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7054B1 - Mobile Terminal having macro function and Method for triggering macro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Mobile Terminal having macro function and Method for triggering macro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7054B1
KR101287054B1 KR1020110125487A KR20110125487A KR101287054B1 KR 101287054 B1 KR101287054 B1 KR 101287054B1 KR 1020110125487 A KR1020110125487 A KR 1020110125487A KR 20110125487 A KR20110125487 A KR 20110125487A KR 101287054 B1 KR101287054 B1 KR 1012870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cro
function
help
icon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548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20074205A (en
Inventor
전덕규
Original Assignee
전덕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덕규 filed Critical 전덕규
Publication of KR201200742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420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70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705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55Emulation; Interpretation; Software simulation, e.g. virtualisation or emulation of application or operating system execution engines
    • G06F9/45504Abstract machines for programme code execution, e.g. Java virtual machine [JVM], interpreters, emulators
    • G06F9/45508Runtime interpretation or emulation, e g. emulator loops, bytecode interpretation
    • G06F9/45512Command shel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51Execution arrangements for user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56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user help fun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간단한 조작으로 매우 빠르고 편리하게 매크로를 실행시킬 수 있는 휴대단말기 및 매크로 실행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표시 및 입력이 가능한 터치스크린, 적어도 하나의 매크로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전체적인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 휴대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터치스크린에는 고유기능 및 매크로기능을 가지는 이중기능요소인 표시요소가 표시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스크린에 표시되어 매크로를 실행시키는데 도움을 주는 요소인 도움요소의 특정 조작여부에 따라 상기 매크로기능을 택일적으로 수행하며, 상기 도움요소 및 상기 표시요소에 의하여 입력받은 특정신호에 대응하는 매크로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크로 기능을 구비한 휴대단말기를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복잡한 단계를 따르지 않고 홈스크린에 표시된 화면을 이용하여 곧바로 매크로를 실행시키므로 매우 빠르고 편리하게 매크로를 실행시킬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terminal and a macro execution method capable of executing a macro very quickly and conveniently with a simple operation.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ouch screen capable of displaying and inputting, a storage unit for storing at least one macro, and a mobile terminal having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verall operation. A display element, which is a dual function element having a function, is displayed, and the control unit selectively performs the macro function according to a specific operation of the help element, which is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and helps to execute the macro. A mobile terminal having a macro function is provided which executes a macro corresponding to a specific signal inputted by a help element and the display element.
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macro is executed immediately using the screen displayed on the home screen without following complicated steps, the macro can be executed very quickly and conveniently.

Description

매크로 기능을 구비한 휴대단말기 및 그것을 이용한 매크로 실행방법{Mobile Terminal having macro function and Method for triggering macro using the same}Mobile terminal having macro function and method for triggering macro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매크로를 구비한 휴대단말기 및 그것을 이용한 매크로 실행방법에 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간단한 조작으로 매우 빠르고 편리하게 매크로를 실행시킬 수 있는 휴대단말기 및 매크로 실행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terminal having a macro and a macro execution method us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mobile terminal and a macro execution method capable of executing a macro very quickly and conveniently by a simple operation.

최근 기술 개발로 인하여 스마트폰, 태블릿 PC, 네비게이션, MP3 플레이어 등 다양한 휴대용 단말기가 개발되어 있으며, 그 중 다수는 터치스크린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이들 단말기를 위한 각종 애플리케이션이 수 없이 개발되어 있으며, 하루에도 수백 개가 개발되고 있다. 종래기술에 의하면, 홈스크린에 다수의 애플리케이션 아이콘을 표시하고 이를 탭하여 원하는 응용프로그램을 실행시킨다. 그런데, 휴대용 단말기의 경우, 터치스크린의 공간이 협소하여 하나의 홈스크린에 표시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 아이콘은 예를 들어 20개 정도로, 그 수가 제한되어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여러 홈스크린을 이동하면서 원하는 아이콘을 찾은 후 이를 탭하여야 하는 수고를 하여야 한다.Recently, due to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various portable terminals such as smartphones, tablet PCs, navigation systems, and MP3 players have been developed, and many of them have touch screens. In addition, numerous applications for these terminals have been developed, and hundreds of them are being developed every day.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a plurality of application icons are displayed on a home screen and tap to execute a desired application. However, in the case of a portable terminal, the number of application icons that can be displayed on one home screen due to the small space of the touch screen is about 20, for example. Therefore, the user must find the desired icon while moving a number of home screens and have to labor to tap it.

또한, 원하는 아이콘을 겨우 찾아서 해당 애플리케이션을 활성화하였다고 하더라도, 그 중에서 원하는 특정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많은 명령 입력단계를 추가로 거쳐야 하며, 데스크톱 컴퓨터나 노트북에 비해 상대적으로 화면의 면적이 협소한 휴대단말기에 있어서, 이러한 여러 단계의 명령 입력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많은 집중과 시간을 요한다.In addition, even if you find the desired icon to activate the application, you need to go through many additional command input steps in order to perform the specific function you want, and the mobile terminal has a smaller screen area than the desktop computer or laptop. In order to perform these various stages of command input, much attention and time are required.

휴대단말기의 매크로 실행에 관한 기술은 한국공개특허공보 10-2010-0037973에 개시되어 있다.A technique for executing a macro of a mobile terminal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0-0037973.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에 있어서 편리하면서도 효율적으로 매크로를 실행시킬 수 있는 수단 및 그 단말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erminal capable of executing a macro conveniently and efficiently in a portable terminal and a terminal thereof.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표시 및 입력이 가능한 터치스크린, 적어도 하나의 매크로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전체적인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 휴대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터치스크린에는 고유기능 및 매크로기능을 가지는 이중기능요소인 표시요소가 표시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스크린에 표시되어 매크로를 실행시키는데 도움을 주는 요소인 도움요소의 특정 조작여부에 따라 상기 매크로기능을 택일적으로 수행하며, 상기 도움요소 및 상기 표시요소에 의하여 입력받은 특정신호에 대응하는 매크로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크로 기능을 구비한 휴대단말기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ouch screen capable of displaying and inputting, a storage unit for storing at least one macro, and a mobile terminal having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verall operation. A display element, which is a dual function element having a function, is displayed, and the control unit selectively performs the macro function according to a specific operation of the help element, which is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and helps to execute the macro. A mobile terminal having a macro function is provided which executes a macro corresponding to a specific signal inputted by a help element and the display element.

또한, 본 발명은 표시 및 입력이 가능한 터치스크린, 적어도 하나의 매크로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전체적인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 휴대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터치스크린에는 고유기능 및 매크로기능을 가지는 이중기능요소인 문자입력요소가 표시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스크린에 표시되어 매크로를 실행시키는데 도움을 주는 요소인 도움요소의 특정 조작여부에 따라 상기 문자입력요소의 기능을 택일적으로 수행하며, 상기 도움요소 및 상기 문자입력요소에 의하여 입력받은 단축순열과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매크로에 해당하는 매크로할당단축순열을 비교하여 일치하면, 상기 매크로할당단축순열에 대응하는 매크로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크로 기능을 구비한 휴대단말기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touch screen that can be displayed and input, a storage unit for storing at least one macro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verall operation, the touch screen has a dual function having a unique function and a macro function A text input element which is an element is displayed, and the control unit selectively performs a function of the text input element according to a specific operation of a help element which is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to help execute a macro. And a macro corresponding to the macro-allocation shortened sequence if the short-term sequence inputted by the element and the character input element is compared with the macro-allocation shortened sequence corresponding to the macro stored in the storage unit. It provides a mobile terminal having a.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도움요소가 특정 조작되면, 상기 문자입력요소를 단축순열을 입력할 수 있는 모드로 변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도움요소가 터치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문자입력요소를 문자 또는 숫자로 표시되도록 변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ontroller may be configured to convert the text input element into a mode in which a short sequence may be input when the help element is specified. In particular, when the help element is touched, the control unit preferably converts the text input element to be displayed in letters or numbers.

상기 도움요소의 특정 조작은, 탭 또는 제스쳐 조작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문자입력요소의 모드는, 숫자키 입력모드, 또는 제스쳐 입력모드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specific manipulation of the help element may include any one of a tap or a gesture manipulation. In addition, the mode of the text input element may include any one of a numeric key input mode and a gesture input mode.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도움요소가 조작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문자입력요소에 대응하는 위치에 특정 문자 또는 숫자를 표시하도록 설정되며, 상기 문자입력요소에 의해 입력을 받은 단축순열과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매크로에 해당하는 매크로할당단축순열을 비교하여 일치하면, 상기 매크로할당단축순열에 대응하는 매크로를 실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ontrol unit is set to display a specific letter or number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haracter input element when the help element is manipulated, and the controller stores the shortened sequence received by the character input element and the macro stored in the storage unit. If the corresponding macro allocation short permutations are compared and matched, it is preferable to execute a macro corresponding to the macro allocation short permutation.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도움요소가 터치되면 상기 문자입력요소가 동시에 터치되는지 판별하며, 상기 문자입력요소가 동시에 터치된 경우, 상기 문자입력요소의 터치조작에 해당하는 단축순열이 입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문자입력요소의 터치조작은 제스쳐 조작일 수 있다. 또는, 상기 문자입력요소는 숫자키패드로 활용가능하도록 설정된 것일 수 있다.The controller determines whether the text input elements are simultaneously touched when the help element is touched, and when the text input elements are touched at the same time, a shortening sequence corresponding to the touch manipulation of the text input elements is input. Here, the touch manipulation of the character input element may be a gesture manipulation. Alternatively, the character input element may be set to be utilized as a numeric keypad.

상기 도움요소를 탭한 후 릴리스되기까지 상기 문자입력요소를 사용하여 연속적으로 단축순열을 입력할 수 있도록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도움요소는 이중기능요소일 수 있다.Preferably, the tapping of the help element is set such that the shortening sequence can be continuously input using the character input element until the release. Here, the help element may be a dual function element.

상기 도움요소를 단독으로 탭하면 도움요소에 할당된 고유기능이 수행되고, 상기 도움요소를 탭하고 누르고 있는 동안에 문자입력요소가 조작되면 매크로를 실행시키기 위한 단축순열이 입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apping the help element alone performs a unique function assigned to the help element, and if a text input element is manipulated while tapping and pressing the help element, a short sequence for executing a macro is preferably input.

상기 도움요소를 탭한 후, 문자입력요소가 터치되지 않고 도움요소가 릴리스된 경우, 제어부에서는 상기 도움요소가 터치된 터치시간을 측정하여 일정 시간이내이면 상기 도움요소의 고유기능을 실행하고 일정시간 이상이면 상기 도움요소가 터치되기 전의 상태로 되돌리는 것이 바람직하다.After tapping the help element, if the text input element is not touched and the help element is released, the control unit measures the touch time when the help element is touched, and executes the unique function of the help element within a predetermined time, if the predetermined time is reached.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o return to the state before the help element is touched.

상기 도움요소는 복수 개이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도움요소와 문자입력요소의 조합에 의한 단축순열을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매크로에 해당하는 매크로할당단축순열과 비교하여 일치하면, 상기 매크로할당단축순열에 대응하는 매크로를 실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re are a plurality of help elements, and the controller corresponds to the macro assignment short axis sequence when the short sequence of the combination of the help element and the text input element is compared with the macro allocation short sequence corresponding to the macro stored in the storage unit. It is preferable to run a macro.

상기 도움요소 또는 문자입력요소의 조작은 제스쳐조작을 포함하며, 상기 제스쳐조작에 문자 또는 숫자가 할당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스쳐조작은 특정방향으로의 슬라이딩 또는 플릭조작일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문자입력요소를 도움요소로 활용할 수 있도록 설정한 것이 바람직하다.The operation of the help element or the text input element includes a gesture operation, and letters or numbers may be assigned to the gesture operation. Here, the gesture manipulation may be a sliding or flick manipulation in a specific direction. Furtherm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character input element is set to be utilized as a help element.

상기 문자입력요소 중 두 개의 요소를 선택하고, 어느 하나의 요소를 누르고 있는 상태에서 다른 하나의 요소를 터치하면, 상기 두 개의 요소에 할당된 숫자의 조합에 의한 두 자리 수가 입력되도록 설정된 것이 바람직하다.When two elements of the letter input element are selected and one element is touched while the other element is pressed, it is preferable that the two-digit number is set to be input by a combination of numbers assigned to the two elements. .

