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6212B1 - Method for common shortcut key in user interface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Google Patents

Method for common shortcut key in user interface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6212B1
KR101156212B1 KR1020050084687A KR20050084687A KR101156212B1 KR 101156212 B1 KR101156212 B1 KR 101156212B1 KR 1020050084687 A KR1020050084687 A KR 1020050084687A KR 20050084687 A KR20050084687 A KR 20050084687A KR 101156212 B1 KR101156212 B1 KR 1011562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specific
help
input
shortc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468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70029986A (en
Inventor
최윤흥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846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6212B1/en
Publication of KR200700299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998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62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621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selection means, e.g. keys, having functions defined by the mode or the status of the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56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user help fun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유저 인터페이스에서 공통 단축키 지원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공통 단축키를 이용한 특정기능 실행방법에 있어서, 특정 응용(Application) 실행 중, 제어부에서 상기 단축키 설정상태 출력을 위한 헬프키(Help Key)의 입력을 감지하는 과정과, 상기 헬프키의 입력 시, 상기 특정 응용에 대한 단축키 설정상태를 표시부에 출력하는 과정과, 상기 설정상태 표시 후, 제어부에서 특정 항목의 기능실행을 위한 특정 숫자키의 입력을 감지하는 과정과, 상기 특정 숫자키의 입력시, 상기 특정 숫자키에 해당하는 항목의 특정기능을 실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으로 헬프키와 알트키의 조합만으로 이동통신 단말기내의 전체 응용에 대한 층 구조(Layered Structure)의 단축키 설정이 가능하고 특정 기능항목을 적은 횟수의 키입력으로 실행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다른 모델(Model)을 사용할 경우에도 전체 응용에 대한 상기 단축키 설정과 상기 단축키 사용을 용이하게 할 수 있어 상기 단축키 유저인터페이스에 대한 표준화가 유리한 이점이 있다.

Figure R1020050084687

이동통신 단말기, 유저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단축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supporting a common shortcut key in a user interfac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in a method of executing a specific function using a common shortcut key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uring the execution of a specific application, Detecting input of a help key, outputting a shortcut key setting state for the specific application to the display unit, and displaying the setting state, and then executing a function of a specific item in the control unit. Detecting the input of a specific numeric key, and executing a specific function of an item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numeric key when the specific numeric key is inputted, using only a combination of a help key and an alt key. It is possible to set a shortcut key of the layered structure for the entire application in the terminal and to use a small number of keys for a specific function item. There is an advantage to doing it with input. In addition, even when using a different model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t is possible to easily set the shortcut key for the entire application and use the shortcut key, so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standardization of the shortcut user interface is advantageous.

Figure R1020050084687

Mobile terminal, user interface, shortcut key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의 유저 인터페이스에서 공통 단축키 지원방법{METHOD FOR COMMON SHORTCUT KEY IN USER INTERFACE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Common shortcut key support method in user interface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ETHOD FOR COMMON SHORTCUT KEY IN USER INTERFACE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도시한 도면,1 is a view show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통 단축키 동작흐름을 도시한 흐름도, 및,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mmon shortcut operation flo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통 단축키 사용시 표시부의 화면을 도시한 흐름도.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creen of a display unit when using a common shortcut key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유저 인터페이스(Use Interface)에서 공통 단축키 지원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mon shortcut key supporting method in a user interface (Use Interfac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는 휴대의 편리성 때문에 사용이 급격히 늘고 있는 추세이다.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사용이 급격히 늘면서 서비스 제공자(단말기 제조자)들은 많은 사용자들을 확보하기 위해 보다 편리한 기능을 갖는 단말기를 경쟁적으 로 개발하고 있다. The us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increasing rapidly due to the convenience of portable. With the rapid increase in the use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service providers (terminal manufacturers) are competitively developing terminals having more convenient functions to secure a large number of users.

