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6379B1 - 휴대용 단말기의 알람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용 단말기의 알람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6379B1
KR101196379B1 KR1020050120358A KR20050120358A KR101196379B1 KR 101196379 B1 KR101196379 B1 KR 101196379B1 KR 1020050120358 A KR1020050120358 A KR 1020050120358A KR 20050120358 A KR20050120358 A KR 20050120358A KR 101196379 B1 KR101196379 B1 KR 1011963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arm
function
key
input
se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203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60599A (ko
Inventor
이희영
이형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203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6379B1/ko
Publication of KR200700605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605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63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63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51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according to schedules, e.g. using calenda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selection means, e.g. keys, having functions defined by the mode or the status of the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Electric Cloc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서의 단축 알람 설정, 및 알람 기능의 종료시까지 알람 기능을 수행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휴대용 단말기의 알람 방법에 있어서, 현재시간과 상기 알람 설정 시간이 일치하는지 검사하는 과정, 상기 검사결과, 상기 알람 설정 시간이 상기 현재시간과 일치하면, 상기 알람을 동작하는 과정, 상기 알람 동작 중에, 상기 알람 키의 입력이 감지되는지 검사하는 과정, 상기 검사결과, 상기 알람 키의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감지된 알람 키의 입력이 스누즈 기능을 위한 상기 알람 키의 입력인지 검사하는 과정, 및 상기 검사결과, 상기 스누즈 기능을 위한 상기 알람 키의 입력이 판명되면, 상기 알람 동작을 중지하고, 미리 정한 대기 시간 후 상기 알람을 재동작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알람, 스누즈(Snooze), 알람 설정, 모닝콜

Description

휴대용 단말기의 알람 방법{METHOD FOR ALARM IN PORTABLE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알람 설정 흐름을 도시한 흐름도,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알람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서의 단축 알람 설정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용 단말기에서 알람 설정 메뉴를 통하지 않고도 단축키를 이용하여, 간단한 키 조작만으로도 쉽게 알람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휴대용 단말기에서의 단축 알람 설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휴대용 단말기의 급격한 발달에 따라 특히 무선 음성 통화 및 정보 교환이 가능한 휴대폰은 필수품이 되었다.
휴대용 단말기 초기에는 단순히 휴대할 수 있고, 무선 통화가 가능한 것으로 인식되었으나, 그 기술이 발달함과 무선 인터넷의 도입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는 단순한 전화 통화, 또는 일정 관리 등의 목적뿐만 아니라, 장착된 디지털 카메라에 의한 이미지 촬영하거나, 위성 방송의 시청, 게임 및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리모컨 등의 그 활용범위가 갈수록 커지고 있다.
휴대용 단말기에서의 알람(alarm)기능은 휴대용 단말기의 대표적인 부가기능이라고 할 수 있다.
일반 알람 시계의 사용보다, 휴대용 단말기의 알람 기능을 이용하는 사용자가 많고, 외출시 항상 휴대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알람 기능을 이용하는 사용자가 늘어나고 있다.
휴대용 단말기의 알람 기능은 사용자는 알람을 설정하고, 알람이 설정된 휴대용 단말기는 정해진 시간이 되면, 착신음을 울림으로써 알람 기능을 수행한다.
하지만 종래의 휴대용 단말기의 알람 기능은 메뉴 선택 버튼을 사용하여 일반 메뉴에서 알람 메뉴를 선택하고, 알람 메뉴에서 원하는 알람 시간을 업/다운 버튼과 설정 버튼을 사용하여 설정하며, 알람 벨의 울리는 횟수가 정해져, 사용자가 알람 벨을 듣지 못하여도, 알람 기능을 종료함으로 사용자에게 불편을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알람 설정을 단순화하고, 사용자의 종료 입력시까지 알람 벨을 울리는 개선된 알람 방법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미리 정한 알람 키의 입력시 미리 설정된 알람 시간에 알람이 울리도록 설정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알람 동작시 미리 정한 알람 키의 짧은 입력, 또는 긴 입력을 이용하여, 스누즈(Snooze) 기능, 또는 알람 기능의 종료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알람 동작시, 미리 정한 알람 키의 짧은 입력 횟수에 미리 정한 대기 시간을 곱한 시간 후에 스누즈(Snooze) 기능의 작동, 또는 알람 키의 짧은 입력을 감지하면, 알람 기능의 종료시까지 미리 정한 대기 시간 후 스누즈(Snooze) 기능이 작동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알람 동작시, 미리 정한 알람 키의 긴 입력을 감지하면, 알람 기능을 종료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법은 휴대용 단말기의 알람 키를 이용한 알람 설정 방법에 있어서, 상기 알람 동작을 위한 상기 알람 키의 입력이 감지되는지 검사하는 과정, 및 상기 검사결과, 상기 알람 동작을 위한 알람 키의 입력이 감지되면, 미리 설정된 알람 시간으로 상기 알람을 설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법은 휴대용 단말기의 알람 방법에 있어서, 현재시간과 상기 알람 설정 시간이 일치하는지 검사하는 과정, 상기 검 사결과, 상기 알람 설정 시간이 상기 현재시간과 일치하면, 상기 알람을 동작하는 과정, 상기 알람 동작 중에, 상기 알람 키의 입력이 감지되는지 검사하는 과정, 상기 검사결과, 상기 알람 키의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감지된 알람 키의 입력이 스누즈 기능을 위한 상기 알람 키의 입력인지 검사하는 과정, 및 상기 검사결과, 상기 스누즈 기능을 위한 상기 알람 키의 입력이 판명되면, 상기 알람 동작을 중지하고, 미리 정한 대기 시간 후 상기 알람을 재동작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의 참조와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 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설명에 앞서, 본 발명에서 정의하는 알람 키라 함은, 알람 설정을 가능하게 하는 키를 의미하며, 키패드, 및 휴대용 단말기 외부의 장착된 알람 전용 키를 포함한다.
