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8037B1 - Auxiliary connection apparatus - Google Patents

Auxiliary connection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8037B1
KR101178037B1 KR1020090084422A KR20090084422A KR101178037B1 KR 101178037 B1 KR101178037 B1 KR 101178037B1 KR 1020090084422 A KR1020090084422 A KR 1020090084422A KR 20090084422 A KR20090084422 A KR 20090084422A KR 101178037 B1 KR101178037 B1 KR 1011780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xiliary
signal
serial
display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442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10026668A (en
Inventor
정원석
양동평
이성식
Original Assignee
옵티시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옵티시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옵티시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844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8037B1/en
Publication of KR201100266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666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80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803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14Handling requests for interconnection or transf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003Details of a display terminal, the details relating to the control arrangement of the display terminal and to the interfaces thereto
    • G09G5/006Details of the interface to the display terminal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70/00Aspects of data communication
    • G09G2370/10Use of a protocol of communication by packets in interfaces along the display data pipeli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보조 연결 장치는 제1 보조(auxiliary) 연결 모듈과 제2 보조(auxiliary) 연결 모듈을 포함한다.

제1 보조(auxiliary) 연결 모듈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보조 데이터 송신부에 접속되면 호스트 장치를 대신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의 EDID(Extended Display Identification Data) 및 DPCD(Display Port Configuration Data)를 읽어서 기록하고, 호스트 장치의 보조 데이터 수신부에 접속되면 디스플레이 장치를 대신하여 EDID 및 DPCD를 호스트 장치에 제공한다.

제2 보조(auxiliary) 연결 모듈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보조 데이터 송신부에 접속되면, 호스트 장치를 대신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의 EDID 및 DPCD를 읽어서 기록하고, 호스트 장치를 대신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와 DPCD의 통신을 수행한다.

Figure R1020090084422

VESA, EDID, DPCD, 디스플레이 포트

The auxiliary conn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invention comprises a first auxiliary connection module and a second auxiliary connection module.

When the auxiliary connection module is connected to the auxiliary data transmitter of the display device, the first auxiliary connection module reads and records the extended display identification data (EDID) and the display port configuration data (DPCD) of the display device on behalf of the host device. When connected to the auxiliary data receiver, the EDID and the DPCD are provided to the host device in place of the display device.

When connected to the auxiliary data transmitter of the display device, the second auxiliary connection module reads and records the EDID and the DPCD of the display device on behalf of the host device and performs communication between the display device and the DPCD on behalf of the host device. .

Figure R1020090084422

VESA, EDID, DPCD, DisplayPort

Description

보조 연결 장치{Auxiliary connection apparatus}Auxiliary connection apparatus

본 발명은, 보조(auxiliary) 연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VESA(Video Electronics Standards Association)의 디스플레이-포트(Display-Port) 통신 규정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의 보조 데이터(auxiliary) 송신부와 호스트 장치의 보조 데이터(auxiliary) 수신부 사이에 채용되는 보조(auxiliary) 연결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xiliary connection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uxiliary data transmitter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Display-Port communication standard of the Video Electronics Standards Association (VESA). An auxiliary connection device employed between an auxiliary data receiver of a host device.

도 1은 VESA의 디스플레이-포트(Display-Port) 통신 규정에 따른 통상적인 디스플레이-포트(Display Port) 시스템을 보여준다. 도 1을 참조하여, 통상적인 디스플레이-포트(Display Port) 시스템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Figure 1 shows a typical Display Port system in accordance with VESA's Display-Port communication provisions. Referring to FIG. 1, a conventional Display Port system will be described.

디스플레이 장치(12) 내의 제어부(121)에는, 디스플레이 장치(12)의 구성 정보 및 제어 정보인 EDID(Extended Display Identification Data) 및 디스플레이 장치(12)의 수신-조건 정보인 DPCD(Display Port Configuration Data)가 기록되어 있다. The control unit 121 in the display apparatus 12 includes an extended display identification data (EDID) which is configuration information and control information of the display apparatus 12 and a display port configuration data (DPCD) which is reception-condition information of the display apparatus 12. Is recorded.

호스트 장치(11) 내의 제어부(111)는, 디스플레이-포트(Display-Port) 통신 규정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2) 내의 직렬 EEPROM(123)에 저장되어 있는 EDID 및 DPCD를 수신한 후, 수신된 EDID 및 DPCD에 따라 주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장치(12) 내의 제어부(121)에 전송한다. 여기에서, 주 데이터란 클럭 신호들이 내장된 영상 신호들을 의미한다. The control unit 111 in the host device 11 receives the EDID and the DPCD stored in the serial EEPROM 123 in the display device 12 according to the Display-Port communication rule, and then receives the received EDID. And transmit main data to the control unit 121 in the display apparatus 12 according to the DPCD. Here, the main data refers to video signals in which clock signals are embedded.

이와 같은 송신 과정에서 호스트 장치(11) 내의 제어부(111)는, VESA(Video Electronics Standards Association)의 디스플레이-포트(Display-Port) 통신 규정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2) 내의 제어부(121)와 DPCD의 통신("링크 트레이닝(link training)"을 위한 통신이라 불리움)을 수행한다. 이 DPCD의 통신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In this transmission process, the control unit 111 in the host device 11, according to the Display-Port communication regulations of the Video Electronics Standards Association (VESA), the DP 121 and the DPCD in the display device 12 Communication (called communication for "link training") is performed. The communication of this DPCD is summarized as follows.

첫째, 호스트 장치(11) 내의 제어부(111)는, 수신된 DPCD에 따라 호스트 장치(11)의 예정된 전송-조건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12) 내의 제어부(121)에 전송한다.First, the control unit 111 in the host device 11 transmits the predetermined transmission-condition information of the host device 11 to the control unit 121 in the display device 12 in accordance with the received DPCD.

둘째, 디스플레이 장치(12) 내의 제어부(121)는 수신된 전송-조건 정보에 따라 주 데이터를 수신한다. Secondly, the control unit 121 in the display device 12 receives the main data according to the received transmission-condition information.

셋째, 디스플레이 장치(12) 내의 제어부(121)는 주 데이터를 수신하는 과정에서 오류가 발생되면, 전송 조건이 자신에 적합하지 않다는 신호를 접속 신호(HPD)를 통하여 호스트 장치(11) 내의 제어부(111)에 전송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2) 내의 제어부(121)는 논리 "1"과 "0"을 반복하는 펄스 열의 접속 신호(HPD)를 호스트 장치(11) 내의 제어부(111)에 전송한다. 참고로, 디스플레이 장치(12)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동안에, 디스플레이 장치(12) 내의 제어부(121)는 논리 "1"의 접속 신호(HPD)를 호스트 장치(11) 내의 제어부(111)에 전송한다. Third, if an error occurs in the process of receiving the main data, the controller 121 in the display apparatus 12 receives a signal indicating that the transmission condition is not suitable for itself through the access signal HPD. 111).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121 in the display device 12 transmits the connection signal HPD of the pulse string repeating the logics "1" and "0" to the control unit 111 in the host device 11. For reference, while the display apparatus 12 is operating normally, the controller 121 in the display apparatus 12 transmits the connection signal HPD of logic "1" to the controller 111 in the host apparatus 11.

넷째, 전송 조건이 자신에 적합하지 않다는 신호를 접속 신호(HPD)를 통하여 발생되면, 호스트 장치(11) 내의 제어부(111)는 호스트 장치(11)의 예정된 전송-조건 정보를 변경하고, 변경된 전송-조건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12) 내의 제어부(121)에 전송한다.Fourth, when a signal indicating that the transmission condition is not suitable for itself is generated via the connection signal HPD, the control unit 111 in the host device 11 changes the predetermined transmission-condition information of the host device 11, and changes the changed transmission. Condition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121 in the display apparatus 12.

그리고 다섯째, 상기 둘째 내지 넷째 단계들이 반복적으로 수행된다.And fifth, the second to fourth steps are repeatedly performed.

한편, 호스트 장치(11) 내의 디스플레이-포트(Display-Port) 인터페이스(112)는 주 데이터 송신부(112m) 및 보조 데이터 수신부(112s)를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the display-port interface 112 in the host apparatus 11 includes a main data transmitter 112m and an auxiliary data receiver 112s.

주 데이터 송신부(112m)는 제어부(111)로부터의 병렬 주 데이터를 직렬 차동 신호들로 변환하고, 8 라인들로 이루어진 4 쌍들의 직렬 차동 신호들(L1+L1-, L2+L2-, L3+L3-, L4+L4-)로 전송한다.The main data transmitter 112m converts the parallel main data from the controller 111 into serial differential signals, and four pairs of serial differential signals L1 + L1-, L2 + L2-, and L3 + composed of eight lines. L3-, L4 + L4-).

