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6301B1 - 모바일 무선 통신 디바이스, 모바일 무선 홈 기지국 및 모바일 무선 통신 디바이스 내의 컴퓨터 프로그램을 프로세싱하기 위한 방법 - Google Patents

모바일 무선 통신 디바이스, 모바일 무선 홈 기지국 및 모바일 무선 통신 디바이스 내의 컴퓨터 프로그램을 프로세싱하기 위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6301B1
KR101226301B1 KR1020117003128A KR20117003128A KR101226301B1 KR 101226301 B1 KR101226301 B1 KR 101226301B1 KR 1020117003128 A KR1020117003128 A KR 1020117003128A KR 20117003128 A KR20117003128 A KR 20117003128A KR 101226301 B1 KR101226301 B1 KR 1012263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wireless
mobile
wireless communication
communication device
wireless communicat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031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31376A (ko
Inventor
마이크 비에나스
아힘 루프트
안드레아스 슈미드트
Original Assignee
인텔 모바일 커뮤니케이션스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텔 모바일 커뮤니케이션스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인텔 모바일 커뮤니케이션스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100313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13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63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63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2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separating internal from external traffic, e.g. firewalls
    • H04L63/0209Architectural arrangements, e.g. perimeter networks or demilitarized z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3Protecting confidentiality, e.g. by encryption
    • H04W12/033Protecting confidentiality, e.g. by encryption of the user plane, e.g. user's traffi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8Access security
    • H04W12/086Access security using security domai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24Accounting or bil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4Key management, e.g. using generic bootstrapping architecture [GBA]
    • H04W12/043Key management, e.g. using generic bootstrapping architecture [GBA] using a trusted network node as an anchor
    • H04W12/0431Key distribution or pre-distribution; Key agre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40Security arrangements using identity modules
    • H04W12/45Security arrangements using identity modules using multiple identity modu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실시예에서, 모바일 무선 통신 디바이스가 제공된다. 모바일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다른 모바일 무선 통신 디바이스와의 모바일 무선 통신을 위한 모바일 무선 기지국 기능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모바일 무선 통신 프로토콜 회로, 모바일 무선 네트워크 오퍼레이터에 의해 제어되고 있는 모바일 무선 네트워크 회로로부터 모바일 무선 통신 프로토콜 회로를 제어하기 위한 통신 제어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네트워크 제어 인터페이스 회로, 및 신뢰성있는 프로세싱 결과를 제공하기 위해 신뢰성있는 프로세싱 환경에서 컴퓨터 프로그램을 프로세싱하도록 구성된 신뢰성있는 프로세싱 회로를 포함할 수 있고, 신뢰성있는 프로세싱 회로는 모바일 무선 네트워크 오퍼레이터의 도메인의 외부에 있다.

Description

모바일 무선 통신 디바이스, 모바일 무선 홈 기지국 및 모바일 무선 통신 디바이스 내의 컴퓨터 프로그램을 프로세싱하기 위한 방법{MOBILE RADIO COMMUNICATION DEVICES HAVING A TRUSTED PROCESSING ENVIRONMENT AND METHOD FOR PROCESSING A COMPUTER PROGRAM THEREIN}
관련 출원
본 출원은 2008년 7월 11일 출원된 PCT 출원 제 PCT/EP2008/059076호의 35 U.S.C. §371에 따른 국내 단계 진입이다.
다양한 실시예는 일반적으로 신뢰성있는 프로세싱 환경을 갖는 모바일 무선 통신 디바이스 및 컴퓨터 프로그램을 프로세싱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NodeB'는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RNC)에 의해 제어되는 범용 이동 통신 시스템(UMTS)을 위해 설계된 기지국으로서 이해될 수 있다. NodeB는 일반적으로 6개의 UMTS 무선 셀을 관리할 수 있다. 모든 NodeB 및 모든 RNC는 함께 일반적으로 소위 모바일 네트워크 오퍼레이터(MNO)의 UMTS 지상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UTRAN)를 형성한다.
3GPP(3세대 파트너쉽 프로젝트)에서는, 예를 들어 이하의 무선 액세스 기술(Radio Access Technologies)을 위해 소위 '홈 NodeB' 또는 '홈 eNodeB'의 배치(deployment)를 지원하기 위한 개념이 개발되었다.
- 3G UMTS[코드 분할 다중 접속(CDMA)에 기초하는 UMTS, 또한 3GPP 용어에서는 'UTRA'라 칭함],
- 및 그 계승 기술,
- 3.9G LTE(Long Term Evolution, 또한 3GPP 용어에서는 'E-UTRA'라 칭함.
3GPP에 연관하여 '홈 NodeB' 또는 '홈 eNodeB'는 거주 환경 또는 회사 환경(예를 들어, 개인 가정, 공공 레스토랑 또는 소형 사무실 영역)에 사용하기 위해 최적화된 기지국의 트리밍다운된(trimmed-down) 버전으로서 이해될 수 있다.
이하에 더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모바일 무선 네트워크에서 신뢰적이고 신용할 수 있는 정보의 제공에 대한 요구가 존재한다.
도면에서, 유사한 도면 부호는 일반적으로 상이한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부분을 칭한다. 도면은 반드시 실척대로 도시된 것은 아니고, 대신에 다양한 실시예의 원리를 도시할 때 강조가 이루어져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이하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도 1은 실시예에 기초하는 통신 시스템을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UMTS 공중 인터페이스(air interface)를 위한 프로토콜 구조의 도면.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3개의 홈 NodeB를 위한 가능한 배치 시나리오를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3개의 상이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를 갖는 일반적인 3GPP 네트워크 아키텍쳐의 개략도.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E-UTRAN 아키텍쳐를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셀룰러 무선 통신 네트워크와의 연관없이 HGI 관점으로부터의 아키텍쳐 모델을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무선 통신 시스템의 개략화된 아키텍쳐를 도시하는 도면.
도 8은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무선 통신 디바이스를 도시하는 도면.
도 9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무선 통신 디바이스를 도시하는 도면.
도 10은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카드를 도시하는 도면.
도 11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무선 통신 디바이스를 도시하는 도면.
도 12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무선 통신 디바이스를 도시하는 도면.
도 13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무선 통신 디바이스를 도시하는 도면.
도 14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무선 통신 디바이스를 도시하는 도면.
도 15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무선 통신 디바이스를 도시하는 도면.
도 16은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무선 통신 디바이스 내의 컴퓨터 프로그램을 프로세싱하기 위한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
도 17은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신뢰성있는 프로세싱 결과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을 도시하는 메시지 흐름도.
명세서에서, 용어 "접속" 및 "결합"은 각각 직접적인 경우뿐만 아니라 간접적인 경우의 "접속" 및 "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또한, 실시예에서, "회로"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일 수 있는 임의의 종류의 논리 구현 엔티티(entity)로서 이해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에서, "회로"는 프로그램 가능 프로세서, 예를 들어 마이크로프로세서[예를 들어, 복합 명령 세트 컴퓨터(CISC) 프로세서 또는 축소 명령 세트 컴퓨터(RISC) 프로세서]와 같은 프로그램 가능 논리 회로 또는 유선 논리 회로일 수 있다. "회로"는 또한 프로세서, 예를 들어 임의의 종류의 컴퓨터 프로그램, 예를 들어 자바와 같은 가상 머신 코드를 사용하는 컴퓨터 프로그램과 같이 프로세서에 의해 구현되거나 실행되어, 예를 들어 개별적으로 프로그램된 회로를 구현하는 소프트웨어일 수 있다. 이하에 더 상세히 설명되는 각각의 기능의 임의의 다른 종류의 구현이 또한 대안적인 실시예에 따라 "회로"로서 이해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복수의 회로가 예를 들어 하나의 공통의 마이크로프로세서와 같은 하나의 공통 프로세서에서와 같은 하나의 공통의 회로에서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구현될 수 있다.
"제어기"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일 수 있는 임의의 종류의 제어 논리 구현 엔티티로서 이해될 수 있다. "제어기"는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세서, 예를 들어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그램 가능 마이크로프로세서와 같은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그램 가능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기"는 또한 예를 들어 임의의 종류의 컴퓨터 프로그램, 예를 들어 자바와 같은 가상 머신 코드를 사용하는 컴퓨터 프로그램과 같은 프로세서에 의해 구현되거나 실행되어, 이에 의해 예를 들어 개별적으로 프로그램된 회로를 구현하는 소프트웨어일 수 있다. 이하에 더 상세히 설명되는 각각의 기능의 임의의 다른 종류의 구현이 또한 대안적인 실시예에 따라 "제어기"로서 이해될 수도 있다. 제어기는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로, 하나 또는 복수의 응용 특정 집적 회로(ASIC) 및/또는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그램 가능 게이트 어레이(PGA), 예를 들어 필드 프로그램 가능 게이트 어레이(FPGA)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는 간단화를 위해, UMTS 모바일 무선 시스템(100)의 아키텍쳐가 상세히 설명되지만, 다양한 실시예는 또한 예를 들어 LTE(장기 진화)와 같은 임의의 다른 적합한 모바일 무선 시스템을 위해 제공된다는 것이 주목되어야 한다.
도 1은 UMTS(범용 이동 통신 시스템) 모바일 무선 시스템(100)과, 더 간단한 도시를 위해 특히 "Iu" 인터페이스(103, 104)에 의해 UMTS의 코어 네트워크(CN)(105)에 각각 접속되는 복수의 모바일 무선 네트워크 서브시스템(RNS)(101, 102)을 갖는 UMTS 모바일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UMTS 지상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UTRAN)의 구성 요소를 도시한다. 모바일 무선 네트워크 서브시스템(101, 102)은 각각의 모바일 무선 네트워크 제어 엔티티(무선 네트워크 제어기, RNC)(106, 107)와, 또한 UMTS 내의 NodeB라 또한 칭하는 하나 이상의 기지국(108, 109, 110, 111)을 갖는다. 실시예에서, 'NodeB'는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RNC)(106, 107)에 의해 제어되는 UMTS를 위해 설계된 기지국으로서 이해될 수 있다. NodeB는 일반적으로 복수의, 예를 들어 최대 6개의 UMTS 모바일 무선 셀을 관리할 수 있다. 모든 NodeB 및 모든 RNC는 함께 일반적으로 소위 모바일 네트워크 오퍼레이터(MNO)의 UMTS 지상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UTRAN)를 형성한다.
이하에 더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기지국의 일부(본 예에서는, 도면 부호 109 및 111로 나타낸 기지국)는 홈 NodeB로서 구성될 수 있다. 예에서, '홈 NodeB'는 거주 또는 회사 환경(예를 들어, 개인 가정, 공공 레스토랑 또는 소형 사무실 영역)에 사용을 위해 최적화된 기지국의 트리밍된 버전으로서 3GPP에 따라 이해될 수 있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친 다양한 예에서, 용어 '홈 기지국', '홈 NodeB', '홈 eNodeB' 및 '펨토 셀(Femto Cell)'은 동일한 논리적 엔티티를 칭하고 전체 명세서의 전체에 걸쳐 상호 교환 가능하게 사용될 것이다.
이하에 더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예를 들어 UTRA 및 E-UTRA와 같은 3G를 위한 '홈 NodeB'의 배치 및 3.9G 무선 액세스 기술(RAT)을 위한 '홈 NodeB'의 배치를 지원하기 위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 및 방법은 모바일 네트워크 오퍼레이터(MNO)가 또한 각각의 '홈 NodeB' 또는 '홈 eNodeB'의 커버리지 내에 있는 폐쇄된 가입자 그룹의 사용자 및 공용 사용자(이하에서 또한 공용 가입자 그룹이라 칭함) 사이에 홈 기지국(HBS)의 무선 자원을 동적으로 분배할 수 있게 한다.
UTRAN에 따른 모바일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내에서, 개별 모바일 무선 네트워크 서브시스템(101, 102)의 모바일 무선 네트워크 제어 엔티티(106, 107)는 "Iur" 인터페이스(112)에 의해 서로 접속된다. 각각의 모바일 무선 네트워크 제어 엔티티(106, 107)는 각각 모바일 무선 네트워크 서브시스템(101, 102) 내의 모든 모바일 무선 셀을 위한 모바일 무선 자원의 할당을 모니터링한다.
기지국(108, 109, 110, 111)은 "Iub" 인터페이스(113, 114, 115, 116)에 의해 기지국과 관련된 모바일 무선 네트워크 제어 엔티티(106, 107)에 각각 접속된다.
각각의 기지국(108, 109, 110, 111)은 예시적으로 모바일 무선 네트워크 서브시스템(101, 102) 내의 하나 이상의 모바일 무선 셀(CE)을 위한 무선 커버리지를 제공할 수 있다. 각각의 기지국(108, 109, 110, 111)과 모바일 무선 셀 내의 이하에 또한 모바일 무선 단말이라 칭하는 가입자 단말(118)(사용자 장비, UE) 사이에서, 제어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가 UMTS 내의 "Uu" 공중 인터페이스(117)라 칭하는 공중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예를 들어 다중 액세스 전송 방법을 사용하여 전송될 수 있다.
예로서, 주파수 또는 주파수 범위의 적절한 개별 할당을 통해 상향링크 및 하향링크[상향링크: 모바일 무선 단말(118)로부터 각각의 UMTS 기지국(108, 109, 110, 111)으로의 신호 전송, 하향 링크: 각각의 관련 UMTS 기지국(108, 109, 110, 111)으로부터 모바일 무선 단말(118)로의 신호 전송] 방향에서 별도로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UMTS-FDD 모드(주파수 분할 듀플렉스)가 사용된다.
동일한 모바일 무선 셀 내의 복수의 가입자, 달리 말하면 모바일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내에 등록된 복수의 활성화된 모바일 무선 단말(118)은 직교 코드를 사용하여, 특히 "CDMA 방법"(코드 분할 다중 접속)을 사용하여 서로로부터 이들의 신호를 분리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도 1은 간단한 도시의 이유로 단지 하나의 모바일 무선 단말(118)만을 도시한다는 것을 주목해야 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임의의 수의 모바일 무선 단말(118)이 다른 실시예에서 모바일 무선 시스템(100)에 제공될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도 1은 UMTS 네트워크 아키텍쳐를 도시하지만, 다양한 개시된 실시예의 원리가 예를 들어 LTE와 같은 다른 무선 액세스 기술(RAT)에 마찬가지로 제공된다는 것이 주목되어야 한다.
모바일 무선 단말(118)과 다른 통신 단말 사이의 통신은 다른 모바일 무선 단말, 대안적으로 유선 통신 단말로의 완전한 모바일 무선 통신 링크를 사용하여 셋업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UMTS 공중 인터페이스(117)는 3개의 프로토콜 계층[프로토콜 계층 장치(200)에 의해 도 2에 상징화되어 있음]으로 논리적으로 분할된다. 이하에 설명되는 각각의 프로토콜 계층의 기능성을 보장하고 제공하는 엔티티는 모바일 무선 단말(118) 및 UTRAN 기지국(108, 109, 110, 111)의 모두에서 또는 각각의 UTRAN 모바일 무선 네트워크 제어 엔티티(106, 107)에서 구현된다. LTE의 경우에, 각각의 프로토콜 계층의 기능성을 보장하고 제공하는 엔티티는 모바일 무선 단말(118) 및 대응 E-UTRAN 기지국에서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주목해야 한다. 각각의 엔티티는 하나 이상의 회로 또는 하나 이상의 제어기에서 구현될 수 있다.
도 2는 예를 들어 실시예에 따른 전용 전송 채널의 관점으로부터의 UMTS 프로토콜 구조(200)를 도시한다.
도 2에 도시된 최하부 계층은 ISO(국제 표준화 기구)에 기초하여 OSI 기준 모델(개방 시스템 상호 접속)에 기초하는 프로토콜 계층 1을 표현하는 물리적 계층(PHY)(201)이다.
물리적 계층(201) 위에 배열된 프로토콜 계층은 OSI 기준 모델에 기초하는 프로토콜 계층 2인 데이터 링크 계층(202)이고, 이 데이터 링크 계층(202)은 그 부분에 예를 들어 복수의 서브프로토콜 계층, 즉 매체 액세스 제어 프로토콜 계층(MAC 프로토콜 계층)(203), 무선 링크 제어 프로토콜 계층(204)(RLC 프로토콜 계층), 패킷 데이터 수렴 프로토콜 프로토콜 계층(205)(PDCP 프로토콜 계층) 및 또한 브로드캐스트/멀티캐스트 제어 프로토콜 계층(206)(BMC 프로토콜 계층)을 갖는다.
UMTS 공중 인터페이스(Uu)의 최상부 계층은 모바일 무선 자원 제어 엔티티를 갖는 모바일 무선 네트워크 계층(207)(OSI 기준 모델에 기초하는 프로토콜 계층 3)(무선 자원 제어 프로토콜 계층, RRC 프로토콜 계층)이다.