알람 키의 동작은 일반 화면에서 알람 키의 입력이 지속되는 시간에 따라, 알람 시간의 설정, 또는 미리 정한 알람 시간으로 알람을 설정하고, 알람 동작중 알람 키의 입력이 지속되는 시간에 따라, 스누즈 기능, 또는 알람 기능의 종료를 설정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플래쉬 신호 발생이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설명에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셀롤라 전화기(cellular phone), 개인휴대통신 전화기(PCS : 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복합무선단말기(PDA : Personal Data Assistant),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등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이며, 이하 설명은 상기 예들의 일반적인 구성을 가지고 설명할 것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제어부(MPU : Micro-Processer Unit)(100)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통화 및 데이터통신을 위한 처리 및 제어를 수행하고, 통상적인 기능에 더하여 본 발명에 따라, 상기 알람 설정을 위한 알람 키의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알람 설정 화면을 출력하고, 상기 알람 키의 입력을 감지하여, 알람 시간을 설정하도록 제어하고, 알람 기능 수행시, 알람 설정 시간이 현재시간과 일치하면, 알람 벨을 울리고, 알람 키의 입력을 감지하여, 스누즈 기능을 위한 알람 키의 짧은 입력이 감지되면, 스누즈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알람 동작시 알람 키의 짧은 입력이 감지되면, 스누즈 기능이 작동되도록 제어하고, 알람 키의 긴 입력이 감지되면, 알람 기능을 종료하고, 알람 동작은 알람 키의 긴 입력이 감지될 때까지 동작하고, 알람 키의 긴 입력이 감지되지않으면, 약 1시간정도의 최대 시간을 정하여 동작하도록 제어한다.
롬(ROM : Read Only Memory)(102)은 상기 제어부(100)의 처리 및 제어를 위 한 프로그램의 마이크로코드와 각종 참조 데이터를 저장한다.
램(RAM : Random Access Memory)(104)은 상기 제어부(100)의 워킹 메모리(working memory)로, 각종 프로그램 수행중에 발생하는 일시적인 데이터를 저장한다.
플래쉬롬(flash ROM)(106)은 전화번호부(phone book), 발신메시지, 수신메시지, 및 설정된 알람 시간과 같은 갱신 가능한 각종 보관용 데이터를 저장한다.
키패드(key pad)(108)는 0 ~ 9의 숫자키 버튼들과, 메뉴버튼(menu), 취소버튼(지움), 확인버튼, 통화버튼(TALK), 종료버튼(END), 인터넷접속 버튼, 네비게이션 키(또는 방향키) 버튼들(▲/▼/◀/▶) 등 다수의 기능키들을 구비하며, 사용자가 누르는 키에 대응하는 키 입력 데이터를 상기 제어부(100)로 제공하고, 본 발명에 따라, 상기 키패드는 알람 키를 포함하며, 일반 화면에서 미리 정한 알람 키를 누르면, 알람 설정 모드로 진행하고, 알람 동작 시 미리 정한 알람 키를 누르면, 스누즈 기능, 또는 알람 기능을 종료한다.
디스플레이부(110)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 중에 발생되는 상태 정보, 제한된 숫자의 문자들, 다량의 동영상 및 정지영상 등을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10)는 컬러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LCD : Liquid Crystal Display)를 사용할 수 있고 저장된 메시지를 출력한다.
상기 제어부(100)에 연결된 코덱(CODEC : Coder-Decoder)(112)과, 상기 코덱(112)에 접속된 스피커(118) 및 마이크(116)는 전화 통화 및 음성 녹음에 사용되는 음성 입출력 블록이다.