보조 데이터 수신부(112s)는, 2 라인들로 이루어진 1 쌍의 직렬 차동 신호들(AUX+, AUX-)을 디스플레이 장치(12)로부터 수신하고, 이를 디스플레이-포트(Display-Port) 통신 규정에 따라 병렬 입력 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111)에 입력한다. 이 통신을 위하여, 보조 데이터 수신부(112s)는, 제어부(111)로부터의 병렬 출력 신호를 디스플레이-포트(Display-Port) 통신 규정에 따라 직렬 차동 신호들로 변환하여, 2 라인들로 이루어진 1 쌍의 직렬 차동 신호들(AUX+, AUX-)을 디스플레이 장치(12)에 전송한다. The auxiliary data receiving unit 112s receives a pair of serial differential signals AUX + and AUX- composed of two lines from the display apparatus 12 and parallelizes them according to the Display-Port communication standard. The signal is converted into an input signal and input to the controller 111. For this communication, the auxiliary data receiving unit 112s converts the parallel output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111 into serial differential signals according to the Display-Port communication standard, thereby making one pair of two lines. Transmit serial differential signals AUX + and AUX- of the display device 12.

도 1에서 참조 부호 VD는 호스트 장치(11) 및 디스플레이 장치(12) 각각으로부터의 전원 전압을, 그리고 HPD는 디스플레이 장치(12)로부터의 접속 신호를 가리 킨다. 디스플레이 장치(12)가 동작중인 경우에 접속 신호(HPD)가 논리 "1" 상태이므로, 호스트 장치(11) 내의 제어부(111)는 디스플레이 장치(22)와의 접속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In FIG. 1, reference numeral V D denotes a power supply voltage from each of the host apparatus 11 and the display apparatus 12, and HPD denotes a connection signal from the display apparatus 12. Since the connection signal HPD is in the logical " 1 " state when the display apparatus 12 is in operation, the controller 111 in the host apparatus 11 may determine whether the display apparatus 22 is connected to the display apparatus 22. FIG.

디스플레이 장치(12) 내의 제어부(121)는, 디스플레이-포트(Display-Port) 통신 규정에 따라 기록되어 있는 EDID와 DPCD를 호스트 장치(11) 내의 제어부(111)에 전송하고, 호스트 장치(11) 내의 제어부(111)로부터의 주 데이터를 수신한다. The control unit 121 in the display device 12 transmits the EDID and the DPCD recorded according to the Display-Port communication rule to the control unit 111 in the host device 11, and the host device 11. The main data from the control part 111 in the inside is received.

디스플레이 장치(12) 내의 디스플레이-포트(Display-Port) 인터페이스(122)는 주 데이터 수신부(122m) 및 보조 데이터 송신부(122s)를 포함한다.The display-port interface 122 in the display device 12 includes a primary data receiver 122m and an auxiliary data transmitter 122s.

주 데이터 수신부(122m)는 8 라인들로 이루어진 4 쌍들의 직렬 차동 신호들(L1+L1-, L2+L2-, L3+L3-, L4+L4-)을 디스플레이-포트(Display-Port) 통신 규정에 따라 병렬 입력 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121)에 입력한다.The main data receiver 122m is configured to display-port communication four pairs of serial differential signals (L1 + L1-, L2 + L2-, L3 + L3-, and L4 + L4-) of eight lines. According to the regulation, the signal is converted into a parallel input signal and input to the controller 121.

보조 데이터 송신부(122s)는, 제어부(121)로부터의 병렬 출력 신호를 디스플레이-포트(Display-Port) 통신 규정에 따라 직렬 차동 신호들로 변환하여, 2 라인들로 이루어진 1 쌍의 직렬 차동 신호들(AUX+, AUX-)을 호스트 장치(11)에 전송한다. 이 통신을 위하여, 보조 데이터 송신부(122s)는, 2 라인들로 이루어진 1 쌍의 직렬 차동 신호들(AUX+, AUX-)을 호스트 장치(11)로부터 수신하고, 이를 디스플레이-포트(Display-Port) 통신 규정에 따라 병렬 입력 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121)에 입력한다.The auxiliary data transmitter 122s converts the parallel output signal from the controller 121 into serial differential signals according to the Display-Port communication standard, so that the pair of serial differential signals composed of two lines are provided. (AUX +, AUX-) is transmitted to the host device 11. For this communication, the auxiliary data transmitter 122s receives a pair of serial differential signals AUX + and AUX- composed of two lines from the host device 11 and displays them in a Display-Port. According to a communication rule, the signal is converted into a parallel input signal and input to the controller 121.

이상 도 1을 참조하여 설명되었던 통상적인 디스플레이-포트(Display Port) 시스템에 의하면, EDID(Extended Display Identification Data) 및 DPCD(Display Port Configuration Data)가 1 쌍의 직렬 차동 신호들(AUX+, AUX-)로서 장거리로 전송되거나, DPCD의 통신이 수행될 경우, 노이즈 발생 및 신호 감쇄의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다.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Display Port system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1, an extended display identification data (EDID) and a display port configuration data (DPCD) may be a pair of serial differential signals (AUX + and AUX-). As a long-distance transmission or communication of the DPCD, noise and signal attenuation have arisen.

본 발명의 목적은, EDID(Extended Display Identification Data) 및 DPCD(Display Port Configuration Data)가 직렬 차동 신호들로서 장거리로 전송되거나, DPCD의 장거리 통신이 수행될 경우에 발생되는 노이즈 및 신호 감쇄의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소할 수 있는 보조 연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fundamentally solve the problem of noise and signal attenuation generated when Extended Display Identification Data (EDID) and Display Port Configuration Data (DPCD) are transmitted over long distances as serial differential signals, or when long-distance communication of DPCD is performed. It is to provide an auxiliary connection device that can be eliminated.

본 발명의 보조 연결 장치는, VESA(Video Electronics Standards Association)의 디스플레이-포트(Display-Port) 통신 규정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의 보조(auxiliary) 데이터 송신부와 호스트 장치의 보조 데이터 수신부 사이에 채용되는 것으로서, 제1 보조(auxiliary) 연결 모듈과 제2 보조(auxiliary) 연결 모듈을 포함한다.The auxiliary connec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mployed between an auxiliary data transmitter of a display device and an auxiliary data receiver of a host device according to the Display-Port communication regulation of the Video Electronics Standards Association (VESA). It includes a first auxiliary connection module and a second auxiliary connection module (auxiliary).

제1 보조(auxiliary) 연결 모듈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보조 데이터 송신부에 접속되면 상기 호스트 장치를 대신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EDID(Extended Display Identification Data) 및 DPCD(Display Port Configuration Data)를 읽어서 기록하고, 상기 호스트 장치의 보조 데이터 수신부에 접속되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대신하여 상기 EDID 및 DPCD를 상기 호스트 장치에 제공한다.The first auxiliary connection module reads and records Extended Display Identification Data (EDID) and Display Port Configuration Data (DPCD) of the display device on behalf of the host device when the auxiliary connection module is connected to the auxiliary data transmitter of the display device. When connected to the auxiliary data receiver of the host device, the EDID and the DPCD are provided to the host device in place of the display device.

상기 제2 보조(auxiliary) 연결 모듈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보조 데이터 송신부에 접속되면, 상기 호스트 장치를 대신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EDID 및 DPCD를 읽어서 기록하고, 상기 호스트 장치를 대신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와 상기 DPCD의 통신을 수행한다.When the second auxiliary connection module is connected to the auxiliary data transmitter of the display device, the second auxiliary connection module reads and records the EDID and the DPCD of the display device on behalf of the host device, and replaces the display device with the display device. Perform communication of the DPCD.

본 발명의 상기 보조 연결 장치에 의하면, 사용자에 의하여 상기 제1 보조(auxiliary) 연결 모듈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보조 데이터 송신부에 일 회 접속되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EDID(Extended Display Identification Data) 및 DPCD(Display Port Configuration Data)가 상기 제1 보조(auxiliary) 연결 모듈에 기록된다.According to the auxiliary connec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first auxiliary connection module is connected to the auxiliary data transmitter of the display device by a user, the EDID (Extended Display Identification Data) and DPCD ( Display Port Configuration Data) is recorded in the first auxiliary connection module.