각각의 프로토콜 계층(201, 202, 203, 204, 205, 206, 207)은 지정된 규정된 서비스 액세스 포인트를 경유하여 그 위의 프로토콜 계층에 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통신 프로토콜 계층 아키텍쳐의 더 양호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서비스 액세스 포인트는 MAC 프로토콜 계층(203)과 RLC 프로토콜 계층(204) 사이의 논리 채널(208), 물리적 계층(201)과 MAC 프로토콜 계층(203) 사이의 전송 채널(209), RLC 프로토콜 계층(204)과 PDCP 프로토콜 계층(205) 또는 BMC 프로토콜 계층(206) 사이의 무선 베어러(RB)(210) 및 또한 RLC 프로토콜 계층(204)과 RRC 프로토콜 계층(207) 사이의 신호화 무선 베어러(SRB)(213)와 같은 일반적으로 통상의 명백한 명칭을 구비하고 있다.
UMTS에 기초하여, 도 2에 도시된 프로토콜 구조(200)는 전술된 프로토콜 계층 및 각각의 프로토콜 계층의 유닛으로 수평으로 분할될 뿐만 아니라, 물리적 계층(201)의 부분, MAC 프로토콜 계층(203)의 부분, RLC 프로토콜 계층(204)의 부분 및 또한 RRC 프로토콜 계층(207)을 포함하는 "제어 프로토콜 평면"(211)(제어 평면, C 평면)과, 물리적 계층(201)의 부분, MAC 프로토콜 계층(203)의 부분, RLC 프로토콜 계층(204)의 부분, PDCP 프로토콜 계층(205) 및 또한 BMC 프로토콜 계층(206)을 포함하는 사용자 프로토콜 평면(212)(사용자 평면, U 평면)으로 수직으로 분할된다.
LTE에서, 프로토콜 구조는 도 2에 도시된 UMTS를 위한 프로토콜 구조에 유사하고, 주요 차이점은 LTE "제어 프로토콜 평면"이 또한 PDCP 프로토콜 계층의 부분을 포함하는 것이다.
제어 프로토콜 평면(211)의 엔티티는 통신 링크를 셋업하고 소거하고 또한 유지하기 위해 요구되는 제어 데이터만을 전송하는데 사용될 수 있고, 반면에 사용자 프로토콜 평면(212)의 엔티티는 실제 사용자 데이터(또는 유용한 데이터)를 전송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각각의 통신 프로토콜 계층 또는 각각의 통신 프로토콜 계층의 각각의 엔티티는 모바일 무선 통신 중에 특정 지정된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송신기 단(transmitter end)은 물리적 계층(201) 또는 물리적 계층(201)의 엔티티의 작업, 즉 MAC 프로토콜 계층(203)으로부터 도래하는 데이터의 공중 인터페이스(117)를 경유하는 보안 전송을 보장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데이터는 물리적 채널(도 2에는 도시되지 않음) 상에 맵핑될 수 있다. 물리적 계층(201)은 전송 채널(209)을 경유하여 MAC 프로토콜 계층(203)에 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고, 이들은 어떠한 방식으로 그리고 어떤 특징으로 데이터가 공중 인터페이스(117)를 경유하여 전송되는지를 규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물리적 계층(201)의 엔티티에 의해 제공될 수 있는 기본적인 기능은 채널 코딩, 변조 및 CDMA 코드 확산(또는 OFDMA에 대한 LTE에서의 대응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대응적으로, 수신기 단(receiver end)에서의 물리적 계층(201) 또는 물리적 계층(201)의 엔티티는 수신된 데이터의 CDMA 코드 역확산(despreading), 복조 및 디코딩을 수행할 수 있고, 이어서 추가의 프로세싱을 위해 수신기에서 MAC 프로토콜 계층 또는 MAC 계층(203)의 엔티티에 이들 데이터를 포워딩할 수 있다.
MAC 프로토콜 계층(203) 또는 MAC 프로토콜 계층(203)의 엔티티는 서비스 액세스 포인트로서 논리 채널(208)을 사용하여 그 또는 이들의 서비스를 RLC 프로토콜 계층(204)에 제공할 수 있고, 이들은 어느 유형의 파일이 전송된 데이터를 수반하는지를 특징화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무선 단말(118)의 상향링크 방향에서의 데이터 전송 중에 송신기 내에서의 MAC 프로토콜 계층(203)의 작업은 특히 물리적 계층(201)의 전송 채널(209) 상의 MAC 프로토콜 계층(203) 위의 논리 채널(208) 상에 존재하는 데이터를 맵핑할 수 있다. 물리적 계층(201)은 이를 위한 개별 전송을 전송 채널(209)에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각각의 전송 채널(209) 상에 맵핑될 수 있는 논리 채널(208)의 각각의 데이터 우선 순위 및 각각의 현재의 데이터 전송률 및 또한 모바일 무선 단말(118)(UE)의 이용 가능한 전송 전력에 기초하여 각각의 구성된 전송 채널을 위한 적합한 전송 포맷(TF)을 선택하는 것이 전송 상황에서 모바일 무선 단말(118) 내의 MAC 프로토콜 계층(203) 또는 MAC 프로토콜 계층(203)의 엔티티의 기능일 수 있다. 전송 포맷은 특히 얼마나 많은 전송 블록이라 칭하는 MAC 데이터 패킷 유닛이 전송될 수 있는지, 달리 말하면 전송 기간(TTI)(전송 시간 간격)당 전송 채널(209)을 경유하여 물리적 계층(201)에 전달될 수 있는지에 대한 규정을 포함한다. 다양한 전송 채널(209)에 대한 허용 가능한 전송 포맷 및 또는 허용 가능한 전송 포맷의 조합은 통신 링크가 셋업될 때 모바일 무선 네트워크 제어 유닛(106, 107)에 의해 모바일 무선 단말(118)에 신호화될 수 있다. 수신기에서, MAC 프로토콜 계층(203)의 엔티티는 논리 채널(208)을 통해 전송 채널(209) 상에 수신된 전송 블록을 재차 분할할 수 있다.
UMTS에서, MAC 프로토콜 계층 또는 MAC 프로토콜 계층(203)의 엔티티는 복수의, 예를 들어 3개의 논리 엔티티를 가질 수 있다. "MAC-d 엔티티"(MAC 전용 엔티티)는 대응 전용 논리 채널[DTCH(전용 트래픽 채널) 및 DCCH(전용 제어 채널)]을 경유하여 전용 전송 채널(DCH: 전용 채널) 상에 맵핑되는 유용한 데이터 및 제어 데이터를 취급할 수 있다. MAC-c/sh 엔티티(MAC 제어/공유 엔티티)는 상향링크 방향에서의 공통 전송 채널(RACH: 임의 액세스 채널) 또는 하향링크 방향에서의 공통 전송 채널(FACH: 포워드 액세스 채널)과 같은 공통 전송 채널(209) 상에 논리 채널(208)로부터의 맵핑된 유용한 데이터 및 제어 데이터를 취급할 수 있다. MAC-b 엔티티(MAC 브로드캐스트 엔티티)는 논리 채널(BCCH: 브로드캐스트 제어 채널)을 경유하여 전송 채널(BCH: 브로드캐스트 채널) 상에 맵핑되고 브로드캐스트에 의해 각각의 모바일 무선 셀의 모든 모바일 무선 단말(118)에 전송되는 모바일 무선 셀 관련 시스템 정보만을 취급할 수 있다. LTE에서, 상이한 유형의 MAC 엔티티 MAC-d, MAC-c/sh 및 MAC-b 사이에는 구별이 없기 때문에, MAC 프로토콜 계층은 UMTS와는 상이하다.
UMTS RLC 프로토콜 계층(204)을 사용하여 또는 RLC 프로토콜 계층(204)의 엔티티를 사용하여, RRC 프로토콜 계층(207)은 서비스 액세스 포인트로서 신호화 무선 베어러(SRB)(213)에 의해 그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고, PDCP 프로토콜 계층(205) 및 BMC 프로토콜 계층(206)은 서비스 액세스 포인트로서 무선 베어러(RB)(210)에 의해 이들의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신호화 무선 베어러 및 무선 베어러는 RLC 프로토콜 계층(204)이 데이터 패킷을 취급할 필요가 있을 수 있는 방식을 특징화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예로서, RRC 프로토콜 계층(207)은 각각의 구성된 신호화 무선 베어러 또는 무선 베어러를 위한 전송 모드를 규정한다. 이하의 전송 모드가 UMTS에 제공된다.
- 전송 모드(TM),
- 미확인 응답 모드(UM), 또는
- 확인 응답 모드(AM).
RLC 프로토콜 계층(204)은 각각의 무선 베어러 또는 신호화 무선 베어러를 위한 독립적인 RLC 엔티티가 존재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게다가, 전송 디바이스 내의 RLC 프로토콜 계층 또는 그 엔티티(204)의 작업은 무선 베어러 또는 신호화 무선 베어러로부터의 유용한 데이터 및 신호화 데이터를 데이터 패킷으로 분할하거나 어셈블링하는 것이다. RLC 프로토콜 계층(204)은 분할 또는 어셈블리 후에 생성된 데이터 패킷을 추가의 전송 또는 추가의 프로세싱을 위해 MAC 프로토콜 계층(203)에 전달할 수 있다.
PDCP 프로토콜 계층(205) 또는 PDCP 프로토콜 계층(205)의 엔티티는 "패킷 전환 도메인"(PS 도메인)으로부터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수신하기 위해 셋업될 수 있다. PDCP 프로토콜 계층(205)의 주 기능은 IP 헤더 정보(인터넷 프로토콜 헤더 정보)를 압축하거나 압축 해제하는 것일 수 있다.
BMC 프로토콜 계층(206) 또는 그 엔티티는 공중 인터페이스를 경유하여 "셀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를 전송하거나 수신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RRC 프로토콜 계층(207) 또는 RRC 프로토콜 계층(207)의 엔티티는 물리적 채널, 전송 채널(209), 논리 채널(208), 신호화 무선 베어러(213) 및 무선 베어러(210)를 셋업하고 소거하고 재구성하고 또한 프로토콜 계층 1, 즉 프로토콜 계층 2의 물리적 계층(201)의 모든 파라미터를 절충하기 위한 책임이 있을 수 있다. 이를 위해, 모바일 무선 네트워크 제어 유닛(106, 107) 및 각각의 모바일 무선 단말(118) 내의 RRC 엔티티, 즉 RRC 프로토콜 계층(207)의 엔티티는 신호화 무선 베어러(213)를 경유하여 적절한 RRC 메시지를 상호 교환할 수 있다.
UMA 기술(비인가 모바일 액세스: 블루투스, DECT 또는 WiFi와 같은 비인가 주파수 대역 내에서 작동하는 무선 근거리 통신망과 GSM/GPRS 또는 UMTS와 같은 무선 원거리 통신망 사이의 끊임 없는 로밍 및 핸드오버를 허용하는 전화 통신 기술)과는 대조적으로, 3GPP에 의해 규정된 바와 같은 레가시 'NodeB' 또는 'eNodeB'는 통상적으로 모바일 네트워크 오퍼레이터(MNO)의 직접적인 물리적 제어 하에(달리 말하면, 도메인 내에) 있고, 라이센스 동의에 의해 특정 MNO에 할당된 주파수에서만 작동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이들 주파수는 MNO에 경매 등을 통해 판매되었다.
이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다양한 실시예는 현재의 모바일 네트워크 오퍼레이터가 지각하고 있는, 가정 내부의 WiFi, VoIP 및 고정 전화의 통합화(convergence)에 의해 증가하는 위협을 다루고 있다. 다양한 실시예는 거주 호 마켓의 모바일 네트워크 오퍼레이터의 몫을 증가시키기 위한 방식을 제공한다. 소위 '홈 기지국' 개념이 가정에서 셀룰러 호를 수신하고 개시하는 것을 지원하고, 매크로 네트워크 아키텍쳐(각각 레가시 NodeB 또는 E-NodeB를 포함함), 즉 레가시 UTRAN 또는 E-UTRAN을 각각 바이패스함으로써 오퍼레이터의 코어 네트워크에 트래픽을 전달하기 위해 광대역 접속(일반적으로, DSL, 케이블 모뎀 또는 광 파이버)을 사용할 수 있다. 펨토 셀은 고객이 고가의 이중 모드 핸드셋 또는 UMA 디바이스로 업그레이드하도록 요구하기보다는 모든 현존하는 그리고 미래의 핸드셋으로 작동할 수 있다.
고객의 관점으로부터, '홈 NodeB'는 모든 호에 대한 내장형 개인 전화번호부를 갖는 단일의 모바일 핸드셋을 가정에 있는지 다른 장소에 있는지를 불문하고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더욱이, 사용자에 대해, 단지 하나의 계약 및 하나의 청구서만이 존재한다. '홈 NodeB'를 제공하는 또 다른 효과는 향상된 옥내 네트워크 커버리지 뿐만 아니라 증가된 트래픽 처리량에서 보여질 수 있다. 더욱이, 전력 소비는 핸드셋과 '홈 기지국' 사이의 무선 링크 품질이 핸드셋과 레가시 'NodeB' 사이의 링크보다 훨씬 더 양호한 것으로 예측될 수 있기 때문에 감소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홈 NodeB'로의 액세스는 폐쇄된 사용자 그룹만을 위해 허용될 수 있는데, 즉 통신 서비스 제공은 특정 회사의 피고용인 또는 가족 구성원, 일반적으로 폐쇄된 사용자 그룹의 구성원에 제한될 수 있다. 이 종류의 '홈 기지국'은 3GPP에서 '폐쇄형 가입자 그룹 호'(CSG 호)라 칭할 수 있다. CSG 호인 것으로 지시하는 셀은 UE(118)에 그 CSG 신분을 제공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셀은 단지 그 CSG 신분이 UE(118)의 CSG 화이트 리스트[특정 UE(118)가 사용자가 통신하는 것을 허용하는 셀을 지시하는 관련 스마트 카드 또는 UE(118) 내에 유지되는 CSG 신분의 리스트] 내에 있으면 UE(118)에 적합할 수 있다.
'펨토 셀' 엔티티 또는 '홈 기지국' 엔티티는 일반적으로 물리적으로 사용자의 제어 하에 있는, 달리 말하면 MNO의 도메인의 외부에 있는 소형 크기의 박스일 수 있기 때문에, 이는 방랑적으로(nomadically) 사용될 수 있는데, 즉 사용자는 그의 아파트에서 작동하도록 할 수도 있고 예를 들어 비즈니스 여행자로서 가정으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을 때 호텔에서 작동하도록 할 수도 있다. 추가적으로, '홈 NodeB'는 단지 일시적으로만 작동될 수도 있어, 예를 들어 사용자가 밤새도록 이를 작동시키기를 원하지 않을 때 또는 사용자가 그의 아파트를 나올 때 종종 스위칭 온 및 오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작동 모드는 MNO의 모바일 무선 코어 네트워크에 새로운 과제(challenge)를 표현한다. 레가시 기지국은 고정된 위치에서 영구적으로 작동될 수 있고, MNO는 이들 사이의 상호 간섭을 최소화하기 위해 그의 모바일 무선 통신 네트워크 내의 이웃하는 NodeB 또는 eNodeB에 상이한 세트의 무선 자원(예를 들어, 캐리어 주파수, 시간 슬롯 및/또는 코드 등)을 할당한다.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3개의 홈 NodeB를 위한 가능한 배치 시나리오를 도시하는 도면(300)이다.
이 예에서, NodeB 및 홈 NodeB "상위에" 제공되는 모든 모바일 무선 시스템의 엔티티를 상징화하는 상위 네트워크 노드(302)가 도시되어 있다. 더욱이, 도 3은 제 1 3GPP 모바일 무선 통신 시스템에 따라 제 1 공급자에 의해 제공되는 제 1 모바일 무선 매크로 셀(304)과, 제 2 3GPP 모바일 무선 통신 시스템에 따라 제 2 공급자에 의해 제공되는 제 2 모바일 무선 매크로 셀(306)을 도시한다. 제 1 및 제 2 공급자는 동일한 공급자 또는 상이한 공급자일 수 있다. 더욱이, 제 1 및 제 2 3GPP 모바일 무선 통신 시스템은 동일한 3GPP 모바일 무선 통신 시스템 또는 상이한 3GPP 모바일 무선 통신 시스템일 수 있다. 예에서, 제 1 3GPP 모바일 무선 통신 시스템은 LTE 모바일 무선 통신 시스템일 수 있고, 제 2 3GPP 모바일 무선 통신 시스템은 UMTS 모바일 무선 통신 시스템일 수 있다. 그러나, 실시예는 LTE 또한 UMTS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심지어 3GPP 모바일 무선 통신 시스템에 한정되는 것도 아니다. 예를 들어 FOMA(Freedom of Mobile Multimedia Access) 모바일 무선 통신 시스템 또는 코드 분할 다중 접속 2000(CDMA 2000) 모바일 무선 통신 시스템과 같은 임의의 적합한 허가된 모바일 액세스 모바일 무선 통신 시스템과 같은 임의의 다른 적합한 모바일 무선 통신 시스템이 설명된 실시예와 관련하여 사용될 수 있다.
도 3에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모바일 무선 매크로 셀(304, 306)에서, 각각의 홈 NodeB(314, 310, 318)에 의해 제공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모바일 무선 마이크로 셀(이하에 또한 홈 NodeB 셀이라 칭함)(308, 316, 312)이 제공될 수 있다. 홈 NodeB(314, 310, 318)는 각각의 모바일 무선 통신 시스템 내에 제공된 기술에 따라 상위 네트워크 노드(302)의 각각의 엔티티에 접속될 수 있다.
