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5103B1 - System for operating and managing water supply network - Google Patents

System for operating and managing water supply networ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5103B1
KR101205103B1 KR1020120035037A KR20120035037A KR101205103B1 KR 101205103 B1 KR101205103 B1 KR 101205103B1 KR 1020120035037 A KR1020120035037 A KR 1020120035037A KR 20120035037 A KR20120035037 A KR 20120035037A KR 101205103 B1 KR101205103 B1 KR 1012051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nagement module
water
module
pipe network
net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503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한수
김세환
황진수
윤문중
Original Assignee
한국수자원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수자원공사 filed Critical 한국수자원공사
Priority to KR10201200350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5103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51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510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nergy or water suppl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4Forecasting or optimisation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or management purposes, e.g. linear programming or "cutting stock proble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4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billing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7/00Three dimensional [3D] modelling, e.g. data description of 3D objects
    • G06T17/05Geographic mode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152Water filtra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Finance (AREA)
  • Geometr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Public Healt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Remote Sensing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PURPOSE: A water pipe network management system is provided to establish an optimized plan for coping with a water demand change and minimize influence caused by accidents by gathering and processing various data in a water pipe network in real time. CONSTITUTION: A real-time pipe network interpretation module(110) sets a block of a pipe conduit based on a water pipe network map. The real-time pipe network interpretation module checks a pipe network state. A water quantity management module(120) monitors the leakage of water through the flow analysis of each block. A water quality management module(130) performs a real-time water quality monitoring function by using pipe network information. A risk management module(170) automatically suggests a plan for coping. [Reference numerals] (110) Real-time pipe network interpretation module; (120) Water quantity management module; (130) Water quality management module; (140) Energy management module; (150) Demand forecasting management module; (160) Water pressure management module; (170) Risk management module; (180) Operation report generating module; (190) Rechlorination position selecting module; (195) Pipe cleaning section selecting module; (AA) Server; (BB) DB

Description

상수관망 운영 관리 시스템{System for operating and managing water supply network}System for operating and managing water supply network

본 발명은 상수관망 운영 관리 시스템 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수관망 내의 다양한 데이터들을 실시간 취합하고 가공하여, 물 수요 변동에 대한 최적의 대처 방안 확립 및 사고나 재해시 수요자에 대한 영향을 최소화 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지능형 상수관망 운영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ter supply network operation management system, and more specifically, to collect and process various data in a water supply network in real time, to establish an optimal response plan for water demand fluctuations and to minimize the impact on consumers in case of an accident or disaste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telligent water pipe network operation management system.

상수도망은 필수적인 도시 기반 시설이며, 이에 따라 상수도망의 효율적인 관리와 운영을 위한 다양한 기술들이 오랜 역사 속에서 발전을 거듭해 오고 있는 중이다. 최근에는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기술 등을 이용한 상수관망의 해석과 이에 따른 지능형 상수관망 관리에 관련된 기술들이 많이 제안되고 있는 실정이다.Water supply network is an essential urban infrastructure, and accordingly, various technologies for efficient management and operation of water supply network have been developing in the long history. Recently, many technologies related to the analysis of water pipe networks using GIS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technology and intelligent water pipe network management have been proposed.

이와 같은 지능형 상수관망 관리와 관련된 대표적인 종래 기술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065488호(발명의 명칭: 상수도의 실시간 관망해석을 통한 블록 관리방법) 등이 있다.Representative prior art related to such intelligent water pipe network management is the 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1065488 (name of the invention: block management method through the real-time pipe network analysis of waterworks).

하지만 상기 등록특허와 같은 종래 기술들은 각종 센서 등을 통해 입력되는 상수관망 내의 다양한 정보들을 취합하여 관리자에게 실시간 제공하는 수준에 아직 머물러 있다. 다시 말해, 각종 센서들을 통해 수압이나 유량 등에 대한 정보가 제공되면 이의 취합을 통해 관리자 등이 문제 발생 여부를 판단하도록 하고 있어, 높은 수준의 지능형 상수관망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기에 어려움이 있었다.However, the prior arts, such as the registered patent, still remain at the level of collecting various information in the water supply network input through various sensors and the like and providing them to the administrator in real time. In other words, when information on water pressure or flow rate is provided through various sensors, the manager or the like determines whether or not a problem occurs by collecting the information, and it is difficult to provide a high level intelligent water pipe network management service.

따라서, 실시간 제공되는 상수관망 내의 다양한 정보를 이용하여 보다 다양한 정보로의 가공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이를 통해 돌발적인 위험 상황 발생 등에 체계적으로 대응 가능하도록 할 수 있는 높은 수준의 지능형 상수관망 관리 서비스의 제공이 요구되고 있다.
Therefore, not only is it possible to process into a variety of information by using a variety of information in the water pipe network provided in real time, but also provides a high level of intelligent water pipe network management service that can systematically respond to unexpected risk situations This is required.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상수관망 내의 다양한 데이터들을 실시간 취합하고 가공하여, 물 수요 변동에 대한 최적의 대처 방안 확립 및 사고나 재해시 수요자에 대한 영향을 최소화 시킬 수 있도록 하는 상수관망 운영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as described above, by collecting and processing a variety of data in the water supply network in real time, so as to establish the optimal response to water demand fluctuations and to minimize the impact on the consumer in the event of an accident or disaster The purpose is to provide a water pipe network operation management system.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수도 관망도 및 실시간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여 관로의 블록을 설정하고, 각 관로의 유량 및 수압을 포함하는 관망 거동 상태를 파악하기 위한 실시간 관망 해석 모듈; 상기 실시간 관망 해석 모듈을 통해 파악된 관망 거동 상태 정보나 개별 센서를 통해 수집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블록별 유량 분석을 통한 누수 감시를 수행하기 위한 수량 관리 모듈; 상기 실시간 관망 해석 모듈을 통해 파악된 관망 거동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관망 정보를 이용하여 수질 감시 지점의 선정 제시 및 실시간 수질 감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수질 관리 모듈; 및 상기 수량 관리 모듈 및 수질 관리 모듈을 통해 관로 사고 또는 수질 사고 발생이 확인되는 경우, 이에 따른 단수 지역이나 파급 지역을 실시간 파악하여 대응 방안을 자동 제시하기 위한 위기 관리 모듈을 포함하는 상수관망 운영 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Real-time pipe network analysis module for setting the block of the pipeline based on the water supply network and real-time data, and grasping the network network behavior including the flow and water pressure of each pipeline; A quantity management module for performing leakage monitoring through the flow rate analysis for each block by using pipe network behavior state information identified through the real-time pipe network analysis module or information collected through an individual sensor; A water quality management module for presenting a selection of a water quality monitoring point and performing a real time water quality monitoring function by using the network information including the network network state information identified through the real time network analysis module; And if the occurrence of pipeline accidents or water quality accidents through the water management module and the water quality management module, water pipe network operation management including a crisis management module for automatically presenting a countermeasure by automatically identifying a single area or a ripple area according to the real-time Provide a system.

상기한 본 발명의 상수관망 운영 관리 시스템은 상기 실시간 관망 해석 모듈을 통해 파악된 관망 거동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관망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상수도 관망도 내에 존재하는 각각의 펌프에 대한 실시간 에너지 현황을 표출하기 위한 에너지 관리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water pipe network operation management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expresses the real-time energy status for each pump existing in the water supply pipe network using the pipe network information including the network network state information obtained through the real-time pipe network analysis module. It may further include an energy management module for.

또한, 상기 실시간 관망 해석 모듈, 수량 관리 모듈, 수질 관리 모듈, 위기 관리 모듈 또는 에너지 관리 모듈을 통해 생성된 데이터를 수집하여, 선형 및 비선형 알고리즘에 의한 일별, 시간별 수요 예측을 제시하기 위한 수요 예측 관리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demand prediction management for presenting daily and hourly demand forecasts by linear and nonlinear algorithms by collecting data generated through the real-time pipe network analysis module, quantity management module, water quality management module, crisis management module or energy management module. The module may further include.

이때, 상기 수요 예측 관리 모듈은, 데이터 수집 과정에 에러가 발생되는 등의 경우 실시간 수집된 실측데이터를 이용하여 에러가 발생된 데이터에 대한 보정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좋다.In this case, the demand prediction management module may be configured to perform correction on the data in which an error occurs by using the measured data collected in real time in case of an error in the data collection process.