예를 들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폰북(phone book), 게임(game), 단문메시지(short message), 인터넷(internet), 이메일(e-mail), 모닝콜(morning call), 파일뷰어(file viewer), 파일전송, 3D UI(User Interface), 스케줄러(scheduler)기능 등을 제공하고 있다. E.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cludes a phone book, a game, a short message, an internet, an e-mail, a morning call, a file viewer, a file transfer. , 3D UI (User Interface), scheduler (scheduler) function, etc. are provided.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상기 기능들이 다양해짐에 따라 사용자가 상기 여러기능 중 필요한 기능을 찾아 실행하는 과정이 점점 복잡해 지고 있다.As the functions are diversifi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process of finding and executing a required function among the various functions is becoming more complicated.

물론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단축키 기능이 제공되었지만, 상기 단축키 기능은 특정 전화번호로 전화통화시에 주로 사용되고, 실제 활용은 몇몇 기능에 국한되어 있는 문제점이 있다.Of course, although a shortcut key function has been provided to solve the above problem, the shortcut key function is mainly used in a telephone call to a specific phone number, and there is a problem that practical use is limited to some functions.

또한, 사용자가 최신 이동통신 단말기를 구입하거나 다른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환하였을 때, 기존에 주로 사용하던 기능에 대한 단축키의 기능설징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조사 또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모델별로 서로 상이한 경우가 대부분이다.In addition, when a user purchases the lates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r switches to anothe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function setting of the shortcut key for the function mainly used is different for each manufactur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r the model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ost of this is.