도 4는 3개의 상이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RAN)를 갖는 일반적인 3GPP 네트워크 아키텍쳐(400)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3GPP 네트워크 아키텍쳐(400)는 이하에 더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다양한 인터페이스에 의해 서로 접속될 수 있는 진화된 패킷 코어(EPC)(402) 및 범용 패킷 무선 서비스(GPRS) 코어(404)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GPRS 코어(404)는 예를 들어 Gb 인터페이스(410)를 경유하여 GSM EDGE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GERAN)(408)(2G 또는 2.5G라 또한 칭할 수 있음)와 같은 상이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에, 및/또는 Iu 인터페이스(414)를 경유하여 UMTS 지상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UTRAN)(412)에 결합될 수 있는 서빙 GPRS 지원 노드(SGSN)(406)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UTRAN은 UMTS 지상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를 지원하고, UMTS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NodeB 및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RNC)를 위한 집합적인 용어이다. 통상적으로 3G라 칭하는 이 통신 네트워크는 실시간 회로 전환으로부터 IP 기반 패킷 전환까지 다수의 트래픽 유형을 가질 수 있다. UTRAN은 적어도 하나의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RNC)에 접속된 적어도 하나의 NodeB를 포함할 수 있다. RNC는 하나 이상의 NodeB(들)를 위한 제어 기능성을 제공할 수 있다. NodeB 및 RNC는 동일한 디바이스일 수 있지만, 통상적인 구현은 다중 NodeB를 서빙하는 중앙 위치에 위치된 개별 RNC를 가질 수 있다. RNC는 그 대응 NodeB와 함께 무선 네트워크 서브시스템(RNS)이라 칭한다. UTRAN마다 하나 초과의 RNS가 제공될 수 있다.
더욱이, 실시예에서, 이하의 엔티티 또는 구성 요소가 범용 3GPP 네트워크 아키텍쳐(400) 내에 제공될 수 있다.
- 진화된 UMTS 지상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E-UTRAN)(416),
- 신뢰성있는 비-3GPP 인터넷 프로토콜(IP) 액세스 네트워크(418) 및 그와 접속된 신뢰성있는 비-3GPP 인터넷 프로토콜(IP) 디바이스, 달리 말하면 인터넷 프로토콜 스택을 사용하여 EPC(402)에 액세스할 수 있는 신뢰성있는 비-3GPP 디바이스,
- 무선 근거리 통신망(WLAN) 3GPP 인터넷 프로토콜(IP) 액세스 네트워크(420) 및 그와 접속된 무선 근거리 통신망(WLAN) 3GPP 인터넷 프로토콜(IP) 디바이스, 달리 말하면 인터넷 프로토콜 스택을 사용하여 EPC(402)에 액세스할 수 있는 WLAN 3GPP 디바이스,
- 홈 가입자 서버(HSS)(422) 및
- 정책 및 과금 규칙 기능(PCRF) 엔티티(424).
E-UTRAN은 현재 작동되고 있는 LTE(3.9G)를 위한 새로운 3GPP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인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제안된 E-UTRA 공중 인터페이스는 하향링크 전송 방향(타워에서 핸드셋으로)에 대해 OFDMA를 사용할 수 있고, 상향링크 전송 방향(핸드셋에서 타워로)에 대해 단일 캐리어 FDMA(SC-FDMA)를 사용할 수 있다. 복수의 안테나, 예를 들어 스테이션당 최대 4개의 안테나를 갖는 MIMO(다중 입력 다중 출력)를 이용할 수 있다. OFDM(직교 주파수 분할 멀티플렉싱)의 사용은 E-UTRA가 UTRAN과 같은 구식의 CDMA 기반 시스템보다 훨씬 더 그 스펙트럼의 사용에서 융통성이 있게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OFDM은 CDMA보다 큰 링크 스펙트럼 효율을 갖고, 64QAM(직교 진폭 변조)과 같은 변조 포맷 및 MIMO와 같은 기술과 조합될 때, E-UTRA는 HSDPA(고속 하향링크 패킷 액세스) 및 HSUPA(고속 상향링크 패킷 액세스)를 갖는 W-CDMA(광대역 CDMA)보다 상당히 더 효율적인 것으로 예측된다.
더욱이, 이하에 더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EPC(402)는 이동도 관리 엔티티(MME) 및 서빙 게이트웨이(S-GW)[도 4에 하나의 엔티티 MME S-GW(426)로서 도시되어 있지만, MME 및 S-GW는 또한 개별 디바이스에 구현될 수도 있음], 3GPP 앵커(Anchor) 엔티티(428) 및 SAE(시스템 아키텍쳐 진화) 앵커 엔티티(430)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E-UTRAN(416)은 S1 인터페이스(432)를 경유하여 EPC(402)의 MME S-GW(426)에 접속될 수 있다.
더욱이, 신뢰성있는 비-3GPP IP 엔티티(418)는 S2a 인터페이스(434)를 경유하여 SAE 앵커 엔티티(430)에 접속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S2a 인터페이스(434)는 프록시 모바일 IPv6(PMIP)에 그리고 PMIP를 지원하지 않는 액세스를 지원하기 위해 모바일 IPv4에 기초할 수 있다.
WLAN 엔티티(420)는 ePDG(진화된 패킷 데이터 게이트웨이)(436) 및 WLAN 액세스 네트워크(438)를 포함할 수 있다. ePDG(436)는 ePDG(436)와 EPC(402)의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PDN) 게이트웨이 사이의 이동도 지원 및 관련 제어를 사용자 평면에 제공할 수 있는 S2b 인터페이스(440)를 경유하여 SAE 앵커 엔티티(430)에 접속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S2b 인터페이스(440)는 프록시 모바일 IPv6(PMIP)에 기초할 수 있다.
더욱이, SGSN(406)은 휴면(idle) 및/또는 활성(active) 상태에서 3GPP 액세스 네트워크간 이동성(mobility)을 위해 사용자 및 베어러 정보 교환을 제공하거나 가능하게 하는 S3 인터페이스(442)를 경유하여 EPC(402) 내의 MME S-GW(426)에 접속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S3 인터페이스(442)는 SGSN 사이에 제공될 수 있는 바와 같이 GPRS 터널링 프로토콜(GTP) 및 Gn 인터페이스에 기초할 수 있다. SGSN(406)은 GPRS 코어와 S-GW의 3GPP 앵커 기능 사이의 관련 제어 및 이동도 지원을 사용자 평면에 제공할 수 있고 SGSN과 GGSN 사이에 제공된 바와 같은 GTP 프로토콜 및 Gn 기준점에 기초할 수 있는 S4 인터페이스(444)를 경유하여 3GPP 앵커 엔티티(428)에 더 접속될 수 있다.
MME S-GW(426)는 S5a 인터페이스(446)를 경유하여 3GPP 앵커 엔티티(428)에 접속될 수 있고, 3GPP 앵커 엔티티(428)는 S5b 인터페이스(448)를 경유하여 SAE 앵커 엔티티(430)에 접속될 수 있다.
더욱이, HSS(422)는 MME와 HSS(422) 사이의 진화된 시스템(AAA 인터페이스)으로의 사용자 액세스를 인증/승인하기 위한 가입 및 인증 데이터의 전달을 제공하거나 가능하게 할 수 있는 S6 인터페이스(450)를 경유하여 EPC(402)에 접속될 수 있다.
PCRF(424)는 PCRF(424)로부터 EPC(402)의 PDN 게이트웨이 내의 정책 및 과금 시행 기능(PCEF)에 서비스 품질(QoS) 정책 및 과금 규칙의 전달을 제공할 수 있는 S7 인터페이스(452)를 경유하여 EPC(402)에 접속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S7 인터페이스(452)는 Gx 인터페이스에 기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3G) IP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IMS), (3G) 패킷 스위치 스트리밍(PSS) 등과 같은 IP 서비스는 SGi 인터페이스(456)를 경유하여 SAE 앵커 엔티티(430)에 그리고/또는 Rx+ 인터페이스(458)를 경유하여 PCRF(424)에 제공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SGi 인터페이스(456)는 PDN 게이트웨이와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사이의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는 예를 들어 IMS와 같은 IP 서비스의 제공을 위한 오퍼레이터 외부 공용 또는 사설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또는 인트라 오퍼레이터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일 수 있다. SGi 인터페이스(456)는 Gi 및 Wi 인터페이스에 대응할 수 있고, 임의의 3GPP 또는 비-3GPP 액세스를 지원할 수 있다. Rx+ 인터페이스(458)는 Rx 인터페이스에 대응할 수 있고, IP 서비스와 PCRF(424) 사이의 인터페이스이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홈 eNodeB'의 개념을 지원하는 LTE 시스템(E-UTRAN)이 고려된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 및 예는 대안 실시예 및 예에서 UMTS(UTRAN) 또는 GSM(GERAN)과 같은 다른 무선 액세스 기술(RAT)에 용이하게 적응될 수 있다는 것을 언급해야 한다. E-UTRAN에서, eNodeB는 거의 모든 RNC 기능성이 eNodeB로 이동되어 있기 때문에 UTRAN 시스템의 레가시 NodeB보다 예시적으로 더 지능적이다.
도 5는 3개의 eNodeB(502, 504, 506), 2개의 진화 패킷 코어(EPC), 예를 들어 제 1 오퍼레이터 A에 의해 제공되고 제 1 MME/S-GW(510)를 포함하는 제 1 EPC(508) 및 제 2 오퍼레이터 B에 의해 제공되고 제 2 MME/S-GW(514)를 포함하는 제 2 EPC(512)를 포함하는 예시적인 E-UTRAN 아키텍쳐(500)를 도시한다. LTE에서, eNodeB(502, 504, 506)는 X2 인터페이스(514)에 의해 서로 상호 접속된다. 더욱이, eNodeB(502, 504, 506)는 각각의 EPC(508, 512)의 MME/S-GW(510, 514)에 S1 인터페이스(516)에 의해 접속된다. 3GPP에 의해 규정된 바와 같은 S1 인터페이스(516)는 EPC(508, 512)와 eNodeB(502, 504, 506) 사이의 다자간 관계를 지원할 수 있고, 즉 이론적으로 상이한 오퍼레이터가 동일한 eNodeB(502, 504, 506)를 동시에 작동할 수 있다. eNodeB(502, 504, 506)는 각각의 이동 무선 셀(518, 520, 522) 내에 위치된 무선 통신 단말 디바이스에 대한 모바일 무선 커버리지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 더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다양한 실시예는 '홈 NodeB'가 위치되어 있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RAN)와 MNO의 코어 네트워크(CN) 사이의 제어 메시지의 교환에 기초할 수 있다.
모바일 네트워크 오퍼레이터(MNO)는 '홈 NodeB'에 할당된 무선 자원을 지나가는 공용 사용자("공용 가입자 그룹"의 사용자) 및 폐쇄된 가입자 그룹의 사용자 간에 동적으로 분배할 수도 있다.
홈 게이트웨이 이니셔티브(HGI)는 3GPP에서의 '홈 기지국' 작업을 증가하는 관심을 갖고 고찰하기 시작하고 있다는 것이 주목된다. 과거에는, HGI의 초점은 특정 셀룰러 요건을 수반하는 셀룰러 통신 네트워크에 대한 연관없이 소형의 유선 옥내 네트워크와 인터넷 사이의 게이트웨이로 제한되어 왔다. 대응 네트워크 아키텍쳐의 예가 도 6의 도면(600)에 도시되어 있다.
HGI의 관점으로부터, 모든 최종 사용자의 인트라 홈 네트워크 요구[예를 들어, 스위치 디바이스(616) 및/또는 게이트웨이 디바이스(618)를 경유하는 최종 사용자 통신 디바이스(608, 610, 612, 614) 사이의 통신 접속(602, 604, 606), 이들 접속(602, 604, 606) 및 최종 사용자의 통신 디바이스(608, 610, 612, 614)는 예시적으로 홈 네트워크(620)를 형성함]의 지원은 최종 사용자의 통신 디바이스(608, 610, 612, 614)로부터 서비스 에지 노드(622, 624)로의 홈 네트워크 외부 통신 접속[예를 들어, 게이트웨이 디바이스를 경유하는 통신 접속(626, 628), 서비스 에지 노드(622, 624)는 액세스 네트워크(630)의 부분임]만큼 중요하다.
3GPP에 의해 개발된 '홈 기지국' 개념과 HGI에 의해 규정된 바와 같은 레가시 게이트웨이 기능성을 조합하는 최종 고객 제품은 이하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RAT와 관련된 몇몇 과제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에, 예를 들어 인트라 홈 트래픽에 또한 사용되는 고객측에서의 GSM, UMTS, LTE 등과 같은 양호하게 공지된 무선 액세스 기술(RAT)[예를 들어, 이더넷을 경유하는 2개의 퍼스널 컴퓨터(PC)의 접속, 집 내에서 휴대용 리모트 컨트롤과 미디어 서버 사이의 원격 제어 명령의 교환, 머신 대 머신 통신의 허용 등]에 부가하여 네트워크측 상의 MNO의 코어 네트워크로의 통신 접속(예를 들어, DSL, 케이블, 파이버와 같은 광대역 접속)을 제공하는 게이트웨이가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이 옥내 데이터 트래픽에 대해서는 어떠한 추가적인 무선(cordless) 기술도 요구되지 않아야 하는데, 그렇지 않으면 고가의 UMA 통신 디바이스를 향해 후퇴할 필요가 있다.
내부 트래픽[즉, 상기 도 6에 도시된 인트라 홈 통신 접속(602, 604, 606)]이 인가된 주파수 대역에서 작동하는 RAT를 경유하여 전달될 때, MNO는 그에 할당된 주파수 스펙트럼의 부분에서 진행하는 것을 모니터링하기를 원할 수 있다. MNO는 또한 내부 데이터 트래픽에 대해 사용자에 과금하기를 원할 수 있다(내부 데이터 트래픽의 유형 또는 통신 디바이스의 유형에 따라). 이를 수행할 수 있게 하기 위해, MNO는 작동하는 보안(신뢰성있는) 환경을 필요로 한다. 이는 이하에 더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다양한 실시예의 구현에 따라 '홈 기지국' 내에 TPM 또는 스마트 카드를 장착함으로써 성취될 수 있다.
도 7은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무선 통신 시스템(700)의 간단한 아키텍쳐를 도시한다.
실시예에 따르면, eNB['홈 기지국'(HBS)에 대한 3GPP 용어로서 이해될 수 있음](702)는 무선 자원 관리, 무선 베어러 제어, 무선 승인 제어, 접속 이동도 제어, IP 헤더 압축 및 사용자 데이터 스트림의 암호화를 위한 기능과 같은 다수의 상이한 기능을 호스팅할 수 있다. MNO의 코어 네트워크(708) 내에 위치된 이동도 관리 엔티티(MEE)(704)는 eNB(702)로의 페이징 메시지의 분배, 보안 제어, 휴면 상태 이동도 제어, SAE 베어러 제어, NAS 신호화의 암호화 및 완전성 보호를 위한 기능을 호스팅하고, MNO의 코어 네트워크(708) 내에 또한 위치된 서빙 게이트웨이(S-GW)는 UE 이동도를 지원하기 위해 U-평면 트래픽을 스위칭하기 위한 기능을 호스팅한다. 서빙 게이트웨이(S-GW)는 도 7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다.
이하의 예에서, 이동도 관리 엔티티(MME)(704) 및 서빙 게이트웨이(S-GW)는 이미 상기에 지시된 바와 같이 코어 네트워크 엔티티(CNE)라 칭하는 논리 엔티티에서 간단화를 위해 조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코드 네트워크 엔티티(CNE)는 완전히 또는 그 부분에 MME(704) 및 S-GW의 기능의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코어 네트워크 엔티티(CNE)는 HLR(HLR-홈 위치 레지스터) 및/또는 OCS(OCS-온라인 과금 시스템) 및/또는 BD(BD-빌링 도메인) 등과 같은 더 많은 코어 네트워크 기능성을 포함할 수 있다. 온라인 과금 시스템(OCS)은 트랜잭션 취급, 등급화, 온라인 상관 및 가입자 계정/차액의 관리를 포함하는 실시간 신용 제어를 수행하는 기능성 네트워크 엔티티로서 이해될 수 있다. 빌링 도메인(BD)은 다양한 코어 네트워크 과금 기능으로부터 과금 데이터 기록(CDR) 파일을 수신하고 프로세싱할 수 있고, 빌링 애플리케이션, 빌링 중재 애플리케이션 또는 다른(예를 들어, 통계) 애플리케이션과 같은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온라인 과금에 있어서 등가의 기능성에 책임이 있을 수 있는 전술된 "온라인 과금 시스템"과 대조적으로, 빌링 도메인(BD)은 오프라인 과금에만 적용될 수 있다. '홈 기지국'(HBS)(702)은 미보안 네트워크(712)를 경유하여 CNE가 상주하는 모바일 네트워크 오퍼레이터의 코어 네트워크(708)에 S1 인터페이스(710)를 경유하여 접속될 수 있다. R1 인터페이스(714)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인트라 홈 트래픽에 또한 사용될 수 있는, UE(716)와 '홈 기지국'(702) 사이의 무선 인터페이스(GSM, UMTS, LTE 등)를 나타낸다.