본 발명에 의하면, 휴대용 단말기에서 매크로를 실행시키는 방법으로서, 상기 단말기는, 적어도 하나의 매크로를 저장할 수 있는 저장부와, 홈스크린을 표시할 수 있고,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 터치스크린과, 단말기의 작업을 총괄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방법은, 문자로 구성되는 특정 단축순열을 각각의 매크로에 할당하여 저장부에 저장하고, 상기 홈스크린의 표시요소 중 적어도 하나를 도움요소로 지정하고, 상기 홈스크린의 표시요소 중에서, 독립기능 표시요소의 일부를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문자입력요소로 지정하며, 상기 도움요소와 상기 문자입력요소의 조합에 의한 조작으로 상기 단축순열을 입력할 수 있도록 설정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도움요소의 특정 조작여부에 따라 상기 문자입력요소의 기능을 택일적으로 수행하며, 상기 문자입력요소는 이중기능요소이며, 사용자가 상기 도움요소와 상기 문자입력요소를 조작하여 특정 단축순열을 입력하면, 단말기의 제어부에서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매크로 중에서 상기 단축순열이 할당되어 있는 매크로를 추출하고, 이를 실행하도록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단말기에서 매크로를 실행시키는 방법을 제공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executing a macro in a portable terminal, the terminal comprising: a storage unit capable of storing at least one macro, a touch screen capable of displaying a home screen, and inputting a user command; And a control unit which oversees operations of the terminal, wherein the method allocates a specific shortened sequence consisting of characters to each macro and stores it in the storage unit, and designates at least one of the display elements of the home screen as a help element. And among the display elements of the home screen, a part of the independent function display element is designated as a text input element for inputting a character, and the short sequence can be input by an operation by combining the help element and the text input element. The control unit may alternatively perform a function of the text input element according to a specific operation of the help element. The character input element is a dual function element, and when a user inputs a specific shortcut sequence by operating the help element and the character input element, the control unit of the terminal allocates the shortcut sequence from the macros stored in the storage unit.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executing a macro in a portab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extracted macro and set to execute it.

본 발명에 따르면, 복잡한 단계를 따르지 않고 홈스크린에 표시된 화면을 이용하여 곧바로 매크로를 실행시키므로 매우 빠르고 편리하게 매크로를 실행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macro is executed immediately using the screen displayed on the home screen without following complicated steps, the macro can be executed very quickly and conveniently.

사용자에 따라 익숙하고 편한 방법으로 매크로를 실행시킬 수 있으므로 효율적인 휴대단말기의 사용을 기대할 수 있다.As the user can execute the macro in a familiar and comfortable way, the user can expect to use an efficient mobile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구성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는 구성도;
도 3은 도 2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처리절차를 나타내는 순서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6은 도 4 및 도 5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처리절차를 나타내는 순서도;
도 7,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10은 도 9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처리절차를 나타내는 순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12는 도 11에서 슬라이딩 방향에 따른 작동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 13은 도 11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처리절차를 나타내는 순서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성도;
1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low chart showing a processing procedure of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FIG.
4 and 5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ing procedure of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FIGS. 4 and 5;
7, 8 and 9 are schematic diagrams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flow chart showing a processing procedure of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FIG.
1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n operation along a sliding direction in FIG. 11;
13 is a flow chart showing a processing procedure of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FIG.
14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단말기에 있어서, 터치스크린 상에 표시되는 하나의 홈스크린에서 직접 수많은 매크로를 실행시킬 수 있는 기술을 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홈스크린에 매크로 실행을 위한 추가적인 표시요소(입력요소)를 설치하지 않고, 종래의 단말기상에 기존에 설치되어 있는 아이콘, 폴더와 같은 종래의 표시요소를 그대로 활용하여 수많은 매크로를 실행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휴대단말기에서 매크로를 실행시키는 방법으로서,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touch screen, a technique for executing a number of macros directly on one home screen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is disclosed.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nventional display element such as an icon or a folder that is previously installed on a conventional terminal is installed without installing an additional display element (input element) for executing a macro on the home screen. You can run many macros as they are. To this end, 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 method for executing a macro in a mobile terminal,

상기 단말기는, 적어도 하나의 매크로를 저장할 수 있는 저장부와, 홈스크린을 표시할 수 있고,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 터치스크린과, 단말기의 작업을 총괄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방법은, 문자로 구성되는 특정 단축순열을 각각의 매크로에 할당하여 저장부에 저장하고, 상기 홈스크린의 표시요소 중 적어도 하나를 도움요소로 지정하고, 상기 홈스크린의 표시요소 중에서, 독립기능 표시요소의 일부를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문자입력요소로 지정하며, 상기 도움요소와 상기 문자입력요소의 조합에 의한 조작으로 상기 단축순열을 입력할 수 있도록 설정하되, 상기 문자입력요소는 이중기능요소이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도움요소의 특정 조작여부에 따라 상기 문자입력요소의 기능을 택일적으로 수행하며, 사용자가 상기 도움요소와 상기 문자입력요소를 조작하여 특정 단축순열을 입력하면, 단말기의 제어부에서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매크로 중에서 상기 단축순열이 할당되어 있는 매크로를 추출하고, 이를 실행하도록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단말기에서 매크로를 실행시키는 방법을 제공한다.The terminal includes a storage unit capable of storing at least one macro, a touch screen capable of displaying a home screen, an input of a user's command, 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control operations of the terminal. And assigning a specific shortened sequence consisting of letters to each macro and storing it in a storage unit, designating at least one of the display elements of the home screen as a help element, and among the display elements of the home screen, Designate a part as a character input element for inputting a character, and set to input the shortened sequence by the operation of the combination of the help element and the character input element, wherein the character input element is a dual function element, The control unit may alternatively perform the function of the text input element according to the specific operation of the help element. When a specific short sequence is input by operating a text input element, the controller of the terminal extracts a macro to which the short sequence is assigned from the macros stored in the storage unit, and sets it to be executed. Provides a way to run macros.

즉, 홈스크린에 표시되는 표시요소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본 발명의 매크로를 실행하는데 도움을 주는 도움요소로 지정하며, 또한, 상기 표시요소 중 독립기능 표시요소의 일부를 본 발명의 매크로 실행을 위한 단축순열을 입력하기 위하여, 문자를 입력하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문자입력요소"로 지정하고, 상기 도움요소와 특정 표시요소와의 조합에 의한 조작으로, 하나의 홈스크린에서 직접 수많은 매크로를 실행시키도록 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서 활용하는 도움요소 및 문자입력요소는 이중기능(dual function)요소이다. 이는 종래의 단말기에 있어서 아이콘, 폴더로서의 기능과 같이 종래에 활용하던 독립기능요소로서의 기능(고유기능)은 그대로 유지하면서 본 발명의 매크로 실행을 위한 기능을 겸하여 구비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고유기능이라는 것은 애플리케이션 아이콘의 경우 해당 애플리케이션을 활성화하며, 폴더의 경우 해당 폴더의 내용을 디스플레이하는 등, 종래의 단말기에서 상용화되어 있는 아이콘 또는 폴더와 같은 표시요소로서의 원래 할당된 기능을 말한다.That is, among the display elements displayed on the home screen, at least one is designated as a help element for helping to execute the macro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part of the independent function display elements among the display elements is used for executing the macro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input a short sequence, a character is designated as a "character input element" for performing a function of inputting a character, and a number of macros are directly displayed on one home screen by manipulation of the help element and a specific display element. Run it. Preferably, the help element and the text input element utiliz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dual function elements. This means that the conventional terminal has a function for executing the macro of the present invention while maintaining the function as an independent function element (unique function) conventionally utilized, such as an icon and a folder function. That is, the unique function refers to a function originally assigned as a display element such as an icon or a folder commercially available in a conventional terminal, such as an application icon, activating a corresponding application, and displaying a folder contents.

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 아이콘의 경우, 이를 단독으로 조작 즉, 탭하면 미리 할당된 특정 애플리케이션을 활성화하는 기능을 수행하지만, 본 발명에서 규정된 특정 방법으로 조작시에는 본 발명의 매크로를 위한 기능을 수행한다. 도움요소의 기능은, 사용자가 표시요소를 조작시, 고유기능이 아닌, 본 발명의 매크로 실행을 위한 기능을 할 수 있도록 입력모드를 변경하는 등, 매크로 실행에 도움을 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물론, 도움요소 자신도 매크로 실행을 위한 기능, 예컨대 특정 문자를 입력하는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For example, in the case of an application icon, a single operation, that is, tapping, activates a specific application allocated in advance, but when operating in a specific method def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a function for a macro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erformed. do. The function of the help element performs a function to help the macro execution, such as changing the input mode so that when the user manipulates the display element, the function for executing the macro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a unique function. Of course, the help element itself may perform a function for executing a macro, for example, inputting a specific character.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매크로를 구비한 휴대단말기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macro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주요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휴대단말기는 저장부(100), 제어부(102) 및 터치스크린(104)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터치스크린(104)은 입력부(108)와 표시부(106)를 포함한다. 입력부(108)와 표시부(106)는 기능적인 구분일 뿐, 하드웨어적으로는 구분이 어려울 수 있다. 이 밖에, 휴대단말기(10)는 이동통신모듈, 인터넷통신모듈, 근거리통신모듈, 오디오처리부, 디지털방송수신모듈, 카메라모듈 등의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더 구비할 수 있으나, 이들은 본 발명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으므로 설명 및 도시를 생략한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main configuration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storage unit 100, a controller 102, and a touch screen 104, and the touch screen 104 includes an input unit 108 and a display unit 106. ). The input unit 108 and the display unit 106 are merely functional divisions, and may be difficult to distinguish in hardware. In addition, the mobile terminal 10 may further include various components such as a mobile communication module, an internet communication module, a short range communication module, an audio processor, a digital broadcast receiving module, a camera module, and the like, which are directly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No description and illustration are omitted.

표시부(106)는 다양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휴대단말기의 상태 및 동작과 관련된 정보를 시각적으로 화면에 표시한다. 표시부(106)는 다수의 홈스크린을 표시할 수 있으며, 홈스크린에는 아이콘, 폴더, 위젯과 같은 다양한 표시요소를 표시할 수 있다. 휴대단말기의 오퍼레이팅 시스템이 가동하면, 표시부(106)에는 기본적으로 표시되도록 지정된 홈스크린("기본 홈스크린")이 표시된다.The display unit 106 visually displays various graphical user interfaces and information related to the state and oper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on the screen. The display unit 106 may display a plurality of home screens, and various display elements such as icons, folders, and widgets may be displayed on the home screen. When the operating system of the portable terminal is operated, the display unit 106 displays a home screen ("basic home screen") designated to be basically displayed.

입력부(108)는 다양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홈스크린에 표시되는 아이콘, 폴더, 위젯과 같은 표시요소를 통해서 사용자가 원하는 명령을 입력할 수 있으며, 입력부를 조작하여 발생된 신호는 제어부로 전송된다. The input unit 108 performs a function of inputting a user's command through various graphic user interfaces. In particular, a user may input a desired command through display elements such as icons, folders, and widgets displayed on the home screen, and a signal generated by manipulating the input unit may be transmitted to the controller.

터치스크린(104)의 표시요소는 대부분 입력요소로서의 기능도 수행하게 되며, 이 경우 표시요소와 입력요소는 하드웨어적으로는 구분이 어렵다. 본 발명에 있어서도, 이를 따로 구분하여 기술하지 않고, 표시요소로서 기술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Most of the display elements of the touch screen 104 also function as input elements, and in this case, the display elements and the input elements are difficult to distinguish in hardware. In the present invention as well, the descriptions are given as display elements without distinguishing them separately.

저장부(100)는 운영체제를 비롯하여 단말기에서 실행되고 처리되는 각종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저장하며, 하나 이상의 비휘발성 메모리와 휘발성 메모리로 구성된다. 특히, 저장부에는, 다수의 매크로가 저장되며, 각 매크로에는 실행하기를 원하는 특정 작업이 지정되며, 이를 빠르게 실행시키기 위한 단축순열이 할당된다. 상기 단축순열은 문자로 구성되는 순열, 즉 문자순열 또는 텍스트이다. 본 발명을 기술함에 있어서, 단축순열은 본 발명의 매크로 실행을 위한 단축순열을 의미한다.The storage unit 100 stores various programs and data that are executed and processed in a terminal including an operating system, and includes one or more nonvolatile memory and volatile memory. In particular, in the storage unit, a plurality of macros are stored, and each macro is assigned a specific task that is desired to be executed, and a short permutation for quickly executing the macro is assigned. The short sequence is a sequence consisting of letters, that is, a letter sequence or text.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a short axis sequence means a short axis sequence for executing a macro of the present invention.

제어부(102)는 휴대단말기의 전반적인 상태 및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매크로의 실행과정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매크로 단축순열을 입력할 수 있는 특정 조건하에서, 입력부(108)를 조작하여 미리 지정된 단축순열을 입력하면, 제어부(102)에서는 저장부(100)에 저장되어 있는 매크로 중에서 입력된 단축순열에 해당하는 매크로를 추출하고 이를 실행한다. 휴대단말기의 오퍼레이팅 시스템이 기동하면, 제어부는 사용자의 명령 입력을 기다리는 대기상태가 된다.The controller 102 controls the overall state and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In particular, it controls the execution of macros. In detail, when a user inputs a predetermined short sequence by operating the input unit 108 under a specific condition in which the user may input a macro short sequence, the controller 102 inputs a list of macros stored in the storage unit 100. Extract the macro corresponding to the short permutation and run it. When the operating system of the portable terminal is activated, the controller is in a waiting state waiting for a user's command input.