이러한 경우, 사용자는 새로운 유저인터페이스 와 단축키 사용법에 대한 학습을 새로 해야하는 문제점이 있다.In this cas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user has to re-learn new user interfaces and how to use shortcut keys.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유저 인터페이스에서 공통 단축키 지원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mmon shortcut key support method in a user interfac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법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공통 단축키를 이용한 특정기능 실행방법에 있어서, 특정 응용(Application) 실행 중, 제어부에서 상기 단축키 설정상태 출력을 위한 헬프키(Help Key)의 입력을 감지하는 과정과, 상기 헬프키의 입력 시, 상기 특정 응용에 대한 단축키 설정상태를 표시부에 출력하는 과정과, 상기 설정상태 표시 후, 제어부에서 특정 항목의 기능실행을 위한 특정 숫자키의 입력을 감지하는 과정과, 상기 특정 숫자키의 입력시, 상기 특정 숫자키에 해당하는 항목의 특정기능을 실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ccordance with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for executing a specific function using a common shortcut key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provided. Detecting an input; outputting a shortcut key setting state for the specific application to a display unit; and displaying a setting state, inputting a specific numeric key for executing a function of a specific item in the control unit after displaying the setting state; And detecting, and executing a specific function of an item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numeric key when the specific numeric key is input.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방법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공통 단축키를 이용한 특정항목 도움말 출력방법에 있어서, 특정 응용(Application) 실행 중, 제어부에서 상기 단축키 설정상태 출력을 위한 헬프키(Help Key)의 입력을 감지하는 과정과, 상기 헬프키의 입력 시, 상기 특정 응용에 대한 단축키 설정상태를 표시부에 출력하는 과정과, 상기 설정상태 표시 후, 제어부에서 특정 항목의 도움말 출력을 위해 헬프 키와 상기 특정 항목의 숫자키의 동시 입력을 감지하는 과정과, 상기 특정키와 상기 특정 항목의 숫자키의 동시 입력시, 상기 특정 숫자키에 해당하는 항목의 도움말을 표시부에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other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method for outputting a specific item help using a common shortcut key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uring execution of a specific application (Help) help key for outputting the shortcut key setting state from the control unit (Help Key) And detecting the input of the help key, outputting a shortcut key setting state for the specific application to the display unit, and displaying the setting state, and displaying a help key for a specific item in the control unit. Detecting simultaneous input of the numeric key of the specific item, and outputting help of an item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numeric key to the display unit when the specific key and the numeric key of the specific item are simultaneously input; It features.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방법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공통 단축키 기능을 위한 단축키 설정 방법에 있어서, 특정 응용(Application) 실행 중, 제어부에서 상기 단축키 설정상태 출력을 위한 헬프키(Help Key)의 입력을 감지하는 과정과, 상기 헬프키의 입력 시, 상기 특정 응용에 대한 단축키 설정상태를 표시부에 출력하는 과정과, 상기 설정상태 표시 후, 제어부에서 특정 항목의 단축키 설정을 위한 알트키(Alt Key)와 상기 특정 항목의 숫자키의 동시 입력을 감지하는 과정과, 상기 알트키와 특정 항목의 숫자키의 동시 입력시, 상기 특정 숫자키에 해당하는 항목의 특정기능들을 숫자키에 순차적으로 설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other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shortcut key setting method for a common shortcut key func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uring execution of a specific application (Help) help key for outputting the shortcut key setting state from the control unit (Help Key) ) Detecting the input of the help key, outputting a shortcut key setting state for the specific application to the display unit, and displaying the setting state, and then displaying an alt key for setting a shortcut key of the specific item. Alt key) and detecting a simultaneous input of the numeric key of the specific item, and simultaneously inputting specific functions of the item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numeric key to the numeric key when the alt key and the numeric key of the specific item are simultaneously input.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rocess of setting.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의 참조와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술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s of related well-known technologies or configurations will be omitte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유저 인터페이스에서 공통 단축키 지원방법에 대해 설명할 것이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for a common shortcut key support method in a user interfac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이하 설명에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셀롤라 전화기(cellular phone), 개인휴대통신 전화기(PCS : 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복합무선단말기(PDA : Personal Data Assistant),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단말기들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이며, 이하 설명은 상기 예들의 일반적인 구성을 가지고 설명할 것이다.1 shows a configur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cludes both a cellular phone, a 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PCS), a personal data assistant (PDA), and an 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IMT2000) terminal. The following description will be described with the general configuration of the above examples.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제어부(MPU : Micro-Processer Unit)(100)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통화 및 데이터통신을 위한 처리 및 제어를 수행하고, 통상적인 기능에 더하여 본 발명에 따라 공통 단축키 지원 기능에 대한 제어를 담당한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통상적인 제어부(100)의 처리 및 제어에 관한 설명은 생략한다.Referring to FIG. 1, a control unit (MPU: Micro-Processer Unit) 100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example, it performs processing and control for voice calls and data communications, and is in charge of controlling the common hotkey support function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o the usual function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description of the processing and control of the conventional control unit 100 is omitted.

롬(ROM : Read Only Memory)(102)은 상기 제어부(10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의 마이크로코드와 각종 참조 데이터를 저장한다. 특히, 통상적인 기능에 더하여 본 발명에 따라, 공통 단축키 지원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다.The ROM 102 may store microcodes and various reference data of a program for processing and controlling the controller 100. In particular, in addition to the usual functions,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a program for supporting common shortcut keys is stored.

램(RAM : Random Access Memory)(104)은 상기 제어부(100)의 워킹 메모리(working memory)로, 각종 프로그램 수행 중에 발생하는 일시적인 데이터를 저장한다. 플래쉬롬(flash ROM)(106)은 전화번호부(phone book), 발신메시지 및 수신메시지와 같은 갱신 가능한 각종 보관용 데이터를 저장하고 특히, 통상적인 기능에 더하여 본 발명에 따라, 공통 단축키의 설정 데이터를 저장한다.A random access memory (RAM) 104 is a working memory of the controller 100 and stores temporary data generated during execution of various programs. Flash ROM 106 stores various updatable archiving data such as phone books, outgoing messages and incoming messages and, in particular,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o conventional functions, setting data of common shortcut keys. Save it.