도 8은 예를 들어 실시예에 따른 도 7의 '홈 기지국'(702)과 같은 모바일 무선 통신 디바이스(800)를 더 상세히 도시한다.
실시예에서, 모바일 무선 통신 디바이스(800)는 예를 들어 UE(716)와 같은 다른 모바일 무선 통신 디바이스와의 모바일 무선 통신을 위한 모바일 무선 기지국 기능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모바일 무선 통신 프로토콜 회로(802)를 포함할 수 있다. 더욱이, 모바일 무선 통신 디바이스(800)는 모바일 무선 통신 프로토콜 회로(802)를 제어하기 위해 모바일 무선 네트워크 오퍼레이터에 의해 제어되고 있는 모바일 무선 네트워크 회로(예를 들어, 사용된 모바일 무선 통신 기술에 따라 CNE 또는 RNC)로부터 통신 제어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네트워크 제어 인터페이스 회로(804)를 포함할 수 있다. 더욱이, 신뢰성있는 프로세싱 회로(806)는 신뢰성있는 프로세싱 결과를 제공하기 위해 신뢰성있는 프로세싱 환경(808)[예를 들어, 신뢰성있는 프로세싱 환경(808) 내에 배열된 제어기 또는 프로세서 또는 임의의 다른 종류의 프로세싱 논리에 의해 구현됨]에서 컴퓨터 프로그램(812)을 프로세싱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 모바일 무선 통신 디바이스(800) 내에 포함될 수 있고, 신뢰성있는 프로세싱 회로(806)는 모바일 무선 네트워크 오퍼레이터의 도메인의 외부에 있다.
본 명세서에서, 본 명세서에 따라 용어 "제어" 및 "도메인"은 교환 가능하지 않다는 것을 주목해야 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용어 "제어"는 일반적으로 예를 들어 동작 또는 프로세스의 시작 또는 트리거링을 의미하도록 의도된다. 그러나, 다양한 실시예에서, 도메인은 대상체 또는 대상물이 다른 대상체 또는 대상물에 대해 완전한 직접적인 물리적인 제어를 갖는 다른 대상체 또는 대상물에 대한 대상체 또는 대상물의 세력 범위(sphere of influence)를 설명한다. 예로서, 홈 기지국의 경우에, 도메인은 MNO의 완전하고 직접적인 물리적인 제어 하에 있지 않고, 홈 기지국의 사용자는 예를 들어 스마트 카드 등을 삽입하기 위해 또는 동일한 작동 파라미터를 변경하기 위해, 홈 기지국을 스위칭 온 또는 오프할 수 있고 또는 심지어 디바이스를 열 수 있다. 그럼에도, 홈 기지국은 예를 들어 통신 접속 중에 네트워크에 의해 제어될 수 있고, 예를 들어 네트워크는 신호 전송을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주파수 및/또는 전력을 제어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에서 도메인은 인터넷 도메인이 아니라, 전술된 바와 같은 세력 범위라는 것이 주목되어야 한다.
실시예에서, 모바일 무선 통신 디바이스(800)는 메모리(휘발성 및/또는 비휘발성)(810), 예를 들어 실행될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 있는 판독 전용 메모리(ROM) 또는 임의 접근 메모리(RAM)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810)는 동일한 또는 상이한 유형의 하나 이상의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810) 또는 메모리(810)의 부분은 신뢰성있는 프로세싱 환경(808) 내에 제공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메모리(810) 또는 메모리(810)의 부분은 신뢰성있는 프로세싱 환경(808)의 외측에, 그러나 모바일 무선 통신 디바이스(800) 내에 제공될 수 있다.
모바일 무선 통신 디바이스(800)의 각각의 구성 요소는 예를 들어 전기 전도성 라인(814) 또는 케이블에 의해 서로 접속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812)의 프로세싱 또는 실행의 결과일 수 있는 신뢰성있는 프로세싱 결과는 신뢰성있는 프로세싱 환경(808)의 인터페이스(816)에서 예를 들어 네트워크 제어 인터페이스 회로(804) 또는 실시예의 구현에 대해 이하에 더 상세히 설명되는 다른 인터페이스에 제공될 수 있고, 네트워크 제어 인터페이스 회로(804)를 경유하여 예를 들어 코어 네트워크 및 따라서 MNO에 제공될 수 있다.
신뢰성있는 프로세싱 환경(808)은 MNO에 의해 신뢰되어 신뢰된 프로세싱 결과가 예를 들어 코어 네트워크를 위해 및 따라서 MNO를 위해 신뢰적이고 신용될 수 있는 정보가 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실시예에서, 모바일 무선 통신 디바이스(808)[및 또한 신뢰성있는 프로세싱 환경(808)]가 MNO의 도메인의 외측, 달리 말하면 MNO의 물리적 제어 외측에 있더라도 MNO에 대한 신뢰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성취된다.
도 9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모선 통신 디바이스(900)를 도시한다. 도 9의 모바일 무선 통신 디바이스(900)는 도 8의 모바일 무선 통신 디바이스(800)와 유사하지만, 예를 들어 모바일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사용자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사용자 제어 인터페이스 회로(902)와 같은 추가의 구성 요소를 추가로 포함하고, 사용자는 모바일 무선 네트워크 오퍼레이터와는 상이하다. 사용자 제어 인터페이스 회로(902)는 예를 들어 모바일 무선 통신 디바이스(900)를 스위칭 온 또는 오프하기 위한, 또는 통신 접속 중에 사용될 주파수 범위와 같은 작동 파라미터를 변경하기 위한(예를 들어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또는 모바일 무선 통신 디바이스(900)를 사용하여 통신 접속을 위해 사용될 특정 기술(예를 들어, 또한 상이한 작동 모드에서 사용될 수 있는 UMA 기술)을 설정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스위치, 센서, 액추에이터 또는 제어기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신뢰성있는 프로세싱 회로(806)는 신뢰성있는 프로세싱 환경(808)이 암호 서비스를 사용하는 것을 보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로서, 신뢰성있는 프로세싱 회로(806)는 예를 들어 신뢰성있는 프로세싱 환경(808)의 신뢰성을 보장하는데 사용된 기술에 의존하여, 암호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암호 회로(904)를 포함할 수 있다. 암호 서비스는 이하의 암호 서비스, 즉 액세스 제어 서비스, 식별 서비스, 입증 서비스, 인증 서비스, 암호화 서비스, 복호화 서비스 및/또는 디지털 서명 서비스 중 하나 이상의 암호 서비스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암호 회로(904)는 암호 키(예를 들어, MNO의 증명된 공개키 및/또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의 비밀키 및/또는 다양한 다른 공개키)와 같은 암호 자료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신뢰성있는 프로세싱 회로(806)는 신뢰성있는 플랫폼 모듈 및/또는 스마트 카드[예를 들어, 가입자 식별 모듈(SIM) 또는 UMTS 가입자 식별 모듈(USIM)과 같은]를 포함할 수 있다.
신뢰성있는 플랫폼 모듈(TPM)은 퍼스널 컴퓨터(PC)를 위한 보안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TCG 사양(TCG-신뢰성있는 연산 그룹, 이전에는 TCPA라 알려짐)의 부분으로서 개발되어 오고 있는 집적 회로 모듈로서 이해될 수 있다. 이는 연산 플랫폼 상에 분리 불가능하게 장착된 스마트 카드와 유사하다. 스마트 카드와의 차이점은 사용자보다는 시스템(연산 플랫폼)에 결합된다는 것이다. 다른 배치 시나리오-퍼스널 컴퓨터(PC)와는 별개의-는 PDA(개인 휴대 정보 단말), 휴대폰 및 또한 소비자 전자 기기이다. 다양한 실시예에 개시된 방법의 설정에서, '홈 기지국'(702)은 TPM 또는 TPM 칩을 구비할 수 있다. TPM 칩은 수동 소자이다. 이는 시스템의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 프로세스에도 또한 임의의 진행중인 동작에도 능동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없지만, 시스템(연산 플랫폼)을 명백하게 식별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고유의 식별 태그를 유지한다. 더욱이, TPM은 다수의 상이한(예를 들어, 암호) 키(예를 들어, 암호화 알고리즘 또는 디지털 서명을 위한)를 생성하고, 사용하고, 저장할 수 있다. 이들 키는 TPM의 외측에 사용될 필요는 없고, 모든 연산은 대신에 TPM의 신뢰성있는 도메인 내에서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소프트웨어 공격이 불가능한 것으로 간주된다. 또한, 하드웨어 공격으로부터의 보호는 비교적 양호하다(보안 스마트 카드와 유사함). TPM은 물리적 공격이 모든 데이터의 파괴를 불가피하게 초래하는 방식으로 제조된다. 다양한 실시예와 관련하는 TPM의 몇몇 기능성은 입증, 증명 및 인증의 능력을 포함한다. 입증 기능에 의해, 원격 엔티티는 당해의 시스템에 의한 특정 기능성의 지원에 대해 그리고 시스템 자체가 양호하게 규정된 상태에 있다는 사실에 대해 확신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통합된 TPM을 갖는 연산 플랫폼은 원격 엔티티를 향한 그 신뢰성을 증명할 수 있다. 다수의 경우에, TPM의 감독 기능에 의해 성공적으로 검증되는 시스템(연산 플랫폼)의 작동 상태는 소프트웨어를 실행하거나 특정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전제 조건이다.
도 10은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카드(1002)[예를 들어, 범용 집적 회로 카드(UICC)] 및 그 주요 구성 요소의 콘텐트 및 기능성을 도시하는 도면(1000)이다.
GSM 표준에 따라 작동하는 이동 전화기는 모바일 네트워크에서의 사용을 위한 SIM 카드를 필요로 하고, 반면에 UMTS 표준에 따라 작동하는 이동 전화기는 적어도 하나의 USIM(범용 가입자 식별 모듈)을 갖는 UICC(UICC-범용 집적 회로 카드)를 필요로 한다. 양 유형의 카드(SIM 카드 및 UICC)는 이들의 응용 메모리 내에 애플리케이션 및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위한 저장 용량을 제공한다. 이들 애플리케이션의 대부분은 이동 통신 특정이고, 따라서 MNO에 의해 발행되고, 유지되고, 업데이트된다. 본 발명의 보고에 관련되는 신뢰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은 또한 스마트 카드의 애플리케이션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도 10은 스마트 카드(예를 들어, UICC)(1002)의 5개의 구성 요소의 개략도를 제공한다. 이들은 이하와 같다.
- 예를 들어, 프로그램 가능 판독 전용 메모리(PROM), 예를 들어 소거 가능 프로그램 가능 판독 전용 메모리(EPROM), 예를 들어 전기 소거 가능 프로그램 가능 판독 전용 메모리(EEPROM)로서 구현되는 애플리케이션 메모리(1006), 애플리케이션 메모리(1006)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일반적으로, 컴퓨터 프로그램), USIM 애플리케이션 툴키트(USAT) 애플릿 및/또는 데이터[예를 들어, 단문 메시지 서비스(SMS) 데이터,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MMS) 데이터, 전화번호부 데이터 등]를 저장할 수 있음[예를 들어, 도 10의 블록(1008) 참조],
- 판독 전용 메모리(ROM)(1010), ROM(1010)은 USIM 애플리케이션 툴키트(USAT), 스마트 카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예를 들어, USIM, ISIM 등), 파일 시스템, 다양한 알고리즘, JAVA 가상 머신, 하나 이상의 운영 시스템을 저장하도록 제공될 수 있음[예를 들어, 도 10의 블록(1012) 참조],
- 임의 접근 메모리(RAM)(1014), RAM(1014)은 예를 들어 계산 및/또는 입력/출력 통신으로부터의 결과를 저장하기 위한 작동 메모리로서 제공될 수 있음[예를 들어, 도 10의 블록(1016) 참조],
- 마이크로프로세서 유닛(MPU)(1018), MPU(1018)는 명령, 달리 말하면 전술된 각각의 컴퓨터 프로그램의 실행을 위해 제공될 수 있음[예를 들어, 도 10의 블록(1020) 참조],
- 입력/출력 제어기(I/O 제어기)(1022), I/O 제어기(1022)는 예를 들어 모바일 장비(ME)와 MPU(1018)와 같은 단말 통신 디바이스 사이의 데이터 흐름의 관리를 위해 제공될 수 있음[예를 들어, 도 10의 블록(1024) 참조].
GSM 표준에 따라 작동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예를 들어 SIM 카드 및 모바일 장비(ME)는 이동국(MS)을 함께 형성하고, 반면에 UMTS 표준에 따라 작동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UICC(그 ROM에 다중 SIM 및 USIM이 상주할 수 있음) 및 모바일 장비(ME)는 사용자 장비(UE)를 함께 형성한다.
도 11은 예를 들어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 7의 '홈 기지국'(702)과 같은 모바일 무선 통신 디바이스(1100)를 더 상세히 도시한다.
도 11은 3GPP에 의해 개발된 '홈 기지국' 개념을 갖는 HGI에 의해 규정된 바와 같은 레가시 게이트웨이 기능성을 조합하는 '홈 기지국'(1100)을 도시한다.
'홈 기지국'(1100)은 인가된 주파수 대역에서 각각 제공된 무선 액세스 기술을 구현하는 하나 또는 복수의 n개의 모바일 무선 액세스 기술 회로(RAT 1, RAT 2,..., RAT n)(1102, 1104, 1106)를 포함할 수 있다. 상이한 모바일 무선 액세스 기술 회로(1102, 1104, 1106)는 범용 이동 통신 시스템(UMTS) 모바일 무선 액세스 기술, 장기 진화(LTE) 모바일 무선 액세스 기술, 코드 분할 다중 접속(CDMA) 모바일 무선 액세스 기술, 코드 분할 다중 접속 2000(CDMA 2000) 모바일 무선 액세스 기술, 모바일 멀티미디어 액세스의 자유(FOMA) 모바일 무선 액세스 기술, 이동 통신을 위한 글로벌 시스템(GSM) 모바일 무선 액세스 기술 및 GSM 진화를 위한 향상된 데이터 레이트(EDGE) 모바일 무선 액세스 기술로 이루어진 모바일 무선 액세스 기술의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모바일 무선 액세스 기술에 따라 구성될 수 있다.
MNO의 코어 네트워크로의 접속은 모바일 무선 네트워크 오퍼레이터에 의해 제어되는 모바일 무선 네트워크에 접속되도록 구성된 추가로 제공된 광대역 통신 접속 인터페이스(1108, 1110, 1112)에 의해 성취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광대역 통신 접속 인터페이스는 유선 광대역 통신 접속 인터페이스로서 구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광대역 통신 접속 인터페이스는 디지털 가입자 라인(DSL) 광대역 통신 접속 인터페이스(1108), 케이블 기반 광대역 통신 접속 인터페이스(1110) 및 파이버 기반 광대역 통신 접속 인터페이스(1112)로 이루어진 광대역 통신 접속 인터페이스의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광대역 통신 접속 인터페이스에 따라 구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트래픽 측정 회로가 제공되어 광대역 통신 접속 인터페이스에 할당될 수 있다. 더욱이, 모바일 무선 네트워크 오퍼레이터 또는 인터넷에 의해 제어되는 모바일 무선 네트워크 중 적어도 하나에 접속되도록 구성될 수 있는 복수의 광대역 통신 접속 인터페이스가 제공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복수의 트래픽 측정 회로가 제공되어 모바일 무선 네트워크 관련 트래픽으로부터 인터넷 트래픽을 구별하기 위해, 광대역 통신 접속 인터페이스에 할당될 수 있다(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트래픽 측정 회로가 각각의 광대역 통신 접속 인터페이스에 할당될 수 있음).
더욱이, '홈 기지국'(1100)은 비인가 주파수 범위를 사용하여 다른 무선 통신 디바이스와의 통신을 위한 무선 전송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하나 또는 복수의 비인가 주파수 무선 통신 프로토콜 회로(1114)를 포함할 수 있다. 비인가 주파수 무선 통신 프로토콜 회로(1114)는 비인가 주파수 범위를 사용하여 미리 규정된 무선 기술에 따라 무선 신호 전송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비인가 주파수 무선 통신 프로토콜 회로(1114)는 IEEE 802.11 표준에 따른 무선 근거리 통신망 및 마이크로파 액세스를 위한 전세계 상호 운용성 기술로 이루어진 무선 기술의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무선 기술에 따라 구성된다.
더욱이, '홈 기지국'(1100)은 다른 통신 디바이스와의 통신을 위해 유선 전송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하나 또는 복수의 유선 통신 프로토콜 회로(1116, 1118)를 포함할 수 있다. 유선 통신 프로토콜 회로(1116, 1118)는 미리 규정된 유선 기술에 따라 신호 전송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더욱이, 유선 통신 프로토콜 회로는 이더넷 기술[예를 들어, 4개의 포트 1, 2, 3, 4를 갖는 이더넷 스위치(1116)로서 구현된 유선 통신 프로토콜 회로(1116)와 같은] 및 공중 전화망(PSTN) 기술[예를 들어, 유선 통신 프로토콜 회로(1118)와 같은]로 이루어진 유선 기술의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유선 기술에 따라 구성될 수 있다.
