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2009B1 - 휴대용 저장장치를 이용한 채널 제한 기능을 가지는 디지털방송 수신기 및 채널 제한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용 저장장치를 이용한 채널 제한 기능을 가지는 디지털방송 수신기 및 채널 제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2009B1
KR101232009B1 KR1020050108542A KR20050108542A KR101232009B1 KR 101232009 B1 KR101232009 B1 KR 101232009B1 KR 1020050108542 A KR1020050108542 A KR 1020050108542A KR 20050108542 A KR20050108542 A KR 20050108542A KR 101232009 B1 KR101232009 B1 KR 1012320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nnel
storage device
portable storage
password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085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51100A (ko
Inventor
공병용
박현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Priority to KR10200501085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2009B1/ko
Publication of KR200700511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11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20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20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3Control signaling related to video distribution between client,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Network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s or between remote clients, e.g. transmitting basic layer and enhancement layers over different transmission paths, setting up a peer-to-peer communication via Internet between remote STB's; Communication protocols; Addressing
    • H04N21/633Control signals issued by server directed to the network components or client
    • H04N21/6332Control signals issued by server directed to the network components or client directed to client
    • H04N21/6334Control signals issued by server directed to the network components or client directed to client for authorisation, e.g. by transmitting a ke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6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5End-user interface for inputting end-user data, e.g.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PIN], preference data
    • H04N21/4753End-user interface for inputting end-user data, e.g.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PIN], preference data for user identification, e.g. by entering a PIN or passwor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용 저장장치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시청 가능 채널을 제한하는 휴대용 저장장치를 이용한 채널 제한 기능을 가지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 및 채널 제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휴대용 저장장치를 이용한 채널 제한 기능을 가지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 있어서, 고유의 기기번호 및 비밀번호를 저장하고 있는 휴대용 저장장치와, 상기 휴대용 저장장치와 연결 시 상기 기기번호 및 상기 비밀번호를 저장하여 등록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신제한채널을 설정하고 있으며, 상기 수신제한채널 선택 시 미리 저장된 상기 기기번호 및 비밀번호와 상기 휴대용 저장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기기번호와 비밀번호에 의해 인증을 수행하고, 인증 성공 시에 상기 선택된 수신제한채널의 방송신호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지털 방송수신기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휴대용 저장장치, USB, 디지털 방송, 채널 제한, 기기번호, 비밀번호

Description

휴대용 저장장치를 이용한 채널 제한 기능을 가지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 및 채널 제한 방법{DIGITAL BROADCASTING RECEIVER TO HAVE CHANNEL LIMITATION FUNCTION USING PORTABLE STORAGE DEVICE AND CHANNEL LIMITATION METHO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저장장치를 이용한 채널 제한 기능을 가지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저장장치 등록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비밀번호 변경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신 제한 채널에 대한 시청 가능한 시청시간을 설정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채널 제한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본 발명은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용 저장장치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시청 가능 채널을 제한하는 휴대용 저장장치를 이용한 채널 제한 기능을 가지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 및 채널 제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방송기술 분야는 아날로그 방송에서 디지털 방송으로 전환하고 있다. 디지털 방송으로의 전환과 맞물려 다양한 콘텐츠들을 제공하는 다수의 채널 수가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다. 상기 채널들에는 성인을 위한 성인방송채널, 영화방송채널, 음악채널, 만화방송채널 및 쇼핑채널 등이 있다.
그러나 어린아이 또는 미성년자 자녀가 있는 가정에서는 상기와 같은 채널들 중 자녀가 시청해서는 안 되는 방송채널들 또는 제한을 두어야 할 방송채널들이 존재한다.