상기 코덱(114)은 상기 제어부(100)에서 제공되는 PCM 데이터를 아날로그 음성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스피커(118)를 통해 송출하고, 상기 마이크(116)를 통해 수신되는 음성신호를 PCM 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제어부(100)로 제공한다.
또한, RF부(Radio Frequency unit)(120)는 안테나(118)를 통해 수신되는 라디오주파수 신호를 주파수 하강시켜 기저대역처리부(122)로 제공하고, 상기 기저대역처리부(122)로부터의 기저대역신호를 주파수 상승시켜 상기 안테나(118)를 통해 송신한다. 상기 기저대역처리부(122)는 상기 RF부(120)와 상기 제어부(100) 사이에 송수신 되는 기저대역 신호를 처리한다.
예를 들어, 송신인 경우 송신할 데이터를 채널코딩(channel coding) 및 확산(spreading)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수신인 경우 수신신호를 역 확산(despreading) 및 채널복호(channel decoding)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알람 설정 흐름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201단계로 진행하여, 알람 키 입력이 감지되는지 검사한다. 상기 201단계의 검사결과, 알람 키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203단계로 진행하여, 감지된 알람 키의 입력이 알람 설정을 위한 알람 설정 키의 입력인지 검사한다.
상기 203단계의 알람 설정 키는 알람 설정에 상응하는 알람 키의 입력을 지속하는 상태를 말한다.
상기 203단계의 검사결과, 감지된 알람 키의 입력이 알람 설정을 위한 키의 긴 입력으로 판명되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205단계로 진행하여, 알람 설정 화면을 출력하고, 207단계로 진행하여, 알람을 설정하고자 하는 시간을 설정한다.
상기 207단계에서 알람 시간의 설정 후,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209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설정된 알람을 저장한다.
만일, 상기 203단계의 검사결과, 감지된 알람 키의 입력이 알람 동작을 위한 알람 키의 짧은 입력이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211단계로 진행하여, 미리 정한 시간으로 알람을 설정하고, 209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설정된 알람을 저장하고 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알람 기능의 흐름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301단계로 진행하여, 현재시간과 설정된 알람 시간이 일치하는지 검사한다.
상기 301단계의 검사결과, 현재시간과 설정된 알람 시간이 일치하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303단계로 진행하여, 알람 벨을 울리고, 305단계로 진행하여 알람 키의 입력을 감지한다.
상기 305단계의 검사결과, 알람 키의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307단계로 진행하여, 감지된 알람 키의 입력이 스누즈 기능을 위한 알람 키의 짧은 입력인지 검사한다.
상기 307단계에서의 스누즈 기능은 상기 알람 키의 짧은 입력에 따라 설정하거나, 또는 미리 정해진 스누즈 기능 키의 입력에 따라 설정하며, 상기 스누즈 기능은 상기 알람 기능이 종료시까지 미리 정한 대기 시간마다 동작하거나, 또는 미리 정한 대기 시간에 감지된 스누즈 기능의 횟수를 곱한 시간마다 동작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미리 정한 대기 시간이 5분이고, 스누즈 기능을 위한 키를 3회 입력받으면, 미리 정한 대기 시간 * 3회로 15분 후에 알람 벨이 울림으로, 스누즈 기능을 동작하거나, 스누즈 기능을 위한 키를 1회 입력받으면, 5분후에 알람 벨이 울림으로, 스누즈 기능을 동작한다.
상기 307단계의 검사결과, 스누즈 기능을 위한 알람 키의 짧은 입력이 판명되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309단계로 진행하여, 알람 벨을 중지하고, 311단계로 진행하여 스누즈 기능을 위한 알람 키의 짧은 입력 횟수를 확인한다.
상기 311단계에서 상기 알람 키의 입력 횟수를 확인 후,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313단계로 진행하여, 미리 정한 대기 시간에 상기 입력 횟수만큼 곱한 시간이 지났는지 검사한다.
상기 313단계의 검사결과, 미리 정한 대기 시간에 상기 입력 횟수만큼 곱한 시간이 지나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303단계의 과정을 시행한다.
상기 305단계의 검사결과, 알람 동작 중 알람 키의 입력이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315단계로 진행하여, 미리 정한 최대 알람 시간이 지났는지 검사하고, 상기 315단계의 검사결과, 미리 정한 최대 알람 시간이 지나지 않으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303단계의 과정을 시행한다.
만일, 상기 315단계의 검사결과, 미리 정한 최대 알람 시간이 지나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알람 기능을 종료한다.
상기 315단계에서 사용자로부터 알람 기능의 종료를 위한 알람 키의 긴 입력받을 때까지 알람을 울릴 수 있으나, 미리 정한 최대 알람 시간을 정하여, 미리 정한 최대 알람 시간 후에 알람 종료를 위한 키를 입력받지 않으면,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를 휴대하지 않음을 판단하여, 알람 기능을 종료할 수 있다.