이와 같이 EDID 및 DPCD가 기록되어 있는 제1 보조(auxiliary) 연결 모듈이 상기 호스트 장치의 보조 데이터 수신부에 접속되어 있으면, EDID 및 DPCD가 상기 호스트 장치에 항상 제공될 수 있다. In this way, when the first auxiliary connection module in which the EDID and the DPCD are recorded is connected to the auxiliary data receiver of the host device, the EDID and the DPCD may always be provided to the host device.

또한, 사용자에 의하여 상기 제2 보조(auxiliary) 연결 모듈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보조 데이터 송신부에 접속되어 있으면, 상기 제2 보조(auxiliary) 연결 모듈이 상기 호스트 장치를 대신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와 상기 DPCD의 통신을 수행한다.Further, when the second auxiliary connection module is connected to the auxiliary data transmitter of the display device by a user, the second auxiliary connection module may be connected to the display device and the DPCD in place of the host device. Perform communication.

결론적으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와 상기 호스트 장치 사이의 커넥터에서 보조(auxiliary) 연결 라인들이 제거될 수 있다.As a result, auxiliary connecting lines may be removed from the connector between the display device and the host device.

따라서, EDID 및 DPCD가 직렬 차동 신호들로서 장거리로 전송되거나, DPCD의 장거리 통신이 수행될 경우에 발생되는 노이즈 및 신호 감쇄의 문제점이 근본적으로 해소될 수 있다. 또한, 보조(auxiliary) 연결 라인들이 불필요하므로 경제적이 다. Therefore, the problem of noise and signal attenuation generated when the EDID and the DPCD are transmitted over long distances as serial differential signals or when the long-distance communication of the DPCD is performed can be fundamentally solved. In addition, it is economical since auxiliary connecting lines are not necessary.

이하, 첨부된 도면들과 함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가 상세히 설명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보조 연결 장치(2H 및 2D)를 포함한 디스플레이-포트(Display Port) 시스템을 보여준다. 도 3에서 도 1과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기능의 대상을 가리킨다. 즉, 디스플레이-포트(Display Port) 시스템에 대해서는 도 1을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같으므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보조 연결 장치(2H 및 2D) 및 이와 관련된 사항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2 shows a display port system including auxiliary connection devices 2H and 2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FIG. 3,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used in FIG. 1 indicate objects of the same function. That is, since the display port system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only the auxiliary connection devices 2H and 2D and related matter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보조 연결 장치(2H 및 2D)는, VESA(Video Electronics Standards Association)의 디스플레이-포트(Display-Port) 통신 규정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2)의 보조(auxiliary) 데이터 송신부(122s)와 호스트 장치(11)의 보조 데이터 수신부(112s) 사이에 채용되는 것으로서, 제1 보조(auxiliary) 연결 모듈(2H)과 제2 보조(auxiliary) 연결 모듈(2D)을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3, the auxiliary connection devices 2H and 2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display the display device 12 according to the Display-Port communication regulation of the Video Electronics Standards Association (VESA). The first auxiliary connection module 2H and the second auxiliary connection module 2H are employed between the auxiliary data transmitter 122s of the host device 11 and the auxiliary data receiver 112s of the host device 11. 2D).

제1 보조(auxiliary) 연결 모듈(2H)은, 디스플레이 장치(12)의 보조 데이터 송신부(122s)에 접속되면 호스트 장치(11)를 대신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의 EDID(Extended Display Identification Data) 및 DPCD(Display Port Configuration Data)를 읽어서 기록하고, 호스트 장치(11)의 보조 데이터 수신부(112s)에 접속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2)를 대신하여 EDID 및 DPCD를 호스트 장치(11)에 제공한다.The first auxiliary connection module 2H, when connected to the auxiliary data transmitter 122s of the display device 12, replaces the EDID (Extended Display Identification Data) and DPCD (Display) of the display device on behalf of the host device 11. Port Configuration Data) is read and recorded, and when connected to the auxiliary data receiver 112s of the host device 11, the EDID and DPCD are provided to the host device 11 in place of the display device 12.

제2 보조(auxiliary) 연결 모듈(2D)은, 디스플레이 장치(12)의 보조 데이터 송신부(122s)에 접속되면, 호스트 장치(11)를 대신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2)의 EDID 및 DPCD를 읽어서 기록하고, 호스트 장치(11)를 대신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2)와 상기 DPCD의 통신을 수행한다.When the second auxiliary connection module 2D is connected to the auxiliary data transmitter 122s of the display device 12, the second auxiliary connection module 2D reads and records the EDID and DPCD of the display device 12 on behalf of the host device 11. Instead of the host device 11, the display device 12 communicates with the DPCD.

따라서, 사용자에 의하여 제1 보조(auxiliary) 연결 모듈(2H)이 디스플레이 장치(12)의 보조 데이터 송신부(122s)에 일 회 접속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2)의 EDID 및 DPCD가 본 발명의 보조(auxiliary) 연결 모듈에 기록된다.Therefore, when the first auxiliary connection module 2H is connected to the auxiliary data transmitter 122s of the display apparatus 12 once by the user, the EDID and the DPCD of the display apparatus 12 are connected to the auxiliary ( auxiliary) is recorded in the connection module.

이와 같이 EDID 및 DPCD가 기록되어 있는 제1 보조(auxiliary) 연결 모듈(2H)이 호스트 장치(11)의 보조 데이터 수신부(112s)에 접속되어 있으면, EDID 및 DPCD가 호스트 장치(11)에 항상 제공될 수 있다. When the first auxiliary connection module 2H on which the EDID and the DPCD are recorded is connected to the auxiliary data receiver 112s of the host device 11, the EDID and the DPCD are always provided to the host device 11. Can be.

또한, 사용자에 의하여 제2 보조(auxiliary) 연결 모듈(2D)이 디스플레이 장치(12)의 보조 데이터 송신부(122s)에 접속되어 있으면, 제2 보조(auxiliary) 연결 모듈(2D)이 호스트 장치(11)를 대신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2)와 상기 DPCD의 통신을 수행한다.In addition, when the second auxiliary connection module 2D is connected to the auxiliary data transmitter 122s of the display apparatus 12 by the user, the second auxiliary connection module 2D is connected to the host device 11. In place of), the display apparatus 12 communicates with the DPCD.

결론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2)와 호스트 장치(11) 사이의 커넥터에서 보조(auxiliary) 연결 라인들이 제거될 수 있다.As a result, auxiliary connecting lines may be removed from the connector between the display device 12 and the host device 11.

따라서, EDID 및 DPCD가 직렬 차동 신호들로서 장거리로 전송되거나, DPCD의 장거리 통신이 수행될 경우에 발생되는 노이즈 및 신호 감쇄의 문제점이 근본적으로 해소될 수 있다. 또한, 보조(auxiliary) 연결 라인들이 불필요하므로 경제적이다.Therefore, the problem of noise and signal attenuation generated when the EDID and the DPCD are transmitted over long distances as serial differential signals or when the long-distance communication of the DPCD is performed can be fundamentally solved. In addition, it is economical because auxiliary connecting lines are not necessary.

제1 보조(auxiliary) 연결 모듈(2H)과 제2 보조(auxiliary) 연결 모듈(2D) 각각은 디스플레이 장치(12)의 보조 데이터 송신부(122s) 및 호스트 장치(11)의 보조 데이터 수신부(112s)의 입출력 단자들(221 내지 224, 211 내지 214)과 동일한 입출력 단자들이 구비된다.Each of the first auxiliary connection module 2H and the second auxiliary connection module 2D is an auxiliary data transmitter 122s of the display device 12 and an auxiliary data receiver 112s of the host device 11. I / O terminals identical to the I / O terminals 221 to 224 and 211 to 214 are provided.

즉, 보조+ 신호(AUX+) 단자, 보조-(AUX-) 신호 단자, 전원(VD) 단자 및 접속 신호(HPD) 단자를 포함한다(도 1 참조).That is, it includes an auxiliary + signal (AUX +) terminal, an auxiliary- (AUX-) signal terminal, a power supply (V D ) terminal, and a connection signal (HPD) terminal (see FIG. 1).

도 3은 도 2의 제1 보조 연결 모듈(2H)의 내부 구성을 보여준다. 도 2 및 3을 참조하여, 도 2의 제1 보조 연결 모듈(2H)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3 illustrates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first auxiliary connection module 2H of FIG. 2. 2 and 3, the first auxiliary connection module 2H of FIG. 2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s follows.

제1 보조 연결 모듈(2H)은 제어부(34), 양방향 변환부(33) 및 양방향 스위치(31)를 포함한다.The first auxiliary connection module 2H includes a control unit 34, a bidirectional conversion unit 33, and a bidirectional switch 31.