일반적으로, 방송채널의 제한하는 방법으로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 유료 및 성인 또는 프리미엄 채널 등과 같은 특정 채널들 각각에 대하여 비밀번호를 설정하고, 설정한 채널을 선택하였을 때 미리 설정된 해당 비밀번호를 넣고 승인을 해서 그 방송을 시청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상술한 바와 종래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 수신채널을 제한하기 위해서는 특정 채널들 각각에 비밀번호를 설정하여야 하므로 사용자 측면에서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특정채널들 각각에 비밀번호를 설정하여야 하므로 상기 임의의 특정채널이 선택되었을 때 해당 비밀번호를 입력하여야 하므로 채널마다 비밀번호를 다르게 넣는 경우 사용자가 비밀번호를 혼동하거나 잊어버릴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종래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 제한하고자 하는 특정채널들에 동일한 비밀번호를 설정하는 경우 가정의 자녀가 비밀번호를 습득하는 경우에는 모든 채널에 대해 디지털 방송을 수신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용 저장장치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시청 가능 채널을 제한하는 휴대용 저장장치를 이용한 채널 제한 기능을 가지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 및 채널 제한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장치는; 휴대용 저장장치를 이용한 채널 제한 기능을 가지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 있어서, 고유의 기기번호 및 비밀번호를 저장하고 있는 휴대용 저장장치와, 상기 휴대용 저장장치와 연결 시 상기 기기번호 및 상기 비밀번호를 저장하여 등록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신제한채널을 설정하고 있으며, 상기 수신제한채널 선택 시 미리 저장된 상기 기기번호 및 비밀번호와 상기 휴대용 저장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기기번호와 비밀번호에 의해 인증을 수행하고, 인증 성공 시에 상기 선택된 수신제한채널의 방송신호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지털 방송수신기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법은; 휴대용 저장장치와, 상기 휴대용 저장장치와의 연결수단을 구비하여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인터페이스부와 입력부와 비밀번호와 기기번호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의사잡음 오버레이부와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디지털방송수신기로 구성되는 휴대용 저장장치를 이용한 채널 제한 기능을 가지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채널 제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을 통해 연결된 상기 휴대용 저장장치의 고유 기기번호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여 등록하는 휴대용 저장장치 등록 과정과, 사용자로부터 비밀번호를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받아 상기 저장부와 상기 휴대용 저장장치에 저장하는 비밀번호 설정과정과, 상기 입력부로부터 수신제한채널 설정 명령이 입력하면 현재 수신중인 채널의 채널번호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여 수신제한채널로 설정하는 수신제한채널 설정과정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신제한채널 설정 후 사용자가 임의의 채널 선택 시 상기 선택된 채널이 수신제한채널인지를 판단하여 수신제한채널인 경우 상기 수신제한채널의 방송신호에 의사잡음을 삽입하여 채널 시청을 제한하고,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기기번호 및 비밀번호와 일치하는 기기번호 및 비밀번호를 저장하는 휴대용 저장장치의 연결 시에만 상기 의사잡음의 오버레이 없이 방송신호를 출력하는 수신제한채널 출력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에서는 콤팩트 플래시(Compact Flash: CF) 메모리, 시큐리티 디지털(Security Digital: SD) 메모리 및 범용직렬버스(Universal Serial Bus: USB) 메모 리 등과 같은 휴대용 저장장치(Portable Storage Device)에 수신을 제한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채널(이하 "수신제한채널"이라 함)과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비밀번호를 저장하고, 상기 수신제한채널 시청 시 상기 휴대용 저장장치의 지워지지 않는 영역(Removable Region)에 기록되는 고유의 기기번호와 상기 비밀번호를 이용하여 인증에 성공했을 경우에만 상기 수신제한채널을 시청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 연결된 상기 휴대용 저장장치에 사용자가 임의의 수신제한채널에 대해 특정 시간대에만 시청 가능하도록 시청시간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저장장치를 이용한 채널 제한 기능을 가지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저장장치를 이용한 채널 제한 기능을 가지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도면에 참조된 부호 100은 디지털 방송 수신기이고, 200은 휴대용 저장장치이다.
상기 휴대용 저장장치(200)는 사용자가 지우거나 변경할 수 없는 고유의 기기번호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디지털 방송 수신기(100)를 통해 입력된 비밀번호를 저장한다.