키패드(key pad)(108)는 0 ~ 9의 숫자키들과, 메뉴키(menu), 취소키(지움), 확인키, 통화키(TALK), 종료키(END), 인터넷접속키, 네비게이션 키(또는 방향키), 등 다수의 기능키들을 구비하며, 사용자가 누르는 키에 대응하는 키입력 데이터를 상기 제어부(100)로 제공한다.The keypad (key pad) 108 is a numeric key of 0-9, menu key (menu), cancel key (clear), confirmation key, call key (TALK), end key (END), Internet access key, navigation key (Or direction keys), and a plurality of function keys, and provides key input data corresponding to a key pressed by the user to the controller 100.

표시부(110)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 중에 발생되는 상태 정보, 제한된 숫자의 문자들, 다량의 동영상 및 정지영상 등을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표시부(110)는 칼라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LCD : Liquid Crystal Display)를 사용할 수 있다.The display unit 110 displays status information generated during the oper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limited number of characters, a large amount of video and still images, and the like. The display unit 110 may use a color liquid crystal display (LCD).

상기 제어부(100)에 연결된 코덱(CODEC : Coder-Decoder)(112)과, 상기 코덱(112)에 접속된 스피커(116) 및 마이크(114)는 전화 통화 및 음성 녹음에 사용되는 음성 입출력 블록이다. 상기 코덱(112)은 상기 제어부(100)에서 제공되는 PCM 데이터를 아날로그 음성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스피커(116)를 통해 송출하고, 상기 마이크(114)를 통해 수신되는 음성신호를 PCM 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제어부(100)로 제공한다.The codec (Coder-Decoder) 112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100 and the speaker 116 and the microphone 114 connected to the codec 112 are voice input / output blocks used for phone calls and voice recording. . The codec 112 converts the PCM data provided from the controller 100 into an analog voice signal, transmits the same through the speaker 116, and converts the voice signal received through the microphone 114 into PCM data. Provided to the controller 100.

또한, RF부(Radio Frequency unit)(120)는 안테나(118)를 통해 수신되는 라디오주파수 신호를 주파수 하강시켜 기저대역처리부(122)로 제공하고, 상기 기저대역처리부(122)로부터의 기저대역신호를 주파수 상승시켜 상기 안테나(118)를 통해 송신한다. 상기 기저대역처리부(122)는 상기 RF부(120)와 상기 제부(100) 사이에 송수신되는 기저대역 신호를 처리한다. 예를 들어, 송신인 경우 송신할 데이터를 채널코딩(channel coding) 및 확산(spreading)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수신인 경우 수신신호를 역 확산(despreading) 및 채널복호(channel decoding)하는 기능을 수행한다.In addition, the RF unit (Radio Frequency unit) (120) is the frequency of the radio frequency signal received via the antenna 118 is provided to the baseband processing unit 122 by lowering the frequency, the baseband signal from the baseband processing unit 122 The frequency is raised and transmitted through the antenna 118. The baseband processor 122 processes a baseband signal transmitted and received between the RF unit 120 and the base unit 100. For example, in case of transmission, the channel coding and spreading of data to be transmitted are performed, and in case of reception, the function of despreading and channel decoding of the received signal is performed. .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통 단축키 동작 흐름을 도시한 것이다. 2 illustrates a common shortcut operation flo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부(100)는 특정 응용(Applicationn)실행 중 210단계에서 단축키 사용을 위한 헬프키(Help key)의 입력을 감지한다. 본 발명에서는 일 실시 예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카메라 관련 응용을 실행하고 있다고 가정한다.Referring to FIG. 2, the control unit 100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tects an input of a help key for using a shortcut key in step 210 of executing a specific appl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ssumed that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executing an application related to a camera.

