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1935B1 - 적어도 2개의 서플라이 계층을 갖는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에서 에너지 사용을 감소시키는 방법 - Google Patents

적어도 2개의 서플라이 계층을 갖는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에서 에너지 사용을 감소시키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1935B1
KR101191935B1 KR1020107013428A KR20107013428A KR101191935B1 KR 101191935 B1 KR101191935 B1 KR 101191935B1 KR 1020107013428 A KR1020107013428 A KR 1020107013428A KR 20107013428 A KR20107013428 A KR 20107013428A KR 101191935 B1 KR101191935 B1 KR 1011919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additional supply
supply layer
transmission
stat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134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05609A (ko
Inventor
하랄드 슈미트
Original Assignee
도이체 텔레콤 악티엔 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이체 텔레콤 악티엔 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도이체 텔레콤 악티엔 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201001056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56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19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19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2Arrangements for optimising operational cond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3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he radio access network or backbone network of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206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he radio access network or backbone network of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in access points, e.g. base st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5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local events, e.g. events related to user activity
    • H04W52/0258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local events, e.g. events related to user activity controlling an operation mode according to history or models of usage information, e.g. activity schedule or time of d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02Resource partitioning among network components, e.g. reuse partitioning
    • H04W16/06Hybrid resource partitioning, e.g. channel borrowing
    • H04W16/08Load shedd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24Cell structures
    • H04W16/32Hierarchical cell structur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Abstract

본 발명은 2개 이상의 서플라이 계층들(supply layers)(1, 2, 3)을 갖는 모바일 무선 네트워크를 운영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서플라이 계층(1, 2, 3)들은 서로 겹치며 그리고 이들 각각은 다수의 전송 스테이션들로 구성되며, 제 1 서플라이 계층(1)은 상기 모바일 무선 네트워크의 가용성(availability)을 보장하는 표준 계층(standard layer)(1)으로 정의되며, 그리고 제 2 서플라이 계층(2, 3)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및/또는 일시적으로 비활성화된다.

Description

적어도 2개의 서플라이 계층을 갖는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에서 에너지 사용을 감소시키는 방법{METHOD FOR REDUCING ENERGY USE IN A MOBILE COMMUNICATIONS NETWORK HAVING AT LEAST TWO SUPPLY LEVELS}
본 발명은 2개 이상의 서플라이 계층(supply layer)들을 갖는 모바일 무선 네트워크를 운영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서플라이 계층들은 겹쳐지며(superimposed) 그리고 이들 각각은 다수의 전송 스테이션(transmitting stations)들로 구성된다.
현대의 모바일 무선 네트워크들은 종종 상이한 서플라이 계층들로 세분된다. 이 경우, 서로 다른 계층들은 동일한 기술들을 이용할 수도 있는데, 예를 들어, 하나의 계층은 매크로셀 계층(macrocell layer)을 구성하고 그리고 추가 서플라이 계층은 마이크로셀 계층을 구성하는, 마이크로셀 네트워크를 들 수 있다. 하지만, 서로 다른 계층들은 또한 상이한 기술들을 이용할 수도 있는데, 예컨대 이중 모드(dual mode) 네트워크의 경우에는, GSM이 하나의 서플라이 계층을 구성하고 UMTS가 제 2 의 서플라이 계층을 구성한다. 동일한 기술과 상이한 기술들을 이용하는 서플라이 계층들을 결합하는 것도 또한 가능하다.
이는, 서플라이 계층들 각각이 다수의 개별 전송 스테이션들에 의해 구성되는 것을 의미하며, 따라서 소정 영역을 커버링하는 모바일 무선 네트워크 서비스의 제공이 확보됨과 아울러, 상기 서플라이 계층들의 공간적인 커버리지는 겹쳐진다.
현대의 전송 스테이션들은, 호출 레벨(call level)과 부하 레벨(load level)이 낮은 때에, 여분의 용량들을 스위치 오프할 수 있다. GSM 전송 스테이션의 경우, 예를 들면, 개별 무선주파수 캐리어들이 비활성화된다. UMTS 네트워크의 경우, 개별 무선주파수 증폭기들을 비활성화시키는 것도 또한 가능하다. 또한, UMTS 전송 스테이션의 경우, 베이스밴드(baseband) 프로세싱 용량이 비활성화될 수도 있다.
공지된 방법들은, 스위칭 오프 동작들이 항상 전송 스테이션 내에서 수행된다 라는 단점을 갖는다. 또 다른 단점은 용량의 오직 일부만이 비활성화된다는 점이며 그리고 커버리지 영역에 해당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서 전송 스테이션을 위한 기본 서플라이(basic supply)에는 악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목적은, 호출 레벨과 부하 레벨이 낮은 때에 모바일 무선 네트워크의 전력 소모를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따라서, 제공되는 서비스의 기본적이고 지속적인 가용성(the fundamental and continuous availability)을 보장함과 동시에 전체 운영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이러한 목적은 청구항 제1항의 방법에 의하여 달성된다.