한편, 매크로 생성 프로그램을 통하여 사용자는 일련의 작업을 실시하도록 저장할 수 있으며, 이러한 일련의 작업은 매크로할당단축순열을 통해 저장된다. 이러한 매트로의 예를 들면 다음의 표 1과 같다.
On the other hand, the user can be stored to perform a series of tasks through the macro generation program, which is stored through the macro assignment short sequence. An example of such a mat is shown in Table 1 below.


매크로할당단축순열

Macro Assignment Shortcut Permutation

매크로 작업내용

Macro work

11

11

특허출원파일열기

Patent application file open

21

21

음악재생리스트 1번 재생

Play music playlist 1 time

22

22

음악재생리스트 2번 재생

Play music playlist 2 times

35

35

브라우저를 열고, 특허청 홈페이지 접속

Open your browser and access the JPO homepage

상기한 매크로할당단축순열은 숫자뿐만 아니라 다른 문자로 저장될 수도 있으며, 숫자와 다른 문자의 조합이 될 수도 있다.The macro-mapping short sequence may be stored as other characters as well as numbers, or may be a combination of numbers and other characters.

<제1실시예>&Lt; Embodiment 1 >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홈스크린의 바람직한 예를 도시하고 있다. 홈스크린의 상부에는 상태표시줄(112)이 표시되며, 여기에는 종래의 상태아이콘 및 본 발명의 매크로 실행에 도움을 주는 아이콘(도움아이콘)으로서, Mc아이콘(113)을 설치한다.2 shows a preferred example of the home screen of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 status bar 112 is display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home screen, and the Mc icon 113 is installed as a conventional status icon and an icon (help icon) to help the macro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홈스크린에는 다수의 홈스크린 아이콘이 표시된다. 이는, 예컨대, 특정 애플리케이션(응용 프로그램)을 활성화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 아이콘일 수도 있고, 특정 데이터 파일에 접근하기 위한 데이터 아이콘일 수도 있다. 이들은, 각 아이콘 단독 조작시 각각의 아이콘에 할당된 기능(고유기능)이 독립적으로 실행되도록 설정된 "독립기능표시요소"이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home screen icons are displayed on the home screen. This may be, for example, an application icon for activating a specific application (application) or a data icon for accessing a specific data file. These are " independent function display elements " set so that a function (unique function) assigned to each icon is independently executed when operating each icon alone.

이들은, 통상적으로 홈스크린상에 다수가 함께 표시되지만, 그 개수, 위치, 순서, 배열방식, 기능 등이 상호 의존적이지 않고 독립적이다. 또한, 독립적으로 특정 표시요소를 삭제하거나 추가도 가능하다.These are usually displayed together on the home screen, but the number, position, order, arrangement, function, and the like are not mutually dependent and independent. In addition, a specific display element may be deleted or added independently.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Mc아이콘(113)을 탭하면(S120), 휴대단말기의 터치스크린(104)에는 기본 홈스크린이 표시되는데(S121), 홈스크린상의 아이콘 중 10개의 아이콘 상에, 또는 그 인근에 0~9의 일련번호가 각각 표시된다.As shown in FIG. 3, when the Mc icon 113 is tapped (S120), the basic home screen is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104 of the mobile terminal (S121). On the ten icons among the icons on the home screen, Or serial numbers 0 to 9 are displayed in the vicinity.

만일 아이콘의 수가 10개 미만이라면 제어부는 추가로 아이콘이 표시한다. 상기 일련번호가 표시되는 아이콘은 도 2와 같이 컴퓨터 키보드의 숫자키패드와 동일하게 4행3열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일 직접 홈스크린에서 Mc 아이콘(113)을 탭한 것이라면, 당해 홈스크린상의 아이콘에 상기 일련번호가 표시된다.If the number of icons is less than 10, the controller additionally displays the icons. The icon displaying the serial number is preferably arranged in four rows and three columns as in the numeric keypad of the computer keyboard as shown in FIG. If the Mc icon 113 is directly tapped on the home screen, the serial number is displayed on the icon on the home screen.

그 후, 홈스크린의 아이콘의 입력모드는 숫자키 입력모드로 전환된다(S122). 즉, 숫자가 할당된 아이콘("숫자아이콘")을 사용자가 조작하면, 종래의 단말기에서의 아이콘으로서의 기능(고유기능) 대신 매크로의 단축순열 입력을 위한 숫자입력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Thereafter, the input mode of the icon of the home screen is switched to the numeric key input mode (S122). That is, when a user manipulates an icon ("number icon") to which a number is assigned, the user can perform a number input function for short sequence input of a macro instead of a function (unique function) as an icon in a conventional terminal. .

그 후, 제어부(102)에서는 상기 숫자아이콘의 조작에 의한 숫자의 입력을 연속적으로 수신하며, 상기 입력된 숫자로 이루어지는 순열(수)이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미리 지정된 매크로할당단축순열와 일치하는지를 연속적으로 감시한다(S123). 만일 매크로할당단축순열와 일치하는 수가 입력된다면, 제어부(102)에서는 해당 매크로를 저장부에서 추출하고 이를 실행한다(S124). 예를 들어, 어떤 매크로에 특정 음악을 재생하는 작업이 지정되어 있다면, 미디어 재생 프로그램이 활성화되고 특정 음악이 재생된다.Thereafter, the control unit 102 continuously receives the input of the number by the manipulation of the number icon, and successively determines whether the permutation (number) of the input number coincides with a predetermined macro assignment short permutation sequence stored in the storage unit. Monitor with (S123). If the number corresponding to the macro allocation short permutation is input, the controller 102 extracts the macro from the storage and executes it (S124). For example, if a macro is assigned to play a particular piece of music, the media player is activated and the particular piece of music is played.

일단 매크로의 실행이 시작되면, 표시요소의 입력모드는 숫자키 입력모드에서 원래의 입력모드로 환원되고(S125) 프로세스는 종료되며, 대기모드로 복귀하여 또 다른 사용자의 입력을 기다리며 대기한다.Once the execution of the macro starts, the input mode of the display element is returned to the original input mode from the numeric key input mode (S125), the process is terminated, returning to the standby mode and waiting for another user's input.

이상과 같이, 독립기능표시요소인 홈스크린 아이콘에 일련번호를 배치하고, 다수의 홈스크린을 그대로 숫자 키패드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As described above, a serial number is placed on a home screen icon that is an independent function display element, and a plurality of home screens can be utilized as a numeric keypad.

이는 하나의 조작에 하나의 작업이 할당되어 있는 종래의 아이콘의 작동방식과 비교되는 것으로서, 이는 마치 아이콘들을 연속으로 입력하여 특정 텍스트를 입력 가능한, 키 혹은 키패드로 활용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상기 제어부는 터치스크린에 표시되어 매크로를 실행하는 도움요소의 터치여부에 따라 상기 문자입력요소의 기능을 택일적으로 수행하게 된다. This is compared with the operation of a conventional icon in which one operation is assigned to one operation, which means that the icons are continuously input to utilize specific text as a key or keypad capable of inputting. That is, the controller may alternatively perform the function of the text input element according to whether or not the help element that executes the macro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is touched.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수 많은 키 중에서도 10개의 아이콘을 가장 효율적으로 활용하여 특정 텍스트를 입력할 수 있는 수단인 숫자키 및 숫자 키패드로 활용하며, 그 형태는, 수많은 컴퓨터 키보드 사용자에게 익숙한 4행3열의 숫자 키패드로 활용한다. 또한, 상기 숫자 아이콘은 홈스크린에 표시되는 홈스크린 아이콘을 직접 활용하기 때문에 따로 매크로 실행화면에 접근하여 해당 아이콘을 찾는 등의 수고를 할 필요 없이 바로 원하는 매크로를 실행할 수 있다. 즉, 다수의 홈스크린 아이콘에 숫자를 배치하여 이를 그대로 숫자 키패드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In addition, the present embodiment utilizes ten icons among a large number of keys most efficiently as a numeric key and a numeric keypad, which are means for inputting specific texts. Use as a numeric keypad in a row. In addition, since the number icon directly utilizes the home screen icon displayed on the home screen, the user can directly execute the desired macro without having to search for a corresponding icon by accessing the macro execution screen. That is, a number is placed on a number of home screen icons so that it can be used as a numeric keypad.

만일 프로세스의 중도에 종료하기를 원한다면, Mc 아이콘을 다시 탭하는 등, 미리 지정된 종료명령을 입력하도록 한다.If you want to terminate in the middle of the process, enter a predefined exit command, such as tapping the Mc icon again.

즉, 숫자키 모드로 전환되면, 사용자 입장에서는 다수의 표시요소를 조작하여 숫자를 포함하는 단축순열을 입력할 수 있는 상태가 되며, 단말기 입장에서는 상기 단축순열의 입력을 연속적으로 수신하는 상태이며, 입력된 순열(수)이 미리 지정된 매크로할당단축순열와 일치하는 순간, 해당 매크로를 실행할 수 있도록 대기히고 있는 매크로 실행대기상태가 된다.That is, when the user enters the numeric key mode, the user may operate a plurality of display elements to input a shortened sequence including numbers, and the terminal may continuously receive the input of the shortened sequence. As soon as the input permutation (number) matches the pre-specified macro assignment short permutation, the macro execution waits to execute the macro.

이상과 같이, 사용자는 Mc 아이콘(113)과, 적어도 하나의 홈스크린 아이콘의 조합에 의한 조작으로 하나의 홈스크린에서 수 많은 매크로를 실행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표 1의 경우 Mc 아이콘(113)을 탭하고, '아이콘 2'(2가 할당되어 있는 아이콘)와 '아이콘 1'을 연속으로 탭하기만 하면, 휴대단말기에서는 단축순열 '21'이 입력된 것으로 판단하고, 매크로할당단축순열 21이 할당되어 있는 재생리스트 1번 음악이 바로 재생된다.As described above, the user can execute a number of macros on one home screen by a combination of the Mc icon 113 and at least one home screen icon. For example, in the case of Table 1, simply tap the Mc icon 113 and tap 'Icon 2' (the icon to which 2 is assigned) and 'Icon 1' in succession. Is judged to be input, and the playlist # 1 music to which the macro allocation shortcut sequence 21 is assigned is immediately played.

본 실시예의 경우, Mc 아이콘(113)은 상태 표시줄에 표시되기 때문에 홈스크린 이외의 화면, 예컨대 특정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있는 화면에서도 바로 상기 Mc 아이콘(113)을 조작하여 매크로 실행을 위한 홈스크린 화면에 접근할 수 있다. Mc 아이콘(113)은 화면 하단, 예컨대 작업 표시줄(116)에 설치할 수도 있다. 또한, 기존의 상태아이콘, 예컨대 전지아이콘(114)을 탭하면 Mc 아이콘(113)으로서의 기능을 하도록 활용할 수도 있고, 상태표시줄에 표시되는 기타요소, 예컨대 시간표시(112)를 활용할 수도 있다. 결국, 상기 Mc 아이콘(113)은 도움요소의 하나의 예이며, 홈스크린상의 어느 위치에 설치할 수도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홈스크린의 상단부 또는 하단부의 특정 영역일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the Mc icon 113 is displayed on the status bar, the home screen screen for executing the macro by directly operating the Mc icon 113 on a screen other than the home screen, for example, a screen on which a specific application is running. Can be accessed. The Mc icon 113 may be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screen, for example, the task bar 116. In addition, tapping an existing status icon, for example, the battery icon 114, may be utilized to function as the Mc icon 113, or other elements displayed on the status bar, for example, time display 112 may be utilized. As a result, the Mc icon 113 is an example of a help element, and may be installed at any position on the home screen, and preferably, a specific area of the upper or lower portion of the home screen.

본 실시예에서는 도움요소를 조작하면 홈스크린의 표시요소의 입력모드는 숫자키 입력모드로 전환되었으나, 표시요소의 입력모드를 후술할 제스쳐(gesture) 모드로 전환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In this embodiment, when the help element is manipulated, the input mode of the display element of the home screen is switched to the numeric key input mode. However, the input mode of the display element may be set to the gesture mode to be described later.

<제2실시예>&Lt; Embodiment 2 >

도 4는 본 실시예의 휴대단말기에 표시되는 홈스크린의 바람직한 예를 보여준다. 여기에는 다수의 홈스크린 아이콘이 표시되며, 그 중 하나의 아이콘을 도움아이콘으로 지정하여 H아이콘(130)으로 부르기로 한다. 이는 매크로를 실행시키는데 도움을 주는 역할을 한다. H아이콘(130)은 왼손 엄지로 쉽게 탭할 수 있는 좌하단의 아이콘을 지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4 shows a preferred example of a home screen displayed on the portable terminal of this embodiment. Here, a plurality of home screen icons are displayed, and one of the icons is designated as a help icon and is called H icon 130. This helps to run macros. The H icon 130 preferably designates an icon in the lower left corner that can be easily tapped with the left thumb.

