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9091B1 -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having efficient input function,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 Google Patents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having efficient input function,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9091B1
KR101149091B1 KR1020050070661A KR20050070661A KR101149091B1 KR 101149091 B1 KR101149091 B1 KR 101149091B1 KR 1020050070661 A KR1020050070661 A KR 1020050070661A KR 20050070661 A KR20050070661 A KR 20050070661A KR 101149091 B1 KR101149091 B1 KR 1011490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ons
main menu
displayed
contact switch
menu i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7066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70016282A (en
Inventor
이은경
최나리
신창범
박세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706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9091B1/en
Publication of KR200700162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628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90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909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2Control of parameters via user interfac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는 복수의 버튼들 및 제어부를 포함한다. 복수의 버튼들은 디스플레이 주변의 가로 및 세로 열에 구비되고, 터치 센서와 접점식 스위치가 일체화되어 있다. 제어부는 버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주메뉴 항목을 대응시켜 디스플레이 하고, 적어도 일 회 이상의 접점식 스위치 입력 신호를 수신하여 선택된 주메뉴 항목을 실행하거나, 주메뉴 항목과 다른 열에 디스플레이된 하위메뉴 항목을 실행하고, 접점식 스위치에 의해 선택된 주메뉴 항목과 다른 열에 구비된 터치 센서 조작 신호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된 영상의 상태를 변경한다.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buttons and a controller. A plurality of buttons are provided in horizontal and vertical rows around the display, and a touch sensor and a contact switch are integrated. The control unit displays the at least one main menu item in correspondence with the button, executes the selected main menu item by receiving at least one contact switch input signal, or executes a sub-menu item displayed in a column different from the main menu item. In response to the main menu item selected by the contact switch, a touch sensor operation signal provided in a different column is received to change the state of the displayed image.

Description

효율적인 입력 기능을 가진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having efficient input function,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having efficient input function,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로서의 디지털 카메라의 뒤쪽 외형을 보여주는 배면도이다.FIG. 1 is a rear view of a rear surface of a digital camera as a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도 2는 도 1의 디지털 카메라의 전체적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digital camera of FIG. 1.

도 3은 도 2의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의 주 제어 알고리듬 중 터치 센서 조작에 의해 디스플레이된 영상의 상태를 변경하는 방법의 동작을 보여주는 흐름도 이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method of changing a state of an image displayed by a touch sensor operation of a main control algorithm of the digital camera processor of FIG. 2.

도 4는 도 2의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의 주 제어 알고리듬 중 접점식 스위치 조작에 의해 메뉴 항목을 실행하는 방법의 동작을 보여주는 흐름도 이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method of executing a menu item by a contact switch operation of a main control algorithm of the digital camera processor of FIG. 2.

도 5는 도 1의 디지털 카메라의 상태에서 촬영할 영상의 컬러 조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5 is a diagram illustrating color adjustment of an image to be photographed in the state of the digital camera of FIG. 1.

도 6은 도 1의 디지털 카메라의 상태에서 촬영할 영상의 화질을 선택한 후 촬영을 보여주는 도면이다.6 is a diagram illustrating photographing after selecting an image quality of an image to be photographed in the state of the digital camera of FIG. 1.

도 7은 도 1의 디지털 카메라의 상태에서 풍경 장면 촬영을 선택한 후 촬영을 보여주는 도면이다.FIG. 7 is a view illustrating photographing after selecting landscape scene photographing in the state of the digital camera of FIG. 1.

도 8은 도 1의 디지털 카메라에서 연속촬영을 보여주는 도면이다.8 is a diagram illustrating continuous shooting in the digital camera of FIG. 1.

도 9는 도 1의 디지털 카메라에서 촬영한 영상을 임의의 앨범으로 저장하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다.FIG. 9 is a diagram illustrating storing images captured by the digital camera of FIG. 1 into an arbitrary album.

도 10는 도 1의 디지털 카메라에서 임의의 앨범에 명칭을 생성하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다.FIG. 10 is a diagram for generating a name for an album in the digital camera of FIG. 1.

도 11은 도 1의 디지털 카메라에서 셋-업 메뉴 설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FIG. 1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et-up menu setting in the digital camera of FIG. 1.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디지털 카메라, B1 B13 입력 버튼들, 1 ... digital camera, B1 B13 input buttons,

35...칼라 LCD 패널, 13...셔터 릴리즈 버튼, 35 ... color LCD panel, 13 ... shutter release button,

14...모드 다이얼, 39W...광각-줌 버튼, 14 ... Mode dial, 39 W ... Wide-Zoom button,

39T...망원-줌 버튼.39 T ... Tele-Zoom button.

본 발명은,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 패널 및 배열된 입력 버튼들을 포함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to a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including a display panel and arranged input buttons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통상적인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예를 들어, 본 출원인에 의하여 특허 출원되었던 2003년도 국내 특허 제2003-039344호(발명의 명칭 : 폴더 아이콘들이 이동 하는 휴대용 디지털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장치)의 디지털 카메라는, 디스플레이 패널 및 입력 버튼들을 포함한다.Conventional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for example, the digital camera of the 2003 domestic patent No. 2003-039344 (name of the invention: a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a portable digital device in which folder icons are moved), which is patented by the present applicant, Display panel and input buttons.

상기와 같은 통상적인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문제점들이 있다.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as described above has the following problems.

첫째, 입력 버튼들 각각이 고유한 입력 기능만을 가지므로, 많은 입력 기능들을 실현하기 위하여 많은 입력 버튼들이 구비되어야만 한다. First, since each of the input buttons has only a unique input function, many input buttons must be provided to realize many input functions.