본 발명은, 2개 이상의 서플라이 계층들을 갖는 모바일 무선 네트워크를 운영함에 있어서 특히나 유용한바, 상기 서플라이 계층들은 겹쳐지며 그리고 상기 서플라이 계층들 각각은 다수의 전송 스테이션들로 구성되며, 제 1 서플라이 계층은 모바일 무선 네트워크의 가용성을 보장하는 표준 계층으로 정의되며, 그리고 제 2 서플라이 계층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및/또는 일시적으로 스위치 오프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전체 전송 스테이션들 혹은 전체 계층들을 비활성화시키며 그리고 요구되는 때에 이들을 다시 활성화시킨다. 전송 스테이션의 내부 혹은 외부에 있는 모니터링 유닛만이 활성화된 채로 남아 있는바, 이는 전송 스테이션이 다시 활성화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함이다. 전체 전송 스테이션 혹은 서플라이 계층이 비활성화되므로, 전송 스테이션에 대한 서플라이 역시도 스위치 오프된다. 이러한 것은 전력 소모를 상당히 감소시킬 수 있는데, 개별 전송 스테이션(들) 혹은 서플라이 계층(들)이 단지 부분적으로만 스위치 오프되는 것이 아니라 완전히 스위치 오프되기 때문이다. 이 경우, 항상 작동하는 표준 계층에 의해서 기본 가용성(fundamental availability)은 언제나 보장된다.
다수의 계층들을 갖는 네트워크 내의 개별 전송 스테이션들은 부하가 작거나 혹은 부하가 없는 때에 스위치 오프될 수 있다. 개별 전송 스테이션들의 스위치 오프가, 모바일 무선 네트워크의 서플라이 영역 및 일반적인 네트워크 가용성을 제한하지 않는다는 것을 보장하기 위하여, 그 어떤 전송 스테이션들도 스위치 오프되지 않는 디폴트 계층(default layer)을 정의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디폴트 계층은 서플라이 및 일반적인 네트워크 가용성을 보장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장점들은 종속 청구항들에서 정의될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모바일 무선 네트워크의 부하(load)가 모니터링되며, 그리고 정의가능한 하한값보다 상기 부하가 낮은 경우 제 2 서플라이 계층 혹은 제 2 서플라이 계층 내의 개별 전송 스테이션들은 스위치 오프된다.
이 경우, 제 2 서플라이 계층은 특히 표준 계층과 동일한 기술을 이용하여 표준 계층의 서비스와 동일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 2 서플라이 계층 혹은 추가 서플라이 계층은, 특히 표준 계층과 다른 기술을 이용하여 표준 계층의 서비스와는 다른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서플라이 계층 혹은 추가 서플라이 계층은, 상기 계층들에 의해서 제공되는 서비스가 그 당시에 요구되지 않거나 혹은 정의가능한 소정 시간동안 요구되지 않았다면, 스위치 오프될 수 있다.
전송 스테이션들을 재활성화시키기 위한 조건들은 다음의 응용예들에 따라 달라진다. 디폴트 계층(즉, 표준 계층)과는 다른 기술을 이용하는 전송 스테이션들이 스위치 오프되는 경우, 상기 기술을 서포트하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가 서플라이 영역 내에서 활성화(active)된 경우라 하더라도, 이들 전송 스테이션들을 재활성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디폴트 계층 내의 현재 전송 스테이션에 의해 지원되지 않는 기능들 혹은 서비스들을 소정 기술이 서포트하고, 상기 소정 기술은 스위치 오프된 전송 스테이션에 의해서 지원되는 경우가 특히 그런 경우이다.
동일한 기술을 이용하는 전송 스테이션들은, 현재의 전송 스테이션에서 부하 한계값(limit)이 초과되는 경우에, 재활성화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것은, 상이한 서비스 계층들을 갖는 네트워크를 야기한다. 일반적으로, 디폴트 계층에서는 그 어떤 전송 스테이션도 스위치 오프되지 않는다. 스위치 오프될 수 있는 부하 계층(load layer)은 디폴트 계층과 동일한 기술을 이용하는 전송 스테이션들을 포함한다. 상기 계층에서 전송 스테이션들을 스위치 오프하는 판단기준(criterion)은, 디폴트 계층 및 부하 계층에서의 낮은 호출 레벨이다. 부하 계층에서 전송 스테이션들을 재활성화시키기 위한 트리거(trigger) 조건은, 디폴트 계층, 달리 말하면 제 1 서플라이 계층 즉, 표준 계층에서의 증가된 호출 레벨이다. 스위치 오프될 수 있는 서비스 계층 즉, 제 2 서플라이 계층 혹은 추가 서플라이 계층은, 디폴트 계층과는 상이한 기술을 이용하는 전송 스테이션들을 포함하며 그리고 상이한 서비스들 및 기능들을 지원한다. 상기 계층 내에서 전송 스테이션들을 스위치 오프하는 조건은, 소정 시간 동안 비활동(inactivity)하거나 혹은 상기 계층에 의해 제공되는 서비스가 현재 요구되고 있지 않음을 발견하는 것이다. 상기 계층 내에서 전송 스테이션들을 재활성화시키기 위한 조건은, 스위치 오프될 수 있는 서비스 계층의 기술을 지원하는 단말기가, 스위치 온될 전송 스테이션의 서플라이 영역 내의 디폴트 계층 혹은 부하 계층에서 활동(activity)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전송 스테이션에 대해서 부하 모니터링이 수행되며 그리고 특히 개별 전송 스테이션은 일시적으로 스위치 오프될 수 있다.
