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2838B1 - Multi abutment device - Google Patents

Multi abutment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2838B1
KR101172838B1 KR1020100080927A KR20100080927A KR101172838B1 KR 101172838 B1 KR101172838 B1 KR 101172838B1 KR 1020100080927 A KR1020100080927 A KR 1020100080927A KR 20100080927 A KR20100080927 A KR 20100080927A KR 101172838 B1 KR101172838 B1 KR 1011728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butment
connecting rod
fixed
impression coping
impre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092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20017951A (en
Inventor
동 욱 신
Original Assignee
동 욱 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 욱 신 filed Critical 동 욱 신
Priority to KR10201000809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2838B1/en
Publication of KR201200179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795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28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283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8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an additional screw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01Impression means for implants, e.g. impression cop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2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composition, e.g. ceramics, surface layer, metal allo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polygonal positional means, e.g. hexagonal or octagon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8Healing cap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8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C8/0037Details of the shape
    • A61C2008/0046Textured surface, e.g. roughness, microstructu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임플란트 시술용 멀티 어버트먼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환자의 치조골에 고정되는 픽스쳐와, 상기 픽스쳐의 상부에서 중앙에 종방향으로 형성되는 관통구에 삽입된 소정의 스크류에 의해 고정되는 어버트먼트와, 상기 어버트먼트의 관통구에 일부가 삽입 고정되도록 설치되는 연결봉 및 상기 연결봉의 상부에 고정되는 인상 채득용 임프레션 코핑을 포함하여, 임프레션 코핑을 고정시키기 위한 연결봉을 추가시킴으로써 상기 임프레션 코핑의 우수한 분리력을 제공함과 동시에 추후 보철물의 완벽하고 정밀한 고정을 수행할 수 있으며, 힐링 어버트먼트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abutment device for implant surgery, the fixture fixed to the alveolar bone of the patient, and the abutment fixed by a predetermined screw inserted into the through-hole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center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fixture And a connecting rod for fixing a portion of the impression coping, including a connecting rod installed to be inserted into and fixed to the through hole of the abutment, and an impression coping for pulling up fix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connecting rod. It provides excellent separation force and at the same time allows perfect and precise fixation of the prosthesis and can be used as a healing abutment.

Description

멀티 어버트먼트 장치{MULTI ABUTMENT DEVICE}Multi Abutment Device {MULTI ABUTMENT DEVICE}

본 발명은 임플란트 시술용 어버트먼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힐링 어버트먼트 겸용으로 사용될 수 있고, 해당 환자만을 위한 어버트먼트(customized abutment)의 제작이 용이하도록 충분한 넓이를 가지며, 인상 채득 과정 중의 임프레션 코핑의 원활한 분리를 유도하고, 추후 고정성보철물과 가철성보철물의 긴밀하고 정확한 고정이 가능하도록 구현되는 멀티 어버트먼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butment device for implant surgery, in particular can be used as a healing abutment, has a sufficient width to facilitate the manufacture of abutments (customized abutment) only for the patient, during the impression acquisition proces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abutment device which induces a smooth separation of the impression coping, and is implemented to enable close and accurate fixing of the fixed prosthesis and the removable prosthesis.

일반적으로, 임플란트(implant)란 치조골에 나사모양의 티타늄으로 된 인공치근, 즉 픽스쳐(fixture)를 심은 후 매식된 픽스쳐의 주위에 뼈가 융합되어 단단해지면 그 위에 어버트먼트(abutment)를 결합하고, 여기에 인공치아인 보철물을 만들어 넣게 되는 것으로, 가장 보편적인 치아수복방법인 브릿지와 비교할 때 인접치아나 주위의 연조직 또는 골조직을 손상시키지 않고 오로지 손상된 부분에만 시술이 가능하며, 골조직에 의해 유지되고 지지받게 되므로 계속적으로 골조직에 힘이 가해져 골조직의 흡수속도가 지연되고 저작력도 자연치아와 동등수준으로 회복될 수 있음은 물론 심미적으로도 자연치아와 거의 유사하게 회복할 수 있어 최근에는 임플란트가 치아 수복에 있어 세계적인 추세가 되고 있다.In general, an implant is a screw-titanium artificial tooth root, ie, a fixture, which is implanted in the alveolar bone, and after the bone is fused and hardened around the implanted fixture, the abutment is joined thereon. In this case, the prosthesis, which is an artificial tooth, is made here, and compared to the bridge, which is the most common dental restoration method, the procedure can be performed only on the damaged part without damaging the adjacent teeth or the soft tissue or bone tissue, and is maintained by the bone tissue. As it is supported, the force is continuously applied to the bone tissue, which slows the absorption rate of the bone tissue, and the chewing ability can be restored to the same level as that of natural teeth. Is becoming a global trend.

