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8857B1 - 투명 층 애플리케이션 - Google Patents

투명 층 애플리케이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8857B1
KR101188857B1 KR1020097015910A KR20097015910A KR101188857B1 KR 101188857 B1 KR101188857 B1 KR 101188857B1 KR 1020097015910 A KR1020097015910 A KR 1020097015910A KR 20097015910 A KR20097015910 A KR 20097015910A KR 101188857 B1 KR101188857 B1 KR 1011888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pplication
display
applications
computer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159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96743A (ko
Inventor
마르쿠 리티바아라
Original Assignee
노키아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키아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노키아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900967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67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88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88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4Transparency, e.g. transparent or translucent wind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Display Devices Of Pinball Game Machine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장치는 프로세서와 프로세서에 연결된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며, 디스플레이는 제2애플리케이션이 제1애플리케이션 위에 투명하게 표시되고 제1 및 제2 애플리케이션들이 활성 애플리케이션들이 되게끔 제1 및 제2 애플리케이션들을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투명 층 애플리케이션{Transparent layer application}
개시된 실시예들은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관한 것이고, 더 상세하게는, 전자 기기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관한 것이다.
개인용 컴퓨터, 개인휴대 정보단말, 이동 전화기 등과 같은 현재의 전자 기기들은 애플리케이션들을 동시에 실행할 수 있지만, 기기의 사용자는 사용자가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들의 하나를 사용하기 원할 때 애플리케이션들 사이를 전환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만약 달력 애플리케이션이 전자 기기의 포그라운드에서 실행 중(즉, 활성 애플리케이션)이고 음악 플레이어가 백그라운드에서 실행 중이라면, 사용자가 음악 플레이어에 접근하여 작동시킬 수 있기 전에 사용자는 달력 애플리케이션을 비활성화시켜야 하고 그렇지 않으면 달력 애플리케이션을 비활성으로 만들거나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포그라운드보다는 백그라운드로 이동시켜야 하고 그 반대로도 마찬가지이다.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에서 다른 애플리케이션으로 계속 전환하지 않고서도 하나를 넘는 애플리케이션을 동시에 동작시킬 수 있다면 유익할 것이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장치가 제공된다. 이 장치는 프로세서와 프로세서에 연결된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며, 디스플레이는 제2애플리케이션이 제1애플리케이션 위에 투명하게 표시되고 제1 및 제2 애플리케이션들이 활성 애플리케이션들이 되게끔 제1 및 제2 애플리케이션들을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하도록 구성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방법이 제공된다. 이 방법은 제2애플리케이션이 제1애플리케이션 위에 투명하게 표시되고 제1 및 제2 애플리케이션들이 사용자에 의한 조작을 위해 활성적으로 실행되게끔 제1애플리케이션을 디스플레이상에 표시하고 제2애플리케이션을 상기 디스플레이상에 표시하는 단계를 구비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이 제공된다. 이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컴퓨터가 적어도 제1 및 제2 애플리케이션을 디스플레이하도록 하기 위해 컴퓨터 판독가능 코드 수단을 그 속에 수록한 컴퓨터 사용가능 매체를 구비한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컴퓨터 판독가능 코드 수단은 컴퓨터가 제1애플리케이션을 디스플레이상에 디스플레이하게 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코드 수단과 컴퓨터가 제2애플리케이션이 제1애플리케이션 위에 투명하게 표시되도록 제2애플리케이션을 디스플레이상에 디스플레이하게 하고 는 컴퓨터 판독가능 코드 수단을 포함하고 제1 및 제2 애플리케이션들은 사용자에 의한 조작을 위해 활성적으로 실행중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개시된 실시예들의 전술한 양태들 및 다른 특징들은 다음의 첨부 도면들에 관하여 다음의 설명에서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개시된 실시예들의 양태들이 구현될 수 있는 기기를 도시한다.
도 2a 및 2b는 실시예에 따른 기기의 스크린 샷들을 도시한다.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흐름도를 보인다.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기기를 도시한다.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기기를 도시한다.
도 6은 개시된 실시예들의 양태들이 구현될 수 있는 예시적인 기기의 일반 구조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7은 실시예의 특징들을 통합한 통신 기기가 적용될 수 있는 환경의 예로서 셀룰러 원격통신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양태들을 실용화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특징들을 통합한 전형적인 장치의 하나의 실시예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1은 개시된 실시예들의 양태들이 채용될 수 있는 기기(101)를 도시한다. 개시된 실시예들이 도면에 보인 실시예들에 관하여 설명될 것이지만, 개시된 실시예들은 실시예들의 수많은 대체 형태들로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부가적으로, 임의의 적당한 사이즈, 형상 또는 유형의 요소들 또는 재료들이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은 예시만의 목적으로 도 1에 보인 이동 통신 기기(101)에 관하여 설명될 것이고 실시예들은 개시된 실시예들을 구현하기 위한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프로세서, 메모리 및 지원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를 통합하는 어느 적당한 기기에 동등하게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도 1 을 참조하면, 기기(101)의 디스플레이(220)는 애플리케이션 구역(110), 소프트 키 기능부들(120, 130), 애플리케이션 바(140), 배터리 표시기(100), 날짜(105) 및 임의의 적당한 정보 또는 아이템들을 구비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바(140)는 사용자가 기기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하는 것을 허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a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애플리케이션 바(160)는 전화번호부, 이메일 또는 다른 메시징 애플리케이션, 달력, 비디오 플레이어, 인쇄 기능부 및 임의의 다른 적당한 애플리케이션을 구비할 수 있다. 사용자는 애플리케이션 바(140)를 통해 애플리케이션을 스크롤하고 선택하도록 스크롤 또는 네비게이션 키(230)를 사용할 수 있다. 대체 실시예들에서 애플리케이션들은 예를 들면 기기의 메뉴를 통해 또는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와 상호작용하는 스타일러스와 같은 임의의 적당한 방식으로 스크롤 될 수 있고 선택될 수 있다. 이 예에서 달력 기능은 디스플레이(220)상의 프레젠테이션을 위해 선택된다. 사용자의 달력 엔트리들은 사용자에 의한 보기 또는 수정을 위해 애플리케이션 구역에서 표시될 수 있다.