양방향 변환부(33)는, 보조+ 신호 단자(301)와 보조- 신호 단자(302)로부터의 직렬 차동 신호들(AUX+, AUX-)을 디스플레이-포트(Display-Port) 통신 규정에 따라 8 비트의 병렬 입력 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34)에 입력한다.The bidirectional conversion unit 33 converts the serial differential signals AUX + and AUX- from the auxiliary + signal terminal 301 and the auxiliary-signal terminal 302 into 8 bits according to the Display-Port communication standard. Is converted into a parallel input signal and input to the control unit 34.

또한, 양방향 변환부(33)는, 제어부(34)로부터의 8 비트의 병렬 출력 신호를 디스플레이-포트(Display-Port) 통신 규정에 따라 직렬 차동 신호들(AUX+, AUX-)로 변환하여 보조+ 신호 단자(301)와 보조- 신호 단자(302)에 출력한다.In addition, the bidirectional conversion unit 33 converts the 8-bit parallel output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34 into serial differential signals AUX + and AUX- according to the Display-Port communication standard. Output to the signal terminal 301 and the auxiliary signal terminal 302.

양방향 스위치(31)는, 접속 신호 단자(304)로부터의 접속 신호(HPD)를 제어부(34)에 입력하고, 제어부(34)로부터의 접속 신호를 접속 신호 단자(304)에 출력한다.The bidirectional switch 31 inputs the connection signal HPD from the connection signal terminal 304 to the control unit 34, and outputs the connection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34 to the connection signal terminal 304.

제어부(34)는, 초기에 양방향 스위치(31)의 제어 신호(HPDcon)를 "1" 상태가 되게 하여, 양방향 스위치(31)가 입력 상태가 되게 한다. 즉, 전원 단자(303)로부터의 전원 전압(VD)과 양방향 스위치(31)로부터의 접속 신호(HPDin)의 논리 상태에 따라 제1 보조 연결 모듈(2H)의 접속 상태를 판단한다. The control part 34 makes the control signal HPDcon of the bidirectional switch 31 into a "1" state initially, and makes the bidirectional switch 31 into an input state. That is, the connection state of the first auxiliary connection module 2H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logic state of the power supply voltage V D from the power supply terminal 303 and the connection signal HPDin from the bidirectional switch 31.

예를 들어, 전원 단자(303)로부터의 전원 전압(VD)과 양방향 스위치(31)로부터의 접속 신호(HPDin)가 모두 논리 "1" 상태이면, 제1 보조 연결 모듈(2H)이 디스플레이 장치(12)의 보조 데이터 송신부(122s)와 접속되었다고 판단한다. 이 경우, 제어부(34)는, 양방향 스위치(31)의 제어 신호(HPDcon)를 "1" 상태로 유지하여, 양방향 스위치(31)가 입력 상태를 유지하게 한다. For example, when the power supply voltage V D from the power supply terminal 303 and the connection signal HPDin from the bidirectional switch 31 are both in a logic "1" state, the first auxiliary connection module 2H is connected to the display device. It is judged that it connected with the auxiliary data transmitter 122s of (12). In this case, the controller 34 maintains the control signal HPDcon of the bidirectional switch 31 in the " 1 " state so that the bidirectional switch 31 maintains the input state.

여기에서, 제어부(34)는, 호스트 장치(11)를 대신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의 EDID(Extended Display Identification Data) 및 DPCD(Display Port Configuration Data)를 읽어서 기록한다.Here, the control unit 34 reads and records the Extended Display Identification Data (EDID) and Display Port Configuration Data (DPCD) of the display device in place of the host device 11.

또한, 전원 단자(303)로부터의 전원 전압(VD)이 논리 "1" 상태이고 양방향 스위치(31)로부터의 접속 신호(HPDin)가 논리 "0" 상태이면, 제1 보조 연결 모듈(2H)이 호스트 장치(11)의 보조 데이터 수신부(112s)와 접속되었다고 판단한다. 이 경우, 제어부(44)는, 양방향 스위치(31)의 제어 신호(HPDcon)를 "0" 상태로 전환하고, "1" 상태의 접속 출력 신호(HPDout)를 발생시킨다.In addition, when the power supply voltage V D from the power supply terminal 303 is in a logic "1" state and the connection signal HPDin from the bidirectional switch 31 is in a logic "0" state, the first auxiliary connection module 2H is provided. It is determined that the host device 11 is connected to the auxiliary data receiver 112s. In this case, the control part 44 switches the control signal HPDcon of the bidirectional switch 31 to a "0" state, and generates the connection output signal HPDout of a "1" state.

여기에서, 제어부(34)는 디스플레이 장치(12)를 대신하여 EDID 및 DPCD를 호스트 장치(11)에 제공한다.Here, the controller 34 provides the EDID and the DPCD to the host device 11 in place of the display device 12.

그리고, 전원 단자(303)로부터의 전원 전압(VD)이 논리 "0" 상태이면, 제1 보조 연결 모듈(2H)이 호스트 장치(11)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12)와 접속되지 않았다고 판단한다. 이 경우, 제어부(34)는, 양방향 스위치(31)의 제어 신호(HPDcon)를 "1" 상태로 유지하여, 양방향 스위치(31)가 입력 상태를 유지하게 한다. When the power supply voltage V D from the power supply terminal 303 is in a logic "0" state, it is determined that the first auxiliary connection module 2H is not connected to the host device 11 or the display device 12. In this case, the controller 34 maintains the control signal HPDcon of the bidirectional switch 31 in the " 1 " state so that the bidirectional switch 31 maintains the input state.

도 4는 도 2의 제2 보조 연결 모듈(2D)의 내부 구성을 보여준다. 도 2 및 4를 참조하여, 도 2의 제2 보조 연결 모듈(2D)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4 shows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second auxiliary connection module 2D of FIG. 2. 2 and 4, the second auxiliary connection module 2D of FIG. 2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s follows.

제2 보조 연결 모듈(2D)은 제어부(44), 양방향 변환부(43) 및 논리곱(AND) 게이트(41)를 포함한다.The second auxiliary connection module 2D includes a controller 44, a bidirectional converter 43, and an AND gate 41.

양방향 변환부(43)는, 보조+ 신호 단자(401)와 보조- 신호 단자(402)로부터의 직렬 차동 신호들(AUX+, AUX-)을 디스플레이-포트(Display-Port) 통신 규정에 따라 8 비트의 병렬 입력 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44)에 입력한다.The bidirectional conversion unit 43 converts the serial differential signals AUX + and AUX- from the auxiliary + signal terminal 401 and the auxiliary-signal terminal 402 into 8 bits according to the Display-Port communication standard. Is converted into a parallel input signal and input to the controller 44.

또한, 양방향 변환부(43)는, 제어부(44)로부터의 8 비트의 병렬 출력 신호를 디스플레이-포트(Display-Port) 통신 규정에 따라 직렬 차동 신호들(AUX+, AUX-)로 변환하여 보조+ 신호 단자(401)와 보조- 신호 단자(402)에 출력한다.In addition, the bidirectional conversion unit 43 converts the 8-bit parallel output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44 into serial differential signals AUX + and AUX- according to the Display-Port communication standard. Output to the signal terminal 401 and the auxiliary signal terminal 402.

논리곱(AND) 게이트(41)는 전원 단자(403)로부터의 전원 전압(VD)과 접속 신호 단자(404)로부터의 접속 신호(HPD)가 모두 논리 "1" 상태인 동안에 논리 "1"의 신호를 제어부(44)에 입력한다.The AND gate 41 has a logic " 1 " while both the power supply voltage V D from the power supply terminal 403 and the connection signal HPD from the connection signal terminal 404 are in a logic " 1 " state. Is input to the controller 44.

제어부(44)는, 논리곱(AND) 게이트(41)로부터의 입력 신호가 논리 "1" 상태이면 제2 보조 연결 모듈(2D)이 디스플레이 장치(12)의 보조 데이터 송신부(122s)와 접속되었다고 판단한다. The controller 44 indicates that the second auxiliary connection module 2D is connected to the auxiliary data transmitter 122s of the display apparatus 12 when the input signal from the AND gate 41 is in a logic " 1 " state. To judge.

이 경우, 제어부(44)는, 호스트 장치(11)를 대신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2)의 EDID 및 DPCD를 읽어서 기록하고, 호스트 장치(11)를 대신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2)와 상기 DPCD의 통신을 수행한다.In this case, the controller 44 reads and records the EDID and the DPCD of the display device 12 on behalf of the host device 11, and communicates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display device 12 and the DPCD on behalf of the host device 11. To perform.

