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5074B1 - 공간별 전력사용량 비교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공간별 전력사용량 비교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5074B1
KR101225074B1 KR1020110080003A KR20110080003A KR101225074B1 KR 101225074 B1 KR101225074 B1 KR 101225074B1 KR 1020110080003 A KR1020110080003 A KR 1020110080003A KR 20110080003 A KR20110080003 A KR 20110080003A KR 101225074 B1 KR101225074 B1 KR 1012250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consumption
space
information
comparing
correlation coeffici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00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72306A (ko
Inventor
권오웅
이민환
윤용진
Original Assignee
그린베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그린베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그린베일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200723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23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50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50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2/00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 G01R22/06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by electronic methods
    • G01R22/061Details of electronic electricity meters
    • G01R22/063Details of electronic electricity meters related to remote communic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1/00Electromechanical 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of consumption
    • G01R11/30Dynamo-electric motor meters
    • G01R11/32Watt-hour me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1/00Arrangements for measuring electric power or power factor
    • G01R21/133Arrangements for measuring electric power or power factor by using digital technique
    • G01R21/1333Arrangements for measuring electric power or power factor by using digital technique adapted for special tariff measu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7/00Digital computing or data processing equipment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functions
    • G06F17/10Complex mathematical oper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Algebra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간별 전력사용량 비교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공간별 전력사용량 비교 모니터링 시스템은 모니터링장치 및 서버를 포함한다. 상기 모니터링장치는 동일한 성격을 가지는 복수의 공간 내 각 기기의 전력선에 설치되어 상기 각 기기의 전력사용량을 모니터링하고 통신모듈을 통해 전송한다. 상기 서버는 상기 모니터링장치로부터 상기 각 기기의 전력사용량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여 분석하며, 정보 수신부, 데이터베이스, 정보 분석부 및 연산부를 포함한다. 상기 정보 수신부는 상기 모니터링장치로부터 상기 전력사용량에 관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수신된 전력사용량에 관한 정보를 저장한다. 상기 정보 분석부는 상기 저장된 전력사용량에 관한 정보를 기초로 상기 각 기기의 전력소비패턴을 분석한다. 상기 연산부는 상기 분석된 각 기기의 전력소비패턴 정보를 이용하여 각 공간별 전력사용량과 파라미터(parameter) - 상기 파라미터는 공간별 전력사용량을 비교할 수 있는 기준을 의미함 - 간의 상관계수를 계산하고, 상기 상관계수를 기초로 소정 공간과 타 공간 간의 전력사용량을 비교한다.

Description

공간별 전력사용량 비교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MONITORING SYSTEM COMPARING POWER CONSUMPTION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공간별 전력사용량 비교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앞으로 전력 소비를 줄여야겠다는 절약의식을 효율적으로 고취시키지 못함에 따라 현실적으로 에너지 절감의 효과가 낮은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으며, 공간별 전력사용량을 객관적으로 비교할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력량계(電力量計)란 일반가정, 상가, 빌딩 및 공장 등에서 사용하는 직류 또는 교류의 전력 또는 전력량을 측정하는 계기로서, 이를 통해 전력소비에 따른 적정한 사용 요금을 부과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전력량계는 그 작동방식에 따라 기계식 및 전자식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전자식 전력량계의 경우 기계식에 비해 검침값의 신뢰도가 높고 안정적임은 물론, 내부 회로의 집적화에 의해 소형화가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어, 근래에는 전자식 전력량계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전자식 전력량계는 본체의 전방 상부에 액정표시부를 가지는 패널을 구비하고 있으며, 이 패널의 하단부에는 입, 출력측의 전선이 각각 연결되는 단자대가 부설되어 있고, 전력의 공급상태를 본체 내부에 마련되어 있는 변류기에서 검출함과 동시에, 그 소비량을 연산하여 액정표시부를 통해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되어, 배전사업자는 전력량계에 저장된 값을 검침하여 사용자(소비자)에게 요금을 부과하며, 그 사용자는 현 사용량을 전력량값으로 판단하여 사용한다. 즉, 수용가에서 전기를 사용함에 있어서, 현재 사용한 전력량을 알기 위하여 전력량계에 표시된 전력값을 읽어 사용하거나, 일정 기간이 지난 후 사용 요금을 납부하는 시점에서 확인한다.
특히, 최근에는 전자식 전력량계를 통해 전자적으로 계측된 각 전력 수용가의 전력사용량에 대한 데이터를 소정의 통신방식을 이용하여 원격으로 수신 받아 검침할 수 있도록 하는 전력량의 원격 검침시스템이 개발되어 적용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전력량의 원격 검침시스템의 경우에는 전력공급 사업자의 검침직원이 각 수용가를 방문하여 전력량계에 표시되는 당월의 전력량을 검침할 필요가 없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전력량계가 프랜차이즈의 매장별(지점별)로 설치되는 경우, 본사에서는 원격 검침시스템을 통해 매장별로 전력사용량을 파악하고, 파악한 정보를 고려하여 매장의 관리자에게 에너지 절감을 지시한다. 하지만, 본사에서는 에너지 절감을 매장 관리자의 자율에 의존하기 때문에 앞으로 전력 소비를 줄여야겠다는 절약의식을 효율적으로 고취시키지 못하고, 이에 따라 에너지 낭비가 쉽게 개선되지 않아 현실적으로 에너지 절감의 효과가 낮은 문제점이 있다.
이와 관련하여, 일본공개특허공보 평11-337149호에는 특정 사용자의 공조기기(에어컨)와 다른 공조기기 간의 비교로 자신의 공조기기의 전력사용량을 객관적으로 평가하여 전력사용량이 많은 원인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전력사용량은 기기가 설치되는 공간의 크기나 위치 등 여러 변수들 때문에 매장들 간의 소비전력을 객관적으로 비교하는데 한계가 있다.