기기(101)의 사용자는 기기에서 실행중인 제1애플리케이션을 가질 수 있다. 기기에서 실행중인 제1애플리케이션은 여기서는 네이티브 애플리케이션(native application)이라고 한다. 이 예에서, 애플리케이션 구역(110), 소프트 키 기능부(120, 130), 애플리케이션 바(140), 애플리케이션 구역(110), 배터리 표시기(100), 날짜(105)는 여기서는 통칭하여 네이티브 애플리케이션(160)이라고 할 것이다(예컨대, 네이티브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가 아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될 바와 같이 기기의 투명한 애플리케이션 기능을 활성화하기 전에 디스플레이상에 표시된 디스플레이 화면이다). 대체 실시예들에서, 네이티브 애플리케이션은 기기에서 실행중인 어느 적당한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화면의 어느 적당한 부분일 수 있다. 개시된 실시예들에 따라서, 사용자는 달력 애플리케이션을 닫거나, 비활성화하거나 또는 그렇지 않으면 달력 애플리케이션을 포그라운드에서 가지기 보다는 달력 애플리케이션을 백그라운드로 이동하는 일 없이, 다른 애플리케이션(예컨대 2차 애플리케이션)을 열기를 원할 수 있다. 2차 애플리케이션은 기기의 어느 적당한 애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하나를 넘는 애플리케이션을 동일한 시간에 작동할 수 있도록 하나를 넘는 애플리케이션을 사용자가 여는 것을 허용하기 위해, 기기는 2차 애플리케이션들이 네이티브 애플리케이션 위에 그리고 서로 간에 투명한 방식으로 놓이게끔 2차 애플리케이션들을 열도록 구성될 수 있다. 2차 애플리케이션들이 투명한 방식으로 디스플레이되기 때문에, 2차 애플리케이션은 여기서는 투명한 애플리케이션이라고 할 것이다.
네이티브 애플리케이션은 만약 그것이 애플리케이션이 기기에서 열려있는 유일한 것이었다면 디스플레이될 것처럼 기기(101)의 디스플레이(220)상에 제시될 수 있다. 제1 투명 애플리케이션은 네이티브 애플리케이션 위에 있는 계층이 되도록 디스플레이에 표시될 수 있다. 제1 투명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가 네이티브 애플리케이션과 제1 투명 애플리케이션 모두를 볼 수 있도록 투명하게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제2 투명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가 모두 3개의 애플리케이션들을 동시에 볼 수 있도록 네이티브 애플리케이션 및 제1 투명 애플리케이션 둘 다의 상단에 있는 계층이 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애플리케이션들의 모두(즉 네이티브 및 투명 애플리케이션들)는 활성 애플리케이션들이다(예컨대, 사용자는 애플리케이션들 사이를 전환하는 일 없이 그 애플리케이션들을 동작시킬 수 있다).사용자가 네이티브 및 투명 애플리케이션들의 각각을 조작하도록 하기 위해, 기기(101)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 부분은 애플리케이션들의 각각에 지정될 수 있다. 예를 든다는 목적만을 위해, 키패드(210)는 네이티브 애플리케이션을 조작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스크롤 키(230)는 제1 투명 애플리케이션을 조작도록 구성될 수 있고, 소프트 키들(231, 232), 제2 키(233) 및 통화종료(end call) 키(234)는 제2 투명 애플리케이션을 조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대체 실시예들에서 기기(101)는 네이티브 및 2차 애플리케이션들의 각각을 동작시키도록 적당히 구성될 수 있다.
도 2a 및 2b를 이제 참조하면, 디스플레이(220)는 예를 들면 기기의 적어도 하나의 투명 애플리케이션을 활성화하기 위한 탭 또는 아이콘(150)과 같은 하나 이상의 적당한 표시기를 구비할 수 있다. 대체 실시예들에서 투명 애플리케이션의 어느 적당한 표시기가 이용될 수 있다. 이 예에서 하나의 탭(150)만이 보이고 있지만 대체 실시예들에서 어느 적당한 수의 탭이 디스플레이(220)상의 디스플레이를 위해 표시될 수 있다. 대체 실시예들에서, 키패드(210)는 투명 애플리케이션들을 활성화하기 위해 사용자가 누르는 투명 애플리케이션들에 상응하는 키들을 구비할 수 있다. 다른 대체 실시예들에서, 투명 애플리케이션은 소프트 키 기능부들(120, 130)을 통해 표시될 수 있다. 또 다른 대체 실시예들에서 투명 기능부는 사용자에 의한 선택을 위해 어느 적당한 방식으로 표시될 수 있는데 이를테면, 예를 들어, 투명 애플리케이션 탭들을 구비하는 슬라이더가 디스플레이(220)의 측면을 따라 있을 수 있다. 사용자는 투명 애플리케이션 탭들(150), 소프트 키 기능부들(130, 12) 또는 기기(101)의 키들을 통해 어떤 애플리케이션들을 표시할 것인지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기는 사용자가 어떤 애플리케이션들이 투명 모드로 실행될 것인지를 지정할 수 있는 적당한 셋업 메뉴를 구비할 수 있다. 대체 실시예들에서, 투명 모드에서 실행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들은 기기의 제조자에 의해 구성되거나 미리 설치될 수 있다. 다른 대체 실시예들에서 투명 애플리케이션들은 탭들(150), 소프트 키 기능부들(130, 120) 또는 기기(101)의 키들에 의해 이를테면 사용자 선택가능 애플리케이션들 및 제조자 설치 애플리케이션들의 조합을 통한 어느 적당한 방식으로 프레젠테이션을 위해 선택될 수 있다.