디지털 방송 수신기(100)는 상기 휴대용 저장장치(200)가 연결될 수 있는 포트를 구비하고, 상기 포트를 통해 상기 휴대용 저장장치(200)에 연결 시 미리 등록 되어 있는 휴대용 저장장치의 기기번호 및 비밀번호와 상기 휴대용 저장장치(200) 내에 기록된 고유의 기기번호와 비밀번호를 비교하여 인증 수행하고, 인증에 성공 시 상기 수신제한채널에 대한 방송신호를 출력하고, 실패 시에는 방송신호를 출력을 차단하거나 상기 방송신호에 의사잡음을 삽입, 즉 오버레이 하여 출력한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저장장치를 이용한 채널 제한 기능을 가지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100)는 제어부(10)와 제1저장부(20)와 제2저장부(30)와 입력부(40)와 튜너부(50)와 의사잡음 오버레이부(55)와 디스플레이부(60)와 오디오 처리부(70)와 인터페이스부(80)로 구성된다.
제어부(10)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저장장치(20)를 이용한 디지털 방송 수신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1저장부(20)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영역과, 상기 제어프로그램 수행중에 발생하는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는 영역으로 구성된다.
제2저장부(30)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수신제한채널, 수신제한채널별 시청시간, 비밀번호 및 휴대용 저장장치(200)의 고유 기기번호를 저장한다.
입력부(40)는 사용자가 디지털 방송 수신기(100)를 제어하기 위한 모드, 채널을 선택하기 키 및 볼륨을 조절하기 위한 다수의 키들을 구비하고 상기 키들에 대한 키데이터를 상기 제어부(10)로 출력하는 키입력장치 또는/ 및 리모컨으로부터 적외선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적외선신호로부터 키데이터를 검출하여 상기 제어부(10)로 출력하는 적외선 수신기가 사용될 수도 있다. 사용자는 상기 입력부(40)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비밀번호 수신제한채널의 선택 및 시청시간을 설정한다.
튜너부(50)는 디지털 방송 프로토콜에 따른 무선방송신호를 안테나(ANT)를 통해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10)의 제어를 받아 상기 무선방송신호로부터 원하는 채널의 방송데이터만을 검출하고, 상기 방송데이터를 영상데이터와 오디오데이터 분리하여 출력한다. 상기 영상데이터는 상기 의사잡음 오버레이부(55)로 입력하고, 상기 오디오 데이터는 오디오 처리부(70)로 출력한다.
의사잡음 오버레이부(55)는 상기 튜너부(50)로부터 선택된 채널의 방송신호인 영상데이터를 입력받고 상기 제어부(10)의 제어를 받아 의사잡음을 생성하고, 상기 영상데이터에 의사잡음을 삽입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60)로 출력한다.
상기 의사잡음 오버레이부(55) 대신 상기 제어부(10)의 제어를 받아 상기 튜너부(50)에서 디스플레이부(60)로 제공되는 영상데이터를 차단하거나 해제하는 스위칭 수단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60)는 상기 제어부(10)의 제어를 받아 상기 영상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고, 각종 설정화면, 예를 들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저장장치, 비밀번호 등을 설정하기 위한 화면을 상기 영상데이터에 오버레이(Overlay)하여 디스플레이한다.
오디오 처리부(70)는 상기 제어부(10)의 제어를 받아 상기 튜너부(50)에서 출력되는 오디오 데이터를 미리 설정된 음향 및 음량에 따라 오디오 처리하여 스피커를 통해 출력한다.
인터페이스부(80)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100)의 외부에 구비되어 상기 휴대 용 저장장치(200)가 연결되는 포트를 구비하고, 상기 포트에 상기 휴대용 저장장치가 연결되면 상기 제어부(10)의 제어를 받아 휴대용 저장장치(200)와 제어부(10) 간의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저장장치 등록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어부(10)는 211단계에서 휴대용 저장장치 등록 변경 명령이 입력하는지를 검사한다. 상기 휴대용 저장장치 등록 변경 명령은 사용자가 입력부(40)를 통해 직접 입력될 수 있다.
상기 211단계에서 휴대용 저장장치 등록 변경 명령이 입력하면 제어부(10)는 213단계로 진행하여 기존 휴대용 저장장치를 연결할 것을 요구하는 기존 휴대용 저장장치 연결 메시지를 디스플레이부(60)에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213단계 후 제어부(10)는 215단계로 진행하여 인터페이스부(80)를 통해 휴대용 저장장치(200)가 연결되는지를 검사한다.