또한, 나머지 다수의 아이콘 중 10개를 선별하여 문자입력요소로 지정하고, 여기에 일련번호(0~9)를 표시하는데, 컴퓨터 키보드의 숫자 키패드와 동일하게 4행3열의 배치를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10 of the remaining icons are selected and designated as character input elements, and serial numbers (0 to 9) are displayed thereon. It is preferable to have 4 rows and 3 columns arranged like the numeric keypad of a computer keyboard. Do.

왼손잡이의 경우는 도 5와 같이, 우하단의 아이콘을 H아이콘(130)으로 지정하고, 나머지 10개의 아이콘에 일련번호를 배치하면 편리하다.In the left-handed case, as shown in FIG. 5, it is convenient to designate an icon at the lower right portion as the H icon 130 and to arrange a serial number on the remaining ten icons.

도 6은 본 실시예의 흐름도이며, 만일 대기상태에서 H아이콘(130)을 탭하면(S140), 당해 H아이콘(130)을 릴리스하였는지와(S141), 숫자아이콘(숫자가 표시된 아이콘)을 탭하였는지를(S142) 연속적으로 감시한다.FIG. 6 is a flowchart of the present embodiment. If the H icon 130 is tapped in the standby state (S140), the H icon 130 is released (S141), and if the number icon (the numbered icon is tapped) is tapped. (S142) Continuously monitor.

만일, H아이콘(130)이 릴리스, 즉 떼어졌다면, 이는 H아이콘(130)이 단독으로 탭하여진 후 릴리스된 것을 의미하며, 프로세스는 S143으로 진행하여, 상기 탭조작이 통상의 탭조작인지 아니면 길게 탭한 조작인지를 판별한다. 길게 탭한다는 것은, 어떤 아이콘을 탭하고 릴리스하지 않은 채, 일정시간 이상 당해 아이콘을 길게 누른 후 릴리스한 것을 의미한다. 만일 길게 탭한 것이라면, 프로세스는 종료되어 다시 사용자의 명령을 기다리는 대기상태로 복귀한다. 만일 통상적인 탭조작이라면 특정 애플리케이션을 활성화하는 등, 당해 아이콘에 할당된 종래의 기능을 수행한다(S144). 이상과 같이 만일 사용자가 H아이콘(130)을 탭하고 길게 누르고 있는 상태에서 마음이 바뀌어 매크로를 실행시키지 않고 종료하기를 원한다면, 단지 당해 H아이콘(130)을 릴리스하기만 하면 된다.If the H icon 130 is released, i.e. detached, it means that the H icon 130 is released after being tapped alone, and the process proceeds to S143 where the tap operation is a normal tap operation or a long press. Determines if the operation is tapped. Long tap means that the icon is released after the icon is pressed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without tapping and releasing an icon. If you tap and hold, the process exits and resumes waiting for your command. If it is a normal tap operation, and performs a conventional function assigned to the icon, such as to activate a specific application (S144). As described above, if the user changes his mind while tapping and holding the H icon 130 and wants to exit without executing the macro, the user only needs to release the H icon 130.

즉, 상기 제어부는 도움요소가 터치된 경우 터치시간을 측정하며, 문자입력요소가 터치되지 않고 상기 도움요소가 릴리스된 경우, 상기 터치시간이 일정 시간이내이면 상기 도움요소의 고유기능을 실행하고, 일정시간 이상이면 상기 도움요소가 터치되기 전의 대기상태로 복귀한다.That is, the control unit measures the touch time when the help element is touched, and when the help element is released without the text input element being touched, if the touch time is within a certain time, the controller executes a unique function of the help element. If the predetermined time or more, the help element returns to the standby state before the touch.

한편, 많은 종래의 휴대단말기에 있어서, 어떤 아이콘을 길게 탭하면 당해 아이콘이 위글(wiggle), 즉 좌우로 흔들리도록 설정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H아이콘(130)을 위글시키기 위해서는 길게 탭하는 대신, 예를 들어 더블탭을 하도록 설정한다면 편리할 것이다. 더블탭은 주지하는 바와 같이 빠르게 두 번 탭하는 것을 말한다.On the other hand, in many conventional mobile terminals, when an icon is long tapped, the icon is set to wiggle, that is, shake from side to side. In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convenient to set, for example, to double tap instead of long tapping to wiggle the H icon 130. Double tap is a quick double tap as you know.

S142에서 만일 숫자아이콘이 탭하여진다면, 이는 H아이콘(130)이 탭하고 눌려진 상태에서, 당해 숫자 아이콘이 탭하여진 것이며, 제어부(102)에서는 숫자 아이콘의 아이콘으로서의 종래의 기능이 아닌, 당해 숫자 아이콘에 할당된 숫자가 입력된다. 그 후, 제어부(102)에서는 사용자에 의하여 추가로 숫자가 입력되는지를 감시하는 상태가 된다(S145). 그 후, 프로세스는 S146으로 진행하여, H아이콘(130)이 릴리스 되는지를 감시한다. 즉, H아이콘(130)이 릴리스되기 전까지는 추가적인 숫자 입력을 연속적으로 감시하고 이를 수신한다. 또한, H아이콘(130)이 눌려진 상태에서 숫자아이콘을 탭하면, 당해 아이콘의 종래의 기능(고유기능)이 수행되는 것이 아니라, 매크로 실행을 위한 단축순열을 입력하는 기능이 수행된다.If the number icon is tapped in S142, this means that the number icon is tapped while the H icon 130 is tapped and pressed, and in the control unit 102, the number icon is not a conventional function as an icon of the number icon. The number assigned to is entered. After that, the control unit 102 is in a state of monitoring whether additional numbers are input by the user (S145). The process then advances to S146 to monitor whether the H icon 130 is released. That is, until the H icon 130 is released, additional numeric input is continuously monitored and received. In addition, when the number icon is pressed while the H icon 130 is pressed, the conventional function (unique function) of the icon is not performed, but a function of inputting a short sequence for executing the macro is performed.

S146에서 H아이콘(130)이 릴리스되었다고 판단되면, 제어부(102)에서는 그동안 입력된 숫자 입력에 해당하는 단축순열이 입력된 것으로 판단하고, 이를 근거로 저장부(100)에 저장된 매크로 중에서 입력된 단축순열이 할당된 매크로를 찾아서 추출하며, 이를 실행한다(S!47). 그 후, 프로세스는 종료되어 다시 대기상태로 복귀한다.If it is determined in step S146 that the H icon 130 has been released, the control unit 102 determines that a shortening sequence corresponding to the input number has been input, and based on this, the shortening input among the macros stored in the storage unit 100. It finds and extracts the macro to which the permutation is assigned and executes it (S! 47). Thereafter, the process ends and returns to the standby state again.

이상과 같이, 도움아이콘을 누르고 있는 상태에서 적어도 하나의 홈스크린아이콘을 조작하여, 숫자로 구성되는 단축순열을 매우 쉽게 입력할 수 있으며, 상기 숫자는 한자리 수뿐만 아니라, 여러 자리수의 숫자도 모두 입력가능하므로, 본 기술을 활용하여 수많은 매크로를 실행시킬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by holding down the help icon while operating at least one home screen icon, it is very easy to input a short sequence consisting of numbers, the number is not only a single digit, but also a number of digits all It is possible to use this technology to run a number of macros.

요약하자면, 상기 도움 아이콘은 단독으로 탭하면, 특정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등의 미리 할당된 종래의 기능을 수행하지만, 도움 아이콘을 누르고 있는 상태에서 다른 숫자 아이콘을 탭하면, 본 발명의 매크로를 실행시키기 위한 도움요소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는 이중기능 도움아이콘이다. 즉, 도움아이콘을 탭하고 있는 상태에서 숫자 아이콘을 탭하면, 해당 숫자가 입력이 되는데, 당해 도움아이콘이 릴리스되기 전까지는, 하나의 수에 국한되지 않고 연속해서 숫자를 입력할 수 있는 연속 수신상태가 되며, 제어부에서는 상기 입력된 숫자는 매크로 실행을 위한 단축순열이 입력된 것으로 인식한다. 또한, 문자입력요소는 단독으로 조작시 독립기능요소로서 미리 할당된 고유의 기능을 수행하지만, 도움요소의 특정조작이 동반될 경우, 즉 문자입력요소를 입력하기 전에 탭하고 터치하고 있는 상태에서 문자입력요소를 조작시에는 단축순열을 입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In summary, the help icon alone performs a pre-assigned conventional function, such as launching a specific application, while tapping another number icon while pressing the help icon to execute the macro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dual function help icon that acts as a help element. In other words, if you tap the number icon while tapping the help icon, the corresponding number is entered. Until the help icon is released, it is not limited to a single number. The controller recognizes that the input number is a shortened sequence for executing the macro. In addition, the character input element performs a unique function that is pre-assigned as an independent function element when operated alone, but when a specific operation of the help element is accompanied, that is, the character is held in a tap and touch before inputting the character input element. When manipulating an input element, a function of inputting a shortened sequence is performed.

즉, 제어부는 도움요소가 터치되면(당해 도움요소가 릴리스되기 전, 터치된 상태에서), 문자입력요소가 동시에 터치되는지 판별하며, 상기 문자입력요소가 동시에 터치된 경우, 상기 문자입력요소의 터치조작에 해당하는 단축순열이 입력된다.That is, when the help element is touched (before the help element is released, the touched state), the controller determines whether the text input elements are touched at the same time, and when the text input elements are touched at the same time, the touch of the text input elements is touched. The shortening sequence corresponding to the operation is entered.

상기 도움 아이콘 즉, H아이콘(130)은 수많은 아이콘 중에서도 사용자가 쉽게 조작할 수 있는 좌하단의 아이콘을 선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사용자는 한 손의 손가락으로는 도움 아이콘을 탭하고 누르고 있는 상태에서, 나머지 손의 손가락으로 다른 홈스크린 아이콘을 조작하여 매우 쉽게 원하는 단축순열을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움아이콘을 릴리스하기만 하면, 입력된 단축순열에 해당하는 매크로를 바로 실행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하여, 종래의 홈스크린 아이콘으로서의 고유의 기능은 그대로 유지하면서도 사용자는 양손의 손가락을 모두 활용하여 수많은 매크로를 하나의 홈스크린에서 매우 쉽게 직접 실행시킬 수 있다.The help icon, that is, the H icon 130, preferably selects an icon at the lower left of the user from among numerous icons that can be easily manipulated. That is, the user can tap and hold the help icon with one finger, and input the desired shortcut sequence very easily by manipulating another home screen icon with the finger of the other hand. In addition, by simply releasing the help icon, a macro corresponding to the input short sequence can be immediately executed. As described above, while maintaining the original function of the conventional home screen icon, the user can easily execute a large number of macros directly on one home screen by utilizing both fingers.

또한, 도 7과 같이, 홈스크린은 다수의 도움아이콘을 구비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7, the home screen may include a plurality of help icons.

바람직하게는, 좌측열의 아이콘(152), 또는 하단행의 아이콘(151)을 도움 아이콘으로 지정 활용하며, 나머지 위치의 아이콘 중 4행 3열 아이콘을 숫자 키패드로 활용한다.Preferably, the icon 152 in the left column or the icon 151 in the bottom row is designated and used as a help icon, and the 4 rows and 3 columns of icons in the remaining positions are used as the numeric keypad.

이러한 배치는 오른손 잡이의 경우, 왼손의 엄지를 사용하여 도움 아이콘을 쉽게 조작이 가능하다. 예컨대, '아이콘 A'를 누르고 있는 상태에서 숫자 아이콘을 탭하여 13을 입력하면, A13에 해당하는 매크로가 실행이 되고, '아이콘 B'를 누르고 있는 상태에서 15를 입력하면, B15에 해당하는 매크로가 실행이 되는 방식이다. 각 도움 아이콘에는 매크로의 카테고리를 지정하면 편리하다. 예컨대, '아이콘 D'에는 문자메시지를 지정하고, '아이콘 B'에는 음악재생을 지정하는 방식이다. 구체적인 예로서, 문자메시지의 매크로에 있어서, 두자리 숫자 중 10자리 수에 자주 메시지를 보내는, 즉 수신자를 할당하고, 1자리 수에 자주 보내는 내용을 할당할 수 있다. 만일 수신자 1에 홍길동을 지정하고, 메시지 내용 3에 "이메일을 보냈습니다. 확인 부탁드려요"라는 내용을 할당했다면, 사용자는 간단히 단말기를 켜서 표시되는 홈스크린에서 '아이콘 D'를 누른 채, 13을 입력하기만 하면 위의 작업을 매우 쉽게 곧바로 실행할 수 있다. 그 결과, 실행시키고자 하는 매크로의 종류와 수가 많더라도 이를 카테고리별로 체계적으로 분류하여 관리하며, 이를 매우 손쉽게 실행할 수 있다.This arrangement allows for easy manipulation of the help icon using the thumb of the left hand in case of right handed. For example, if you press the number icon while pressing 'icon A' and input 13, the macro corresponding to A13 is executed, and if you enter 15 while pressing 'icon B', macro corresponding to B15 Is the way it is executed. Each help icon is convenient to categorize macros. For example, a text message is assigned to 'icon D' and music playback is designated to 'icon B'. As a specific example, in a text message macro, a message that is frequently sent to 10 digits of two digits, that is, a receiver is assigned, and a content that is frequently sent to one digit can be assigned. If you assigned Hong Gil-dong to recipient 1 and assigned the message "Email sent. Please confirm." To the message 3, the user simply turns on the device and presses the 'Icon D' on the home screen. Just type in and you'll be able to do it immediately and easily. As a result, even if there are many types and numbers of macros to be executed, they can be systematically classified and managed by category, which can be executed very easily.