둘째, 디스플레이 패널에 디스플레이 되는 아이콘들이 선택되기 위하여 방향 버튼들이 사용되므로, 사용자는 원하는 아이콘을 신속하게 선택할 수 없다.Second, since direction buttons are used to select icons displayed on the display panel, the user cannot quickly select a desired icon.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입력 버튼들의 입력횟수를 효율적으로 줄일 수 있고, 사용자가 원하는 아이콘을 신속하게 선택할 수 있게 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provides a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a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which can efficiently reduce the number of times of input buttons and allow a user to quickly select a desired icon. There is that purpose.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는 디스플레이 주변의 가로 및 세로 열에 구비되고, 터치 센서와 접점식 스위치가 일체화된 복수의 버튼들; 및 상기 버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주메뉴 항목을 대응시켜 디스플레이 하고, 적어도 일 회 이상의 상기 접점식 스위치 입력 신호를 수신하여 선택된 주메뉴 항목을 실행하거나, 상기 주메뉴 항목과 다른 열에 디스플레이된 하위메뉴 항목을 실행하고, 상기 접점식 스위치에 의해 선택된 주메뉴 항목 과 다른 열에 구비된 상기 터치 센서 조작 신호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된 영상의 상태를 변경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for solving 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plurality of buttons provided in horizontal and vertical columns around the display, the touch sensor and the contact switch is integrated; And displaying at least one main menu item in correspondence with the button, receiving the at least one contact switch input signal to execute a selected main menu item, or displaying a submenu item displayed in a column different from the main menu item. And a control unit configured to change the state of the displayed image by receiving the touch sensor manipulation signal provided in a column different from the main menu item selected by the contact switch.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은 디스플레이 주변의 가로 및 세로 열에 구비되고 터치 센서와 접점식 스위치가 일체화된 복수의 버튼들을 구비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으로서, (a) 상기 버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뉴 항목을 대응시켜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 및 (b) 임의의 상기 접점식 스위치 및/또는 터치 센서 입력신호가 수신되면 그에 대응하는 메뉴 항목을 실행하거나 디스플레이된 영상의 상태를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control method of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for solving 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control of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having a plurality of buttons provided in horizontal and vertical columns around the display and integrated with a touch sensor and a contact switch A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a) mapping at least one menu item to a corresponding button; And (b) executing any menu item corresponding to the contact switch and / or touch sensor input signal or changing a state of the displayed image.

본 발명의 상기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의하면, 입력 버튼들 각각에 상응하는 아이콘들이 입력 버튼들 각각의 배열 위치와 대응한 위치에 디스플레이 되므로, 입력 버튼들 각각이 다수의 아이콘들에 상응하는 입력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으며, 입력 버튼들의 입력횟수를 효율적으로 줄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아이콘을 직접적으로 신속하게 선택하여 해당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icons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input buttons are display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arrangement positions of the input buttons, each of the input buttons corresponds to a plurality of icons. It can perform input functions, and the number of times of input buttons can be reduced efficiently. Accordingly, the user can directly and quickly select the desired icon to perform the corresponding function.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가 상세히 설명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로서의 디지털 카메라(1)의 뒤쪽 외형을 보여주는 배면도로서, 셔터-릴리즈 버튼(13), 모드 다이얼(14), 컬러 LCD 패널(35), 입력 버튼들(B1~B13)(이하 버튼들(B1~B13)이라 표기 함), 광각-줌 버튼(39W), 망원-줌 버튼(39T)을 구비한다. FIG. 1 is a rear view of a rear view of a digital camera 1 as a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Input buttons B1 to B13 (hereinafter referred to as buttons B1 to B13), a wide-angle zoom button 39 W , and a telephoto-zoom button 39 T.

버튼들(B1~B13)은 컬러 LCD 패널(35)의 가로 열 및 세로 열에 구비된다. 컬러 LCD 패널(35)의 가로 열 및 세로 열에 구비된 버튼들(B1~B13)은 터치 센서(도시되지 않음)와 접점식 스위치(도시되지 않음)가 일체화 되어 있다. The buttons B1 to B13 are provided in the horizontal row and the vertical row of the color LCD panel 35. The buttons B1 to B13 provided i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columns of the color LCD panel 35 are integrated with a touch sensor (not shown) and a contact switch (not shown).

즉, 버튼들(B1~B13)의 상부에는 터치 센서가 구비되어 가로 열의 버튼들(B1~B7) 또는 세로 열의 버튼들(B8~B13)을 터치한 상태에서 상/하/좌/우로 이동하여 주메뉴 항목 중 임의의 값(예를 들어, 컬러 또는 밝기)을 선택하거나, 주메뉴 아이콘에 포함된 하위메뉴 아이콘을 활성화 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터치 센서 하부에는 접점식 스위치가 구비되어 있어, 주메뉴 아이콘 및 하위메뉴 아이콘을 직접 선택하여 해당 기능을 실행시킬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접점식 스위치 입력에 비해 상대적으로 약한 터치만을 요구하지만, 접점식 스위치 입력은 터치 센서 입력에 비해 상대적으로 강한 터치를 요구한다.That is, the touch sensor is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s of the buttons B1 to B13, and moves up / down / left / right while touching the buttons B1 to B7 in the horizontal row or the buttons B8 to B13 in the vertical row. You can select any value (eg color or brightness) from the main menu items or activate the submenu icons included in the main menu icons. In addition, a contact switch is provided below the touch sensor so that a corresponding function can be executed by directly selecting a main menu icon and a submenu icon. The touch sensor requires only a weak touch relative to the contact switch input, but the contact switch input requires a relatively strong touch compared to the touch sensor input.

또한 컬러 LCD 패널(35)에 별도로 표시된 공간(35-1)은 버튼(B7) 및 버튼(B13)이 동시에 입력될 수 있는 공간으로, 버튼(B7)에 의해 실행되는 아이콘을 배치한다. 버튼(B13)은 다른 기능을 실행하는 버튼으로 사용할 수 있다. 버튼(B13)은 현재 모드에서 다른 모드 예를 들어, 촬영 모드에서 재생모드로 전환할 때 입력되고, 또한 사용자 설정에 의하여 버튼의 기능이 변경 가능하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에 개시된 내용만으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In addition, the space 35-1 separately displayed on the color LCD panel 35 is a space in which the button B7 and the button B13 can be simultaneously input, and arrange an icon executed by the button B7. The button B13 can be used as a button for executing another function. The button B13 is input when switching from the current mode to another mode, for example, the shooting mode to the playback mode, and also enables the function of the button to be changed by user setting, and is limited to only the contents disclosed above. no.