상기 215단계에서 휴대용 저장장치(200)가 인터페이스부(80)의 포트에 삽입되면 제어부(10)는 217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삽입된 휴대용 저장장치(200)의 고유 기기번호를 리드하고, 상기 리드 된 휴대용 저장장치(200)의 기기번호와 제2저장부(30)에 저장되어 있는 기기번호를 비교하여 일치하는지를 판단한다.
상기 217단계에서 휴대용 저장장치(200)의 기기번호와 제2저장부(30)에 저장되어 있는 기기번호가 일치하지 않으면 제어부(10)는 231단계로 진행하여 인증실패 메시지를 디스플레이부(60)에 디스플레이하고, 일치하면 219단계로 진행한다.
219단계에서 제어부(10)는 비밀번호를 입력할 것을 요구하는 비밀번호 입력 메시지를 디스플레이부(60)에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219단계 후 제어부(10)는 221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입력부(40)를 통해 비밀번호가 입력하는지를 검사하고, 상기 221단계에서 비밀번호가 입력하면 223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입력된 비밀번호와 상기 제2저장부(30)에 저장되어 있는 비밀번호가 일치하는지를 검사한다.
검사결과, 일치하지 않으면 제어부(10)는 231단계로 진행하여 인증실패 메시지를 디스플레이부(60)에 디스플레이하고, 일치하면 225단계로 진행하여 등록할 새 휴대용 저장장치를 연결할 것으로 요구하는 새 휴대용 저장장치 연결 메시지를 디스플레이부(60)에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225단계 후 제어부(10)는 227단계에서 인터페이스부(80)를 통해 휴대용 저장장치(200)가 연결되는지를 검사하고, 상기 휴대용 저장장치(200)가 연결되면 229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휴대용 저장장치(200)로부터 고유의 기기번호를 읽어와 제2저장부(30)에 저장한다.
최초 디지털 방송 수신기 구입 시 상기 기기번호는 디폴트(Default) 값을 갖는다. 상기 기기번호가 디폴트 값을 가지고 있는 상태에서 제어부(10)는 211단계에서 상기 휴대용 저장장치 등록 변경 명령이 입력하면 219단계 이후의 과정만을 수행하여 휴대용 저장장치(200)의 고유 기기번호를 제2저장부(30)에 저장하여 상기 휴대용 저장장치(200)를 등록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비밀번호 변경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 다. 이하 도 1 및 도 3을 참조하여 비밀번호 변경방법을 설명한다.
제어부(10)는 311단계에서 입력부(40)를 통해 비밀번호 변경 명령이 입력하는지를 검사한다.
상기 311단계에서 비밀번호 변경 명령이 입력하면 제어부(10)는 313단계로 진행하여 휴대용 저장장치 연결 메시지를 디스플레이부(60)에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313단계 후 제어부(10)는 315단계로 진행하여 인터페이스부(80)를 통해 휴대용 저장장치(200)가 연결되는지를 검사한다.
상기 315단계에서 휴대용 저장장치(200)가 연결되면 제어부(10)는 317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휴대용 저장장치(200)로부터 고유의 기기번호를 읽어오고, 상기 읽은 기기번호와 제2저장부(30)에 저장되어 있는 기기번호를 비교하여 일치하는지를 검사한다.
비교 결과, 일치하지 않으면 제어부(10)는 331단계로 진행하여 인증실패 메시지를 디스플레이부(60)에 디스플레이하고, 일치하면 319단계로 진행하여 기존 비밀번호를 입력할 것을 요구하는 기존 비밀번호 입력 메시지를 디스플레이부(60)에 디스플레이 한다.
상기 319단계 후 제어부(10)는 321단계로 진행하여 입력부(40)를 통해 비밀번호가 입력되는지를 검사하고, 상기 비밀번호가 입력되면 323단계에서 제2저장부(30)에 저장되어 있는 비밀번호와 비교하여 일치하는지를 검사한다.
상기 비교결과, 일치하지 않으면 제어부(10)는 331단계로 진행하여 인증실패 메시지를 디스플레이부(60)에 디스플레이하고, 일치하면 325단계로 진행하여 변경 비밀번호를 입력할 것을 요구하는 변경 비밀번호 입력 메시지를 디스플레이부(60)에 디스플레이하고 327단계로 진행한다.