본 발명의 상수관망 운영 관리 시스템은 상기 블록 별 적정 수압 유지를 위한 감압 밸브의 제어 방법을 등록하고, 상기 감압 밸브의 실시간 계측 압력을 감시하기 위한 수압 관리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압 관리 모듈은 상기 감압 밸브의 적정 압력 변화 폭을 선정하여, 상기 적정 변화 폭을 벗어나는 압력 변화가 감지되는 경우 경보를 발생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water supply network operation management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hydraulic pressure management module for registering a control method of a pressure reducing valve for maintaining a proper hydraulic pressure for each block, and monitoring a real-time measured pressure of the pressure reducing valve. The hydraulic pressure management module may be configured to select an appropriate pressure change width of the pressure reducing valve to generate an alarm when a pressure change that is out of the appropriate change width is detected.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수관망 운영 관리 시스템은, 상기 실시간 관망 해석 모듈을 통해 파악된 관망 거동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관망 정보를 이용하여, 필요시 재염소 투입 지점의 선정?제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재염소 지점 선정 모듈과, 역시 필요시 관세척 구간의 선정 및 제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관세척 구간 선정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Here, the water supply network operation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using the network information including the network network status information obtained through the real-time network network analysis module, if necessary, the selection and presentation function of the rechlorinated input point Rechlorination point selection module for performing, and if necessary, may further include a tariff section selection module for performing the function of selecting and presenting the tariff section.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간 관망 해석 모듈, 수량 관리 모듈, 수질 관리 모듈, 위기 관리 모듈, 에너지 관리 모듈, 수요 예측 관리 모듈 또는 재염소 지점 선정 모듈이나 관세척 구간 선정 모듈 가운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능 모듈을 통해 생성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일별, 월별 운영 보고서 등을 자동 생성하기 위한 운영 보고서 생성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t least one functional module of the real-time pipe network analysis module, water management module, water quality management module, crisis management module, energy management module, demand forecast management module, rechlorine point selection module or tariff section selection module. By using the data generated through the, may further include an operation report generation module for automatically generating a daily, monthly operation report and the like.

여기서, 본 발명의 상수관망 운영 관리 시스템에 구비되는 수량 관리 모듈은, 상기 블록별 야간 최소 유량이나 유입 유량의 차이 분석이나 추세 분석, 또는 야간 최소 유량의 한계치 설정을 통한 누수량 감시 프로세스에 의해 누수 여부를 판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데, 이러한 수량 관리 모듈은 상기 누수량 감시 프로세스에 의해 누수가 발생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자동으로 알람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이 좋다.Here, the water management module provided in the water supply network operation management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whether the leakage by the leakage amount monitoring process through the difference analysis or trend analysis of the minimum flow rate or inflow flow rate for each block or the minimum flow rate setting at night The quantity management module may be configured to automatically generate an alarm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leak occurs by the leak amount monitoring process.

또한, 본 발명의 수질 관리 모듈은, 상기 실시간 관망 해석 모듈을 통해 파악된 관망 거동 상태 정보 중 체류 시간 정보 및 유량기여율 정보를 이용하여 수질 감시 지점을 선정 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수질 관리 모듈은, 상기 선정된 수질 감시 지점의 수질 상하한 기준 설정 및 실시간 수질 데이터 패턴을 생성하고, 상기 설정된 수질 상하한 기준을 초과하는 데이터가 수신되는 경우 알람을 발생시키는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좋다. In addition, the water quality management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to select and present a water quality monitoring point using the residence time information and flow rate contribution information from the network network behavior state information identified through the real-time network analysis module. The water quality management module may be configured to generate upper and lower water quality reference patterns and real-time water quality data patterns of the selected water quality monitoring point, and generate an alarm when data exceeding the set water quality upper and lower limit standards is received. It is good to be configured to perform.

여기서, 유량기여율이란, 기준절점에 대한 다른 절점의 기여 정도를 기준 절점으로 유입되는 총유량에 대한 기여 절점의 유량에 대해 나타낸 비율을 의미하는 것으로 정의한다.Here, the flow rate contribution rate is defined as meaning the ratio indicated for the flow rate of the contribution node to the total flow rate flowing into the reference node by the degree of contribution of the other node to the reference node.

이때, 상기 수질 관리 모듈은, 상기 블록별 수질 민원 발생 빈도를 분석하고, 상기 민원의 상세 내용을 관리하여 상수도 관망도 상에 표출시키는 기능을 구비하거나, 관망 해석을 통한 잔류 염소 예측 기능 등을 구비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water quality management module is provided with a function of analyzing the frequency of occurrence of water quality complaints for each block, managing the details of the complaints, and displaying them on a water supply network, or a residual chlorine prediction function through a pipe network analysis. can do.

아울러, 상기 위기 관리 모듈은, 관로 사고 발생 시 사고 발생 지점을 선정하여 차단 밸브를 탐색하고, 해당 차단 밸브에 의한 단수 지역의 분석 및 우회 관로를 통한 용수 공급 방안을 제시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데, 이 경우 상기 우회 관로를 통한 용수 공급의 결정은 공급 가능 시간을 고려하여, [유입량 + 배수지 가용 용량]과 [유출량 + 시간별 수요 예측량]을 비교한 다음, 용량에 여유가 있는 경우 우회 관로를 통한 용수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risis management module may search for a shutoff valve by selecting an accident occurrence point when a pipeline accident occurs, and perform a function of analyzing a single area by the corresponding shutoff valve and presenting a water supply plan through a bypass pipeline. In this case, the water supply through the bypass pipe is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the available time, and compares the [inflow + drainage available capacity] and [flow rate + demand forecast by hour], and then, if the capacity is sufficient, It may be desirable to determine that a water supply can be made.

여기서, 상기 위기 관리 모듈은 우회 관로를 통한 용수 공급 전후의 단수 지역을 비교 분석하여 상수도 관망도 상에 표출시키는 기능 등을 추가로 수행할 수 있다.Here, the crisis management module may further perform a function of displaying the water on the water supply pipe network by analyzing the single water before and after the water supply through the bypass pipe.

또한, 상기 위기 관리 모듈은, 수질 사고 발생시 현재 시점 및 조치 완료 시점에서의 파급 지역을 분석하여 상수도 관망도 상에 표출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risis management module may be configured to analyze the spread area at the current time and the completion of the action when water quality accidents occur and to display on the water supply network.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상수관망 운영 관리 시스템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water pipe network operation management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has the following effects.

(1) 지능형 상수관망의 관리를 통해 물 수요 변동 등에 대한 최적의 대처 방안을 신속히 확립할 수 있다.(1) By managing intelligent water pipe networks, it is possible to quickly establish optimal measures for water demand fluctuations.

(2) 사고나 재해 등으로 인한 위험 상황 발생 시 실시간 우회 관로 확보 등의 기능을 자동 수행함으로써, 어떠한 상황에서도 안정적인 상수관망의 운영을 통해 수요자의 피해가 최소화 될 수 있도록 한다.
(2) In the event of a dangerous situation due to an accident or a disaster, it automatically performs a function such as securing a real-time bypass pipe so that the damage of the consumer can be minimized through the operation of a stable water pipe network under any circumstance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수관망 운영 관리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2는 도 1의 수량 관리 모듈에 적용되는 누수 감시 프로세스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수압 관리 모듈에 적용되는 수압 관리 프로세스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는 도 1의 위기 관리 모듈에 적용되는 단수 사고 시 운영 프로세스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5는 도 1의 위기 관리 모듈에 적용되는 수질 사고 시 운영 프로세스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1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water pipe network operation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leak monitoring process applied to the quantity management module of FIG. 1.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hydraulic pressure management process applied to the hydraulic pressure management module of FIG. 1.
FIG.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process during a singular accident applied to the crisis management module of FIG. 1.
FIG.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process when a water quality accident is applied to the crisis management module of FIG. 1.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bove and other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following specific structure or functional description is illustrative only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an embodiment in accordance with the concep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at embodiments in accordance with the concep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various forms, It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make various changes and have various forms, so that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is specification or application. Howeve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modes of operation, but include all change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 및/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들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는 제1 구성 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The terms first and / or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to these terms. The terms may be named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elem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right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element being referred to as the second element,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어떠한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떠한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또는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 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인접하는"과 "?에 직접 인접하는" 등의 표현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 On the other hand, when it is mentioned that an element is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elements in between. Other expressions for describing relationships between components, such as "between?" And "immediately between?" Or "adjacent to?" And "directly adjacent to?", Should be interpreted as well.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terms such as " comprises "or" having "in this specification are intended to specify the presence of stated features, integers,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steps, operations, elem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the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construed as having meanings consistent with the meanings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are not construed i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s unless expressly defined herein. Do no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Like reference symbols in the drawings denote like element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수관망 운영 관리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1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water pipe network operation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수관망 운영 관리 시스템은 실시간 관망 해석 모듈(110), 수량 관리 모듈(120), 수질 관리 모듈(130) 및 위기 관리 모듈(17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알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a water pipe network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eal-time pipe network analysis module 110, a water management module 120, a water quality management module 130, a crisis management module 170, and the like. It can be seen that the configuration.