일본공개특허공보 평11-337149호
본 발명은 앞으로 전력 소비를 줄여야겠다는 절약의식을 효율적으로 고취시키지 못함에 따라 현실적으로 에너지 절감의 효과가 낮은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기기가 설치되는 공간의 크기나 위치 등 여러 변수들을 고려하여 매장들 간의 소비전력을 객관적으로 비교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단일 매장 및 단일 건물이 아닌 동시에 같은 위치에 있지 않은 여러 매장의 기기에 대해서 동시에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비슷한 규모의 사업장 혹은 주거지역을 단위면적당 전력요금으로 비교하여 에너지사용등급을 부여함으로써 실질적으로 전력사용의 효율적인 관리를 가능하게 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 에너지 절감을 지점 자율에 의존했던 종래의 무의미한 에너지 절감 노력에서 벗어나, 본사 차원에서의 강력한 에너지 절감 시행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지점들간 에너지 절약에 대한 경쟁을 유도하여 자발적인 전력소비 절약의식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관리자들간의 다양한 정보 공유가 가능하도록 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전력 소비 절약의식을 고취시킬 수 있으며, 관리자들의 능동적인 참여로 매장의 경제적인 전력소비패턴을 유도할 수 있으며, 필요 이상의 전력 소비를 감소시킬 수 있는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공간별 전력사용량 비교 모니터링 시스템은 모니터링장치 및 서버를 포함한다. 상기 모니터링장치는 동일한 성격을 가지는 복수의 공간 내 각 기기의 전력선에 설치되어 상기 각 기기의 전력사용량을 모니터링하고 통신모듈을 통해 전송한다. 상기 서버는 상기 모니터링장치로부터 상기 각 기기의 전력사용량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여 분석하며, 정보 수신부, 데이터베이스, 정보 분석부 및 연산부를 포함한다. 상기 정보 수신부는 상기 모니터링장치로부터 상기 전력사용량에 관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수신된 전력사용량에 관한 정보를 저장한다. 상기 정보 분석부는 상기 저장된 전력사용량에 관한 정보를 기초로 상기 각 기기의 전력소비패턴을 분석한다. 상기 연산부는 상기 분석된 각 기기의 전력소비패턴 정보를 이용하여 각 공간별 전력사용량과 파라미터(parameter) - 상기 파라미터는 공간별 전력사용량을 비교할 수 있는 기준을 의미함 - 간의 상관계수를 계산하고, 상기 상관계수를 기초로 소정 공간과 타 공간 간의 전력사용량을 비교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전력사용패턴을 분석 시 각 공간별 전력사용량에 영향을 주는 면적이나 매출액, 실외온도 등 다양한 파라미터들을 고려하여 계산된 정규화 값을 기초로, 유사 사업장 간의 최적화된 전력사용 기준을 만들 수 있으므로, 공간별 전력사용 효율성을 보다 객관적으로 비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단일 매장 및 단일 건물이 아닌 동시에 같은 위치에 있지 않은 여러 매장의 기기에 대해서 동시에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고, 파라미터들을 고려하여 유사 사업장을 비교하였을 때, 에너지 사용의 차이가 심하다면 모니터링 시스템을 통해 에너지 낭비의 이유를 찾을 수 있으며, 에너지 낭비가 심한 매장의 에너지 효율 개선이 가능하여 전체적인 에너지 효율을 상승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단순 모니터링은 에너지 사용의 정보만 제공하는 것에 국한될 뿐, 실제 에너지 사용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지에 대한 구체적인 이유는 찾을 수 있지만, 본 발명은 사업장의 성격에 따라 파라미터의 가중치를 다르게 적용하여 매장별 기기의 에너지 사용을 객관적으로 비교 및 분석함으로써, 모니터링뿐만 아니라 실제 에너지 절감을 가능하게 한다.
또, 본사에서는 모든 지점에 대한 전기요금 모니터링뿐만 아니라 어느 지점에서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사용하고 있는지 등급을 통해 파악할 수 있고, 이에 따라 1등급 지점에게 인센티브를 부여하던지, 10등급 지점에게 1등급 지점의 노하우를 공유하도록 하던지 함으로써, 지점들간 에너지 절약에 대한 경쟁을 유도하여 자발적인 전력소비 절약의식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또한, 부여된 등급 및 이에 따른 포상은 관리자들간의 승부욕 및 사기를 더욱 증강시키므로, 지점들에서는 에너지 절약에 보다 적극적으로 참여하게 되며, 이를 이용하여 본사에서는 전 지점의 에너지 관리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커뮤니케이션 서비스를 구현함에 따라, 관리자들간의 다양한 정보 공유가 온라인을 통해서 용이하게 이루어지므로, 보다 효율적으로 전력 소비 절약의식을 고취시킬 수 있으며, 관리자들의 능동적인 참여로 매장의 경제적인 전력소비패턴을 유도할 수 있으며, 필요 이상의 전력 소비를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거주자들이 각 세대에게 부여된 등급을 보고, 커뮤니케이션 서비스를 통해 서로간의 전력 소비에 대한 의견(에너지 절약 방법 등)을 온라인으로 간편하게 공유하게 되면, 에너지 낭비의 이유를 파악하여 필요 이상으로 낭비되는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으며, 거주자들의 사기를 고취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간별 전력사용량 비교 모니터링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파라미터가 공간의 규모와 매출액인 경우의 예측전력사용량의 연산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간별 전력사용량 비교 모니터링 방법의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파라미터가 공간의 규모, 매출액 및 실내/실외의 평균 온도차인 경우의 예측전력사용량의 연산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매장별로 전력사용 효율성 등급이 부여된 화면과 카테고리별 전력사용량에 관한 정보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 구체적인 수치는 실시예에 불과하며, 설명의 편의와 이해를 위하여 실제와는 달리 과장된 수치가 제시되었을 수 있다.
<시스템에 대한 설명>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간별 전력사용량 비교 모니터링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모니터링 시스템(100)은 모니터링장치(110) 및 서버(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모니터링장치(110)는 동일한 성격을 가지는 복수의 공간 내 각 기기의 전력선에 설치되어 상기 각 기기의 전력사용량을 모니터링하고 통신모듈을 통해 서버(120)로 전송하는 장치로, 에어컨이나 히터, 조명, 기계설비, 전자설비 등 다양한 기기의 전력사용량을 측정하여 데이터화된 값을 서버(120)로 송신한다. 이러한 모니터링장치(110)는 사용자(소비자)가 실시간으로 기기별 및 시간대별 사용금액(요금, 전기세)을 체크할 수 있는 전자식 전력량계의 일종인 스마트 미터(Smart meter)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서버(120)는 모니터링장치(110)로부터 각 기기의 전력사용량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여 분석하며, 이를 위해 정보 수신부(121), 데이터베이스(122), 정보 분석부(123), 연산부(124) 및 정보 발신부(125)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동일한 성격을 가지는 공간은 비교 대상이 될 수 있는 공간으로, 비슷한 동종 사업장 공간(예를 들어, 커피숍, 슈퍼마켓, 패스트푸드점, 편의점, 대형마트, 식당, 병원 등 동일 브랜드 및 상표를 통해 비슷한 서비스를 영위하는 매장)을 의미하며,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프랜차이즈의 매장을 예로 들어 기술하도록 한다.