탭들(150)은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220) 의 전용 영력과 같은 어느 적당한 영역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거나 또는 탭들(150)은 디스플레이(220)상에 선택적으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미리 결정된 키를 선택하거나 활성화할 때 탭들(150)은 위에서 설명된 슬라이더에서 표시될 수 있거나 또는 그것들은 디스플레이(220)의 어느 적당한 영역에서 선택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투명 애플리케이션 기능부는 사용자가 소프트 키들(232, 231)을 통해 선택할 수 있는 소프트 키 명령들(120, 130)을 통해 표시될 수 있다. 탭들(150)은 투명 애플리케이션 기능부의 활성화에 의거하여 디스플레이(220)의 어느 적당한 영역에 표시될 수 있다. 대체 실시예들에서 투명 탭들(150)은 키패드(210)상의 키 또는 키들의 조합을 통해 액세스될 수 있다. 다른 대체 실시예들에서, 탭들(150)은 어느 적당한 방식으로 사용자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다. 기기는 예를 들면 탭들(150)을 표시하 고 숨기기 위한 소프트 키 기능부나 전용 투명 애플리케이션 키와 같이 디스플레이(220)로부터 탭들(150)을 숨기거나 아니면 제거하는 키를 구비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탭들(150)은 미리 결정된 기간 후에 디스플레이(120)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도 2a에서, 음악 플레이어 탭(150)은 사용자에 의한 선택을 위해 디스플레이상에 표시된다. 대체 실시예들에서, 탭은 예를 들면 비디오 플레이어, 전호번호부, 이메일, MMS, SMS, 또는 기기에 저장된 어느 다른 적당한 애플리케이션에 상응할 수 있다. 도2b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음악 플레이어 탭(150)이 선택될 때 음악 플레이어를 위한 컨트롤들이 디스플레이(220)상에서 네이티브 애플리케이션(160) 위에 표시될 수 있다. 이 예에서, 음악 플레이어 컨트롤들은 볼륨 아이콘(180), 재생 아이콘(175), 고속 감기(Fast forward) 아이콘(185) 및 되감기(rewind) 아이콘(17)을 구비할 수 있다. 대체 실시예들에서 음악 플레이어 컨트롤들은 어느 적당한 컨트롤들을 구비할 수 있다. 음악 플레이어 컨트롤들(170-185)은 사용자가 네이티브 애플리케이션(160)과 음악 플레이어 애플리케이션(즉, 투명 애플리케이션(165)) 둘 다를 볼 수 있도록 하는 투명한 방식으로 디스플레이(220) 상에 표시될 수 있다. 음악 플레이어 컨트롤들 외에도, 복귀 탭(190)이 투명 애플리케이션(165)을 닫거나 아니면 숨기기 위해 디스플레이(220) 상에 표시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소프트 키 기능부들 및 또는 기기의 기패드 상의 키는 투명 애플리케이션을 닫거나 아니면 숨기도록 구성될 수 있다. 대체 실시예들에서, 어느 적당한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어느 적당한 컨트롤들 또는 애플리케이션 콘텐츠 는 네이티브 애플리케이션 위에 투명하게 표시될 수 있다. 대체 실시예들에서, 어느 적당한 수의 투명 애플리케이션들이 네이티브 애플리케이션 위에 표시될 수 있다.
투명 애플리케이션(165)이 디스플레이(220)상에 디스플레이될 때 투명 애플리케이션(165) 및 네이티브 애플리케이션(160) 둘 다의 기능은 사용자의 선택을 위해 활성화되고 이용가능하게 된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네이티브 애플리케이션(160) 및 투명 애플리케이션(165) 둘 다를 동시에 액세스하고 동작하도록 할 수 있게 된다. 이 예에서, 사용자는, 예를 들면, 스크롤 또는 네비게이션 키(230)를 통해 네이티브 애플리케이션(160)을 조작할 수 있고 사용자는, 예를 들면,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220)에 의하여 스타일러스(250)를 통해 투명 애플리케이션(165)을 조작할 수 있다. 대체 실시예들에서, 사용자는 네이티브 애플리케이션(160)을 스타일러스(25)를 가지고서 그리고 투명 애플리케이션(165)을 스크롤 키(230)를 통해 조작할 수 있다. 다른 대체 실시예들에서 네이티브 및 투명 애플리케이션들의 기능들은 어느 적당한 방식으로 사용자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다. 사용자가 네이티브 및 투명 애플리케이션들(160, 165)을 동시에 보고 조작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두 애플리케이션들 사이를 전환하지 않아도 되거나 계속해서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을 닫고 다른 애플리케이션에 액세스하지 않아도 된다.