전송 스테이션을 갑자기 스위치 오프시키는 것이 아니라, 출력 송신 파워를 0으로 지속적으로 감소시킴으로써 전송 스테이션이 스위치 오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개별 전송 스테이션들을 스위치 오프함에 있어 문제점들 중 하나는, 스위치 오프될 전송 스테이션에 등록되어 있는 모든 단말기들이, 이용가능한 다른 전송 스테이션을 동시에 검색한다는 점이며 그리고 상기 다른 전송 스테이션에 등록할 거라는 점이다. 이는 갑작스런 시그널링 부하를 생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시그널링 피크를 회피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점이 제안되는바, 전송 스테이션들은 소정 시간에서 스위치 오프되지 않지만, 전송 스테이션의 출력 파워는 서서히 0으로 감소 즉, 갑작스럽게 감소하는 것이 아니라 지속적으로 감소한다. 결과적으로, 단말기들 모두가 동시에 전송 스테이션을 변경하지는 않을 것이다. 전송 스테이션으로부터 더 멀리 떨어져 있는 단말기들은 전송 스테이션에 가깝게 위치한 단말기들보다 일찍 변경할 것이다.
제 1 서플라이 계층은 GSM 전송 스테이션들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제 2 서플라이 계층 및/또는 추가 서플라이 계층도 역시 GSM 전송 스테이션들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혹은 부가적으로, 제 2 서플라이 계층 및/또는 추가 서플라이 계층은 UMTS 전송 스테이션들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이는 매우 다양한 서비스들이 제공될 수 있게 하며, 그리고 모바일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부하 피크들이 동일한 전송 스테이션들 및 기술들의 공간적인 겹침(spatial superimposition)에 의해서 잘 처리될 수 있게 한다.
제 2 서플라이 계층 및/또는 추가 서플라이 계층의 전송 스테이션들의 스위칭 상태 혹은 제 2 서플라이 계층 및/또는 추가 서플라이 계층의 개별 전송 스테이션들의 스위칭 상태는 모니터링 유닛에 의해서 모니터링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표준 계층은 이와 같은 모니터링 유닛들을 가질 수도 있다.
모바일 무선 네트워크의 제 2 서플라이 계층 및/또는 추가 서플라이 계층의 전송 스테이션들은, 정의가능한 부하 레벨이 초과될 때 및/또는 이들 전송 스테이션들에 의해 제공되는 특정 서비스들이 모바일 무선 네트워크에서 호출(called up)될 때, 스위치 온 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전송 스테이션의 현재 스위칭 상태는 프로토콜에 의해서 모니터링 유닛에게 전송되는바, 모니터링 유닛의 요청 및/또는 스위칭 명령이 수신되었을 때 및/또는 스위칭 명령을 수신한 이후에 전송 스테이션의 스위칭 상태가 변경되었을 때, 모니터링 유닛에게 전송된다.
부하 계층 혹은 서비스 계층 내의 개별 전송 스테이션들을 재활성화시키기 위해서, 디폴트 계층 혹은 부하 계층에서의 재연결(reconnection)을 위한 판단기준이 만족되었음을 관련 전송 스테이션들에게 알려줄 필요가 있다. 이러한 경우, 부하 계층 내의 전송 스테이션들을 스위칭 온 하기 위한 판단기준은, 오직 디폴트 계층에서만 만족될 수도 있다는 점을 유의해야 한다. 서비스 계층 내의 전송 스테이션들을 스위칭 온 하기 위한 판단기준은 디폴트 계층 및 부하 계층에서 만족될 수도 있다. 또한, 디폴트 계층 내의 전송 스테이션들이, 서비스 계층 및 부하 계층의 전송 스테이션들의 스위칭 온된 상태를 관리할 필요가 있다. 부하 계층 내의 전송 스테이션들은 서비스 계층 내의 전송 스테이션들의 스위칭 온된 상태를 관리해야만 한다. 이는, 스위치-온 트리거가 발생될 때 즉, 스위치-온 조건이 만족될 때 스위치 온 될 예정인 전송 스테이션들에게 이들 전송 스테이션들이 적절한 명령들을 발행하기 위해서 필요하다. 동일한 서플라이 영역을 갖는 전송 스테이션들의 상태들만이 관리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유의해야 한다.