왼손잡이의 경우는 도 8과 같이, 좌측열 아이콘 대신 우측열 아이콘(153)을 도움 아이콘으로 활용하고, 나머지 위치의 아이콘을 4행3열의 숫자 키패드로 활용가능하다.In the left-handed case, as shown in FIG. 8, the right column icon 153 may be used as a help icon instead of the left column icon, and the icons of the remaining positions may be used as the numeric keypad of 4 rows and 3 columns.

<제3실시예>Third Embodiment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도 9와 같이, 도움아이콘과 숫자아이콘을 별도로 지정하지 않고, 숫자아이콘을 그대로 도움아이콘으로 활용한다. 기본 홈스크린에는 20개의 아이콘이 표시되며, 그 중 4행3열의 아이콘을 숫자키패드로 활용하여 0~9까지 10개의 일련번호가 할당되고 표시된다. 또한, 기능아이콘으로서 D아이콘(161)과 X아이콘(162)을 지정한다. 즉, 홈스크린에 있어서, 10개의 표시요소를 숫자아이콘으로 지정하며, 이들 자체를 도움아이콘으로 활용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as shown in FIG. 9, the number icon is used as the help icon without specifying a help icon and a number icon separately. 20 icons are displayed on the default home screen, and 10 serial numbers from 0 to 9 are assigned and displayed by using icons in 4 rows and 3 columns as the numeric keypad. In addition, D icon 161 and X icon 162 are designated as function icons. That is, in the home screen, 10 display elements are designated as number icons, and these are used as help icons.

구체적으로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기상태에서 숫자아이콘을 탭하면(S170), 제어부(102)에서는 당해 숫자아이콘이 릴리스되는지 및 다른 아이콘을 탭하였는지를 연속적으로 감시한다(S171,S172). 만일 S171에서 숫자아이콘이 릴리스된다면 이는 당해 숫자아이콘이 단독으로 탭하여지고 릴리스된 것을 의미하며, 제어부(102)에서는 당해 숫자아이콘에 할당된 종래의 기능, 즉 홈스크린 아이콘으로서의 고유기능을 수행한 후(S173) 본 프로세스는 종료된다. 예를 들어, 특정 애플리케이션이 할당된 아이콘이라면 당해 애플리케이션을 활성화한다. 만일 S172에서 다른 아이콘을 탭하였다고 판단되면, 이는 어떤 숫자아이콘을 먼저 탭하고 누르고 있는 상태에서 당해 아이콘을 탭하였다는 것을 의미하며, 프로세스는 S174로 진행하여 상기 다른 아이콘이 무엇인지를 판단한다. 만일 상기 다른 아이콘이 숫자아이콘이라면 이는 어떤 숫자아이콘을 탭한 상태에서 다른 숫자아이콘을 탭하였다는 것을 의미하며, 해당 아이콘에 할당된 숫자를 바탕으로 어떤 단축순열이 입력되는지를 알고리즘 1에 의거하여 판단한다(S176). 그 후, 제어부(102)에서는 저장부(100)에 저장되어 있는 매크로 중에서 당해 단축순열이 할당된 매크로를 추출하고 이를 실행한다(S177). 만일 상기 다른 아이콘이 D아이콘(161)이라면, 제어부(102)에서는 이를 바탕으로 어떤 단축순열이 입력되는지를 알고리즘 2에 의거하여 판단하며(S175), 당해 단축순열이 할당된 매크로를 추출하고 이를 실행한다(S177). 만일 상기 다른 아이콘이 X아이콘(162)이라면, 프로세스는 종료된다. 종료된다는 것은 사용자의 또 다른 명령입력을 기다리는 대기상태가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만일 상기 다른 아이콘이 숫자아이콘, D아이콘, X아이콘이 모두 아니라면 역시 프로세스는 종료된다.Specifically, as shown in FIG. 10, when the numeric icon is tapped in the standby state (S170), the control unit 102 continuously monitors whether the numeric icon is released and whether another icon is tapped (S171, S172). . If the number icon is released in S171, this means that the number icon is tapped and released alone, and the control unit 102 performs a conventional function assigned to the number icon, that is, a unique function as a home screen icon. (S173) This process ends. For example, if a specific application is assigned an icon, the application is activated. If it is determined in S172 that another icon is tapped, this means that the icon is tapped while tapping and holding any number icon first, and the process proceeds to S174 to determine what the other icon is. If the other icon is a number icon, this means that a number icon is tapped while another number icon is tapped, and it is determined based on Algorithm 1 to determine which shortcut sequence is input based on the number assigned to the icon. (S176). Thereafter, the controller 102 extracts and executes the macro to which the shortened permutation is assigned from the macros stored in the storage 100 (S177). If the other icon is the D icon 161, the controller 102 determines based on Algorithm 2 to determine which shortened sequence is input based on this (S175), extracts the macro to which the shortened sequence is assigned, and executes it. (S177). If the other icon is X icon 162, the process ends. Ending means waiting for another user to enter a command. If the other icon is not a number icon, a D icon, or an X icon, the process is terminated as well.

알고리즘 1에 대하여 기술하면, 대기상태에서 숫자아이콘을 릴리스하지 않은 채 터치하고 있는 상태에서, 다른 숫자아이콘을 탭하면, 상기 조작에 해당하는 두자리 수의 단축순열이 입력된다. 만일 '아이콘m'을 누르고 있는 상태에서 '아이콘n'을 탭하면, 두자리 수의 단축순열이 입력된 것으로 판단되는데, m은 십자리수로, n은 일자리수로 지정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홈스크린을 조작하여 '아이콘 1'(1이 할당된 아이콘)을 길게 누르고 있는 상태에서 '아이콘 3'을 탭하면, 제어부(102)에서는 13이라고 하는 단축순열이 입력된 것으로 판단한다.As described in Algorithm 1, when a user taps another numeric icon while touching without releasing a numeric icon in a standby state, a two-digit shortcut sequence corresponding to the above operation is input. If you tap 'icon n' while holding down 'icon m', it is determined that a two-digit shortcut sequence has been entered, where m is ten digits and n is the number of jobs. For example, when a user taps 'icon 3' while pressing and holding 'Icon 1' (an icon assigned to 1) by manipulating the home screen, the controller 102 inputs a shortened sequence of 13 as input. To judge.

알고리즘 2에 대하여 예를 들어 기술하면, 만일 '아이콘 1'을 누르고 있는 상태에서 D아이콘(161)을 탭하면, 11이라는 단축순열이 입력된 것으로 판단되며, 만일 '아이콘 3'을 누르고 있는 상태에서 D아이콘(161)을 탭하면 33이라는 단축순열이 입력된 것으로 판단된다. 즉, 입력된 숫자가 일자리수와 십자리수에 중복되어 지정되어 하나의 두자리 수를 구성한다.For example, the algorithm 2 is described. If the icon D is pressed while the icon 1 is pressed, the short permutation of 11 is determined, and if the icon 3 is pressed, When the D icon 161 is tapped, it is determined that a shortened sequence of 33 is input. In other words, the number entered is overlapped with the number of jobs and ten digits to form one two-digit number.

본 실시예에서는 D아이콘과 X아이콘은 좌우에 이중으로 지정되며, 이는 좌우대칭이 되도록 배치됨으로써, 좌우중 어느 손의 손가락으로 숫자아이콘을 길게 누르고 있어도 다른 손으로 쉽게 상기 D아이콘 또는 X아이콘을 탭할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D icon and the X icon are dually assigned to the left and right sides, which are arranged to be symmetrical to the left and right, so that the other hand can easily tap the D icon or the X icon even if the user presses and holds the number icon with the finger of either hand. Can be.

이상과 같이 홈스크린의 표시요소중 일부를 숫자아이콘 및 기능아이콘으로 지정하되, 상기 숫자아이콘 자체를 도움요소의 기능을 할 수 있도록 지정하여 당해 도움요소와 상기 숫자아이콘 또는 기능아이콘과의 조합으로 특정 단축순열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도움요소와 숫자아이콘은 종래의 휴대단말기에서의 아이콘으로서의 기능은 그대로 유지한 채, 본 발명의 매크로를 위한 단축순열을 입력할 수 있는 기능을 겸하여 수행할 수 있는 이중기능표시요소라고 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some of the display elements of the home screen are designated as a number icon and a function icon, and the number icon itself is designated to function as a help element, thereby specifying a combination of the corresponding help element and the number icon or function icon. It is possible to input a short permutation. The help element and the number icon may be referred to as a dual function display element that can be performed as a function of inputting a shortening sequence for a macro of the present invention while maintaining a function as an icon in a conventional mobile terminal. .

즉, 어떤 숫자아이콘을 단독으로 탭하면, 이에 할당된 고유기능을 수행하지만, 당해 숫자아이콘을 탭하고 누른 상태에서 다른 숫자아이콘을 탭하면 먼저 눌러진 숫자아이콘은 도움요소로서 기능을 한다. 도움요소는 홈스크린의 표시요소를 조작시, 당해 표시요소에 할당된 고유기능이 아닌, 본 발명의 단축순열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갖는다. 물론, 본 실시예와 같이, 도움요소 자체도 단축순열을 입력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That is, when a single tap of a number icon alone, it performs a unique function assigned to it, but if the tap the number icon while tapping the other number icon, the first pressed number icon functions as a help element. The help element has a function of inputting a shortened sequence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display element of the home screen is manipulated, instead of the unique function assigned to the display element. Of course, as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help element itself may also perform a function of inputting a shortened sequence.

일 실시예에 의하면, D아이콘과 X아이콘을 별도로 지정하지 않고 사용자가 숫자아이콘을 위 또는 아래로 슬라이드 또는 플릭(flick)하면, 제어부에서는 각각 D아이콘 또는 X아이콘이 같이 눌려진 것으로 판단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아이콘 5'를 위로 슬라이드하면 55가 입력되고, 아래로 슬라이드하면 프로세스가 종료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when the user slides or flicks the number icon up or down without separately designating the D icon and the X icon, the controller may be configured to determine that the D icon or the X icon is pressed together, respectively. . For example, as shown in FIG. 9, when the 'icon 5' is slid upward, 55 is input, and when the slid downwards, the process ends.

이상의 기술로 인하여 사용자는 단축순열 00에서 99에 해당하는 무려 100가지의 매크로를 매우 쉽게 실행할 수 있게 되며, 그것도 하나의 홈스크린에서 바로 실행할 수 있게 된다.The above technology makes it very easy for the user to execute as many as 100 macros, corresponding to the short sequence 00 to 99, directly from a single home screen.

<제4실시예><Fourth Embodiment>

이상의 실시예에서는 단축순열을 입력하기 위하여 홈스크린의 독립기능 표시요소 중에서 다수의 숫자아이콘을 지정하여 숫자키패드로 활용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어떤 표시요소의 특정 제스쳐 조작에 특정 숫자를 할당하고 도움요소와의 조합에 의하여 단축순열을 입력하도록 설정한다. 상기 제스쳐 조작에는 단순히 탭하는 조작은 포함시키지 않고 따로 기술하도록 한다. 즉, 본 실시예에 있어서 표시요소의 조작은 슬라이드 또는 탭의 두가지 조작이 가능하다. 예컨대, 특정 아이콘을 특정 방향으로 슬라이드(또는 플릭)하면 상기 방향에 따라서 미리 지정된 숫자가 입력되고, 제어부(102)에서는 이를 매크로 실행을 위한 단축순열이 입력된 것으로 판단하도록 설정한다. 도 11과 같이 기본 홈스크린의 표시요소 중, 최하단행의 두개의 아이콘을 도움아이콘으로 지정하며, 이를 Hp아이콘으로 지칭한다. 이는 좌우에 이중으로 지정하고, 좌우대칭이 되도록 배치하되, 각각의 기능은 동일하다.In the above embodiment, in order to input a short sequence, a plurality of numeric icons are designated among independent display element elements of the home screen and used as a numeric keypad. Howev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a specific number is assigned to a specific gesture manipulation of a certain display element, and a short sequence is input by combination with a help element. The gesture operation will be described separately without including a tap operation. That is,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manipulation of the display element can be performed by two operations, a slide or a tab. For example, when a certain icon is slided (or flicked) in a specific direction, a predetermined number is input according to the direction, and the controller 102 sets it to determine that a shortened sequence for executing the macro is input. Among the display elements of the basic home screen, as shown in FIG. 11, two icons of the lowest row are designated as help icons, which are referred to as Hp icons. It is designated as double on the left and right, and arranged to be symmetrical, each function is the same.