이제 도 3을 참조하면, 개시된 실시예들의 예시적인 동작이 설명될 것이다. 동작 시, 네이티브 애플리케이션(160)은 기기(101)의 디스플레이(220)상에 디스플레이된다(도 3, 블록 300). 사용자는 투명 애플리케이션(165)을 예를 들면 투명 애 플리케이션 탭 또는 아이콘(150)을 선택하는 것에 의해 또는 키패드(210)상의 키를 누르는 것에 의한 것과 같은 어느 적당한 방식으로 투명 애플리케이션(165)을 선택할 수 있다. 투명 애플리케이션(165)은 네이티브 애플리케이션(160)의 상단에 또는 그 위에 도 2b에서 가장 잘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투명한 방식으로 디스플레이된다(도 3, 블록 310). 사용자는 투명 애플리케이션의 투명도(즉, 그것의 네이티브 애플리케이션 위에 존재정도)를 예를 들면 기기의 메뉴 선택을 통하는 것과 같은 어느 적당한 방식으로 선택할 수 있다. 대체 실시예들에서, 투명 애플리케이션의 투명도는 기기의 제조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기기(101)는 선택된 애플리케이션을 활성적으로(actively) 실행시키는 반면 비선택된 또는 네이티브 애플리케이션을 백그라운드로 실행시키기 보다는, 네이티브 애플리케이션(160)과 투명 애플리케이션(165) 둘 다를 동시에 활성적으로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도 3, 블록 320). 네이티브 및 투명 애플리케이션들 둘 다를 활성적으로 실행시키는 것에 의해 사용자는 애플리케이션들 사이를 전환하지 않아도 된다(예컨대, 사용자는 어떤 애플리케이션이 디스플레이의 백그라운드에서 비활성적으로 실행될지를 선택하지 않아도 된다). 두 애플리케이션이 기기에서 활성적으로 실행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어느 적당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들을 통해 네이티브 및 투명 애플리케이션들(160, 165)을 각각 동시에 동작시킬 수 있다(도 3, 블록 330). 예를 들면 사용자는 네이티브 애플리케이션(160)을 기기(101)의 키패드(210)를 통해 조작할 수 있는 한편 동시에 투명 애플리케이션(165)을 스타일러스(250) 및 기기의 터치 스크린(220)을 통해 조작할 수 있고 그 반대로도 동시에 조작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기기(101)의 어느 적당한 컨트롤들은 네이티브 및 투명 애플리케이션들 중의 개별 하나를 동작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
개시된 실시예들이 채용될 수 있는 기기(101)의 하나의 실시예가 도 4에서 더 상세히 예시된다. 기기는 단말 또는 이동 통신 기기(400)와 같은 어느 적당한 기기일 수 있다. 단말(400)은 키패드(410) 및 디스플레이(420)를 가질 수 있다. 키패드(410)는 예를 들면 다중-기능/스크롤 키(430), 소프트 키들(431, 432), 통화 키(433) 및 통화 종료 키(434) 그리고 영숫자 키들(435)과 같은 어느 적당한 사용 입력 디바이스들을 구비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420)는 예를 들면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또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같은 어느 적당한 디스플레이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는 기기(400)에 통합될 수 있거나 디스플레이는 기기(400)에 연결된 주변 디스플레이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스타일러스, 펜 또는 단순히 사용자의 손가락과 같은 포인팅 기기가 디스플레이(420)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대체 실시예들에서 어느 적당한 포인팅 기기가 사용될 수 있다. 다른 대체 실시예들에서, 디스플레이는 기존의 디스플레이일 수 있다. 기기(400)는, 예를 들면, 카메라, 라우드 스피커, 접속 포트 또는 촉각식 피드백 특징부들과 같은 다른 적당한 특징부들을 구비할 수도 있다. 이동 통신 기기는 디스플레이에 연결되어 사용자 입력들을 처리하고 정보를 디스플레이(420)에 디스플레이하는 프로세서(618)를 구비할 수 있다. 메모리(602)가 어느 적당한 정보 및/또는 이동 통신 기기(400)에 관련된 애플리케이션들 이를 테면 전화번호부 엔트리들, 달력 엔트리들, 웹 브라우저 등을 저장하기 위해 프로세서(618)에 연결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기기는 예를 들면 도 5에 도시된 PDA 스타일러스 기기(400')일 수 있다. PDA(400')는 키패드(410'),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420') 및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420')상에서 사용하기 위한 포인팅 기기(450)를 가질 수 있다. 또 다른 대체 실시예들에서, 기기는 개인용 커뮤니케이터, 태블릿 컴퓨터, 랩톱 또는 데스크탑 컴퓨터, 텔레비전 또는 텔레비전 셋탑 박스, 또는 디스플레이(420)를 담을 수 있고 프로세서(618)와 메모리(602)와 같은 전자소자들을 지원하는 어느 적당한 기기일 수 있다.
도 6은 실시예들의 양태들이 예를 들면 기기(101)와 같은 것에 채용될 수 있는 이동 기기의 일반 구조의 하나의 실시예를 블록도 형태로 도시한다. 이동 통신 기기는 디스플레이(603)에 연결되어 사용자 입력들을 처리하고 정보를 디스플레이(603)에 디스플레이하는 프로세서(618)를 가질 수 있다. 프로세서(618)는 기기의 동작을 제어하고 디지털 신호 처리부(617) 및 통합된 RAM(615)을 가질 수 있다. 프로세서(618)는 전송기/수신기 회로(619) 및 안테나(620)를 통한 셀룰러 네트워크와의 통신을 제어한다. 마이크로폰(605)이 사용자의 음성을 아날로그 신호들로 변환하는 전압 레귤레이터들(612)을 통해 프로세서(618)에 연결된다. 형성된 아날로그 신호들은 음성이 프로세서(618)에 포함된 DSP(617)에서 부호화되기 전에 A/D 변환기(미도시)에서 A/D 변환된다. 부호화된 음성 신호는 프로세서(618)에 전달되는데, 이 프로세서는 예를 들면 GSM 단말 소프트웨어를 예컨대 지원한다. 디지털 신호 처리부(617)는 신호를 음성 복호화하고, 신호는 프로세서(618)로부터 D/A 변환기(미도시)를 통해 스피커(605)에 전달된다.
전압 레귤레이터들(621)은 스피커(605), 마이크로폰(606), LED 드라이버들(601) (LEDS가 키패드(607)와 디스플레이(603)의 백라이트로 사용되기 때문임), SIM 카드 (622), 배터리(624), 바닥 커넥터(627), DC 잭(631)(충전기(633)에의 연결용) 및 (핸즈-프리) 라우드스피커(625)를 구동하는 오디오 증폭기(632)를 위한 인터페이스를 형성한다.
프로세서(618)가 어느 적당한 정보 및/또는 이동 통신 기기(400)에 관련된 애플리케이션들 이를 테면 전화번호부 엔트리들, 달력 엔트리들 등을 저장하기 위해 메모리(602)를 구비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618) 또한, 예를 들면, (플래시) ROM 메모리(616), 그랙픽 디스플레이(603), 키패드(607), 링잉 톤 선택 부(626), 및 착신 호 검출부(628)과 같은 기기의 주변부들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형성할 수 있다. 대체 실시예들에서, 기기를 위한 어느 적당한 주변부들이 포함될 수 있다.
