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5667B1 - 전자 기기, 기록 매체 및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 기기, 기록 매체 및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5667B1
KR101185667B1 KR1020107012851A KR20107012851A KR101185667B1 KR 101185667 B1 KR101185667 B1 KR 101185667B1 KR 1020107012851 A KR1020107012851 A KR 1020107012851A KR 20107012851 A KR20107012851 A KR 20107012851A KR 101185667 B1 KR101185667 B1 KR 1011856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information
display
unit
sear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128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82372A (ko
Inventor
스스무 가제오까
Original Assignee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0823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23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56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56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4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multimedia data, e.g. slideshows comprising image and additional audio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7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video data
    • G06F16/78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40Processing or translation of natural language
    • G06F40/58Use of machine translation, e.g. for multi-lingual retrieval, for server-side translation for client devices or for real-time transl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6Foreign languag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7/00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0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9/8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being recorded simultaneously only
    • H04N9/8205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being recorded simultaneously only involving the multiplexing of an additional signal and the colour video signa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4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multimedia data, e.g. slideshows comprising image and additional audio data
    • G06F16/48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62Content or additional data management, e.g. creating a master electronic program guide from data received from the Internet and a Head-end, controlling the complexity of a video stream by scaling the resolution or bit-rate based on the client capabilities
    • H04N21/4622Retrieving content or additional data from different sources, e.g. from a broadcast channel and the Intern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Machine Translation (AREA)
  •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AREA)

Abstract

학습 대상으로 되는 단어를, 효율적으로 학습하는 것이 가능한 전자 기기, 제어 프로그램, 기록 매체 및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화상을 표시하고 있을 때에, 접수된 입력에 기초하는 표제어의 상세 정보를 검색하는 검색 처리가 행하여진 경우, 전자 기기는, 검색 처리에 의해 검색된 상세 정보에 대응하는 표제어와, 표시하고 있는 화상을 특정하는 화상 정보를 대응시켜 기억시킨다. 화상 정보에 의해 특정되는 화상을 표시하는 경우, 전자 기기는, 화상 정보에 대응시켜진 표제어를 더 표시시킨다.

Description

전자 기기, 기록 매체 및 제어 방법{ELECTRONIC DEVICE, RECORDING MEDIUM, AND CONTROL METHOD}
본 발명은 전자 기기, 제어 프로그램, 기록 매체 및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콘텐츠의 재생을 행하기 위한 처리를 행하는 전자 기기, 제어 프로그램, 기록 매체 및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텔레비전 프로그램 등의 영상 콘텐츠를 녹화하는 기능을 갖는 다양한 장치(이하, 녹화 재생 장치라고도 함)에 있어서, 다종 다양한 정보를 검색하여 표시하는 기능이 탑재되어 있다. 그로 인해, 종래부터, 다종 다양한 정보를 검색하기 위한 많은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평9-294253호 공보(특허문헌 1)에는, 유저가 시청하고 있는 프로그램에 관한 보충적인 정보를 검색하기 위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일본 특허 공개 제2004-215094호 공보(특허문헌 2)에는, 텔레비전 방송의 내용에 관한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한 정보를 이용하여, 텔레비전 방송에 관련되는 정보를 검색하기 위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평9-294253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4-215094호 공보
다종 다양한 정보를 검색하는 기회가 많아지면, 의미를 모르는 단어(이하, 불명료 단어라고도 함)에 조우하는 장면도 많아진다. 유저는, 불명료 단어에 조우한 경우, 예를 들어, 전자 사전 등의 번역 장치에 있어서, 불명료 단어의 입력 조작을 함으로써, 처음으로, 불명료 단어의 의미를 알 수 있다. 인간은, 반복하여 불명료 단어에 조우함으로써, 불명료 단어를 학습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로 인해, 불명료 단어를 학습하기 위해서는, 유저는, 불명료 단어에 조우한 콘텐츠(예를 들어, web 페이지, 텔레비전 프로그램 등)를, 예를 들어, 종이 등에 메모하거나 할 필요가 있어 효율이 좋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이며, 그 목적은, 학습 대상으로 되는 단어를 유저가 효율적으로 학습하는 것을 지원 가능한 전자 기기, 제어 프로그램, 기록 매체 및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임의의 국면에 따르는 전자 기기는, 입력을 접수하는 접수부와, 접수부에 의해 접수된 입력에 기초하는 표제어의 상세 정보를 검색하는 검색 처리를 행하는 검색부와,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부와,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부와, 표시부가 화상을 표시하고 있을 때에, 검색부에 의해 검색 처리가 행하여진 경우, 검색 처리에 의해 검색된 상세 정보에 대응하는 표제어와, 표시부가 표시하고 있는 화상을 특정하는 화상 정보를 대응시켜 기억부에 기억시키는 기억 처리를 행하는 저장부와, 기억부에 기억된 화상 정보에 의해 특정되는 화상을, 표시부가 표시하는 경우, 화상 정보에 대응시켜진 표제어를, 표시부에 더 표시시키는 표시 제어부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기억부는, 복수의 표제어에 각각 대응시켜진 복수의 상세 정보를 기억하고, 검색부는, 접수부에 의해 접수된 입력에 기초하는 표제어에 대응시켜진 상세 정보를, 기억부에 기억된 복수의 상세 정보로부터 검색한다.
바람직하게는, 전자 기기는, 네트워크와 데이터 통신하는 통신부를 더 구비하고, 검색부는, 접수부에 의해 접수된 입력에 기초하는 표제어의 상세 정보를, 통신부를 이용하여, 네트워크로부터 검색한다.
바람직하게는, 표시 제어부는, 검색 처리에 의해 검색된 상세 정보를 표시부에 표시시키고, 저장부는, 기억 처리를 행할 때에, 또한 (1)검색 처리에 의해 검색된 상세 정보가 표시부에 의해 표시된 시간인 검색 정보 표시 시간과, (2)화상 정보를 상호 대응시켜 기억부에 기억시키고, 전자 기기는, 기억부에 기억된 화상 정보에 의해 특정되는 화상을, 표시부가 표시하는 경우에 있어서, 표시부가 화상 정보에 의해 특정되는 화상을 표시하고 나서의 경과 시간을 측정하는 측정부를 더 구비하고, 표시 제어부는, 측정부에 의해 측정되고 있는 경과 시간이, 소정의 시간 조건을 만족한 시간으로 된 경우, 화상 정보에 대응시켜진 표제어를, 표시부에 표시시킨다.
바람직하게는, 소정의 시간 조건을 만족한 시간은, 기억부에 기억된 검색 정보 표시 시간을 포함하는 소정 기간 내의 시간이다.
바람직하게는, 표시 제어부는, 표제어를, 표시부에 표시시키는 경우, 표시부에 표시시키는 표제어의 상세 정보의 취득원을 특정하기 위한 정보도, 표시부에 표시시킨다.
바람직하게는, 검색 처리에 의해 검색된 상세 정보는, 대응하는 표제어의 의미, 설명 및 번역어 중 어느 하나이다.
본 발명의 다른 국면에 따르면,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부와,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부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의 제어 프로그램은, 전자 기기에, 입력을 접수하는 스텝과, 접수된 입력에 기초하는 표제어의 상세 정보를 검색하는 검색 처리를 행하는 스텝과, 표시부가 화상을 표시하고 있을 때에, 검색 처리가 행하여진 경우, 검색 처리에 의해 검색된 상세 정보에 대응하는 표제어와, 표시부가 표시하고 있는 화상을 특정하는 화상 정보를 대응시켜 기억부에 기억시키는 기억 처리를 행하는 스텝과, 기억부에 기억된 화상 정보에 의해 특정되는 화상을, 표시부가 표시하는 경우, 화상 정보에 대응시켜진 표제어를, 표시부에 더 표시시키는 스텝을 실행시킨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국면에 따르는 기록 매체는, 제어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국면에 따르면,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부와,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부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은, 입력을 접수하는 스텝과, 접수된 입력에 기초하는 표제어의 상세 정보를 검색하는 검색 처리를 행하는 스텝과, 표시부가 화상을 표시하고 있을 때에, 검색 처리가 행하여진 경우, 검색 처리에 의해 검색된 상세 정보에 대응하는 표제어와, 표시부가 표시하고 있는 화상을 특정하는 화상 정보를 대응시켜 기억부에 기억시키는 기억 처리를 행하는 스텝과, 기억부에 기억된 화상 정보에 의해 특정되는 화상을, 표시부가 표시하는 경우, 화상 정보에 대응시켜진 표제어를, 표시부에 표시시키는 스텝을 더 구비한다.
본 발명에 관한 전자 기기는, 화상을 표시하고 있을 때에, 접수된 입력에 기초하는 표제어의 상세 정보를 검색하는 검색 처리가 행하여진 경우, 검색 처리에 의해 검색된 상세 정보에 대응하는 표제어와, 표시하고 있는 화상을 특정하는 화상 정보를 대응시켜 기억시킨다. 화상 정보에 의해 특정되는 화상을 표시하는 경우, 화상 정보에 대응시켜진 표제어를 더 표시시킨다.
즉, 화상 정보에 의해 특정되는 화상을 표시하는 경우, 화상 정보에 대응시켜진 표제어가 표시된다. 표시되는 표제어는, 접수된 입력에 기초하는 표제어이다. 또한, 표시되는 표제어는, 당해 표제어의 상세 정보가 검색된 표제어이다. 상세 정보가 검색된 표제어는, 접수된 입력에 기초하는 표제어이며, 유저의 학습 대상으로 되는 단어이다. 따라서, 학습 대상으로 되는 단어를, 유저가 효율적으로 학습할 수 있다는 효과를 발휘한다.
본 발명에 관한 제어 프로그램은, 화상을 표시하고 있을 때에, 접수된 입력에 기초하는 표제어의 상세 정보를 검색하는 검색 처리가 행하여진 경우, 검색 처리에 의해 검색된 상세 정보에 대응하는 표제어와, 표시하고 있는 화상을 특정하는 화상 정보를 대응시켜 기억시킨다. 화상 정보에 의해 특정되는 화상을 표시하는 경우, 화상 정보에 대응시켜진 표제어를 더 표시시킨다.
즉, 화상 정보에 의해 특정되는 화상을 표시하는 경우, 화상 정보에 대응시켜진 표제어가 표시된다. 표시되는 표제어는, 접수된 입력에 기초하는 표제어이다. 또한, 표시되는 표제어는, 당해 표제어의 상세 정보가 검색된 표제어이다. 상세 정보가 검색된 표제어는, 접수된 입력에 기초하는 표제어이며, 유저의 학습 대상으로 되는 단어이다. 따라서, 학습 대상으로 되는 단어를, 유저가 효율적으로 학습할 수 있다는 효과를 발휘한다.
본 발명에 관한 기록 매체는, 제어 프로그램을 기록한다. 제어 프로그램은, 화상을 표시하고 있을 때에, 접수된 입력에 기초하는 표제어의 상세 정보를 검색하는 검색 처리가 행하여진 경우, 검색 처리에 의해 검색된 상세 정보에 대응하는 표제어와, 표시하고 있는 화상을 특정하는 화상 정보를 대응시켜 기억시킨다. 화상 정보에 의해 특정되는 화상을 표시하는 경우, 화상 정보에 대응시켜진 표제어를 더 표시시킨다.
즉, 화상 정보에 의해 특정되는 화상을 표시하는 경우, 화상 정보에 대응시켜진 표제어가 표시된다. 표시되는 표제어는, 접수된 입력에 기초하는 표제어이다. 또한, 표시되는 표제어는, 당해 표제어의 상세 정보가 검색된 표제어이다. 상세 정보가 검색된 표제어는, 접수된 입력에 기초하는 표제어이며, 유저의 학습 대상으로 되는 단어이다. 따라서, 학습 대상으로 되는 단어를, 유저가 효율적으로 학습할 수 있다는 효과를 발휘한다.
본 발명에 관한 제어 방법은, 화상을 표시하고 있을 때에, 접수된 입력에 기초하는 표제어의 상세 정보를 검색하는 검색 처리가 행하여진 경우, 검색 처리에 의해 검색된 상세 정보에 대응하는 표제어와, 표시하고 있는 화상을 특정하는 화상 정보를 대응시켜 기억시킨다. 화상 정보에 의해 특정되는 화상을 표시하는 경우, 화상 정보에 대응시켜진 표제어를 더 표시시킨다.
즉, 화상 정보에 의해 특정되는 화상을 표시하는 경우, 화상 정보에 대응시켜진 표제어가 표시된다. 표시되는 표제어는, 접수된 입력에 기초하는 표제어이다. 또한, 표시되는 표제어는, 당해 표제어의 상세 정보가 검색된 표제어이다. 상세 정보가 검색된 표제어는, 접수된 입력에 기초하는 표제어이며, 유저의 학습 대상으로 되는 단어이다. 따라서, 학습 대상으로 되는 단어를, 유저가 효율적으로 학습할 수 있다는 효과를 발휘한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번역 장치의 외관을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번역 장치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녹화 처리의 흐름도.
도 4는 일례로서의 검색 화상을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일례로서의 검색 화상을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일례로서의 검색 화상을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일례로서의 표제어 관련 데이터를 도시하는 도면.
도 8은 일례로서의 정보 취득원 특정 데이터를 도시하는 도면.
도 9는 일례로서의 표제어 관련 데이터를 도시하는 도면.
도 10은 일례로서의 정보 취득원 특정 데이터를 도시하는 도면.
도 11은 일례로서의 표제어 관련 데이터를 도시하는 도면.
도 12는 재생 처리의 흐름도를 도시하는 도면.
도 13은 일례로서의 리스트 화상을 도시하는 도면.
도 14는 일례로서의 재생시 화상을 도시하는 도면.
도 15는 일례로서의 재생시 화상을 도시하는 도면.
도 16은 일례로서의 재생시 화상을 도시하는 도면.
도 17은 일례로서의 재생시 화상을 도시하는 도면.
도 18은 일례로서의 재생시 화상을 도시하는 도면.
도 19는 일례로서의 표제어 관련 데이터를 도시하는 도면.
도 20은 일례로서의 정보 취득원 특정 데이터를 도시하는 도면.
도 21은 일례로서의 리스트 표시 처리를 도시하는 도면.
도 22는 일례로서의 리스트 화상을 도시하는 도면.
도 23은 일례로서의 리스트 화상을 도시하는 도면.
도 24는 일례로서의 리스트 화상을 도시하는 도면.
도 25는 재생 처리 A의 흐름도를 도시하는 도면.
도 26은 일례로서의 재생시 화상을 도시하는 도면.
도 27은 제1 실시 형태 및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어부의 기능 블록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동일한 부품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있다. 그들의 명칭 및 기능도 동일하다. 따라서, 그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반복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전자 기기는, 휴대 가능한 번역 장치인 것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전자 기기는, 번역 장치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휴대 가능한 장치이면 어떠한 장치(예를 들어, PDA(Personal Digital Assistance), PC(Personal Computer))이어도 된다.
번역 장치는, 입력된 언어(이하, 입력 언어라고도 함)를, 입력 언어 이외의 언어(이하, 번역 언어라고도 함)로 번역하는 기능을 갖는다. 여기서, 입력 언어는, 일례로서, 일본어인 것으로 한다. 또한, 입력 언어는, 일본어로 한정되지 않고, 다른 언어이어도 된다. 또한, 번역 언어는, 예를 들어, 영어, 중국어, 독일어 등인 것으로 한다.
또한, 번역 장치는, 입력된 단어(이하, 입력 단어라고도 함)의 의미, 설명, 번역어 등을 표시하는 기능을 갖는다.
<제1 실시 형태>
(번역 장치의 외관)
도 1은,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번역 장치(500)의 외관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여, 번역 장치(500)는, 표시부(530)와, 입력부(540)를 구비한다.
표시부(530)는, 문자나 화상 등을 표시하는 기능을 갖는다. 표시부(530)는, LCD 패널(Liquid Crystal Display Panel)을 사용한 장치이다. 또한, 표시부(530)는, 상기 이외의 표시 방식의 패널을 사용한 장치이어도 된다. 표시부(530)의 해상도는, 가로 640(도트)×세로 480(도트)이다. 또한, 표시부(530)의 해상도는, 가로 640(도트)×세로 480(도트)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해상도이어도 된다.
또한, 표시부(530)는, 유저가, 화면에 직접 접촉함으로써, 정보 입력 가능한 터치 패널 기능을 갖는다. 표시부(530)는, 유저가 화면에 터치한 위치 정보를, 후술하는 제어부(510)로 송신한다. 제어부(510)는, 수신한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소정의 처리를 행한다.
입력부(540)는, 버튼군(542)과, 방향 버튼군(544)과, 버튼군(546)을 포함한다. 버튼군(542)은, 숫자, 문자 등을 입력하기 위한 복수의 버튼을 포함한다. 이하에 있어서는, 버튼군(542)에 포함되는, 숫자를 입력하기 위한 버튼을 숫자 버튼이라고도 한다. 또한, 버튼군(542)에 포함되는,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버튼을 문자 버튼이라고도 한다. 방향 버튼군(544)은, 복수의 방향 버튼을 포함한다. 복수의 방향 버튼의 각각은, 눌러짐으로써, 표시부(530)에 화상이 표시되어 있는 경우, 화상 내의 이동시키는 대상으로 되는 것(예를 들어, 커서 등)을, 설정된 방향(예를 들어, 상, 하, 좌 또는 우)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버튼이다.