데이터 트래픽 라우팅은 인가된 주파수 대역 내에서 작동하는 다양한 상이한 RAT(예를 들어, GSM, UMTS, LTE 등) 또는 비인가 주파수 대역에서 작동하는 다양한 상이한 무선 기술(예를 들어, IEEE 802.11에 따른 무선 LAN)에 접속될 수 있는 '라우터'(1120)로서 명명되는 중앙 빌딩 블록(112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이 빌딩 블록(1120)은 또한 이더넷 접속[4개의 포트를 갖는 이더넷 스위치(1116)에 의해 도 11에 도시된] 또는 레가시 전화 라인과 같은 몇몇 유선 접속부를 통해 데이터 트래픽을 라우팅하도록 판정될 수 있다.
'홈 기지국'의 작동에 대한 하나의 새로운 과제는 인가된 주파수 대역에서 인트라 홈 데이터 트래픽(일반적으로, 코어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송신되지 않는 데이터 트래픽)의 취급일 수 있다. 정확한 사용자 통계를 수집하는 목적인 '홈 기지국' 내의 내부 및 외부 데이터 트래픽의 모두를 연속적으로 모니터링하기 위한 방법은 통상의 '홈 기지국'에는 제공되지 않는다. 더욱이, 구성 변화(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규정된 무선 문제점에 관련된)의 실행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MNO를 위한 방법은 통상의 '홈 기지국' 내에 제공되지 않는다. MNO에 대해, 그 코어 네트워크에 접속된 필드에서 '홈 기지국' 내에서 진행하는 것을 상세히 모니터링하기 위한 수단을 갖는 것이 매우 바람직할 수 있다. 그의 고객의 사용 패턴을 더 양호하게 이해하기 위해 몇몇 통계를 생성하는 것을 원할 수 있고, 그에 할당된 인가된 주파수 대역 내에서 송신되는 경우에 '홈 기지국'의 내부 데이터 트래픽에 대해 과금하기를 원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MNO는 '홈 기지국'이 그 또는 그녀의 도메인에 있지 않더라도, '홈 기지국'으로부터 신뢰될 수 있는 정보를 얻는 요구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양한 실시예에서 이하에 더 상세히 설명되는 정확한 어카운팅(acconting)에 추가하여, 다른 실시예는 과금 데이터 기록(CDR)이 '홈 기지국' 내의 신뢰성있는 환경에서 더 정확한 빌링을 위해 생성될 수 있는 것에 따라 제공된다[또는, 각각 코어 네트워크 내의 과금 데이터 기록(CDR) 생성을 위한 과금 관련 정보를 준비하는 것을 도움]. 이 요구는 '홈 기지국'은 그 또는 그녀의 도메인 내에 있지 않더라도, '홈 기지국' 내의 신뢰성있는 프로세싱 환경을 제공함으로써 부합되어, 신뢰성있는 프로세싱 결과가 예를 들어 MNO에 의해 요구되고 제공될 수 있게 된다.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과금 데이터 기록(CDR)은 빌링 및 어카운팅에 사용을 위한 과금 가능 이벤트(예를 들어, 통신 접속 셋업의 시간, 호의 기간, 전달된 데이터의 양, 전달된 데이터의 유형 등)에 대한 정보의 포맷된 집합을 표현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CDR(들)은 예를 들어 그 긴 기간 또는 그 시간 경과에 따라 다양한 특징에 기인하여 단일의 과금 가능 이벤트를 위해 생성될 수 있다.
실시예의 다양한 예에서 이하에 더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이하의 기능 빌딩 블록(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회로 또는 하나 이상의 제어기의 형태의) 중 하나 이상이 '홈 기지국' 내에 통합되어 예를 들어 MNO가 데이터 트래픽 및 구성 변화의 모두를 효율적으로 모니터링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 특정 논리적 및/또는 물리적 모바일 무선 통신 디바이스 내부 인터페이스 및/또는 모바일 무선 통신 디바이스 외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에 대한 데이터의 양 및/또는 유형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트래픽 측정 유닛(TMU), 모바일 무선 통신 디바이스 내부 인터페이스는 모바일 무선 통신 디바이스 내의 회로 또는 모듈(일반적으로, 엔티티) 사이의 인터페이스일 수 있고, 모바일 무선 통신 디바이스 외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는 모바일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회로 또는 모듈(일반적으로, 엔티티)과 모바일 무선 통신 디바이스 외측의 회로 또는 모듈(일반적으로, 엔티티) 사이의 인터페이스일 수 있고, 모바일 무선 통신 디바이스 외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는 다른 모바일 무선 통신 디바이스(예를 들어, UE와 같은 모바일 무선 통신 단말 디바이스)와의 통신을 위한 모바일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제 1 유형의 외부 인터페이스 또는 모바일 무선 네트워크 회로와의 통신을 위한 모바일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제 2 유형의 외부 인터페이스일 수 있음,
- 예를 들어, '홈 기지국'에 의해 제공된 홈 통신 네트워크 내에 오디오/비디오 파일을 분배하는데 사용되는 인트라 홈 트래픽을 포함하는 '홈 기지국'의 커버리지에서 기원하고 그리고/또는 종료하는 모든 데이터 트래픽을 계통적으로 기록하고, 분석하고, 보고하기 위한 어카운팅 모듈(AM),
- 예를 들어 코어 네트워크와 같은 통신 네트워크로부터 수신된 펌웨어 업데이트 또는 무선 자원 재구성 명령과 같은 재구성 변화를 계통적으로 기록하고, 분석하고, 보고하기 위한 재구성 모니터링 모듈(RMM),
- 과금을 위해 관련된 데이터의 수집을 위한 빌링 모듈(BM), 이는 '홈 기지국' 내의 CDR(과금 데이터 기록) 생성 또는 코어 네트워크 내의 CDR 생성을 위한 과금 데이터의 준비를 포함할 수 있음,
- 예를 들어 상기에 열거된 다른 기능 빌딩 블록 중 적어도 하나가 작동하게, 달리 말하면 프로세싱되거나 실행되게 하기 위한 신뢰성있는 프로세싱 환경을 생성하는 신뢰성있는 플랫폼 모듈(TPM) 또는 스마트 카드(SC).
이하에 더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다양한 실시예는 이하의 특징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회로 또는 하나 이상의 제어기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트래픽 측정 유닛(TMU)에 의한 트래픽 데이터의 측정, 및/또는
- 예를 들어, 보안, 달리 말하면 신뢰성있는 환경에서 어카운팅 모듈(AM)에 의한 트래픽 데이터의 수집 및 분석, 및/또는
- 예를 들어, 보안 환경에서의 재구성 모니터링 모듈(RMM)에 의한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및 구성 변화에 관한 데이터의 수집 및 분석, 및/또는
- '홈 기지국' 내에 상주하는 신뢰성있는 플랫폼 모듈(TPM) 또는 스마트 카드(SC)에 의해 생성된 보안 환경에서의 통계 및 과금 용도의 상기 데이터의 준비, 및/또는
- '홈 기지국'과 MNO의 코어 네트워크 사이의 통계 분석을 위해 요구되는 정보 또는 과금 관련 정보의 보안적인 교환.
도 12는 예를 들어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 7의 '홈 기지국'(702)과 같은 모바일 무선 통신 디바이스(1200)를 더 상세히 도시한다. 도 12의 모바일 무선 통신 디바이스(1200)는 도 11의 모바일 무선 통신 디바이스(1100)와 유사하고, 몇몇 추가의 엔티티(하나 이상의 모듈 또는 회로 또는 제어기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를 갖는다. 추가의 엔티티는 이하에 더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다양한 어카운팅 방법을 위해 제공될 수 있다.
이 예에 따른 데이터 트래픽의 모니터링을 위해, 트래픽 측정 유닛(TMU)이 모든 관심 인터페이스 상에 배치된다. 당해의 인터페이스는 이하의 카테고리, 즉 내부, 외부, 논리 또는 물리적 중 하나일 수 있다. 트래픽 측정 유닛(TMU)은 인터페이스의 시작부 또는 종단부에 위치될 수 있다. 다른 빌딩 블록 중 하나에(예를 들어, RAT 박스 또는 라우터 박스 내에) TMU를 통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2에 도시된 예에서, RAT 트래픽 측정 유닛(TMU-R1, TMU-R2,...,TMU-Rn)은 각각의 모바일 무선 액세스 기술 회로(RAT 1, RAT 2,...,RAT n)(1102, 1104, 1106) 및 대응 통신 인터페이스에 대해 제공될 수 있다. 더욱이, 광대역 트래픽 측정 유닛(TMU-C1, TMU-C2, TMU-C3)은 각각의 광대역 통신 접속 인터페이스(1108, 1110, 1112)에 대해 제공될 수 있다. 더욱이, 비인가 트래픽 측정 유닛(TMU-W1)은 각각의 비인가 주파수 무선 통신 프로토콜 회로(1114)에 대해 제공될 수 있고, 이더넷 트래픽 측정 유닛(TMU-E1)이 각각의 이더넷 스위치(1116) 및 대응 통신 인터페이스에 대해 제공될 수 있고, PSTN 트래픽 측정 유닛(TMU-T1)이 각각의 PSTN 유선 통신 프로토콜 회로(1118) 및 대응 통신 인터페이스에 대해 제공될 수 있다.
시스템 전체에 걸쳐 분배된 다양한 트래픽 측정 유닛(TMU)에 의해 수집된 모든 관련 데이터는 새로운 기능 빌딩 블록으로서 '홈 기지국' 내부에 또한 위치되는 빌링 모듈(BM)에 '홈 기지국'(인트라 홈 트래픽을 포함함)의 커버리지에서 기원하고 그리고/또는 종료하는 모든 데이터 트래픽의 양 및 유형을 계통적으로 보고하기 위해 중앙 어카운팅 모듈(AM)(1202)에 의해 보고되고 분석된다. 이 목적으로, 다양한 TMU가 중앙 어카운팅 모듈(AM)(1202)에 접속될 수 있다. 라우터(1120)가 몇몇 TMU를 유지하는 경우에, 라우터(1120)는 또한 어카운팅 모듈(AM)(1202)에 접속될 수 있다. 빌링 모듈(BM)은 이하에 더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예시적으로, 어카운팅 모듈(AM)(1202)은 모바일 무선 네트워크 회로에 모바일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도메인 내의 데이터 트래픽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다양한 트래픽 측정 유닛(TMU)은 통계 계산을 수행하도록 요구된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고, 고객 사용 패턴에 대한 통계에 책임이 있는 엔티티(예를 들어, 코어 네트워크 내에 위치된 엔티티)에 이를 보고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과금 관련 데이터 수집 및 CDR 준비/생성이 설명되었지만, 또한 예를 들어 통계 데이터의 수집이 대안 실시예에 제공될 수 있고, 일반적으로 MNO에 의해 신뢰되는 방식으로 임의의 조류의 컴퓨터 프로그램의 프로세싱 또는 MNO를 신뢰하는 제 3 집단이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과금 관련 데이터 수집 및 CDR 준비/생성을 포함하는 실시예가 또한 통계 실시예를 커버하도록 용이하게 확장될 수 있다.
도 12는 실시예에 따른 다수의 상이한 트래픽 측정 유닛(TMU) 및 어카운팅 모듈(AU)(1202)을 갖는 '홈 기지국'의 개략도를 제공한다. 트래픽 측정 유닛(TMU-R1 내지 TMU-Rn)은 인가된 주파수 대역에서 작동하는 다양한 RAT로부터 기원하거나 종료하는 데이터 트래픽을 모니터링하도록 구성된다. 트래픽 측정 유닛(TWU-W1)은 이에 따라 비인가 주파수 스펙트럼에서 작동하는 무선 모듈로부터/무선 모듈로의 데이터 트래픽을 모니터링하도록 구성된다. 트래픽 측정 유닛(TMU-C1 내지 TMU-C3)은 모바일 네트워크 오퍼레이터의 코어 네트워크 또는 (로컬 브레이크아웃의 경우) 인터넷으로부터 기원하거나 종료하는 데이터 트래픽을 모니터링하도록 구성된다. 로컬 브레이크아웃은 DSL/케이블/파이버 트래픽의 부분이 예를 들어 일반적인 웹 브라우징에 대해 해당하는 모바일 네트워크 오퍼레이터의 코어 네트워크를 통해 진행하도록 요구되지 않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트래픽 측정 유닛(TMU) 중 하나는 모바일 네트워크 오퍼레이터의 코어 네트워크를 통해 진행하도록 요구되는 데이터 트래픽으로부터 로컬 브레이크아웃 데이터를 구별하기 위해 아웃바운드 DSL/케이블/파이버 포트(인터페이스)에 위치되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도 12의 트래픽 측정 유닛(TMU-C1 내지 TMU-C3)은 정확히 이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트래픽 측정 유닛(TMU-E1 및 TMU-T1)은 이더넷 접속[4개의 포트 1, 2, 3, 4를 갖는 이더넷 스위치(1116)에 의해 도 12에 표현되어 있음] 또는 레가시 전화 라인과 같은 몇몇 유선 접속부를 통해 데이터 트래픽을 모니터링하도록 구성된다. 달리 말하면, 도 12의 전체 '홈 기지국'(1200) 전체에 걸쳐 분배될 수 있는 상이한 TMU는 3GPP에 의해 규정된 소위 과금 트리거 기능(CTF)과 유사한 기능성을 갖는다. 차이점은 TMU가 모바일 네트워크 오퍼레이터의 도메인에 위치되지 않는 것으로 보여질 수 있다.
다양한 트래픽 측정 유닛(TMU)이 3GPP에 의해 규정된 CTF(과금 트리거 기능)와 유사한 기능성을 제공할 수 있다. 이들 각각은 특정 시스템 인터페이스를 위한 과금 가능 이벤트에 속하는 정보를 수집하고, 이 정보를 정합 과금 이벤트에 어셈블링하고, 이들 과금 이벤트를 중앙 어카운팅 모듈(AM)(1202)을 향해 송신하기 위한 초점으로서 작용할 수 있고, 이 중앙 어카운팅 모듈은 3GPP에 의해 또한 규정된 CDF(과금 데이터 기능)와 유사하고 모바일 네트워크 오퍼레이터의 코어 네트워크에 CDR을 구성하기 위해 과금 이벤트에 포함된 정보를 사용한다. 그러나, 차이점은, 이들 실시예에서 전체 '홈 기지국'(1200) 전체에 걸쳐 분배될 수 있는 다양한 TMU 및 중앙에 위치된 AM(1202)이 모바일 네트워크 오퍼레이터의 도메인에 있지 않고, 물리적으로 고객의 제어 하에 있는 고객 댁내 장치(CPE)에 상주하고, 따라서 과금 관련 데이터의 어카운팅 및 수집이 관련되는 한 특정 취급이 제공된다는 것이다. 다르게는, 상기 데이터의 수집은 신뢰적인 것으로 간주될 수 없고, 또한 상기 데이터의 콘텐트도 신용될 수 있는 것으로 간주될 수 없다.
도 13은 예를 들어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 7의 '홈 기지국'(702)과 같은 모바일 무선 통신 디바이스(1300)를 더 상세히 도시한다. 도 13의 모바일 무선 통신 디바이스(1300)는 도 11의 모바일 무선 통신 디바이스(1100)와 유사하고, 몇몇 추가의 엔티티(하나 이상의 모듈 또는 회로 또는 제어기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 및 몇몇 수정을 갖는다. 추가의 또는 수정된 엔티티는 이하에 더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어카운팅 방법을 위해 제공될 수 있다.
도 13의 모바일 무선 통신 디바이스(1300)는 재구성 모듈(1302) 및 재구성 모니터링 모듈(RMM)(1304)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재구성 모듈(1302)은 모바일 무선 통신 디바이스(1300) 내의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및 구성 변화를 수행하고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재구성 모니터링 모듈(RMM)(1304)은 모바일 무선 통신 디바이스(1300) 내의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및 구성 변화를 모니터링하고, 원한다면 분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및 구성 변화에 관련된 데이터의 수집 및 분석을 위해, 재구성 모니터링 모듈(RMM)(1304)은 예를 들어 실시예에 따른 새로운 기능 빌딩 블록으로서 '홈 기지국'(1300) 내부에 또한 위치될 수 있는 빌링 모듈(BM)에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또는 구성 변화의 과금에 관련된 임의의 데이터를 계통적으로 보고하기 위해, '홈 기지국'(1300) 내부에 위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재구성 모듈(1302)이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및/또는 구성 변화를 수행할 수 있는 모든 관련 빌딩 블록은 재구성 모니터링 모듈(RMM)(1304)에 접속될 수 있다.
도 14는 예를 들어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 7의 '홈 기지국'(702)과 같은 모바일 무선 통신 디바이스(1400)를 더 상세히 도시한다. 도 14의 모바일 무선 통신 디바이스(1400)는 도 13의 모바일 무선 통신 디바이스(1300)와 유사하지만, 도 14의 모바일 무선 통신 디바이스(1400)에 따르면, 재구성 모듈(1302)은 접속부(1402)를 경유하여 재구성 모니터링 모듈(RMM)(1304)과 직접 결합된다.