RAM(615) 및/또는 플래시 ROM(616)에 있는 소프트웨어는 예를 들면 여기에 설명된 것들과 같은 복수 개의 상이한 애플리케이션들 및 기능들을 수행하게 하는 프로세서(618)를 위한 명령어들을 담고 있다.
도 7은 실시예의 특징들을 통합한 통신 기기(700)가 적용될 수 있는 환경의 예로서 셀룰러 원격통신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통신 기기(700)는 단말(101)에 관하여 위에서 설명된 것과 실질적으로 유사할 수 있다. 도 7의 통신 시스템에서, 각종 통신 서비스들 이를테면 셀룰러 음성 통화, www/wap 브라우징, 셀룰러 비디오 통화, 데이터 통화, 팩시밀리 전송, 음악 전송, 정지영상 전송, 비디오 전송, 전자 메시지 전송 및 전자 상거래는 이동 단말(700) 및 다른 기기들, 이를테면 다른 이동 단말(706), 2차 전화기(732), 또는 인터넷 서버(722) 사이에서 수행될 수 있다. 이동 단말(700)의 상이한 실시예들에 대해 그리고 상이한 상황들에서 위에서 언급된 원격통신 서비스들 중의 상이한 것들이 이용가능 하거나 이용가능 하지 않을 수 있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본 발명의 양태들은 이 양태의 어느 특정한 서비스 집합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이동 단말들(700, 706)은 기지국들(704, 708)에 의하여 무선 주파수(RF) 링크들(702, 708)을 통해 이동 원격통신 네트워크(710)에 연결될 수 있다. 이동 원격통신 네트워크(710)는 GSM, UMTS, D-AMPS, CDMA2000, FOMA 및 TD-SCDMA과 같은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한 어느 이동 원격통신 표준을 따를 수 있다.
이동 원격통신 네트워크(710)는 인터넷 또는 그것의 일부인 광역 네트워크(720)에 동작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인터넷 서버(722)는 데이터 저장소(724)를 가지고 광역 네트워크(720)에 인터넷 클라이언트 컴퓨터(726)처럼 연결된다. 서버(722)는 이동 단말(700)에 대해 www/hap 콘텐츠를 서비스할 수 있는 www/hap 서버를 호스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공중 전화 교환망(PSTN; 730)은 이동 원격통신 네트워크(710)에 익숙한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정지(stationary) 전화기(732)를 포함한 각종 전화 단말들이 PSTN(730)에 연결될 수 있다.
이동 단말(700)은 국소 링크(710)를 통해 하나 이상의 국소 기기들(703)에 국소적으로 통신할 수도 있다. 국소 링크(701)는, 예를 들면, 블루투스, 유니버셜 직렬 버스(USB) 링크, 무선 유니버셜 직렬 버스(WUSB) 링크, IEEE 802.11 무선 근거리 통신망(WLAN) 링크, RS-232 직렬 링크 등과 같은 제한된 범위를 갖는 어느 적당한 유형의 링크일 수 있다. 국소 기기들(703)은, 예를 들면, 측정 값들을 국소 링크(701)를 통해 이동 단말(700)에 전할 수 있는 각종 센서들일 수 있다. 위의 예들은 한정하기 위한 의도는 아니고, 어느 적당한 유형의 링크라도 이용될 수 있다. 국소 기기들(703)은 마이크로웨이브 액세스(WiMAX, IEEE 802.16), WiFi(IEEE 802.11x) 또는 다른 통신 프로토콜들을 위해 WLAN 구현 월드와이드 상호운용성을 형성하는 안테나들 및 지원 장비일 수 있다. WLAN은 인터넷에 연결될 수 있다. 이동 단말(700)은 그래서 이동 통신 네트워크(710), WLAN 또는 둘 다를 사용하여 무선으로 접속하기 위한 다중-라디오 능력을 가질 수 있다. 이동 원격통신 네트워크(710)와의 통신은 WiFi, WiMax, 또는 어느 다른 적당한 프로토콜들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도 있고, 그런 통신은 라디오 스팩트럼의 비허가 부분들(예컨대, 비허가 모바일 액세스(UMA))을 사용할 수 있다.
개시된 실시예들은 상이한 컴퓨터들에서 실행되는 여기서 설명된 프로세서 단계들 및 명령어들을 통합한 소프트웨어 및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비할 수도 있다. 도 8은 실시예들의 양태들을 실용화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특징들을 통합한 전형적인 장치(800)의 하나의 실시예의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컴퓨터 시스템(802)는 다른 컴퓨터 시스템(804)에 링크될 수 있어, 컴퓨터들(802 및 804)은 서로에게 정보를 송신할 수 있고 서로로부터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컴퓨터 시스템(802)은 네트워크(806)와 통신하기에 적합한 서버 컴퓨터를 구 비할 수 있다. 컴퓨터 시스템들(802 및 804)은, 예를 들면, 모뎀, 하드 와이어 접속, 또는 광섬유 링크를 포함한 기존의 어느 방식으로 서로 링크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정보는 통신 채널을 통해 ISDN 회선 상의 다이얼-업 접속을 통해 통상 송신되는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두 컴퓨터 시스템(802 및 804)에 이용 가능하게 될 수 있다. 컴퓨터들(802 및 804)은 컴퓨터들(802 및 804)이 여기서 개시된 방법 단계들을 수행하도록 하기에 적합하게 된 기계 판독가능 프로그램 소스 코드를 수록한 프로그램 저장 기기들을 이용하기에 일반적으로 적합하게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양태들을 통합한 프로그램 저장 기기들은 광학, 자기적 성질 및/또는 전자공학을 이용하는 기계의 구성요소로서 여기에 개시된 절차들 및 방법들을 수행하기 위해 고안되고 만들어지고 사용될 수 있다. 대체 실시예들에서, 프로그램 저장 기기들은 컴퓨터에 의해 판독가능하고 실행가능한 디스켓 또는 컴퓨터 하드 드라이브와 같은 자기 매체를 구비할 수 있다. 다른 대체 실시예들에서, 프로그램 저장 기기들은 광 디스크, 읽기전용 메모리(ROM) 플로피 디스크 및 반도체 재료 및 칩들을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시스템들(802 및 804)은 저장된 프로그램들을 실행하기 위한 마이크로프로세서를 구비할 수도 있다. 컴퓨터(802)는 그것의 저장 기기상에 정보 및 데이터의 저장을 위한 데이터 자장 기기(808)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양태들을 통합한 프로세스들 및 방법 단계들을 통합한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소프트웨어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들(802 및 804)에 그렇지 않으면 기존의 프로그램 저장 기기들에 저장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컴퓨터들(802 및 804)은 사용자 인터페이 스(810), 및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812)를 구비할 수 있는데, 이것들로부터 본 발명의 양태들이 액세스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810) 및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812)는 질의들 및 명령들을 시스템에 입력하는 것뿐 아니라 명령들 및 질의들의 결과들을 표시하는 것을 허용하기에 적합하게 될 수 있다.