도 5는 도 3의 제1 보조 연결 모듈(2H) 및 도 4의 제2 보조 연결 모듈(2D) 각각에서의 양방향 변환부(33, 43)의 내부 구성을 보여준다. 도 3 내지 5를 참조하여 양방향 변환부(33, 43)의 내부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5 shows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bidirectional conversion units 33 and 43 in each of the first auxiliary connection module 2H of FIG. 3 and the second auxiliary connection module 2D of FIG. 4. An internal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bidirectional conversion units 33 and 43 will now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to 5.

양방향 변환부(33, 43)는 감산부(51), 직렬/병렬 변환부(52), 병렬/직렬 변환부(54) 및 차동 신호 발생부(53)를 포함한다. The bidirectional converters 33 and 43 include a subtractor 51, a serial / parallel converter 52, a parallel / serial converter 54, and a differential signal generator 53.

감산부(51)는 보조+ 신호 단자(301, 401)로부터의 직렬 차동 신호(AUX+)에서 보조- 신호 단자(302, 402)로부터 입력되는 직렬 차동 신호(AUX-)가 감산된 결과인 직렬 입력 신호(AUX)를 발생시킨다.The subtraction section 51 is a serial input which is a result of subtracting the serial differential signal AUX- input from the auxiliary signal terminals 302 and 402 from the serial differential signal AUX + from the auxiliary signal terminals 301 and 401. Generate signal AUX.

직렬/병렬 변환부(52)는 감산부(51)로부터의 직렬 입력 신호(AUX)를 디스플레이-포트(Display-Port) 통신 규정에 따라 8 비트의 병렬 입력 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34, 44)에 입력한다.The serial / parallel converter 52 converts the serial input signal AUX from the subtracter 51 into an 8-bit parallel input signal according to the Display-Port communication rule, and controls the controllers 34 and 44. Type in

병렬/직렬 변환부(54)는 제어부(34, 44)로부터의 8 비트의 병렬 출력 신호를 디스플레이-포트(Display-Port) 통신 규정에 따라 직렬 출력 신호(AUX)로 변환한다.The parallel / serial conversion section 54 converts the 8-bit parallel output signal from the control sections 34 and 44 into a serial output signal AUX in accordance with the Display-Port communication specification.

차동 신호 발생부(53)는 병렬/직렬 변환부(54)로부터의 직렬 출력 신호(AUX)를 직렬 차동 신호들(AUX+, AUX-)로 변환하여 보조+ 신호 단자(301, 401)와 보조- 신호 단자(302, 402)에 출력한다.The differential signal generator 53 converts the serial output signal AUX from the parallel / serial converter 54 into serial differential signals AUX + and AUX-, and the auxiliary + signal terminals 301 and 401 and the auxiliary-signal. Output to signal terminals 302 and 402.

도 6은 도 5에서 직렬 차동 신호들(AUX+, AUX-)과 직렬 입출력 신호들(AUX)의 관계를 보여준다. 도 6에서 (a)는 직렬 차동 신호들(AUX+, AUX-)의 파형을, 그리고 (b)는 직렬 입출력 신호들(AUX)의 파형을 가리킨다. FIG. 6 show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rial differential signals AUX + and AUX- and the serial input / output signals AUX in FIG. 5. In FIG. 6, (a) shows waveforms of serial differential signals AUX + and AUX-, and (b) shows waveforms of serial input / output signals AUX.

도 5 및 6을 참조하면, 보조+ 신호 단자(301, 401)와 보조- 신호 단자(302, 402)에서 입력되거나 출력되는 직렬 차동 신호들(AUX+, AUX-)은, 중간 정극성 전위(VCM)를 기준으로 하여 낮은 정극성 전위(VD-) 또는 정극성 전위(VD+)를 가지되, 서로 반전된다. 즉, 직렬 차동 신호들(AUX+, AUX-)은 서로 일정한 전위차(VDIFF)를 가진다.5 and 6, the series differential signals AUX + and AUX− that are input or output from the auxiliary + signal terminals 301 and 401 and the auxiliary-signal terminals 302 and 402 may have an intermediate positive potential (V). CM has a low positive potential (V D− ) or a positive potential (V D + ), but are inverted from each other. That is, the series differential signals AUX + and AUX- have a constant potential difference V DIFF .

직렬/병렬 변환부(52)에 입력되는 직렬 입력 신호(AUX) 또는 병렬/직렬 변환부(54)로부터 출력되는 직렬 출력 신호(AUX)의 경우, 직렬 차동 신호들(AUX+, AUX-)의 중간 정극성 전위(VCM)가 접지 전위인 0 V(볼트)로, 직렬 차동 신호들(AUX+, AUX-)의 낮은 정극성 전위(VD-)가 부극성 전위로, 그리고 직렬 차동 신호들(AUX+, AUX-)의 높은 정극성 전위(VD+)가 정극성 전위로 각각 대응된다.In the case of a serial input signal AUX input to the serial / parallel converter 52 or a serial output signal AUX output from the parallel / serial converter 54, the middle of the serial differential signals AUX + and AUX- is used. The positive potential (V CM ) is the ground potential at 0 V (volts), the low positive potential (V D- ) of the series differential signals AUX +, AUX- is the negative potential, and the series differential signals ( The high positive potentials V D + of AUX + and AUX−) correspond to the positive potentials, respectively.

이와 같이 대응된 상태에서, 직렬 차동 신호들(AUX+, AUX-)의 보조+ 신호(AUX+)에서 보조- 신호(AUX-)를 감산하면 직렬/병렬 변환부(52)에 입력되는 직렬 입력 신호(AUX)가 얻어진다. 따라서, 직렬 입력 신호(AUX)의 펄스 높이(2VDIFF)는 직렬 차동 신호들(AUX+, AUX-) 사이의 전위차(VDIFF)의 2 배이다. In the corresponding state, subtracting the auxiliary-signal (AUX-) from the auxiliary + signal (AUX +) of the serial differential signals AUX + and AUX-, the serial input signal inputted to the serial / parallel converter 52 AUX) is obtained. Therefore, the pulse height 2V DIFF of the serial input signal AUX is twice the potential difference V DIFF between the serial differential signals AUX + and AUX-.

예를 들어, t1 내지 t2 사이에서 논리 "0"의 신호가 얻어지며, t2 내지 t3 사이에서 논리 "1"의 신호가 얻어진다. For example, a signal of logic "0" is obtained between t1 and t2, and a signal of logic "1" is obtained between t2 and t3.

물론, 차동 신호 발생부(53)는 상기 과정들을 역으로 수행한다.Of course, the differential signal generator 53 performs the above processes in reverse.

도 7은 도 3의 제1 보조 연결 모듈(2H)에서의 제어부(34)의 동작 알고리듬을 보여준다. 도 1, 3 및 7을 참조하여, 도 7의 알고리듬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FIG. 7 shows an operation algorithm of the control unit 34 in the first auxiliary connection module 2H of FIG. 3. Referring to Figs. 1, 3 and 7, the algorithm of Fig. 7 will be described.

먼저, 제어부(34)는, 초기에 양방향 스위치(31)의 제어 신호(HPDcon)를 "1" 상태가 되게 하여, 양방향 스위치(31)가 입력 상태가 되게 한다(단계 S701). First, the control part 34 makes the control signal HPDcon of the bidirectional switch 31 into a "1" state initially, and makes the bidirectional switch 31 into an input state (step S701).

또한, 제어부(34)는 전원 단자(303)로부터의 전원 전압(VD)과 양방향 스위치(31)로부터의 접속 신호(HPDin)의 논리 상태에 따라 제1 보조 연결 모듈(2H)의 접속 상태를 판단한다(단계 S702).In addition, the controller 34 controls the connection state of the first auxiliary connection module 2H according to the logic state of the power supply voltage V D from the power supply terminal 303 and the connection signal HPDin from the bidirectional switch 31. It determines (step S702).

상기 단계 S702에 있어서, 전원 단자(403)로부터의 전원 전압(VD)이 논리 "0" 상태이면, 제어부(34)는 제1 보조 연결 모듈(2H)이 호스트 장치(11)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12)와 접속되지 않았다고 판단한다. 이 경우, 제어부(34)는, 상한 시간이 경과될 때까지 상기 단계 S702를 반복적으로 수행한다(단계 S731).In step S702, if the power supply voltage V D from the power supply terminal 403 is in a logic " 0 " state, the controller 34 indicates that the first auxiliary connection module 2H is connected to the host device 11 or the display device ( It is determined that it is not connected to 12). 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34 repeatedly performs the above step S702 until the upper limit time elapses (step S731).