버튼군(546)은, 복수의 기능 버튼을 포함한다. 복수의 기능 버튼의 각각은, 눌러짐으로써, 할당된 처리를 하기 위한 버튼이다. 이하에 있어서는, 유저에 의한, 입력부(540)에 포함되는 복수의 버튼 중 어느 하나의 버튼의 단시간(예를 들어, 1초 미만)의 누름 조작을, 짧게 누름 조작이라고도 한다. 또한, 유저에 의한, 입력부(540)에 포함되는 복수의 버튼 중 어느 하나의 버튼의 장시간(예를 들어, 1초 이상)의 누름 조작을, 길게 누름 조작이라고도 한다.
입력부(540)는, 입력부(540)에 포함되는 복수의 버튼 중, 짧게 누름 조작 또는 길게 누름 조작된 버튼에 대응하는 버튼 신호를, 후술하는 제어부(510)로 송신한다. 즉, 입력부(540)는, 유저가 번역 장치(500)를 조작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이다. 이하에 있어서는, 유저에 의한, 입력부(540)의 조작 또는 표시부(530)에 대한 터치 조작을, 인터페이스 조작 M이라고도 한다.
번역 장치(500)는, 사전 모드와, 텔레비전 모드와, 멀티 모드를 갖는다. 사전 모드는, 인터페이스 조작 M에 의해 입력된 문자열(예를 들어, 단어)에 대응시켜진 의미, 설명, 번역어 등을, 표시부(530)에 표시하기 위한 모드이다. 텔레비전 모드는, 수신한 방송 신호에 기초하는 화상(이하, TV 화상이라고도 함)을, 표시부(530)에 표시하기 위한 모드이다. 멀티 모드는, 표시부(530)에 TV 화상을 표시시킨 상태이고, 또한 인터페이스 조작 M에 의해 입력된 문자열(예를 들어, 단어)에 대응시켜진 의미, 설명, 번역어 등을 표시부(530)에 표시하기 위한 모드이다.
번역 장치(500)는, 또한 기록 매체 삽입부(550A)와, 안테나(502)를 구비한다. 기록 매체 삽입부(550A)는, 번역 장치(500)에 후술하는 기록 매체를 삽입하는 부분이다. 안테나(502)는, 방송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것이다.
(번역 장치의 내부 구성)
도 2는, 번역 장치(500)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또한, 도 2에는, 설명을 위해, 기록 매체(555)도 나타내고 있다. 기록 매체(555)에는, 후술하는 프로그램(180)이 기록되어 있다. 즉, 프로그램(180)은, 매체 등에 기록되어 프로그램 제품으로서 유통된다. 또한, 기록 매체(555)도 프로그램 제품으로서 유통된다.
도 2를 참조하여, 번역 장치(500)는, 또한 제어부(510)와, 일시 기억부(522)와, 기억부(520)를 구비한다.
기억부(520)는, 데이터를 불휘발적으로 기억하는 기능을 갖는다. 기억부(520)는, 제어부(510)에 의해 데이터 액세스된다. 기억부(520)는, 전원이 공급되지 않아도 데이터를 불휘발적으로 유지 가능한 매체(예를 들어, 플래시 메모리)이다. 기억부(520)에는, 프로그램(180), 후술하는 녹화 데이터, 복수 종류의 사전 데이터, 그 밖의 각종 데이터 등이 기억되어 있다. 복수 종류의 사전 데이터는, 예를 들어, 일본어를 영어로 번역하는 사전 데이터, 영어를 일본어로 번역하는 사전 데이터, 일본어를 독일어로 번역하는 사전 데이터, 일본어의 임의의 단어의 설명문을 일본어로 표시하는 사전 데이터 등이다. 복수 종류의 사전 데이터의 각각은, 복수의 표제어와, 당해 복수의 표제어에 각각 대응시켜진 복수의 상세 정보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세 정보는, 대응하는 표제어의 의미, 설명, 번역어 등의 정보이다.
제어부(510)는, 기억부(520)에 기억된 프로그램(180)에 따라서, 번역 장치(500) 내의 각 부에 대한 각종 처리나, 연산 처리 등을 행하는 기능을 갖는다. 제어부(510)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이다. 또한, 제어부(510)는, CPU에 한정되지 않고, 연산 기능을 갖는 그 밖의 회로이어도 된다.
일시 기억부(522)는, 제어부(510)에 의해 데이터 액세스되고, 일시적으로 데이터를 기억하는 워크 메모리로서 사용된다. 일시 기억부(522)는, DRAM(Dynamic Random Access Memory)이다. 또한, 일시 기억부(522)는, DRAM에 한정되지 않고, 데이터를 휘발적으로 기억 가능한 그 밖의 회로이어도 된다.
번역 장치(500)는, 또한 안테나(502)와, 튜너(505)와, 데이터 처리부(507)를 구비한다.
전술한 안테나(502)는, 튜너(505)와 접속되어 있다. 튜너(505)는, 제어부(510)에 의해 지시된 주파수의 방송 신호를, 안테나(502)를 통해 수신한다. 튜너(505)는, 디지털 방송 및 아날로그 방송에 기초하는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기능을 갖는다. 이하에 있어서는, 튜너(505)가 수신한 방송 신호에 기초하는 화상을, TV 화상이라고도 한다.
방송 신호는, 화상 데이터, 음성 데이터, 텍스트 데이터, EPG(등록 상표)(Electric Program Guide) 데이터를 포함한다. 또한, 방송 신호가, 디지털 방송에 기초하는 신호인 경우, 방송 신호는, 또한 BML(Broadcast Markup Language) 데이터 등이 포함된다. EPG(등록 상표) 데이터는, 복수의 프로그램 정보를 나타내는 데이터이다. BML 데이터는, 화상 데이터, 음성 데이터 및 텍스트 데이터의 각각의 배치 위치나, 동작 등의 제어를 행하기 위한 데이터이다. 튜너(505)는, 수신한 방송 신호를, 데이터 처리부(507)로 송신한다.
데이터 처리부(507)는, 수신한 방송 신호를 복조하여, 복조 데이터로 한다. 수신한 방송 신호가, 아날로그 방송에 기초하는 신호인 경우, 데이터 처리부(507)는, 이하의 처리를 행한다. 우선, 데이터 처리부(507)는, 복조 데이터를, 디코드 처리하고, 화상 데이터, 음성 데이터를 얻음과 함께, 방송 신호의 수직 귀선 구간(VBI: Vertical Blanking Interval)으로부터, 텍스트 데이터, EPG(등록 상표) 데이터를 얻는다.
그리고, 데이터 처리부(507)는, 제어부(510)로부터, 표시부(530)에 화상을 표시시키기 위한 표시 지시를 수신하면, 화상 데이터를, 후술하는 VDP(Video Display Processor)(532)로 송신한다. VDP(532)는, 화상 데이터를 수신하면, 표시부(530)에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는 화상(동화상 또는 정지 화상)을 표시시킨다.
또한, 데이터 처리부(507)는, 제어부(510)로부터, 녹화 처리를 행하기 위한 녹화 지시를 수신하면, 화상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를 압축하여, 녹화 데이터로서, 기억부(520)에 기억시킨다. 이 경우의 녹화 데이터를, 이하에 있어서는, 콘텐츠라고도 한다. 녹화 데이터는, H.264 형식으로 압축된 데이터이다. 또한, 녹화 데이터는, H.264 형식으로 압축된 데이터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식으로 압축된 데이터이어도 된다. 여기서, 다른 형식이라 함은, 예를 들어, MPEG(Moving Picture Experts Group)1, MPEG2 등의 형식이다.
또한, 수신한 방송 신호가, 디지털 방송에 기초하는 신호인 경우, 데이터 처리부(507)는, 이하의 처리를 행한다. 우선, 데이터 처리부(507)는, 복조 데이터를, 디지털 방송의 프로토콜에 기초하여 디코드 처리하여, 디코드 데이터로 한다. 디코드 데이터에는, 화상 데이터, 음성 데이터, 텍스트 데이터, EPG(등록 상표) 데이터, BML 데이터가 포함된다. 디코드 데이터에 포함되는, 화상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는, H.264 형식으로 압축된 데이터이다. 또한, 디코드 데이터에 포함되는, 화상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는, H.264 형식으로 압축된 데이터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식으로 압축된 데이터이어도 된다. 여기서, 다른 형식이라 함은, 예를 들어, MPEG1, MPEG2 등의 형식이다.
그리고, 데이터 처리부(507)는, 제어부(510)로부터, 표시부(530)에 화상을 표시시키기 위한 표시 지시를 수신하면, 표시 지시에 의해 지정된 채널의 디코드 데이터에 포함되는 화상 데이터를, 후술하는 VDP(532)로 송신한다. VDP(532)는, 화상 데이터를 수신하면, 표시부(530)에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는 화상(동화상 또는 정지 화상)을 표시시킨다.
또한, 데이터 처리부(507)는, 제어부(510)로부터, 녹화 처리를 행하기 위한 녹화 지시를 수신하면, 녹화 지시에 의해 지정된 채널의 디코드 데이터를, 녹화 데이터로서, 기억부(520)에 기억시킨다. 이 경우의 녹화 데이터를, 이하에 있어서는, 콘텐츠라고도 한다. 이 경우, 녹화 데이터에는, 화상 데이터, 음성 데이터, 텍스트 데이터 및 BML 데이터가 포함된다.
또한, 데이터 처리부(507)는, 제어부(510)로부터, 텍스트 데이터 또는 EPG(등록 상표) 데이터 등의 요구 지시를 수신하면, 요구된 텍스트 데이터 또는 EPG(등록 상표) 데이터를, 제어부(510)로 송신한다.
번역 장치(500)는, 또한 VDP(532)와, VRAM(Video Random Access Memory)(536)을 구비한다.
VRAM(536)은, 화상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기억하는 기능을 갖는다.
제어부(510)는, 기억부(520)에 기억된 프로그램(180)에 따라서, VDP(532)에 대하여, 묘화 지시를 내린다. 묘화 지시라 함은, 화상을 생성하고, 당해 화상을 표시부(530)에 표시시키는 지시이다.
VDP(532)는 표시부(530)와 접속되어 있다. VDP(532)는, 제어부(510)로부터의 묘화 지시에 따라서, 기억부(520) 내의 후술하는 프로그램(180)으로부터 폰트 데이터, 도형 데이터 등을 판독하여, VRAM(536)을 이용하여 화상을 생성한다. 그리고, VDP(532)는, VRAM(536)에 기억된 화상 데이터를 판독하고, 표시부(530)에, 당해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는 화상을 표시시킨다.
번역 장치(500)는, 또한 입력부(540)와, 기록 매체 액세스부(550)를 구비한다.
제어부(510)는, 입력부(540)에 포함되는, 전술한 복수의 버튼 중, 짧게 누름 조작 또는 길게 누름 조작이 있었던 버튼에 대응하는 버튼 신호를, 입력부(540)로부터 수신한다. 제어부(510)는, 수신한 버튼 신호에 따른 처리를 행한다.
기록 매체 액세스부(550)는, 기록 매체(555)가, 전술한 기록 매체 삽입부(550A)로부터 번역 장치(500)에 삽입(장착)되면, 기록 매체(555)에 데이터 액세스 가능해진다. 이에 의해, 기록 매체 액세스부(550)는, 프로그램(180)이 기록된 기록 매체(555)로부터, 프로그램(180)을 판독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기록 매체(555)에 기억되어 있는 프로그램(180)은, 제어부(510)의 인스톨 처리에 의해, 기록 매체 액세스부(550)에 의해 판독되고, 제어부(510)가, 프로그램(180)을, 기억부(520)에 기억시킨다. 이 인스톨 처리용 프로그램은, 미리 기억부(520)에 저장되어 있고, 인스톨 처리는, 제어부(510)가, 인스톨 처리용 프로그램에 기초하여 행한다.
또한, 기억부(520)에는, 프로그램(180)이 인스톨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이 경우, 제어부(510)는, 기록 매체 액세스부(550)를 통해, 기록 매체(555)에 기억된 프로그램(180)을 판독하여, 프로그램(180)에 기초한 소정의 처리를 행한다. 기록 매체(555)에는, 또한 콘텐츠 데이터 등도 기록되어 있다. 콘텐츠 데이터는, 예를 들어, 사전 데이터, 음악 데이터, 동화상 데이터 등이다.
기록 매체(555)는, SD(Secure Digital) 메모리 카드이다. 또한, 기록 매체(555)는, SD 메모리 카드에 한정되지 않고, 데이터를 불휘발적으로 기록 가능한 그 밖의 매체이어도 된다.
번역 장치(500)는, 또한 통신부(560)와, 통신부(562)를 구비한다.
통신부(560)는, 제어부(510)와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한다. 또한, 통신부(560)는, 다른 장치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는 기능을 갖는다.
통신부(560)는, USB(등록 상표)(Universal Serial Bus) 2.0의 규격에 기초하는, 통신용 인터페이스의 기능을 갖는다. 또한, 통신용 인터페이스의 규격은, USB(등록 상표) 2.0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규격이어도 된다.
또한, 통신부(560)는, 또한 무선 데이터 통신 기능을 갖는다. 무선 데이터 통신 기능은, Bluetooth(등록 상표)를 사용하여, 무선으로 데이터 통신을 행하는 기능을 갖는다. 또한, 무선 데이터 통신은, Bluetooth(등록 상표)를 사용한 방식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적외선 등을 사용한 다른 통신 방식이어도 된다. 통신부(560)는, 제어부(510)로부터의 제어 지시에 따라서, 다른 장치와 무선으로 데이터 통신을 행한다.
통신부(562)는, 제어부(510)와,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한다. 통신부(562)는, 무선 LAN의 규격인 IEEE802.11g에 기초하는 무선 기술을 이용하여 데이터 통신을 행하는 기능을 갖는다. 또한, 무선 기술은, IEEE802.11g에 기초하는 기술에 한정되지 않고, 그 밖의 무선 기술이어도 된다. 따라서, 통신부(562)는, 무선에 의해, 네트워크(70)와 데이터 통신을 행할 수 있다. 네트워크(70)는, 인터넷 등의 외부의 네트워크이다.
또한, 통신부(562)는, 또한 이더넷(등록 상표)을 이용한 통신용 인터페이스의 기능을 갖는다. 따라서, 통신부(562)는, 예를 들어, LAN 케이블을 통해, 네트워크(70)와 데이터 통신을 행할 수 있다.
번역 장치(500)는, 제어부(510) 및 통신부(562)의 처리에 의해, 네트워크(70)로부터 프로그램의 다운로드 처리를 행하여, 기억부(520)에 저장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당해 다운로드한 프로그램은, 프로그램(180)이다.
제어부(510)는, 네트워크(70)로부터 다운로드한 프로그램(프로그램(180))에 따라서, 소정의 처리를 행한다. 이 다운로드용 프로그램은, 미리 기억부(520)에 저장되어 있고, 다운로드 처리는, 제어부(510)가, 다운로드용 프로그램에 기초하여 행한다.
번역 장치(500)는, 또한 통신부(566)를 구비한다. 통신부(566)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기능을 갖는다. GPS 기능이라 함은, 인공 위성과 통신하여, 번역 장치(500)의 위치(위도, 경도, 고도 등에 기초하는 위치)의 정보(이하, GPS 위치 정보라고도 함)를 취득하는 기능이다. 통신부(566)는, 제어부(510)로부터의 제어 지시에 따라서, GPS 위치 정보를 취득하고, 제어부(510)로 송신한다.
번역 장치(500)는, 또한 음성 출력부(572)와, 음성 입력부(574)를 구비한다.
음성 출력부(572)는, 제어부(510)에서 행하여지는 처리에 대응한 음성을 출력하는 기능을 갖는다. 음성 출력부(572)에는, 음성을 출력하는 스피커가 포함된다. 음성 출력부(572)는, 제어부(510)로부터 수신한 음성 데이터에 기초하는 음성을 스피커로부터 출력한다.
음성 입력부(574)는, 음성을 입력하는 기능을 갖는다. 음성 입력부(574)에는, 음성을 입력하는 마이크가 포함된다. 음성 입력부(574)는, 마이크에 의해 취득한 음성을 음성 데이터로 변환하여, 음성 데이터를, 제어부(510)로 송신한다. 예를 들어, 유저가 음성 입력부(574)에 포함되는 마이크에 대하여 음성을 발하면, 음성 입력부(574)는, 마이크에 의해 취득한 음성을 음성 데이터로 변환하여, 음성 데이터를, 제어부(510)로 송신한다.