이러한 임플란트 시술에 있어 시술 대상자의 치아 형태에 따라 보철물을 제작하여 정확하게 위치시키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며, 이를 위해 시술 대상자의 치아모양을 인상재로 떠서 정확한 치아모형을 제작하고 이 모형을 가지고 가장 정확한 보철물을 제작하여 실제로 시술하게 되는 것이다. In this implant procedure, it is most important to make and place the prosthesis correctly according to the tooth shape of the subject.For this purpose, the accurate tooth model is produced by floating the tooth shape of the subject as an impression material and the most accurate prosthesis with this model. It will be manufactured and actually performed.

일반적으로, 인상채득은 픽스쳐 상부에 임프레션 코핑을 결합하고 그 위에 유동가능한 인상재를 씌워 떠낸 후, 랩 아날로그를 상기 치아 모형의 인상재상에 식립된 임프레션 코핑에 고정시키고, 이후 여기에 석고를 부어 치아모형을 제작한다. 그후, 제작된 치아 모형에 어버트먼트를 체결하고, 다시 인상재를 이용하여 보철물을 제작하기 위한 인상 과정을 진행하게 된다.In general, impression acquisition combines impression copings on top of the fixture and floats a floating impression material thereon, and then secures the lab analog to impression copings placed on the impression material of the tooth model, and then pours plaster thereon To produce. After that, the abutment is fastened to the manufactured tooth model, and the impression process is performed to produce a prosthesis using the impression material again.

본원 출원인이 2009년 8월 28일자로 특허출원한 특허 제2009-0080365호(임플란트 시술용 임프레션 코핑 및 이를 이용한 인상 채득 방법)는 임프레션 코핑 및 이에 적용되는 어버트먼트의 형상 및 조립 구조를 변경하여 두 번에 걸친 종래의 인상 채득 과정을 바이트 채득까지 한번에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Patent No. 2009-0080365 (Applicant's Impression Coping and Impression Acquisition Method Using the Implant Technique), filed by the applicant on August 28, 2009, changes the shape and assembly structure of the impression coping and the abutment applied thereto. Two conventional impression acquisition processes can be performed at once until byte acquisition.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인상재 도포후 임프레션 코핑을 어버트먼트에서 원활히 제거하기 위하여 어버트먼트는 대체적으로 작고 기존의 어버트먼트보다 길이가 짧도록 구현하였으며, 이로 인한 임프레션 코핑과 어버트먼트의 접촉면의 경사를 완만히 하여 상기 임프레션 코핑이 어버트먼트에서 수월하게 분리되는 장점을 개시하였다.In this configuration, in order to smoothly remove the impression coping from the abutment after applying the impression material, the abutment is generally smaller and shorter than the conventional abutment, thereby resulting in the contact surface between the impression coping and the abutment. Slanting gently disclosed the advantage that the impression coping was easily separated from the abutment.

그러나 이러한 구성은 임프레션 코핑의 어버트먼트에서의 분리력은 우수하나 어버트먼트 장치의 전체 길이가 짧아져서 힐링 어버트먼트로 사용하기 어려우며, 어버트먼트를 고정하는 스크류의 풀림으로 인한 시술의 실패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다.
However, this configuration has good separation ability in the abutment of impression coping, but the overall length of the abutment device is short, making it difficult to use as a healing abutment, and the possibility of the procedure failure due to loosening of the screw fixing the abutment. It implies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인상채득과정 중 비교적 임프레션 코핑이 원활이 제거될 수 있도록 구현되는 멀티 어버트먼트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ulti-abutment device that can be implemented to be relatively smooth removal of the impression coping during the impression acquisition process.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인상채득과정 중 비교적 임프레션 코핑이 원활이 제거될 수 있으며, 추후 고정성보철물의 고정과 가철성보철물의 연결이 유리하도록 구현되는 멀티 어버트먼트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ulti-abutment device that can be relatively smoothly removed during the impression acquisition process, and to facilitate the fixing of the fixed prosthesis and the connection of the removable prosthesis.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힐링 어버트먼트 겸용으로 사용가능한 멀티 어버트먼트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ulti-abutment device usable as a healing abutment.

본 발명의 더욱 더 다른 목적은 픽스쳐 레벨 임프레션과 어버트먼트 레벨의 임프레션의 각 단점을 보완하도록 구현되는 멀티 어버트먼트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A still fur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ulti-abutment device which is implemented to compensate for the respective disadvantages of fixture level impression and abutment level impression.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고정성 보철물 장착 후, 스크류의 풀림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구현되는 멀티 어버트먼트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ulti-abutment device that is implemented to prevent the loosening of the screw in advance after mounting the fixed prosthesis.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임플란트 시술용 멀티 어버트먼트 장치에 있어서, 환자의 치조골에 고정되는 픽스쳐와, 상기 픽스쳐의 상부에서 중앙에 종방향으로 형성되는 관통구에 삽입된 소정의 스크류에 의해 고정되는 어버트먼트와, 상기 어버트먼트의 관통구에 일부가 삽입 고정되도록 설치되는 연결봉 및 상기 연결봉의 상부에 고정되는 인상 채득용 임프레션 코핑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a multi-abutment device for implant surgery, a fixture fixed to the alveolar bone of the patient, and a through hole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center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fixture An abutment fixed by a predetermined screw inserted into the connecting rod, a connecting rod installed to be inserted into and fixed to a through hole of the abutment, and an impression capping impression coping fix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connecting rod. do.