또한 도 13의 모바일 무선 통신 디바이스(1300)와 도 14의 모바일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조합이 가능한데, 즉 관련 빌딩 블록의 일부는 재구성 모니터링 모듈(RMM)(1304)에 접속될 수 있고, 반면 다른 관련 빌딩 블록에 대해 재구성 모니터링 모듈(RMM)(1304)은 재구성 모듈(1302)로부터 직접 관련 정보를 수신한다. 빌링 모듈(BM)이 이하에 더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 15는 예를 들어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 7의 '홈 기지국'(702)과 같은 모바일 무선 통신 디바이스(1500)를 더 상세히 도시한다.
이 실시예에서, 모바일 무선 통신 디바이스(1500)는 어카운팅 모듈(AM)(1504), 재구성 모니터링 모듈(RMM)(1506) 및 빌링 모듈(BM)(1508)이 작동하게 하는, 달리 말하면 그 내부에서 프로세싱되거나 실행되게 하는 신뢰성있는 작업 환경(또한 신뢰성있는 프로세싱 환경이라 칭함)(1502)을 제공하는 '홈 기지국'으로서 구성된다. 모듈의 하나 또는 모두는 신뢰성있는 프로세싱 환경의 신뢰성있는 프로세싱 회로에 의해 실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의 예이다.
이미 전술된 바와 같이, '홈 기지국'(1500)은 물리적으로 고객의 제어 하에 있고, 따라서 과금 관련 데이터의 수집 및 과금 데이터 기록(CDR)의 생성이 고려되는 한 특정 취급이 제공된다. 다르게는, 이러한 데이터의 수집은 신뢰적인 것으로 간주될 수 없고, 또한 상기 데이터의 콘텐트가 신뢰될 수 있는 것으로 간주될 수도 없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적어도 어카운팅 모듈(AM)(1504), 재확인 모니터링 모듈(RMM)(1506) 및 빌링 모듈(BM)(1508)은 예를 들어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뢰성있는 플랫폼 모듈(TMP) 또는 스마트 카드(SC)에 의해 생성된 보안 환경[예를 들어, 신뢰성있는 작업 환경(1502)]에 상주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트래픽 및/또는 업데이트에 관련된 수집된 데이터 및 상기 수집된 데이터로부터 생성된 과금 데이터 기록(CDR)의 모두가 신뢰적이고 신용될 수 있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또한, '홈 기지국' 시스템 내에 통합된 TPM 또는 스마트 카드에 의해, 일반적으로 미보안 네트워크 환경[예를 들어, 도 7의 인터페이스(S1)에 대해 도시된 바와 같이]을 경유하여 모바일 네트워크 오퍼레이터의 코어 네트워크(1512)의 에지에서 보안 게이트웨이(1510)와 필드 내의 '홈 기지국'(1500) 사이의 보안 채널을 설정하는 것이 용이하다. 이는 필드 내의 '홈 기지국'(1500)과 보안 게이트웨이(1510) 사이의 정보의 보안적인 교환을 허용하는데, 예를 들어,
- '홈 기지국'(1500) 내의 빌링 모듈(BM)(1508)에 의해 생성된 최종 과금 데이터 기록(CDR), 또는
- 모바일 네트워크 오퍼레이터의 코어 네트워크(1512) 내의 빌링 시스템(CNE의 부분일 수 있음)에 의한 최종 과금 데이터 기록(CDR)의 생성을 위해 의도된 '홈 기지국'(1500) 내의 빌링 모듈(BM)에 의해 준비된 데이터의 세트, 또는
- 고객의 사용 패턴에 대한 통계적인 데이터를 포함하는 최종 데이터 세트, 또는
- 몇몇 다른 네트워크 엔티티(또한 CNE의 부분일 수 있음)에 의한 고객의 사용 패턴에 대한 최종 분석을 허용하도록 의도된 통계의 책임이 있는 엔티티에 의해 '홈 기지국'(1500)에 준비된 데이터의 세트의 교환이 훨씬 용이해질 수 있다.
도 16은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서 컴퓨터 프로그램을 프로세싱하기 위한 방법을 흐름도(1600)로 도시한다.
단계 1602에서, 다른 모바일 무선 통신 디바이스와의 모바일 무선 통신을 위한 모바일 무선 기지국 기능이 제공될 수 있다(예를 들어, 모바일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대응적으로 구성된 모바일 무선 통신 프로토콜 회로에 의해).
더욱이, 단계 1604에서, 통신 제어 신호는 모바일 무선 통신 프로토콜 회로를 제어하기 위해 모바일 무선 네트워크 오퍼레이터에 의해 제어되고 있는 모바일 무선 네트워크 회로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예를 들어, 모바일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대응적으로 구성된 네트워크 제어 인터페이스 회로에 의해).
단계 1606에서, 컴퓨터 프로그램은 신뢰성있는 프로세싱 결과를 제공하기 위해 신뢰성있는 프로세싱 환경에서 프로세싱될 수 있고, 신뢰성있는 프로세싱 환경은 모바일 무선 네트워크 오퍼레이터의 도메인의 외부에 있다.
이 실시예의 예에서, 신뢰성있는 프로세싱 환경은 암호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다. 암호 서비스는 액세스 제어 서비스, 식별 서비스, 입증 서비스, 인증 서비스, 암호화 서비스, 복호화 서비스 및 디지털 서명 서비스로 이루어진 암호 서비스의 그룹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방법은 암호 서비스에 의해 사용된 암호 자료를 모바일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메모리에 저장하는 것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신뢰성있는 프로세싱 환경은 신뢰성있는 플랫폼 모듈 내에 제공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신뢰성있는 프로세싱 환경은 스마트 카드 내에 제공될 수 있다. 방법은 모바일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인터페이스에 대해 트래픽 데이터를 결정하는 것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더욱이, 모바일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인터페이스는 모바일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내부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모바일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인터페이스는 다른 모바일 무선 통신 디바이스와 통신을 위한 모바일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제 1 유형의 외부 인터페이스 및/또는 모바일 무선 네트워크 회로와 통신을 위한 모바일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제 2 유형의 외부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실시예의 또 다른 예에서, 컴퓨터 프로그램은 모바일 무선 네트워크 회로에 모바일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도메인 내의 데이터 트래픽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실시예의 또 다른 예에서, 컴퓨터 프로그램은 모바일 무선 네트워크 회로에 모바일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구성의 변화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실시예의 또 다른 예에서, 컴퓨터 프로그램은 모바일 무선 네트워크 회로에 과금 데이터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실시예의 또 다른 예에서, 방법은 광대역 통신 접속 인터페이스를 경유하여 모바일 무선 네트워크 오퍼레이터에 의해 제어되는 모바일 무선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것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 실시예의 또 다른 예에서, 광대역 통신 접속 인터페이스는 유선 광대역 통신 접속 인터페이스로서 구성될 수 있다. 이 실시예의 또 다른 예에서, 광대역 통신 접속 인터페이스는 디지털 가입자 라인 광대역 통신 접속 인터페이스, 케이블 기반 광대역 통신 접속 인터페이스 및 파이버 기반 광대역 통신 접속 인터페이스로 이루어진 광대역 통신 접속 인터페이스의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광대역 통신 접속 인터페이스에 따라 구성될 수 있다. 이 실시예의 또 다른 예에서, 방법은 모바일 무선 통신 프로토콜 회로의 모바일 무선 액세스 기술 회로를 사용하여 미리 규정된 모바일 무선 액세스 기술에 따라 무선 신호 전송을 제공하는 것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모바일 무선 액세스 기술 회로는 범용 이동 통신 시스템 모바일 무선 액세스 기술, 장기 진화 모바일 무선 액세스 기술, 코드 분할 다중 접속 모바일 무선 액세스 기술, 코드 분할 다중 접속 2000 모바일 무선 액세스 기술, 모바일 멀티미디어 액세스의 자유 모바일 무선 액세스 기술, 이동 통신을 위한 글로벌 시스템 모바일 무선 액세스 기술 및 GSM 진화를 위한 향상된 데이터 레이트 모바일 무선 액세스 기술로 이루어진 모바일 무선 액세스 기술의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모바일 무선 액세스 기술에 따라 구성될 수 있다. 이 실시예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방법은 비인가 주파수 범위를 사용하여 다른 무선 통신 디바이스와의 무선 통신을 위한 무선 전송을 제공하는 것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비인가 주파수 범위를 사용하는 무선 신호 전송은 비인가 주파수 범위를 사용하여 미리 규정된 무선 기술에 따라 제공될 수 있다. 이 실시예의 또 다른 예에서, 미리 규정된 무선 기술은 IEEE 802.11 표준에 따른 무선 근거리 통신망 및 마이크로파 액세스를 위한 전세계 상호 운용성 기술로 이루어진 무선 기술의 그룹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이 실시예의 또 다른 예에서, 방법은 다른 통신 디바이스와의 통신을 위한 유선 전송을 제공하는 것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유선 전송은 미리 규정된 유선 기술에 따라 제공될 수 있다. 이 실시예의 또 다른 예에서, 미리 규정된 유선 기술은 이더넷 기술 및 공중 전화망 기술로 이루어진 유선 기술의 그룹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도 17은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서의 신뢰성있는 프로세싱 결과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을 메시지 흐름도(1700)로 도시한다.
이 실시예에서, CNE(1702)(예를 들어, MNO에 의해 트리거링됨)는 단계 1706에서 요청 메시지(1708)를 생성하고, 이에 의해 CNE(1702)는 홈 기지국(1704)으로부터 CNE(1702)의 외측에 및 따라서 MNO의 도메인의 외부에 위치된 신뢰성있는 프로세싱 결과를 요청하고, 홈 기지국(1704)에 요청 메시지(1708)를 전송한다. 신뢰성있는 프로세싱 결과는 CNE(1702) 및 따라서 MNO를 위해 신용될 수 있어야 하고 홈 기지국(1704)에 의해 제공되어야 하는 임의의 정보일 수 있다. 예로서, 신뢰성있는 프로세싱 결과는 전술된 바와 같은 임의의 정보일 수 있다. 단계 1710에서 요청 메시지(1708)를 수신한 후에, 홈 기지국(1704)은 단계 1712에서 요청된 신뢰성있는 프로세싱 결과를 결정한다. 이는 홈 기지국(1704)의 메모리로부터 미리 저장되고 미리 결정된 신뢰성있는 프로세싱 결과를 판독함으로써 또는 홈 기지국(1704)의 신뢰성있는 프로세싱 환경[예를 들어 CNE(1702) 및 MNO에 대해 신뢰된]에서 신뢰성있는 프로세싱 결과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컴퓨터 프로그램의 실행을 트리거링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요청된 신뢰성있는 프로세싱 결과를 결정한 후에, 홈 기지국(1704)은 단계 1714에서 요청된 신뢰성있는 프로세싱 결과를 포함하는 응답 메시지(1716)를 생성하여 이를 CNE(1702)에 전송한다. 다음에, 홈 기지국(1704)은 단계 1718에서 그로서는 프로세스를 종료한다. 단계 1720에서 응답 메시지(1716)를 수신한 후에, 단계 1722에서 CNE(1702)는 수신된 신뢰성있는 프로세싱 결과를 프로세싱(예를 들어, 분석)하고, 이어서 단계 1724에서 그로서는 프로세스를 종료한다. 일 실시예에서, 요청 메시지(1708) 및/또는 응답 메시지(1716)는 암호화되고 그리고/또는 디지털 서명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모바일 무선 통신 디바이스가 제공된다. 모바일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다른 모바일 무선 통신 디바이스와의 모바일 무선 통신을 위한 모바일 무선 기지국 기능을 제공하고, 모바일 무선 기지국 기능을 제어하기 위해 모바일 무선 네트워크 오퍼레이터에 의해 제어되고 있는 모바일 무선 네트워크 회로로부터 통신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신뢰성있는 프로세싱 결과를 제공하기 위해 신뢰성있는 프로세싱 환경에서 컴퓨터 프로그램을 프로세싱하도록 구성된 제어기를 포함할 수 있고, 신뢰성있는 프로세싱 환경은 모바일 무선 네트워크 오퍼레이터의 도메인의 외부에 있다. 이 실시예의 예에서, 제어기는 모바일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사용자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하도록 더 구성될 수 있고, 사용자는 모바일 무선 네트워크 오퍼레이터와는 상이하다. 이 실시예의 다른 예에서, 제어기는 암호 서비스를 사용하여 신뢰성있는 프로세싱 환경을 보장하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이 실시예의 또 다른 예에서, 암호 서비스는 액세스 제어 서비스, 식별 서비스, 입증 서비스, 인증 서비스, 암호화 서비스, 복호화 서비스 및 디지털 서명 서비스로 이루어진 암호 서비스의 그룹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이 실시예의 또 다른 예에서, 모바일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암호 자료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메모리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 실시예의 또 다른 예에서, 제어기는 제 1 프로세서 및 제 2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실시예의 또 다른 예에서, 제 1 프로세서는 다른 모바일 무선 통신 디바이스와의 모바일 무선 통신을 위한 모바일 무선 기지국 기능을 제공하고, 모바일 무선 기지국 기능을 제어하기 위해 모바일 무선 네트워크 오퍼레이터에 의해 제어되고 있는 모바일 무선 네트워크 회로로부터 통신 제어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더욱이, 제 2 프로세서는 신뢰성있는 프로세싱 결과를 제공하기 위해 신뢰성있는 프로세싱 환경에서 컴퓨터 프로그램을 프로세싱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신뢰성있는 프로세싱 환경은 모바일 무선 네트워크 오퍼레이터의 외측에 있다. 이 실시예의 또 다른 예에서, 제 2 프로세서는 신뢰성있는 플랫폼 모듈 내에 포함될 수 있다. 이 실시예의 또 다른 예에서, 제 2 프로세서는 스마트 카드 내에 포함할 수 있다. 이 실시예의 또 다른 예에서, 제어기는 모바일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특정 인터페이스에 대해 트래픽 데이터를 결정하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이 실시예의 또 다른 예에서, 모바일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인터페이스는 모바일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내부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실시예의 또 다른 예에서, 모바일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인터페이스는 다른 모바일 무선 통신 디바이스와 통신을 위한 모바일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제 1 유형의 외부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실시예의 또 다른 예에서, 모바일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인터페이스는 모바일 무선 네트워크 회로와 통신을 위한 모바일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제 2 유형의 외부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실시예의 또 다른 예에서, 제어기는 모바일 무선 네트워크 회로에 모바일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도메인 내의 데이터 트래픽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이 실시예의 또 다른 예에서, 제어기는 모바일 무선 네트워크 회로에 모바일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구성의 변화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이 실시예의 또 다른 예에서, 제어기는 모바일 무선 네트워크 회로에 과금 데이터를 제공하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이 실시예의 또 다른 예에서, 모바일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모바일 무선 네트워크 오퍼레이터에 의해 제어되는 모바일 무선 네트워크에 접속되도록 구성된 광대역 통신 접속 인터페이스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 실시예의 또 다른 예에서, 광대역 통신 접속 인터페이스는 유선 광대역 통신 접속 인터페이스로서 구성될 수 있다. 이 실시예의 또 다른 예에서, 광대역 통신 접속 인터페이스는 디지털 가입자 라인 광대역 통신 접속 인터페이스, 케이블 기반 광대역 통신 접속 인터페이스 및 파이버 기반 광대역 통신 접속 인터페이스로 이루어진 광대역 통신 접속 인터페이스의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광대역 통신 접속 인터페이스에 따라 구성될 수 있다. 이 실시예의 또 다른 예에서, 제어기는 미리 규정된 모바일 무선 액세스 기술에 따라 무선 신호 전송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실시예의 또 다른 예에서, 모바일 무선 액세스 기술 회로는 범용 이동 통신 시스템 모바일 무선 액세스 기술, 장기 진화 모바일 무선 액세스 기술, 코드 분할 다중 접속 모바일 무선 액세스 기술, 코드 분할 다중 접속 2000 모바일 무선 액세스 기술, 모바일 멀티미디어 액세스의 자유 모바일 무선 액세스 기술, 이동 통신을 위한 글로벌 시스템 모바일 무선 액세스 기술 및 GSM 진화를 위한 향상된 데이터 레이트 모바일 무선 액세스 기술로 이루어진 모바일 무선 액세스 기술의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모바일 무선 액세스 기술에 따라 구성될 수 있다. 이 실시예의 또 다른 예에서, 제어기는 비인가 주파수 범위를 사용하여 다른 무선 통신 디바이스와 무선 통신을 위한 무선 전송을 제공하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이 실시예의 또 다른 예에서, 제어기는 비인가 주파수 범위를 사용하여 미리 규정된 무선 기술에 따라 무선 신호 전송을 제공하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이 실시예의 또 다른 예에서, 제어기는 IEEE 802.11 표준에 따른 무선 근거리 통신망 및 마이크로파 액세스를 위한 전세계 상호 운용성 기술로 이루어진 무선 기술의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무선 기술에 따라 더 구성될 수 있다. 이 실시예의 또 다른 예에서, 제어기는 다른 통신 디바이스와의 통신을 위한 유선 전송을 제공하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이 실시예의 또 다른 예에서, 제어기는 미리 규정된 유선 기술에 따른 신호 전송을 제공하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이 실시예의 또 다른 예에서, 제어기는 이더넷 기술 및 공중 전화망 기술로 이루어진 유선 기술의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유선 기술에 따라 더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모바일 무선 홈 기지국이 제공된다. 모바일 무선 홈 기지국은 신뢰성있는 프로세싱 결과를 제공하기 위해 신뢰성있는 프로세싱 환경에서 컴퓨터 프로그램을 프로세싱하도록 구성된 신뢰성있는 프로세싱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실시예의 예에서, 모바일 무선 홈 기지국은 모바일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사용자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사용자 제어 인터페이스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고, 사용자는 모바일 무선 네트워크 오퍼레이터와는 상이하다. 