개시된 실시예들은 하나를 넘는 애플리케이션을 기기의 사용자가 개방하는 것을 허용하여 사용자는 동일한 시간에 하나를 넘는 애플리케이션을 조작할 수 있다. 기기는 투명 애플리케이션들이 네이티브 애플리케이션 위의 계층이 되고 투명한 방식으로 서로간에 위의 계층이 되도록 투명 애플리케이션들을 열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애플리케이션들의 모두(즉 네이티브 및 투명 애플리케이션들)는 활성 애플리케이션들이다(예컨대, 사용자는 애플리케이션들 사이를 전환하는 일 없이 그 애플리케이션들을 조작할 수 있다). 사용자가 네이티브 및 투명 애플리케이션들의 각각을 조작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해, 기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 부분은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들 중의 상응하는 하나를 조작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전술한 설명은 실시예들의 예시만을 위한 것임이 이해되어야 한다. 각종 대체예들 및 변형예들이 실시예들로부터 벗어나는 일 없이 당업자에 의해 고안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첨부의 청구항의 범위에 속하는 모든 그러한 대체예들, 변형예들 및 개조예들을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Claims (20)

  1. 프로세서; 및
    프로세서에 연결된 디스플레이로서, 상기 디스플레이는 제2애플리케이션이 제1애플리케이션 위에 투명하게 표시되게끔 제1 및 제2 애플리케이션들을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하도록 구성되고, 제1 및 제2 애플리케이션들은 활성 애플리케이션들인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는 제2애플리케이션을 활성화하기 위한 투명한 탭을 포함하는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제1 사용자 입력 및 제2 사용자 입력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프로세서는 제1 애플리케이션이 제1 사용자 입력을 통해 조작되고 제2 애플리케이션이 제2 사용자 입력을 통해 조작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제1 사용자 입력은 장치의 키패드이고 제2 사용자 입력은 장치의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이고 그 반대의 경우로도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프로세서는 사용자에 의한 동시 조작을 위해 제1 및 제2 애플리케이션들을 활성적으로 실행시키도록 추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프로세서는 제2애플리케이션을 닫거나 숨기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탭을 표시하도록 추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9. 제1애플리케이션을 디스플레이상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제2애플리케이션이 제1애플리케이션 위에 투명하게 표시되도록 제2애플리케이션을 디스플레이상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제1 및 제2 애플리케이션들은 사용자에 의한 조작을 위해 활성적으로 실행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는 제2애플리케이션을 활성화하기 위한 투명한 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 애플리케이션들을 동시에 조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제1애플리케이션은 제1 사용자 입력을 통해 조작되고 제2애플리케이션은 제2 사용자 입력을 통해 조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제1 사용자 입력을 조작하는 것은 키패드를 조작하는 것을 포함하고 제2 사용자 입력을 조작하는 것은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를 조작하는 것을 포함하고 그 반대의 경우로 된 것들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삭제
  14. 제9항에 있어서, 제2애플리케이션을 닫거나 숨기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탭을 디스플레이상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컴퓨터가 적어도 제1 및 제2 애플리케이션들을 디스플레이하도록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한 컴퓨터로 독출가능한 기록매체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제1애플리케이션을 디스플레이상에 디스플레이하게 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프로그램 코드; 및
    제2애플리케이션이 제1애플리케이션 위에 투명하게 표시되도록 컴퓨터가 제2애플리케이션을 디스플레이상에 디스플레이하게 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하며;
    제1 및 제2 애플리케이션들은 사용자에 의한 조작을 위해 활성적으로 실행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는 제2애플리케이션을 활성화하기 위한 투명한 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로 독출가능한 기록매체.
  16. 제15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 애플리케이션들은 사용자에 의해 동시에 조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로 독출가능한 기록매체.
  17. 제15항에 있어서, 컴퓨터로 하여금 사용자가 제1애플리케이션을 제1 사용자 입력을 통해 조작하게 하고 제2애플리케이션을 제2 사용자 입력을 통해 조작하게 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프로그램 코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로 독출가능한 기록매체.
  18. 제17항에 있어서 제1 사용자 입력을 조작하는 것은 키패드를 조작하는 것을 포함하고 제2 사용자 입력을 조작하는 것은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를 조작하는 것을 포함하고 그 반대의 경우들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로 독출가능한 기록매체.
  19. 삭제
  20. 제15항에 있어서, 제2애플리케이션을 닫거나 숨기기 위해 컴퓨터가 적어도 하나의 탭을 디스플레이상에 표시하게 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프로그램 코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로 독출가능한 기록매체.
