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94875B1 -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단축 알람 설정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단축 알람 설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94875B1
KR100494875B1 KR10-2003-0022311A KR20030022311A KR100494875B1 KR 100494875 B1 KR100494875 B1 KR 100494875B1 KR 20030022311 A KR20030022311 A KR 20030022311A KR 100494875 B1 KR100494875 B1 KR 1004948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alarm
setting
digits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223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88193A (ko
Inventor
강환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to KR10-2003-00223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94875B1/ko
Publication of KR200400881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881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48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487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단축 알람 설정 방법에 관한 것임.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알람 설정 메뉴를 통하지 않고도 단축키를 이용하여 간단한 키 조작만으로도 쉽게 알람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단축 알람 설정 방법을 제공하고자 함.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단축 알람 설정 방법에 있어서, 알람 설정시 단축키를 이용할 수 있도록, 알람 설정 단축키를 알람 숫자키와 알람 설정키(lock key)로 정의해 두는 단축키 설정단계; 사용자로부터의 키 입력시, 입력된 키 중 마지막 키로 상기 알람 설정키가 소정 시간동안 지속적으로 눌려지는지를 확인하는 제1 확인단계; 상기 제1 확인 결과에 따라, 입력된 키의 마지막 키로 상기 알람 설정키가 소정 시간동안 지속적으로 눌려지고 있으면, "단축키에 의한 알람 설정"임을 인지하여, 상기 알람 설정키 이전의 입력키를 확인하는 제2 확인단계; 및 상기 제2 확인 결과에 따라, 상기 알람 설정키 이전의 입력키가 숫자키인 경우, 숫자키의 자리수를 확인하여, 숫자키의 자리수에 따라 해당 시간으로 알람을 설정하는 알람 설정단계를 포함함.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 등에 이용됨.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단축 알람 설정 방법{Shortcut Alram establishment method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단축 알람 설정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알람 설정 메뉴를 통하지 않고도 단축키를 이용하여 간단한 키 조작만으로도 쉽게 알람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단축 알람 설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본 발명에서 이동통신단말기란 개인휴대통신단말기(PCS), 개인용디지털단말기(PDA), 스마트폰, 차세대이동통신단말기(IMT-2000), 무선랜 단말기 등과 같이 개인이 휴대하면서 무선통신이 가능한 단말기를 말한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에 알람 설정 기능을 구비한다. 사용자는 알람을 설정하고, 알람이 설정된 이동통신 단말기는 정해진 시간이 되면 착신음을 울림으로써 알람 기능을 수행한다.
종래의 단말기에서 사용되는 알람 기능은 메뉴 선택 버튼을 사용하여 일반 메뉴에서 알람 메뉴를 선택하고, 알람 메뉴에서 원하는 알람 시간을 업/다운 버튼과 설정 버튼을 사용하여 설정한다.
일반적으로, 사용자는 알람 기능을 사용함에 있어, 일정한 시간이 되면 알람이 울리게 하기를 희망하는 경우가 많다. 즉, 종래의 단말기는 보통 메뉴화면으로 들어가서 시간을 셋팅하는 방식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는 메뉴 화면으로 들어가서 여러가지 셋팅을 한 후에 시간을 설정하고, 설정된 시간에 벨 또는 진동으로 사용자에게 인식할 수 있는 신호를 준다.