실시간 관망 해석 모듈(110)은 상수도 관망도 및 실시간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여 관로의 블록을 설정하고, 각 관로의 유량 및 수압을 포함하는 관망 거동 상태를 파악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The real-time pipe network analysis module 110 sets a block of the pipe line based on the water supply pipe network diagram and real-time data, and performs a function of identifying a pipe network behavior state including a flow rate and a water pressure of each pipe line.

여기서 상수도 관망도는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기반으로 작성되며, 상수도 관망도에 표시되는 전체 구역을 대, 중, 소 등의 계층별 블록으로 분할하여 관리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Here, the waterworks pipe network is created based on the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 and it may be preferable that the entire area displayed on the waterworks pipe network can be divided into hierarchical blocks such as large, medium, and small to be manageable.

각 관로의 유량이나 수질 및 수압 등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로는 통상의 어떠한 감지 센서가 적용되어도 무방할 수 있을 것이다.
As a sensor for detecting the flow rate, the water quality and the water pressure of each pipe, any conventional sensing sensor may be applied.

수량 관리 모듈(120)은, 상기 실시간 관망 해석 모듈(110)을 통해 파악된 유량 등의 관망 거동 상태 정보나 또는 개별적으로 센서 등을 통해 수집된 유량 정보 등을 이용하여 블록별 유량 분석을 통한 누수 감시 기능 등을 수행한다. 즉, 각종 센서나 정보 수집 장치 등을 통해 수집되는 유량 등의 데이터를 종합해 블록별 실시간 공급 유량 및 유수율 등의 정보를 제공하고, 다양한 알고리즘에 의해 누수량 등을 파악하게 된다.The quantity management module 120 leaks through flow rate analysis for each block by using pipe network behavior state information such as flow rate determined through the real-time pipe network analysis module 110 or flow rate information collected through a sensor or the like individually. Perform monitoring functions. That is, data such as flow rate collected through various sensors, information collection devices, etc. are aggregated to provide information such as real-time supply flow rate and flow rate for each block, and the leakage amount is determined by various algorithms.

이때, 수량 관리 모듈(120)이 누수 여부를 판단하고 그에 따라 누수량을 산정하기 위한 알고리즘은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야간 최소 유량(MNF)이나 유입 유량의 차이 분석 또는 추세 분석을 이용하거나 야간 최소 유량의 한계치 설정에 의한 방법 등이 적용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algorithm for determining whether the quantity management module 120 leaks and calculates the amount of leak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variously applie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fference analysis or trend of the minimum night flow rate (MNF) or the inflow flow rate is applied. It may be more desirable to use methods such as by using analytical or by setting a threshold of the minimum flow rate at night.

가령, 야간 최소 유량의 차이 분석을 이용하는 경우, 판단일 기준 이전 1주차의 야간 최소 유량의 평균값이 20㎥ 이하인 경우에는 그 120%를 초과할 때, 또는 판단일 기준 이전 1주차의 야간 최소 유량의 평균값이 20㎥ 이상인 경우에는 그 110%를 초과할 때에는 별도의 누수 판단 로직을 실행한다거나, 판단일 기준 이전 1주차 공급 유량의 평균값이 20㎥ 이하인 경우에는 그 120%를 초과할 경우, 그리고 판단일 기준 이전 1주차의 공급 유량 평균값이 20㎥ 이상인 경우에는 그 110%를 초과할 때에는 별도의 누수 판단 로직을 실행하는 등의 방법이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For example, when using the difference analysis of the minimum night flow rate, if the average value of the minimum night flow rate of the first week before the judgment day is 20 m 3 or less, when the average value of the night minimum flow rate of the week 1 before the judgment day is exceeded, or If the average value is more than 20m3, separate leakage judgment logic is executed when it exceeds 110%, or if the average value of the 1st weekly supply flow rate before the judgment day is less than 20m3, if it exceeds 120%, and the judgment day In the case where the average supply flow rate of the first week before the reference is 20 m 3 or more, a method such as executing a separate leak determination logic may be applied when it exceeds 110%.

여기서, 20㎥를 기준으로 1주간 평균값의 110% 또는 120%를 구분하여 산정한 이유는 미미한 변화값을 제외하기 위한 것으로, 20㎥나 110% 또는 120% 등의 구체적 수치가 하나의 예시일 뿐이며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아니함은 당업자에 있어 자명할 것이다.Here, the reason for calculating 110% or 120% of the average value for one week on the basis of 20㎥ is to exclude the slight change, and specific values such as 20㎥ or 110% or 120% are just one example.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적용되는 누수량의 산정 방식으로 통상의 어떠한 누수량 산정 방식이 적용되더라도 무방함은 당연하다. 또한, 상기 누수 판단 로직 역시 통상의 다양한 누수 판단 로직이 적용 가능할 수 있으나, 가령, 하기의 식 등과 같은 알고리즘이 적용될 수 있다.
At this time, it is obvious that any conventional leak amount calculation method may be applied to the leak amount calculation method applied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he leak determination logic may also be applicable to a variety of conventional leak determination logic, for example, an algorithm such as the following equation may be applied.

[금일 야간최소유량(MNF) - 금일(또는 Count 발생) 이전 1주차 평균값] > [MNF]-Today's weekly average before today (or count)]>

[금일(Count 발생) 이전 1주차 평균값 - 금일 이전 2주차 평균값]
[Average value before week 1 (count)-2 week average before today]

즉, 상기의 식과 같은 로직을 적용하는 경우, 상기 조건이 만족하면 ‘현재 누수 카운트’에 Count ‘1’값을 발생시키고, 해당 누적 카운트가 ‘3’ 이상일 경우 ‘누수’로 판단하는 등의 구체적인 방법이 적용 가능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아니함은 당연하다.That is, in the case of applying the same logic as in the above equation, if the condition is satisfied, the value 'Count' is generated in the 'current leak count', and when the corresponding cumulative count is '3' or more, it is determined as 'leak'. The method may be applicable. However, it is obvious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또한, 상기 수량 관리 모듈(120)은 상기한 바와 같은 누수 판단 로직 등에 의해 누수가 발생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자동으로 경보음 등의 알람을 발생시키는 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quantity management module 120 may have a function of automatically generating an alarm such as an alarm sou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leakage occurs by the leakage determination logic as described above.

수질 관리 모듈(130)은 상기 실시간 관망 해석 모듈(110)을 통해 파악된 관망 거동 상태 정보나 또는 개별적으로 센서 등을 통해 수집된 유량 정보 등을 이용하여 수질 감시 지점을 선정해 제시하고, 해당 지점 등의 실시간 수질 감시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water quality management module 130 selects and presents a water quality monitoring point by using pipe network behavior state information identified through the real-time pipe network analysis module 110 or flow rate information individually collected through a sensor, and the corresponding point. It may be configured to perform a real time water quality monitoring function.

여기서 수질 감시 지점의 선정은 유량기여율 정보, 체류 시간 정보 등의 기본 정보에 수질 관련 민원 발생 빈도 정보 및 시설 중요도 가중치 등의 조건을 고려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Here, the selection of the water quality monitoring point may be configured to be made in consideration of conditions such as water quality related complaint frequency information and facility importance weight in addition to basic information such as flow rate contribution information and residence time information.

이때 유량기여율이란, 기준절점에 대한 다른 절점의 기여 정도를 기준 절점으로 유입되는 총유량에 대한 기여 절점의 유량에 대해 나타낸 비율을 의미한다. 즉, 유량 기여율이 높은 절점은 거쳐가는 유량이 많음을 의미하고, 따라서 파손이나 수질 오염 등이 발생되는 경우 피해 영향이 크게 작용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At this time, the flow rate contribution rate refers to the ratio of the contribution rate of the other nodes to the reference node with respect to the flow rate of the contribution node to the total flow rate flowing into the reference node. That is, a node with a high flow rate contribution means that a lot of flow rate passes, and thus, a damage effect can be greatly affected when breakage or water pollution occurs.

즉, 수질 관리 모듈(130)은 관망 거동 상태 정보 등을 통해 체류 시간이나 유량기여율 등이 파악되면 이들 정보를 이용해 감시 지점을 선정하고, 해당 감시 지점의 수질 상, 하한 기준 설정 및 수질 데이터 패턴 분석 등을 수행한 다음, 수질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경보나 알람 발생 및 수질 문제가 발생된 지점의 정확한 위치를 확인하여 GIS 상에 표시하고, 해당 지점 수질의 상세 현황 분석 데이터를 제공하는 기능 등을 수행할 수 있다.That is, the water quality management module 130 selects a monitoring point using the information when the residence time or flow rate is determined through the information on the network network behavior, and sets the high and low reference standards for the monitoring point and analyzes the water quality data patter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a problem with the water quality, then the exact location of the alarm or alarm occurrence and the water quality problem is identified and displayed on the GIS, and the detailed status analysis data of the corresponding water quality is provided. And the like.