(녹화 처리)
다음에, 번역 장치(500)에 있어서 행하여지는 녹화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녹화 처리는, 튜너(505)가 수신한 방송 신호에 기초하는 TV 화상을, 녹화하기 위한 처리이다. 녹화 처리는, 인터페이스 조작 M에 의해 녹화 예약된 프로그램을 녹화하기 위한 처리, 또는 표시부(530)에 표시되어 있는 TV 화상을 녹화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조작 M이 있었던 경우에 행하여지는 처리이다.
또한, 녹화 처리는, 프로그램 등을 녹화하는 처리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인터넷으로부터, 스트리밍 배신되는 영상 콘텐츠를, 기억부(520)에 기억시키기 위한 처리이어도 된다. 이하에 있어서는, 녹화 처리에 의해, 녹화의 대상으로 되는 영상 콘텐츠를, 녹화 대상 콘텐츠라고도 한다.
여기서, 타이틀이「영어 회화 강좌 AA」인 프로그램이, 번역 장치(500)에 있어서, 사전에, 인터페이스 조작 M에 의해 녹화 예약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이하에 있어서는, 녹화 예약되어 있는 프로그램을, 녹화 예약 프로그램이라고도 한다. 이 경우, 녹화 예약 프로그램은, 타이틀이「영어 회화 강좌 AA」인 프로그램으로 된다. 또한, 프로그램의 타이틀은, EPG(등록 상표) 데이터 등으로부터 취득된다.
다음에, 현재의 시각이, 녹화 예약 프로그램의 녹화 예약 시각이 된 것에 의해, 번역 장치(500)에서 행하여지는 녹화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경우, 녹화 예약 프로그램이, 녹화 대상 콘텐츠이다. 또한, 녹화 처리는, 표시부(530)에 표시되어 있는 TV 화상을 녹화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조작 M이 있었던 경우에 행하여져도 된다. 여기서, 번역 장치(500)는, 멀티 모드인 것으로 한다.
도 3은, 녹화 처리의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여, 녹화 처리에서는, 우선, 스텝 S110의 처리가 행하여진다.
스텝 S110에서는, 제어부(510)가, 녹화 기억 처리 및 경과 시간 측정 처리를 실행한다. 녹화 기억 처리 및 경과 시간 측정 처리의 각각은, 다른 처리라 함은, 독립하여 행하여지는 처리이다. 그리고, 스텝 S111의 처리가 행하여진다.
녹화 기억 처리에서는, 제어부(510)가, 녹화 대상 콘텐츠를, 기억부(520)에 기억시키는 처리를 행한다. 경과 시간 측정 처리는, 녹화 기억 처리의 경과 시간을 측정하기 위한 처리이다.
스텝 S111에서는, TV 화상의 표시가 행하여진다. 구체적으로는, 제어부(510)가, VDP(532)를 이용하여, 녹화 대상 콘텐츠의 화상(이하, TV 화상이라고도 함)을, 표시부(530)에 표시시킨다. 이 경우, 표시부(530)에는, 이하의 검색 화상(MG100)이 표시된다. 즉, 제어부(510)는, 녹화 기억 처리에 의해 녹화 대상 콘텐츠를 기억부(520)에 기억시킴과 함께, 녹화 대상 콘텐츠의 TV 화상을, 표시부(530)에 표시시킨다. 그리고, 스텝 S111의 처리는 종료된다.
도 4는, 일례로서의 검색 화상(MG100)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여, 검색 화상(MG100)에는, TV 화상(MG110)이 표시된다. TV 화상(MG110)은, 스텝 S111의 처리에 의해 표시되는 TV 화상이다. 또한, TV 화상(MG110)은, 동화상이다. 여기서, TV 화상(MG110)은, 타이틀이「영어 회화 강좌 AA」인 프로그램의 동화상이다.
또한, 검색 화상(MG100)에는, 검색 문자 입력 프레임(MG150)이 배치된다. 검색 문자 입력 프레임(MG150)은, 인터페이스 조작 M에 의해,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프레임이다. 이하에 있어서는, 인터페이스 조작 M에 의해, 검색 문자 입력 프레임(MG150)에 입력된 문자를, 검색 대상 문자라고도 한다.
다시, 도 3을 참조하여, 스텝 S111의 처리 후, 제어부(510)는, 스텝 S112로 처리를 진행한다.
스텝 S112에서는, 제어부(510)는, 문자 입력 조작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문자 입력 조작은, 검색 문자 입력 프레임(MG150)에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조작 M이다. 스텝 S112에 있어서, "예"이면, 제어부(510)는, 스텝 S113으로 처리를 진행한다. 한편, 스텝 S112에 있어서, "아니오"이면, 제어부(510)는, 후술하는 스텝 S128로 처리를 진행한다. 여기서는, 문자 입력 조작이 있었던 것으로 하여, 제어부(510)는, 스텝 S113으로 처리를 진행한다.
여기서, 문자 입력 조작에 의해, 검색 문자 입력 프레임(MG150)에 입력된 검색 대상 문자는, 일례로서, 영어 단어인 "sleep"인 것으로 한다. 또한, 문자 입력 조작에 의해, 검색 문자 입력 프레임(MG150)에 입력된 검색 대상 문자는, 일례로서, 표시부(530)에 표시되어 있는 TV 화상의 시청에 있어서, 유저가 조우한, 의미를 모르는 단어인 것으로 한다. 즉, 검색 대상 문자는, 유저의 학습 대상으로 되는 단어이다.
스텝 S113에서는, 제어부(510)가, 검색 조작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검색 조작은, 검색 대상 문자의 상세 정보를 취득하기 위한 정보(이하, 상세 취득 정보라고도 함)를 검색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조작 M이다. 스텝 S113에 있어서, "예"이면, 제어부(510)는, 스텝 S114로 처리를 진행한다. 한편, 스텝 S113에 있어서, "아니오"이면, 다시 스텝 S113의 처리가 행하여진다. 여기서는, 검색 조작이 있었던 것으로 하여, 제어부(510)는, 스텝 S114로 처리를 진행한다.
스텝 S114에서는, 검색 처리가 행하여진다. 검색 처리에서는, 로컬 검색 처리가 행하여진다. 로컬 검색 처리에서는, 제어부(510)가, 검색 대상 문자를 표제어로서 포함하는 사전 데이터와, 검색 대상 문자를 포함하는 표제어를 포함하는 사전 데이터를, 기억부(520)에 기억되어 있는 복수 종류의 사전 데이터로부터 검색한다. 여기서는, 검색 대상 문자를 표제어로서 포함하는 복수의 사전 데이터와, 검색 대상 문자를 포함하는 표제어를 포함하는 복수의 사전 데이터가 검색된 것으로 한다. 이 경우, 검색된 사전 데이터의 명칭이, 상세 취득 정보이다.
또한, 검색 처리에서는, 네트워크 검색 처리가 행하여진다. 네트워크 검색 처리에서는, 제어부(510)가, 검색 대상 문자의 상세 정보를 취득하기 위한 상세 취득 정보를, 네트워크(70)로부터 검색한다. 이하에 있어서는, 네트워크(70)로부터 검색되는 상세 취득 정보를, 인터넷 상세 취득 정보라고도 한다. 여기서, 인터넷 상세 취득 정보는, 검색 대상 문자의 상세 정보를 취득하기 위한 URL(Uniform Resource Locator)인 것으로 한다. 또한, 인터넷 상세 취득 정보는, URL에 한정되지 않는다. 인터넷 상세 취득 정보는, 예를 들어, URL과, 검색 대상 문자를 포함하는 문자열을 포함하는 정보이어도 된다.
여기서, 네트워크(70)에는, 검색 서버가 접속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검색 서버는, 검색 정보로서의 검색 대상 문자를 수신하면, 수신한 검색 대상 문자의 상세 정보를 취득하기 위한 인터넷 상세 취득 정보를 검색하는 서버이다.
네트워크 검색 처리에서는, 구체적으로는, 제어부(510)가, 통신부(562)를 이용하여, 네트워크(70)를 통해, 검색 서버로, 검색 대상 문자를 송신하기 위한 처리를 행한다. 검색 서버는, 수신한 검색 대상 문자의 상세 정보를 취득하기 위한 인터넷 상세 취득 정보를 기억하고 있는 경우, 번역 장치(500)로, 인터넷 상세 취득 정보를 송신한다.
이 처리에 의해, 제어부(510)는, 검색 서버로부터, 검색 대상 문자의 상세 정보를 취득하기 위한 인터넷 상세 취득 정보를 수신한다. 여기서는, 검색 서버로부터, 검색 대상 문자의 상세 정보를 취득하기 위한 복수의 인터넷 상세 취득 정보를 수신한 것으로 한다. 그리고, 제어부(510)는, 스텝 S115로 처리를 진행한다.
스텝 S115에서는, 검색 결과 표시 처리가 행하여진다. 검색 결과 표시 처리에서는, 제어부(510)가, VDP(532)를 이용하여, 검색 결과 표시 화상을 생성하고, 생성한 검색 결과 표시 화상을, TV 화상과 함께, 표시부(530)에 표시한다. 검색 결과 표시 화상은, 로컬 검색 처리의 결과 및 네트워크 검색 처리의 결과를 표시한 화상이다.
여기서, 로컬 검색 처리에 의해, 검색 대상 문자를 표제어로서 포함하는 복수의 사전 데이터와, 검색 대상 문자를 포함하는 표제어를 포함하는 복수의 사전 데이터가 검색된 것으로 한다. 또한, 네트워크 검색 처리에 의해, 복수의 인터넷 상세 취득 정보가 수신된 것으로 한다. 이 경우, 표시부(530)에는, TV 화상에 부가하여, 이하의 검색 결과 표시 화상(MG160)이 표시된, 이하의 검색 화상(MG100A)이 표시된다. 검색 결과 표시 화상(MG160)은, 로컬 검색 처리에 의해 검색된 사전 데이터의 명칭과, 네트워크 검색 처리에 의해 수신된 인터넷 상세 취득 정보를 표시한 화상이다. 그리고, 스텝 S115의 처리는 종료된다.
도 5는, 일례로서의 검색 화상(MG100A)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여, 검색 화상(MG100A)은, 도 4의 검색 화상(MG100)과 비교하여, TV 화상(MG110)의 표시 영역이 작아진 점과, 검색 결과 표시 화상(MG160)이 더 배치되는 점과, 검색 문자 입력 프레임(MG150)에 검색 대상 문자 "sleep"이 입력되어 있는 점이 상이하다. 그 이외에는, 검색 화상(MG100)과 마찬가지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반복하지 않는다.
검색 결과 표시 화상(MG160)에는, 복수의 표제어 데이터가 표시된다. 검색 결과 표시 화상(MG160)에 있어서,「번호」라 함은, 복수의 표제어 데이터 중 어느 하나를 특정하기 위한 번호이다. 「사전명/URL」의 항목의 열에는, 로컬 검색 처리에 의해 검색된 사전 데이터의 명칭, 또는 네트워크 검색 처리에 의해 수신된 인터넷 상세 취득 정보(URL)가 표시된다. 검색 결과 표시 화상(MG160)에 있어서,「표제어」라 함은, 대응하는 사전 데이터, 또는 대응하는 인터넷 상세 취득 정보(URL)를 검색하는데 사용된, 검색 대상 문자, 검색 대상 문자를 포함하는 표제어, 검색 대상 문자를 포함하는 문자열 등이다.
예를 들어, 번호 "1"의 표제어 데이터는, 표제어 "sleep"을 포함하는 사전 데이터의 명칭 "영일 A"를 나타낸다. 또한, 번호 "7"의 표제어 데이터는, 표제어 "sleep"의 상세 정보를 취득하기 위한 인터넷 상세 취득 정보(URL)를 나타낸다. 또한, 검색 결과 표시 화상(MG160)에 표시되는 복수의 표제어 데이터의 각각은, 버튼군(542)에 포함되는 숫자 버튼의 누름 조작에 의해 선택 가능하게 되어 있다.
다시, 도 3을 참조하여, 스텝 S115의 처리 후, 제어부(510)는, 스텝 S116으로 처리를 진행한다.
스텝 S116에서는, 제어부(510)가, 상세 플래그를 오프로 설정한다. 상세 플래그는, 후술하는 처리에 의해, 상세 정보가 표시 중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이다. 상세 플래그가 온이면, 상세 정보가 표시 중인 것을 나타낸다. 한편, 상세 플래그가 오프이면, 상세 정보가 표시 중이 아닌 것을 나타낸다. 상세 플래그는, 미리 기억부(520)에 기억되어 있다. 또한, 상세 플래그는, 초기 상태에서는 오프로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제어부(510)는, 스텝 S121로 처리를 진행한다.
스텝 S121에서는, 제어부(510)가, 상세 검색 조작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상세 검색 조작은, 표제어의 상세 정보를 검색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조작 M이다. 상세 검색 조작은, 일례로서, 검색 결과 표시 화상(MG160)에 표시되는 번호를 입력하기 위한, 버튼군(542)에 포함되는 숫자 버튼의 누름 조작이다. 즉, 상세 검색 조작은, 검색 결과 표시 화상(MG160)에 표시되는 복수의 표제어 데이터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조작이다. 스텝 S121에 있어서, "예"이면, 제어부(510)는, 스텝 S124로 처리를 진행한다.
한편, 스텝 S121에 있어서, "아니오"이면, 제어부(510)는, 후술하는 스텝 S128로 처리를 진행한다. 여기서는, 상세 검색 조작이 있었던 것으로 하여, 제어부(510)는, 스텝 S124로 처리를 진행한다. 여기서, 상세 검색 조작은, 숫자 "1"을 입력하기 위한 숫자 버튼의 누름 조작인 것으로 한다.
스텝 S124에서는, 상세 검색 처리가 행하여진다. 상세 검색 처리에서는, 제어부(510)가, 상세 검색 조작에 의해 선택된 표제어 데이터에 나타내어지는 표제어의 상세 정보를 검색한다. 여기서, 상세 검색 조작에 의해 선택된 표제어 데이터는, 일례로서, 번호 "1"의 표제어 데이터인 것으로 한다.
이 경우, 제어부(510)는, 번호 "1"의 표제어 데이터에 나타내어지는 "영일 A"의 명칭의 사전 데이터로부터, 표제어 "sleep"의 상세 정보를 검색한다. 또한, 상세 검색 조작에 의해 선택된 표제어 데이터가, 예를 들어, 번호 "7"의 표제어 데이터인 경우, 제어부(510)는, 통신부(562)를 이용하여, URL이 "http://www.bb.com/"인 web 사이트에 액세스하고, 표제어 "sleep"의 상세 정보를 검색하고, 취득한다. 그리고, 제어부(510)는, 스텝 S125로 처리를 진행한다.
스텝 S125에서는, 상세 표시 처리가 행하여진다. 상세 표시 처리에서는, 제어부(510)가, VDP(532)를 이용하여, 상세 표시 화상을 생성하고, 생성한 상세 표시 화상을, TV 화상과 함께, 표시부(530)에 표시한다. 상세 표시 화상은, 선택된 표제어 데이터에 나타내어지는 표제어의 상세 정보를 나타내는 화상이다. 여기서, 선택된 표제어 데이터는, 일례로서, 검색 결과 표시 화상(MG160)에 나타내어지는 번호 "1"의 표제어 데이터인 것으로 한다. 이 경우, 표시부(530)에는, TV 화상에 부가하여, 이하의 상세 표시 화상(MG160A)이 표시된, 이하의 검색 화상(MG100B)이 표시된다.
도 6은, 일례로서의 검색 화상(MG100B)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여, 검색 화상(MG100B)은, 도 5의 검색 화상(MG100A)과 비교하여, 검색 결과 표시 화상(MG160) 대신에 상세 표시 화상(MG160A)이 배치되는 점이 상이하다. 그 이외에는, 검색 화상(MG100A)과 마찬가지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반복하지 않는다.
상세 표시 화상(MG160A)에는, 선택된 번호 "1"의 표제어 데이터에 나타내어지는 사전 데이터의 명칭 "영일 A"와, 번호 "1"의 표제어 데이터에 나타내어지는 표제어 "sleep"과, 표제어 "sleep"의 상세 정보가 표시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세 정보는, 대응하는 표제어의 의미, 설명, 번역어 등의 정보이다.
또한, 선택된 표제어 데이터가, 예를 들어, 번호 "7"의 표제어 데이터인 경우, 상세 표시 화상(MG160A)에는, 번호 "7"의 표제어 데이터에 나타내어지는 인터넷 상세 취득 정보(URL "http://www.bb.com/")와, 번호 "7"의 표제어 데이터에 나타내어지는 표제어 "sleep"과, URL이 "http://www.bb.com/"의 web 사이트로부터 얻어진, 표제어 "sleep"의 상세 정보가 표시된다.
이하에 있어서는, 상세 정보가 검색되고, 검색된 상세 정보가 표시부(530)에 표시되었을 때에, 표시부(530)에 표시되어 있는 TV 화상을, 상세 정보 검색시 TV 화상이라고도 한다. 따라서, TV 화상(MG110)은, 상세 정보 검색시 TV 화상이다.