327단계에서 제어부(10)는 입력부(40)를 통해 변경 비밀번호가 입력하는지를 검사하고, 상기 비밀번호가 입력하면 329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입력된 비밀번호를 제2저장부(30)와 휴대용 저장장치(200)에 저장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신 제한 채널에 대한 시청 가능한 시청시간을 설정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도 1 및 도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어부(10)는 411단계에서 입력부(40)를 통해 채널 제한 설정 명령이 입력하는지를 검사한다.
상기 채널 제한 설정 명령이 입력하면 제어부(10)는 413단계로 진행하여 현재 수신중인 채널 번호를 제2저장부(30)에 저장하여 수신제한채널로 설정한다.
상기 현재 수신중인 채널이 수신제한채널로 설정되면 제어부(10)는 415단계에서 시청시간 설정 여부 메시지를 표시하고, 417단계로 진행하여 시청시간 설정이 선택되는지를 검사한다.
상기 417단계에서 시청시간 설정이 선택되면 제어부(10)는 419단계에서 시청시간 입력 화면을 디스플레이부(60)에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419단계 후 제어부(10)는 421단계에서 시청시간 입력이 완료되는지를 검사하고, 입력부(40)로부터 시청시간 입력의 완료 명령이 입력하면 상기 시청시간을 상기 설정된 수신제한채널에 상응하는 영역에 저장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채널 제한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로서, 상기 도 2에서 휴대용 저장장치(200)가 등록되고, 도 3과 같이 비밀번호가 설정된 상태에서 수행되는 흐름도이다.
우선, 511단계에서 디지털 방송 수신기(100)에 전원이 공급되면 제어부(10)는 513단계에서 이전 디지털 방송 수신기(100) 오프 시 선택되었던 채널이 수신제한 채널인지를 검사한다.
상기 513단계의 검사결과, 현재 선택 채널이 수신제한채널이 아니면 제어부(10)는 521단계로 진행하여 해당 채널 방송 신호를 디스플레이부(60)에 디스플레이한다.
그러나 선택된 채널이 수신제한채널이면 제어부(10)는 523단계로 진행하여 의사잡음 오버레이부(55)를 제어하여 해당 채널의 방송신호에 의사잡음을 오버레이 하고 디스플레이부(60)로 출력한다.
상기 523단계 후 제어부(10)는 인터페이스부(80)를 통해 휴대용 저장장치(200)가 연결되어 있는지를 검사하고, 휴대용 저장장치(200)가 연결되어 있으면 527단계로 진행하고, 연결되어 있지 않으면 531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527단계로 진행한 제어부(10)는 휴대용 저장장치(200)에 저장되어 있는 고유기기번호를 리드하고, 529단계에서 제2저장부(30)에 등록된 기기번호와 상기 리드 된 기기번호를 비교하여 일치하는지를 검사하고, 일치하면 535단계로 진행하고, 일치하지 않으면 531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525단계 또는 529단계에서 531단계로 진행한 제어부(10)는 등록된 휴대 용 저장장치를 삽입할 것을 요구하는 휴대용 저장장치 삽입 메시지를 디스플레이부(60)에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531단계 후 제어부(10)는 533단계로 진행하여 입력부(40)를 통해 채널 변경 여부를 검사하고, 채널이 변경되면 상기 513단계로 돌아가 상기 과정을 다시 수행하고, 채널이 변경되지 않으면 상기 523단계로 돌아가 이후의 과정을 다시 수행한다.
반면, 535단계로 진행한 제어부(10)는 휴대용 저장장치(200)로부터 비밀번호를 리드하고, 539단계로 진행하여 리드 된 비밀번호와 제2저장부(30)에 설정된 비밀번호가 일치하는지를 검사한다.
상기 검사결과, 일치하지 않으면 541단계로 진행하여 인증실패 메시지를 디스플레이부(60)에 디스플레이하고 542단계에서 비밀번호 재설정 메시지를 디스플레이부(60)에 표시한 후 상기 533단계를 수행한다. 이는 상기 비밀번호가 다른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 의해 제2저장부(30)에 설정된 비밀번호와 다른 비밀번호가 입력된 경우 발생할 수 있을 것이다.