또한, 도 12와 같이, 특정 아이콘을 슬라이드 조작하는 방향을 8개(상하좌우 및 우상,우하,좌상,좌하)로 구분하고, 여기에 1~8의 일련번호를 미리 할당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12, the direction for sliding a specific icon is divided into eight (up, down, left, right, top, bottom, top, bottom, and bottom), and serial numbers 1 to 8 are previously assigned thereto.

휴대단말기에 있어서, 특정 방향으로 슬라이드할 경우, 이를 감지하고 할당된 특정기능이 수행되도록 하는 기술 자체는 당업자에게 주지의 사실이므로 상술하지 않는다. 만일, 특정방향으로의 조작이 아닌 단순히 통상의 방식으로 탭하거나, 길게 누르는 조작의 경우는 0이 입력될 수 있도록 설정한다.In the portable terminal, the technique itself, which detects this when sliding in a specific direction and performs the assigned specific function, is well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us will not be described. If the operation is not performed in a specific direction, but simply taps or presses and holds in a normal manner, 0 is inputted.

도 13을 참조하면, 대기상태에서 Hp아이콘이 터치되면(S180), 프로세스는 다른 아이콘이 조작되는지 및 Hp아이콘이 릴리스되는지를 연속해서 감시한다(S181,182). 상기 Hp아이콘의 터치조작은 릴리스 조작은 포함하지 않는다. 만일, 다른 아이콘이 조작되었다고 판단되면 이는 Hp아이콘을 터치하고 누르고 있는 상태에서 다른 아이콘이 조작된 것이며, 제어부(102)에서는 상기 조작을 분석하고 이에 해당하는 단축순열이 무엇인지를 판별한다(S187).Referring to FIG. 13, when the Hp icon is touched in the standby state (S180), the process continuously monitors whether another icon is operated and whether the Hp icon is released (S181, 182). The touch operation of the Hp icon does not include a release opera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other icon has been manipulated, the other icon has been manipulated while touching and holding the Hp icon, and the controller 102 analyzes the operation and determines what the corresponding short sequence is (S187). .

상기 조작은 구체적으로는 탭 또는 제스쳐 조작이 가능하다. 그 후, 제어부(102)에서는 입력된 단축순열에 해당하는 매크로를 저장부(100)에서 추출하여 이를 실행한다(S188). 만일 S182에서 Hp아이콘이 릴리스되었다고 판단되면, 이는 상기 Hp아이콘이 다른 아이콘의 조작과는 무관하게 단독으로 터치되고 릴리스된 것을 의미하는데, 제어부(102)에서는 상기 릴리스가 단순히 탭하고 릴리스된 것인지, 아니면 슬라이딩된 것인지를 판별한다(S183).Specifically, the operation can be performed by tap or gesture. Thereafter, the control unit 102 extracts the macro corresponding to the input shortened sequence from the storage unit 100 and executes it (S188). If it is determined in step S182 that the Hp icon has been released, this means that the Hp icon is independently touched and released regardless of the operation of other icons, and the control unit 102 simply taps and releases it, or It is determined whether it is sliding (S183).

만일 상기 릴리스 조작이 슬라이딩 조작이 아니라면 이는 Hp아이콘이 단순히 탭하고 릴리스된 것으로 판단되며, 홈스크린 아이콘의 종래의 기능(고유기능), 즉, 특정 애플리케이션을 활성화하는 등의 미리 지정된 아이콘으로서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S184). 만일 상기 릴리스 조작이 슬라이딩 조작이라고 판단되면, 상기 슬라이딩 조작에 해당하는 미리 지정된 문자가 입력된 후, 터치스크린의 입력모드는 제스쳐 모드로 전환된다(S185). 많은 종래의 휴대단말기에 있어서, 홈스크린을 좌우로 슬라이드 또는 플릭하면, 다른 홈스크린으로 전환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제스쳐 모드에서는 이와 같이 슬라이드, 플릭 등 각종 제스쳐 조작으로 이루어지는 종래의 기능이 일시적으로 불활성화되고, 상기 제스쳐 조작은 본 발명의 매크로 실행을 위한 기능만을 수행하게 된다. 제스쳐 모드에서 Hp아이콘이 아닌, 다른 아이콘이 조작된다면(S186), 제어부(102)에서는 해당 조작을 분석하고 입력된 단축순열이 무엇인지를 판별한다(S187). 그 후, 제어부(102)에서는 그동안 입력된 단축순열에 해당하는 매크로를 저장부(100)에서 추출하여 이를 실행한다(S188). 그 후, 터치스크린의 입력모드는 원래의 모드로 환원되며(S189), 프로세스는 종료되어 다시 사용자의 입력명령을 대기하는 대기상태가 된다. 물론 입력모드가 제스쳐 모드로 전환되지 않고 원래의 모드에서 변화가 없었다면 S189에서는 아무런 작업이 수행되지 않는다.If the release operation is not a sliding operation, it is judged that the Hp icon is simply tapped and released, and performs a conventional function of the home screen icon (unique function), that is, a predetermined icon such as activating a specific application. It is made (S184).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release operation is a sliding operation, after a predetermined character corresponding to the sliding operation is input, the input mode of the touch screen is switched to the gesture mode (S185). In many conventional portable terminals, the home screen is set to switch to another home screen by sliding or flicking the home screen from side to side. In the gesture mode, a conventional function consisting of various gesture operations such as slide and flick is temporarily inactivated, and the gesture operation only performs a function for executing a macro of the present invention. If an icon other than the Hp icon is operated in the gesture mode (S186), the controller 102 analyzes the corresponding operation and determines what the input short sequence is (S187). Thereafter, the control unit 102 extracts and executes the macro corresponding to the input shortened sequence from the storage unit 100 (S188). Thereafter, the input mode of the touch screen is returned to the original mode (S189), and the process is terminated and the standby mode waits for the user's input command again. Of course, if the input mode is not switched to the gesture mode and there is no change from the original mode, nothing is done in the S189.

사용자의 아이콘 조작에 따라 입력된 단축순열이 무엇인지를 판단하는 과정을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실제 단축순열의 입력은 Hp아이콘의 조작과 다른 아이콘의 조작의 조합(또는 순열)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다른 아이콘은 본 실시예의 경우 도 11과 같이, 최하단행을 제외한 제1행에서 제4행의 아이콘을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Hp아이콘을 누르고 있는 상태에서 '아이콘 A'(A가 할당된 아이콘)를 우측으로 슬라이드하면, 상기 Hp아이콘의 조작에 의해 0이 입력되고, 상기 특정 아이콘의 조작에 의해서는 A와 3이 입력되며, 결국 제어부(102)에서는 저장부(100)에 저장되어 있는 매크로 중에서 A03에 할당되어 있는 매크로를 추출하여 당해 매크로를 실행한다. 만일, Hp아이콘을 누르고 있는 상태에서 '아이콘 A'를 단순히 탭하면, 제어부(102)에서는 A00이라는 단축순열이 입력된 것으로 판단하여 해당 매크로를 실행한다.A process of determining what the input shortened sequence is according to a user's icon manipulation will be described below. The actual short permutation input consists of a combination (or permutation) of the operation of the Hp icon and the operation of another icon. In the case of the present embodiment, as shown in FIG. 11, the other icons may utilize icons of the first row and the fourth row except the lowest row. For example, if the user slides the 'icon A' (the icon to which A is assigned) to the right while the user presses the Hp icon, 0 is input by the operation of the Hp icon, and the operation of the specific icon is performed. A and 3 are input, and finally, the control unit 102 extracts the macro assigned to A03 from the macros stored in the storage unit 100 to execute the macro. If the user simply taps on the 'icon A' while pressing the Hp icon, the controller 102 determines that an abbreviated sequence of A00 is input and executes the macro.

또한, 만일 Hp아이콘을 아래로 슬라이드하고 '아이콘 B'를 우로 슬라이드하면, 제어부(102)에서는 B53이라는 단축순열이 입력된 것으로 판단하여 저장부(100)에 저장되어 있는 매크로 목록 중에서 B53에 할당되어 있는 매크로를 추출하여 당해 매크로를 실행한다.In addition, if the user slides the Hp icon down and slides the 'icon B' to the right, the control unit 102 determines that a shortened sequence of B53 is input and is assigned to B53 from the macro list stored in the storage unit 100. Extract the macro and run it.

상술한 바와 같이, 많은 종래의 휴대단말기에 있어서, 홈스크린을 좌우로 슬라이드 또는 플릭하면, 다른 홈스크린으로 전환되도록 설정되어 있는데, 본 실시예의 경우, 홈스크린 중에서, Hp아이콘을 포함하는 최하단 아이콘이 배치된 영역에서는 이와 같은 홈스크린 전환 기능은 기본적으로 지원하지 않도록 설정된다.As described above, in many conventional mobile terminals, when the home screen is slid or flicked from side to side, it is set to switch to another home screen.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lowest icon including the Hp icon is displayed among the home screens. In the arranged area, such a home screen switching function is not set by default.

이상과 같이, 도움 아이콘과 다른 홈스크린 아이콘과의 조합에 의하여 원하는 단출순열을 매우 쉽고 빠르게 홈스크린에서 직접 입력할 수 있다. 상기 조합은 도움 아이콘을 누르고 있는 상태에서의 다른 아이콘의 조작일 수도 있고, 도움 아이콘의 조작에 연이은 다른 아이콘의 조작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조작은 단순히 탭하는 것뿐 아니라, 각종 제스쳐 조작을 활용하여 매우 쉽게 단축순열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하였다.As described above, the desired permutation sequence can be directly and easily inputted directly from the home screen by a combination of the help icon and another home screen icon. The combination may be an operation of another icon while the help icon is pressed, or may be an operation of another icon subsequent to the operation of the help icon. In addition, the operation is not only to tap, but also to make it possible to input a short axis sequence very easily by utilizing various gesture operations.

또한, 도움 아이콘을 슬라이드 하는 등의 특정 제스쳐 조작을 하면, 홈스크린의 입력모드는 제스쳐 모드로 전환되어 다른 아이콘을 제스쳐 조작을 하여 단축순열을 입력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종래의 홈스크린 아이콘으로서의 기능은 그대로 유지하면서도 도움아이콘을 누르고 있는 상태에서 다른 홈스크린 아이콘을 특정 방향으로 슬라이드(또는 플릭)하는 방식으로 각 아이콘 당 0~8의 9가지의 매크로를 추가로 그것도 매우 쉽게 실행시킬 수 있다. 또한, 도움 아이콘 자체도 특정 방향으로 슬라이드(또는 플릭)하는 방식으로 0~8의 9가지의 입력이 가능하게 때문에, 이를 조합하면 9X9=81로서, 홈스크린 아이콘 하나당 무려 81가지의 매크로를 추가로 실행시킬 수 있게 된다. 예컨데 홈스크린 아이콘 중 하나를 라디오 기능 매크로를 실행시킬 수 있는 이중기능 아이콘으로 지정한다면, 사용자는 간단한 조작만으로 미리 지정된 무려 81개의 방송 중 원하는 방송을 하나의 홈스크린에서 매우 빠르고 쉽게 청취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when a specific gesture operation such as sliding a help icon is performed, the input mode of the home screen is switched to the gesture mode, whereby a shortcut sequence can be input by performing a gesture operation on another icon. In the present embodiment, nine macros of 0 to 8 for each icon are formed by sliding (or flicking) another home screen icon in a specific direction while pressing and holding the help icon while maintaining the function as a conventional home screen icon. In addition it is very easy to run. In addition, the help icon itself can also input nine types of 0 to 8 by sliding (or flicking) it in a specific direction, so when combined, 9X9 = 81, which adds 81 macros per home screen icon. You can run it. For example, if one of the home screen icons is designated as a dual function icon that can execute a radio function macro, the user can easily and easily listen to the desired broadcast from one of 81 preset stations on one home screen with a simple operation. .

또한, 본 실시예와 같이, 만일 최하단행 아이콘을 제외한 홈스크린 아이콘이 16개가 표시되어 있다면, 16X81=1296으로서, 하나의 홈스크린 화면에서 간단히 추가적으로 실행할 수 있는 매크로수가 무려 1296개에 달함을 알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the present embodiment, if 16 home screen icons are displayed except for the bottom line icon, 16X81 = 1296, and it can be seen that as many as 1296 macros can be simply executed on one home screen screen. have.

이러한 기술은 중형 스마트폰, 태블릿PC와 같이 터치스크린이 비교적 큰 형태의 휴대단말기의 경우, 홈스크린 아이콘 주변에 특정 방향으로 슬라이드 하는 등의 제스쳐 조작을 할 수 있는 여유 공간이 있어 더욱 유용하다. 또한, 상기 도움 아이콘은 좌우에 이중으로 배치하되 좌우 대칭으로 배치함으로써 아이콘의 위치와 사용자의 선호에 따라서 좌우 어느 쪽으로 사용해서 도움아이콘을 누르고 있든 동일한 방식으로 작동이 가능하다는 편리성이 있다.Such a technology is more useful in the case of a mobile terminal having a relatively large touch screen such as a mid-sized smartphone or a tablet PC, since there is a free space for gesture manipulation such as sliding in a specific direction around a home screen icon. In addition, the help icon is arranged in a left and right symmetrical arrangement to the left and right,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icon and the user's preference to use either of the left and right to hold the help icon has the convenience of operating in the same way.