다시, 도 3을 참조하여, 스텝 S125의 상세 표시 처리에서는, 제어부(510)가, 경과 시간 측정 처리에 의해 측정되고 있는 현재의 시간(이하, 검색 정보 표시 시간이라고도 함)을, 일시 기억부(522)에 기억시킨다. 검색 정보 표시 시간은, 동화상인 TV 화상의 표시 중에 있어서, 검색된 상세 정보가 표시된 시간이다. 또한, 이미, 일시 기억부(522)에 검색 정보 표시 시간이 기억되어 있는 경우에는, 최신의 검색 정보 표시 시간을 덮어써 기억시킨다.
검색 정보 표시 시간은, 일례로서, "8분 22초"인 것으로 한다. 이 경우, 검색 정보 표시 시간은, 녹화 기억 처리가 개시되고 나서, "8분 22초"가 경과한 것을 나타낸다. 즉, 검색 정보 표시 시간 "8분 22초"는, 녹화 대상 콘텐츠의 처음부터 "8분 22초"가 경과한 개소에 있어서, 검색된 상세 정보가 표시된 것을 나타낸다. 그리고, 제어부(510)는, 스텝 S125N으로 처리를 진행한다.
스텝 S125N에서는, 제어부(510)가, 상세 플래그를 온으로 설정한다. 상세 플래그는, 상세 정보가 표시 중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이다. 상세 플래그가 온이면, 상세 정보가 표시 중인 것을 나타낸다. 한편, 상세 플래그가 오프이면, 상세 정보가 표시 중이 아닌 것을 나타낸다. 상세 플래그는, 미리 기억부(520)에 기억되어 있다. 그리고, 제어부(510)는, 스텝 S126으로 처리를 진행한다.
스텝 S126에서는, 표제어 기억 처리가 행하여진다. 표제어 기억 처리에서는, 제어부(510)가, 상세 정보 검색시 TV 화상의 타이틀과, 검색된 상세 정보(이하, 검색 상세 정보라고도 함)에 대응하는 표제어와, 검색 상세 정보의 취득원을 특정하기 위한 정보와, 일시 기억부(522)에 기억되어 있는 검색 정보 표시 시간을 대응시킨 표제어 관련 데이터를, 일시 기억부(522)에 기억시킨다.
여기서, 상세 정보 검색시 TV 화상의 타이틀은,「영어 회화 강좌 AA」인 것으로 한다. 또한, 검색 상세 정보에 대응하는 표제어는, "sleep"인 것으로 한다. 또한, 상세 정보의 취득원은, 명칭이 "영일 A"의 사전 데이터인 것으로 한다. 이 경우, 상세 정보의 취득원을 특정하기 위한 정보는, 사전 데이터의 명칭 "영일 A"로 된다. 또한, 일시 기억부(522)에 기억되어 있는 검색 정보 표시 시간은, "8분 22초"인 것으로 한다. 이 경우, 일시 기억부(522)에는, 이하의 표제어 관련 데이터(D100)가 기억된다.
또한, 상세 정보 검색시 TV 화상의 타이틀을 나타내는 표제어 관련 데이터가 일시 기억부(522)에 기억되어 있는 경우, 제어부(510)는, 당해 표제어 관련 데이터에, 검색 상세 정보에 대응하는 표제어와, 검색 상세 정보의 취득원을 특정하기 위한 정보와, 일시 기억부(522)에 기억되어 있는 검색 정보 표시 시간을 대응시킨 데이터를 추기한다. 그리고, 스텝 S126의 처리는 종료된다.
도 7은, 일례로서의 표제어 관련 데이터(D100)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여,「타이틀」이라 함은, 상세 정보 검색시 TV 화상의 타이틀이다. 「표제어」라 함은, 검색 상세 정보에 대응하는 표제어이다. 「정보 취득원」이라 함은, 상세 정보의 취득원을 특정하기 위한 정보이다. 또한, 상세 정보가,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로부터 취득된 경우, 상세 정보의 취득원을 특정하기 위한 정보는, 취득된 상세 정보가 표시되어 있는 web 사이트(web 페이지)의 URL이 된다. 「검색 정보 표시 시간」은, 전술하였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반복하지 않는다.
다시, 도 3을 참조하여, 스텝 S126의 처리 후, 제어부(510)는, 스텝 S127로 처리를 진행한다.
스텝 S127에서는, 정보 취득원 기억 처리가 행하여진다. 정보 취득원 기억 처리는, 스텝 S125의 상세 표시 처리에 의해 표시된 상세 정보의 취득원을 특정하기 위한 정보를 기억하기 위한 처리이다.
정보 취득원 기억 처리에서는, 제어부(510)가, 상세 정보 검색시 TV 화상의 타이틀과, 상세 정보의 취득원을 특정하기 위한 정보를 대응시킨 정보 취득원 특정 데이터를, 일시 기억부(522)에 기억시킨다. 여기서, 상세 정보 검색시 TV 화상의 타이틀은,「영어 회화 강좌 AA」인 것으로 한다. 또한, 상세 정보의 취득원은, 명칭이, "영일 A"의 사전 데이터인 것으로 한다. 이 경우, 상세 정보의 취득원을 특정하기 위한 정보는, 사전 데이터의 명칭 "영일 A"로 된다. 이 경우, 일시 기억부(522)에는, 이하의 정보 취득원 특정 데이터(D110)가 기억된다.
또한, 상세 정보 검색시 TV 화상의 타이틀을 나타내는 정보 취득원 특정 데이터가 일시 기억부(522)에 기억되어 있고, 또한 당해 정보 취득원 특정 데이터에, 상세 정보의 취득원을 특정하기 위한 정보가 표시되어 있지 않은 경우, 제어부(510)는, 당해 정보 취득원 특정 데이터에, 상세 정보의 취득원을 특정하기 위한 정보를 추기한다. 그리고, 스텝 S127의 처리는 종료된다.
도 8은, 일례로서의 정보 취득원 특정 데이터(D110)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여, 정보 취득원 특정 데이터(D110)는, 도 7의 표제어 관련 데이터(D100)와 비교하여,「표제어」및「검색 정보 표시 시간」의 항목이 없는 점이 상이하다. 그 이외에는, 표제어 관련 데이터(D100)와 마찬가지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반복하지 않는다.
다시, 도 3을 참조하여, 스텝 S127의 처리 후, 제어부(510)는, 스텝 S128로 처리를 진행한다.
스텝 S128에서는, 제어부(510)가, 입력 문자 변경 조작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입력 문자 변경 조작은, 검색 문자 입력 프레임(MG150)에 입력되어 있는 문자를 변경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조작 M이다. 또한, 스텝 S112에서 "아니오"라고 판정되어, 스텝 S128의 처리가 행하여지는 경우, 입력 문자 변경 조작은, 검색 문자 입력 프레임(MG150)에 문자가 입력되지 않는 상태에서, 검색 문자 입력 프레임(MG150)에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조작 M으로 된다.
스텝 S128에 있어서, "예"이면, 다시 스텝 S113의 처리가 행하여진다. 한편, 스텝 S128에 있어서, "아니오"이면, 제어부(510)는, 후술하는 스텝 S130으로 처리를 진행한다. 여기서는, 입력 문자 변경 조작이 있었던 것으로 하여, 제어부(510)는, 스텝 S113으로 처리를 진행한다. 여기서, 입력 문자 변경 조작에 의해, 검색 문자 입력 프레임(MG150)에 입력된 검색 대상 문자는, 일례로서, 영어 단어의 "meet"인 것으로 한다. 또한, 입력 문자 변경 조작에 의해, 검색 문자 입력 프레임(MG150)에 입력된 검색 대상 문자는, 일례로서, 표시부(530)에 표시되어 있는 TV 화상의 시청에 있어서, 유저가 조우한, 의미를 모르는 단어인 것으로 한다. 즉, 검색 대상 문자는, 유저의 학습 대상으로 되는 단어이다.
그리고, 스텝 S113 내지 S115, 스텝 S121 내지 S127의 처리가, 전술한 것과 마찬가지로 행하여진 것으로 한다.
그리고, 스텝 S128에 있어서, "아니오"라고 판정된 것으로 한다. 이 경우, 제어부(510)는, 스텝 S130으로 처리를 진행한다.
스텝 S130에서는, 제어부(510)가, 녹화 종료 조건이 만족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여기서, 녹화 종료 조건은, 현재의 시각이, 녹화 예약의 종료 예정 시각인 것이라는 조건이다. 또한, 녹화 종료 조건은, 상기 조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녹화를 종료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조작 M이 행하여졌다는 조건이어도 된다. 스텝 S130에 있어서, "예"이면, 제어부(510)는, 스텝 S131로 처리를 진행한다. 한편, 스텝 S130에 있어서, "아니오"이면, 제어부(510)는, 스텝 S140으로 처리를 진행한다. 여기서는, 녹화 종료 조건이 만족되고 있지 않은 것으로 하여, 제어부(510)는, 스텝 S140으로 처리를 진행한다.
스텝 S140에서는, 제어부(510)가, 상세 플래그가 오프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스텝 S140에 있어서, "예"이면, 제어부(510)는, 스텝 S141로 처리를 진행한다. 한편, 스텝 S140에 있어서, "아니오"이면, 다시 스텝 S128의 처리가 행하여진다.
스텝 S141에서는, 제어부(510)가, 스텝 S115의 검색 결과 표시 처리에 의해, 표시부(530)에 있어서, 검색 결과가 표시 중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스텝 S141에 있어서, "예"이면, 다시 스텝 S121의 처리가 행하여진다. 한편, 스텝 S141에 있어서, "아니오"이면, 다시 스텝 S112의 처리가 행하여진다.
여기서, 스텝 S130에서 "예"라고 판정될 때까지, 스텝 S114, S115, 스텝 S124 내지 S127의 처리가, 소정 횟수(예를 들어, 2회) 행하여진 것으로 한다.
이 경우, 일시 기억부(522)에 기억되어 있는 표제어 관련 데이터는, 이하의 표제어 관련 데이터(D100A)가 된 것으로 한다. 또한, 일시 기억부(522)에 기억되어 있는 정보 취득원 특정 데이터는, 이하의 정보 취득원 특정 데이터(D110A)가 된 것으로 한다.
도 9는, 일례로서의 표제어 관련 데이터(D100A)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일례로서의 정보 취득원 특정 데이터(D110A)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다시, 도 3을 참조하여, 스텝 S130에서 "예"라고 판정되면, 제어부(510)는, 전술한 녹화 기억 처리 및 경과 시간 측정 처리를 종료하고, 제어부(510)는, 스텝 S131로 처리를 진행한다.
스텝 S131에서는, 기억 대상 데이터가 있는지 여부가 판정된다. 구체적으로는, 제어부(510)가, 일시 기억부(522)에, 표제어 관련 데이터 및 정보 취득원 특정 데이터가 기억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스텝 S131에 있어서, "예"이면, 제어부(510)는, 스텝 S132로 처리를 진행한다. 한편, 스텝 S131에 있어서, "아니오"이면, 이 녹화 처리는 종료된다. 여기서는, 일시 기억부(522)에, 표제어 관련 데이터 및 정보 취득원 특정 데이터가 기억되어 있는 것으로 하여, 제어부(510)는, 스텝 S132로 처리를 진행한다.
스텝 S132에서는, 데이터 기억 처리가 행하여진다. 데이터 기억 처리에서는, 표제어 관련 데이터와, 녹화 기억 처리에 의해 기억부(520)에 기억된 녹화 대상 콘텐츠의 재생 시간을 대응시킨, 표제어 관련 데이터를, 기억부(520)에 기억시킨다. 그리고, 제어부(510)는, 일시 기억부(522)에 기억되어 있는 표제어 관련 데이터를 소거한다.
여기서, 일시 기억부(522)에는, 표제어 관련 데이터(D100A)가 기억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또한, 녹화 대상 콘텐츠의 재생 시간은, 일례로서, 30분인 것으로 한다. 이 경우, 제어부(510)는, 표제어 관련 데이터(D100A)와, 녹화 기억 처리에 의해 기억부(520)에 기억된 녹화 대상 콘텐츠의 재생 시간을 대응시킨, 이하의 표제어 관련 데이터(D100B)를, 기억부(520)에 기억시킨다.
도 11은, 일례로서의 표제어 관련 데이터(D100B)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다시, 도 3을 참조하여, 스텝 S132의 데이터 기억 처리에서는, 제어부(510)가, 일시 기억부(522)에 기억되어 있는 정보 취득원 특정 데이터를, 기억부(520)에 기억시킨다. 그리고, 제어부(510)는, 일시 기억부(522)에 기억되어 있는 정보 취득원 특정 데이터를 소거한다.
여기서, 일시 기억부(522)에는, 정보 취득원 특정 데이터(D110A)가 기억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이 경우, 기억부(520)에 정보 취득원 특정 데이터(D110A)가 기억된다. 그리고, 이 녹화 처리는 종료된다.
(재생 처리)
다음에, 녹화 처리에 의해, 기억부(520)에 기억된 녹화 대상 콘텐츠(이하, 녹화 콘텐츠라고도 함)를, 재생하기 위한 처리(이하, 재생 처리라고도 함)에 대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도 3의 녹화 처리가 복수회 행하여짐으로써, 기억부(520)에는, 복수의 녹화 콘텐츠가 기억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또한, 기억부(520)에는, 복수의 녹화 콘텐츠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표제어 관련 데이터가 기억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또한, 기억부(520)에는, 복수의 녹화 콘텐츠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정보 취득원 특정 데이터가 기억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도 12는, 재생 처리의 흐름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여, 재생 처리에서는, 우선, 스텝 S211의 처리가 행하여진다.
스텝 S211에서는, 제어부(510)가, 리스트 표시 조작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여기서, 리스트 표시 조작은, 기억부(520)에 기억되어 있는 복수의 녹화 콘텐츠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타이틀의 리스트를, 표시부(530)에 표시시키기 위한 인터페이스 조작 M이다. 스텝 S211에 있어서, "예"이면, 제어부(510)는, 스텝 S212로 처리를 진행한다. 한편, 스텝 S211에 있어서, "아니오"이면, 다시 스텝 S211의 처리가 행하여진다. 여기서는, 리스트 표시 조작이 있었던 것으로 하여, 제어부(510)는, 스텝 S212로 처리를 진행한다.
스텝 S212에서는, 리스트 화상 표시 처리가 행하여진다. 리스트 화상 표시 처리에서는, 제어부(510)가, VDP(532)를 이용하여, 복수의 표제어 관련 데이터에 기초하여, 이하의 리스트 화상(MG200N)을 생성하고, 리스트 화상(MG200N)을, 표시부(530)에 표시시킨다. 리스트 화상(MG200N)은, 기억부(520)에 기억되어 있는 복수의 녹화 콘텐츠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표제어 관련 데이터에 나타내어지는「타이틀」에 기초하여 생성된다. 그리고, 스텝 S212의 처리는 종료된다.
도 13은, 일례로서의 리스트 화상(MG200N)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여, 리스트 화상(MG200N)에는, 녹화 리스트 화상(MG210N)이 배치된다. 녹화 리스트 화상(MG210N)에는, 복수의 타이틀 데이터가 표시된다. 복수의 타이틀 데이터는, 기억부(520)에 기억되어 있는 복수의 녹화 콘텐츠의 타이틀을 나타내는 데이터이다. 녹화 리스트 화상(MG210N)에 있어서,「번호」라 함은, 복수의 녹화 콘텐츠의 타이틀 중 어느 하나를 특정하기 위한 번호이다.
다시, 도 12를 참조하여, 스텝 S212의 처리 후, 제어부(510)는, 스텝 S213으로 처리를 진행한다.
스텝 S213에서는, 제어부(510)가, 재생 조작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여기서, 재생 조작은, 일례로서, 녹화 리스트 화상(MG210N)에 표시되는 번호를 입력하기 위한, 버튼군(542)에 포함되는 숫자 버튼의 누름 조작이다. 즉, 재생 조작은, 녹화 리스트 화상(MG210N)에 표시되는 복수의 타이틀 데이터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조작이다. 스텝 S213에 있어서, "예"이면, 제어부(510)는, 스텝 S214로 처리를 진행한다. 한편, 스텝 S213에 있어서, "아니오"이면, 다시 스텝 S213의 처리가 행하여진다. 여기서는, 재생 조작이 있었던 것으로 하여, 제어부(510)는, 스텝 S214로 처리를 진행한다. 여기서, 재생 조작은, 숫자 "1"을 입력하기 위한 숫자 버튼의 누름 조작인 것으로 한다.
스텝 S214에서는, 제어부(510)가, 재생 표시 처리 및 경과 시간 측정 처리 P를 실행한다. 재생 표시 처리 및 경과 시간 측정 처리 P의 각각은, 다른 처리와는, 독립하여 행하여지는 처리이다. 그리고, 스텝 S214의 처리는 종료된다.