여기서, 헬프키는 단축키 사용 프로그램을 실행하기 위한 키이다. 상기 헬프키만을 입력할 경우, 상기 단축키 사용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상기 헬프키와 숫자키를 동시에 입력할 경우, 숫자 키 입력에 따른 기능항목의 도움말을 표시부(110)에 표시한다. Here, the help key is a key for executing a shortcut key using program. When only the help key is input, when the shortcut key is used and the help key and the numeric key are simultaneously input, the display 110 displays a help of a function item according to the numeric key input.

상기 표시부(110)에 출력되는 화면과 기존의 카메라 응용의 화면은 중첩되어 동시에 표시부(100)에 출력될 수 있다. 상기 헬프키는 임의의 키를 사용가능하나 본 발명에서는 일 실시예로 '#"키를 사용할 것이다. The screen output to the display unit 110 and the screen of the existing camera application may be overlapped and output to the display unit 100 at the same time. The help key may use any key, but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 key will be used as an embodiment.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210단계에서 헬프키의 입력을 감지하면 상기 제어부(100)는 225단계로 진행하여 도3의 a)와 같이 카메라 관련 응용의 단축 키 설정상태를 표시부(110)에 출력한다.When the control unit 100 detects the input of the help key in step 210, the control unit 100 proceeds to step 225 and outputs a shortcut key setting state of the camera-related application to the display unit 110 as shown in FIG. do.

이후, 상기 제어부(100)는 230단계에서 상기 카메라 관련 응용의 기능항목 중에서 특정 기능의 선택을 감지한다. 상기 특정 기능의 선택은 키패드(108)의 숫자키를 이용하여 입력한다. In operation 230, the controller 100 detects a selection of a specific function from the function items of the camera-related application. The selection of the specific function is input using the numeric keys of the keypad 108.

즉, 표시부(100)에 키패드(108)의 숫자키 배열과 같은 4x3 매트릭스(matrix)구조의 아이콘(icon)이 있고, 상기 특정 기능을 선택하기 위해서는 상기 표시부(110)의 아이콘과 같은 위치의 상기 키패드(108)의 숫자키를 입력한다.That is, the display unit 100 has an icon of a 4x3 matrix structure like the arrangement of the numeric keys of the keypad 108, and in order to select the specific function, the icon at the same position as the icon of the display unit 110 is selected. Enter the numeric keys of the keypad 108.

상기 제어부(100)가 상기 230단계에서 특정 기능의 선택을 감지하면 260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숫자키 입력에 따른 해당 항목의 기능을 실행한다.If the control unit 100 detects the selection of a specific function in step 230, the control unit 100 proceeds to step 260 to execute a function of a corresponding item according to the numeric key input.

예를 들어, 도3의 a)에서 숫자키 "2"를 입력한 경우, 노출관련 기능을 실행한다.For example, when the numeric key "2" is input in a) of FIG. 3, the exposure related function is executed.

상기 숫자키 입력에 따른 해당 기능은 토글(Toggle)형식으로 실행된다. 상기 노출항목의 경우에 자동, 야간, 백라이트(Back Light), 주간의 4가지 기능이 있다면 상기 숫자키 "2"의 입력시마다 상기 자동, 야간, 백라이트, 주간 기능 중 하나가 순차적으로 실행된다.The correspond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numeric key input is executed in a toggle form. In the case of the exposure item, if there are four functions of automatic, night, back light, and daytime, one of the automatic, night, backlight, and daytime functions is sequentially executed every time the numeric key “2” is input.

상기 제어부(100)가 상기 230단계에서 특정 기능의 선택을 감지하지 못할 경우, 240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헬프키와 숫자키의 동시입력을 감지한다. If the control unit 100 does not detect the selection of a specific function in step 230, the control unit 100 detects simultaneous input of the help key and the numeric key in step 240.

상기 헬프키와 숫자키의 동시입력을 감지하면, 상기 제어부(100)는 245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숫자키 입력과 일치한, 기 설정된 해당 기능항목의 도움말을 표시부(100)에 출력한다. When detecting the simultaneous input of the help key and the numeric key, the controller 100 proceeds to step 245 and outputs the help of the preset corresponding function item to the display unit 100 corresponding to the numeric key input.