전송 스테이션들 간의 프로토콜은, 스위치-온 상태의 변화들을 해당 전송 스테이션들 혹은 모니터링 유닛들에게 시그널링하는데 유용하게 이용된다. 또한, 상기 프로토콜은 적절한 트리거 조건(스위치-온 조건)이 만족되는 상황에서 전송 스테이션들을 스위치 온 시키기 위한 명령들을 지원한다. 더 나아가, 상기 프로토콜은 개별 전송 스테이션들(Node B)의 스위치-온 상태들을 체크하기 위한 명령들을 지원하도록 의도된다.
바람직하게는, 프로토콜은 다음의 통신들 및 명령들을 지원한다.
스위치-온 상태의 체크:
POWER STATUS REQUEST 는 전송 스테이션의 스위치-온 상태를 체크한다.
POWER STATUS RESPONSE 는 전송 스테이션의 현재 스위치-온 상태를 포함한다.
전송 스테이션의 스위칭 오프에 관한 정보 교환:
POWER SWITCHOFF 는 전송 스테이션을 스위칭 오프시키기 위한 트리거 조건이 만족되었음을 나타내며, 그리고 전송 스테이션을 스위치 오프시킨다.
POWER SWITCHOFF ACK 는 POWER SWITCHOFF 메시지를 수신했다는 것을 확인한다.
스위치-온 명령의 경우 스위치-온 상태에 대한 체크:
POWER SWITCHON REQUEST 는 전송 스테이션의 재활성화를 요청한다.
POWER SWITCHON ACK 는 전송 스테이션이 성공적으로 스위치 온되었다는 것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다음에서 설명될 것이며 도면들에 예시될 것인바, 도면들에 대한 설명은 다음과 같다.
도1은 다수의 서플라이 계층들을 갖는 모바일 무선 네트워크의 구성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2는 2개의 전송 스테이션들 간의 통신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1은 다수의 서플라이 계층들(1, 2, 3)을 갖는 모바일 무선 네트워크의 구성을 예시한 도면이다.
모바일 무선 네트워크는 제 1 서플라이 계층을 포함하는 다수의 계층들(1, 2, 3)에 의해 구성되는바, 제 1 서플라이 계층은 디폴트 계층(1)을 표준 계층(1)으로 정의하며, 그리고 모바일 무선 서비스들이 항상 이용가능하도록 보장하며 따라서 언제나 동작중이다. 또한, 도1에는 제 2 서플라이 계층(2) 특히, 추가적인 부하 계층(2)이 도시되어 있는데, 이는 표준 계층(1)과 동일한 기술에 기초하고 있으며, 예시적인 일례에서 상기 기술은 GSM 이다. 또한, 모바일 무선 네트워크는 서비스 계층(3) 형태의 또 다른 서플라이 계층(3)을 가지는바, 이는 스위치 오프될 수 있으며 그리고 표준 계층(1)과는 다른 서비스를 제공하는바, 이는 일례로서 UMTS 네트워크로 예시된다.
서플라이 계층들(1, 2, 3) 각각은 서플라이가 소정 영역을 가능한한 멀리 커버링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서, 개별적인 베이스 스테이션(Node B)들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계층들(1, 2, 3)은 공간적으로 겹쳐진다. 즉, 다양한 계층들(1, 2, 3)의 베이스 스테이션들의 무선 범위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서로를 커버한다. 표준 계층(1)과 부하 계층(2)의 공간적인(지리적인) 커버리지는, 발생할 수도 있는 부하 피크를 처리할 수 있게 해주며 그리고 표준 계층(1)과 서비스 계층(3)의 공간적인(지리적인) 커버리지는, 서로 다른 서비스들, 상기 일례에서는 GSM 과 UMTS 접속들이 동일한 영역에서 제공될 수 있게한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계층들은 동일한 기술들 예를 들어 마이크로셀 네트워크를 이용할 수도 있는데, 여기서 제 1 계층(1)은 매크로셀 계층을 형성하고, 그리고 추가 서플라이 계층(2)은 마이크로셀 계층을 구성한다. 하지만, 서로 다른 서플라이 계층들은 또한 서로 다른 기술들을 이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이중 모드 네트워크에서는 GSM 이 서플라이 계층(1)을 구성하고 그리고 UMTS 가 제 2 혹은 추가 서플라이 계층(3)을 구성한다. 도1에 예시된 구성은 동일한 기술을 이용하는 서플라이 계층들(계층 1, 2)과 상이한 기술을 이용하는 서플라이 계층(계층 3)의 조합을 예시하는바, 이러한 조합 역시 가능하다.