재생 표시 처리에서는, 제어부(510)가, 재생 조작에 의해 선택된 타이틀 데이터가 나타내는 타이틀의 녹화 콘텐츠를, 기억부(520)로부터 판독하면서, 녹화 콘텐츠를 재생하고, 재생하고 있는 녹화 콘텐츠의 화상(이하, 재생 화상이라고도 함)을, VDP(532)를 이용하여, 표시부(530)에 표시시킨다. 여기서, 재생 조작이, 숫자 "1"을 입력하기 위한 숫자 버튼의 누름 조작인 경우, 재생되는 녹화 콘텐츠는, 타이틀이「영어 회화 강좌 AA」의 콘텐츠로 된다. 이 경우, 표시부(530)에는, 이하의 재생시 화상(MG200)이 표시된다.
경과 시간 측정 처리 P는, 재생 표시 처리의 경과 시간을 측정하기 위한 처리이다. 즉, 경과 시간 측정 처리 P에 의해 측정되는 경과 시간은, 재생 조작에 의해 선택된 타이틀 데이터가 나타내는 타이틀의 녹화 콘텐츠의 화상인 재생 화상이, 표시부(530)에 표시되고 나서의 경과 시간이다.
도 14는, 일례로서의 재생시 화상(MG200)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4를 참조하여, 재생시 화상(MG200)에는, 재생 화상(MG210)이 표시된다. 재생 화상(MG210)은, 재생 표시 처리에 의해 표시되는 재생 화상이다. 또한, 재생 화상(MG210)에는, 검색 문자 입력 프레임(MG250)이 배치된다. 검색 문자 입력 프레임(MG250)은, 인터페이스 조작 M에 의해,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프레임이다. 이하에 있어서는, 인터페이스 조작 M에 의해, 검색 문자 입력 프레임(MG250)에 입력된 문자를, 검색 대상 문자라고도 한다.
다시, 도 12를 참조하여, 스텝 S214의 처리 후, 제어부(510)는, 스텝 S215로 처리를 진행한다.
스텝 S215에서는, 제어부(510)가, 판독 대상 데이터가 기억부(520)에 기억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여기서, 판독 대상 데이터는, 재생 표시 처리에 의해 재생되고 있는 녹화 콘텐츠의 타이틀을 나타내는 표제어 관련 데이터이다. 스텝 S215에 있어서, "예"이면, 제어부(510)는, 스텝 S216으로 처리를 진행한다. 한편, 스텝 S215에 있어서, "아니오"이면, 제어부(510)는 후술하는 스텝 S228로 처리를 진행한다. 여기서는, 판독 대상 데이터로서의 도 11의 표제어 관련 데이터(D100B)가 기억부(520)에 기억되어 있는 것으로 하여, 제어부(510)는, 스텝 S216으로 처리를 진행한다.
스텝 S216에서는, 데이터 판독 처리가 행하여진다. 데이터 판독 처리에서는, 제어부(510)가, 재생 표시 처리에 의해 재생되고 있는 녹화 콘텐츠에 대응하는 표제어 관련 데이터를, 기억부(520)로부터 판독한다. 여기서, 재생 표시 처리에 의해 재생되고 있는 녹화 콘텐츠는, 타이틀이「영어 회화 강좌 AA」의 콘텐츠인 것으로 한다. 이 경우, 제어부(510)에 의해, 도 11의 표제어 관련 데이터(D100B)가 판독된다. 그리고, 제어부(510)는, 스텝 S217로 처리를 진행한다.
스텝 S217에서는, 검색 정보 표시 처리가 행하여진다. 검색 정보 표시 처리는, 검색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처리이다. 여기서, 검색 정보는, 녹화 기간 또는 재생 기간에 있어서 검색된 정보이다. 녹화 기간은, 재생 표시 처리에 의해 표시부(530)에 표시되어 있는 녹화 콘텐츠를, 도 3의 스텝 S110에서 실행되는 녹화 기억 처리에 의해 녹화하고 있었던 기간이다. 재생 기간은, 스텝 S214에 의해 실행된 재생 표시 처리에 의해, 녹화 콘텐츠가 재생되고 있는 기간이다.
구체적으로는, 검색 정보 표시 처리에서는, 제어부(510)가, VDP(532)를 이용하여, 스텝 S216의 처리에 의해 판독된 표제어 관련 데이터에 기초하여 검색 정보 표시 화상을 생성하고, 생성한 검색 정보 표시 화상을, 재생 화상과 함께, 표시부(530)에 표시한다. 검색 정보 표시 화상은, 판독한 표제어 관련 데이터에 나타내어지는, 표제어 및 정보 취득원의 정보를 표시한 화상이다.
여기서, 표제어 관련 데이터는, 도 11의 표제어 관련 데이터(D100B)인 것으로 한다. 이 경우, 검색 정보 표시 화상은, 이하의 검색 정보 표시 화상(MG260)으로 된다. 이 경우, 표시부(530)에는, 재생 화상에 부가하여, 이하의 검색 정보 표시 화상(MG260)이 표시된, 이하의 재생시 화상(MG200A)이 표시된다. 그리고, 스텝 S217의 처리는 종료된다.
도 15는, 일례로서의 재생시 화상(MG200A)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5를 참조하여, 재생시 화상(MG200A)은, 도 14의 재생시 화상(MG200)과 비교하여, 재생 화상(MG210)의 표시 영역이 작아진 점과, 검색 정보 표시 화상(MG260)이 더 배치되는 점이 상이하다. 그 이외에는, 재생시 화상(MG200)과 마찬가지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반복하지 않는다.
검색 정보 표시 화상(MG260)에는, 복수의 검색 정보 데이터가 표시된다. 검색 정보 표시 화상(MG260)에 있어서,「번호」라 함은, 복수의 검색 정보 데이터 중 어느 하나를 특정하기 위한 번호이다. 복수의 검색 정보 데이터의 각각은, 표제어 관련 데이터(D100B)에 나타내어지는, 표제어와, 당해 표제어에 대응하는 정보 취득원을 포함한다. 정보 취득원은, 전술한 바와 같이, 상세 정보의 취득원을 특정하기 위한 정보이다.
또한, 검색 정보 표시 화상(MG260)에 표시되는 복수의 검색 정보 데이터의 각각은, 버튼군(542)에 포함되는 숫자 버튼의 누름 조작에 의해 선택 가능하게 되어 있다.
다시, 도 12를 참조하여, 스텝 S217의 처리 후, 제어부(510)는, 스텝 S221로 처리를 진행한다.
스텝 S221에서는, 상세 검색 조작 P가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상세 검색 조작 P는, 표제어의 상세 정보를 검색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조작 M이다. 상세 검색 조작 P는, 일례로서, 검색 정보 표시 화상(MG260)에 표시되는 번호를 입력하기 위한, 버튼군(542)에 포함되는 숫자 버튼의 누름 조작이다. 즉, 상세 검색 조작 P는, 검색 정보 표시 화상(MG260)에 표시되는 복수의 검색 정보 데이터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조작이다.
스텝 S221에 있어서, "예"이면, 제어부(510)는, 스텝 S224로 처리를 진행한다. 한편, 스텝 S221에 있어서, "아니오"이면, 제어부(510)는, 후술하는 스텝 S228로 처리를 진행한다. 여기서는, 상세 검색 조작 P가 있었던 것으로 하여, 제어부(510)는, 스텝 S224로 처리를 진행한다. 여기서, 상세 검색 조작 P는, 숫자 "1"을 입력하기 위한 숫자 버튼의 누름 조작인 것으로 한다.
스텝 S224에서는, 상세 검색 처리 P가 행하여진다. 상세 검색 처리 P에서는, 제어부(510)가, 상세 검색 조작 P에 의해 선택된 검색 정보 데이터에 나타내어지는 표제어의 상세 정보를, 선택된 검색 정보 데이터에 나타내어지는 정보 취득원으로부터 검색한다. 여기서, 상세 검색 처리 P에 의해 선택된 검색 정보 데이터는, 일례로서, 검색 정보 표시 화상(MG260)에 표시되는 번호 "1"의 검색 정보 데이터인 것으로 한다.
이 경우, 제어부(510)는, 번호 "1"의 검색 정보 데이터에 나타내어지는 정보 취득원인 "영일 A"의 명칭의 사전 데이터로부터, 표제어 "sleep"의 상세 정보를 검색한다. 또한, 상세 검색 조작 P에 의해 선택된 검색 정보 데이터가, 예를 들어, 검색 정보 표시 화상(MG260)에 표시되는 번호 "3"의 검색 정보 데이터인 경우, 제어부(510)는, 통신부(562)를 이용하여, URL이 "http://www.cc.com/"인 web 사이트에 액세스하고, 표제어 "memory"의 상세 정보를 검색하고, 취득한다. 그리고, 제어부(510)는, 스텝 S225로 처리를 진행한다.
스텝 S225에서는, 상세 표시 처리 P가 행하여진다. 상세 표시 처리 P에서는, 제어부(510)가, VDP(532)를 이용하여, 상세 표시 화상을 생성하고, 생성한 상세 표시 화상을, 재생 화상과 함께, 표시부(530)에 표시한다. 상세 표시 화상은, 선택된 검색 정보 데이터에 나타내어지는 표제어의 상세 정보를 나타내는 화상이다. 여기서, 선택된 검색 정보 데이터는, 일례로서, 검색 정보 표시 화상(MG260)에 나타내어지는 번호 "1"의 검색 정보 데이터인 것으로 한다. 이 경우, 표시부(530)에는, 재생 화상에 부가하여, 이하의 상세 표시 화상(MG260A)이 표시된, 이하의 재생시 화상(MG200B)이 표시된다.
도 16은, 일례로서의 재생시 화상(MG200B)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6을 참조하여, 재생시 화상(MG200B)은, 도 15의 재생시 화상(MG200A)과 비교하여, 검색 정보 표시 화상(MG260) 대신에 상세 표시 화상(MG260A)이 배치되는 점이 상이하다. 그 이외에는, 재생시 화상(MG200A)과 마찬가지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반복하지 않는다.
상세 표시 화상(MG260A)에 표시되는 정보는, 도 6의 상세 표시 화상(MG160A)에 표시되는 정보와 마찬가지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반복하지 않는다.
또한, 선택된 검색 정보 데이터가, 예를 들어, 검색 정보 표시 화상(MG260)에 표시되는 번호 "3"의 검색 정보 데이터인 경우, 상세 표시 화상(MG260A)에는, 번호 "3"의 검색 정보 데이터에 나타내어지는 정보 취득원(URL "http://www.cc.com/")과, 번호 "3"의 검색 정보 데이터에 나타내어지는 표제어 "memory"와, URL이 "http://www.cc.com/"인 web 사이트로부터 얻어진, 표제어 "memory"의 상세 정보가 표시된다.
다시, 도 12를 참조하여, 스텝 S225의 상세 표시 처리 P에서는, 제어부(510)가, 경과 시간 측정 처리 P에 의해 측정되고 있는 현재의 시간(이하, 검색 정보 표시 시간 P라고도 함)을, 일시 기억부(522)에 기억시킨다. 검색 정보 표시 시간 P는, 동화상인 재생 화상의 표시 중에 있어서, 검색된 상세 정보가 표시된 시간이다. 또한, 이미, 일시 기억부(522)에 검색 정보 표시 시간 P가 기억되어 있는 경우에는, 최신의 검색 정보 표시 시간 P를 덮어써 기억시킨다.
검색 정보 표시 시간 P는, 일례로서, 16분 50초인 것으로 한다. 이 경우, 검색 정보 표시 시간 P는, 재생 표시 처리가 개시되고 나서, 16분 50초가 경과한 것을 나타낸다. 즉, 검색 정보 표시 시간 P "16분 50초"는, 재생 표시 처리에 의해 재생되고 있는 녹화 콘텐츠의 처음부터 16분 50초가 경과한 개소에 있어서, 검색된 상세 정보가 표시된 것을 나타낸다. 그리고, 제어부(510)는, 스텝 S225N으로 처리를 진행한다.
스텝 S225N에서는, 제어부(510)가, 상세 플래그 P를 온으로 설정한다. 상세 플래그 P는, 상세 표시 처리 P에 의해 상세 정보가 표시 중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이다. 상세 플래그 P가 온이면, 상세 표시 처리 P에 의해 상세 정보가 표시 중인 것을 나타낸다. 한편, 상세 플래그 P가 오프이면, 상세 표시 처리 P에 의해 상세 정보가 표시 중이 아닌 것을 나타낸다. 상세 플래그 P는, 미리 기억부(520)에 기억되어 있다. 그리고, 제어부(510)는, 스텝 S226으로 처리를 진행한다.
스텝 S226에서는, 표제어 기억 처리 P가 행하여진다. 표제어 기억 처리 P에서는, 제어부(510)가, 재생 표시 처리에 의해 재생되고 있는 녹화 콘텐츠의 타이틀과, 검색된 상세 정보(이하, 검색 상세 정보라고도 함)에 대응하는 표제어와, 검색 상세 정보의 취득원을 특정하기 위한 정보와, 일시 기억부(522)에 기억되어 있는 검색 정보 표시 시간 P를 대응시킨 표제어 관련 데이터를, 기억부(520)에 기억시킨다.
또한, 재생 표시 처리에 의해 재생되고 있는 녹화 콘텐츠의 타이틀을 나타내는 표제어 관련 데이터가 기억부(520)에 기억되어 있고, 또한 당해 표제어 관련 데이터에, 검색 상세 정보에 대응하는 표제어가 표시되어 있지 않은 경우, 제어부(510)는, 당해 표제어 관련 데이터에, 검색 상세 정보에 대응하는 표제어와, 검색 상세 정보의 취득원을 특정하기 위한 정보와, 일시 기억부(522)에 기억되어 있는 검색 정보 표시 시간 P를 대응시킨 데이터를 추기한다.
여기서, 기억부(520)에는, 재생 표시 처리에 의해 재생되고 있는 녹화 콘텐츠의 타이틀「영어 회화 강좌 AA」를 도시하는 도면 11의 표제어 관련 데이터(D100B)가 기억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또한, 검색 상세 정보에 대응하는 표제어는, "sleep"인 것으로 한다. 이 경우, 표제어 관련 데이터(D100B)에는, 검색 상세 정보에 대응하는 표제어 "sleep"이 표시되어 있다. 그로 인해, 표제어 관련 데이터(D100B)에, 검색 상세 정보에 대응하는 표제어와, 검색 상세 정보의 취득원을 특정하기 위한 정보와, 일시 기억부(522)에 기억되어 있는 검색 정보 표시 시간 P를 대응시킨 데이터는 추기되지 않는다. 그리고, 제어부(510)는, 스텝 S227로 처리를 진행한다.
스텝 S227에서는, 정보 취득원 기억 처리 P가 행하여진다. 정보 취득원 기억 처리 P는, 스텝 S225의 상세 표시 처리 P에 의해 표시된 상세 정보의 취득원을 특정하기 위한 정보를 기억하기 위한 처리이다.
정보 취득원 기억 처리 P에서는, 제어부(510)가, 재생 표시 처리에 의해 재생되고 있는 녹화 콘텐츠의 타이틀과, 상세 정보의 취득원을 특정하기 위한 정보를 대응시킨 정보 취득원 특정 데이터를, 기억부(520)에 기억시킨다. 또한, 재생 표시 처리에 의해 재생되고 있는 녹화 콘텐츠의 타이틀을 나타내는 정보 취득원 특정 데이터가 기억부(520)에 기억되어 있고, 또한 당해 정보 취득원 특정 데이터에, 상세 정보의 취득원을 특정하기 위한 정보가 표시되어 있지 않은 경우, 제어부(510)는, 당해 정보 취득원 특정 데이터에, 상세 정보의 취득원을 특정하기 위한 정보를 추기한다.
여기서, 기억부(520)에는, 재생 표시 처리에 의해 재생되고 있는 녹화 콘텐츠의 타이틀「영어 회화 강좌 AA」를 도시하는 도면 10의 정보 취득원 특정 데이터(D110A)가 기억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또한, 상세 정보의 취득원을 특정하기 위한 정보는, 사전 데이터의 명칭 "영일 A"인 것으로 한다. 이 경우, 정보 취득원 특정 데이터(D110A)에는, 상세 정보의 취득원을 특정하기 위한 정보로서, 사전 데이터의 명칭 "영일 A"가 표시되어 있다. 그로 인해, 정보 취득원 특정 데이터(D110A)에, 상세 정보의 취득원을 특정하기 위한 정보는 추기되지 않는다. 그리고, 제어부(510)는, 스텝 S228로 처리를 진행한다.
스텝 S228에서는, 제어부(510)가, 문자 입력 조작 P가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문자 입력 조작 P는, 검색 문자 입력 프레임(MG250)에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조작 M이다. 또한, 검색 문자 입력 프레임(MG250)에 문자가 입력되어 있는 경우, 문자 입력 조작 P는, 검색 문자 입력 프레임(MG250)에 입력되어 있는 문자를 변경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조작 M으로 된다. 스텝 S228에 있어서, "예"이면, 제어부(510)는, 스텝 S233으로 처리를 진행한다. 한편, 스텝 S228에 있어서, "아니오"이면, 제어부(510)는, 후술하는 스텝 S250으로 처리를 진행한다. 여기서는, 문자 입력 조작 P가 있었던 것으로 하여, 제어부(510)는, 스텝 S233으로 처리를 진행한다.