도 2는 도 1의 디지털 카메라(1)의 전체적 구성을 보여준다. 도 1 및 2를 참조하여, 도 1의 디지털 카메라(1)의 전체적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FIG. 2 shows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digital camera 1 of FIG. 1. 1 and 2, the overall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digital camera 1 of FIG. 1 will be described.

렌즈부와 필터부를 포함한 광학계(OPS)는 피사체로부터의 빛을 광학적으로 처리한다. The optical system OPS including the lens unit and the filter unit optically processes light from a subject.

광학계(OPS)의 렌즈부는 줌 렌즈, 포커스 렌즈, 및 보상 렌즈를 포함한다. The lens unit of the optical system OPS includes a zoom lens, a focus lens, and a compensation lens.

사용자가 사용자 입력부(INP)에 포함된 광각(wide angle)-줌 버튼(39w) 또는 망원(telephoto)-줌 버튼(39T)을 누르면, 이에 상응하는 신호가 마이크로 제어기(512)에 입력된다. 이에 따라, 마이크로 제어기(512)가 구동부(510)를 제어함에 따라, 줌 모터(MZ)가 구동되어 줌 렌즈가 이동된다. Zoom button (39w) or telephoto (telephoto) - - the user and the wide angle (wide angle) in the user input (INP) by pressing the zoom button (39 T), a corresponding signal is input to the microcontroller 512. The Accordingly, as the microcontroller 512 controls the driving unit 510, the zoom motor M Z is driven to move the zoom lens.

한편, 자동 초점 모드에 있어서,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 안에 내장된 주 제어기가 마이크로 제어기(512)를 통하여 구동부(510)를 제어함에 의하여 포커스 모터(MF)가 구동된다. 이에 따라 포커스 렌즈가 이동되며, 이 과정에서 영상 신호의 고주파 성분이 가장 많아지는 포커스 렌즈의 위치 예를 들어, 포커스 모터(MF)의 구동 스텝 수가 설정된다. Meanwhile, in the auto focus mode, the focus motor M F is driven by the main controller embedded in the digital camera processor 507 controlling the driving unit 510 through the micro controller 512. As a result, the focus lens is moved, and in this process, the position of the focus lens where the high frequency component of the image signal is the largest, for example, the number of driving steps of the focus motor M F is set.

참조 부호 MA는 조리개(aperture)를 구동하기 위한 모터를 가리킨다.Reference symbol M A denotes a motor for driving an aperture.

CCD(Charge Coupled Device) 또는 CMOS(Comple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의 광전 변환부(OEC)는 광학계(OPS)로부터의 빛을 전기적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시킨다. 여기에서,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는 타이밍 회로(502) 를 제어하여 광전 변환부(OEC)와 CDS-ADC(Correlation Double Sampler and Analog-to-Digital Converter) 소자(501)의 동작을 제어한다. CDS-ADC 소자(501)는, 광전 변환부(OEC)로부터의 아날로그 신호를 처리하여, 그 고주파 노이즈를 제거하고 진폭을 조정한 후,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킨다. A photoelectric conversion unit (OEC) of a charge coupled device (CCD) or a complementary metal-oxide-semiconductor (CMOS) converts light from an optical system (OPS) into an electrical analog signal. Here, the digital camera processor 507 controls the timing circuit 502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photoelectric converter OEC and the Correlation Double Sampler and Analog-to-Digital Converter (CDS-ADC) element 501. The CDS-ADC element 501 processes the analog signal from the photoelectric conversion unit OEC, removes the high frequency noise, adjusts the amplitude, and converts it into a digital signal.

실시간 클록(503)은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에 시간 정보를 제공한다.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는 CDS-ADC 소자(501)로부터의 디지털 신호를 처리하여 휘도 및 색도 신호로 분류된 디지털 영상 신호를 발생시킨다. Real time clock 503 provides time information to digital camera processor 507. The digital camera processor 507 processes digital signals from the CDS-ADC device 501 to generate digital image signals classified into luminance and chrominance signals.

주 제어기를 내장하는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로부터의 제어 신호들에 따라 마이크 로제어기(512)에 의하여 구동되는 발광부(LAMP)에는 지시용 램프들이 포함된다. 사용자 입력부(INP)는 셔터 릴리즈 버튼(13), 모드 버튼들(14), 광각-줌 버튼(39W), 망원-줌 버튼(39T), 및 버튼들(B1~B13) 등을 포함한다. Indicator lamps are included in the light emitting unit LAMP driven by the microcontroller 512 according to control signals from the digital camera processor 507 having the main controller. The user input unit INP includes a shutter release button 13, mode buttons 14, wide-zoom button 39 W , telephoto-zoom button 39 T , buttons B1 to B13, and the like. .

DRAM(Dynamic Random Access Memory, 504)에는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로부터의 디지털 영상 신호가 일시 저장된다.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505)에는 제어기로서의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의 동작에 필요한 알고리즘 및 설정 데이터가 저장된다. 메모리 카드 인터페이스(506)에서는 사용자의 기록 매체로서의 메모리 카드가 착탈된다.A digital image signal from the digital camera processor 507 is temporarily stored in a dynamic random access memory (DRAM) 504. The EEPROM (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505 stores algorithms and setting data necessary for the operation of the digital camera processor 507 as a controller. In the memory card interface 506, a memory card as a recording medium of a user is detached.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로부터의 디지털 영상 신호는 LCD 구동부(514)에 입력되고, 이로 인하여 컬러 LCD 패널(35)에 영상이 디스플레이 된다.The digital image signal from the digital camera processor 507 is inputted to the LCD driver 514, whereby the image is displayed on the color LCD panel 35.