상기 도움말 출력은 상기 헬프 키 입력 후, 도3의 a)와 같이 단축 키 사용프로그램이 실행된 경우에만 상기 헬프키와 숫자키를 동시에 입력하여 실행가능한 것이 아니고 특정 프로그램(예를 들어 카메라 관련 프로그램)이 실행 중일 경우에도, 상기 헬프키와 숫자키를 동시에 입력하여 상기 도움말을 표시부(110)에 출력할 수 있다.The help output is not executable by simultaneously inputting the help key and numeric keys only when the shortcut key using program is executed as shown in a) of FIG. 3 after inputting the help key, and a specific program (for example, a camera related program). Even during this execution, the help key and the numeric keys may be simultaneously input to output the help to the display unit 110.

상기 제어부(100)가 상기 240단계에서 상기 헬프키와 숫자키의 동시입력을 감지하지 못하면 250단계로 진행하여 알트키(Alt Key)와 숫자키의 동시입력을 감지한다.If the control unit 100 does not detect the simultaneous input of the help key and the numeric key in step 240, the control unit 100 detects the simultaneous input of the Alt key and the numeric key in step 250.

여기서, 알트키는 해당 항목의 기능을 설정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알트키는 임의의 키를 사용가능하나 본 발명에서는 일 실시예로 '*"키를 사용할 것이다. Here, the Alt key is for setting the function of the corresponding item. The alt key can use any key, but in the present invention will use the '*' key.

상기 제어부(100)가 상기 250단계에서 상기 알트키와 숫자키의 동시입력을 감지하면(예를 들어 알트키와 "2"를 동시에 입력할 경우), 255단계로 진행하여 도 3의 b)와 같이 자동, 야간, 백라이트(Back Light), 주간의 4가지 기능을 "1", "2", "3", "4"에 차례대로 설정한 후, 표시부(110)에 출력하고 본 발명에 따른 알고리듬을 종료한다.If the control unit 100 detects simultaneous input of the alt key and the numeric key in step 250 (for example, when the alt key and “2” are simultaneously input), the control unit 100 proceeds to step 255 and b) of FIG. 3. As described above, four functions of automatic, night, back light, and daytime are set to "1", "2", "3", and "4", and then output to the display unit 1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erminate the algorithm.

상기 해당 항목의 기능 설정은 상기 헬프 키 입력 후, 도3의 a)와 같이 단축 키 사용프로그램이 실행된 경우에만 상기 알트키와 숫자키를 동시에 입력하여 설정가능한 것이 아니고 특정 프로그램(예를 들어 카메라 관련 프로그램)이 실행 중인 경우에도, 상기 알트키와 숫자키를 동시에 입력하여 설정가능하다.The function setting of the corresponding item is not settable by simultaneously inputting the alt key and numeric keys only when the shortcut key using program is executed as shown in a) of FIG. 3 after inputting the help key. Even when the associated program) is being executed, it is possible to set the alt key and the numeric keys simultaneously.

또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유저 인터페이스(Use Interface)에서 공통 단축키 지원기능을 사용자에 의해 온(On)/오프(Off) 할 수 있으므로 상기 사용자는 취향에 따라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유저인터페이스와 본 발명의 공통 단축키를 지원하는 유저인터페이스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a common shortcut key support function can be turned on / off by a user in a user interfac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user can generally use the user interface and the present invention. You can select and use a user interface that supports common shortcuts.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Meanwhile,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but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termined not only by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but also by the equivalents of the claims.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헬프키와 알트키의 조합만으로 이동통신 단말기 내의 전체 응용에 대한 층 구조(Layered Structure)의 단축키 설정이 가능하고 특정 기능항목을 적은 횟수의 키입력으로 실행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the setting of a shortcut key of the layered structure for the entire application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nly by using a combination of the help key and the alt key, and executes a specific function item with a small number of key inputs. There is this.