본 발명에 따른 멀티 어버트먼트 장치는 임프레션 코핑을 고정시키기 위한 연결봉을 추가시킴으로써 상기 임프레션 코핑의 우수한 분리력을 제공함과 동시에 추후 보철물의 완벽하고 정밀한 고정을 수행할 수 있으며, 힐링 어버트먼트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 multi-abutmen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good separation force of the impression coping by adding a connecting rod for fixing the impression coping, and at the same time can perform a perfect and precise fixing of the prosthesis, can also be used as a healing abutment It can be effective.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어버트먼트 장치의 분리 사시도; 및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어버트먼트 장치의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multi abutme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mbined state of the multi abutme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nnecessarily blurred,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어버트먼트 장치의 분리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멀어버트먼트 장치의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multi abutme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mbined state of the multitude of the abutme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서는 종래와 다르게도, 임프레션 코핑이 어버트먼트에 결합되는 것이 아니며, 별도로 개재되는 연결봉의 상부에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어버트먼트 장치는 충분한 길이를 보상받을 수 있을 것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unlike the prior art, the impression coping is not coupled to the abutment, it is fix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connecting rod that is separately interposed. Thus, the abutment device may be compensated for a sufficient length.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멀티 어버트먼트 장치는 환자의 치조골에 고정되는 티타늄 재질의 픽스쳐(40)와, 상기 픽스쳐(40)의 상부에서 소정의 스크류(30)에 의해 고정되는 어버트먼트(10)와, 상기 어버트먼트(10)의 상부에 고정되는 연결봉(50) 및 상기 연결봉(50)의 상부에 고정되며 인상 채득을 위한 임프레션 코핑(20)을 포함한다.As shown in Figure 1 and 2, the multi-abutment device is fixed to the fixture of the patient's alveolar bone made of titanium, and fixed by a predetermined screw 30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ixture 40 An abutment 10, a connecting rod 50 fix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abutment 10, and an impression coping 20 fix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connecting rod 50 and for pulling up the impression.

본 발명에 따른 어버트먼트(10)는 가장 직경이 큰 경계단(11)을 중심으로 상부(12)와 하부(13)로 구분된다. 상기 상부(12)는 기존의 어버트먼트의 상부와 같거나 좀더 긴 수직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이는 상기 임프레션 코핑(20)이 상기 어버트먼트(10)의 상부(12)와 결합되지 않기 때문에 상기 상부(12)의 경사도를 임의로 정할 수 있는데 기인한다.The abutment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divided into an upper portion 12 and a lower portion 13 around the boundary end 11 having the largest diameter. The upper portion 12 may have a vertical length that is equal to or longer than the upper portion of the existing abutment. This is due to the fact that the impression coping 20 is not coupled with the top 12 of the abutment 10 so that the inclination of the top 12 can be arbitrarily determined.

상기 어버트먼트(10)는 상면(15)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상면(15)에는 일정 직경을 갖는 관통구(14)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상면(15)에는 등간격으로 요홈(16)이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요홈(16)은 후술될 연결봉(50)과 임프레션 코핑(20)의 유동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바람직하게도 상기 요홈(16)은 3개소가 형성되어 있으나 그 이상의 갯수로 형성하여도 무방하다.The abutment 10 includes an upper surface 15, and the upper surface 15 includes a through hole 14 having a predetermined diameter. The groove 15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15 at equal intervals, the groove 16 serves to prevent the flow of the connecting rod 50 and the impression coping 20 to be described later. Preferably, the groove 16 is formed in three places, but may be formed in more than that number.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어버트먼트(10)의 관통구(14)의 내주면에는 단차부를 두어 상기 스크류(30)의 헤드(31)가 상기 관통구(14)를 완전히 관통하지 못하도록 하여 상기 픽스쳐(40)에 상기 어버트먼트(10)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수행 한다.As shown in FIG. 2, a step is provid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hrough hole 14 of the abutment 10 so that the head 31 of the screw 30 does not completely penetrate the through hole 14. It serves to fix the abutment 10 to the fixture (40).

상기 어버트먼트(10)는 각 회사의 힐링 어버트먼트 보다 경계단(11)이 비교적 더 넓도록 제작되고 그 형태는 S자, U자, 직선 등의 형태를 가지면서 해당 환자만을 위한 어버트먼트(customized abutment)를 사용 할 수 있도록 힐링 어버트먼트 겸용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The abutment 10 is manufactured so that the boundary end 11 is relatively wider than the healing abutments of each company, and the shape of the abutment 10 has an S-shape, a U-shape, a straight line, etc. It may be used as a healing abutment to allow for the use of customized abutments.