우선, 정보 수신부(121)는 모니터링장치(110)로부터 동일한 성격을 가지는 하나 이상의 공간, 즉 매장 각각에서 소비되는 전력사용량에 관한 정보를 수신한다.
데이터베이스(122)는 전력사용량에 관한 정보 등을 일정 기간 수신하여 저장한다.
정보 분석부(123)는 저장된 전력사용량에 관한 정보를 기초로 각 공간별 각 기기의 전력소비패턴을 분석하는 역할로, 각 공간의 각 기기의 기능에 따라 상기 각 기기를 카테고리별로 분류하고, 분류된 카테고리별로 전력소비패턴을 분석한다.
연산부(124)는 분석된 각 기기의 전력소비패턴 정보를 이용하여 각 공간별 전력사용량과 파라미터(parameter) 간의 상관계수를 계산하고, 상기 상관계수를 기초로 소정 공간과 타 공간 간의 전력사용량을 비교한다. 즉, 연산부(124)는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와 각 공간의 전력사용량 사이의 상관계수를 구하고, 상기 상관계수를 이용한 다중선형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통해 각 공간의 파라미터 값에 대응되는 각 공간의 예측전력사용량을 구하며, 각 공간의 실제전력사용량과 상기 예측전력사용량의 비율을 비교하여 소정 공간과 타 공간 간의 전력사용량을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파라미터는 공간별 전력사용량을 비교할 수 있는 기준으로, 전력사용량에 영향을 주는 사업장의 종류, 사업장별 공간의 면적, 매출액, 실외온도, 계절, 위치 등의 변수를 의미한다. 이는 사업장이 공장인지, 커피숍인지 등 그 성격에 따라 많이 사용되는 기기가 다를 뿐만 아니라, 매장의 경우에는 면적이 크고, 손님이 많은 번화가에 위치하거나, 매출액이 많으면 그만큼 필요한 냉방기기나 조명기기가 많아 소비전력량이 많아질 수 있으며, 겨울이나 여름과 같이 실외온도가 높거나 낮으면 냉난방기기의 작동 시간이 늘어나기 때문에, 이러한 변수들을 고려하여 공간별 전력사용량의 객관적인 비교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파라미터의 값을 다중선형회귀식에 대입함으로써 각 공간의 예측전력사용량을 구하고, 이를 각 공간의 실제전력사용량과 비교하여 공간별로 정규화된 값을 구한다. 정규화된 값이 1을 초과하면 소비전력이 평균치보다 많다는 것을 의미하고, 반대로 1미만이면 소비전력이 평균치보다 적기 때문에 전력사용 효율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통상 회귀분석은 특정 변수값의 변화와 다른 변수값의 변화가 가지는 수학적 선형의 함수식을 파악함으로써 상호관계를 추론하게 되는데, 추정된 함수식을 회귀식이라고 한다. 이러한 회귀식을 통하여 특정변수(독립변수 또는 설명변수라고 함)의 변화가 다른 변수(종속변수라고 함)의 변화와 어떤 관련성이 있는지 관련이 있다면 어느 변수의 변화가 원인이 되고 어느 변수의 변화가 결과적인 현상인지 등에 관한 사항을 분석할 수 있다. 상기 회귀분석은 독립변수가 하나인 경우와 2개 이상인 경우로 구분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여러 파라미터들을 고려하므로 독립변수가 2개 또는 그 이상인 모형으로 분석하는 다중선형회귀분석을 통해 각 공간의 예측전력사용량을 구한다.
예측전력량의 상관계수는 각 공간별 실제전력량의 값과 파라미터 값을 아래의 수학식 1에 대입하여 구한다. 설명의 편의상, 이하 파라미터를 면적 및 매출액에 적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수학식 1)
K = a1X1 + p
K = a2X2 + q
수학식 1에서 K는 일정 기간 동안의 각 공간의 실제전력사용량, a1은 면적의 상관계수, a2는 매출액의 상관계수, X1은 각 공간의 면적, X2는 각 공간의 매출액이다.
상기 수학식 1에서 상관계수 a1, a2는 전력사용량과 파라미터 간의 가중치를 나타낸 값으로, 상관계수를 이용하여 예측전력사용량을 구하는 식은 아래의 수학식 2와 같다.
(수학식 2)
Y = a1X1 + a2X2 + c
수학식 2에서 Y는 일정 기간 동안의 각 공간의 예측전력사용량, a1은 면적의 상관계수, a2는 매출액의 상관계수, X1은 각 공간의 면적, X2는 각 공간의 매출액이다. 상기 수학식 2는 하나의 예를 예시한 것으로, 파라미터의 수에 따라 Y = a1X1 + a2X2 + a3X3 + … + c와 같이 정의될 수 있다. 그리고 데이터베이스(122)에 축적되는 데이터가 많아질수록 사업장의 성격에 따른 전력사용패턴 공식을 보다 정밀하게 산출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수요 예측도 가능할 수 있다.
예측전력사용량을 구하는 것과 관련하여 도 2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각 매장별 전력소비패턴을 분석한 결과 면적 및 매출액에 따른 전력사용량이 도 2의 그래프와 같고, 일정 기간 동안 모든 매장별 전력사용량 대비 면적 및 매출액의 상관계수를 구한 결과, 면적에 대한 상관계수가 0.5, 매출액에 대한 상관계수가 0.7, 소정 매장 A의 면적이 300m2, 매출액이 200만원이라면, 소정 기간 동안의 예측전력사용량은
① Y = 0.7*300 + 0.5*200 + c
이 된다. 만약, 이 값이 1000KW인데 반해,
② 매장 A의 실제전력사용량이 1150KW이라고 하면,
③ 정규화된 값은 실제전력사용량/예측전력사용량 = 1.15
이므로, 1을 초과하게 되어 매장 A에서는 평균적인 전력사용량 보다 많은 전력을 소비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매장 A에서의 소비전력량은 도 2의 그래프에 나타난 같이 단위면적당/단위매출액당 평균적인 전력사용량 보다 크다.