반면, 리드 된 비밀번호와 설정된 비밀번호가 일치하면 제어부(10)는 543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선택된 수신제한채널에 시청시간이 설정되어 있는지를 검사한다.
검사결과, 시청시간이 설정되어 있지 않으면 제어부(10)는 상기 521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의사잡음 오버레이부(55)를 제어하여 의사잡음 오버레이를 중지하고, 해당 채널의 방송신호만을 디스플레이부(60)로 출력하여 디스플레이하고, 시청시간이 설정되어 있으면 545단계로 진행한다.
545단계에서 제어부(10)는 타이머(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카운트 되고 있는 현재 시각을 리드하고, 547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리드 된 시간이 휴대용 저장장치(200) 또는 제2저장부(30)에 저장되어 있는 시청시간대인지를 판단한다.
판단결과, 현재 시각이 시청시간대이면 제어부(10)는 상기 521단계로 진행하여 의사잡음의 오버레이 없이 상기 수신제한채널의 방송신호를 디스플레이부(60)에 디스플레이하고, 현재시간이 시청시간대가 아니면 549단계로 진행하여 설정시간 해제 여부를 묻는 시청시간 해제 선택 메시지를 디스플레이부(60)에 디스플레이하고, 551단계로 진행하여 시청시간 해제 명령이 입력부(40)로부터 입력하는지를 검사한다.
상기 시청시간 해제 명령이 입력하면 제어부(10)는 상기 521단계로 진행하여 의사잡음의 오버레이 없이 해당 채널의 방송신호를 디스플레이부(60)에 디스플레이하고, 해제 명령이 입력하지 않으면 상기 533단계로 돌아가 상기 과정을 다시 수행한다.
상기에서는 채널 제한을 위해 의사잡음을 오버레이 하는 경우를 설명하였으나 의사잡음 오버레이부(55) 대신 상술한 스위칭 수단을 사용하여 디스플레이부(60)로의 입력을 차단 또는 차단해제 할 수도 있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 해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휴대용 저장장치에 하나의 비밀번호만을 저장하면 되므로 사용자가 시청 제한을 하고자 하는 채널들 각각에 대해 일일이 비밀번호를 설정하지 않아도 되므로 사용자에게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휴대용 저장장치의 기기번호와 비밀번호에 의한 인증을 수행하므로 강력한 보안 기능을 가지는 이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휴대용 저장장치에 하나의 비밀번호를 입력하므로 사용자가 비밀번호를 혼동하거나 비밀번호를 잊어버리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Claims (9)

  1. 삭제
  2. 휴대용 저장장치를 이용한 채널 제한 기능을 가지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 있어서,
    고유의 기기번호 및 비밀번호를 저장하고 있는 휴대용 저장장치와,
    소정의 제어를 받아 무선방송신호로부터 임의의 채널에 대한 방송신호를 검출하여 출력하는 튜너부와,
    소정의 제어를 받아 상기 방송신호에 의사잡음을 오버레이하여 출력하는 의사잡음 오버레이부와,
    소정의 제어를 받아 상기 방송신호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영역과, 상기 제어프로그램 수행중에 발생하는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는 영역으로 구분된 제1 저장부와,
    상기 휴대용 저장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기기번호, 비밀번호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신제한채널 번호를 저장하는 제2저장부와,
    상기 휴대용 저장장치와 연결되는 외부 포트를 구비하고, 상기 외부 포트에 상기 휴대용 저장장치 연결 시 소정의 제어를 받아 상기 휴대용 저장장치와의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인터페이스부와,
    선택된 채널이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수신제한채널이면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휴대용 저장장치의 기기번호와 비밀번호를 리드하고, 상기 저장부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기기번호와 비밀번호를 각각 비교하여 일치하면 상기 튜너부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수신제한채널의 방송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출력하고, 일치하지 않으면 상기 의사잡음 오버레이부를 제어하여 상기 방송신호에 의사잡음을 오버레이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출력하는 제어부와,
    상기 휴대용 저장장치와 연결 시 상기 기기번호 및 상기 비밀번호를 저장하여 등록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신제한채널을 설정하고 있으며, 상기 수신제한채널 선택 시 미리 저장된 상기 기기번호 및 비밀번호와 상기 휴대용 저장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기기번호와 비밀번호에 의해 인증을 수행하고, 인증 성공 시에 상기 선택된 수신제한채널의 방송신호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지털 방송수신기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저장장치를 이용한 채널 제한 기능을 가지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가 상기 수신제한채널들 각각에 대해 시청 가능한 시청시간을 더 저장하고, 상기 제어부가 상기 인증 성공시에도 상기 선택된 수신제한채널에 시청시간이 설정되어 있는지를 검사하여 상기 시청시간에만 상기 수신제한채널의 방송신호를 의사잡음의 오버레이 없이 디스플레이부로 출력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저장장치를 이용한 채널 제한 기능을 가지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