상기 연결봉(50)은 일정 길이를 갖는 샤프트부(52)와 상기 샤프트부(52)의 상부에서 상기 샤프트부(52)의 직경 보다 더 큰 직경을 갖는 일정 형상의 헤드(51)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연결봉(50)의 헤드(51)는 바람직하게도 횡단면이 상면을 갖는 삼각형 형상을 하고 있으며, 외주면은 다각형으로 형성된다. The connecting rod 50 is integrally formed with a shaft portion 52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a predetermined head 51 having a diameter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shaft portion 52 at the upper portion of the shaft portion 52. do. The head 51 of the connecting rod 50 preferably has a triangular shape having a top surface in cross section,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is formed in a polygon.

상기 샤프트부(52)는 상기 어버트먼트(10)의 관통구(14)에 삽입되는 부분으로써 외주면을 따라 적어도 하나의 돌출된 텐션 돌기(521)가 형성되며, 이에 대응되는 상기 어버트먼트(10)의 관통구(14)의 내주면 적소에는 상기 텐션 돌기(521)가 안착되기 위한 안착홈(도 2의 17)이 형성된다.The shaft portion 52 is a portion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14 of the abutment 10 is formed with at least one protruding tension projection 521 alo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the abutment ( In place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hrough hole 14 of 10), a seating groove (17 in FIG. 2) is formed to seat the tension protrusion 521.

바람직하게도, 상기 연결봉(50)은 상기 어버트먼트(10)의 관통구(10)에 억지끼움 방식으로 고정된다. 더욱이 상기 텐션 돌기(521)와 안착홈(17)의 결합 구조는 상기 연결봉(50)의 억지 끼움을 보조할 수 있을 것이다.Preferably, the connecting rod 50 is fixed to the through hole 10 of the abutment 10 in an interference fit manner. Furthermore,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tension protrusion 521 and the seating groove 17 may assist the interference fitting of the connecting rod 50.

더욱 바람직하게도, 상기 연결봉(50)은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국한되지 않으며, 자성에 반응하는 금속 재질로 형성하거나, 상기 샤프트부(52)는 합성 수지 재질로 형성하고 인서트 몰딩 방식으로 자성에 반응하는 금속 헤드를 조합할 수도 있을 것이다. More preferably, the connecting rod 50 may be formed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shaft portion 52 may be formed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and the metal head reacting to the magnet may be combined by insert molding.

역시, 상기 헤드(51)에는 등간격으로 하측 방향으로 돌출된 돌기(511)가 형성되는데, 이는 상기 연결봉(50)의 샤프트부(52)가 상기 어버트먼트(10)의 관통구(14)에 억지끼움 방식으로 완전히 삽입되었을 때 상기 돌기(511)가 상기 어버트먼트(10)의 상면(15)에 형성된 요홈(16)에 안착되어 자체 회전 및 유동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head 51 is formed with protrusions 511 protruding downward at equal intervals, which means that the shaft portion 52 of the connecting rod 50 is a through hole 14 of the abutment 10. When the projection 511 is completely inserted in the interference fit method is to be seated in the groove 16 formed on the upper surface 15 of the abutment 10 to prevent its own rotation and flow.

상기 임프레션 코핑(20)은 샤프트 형태로써 하부(24)와 상기 하부보다 직경이 큰 상부(21)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상부(21)는 상면(22)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상면(22)에는 테두리를 따라 일정 높이를 가지며 중앙으로 향하도록 바이트 편(bite piece)(27)을 형성 또는 설치할 수 있다. 이는 상기 임프레션 코핑(20)을 상기 연결봉(50)에 체결한 후, 인상 채득전에 환자의 정확한 바이트 채득을 함께 유도할 수 있는 것으로서, 상기 바이트 편(27)은 박판 타입으로써 동일 간격 및 등각을 갖도록 2개소 또는 4개소 이상 형성 또는 설치할 수 있다. 역시, 상기 바이트 편(27)은 상기 임프레션 코핑(20)을 제작할 때 같은 재질로 함께 일체로 형성하거나, 레진 계열로 상기 임프레션 코핑(20)의 상면 테두리를 따라 중심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The impression coping 20 has a shaft shape in which the lower part 24 and the upper part 21 having a larger diameter than the lower part are integrally formed. The upper portion 21 has an upper surface 22, and a bit piece 27 may be formed or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22 to have a predetermined height along an edge thereof and to face the center. This is to fasten the impression coping 20 to the connecting rod 50, and then to induce the correct bite acquisition of the patient before the impression taking, the bite piece 27 is a thin plate type to have the same spacing and equiangular Two or four or more places can be formed or installed. In addition, the bite piece 27 may be integrally formed together with the same material when the impression coping 20 is manufactured, or may be attached to extend along the upper edge of the impression coping 20 in a resin series. There will be.

상기 연결봉(50)이 자성에 반응하는 금속 재질로 형성되었다면, 상기 임프레션 코핑(20)은 자성을 띄는 물질로 형성하여 연결봉(50)과 임프레션 코핑(20)간의 긴밀하고 정확한 결합이 가능할 것이다.If the connecting rod 50 is formed of a metal material that reacts with magnetism, the impression coping 20 may be formed of a material having magnetic properties to enable a close and accurate coupling between the connecting rod 50 and the impression coping 20.