이때, 대구와 강릉 지역 간의 매장 C, D를 비교하려면, 지역이나 날씨, 실외온도 등을 더 고려하여 소비전력을 비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역상 보통 대구는 덥고, 강릉은 상대적으로 시원하기 때문에, 동일한 조건에서 대구에서의 전력소비는 많을 수 밖에 없다. 따라서 지역, 날씨, 실외온도를 고려하지 않고, 매장 크기, 매출액만으로 매장 간의 소비전력을 비교하면, 매장 C는 전력사용 효율성이 낮게 측정될 수 밖에 없어, 객관적인 비교가 될 수 없다. 이 경우, 상기 수학식 1을 통해 일정 기간 동안 모든 매장들에서의 전력사용량과 지역, 날씨, 실내와 실외온도 차이의 값으로 각각의 상관계수를 구하며, 이를 수학식 2에 대입하여 매장 C, D의 소정 기간 동안의 예측전력사용량을 계산하고, 각각 실제전력사용량과 비교하여 졍규화된 값이 나오면, 상기 값을 기준으로 비교한다. 이와 같은 다양한 변형이 본 발명에 적용 가능하며, 그 구체적인 구현 방법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전력사용패턴을 분석 시 각 공간별 전력사용량에 영향을 주는 면적이나 매출액, 실외온도 등 다양한 파라미터들을 고려하여 계산된 정규화 값을 기초로, 유사 사업장 간의 최적화된 전력사용 기준을 만들 수 있으므로, 공간별 전력사용 효율성을 보다 객관적으로 비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단일 매장 및 단일 건물이 아닌 동시에 같은 위치에 있지 않은 여러 매장의 기기에 대해서 동시에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고, 파라미터들을 고려하여 유사 사업장을 비교하였을 때, 에너지 사용의 차이가 심하다면 모니터링 시스템(100)을 통해 에너지 낭비의 이유를 찾을 수 있으며, 에너지 낭비가 심한 매장의 에너지 효율 개선이 가능하여 전체적인 에너지 효율을 상승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단순 모니터링은 에너지 사용의 정보만 제공하는 것에 국한될 뿐, 실제 에너지 사용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지에 대한 구체적인 이유는 찾을 수 있지만, 본 발명은 사업장의 성격에 따라 파라미터의 가중치를 다르게 적용하여 매장별 기기의 에너지 사용을 객관적으로 비교 및 분석함으로써, 모니터링뿐만 아니라 실제 에너지 절감을 가능하게 한다.
한편, 연산부(124)는 각 공간의 실제전력사용량과 예측전력사용량의 비율에 따라 정규화된 값을 기준으로, 유사 사업장 간의 전력사용 효율성에 대한 등급 또는 순위를 부여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스타벅스 압구정 지점과 강남 지점에서의 소비전력량을 면적, 매출액, 위치, 실외온도 등의 파라미터를 고려하여 구한 정규화 값이 각각 0.9와 1.2라고 하면, 압구정 지점에 비해 강남 지점의 전기에너지 사용 효율이 낮다는 것을 알 수 있고, 이를 통해 연산부(124)는 동종 사업자 간의 에너지 관리에 대한 등급(예를 들어, 1~10등급)을 부여한다. 그러면, 스타벅스 본사에서는 모든 지점에 대한 전기요금 모니터링뿐만 아니라, 어느 지점에서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사용하고 있는지 파악할 수 있고, 이에 따라 1등급 지점에게 인센티브를 부여하던지, 10등급 지점에게 1등급 지점의 노하우를 공유하도록 하던지 함으로써, 지점들간 에너지 절약에 대한 경쟁을 유도하여 자발적인 전력소비 절약의식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또한, 부여된 등급 및 이에 따른 포상은 관리자들간의 승부욕 및 사기를 더욱 증강시키므로, 지점들에서는 에너지 절약에 보다 적극적으로 참여하게 되며, 이를 이용하여 본사에서는 전 지점의 에너지 관리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본 발명은 에너지 절감을 지점 자율에 의존했던 종래의 무의미한 에너지 절감 노력에서 벗어나, 본사 차원에서의 강력한 에너지 절감 시행이 가능하다.
또한, 연산부(124)는 분석된 각 공간의 카테고리별 기기의 전력소비패턴 정보를 이용하여 소정 공간과 타 공간 간의 카테고리별 기기의 전력사용량을 비교할 수도 있다. 각 공간의 카테고리별 기기는 매장에 설치된 냉난방기기, 조명기기, 조리기기 등 유사한 기능을 가지는 기기를 카테고리별로 그룹화한 것을 의미하며, 이를 이용하면 본사 또는 매장 관리자들은 카테고리별로 기기의 전력사용량에 관한 정보를 쉽게 파악하여 비교할 수 있다. 즉, 매장 A와 매장 B의 전력사용량을 각각 정규화한 값에서 에어컨의 전력사용량이 차지하는 비율을 비교하여, 매장 A와 매장 B 간 에어컨의 소비전력량 효율을 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매장 A와 매장 B 간의 정규화 값이 동일하고, 에어컨 소비전력량 비율이 각각 40%, 60%라면, 매장 B의 에어컨 온도를 상향 조정함으로써, 에너지 사용 효율을 조정할 수 있다.
이러한 정보들은 서버(120)의 정보 발신부(125)를 통해 본사나 매장 관리자의 일반 PC나 휴대폰, PDA, 스마트폰 등의 단말기(130)로 전송되어, 매장의 에너지 소비 전력 및 사용량을 실시간으로 웹브라우저를 통해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서버(120)는 매장 관리자들 간의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하도록 커뮤니케이션부(126) 및 회원 인증부(127)를 더 포함한다.