그러나, 종래의 방법을 이용하여 알람을 설정을 바꾸기 위해서는 매번 메뉴로 들어가서 여러가지 셋팅 후에 시간을 설정해야 하므로, 사용자에게 번거로움과 기기 동작 미숙으로 인한 불편함을 초래한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알람 설정 메뉴를 통하지 않고도 단축키를 이용하여 간단한 키 조작만으로도 쉽게 알람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단축 알람 설정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단축 알람 설정 방법에 있어서, 알람 설정시 단축키를 이용할 수 있도록, 알람 설정 단축키를 알람 숫자키와 알람 설정키(lock key)로 정의해 두는 단축키 설정단계; 사용자로부터의 키 입력시, 입력된 키 중 마지막 키로 상기 알람 설정키가 소정 시간동안 지속적으로 눌려지는지를 확인하는 제1 확인단계; 상기 제1 확인 결과에 따라, 입력된 키의 마지막 키로 상기 알람 설정키가 소정 시간동안 지속적으로 눌려지고 있으면, "단축키에 의한 알람 설정"임을 인지하여, 상기 알람 설정키 이전의 입력키를 확인하는 제2 확인단계; 및 상기 제2 확인 결과에 따라, 상기 알람 설정키 이전의 입력키가 숫자키인 경우, 숫자키의 자리수를 확인하여, 숫자키의 자리수에 따라 해당 시간으로 알람을 설정하는 알람 설정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설정된 알람 시간이 되면, 사용자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기 설정한 벨/진동 모드에 따라 알람을 출력하는 알람 출력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단축 알람 설정 방법에 있어서, 알람 설정시 단축키를 이용할 수 있도록, 알람 설정 단축키를 알람 숫자키와 알람 설정키(lock key), 알람시 벨/진동 모드 선택키로 정의해 두는 단축키 설정단계; 사용자로부터의 키 입력시, 입력된 키 중 마지막 키로 상기 알람 설정키가 소정 시간동안 지속적으로 눌려지는지를 확인하는 제1 확인단계; 상기 제1 확인 결과에 따라, 입력된 키의 마지막 키로 상기 알람 설정키가 소정 시간동안 지속적으로 눌려지고 있으면, "단축키에 의한 알람 설정"임을 인지하여, 상기 알람 설정키 이전의 입력키를 확인하는 제2 확인단계; 및 상기 제2 확인 결과에 따라, 상기 알람 설정키 이전의 입력키가 숫자키인 경우, 숫자키의 자리수를 확인하여, 숫자키의 자리수에 따라 해당 시간으로 알람을 설정하는 알람 설정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설정된 알람 시간이 되면, 사용자가 단말기에 기 설정한 벨/진동 모드와는 무관하게, 알람을 벨로 강제 출력하는 강제 출력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사용자로부터의 키 입력시, 입력된 키 중 상기 알람 설정키 입력 후 상기 알람시 진동 모드 선택키가 소정 시간동안 지속적으로 눌려지는지를 확인하는 제3 확인단계; 상기 제3 확인 결과에 따라, 입력된 키 중 상기 알람 설정키 입력 후 상기 알람시 진동 모드 선택키가 소정 시간동안 지속적으로 눌려지고 있으면, "단축키에 의한 알람 설정"임을 인지하여, 상기 알람 설정키 이전의 입력키를 확인하는 제4 확인단계; 및 상기 제4 확인 결과에 따라, 상기 알람 설정키 이전의 입력키가 숫자키인 경우, 숫자키의 자리수를 확인하여, 숫자키의 자리수에 따라 해당 시간으로 알람을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설정된 알람 시간이 되면, 사용자가 단말기에 기 설정한 벨/진동 모드와는 무관하게, 알람을 진동으로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 예시도이다.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부(10)는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함과 동시에,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단축 알람 설정 방법의 제어를 이루게 된다. 그리고, 구비되는 각종 구성들의 제어를 이루게 된다.
음성 메모리(11)는 각종 음성 데이터를 저장한다.
메모리(12)에는 제어부(10)의 동작 프로그램, 시스템 프로그램이 저장되며, 동작 프로그램이나 시스템 프로그램은 통상 포함된 롬(ROM) 영역에 저장되고 필요에 의해 소거가 가능하다. 전기적으로 소거 가능한 롬으로는 이이피롬(EEPROM), 플래시 메모리 등이 있다. 그리고, 메모리(12)는 또한 여러 동작 프로그램 수행중에 발생하는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는 램(RAM)을 포함한다.
메모리(12)에는 단축 알람 설정 알고리즘이 저장된다.
키 입력부(13)는 다수의 숫자 키와 메뉴 키 및 각종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기능 키로 이루어지며, 외부의 조작에 의해 제어부(10)로 키 데이터를 출력한다.