또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다른 모델(Model)을 사용할 경우에도 전체 응용에 대한 상기 단축키 설정과 상기 단축키 사용을 용이하게 할 수 있어 상기 단축키 유저인터페이스에 대한 표준화가 유리한 이점이 있다.In addition, even when using a different model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t is possible to easily set the shortcut key for the entire application and use the shortcut key, so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standardization of the shortcut user interface is advantageous.

Claims (8)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공통 단축키를 이용한 특정기능 실행방법에 있어서,In a method for executing a specific function using a common shortcut key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특정 응용(Application) 실행 중, 제어부에서 단축키 설정상태 출력을 위한 헬프키(Help Key)의 입력을 감지하는 과정과,Detecting the input of a help key for outputting a shortcut key setting state in a control unit while executing a specific application; 상기 헬프키의 입력 시, 상기 특정 응용에 대한 단축키 설정상태를 표시부에 출력하는 과정과,Outputting a shortcut key setting state for the specific application to the display unit when the help key is input; 상기 설정상태 표시 후, 제어부에서 특정 항목의 기능실행을 위한 특정 숫자키의 입력을 감지하는 과정과,Detecting the input of a specific numeric key for executing a function of a specific item after displaying the setting state; 상기 특정 숫자키의 입력시, 상기 특정 숫자키에 해당하는 항목의 특정기능을 실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When the specific numeric key is input, executing a specific function of an item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numeric key.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특정 숫자키를 순차적으로 반복 입력할 경우, 상기 특정 숫자키에 해당하는 항목의 특정기능들을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And repeatedly inputting the specific number keys sequentially, sequentially executing specific functions of items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number keys.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헬프키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임의의 키를 상기 헬프키로 설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The help key may set any key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s the help key.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공통 단축키를 이용한 특정기능 실행기능은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온(On)/오프(Off)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Method for executing a specific function using a common shortcut key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n be turned on (On) / off (Off) by the user's selection.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공통 단축키를 이용한 특정항목 도움말 출력방법에 있어서,In the method for outputting a specific item help using a common shortcut key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특정 응용(Application) 실행 중, 제어부에서 단축키 설정상태 출력을 위한 헬프키(Help Key)의 입력을 감지하는 과정과,Detecting the input of a help key for outputting a shortcut key setting state in a control unit while executing a specific application; 상기 헬프키의 입력 시, 상기 특정 응용에 대한 단축키 설정상태를 표시부에 출력하는 과정과,Outputting a shortcut key setting state for the specific application to the display unit when the help key is input; 상기 설정상태 표시 후, 제어부에서 특정 항목의 도움말 출력을 위해 헬프 키와 상기 특정 항목의 숫자키의 동시 입력을 감지하는 과정과,After displaying the setting state, detecting a simultaneous input of a help key and a numeric key of the specific item by the controller to output a help of the specific item; 특정키와 상기 특정 항목의 숫자키의 동시 입력시, 상기 특정 숫자키에 해당하는 항목의 도움말을 표시부에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And simultaneously displaying a help of an item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numeric key on a display unit when a specific key and the numeric key of the specific item are simultaneously input. 제 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특정 응용(Application) 실행 중, 상기 제어부에서 헬프키와 상기 특정 항목의 숫자키의 동시 입력을 감지하는 경우에도 상기 특정 항목의 숫자키에 해당하는 항목의 도움말을 표시부에 출력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outputting a help of an item corresponding to the numeric key of the specific item to the display unit, even when the control unit detects simultaneous input of the help key and the numeric key of the specific item during execution of a specific applica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method.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공통 단축키 기능을 위한 단축키 설정 방법에 있어서,In the shortcut key setting method for a common shortcut func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특정 응용(Application) 실행 중, 제어부에서 단축키 설정상태 출력을 위한 헬프키(Help Key)의 입력을 감지하는 과정과,Detecting the input of a help key for outputting a shortcut key setting state in a control unit while executing a specific application; 상기 헬프키의 입력 시, 상기 특정 응용에 대한 단축키 설정상태를 표시부에 출력하는 과정과,Outputting a shortcut key setting state for the specific application to the display unit when the help key is input; 상기 설정상태 표시 후, 제어부에서 특정 항목의 단축키 설정을 위한 알트키(Alt Key)와 상기 특정 항목의 숫자키의 동시 입력을 감지하는 과정과,Detecting the simultaneous input of an Alt key for setting a shortcut key of a specific item and a numeric key of the specific item after displaying the setting state; 상기 알트키와 특정 항목의 숫자키의 동시 입력시, 상기 특정 항목의 숫자키에 해당하는 특정기능들을 숫자키에 순차적으로 설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And simultaneously setting a specific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numeric key of the specific item to the numeric key when the alt key and the numeric key of the specific item are simultaneously input. 제 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특정 응용(Application) 실행 중,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알트키와 특정 항목의 숫자키의 동시 입력을 감지하는 경우에도 상기 특정 항목의 숫자키에 해당하는 특정기능들을 숫자키에 순차적으로 설정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During the execution of a specific application, even if the control unit detects simultaneous input of the alt key and a numeric key of a specific item, a process of sequentially setting specific functions corresponding to the numeric key of the specific item to a numeric key is further performed. Method comprising a.
KR1020050084687A 2005-09-12 2005-09-12 Method for common shortcut key in user interface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115621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4687A KR101156212B1 (en) 2005-09-12 2005-09-12 Method for common shortcut key in user interface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4687A KR101156212B1 (en) 2005-09-12 2005-09-12 Method for common shortcut key in user interface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9986A KR20070029986A (en) 2007-03-15
KR101156212B1 true KR101156212B1 (en) 2012-06-18