미도시되었으나, 상기 임프레션 코핑(20)은 다수개의 임플란트 시술시, 동시에 균일한 인상 채득을 하기 위하여 상기 임프레션 코핑들을 상호 연결시켜줄 수 있는 연결 수단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연결 수단은 일정 길이를 갖는 연결편을 사용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상기 연결편은 금속 또는 합성 수지 재질로 형성하고, 상기 임프레션 코핑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도, 상기 임프레션 코핑의 헤드의 측면부에 일정 형상의 홈, 또는 돌기를 형성하고, 이를 상기 연결편에 의해 상호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not shown, the impression coping 20 may use a connection means capable of interconnecting the impression copings in order to obtain a uniform impression at the same time during a plurality of implant procedures. The connecting means may use a connecting piece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for example, the connecting piece may be formed of a metal or a synthetic resin material and detachably mounted to the impression coping. More preferably, a groove or a protrusion having a predetermined shape may be formed in a side portion of the head of the impression coping, and it may be used to be interconnected by the connecting piece.

따라서, 상술한 장치들의 조립관계는 하기와 같다.Therefore, the assembly relationship of the above-described devices is as follows.

우선, 환자의 치조골에 고정된 픽스쳐(40)의 상부에 어버트먼트(10)를 고정시킨다. 이때, 상기 픽스쳐(40)의 상단부(41)는 상기 어버트먼트(10)의 저부에 위치한 관통구(14)에 삽입되며,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어버트먼트(10)의 관통구(14)로 스크류(30)를 삽입하여 고정시킨다. 상기 스크류(30)를 회전시키면 상기 스크류(30)의 숫나사부(32)는 상기 픽스쳐(40)의 암나사부(42)에 긴밀히 나삽됨으로써 상기 어버트먼트(10)는 우선적으로 상기 픽스쳐(40)에 고정이 완료된다.First, the abutment 10 is fix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fixture 40 fixed to the alveolar bone of the patient. At this time, the upper end 41 of the fixture 40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14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abutment 10, in this state to the through hole 14 of the abutment 10. Insert and fix the screw (30). When the screw 30 is rotated, the male thread portion 32 of the screw 30 is tightly inserted into the female thread portion 42 of the fixture 40 so that the abutment 10 preferentially has the fixture 40. The fixing is completed.

그후, 상기 어버트먼트(10)의 상부 관통구(14)에 상기 연결봉(50)의 샤프트부(52)를 억지끼움 방식으로 삽입한다. 이때 상기 연결봉(50)의 헤드(51)가 상기 어버트먼트(10)의 상면(15)에 접촉될때까지 삽입하며, 상기 헤드(51)의 돌기(511)는 상기 어버트먼트(10)의 상면(15)에 형성된 요홈(16)에 각각 안착될 것이다. 상기 헤드(51)에 형성되는 돌기(511)는 상기 어버트먼트(10)의 상면(15)에 형성되는 요홈(16)의 갯수와 상응한 갯수 및 간격으로 형성될 것이다. 이때, 상기 샤프트부(52)의 텐션돌기(521) 역시 상기 어버트먼트(10)의 관통구(14)의 내주면에 형성된 안착홈(17)에 안착됨으로써 상기 연결봉(50)의 고정력을 배가시킨다.Thereafter, the shaft portion 52 of the connecting rod 50 is inserted into the upper through hole 14 of the abutment 10 in an interference fit manner. At this time, the head 51 of the connecting rod 50 is inserted until the upper surface 15 of the abutment 10 is in contact, and the protrusion 511 of the head 51 of the abutment 10 Will be seated in each of the grooves 16 formed on the upper surface (15). The protrusions 511 formed on the head 51 may be formed in a number and interval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grooves 16 formed on the upper surface 15 of the abutment 10. At this time, the tension protrusion 521 of the shaft portion 52 is also seated in the mounting groove 17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hrough hole 14 of the abutment 10 to double the fixing force of the connecting rod 50. .

한편, 상기 연결봉(50)의 샤프트부(52)의 하단부는 상기 스크류(30)의 헤드(31) 부분에 닿거나 근접되게 위치하도록 설계하여 상기 스크류(30)의 풀림으로 인하여 상기 어버트먼트(10)가 임의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lower end of the shaft portion 52 of the connecting rod 50 is designed to be in contact with or in close proximity to the head 31 of the screw 30 to the abutment due to the loosening of the screw 30 ( 10) can be prevented from flowing arbitrarily.