한편,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로부터의 디지털 영상 신호는, USB(Universal Serial Bus) 접속부(21a) 또는 RS232C 인터페이스(508)와 그 접속부(21b)를 통하여 직렬 통신으로써 전송될 수 있고, 비데오 필터(509) 및 비데오 출력부(21c)를 통하여 비데오 신호로서 전송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digital video signal from the digital camera processor 507 can be transmitted by serial communication via the USB (Universal Serial Bus) connection 21a or the RS232C interface 508 and its connection 21b, and the video filter ( 509 and the video output unit 21c may be transmitted as a video signal.

오디오 처리기(513)는, 마이크로폰(MIC)으로부터의 음성 신호를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 또는 스피커(SP)로 출력하고,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로부터의 오디오 신호를 스피커(SP)로 출력한다.The audio processor 513 outputs the audio signal from the microphone MIC to the digital camera processor 507 or the speaker SP, and outputs the audio signal from the digital camera processor 507 to the speaker SP.

마이크로 제어기(512)는 플래시-광량 센서(도시되지 않음)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플래시 제어기(511)의 동작을 제어하여 플래시(12)를 구동한다.The microcontroller 512 drives the flash 12 by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flash controller 511 in accordance with a signal from a flash-light sensor (not shown).

한편, 칼라 LCD 패널(35)에서는, 사용자 입력부(INP)에 포함된 버튼들(B1~B13) 각각에 상응하는 아이콘들이 버튼들(B1~B13) 각각의 배열 위치와 대응한 위치에 디스플레이 된다. 따라서, 사용자 입력부(INP)에 포함된 입력 버튼들(B1~B13) 중 어느 한 버튼을 입력하면 입력된 버튼에 해당하는 아이콘이 활성화되면서 실행된다. 이에 따라, 메뉴 실행을 위한 입력 버튼들의 입력 횟수가 효율적으로 줄어들 수 있고, 사용자가 원하는 아이콘을 직접적으로 신속하게 선택할 수 있다. Meanwhile, in the color LCD panel 35, icons corresponding to the buttons B1 to B13 included in the user input unit INP are display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arrangement positions of the buttons B1 to B13, respectively. Accordingly, when one of the input buttons B1 to B13 included in the user input unit INP is input, an icon corresponding to the input button is activated and executed. Accordingly, the number of inputs of the input buttons for executing the menu can be reduced efficiently, and the user can directly and quickly select the desired icon.

도 1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도 3 및 도 4의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의 주 제어 알고리즘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의 주 제어 알고리즘은 크게 두 부분으로 나뉘어 설명된다. 그 하나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튼들(B1~B13) 상면에 구비된 터치 센서 조작에 의해 디스플레이된 영상의 상태를 변경하는 알고리즘이고, 나머지 하나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튼들 (B1~B13) 하면에 구비된 접점식 스위치 조작에 의해 메뉴 항목을 실행하는 알고리즘이다.1 to 11, the main control algorithm of the digital camera processor 507 of FIGS. 3 and 4 will be described. The main control algorithm of the digital camera processor 507 is described in two parts. One is an algorithm for changing the state of the image displayed by the touch sensor operation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s of the buttons B1 to B13 as shown in FIG. 3, and the other is the buttons (as shown in FIG. 4). B1 to B13) are algorithms for executing menu items by contact switch operation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먼저, 도 3을 참조하여 터치 센서 조작에 의해 디스플레이된 영상의 상태를 변경하는 알고리즘을 설명한다.First, an algorithm for changing a state of an image displayed by a touch sensor opera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단계 S31에 있어서, 사용자는 모드 다이얼(14)을 이용하여 촬영모드를 선택한다. 도 1에 도시된 모드 다이얼(14)은 사용자 설정을 최소화 하고 사용 목적에 따라 빠르고 간편하게 영상을 촬영하고자 할 때 이용하는 AUTO(자동 촬영) 모드(14-1), 촬영 상황 또는 피사체의 상태에 따라 최적의 카메라(1) 설정을 간단히 설정하기 위해 이용하는 SCENE(장면 촬영) 모드(14-2), 연속촬영 장면촬영 등 영상 촬영에 특별한 효과를 주기 위해 이용하는 EFFECT 모드(14-3), 조리개와 셔터속도를 포함한 각종 기능을 수동으로 설정하여 영상을 촬영하기 위해 이용하는 A/S/M 모드(14-4), 메모리 카드와 같은 저장 공간이 허용하는 시간 동안 움직이는 영상을 촬영, 저장하기 위해 이용하는 동영상 촬영모드(14-5), 메모리 저장 공간이 허용하는 시간 동안 음성만을 녹음, 저장하기 위해 이용하는 음성녹음 모드(14-6) 등이 있으며, 상기 모드들로 국한되지 않는다.In step S31, the user selects the shooting mode by using the mode dial 14. The mode dial 14 shown in Fig. 1 is optimized according to the shooting mode or the state of the subject, the AUTO (auto shooting) mode 14-1, which is used for minimizing user settings and for taking images quickly and easily according to the purpose of use. SCENE mode (14-2), which is used to easily set the camera's (1) settings, and EFFECT mode (14-3), which is used to give special effects to video shooting such as continuous shooting, aperture and shutter speed. A / S / M mode (14-4), which is used to manually set various functions such as shooting a video, and a video recording mode used to record and store moving video for a time allowed by a storage space such as a memory card. (14-5), there is a voice recording mode 14-6 used for recording and storing only voice for a time allowed by the memory storage space, and the like.