  4. 휴대용 저장장치와, 상기 휴대용 저장장치와의 연결수단을 구비하여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인터페이스부와 입력부와 비밀번호와 기기번호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의사잡음 오버레이부와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디지털방송수신기로 구성되는 휴대용 저장장치를 이용한 채널 제한 기능을 가지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채널 제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을 통해 연결된 상기 휴대용 저장장치의 고유 기기번호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여 등록하는 휴대용 저장장치 등록 과정과,
    사용자로부터 비밀번호를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받아 상기 저장부와 상기 휴대용 저장장치에 저장하는 비밀번호 설정과정과,
    상기 입력부로부터 수신제한채널 설정 명령이 입력하면 현재 수신중인 채널의 채널번호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여 수신제한채널로 설정하는 수신제한채널 설정과정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신제한채널 설정 후 사용자가 임의의 채널 선택 시 상기 선택된 채널이 수신제한채널인지를 판단하여 수신제한채널인 경우 상기 수신제한채널의 방송신호에 의사잡음을 삽입하여 채널 시청을 제한하고,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기기번호 및 비밀번호와 일치하는 기기번호 및 비밀번호를 저장하는 휴대용 저장장치의 연결 시에만 상기 의사잡음의 오버레이 없이 방송신호를 출력하 는 수신제한채널 출력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저장장치 등록 과정이,
    상기 휴대용 저장장치가 연결되면 상기 입력부를 통해 비밀번호를 입력받고 미리 저장된 비밀번호를 비교하여 인증을 수행하는 제1단계와,
    상기 인증에 성공하면 상기 휴대용 저장장치에 저장된 기기번호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여 등록하는 제2단계와,
    상기 비밀번호를 상기 휴대용 저장장치에 저장하는 제3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미리 등록된 휴대용 저장장치가 있으면 기존의 휴대용 저장장치의 삽입을 요구하는 제1단계와,
    상기 기존 휴대용 저장장치가 삽입되면 상기 기존 휴대용 저장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기기번호와 미리 등록된 휴대용 저장장치에 대한 기기번호를 비교하여 일하는지를 판단하는 제2단계와,
    상기 판단결과, 일치하면 등록하고자 하는 변경 휴대용 저장장치의 연결을 요구하는 제3단계와,
    상기 변경 휴대용 저장장치가 연결되면 상기 휴대용 저장장치에 저장된 기기번호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기존 휴대용 저장장치에 대한 기기번호에 덮어써 등록하는 제4단계와,
    상기 비밀번호를 상기 휴대용 저장장치에 저장하는 제5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비밀번호 설정과정이,
    상기 입력부로부터 비밀번호 변경 명령이 입력하는지를 검사하는 단계와,
    상기 비밀번호 변경 명령이 입력하면 휴대용 저장장치의 연결을 요구하는 단계와,
    상기 휴대용 저장장치가 연결되면 연결된 휴대용 저장장치의 기기번호와 상기 저장부에 미리 저장된 기기번호를 비교하여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인증에 성공하면 기존 비밀번호의 입력을 요구하는 단계와,
    상기 기존 비밀번호가 입력하면 상기 저장부에 미리 저장된 기존 비밀번호를 비교하여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인증에 성공하면 변경할 비밀번호를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받아 상기 저장부와 상기 휴대용 저장장치에 저장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 법.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제한채널 설정 과정이,
    상기 입력부를 통해 채널 제한 명령이 입력하는지를 검사하는 단계와,