커뮤니케이션부(126)는 선택된 매장에 관한 코멘트를 입력 받고, 각 매장 관리자들이 코멘트를 조회하고 코멘트에 대한 답신을 입력할 수 있도록 구비되며, 회원 인증부(127)는 관리자들의 가입 절차, 또는 로그인 과정에 수반되는 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구비된다. 관리자들간 커뮤니케이션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커뮤니케이션 서비스를 제공하는 해당 사이트의 회원으로 등록해야 하고, 관리자들이 회원가입을 요청하면, 회원ID, 패스워드, 상호, 주소, 전화번호, 이메일, 팩스 등을 입력받아 관리자들을 회원으로 등록시킨다. 등록된 회원에게는 커뮤니케이션 서비스를 지원하는 해당 사이트의 이용권한이 주어지고, 데이터베이스(122)는 회원으로 등록된 가입자의 정보 및 가입자들간의 커뮤니케이션 정보를 저장한다. 그리고 가입 절차를 거친 관리자들은 선택한 매장에 대해 코멘트를 입력하거나, 코멘트를 조회하여 다양한 정보를 얻을 수 있고, 조회한 코멘트에 대한 답신을 입력할 수 있다. 만약, 각 지점끼리의 커뮤니티가 자동 그룹핑(가입시 카테고리별로 자동 그룹핑)되면, 스타벅스 압구정 지점은 스타벅스 < 커피숍 < 프랜차이즈 매장 < 전 사업장으로의 카테고리별 분류가 가능해지고, 이후 각 카테고리별로 커뮤니티 생성 및 커뮤니케이션 활성을 통해 사업장 단위의 커뮤니케이션 서비스를 만든다.
상기와 같은 커뮤니케이션 서비스를 구현함에 따라, 관리자들간의 다양한 정보 공유가 온라인을 통해서 용이하게 이루어지므로, 보다 효율적으로 전력 소비 절약의식을 고취시킬 수 있으며, 관리자들의 능동적인 참여로 매장의 경제적인 전력소비패턴을 유도할 수 있으며, 필요 이상의 전력 소비를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종래에는 에너지 낭비라는 지적이 있어도 쉽게 개선되지 않았으나, 본사에서의 강제적인 기준 전력사용량의 설정 통보로 매장들의 에너지 낭비를 개선할 수 있으므로, 본사 차원에서의 에너지 절감 및 모니터링 기능은 강력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 서버의 연산부(124)에서 공간별 기기의 동작을 제어 및 관리하는 기기 제어신호를 포함하는 제어명령을 생성하면, 이를 기기 제어신호 출력부(128)가 기기 제어장치(130)로 전송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본사에서는 매장별로 여름철 에어컨의 온도 설정, 겨울철 히터의 온도 설정, 조명기기의 온/오프 제어 및 개별 전기기기의 온/오프 제어 등을 직접 통제함으로써, 적극적으로 에너지 절감을 실현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동일한 성격을 가지는 공간을 비슷한 규모의 거주 공간(예를 들어, 아파트의 각 세대)에 적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서버(120)는 모니터링장치(110)로부터 아파트의 세대 각각에서 소비되는 전력사용량에 관한 정보를 일정 기간 수신하여, 각 세대별 각 기기의 전력소비패턴을 분석하고, 이를 이용하여 각 세대별 전력사용량과 파라미터 간의 상관계수를 구한 후, 상관계수를 이용한 다중선형회귀 분석을 통해 각 세대의 실제전력사용량과 예측전력사용량의 비율을 비교함으로써, 소정 세대와 타 세대 간의 전력사용량을 비교한다. 세대간 비교 시, 파라미터는 전력사용량에 영향을 주는 세대별 공간의 면적, 거주자 수, 실외온도, 계절 등의 변수 일 수 있다. 이는 세대의 경우에는 면적이 크고, 거주자 수가 많으면 그만큼 소비전력량이 많으며, 겨울이나 여름과 같이 실외온도가 높거나 낮으면 냉난방기기의 작동 시간이 늘어나기 때문에, 이러한 변수들을 고려하여 공간별 전력사용량의 객관적인 비교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각 세대의 실제전력사용량과 예측전력사용량의 비율에 따라 정규화된 값을 기준으로, 조건이 유사한 세대 간의 전력사용 효율성에 대한 등급을 부여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거주자들이 각 세대에게 부여된 등급을 보고,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커뮤니케이션 서비스를 통해 서로간의 전력 소비에 대한 의견(에너지 절약 방법 등)을 온라인으로 간편하게 공유하게 되면, 에너지 낭비의 이유를 파악하여 필요 이상으로 낭비되는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으며, 거주자들의 사기를 고취시킬 수 있다.
<방법에 대한 설명>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간별 전력사용량 비교 모니터링 방법에 대해서 도 3에 도시된 흐름도와 더불어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예시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되, 편의상 순서를 붙여 설명한다.
1. 전력사용량 모니터링 및 전송단계< S310 >
동일한 성격을 가지는 복수의 공간 내 각 기기의 전력선에 설치된 모니터링장치(110)가 상기 각 기기의 전력사용량을 모니터링하고 통신모듈을 통해 서버(120)로 전송한다.
2. 전력사용량에 관한 정보 수신단계< S320 >
서버(120)가 모니터링장치(110)로부터 냉방기기나, 난방기기, 조명기기 등 여러 기기의 전력사용량에 관한 정보를 일정 기간 수신한다
3. 전력사용량에 관한 정보 저장단계< S330 >
상기 단계 S320에서 수신된 전력사용량에 관한 정보를 저장한다.
4. 각 기기의 전력소비패턴 분석단계< S340 >
상기 단계 S330에서 저장된 전력사용량에 관한 정보를 기초로 상기 각 기기의 전력소비패턴을 분석한다.
5. 연산 및 비교단계< S350 >
상기 단계 S340에서 분석된 각 기기의 전력소비패턴 정보를 이용하여 각 공간별 전력사용량과 파라미터 간의 상관계수를 계산하고, 상기 상관계수를 기초로 소정 공간과 타 공간 간의 전력사용량을 비교하는 단계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와 각 공간의 전력사용량 사이의 상관계수를 구한 후(S351), 상기 상관계수를 이용한 다중선형회귀분석을 통해 각 공간의 파라미터 값에 대응되는 각 공간의 예측전력사용량을 구하며(S352), 상기 각 공간의 실제전력사용량과 상기 예측전력사용량의 비율(정규화된 값)을 비교함으로써(S353), 상기 소정 공간과 타 공간 간의 전력사용량을 비교한다.