단계 S32에 있어서, 선택된 모드 다이얼에 따라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는 컬러 LCD 패널(35)에 각각 다른 주메뉴 아이콘들을 디스플레이 한다. 컬러 LCD 패널(35)에 디스플레이 되는 주메뉴 아이콘들은 터치 센서와 접점식 스위치가 일체화된 버튼들(B1~B13)과 대응되는 위치에 디스플레이 된다. In step S32, according to the selected mode dial, the digital camera processor 507 displays different main menu icons on the color LCD panel 35, respectively. The main menu icons displayed on the color LCD panel 35 are display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buttons B1 to B13 in which the touch sensor and the contact switch are integrated.

예를 들어, 사용자가 모드 다이얼(14)을 AUTO 모드(14-1)로 선택하고 버튼 (B8)을 입력한 경우,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는 컬러 LCD 패널(35)에 도 5a와 같은 아이콘들을 디스플레이 한다. 이때 디스플레이된 아이콘들은 각 버튼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 하는데, 버튼(B1)에 대응되는 위치에 플래시 아이콘이, 버튼(B2)에 대응되는 위치에 매크로 아이콘이, 이어서, 버튼(B3~B10)에 대응되는 위치에 해당 아이콘들을 디스플레이 한다. 버튼들(B1~B13) 중 버튼(B7)은 현재 컬러 LCD 패널(35) 상에 디스플레이 되지 못한 아이콘을 디스플레이 하고 선택하기 위해 입력된다. 버튼(B13)은 현재 모드에서 다른 모드 예를 들어, 촬영 모드에서 재생모드로 전환할 때 입력되고, 또한 사용자 설정에 의하여 버튼의 기능이 변경 가능하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에 개시된 내용만으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For example, when the user selects the mode dial 14 as the AUTO mode 14-1 and enters the button B8, the digital camera processor 507 displays an icon as shown in FIG. 5A on the color LCD panel 35. Display them. In this case, the displayed icons are displayed in correspondence with the respective buttons. The flash icon is displayed at the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button B1, the macro icon is positioned at the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button B2, and then the buttons B3 to B10 are displayed. Display the corresponding icon at the location. Among the buttons B1 to B13, button B7 is input to display and select an icon which is not currently displayed on the color LCD panel 35. The button B13 is input when switching from the current mode to another mode, for example, the shooting mode to the playback mode, and also enables the function of the button to be changed by user setting, and is limited to only the contents disclosed above. no.

단계 S33에 있어서, 선택된 모드 다이얼에 따라 컬러 LCD 패널(35)에 디스플레이된 주메뉴 아이콘들은 버튼들 중 터치 센서들을 터치한 상태에서 이동함과 동시에 활성화시킨다. In step S33, the main menu icons displayed on the color LCD panel 35 according to the selected mode dial are activated at the same time as the touch sensors of the buttons are touched.

예를 들어, 도 5a에서 버튼들(B1~B7) 중 터치 센서를 터치한 상태에서 좌/우로 이동하면 터치된 버튼에 해당하는 주메뉴 아이콘이 활성화 된다. 활성화된 주메뉴 아이콘은 활성화 되지 않은 주메뉴 아이콘과 비교시에 그 크기 및 색이 다르게 표현되며, 활성화된 주메뉴 아이콘의 명칭이 함께 디스플레이 된다. For example, in FIG. 5A, when the touch sensor is touched among the buttons B1 to B7, the main menu icon corresponding to the touched button is activated. The activated main menu icon is expressed in a different size and color compared to the main menu icon which is not activated, and the name of the activated main menu icon is displayed together.

단계 S34에 있어서,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는 임의의 주메뉴 아이콘에 해당하는 버튼 중 접점식 스위치 입력신호가 발생하였는지 판단한다. In step S34, the digital camera processor 507 determines whether a contact type switch input signal is generated among buttons corresponding to any main menu icon.

예를 들어, 도 5a에서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는 주메뉴 아이콘 중 컬러 조정을 위해 버튼(B9) 중 접점식 스위치가 입력되었는지 판단한다. For example, in FIG. 5A, the digital camera processor 507 determines whether a contact switch of the button B9 is input for color adjustment of the main menu icon.

단계 S35 및 S36에 있어서, 임의의 주메뉴 아이콘에 해당하는 버튼 중 접점식 스위치 입력신호가 발생한 경우, 접점식 스위치와 다른 열에 구비된 터치 센서들을 터치하거나 터치한 상태로 이동하여 임의의 값을 선택한다. 이때 상기 이동상태에 따라 컬러 LCD 패널(35)에 디스플레이된 영상의 상태가 변경된다. In steps S35 and S36, when a contact switch input signal is generated among buttons corresponding to an arbitrary main menu icon, the touch sensors provided in the column different from the contact switch are touched or moved in a state of selection to select an arbitrary value. do. At this time, the state of the image displayed on the color LCD panel 35 is changed according to the movement state.

예를 들어 도 5a에서 컬러 조정을 위해 버튼(B9)중 접점식 스위치를 입력하면,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컬러 LCD 패널(35)에는 컬러 조정메뉴(하위메뉴)가 가로 열에 디스플레이 되고, 가로 열의 버튼(B1~B7) 중 터치 센서를 터치하거나 터치한 상태에서 좌/우로 이동하여 원하는 컬러 조정 값을 선택한다. 이때 터치 센서를 터치한 상태로 이동하면, 디스플레이된 영상의 컬러 값은 버튼(B4)을 기준으로 왼쪽 방향으로 갈수록 붉게 표시되고, 버튼(B4)을 기준으로 오른쪽 방향으로 갈수록 파랗게 표시된다.For example, when the contact switch of the button B9 is input for color adjustment in FIG. 5A, as shown in FIG. 5B, the color adjustment menu (submenu) is displayed on the color LCD panel 35 in a horizontal column. Among the buttons B1 to B7 in the row, touch or touch the touch sensor and move left / right to select a desired color adjustment value. At this time, when the touch sensor is moved to the touch state, the color value of the displayed image is displayed in red toward the left direction based on the button B4, and displayed in blue toward the right direction based on the button B4.