이때, 상기 수질 관리 모듈(130)은, 상기 블록별 수질 민원 발생 빈도를 분석하여 민원의 상세 내용을 관리함은 물론 GIS 상에 이를 표출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거나, 관망 해석을 통한 잔류 염소 예측 기능 등을 추가로 수행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수질 관련 민원이 발생할 때마다 GIS 상의 해당 지점에 상세 민원 내역 등을 기재하고 표시함으로써, 이의 누적 기록을 통해 민원 발생 빈도의 자동 확인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In this case, the water quality management module 130 analyzes the frequency of water complaints for each block, manages the details of the complaints, and displays them on a GIS, or predicts residual chlorine through pipe network analysis. It can be done further. In other words, whenever a complaint related to water quality occurs, a detailed complaint history and the like may be written and displayed at a corresponding point on the GIS, and thus, the cumulative record may enable automatic confirmation of the frequency of complaints.

여기서, 상기 수질 관리 모듈(130)에 의해 관리 가능한 수질 사고는 잔류염소의 부족, 잔류염소의 과대, 녹물 발생 또는 미생물이나 이물질의 발생 등이 있으며, 상기 각각의 사고 마다 이에 대한 세부 처리 과정이 다소 상이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Here, the water quality incidents that can be managed by the water quality management module 130 may include a lack of residual chlorine, an excessive amount of residual chlorine, a rust generation, or a generation of microorganisms or foreign substances. Naturally, it can be different.

에너지 관리 모듈(140)은 실시간 관망 해석 모듈(110)을 통해 파악된 관망 거동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상수도 관망도 내에 존재하는 각각의 펌프에 대한 실시간 에너지 현황을 표출하는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GIS 상에 나타나는 각각의 펌프에 대해 유량, 효율 및 전력량 등의 정보를 실시간 파악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펌프 시뮬레이션을 통한 소모 에너지 예측 등의 기능 수행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수송 에너지 절감 등의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The energy management module 140 may perform a function such as displaying the real-time energy status of each pump existing in the water supply network using the network network behavior state information obtained through the real-time network analysis module 110. . That is, for each pump appearing on the GIS, information such as flow rate, efficiency, and power amount can be grasped in real time, and performance of energy consumption can be predicted through pump simulation. Can provide an effect.

수요 예측 관리 모듈(150)은, 상기 실시간 관망 해석 모듈(110), 수량 관리 모듈(120), 수질 관리 모듈(130) 또는 에너지 관리 모듈(140)을 통해 생성된 데이터를 수집하여, 선형 및 비선형 알고리즘에 의한 일별, 시간별 수요 예측을 제시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실시간 관망 해석 모듈(110), 수량 관리 모듈(120), 수질 관리 모듈(130)이나 에너지 관리 모듈(140) 등을 통해 수집되어 축적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통상의 다양한 해석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분석함으로써 각각의 블록마다 일별, 시간별 다양한 수요를 예측하여 제시할 수 있게 된다.The demand forecast management module 150 collects data generated through the real-time pipe network analysis module 110, the quantity management module 120, the water quality management module 130, or the energy management module 140, and is linear and nonlinear. It can perform the function of presenting daily and hourly demand forecast by algorithm. In other words, based on the data collected and accumulated through the real-time pipe network analysis module 110, water management module 120, water quality management module 130 or energy management module 140, by applying a variety of conventional analysis algorithms By analyzing, it is possible to predict and present various demands for each block by day and hour.

여기서, 상기 수요 예측 관리 모듈(150)은, 통신 및 시스템 장애 등에 의해 데이터 수집 과정에 에러가 발생되는 경우, 장애가 발생되지 않은 정상 상태에서의 실시간 수집 데이터를 이용하여 에러 발생 구간의 데이터에 대한 보정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Here, when an error occurs in the data collection process due to communication and system failure, the demand prediction management module 150 corrects the data of the error occurrence section by using real-time collected data in a normal state where the failure does not occur. You can do it.

이 또한 통상의 데이터 보정 과정이 적용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재수집하고자 하는 기간 설정 → 지정된 기간의 시스템 내 실시간 데이터 삭제 → 실시간 데이터 재수집 → 1시간 적산 데이터 보정(재계산) → 1일 적산 데이터 보정(1시간 적산데이터를 기준으로 1일 적산데이터 재계산) → 실시간 데이터를 기반으로 야간 최소 유량 보정 → 재수집된 기간 동안의 공급량을 기반으로 유수율 분석 재실시 → 보정된 야간 최소 유량과 일 공급량을 기반으로 누수 감시 프로세스 재구동 등과 같은 과정이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상기의 보정 과정이 본 발명 실시예에 적용 가능한 일 예시 과정일 뿐임은 당연하다.
In addition, a normal data correction process may be applied, for example, to set a period to be recollected → to delete real-time data in a system for a specified period of time → to re-collect real-time data → 1-hour integrated data correction (recalculation) → 1-day integration Data correction (recalculation of daily accumulated data based on 1 hour integrated data) → Minimum night flow rate correction based on real time data → Re-run flow rate analysis based on supply volume during the recollected period → Corrected minimum flow rate Based on the daily supply, processes such as restarting the leak monitoring process may be applied. At this time, it is obvious that the above correction process is only one exemplary process applicable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본 발명의 상수관망 운영 관리 시스템은 상기 블록 별 적정 수압 유지를 위하여 다수의 감압 밸브에 대해 각각의 제어 방법을 등록하고, 개별 감압 밸브의 실시간 계측 압력을 감시하기 위한 수압 관리 모듈(160)을 구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water supply network operation management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registers each control method for a plurality of pressure reducing valves to maintain the appropriate pressure for each block, the hydraulic pressure management module 160 for monitoring the real-time measured pressure of the individual pressure reducing valves It may be provided.

상기 수압 관리 모듈(160)은 감압 밸브의 적정 압력 변화 폭을 선정하여 기 등록함으로써, 해당 적정 변화 폭을 벗어나는 압력 변화가 감지되는 감압 밸브에 대해 GIS 상에 위치를 표시하고 경보나 알람을 발생시키는 등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The hydraulic pressure management module 160 selects and registers an appropriate pressure change width of the pressure reducing valve and registers the pressure on the GIS for the pressure reducing valve that detects a pressure change that is out of the appropriate change range and generates an alarm or alarm. And so on.

위기 관리 모듈(170)은 상기 수량 관리 모듈(120)이나 수질 관리 모듈(130)을 통해 관로 사고 또는 수질 사고의 발생 등이 확인되는 경우, 이에 따른 단수 지역이나 수질 사고 파급 지역을 실시간 파악 및 예측하여 최적의 대응 방안을 자동 제시하는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Crisis management module 170, if the occurrence of a pipeline accident or a water quality accident is confirmed through the water quality management module 120 or the water quality management module 130, the real-time identification and prediction of the singular or water quality incident area according to this To automatically suggest the best response.

다시 말해, 관로 사고 발생 시 사고 발생 지점을 선정하여 차단 밸브를 탐색?제시하고, 해당 차단 밸브에 의한 단수 지역을 분석하여 제시하는 한편, 단수 지역의 최소화를 위한 우회 관로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이를 만족하는 우회 관로가 존재하는 경우 이를 제시하는 기능의 수행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우회 관로를 통한 용수 공급 전후의 단수 지역을 비교 분석하여 상수도 관망도 상에 표출시키는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In other words, when a pipeline accident occurs, the accident occurrence point is selected to search for and present a shutoff valve, analyze and present a single cutoff region by the cutoff valve, and determine whether a bypass line exists to minimize the single cutoff region. If there exists a bypass pipeline that satisfies this, it is possible not only to perform the function of presenting it, but also to perform a function such as comparing and analyzing the singular areas before and after water supply through the bypass pipeline and displaying them on the water supply network.

또한, 상기 위기 관리 모듈(170)은, 수질 사고 발생시 수질 사고 발생 시간이나 사고 발생 배수지 등의 정보를 이용하여 수질 사고의 영향 범위를 제시하는 한편, 현재 시점 및 조치 완료 시점에서의 파급 지역 등을 정확히 분석하여 상수도 관망도 상에 표출시키는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risis management module 170 may present the impact range of the water quality accident using information such as the time of occurrence of the water accident or the watershed of the occurrence of the water at the time of occurrence of the water accident, and at the present time and the spread area at the time of the completion of the action. Accurate analysis can be performed to display on the waterworks pipe network.

위기 관리 모듈(170)과 관련한 보다 상세한 기능에 대해서는 추후 별도의 도면을 통해 설명하기로 한다.
More detailed functions related to the crisis management module 170 will be described later through separate drawings.