다수의 계층들(1, 2, 3)을 갖는 네트워크의 개별 전송 스테이션들은, 부하가 작거나 혹은 부하가 없는 경우에 스위치 오프될 수 있다. 개별 전송 스테이션들을 스위칭 오프시키는 것이, 서플라이 영역과 모바일 무선 네트워크의 통상적인 네트워크 가용성(availability)을 제한하지 않게 하기 위해서, 디폴트 계층(1)을 정의해야할 필요가 있는바, 디폴트 계층에서는 그 어떤 전송 스테이션들도 스위치 오프되지 않는다. 이러한 디폴트 계층(1) 즉, 표준 계층(1)은 서플라이 및 통상적인 네트워크 가용성을 보장한다.
전송 스테이션들을 재활성화시키기 위한 조건들은 다음의 응용예들에 따라 차이가 난다. 디폴트 계층(1)과는 다른 기술을 이용하는 전송 스테이션들(계층 3)이 스위치 오프되는 때에,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 즉 상기 기술을 지원하는 모바일 무선 단말기가 서플라이 영역에서 활성화되는 경우에 이들 전송 스테이션들을 실제로 재활성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것은, 스위치 오프된 전송 스테이션이 소정 기술을 지원하고 상기 소정 기술은 디폴트 계층(1)내의 현재 전송 스테이션들에 의해 지원되지 않는 기능들 혹은 서비스들을 지원하는 경우이다.
동일한 기술을 이용하는 전송 스테이션들(계층 2)은, 현재의 전송 스테이션에서 부하 한계값이 초과되는 경우에 재활성화될 수 있다. 이러한 것은, 상이한 서비스 계층들(1, 2, 3)을 구비한 네트워크를 야기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전송 스테이션들은 디폴트 계층(1)에서 스위치 오프되지 않는다. 스위치 오프될 수 있는 부하 계층(2)은 디폴트 계층의 기술과 동일한 기술을 사용하는 전송 스테이션들을 포함한다. 상기 계층(부하 계층 2) 내의 전송 스테이션들을 스위치 오프시키기 위한 판단기준은 디폴트 계층(1)과 부하 계층(2)의 낮은 호출 레벨이다. 트리거 조건, 달리 말하면, 부하 계층(2) 내의 전송 스테이션들을 재활성화시키기 위한 스위치-온 조건은, 디폴트 계층(1)에서의 증가된 호출 레벨이다.
스위치 오프될 수 있는 서비스 계층(3)은 디폴트 계층(1)과는 다른 기술을 이용하는 전송 스테이션들을 포함하며 그리고 상이한 서비스들 및 기능들을 지원한다. 상기 계층(3)내의 전송 스테이션들을 스위치 오프시키기 위한 조건은 소정 시간 동안의 비활동(inactivity) 이다. 상기 계층(3)내의 전송 스테이션들을 재활성화시키기 위한 조건은 단말기의 활동(activity) 이다. 상기 단말기는 스위치 오프될 수 있는 서비스 계층(3)의 기술을 지원하며 그리고 서비스 계층(3)에서 스위치 온될 수 있는 전송 스테이션의 서플라이 영역 내에서 디폴트 계층(1) 혹은 부하 계층(2)에 등록된다.
도2는 모니터링 유닛을 구비한, 표준 계층(1) 내의 제 1 전송 스테이션과 제 2 계층(2) 혹은 추가 계층(3) 내의 제 2 전송 스테이션 간의 통신 프로토콜을 예시한 도면이다.
부하 계층(2) 혹은 서비스 계층(3) 내의 개별 전송 스테이션들을 재활성화시키기 위해서, 재연결을 위한 기준들이 디폴트 계층(1) 및/또는 부하 계층(2)에서 만족되었다는 것을 관련 전송 스테이션들에게 알려줄 필요가 있다.
이러한 경우, 부하 계층(2) 내의 전송 스테이션들을 스위칭 온 하기 위한 판단기준이 오직 디폴트 계층(1)에서만 만족될 수도 있다는 점을 유의해야 한다. 서비스 계층(3) 내의 전송 스테이션들을 스위칭 온 하기 위한 판단기준은 디폴트 계층(1) 및 부하 계층(2)에서 만족될 수도 있다.
또한, 디폴트 계층(1) 내의 전송 스테이션들이, 서비스 계층(3) 및 부하 계층(2)의 전송 스테이션들의 스위칭 온된 상태를 관리할 필요가 있다. 부하 계층(2) 내의 전송 스테이션들은 서비스 계층(3) 내의 전송 스테이션들의 스위칭 온된 상태를 관리해야만 한다. 이는, 스위치-온 트리거가 발생된 때 즉, 스위치-온 조건이 만족될 때 스위치 온 될 예정인 전송 스테이션들에게 이들 전송 스테이션들이 적절한 명령들을 발행할 것을 보장하기 위해서 필요하다. 이 경우, 동일한 서플라이 영역을 갖는 전송 스테이션들의 상태들만이 관리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유의해야 한다.