이때, 파라미터는 공간별 전력사용량을 비교할 수 있는 기준으로, 전력사용량에 영향을 주는 사업장의 종류, 사업장별 공간의 면적, 매출액, 실외온도, 계절, 위치 등의 변수를 의미하며, 이러한 변수들을 고려하여 공간별 전력사용량의 객관적인 비교가 가능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는 파라미터의 값을 다중선형회귀식에 대입함으로써 각 공간의 예측전력사용량을 구하고, 이를 각 공간의 실제전력사용량과 비교하여 공간별로 정규화된 값을 구한다. 정규화된 값이 1을 초과하면 소비전력이 평균치보다 많다는 것을 의미하고, 반대로 1미만이면 소비전력이 평균치보다 적기 때문에 전력사용 효율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중회귀분석에 관해서는 이미 상세히 살펴보았으므로, 이하 다중선형회귀식을 통해 상관계수와 예측전력량을 구하는 내용에 관하여 기술하기로 한다.
먼저, 예측전력량의 상관계수는 각 공간별 실제전력량의 값과 파라미터 값을 아래의 수학식 1에 대입하여 구한다. 설명의 편의상, 이하 파라미터를 공간의 면적, 한달 동안의 매출액 및 실내/실외의 평균 온도차에 적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수학식 1)
K = a1X1 + p
K = a2X2 + q
K = a3X3 + r
K는 한달 동안의 각 공간의 실제전력사용량, a1은 면적의 상관계수, a2는 매출액의 상관계수, a3는 실내/실외의 평균 온도차의 상관계수, X1은 각 공간의 면적, X2는 각 공간의 매출액, X3는 각 공간의 실내/실외의 평균 온도차이다. 상기 수학식 1을 통해 전력사용량과 면적, 매출액, 실내/실외의 평균 온도차 간의 관계를 각각 그래프로 나타내면, 도 4의 (a), (b), (c)와 같이 표현될 수 있고, 상관계수 a1, a2, a3가 구해진다. 이 상관계수 a1, a2, a3는 전력사용량과 파라미터 간의 가중치를 나타낸 값으로, 상관계수를 이용하여 각 매장의 예측전력사용량을 구하는 식은 아래의 수학식 2와 같다.
(수학식 2)
Y = a1X1 + a2X2 + a2X3 + c
Y는 각 매장의 예측전력사용량, a1은 면적의 상관계수, a2는 매출액의 상관계수, a3은 실내/실외의 평균 온도차의 상관계수, X1은 각 매장의 면적, X2는 각 매장의 매출액, X3은 각 매장의 실내/실외의 평균 온도차이다. 데이터베이스화되는 데이터가 많아질수록 사업장의 성격에 따른 전력사용패턴 공식을 보다 정밀하게 산출할 수 있으므로, 충분한 데이터 수집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학식 1을 통해 평균적으로 구한 면적에 대한 상관계수가 0.6, 매출액에 대한 상관계수가 0.5, 실내/실외의 평균 온도차에 대한 상관 계수가 0.3, 매장 A의 면적이 400m2, 매출액이 700만원, 실내/실외의 평균 온도차가 5도이면, 매장 A의 예측전력사용량은
① Y = 0.6*400 + 0.5*700 + 0.3*5
가 된다. 만약, 이 값이 3000KW인데 반해,
② 매장 A의 실제전력사용량이 2700KW라고 하면, 정규화된 값은
③ 실제전력사용량/예측전력사용량 = 0.9
이므로, 1을 넘지 않아 매장 A에서는 평균적인 전력사용량 보다 적은 전력을 소비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다양한 변형이 본 발명에 적용 가능하며, 그 구체적인 구현 방법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전력사용패턴을 분석 시 각 공간별 전력사용량에 영향을 주는 면적이나 매출액, 실외온도 등 다양한 파라미터들을 고려하여 계산된 정규화 값을 기초로, 유사 사업장 간의 최적화된 전력사용 기준을 만들 수 있으므로, 공간별 전력사용 효율성을 보다 객관적으로 비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단일 매장 및 단일 건물이 아닌 동시에 같은 위치에 있지 않은 여러 매장의 기기에 대해서 동시에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고, 단순 모니터링은 에너지 사용의 정보만 제공하는 것에 국한될 뿐, 실제 에너지 사용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지에 대한 구체적인 이유는 찾을 수 있지만, 본 발명은 파라미터들을 통해 매장별 기기의 에너지 사용을 객관적으로 비교 및 분석함으로써 모니터링뿐만 아니라 실제 에너지 절감을 가능하게 한다.
6. 등급 또는 순위 부여단계< S360 >
상기 단계 S350에서 정규화된 값을 기초로, 도 5와 같이 유사 사업장 간의 전력사용 효율성에 대한 등급이나 순위를 부여하여, 등급에 따라 지점에게 인센티브를 부여하던지, 1등급 지점의 노하우를 공유하도록 하던지 함으로써, 지점들간 에너지 절약에 대한 경쟁을 유도하여 자발적인 전력소비 절약의식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등급이나 순위 부여 시, 매장들의 성격(예를 들어, 위치, 날씨)을 고려하지 않고 단순히 소비전력량이나, 규모, 또는 매출액만으로 매장들을 비교하면 그 결과를 신뢰할 수 없기 때문에, 매장 관리자들의 불만이 발생할 수도 있고, 불합리할 수도 있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최적화된 객관적 기준인 정규화 값으로 매장들을 순서대로 정렬하기 때문에, 그 결과를 신뢰할 수 있다. 이렇게 객관적 기준으로 부여된 등급 및 이에 따른 포상은 관리자들간의 승부욕 및 사기를 더욱 증강시키므로, 지점들에서는 에너지 절약에 보다 적극적으로 참여하게 되며, 이를 이용하여 본사에서는 전 지점의 에너지 관리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본 발명은 에너지 절감을 지점 자율에 의존했던 종래의 무의미한 에너지 절감 노력에서 벗어나, 본사 차원에서의 강력한 에너지 절감 시행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단계 S340에서 상기 각 공간의 각 기기의 기능에 따라 상기 각 기기를 카테고리별로 분류하고, 상기 분류된 카테고리별로 전력소비패턴을 분석하며, 이를 이용하여 상기 단계 S350에서 소정 공간과 타 공간 간의 카테고리별 기기의 전력사용량을 비교할 수도 있다. 즉, 각 공간의 카테고리별 기기는 매장에 설치된 냉난방기기, 조명기기, 조리기기 등 유사한 기능을 가지는 기기를 카테고리별로 그룹화한 것을 의미하며, 이를 이용하면 본사 또는 매장 관리자들은 카테고리별로 기기의 전력사용량에 관한 정보를 쉽게 파악하여 비교할 수 있다.