또한, 도움아이콘의 조작을 단순화하는 실시예도 가능한데, 도 14와 같이, 최하단행의 아이콘을 모두 도움아이콘으로 지정하고, 각각 1~4의 수를 할당하며, 도움아이콘을 누르고 있는 상태에서 다른 아이콘을 조작하면 상기 도움 아이콘의 조작은 각각 할당된 수가 입력되도록 하는 방식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움 아이콘 2'를 누르고 있는 상태에서, 'H 아이콘'을 우측으로 슬라이드하면, 단축순열 H23이 입력되는 방식이다.In addition, an embodiment for simplifying the operation of the help icon is also possible. As shown in FIG. 14, all the lowest line icons are designated as help icons, each of 1 to 4 is assigned, and other icons are pressed while the help icon is pressed. When the operation is performed, the help icon may be operated in such a manner that an allocated number is input. For example, when the 'H icon' is pushed to the right while the 'help icon 2' is being pressed, the short sequence H23 is input.

이 경우에도 홈스크린 아이콘 하나당 추가로 활용가능한 매크로의 수는 9X4=36에 달한다. 만일 최하단행 아이콘을 제외한 홈스크린 아이콘이 16개가 표시되어 있다면, 16X36=576으로서, 종래의 홈스크린 아이콘으로서의 기능은 그대로 유지하면서도 하나의 홈스크린 화면에서 간단히 추가적으로 실행할 수 있는 매크로수가 무려 576개에 달함을 알 수 있다.In this case, the number of additional macros available for each home screen icon is 9X4 = 36. If 16 home screen icons are displayed except the bottom line icon, 16X36 = 576, and the number of macros that can be easily executed on one home screen screen is as many as 576 while maintaining the function as a conventional home screen icon. It can be seen.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제스쳐 조작을 슬라이딩 조작을 예를 들어 기술하였는데, 슬라이딩 대신 플릭 조작을 활용하도록 설정할 수도 있고 기타 다양한 제스쳐 조작을 활용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gesture operation is described as a sliding operation by way of example. Alternatively, the flick operation may be set instead of sliding, and various other gesture operations may be used.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도움요소를 슬라이딩하면 홈스크린의 표시요소는 제스쳐 모드로 전환되도록 설정하였는데, 제스쳐 모드 대신 1실시예처럼 숫자키 입력모드로 전환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when the help element is slid, the display element of the home screen is set to switch to the gesture mode, but instead of the gesture mode, the display element may be set to the numeric key input mode as in the first embodiment.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종래의 휴대단말기에 있어서 홈스크린에 표시되는 아이콘, 폴더와 같은 종래의 표시요소를 그대로 활용하여, 수많은 매크로 실행을 위한 단축순열을 입력할 수 있는 기술을 개시하였다. 이는 매크로 실행을 위한 특정 아이콘과 같은 특정 표시요소를 추가적으로 설치하지 않고도 수 많은 매크로를 실행시킬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그 결과 협소한 휴대단말기의 홈스크린상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단축순열을 입력하기 위한 별도의 화면을 휴대단말기의 터치스크린에 표시하지 않고도 홈스크린에서 곧바로 단축순열을 입력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그 결과 종래기술처럼, 터치스크린상의 표시가 홈스크린에서 별도의 화면으로 변환되는 과정에서 대기하는 시간이 소요된다거나, 또는 별도의 화면상에 표시되는 표시요소의 위치에 새로 적응해야하는 시간과 수고를 하지 않고도 그 모양과 위치에 가장 익숙한 홈스크린의 아이콘과 같은 표시요소를 그대로 조작하여 수많은 매크로를 실행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종래의 기술에 있어, 홈스크린에서 한 손의 손가락만으로 특정 작업을 실행시키던 것과 달리, 이상의 실시예에 의하면, 양손의 손가락(예를 들어 엄지)이 협동하여 매우 효율적으로 매크로를 실행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technique for inputting a short permutation sequence for executing a large number of macros by using a conventional display element such as an icon or a folder displayed on a home screen in a conventional portable terminal is provided. Started. This means that a large number of macros can be executed without additionally installing a specific display element such as a specific icon for executing a macro, and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use the space on the home screen of a narrow portable terminal. In addition, it means that you can enter a shortcut sequence directly from the home screen without displaying a separate screen for inputting the shortcut sequence on the touch screen of the mobile terminal, as a result, as shown in the prior art, the display on the touch screen is The icons on the home screen that are most familiar with their shape and location can be used without the time or effort of waiting for the process of converting to a separate screen, or adapting the position of the display elements displayed on the separate screen. You can run many macros by manipulating the same display elements. In addition, in the related art, unlike the case where a specific task is executed with only one finger on the home screen, according to the above embodiment, the fingers of both hands (for example, the thumb) can cooperate to execute the macro very efficiently. do.

상기 표시요소는, 종래의 휴대단말기에서의 아이콘 또는 폴더 등으로서의 종래의 기능은 그대로 유지하는데, 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 아이콘의 경우, 이를 단독으로 탭하면 미리 할당된 특정 애플리케이션을 활성화하고, 폴더의 경우 이를 단독으로 탭하면 당해 폴더의 내용을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표시요소를 단독으로 조작하면, 당해 표시요소에 미리 할당된 종래의 기능을 수행한다.The display element maintains a conventional function as an icon or a folder in a conventional mobile terminal. For example, in the case of an application icon, tapping it alone activates a specific application that is pre-assigned. Tapping it alone displays the contents of the folder. When the display element is operated alone, the conventional function previously assigned to the display element is performed.

종래의 휴대단말기에 있어, 홈스크린에 표시되는 아이콘, 폴더와 같은, 독립기능요소의 경우, 각각의 요소에 할당된 기능은 서로 독립적이다. 즉, 제어부(102)에서는 각각의 표시요소를 단독 조작(예를 들어 1회 탭)하면, 각각 할당된 독립된 기능(고유기능)을 수행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것이지("독립적 기능"), 다른 표시요소(또는 입력요소)와 상호의존, 협동하여 하나의 기능이 수행되도록 설정되어 있지 않다("협동적 기능"). 좀 더 구체적으로는, 제어부(102)에서는 다수의 표시요소의 입력을 연속적으로 수신하여, 당해 연속 입력에 의하여 하나의 (공통된) 기능, 예컨대 문자 혹은 단어를 입력하는 등의 기능이 완성되도록 설정되어 있다거나, 또는 다른 표시요소와의 조합에 의한 조작으로 하나의 기능이 수행되도록 설정되어 있지 않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이와 같은 독립적인 기능을 하는 표시요소를 마치 키패드의 자판처럼 협동적 기능을 하는 표시요소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활용하였다. 또한, 상기 표시요소의 독립적인 기능은 그대로 유지한 채, 협동적인 기능을 겸하여 수행할 수 있는 이중기능요소로서 활용하였으며,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 사익 협동적 기능을 통하여 이루고자 하는 하나의 기능은, 매크로 실행을 위한 단축순열의 문자입력이라고 할 수 있다.In the conventional portable terminal, in the case of independent function elements such as icons and folders displayed on the home screen, the functions assigned to each element are independent of each other. That is, the control unit 102 is set to perform each assigned independent function (unique function) when each display element is operated alone (for example, one tap) ("independent function"). (Or cooperative functions) are not set up to perform a function in interdependence or in coordination with an input element ("collaborative function"). More specifically, the control unit 102 is configured to continuously receive input of a plurality of display elements, and to complete one (common) function such as inputting a character or a word by the continuous input. It is not set to perform one function by the operation by the present invention or in combination with another display element.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play element having such an independent function is utilized to serve as a display element having a cooperative function like a keyboard of a keypad. In addition, while maintaining the independent function of the display element, it was utilized as a dual function element that can be performed as a cooperative function, in a preferred embodiment, one function to achieve through the private interest cooperative function, It can be said to input a short sequence of characters to execute a macro.

이와 같이 종래의 휴대단말기에 있어서 홈스크린에 표시되는 표시요소를 그대로 활용하여 매크로 실행을 위한 단축순열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 입장에서는 종래의 홈스크린으로서의 기능을 그대로 유지하면서도, 원하는 매크로를 빠르게 실행할 수 있으며, 그 결과 제한된 터치스크린상의 공간이라고 하는 하드웨어 자원을 절약하고 이를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된다. In this way, by using the display elements displayed on the home screen as it is in the conventional mobile terminal, a short sequence for macro execution can be input, so that a user can quickly select a desired macro while maintaining the function as a conventional home screen. It can be implemented, resulting in the saving and efficient utilization of hardware resources called limited space on the touch screen.

홈스크린 아이콘은, 홈스크린 중에서도 기본 홈스크린에 표시되는 아이콘만을 활용할 수도 있고, 다른 모든 홈스크린에서도 동일하게 활용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The home screen icon may use only the icon displayed on the basic home screen among the home screens, or may be set to use the same on all other home screens.

본 출원을 기술함에 있어서, 아이콘이라는 것은 화면에 표시될 수 있는 많은 표시요소를 대표하는 하나의 예로서 사용하여 기술한 것이며, 그외 폴더, 위젯 등 어떠한 형태의 표시요소로 대체할 수 있다.In describing the present application, an icon is described using one example representing many display elements that can be displayed on the screen, and may be replaced with any other display element such as a folder or a widget.

또한, 사용자가 단축순열을 입력하고 나서, 일정시간이 경과된 후에 제어부에서 매크로를 추출하고 실행한다거나, 혹은 한번 사용자의 확인과정을 거친 후에 실행하는 등의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또한, 단축순열을 입력한다는 것은, 본 발명의 매크로 실행을 위한 단축순열을 입력한다는 것을 의미한다.In addition, after the user inputs the shortened sequence, various modifications such as extracting and executing the macro from the control unit after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or executing the user's confirmation process may be possible. In addition, inputting a shortened sequence means inputting a shortened sequence for executing a macro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상의 실시예에 있어서, 홈스크린의 표시요소를 도움요소로 활용하였지만, 그 중에서도 입력요소만을 도움요소로 활용할 수 있다.In the above embodiment, the display element of the home screen is used as a help element, but only the input element may be used as the help element.

이상의 다양한 실시예에 있어서, 프로세스의 진행 도중에 프로세스의 종료를 원한다면, 홈스크린상의 특정 영역, 예컨대 특정 상태 아이콘을 탭한다거나, 홈스크린을 특정 제스쳐 조작한다거나 하는 등의 다양한 방법으로 프로세스를 종료할 수 있도록 설정할 수 있다.In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if the process is to be terminated while the process is in progress, the process may be terminated by various methods such as tapping a specific area on the home screen, for example, a specific status icon, or making a specific gesture on the home screen. Can be set.

이중기능요소는, 독립기능요소로서의 고유기능과 본 발명의 매크로 실행을 위한 기능을 겸비한다.The dual function element combines a unique function as an independent function element and a function for executing a macro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출원에서는 매크로를 비롯한 여러 용어를 사용하였는데, 이는 사용자가 특정 입력을 하면, 휴대단말기에서는 이에 대응하는 특정 작업을 수행한다는 것을 알기 쉽게 표현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In the present application, a number of terms including macros are used, which is intended to clearly indicate that a user performs a specific task when a user inputs a specific input, and does not limit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일련번호를 예를 들어 사용했지만, 알파벳을 비롯한 다른 문자를 활용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In addition, although the serial number is used as an example, it can be set to utilize other characters including the alphabet.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 특정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 표시요소의 조작 방법을 여러가지 개시하였지만, 이는 고정된 것이 아니고, 다른 어떠한 조작방법에 할당되어질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는 명백할 것이다.Further,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various methods of operating the display element have been disclosed in order to perform a specific function, but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is is not fixed and can be assigned to any other operation method.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 표시요소를 조작하여, 문자로 구성되는 단축순열이 입력할 수 있도록 하였는데, 반드시 문자가 실제로 입력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고, 이에 대응하는 어떠한 다른 형태의 신호가 입력되어도 무방하며,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에 포함되거나, 균등물로 보아야 할 것이다.In addition,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display element is manipulated so that a shortened sequence of characters can be input, but the characters are not necessarily inputted, and any other type of signal corresponding thereto may be input. Such variations are intended to be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or equivalents.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As the inventive concept allows for various changes and numerous embodiments, particular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written description.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추루언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xample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this speculation, the terms "comprise" or "having" are intended to indicate that there is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one or more other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exclud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the addition of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a combination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evant art and are to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overly formal sense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Do not.