이 실시예의 다른 예에서, 신뢰성있는 프로세싱 회로는 암호 서비스를 사용하여 신뢰성있는 프로세싱 환경을 보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실시예의 또 다른 예에서, 신뢰성있는 프로세싱 회로는 암호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암호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실시예의 또 다른 예에서, 암호 서비스는 액세스 제어 서비스, 식별 서비스, 입증 서비스, 인증 서비스, 암호화 서비스, 복호화 서비스 및 디지털 서명 서비스로 이루어진 암호 서비스의 그룹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이 실시예의 또 다른 예에서, 암호 회로는 암호 자료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실시예의 또 다른 예에서, 신뢰성있는 프로세싱 환경은 신뢰성있는 플랫폼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실시예의 또 다른 예에서, 신뢰성있는 프로세싱 회로는 스마트 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실시예의 또 다른 예에서, 모바일 무선 홈 기지국은 모바일 무선 홈 기지국의 인터페이스에 대해 트래픽 데이터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데이터 트래픽 결정 회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 실시예의 또 다른 예에서, 모바일 무선 홈 기지국의 인터페이스는 모바일 무선 홈 기지국의 내부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실시예의 또 다른 예에서, 모바일 무선 홈 기지국의 인터페이스는 모바일 무선 통신 디바이스와 통신을 위한 모바일 무선 홈 기지국의 제 1 유형의 외부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실시예의 또 다른 예에서, 모바일 무선 홈 기지국의 인터페이스는 모바일 무선 네트워크와 통신을 위한 모바일 무선 홈 기지국의 제 2 유형의 외부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실시예의 또 다른 예에서, 신뢰성있는 프로세싱 회로는 모바일 무선 네트워크에 모바일 무선 홈 기지국의 도메인 내의 데이터 트래픽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어카운팅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실시예의 또 다른 예에서, 신뢰성있는 프로세싱 회로는 모바일 무선 네트워크에 모바일 무선 홈 기지국의 구성의 변화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재구성 모니터링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실시예의 또 다른 예에서, 신뢰성있는 프로세싱 회로는 모바일 무선 네트워크에 과금 데이터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빌링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실시예의 또 다른 예에서, 모바일 무선 홈 기지국은 모바일 무선 네트워크 오퍼레이터에 의해 제어되는 모바일 무선 네트워크에 접속되도록 구성된 광대역 통신 접속 인터페이스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 실시예의 또 다른 예에서, 광대역 통신 접속 인터페이스는 유선 광대역 통신 접속 인터페이스로서 구성될 수 있다. 이 실시예의 또 다른 예에서, 광대역 통신 접속 인터페이스는 디지털 가입자 라인 광대역 통신 접속 인터페이스, 케이블 기반 광대역 통신 접속 인터페이스 및 파이버 기반 광대역 통신 접속 인터페이스로 이루어진 광대역 통신 접속 인터페이스의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광대역 통신 접속 인터페이스에 따라 구성될 수 있다. 이 실시예의 또 다른 예에서, 모바일 무선 홈 기지국은 미리 규정된 모바일 무선 액세스 기술에 따라 무선 신호 전송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실시예의 또 다른 예에서, 모바일 무선 홈 기지국은 범용 이동 통신 시스템 모바일 무선 액세스 기술, 장기 진화 모바일 무선 액세스 기술, 코드 분할 다중 접속 모바일 무선 액세스 기술, 코드 분할 다중 접속 2000 모바일 무선 액세스 기술, 모바일 멀티미디어 액세스의 자유 모바일 무선 액세스 기술, 이동 통신을 위한 글로벌 시스템 모바일 무선 액세스 기술 및 GSM 진화를 위한 향상된 데이터 레이트 모바일 무선 액세스 기술로 이루어진 모바일 무선 액세스 기술의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모바일 무선 액세스 기술에 따라 무선 신호 전송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실시예의 또 다른 예에서, 모바일 무선 홈 기지국은 비인가 주파수 범위를 사용하여 다른 무선 통신 디바이스와 무선 통신을 위한 무선 전송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비인가 주파수 무선 통신 프로토콜 회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 실시예의 또 다른 예에서, 비인가 주파수 무선 통신 프로토콜 회로는 비인가 주파수 범위를 사용하여 미리 규정된 무선 기술에 따라 무선 신호 전송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실시예의 또 다른 예에서, 비인가 주파수 무선 통신 프로토콜 회로는 IEEE 802.11 표준에 따른 무선 근거리 통신망 및 마이크로파 액세스를 위한 전세계 상호 운용성 기술로 이루어진 무선 기술의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무선 기술에 따라 구성될 수 있다. 이 실시예의 또 다른 예에서, 모바일 무선 홈 기지국은 다른 통신 디바이스와의 통신을 위한 유선 전송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유선 통신 프로토콜 회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 실시예의 또 다른 예에서, 유선 통신 프로토콜 회로는 미리 규정된 유선 기술에 따른 신호 전송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실시예의 또 다른 예에서, 유선 통신 프로토콜 회로는 이더넷 기술 및 공중 전화망 기술로 이루어진 유선 기술의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유선 기술에 따라 구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모바일 무선 통신 디바이스가 제공된다. 모바일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다른 모바일 무선 통신 디바이스와의 모바일 무선 통신을 위한 모바일 무선 기지국 기능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모바일 무선 통신 프로토콜 모듈과, 모바일 무선 통신 프로토콜 모듈을 제어하기 위해 모바일 네트워크 오퍼레이터에 의해 제어되고 있는 모바일 무선 네트워크 모듈로부터 통신 제어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네트워크 제어 인터페이스 모듈과, 모바일 무선 네트워크에 대한 신뢰성있는 프로세싱 결과를 제공하기 위해 컴퓨터 프로그램을 프로세싱하기 위한 신뢰성있는 프로세싱 환경을 포함하고, 신뢰성있는 프로세싱 환경은 모바일 무선 네트워크 오퍼레이터의 도메인의 외부에 있다. 이 실시예의 예에서, 모바일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모바일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사용자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사용자 제어 인터페이스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고, 사용자는 모바일 무선 네트워크 오퍼레이터와는 상이하다. 이 실시예의 다른 예에서, 신뢰성있는 프로세싱 환경은 암호 서비스를 사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실시예의 또 다른 예에서, 암호 서비스는 액세스 제어 서비스, 식별 서비스, 입증 서비스, 인증 서비스, 암호화 서비스, 복호화 서비스 및 디지털 서명 서비스로 이루어진 암호 서비스의 그룹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이 실시예의 또 다른 예에서, 모바일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암호 자료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메모리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 실시예의 또 다른 예에서, 신뢰성있는 프로세싱 환경은 신뢰성있는 플랫폼 모듈 상에서 구현될 수 있다. 이 실시예의 또 다른 예에서, 신뢰성있는 프로세싱 환경은 스마트 카드에서 구현될 수 있다. 이 실시예의 또 다른 예에서, 모바일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모바일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인터페이스에 대해 트래픽 데이터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데이터 트래픽 결정 모듈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 실시예의 또 다른 예에서, 모바일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인터페이스는 모바일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내부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실시예의 또 다른 예에서, 모바일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인터페이스는 다른 모바일 무선 통신 디바이스와 통신을 위한 모바일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제 1 유형의 외부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실시예의 또 다른 예에서, 모바일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인터페이스는 모바일 무선 네트워크 모듈과 통신을 위한 모바일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제 2 유형의 외부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실시예의 또 다른 예에서, 신뢰성있는 프로세싱 환경은 모바일 무선 네트워크 모듈에 모바일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도메인 내의 데이터 트래픽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어카운팅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실시예의 또 다른 예에서, 신뢰성있는 프로세싱 환경은 모바일 무선 네트워크 모듈에 모바일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구성의 변화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재구성 모니터링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실시예의 또 다른 예에서, 신뢰성있는 프로세싱 환경은 모바일 무선 네트워크 모듈에 과금 데이터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빌링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실시예의 또 다른 예에서, 모바일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모바일 무선 네트워크 오퍼레이터에 의해 제어되는 모바일 무선 네트워크에 접속되도록 구성된 광대역 통신 접속 인터페이스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 실시예의 또 다른 예에서, 광대역 통신 접속 인터페이스는 유선 광대역 통신 접속 인터페이스로서 구성될 수 있다. 이 실시예의 또 다른 예에서, 광대역 통신 접속 인터페이스는 디지털 가입자 라인 광대역 통신 접속 인터페이스, 케이블 기반 광대역 통신 접속 인터페이스 및 파이버 기반 광대역 통신 접속 인터페이스로 이루어진 광대역 통신 접속 인터페이스의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광대역 통신 접속 인터페이스에 따라 구성될 수 있다. 이 실시예의 또 다른 예에서, 모바일 무선 통신 프로토콜 모듈은 미리 규정된 모바일 무선 액세스 기술에 따라 무선 신호 전송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모바일 무선 액세스 기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실시예의 또 다른 예에서, 모바일 무선 액세스 기술 모듈은 범용 이동 통신 시스템 모바일 무선 액세스 기술, 장기 진화 모바일 무선 액세스 기술, 코드 분할 다중 접속 모바일 무선 액세스 기술, 코드 분할 다중 접속 2000 모바일 무선 액세스 기술, 모바일 멀티미디어 액세스의 자유 모바일 무선 액세스 기술, 이동 통신을 위한 글로벌 시스템 모바일 무선 액세스 기술 및 GSM 진화를 위한 향상된 데이터 레이트 모바일 무선 액세스 기술로 이루어진 모바일 무선 액세스 기술의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모바일 무선 액세스 기술에 따라 구성될 수 있다. 이 실시예의 또 다른 예에서, 모바일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비인가 주파수 범위를 사용하여 다른 무선 통신 디바이스와 무선 통신을 위한 무선 전송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비인가 주파수 무선 통신 프로토콜 모듈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 실시예의 또 다른 예에서, 비인가 주파수 무선 통신 프로토콜 모듈은 비인가 주파수 범위를 사용하여 미리 규정된 무선 기술에 따라 무선 신호 전송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실시예의 또 다른 예에서, 비인가 주파수 무선 통신 프로토콜 모듈은 IEEE 802.11 표준에 따른 무선 근거리 통신망 및 마이크로파 액세스를 위한 전세계 상호 운용성 기술로 이루어진 무선 기술의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무선 기술에 따라 구성될 수 있다. 이 실시예의 또 다른 예에서, 모바일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다른 통신 디바이스와의 통신을 위한 유선 전송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유선 통신 프로토콜 모듈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 실시예의 또 다른 예에서, 유선 통신 프로토콜 모듈은 미리 규정된 유선 기술에 따른 신호 전송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실시예의 또 다른 예에서, 유선 통신 프로토콜 모듈은 이더넷 기술 및 공중 전화망 기술로 이루어진 유선 기술의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유선 기술에 따라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이 특정 실시예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형태 및 상세의 다양한 변경이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규정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이 당 기술 분야의 숙련자들에 의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지시되고, 따라서 청구범위의 등가물의 의미 및 범위 내에 오게 되는 모든 변경이 포함되도록 의도된다.
100: UMTS 모바일 무선 시스템
101, 102: 모바일 무선 네트워크 서브시스템
106, 107: 모바일 무선 네트워크 제어 엔티티
108, 109, 110, 111: 기지국
113, 114, 115, 116: Iub 인터페이스
117: 공중 인터페이스 118: 모바일 무선 단말
201: 물리적 계층 202: 데이터 링크 계층
203: 매체 액세스 제어 프로토콜 계층
204: 무선 링크 제어 프로토콜 계층
205: 패킷 데이터 수렴 프로토콜 프로토콜 계층
206: 브로드캐스트/멀티캐스트 제어 프로토콜 계층
207: 모바일 무선 네트워크 계층
209: 전송 채널 211: 제어 프로토콜 평면
304, 306: 모바일 무선 매크로 셀 310, 314, 318: 홈 NodeB
308, 312, 316: 모바일 무선 마이크로 셀
400: 3GPP 네트워크 아키텍쳐 402: 진화된 패킷 코어
404: 범용 패킷 무선 서비스 코어
408: GSM EDGE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410: Gb 인터페이스 416: E-UTRAN
418: 신뢰성있는 비-3GPP IP 엔티티 422: 홈 가입자 서버
424: 정책 및 과금 규칙 기능 엔티티

Claims (28)

  1. 모바일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있어서,
    다른 모바일 무선 통신 디바이스와의 모바일 무선 통신을 위한 모바일 무선 기지국 기능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모바일 무선 통신 프로토콜 회로와,
    모바일 무선 네트워크 오퍼레이터(mobile radio network operator)에 의해 제어되고 있는 모바일 무선 네트워크 회로로부터 상기 모바일 무선 통신 프로토콜 회로를 제어하기 위한 통신 제어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네트워크 제어 인터페이스 회로와,
    신뢰성있는 프로세싱 결과(trusted processing result)를 제공하기 위해 신뢰성있는 프로세싱 환경에서 컴퓨터 프로그램을 프로세싱하도록 구성된 신뢰성있는 프로세싱 회로를 포함하며,
    상기 신뢰성있는 프로세싱 회로는,
    상기 모바일 무선 네트워크 오퍼레이터의 도메인의 외부에 있으며, 상기 모바일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인터페이스에 대한 데이터 트래픽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모바일 무선 통신 디바이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사용자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사용자 제어 인터페이스 회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는 상기 모바일 무선 네트워크 오퍼레이터와는 상이한
    모바일 무선 통신 디바이스.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뢰성있는 프로세싱 회로는 암호 서비스를 사용하여 상기 신뢰성있는 프로세싱 환경을 보장하도록 구성되는
    모바일 무선 통신 디바이스.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암호 서비스는,
    액세스 제어 서비스,
    식별 서비스,
    입증 서비스,
    인증 서비스,
    암호화 서비스,
    복호화 서비스, 및
    디지털 서명 서비스
    로 이루어진 암호 서비스의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모바일 무선 통신 디바이스.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뢰성있는 프로세싱 회로는 신뢰성있는 플랫폼 모듈을 포함하는
    모바일 무선 통신 디바이스.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뢰성있는 프로세싱 회로는 스마트 카드를 포함하는
    모바일 무선 통신 디바이스.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뢰성있는 프로세싱 회로는 상기 모바일 무선 네트워크 회로에 상기 모바일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도메인 내의 데이터 트래픽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어카운팅 회로를 포함하는
    모바일 무선 통신 디바이스.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뢰성있는 프로세싱 회로는 상기 모바일 무선 네트워크 회로에 상기 모바일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구성의 변화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재구성 모니터링 회로(reconfiguration monitoring circuit)를 포함하는
    모바일 무선 통신 디바이스.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뢰성있는 프로세싱 회로는 상기 모바일 무선 네트워크 회로에 과금 데이터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빌링 회로를 포함하는
    모바일 무선 통신 디바이스.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무선 네트워크 오퍼레이터에 의해 제어되는 모바일 무선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 중 적어도 하나에 접속되도록 구성된 광대역 통신 접속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는
    모바일 무선 통신 디바이스.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광대역 통신 접속 인터페이스에 할당된 트래픽 측정 회로를 더 포함하는
    모바일 무선 통신 디바이스.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무선 네트워크 오퍼레이터에 의해 제어되는 모바일 무선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 중 적어도 하나에 접속되도록 구성된 복수의 광대역 통신 접속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는
    모바일 무선 통신 디바이스.
  14. 제 13 항에 있어서,
    모바일 무선 네트워크 관련 트래픽으로부터 인터넷 트래픽을 구별하기 위해 상기 광대역 통신 접속 인터페이스에 할당된 복수의 트래픽 측정 회로를 더 포함하는
    모바일 무선 통신 디바이스.
  15. 제 1 항에 있어서,
    비인가 주파수 범위를 사용하여 다른 무선 통신 디바이스와의 무선 통신을 위한 무선 전송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비인가 주파수 무선 통신 프로토콜 회로를 더 포함하는
    모바일 무선 통신 디바이스.
  16. 모바일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있어서,
    다른 모바일 무선 통신 디바이스와의 모바일 무선 통신을 위한 모바일 무선 기지국 기능을 제공하고,
    모바일 무선 네트워크 오퍼레이터에 의해 제어되고 있는 모바일 무선 네트워크 회로로부터 상기 모바일 무선 기지국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통신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신뢰성있는 프로세싱 결과를 제공하기 위해 신뢰성있는 프로세싱 환경에서 컴퓨터 프로그램을 프로세싱하고,
    상기 모바일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인터페이스에 대한 상기 신뢰성있는 프로세싱 환경에서 트래픽 데이터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제어기를 포함하고,
    상기 신뢰성있는 프로세싱 환경은 상기 모바일 무선 네트워크 오퍼레이터의 도메인의 외부에 있는
    모바일 무선 통신 디바이스.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암호 서비스를 사용하여 신뢰성있는 프로세싱 환경을 보장하도록 더 구성되는
    모바일 무선 통신 디바이스.