또한, 본 발명의 상수관망 운영 관리 시스템은, 상기 실시간 관망 해석 모듈(110), 수량 관리 모듈(120), 수질 관리 모듈(130), 에너지 관리 모듈(140), 수요 예측 관리 모듈(150), 수압 관리 모듈(160)이나 수요 위기 관리 모듈(170)을 통해 생성된 다양한 데이터들을 이용하여, 일별, 월별 운영 보고서를 자동 생성하기 위한 운영 보고서 생성 모듈(180)을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water pipe network operation management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al-time pipe network analysis module 110, water management module 120, water quality management module 130, energy management module 140, demand forecast management module 150, Using various data generated through the hydraulic pressure management module 160 or the demand crisis management module 170, an operation report generation module 180 may be further provided to automatically generate daily and monthly operation reports.

이와 같은 운영 보고서 생성 모듈(180)을 통해 생성된 운영 보고서에는 블록별 공급량 및 야간 최소 유량, 블록별 특이사항이나 과거 이력사항 등과 같은 다양한 정보가 기록될 수 있을 것이다.
In the operation report generated through the operation report generation module 180, various information such as supply amount per block, minimum night flow rate, specificity per block or past history, etc. may be recorded.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수관망 운영 관리 시스템은, 상기 실시간 관망 해석 모듈을 통해 파악된 관망 거동 상태 정보 등을 이용하여 재염소 투입 지점의 선정?제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재염소 지점 선정 모듈(190)을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재염소 지점 선정 모듈(190)은, 용수 공급 조건, 수온 조건 및 관망 조건 등을 고려한 관망 해석 결과 잔류 염소 부족 구간이 선정되는 경우 이를 표출하고, 분기 지점 정보 등을 고려한 가장 효율적이고 경제적인 재염소 투여 지점과 투여량 등을 자동으로 제시하는 기능 등을 수행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water supply network operation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sing the network network status information obtained through the real-time network network analysis module, etc. to select the re-chlorine input point to perform the function of selecting and presenting the re-chlorine point Module 190 may be further provided. The rechlorination point selection module 190 displays the residual chlorine shortage section as a result of the pipe network analysis considering water supply conditions, water temperature conditions, and network conditions, and the most efficient and economical rechlorination considering branch information. Functions such as automatically presenting the point of administration and dosage, and the like.

또한, 본 발명은 관세척 구간의 선정 제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관세척 구간 선정 모듈(19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관세척 구간 선정 모듈(195)은 유속 정보, 체류시간 정보 및 수질에 관한 민원 정보 등의 기준에 의거하여 관세척 필요 구간을 자동으로 선정하여 이를 화면 상에 표출하거나 알람을 발생시키는 등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관세척 구간 선정 모듈(195)에 의해 관세척 구간이 선정, 제시되는 경우 관리자의 지시 등을 통해 해당 구간에 대한 수압 조정 등의 방법에 의해 해당 구간의 관세척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tariff section selection module 195 for performing the selection presentation function of the tariff section. That is, the tariff section selection module 195 automatically selects the tariff required sections based on criteria such as flow rate information, residence time information, and complaint information regarding water quality, and displays them on the screen or generates an alarm. It will perform the function. When the tariff section is selected and presented by the tariff section selection module 195, the tariff cleaning operation may be performed by a method such as adjusting the pressure of the section through a manager's instruction.

여기서, 상기 운영 보고서 생성 모듈(180)이 일별, 월별 운영 보고서를 생성하는 경우, 상기 재염소 지점 선정 모듈(190)이나 관세척 구간 선정 모듈(195)을 통해 생성된 데이터 또한 이용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In this case, when the operation report generation module 180 generates daily and monthly operation reports, it is natural that data generated through the rechlorination point selection module 190 or the tariff section selection module 195 may also be used. Do.

도 2는 도 1의 수량 관리 모듈(120)에 적용되는 누수 감시 프로세스를 나타낸 순서도이다.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leak monitoring process applied to the water management module 120 of FIG. 1.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수관망 운영 관리 시스템의 수량 관리 모듈에 적용되는 누수 감시 프로세스는, 야간 최소 유량 및 일 단위 공급량을 적산 산정(S210, S220)한 다음 자동 누수 판단 로직을 실행(S230)하여 누수 발생 여부를 판단(S240)하고, 누수로 판단되면 경보 프로세스를 실행(S250)하는 과정 등으로 이루어짐을 확인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in the water leakage monitoring process applied to the water quantity management module of the water pipe network operation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automatic leakage determination is performed after integrating the minimum night flow rate and the daily unit supply amount (S210 and S220). It can be seen that the execution of the logic (S230)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leak occurs (S240),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leak is made to the process of executing the alarm process (S250).

누수 발생 여부의 판단(S240) 결과 누수가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일 단위 공급량이나 야간 최소 유량 등의 수집 데이터들을 확인(S260)한 다음 이에 따른 야간 최소 유량 한계치 재설정(S270) 과정을 통해 반복적으로 누수 판단 로직을 실행(S230)하게 된다.If it is determined that the leak does not occur (S240) as a result of the leak, check the collected data such as the daily supply amount or the minimum flow rate at night (S260) and then repeatedly leaks through the night minimum flow rate limit reset (S270) process accordingly The determination logic is executed (S230).

여기서, 상기 누수 판단 로직에 야간 최소 유량이나 유입 유량의 차이 분석 또는 추세 분석을 이용하거나 야간 최소 유량의 한계치 설정에 의한 방법 등이 적용 가능함에 대해서는 앞서 예를 들어 설명한 바 있다.Here, the above-described example is applicable to the leak determination logic by using a difference analysis or a trend analysis of the minimum flow rate or the inflow flow rate at night or by setting a limit value of the minimum flow rate at night.

참고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적용 가능한 야간 사용량 추정은 하기의 <표 1>과 같은 방법 등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For reference, the night usage estimate applicable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ade by the method as shown in Table 1 below.

Figure 112012027076661-pat00001
Figure 112012027076661-pat00001

도 3은 도 1의 수압 관리 모듈에 적용되는 수압 관리 프로세스를 나타낸 순서도이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hydraulic pressure management process applied to the hydraulic pressure management module of FIG. 1.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적용되는 수압 관리 모듈(160)의 수압 관리 프로세스는, 각각의 감압 밸브 별로 고정 유출, 시간 제어 또는 유량 제어 등과 같은 감압 밸브 제어 방법을 등록(S310)한 다음, 이들의 적정 압력 범위를 설정하는 단계(S320)를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적정 압력 범위에는 각 감압 밸브에 대한 압력치의 상하한값 등이 포함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3, the hydraulic pressure management process of the hydraulic pressure management module 160 applied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gisters a pressure reducing valve control method such as fixed discharge, time control, or flow rate control for each pressure reducing valve ( S310), and then performing the step (S320) of setting the appropriate pressure range thereof. At this time, the appropriate pressure range may include the upper and lower limits of the pressure value for each pressure reducing valve.

이어서, 센서 등을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의 분석을 통해 현재 각각의 감압 밸브의 운전 압력 범위를 분석(S330)한 후, 이들이 적정 압력 범위 내에서 작동하는지 여부의 판단(S340) 단계를 거쳐, 압력 범위를 초과한 밸브가 존재하는 경우 이에 대한 경보를 발생하는 단계(S350) 등을 포함한다.Subsequently, after analyzing the operating pressure range of each of the pressure reducing valves through analysis of data input through a sensor or the like (S330), and determining whether they operate within an appropriate pressure range (S340), the pressure range If there exists a valve exceeding the step of generating an alarm for this (S350) and the like.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수관망 운영 관리 시스템의 수압 관리 모듈(160)은, 관망 내에 존재하는 다수의 감압 밸브들에 대해 각각의 밸브 별 제어 방법을 모두 등록해 둠으로써, 필요시 각각의 밸브들에 대한 직접 제어를 수행하거나 적당한 제어 방법을 제시하는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That is, the water pressure management module 160 of the water pipe network operation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gisters all control methods for each valve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pressure reducing valves existing in the network, It is possible to perform a function such as performing a direct control of the valves of the valve or suggesting an appropriate control method.

도 4는 도 1의 위기 관리 모듈(170)에 적용되는 단수 사고 시 운영 프로세스를 나타낸 순서도이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process during a singular accident applied to the crisis management module 170 of FIG. 1.

도 4를 참조하면, 단수 사고 등이 발생되는 경우 상기 위기 관리 모듈(170)은, 먼저 관망 해석 모델을 선택(S410)하여 사고 지점을 선정(S415)한 다음, 해당 사고 지점과 관련된 차단 밸브를 제시(S420)하고 이에 대한 차단 과정(S425)을 수행한다.Referring to FIG. 4, when a singular accident or the like occurs, the crisis management module 170 first selects an accident point by selecting a pipe network analysis model (S410), and then selects a shutoff valve associated with the corresponding accident point. Presenting (S420) and the blocking process (S425) for this.