이러한 정보들은 통해 본사나 매장 관리자의 일반 PC나 휴대폰, PDA, 스마트폰 등의 단말기(130)로 전송되어, 매장의 에너지 소비 전력 및 사용량을 실시간으로 웹브라우저를 통해 제공한다.
또, 본 발명에서는 매장 관리자들 간의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하도록 관리자들이 선택한 매장에 대한 코멘트를 입력 받고, 각 매장 관리자들이 코멘트를 조회하고 코멘트에 대한 답신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커뮤니케이션 서비스를 구현함에 따라, 관리자들간의 다양한 정보 공유가 온라인을 통해서 용이하게 이루어지므로, 보다 효율적으로 전력 소비 절약의식을 고취시킬 수 있으며, 관리자들의 능동적인 참여로 매장의 경제적인 전력소비패턴을 유도할 수 있으며, 필요 이상의 전력 소비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 본사에서는 단말기(130)를 통해 매장별로 여름철 에어컨의 온도 설정, 겨울철 히터의 온도 설정, 개별 전기기기의 온/오프 제어 등을 직접 통제하여, 적극적으로 에너지 절감을 실현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동일한 성격을 가지는 공간을 비슷한 규모의 거주 공간(예를 들어, 아파트의 각 세대)에 적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파라미터는 전력사용량에 영향을 주는 세대별 공간의 면적, 거주자 수, 실외온도, 계절 등의 변수 일 수 있다. 그리고 각 세대의 실제전력사용량과 예측전력사용량의 비율에 따라 정규화된 값을 기준으로, 조건이 유사한 세대 간의 전력사용 효율성에 대한 등급을 부여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거주자들이 각 세대에게 부여된 등급을 보고,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커뮤니케이션 서비스를 통해 서로간의 전력 소비에 대한 의견(에너지 절약 방법 등)을 온라인으로 간편하게 공유하게 되면, 에너지 낭비의 이유를 파악하여 필요 이상으로 낭비되는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으며, 거주자들의 사기를 고취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공간별 전력사용량 비교 모니터링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공간별 전력사용량 비교 모니터링 시스템
110: 모니터링장치 120: 서버
130: 기기 제어장치

Claims (11)

  1. 동일한 성격을 가지는 복수의 공간 내 각 기기의 전력선에 설치되어 상기 각 기기의 전력사용량을 모니터링하고 통신모듈을 통해 전송하는 모니터링장치; 및
    상기 모니터링장치로부터 상기 각 기기의 전력사용량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여 분석하는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모니터링장치로부터 상기 전력사용량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정보 수신부;
    상기 수신된 전력사용량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상기 저장된 전력사용량에 관한 정보를 기초로 상기 각 기기의 전력소비패턴을 분석하는 정보 분석부; 및
    상기 분석된 각 기기의 전력소비패턴 정보를 이용하여 각 공간별 전력사용량과 파라미터(parameter) - 상기 파라미터는 공간별 전력사용량을 비교할 수 있는 기준을 의미함 - 간의 상관계수를 계산하고, 상기 상관계수를 기초로 소정 공간과 타 공간 간의 전력사용량을 비교하는 연산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산부는,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와 각 공간의 전력사용량 사이의 상관계수를 구하고,
    상기 상관계수를 이용한 다중선형회귀분석을 통해 각 공간의 파라미터 값에 대응되는 각 공간의 예측전력사용량을 구하며,
    상기 각 공간의 실제전력사용량과 상기 예측전력사용량의 비율을 비교하여 상기 소정 공간과 타 공간 간의 전력사용량을 비교하는
    공간별 전력사용량 비교 모니터링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라미터는 각 공간의 면적 및 매출액을 포함하고,
    상기 예측전력사용량은 아래의 수학식에 의해 계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별 전력사용량 비교 모니터링 시스템.
    (수학식)
    Y = a1X1 + a2X2 + c
    이 때, Y는 각 공간의 예측전력사용량, a1은 면적의 상관계수, a2는 매출액의 상관계수, X1은 각 공간의 면적, X2는 각 공간의 매출액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분석부는 상기 각 공간의 각 기기의 기능에 따라 상기 각 기기를 카테고리별로 분류하고, 상기 분류된 카테고리별로 전력소비패턴을 분석하며,
    상기 연산부는 상기 분석된 각 공간의 카테고리별 기기의 전력소비패턴 정보를 이용하여 소정 공간과 타 공간 간의 카테고리별 기기의 전력사용량을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별 전력사용량 비교 모니터링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부는 상기 각 공간의 실제전력사용량과 상기 예측전력사용량의 비율에 따라 상기 각 공간의 전력사용 효율성에 대한 등급을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별 전력사용량 비교 모니터링 시스템.
  6. 동일한 성격을 가지는 복수의 공간 내 각 기기의 전력선에 설치된 모니터링장치가 상기 각 기기의 전력사용량을 모니터링하고 통신모듈을 통해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모니터링장치로부터 상기 전력사용량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전력사용량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저장된 전력사용량에 관한 정보를 기초로 상기 각 기기의 전력소비패턴을 분석하는 단계;
    상기 분석된 각 기기의 전력소비패턴 정보를 이용하여 각 공간별 전력사용량과 파라미터(parameter) - 상기 파라미터는 공간별 전력사용량을 비교할 수 있는 기준을 의미함 - 간의 상관계수를 계산하고, 상기 상관계수를 기초로 소정 공간과 타 공간 간의 전력사용량을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소정 공간과 타 공간 간의 전력사용량을 비교하는 단계는,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와 각 공간의 전력사용량 사이의 상관계수를 구하는 단계;
    상기 상관계수를 이용한 다중선형회귀분석을 통해 각 공간의 파라미터 값에 대응되는 각 공간의 예측전력사용량을 구하는 단계; 및
    상기 각 공간의 실제전력사용량과 상기 예측전력사용량의 비율을 비교하여 상기 소정 공간과 타 공간 간의 전력사용량을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공간별 전력사용량 비교 모니터링 방법.