단계 S37 및 S38에 있어서, 상기 이동에 따라 디스플레이된 영상이 임의의 변경상태가 된 경우 상기 접점식 스위치를 재 입력하여 디스플레이된 영상의 변경 상태를 고정시킨다.  In steps S37 and S38, when the displayed image is changed to any state according to the movement, the contact switch is input again to fix the changed state of the displayed image.

예를 들어, 도 5b에서 컬러 조정 값을 선택한 후에 세로 열의 주메뉴 컬러 아이콘에 해당하는 버튼(B9) 중 접점식 스위치를 입력하면 영상의 변경 상태가 고정된다.For example, after the color adjustment value is selected in FIG. 5B, when the contact switch of the button B9 corresponding to the main menu color icon in the vertical column is input, the image change state is fixed.

상기의 동작은 S39단계의 종료 신호가 발생할 때까지 반복적으로 진행될 수 있다.The above operation may be repeatedly performed until the end signal of step S39 occurs.

이어서, 도 4를 참조하여 접점식 스위치 조작에 의해 메뉴 항목을 실행하는 알고리즘을 설명한다. 단계 S41~S43은 도 3의 단계 S31~S33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Next, with reference to FIG. 4, the algorithm which performs a menu item by a contact switch operation is demonstrated. Steps S41 to S43 are the same as steps S31 to S33 in FIG. 3, and thus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단계 S41에 있어서, 사용자는 모드 다이얼(14)을 이용하여 촬영모드를 선택한다. In step S41, the user selects the shooting mode by using the mode dial 14.

단계 S42에 있어서, 선택된 모드 다이얼에 따라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는 컬러 LCD 패널(35)에 각각 다른 주메뉴 아이콘들을 디스플레이 한다. 컬러 LCD 패널(35)에 디스플레이 되는 주메뉴 아이콘들은 터치 센서와 접점식 스위치가 일체화된 버튼들(B1~B13)과 대응되는 위치에 디스플레이 된다. In step S42, according to the selected mode dial, the digital camera processor 507 displays different main menu icons on the color LCD panel 35, respectively. The main menu icons displayed on the color LCD panel 35 are display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buttons B1 to B13 in which the touch sensor and the contact switch are integrated.

단계 S43에 있어서, 선택된 모드 다이얼에 따라 컬러 LCD 패널(35)에 디스플레이된 주메뉴 아이콘들은 버튼들 중 터치 센서들을 터치하거나 터치한 상태에서 이동함과 동시에 활성화시킨다. In step S43, the main menu icons displayed on the color LCD panel 35 according to the selected mode dial are activated at the same time as touching or moving the touch sensors of the buttons.

단계 S44에 있어서,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는 임의의 주메뉴 아이콘에 해당하는 버튼 중 접점식 스위치 입력신호가 발생하였는지 판단한다. In step S44, the digital camera processor 507 determines whether a contact type switch input signal is generated among buttons corresponding to any main menu icon.

예를 들어, 도 6a에서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는 주메뉴 아이콘 중 화질 조정을 위해 버튼(B5) 중 접점식 스위치 입력 신호가 발행하였는지 판단한다.For example, in FIG. 6A, the digital camera processor 507 determines whether a contact type switch input signal of the button B5 is issued for image quality adjustment of the main menu icon.

단계 S45 및 S46에 있어서, 접점식 스위치의 입력으로 주메뉴 아이콘이 선택되면, 주메뉴 아이콘이 실행되며, 주메뉴 아이콘에 하위메뉴가 포함된 경우, 디스플레이된 주메뉴 아이콘과 다른 열에 하위메뉴 아이콘이 컬러 LCD 패널(35)에 디스플레이 된다. 컬러 LCD 패널(35)에 디스플레이된 하위메뉴 아이콘들은 버튼들 중 터치 센서들을 터치하거나 터치한 상태에서 이동함과 동시에 활성화된다. In steps S45 and S46, when the main menu icon is selected as the input of the contact switch, the main menu icon is executed. When the main menu icon includes a submenu, the submenu icon is displayed in a column different from the displayed main menu icon. It is displayed on the color LCD panel 35. The submenu icons displayed on the color LCD panel 35 are activated at the same time as touching or moving the touch sensors of the buttons.

예를 들어, 도 6a에서 화질 조정을 위한 주메뉴 버튼(B5) 중 접점식 스위치를 입력하면, 세로 열에 하위메뉴 아이콘 즉, 초고화질(S.FINE) 아이콘, 고화질(FINE) 아이콘 및 일반화질(NORMAL) 아이콘이 디스플레이 된다. 컬러 LCD 패널(35)에 디스플레이된 상기 하위메뉴 아이콘들은 버튼들(B9~B11) 중 터치 센서를 터치하거나 터치한 상태에서 상/하로 이동하면 터치된 버튼에 해당하는 하위메뉴 아이콘이 활성화 된다. 활성화된 하위메뉴 아이콘은 활성화 되지 않은 하위메뉴 아이콘과 비교시에 그 크기 및 색이 다르게 표현되며, 활성화된 하위메뉴 아이콘의 명칭이 함께 디스플레이 된다.For example, if the contact switch of the main menu button (B5) for adjusting the image quality is input in FIG. 6A, the sub-menu icon in the vertical column, that is, the S.FINE icon, the FINE icon, and the general image quality ( NORMAL) icon is displayed. When the submenu icons displayed on the color LCD panel 35 are moved up / down by touching or touching a touch sensor among the buttons B9 to B11, the submenu icons corresponding to the touched buttons are activated. The activated submenu icon is expressed in a different size and color compared to the inactive submenu icon, and the name of the activated submenu icon is displayed together.