표시부(14)는 액정표시장치(LCD) 등과 같은 표시장치로서, 제어부(10)의 제어를 받아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태나 프로그램의 진행 상황을 표시한다. 즉,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반적인 상태 및 입력되는 사용자 정보 등을 표시한다.
따라서, 제어부(10)는 키 입력부(13)에 의한 사용자의 메뉴 표시 요구에 따라 해당 메뉴를 메모리(12)로부터 독출하여 표시부(14)에 표시한다. 즉, 키 입력부(13)는 통상적인 사용자 정보 입력 수단으로, 다수의 숫자키와 기능키 등 적용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적절한 다수의 키들을 구비하며, 구비된 각 키들의 입력이 있으면 입력 키 각각에 있어 해당되는 고유의 키 데이터를 출력하여 제어부(10)로 전달함으로써, 키 입력부(13)의 키 입력 동작을 통해 메뉴 표시 모드로의 진입 및 메뉴의 선택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러면, 제어부(10)에서 해당 키 입력에 따른 메뉴를 메모리(12)에서 독출하여 표시부(14)에 표시하게 된다.
RF부(15)는 제어부(10)의 제어를 받으며, 제어부(1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무선신호로 변환한다. 또한, RF부(15)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된 무선신호를 원하는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착신음 발생부(16)는 제어부(10)의 제어를 받아 스피커를 통해 수화음을 발생한다.
음성처리부(17)는 마이크로폰(microphone)으로부터 입력된 음성 신호를 변조하여 음성 데이터로 변환하고, RF부(15)로부터 입력된 음성 데이터 및 음성 메모리(11)에 저장된 음성 데이터를 음성신호로 복조하여 스피커(speaker)를 통해 음성으로 출력한다.
다만, 본 발명을 위해서는 메모리(12)에 단축 알람 설정 알고리즘이 저장되어 있고, 제어부(10)는 메모리(11)에 저장된 단축 알람 설정 알고리즘을 제어하여 사용자가 알람 설정 메뉴를 통하지 않고도 단축키를 이용하여 간단한 키 조작만으로도 쉽게 알람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한다.
이제, 본 발명에 따른 단축키를 이용하여 간단한 키 조작만으로도 쉽게 알람을 설정할 수 있는 단축 알람 설정 방법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단축 알람 설정을 위해 사용되는 단축키는 "알람 숫자키(년, 월, 일, 시간, 분 등)"와 "알람 설정키(바람직하게는 특수키, 예를 들면 "#" 버튼)"로 구성된다.
여기서, 알람 설정키는 바람직하게는 "#"키를 락 키(lock key)로 사용하는데, 예를 들면 알람 숫자키를 누른 다음에 "#"키를 누른 후 일정시간(바람직하게는 2초 정도)을 유지하면 알람 숫자키에 해당하는 시간으로 알람이 설정된다.
상기 알람 숫자키는 2자리, 4자리, 8자리, 12자리 등으로 설정 가능하다.
예를 들면, 알람 숫자키 2자리는 "분"을 나타낸다. 즉, 알람 숫자키 2자리는 01분에서 60분까지의 분을 의미한다.
그리고, 알람 숫자키 4자리는 "시+분"을 나타낸다. 즉, 알람 숫자키 4자리의 앞 2자리는 01에서 24까지의 시간을, 뒤 2자리는 01분에서 60분까지의 분을 의미한다.
또한, 알람 숫자키 8자리는 "월+일+시+분"을 나타낸다. 즉, 알람 숫자키 8자리의 앞 2자리는 01에서 12까지의 월을, 다음 2자리는 01에서 31까지의 일을, 그 다음 2자리는 01에서 24까지의 시간을, 마지막 2자리는 01분에서 60분까지의 분을 의미한다.
또한, 알람 숫자키 12자리는 "년+월+일+시+분"을 나타낸다. 즉, 알람 숫자키 12자리의 앞 4자리는 년도(예를 들면, 2003년), 다음 2자리는 01에서 12까지의 월을, 그 다음 2자리는 01에서 31까지의 일을, 또 그 다음 2자리는 01에서 24까지의 시간을, 마지막 2자리는 01분에서 60분까지의 분을 의미한다. 이 알람 숫자키 12자리는 해(년도)를 달리하여 중요한 만남(예를 들면, 현재 2003년이고 2004년도 12월 31일 6시에 연인 혹은 지인과 만나고자 할 때) 등에 활용할 수 있다.