  7. 삭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파라미터는 각 공간의 면적 및 매출액을 포함하고,
    상기 예측전력사용량은 아래의 수학식에 의해 계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별 전력사용량 비교 모니터링 방법.
    (수학식)
    Y = a1X1 + a2X2 + c
    이 때, Y는 각 공간의 예측전력사용량, a1은 면적의 상관계수, a2는 매출액의 상관계수, X1은 각 공간의 면적, X2는 각 공간의 매출액임.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각 기기의 전력소비패턴을 분석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각 공간의 각 기기의 기능에 따라 상기 각 기기를 카테고리별로 분류하고, 상기 분류된 카테고리별로 전력소비패턴을 분석하며,
    상기 소정 공간과 타 공간 간의 전력사용량을 비교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분석된 각 공간의 카테고리별 기기의 전력소비패턴 정보를 이용하여 소정 공간과 타 공간 간의 카테고리별 기기의 전력사용량을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별 전력사용량 비교 모니터링 방법.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각 공간의 실제전력사용량과 상기 예측전력사용량의 비율에 따라 상기 각 공간의 전력사용 효율성에 대한 등급을 부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별 전력사용량 비교 모니터링 방법.
  11. 제6항, 제8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20110080003A 2010-12-23 2011-08-11 공간별 전력사용량 비교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KR10122507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3380 2010-12-23
KR20100133380 2010-12-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2306A KR20120072306A (ko) 2012-07-03
KR101225074B1 true KR101225074B1 (ko) 2013-01-22

Family

ID=467070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0003A KR101225074B1 (ko) 2010-12-23 2011-08-11 공간별 전력사용량 비교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507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7116B1 (ko) 2013-11-13 2015-10-02 주식회사 케이티 개별 부하의 운영상태를 추정하는 장치 및 방법
KR102300259B1 (ko) * 2014-10-02 2021-09-10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홈 네트워크 기반의 에너지 사용량 모니터링 시스템 및 에너지 사용량 모니터링 방법
KR101687816B1 (ko) * 2015-10-05 2016-12-20 (주)에스아이티 에너지 효율 평가 방법 및 그 장치
KR101895672B1 (ko) * 2016-08-23 2018-09-05 강희용 핀테크 기반 매장 투자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2238475B1 (ko) * 2018-08-13 2021-04-09 주식회사동우유니온 동적 전력관리 서버 및 이를 이용한 동적 전력관리 시스템
KR102273041B1 (ko) * 2020-07-02 2021-07-06 (주)띵스파이어 전력사용량 기반 신용평가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16922A (ja) * 2002-04-19 2003-11-07 Toshiba Corp エネルギー情報分析方法、エネルギー情報分析装置、エネルギー情報分析システム
JP2004205249A (ja) 2002-12-24 2004-07-22 Seiko Epson Corp 使用電力量提示システム、プログラム、情報記憶媒体および使用電力量提示方法
JP2010218077A (ja) * 2009-03-16 2010-09-30 Mitsubishi Electric Corp 省エネ支援装置、省エネ支援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16922A (ja) * 2002-04-19 2003-11-07 Toshiba Corp エネルギー情報分析方法、エネルギー情報分析装置、エネルギー情報分析システム
JP2004205249A (ja) 2002-12-24 2004-07-22 Seiko Epson Corp 使用電力量提示システム、プログラム、情報記憶媒体および使用電力量提示方法
JP2010218077A (ja) * 2009-03-16 2010-09-30 Mitsubishi Electric Corp 省エネ支援装置、省エネ支援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2306A (ko) 2012-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93895B2 (en) Method and system for adaptively switching prediction strategies optimizing time-variant energy consumption of built environment
Chou et al. Smart grid data analytics framework for increasing energy savings in residential buildings
US9116014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nergy display
Saad al-sumaiti et al. Smart home activities: A literature review
Chen et al. Real-time price-based demand response management for residential appliances via stochastic optimization and robust optimization
Hao et al. Potentials and economics of residential thermal loads providing regulation reserve
CN102349030B (zh) 使用包括图形用户接口的电器的远程显示和自动检测的能量使用监控
CN102136102B (zh) 针对消费者能源消耗的分析
KR101225074B1 (ko) 공간별 전력사용량 비교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CA2749770C (en) Optimization of microgrid energy use and distribution
JP2020510945A (ja) 公益事業関する市場向けプラットフォームの自動化方法及びシステム
KR101434296B1 (ko) 공동 주택의 에너지 소비량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US20110153107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mart energy management by controlling power consumption
CN103984307A (zh) 一种基于用电波形分析的能源监控管理系统及方法
KR101500057B1 (ko) 자동 검침 및 관리 시스템의 검침정보 제공 방법
CN103605331B (zh) 一种基于uc技术的智能用电服务系统
Frick et al. End-use load profiles for the US building stock: Market needs, use cases, and data gaps
CA2754442A1 (en) Targeting energy programs based on monitored consumption
Durillon et al. Decentralized neighbourhood energy management considering residential profiles and welfare for grid load smoothing
JP5924626B2 (ja) エネルギー診断システム、及びエネルギー診断プログラム
KR101167903B1 (ko) 아이피기반 서비스 단말기,이를 이용한 전력 사용량 모니터링 방법 및 이를 갖는 스마트 그리드 시스템
Crețu et al. Modelling and evaluation of the baseline energy consumption and the key performance indicators in technical university of Cluj‐Napoca buildings within a demand response programme: A case study
Mims Frick et al. End-Use Load Profiles for the US Building Stock: Market Needs, Use Cases, and Data Gaps
KR20140091331A (ko) 자동 검침 및 관리 시스템
Abdelsalam et al. Dynamic aggregated building electricity load modeling and simul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