그후, 상기 연결봉(50)의 상부에 임프레션 코핑(20)을 장착한다. 상기 임프레션 코핑(20)의 하부(24)에는 상기 연결봉(50)의 헤드(51)가 삽입될 수 있는 홈(도 2의 25)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도 상기 홈(25)의 내면 형상은 다각형으로 형성된 상기 연결봉(50)의 헤드(51)와 상응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는 상기 임프레션 코핑(20)이 상기 헤드(51)에서 임의로 회전되거나 유동되는것을 방지한다. 역시, 상기 임프레션 코핑(20)의 홈(25)의 내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돌기(251)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연결봉(50)의 헤드(51)의 외주면에는 상기 돌기(251)가 삽입될 수 있는 안착홈(512)을 형성하여 고정력을 보조할 수 있을 것이다.Thereafter, the impression coping 20 is mounted on the connecting rod 50. The lower portion 24 of the impression coping 20 is formed with a groove (25 in FIG. 2) into which the head 51 of the connecting rod 50 can be inserted. Preferably, the inner surface shape of the groove 25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head 51 of the connecting rod 50 formed in a polygon. This prevents the impression coping 20 from randomly rotating or flowing in the head 51. Also, at least one protrusion 251 may be form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groove 25 of the impression coping 20, and the protrusion 251 may be inserted into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ead 51 of the connecting rod 50. It may be able to assist the fixing force by forming a seating groove 512.

예컨데, 상기 연결봉(50)이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될 경우, 상기 연결봉(50)의 샤프트부(20)는 상기 어버트먼트(10)의 관통구(14)에 억지 끼움되며, 상기 임프레션 코핑(20) 역시 상기 연결봉(50)의 상부에서 억지 끼움 방식으로 고정된다. 그러나, 인상 채득 과정에서 상기 임프레션 코핑(20)만을 제거하기 위하여 상기 연결봉(50)이 상기 어버트먼트(10)에 고정되는 고정력을 더 강하도록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For example, when the connecting rod 50 is formed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the shaft portion 20 of the connecting rod 50 is forcibly fitted into the through hole 14 of the abutment 10, and the impression coping 20 ) Is also fixed in the interference fit method at the top of the connecting rod (50). However, in order to remove only the impression coping 20 during the pulling process, it is preferable to implement the connecting rod 50 so as to have a stronger fixing force fixed to the abutment 10.

또한, 상기 연결봉(50)이 자성에 반응하는 금속 재질로 형성될 경우, 상기 연결봉(50)의 샤프트부(52)는 상기 어버트먼트(10)의 관통구(14)에 억지 끼움되며, 상기 자성을 띄는 임프레션 코핑(20)은 상기 연결봉(50)의 상부에서 자력에 의해 부착되는 방식으로 고정된다. 이러한 경우 인상 채득 과정에서 상기 임프레션 코핑(20)만을 제거하기 위하여 상기 연결봉(50)이 상기 어버트먼트(10)에 고정되는 고정력을 상기 자력보다 크게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when the connecting rod 50 is formed of a metal material responsive to magnetism, the shaft portion 52 of the connecting rod 50 is forcibly fitted into the through hole 14 of the abutment 10. The magnetic impression coping 20 is fixed in such a manner that it is attached by magnetic force on top of the connecting rod 50. In this case, in order to remove only the impression coping 20 during the impression taking process, it is preferable to implement a fixing force fixed to the abutment 10 to be greater than the magnetic force.

또한, 상기 연결봉(50)의 헤드(51)는 자성에 반응하는 금속 재질이며, 샤프트부(52)는 합성 수지 재질로 형성하고 상호 인서트 몰딩 방식으로 연결봉(50)을 구현할 수도 있을 것이다.In addition, the head 51 of the connecting rod 50 is a metal material reacting to the magnetic, the shaft portion 52 may be formed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and may implement the connecting rod 50 by mutual insert molding.

한편, 상기 임프레션 코핑(20)의 하부(24)에 역시 돌기(241)가 돌출된다. 따라서, 상기 어버트먼트(10)에 연결봉(50)이 고정되고, 상기 연결봉(50)의 헤드(51)에 상기 임프레션 코핑(20)이 결합될 경우, 상기 임프레션 코핑(20)의 하부(24)와 상기 연결봉(50)의 헤드(51)의 하부는 상기 어버트먼트(10)의 상면(15)을 공유하도록 접촉된다. 이때, 상기 임프레션 코핑(20)의 하부(24)의 외주면과 상기 어버트먼트(10)의 상부(12)의 외주면은 지극히 일치되는 방식으로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임프레션 코핑(20)의 돌기(241)와 상기 연결봉(50)의 돌기(511)는 상기 어버트먼트(10)의 상면(15)에 형성되는 요홈(16)에 동시에 요합되어 유동 및 자체 회전을 방지시킬 수 있는 것이다.Meanwhile, the protrusion 241 also protrudes from the lower portion 24 of the impression coping 20. Therefore, when the connecting rod 50 is fixed to the abutment 10, and the impression coping 20 is coupled to the head 51 of the connecting rod 50, the lower portion 24 of the impression coping 20. ) And a lower portion of the head 51 of the connecting rod 50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to share the upper surface 15 of the abutment 10. At this time,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ower portion 24 of the impression coping 20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upper portion 12 of the abutment 10 are fixed in a manner that is extremely consistent. Accordingly, the protrusion 241 of the impression coping 20 and the protrusion 511 of the connecting rod 50 are simultaneously engaged with the groove 16 formed on the upper surface 15 of the abutment 10 and flow and It can prevent its own rotation.

