicine dose using the same
KR102126860B1 (en) * 2018-12-19 2020-06-25 주식회사 한국인삼공사 Container of Presence or absence check for dosing
KR20210059262A (en) 2019-11-15 2021-05-25 김선주 Medicine box with medication guidance function composed of tilt sensor
KR20220050394A (en) 2020-10-16 2022-04-25 정성욱 Automatic Medication Supply Device and System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657968B (en) * 2014-03-21 2019-05-01 美商通路實業集團國際公司 Dispenser
CN104000726B (en) * 2014-06-09 2017-09-12 嘉兴太美医疗科技有限公司 A kind of intelligent medicine box system
WO2018080239A1 (en) * 2016-10-29 2018-05-03 박서준 Passage device, medication intake management device, and content movement mechanism
EP3439614B1 (en) 2017-03-20 2020-06-17 Access Business Group International Llc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intake compliance
CN107028767A (en) * 2017-06-02 2017-08-11 黄文佳 A kind of intelligent medicine box and its medication determination methods
WO2019017708A1 (en) * 2017-07-19 2019-01-24 박서준 Passage device and medication dose management device
US11576842B2 (en) 2017-07-19 2023-02-14 Coledy Inc. Passage device and medication dose management device
KR102241567B1 (en) * 2017-07-19 2021-04-19 박경도 Contents passing device and apparatus for managing for taking medicine
KR102522929B1 (en) * 2017-12-11 2023-04-1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Disease management system for increasing patients adherence
CN110368308A (en) * 2019-06-26 2019-10-25 贵阳朗玛信息技术股份有限公司 A kind of method and platform of intelligence medication prompting
CN112402247A (en) * 2020-11-12 2021-02-26 安徽信息工程学院 Intelligent medicine box and using method thereof
CN114455182A (en) * 2022-02-10 2022-05-10 上海电机学院 Intelligent medicine chest with automatic medicine taking functio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25284A (en) * 2002-02-06 2003-08-12 Self Security:Kk Supporting device of control of taking medicine
JP2003310715A (en) * 2002-02-22 2003-11-05 Self Security:Kk Medicine administration control and support device
US20060237427A1 (en) * 2005-04-07 2006-10-26 Logan James D Smart cabinets
JP2008156982A (en) * 2006-12-26 2008-07-10 Self Security:Kk Utilization confirmation support apparatu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25284A (en) * 2002-02-06 2003-08-12 Self Security:Kk Supporting device of control of taking medicine
JP2003310715A (en) * 2002-02-22 2003-11-05 Self Security:Kk Medicine administration control and support device
US20060237427A1 (en) * 2005-04-07 2006-10-26 Logan James D Smart cabinets
JP2008156982A (en) * 2006-12-26 2008-07-10 Self Security:Kk Utilization confirmation support apparatus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4974B1 (en) * 2015-09-04 2017-10-12 (주)매직에코 Smart clip and system for managing medicine dose using the same
KR102126860B1 (en) * 2018-12-19 2020-06-25 주식회사 한국인삼공사 Container of Presence or absence check for dosing
KR20210059262A (en) 2019-11-15 2021-05-25 김선주 Medicine box with medication guidance function composed of tilt sensor
KR20220050394A (en) 2020-10-16 2022-04-25 정성욱 Automatic Medication Supply Device and System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002609A1 (en) 2012-01-05
KR20120000659A (en) 2012-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3799B1 (en) A pill box and a method for managing an administration of a medication
KR101164792B1 (en) A pill box and a method for managing an administration of a medication
KR101164793B1 (en) A pill box
Minaam et al. Smart drugs: Improving healthcare using smart pill box for medicine reminder and monitoring system
JP3214893U (en) Portable drug dispenser
CA2855392C (en) Medication event monitoring system
KR102402909B1 (en)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adherence monitoring and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monitoring use of consumable dispensers
EP2289480A2 (en) Locking element for dispenser
US9492355B2 (en) Smart medicine container
JP5671045B2 (en) Medicine dispenser
US8622241B2 (en) Dispenser
US9973611B2 (en) Device and method for self-administration of medicine
JP2020513998A (en) Computerized oral prescription drug administration device and related system and method
KR101953750B1 (en) Drug Dispenser for Medication Management
KR101938150B1 (en) Apparatus to support taking medicine
KR20150072111A (e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managing taking medicine
WO2012013723A1 (en) Pharmaceutical product dispenser
US9785750B2 (en) Medicine organizer
KR101732631B1 (en) System for Taking Medicine Care Service based on mobile device
JP2017225639A (en) Medication management device and medicament storage apparatus
EP2201925A1 (en) Dispenser
EP2502852A1 (en) Dispensing device
CN216798246U (en) Intelligent medicine box and intelligent medicine taking system
Mathina et al. Enhanced Medication Reminder and Alert System using IoT
KR20110028975A (en) Medica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