이어서, 밸브가 차단(S425)된 상태에서의 관망 해석을 재실행(S430)하여 단수 지역 등을 분석 제시한 다음(S435), 이에 따른 단수 수용가들을 GIS 상에 표출하는 등의 방식으로 제시(S440)하게 된다.Subsequently, the network network analysis in the state in which the valve is blocked (S425) is re-executed (S430), and the singular area and the like are analyzed and presented (S435), and thus, the singular customers are presented on the GIS (S440). Done.

이후, 차단 관로에 대한 우회관로 등의 비상 공급관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S445)하여 이를 제시(S450)하고, 선정된 비상 공급관의 개방(S455) 및 이에 따른 관망 해석의 재실행(S460)을 통해 최종 단수 지역의 분석(S465)과 이로 인한 최종 단수 수용가를 GIS 상에 제시(S470)하는 등의 단계를 수행하게 된다.Thereafter, it is determined whether an emergency supply pipe such as a bypass pipe for the blocking pipe exists (S445) and present it (S450), and the opening of the selected emergency supply pipe (S455) and the re-execution of the pipe network analysis accordingly (S460). Through the analysis of the final singular area (S465) and the resulting final singular customer is presented on the GIS (S470) and the like.

비상 공급관이 존재하는지 여부의 판단(S445) 과정에는 공급 가능 시간 등의 계산을 통해 [유입량 + 배수지 가용 용량]과 [유출량 + 시간별 수요 예측량]을 비교한 다음, 용량에 여유가 있을 경우 이를 비상 공급관의 존재로 판단하는 등의 알고리즘이 적용 가능할 수 있다. In the process of determining whether an emergency supply pipe exists (S445), the flow rate + capacity available capacity is compared with the [flow amount + demand forecasted amount by time] through calculation of supply time, and then, if there is room, the emergency supply pipe Algorithm such as judging by the presence of may be applicable.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단수 사고 등의 비상 상황 발생시 관망 해석을 통한 우회 비상 관로의 자동 제시 및 이에 따른 정확한 단수 수용가의 표출 등이 가능할 수 있게 되어, 조속한 사고 해결 및 사고로 인한 피해 최소화 등의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됨을 확인할 수 있다.
That i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n emergency situation such as a singular accident occurs, it is possible to automatically present a bypass emergency pipeline through an analysis of the network and to express an accurate singular customer accordingly, thereby promptly resolving an accident and damaging the accident. It can be seen that it can provide effects such as minimization.

도 5는 도 1의 위기 관리 모듈(170)에 적용되는 수질 사고 시 운영 프로세스를 나타낸 순서도이다.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process at the time of a water quality accident applied to the crisis management module 170 of FIG. 1.

도 5를 참조하면, 수질 사고 등이 발생되는 경우 상기 위기 관리 모듈(170)은, 관망 해석 모델을 선택(S510)하고 사고 시간 및 사고 배수지를 설정(S520, S530)한 다음 이들을 토대로 관망 해석을 실행(S540)한다. 이어서, 수질 사고의 현재 영향 범위를 제시(S550)하고, 해당 수질 사고의 해결을 위한 추가 시간의 설정(S560)과 이 시간에 따른 영향 범위 등의 파악을 위한 관망 해석의 재실행(S570)을 통해 최종 수질 사고의 영향 범위를 제시(S580)할 수 있게 된다.Referring to FIG. 5, when a water quality accident or the like occurs, the crisis management module 170 selects a pipe network analysis model (S510), sets an accident time and an accident drainage system (S520 and S530), and then performs a pipe network analysis based on these. Execution (S540). Subsequently, presenting the current impact range of the water quality accident (S550), and through the setting of additional time for solving the water quality accident (S560) and re-executing the pipe network analysis for grasping the influence range according to this time (S570) The range of impact of the final water accident can be presented (S580).

다시 말해, 본 발명의 위기 관리 모듈(170)은 수질 사고 발생 시 이로 인한 정확한 피해 지역을 제시하고, 사고 해결 시간 동안 확산될 피해 예정 지역의 범위를 자동 예측함으로써, 조속한 사고 해결을 가능하게 할 뿐만 아니라 수질사고 발생으로 인한 피해의 최소화 등과 같은 효과가 제공 가능함을 알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crisis management module 170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ccurate damage area caused by water quality accidents and automatically predicts the range of damage areas to be spread during the accident resolution time, thereby enabling prompt accident resolution. In addition, it can be seen that effects such as minimizing the damage caused by water accidents can be provided.

단, 이때 발생된 수질 사고의 종류가 잔류염소의 부족이나 과대인지 또는 녹물이나 이물질의 발생인지 등에 따라 구체적인 세부 알고리즘에 다소간의 변화가 발생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 있어 자명할 것이다.
However,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more or less changes may be made to specific detailed algorithms depending on whether the type of water quality accident is a lack or excess of residual chlorine or the occurrence of green water or foreign matter.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various substitutions, modifications, and change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evident to those who have knowledge of.

110: 실시간 관망 해석 모듈 120: 수량 관리 모듈
130: 수질 관리 모듈 140: 에너지 관리 모듈
150: 수요 예측 관리 모듈 160: 수압 관리 모듈
170: 위기 관리 모듈 180: 운영 보고서 생성 모듈
190: 재염소 지점 선정 모듈 195: 관세척 구간 선정 모듈
110: real-time network analysis module 120: quantity management module
130: water management module 140: energy management module
150: demand forecast management module 160: hydraulic pressure management module
170: crisis management module 180: operational report generation module
190: rechlorination point selection module 195: tariff section selection module

Claims (19)