상기 단계 S702에 있어서, 전원 단자(303)로부터의 전원 전압(VD)이 논리 "1" 상태이고 양방향 스위치(31)로부터의 접속 신호(HPDin)가 논리 "0" 상태이면, 제어부(34)는 제1 보조 연결 모듈(2H)이 호스트 장치(11)의 보조 데이터 수신부(112s)와 접속되었다고 판단한다. 이 경우, 제어부(34)는, 양방향 스위치(31)의 제어 신호(HPDcon)를 "0" 상태로 전환하고(단계 S711), "1" 상태의 접속 출력 신호(HPDout)를 발생시킨다(단계 S712).In step S702, when the power supply voltage V D from the power supply terminal 303 is in a logic "1" state and the connection signal HPDin from the bidirectional switch 31 is in a logic "0" state, the control unit 34 Determines that the first auxiliary connection module 2H is connected to the auxiliary data receiving unit 112s of the host device 11. In this case, the control part 34 switches the control signal HPDcon of the bidirectional switch 31 to the "0" state (step S711), and generates the connection output signal HPDout of the "1" state (step S712). ).

다음에, 제어부(34)는, EDID와 DPCD 각각의 전송이 완료될 때까지, 호스트 장치(11)로부터의 제어 신호들에 따라 EDID와 DPCD 각각을 호스트 장치(11)에 전송한다(단계들 S713 및 S714). Next, the control unit 34 transmits each of the EDID and the DPCD to the host device 11 in accordance with control signals from the host device 11 until the transmission of each of the EDID and the DPCD is completed (steps S713). And S714).

상기 단계 S702에 있어서, 전원 단자(303)로부터의 전원 전압(VD)과 양방향 스위치(31)로부터의 접속 신호(HPDin)가 모두 논리 "1" 상태이면, 제어부(34)는 제1 보조 연결 모듈(2H)이 디스플레이 장치(12)의 보조 데이터 송신부(122s)와 접속되었다고 판단한다. 이 경우, 제어부(34)는, 다음과 같은 판독 및 기록 과정을 수행한다.In step S702, if the power supply voltage V D from the power supply terminal 303 and the connection signal HPDin from the bidirectional switch 31 are both in a logic " 1 " state, the controller 34 connects to the first auxiliary connection. It is determined that the module 2H is connected to the auxiliary data transmitter 122s of the display apparatus 12. 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34 performs the following reading and writing process.

먼저, 제어부(34)는 디스플레이 장치(12)의 EDID를 읽는다(단계 S721). First, the control unit 34 reads the EDID of the display device 12 (step S721).

다음에, 제어부(34)는 읽혀진 EDID를 내부 메모리 예를 들어, 직렬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에 기록한다(단계 S722). Next, the control section 34 writes the read EDID to an internal memory, for example, a serial EEPROM (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step S722).

다음에, 제어부(34)는 디스플레이 장치(12)의 DPCD를 읽는다(단계 S723). Next, the control part 34 reads the DPCD of the display apparatus 12 (step S723).

그리고, 제어부(34)는 읽혀진 DPCD를 내부 메모리에 기록한다(단계 S724). Then, the control unit 34 records the read DPCD in the internal memory (step S724).

도 8은 도 4의 제2 보조 연결 모듈(2D)에서의 제어부(44)의 동작 알고리듬을 보여준다. 도 1, 4 및 8을 참조하여, 도 8의 알고리듬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FIG. 8 shows an operation algorithm of the controller 44 in the second auxiliary connection module 2D of FIG. 4. Referring to Figures 1, 4 and 8, the algorithm of Figure 8 will be described.

먼저, 제어부(44)는, 논리곱(AND) 게이트(41)로부터의 입력 신호의 논리 상태에 따라 제2 보조 연결 모듈(2D)의 접속 상태를 판단한다(단계 S801).First, the control part 44 determines the connection state of the 2nd auxiliary connection module 2D according to the logic state of the input signal from the AND gate 41 (step S801).

상기 단계 S801에 있어서, 논리곱(AND) 게이트(41)로부터의 입력 신호가 논 리 "0" 상태이면, 제어부(44)는 제2 보조 연결 모듈(2D)이 디스플레이 장치(12)와 접속되지 않았다고 판단한다. 이 경우, 제어부(44)는, 상한 시간이 경과될 때까지 상기 단계 S7801을 반복적으로 수행한다(단계 S831).In step S801, if the input signal from the AND gate 41 is in the logical " 0 " state, the controller 44 is not connected to the display device 12 by the second auxiliary connection module 2D. I judge that. In this case, the controller 44 repeatedly performs the above step S7801 until the upper limit time elapses (step S831).

상기 단계 S801에 있어서, 논리곱(AND) 게이트(41)로부터의 입력 신호가 논리 "1" 상태이면, 제어부(44)는 제2 보조 연결 모듈(2D)이 디스플레이 장치(12)의 보조 데이터 송신부(122s)와 접속되었다고 판단한다. 이 경우, 제어부(44)는, 다음과 같은 과정을 수행한다.In the above step S801, if the input signal from the AND gate 41 is in the logical " 1 " state, the controller 44 determines that the second auxiliary connection module 2D is an auxiliary data transmitter of the display device 12. It is determined that it is connected with 122s. In this case, the controller 44 performs the following process.

먼저, 제어부(44)는 디스플레이 장치(12)의 EDID를 읽는다(단계 S821). First, the controller 44 reads the EDID of the display device 12 (step S821).

다음에, 제어부(44)는 읽혀진 EDID를 내부 메모리 예를 들어, 직렬 EEPROM에 기록한다(단계 S822). Next, the control section 44 writes the read EDID to an internal memory, for example, a serial EEPROM (step S822).

다음에, 제어부(44)는 디스플레이 장치(12)의 DPCD를 읽는다(단계 S823). Next, the control section 44 reads the DPCD of the display device 12 (step S823).

그리고, 제어부(44)는 읽혀진 DPCD를 내부 메모리에 기록한다(단계 S824). Then, the control section 44 writes the read DPCD to the internal memory (step S824).

그리고 제어부(44)는 디스플레이 장치(12) 내의 제어부(121)와 DPCD의 통신을 수행한다(단계들 S825 및 S826). 즉, "링크 트레이닝(link training)"을 위한 통신을 수행한다. 그 과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The controller 44 communicates the DPCD with the controller 121 in the display apparatus 12 (steps S825 and S826). That is, communication for "link training" is performed. The process is described in detail as follows.

먼저, 제어부(44)는 기록된 DPCD에 따라 호스트 장치(11)의 예정된 전송-조건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12) 내의 제어부(121)에 전송한다(단계 S825). 여기에서, 최초의 전송-조건 정보는 호스트 장치(11)의 보조 데이터 수신부(112s)를 통하여 미리 입력받을 수 있다.First, the controller 44 transmits the predetermined transfer-condition information of the host apparatus 11 to the controller 121 in the display apparatus 12 in accordance with the recorded DPCD (step S825). Here, the first transmission condition information may be input in advance through the auxiliary data receiver 112s of the host device 11.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2) 내의 제어부(121)는 수신된 전송-조건 정보 에 따라 주 데이터를 수신할 것이다. 다음에, 디스플레이 장치(12) 내의 제어부(121)는 주 데이터를 수신하는 과정에서 오류가 발생되면, 전송 조건이 자신에 적합하지 않다는 부적절 신호를 접속 신호(HPD)를 통하여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2) 내의 제어부(121)는 논리 "1"과 "0"을 반복하는 펄스 열의 접속 신호(HPD)를 발생시킨다.Accordingly, the control unit 121 in the display device 12 will receive the main data according to the received transmission-condition information. Next, if an error occurs in the process of receiving the main data, the control unit 121 in the display device 12 generates an inappropriate signal through the connection signal HPD that the transmission condition is not suitable for itself.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121 in the display device 12 generates the connection signal HPD of the pulse train repeating the logic "1" and "0".

이에 따라 논리곱(AND) 게이트(41)로부터 논리 "1"과 "0"을 반복하는 펄스 열의 부적절 신호가 입력되면(단계 S826), 제어부(44)는 호스트 장치(11)의 예정된 전송-조건 정보를 변경하고, 변경된 전송-조건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12) 내의 제어부(121)에 전송한다(단계 S827).Accordingly, when an inappropriate signal of a pulse string repeating logics "1" and "0" is input from the AND gate 41 (step S826), the controller 44 determines the predetermined transmission-condition of the host device 11. The information is changed, and the changed transfer-condition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121 in the display apparatus 12 (step S827).