KR1020097015910A 2006-12-29 2007-12-27 투명 층 애플리케이션 KR10118885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1/618,000 2006-12-29
US11/618,000 US9575655B2 (en) 2006-12-29 2006-12-29 Transparent layer application
PCT/IB2007/004119 WO2008081303A2 (en) 2006-12-29 2007-12-27 Transparent layer applica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6743A KR20090096743A (ko) 2009-09-14
KR101188857B1 true KR101188857B1 (ko) 2012-10-08

Family

ID=395858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15910A KR101188857B1 (ko) 2006-12-29 2007-12-27 투명 층 애플리케이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9575655B2 (ko)
EP (1) EP2132622B1 (ko)
KR (1) KR101188857B1 (ko)
CN (2) CN104731450B (ko)
CA (1) CA2673587C (ko)
ES (1) ES2606066T3 (ko)
PL (1) PL2132622T3 (ko)
WO (1) WO2008081303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200802043A (en) * 2006-06-23 2008-01-01 Inventec Corp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setting key
US8082523B2 (en) * 2007-01-07 2011-12-20 Apple Inc.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supporting application switching
KR101430519B1 (ko) * 2007-09-04 2014-08-18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의 대기화면에서의 어플리케이션 실행방법
US20090254852A1 (en) * 2008-04-03 2009-10-08 Andrew Yip User interface overlay system
US8286106B2 (en) * 2009-03-13 2012-10-09 Oracle America, Inc. System and method for interacting with status information on a touch screen device
KR101633335B1 (ko) * 2009-12-07 2016-06-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애플리케이션 제어 방법
AU2012101487B4 (en) * 2010-02-12 2013-05-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A multi-tasking apparatus
KR101690786B1 (ko) 2010-02-12 2016-12-28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태스킹 수행 장치 및 방법
DE202011110735U1 (de) 2010-04-06 2015-12-10 Lg Electronics Inc. Mobiles Endgerät
US8229511B2 (en) * 2010-08-11 2012-07-24 Research In Motion Limite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ouch-sensitive display
US9727177B2 (en) * 2011-02-23 2017-08-08 Kyocera Corporation Electronic device with a touch sensor
CN102955644A (zh) * 2011-08-19 2013-03-06 幻音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控制资源显示的方法及系统
US9218129B2 (en) * 2011-08-29 2015-12-22 Ncr Corporation User interface
KR101867513B1 (ko) * 2012-05-29 2018-06-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CN102841804B (zh) * 2012-06-27 2014-12-10 北京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同屏多前台任务处理方法及装置
WO2014080065A1 (en) 2012-11-20 2014-05-30 Jolla Oy Managing applications in multitasking environment
KR102029242B1 (ko) * 2013-01-03 2019-11-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제어방법
CA2898467A1 (en) 2013-01-18 2014-07-24 Biomeme Incorporated Analytic device
KR102057964B1 (ko) * 2013-03-08 2019-12-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KR102105460B1 (ko) * 2013-06-14 2020-06-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102148725B1 (ko) * 2013-07-31 2020-08-28 삼성전자주식회사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하는 방법 및 장치
US20150046812A1 (en) * 2013-08-12 2015-02-12 Google Inc. Dynamic resizable media item player
KR102063103B1 (ko) * 2013-08-23 2020-01-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KR101390025B1 (ko) * 2013-09-13 2014-04-29 정한욱 멀티태스킹 제어가 가능한 스마트기기 및 그 제어방법
US9501163B2 (en) 2014-05-06 2016-11-22 Symbol Technologies, Llc Apparatus and method for activating a trigger mechanism
WO2016035907A1 (ko) * 2014-09-03 2016-03-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US11048372B2 (en) 2015-02-12 2021-06-29 Micro Focus Llc Applying a degree of transparency
US20160246466A1 (en) * 2015-02-23 2016-08-25 Nuance Communications, Inc. Transparent full-screen text entry interface
US10289290B2 (en) 2015-06-04 2019-05-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a portion of a plurality of background applications
EP3113158A1 (en) * 2015-07-03 2017-01-04 Nokia Technologies Oy Control of selective actuation of a light filter array
US9639234B2 (en) * 2015-09-10 2017-05-02 Qualcomm Incorporated Dynamic control schemes for simultaneously-active applications
KR102521192B1 (ko) * 2016-06-28 2023-04-13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607564B1 (ko) * 2016-09-13 2023-11-30 삼성전자주식회사 소프트 키를 표시하는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WO2018056642A2 (en) 2016-09-26 2018-03-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thereof for managing applications
CN107272990B (zh) * 2017-06-16 2020-06-02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操作悬屏应用的方法、装置及智能终端
CN107643866B (zh) * 2017-08-21 2020-08-07 广州视源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操作不同层级图片的方法、装置、终端设备及存储介质
EP3680765A4 (en) * 2017-09-08 2020-09-23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NAVIGATION BAR CONTROL PROCESS AND DEVICE
EP4213989A1 (en) 2020-09-18 2023-07-26 Biomeme, Inc. Portable devices and methods for analyzing samples
JP7397051B2 (ja) 2021-12-23 2023-12-12 Necパーソナルコンピュータ株式会社 電子機器、表示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214540A1 (en) * 2002-05-14 2003-11-20 Microsoft Corporation Write anywhere tool
US20060061597A1 (en) * 2004-09-17 2006-03-23 Microsoft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presenting functionally-transparent, unobstrusive on-screen windows

Family Cites Families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35323A (en) * 1987-01-05 1994-08-02 Motorola, Inc. Computer human interface with multiapplication display
CA1313417C (en) 1988-05-23 1993-02-02 Barbara A. Barker Method for accessing visually obscured data in a multi-tasking system
EP0605945B1 (en) 1992-12-15 1997-12-29 Sun Microsystem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esenting information in a display system using transparent windows
US5638501A (en) * 1993-05-10 1997-06-10 Apple Computer,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an overlay image
US5555364A (en) * 1994-08-23 1996-09-10 Prosoft Corporation Windowed computer display