상수도 관망도를 기반으로 하여 관로의 블록을 설정하고, 각 관로의 유량 및 수압을 포함하는 관망 거동 상태를 파악하기 위한 실시간 관망 해석 모듈;
상기 실시간 관망 해석 모듈을 통해 파악된 관망 거동 상태 정보나 개별 센서를 통해 수집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블록별 유량 분석을 통한 누수 감시를 수행하기 위한 수량 관리 모듈;
상기 실시간 관망 해석 모듈을 통해 파악된 관망 거동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관망 정보를 이용하여 수질 감시 지점의 선정 제시 및 실시간 수질 감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수질 관리 모듈;
상기 수량 관리 모듈이나 수질 관리 모듈을 통해 관로 사고 또는 수질 사고 발생이 확인되는 경우, 이에 따른 단수 지역이나 파급 지역을 실시간 파악하여 대응 방안을 자동 제시하기 위한 위기 관리 모듈;
상기 실시간 관망 해석 모듈을 통해 파악된 관망 거동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관망 정보를 이용하여, 필요시 재염소 투입 지점의 선정 및 제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재염소 지점 선정 모듈; 및
상기 실시간 관망 해석 모듈을 통해 파악된 관망 거동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관망 정보를 이용하여 필요시 관세척 구간의 선정 및 제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관세척 구간 선정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수량 관리 모듈은, 상기 블록별 야간 최소 유량이나 유입 유량의 차이 분석이나 추세 분석, 또는 야간 최소 유량의 한계치 설정을 통한 누수량 감시 프로세스에 의해 누수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수질 관리 모듈은, 상기 실시간 관망 해석 모듈을 통해 파악된 관망 거동 상태 정보 중 체류 시간 정보 및 유량 기여율 정보를 포함하는 관망 정보를 이용하여 수질 감시 지점을 자동으로 선정 제시하며,
상기 위기 관리 모듈은, 관로 사고 발생 시 사고 발생 지점을 선정하여 차단 밸브를 탐색?제시하고, 해당 차단 밸브에 의한 단수 지역의 분석 및 우회 관로를 통한 용수 공급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관망 운영 관리 시스템.
A real-time pipe network analysis module for setting a block of pipe lines based on a water supply pipe network diagram, and identifying a pipe network behavior state including a flow rate and a water pressure of each pipe line;
A quantity management module for performing leakage monitoring through the flow rate analysis for each block by using pipe network behavior state information identified through the real-time pipe network analysis module or information collected through an individual sensor;
A water quality management module for presenting a selection of a water quality monitoring point and performing a real time water quality monitoring function by using the network information including the network network state information identified through the real time network analysis module;
A crisis management module for automatically identifying a singular area or a spilled area in real time and automatically presenting a countermeasure when a pipeline accident or a water quality accident is confirmed through the water management module or the water quality management module;
A rechlorine point selection module for performing a function of selecting and presenting a rechlorinating point, if necessary, using the network information including the network network state information identified through the real-time network analysis module; And
A customs washing section selection module for performing a selection and presentation function of the customs washing section, if necessary, by using the network information including the network network behavior state information identified through the real-time network analysis module.
The quantity management module determines whether there is a leak by a leakage analysis process by analyzing a difference or trend analysis of the minimum or minimum flow rate for each block or an inflow flow rate, or setting a threshold value of the minimum flow rate at night,
The water quality management module automatically selects and presents a water quality monitoring point using pipe network information including residence time information and flow rate contribution information among pipe network behavior state information identified through the real-time pipe network analysis module.
The crisis management module searches for and presents a shutoff valve by selecting an accident occurrence point when a pipeline accident occurs, and analyzes the water supply area by the corresponding shutoff valve and presents a water supply method through a bypass pipeline. Operation management system.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시간 관망 해석 모듈을 통해 파악된 관망 거동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관망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상수도 관망도 내에 존재하는 각각의 펌프에 대한 실시간 에너지 현황을 표출하기 위한 에너지 관리 모듈을 더 포함하는 상수관망 운영 관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Water pipe network operation further comprises an energy management module for expressing the real-time energy status for each of the pumps in the water supply network using the network information including the network network status information identified through the real-time network analysis module Management system.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실시간 관망 해석 모듈, 수량 관리 모듈, 수질 관리 모듈, 위기 관리 모듈 또는 에너지 관리 모듈을 통해 생성된 데이터를 수집하여, 선형 및 비선형 알고리즘에 의한 일별, 시간별 수요 예측을 제시하기 위한 수요 예측 관리 모듈을 더 포함하는 상수관망 운영 관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2,
Demand forecasting management module for collecting the data generated by the real-time pipe network analysis module, water management module, water quality management module, crisis management module or energy management module to present daily and hourly demand forecast by linear and nonlinear algorithms. Water pipe network operation management system further including.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요 예측 관리 모듈은 데이터 수집 과정에 에러가 발생되는 경우, 실시간 수집된 실측 데이터를 이용하여 데이터 보정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관망 운영 관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demand forecast management module, if an error occurs in the data collection process, the water pipe network operation managemen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for performing data correction using the collected measurement data in real time.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 별 적정 수압 유지를 위한 감압 밸브의 제어 방법을 등록하고, 상기 감압 밸브의 실시간 계측 압력을 감시하기 위한 수압 관리 모듈을 더 포함하는 상수관망 운영 관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And a hydraulic pressure management module for registering a control method of the pressure reducing valve for maintaining the appropriate pressure for each block, and for monitoring a real-time measured pressure of the pressure reducing valve.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수압 관리 모듈은 상기 감압 밸브의 적정 압력 변화 폭을 선정하여, 상기 적정 변화 폭을 벗어나는 압력 변화가 감지되는 경우 경보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관망 운영 관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hydraulic pressure management module selects an appropriate pressure change range of the pressure reducing valve and generates an alarm when a pressure change that is outside the appropriate change range is detected.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실시간 관망 해석 모듈, 수량 관리 모듈, 수질 관리 모듈, 위기 관리 모듈, 에너지 관리 모듈, 수요 예측 관리 모듈, 재염소 구간 선정 모듈 및 관세척 구간 선정 모듈 가운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모듈을 통해 생성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일별, 월별 운영 보고서를 자동 생성하기 위한 운영 보고서 생성 모듈을 더 포함하는 상수관망 운영 관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Using the data generated through at least one module of the real-time pipe network analysis module, water management module, water quality management module, crisis management module, energy management module, demand forecast management module, rechlorine section selection module and tariff section selection module Water management network system further comprises an operation report generation module for automatically generating daily and monthly operation report.
삭제delete 제 1 항 내지 제 6 항, 또는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량 관리 모듈은 상기 누수량 감시 프로세스에 의해 누수가 발생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자동으로 알람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관망 운영 관리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6 or 9,
The water quantity management module is a water pipe network operation managemen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for automatically generating an alarm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leak occurs by the leakage monitoring process.
삭제delete 제 1 항 내지 제 6 항, 또는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질 관리 모듈은, 상기 선정된 수질 감시 지점의 수질 상하한 기준 설정 및 실시간 수질 데이터 패턴을 생성하고, 상기 설정된 수질 상하한 기준을 초과하는 데이터가 수신되는 경우 알람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관망 운영 관리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6 or 9,
The water quality management module may generate a water quality upper and lower limit reference setting and a real-time water quality data pattern of the selected water quality monitoring point, and generate an alarm when data exceeding the set water quality upper and lower limit criteria is received. Pipeline Operations Management System.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질 관리 모듈은, 상기 블록별 수질 민원 발생 빈도를 분석하고, 상기 민원의 상세 내용을 관리하여 상수도 관망도 상에 표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관망 운영 관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3,
The water quality management module analyzes the frequency of occurrence of water quality complaints for each block, and manages the details of the complaints and displays them on the water supply network.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질 관리 모듈은, 관망 해석을 통해 잔류 염소 예측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관망 운영 관리 시스템.
15. The method of claim 14,
The water quality management module, water pipe network operation managemen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o perform the residual chlorine prediction function through the pipe network analysis.
삭제delete 제 1 항 내지 제 6 항, 또는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위기 관리 모듈에 있어 상기 우회 관로를 통한 용수 공급 방안의 제시는, 공급 가능 시간을 고려하여 [유입량 + 배수지 가용 용량]과 [유출량 + 시간별 수요 예측량]을 비교한 다음, 용량에 여유가 있는 경우 우회 관로를 통한 용수 공급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관망 운영 관리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6 or 9,
In the crisis management module, the water supply method through the bypass pipe is compared with the [inflow + drainage available capacity] and [outflow + hourly demand forecast amount] in consideration of the available supply time, and then the capacity is sufficient. Water pipe network operation managemen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for determining the water supply through the bypass pipe.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위기 관리 모듈은, 상기 우회 관로를 통한 용수 공급 전후의 단수 지역을 비교 분석하여 상수도 관망도 상에 표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관망 운영 관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7,
The crisis management module is a water pipe network operation managemen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comparative analysis of the water before and after the water supply through the bypass pipe to the water supply pipe network diagram.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위기 관리 모듈은, 수질 사고 발생시 현재 시점 및 조치 완료 시점에서의 파급 지역을 분석하여 상수도 관망도 상에 표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관망 운영 관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7,
The crisis management module is a water pipe network managemen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water quality incident occurs and analyzes the spread area at the time of completion of the action and displayed on the water supply network.
KR1020120035037A 2012-04-04 2012-04-04 System for operating and managing water supply network KR10120510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5037A KR101205103B1 (en) 2012-04-04 2012-04-04 System for operating and managing water supply networ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5037A KR101205103B1 (en) 2012-04-04 2012-04-04 System for operating and managing water supply network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05103B1 true KR101205103B1 (en) 2012-11-26

Family

ID=475653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5037A KR101205103B1 (en) 2012-04-04 2012-04-04 System for operating and managing water supply networ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5103B1 (en)