    상기 채널 제한 명령이 입력하면 현재 수신중인 채널번호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여 수신제한채널로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제한채널의 시청시간을 상기 입력부를 입력받아 상기 수신제한채널에 대응되는 영역에 저장하여 상기 수신제한채널에 대한 시청시간을 등록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제한채널 출력 과정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신제한채널 설정 후 사용자가 임의의 채널 선택 시 상기 선택된 채널이 수신제한채널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선택 채널이 수신제한채널이면 연결된 휴대용 저장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기기번호 및 비밀번호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기기번호 및 비밀번호를 각각 비교하여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인증에 수행하면 상기 수신제한채널에 시청시간이 설정되어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시청시간이 설정되어 있으면 현재 시각을 리드하고, 현재시간이 상기 시청시간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현재시간이 상기 시청시간이면 상기 수신제한채널의 방송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050108542A 2005-11-14 2005-11-14 휴대용 저장장치를 이용한 채널 제한 기능을 가지는 디지털방송 수신기 및 채널 제한 방법 KR1012320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8542A KR101232009B1 (ko) 2005-11-14 2005-11-14 휴대용 저장장치를 이용한 채널 제한 기능을 가지는 디지털방송 수신기 및 채널 제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8542A KR101232009B1 (ko) 2005-11-14 2005-11-14 휴대용 저장장치를 이용한 채널 제한 기능을 가지는 디지털방송 수신기 및 채널 제한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1100A KR20070051100A (ko) 2007-05-17
KR101232009B1 true KR101232009B1 (ko) 2013-02-08

Family

ID=382790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08542A KR101232009B1 (ko) 2005-11-14 2005-11-14 휴대용 저장장치를 이용한 채널 제한 기능을 가지는 디지털방송 수신기 및 채널 제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200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9261A (ko) * 1995-07-31 1997-02-24 배순훈 방송채널 제한장치 및 방법
KR970014188A (ko) * 1995-08-31 1997-03-29 배순훈 자기카드검색기를 이용한 텔레비전 수상기의 채널잠금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9261A (ko) * 1995-07-31 1997-02-24 배순훈 방송채널 제한장치 및 방법
KR970014188A (ko) * 1995-08-31 1997-03-29 배순훈 자기카드검색기를 이용한 텔레비전 수상기의 채널잠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1100A (ko) 2007-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19618A (en) Locking method for a system with an on screen display function and apparatus therefor
US5033085A (en) Method for controlling video and audio of a television set
KR20050119308A (ko) 전자기기의 시간 설정방법
US20080007658A1 (en) Tv Receiver
KR980013297A (ko) 시청제한기능이 부가된 영상 수상기 (picture receiver with function of limiting picture reception)
KR101232009B1 (ko) 휴대용 저장장치를 이용한 채널 제한 기능을 가지는 디지털방송 수신기 및 채널 제한 방법
JP4887623B2 (ja) ディスク装置内蔵型テレビジョン受像機及びその視聴制限レベル設定方法
KR101438574B1 (ko) 텔레비젼 시청 제한 장치 및 방법
JP3709900B2 (ja) タイマー装置、タイマー機能付電子機器および遠隔操作装置
US8570445B2 (en)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and method for performing manual fine tuning
JP3973478B2 (ja) 視聴制限制御を行う情報表示機器
US20090303388A1 (en) Picture display device
KR20050062198A (ko) 방송 수신기의 시청 제한 방법
JP4458115B2 (ja) 表示装置
KR100242233B1 (ko) 방송 프로그램 시청 잠금 장치 및 방법
JPH11164221A (ja) テレビ放送受信機
JP2007074027A (ja) 画像出力装置
KR100273352B1 (ko) 도난방지용티브이의온스크린표시장치및방법
EP1443752B1 (en) Broadcasting reception apparatus
JP2003283945A (ja) Avシステム
JP2005311890A (ja) テレビジョン制御装置
KR100737080B1 (ko) 영상기기의 시청정보 관리 장치 및 방법
KR960004822B1 (ko) 채널선국오류방지방법
KR100672422B1 (ko) 방송채널 액세스 제어장치 및 방법
KR100188260B1 (ko) 티브이의 자동채널설정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