  18. 제 16 항에 있어서,
    암호 자료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메모리를 더 포함하는
    모바일 무선 통신 디바이스.
  19.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제 1 프로세서 및 제 2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모바일 무선 통신 디바이스.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프로세서는,
    다른 모바일 무선 통신 디바이스와의 모바일 무선 통신을 위한 모바일 무선 기지국 기능을 제공하고,
    모바일 무선 네트워크 오퍼레이터에 의해 제어되고 있는 모바일 무선 네트워크 회로로부터 상기 모바일 무선 기지국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통신 제어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2 프로세서는,
    신뢰성있는 프로세싱 결과를 제공하기 위해 신뢰성있는 프로세싱 환경에서 컴퓨터 프로그램을 프로세싱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신뢰성있는 프로세싱 환경은 모바일 무선 네트워크 오퍼레이터의 도메인의 외부에 있는
    모바일 무선 통신 디바이스.
  21.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프로세서는 신뢰성있는 플랫폼 모듈 내에 포함되는
    모바일 무선 통신 디바이스.
  22.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프로세서는 스마트 카드 내에 포함되는
    모바일 무선 통신 디바이스.
  23. 삭제
  24. 모바일 무선 홈 기지국에 있어서,
    신뢰성있는 프로세싱 결과를 제공하기 위해 신뢰성있는 프로세싱 환경에서 컴퓨터 프로그램을 프로세싱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모바일 무선 홈 기지국의 인터페이스에 대한 트래픽 데이터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신뢰성있는 프로세싱 회로를 포함하는
    모바일 무선 홈 기지국.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신뢰성있는 프로세싱 회로는 암호 서비스를 사용하여 신뢰성있는 프로세싱 환경을 보장하도록 구성되는
    모바일 무선 홈 기지국.
  26. 모바일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있어서,
    다른 모바일 무선 통신 디바이스와의 모바일 무선 통신을 위한 모바일 무선 기지국 기능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모바일 무선 통신 프로토콜 모듈,
    모바일 무선 네트워크 오퍼레이터에 의해 제어되고 있는 모바일 무선 네트워크 모듈로부터 상기 모바일 무선 통신 프로토콜 모듈을 제어하기 위한 통신 제어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네트워크 제어 인터페이스 모듈,
    모바일 무선 네트워크를 위한 신뢰성있는 프로세싱 결과를 제공하기 위해 컴퓨터 프로그램을 프로세싱하기 위한 신뢰성있는 프로세싱 환경,
    상기 모바일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인터페이스에 대한 상기 신뢰성있는 프로세싱 환경에서 트래픽 데이터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데이터 트래픽 결정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신뢰성있는 프로세싱 환경은 상기 모바일 무선 네트워크 오퍼레이터의 도메인의 외부에 있는
    모바일 무선 통신 디바이스.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신뢰성있는 프로세싱 환경은,
    상기 모바일 무선 네트워크 모듈에 상기 모바일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도메인 내의 데이터 트래픽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어카운팅 모듈,
    상기 모바일 무선 네트워크 모듈에 상기 모바일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구성의 변화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재구성 모니터링 모듈, 및
    상기 모바일 무선 네트워크 모듈에 과금 데이터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빌링 모듈로 이루어진 모듈의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모듈을 포함하는
    모바일 무선 통신 디바이스.
  28. 모바일 무선 통신 디바이스 내의 컴퓨터 프로그램을 프로세싱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다른 모바일 무선 통신 디바이스와의 모바일 무선 통신을 위한 모바일 무선 기지국 기능을 제공하는 단계와,
    모바일 무선 네트워크 오퍼레이터에 의해 제어되고 있는 모바일 무선 네트워크 회로로부터 모바일 무선 통신 프로토콜 회로를 제어하기 위한 통신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신뢰성있는 프로세싱 결과를 제공하기 위해 신뢰성있는 프로세싱 환경에서, 상기 모바일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인터페이스에 대한 트래픽 데이터를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프로세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신뢰성있는 프로세싱 환경은 상기 모바일 무선 네트워크 오퍼레이터의 도메인의 외부에 있는
    모바일 무선 통신 디바이스 내의 컴퓨터 프로그램을 프로세싱하기 위한 방법.
KR1020117003128A 2008-07-11 2008-07-11 모바일 무선 통신 디바이스, 모바일 무선 홈 기지국 및 모바일 무선 통신 디바이스 내의 컴퓨터 프로그램을 프로세싱하기 위한 방법 KR10122630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EP2008/059076 WO2010003464A1 (en) 2008-07-11 2008-07-11 Mobile radio communication devices having a trusted processing environment and method for processing a computer program therei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1376A KR20110031376A (ko) 2011-03-25
KR101226301B1 true KR101226301B1 (ko) 2013-01-24

Family

ID=403291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03128A KR101226301B1 (ko) 2008-07-11 2008-07-11 모바일 무선 통신 디바이스, 모바일 무선 홈 기지국 및 모바일 무선 통신 디바이스 내의 컴퓨터 프로그램을 프로세싱하기 위한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818394B2 (ko)
KR (1) KR101226301B1 (ko)
CN (1) CN102090092B (ko)
DE (1) DE112008003905T5 (ko)
WO (1) WO201000346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125261A1 (en) * 2004-06-17 2005-12-29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Security in a mobile communications system
JP4920564B2 (ja) * 2007-11-29 2012-04-1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パケット通信網およびユーザ関連情報配信制御装置
US8910276B2 (en) * 2008-05-24 2014-12-09 Via Technologie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precluding execution of certain instructions in a secure execution mode microprocessor
US8819839B2 (en) * 2008-05-24 2014-08-26 Via Technologies, Inc. Microprocessor having a secure execution mode with provisions for monitoring, indicating, and managing security levels
US8589541B2 (en) 2009-01-28 2013-11-19 Headwater Partners I Llc Device-assisted services for protecting network capacity
US8340634B2 (en) 2009-01-28 2012-12-25 Headwater Partners I, Llc Enhanced roaming services and converged carrier networks with device assisted services and a proxy
US8023425B2 (en) 2009-01-28 2011-09-20 Headwater Partners I Verifiable service billing for intermediate networking devices
US8275830B2 (en) 2009-01-28 2012-09-25 Headwater Partners I Llc Device assisted CDR creation, aggregation, mediation and billing
US8346225B2 (en) 2009-01-28 2013-01-01 Headwater Partners I, Llc Quality of service for device assisted services
US8391834B2 (en) 2009-01-28 2013-03-05 Headwater Partners I Llc Security techniques for device assisted services
US8548428B2 (en) * 2009-01-28 2013-10-01 Headwater Partners I Llc Device group partitions and settlement platform
US8406748B2 (en) 2009-01-28 2013-03-26 Headwater Partners I Llc Adaptive ambient services
US8832777B2 (en) 2009-03-02 2014-09-09 Headwater Partners I Llc Adapting network policies based on device service processor configuration
US8402111B2 (en) 2009-01-28 2013-03-19 Headwater Partners I, Llc Device assisted services install
US8271610B2 (en) * 2008-08-28 2012-09-18 Sycamore Networks, Inc. Distributed content caching solution for a mobile wireless network
US9208104B2 (en) 2008-08-28 2015-12-08 Citrix Systems, Inc. Content replacement and refresh policy implementation for a content distribution network
CN102177682A (zh) * 2008-10-07 2011-09-07 惠普开发有限公司 便携式管理设备
WO2010059122A2 (en) * 2008-11-24 2010-05-27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ethods and systems for closed subscriber group roaming
US20100131667A1 (en) * 2008-11-25 2010-05-27 Infineon Technologies Ag Executable Communication Protocol Description Method and Apparatus
US11985155B2 (en) 2009-01-28 2024-05-14 Headwater Research Llc Communications device with secure data path processing agents
US9706061B2 (en) 2009-01-28 2017-07-11 Headwater Partners I Llc Service design center for device assisted services
US10200541B2 (en) 2009-01-28 2019-02-05 Headwater Research Llc Wireless end-user device with divided user space/kernel space traffic policy system
US10798252B2 (en) 2009-01-28 2020-10-06 Headwater Research Llc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user notifications
US10484858B2 (en) 2009-01-28 2019-11-19 Headwater Research Llc Enhanced roaming services and converged carrier networks with device assisted services and a proxy
US10783581B2 (en) 2009-01-28 2020-09-22 Headwater Research Llc Wireless end-user device providing ambient or sponsored services
US11218854B2 (en) 2009-01-28 2022-01-04 Headwater Research Llc Service plan design, user interfaces,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s, and device management
US10237757B2 (en) 2009-01-28 2019-03-19 Headwater Research Llc System and method for wireless network offloading
US10715342B2 (en) 2009-01-28 2020-07-14 Headwater Research Llc Managing service user discovery and service launch object placement on a device
US9392462B2 (en) 2009-01-28 2016-07-12 Headwater Partners I Llc Mobile end-user device with agent limiting wireless data communication for specified background applications based on a stored policy
US9572019B2 (en) 2009-01-28 2017-02-14 Headwater Partners LLC Service selection set published to device agent with on-device service selection
US10492102B2 (en) 2009-01-28 2019-11-26 Headwater Research Llc Intermediate networking devices
US9565707B2 (en) 2009-01-28 2017-02-07 Headwater Partners I Llc Wireless end-user device with wireless data attribution to multiple personas
US10841839B2 (en) 2009-01-28 2020-11-17 Headwater Research Llc Security, fraud detection, and fraud mitigation in device-assisted services systems
US11973804B2 (en) 2009-01-28 2024-04-30 Headwater Research Llc Network service plan design
US10248996B2 (en) 2009-01-28 2019-04-02 Headwater Research Llc Method for operating a wireless end-user device mobile payment agent
US9270559B2 (en) 2009-01-28 2016-02-23 Headwater Partners I Llc Service policy implementation for an end-user device having a control application or a proxy agent for routing an application traffic flow
US9954975B2 (en) 2009-01-28 2018-04-24 Headwater Research Llc Enhanced curfew and protection associated with a device group
US9980146B2 (en) 2009-01-28 2018-05-22 Headwater Research Llc Communications device with secure data path processing agents
US10779177B2 (en) 2009-01-28 2020-09-15 Headwater Research Llc Device group partitions and settlement platform
US10264138B2 (en) 2009-01-28 2019-04-16 Headwater Research Llc Mobile device and service management
US10064055B2 (en) 2009-01-28 2018-08-28 Headwater Research Llc Security, fraud detection, and fraud mitigation in device-assisted services systems
US10326800B2 (en) 2009-01-28 2019-06-18 Headwater Research Llc Wireless network service interfaces
US9955332B2 (en) 2009-01-28 2018-04-24 Headwater Research Llc Method for child wireless device activation to subscriber account of a master wireless device
JP5598464B2 (ja) * 2009-03-25 2014-10-01 日本電気株式会社 基地局、基地局の制御方法、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移動局
US8798668B2 (en) * 2009-06-11 2014-08-05 Nec Corporation Call control system and call control method
JP2013516134A (ja) 2010-02-17 2013-05-09 エヌイーシー ヨーロッパ リミテッド トラフィックに課金するためのモバイルネットワーク運用方法および対応するモバイルネットワーク
WO2012023050A2 (en) 2010-08-20 2012-02-23 Overtis Group Limited Secure cloud computing system and method
EP3416300B1 (en) 2011-04-29 2022-06-22 Apple Inc. System and method of rank adaptation in mimo communication system
WO2013105886A1 (en) * 2012-01-10 2013-07-18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Tallying traffic usage related to services purchased or subscribed to
US10433161B2 (en) * 2012-01-30 2019-10-0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Call handover between cellular communication system nodes that support different security contexts
WO2013117232A1 (en) * 2012-02-10 2013-08-15 Nokia Siemens Networks Oy Access network trustworthiness detection in core network
GB2506610B (en) * 2012-10-02 2015-07-01 Broadcom Corp Direct communication among devices
WO2014118423A1 (en) * 2013-01-31 2014-08-07 Nokia Corporation Billing related information reporting
WO2014159862A1 (en) 2013-03-14 2014-10-02 Headwater Partners I Llc Automated credential porting for mobile devices
FI20135462L (fi) * 2013-05-03 2014-11-04 Tellabs Oy Ohjelmallisesti määriteltävän verkon verkkoelementti
US9307450B2 (en) 2013-07-11 2016-04-05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ent caching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US20150172469A1 (en) * 2013-12-18 2015-06-18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ethod and Apparatus for Pre-Fetched Content Charging
US9413900B2 (en) 2014-03-24 2016-08-09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apparatus for online charging of pre-fetched content
US9853742B1 (en) * 2014-04-29 2017-12-26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Software-defined acoustic communications system
US9967802B2 (en) 2014-06-13 2018-05-08 Qualcomm Incorporated Wireless communications over unlicensed radio frequency spectrum
DE102015118151A1 (de) * 2015-10-23 2017-04-27 Bernstein Ag Sicherheitssensor zur Überwachung der Betriebssicherheit einer Anlage
CN110176987B (zh) 2016-02-02 2022-08-09 斑马智行网络(香港)有限公司 一种设备认证的方法、装置、设备和计算机存储介质
CN106411537A (zh) * 2016-11-21 2017-02-15 济南浪潮高新科技投资发展有限公司 一种基于ims网络会话的离线计费话单保护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68114A (ja) 2005-09-02 2007-03-15 Kddi Corp トラフィック制御方法
KR20080005877A (ko) * 2006-07-10 2008-01-15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패킷 네트워크를 사용하는 홈 기지국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03308A1 (en) * 2002-11-25 2004-05-27 Gabor Paller Self-configuring protocol gateway
US8718279B2 (en) * 2003-07-08 2014-05-06 Qualcomm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 for a secure broadcast system
PT1645929E (pt) * 2004-10-11 2009-04-15 Swisscom Schweiz Ag Cartão de comunicações para dispositivos de rede móveis e método de autenticação para utilizadores de dispositivos de rede móveis
US8332653B2 (en) * 2004-10-22 2012-12-11 Broadcom Corporation Secure processing environment
KR100639373B1 (ko) * 2004-11-23 2006-10-26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폰을 이용한 다자간 보안 인증방법
US20070271458A1 (en) * 2006-05-22 2007-11-22 Peter Bosch Authenticating a tamper-resistant module in a base station router
US20080026771A1 (en) * 2006-07-26 2008-01-31 Broadcom Corporation, A California Corporation Mobile terminal position information collection and reporting
US20080076392A1 (en) * 2006-09-22 2008-03-27 Amit Khetawat Method and apparatus for securing a wireless air interface
EP2308212A4 (en) * 2008-07-14 2016-06-22 Riverbed Technology Inc METHODS AND SYSTEMS FOR SECURE COMMUNICATIONS USING LOCAL CERTIFICATION AUTHORITY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68114A (ja) 2005-09-02 2007-03-15 Kddi Corp トラフィック制御方法
KR20080005877A (ko) * 2006-07-10 2008-01-15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패킷 네트워크를 사용하는 홈 기지국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10098075A1 (en) 2011-04-28
CN102090092B (zh) 2016-10-19
KR20110031376A (ko) 2011-03-25
CN102090092A (zh) 2011-06-08
WO2010003464A1 (en) 2010-01-14
US8818394B2 (en) 2014-08-26
DE112008003905T5 (de) 2011-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6301B1 (ko) 모바일 무선 통신 디바이스, 모바일 무선 홈 기지국 및 모바일 무선 통신 디바이스 내의 컴퓨터 프로그램을 프로세싱하기 위한 방법
KR101475748B1 (ko) 무선 통신 장치 및 리소스 할당의 제어 방법
US11303727B2 (en) Method and system for routing user data traffic from an edge device to a network entity
CN104054375B (zh) 用于在两个传送无线电之上路由分组流的方法和装置
EP301894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adio aware traffic management based wireless authorization
US9014671B2 (en) Method and system for restricted access configuration of access point base stations
US9930613B2 (en) Connecting IMSI-less devices to the EPC
CN107005919B (zh) 用于使用未授权频带的单独lte ran的方法和装置
EP2848044B1 (en) Radio communication system, method and arrangement for use in a radio communication system
US20190313318A1 (en) System and method for categorizing and routing network traffic associated with user equipment
KR20130061101A (ko) 기회적 네트워크 관련 메시지 전송 방법
CN104412628A (zh) 用于向应用服务平台提供对包含上下文数据的核心网络信息的访问的方法、装置和计算机程序产品
EP2962503A1 (en) Communication terminal, network component, base station and method for a direct communication
US8264978B1 (en)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to process packet payloads to determine RF signal adjustments
KR101052375B1 (ko) 무선랜 타이트 커플링 해법
EP3679764B1 (en) A system and method for availing a data service by a user equipment
JP6219587B2 (ja) 複数の無線ベアラにアクセスする方法及び装置
CN102740416A (zh) 网元选择方法和装置
Santhappan Traffic Steering in Radio Level Integration of LTE and Wi-Fi Networks
de Buen Security aspects on the signaling and data-plane in 2g/3g networks
MAGDALINOS et al. Functional Architecture for Cognitive Wireless Systems in the B3G Worl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