Family

ID=381019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4687A KR101156212B1 (en) 2005-09-12 2005-09-12 Method for common shortcut key in user interface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6212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7054B1 (en) * 2010-12-27 2013-07-22 전덕규 Mobile Terminal having macro function and Method for triggering macro using the sam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33174A (en) 2000-05-22 2001-11-30 Hitachi Ltd Mobile terminal
JP2003198705A (en) 2001-12-28 2003-07-11 Kenwood Corp Mobile phon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33174A (en) 2000-05-22 2001-11-30 Hitachi Ltd Mobile terminal
JP2003198705A (en) 2001-12-28 2003-07-11 Kenwood Corp Mobile pho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9986A (en) 2007-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26368B2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700171B1 (en) Sub display expression devic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fore
US20040013246A1 (en) System and method for modifying display formation of mobile phone
EP1785826A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web page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849332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ailling call using a image
KR20100108691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of function in portable terminal
JP2007188265A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nd control program
KR100725776B1 (en) Method for menu configuration and launch using graphic object recognition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2625550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user interface for managing calls received at a mobile device
KR100334796B1 (en) Keypad device in a mobile tele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touch-screen
KR100731810B1 (en) Method of setting speed dial in user interface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P1760576A2 (en) Method and apparatus of displaying information bar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JP6364035B2 (en) Mobile phone, display control method, and program
KR101156212B1 (en) Method for common shortcut key in user interface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799930B1 (en) Method for saving shortening number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679483B1 (en) Method for changing setting of using timer in portable terminal
KR100648473B1 (en) Method for input character portable terminal
KR101196742B1 (en) Method for hierarchical user interface using multi demensional graphic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070050197A (en) Method for drawing up multimedia message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JP2001313699A (en)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displaying its regulated picture
KR100675124B1 (en) Method for efficient displaying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060034118A (en) Method for providing multi window screen in portable terminal and terminal used for the same
KR100389831B1 (en) Method for executing start application in mobile station
KR100732992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display control function using Java VM and controlling method therefore
KR101013819B1 (en) Method for managing received messages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3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