따라서, 알람 숫자키 2자리(예를 들면, 40)를 누르고 알람 설정키(바람직하게는, "#"키)를 누른 후 일정시간(바람직하게는 2초 정도)을 유지하면,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40분후"로 알람이 설정된다.
또한, 알람 숫자키 4자리(예를 들면, 1330)를 누르고 알람 설정키(바람직하게는, "#"키)를 누른 후 일정시간(바람직하게는 2초 정도)을 유지하면,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후 1시 30분"에 알람이 설정된다.
또한, 알람 숫자키 8자리(예를 들면, 03010800)를 누르고 알람 설정키(바람직하게는, "#"키)를 누른 후 일정시간(바람직하게는 2초 정도)을 유지하면,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3월 1일 오전 8시"로 알람이 설정된다.
또한, 알람 숫자키 12자리(예를 들면, 200412311800)를 누르고 알람 설정키(바람직하게는, "#"키)를 누른 후 일정시간(바람직하게는 2초 정도)을 유지하면, 도 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2004년 12월 31일 오후 6시"로 알람이 설정된다.
통상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는 사용자의 벨/진동 모드 설정에 따라 알람 역시 벨/진동 모드로 작동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단축키를 이용한 알람 설정 역시 단말기에 기 설정된 벨/진동 모드에 따라 동작됨을 원칙으로 한다. 즉, 단축키를 이용하여 알람을 설정해 둔 경우 단말기가 벨 모드로 설정되어 있으면 알람 숫자키에 해당하는 시간으로 알람이 벨로 울리고, 진동 모드로 설정되어 있으면 알람 숫자키에 해당하는 시간으로 알람이 진동으로 울린다.
그러나, 예를 들면 진동 모드로 단말기가 설정된 상태에서 미쳐 벨 모드로 전환시키기 않고 잠자리에 든 경우, 알람의 제 기능을 수행하기란 어렵다.
따라서, 사용자의 벨/진동 모드 설정과는 무관하게 "알람 숫자키(년, 월, 일, 시간, 분 등)"와 "알람 설정키(바람직하게는 특수키, 예를 들면 "#"버튼)"를 누른 후 일정시간(바람직하게는 2초 정도)을 유지하면 사용자의 벨/진동 모드 선택과는 무관하게 알람 숫자키에 해당하는 시간으로 알람이 무조건 "벨"로 설정됨을 기본으로 하고, "알람 숫자키(년, 월, 일, 시간, 분 등)"와 "알람 설정키(바람직하게는 특수키, 예를 들면 "#"버튼)"를 누르고 연속하여 진동 모드 설정키(바람직하게는 특수키, 예를 들면 "*"버튼)를 누른 후 일정시간(바람직하게는 2초 정도)을 유지하면 알람 숫자키에 해당하는 시간으로 알람이 "진동"으로 설정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단축 알람 설정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단축 알람을 설정하기 위해서는, 먼저 알람 숫자키(년, 월, 일, 시간, 분 등)를 입력하고(301), 알람 설정키(바람직하게는 특수키, 예를 들면 "#"버튼)를 입력한 후 일정시간(바람직하게는 2초 정도)을 유지한다(302).
이어서, 입력된 숫자의 개수를 파악하고(303), 파악된 개수가 2,4,8,12 개인지를 확인한다(304).
확인 결과(304), 파악된 개수가 2,4,8,12 개가 아니면 액정 화면에 에러 메시지를 표시한 후(305) 알람 숫자키를 입력하는 과정(301)으로 진행하고, 파악된 개수가 2,4,8,12 개이면 입력된 숫자의 에러체크를 수행하였는지 확인하여(306) 수행하지 않았으면 에러 메시지를 액정화면에 표시하는 과정(305)으로 진행하고, 에러체크를 수행하였으면 알람을 정해진 날짜 또는 시간 등에 맞게 셋팅한다(307).