여기서, 문자 입력 조작 P에 의해, 검색 문자 입력 프레임(MG250)에 입력된 검색 대상 문자는, 일례로서, 영어 단어의 "come"인 것으로 한다. 또한, 문자 입력 조작 P에 의해, 검색 문자 입력 프레임(MG250)에 입력된 검색 대상 문자는, 일례로서, 표시부(530)에 표시되어 있는 재생 화상의 시청에 있어서, 유저가 조우한, 의미를 모르는 단어인 것으로 한다. 즉, 검색 대상 문자는, 유저의 학습 대상으로 되는 단어이다.
스텝 S233에서는, 제어부(510)가, 검색 조작이 있었던 것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검색 조작은, 검색 대상 문자의 상세 정보를 취득하기 위한 정보(이하, 상세 취득 정보라고도 함)를 검색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조작 M이다. 스텝 S233에 있어서, "예"이면, 제어부(510)는, 스텝 S234로 처리를 진행한다. 한편, 스텝 S233에 있어서, "아니오"이면, 다시 스텝 S233의 처리가 행하여진다. 여기서는, 검색 조작이 있었던 것으로 하여, 제어부(510)는 스텝 S234로 처리를 진행한다.
스텝 S234에서는, 검색 처리가 행하여진다. 검색 처리는, 도 3의 스텝 S114의 처리와 마찬가지로, 로컬 검색 처리 및 네트워크 검색 처리가 행하여지므로 상세한 설명은 반복하지 않는다. 이 처리에 의해, 검색 대상 문자를 표제어로서 포함하는 복수의 사전 데이터와, 검색 대상 문자를 포함하는 표제어를 포함하는 복수의 사전 데이터가 검색된 것으로 한다. 또한, 검색 서버로부터, 검색 대상 문자의 상세 정보를 취득하기 위한 복수의 인터넷 상세 취득 정보를 수신한 것으로 한다. 그리고, 제어부(510)는, 스텝 S235로 처리를 진행한다.
스텝 S235에서는, 검색 결과 표시 처리 P가 행하여진다. 검색 결과 표시 처리 P에서는, 제어부(510)가, VDP(532)를 이용하여, 검색 결과 표시 화상을 생성하고, 생성한 검색 결과 표시 화상을, 재생 화상과 함께, 표시부(530)에 표시한다. 검색 결과 표시 화상은, 로컬 검색 처리의 결과 및 네트워크 검색 처리의 결과를 표시한 화상이다.
여기서, 로컬 검색 처리에 의해, 검색 대상 문자를 표제어로서 포함하는 복수의 사전 데이터와, 검색 대상 문자를 포함하는 표제어를 포함하는 복수의 사전 데이터가 검색된 것으로 한다. 또한, 네트워크 검색 처리에 의해, 복수의 인터넷 상세 취득 정보가 수신된 것으로 한다. 이 경우, 표시부(530)에는, 재생 화상에 부가하여, 이하의 검색 결과 표시 화상(MG260C)이 표시된, 이하의 재생시 화상(MG200C)이 표시된다. 검색 결과 표시 화상(MG260C)은, 로컬 검색 처리에 의해 검색된 사전 데이터의 명칭과, 네트워크 검색 처리에 의해 수신된 인터넷 상세 취득 정보를 표시한 화상이다. 그리고, 스텝 S235의 처리는 종료된다.
도 17은, 일례로서의 재생시 화상(MG200C)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7을 참조하여, 재생시 화상(MG200C)은, 도 16의 재생시 화상(MG200B)과 비교하여, 상세 표시 화상(MG260A) 대신에 검색 결과 표시 화상(MG260C)이 배치되는 점과, 검색 문자 입력 프레임(MG250)에 검색 대상 문자 "come"이 입력되어 있는 점이 상이하다. 그 이외에는, 재생시 화상(MG200B)과 마찬가지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반복하지 않는다.
검색 결과 표시 화상(MG260C)에 표시되는 정보, 데이터는, 도 5의 검색 결과 표시 화상(MG160)에 있어서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반복하지 않는다. 또한, 검색 결과 표시 화상(MG260C)에 표시되는 복수의 표제어 데이터의 각각은, 버튼군(542)에 포함되는 숫자 버튼의 누름 조작에 의해 선택 가능하게 되어 있다.
다시, 도 12를 참조하여, 스텝 S235의 처리 후, 제어부(510)는, 스텝 S236으로 처리를 진행한다.
스텝 S236에서는, 제어부(510)가, 전술한 상세 플래그 P를 오프로 설정한다. 또한, 제어부(510)가, 상세 플래그 PN을 오프로 설정한다. 상세 플래그 PN은, 후술하는 상세 표시 처리 PN에 의해 상세 정보가 표시 중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이다. 상세 플래그 PN이 온이면, 상세 표시 처리 PN에 의해 상세 정보가 표시 중인 것을 나타낸다. 한편, 상세 플래그 PN이 오프이면, 상세 표시 처리 PN에 의해 상세 정보가 표시 중이 아닌 것을 나타낸다. 상세 플래그 PN은, 미리 기억부(520)에 기억되어 있다. 그리고, 제어부(510)는, 스텝 S241로 처리를 진행한다.
스텝 S241에서는, 제어부(510)가, 상세 검색 조작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상세 검색 조작은, 표제어의 상세 정보를 검색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조작 M이다. 상세 검색 조작은, 일례로서, 검색 결과 표시 화상(MG260C)에 표시되는 번호를 입력하기 위한, 버튼군(542)에 포함되는 숫자 버튼의 누름 조작이다. 즉, 상세 검색 조작은, 검색 결과 표시 화상(MG260C)에 표시되는 복수의 표제어 데이터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조작이다. 스텝 S241에 있어서, "예"이면, 제어부(510)는, 스텝 S244로 처리를 진행한다. 한편, 스텝 S241에 있어서, "아니오"이면, 다시 스텝 S228의 처리가 행하여진다. 여기서는, 상세 검색 조작이 있었던 것으로 하여, 제어부(510)는, 스텝 S244로 처리를 진행한다. 여기서, 상세 검색 조작은, 숫자 "1"을 입력하기 위한 숫자 버튼의 누름 조작인 것으로 한다.
스텝 S244에서는, 상세 검색 처리가 행하여진다. 상세 검색 처리는, 도 3의 스텝 S124의 처리와 마찬가지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반복하지 않는다. 그리고, 제어부(510)는, 스텝 S245로 처리를 진행한다.
스텝 S245에서는, 상세 표시 처리 PN이 행하여진다. 상세 표시 처리 PN에서는, 제어부(510)가, VDP(532)를 이용하여, 상세 표시 화상을 생성하고, 생성한 상세 표시 화상을, 재생 화상과 함께, 표시부(530)에 표시한다. 상세 표시 화상은, 선택된 표제어 데이터에 나타내어지는 표제어의 상세 정보를 나타내는 화상이다. 여기서, 선택된 표제어 데이터는, 일례로서, 검색 결과 표시 화상(MG260C)에 나타내어지는 번호 "1"의 표제어 데이터인 것으로 한다. 이 경우, 표시부(530)에는, 재생 화상에 부가하여, 이하의 상세 표시 화상(MG260D)이 표시된, 이하의 재생시 화상(MG200D)이 표시된다.
도 18은, 일례로서의 재생시 화상(MG200D)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8을 참조하여, 재생시 화상(MG200D)은, 도 17의 재생시 화상(MG200C)과 비교하여, 검색 결과 표시 화상(MG260C) 대신에 상세 표시 화상(MG260D)이 배치되는 점이 상이하다. 그 이외에는, 재생시 화상(MG200C)과 마찬가지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반복하지 않는다.
상세 표시 화상(MG260D)에 표시되는 정보는, 도 6의 상세 표시 화상(MG160A)에 있어서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반복하지 않는다.
다시, 도 12를 참조하여, 스텝 S245의 상세 표시 처리 PN에서는, 제어부(510)가, 경과 시간 측정 처리 P에 의해 측정되고 있는 현재의 시간(이하, 검색 정보 표시 시간 P라고도 함)을, 일시 기억부(522)에 기억시킨다. 검색 정보 표시 시간 P는, 동화상인 재생 화상의 표시 중에 있어서, 검색된 상세 정보가 표시된 시간이다. 또한, 이미, 일시 기억부(522)에 검색 정보 표시 시간 P가 기억되어 있는 경우에는, 제어부(510)는, 최신의 검색 정보 표시 시간 P를 덮어써 기억시킨다.
검색 정보 표시 시간 P는, 일례로서, "16분 50초"인 것으로 한다. 이 경우, 검색 정보 표시 시간 P는, 재생 표시 처리가 개시되고 나서, "16분 50초"가 경과한 것을 나타낸다. 즉, 검색 정보 표시 시간 P "16분 50초"는, 재생 표시 처리에 의해 재생되고 있는 녹화 콘텐츠의 처음부터 16분 50초가 경과한 개소에 있어서, 검색된 상세 정보가 표시된 것을 나타낸다. 그리고, 제어부(510)는, 스텝 S245N으로 처리를 진행한다.
스텝 S245N에서는, 제어부(510)가, 상세 플래그 PN을 온으로 설정한다. 상세 플래그 PN은, 상세 표시 처리 PN에 의해 상세 정보가 표시 중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이다. 상세 플래그 PN이 온이면, 상세 표시 처리 PN에 의해 상세 정보가 표시 중인 것을 나타낸다. 한편, 상세 플래그 PN이 오프이면, 상세 표시 처리 PN에 의해 상세 정보가 표시 중이 아닌 것을 나타낸다. 그리고, 제어부(510)는, 스텝 S246으로 처리를 진행한다.
스텝 S246에서는, 표제어 기억 처리 P가 행하여진다. 스텝 S246의 표제어 기억 처리 P는, 스텝 S226의 표제어 기억 처리 P와 마찬가지인 처리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반복하지 않는다.
여기서, 기억부(520)에는, 재생 표시 처리에 의해 재생되고 있는 녹화 콘텐츠의 타이틀「영어 회화 강좌 AA」를 도시하는 도면 11의 표제어 관련 데이터(D100B)가 기억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또한, 검색 상세 정보에 대응하는 표제어는, "come"인 것으로 한다. 이 경우, 표제어 관련 데이터(D100B)에는, 검색 상세 정보에 대응하는 표제어 "come"이 표시되어 있지 않다. 그로 인해, 제어부(510)는, 표제어 관련 데이터(D100B)에, 검색 상세 정보에 대응하는 표제어와, 검색 상세 정보의 취득원을 특정하기 위한 정보와, 일시 기억부(522)에 기억되어 있는 검색 정보 표시 시간 P를 대응시킨 데이터를 추기한다. 이 경우, 기억부(520)에 기억되어 있는 표제어 관련 데이터(D100B)는, 이하의 표제어 관련 데이터(D100C)로 된다. 그리고, 스텝 S246의 처리는 종료된다.
도 19는, 일례로서의 표제어 관련 데이터(D100C)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9를 참조하여, 스텝 S246의 처리에 의해 데이터가 추기되는 경우, 표제어 관련 데이터(D100C)에 나타내어지는 검색 정보 표시 시간이, 차례로 길어지는 개소에, 데이터가 추기된다.
다시, 도 12를 참조하여, 스텝 S246의 처리 후, 제어부(510)는, 스텝 S247로 처리를 진행한다.
스텝 S247에서는, 정보 취득원 기억 처리 P가 행하여진다. 스텝 S247의 정보 취득원 기억 처리 P는, 스텝 S227의 정보 취득원 기억 처리 P와 마찬가지인 처리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반복하지 않는다.
여기서, 기억부(520)에는, 재생 표시 처리에 의해 재생되고 있는 녹화 콘텐츠의 타이틀「영어 회화 강좌 AA」를 도시하는 도면 10의 정보 취득원 특정 데이터(D110A)가 기억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또한, 상세 정보의 취득원을 특정하기 위한 정보는, 사전 데이터의 명칭 "영일 D"인 것으로 한다. 이 경우, 정보 취득원 특정 데이터(D110A)에는, 상세 정보의 취득원을 특정하기 위한 정보로서, 사전 데이터의 명칭 "영일 D"는 표시되어 있지 않다. 그로 인해, 제어부(510)는, 정보 취득원 특정 데이터(D110A)에, 상세 정보의 취득원을 특정하기 위한 정보는 추기한다. 이 경우, 기억부(520)에 기억되어 있는 정보 취득원 특정 데이터(D110A)는, 이하의 정보 취득원 특정 데이터(D110C)로 된다. 그리고, 스텝 S247의 처리는 종료된다.
도 20은, 일례로서의 정보 취득원 특정 데이터(D110C)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다시, 도 12를 참조하여, 스텝 S247의 처리 후, 다시 스텝 S228의 처리가 행하여진다.
여기서, 스텝 S228에서 "아니오"라고 판정되고, 제어부(510)는, 스텝 S250으로 처리를 진행하는 것으로 한다.
스텝 S250에서는, 제어부(510)가, 재생 종료 조건이 만족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여기서, 재생 종료 조건은, 재생 표시 처리에 의해 재생되고 있는 녹화 콘텐츠의 재생이 종료된다는 조건이다. 또한, 재생 종료 조건은, 상기 조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녹화 콘텐츠의 재생을 종료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조작 M이 행하여진 것으로 하는 조건이어도 된다. 스텝 S250에 있어서, "예"이면, 제어부(510)는, 전술한 재생 표시 처리 및 경과 시간 측정 처리 P를 종료하고, 이 재생 처리는 종료된다. 한편, 스텝 S250에 있어서, "아니오"이면, 제어부(510)는, 스텝 S251로 처리를 진행한다. 여기서는, 재생 종료 조건이 만족되고 있지 않는 것으로 하여, 제어부(510)는 스텝 S251로 처리를 진행한다.
스텝 S251에서는, 제어부(510)가, 상세 플래그 P가 오프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스텝 S251에 있어서, "예"이면, 제어부(510)는, 스텝 S252로 처리를 진행한다. 한편, 스텝 S251에 있어서, "아니오"이면, 다시 스텝 S228의 처리가 행하여진다.
스텝 S252에서는, 제어부(510)가, 전술한 상세 플래그 PN이 오프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스텝 S252에 있어서, "예"이면, 제어부(510)는, 스텝 S253으로 처리를 진행한다. 한편, 스텝 S252에 있어서, "아니오"이면, 다시 스텝 S228의 처리가 행하여진다.
스텝 S253에서는, 제어부(510)가, 스텝 S217의 검색 정보 표시 처리에 의해, 표시부(530)에 있어서, 검색 정보가 표시 중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스텝 S253에 있어서, "예"이면, 다시 스텝 S221의 처리가 행하여진다. 한편, 스텝 S253에 있어서, "아니오"이면, 제어부(510)는, 스텝 S254로 처리를 진행한다.
스텝 S254에서는, 제어부(510)가, 스텝 S235의 검색 결과 표시 처리 P에 의해, 표시부(530)에 있어서, 검색 결과가 표시 중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스텝 S254에 있어서, "예"이면, 다시 스텝 S241의 처리가 행하여진다. 한편, 스텝 S254에 있어서, "아니오"이면, 다시 스텝 S228의 처리가 행하여진다.
(재생 기간에만 검색된 표제어의 표시)
다음에, 녹화 기간에 있어서, 상세 정보의 검색이 행하여지지 않았던 경우의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즉, 이 경우는, 도 3의 녹화 처리에 있어서, 스텝 S130에서 "예"라고 판정될 때까지, 스텝 S112, S128에서 "아니오"라고 계속 판정된 경우이다. 이 경우, 도 3의 녹화 처리의 종료시에 있어서, 기억부(520)에는, 녹화 대상 콘텐츠의 표제어 관련 데이터 및 정보 취득원 특정 데이터는 기억되어 있지 않다.
그리고, 도 12의 재생 처리에 있어서, 대응하는 표제어 관련 데이터 및 정보 취득원 특정 데이터가 기억되어 있지 않은 녹화 콘텐츠의 재생 중에 있어서, 상세 정보의 검색 처리가 행하여진 것으로 한다. 이 경우, 도 12의 재생 처리의 스텝 S226, S227, S246, S247 등의 처리가 행하여짐으로써, 재생 중의 녹화 콘텐츠에 대응하는 표제어 관련 데이터 및 정보 취득원 특정 데이터가 기억부(520)에 기억된다.
그 후, 다시 도 12의 재생 처리에 있어서, 녹화 콘텐츠를 재생함으로써, 녹화 기간에 있어서, 상세 정보의 검색이 행하여지지 않았던 경우에 있어서도, 녹화 콘텐츠의 재생 중에, 상세 정보가 검색된 표제어를 표시시킬 수 있다.