상기 미리 정한 최대 알람 시간은 사용자에 의하여 변경이 가능하다.
상기 307단계의 검사결과, 알람 기능의 종료하는 알람 키의 긴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317단계로 진행하여, 알람 기능을 종료하고 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알람 설정, 또는 해제시 메뉴 선택 버튼을 사 용하여, 일반 메뉴에서 알람 메뉴를 선택하고, 알람 메뉴에서 원하는 알람 시간을 업/다운 버튼과 설정 버튼을 사용하여 설정함으로 발생하는 번거로운 과정을 해결하기 위하여, 별도의 과정이 없이 알람을 설정하는 방법, 및 알람 동작시 알람 기능을 종료할 때까지 스누즈 기능을 수행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Claims (9)

  1. 휴대용 단말기의 알람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알람 기능을 제어하는 알람 키를 설정하는 과정과,
    알람 키의 입력 방법에 따라 알람 설정 기능, 스누즈 기능 가운데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동작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되,
    알람 설정 기능은,
    알람 기능이 동작되는 시간을 설정하는 기능이며,
    스누즈 기능은,
    알람 기능의 동작을 중지한 후 일정 시간 대기 후 알람 기능을 재동작시키는 기능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알람 설정 기능을 요청하는 알람 키 입력을 감지할 경우, 알람 키의 입력 방법에 따라 알람 설정 화면을 출력하고, 알람 시간을 설정받아 알람을 설정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알람 설정 기능을 요청하는 알람 키 입력을 감지할 경우, 알람 키의 입력 방법에 따라 미리 정한 알람 시간으로 알람을 설정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스누즈 기능을 요청하는 알람 키 입력을 감지할 경우, 알람 키의 입력 방법에 따라 스누즈 간격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스누즈 기능을 요청하는 알람 키 입력을 감지할 경우, 알람 키의 입력 방법에 따라 알람 기능을 종료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알람 키의 입력 방법은,
    알람 키의 입력 시간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050120358A 2005-12-09 2005-12-09 휴대용 단말기의 알람 방법 KR1011963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0358A KR101196379B1 (ko) 2005-12-09 2005-12-09 휴대용 단말기의 알람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0358A KR101196379B1 (ko) 2005-12-09 2005-12-09 휴대용 단말기의 알람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0599A KR20070060599A (ko) 2007-06-13
KR101196379B1 true KR101196379B1 (ko) 2012-11-02

Family

ID=383565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20358A KR101196379B1 (ko) 2005-12-09 2005-12-09 휴대용 단말기의 알람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637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4060B1 (ko) * 2007-09-04 2009-08-28 주식회사 케이티테크 휴대형 단말기 및 휴대형 단말기의 알람 종료 방법
KR101536567B1 (ko) * 2014-08-14 2015-07-15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Qr코드 스티커와 스마트폰 앱을 이용한 알람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0599A (ko) 2007-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6379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알람 방법
KR100679483B1 (ko) 휴대용 단말기의 타이머를 이용한 자동 설정 변경 방법
JP4711929B2 (ja) 電話装置
KR101067713B1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모닝콜 발신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
KR100655211B1 (ko) 알람모드를 가지는 휴대용 단말기 및 이의 알람 방법
KR100689509B1 (ko) 휴대폰에서 음악파일을 이용한 알람 장치 및 방법
KR100606068B1 (ko) 휴대 단말기의 파워오프 제어방법
KR100630096B1 (ko) 휴대용 단말기의 메뉴 표시방법
KR100494875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단축 알람 설정 방법
KR100678030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자동 응답 기능 수행 방법
KR100827173B1 (ko) 휴대 단말기의 통화 내용 녹음 방법
KR100573481B1 (ko) 벨 모드 자동 전환을 통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알림방법
KR101176661B1 (ko) 이어폰 키를 이용한 호 발신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060033055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자동으로 알림모드를 변경하기 위한방법
KR20050014243A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오디오 데이터 재생장치 및방법
KR20050055798A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 통화중 메모 방법
KR100614748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키톤 녹음 및 재생방법
KR100690178B1 (ko) 충격 감지를 이용한 전화 단말의 발신자 음성 안내 방법및 그 전화 단말
KR20060133143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알림메시지 제공 방법
JP4104604B2 (ja) 携帯通信端末
KR100605936B1 (ko) 휴대 단말기의 키 소리음 자동변환 방법
KR20070067342A (ko) 이동통신단말기의 취침 모드 진행시 수신정보 알림방법
KR20040067080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메시지 삭제 방법
JP2002271474A (ja) 携帯電話機
KR20060135413A (ko) 휴대용 단말기의 알람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