이후, 셋팅된 정보를 액정화면에 디스플레이한다(308).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형태로 기록매체(씨디롬, 램,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등)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으므로 더 이상 상세히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메모리에 저장된 단축 알람 설정 알고리즘을 제어하여 사용자가 알람 설정 메뉴를 통하지 않고도 단축키를 이용하여 간단한 키 조작만으로도 쉽게 알람을 설정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메뉴로 들어가는 번거로움을 해소해 줄 수 있고, 기기 동작 미숙으로 인한 어려움 등을 해결해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 예시도.
도 2a 내지 도 2d 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단축 알람 설정 방법 중 사용자 인터페이스(UI)의 구성을 나타내는 예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단축 알람 설정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제어부 11 : 음성 메모리
12 : 메모리 13 : 키 입력부
14 : 표시부(LCD) 15 : RF 부
16 : 착신음 발생부 17 : 음성 처리부

Claims (8)

  1.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단축 알람 설정 방법에 있어서,
    알람 설정시 단축키를 이용할 수 있도록, 알람 설정 단축키를 알람 숫자키와 알람 설정키(lock key)로 정의해 두는 단축키 설정단계;
    사용자로부터의 키 입력시, 입력된 키 중 마지막 키로 상기 알람 설정키가 소정 시간동안 지속적으로 눌려지는지를 확인하는 제1 확인단계;
    상기 제1 확인 결과에 따라, 입력된 키의 마지막 키로 상기 알람 설정키가 소정 시간동안 지속적으로 눌려지고 있으면, "단축키에 의한 알람 설정"임을 인지하여, 상기 알람 설정키 이전의 입력키를 확인하는 제2 확인단계; 및
    상기 제2 확인 결과에 따라, 상기 알람 설정키 이전의 입력키가 숫자키인 경우, 숫자키의 자리수를 확인하여, 숫자키의 자리수에 따라 해당 시간으로 알람을 설정하는 알람 설정단계
    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단축 알람 설정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설정된 알람 시간이 되면, 사용자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기 설정한 벨/진동 모드에 따라 알람을 출력하는 알람 출력단계
    를 더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단축 알람 설정 방법.
  3.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단축 알람 설정 방법에 있어서,
    알람 설정시 단축키를 이용할 수 있도록, 알람 설정 단축키를 알람 숫자키와 알람 설정키(lock key), 알람시 벨/진동 모드 선택키로 정의해 두는 단축키 설정단계;
    사용자로부터의 키 입력시, 입력된 키 중 마지막 키로 상기 알람 설정키가 소정 시간동안 지속적으로 눌려지는지를 확인하는 제1 확인단계;
    상기 제1 확인 결과에 따라, 입력된 키의 마지막 키로 상기 알람 설정키가 소정 시간동안 지속적으로 눌려지고 있으면, "단축키에 의한 알람 설정"임을 인지하여, 상기 알람 설정키 이전의 입력키를 확인하는 제2 확인단계; 및
    상기 제2 확인 결과에 따라, 상기 알람 설정키 이전의 입력키가 숫자키인 경우, 숫자키의 자리수를 확인하여, 숫자키의 자리수에 따라 해당 시간으로 알람을 설정하는 알람 설정단계
    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단축 알람 설정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설정된 알람 시간이 되면, 사용자가 단말기에 기 설정한 벨/진동 모드와는 무관하게, 알람을 벨로 강제 출력하는 강제 출력단계
    를 더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단축 알람 설정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의 키 입력시, 입력된 키 중 상기 알람 설정키 입력 후 상기 알람시 진동 모드 선택키가 소정 시간동안 지속적으로 눌려지는지를 확인하는 제3 확인단계;
    상기 제3 확인 결과에 따라, 입력된 키 중 상기 알람 설정키 입력 후 상기 알람시 진동 모드 선택키가 소정 시간동안 지속적으로 눌려지고 있으면, "단축키에 의한 알람 설정"임을 인지하여, 상기 알람 설정키 이전의 입력키를 확인하는 제4 확인단계; 및
    상기 제4 확인 결과에 따라, 상기 알람 설정키 이전의 입력키가 숫자키인 경우, 숫자키의 자리수를 확인하여, 숫자키의 자리수에 따라 해당 시간으로 알람을 설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단축 알람 설정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설정된 알람 시간이 되면, 사용자가 단말기에 기 설정한 벨/진동 모드와는 무관하게, 알람을 진동으로 출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단축 알람 설정 방법.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알람 숫자키는,
    자리수가 2인 경우, "분"을 의미하고, 설정된 "분" 후로부터의 알람이 설정되며,
    자리수가 4인 경우, 앞의 두 자리는 시, 나머지 두 자리는 분을 의미하며,