스위치-온 상태의 변화들을 해당 전송 스테이션들에게 시그널링하기 위해서, 전송 스테이션들 사이에서 프로토콜이 필요하다. 또한, 상기 프로토콜은 해당 트리거 조건이 만족되는 상황에서 전송 스테이션을 스위치 온 시키기 위한 명령들을 지원한다. 더 나아가, 상기 프로토콜은 개별 전송 스테이션들(Node B)의 스위치-온 상태들을 체크하기 위해서 명령들을 지원하도록 의도된다.
RIM(RAN Information Management)은, 3GPP TS 48.018:"General Packet Radio Service(GPRS); BSS GPRS 프로토콜(BSSGP)" 에 정의된 바와 같은 프로토콜을 위한 기초로서 이용될 수 있다.
RIM에 기초하여, 도2에 예시된 바와 같은 명령들을 이용하여 추가적인 어플리케이션 파워 절감이 수행된다.
● POWER STATUS REQUEST 는 전송 스테이션의 스위치-온 상태를 체크한다.
● POWER STATUS RESPONSE 는 응답으로서 전송 스테이션의 현재 스위치-온 상태를 포함한다.
● POWER SWITCHOFF 는 전송 스테이션을 스위칭 오프시키기 위한 트리거 조건이 만족되었음을 나타내며, 그리고 전송 스테이션을 스위치 오프시킨다.
● POWER SWITCHOFF ACK 는 POWER SWITCHOFF 메시지의 수신을 확인한다.
● POWER SWITCHON REQUEST 는 전송 스테이션의 재활성화를 요청한다.
● POWER SWITCHON ACK 는 전송 스테이션이 성공적으로 스위치 온되었다는 것을 나타낸다.
1: 디폴트 계층
2: 스위치 오프될 수 있는 부하 계층
3: 스위치 오프될 수 있는 서플라이 계층

Claims (9)

  1. 2개 이상의 서플라이 계층(supply layer)을 갖는 모바일 무선 네트워크를 운영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서플라이 계층들은 서로 겹치며 그리고 이들 각각은 다수의 전송 스테이션들로 구성되며, 제 1 서플라이 계층은 상기 모바일 무선 네트워크의 가용성(availability)을 보장하는 표준 계층(standard layer)으로 정의되며, 그리고 제 2 혹은 추가 서플라이 계층은 상기 표준 계층과는 다른 서비스를 제공하며 그리고 상기 표준 계층과는 다른 기술에 속하며, 상기 제 2 혹은 추가 서플라이 계층에 의해 제공되는 서비스가 요구되지 않거나 혹은 소정 시간동안 요구되지 않는 때에, 상기 제 2 혹은 추가 서플라이 계층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및 일시적으로 비활성화되며,
    상기 제 2 혹은 추가 서플라이 계층의 비활성화된 전송 스테이션은, 상기 기술을 지원하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가 상기 비활성화된 전송 스테이션의 서비스 영역 내에서 활성화되는 경우 재활성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무선 네트워크를 운영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무선 네트워크의 부하(load)가 모니터링되며, 그리고 정의가능한 하한값에 보다 부하가 낮아지는 경우, 상기 제 2 서플라이 계층 혹은 상기 제 2 서플라이 계층 내의 개별 전송 스테이션들이 비활성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무선 네트워크를 운영하는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혹은 추가 서플라이 계층 혹은 상기 제 2 및 추가 서플라이 계층 둘다의 각각의 모든 전송 스테이션들에 대해서 부하 모니터링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무선 네트워크를 운영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혹은 추가 서플라이 계층 혹은 상기 제 2 및 추가 서플라이 계층 둘다의 개별 전송 스테이션들이 일시적으로 비활성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무선 네트워크를 운영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출력 전송 파워를 0으로 지속적으로 감소시킴으로써, 상기 제 2 혹은 추가 서플라이 계층 혹은 상기 제 2 및 추가 서플라이 계층 둘다의 전송 스테이션이 비활성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무선 네트워크를 운영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혹은 추가 서플라이 계층 혹은 상기 제 2 및 추가 서플라이 계층 둘다의 전송 스테이션들의 스위칭 상태, 혹은 상기 제 2 혹은 추가 서플라이 계층 혹은 상기 제 2 및 추가 서플라이 계층 둘다의 개별 전송 스테이션들의 스위칭 상태는 모니터링 유닛에 의해서 모니터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무선 네트워크를 운영하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혹은 추가 서플라이 계층 혹은 상기 제 2 및 추가 서플라이 계층 둘다의 전송 스테이션들은, 이들 전송 스테이션들에 의해서 제공되는 특정 서비스들이 상기 모바일 무선 네트워크에서 액세스되는 때에 활성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무선 네트워크를 운영하는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요청 또는 스위칭 명령이 모니터링 유닛으로부터 수신되었거나 또는 스위칭 명령을 수신한 이후에 전송 스테이션의 스위칭 상태가 변경된 때에, 상기 제 2 혹은 추가 서플라이 계층 혹은 상기 제 2 및 추가 서플라이 계층 둘다의 전송 스테이션의 현재 스위칭 상태는 프로토콜에 의해서 상기 모니터링 유닛에게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무선 네트워크를 운영하는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표준 계층이 상기 모니터링 유닛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무선 네트워크를 운영하는 방법.