상기 DPCD의 통신 단계들(S825 및 S826)은 반복적으로 수행된다.The communication steps S825 and S826 of the DPCD are performed repeatedly.

이상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보조 연결 장치에 의하면, 사용자에 의하여 제1 보조(auxiliary) 연결 모듈이 디스플레이 장치의 보조 데이터 송신부에 일 회 접속되면, 디스플레이 장치의 EDID(Extended Display Identification Data) 및 DPCD(Display Port Configuration Data)가 제1 보조(auxiliary) 연결 모듈에 기록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auxiliary conn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first auxiliary connection module is connected to the auxiliary data transmitter of the display device once by the user, the EDID (Extended Display Identification Data) of the display device is provided. And Display Port Configuration Data (DPCD) are recorded in the first auxiliary connection module.

이와 같이 EDID 및 DPCD가 기록되어 있는 제1 보조(auxiliary) 연결 모듈이 호스트 장치의 보조 데이터 수신부에 접속되어 있으면, EDID 및 DPCD가 호스트 장치에 항상 제공될 수 있다. In this way, when the first auxiliary connection module in which the EDID and the DPCD are recorded is connected to the auxiliary data receiver of the host device, the EDID and the DPCD may always be provided to the host device.

또한, 사용자에 의하여 제2 보조(auxiliary) 연결 모듈이 디스플레이 장치의 보조 데이터 송신부에 접속되어 있으면, 제2 보조(auxiliary) 연결 모듈이 호스트 장치를 대신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와 DPCD의 통신을 수행한다.In addition, when the second auxiliary connection module is connected to the auxiliary data transmitter of the display device by the user, the second auxiliary connection module performs communication between the display device and the DPCD on behalf of the host device.

결론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와 호스트 장치 사이의 커넥터에서 보조(auxiliary) 연결 라인들이 제거될 수 있다.As a result, auxiliary connecting lines can be removed from the connector between the display device and the host device.

따라서, EDID 및 DPCD가 직렬 차동 신호들로서 장거리로 전송되거나, DPCD의 장거리 통신이 수행될 경우에 발생되는 노이즈 및 신호 감쇄의 문제점이 근본적으로 해소될 수 있다. 또한, 보조(auxiliary) 연결 라인들이 불필요하므로 경제적이다. Therefore, the problem of noise and signal attenuation generated when the EDID and the DPCD are transmitted over long distances as serial differential signals or when the long-distance communication of the DPCD is performed can be fundamentally solved. In addition, it is economical because auxiliary connecting lines are not necessary.

본 발명은 어느 한 통신 장치가 데이터 전송을 위하여 상대 통신 장치의 정보를 미리 읽어야만 하는 경우에 이용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when one communication device must read information of the other communication device in advance for data transmission.

도 1은 통상적인 디스플레이-포트(Display Port) 시스템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ventional Display Port system.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보조 연결 장치를 포함한 디스플레이-포트(Display Port) 시스템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display port system including an auxiliary conn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도 2의 제1 보조 연결 모듈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first auxiliary connection module of FIG. 2.

도 4는 도 2의 제2 보조 연결 모듈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second auxiliary connection module of FIG. 2.

도 5는 도 3의 제1 보조 연결 모듈 및 도 4의 제2 보조 연결 모듈 각각에서의 양방향 변환부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bidirectional conversion unit in each of the first auxiliary connection module of FIG. 3 and the second auxiliary connection module of FIG. 4.

도 6은 도 5에서 직렬 차동 신호들과 직렬 입출력 신호들의 관계를 보여주는 파형도이다.6 is a waveform diagram illustrating a relationship between serial differential signals and serial input / output signals in FIG. 5.

도 7은 도 3의 제1 보조 연결 모듈에서의 제어부의 동작 알고리듬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algorithm of a controller in the first auxiliary connection module of FIG. 3.

도 8은 도 4의 제2 보조 연결 모듈에서의 제어부의 동작 알고리듬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algorithm of a controller in the second auxiliary connection module of FIG. 4.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1...호스트 장치, 111, 121, 34, 44...제어부,11 Host unit, 111, 121, 34, 44 ...

112, 122...디스플레이-포트 인터페이스, 112m...주 데이터 송신부,112, 122 display-port interface, 112 m ... main data transmitter,

112s...보조 데이터 수신부, 122m...주 데이터 수신부,112s ... Auxiliary data receiver, 122m ... Main data receiver,

122s...보조 데이터 송신부, 2H...제1 보조 연결 모듈,122s ... Auxiliary data transmitter, 2H ... 1st auxiliary connection module,

2D...제2 보조 연결 모듈, 31...양방향 스위치,2D ... 2nd auxiliary connection module, 31 ...

33, 43...양방향 변환부, 41...논리곱(AND) 게이트, 33, 43, bidirectional conversion section, 41 ... AND gate,

51...감산부, 52...직렬/병렬 변환부, 51 ... subtraction part, 52 ... serial / parallel conversion part,

53...차동 신호 발생부, 54...병렬/직렬 변환부.53 ... differential signal generator, 54 ... parallel / serial converter.

Claims (9)