단계 S47 및 S48에 있어서, 임의의 하위메뉴 아이콘에 대응되는 버튼 중 접점식 스위치 입력 신호가 발생되면, 선택된 하위메뉴의 동작을 실행한다.In steps S47 and S48, when a contact type switch input signal is generated among buttons corresponding to an arbitrary submenu icon, the operation of the selected submenu is executed.

예를 들어, 도 6b에서 버튼(B11) 중 접점식 스위치를 입력하면, 화질 주메뉴의 하위메뉴인 일반화질(NORMAL)이 선택되고, 이후 영상은 일반화질(NORMAL) 모드로 촬영된다. For example, when the contact switch of the button B11 is input in FIG. 6B, NORMAL, which is a submenu of the image quality main menu, is selected, and then an image is captured in the NORMAL mode.

상기의 동작은 S49단계의 종료 신호가 발생할 때까지 반복적으로 진행될 수 있다.The above operation may be repeatedly performed until the end signal of step S49 occurs.

도 5는 도 1의 디지털 카메라의 상태에서 촬영할 영상의 컬러 조정을 보여주는 도면으로, 모드 다이얼(14)을 AUTO 모드(14-1)로 조정한 상태에서 AUTO 아이콘을 실행하는 버튼(B8) 중 접점식 스위치가 입력되면,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는 도 5a와 같이 컬러 LCD디스플레이 패널(35)에 주메뉴 아이콘들을 디스플레이 한다. 촬영할 영상의 컬러 조정을 위해 사용자가 세로 열에 구비된 버튼(B9) 중 접점식 스위치를 입력하면 컬러 아이콘이 실행되어 도 5b와 같은 컬러 조정메뉴(하위메뉴)가 가로 열에 디스플레이 된다. 사용자는 가로 열의 버튼들(B1~B7) 중 터치 센서들을 터치한 상태에서 좌/우로 이동하여 원하는 컬러 조정 값을 선택한다. 이후 도 5c와 같이 접점식 스위치를 재입력하게 되면, 선택된 컬러 조정 값이 고정된다.FIG. 5 is a view illustrating color adjustment of an image to be photographed in the state of the digital camera of FIG. 1. The contact point of the button B8 executing the AUTO icon with the mode dial 14 adjusted to the AUTO mode 14-1. When the switch is input, the digital camera processor 507 displays the main menu icons on the color LCD display panel 35 as shown in FIG. 5A. When the user inputs a contact type switch among the buttons B9 provided in the vertical column to adjust the color of the image to be photographed, the color icon is executed and the color adjustment menu (submenu) as shown in FIG. 5B is displayed in the horizontal column. The user selects a desired color adjustment value by moving left / right while touching the touch sensors among the buttons B1 to B7 in the horizontal row. Thereafter, when the contact switch is input again as shown in FIG. 5C, the selected color adjustment value is fixed.

도 6은 촬영할 영상의 화질을 선택한 후 촬영을 보여주는 도면으로, 도 5에서 컬러를 조정한 후, 촬영할 영상의 화질을 조정하기 위해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 열에 구비된 화질 아이콘에 대응된 위치의 버튼(B5) 중 접점식 스위치를 입력한다. 버튼(B5)이 입력됨과 동시에 초고화질(S.FINE), 고화질(FINE), 일반화질(NORMAL)의 아이콘으로 구성된 하위메뉴가 세로 열에 디스플레이 된다.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컬러 LCD 패널(35)에 디스플레이된 상기 하위메뉴 아이콘들은 버튼들(B9~B11) 중 터치 센서들을 터치하거나 터치한 상태에서 상/하로 이동하면 터치된 버튼에 해당하는 하위메뉴 아이콘이 활성화 된다. 이어서, 하위메뉴 아이콘 중 일반화질(NORMAL) 아이콘에 대응된 위치의 버튼(B10) 중 접점식 스위치를 입력하면 촬영될 영상의 화질이 일반화질로 변경된다. 이후 도 6c와 같이 셔터-릴리즈 버튼(13)을 입력하면 컬러 및 화질이 조정된 영상이 촬영된다.FIG. 6 is a diagram illustrating photographing after selecting an image quality of an image to be photographed. After adjusting color in FIG. 5, a position corresponding to an image quality icon provided in a horizontal column as illustrated in FIG. 6A to adjust an image quality of an image to be photographed. Input contact switch among button (B5). As button B5 is input, a sub-menu consisting of icons of S.FINE, FINE and NORMAL is displayed in a vertical column. As shown in FIG. 6B, the sub-menu icons displayed on the color LCD panel 35 are sub-menus corresponding to the touched buttons when the touch sensors of the buttons B9 to B11 are moved up / down while touching or touching the touch sensors. The menu icon is activated. Subsequently, when the contact type switch is input from the button B10 at the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NORMAL icon among the lower menu icons, the image quality of the image to be captured is changed to the general image quality. Subsequently, when the shutter release button 13 is input as shown in FIG. 6C, an image in which color and image quality are adjusted is captured.