KR1020107013428A 2007-11-28 2008-10-13 적어도 2개의 서플라이 계층을 갖는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에서 에너지 사용을 감소시키는 방법 KR10119193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7057607.4 2007-11-28
DE102007057607A DE102007057607A1 (de) 2007-11-28 2007-11-28 Verfahren zur Reduzierung des Stromverbrauchs in einem Mobilfunknetz mit mindestens zwei Versorgungsebenen
PCT/EP2008/008645 WO2009068138A1 (de) 2007-11-28 2008-10-13 Verfahren zur reduzierung des stromverbrauchs in einem mobilfunknetz mit mindestens zwei versorgungsebene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5609A KR20100105609A (ko) 2010-09-29
KR101191935B1 true KR101191935B1 (ko) 2012-10-17

Family

ID=403036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13428A KR101191935B1 (ko) 2007-11-28 2008-10-13 적어도 2개의 서플라이 계층을 갖는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에서 에너지 사용을 감소시키는 방법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8412205B2 (ko)
EP (1) EP2232909B1 (ko)
JP (1) JP5343084B2 (ko)
KR (1) KR101191935B1 (ko)
CN (1) CN101919280B (ko)
AT (1) ATE537676T1 (ko)
BR (1) BRPI0819882A2 (ko)
CA (1) CA2706607C (ko)
DE (1) DE102007057607A1 (ko)
ES (1) ES2383187T3 (ko)
MX (1) MX2010005574A (ko)
PL (1) PL2232909T3 (ko)
WO (1) WO200906813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965038B (zh) * 2009-07-23 2015-06-10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系统间基站的节能控制方法与装置
CN102656915A (zh) * 2009-08-18 2012-09-05 瑞典爱立信有限公司 异类无线电通信网络中的节能机制
US8554224B2 (en) * 2010-03-24 2013-10-08 Qualcomm Incorporated Cellular network energy saving
EP2553984A1 (en) 2010-03-29 2013-02-06 Nokia Siemens Networks Oy Power consumption reduction within a telecommunication network operating with different radio access technologies
CN102316561B (zh) * 2010-07-08 2015-01-07 上海贝尔股份有限公司 一种异构网络中的节电方法及其基站
TW201230707A (en) * 2010-08-31 2012-07-16 Corning Inc Broadband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s system with distributed antenna system using interleaving intra-cell handovers
US8902791B2 (en) * 2010-10-01 2014-12-02 Qualcomm Incorporated Configuration control of inter-cell signaling based on power state
CN102695248B (zh) * 2011-03-22 2015-08-19 华为技术有限公司 多制式网络下的通信方法、网络设备及通信系统
CN102781069B (zh) * 2011-05-13 2016-03-30 华为技术有限公司 多制式小区的配置方法、业务建立方法、装置及系统
US20120329449A1 (en) * 2011-06-23 2012-12-27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providing continued subscriber services with inter-rat (radio access technology) network energy savings
US10548077B2 (en) 2011-08-12 2020-01-28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Energy saving in a communications network
CN105245744B (zh) * 2014-07-07 2020-01-10 霍尼韦尔国际公司 Gprs连接保护方法和系统
US11310682B2 (en) 2019-04-26 2022-04-19 Parallel Wireless, Inc. Demand-based dynamic carrier scaling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0007384A1 (en) 1998-07-27 2000-02-10 Motorola Inc. Method for optimizing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subscriber transmission history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9200915D0 (sv) * 1992-03-24 1992-03-24 Ericsson Telefon Ab L M Methods in a cellular mobile radio communincation system
GB2316578B (en) 1996-08-24 2001-01-24 Motorola Ltd Control system for cellular network
JPH10145842A (ja) * 1996-11-08 1998-05-29 Nec Corp 無線基地局パワーセーブ移動通信システム
US6421529B1 (en) * 1999-06-15 2002-07-16 Lucent Technolog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detection of a reduction in capacity of a CDMA system
US7024186B1 (en) * 2000-08-15 2006-04-04 Ntt Docomo, Inc. Communication performance calculation method and communication performance calculation apparatus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blocking probability calculation method and blocking probability calculation apparatus in communication system, and recording medium
FI20000700A (fi) * 2000-03-24 2001-09-25 Nokia Mobile Phones Ltd Parannetun tehonsäästöominaisuuden omaava matkapuhelin
DE10035116C2 (de) 2000-07-19 2002-12-19 Infineon Technologies Ag Hochfrequenz-Schnittstelle für Dual-Standard Basisband-Chips
GB0105910D0 (en) * 2001-03-09 2001-04-25 Cellular Design Services Ltd Measurement-based prediction method for radiation path loss
JP3938854B2 (ja) * 2001-07-23 2007-06-27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無線基地局での送信電力制御方法及び移動通信システム並びに無線基地局
WO2003013168A1 (en) * 2001-07-29 2003-02-13 Yuval Barkan Cellular network system and method