분명히, 청구항들의 범위내에 있으면서 이러한 실시예들을 변형할 수 있는 많은 다양한 방식들이 있다. 다시 말하면, 이하 청구항들의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는 많은 다른 방식들이 있을 수 있을 것이다.
Apparently, there are many different ways to modify these embodiments while remaining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In other words, there may be many other ways in which the invention may be practic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10: 어버트먼트 20: 어버트먼트
30: 스크류 40: 픽스쳐
50: 연결봉
10: abutment 20: abutment
30: screw 40: fixture
50: connecting rod

Claims (13)

임플란트 시술용 멀티 어버트먼트 장치에 있어서,
환자의 치조골에 고정되는 픽스쳐;
상기 픽스쳐의 상부에서 중앙에 종방향으로 형성되는 관통구에 삽입된 소정의 스크류에 의해 고정되는 어버트먼트;
상기 어버트먼트의 관통구에 일부가 삽입 고정되도록 설치되는 연결봉; 및
상기 연결봉의 상부에 고정되는 인상 채득용 임프레션 코핑을 포함하되,
상기 연결봉은,
일정 직경 및 길이를 가지며, 상기 어버트먼트의 관통구에 삽입 고정되는 샤프트부와,
상기 샤프트부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샤프트부 보다 큰 단면을 갖는 헤드를 포함하되,
상기 연결봉은 상기 어버트먼트의 관통구에 억지끼움 방식으로 고정되며, 상기 임프레션 코핑은 상기 헤드가 임프레션 코핑의 하부에서 삽입되는 방식으로 고정되며,
상기 어버트먼트가 별도로 제공되는 연결봉에 결합되기 때문에 크기 및 형상을 자유롭게 형성하여 상기 어버트먼트로 힐링 어버트먼트와 임프레션 보철물로 동시에 활용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어버트먼트 장치.
In the multi-abutment device for implant treatment,
Fixtures fixed to the alveolar bones of the patient;
An abutment fixed by a predetermined screw inserted into a through hole form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t the center of the upper portion of the fixture;
A connecting rod installed to be inserted into and fixed to a through hole of the abutment; And
Including impression impression coping fix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connecting rod,
The connecting rod,
A shaft portion having a predetermined diameter and length and inserted into and fixed to the through hole of the abutment;
It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shaft portion and includes a head having a larger cross section than the shaft portion,
The connecting rod is fixed to the through-hole of the abutment in a clamping manner, the impression coping is fixed in such a way that the head is inserted from the bottom of the impression coping,
Since the abutment is coupled to a connecting rod provided separately, the abutment device may be freely formed in size and shape so that the abutment can be simultaneously utilized as a healing abutment and an impression prosthesis.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에는 하측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의 돌기가 연장 형성되며, 상기 어버트먼트의 상면에는 상기 돌기가 안착될 수 있는 요홈이 대응 형성되어 안착됨으로써 상기 연결봉의 자체 회전 및 유동을 방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어버트먼트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head is formed with at least one protrusion extending in the downward direction, the upper surface of the abutment is formed correspondingly to the groove on which the protrusion is seated is seated to prevent the self-rotation and flow of the connecting rod Multi Abutment Device.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부에는 외주면을 따라 돌출된 적어도 하나의 텐션 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어버트먼트의 개구부의 내주면에는 상기 텐션 돌기가 안착될 수 있는 안착홈을 형성하여 고정력을 보조함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어버트먼트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shaft portion is formed with at least one tension protrusion protruding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pening of the abutment forms a seating groove in which the tension protrusion can be seated to assist the fixing force Devic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봉의 헤드는 다각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임프레션 코핑의 헤드 삽입 부분은 이와 상응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임프레션 코핑의 자체 회전 및 유동을 방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어버트먼트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head of the connecting rod is formed in a polygon, and the head insertion portion of the impression coping is formed in a corresponding shape to prevent the self-rotation and flow of the impression coping.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임프레션 코핑은 하측으로 적어도 하나의 돌기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임프레션 코핑의 돌기와 상기 연결봉의 돌기가 상기 어버트먼트의 상면에 형성되는 요홈에 동시에 안착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어버트먼트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impression coping has at least one protrusion protruding downward, so that the projection of the impression coping and the protrusion of the connecting rod are simultaneously seated in the groov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abutment.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임프레션 코핑의 하부 외주면은 상기 어버트먼트의 상부 외주면과 일치하도록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어버트먼트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And the lower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mpression coping is coupled to coincide with the upper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abutment.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봉은 합성 수지 재질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어버트먼트 장치.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connecting rod is a multi abutmen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봉은 자성에 반응하는 금속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자성을 띄도록 형성되는 임프레션 코핑과 자력에 의해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어버트먼트 장치.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connecting rod is formed of a metal material reacting to the magnetic multi-abutmen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fixed by the magnetic force and the impression coping is formed to show the magnetic.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봉은 자성에 반응하는 금속 재질의 헤드가 합성 수지 재질의 샤프트부에 인서트 몰딩되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어버트먼트 장치.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connecting rod is a multi-abutmen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head of the metal material in response to the magnetic is formed by insert molding the shaft portion of the synthetic resin material.
제 8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봉의 어버트먼트에 고정되는 고정력이 상기 연결봉에 상기 임프레션 코핑이 고정되는 고정력보다 크도록 설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어버트먼트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8 to 9,
And a fixing force fixed to the abutment of the connecting rod is greater than a fixing force to which the impression coping is fixed to the connecting rod.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봉은 상기 어버트먼트에 결합시, 상기 샤프트부의 저면이 상기 어버트먼트내에 기 체결된 스크류의 상면과 접하거나 근접하는 길이를 갖도록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어버트먼트 장치.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When the connecting rod is coupled to the abutment, the multi-abutmen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bottom surface of the shaft portion is formed to have a length in contact with or close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crew pre-fastened in the abutmen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어버트먼트는 해당 환자만을 위한 어버트먼트(customized abument)를 사용하기 전 자연스러운 잇몸 형성을 유도하거나, 힐링 어버트먼트용으로 사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어버트먼트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abutment is a multi-abutmen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used for healing abutment or induce natural gum formation before using the abutment (customized abument) only for the patient.