(표제어의 표시)
다음에, 상세 정보를 표시시킨 표제어의 리스트를 표시시키기 위한 처리(이하, 리스트 표시 처리라고도 함)에 대하여 설명한다. 리스트 표시 처리는, 상세 정보를 표시시킨 표제어의 리스트를 표시시키기 위해 인터페이스 조작 M이 있었던 경우에 행하여지는 처리이다. 여기서, 기억부(520)에는, 복수의 녹화 콘텐츠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표제어 관련 데이터가 기억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또한, 기억부(520)에는, 복수의 녹화 콘텐츠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정보 취득원 특정 데이터가 기억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도 21은, 일례로서의 리스트 표시 처리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1을 참조하여, 리스트 표시 처리에서는, 우선, 스텝 S311의 처리가 행하여진다.
스텝 S311에서는, 리스트 화상 표시 처리 C가 행하여진다. 리스트 화상 표시 처리 C에서는, 제어부(510)가, VDP(532)를 이용하여, 복수의 표제어 관련 데이터에 기초하여, 이하의 리스트 화상(MG400)을 생성하고, 리스트 화상(MG400)을, 표시부(530)에 표시시킨다. 리스트 화상(MG400)은, 기억부(520)에 기억되어 있는 복수의 녹화 콘텐츠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표제어 관련 데이터에 나타내어지는「타이틀」에 기초하여 생성된다. 그리고, 스텝 S311의 처리는 종료된다.
도 22는, 일례로서의 리스트 화상(MG400)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2를 참조하여, 리스트 화상(MG400)에는, 표시 표제어 선택 화상(MG410)이 배치된다. 표시 표제어 선택 화상(MG410)에는, 복수의 번호에 각각 대응시켜진 복수의 표제어 관련 데이터에 나타내어지는「타이틀」이 표시된다. 또한, 번호 "0"은, 기억부(520)에 기억되어 있는 모든 표제어 관련 데이터에 나타내어지는, 모든 표제어를 표시하기 위한 번호이다.
다시, 도 21을 참조하여, 스텝 S311의 처리 후, 제어부(510)는, 스텝 S312로 처리를 진행한다.
스텝 S312에서는, 제어부(510)가, 선택 조작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선택 조작은, 일례로서, 표시 표제어 선택 화상(MG410)에 표시되는 번호를 입력하기 위한, 버튼군(542)에 포함되는 숫자 버튼의 누름 조작이다. 스텝 S312에 있어서, "예"이면, 제어부(510)는, 스텝 S313으로 처리를 진행한다. 한편, 스텝 S312에 있어서, "아니오"이면, 다시 스텝 S312의 처리가 행하여진다. 여기서는, 선택 조작이 있었던 것으로 하여, 제어부(510)는, 스텝 S313으로 처리를 진행한다. 여기서, 선택 조작은, 숫자 "1"을 입력하기 위한 숫자 버튼의 누름 조작인 것으로 한다.
스텝 S313에서는, 표제어 표시 처리가 행하여진다. 표제어 표시 처리에서는, 선택 조작에 기초한 표제어의 리스트가 표시된다. 여기서는, 선택 조작은, 숫자 "1"을 입력하기 위한 숫자 버튼의 누름 조작인 것으로 한다. 이 경우, 제어부(510)가, VDP(532)를 이용하여, 타이틀이「영어 회화 강좌 AA」를 나타내는 표제어 관련 데이터에 표시되어 있는, 모든 표제어를 표시한 리스트 화상을 생성하고, 리스트 화상을, 표시부(530)에 표시시킨다. 여기서,「영어 회화 강좌 AA」를 나타내는 표제어 관련 데이터는, 도 19의 표제어 관련 데이터(D100C)인 것으로 한다. 이 경우, 표시부(530)에는, 이하의 리스트 화상(MG400A)이 표시된다. 그리고, 스텝 S313의 처리는 종료된다.
도 23은, 일례로서의 리스트 화상(MG400A)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3을 참조하여, 리스트 화상(MG400A)에는, 표제어 리스트 화상(MG410A)이 배치된다. 표제어 리스트 화상(MG410A)은, 타이틀이「영어 회화 강좌 AA」의 콘텐츠의 녹화 기간 또는 재생 기간에 있어서, 상세 정보가 검색된 복수의 표제어를 나타낸다. 또한, 리스트 화상(MG400A)이 표시되어 있을 때에, 표제어에 대응하는 숫자가 입력되면, 대응하는 표제어의 상세 정보가 표시된다. 또한, 리스트 화상(MG400A)의 표시 중에, 초기 화상으로 복귀되기 위한 인터페이스 조작 M이 있으면, 다시 스텝 S311의 처리가 행하여진다.
또한, 스텝 S313의 표제어 표시 처리에 있어서, 숫자 "0"을 입력하기 위한 선택 조작에 기초하는 처리는, 이하와 같이 된다. 구체적으로는, 제어부(510)가, 기억부(520)에 기억되어 있는 모든 표제어 관련 데이터에 나타내어지는, 모든 표제어를 표시한 리스트 화상(MG400B)을 생성하고, 리스트 화상(MG400B)을, 표시부(530)에 표시시킨다.
도 24는, 일례로서의 리스트 화상(MG400B)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4를 참조하여, 리스트 화상(MG400B)에는, 표제어 리스트 화상(MG410B)이 배치된다.
표제어 리스트 화상(MG410B)은, 콘텐츠의 녹화 기간 또는 재생 기간에 있어서, 상세 정보가 검색된 복수의 표제어를 나타낸다. 표제어 리스트 화상(MG410B)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표제어는, 영어 단어뿐만 아니라 일본어 등도 있다. 일본어가 표제어가 되는 경우에는, 예를 들어, 일본어의 표제어에 의해, 일본어 이외의 언어(예를 들어, 프랑스어) 등의 번역어를 검색한 경우이다. 또한, 일본어가 표제어가 되는 경우에는, 예를 들어, 일본어의 표제어의 설명 등을 검색한 경우이다.
또한, 리스트 화상(MG400B)이 표시되어 있을 때에, 표제어에 대응하는 숫자가 입력되면, 대응하는 표제어의 상세 정보가 표시된다. 또한, 리스트 화상(MG400B)의 표시 중에, 초기 화상으로 복귀되기 위한 인터페이스 조작 M이 있으면, 다시 스텝 S311의 처리가 행하여진다.
다시, 도 21을 참조하여, 스텝 S313의 처리 후, 제어부(510)는, 스텝 S314로 처리를 진행한다.
스텝 S314에서는, 제어부(510)가, 종료 조작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여기서, 종료 조작은, 리스트 표시 처리를 종료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조작 M이다. 스텝 S314에 있어서, "예"이면, 이 리스트 표시 처리는 종료된다. 한편, 스텝 S314에 있어서, "아니오"이면, 다시 스텝 S314의 처리가 행하여진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녹화 기간 및 재생 기간 중 적어도 한쪽에 있어서, 상세 정보를 검색한 경우, 검색된 상세 정보에 대응하는 표제어와, 상세 정보를 검색한 기간(녹화 기간 또는 재생 기간)에 표시부(530)에 표시되어 있는 영상 콘텐츠를 특정하는 화상 정보(예를 들어, 타이틀)가 대응되어, 기억부(520)에 기억된다.
그리고, 기억부(520)에 기억된 화상 정보(예를 들어, 타이틀)에 의해 특정되는 녹화 콘텐츠가 재생되면, 녹화 콘텐츠의 재생 기간 중에, 당해 녹화 콘텐츠의 녹화 기간 및 재생 기간 중 적어도 한쪽에 있어서 상세 정보가 검색된 표제어를 표시부(530)에 표시한다. 또한, 표시되는 표제어는, 유저에 의한 인터페이스 조작에 기초하는 표제어이다.
따라서, 녹화 콘텐츠를 재생함으로써, 당해 녹화 콘텐츠의 녹화 기간 및 재생 기간 중 적어도 한쪽에 있어서 상세 정보가 검색된 표제어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상세 정보가 검색된 표제어는, 유저에 의한 인터페이스 조작에 기초하는 표제어이며, 유저의 학습 대상으로 되는 단어이다. 즉, 학습 대상으로 되는 단어를 효율적으로 학습할 수 있다는 효과를 발휘한다.
<제2 실시 형태>
(재생 중의 표제어의 전환)
다음에, 녹화 콘텐츠의 재생 중에 있어서, 표시하는 표제어를, 경과 시간에 따라서, 전환하기 위한 처리(이하, 재생 처리 A라고도 함)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번역 장치(500)의 구성은,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 설명한 구성과 마찬가지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반복하지 않는다. 여기서, 기억부(520)에는, 도 3의 녹화 처리 및 도 12의 재생 처리가 행하여짐으로써, 도 19의 표제어 관련 데이터(D100C)와, 도 20의 정보 취득원 특정 데이터(D110C)와, 표제어 관련 데이터(D100C)에 나타내어지는 타이틀「영어 회화 강좌 AA」의 녹화 콘텐츠가 기억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또한, 타이틀「영어 회화 강좌 AA」의 녹화 콘텐츠의 재생 시간은, 표제어 관련 데이터(D100C)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30분이다.
여기서, 녹화 콘텐츠의 재생 시간은, 일례로서, 3개의 기간으로 나누어지는 것으로 한다. 또한, 나누어지는 기간은, 3개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에 있어서는, 3개의 기간을, 각각 제1, 제2 및 제3 기간이라고 한다. 제1 기간은, 녹화 콘텐츠의 재생 개시의 시간으로부터, 녹화 콘텐츠가 재생되고 나서 "10분 00초"의 시간까지의 기간인 것으로 한다. 제2 기간은, 녹화 콘텐츠가 재생되고 나서 "10분 01초"의 시간으로부터, 녹화 콘텐츠가 재생되고 나서 "20분 00초"의 시간까지의 기간인 것으로 한다. 제3 기간은, 녹화 콘텐츠가 재생되고 나서 "20분 01초"의 시간으로부터, 녹화 콘텐츠가 재생되고 나서 "30분 00초"의 시간까지의 기간인 것으로 한다. 또한, 제1, 제2 및 제3 기간은, 상기와 같은 기간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제1, 제2 및 제3 기간의 각각의 길이는 서로 상이하여도 된다.
도 25는, 재생 처리 A의 흐름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재생 처리 A에 있어서, 도 12의 재생 처리와 동일한 스텝 번호의 처리는, 도 12에서 설명한 처리와 마찬가지인 처리가 행하여지므로 상세한 설명은 반복하지 않는다. 이하에 있어서는, 도 12의 처리와 상이한 처리를 주로 설명한다.
도 25를 참조하여, 스텝 S211, S212, S213의 처리에 의해, 타이틀「영어 회화 강좌 AA」의 녹화 콘텐츠가 재생된 것으로 한다. 그리고, 스텝 S214의 처리 후, 제어부(510)는, 스텝 S215A로 처리를 진행한다.
스텝 S215A에서는, 제어부(510)가, 경과 시간 측정 처리 P에 의해 측정되고 있는 경과 시간(이하, 측정 경과 시간이라고도 함)이, 제n 기간 내의 시간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스텝 S215A에 있어서, "예"이면, 제어부(510)는, 스텝 S215B로 처리를 진행한다. 한편, 스텝 S215A에 있어서, "아니오"이면, 제어부(510)는, 스텝 S228로 처리를 진행한다.
여기서, n은, 측정 경과 시간에 의해 변화한다. 측정 경과 시간이, 전술한 제1 기간 내의 시간인 경우에는, n은 "1"로 된다. 즉, 측정 경과 시간이, 녹화 콘텐츠가 재생되고 나서 "10분 00초"의 시간까지의 기간 내의 시간인 경우에는, n은 "1"로 된다. 마찬가지로, 측정 경과 시간이, 전술한 제2 기간 내의 시간인 경우에는, n은 "2"로 된다. 즉, 측정 경과 시간이, 녹화 콘텐츠가 재생되고 나서 "10분 01초"의 시간으로부터, 녹화 콘텐츠가 재생되고 나서 "20분 00초"의 시간까지의 기간 내의 시간인 경우에는, n은 "2"로 된다.
여기서, 측정 경과 시간은, 일례로서, "2분 00초"인 것으로 한다. 이 경우, 제어부(510)는, 측정 경과 시간이, 제1 기간 내의 시간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이 경우, 스텝 S215A에 있어서, "예"라고 판정되고, 제어부(510)는, 스텝 S215B로 처리를 진행한다. 또한, 제1 기간은, 도 19의 표제어 관련 데이터(D100C)에 나타내어지는, 검색 정보 표시 시간 "8분 22초"를 포함하는 기간이다.
스텝 S215B에서는, 제어부(510)가, 판독 대상 데이터 T가 기억부(520)에 기억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여기서, 판독 대상 데이터 T는, 재생 표시 처리에 의해 재생되고 있는 녹화 콘텐츠의 타이틀을 나타내는 표제어 관련 데이터이며, 또한 제n 기간에 포함되는 검색 정보 표시 시간을 나타내는 표제어 관련 데이터이다. 스텝 S215B에 있어서, "예"이면, 제어부(510)는, 스텝 S216A로 처리를 진행한다. 한편, 스텝 S215B에 있어서, "아니오"이면, 제어부(510)는, 스텝 S228로 처리를 진행한다.
여기서, 제n 기간은, 제1 기간인 것으로 한다. 이 경우, 기억부(520)에 기억되어 있는, 검색 정보 표시 시간 "8분 22초"를 나타내는 도 19의 표제어 관련 데이터(D100C)가, 판독 대상 데이터 T로 된다. 이 경우, 스텝 S215B에 있어서, "예"라고 판정되고, 제어부(510)는, 스텝 S216A로 처리를 진행한다.
스텝 S216A에서는, 데이터 판독 처리 A가 행하여진다. 데이터 판독 처리 A에서는, 제어부(510)가, 판독 대상 데이터 T를, 기억부(520)로부터 판독한다. 여기서, 판독 대상 데이터 T는, 표제어 관련 데이터(D100C)인 것으로 한다. 따라서, 표제어 관련 데이터(D100C)가 판독된다. 그리고, 제어부(510)는, 스텝 S217A로 처리를 진행한다.
스텝 S217A에서는, 검색 정보 표시 처리 A가 행하여진다. 검색 정보 표시 처리 A는, 검색 정보 T를 표시하기 위한 처리이다. 여기서, 검색 정보 T는, 전술한 녹화 기간 또는 전술한 재생 기간 중의 제n 기간에 있어서, 검색된 정보이다.
구체적으로는, 검색 정보 표시 처리 A에서는, 제어부(510)가, VDP(532)를 이용하여, 스텝 S216A의 처리에 의해 판독된 표제어 관련 데이터에 기초하여 검색 정보 표시 화상을 생성하고, 생성한 검색 정보 표시 화상을, 재생 화상과 함께, 표시부(530)에 표시한다. 검색 정보 표시 화상은, 판독한 표제어 관련 데이터에 나타내어지는, 제n 기간에 포함되는 검색 정보 표시 시간에 대응하는 표제어와, 당해 표제어의 정보 취득원의 정보를 표시한 화상이다.
여기서, 표제어 관련 데이터는, 판독 대상 데이터 T로서의 표제어 관련 데이터(D100C)인 것으로 한다. 제n 기간은, 전술한 제1 기간인 것으로 한다. 이 경우, 검색 정보 표시 화상은, 이하의 검색 정보 표시 화상(MG260T)으로 된다. 이 경우, 표시부(530)에는, 재생 화상에 부가하여, 이하의 검색 정보 표시 화상(MG260T)이 표시된, 이하의 재생시 화상(MG200T)이 표시된다. 그리고, 스텝 S217A의 처리는 종료된다.
도 26은, 일례로서의 재생시 화상(MG200T)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6을 참조하여, 재생시 화상(MG200T)은, 도 15의 재생시 화상(MG200A)과 비교하여, 검색 정보 표시 화상(MG260) 대신에 검색 정보 표시 화상(MG260T)이 배치되는 점이 상이하다. 그 이외에는, 재생시 화상(MG200A)과 마찬가지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반복하지 않는다.
검색 정보 표시 화상(MG260T)에는, 검색 정보 데이터가 표시된다. 검색 정보 표시 화상(MG260T)에 있어서,「번호」라 함은, 검색 정보 데이터를 특정하기 위한 번호이다. 검색 정보 표시 화상(MG260T)에 표시되는 검색 정보 데이터는, 제1 기간에 포함되는 검색 정보 표시 시간 "8분 22초"에 대응하는 표제어 "sleep"과, 당해 표제어에 대응하는 정보 취득원을 포함한다. 정보 취득원은, 전술한 바와 같이, 상세 정보의 취득원을 특정하기 위한 정보이다.
또한, 검색 정보 표시 화상(MG260T)에 표시되는 검색 정보 데이터는, 버튼군(542)에 포함되는 숫자 버튼의 누름 조작에 의해 선택 가능하게 되어 있다.
다시, 도 25를 참조하여, 스텝 S217A의 처리 후, 제어부(510)는, 스텝 S221로 처리를 진행한다.
스텝 S221 이후의 처리는,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 설명한 처리와 마찬가지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반복하지 않는다.