US7016710B2 (en) * 2001-07-31 2006-03-2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Power optimized request response communication protocol with timer mechanism to enforce client to generate request
KR100528336B1 (ko) * 2003-07-28 2005-11-15 삼성전자주식회사 Csma/ca 기반의 무선 랜상에서 수신 소비 전력제어 방법 및 장치
US7257095B2 (en) * 2003-07-30 2007-08-14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Power saving via physical layer address filtering in WLANs
US7245947B2 (en) * 2003-09-16 2007-07-17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power-based control of an ad hoc wireless communications network
CN1985532B (zh) * 2004-06-04 2010-05-12 艾维诺·赛尔维若·麦迪拿·德·苏沙 基于自主基础设施的无线网络及其系统和方法
JP4558611B2 (ja) * 2005-09-02 2010-10-06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自律適応型統合基地局およびリソース制御方法
KR100712929B1 (ko) * 2005-09-29 2007-05-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배터리 잔여량에 따른 셀 재선택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EP2166775B1 (en) * 2007-07-09 2015-08-12 Fujitsu Limited Mobile station device and cell setting method
US8280387B2 (en) * 2008-05-22 2012-10-02 Ntt Docomo, Inc. Femtocell channel assignment and power control for improved femtocell coverage and efficient cell search
EP2184939B1 (en) * 2008-11-07 2019-05-15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Reducing interference and energy consumption for femto base stations
KR101676033B1 (ko) * 2010-01-08 2016-11-29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전력 소모 감소 방법 및 장치
US8588696B2 (en) * 2010-06-04 2013-11-19 Apple Inc. Adaptive cellular power control
US8442475B2 (en) * 2010-11-15 2013-05-14 Qualcomm Incorporated Power conservation in wireless access terminals using integrated proxy functio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0007384A1 (en) 1998-07-27 2000-02-10 Motorola Inc. Method for optimizing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subscriber transmission history
US6125278A (en) 1998-07-27 2000-09-26 Wieczorek; Alfred A. Method for optimizing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subscriber transmission histor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00234013A1 (en) 2010-09-16
CA2706607A1 (en) 2009-06-04
EP2232909A1 (de) 2010-09-29
BRPI0819882A2 (pt) 2015-06-16
ATE537676T1 (de) 2011-12-15
JP2011508470A (ja) 2011-03-10
KR20100105609A (ko) 2010-09-29
DE102007057607A1 (de) 2009-06-25
CN101919280A (zh) 2010-12-15
PL2232909T3 (pl) 2012-05-31
CA2706607C (en) 2013-08-06
ES2383187T3 (es) 2012-06-19
US8412205B2 (en) 2013-04-02
EP2232909B1 (de) 2011-12-14
CN101919280B (zh) 2013-09-18
WO2009068138A1 (de) 2009-06-04
JP5343084B2 (ja) 2013-11-13
MX2010005574A (es) 2010-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1935B1 (ko) 적어도 2개의 서플라이 계층을 갖는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에서 에너지 사용을 감소시키는 방법
EP2080394B1 (en) Reconfigurator for modifying characteristics of base stations
US10531379B2 (en) Inter-RAT coverage determination for energy saving management
WO2012071827A1 (zh) 基站功耗控制方法及系统
JP6538677B2 (ja) デバイスの無線インタフェースの管理の方法及び対応する無線デバイス
KR20070072144A (ko) 제 2 통신 모듈의 활성화에 따라, 제 1 통신 모듈의 전력을절감할 수 있도록 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방법
US9332550B2 (en) Controlling fast dormancy
JP5584309B2 (ja) 基地局及びその制御方法
US20160014841A1 (en) Devices and methods for protocol mode switching
JP2010538576A (ja) 電気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エネルギー節約方法
EP2381723B1 (en) Method and system for realizing energy saving control of bs
KR20010033203A (ko) 스케일러블 무선 통신 네트워크 및 방법
JP2006087019A5 (ko)
JP2007097174A (ja) サービス品質を制御および監視する方法
KR101572933B1 (ko) 다중반송파 주파수 전력증폭기 자원의 제어 방법 및 장치
JP4364572B2 (ja) 無線通信端末
GB2396525A (en) A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of idle state support therefor
WO2023225376A1 (en) Method for resources utilization of network slices
US8391863B2 (en) Assembly comprising a cellular network and at least one mobile terminal, method for the operation of such an assembly, mobile terminal and control device
WO2010035577A1 (ja) 通信システム、呼処理装置、通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8892093B1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for increasing the rescan timer in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CN106358218A (zh) 用于业务传输的方法及传输设备
US20040203837A1 (en) Opportunistic channel assignments
WO2023201747A1 (e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power saving in wireless networks
KR101102240B1 (ko) 착신 호 자동전환 기능을 갖는 dmdb 단말을 운용하는 통신 네트워크 시스템과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