Cited B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7647B1 (en) 2013-01-12 2013-04-26 아이에스테크놀로지 주식회사 Healthy evaluation system for waterwork using water pressure information, and method of healthy evaluation of waterwork
KR101540184B1 (en) * 2014-06-26 2015-07-29 박광석 System for maintaining and managing valves and pipe lines and establishing social security network in complex using radio frequency tag connector
KR101556590B1 (en) 2015-06-29 2015-10-13 주식회사 한화건설 Method for Analysis Water leakage of Water Pipe Network Using Remote Metering Data of Water Supply Customer and System thereof
KR101627206B1 (en) * 2014-12-31 2016-06-07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mart water grid service
KR101789029B1 (en) * 2017-02-27 2017-10-23 (주) 한일네트워크엔지니어링 Apparatus for processing hydraulic information and method for controlling hydraulic information
KR101791974B1 (en) * 2017-06-13 2017-10-31 (주)이피에스이앤이 GIS Based Method for Tracking Water Control Valve in Water Supply Pipe Network
CN107885960A (en) * 2017-12-07 2018-04-06 北京天润新能投资有限公司 A kind of earthwork estimation system and evaluation method based on construction road automatic route selection in wind power plant field
CN108062438A (en) * 2017-12-07 2018-05-22 北京天润新能投资有限公司 A kind of wire selection system and selection method for wind power plant operation road
KR101849241B1 (en) * 2015-12-28 2018-05-31 (주)그린텍아이엔씨 A real time loss computation method by minimum night flow
KR101875885B1 (en) * 2018-02-06 2018-07-06 주식회사 코비 Water supply integrated management operating system using water network analysis
CN108280637A (en) * 2017-12-28 2018-07-13 玉环浩胜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Manual intelligent Internet of Things charge valve and method
CN109784540A (en) * 2018-12-18 2019-05-21 深圳市东深电子股份有限公司 A kind of water supply layout optimization system and optimization method based on DMA subregion
KR20190100489A (en) * 2018-02-05 2019-08-29 김선주 Management methode for water suplly pipeline network and water supply pipeline managing system
KR20190105953A (en) * 2018-03-07 2019-09-18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Residual chlorine optimum management system for water supply network
KR102026175B1 (en) * 2018-07-03 2019-11-04 한국수자원공사 Design Method for Valves Arrangement of Water Distribution Network in case of Pipeline Breakage, and Recording Medium Storing Program for Executing the Method, and Recording Medium Storing Computer Program for Executing the Method
KR102084354B1 (en) 2019-05-30 2020-03-03 (주) 그린텍아이엔씨 Water pressure management method using automatic thresholding algorithm for optimal water pressure management of water pipeline
KR20200029838A (en) * 2018-09-11 2020-03-19 한국수자원공사 Smart chlorination facility control system based on IoT and method thereof
KR102101625B1 (en) * 2019-11-27 2020-04-17 (주)케이엠에스 ICT integrated monitoring water management system for smart water city construction, and integrated control server for the same
KR20210123942A (en) * 2020-04-06 2021-10-14 한국수자원공사 Water quality monitoring system for water supply line
CN114000563A (en) * 2021-11-04 2022-02-01 中煤(安徽)城市科技发展有限公司 Wisdom underground space safety fortune dimension wisdom water supply system
CN114065990A (en) * 2020-08-03 2022-02-18 北京国电智深控制技术有限公司 Method for monitoring feed pump in thermal power plant, storage medium and electronic device
KR20220039055A (en) 2020-09-21 2022-03-29 한국수자원공사 Real-time accident detection system for waterworks using AI and method thereof
CN115016411A (en) * 2022-06-10 2022-09-06 苏州益盟新材料科技有限公司 Water supply management and control system for textile post-processing production line
KR20230060883A (en) * 2021-10-28 2023-05-08 (주)한국융합아이티 Sever and method for providing a civil service related to the water supply based GIS
KR20230064858A (en) 2021-11-04 2023-05-11 한국건설기술연구원 Decision support management system for determining priority of water quality critical management area and optimal locations of water quality sensor for water supply pipe network, and method for the same

Cited By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7647B1 (en) 2013-01-12 2013-04-26 아이에스테크놀로지 주식회사 Healthy evaluation system for waterwork using water pressure information, and method of healthy evaluation of waterwork
KR101540184B1 (en) * 2014-06-26 2015-07-29 박광석 System for maintaining and managing valves and pipe lines and establishing social security network in complex using radio frequency tag connector
KR101627206B1 (en) * 2014-12-31 2016-06-07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mart water grid service
KR101556590B1 (en) 2015-06-29 2015-10-13 주식회사 한화건설 Method for Analysis Water leakage of Water Pipe Network Using Remote Metering Data of Water Supply Customer and System thereof
KR101849241B1 (en) * 2015-12-28 2018-05-31 (주)그린텍아이엔씨 A real time loss computation method by minimum night flow
KR101789029B1 (en) * 2017-02-27 2017-10-23 (주) 한일네트워크엔지니어링 Apparatus for processing hydraulic information and method for controlling hydraulic information
KR101791974B1 (en) * 2017-06-13 2017-10-31 (주)이피에스이앤이 GIS Based Method for Tracking Water Control Valve in Water Supply Pipe Network
CN107885960A (en) * 2017-12-07 2018-04-06 北京天润新能投资有限公司 A kind of earthwork estimation system and evaluation method based on construction road automatic route selection in wind power plant field
CN108062438A (en) * 2017-12-07 2018-05-22 北京天润新能投资有限公司 A kind of wire selection system and selection method for wind power plant operation road
CN108280637B (en) * 2017-12-28 2020-08-11 玉环浩胜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Artificial intelligence internet of things charging valve and method
CN108280637A (en) * 2017-12-28 2018-07-13 玉环浩胜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Manual intelligent Internet of Things charge valve and method
KR102089847B1 (en) * 2018-02-05 2020-03-16 김선주 Management methode for water suplly pipeline network and water supply pipeline managing system
KR20190100489A (en) * 2018-02-05 2019-08-29 김선주 Management methode for water suplly pipeline network and water supply pipeline managing system
KR101875885B1 (en) * 2018-02-06 2018-07-06 주식회사 코비 Water supply integrated management operating system using water network analysis
KR20190105953A (en) * 2018-03-07 2019-09-18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Residual chlorine optimum management system for water supply network
KR102035514B1 (en) * 2018-03-07 2019-10-23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Residual chlorine optimum management system for water supply network
KR102026175B1 (en) * 2018-07-03 2019-11-04 한국수자원공사 Design Method for Valves Arrangement of Water Distribution Network in case of Pipeline Breakage, and Recording Medium Storing Program for Executing the Method, and Recording Medium Storing Computer Program for Executing the Method
KR102120968B1 (en) * 2018-09-11 2020-06-10 한국수자원공사 Smart chlorination facility control system based on IoT and method thereof
KR20200029838A (en) * 2018-09-11 2020-03-19 한국수자원공사 Smart chlorination facility control system based on IoT and method thereof
CN109784540A (en) * 2018-12-18 2019-05-21 深圳市东深电子股份有限公司 A kind of water supply layout optimization system and optimization method based on DMA subregion
KR102084354B1 (en) 2019-05-30 2020-03-03 (주) 그린텍아이엔씨 Water pressure management method using automatic thresholding algorithm for optimal water pressure management of water pipeline
KR102101625B1 (en) * 2019-11-27 2020-04-17 (주)케이엠에스 ICT integrated monitoring water management system for smart water city construction, and integrated control server for the same
KR20210123942A (en) * 2020-04-06 2021-10-14 한국수자원공사 Water quality monitoring system for water supply line
KR102365366B1 (en) * 2020-04-06 2022-02-21 한국수자원공사 Water quality monitoring system for water supply line
CN114065990A (en) * 2020-08-03 2022-02-18 北京国电智深控制技术有限公司 Method for monitoring feed pump in thermal power plant, storage medium and electronic device
KR20220039055A (en) 2020-09-21 2022-03-29 한국수자원공사 Real-time accident detection system for waterworks using AI and method thereof
KR20230060883A (en) * 2021-10-28 2023-05-08 (주)한국융합아이티 Sever and method for providing a civil service related to the water supply based GIS
KR102617045B1 (en) * 2021-10-28 2023-12-27 (주)한국융합아이티 Sever and method for providing a civil service related to the water supply based GIS
CN114000563A (en) * 2021-11-04 2022-02-01 中煤(安徽)城市科技发展有限公司 Wisdom underground space safety fortune dimension wisdom water supply system
KR20230064858A (en) 2021-11-04 2023-05-11 한국건설기술연구원 Decision support management system for determining priority of water quality critical management area and optimal locations of water quality sensor for water supply pipe network, and method for the same
CN115016411A (en) * 2022-06-10 2022-09-06 苏州益盟新材料科技有限公司 Water supply management and control system for textile post-processing production lin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5103B1 (en) System for operating and managing water supply network
JP7105830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source consumption analytics
KR101875885B1 (en) Water supply integrated management operating system using water network analysis
EP2472467B1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resources in a water utility network
KR101283828B1 (en) System for diagnosing performance of water supply network
Aboelnga et al. Component analysis for optimal leakage management in Madaba, Jordan
EP2351887A2 (en) Water distribution systems
Tabesh Implications of the pressure dependency of outflows of data management, mathematical modelling and reliability assessment of water distribution systems.
CN111027730B (en) Efficient positioning method for water supply network leakage based on valve operation and online water metering
KR101648272B1 (en) Method for forecasting household water demand and detecting water leakage based on complex event processing and machine learning
CN103810532B (en) The method of Optimizing City drainage system operation conditions
Li et al. Usage analysis for smart meter management
GB2507184A (en) Anomaly event classification in a network of pipes for resource distribution
JP4612695B2 (en) Water distribution information analyzer
Bozkurt et al. Development of a new comprehensive framework for the evaluation of leak management components and practices
KR101567774B1 (en) Waterworks asset management system
Sorbello et al. Applications for intelligent water network systems
Hingmire et al. Probing to Reduce Operational Losses in NRW by using IoT
Bicik et al. Operational perspective of the impact of failures in water distribution systems
AU2011221399A1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resources in a water utility network
Msutu Developing a new model to predict the diurnal water demand pattern for residential areas subjected to formal intermittent supply in South Africa
Christodoulou et al. Analytical and Numerical Models for the Risk-of-Failure Analysis of Urban Water Distribution Network Components
Piratla et al. Pipe criticality analysis for water distribution syste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