    자리수가 8인 경우, 앞의 두 자리는 월, 다음 두 자리는 일, 그 다음 두 자리는 시, 나머지 두 자리는 분을 의미하며,
    자리수가 12인 경우, 앞의 네 자리는 년, 다음 두 자리는 월, 그 다음 두 자리는 일, 또 그 다음 두 자리는 시, 나머지 두 자리는 분을 의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단축 알람 설정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알람 설정키는,
    바람직하게는, 특수키(#)를 락 키(lock key)로 사용하며, 소정시간(바람직하게는 2초 정도)을 유지하면 상기 알람 숫자키에 해당하는 시간으로 알람이 설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단축 알람 설정 방법.
KR10-2003-0022311A 2003-04-09 2003-04-09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단축 알람 설정 방법 KR1004948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2311A KR100494875B1 (ko) 2003-04-09 2003-04-09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단축 알람 설정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2311A KR100494875B1 (ko) 2003-04-09 2003-04-09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단축 알람 설정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8193A KR20040088193A (ko) 2004-10-16
KR100494875B1 true KR100494875B1 (ko) 2005-06-14

Family

ID=373700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22311A KR100494875B1 (ko) 2003-04-09 2003-04-09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단축 알람 설정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9487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0314B1 (ko) * 2005-09-29 2007-10-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예약어를 이용한 메뉴 설정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8193A (ko) 2004-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89499B1 (ko) 휴대단말기에서 키 설정 정보 디스플레이 방법
RU2370888C1 (ru) Терминал мобильной связи и способ запуска в нем приложения
KR20010059668A (ko)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사용자 메뉴 작성 방법
JP2000184036A (ja) 移動電話端末機における機能選択方法
US618479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 telephone dialing from a pager message
CN100385985C (zh) 一种利用随机菜单的闹钟服务方法及装置
KR100494875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단축 알람 설정 방법
KR101196379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알람 방법
KR20040022286A (ko) 단문메시지를 통하여 분실한 휴대전화기의 위치를 찾는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전화기
JP2001177638A (ja) 電話機
KR100654916B1 (ko) 전화 번호 검색 기능이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KR100622896B1 (ko) 선택적 음성인식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KR20040015918A (ko) 단문메시지를 통한 원격제어기능을 구현하는 방법 및 이를지원하는 휴대전화기
KR19980020891A (ko) 셀룰라폰의 착신음 선택방법
KR20060072877A (ko) 이동통신 단말기 상에서 mp3 파일을 이용한 알람벨 설정방법
KR100689509B1 (ko) 휴대폰에서 음악파일을 이용한 알람 장치 및 방법
KR100560903B1 (ko) 단축버튼을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능실행방법
KR101055732B1 (ko) 음성인식을 이용한 통화 중 키 버튼 신호 전송 장치 및 방법
JP2001086219A (ja) 移動無線端末装置
KR20000056154A (ko) 디지털 휴대용 단말기의 기능 설정 상태 구분 표시 방법
KR100341989B1 (ko) 표시장치에서 알람아이콘의 알람시간 표시방법
KR20050115120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자동 기능 수행 방법
KR20000003369A (ko) 휴대통신단말기의 사용자 착신음 녹음방법
JP2001345920A (ja) 電話機
JP2001111658A (ja) 通信端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9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8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