KR1020100080927A 2010-08-20 2010-08-20 Multi abutment device KR10117283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0927A KR101172838B1 (en) 2010-08-20 2010-08-20 Multi abutment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0927A KR101172838B1 (en) 2010-08-20 2010-08-20 Multi abutment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7951A KR20120017951A (en) 2012-02-29
KR101172838B1 true KR101172838B1 (en) 2012-08-09

Family

ID=458397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0927A KR101172838B1 (en) 2010-08-20 2010-08-20 Multi abutment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2838B1 (en)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18311A (en) * 2014-04-14 2015-10-22 김형우 Dental implant
KR101571759B1 (en) * 2013-09-25 2015-11-25 김용상 Dental Implant Apparatus
KR102303341B1 (en) 2020-09-14 2021-09-17 최정일 Healing abutment assembly for denture
KR20230079569A (en) 2021-11-29 2023-06-07 장현성 Impression coping for dental implant surgery
KR102556032B1 (en) * 2022-10-21 2023-07-13 채희진 Dental implant structure for preventing the upper structure of dental implants from sinking and preventing the ablation screw from loosening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717570B2 (en) * 2015-05-27 2017-08-01 Felix Chung Scan body for a dental impression
KR101695612B1 (en) 2016-01-21 2017-01-13 김영재 fixture with hexagon fixing home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1759B1 (en) * 2013-09-25 2015-11-25 김용상 Dental Implant Apparatus
KR20150118311A (en) * 2014-04-14 2015-10-22 김형우 Dental implant
WO2015160005A1 (en) * 2014-04-14 2015-10-22 김형우 Dental implant
KR101623635B1 (en) 2014-04-14 2016-06-07 김형우 Dental implant
KR102303341B1 (en) 2020-09-14 2021-09-17 최정일 Healing abutment assembly for denture
KR20230079569A (en) 2021-11-29 2023-06-07 장현성 Impression coping for dental implant surgery
KR102556032B1 (en) * 2022-10-21 2023-07-13 채희진 Dental implant structure for preventing the upper structure of dental implants from sinking and preventing the ablation screw from loosening
WO2024085669A1 (en) * 2022-10-21 2024-04-25 채희진 Dental implant structure for preventing upper structure of dental implant from sinking and preventing abutment screw from loosen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7951A (en) 2012-0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2838B1 (en) Multi abutment device
KR101881421B1 (en) Abutment assembly
ES2356892T3 (en) CUTTING PRESSURE COUPLING PRINTS.
KR101296741B1 (en) Healing abutment
US10588721B2 (en) Attachment system for removable dental prosthesis and dental implant abutment
KR101417980B1 (en) Implant scan body and implant assembly including the same
JP2020062527A (en) Temporary prosthesis system and method for using the same
ES2905117T3 (en) dental implant replica
US20090191508A1 (en) Mini implant
JP2012533377A (en) Additional stabilization devices for intraosseous dental implants
AU2018204181B2 (en) Combination impression coping and scan body
KR102470652B1 (en) Implant impression coping with improved connecting structure
US20180271627A1 (en) Ball-type attachment device for overdentures, and method of producing overdentures to which ball-type attachment is applied
KR102038256B1 (en) Abutment for dental implant
KR101091350B1 (en) Impression coping for dental implant operation and impression method using it
KR20200014558A (en) Abutment assembly
KR101025225B1 (en) Fixture of Dental Implant
KR101486851B1 (en) Dental Implant Abutment
KR101136695B1 (en) Implrant fixture
KR101571759B1 (en) Dental Implant Apparatus
KR101087921B1 (en) Dental implant
KR101524192B1 (en) Cervical Shape Abutment for Dental Implant
JP6432911B2 (en) Single or multi-part implant system having a mounting element with one or more outer annulus
KR102356447B1 (en) Abutment assembly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 same
KR101573466B1 (en) Implant parallel procedure device and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9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