VESA(Video Electronics Standards Association)의 디스플레이-포트(Display-Port) 통신 규정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의 보조(auxiliary) 데이터 송신부와 호스트 장치의 보조 데이터 수신부 사이에 채용되는 보조 연결 장치에 있어서, In the auxiliary connection device employed between the auxiliary data transmitter of the display device and the auxiliary data receiver of the host device according to the Display-Port communication regulation of the Video Electronics Standards Association (VESA),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보조 데이터 송신부에 접속되면 상기 호스트 장치를 대신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EDID(Extended Display Identification Data) 및 DPCD(Display Port Configuration Data)를 읽어서 기록하고, 상기 호스트 장치의 보조 데이터 수신부에 접속되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대신하여 상기 EDID 및 DPCD를 상기 호스트 장치에 제공하는 제1 보조(auxiliary) 연결 모듈;When connected to the auxiliary data transmitter of the display device, an EDID (Extended Display Identification Data) and a Display Port Configuration Data (DPCD) of the display device are read and recorded on behalf of the host device, and when connected to the auxiliary data receiver of the host device. A first auxiliary connection module for providing the EDID and the DPCD to the host device in place of the display device;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보조 데이터 송신부에 접속되면, 상기 호스트 장치를 대신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EDID 및 DPCD를 읽어서 기록하고, 상기 호스트 장치를 대신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와 상기 DPCD의 통신을 수행하는 제2 보조(auxiliary) 연결 모듈을 포함한 보조(auxiliary) 연결 장치. When connected to the auxiliary data transmitter of the display device, the second assistant reads and records the EDID and DPCD of the display device on behalf of the host device, and performs communication between the display device and the DPCD on behalf of the host device. auxiliary Auxiliary connection device with connection modu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보조(auxiliary) 연결 모듈에서,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in the first auxiliary connection module,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보조 데이터 송신부 및 상기 호스트 장치의 보조 데이터 수신부의 입출력 단자들과 동일한 입출력 단자들이 구비된 보조(auxiliary) 연결 장치.And an auxiliary connection unit having the same input / output terminals as the input / output terminals of the auxiliary data transmitter of the display device and the auxiliary data receiver of the host devic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보조(auxiliary) 연결 모듈에서,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in the first auxiliary connection module, 상기 입출력 단자들이, The input and output terminals, 보조+ 신호 단자, 보조- 신호 단자, 전원 단자 및 접속 신호 단자를 포함한 보조(auxiliary) 연결 장치.Auxiliary connections including auxiliary + signal terminals, auxiliary-signal terminals, power terminals and connecting signal terminals.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보조(auxiliary) 연결 모듈이,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first auxiliary connection module, 제어부;A control unit; 상기 보조+ 신호 단자와 보조- 신호 단자로부터의 직렬 차동 신호들을 상기 디스플레이-포트(Display-Port) 통신 규정에 따라 병렬 입력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제어부에 입력하고, 상기 제어부로부터의 병렬 출력 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포트(Display-Port) 통신 규정에 따라 직렬 차동 신호들로 변환하여 상기 보조+ 신호 단자와 보조- 신호 단자에 출력하는 양방향 변환부; 및Serial differential signals from the auxiliary + signal terminal and the auxiliary-signal terminal are converted into parallel input signals according to the Display-Port communication regulations and input to the control unit, and the parallel output signals from the control unit are input. A bidirectional conversion unit converting the serial differential signals into output signals to the auxiliary signal terminal and the auxiliary signal terminal according to a Display-Port communication standard; And 상기 접속 신호(HPD) 단자로부터의 접속 신호를 상기 제어부에 입력하고, 상기 제어부로부터의 접속 신호를 상기 접속 신호(HPD) 단자에 출력하는 양방향 스위치를 포함한 보조(auxiliary) 연결 장치.And an bidirectional switch for inputting a connection signal from the connection signal (HPD) terminal to the control unit and outputting a connection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to the connection signal (HPD) terminal.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양방향 변환부가,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bidirectional conversion unit, 상기 보조+ 신호 단자로부터의 직렬 차동 신호에서 상기 보조- 신호 단자로부터 입력되는 직렬 차동 신호가 감산된 결과인 직렬 입력 신호를 발생시키는 감산 부;A subtraction unit for generating a serial input signal that is a result of subtraction of the serial differential signal input from the auxiliary signal terminal from the serial differential signal from the auxiliary + signal terminal; 상기 감산부로부터의 직렬 입력 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포트(Display-Port) 통신 규정에 따라 상기 병렬 입력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제어부에 입력하는 직렬/병렬 변환부;A serial / parallel converter for converting the serial input signal from the subtractor into the parallel input signal according to the Display-Port communication rule and inputting the parallel input signal to the controller; 상기 제어부로부터의 상기 병렬 출력 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포트(Display-Port) 통신 규정에 따라 직렬 출력 신호로 변환하는 병렬/직렬 변환부; 및A parallel / serial conversion unit for converting the parallel output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into a serial output signal according to the Display-Port communication rule; And 상기 병렬/직렬 변환부로부터의 직렬 출력 신호를 직렬 차동 신호들로 변환하여 상기 보조+ 신호 단자와 보조- 신호 단자에 출력하는 차동 신호 발생부를 포함한 보조(auxiliary) 연결 장치. An auxiliary connection device including a differential signal generator for converting a serial output signal from the parallel / serial converter into serial differential signals and outputting the serial output signal to the auxiliary + signal terminal and the auxiliary signal termin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보조(auxiliary) 연결 모듈에서,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in the second auxiliary connection module,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보조 데이터 송신부 및 상기 호스트 장치의 보조 데이터 수신부의 입출력 단자들과 동일한 입출력 단자들이 구비된 보조(auxiliary) 연결 장치.And an auxiliary connection device having the same input / output terminals as the input / output terminals of the auxiliary data transmitter of the display device and the auxiliary data receiver of the host devic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보조(auxiliary) 연결 모듈에서,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in the second auxiliary connection module, 상기 입출력 단자들이, The input and output terminals, 보조+ 신호 단자, 보조- 신호 단자, 전원 단자 및 접속 신호 단자를 포함한 보조(auxiliary) 연결 장치.Auxiliary connections including auxiliary + signal terminals, auxiliary-signal terminals, power terminals and connecting signal terminals.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보조(auxiliary) 연결 모듈이,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second auxiliary connection module, 제어부;A control unit; 상기 보조+ 신호 단자와 보조- 신호 단자로부터의 직렬 차동 신호들을 상기 디스플레이-포트(Display-Port) 통신 규정에 따라 병렬 입력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제어부에 입력하고, 상기 제어부로부터의 병렬 출력 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포트(Display-Port) 통신 규정에 따라 직렬 차동 신호들로 변환하여 상기 보조+ 신호 단자와 보조- 신호 단자에 출력하는 양방향 변환부; 및Serial differential signals from the auxiliary + signal terminal and the auxiliary-signal terminal are converted into parallel input signals according to the Display-Port communication regulations and input to the control unit, and the parallel output signals from the control unit are input. A bidirectional conversion unit converting the serial differential signals into output signals to the auxiliary signal terminal and the auxiliary signal terminal according to a Display-Port communication standard; And 상기 전원 단자로부터의 전원 전압과 상기 접속 신호 단자로부터의 접속 신호가 모두 논리 "1" 상태인 동안에 논리 "1"의 신호를 상기 제어부에 입력하는 논리곱(AND) 게이트를 포함한 보조(auxiliary) 연결 장치.An auxiliary connection including an AND gate for inputting a signal of logic " 1 " to the controller while the power supply voltage from the power supply terminal and the connection signal from the connection signal terminal are both in a logic " 1 " state. Devic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양방향 변환부가,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bidirectional conversion unit, 상기 보조+ 신호 단자로부터의 직렬 차동 신호에서 상기 보조- 신호 단자로부터 입력되는 직렬 차동 신호가 감산된 결과인 직렬 입력 신호를 발생시키는 감산부;A subtraction unit for generating a serial input signal which is a result of subtracting a serial differential signal input from the auxiliary signal terminal from the serial differential signal from the auxiliary signal terminal; 상기 감산부로부터의 직렬 입력 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포트(Display-Port) 통신 규정에 따라 상기 병렬 입력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제어부에 입력하는 직렬/병렬 변환부;A serial / parallel converter for converting the serial input signal from the subtractor into the parallel input signal according to the Display-Port communication rule and inputting the parallel input signal to the controller; 상기 제어부로부터의 상기 병렬 출력 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포트(Display-Port) 통신 규정에 따라 직렬 출력 신호로 변환하는 병렬/직렬 변환부; 및A parallel / serial conversion unit for converting the parallel output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into a serial output signal according to the Display-Port communication rule; And 상기 병렬/직렬 변환부로부터의 직렬 출력 신호를 직렬 차동 신호들로 변환하여 상기 보조+ 신호 단자와 보조- 신호 단자에 출력하는 차동 신호 발생부를 포함한 보조(auxiliary) 연결 장치. An auxiliary connection device including a differential signal generator for converting a serial output signal from the parallel / serial converter into serial differential signals and outputting the serial output signal to the auxiliary + signal terminal and the auxiliary signal terminal.
KR1020090084422A 2009-09-08 2009-09-08 Auxiliary connection apparatus KR10117803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4422A KR101178037B1 (en) 2009-09-08 2009-09-08 Auxiliary connection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4422A KR101178037B1 (en) 2009-09-08 2009-09-08 Auxiliary connection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6668A KR20110026668A (en) 2011-03-16
KR101178037B1 true KR101178037B1 (en) 2012-08-29

Family

ID=439336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4422A KR101178037B1 (en) 2009-09-08 2009-09-08 Auxiliary connection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8037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4447B1 (en) * 2013-07-02 2014-07-08 옵티시스 주식회사 Dual mode Display-Port connector
WO2016209482A1 (en) * 2015-06-24 2016-12-29 Intel Corporation Techniques to independently control display segments of a display panel
KR102333724B1 (en) 2015-10-23 2021-12-01 삼성전자주식회사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05491318B (en) * 2015-12-05 2018-11-27 武汉精测电子集团股份有限公司 A kind of DP vision signal single channel turns the device and method of multichannel
KR101774466B1 (en) * 2016-02-24 2017-09-05 옵티시스 주식회사 Display-Port optical connector
CN111355905A (en) * 2018-12-21 2020-06-30 西安诺瓦星云科技股份有限公司 Signal distribu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6668A (en) 2011-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8037B1 (en) Auxiliary connection apparatus
JP5784191B2 (en) Dual mode display port connector
EP3316241A1 (en) Display device
JP5449858B2 (en) Display device using method of embedding data control signal in video data signal
CN101356787B (en) Multiplex differential transmission system
KR101495865B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driving thereof
CN103702060B (en) Definition display device and video signal conversion method
CN102610201A (en) Data processing method, data driving circuit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CN105491318A (en) Device and method for single-path to multiple-path conversion of DP video signals
US9054939B2 (en) Method of processing data and a display apparatus performing the method
CN105230004A (en) The Digital Image Transmission device of executive communication, self diagnosis and control
CN105405375A (en) MIPI video signal single path-to-multipath conversion device and MIPI video signal single path-to-multipath conversion method
CN104575351A (en) Signal conversion system, displayer and signal conversion method
KR101774466B1 (en) Display-Port optical connector
US20100166129A1 (en) Data transmitting device and data receiving device
CN106878650B (en) DVI to VGA video conversion device and method thereof
KR101136727B1 (en) Display-Port optical connector
KR20130032059A (en) Display apparatus
JP2010096951A (en) Video data transmission system and video data transmission method
JP2015076622A (en) Transmitter, receiver, transmission/reception system and image display system
JP2016035488A (en) Timing controller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KR101147269B1 (en) Display-Port connector
KR20230080851A (en) Touch controller, touch sensing system and touch display device
CN102243833B (en) Source driver and driving method
KR20170124913A (en) Display device, data driver, 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 and method for driving the 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11017

Effective date: 2012062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