또한, 이중기능요소라는 용어는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표현하기 위하여 예를 들어 사용된 것으로, 어떠한 제한적인 의미도 없으며, 본 명세서에서 개시한 발명과 균등한 기능을 갖는 어떠한 다른 형태의 기술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거나, 본 발명의 균등물로 봐야 할 것이다.In addition, the term bi-functional element is used, for example, to express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no limit in any way, and any other form of technology having an equivalent function to the invention disclosed herein It is intended to be within the scope of the invention or to be equivalent to the invention.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drawings are intended to be illustrative only and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other modifications based o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ossible in addition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100 : 저장부 102 : 제어부
104 : 터치스크린 113 : Mc아이콘
100: storage unit 102: control unit
104: touch screen 113: Mc icon

Claims (20)

표시 및 입력이 가능한 터치스크린, 적어도 하나의 매크로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전체적인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 휴대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터치스크린에는 고유기능 및 매크로기능을 가지는 이중기능요소인 표시요소가 표시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스크린에 표시되어 매크로를 실행시키는데 도움을 주는 요소인 도움요소의 특정 조작여부에 따라 상기 매크로기능을 택일적으로 수행하며,
상기 도움요소 및 상기 표시요소에 의하여 입력받은 특정신호에 대응하는 매크로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크로 기능을 구비한 휴대단말기.
In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touch screen for display and input, a storage unit for storing at least one macro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verall operation,
The touch screen displays a display element which is a dual function element having a unique function and a macro function,
The controller may alternatively perform the macro function according to a specific operation of a help element, which is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to help execute a macro.
And a macro function corresponding to a specific signal input by the help element and the display element.
표시 및 입력이 가능한 터치스크린, 적어도 하나의 매크로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전체적인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 휴대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터치스크린에는 고유기능 및 매크로기능을 가지는 이중기능요소인 문자입력요소가 표시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스크린에 표시되어 매크로를 실행시키는데 도움을 주는 요소인 도움요소의 특정 조작여부에 따라 상기 문자입력요소의 기능을 택일적으로 수행하며,
상기 도움요소 및 상기 문자입력요소에 의하여 입력받은 단축순열과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매크로에 해당하는 매크로할당단축순열을 비교하여 일치하면, 상기 매크로할당단축순열에 대응하는 매크로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크로 기능을 구비한 휴대단말기.
In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touch screen for display and input, a storage unit for storing at least one macro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verall operation,
The touch screen displays a character input element which is a dual function element having a unique function and a macro function,
The controller may alternatively perform a function of the text input element according to a specific operation of a help element, which is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to help execute a macro.
And comparing a short sequence sequence input by the help element and the character input element with a macro allocation sequence sequence corresponding to a macro stored in the storage unit, and executing a macro corresponding to the macro allocation sequence sequence. Handheld terminal with macro functio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도움요소가 특정 조작되면, 상기 문자입력요소를 단축순열을 입력할 수 있는 모드로 변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크로 기능을 구비한 휴대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2,
And the controller converts the text input element into a mode in which a short sequence can be input when the help element is specified.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도움요소의 특정 조작은,
탭 또는 제스쳐 조작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크로 기능을 구비한 휴대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3,
Specific operation of the help element,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macro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y one of a tap or a gesture operation.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입력요소의 모드는,
숫자키 입력모드, 또는 제스쳐 입력모드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크로 기능을 구비한 휴대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3,
The mode of the character input element is,
A mobile terminal having a macro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one of a numeric key input mode and a gesture input mod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도움요소가 조작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문자입력요소에 대응하는 위치에 특정 문자 또는 숫자를 표시하도록 설정되며,
상기 문자입력요소에 의해 입력을 받은 단축순열과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매크로에 해당하는 매크로할당단축순열을 비교하여 일치하면, 상기 매크로할당단축순열에 대응하는 매크로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크로 기능을 구비한 휴대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2,
The control unit is set to display a specific letter or number at the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haracter input element when the help element is operated,
The macro function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acro corresponding to the macro allocation short sequence is executed when the short sequence sequence input by the character input element and the macro allocation short sequence corresponding to the macro stored in the storage unit are matched. Mobile terminal equipped.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도움요소가 터치되면 상기 문자입력요소가 동시에 터치되는지 판별하며, 상기 문자입력요소가 동시에 터치된 경우, 상기 문자입력요소의 터치조작에 해당하는 단축순열이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크로 기능을 구비한 휴대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2,
The controller determines whether the text input elements are simultaneously touched when the help element is touched, and when the text input elements are touched at the same time, a short sequence corresponding to a touch manipulation of the text input elements is input. Mobile terminal with a function.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입력요소의 터치조작은 제스쳐 조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크로 기능을 구비한 휴대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And wherein the touch manipulation of the character input element is a gesture manipulation.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입력요소는 숫자키패드로 활용가능하도록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크로 기능을 구비한 휴대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character input element is a mobile terminal having a macro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is set to be utilized as a numeric keypad.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도움요소를 탭한 후 릴리스되기까지 상기 문자입력요소를 사용하여 연속적으로 단축순열을 입력할 수 있도록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크로 기능을 구비한 휴대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And a macro function set to continuously input a shortened sequence using the text input element until the help element is released after tapping the help element.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움요소는 이중기능요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크로 기능을 구비한 휴대단말기.
11.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0,
The help element is a mobile terminal having a macro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dual function element.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도움요소를 단독으로 탭하면 도움요소에 할당된 고유기능이 수행되고,
상기 도움요소를 탭하고 누르고 있는 동안에 문자입력요소가 조작되면 매크로를 실행시키기 위한 단축순열이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크로 기능을 구비한 휴대단말기.
12. The method of claim 11,
If you tap the help element alone, a unique function assigned to the help element is performed.
And a short sequence for inputting a macro when a text input element is manipulated while tapping and holding the help element.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도움요소를 탭한 후, 문자입력요소가 터치되지 않고 도움요소가 릴리스된 경우,
제어부에서는 상기 도움요소가 터치된 터치시간을 측정하여 일정 시간이내이면 상기 도움요소의 고유기능을 실행하고 일정시간 이상이면 상기 도움요소가 터치되기 전의 상태로 되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크로 기능을 구비한 휴대단말기.
12. The method of claim 11,
After tapping the help element, if the text input element is not touched and the help element is released,
The control unit measures the touch time when the help element is touched, and executes the unique function of the help element within a predetermined time, and returns to the state before the help element is touched if a predetermined time or more. Mobile terminal.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도움요소는 복수 개이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도움요소와 문자입력요소의 조합에 의한 단축순열을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매크로에 해당하는 매크로할당단축순열과 비교하여 일치하면, 상기 매크로할당단축순열에 대응하는 매크로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크로 기능을 구비한 휴대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2,
There are a plurality of help elements, and the controller corresponds to the macro assignment short axis sequence when the short sequence of the combination of the help element and the text input element is compared with the macro allocation short sequence corresponding to the macro stored in the storage unit. A mobile terminal having a macro function, characterized by executing a macro.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도움요소 또는 문자입력요소의 조작은 제스쳐조작을 포함하며,
상기 제스쳐조작에 문자 또는 숫자가 할당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크로 기능을 구비한 휴대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2,
The manipulation of the help element or the text input element includes a gesture manipulation,
A mobile terminal having a macro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letters or numbers are assigned to the gesture operation.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스쳐조작은 특정방향으로의 슬라이딩 또는 플릭조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크로 기능을 구비한 휴대단말기.
16. The method of claim 15,
The gesture operation is a mobile terminal having a macro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sliding or flick operation in a specific direction.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입력요소를 도움요소로 활용할 수 있도록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크로 기능을 구비한 휴대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A mobile terminal having a macro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set to utilize the character input element as a help element.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입력요소 중 두 개의 요소를 선택하고,
어느 하나의 요소를 누르고 있는 상태에서 다른 하나의 요소를 터치하면, 상기 두 개의 요소에 할당된 숫자의 조합에 의한 두 자리 수가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크로 기능을 구비한 휴대단말기.
18. The method of claim 17,
Select two elements of the character input element,
Touching the other element while pressing any one element, the portable terminal having a macro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two-digit number is input by the combination of the numbers assigned to the two elements.
휴대용 단말기에서 매크로를 실행시키는 방법으로서,
상기 단말기는,
적어도 하나의 매크로를 저장할 수 있는 저장부와,
홈스크린을 표시할 수 있고,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 터치스크린과,
단말기의 작업을 총괄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방법은,
문자로 구성되는 특정 단축순열을 각각의 매크로에 할당하여 저장부에 저장하고,
상기 홈스크린의 표시요소 중 적어도 하나를 도움요소로 지정하고,
상기 홈스크린의 표시요소 중에서, 독립기능 표시요소의 일부를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문자입력요소로 지정하며,
상기 도움요소와 상기 문자입력요소의 조합에 의한 조작으로 상기 단축순열을 입력할 수 있도록 설정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도움요소의 특정 조작여부에 따라 상기 문자입력요소의 기능을 택일적으로 수행하며,
상기 문자입력요소는 이중기능요소이며,
사용자가 상기 도움요소와 상기 문자입력요소를 조작하여 특정 단축순열을 입력하면, 단말기의 제어부에서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매크로 중에서 상기 단축순열이 할당되어 있는 매크로를 추출하고, 이를 실행하도록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단말기에서 매크로를 실행시키는 방법.
As a method of running a macro in a portable terminal,
The terminal comprises:
A storage unit capable of storing at least one macro,
A touch screen that can display the home screen and input user commands,
It is provided with a control unit that manages the operation of the terminal,
The method comprises:
Assign a specific short sequence of characters to each macro and store it in the storage.
Designate at least one of the display elements of the home screen as a help element,
Among the display elements of the home screen, a part of the independent function display element is designated as a text input element for inputting text.
Set to input the shortened sequence by the operation of the combination of the help element and the text input element,
The controller may alternatively perform the function of the text input element according to whether the help element is specified.
The character input element is a dual function element,
When a user inputs a specific shortcut sequence by operating the help element and the text input element, the controller of the terminal extracts a macro to which the shortcut sequence is assigned from the macros stored in the storage unit, and sets it to execute. A method for executing a macro in a portab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도움요소는 이중기능요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단말기에서 매크로를 실행시키는 방법.
20. The method of claim 19,
And wherein said help element is a dual function element.
KR1020110125487A 2010-12-27 2011-11-29 Mobile Terminal having macro function and Method for triggering macro using the same KR101287054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061460032P 2010-12-27 2010-12-27
US61/460,032 2010-12-27
KR20110091207 2011-09-07
KR1020110091207 2011-09-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4205A KR20120074205A (en) 2012-07-05
KR101287054B1 true KR101287054B1 (en) 2013-07-22

Family

ID=467084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5487A KR101287054B1 (en) 2010-12-27 2011-11-29 Mobile Terminal having macro function and Method for triggering macro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287054B1 (en)
WO (1) WO2013035965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4946B1 (en) 2014-11-21 2016-02-17 스튜디오씨드코리아 주식회사 Method, system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providing prototyping tool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9149B1 (en) 2005-11-24 2006-11-27 주식회사 팬택 Mobile communication device having display-hot keys and method of the same
KR20070029986A (en) * 2005-09-12 2007-03-15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for common shortcut key in user interface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100037973A (en) * 2008-10-02 2010-04-12 삼성전자주식회사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executing function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5314B1 (en) * 2005-12-13 2007-05-08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for control of shortening key using morse code in mobile phone
KR20090104377A (en) * 2008-03-31 2009-10-06 이너비트 주식회사 Data search method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29986A (en) * 2005-09-12 2007-03-15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for common shortcut key in user interface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649149B1 (en) 2005-11-24 2006-11-27 주식회사 팬택 Mobile communication device having display-hot keys and method of the same
KR20100037973A (en) * 2008-10-02 2010-04-12 삼성전자주식회사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executing function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035965A1 (en) 2013-03-14
KR20120074205A (en) 2012-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17174B2 (en) Method of operating a display unit and a terminal supporting the same
JP4640822B2 (en) Input device
Fuccella et al. Gestures and widgets: performance in text editing on multi-touch capable mobile devices
JP6071107B2 (en) Mobile device
CN108132744B (en) Method and equipment for remotely controlling intelligent equipment
EP2763023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ultitasking
US20140123049A1 (en) Keyboard with gesture-redundant keys removed
JP2007066031A (en) Information input system
EP259504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putting character in touch device
JP2010538347A (en) Improved data entry system
US11907741B2 (en) Virtual input device-based method and system for remotely controlling PC
EP3477457B1 (en) Touchpad-based rapid information input and interaction method and input and interaction system
CN101751296A (en) Method and device for call management of application program
CN105718130A (en) Page switching method and apparatus for lantern slides
KR20150144267A (en) Method for arranging icon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CN105892872A (en) Touch screen-based automatic screen scrolling control method for electronic books, and mobile terminal
CN10332443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items with multiple fingers
KR101287054B1 (en) Mobile Terminal having macro function and Method for triggering macro using the same
JP2014238704A (en) Input device, input method, and program
JP2014512585A (en) Information input system and information input method using extended key
JP5576572B1 (en) Engineering tools
JP5245708B2 (en) Character input device, character input method, and character input program
US20150106764A1 (en) Enhanced Input Selection
KR101454896B1 (en) Korean characters input apparatus using touch pannel and method of the same
JP2016218890A (en) Electronic device and input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