또한, 스텝 S215A의 처리가 행하여지는 시점에 있어서, 측정 경과 시간이, 예를 들어, "10분 01초"인 경우, 표시부(530)에는, 스텝 S215A, S215B, S216A, S217A의 처리에 의해, 표제어 관련 데이터(D100C)에 나타내어지는, 제2 기간에 포함되는 검색 정보 표시 시간 "16분 50초"에 대응하는 표제어 "come"과, 표제어 "come"의 정보 취득원의 정보를 표시한 검색 정보 표시 화상이 표시된다.
또한, 측정 경과 시간에 기초하여, 대응하는 표제어와, 당해 표제어의 정보 취득원의 정보를 표시하는 처리는, 본 실시 형태의 상기 처리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측정 경과 시간이, 표제어에 대응하는 검색 정보 표시 시간이 되었을 때에, 당해 표제어와, 당해 표제어의 정보 취득원의 정보를 표시하여도 된다. 또한, 예를 들어, 측정 경과 시간이, 표제어에 대응하는 검색 정보 표시 시간으로부터 소정 시간(예를 들어, 1분) 전의 시간이 되었을 때에, 당해 표제어와, 당해 표제어의 정보 취득원의 정보를 표시하여도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경과 시간 측정 처리 P에 의해 측정되고 있는 측정 경과 시간이, 소정의 시간 조건을 만족한 시간으로 된 경우, 재생 중의 녹화 콘텐츠의 타이틀에 대응시켜진 표제어이며, 또한 당해 표제어에 대응시켜진 검색 정보 표시 시간이 제n 기간 내의 시간인 표제어와, 당해 표제어에 대응하는 정보 취득원을, 재생 화상과 함께, 표시부(530)에 표시시킨다. 여기서, 소정의 시간 조건을 만족한 시간이라 함은, 기억부(520)에 기억된, 판독 대상 데이터 T로서의 표제어 관련 데이터에 나타내어지는 검색 정보 표시 시간을 포함하는 제n 기간 내의 시간이다.
즉, 녹화 콘텐츠의 재생 기간 중에, 당해 녹화 콘텐츠의 녹화 기간 및 재생 기간 중 적어도 한쪽에 있어서 상세 정보가 검색되고, 표시된 표제어의 검색 정보 표시 시간을 포함하는 소정 기간 내에 있어서만, 당해 검색 정보 표시 시간에 대응하는 표제어만을 표시한다. 즉, 표제어의 상세 정보가 표시된 시간에 가까운 시간에 있어서, 당해 표제어가 표시된다. 또한, 표시되는 표제어는, 유저에 의한 인터페이스 조작에 기초하는 표제어이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실시 형태보다도, 유저는, 상세 정보가 검색된 표제어만을, 더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상세 정보가 검색된 표제어는, 유저에 의한 인터페이스 조작에 기초하는 표제어이며, 유저의 학습 대상으로 되는 단어이다. 즉, 학습 대상으로 되는 단어를 유저가 효율적으로 학습하는 것을 지원할 수 있다는 효과를 발휘한다.
(기능 블록도)
도 27은, 제1 실시 형태 및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어부(510)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27을 참조하여, 제어부(510)는, 접수부(511)와, 검색부(512)와, 저장부(513)와, 표시 제어부(514)를 포함한다.
접수부(511)는, 입력을 접수한다. 검색부(512)는, 접수부(511)에 의해 접수된 입력에 기초하는 표제어의 상세 정보를 검색하는 검색 처리를 행한다. 저장부(513)는, 표시부(530)가 화상을 표시하고 있을 때에, 검색부(512)에 의해 검색 처리가 행하여진 경우, 검색 처리에 의해 검색된 상세 정보에 대응하는 표제어와, 표시부(530)가 표시하고 있는 화상을 특정하는 화상 정보를 대응시켜 기억부(520)에 기억시키는 기억 처리를 행한다.
표시 제어부(514)는, 기억부(520)에 기억된 화상 정보에 의해 특정되는 화상을, 표시부(530)가 표시하는 경우, 화상 정보에 대응시켜진 표제어를, 표시부(530)에 더 표시시킨다.
또한, 제어부(510)에 포함되는, 접수부(511), 검색부(512), 저장부(513) 및 표시 제어부(514)의 모두 또는 일부는 하드웨어로 구성되어도 된다.
금회 개시된 실시 형태는 모든 점에서 예시이며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고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한 설명이 아니라 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내어지고, 청구범위와 균등한 의미 및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이 포함되는 것이 의도된다.
70: 네트워크
180: 프로그램
500: 번역 장치
510: 제어부
520: 기억부
530: 표시부
540: 입력부
555: 기록 매체

Claims (10)

  1. 입력을 접수하는 접수부(511)와,
    상기 접수부(511)에 의해 접수된 상기 입력에 기초하는 표제어의 상세 정보를 검색하는 검색 처리를 행하는 검색부(512)와,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부(530)와,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부(520)와,
    상기 표시부(530)가 화상을 표시하고 있을 때에, 상기 검색부(512)에 의해 상기 검색 처리가 행하여진 경우, 상기 검색 처리에 의해 검색된 상세 정보에 대응하는 표제어와, 상기 표시부(530)가 표시하고 있는 화상을 특정하는 화상 정보를 대응시켜 상기 기억부(520)에 기억시키는 기억 처리를 행하는 저장부(513)와,
    상기 기억부(520)에 기억된 상기 화상 정보에 의해 특정되는 화상을, 상기 표시부(530)가 표시하는 경우, 상기 화상 정보에 대응시켜진 표제어를, 상기 표시부(530)에 더 표시시키는 표시 제어부(514)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부(520)는, 복수의 표제어에 각각 대응시켜진 복수의 상세 정보를 기억하고,
    상기 검색부(512)는, 상기 접수부(511)에 의해 접수된 상기 입력에 기초하는 표제어에 대응시켜진 상세 정보를, 상기 기억부(520)에 기억된 상기 복수의 상세 정보로부터 검색하는, 전자 기기.
  3. 제1항에 있어서, 네트워크와 데이터 통신하는 통신부(562)를 더 구비하고,
    상기 검색부(512)는, 상기 접수부(511)에 의해 접수된 상기 입력에 기초하는 표제어의 상세 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이용하여, 상기 네트워크로부터 검색하는, 전자 기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부(514)는, 상기 검색 처리에 의해 검색된 상세 정보를 상기 표시부(530)에 표시시키고,
    상기 저장부(513)는, 상기 기억 처리를 행할 때에, 또한 (1)상기 검색 처리에 의해 검색된 상세 정보가 상기 표시부(530)에 의해 표시된 시간인 검색 정보 표시 시간과, (2)상기 화상 정보를 상호 대응시켜 상기 기억부(520)에 기억시키고,
    상기 기억부(520)에 기억된 상기 화상 정보에 의해 특정되는 화상을, 상기 표시부(530)가 표시하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530)가 상기 화상 정보에 의해 특정되는 화상을 표시하고 나서의 경과 시간을 측정하는 측정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표시 제어부(514)는, 상기 측정부에 의해 측정되고 있는 경과 시간이,소정의 시간 조건을 만족한 시간으로 된 경우, 상기 화상 정보에 대응시켜진 표제어를, 상기 표시부(530)에 표시시키는, 전자 기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시간 조건을 만족한 시간은, 상기 기억부(520)에 기억된 상기 검색 정보 표시 시간을 포함하는 소정 기간 내의 시간인, 전자 기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부(514)는, 표제어를, 상기 표시부(530)에 표시시키는 경우, 상기 표시부(530)에 표시시키는 표제어의 상세 정보의 취득원을 특정하기 위한 정보도, 상기 표시부(530)에 표시시키는, 전자 기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 처리에 의해 검색된 상세 정보는, 대응하는 표제어의 의미, 설명 및 번역어 중 어느 하나인, 전자 기기.
  8. 삭제
  9. 전자 기기의 제어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이며,
    상기 전자 기기는,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부와,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 프로그램은,
    입력을 접수하는 스텝(S112)과,
    접수된 상기 입력에 기초하는 표제어의 상세 정보를 검색하는 검색 처리를 행하는 스텝(S124)과,
    상기 표시부가 화상을 표시하고 있을 때에, 상기 검색 처리가 행하여진 경우, 상기 검색 처리에 의해 검색된 상세 정보에 대응하는 표제어와, 상기 표시부가 표시하고 있는 화상을 특정하는 화상 정보를 대응시켜 상기 기억부에 기억시키는 기억 처리를 행하는 스텝(S126)과,
    상기 기억부에 기억된 상기 화상 정보에 의해 특정되는 화상을, 상기 표시부가 표시하는 경우, 상기 화상 정보에 대응시켜진 표제어를, 상기 표시부에 더 표시시키는 스텝(S217)을 실행시키는, 기록 매체.
  10.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부와,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부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이며,
    입력을 접수하는 스텝(S112)과,
    접수된 상기 입력에 기초하는 표제어의 상세 정보를 검색하는 검색 처리를 행하는 스텝(S124)과,
    상기 표시부가 화상을 표시하고 있을 때에, 상기 검색 처리가 행하여진 경우, 상기 검색 처리에 의해 검색된 상세 정보에 대응하는 표제어와, 상기 표시부가 표시하고 있는 화상을 특정하는 화상 정보를 대응시켜 상기 기억부에 기억시키는 기억 처리를 행하는 스텝(S126)과,
    상기 기억부에 기억된 상기 화상 정보에 의해 특정되는 화상을, 상기 표시부가 표시하는 경우, 상기 화상 정보에 대응시켜진 표제어를, 상기 표시부에 더 표시시키는 스텝(S217)을 구비하는, 제어 방법.
KR1020107012851A 2007-11-14 2008-11-12 전자 기기, 기록 매체 및 제어 방법 KR10118566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295558 2007-11-14
JP2007295558A JP5205658B2 (ja) 2007-11-14 2007-11-14 電子機器、制御プログラム、記録媒体および制御方法
PCT/JP2008/070569 WO2009063893A1 (ja) 2007-11-14 2008-11-12 電子機器、制御プログラム、記録媒体および制御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2372A KR20100082372A (ko) 2010-07-16
KR101185667B1 true KR101185667B1 (ko) 2012-09-24

Family

ID=406387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12851A KR101185667B1 (ko) 2007-11-14 2008-11-12 전자 기기, 기록 매체 및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153140B2 (ko)
EP (1) EP2216766A4 (ko)
JP (1) JP5205658B2 (ko)
KR (1) KR101185667B1 (ko)
CN (1) CN101855660B (ko)
WO (1) WO200906389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605083B2 (ja) * 2010-08-25 2014-10-15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映像再生装置及び映像再生プログラム
US8990068B2 (en) 2013-02-08 2015-03-24 Machine Zon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multi-user multi-lingual communications
US8996355B2 (en) 2013-02-08 2015-03-31 Machine Zon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reviewing histories of text messages from multi-user multi-lingual communications
US9298703B2 (en) 2013-02-08 2016-03-29 Machine Zon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incentivizing user feedback for translation processing
US8996352B2 (en) 2013-02-08 2015-03-31 Machine Zon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correcting translations in multi-user multi-lingual communications
US9600473B2 (en) 2013-02-08 2017-03-21 Machine Zon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multi-user multi-lingual communications
US10650103B2 (en) 2013-02-08 2020-05-12 Mz Ip Holding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incentivizing user feedback for translation processing
US9031829B2 (en) 2013-02-08 2015-05-12 Machine Zon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multi-user multi-lingual communications
US8996353B2 (en) * 2013-02-08 2015-03-31 Machine Zon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multi-user multi-lingual communications
US9231898B2 (en) 2013-02-08 2016-01-05 Machine Zon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multi-user multi-lingual communications
US9372848B2 (en) 2014-10-17 2016-06-21 Machine Zon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language detection
US10162811B2 (en) 2014-10-17 2018-12-25 Mz Ip Holding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language detection
US10765956B2 (en) 2016-01-07 2020-09-08 Machine Zone Inc. Named entity recognition on chat data
US10769387B2 (en) 2017-09-21 2020-09-08 Mz Ip Holdings, Llc System and method for translating chat messages
JP7298638B2 (ja) * 2021-03-24 2023-06-27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サーバ装置、学習支援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4913A (en) 1899-12-06 1900-07-31 John G Mcilwraith Packing-box for tin-plate.
JPS58114166A (ja) 1981-12-26 1983-07-07 Casio Comput Co Ltd 画像表示機能付電子翻訳機
US4695975A (en) * 1984-10-23 1987-09-22 Profit Technology, Inc. Multi-image communications system
JPH07295466A (ja) * 1994-03-02 1995-11-10 N I S:Kk 英会話学習方法及び学習装置
US5809471A (en) 1996-03-07 1998-09-15 Ibm Corporation Retrieval of additional information not found in interactive TV or telephony signal by application using dynamically extracted vocabulary
JPH1184997A (ja) * 1997-09-01 1999-03-30 Shin Caterpillar Mitsubishi Ltd 学習支援システム
KR100326400B1 (ko) * 1999-05-19 2002-03-12 김광수 자막지향 탐색정보 생성 및 탐색방법과, 이를 사용하는 재생장치
JP4061458B2 (ja) * 2001-12-05 2008-03-19 ソニー株式会社 ビデオデータ検索方法およびビデオデータ検索システムおよびビデオデータ編集方法およびビデオデータ編集システム
US7292984B2 (en) * 2002-04-22 2007-11-06 Global Success Co., Ltd. Method of producing voice data method of playing back voice data, method of playing back speeded-up voice data, storage medium, method of assisting memorization, method of assisting learning a language, and computer program
JP3803741B2 (ja) * 2002-04-22 2006-08-02 グローバルサクセス株式会社 記憶支援装置
JP2004151292A (ja) * 2002-10-30 2004-05-27 Yokogawa Electric Corp データベース型学習装置
JP2004215094A (ja) 2003-01-07 2004-07-29 Sony Corp 電子機器装置及びキーワード生成装置
JP2007079745A (ja) 2005-09-12 2007-03-29 Sharp Corp ネットワーク接続装置、サーバ装置、端末装置、システム、受信方法、文字入力方法、送信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CA2623394A1 (en) * 2005-09-19 2007-03-29 Industrial Color, Inc. Digital file management
CN2845025Y (zh) * 2005-10-11 2006-12-06 林安兵 外文资料阅读翻译器
JP2007179098A (ja) * 2005-12-26 2007-07-12 Canon Inc 画像処理装置、画像検索方法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07219615A (ja) 2006-02-14 2007-08-30 Sony Corp 検索装置、検索方法、プログラム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aaa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855660B (zh) 2012-08-15
US9153140B2 (en) 2015-10-06
WO2009063893A1 (ja) 2009-05-22
JP2009122355A (ja) 2009-06-04
KR20100082372A (ko) 2010-07-16
EP2216766A1 (en) 2010-08-11
JP5205658B2 (ja) 2013-06-05
EP2216766A4 (en) 2015-01-21
US20100268730A1 (en) 2010-10-21
CN101855660A (zh) 2010-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5667B1 (ko) 전자 기기, 기록 매체 및 제어 방법
JP4650552B2 (ja) 電子機器、コンテンツ推薦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4372119B2 (ja) Web情報処理装置及びWeb情報処理方法
JP4973906B2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5132600B2 (ja) 番組関連情報活用システムおよび番組関連情報活用方法
US20030237092A1 (en) Web page display apparatus
JP2011180729A (ja) 情報処理装置、キーワード登録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100083314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acquisition method, recording medium recording information acquisition program, and information retrieval system
JP2010124319A (ja) イベントカレンダー表示装置、イベントカレンダー表示方法、イベントカレンダー表示プログラム及びイベント情報抽出装置
KR20080108777A (ko) 녹화 기기의 상세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JP2004503867A (ja) 電子信号に対応するインターネットアドレスをユーザに提供する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2009038793A (ja) 情報処理サーバ、番組受信端末、番組関連情報提供方法及び番組関連情報描画方法
JP2004312627A (ja) テレビジョン受像装置およびその番組情報検索方法
KR101307750B1 (ko) 방송 프로그램과 연관된 웹페이지를 제공하는 영상기기의동작 방법 및 그 방법을 채용한 영상기기
KR100481539B1 (ko) 캡션정보를 이용한 원 클릭 정보검색 시스템 및 방법
JP5466593B2 (ja)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
JP2009170960A (ja) 電子機器、制御プログラム、記録媒体および制御方法
KR100207696B1 (ko) 인터넷 한글 캡션 tv를 이용한 캡션의 하이퍼링크된 정보 획득방법
JP2006013619A (ja) データ処理装置、その方法、そのプログラム、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2008028915A (ja) 通信端末装置、映像表示システム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JP2002252813A (ja) 番組検索装置及び番組検索プログラム
JP4403717B2 (ja) 番組受信装置、番組受信方法、番組記録装置、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提供システム
JP2004282647A (ja) 電子機器装置及び表示画面レイアウト方法
JP3551450B2 (ja) テレビジョン受像機
KR20030063239A (ko) 복구되고 있는 멀티미디어 콘텐트에 관한 검색을 수행하기위한 멀티미디어 복구 장치에서 이용되는 인터페이스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