US6246407B1 (en) * 1997-06-16 2001-06-12 Ati Technolog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overlaying a window with a multi-state window
US8479122B2 (en) * 2004-07-30 2013-07-02 Apple Inc. Gestures for touch sensitive input devices
US6333753B1 (en) * 1998-09-14 2001-12-25 Microsoft Corporation Technique for implementing an on-demand display widget through controlled fading initiated by user contact with a touch sensitive input device
US6232957B1 (en) * 1998-09-14 2001-05-15 Microsoft Corporation Technique for implementing an on-demand tool glass for use in a desktop user interface
US20020002060A1 (en) * 1998-10-08 2002-01-03 Mona Singh Multi-application communication device
US6353450B1 (en) * 1999-02-16 2002-03-05 Intel Corporation Placing and monitoring transparent user interface elements in a live video stream as a method for user input
US6404443B1 (en) * 1999-08-25 2002-06-11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Three-dimensional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anaging screen objects
US6477274B1 (en) * 1999-10-22 2002-11-05 Ericsson Inc. Handwritten character recognition devices and electronic devices incorporating same
IL132929A (en) * 1999-11-14 2004-09-27 Ycd Multimedia Dynamic user interface
US20030001899A1 (en) * 2001-06-29 2003-01-02 Nokia Corporation Semi-transparent handwriting recognition UI
US20030071850A1 (en) * 2001-10-12 2003-04-17 Microsoft Corporation In-place adaptive handwriting input method and system
US7124373B1 (en) * 2002-01-09 2006-10-1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rearranging run-time ordering of open tasks
US7181698B2 (en) * 2002-12-16 2007-02-20 Sap Ag Detachable tabs presenting accessed objects in a multi-tab interface
US7904823B2 (en) * 2003-03-17 2011-03-08 Oracle International Corporation Transparent windows methods and apparatus therefor
US20050010875A1 (en) * 2003-05-28 2005-01-13 Darty Mark Anthony Multi-focal plane user interface system and method
KR100593982B1 (ko) * 2003-11-06 2006-06-30 삼성전자주식회사 가상 그래피티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과 그에 따른기록매체
US20060059432A1 (en) * 2004-09-15 2006-03-16 Matthew Bells User interface having viewing area with non-transparent and semi-transparent regions
JP2006244078A (ja) * 2005-03-02 2006-09-14 Canon Inc 表示制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US7921372B2 (en) * 2005-03-25 2011-04-05 Microsoft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pinning tabs in a tabbed browser
US8495514B1 (en) * 2005-06-02 2013-07-23 Oracle America, Inc. Transparency assisted window focus and selection
KR100754828B1 (ko) * 2005-08-31 2007-09-04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사용자 취향에 따라 사용자 인터페이스 설정이 가능한이동통신 단말기 및 방법
US9389702B2 (en) * 2005-10-06 2016-07-12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Input association
US8769408B2 (en) * 2005-10-07 2014-07-01 Apple Inc. Intelligent media navigation
US20070139430A1 (en) * 2005-12-21 2007-06-21 Microsoft Corporation Rendering "gadgets" with a browser
US20070186176A1 (en) * 2006-02-09 2007-08-09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Ltd. System and method for window tab organization
US7620901B2 (en) * 2006-03-21 2009-11-17 Microsoft Corporation Simultaneous input across multiple applications
US7783983B1 (en) * 2006-04-13 2010-08-24 Emc Corporation User interface for controls
US20070250787A1 (en) * 2006-04-21 2007-10-25 Hideya Kawahara Enhancing visual representation and other effects for application management on a device with a small screen
KR20080009415A (ko) * 2006-07-24 2008-01-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백그라운드 태스크 제어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이동통신 단말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214540A1 (en) * 2002-05-14 2003-11-20 Microsoft Corporation Write anywhere tool
US20060061597A1 (en) * 2004-09-17 2006-03-23 Microsoft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presenting functionally-transparent, unobstrusive on-screen window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6743A (ko) 2009-09-14
CN104731450B (zh) 2018-09-21
US9575655B2 (en) 2017-02-21
CN101606121A (zh) 2009-12-16
CN104731450A (zh) 2015-06-24
PL2132622T3 (pl) 2017-05-31
CA2673587C (en) 2014-08-05
EP2132622A2 (en) 2009-12-16
WO2008081303A3 (en) 2008-11-13
EP2132622B1 (en) 2016-11-02
US20080163082A1 (en) 2008-07-03
CA2673587A1 (en) 2008-07-10
WO2008081303A2 (en) 2008-07-10
ES2606066T3 (es) 2017-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8857B1 (ko) 투명 층 애플리케이션
KR100980683B1 (ko) 휴대단말기의 메뉴 리스트 생성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장치
US8539374B2 (en)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electronic devices
US10225389B2 (en) Communication channel indicators
US8832575B2 (en) Speed dependent displaying of information items in a graphical user interface
US9116593B2 (en) Single-axis window manager
US8401536B2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US20150012885A1 (en) Two-mode access linear ui
US20080297485A1 (en) Device and method for executing a menu in a mobile terminal
US20100090958A1 (en) Method for controlling an electronic device using large keyboard targets and an electronic device which uses large keyboard targets
US20110115722A1 (en) System and method of entering symbols in a touch input device
US20090303185A1 (en) User interface, device and method for an improved operating mode
US20080162971A1 (en) User Interface for Searches
WO2008081289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ontact specific delivery reports
KR100685792B1 (ko) 소프트웨어적인 포인팅 입력 기능 제공 방법 및 그를이용한 무선통신 단말기
EP2175346A1 (en) A method for controlling an electronic device using large keyboard targets and an electronic device which uses large keyboard targets
KR20060007912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뉴선택 장치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3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