도 7은 도 1의 디지털 카메라의 상태에서 풍경 장면 촬영을 선택한 후 촬영을 보여주는 도면으로, 모드 다이얼(14)을 SCENE 모드(14-2)로 조정한 상태에서 SCENE 아이콘을 실행하는 버튼(B8) 중 접점식 스위치가 입력되면,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는 도 7a와 같이 컬러 LCD디스플레이 패널(35)의 가로 열에 아이콘들 을 디스플레이 한다.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컬러 LCD 패널(35)에 디스플레이된 주메뉴 아이콘들은 버튼들(B1~B7) 중 터치 센서들을 터치하거나 터치한 상태에서 상/하로 이동하면 터치된 버튼에 해당하는 주메뉴 아이콘이 활성화 된다. 버튼(B1)은 텍스트 촬영을 위해, 버튼(B2)은 인물 촬영을 위해 입력되고, 이어서 버튼(B3-B7)은 각각 아동, 풍경, 역광, 불꽃놀이, 야경 촬영을 위해 입력된다. 도 7b에서 사용자가 풍경 아이콘에 대응되는 버튼(B4) 중 접점식 스위치를 입력하면, 촬영 조건이 풍경 모드에 맞게 카메라가 설정되며, 7c와 같이 셔터-릴리즈 버튼(13)을 입력하면 풍경 모드 촬영 조건에서 영상이 촬영된다.FIG. 7 is a view illustrating photographing after selecting landscape scene photography in the state of the digital camera of FIG. 1. A button B8 for executing the SCENE icon with the mode dial 14 adjusted to the scene mode 14-2. When the middle contact switch is input, the digital camera processor 507 displays icons in a horizontal column of the color LCD display panel 35 as shown in FIG. 7A. As shown in FIG. 7B, the main menu icons displayed on the color LCD panel 35 are moved to the up / down state by touching or touching the touch sensors among the buttons B1 to B7. The icon is activated. Button B1 is input for text shooting, button B2 for portrait shooting, and buttons B3-B7 are then input for shooting children, landscapes, backlights, fireworks, and night scenes, respectively. In FIG. 7B, when the user inputs a contact switch among the buttons B4 corresponding to the landscape icon, the camera is set according to the landscape mode, and when the shutter-release button 13 is input as shown in 7c, the landscape mode photography is performed. The image is taken under the conditions.

도 8은 도 1의 디지털 카메라에서 연속촬영을 보여주는 도면으로, 모드 다이얼(14)을 EFFECT 모드(14-3)로 조정한 상태에서 EFFECT 아이콘을 실행하는 버튼(B8) 중 접점식 스위치가 입력되면,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는 도 8a와 같이 컬러 LCD디스플레이 패널(35)의 세로 열에 주메뉴 아이콘들을 디스플레이 한다.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컬러 LCD 패널(35)에 디스플레이된 주메뉴 아이콘들은 버튼들(B9~B12) 중 터치 센서를 터치하거나 터치한 상태에서 상/하로 이동하면 터치된 버튼에 해당하는 주메뉴 아이콘이 활성화 된다. 이 중 연속촬영 아이콘에 대응된 버튼(B10) 중 접점식 스위치를 입력하면 연속촬영이 설정된다. 도 8b 및 도 8c는 연속촬영 설정 이후, 셔터-릴리즈 버튼(13)이 입력하여 연속적으로 촬영되는 영상을 보여준다. 이후, 도 8d와 같이 연속 촬영된 영상들이 하나의 파일로 저장되어 컬러 LCD디스플레이 패널(35)에 디스플레이 된다.FIG. 8 is a diagram illustrating continuous shooting in the digital camera of FIG. 1. When the contact switch of the button B8 executing the EFFECT icon is adjusted while the mode dial 14 is adjusted to the EFFECT mode 14-3. The digital camera processor 507 displays the main menu icons in a vertical column of the color LCD display panel 35 as shown in FIG. 8A. As shown in FIG. 8A, the main menu icons displayed on the color LCD panel 35 are moved to the top / bottom of the buttons B9 to B12 by touching or touching the touch sensor. The icon is activated. Continuous shooting is set by inputting a contact type switch among buttons B10 corresponding to the continuous shooting icon. 8B and 8C show images taken continuously by the shutter release button 13 after the continuous shooting setting. Subsequently, images continuously taken as shown in FIG. 8D are stored as one file and displayed on the color LCD display panel 35.

도 9는 도 1의 디지털 카메라에서 촬영한 영상을 임의의 앨범으로 저장하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으로, 모드 다이얼(14)을 AUTO 모드(14-1)로 조정한 상태에서 버튼(B13)을 입력하면 촬영모드에서 재생모드로 전환되면서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507)는 도 9a와 같이 컬러 LCD디스플레이 패널(35)에 아이콘들을 디스플레이 한다. 도 9a에서 가로 열의 버튼(B5) 중 접점식 스위치를 입력하여 앨범(ALBUM)을 선택하면, 도 9b와 같이 컬러 LCD 패널(35)의 세로 열에 앨범과 관련된 주메뉴 아이콘들이 디스플레이 된다.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컬러 LCD 패널(35)에 디스플레이된 주메뉴 아이콘들은 버튼들(B9~B12)중 터치 센서들을 터치한 상태에서 상/하로 이동하면 터치된 버튼에 해당하는 주메뉴 아이콘이 활성화 된다. 도 9b 상에서 버튼(B9) 중 접점 스위치를 입력하면 하위메뉴 즉, 저장(SAVE), 편집(EDIT) 메뉴가 디스플레이 되고, 가로 열에 구비된 버튼(B5) 중 접점식 스위치를 입력하면 앨범저장이 선택된다. 앨범저장이 선택된 후 도 9c의 왼쪽에는 임의의 폴더에 저장되어 있는 영상 또는 최근까지 촬영된 복수의 영상이 디스플레이 되고, 오른쪽에는 촬영된 영상을 저장할 폴더 즉, 앨범이 디스플레이 된다. 왼쪽에 디스플레이된 복수의 영상은 가로 열에 구비된 버튼들(B1~ B7) 중 터치 센서들을 터치하거나 터치한 상태에서 좌/우로 이동함으로써 검색 가능하고, 오른쪽에 디스플레이된 폴더는 세로 열에 구비된 버튼들(B9~ B11) 중 터치 센서들을 터치하거나 터치한 상태에서 상/하로 이동함으로써 검색 가능하다. 영상을 저장할 폴더가 버튼(B10)과 대응되는 위치에 놓인 상태에서 버튼(B10) 중 접점 스위치를 입력하면, 현재 영상이 해당 폴더에 저장된다.FIG. 9 is a diagram illustrating storing images captured by the digital camera of FIG. 1 as an arbitrary album. When the mode dial 14 is adjusted to the AUTO mode 14-1, the button B13 is photographed. As the mode is switched to the playback mode, the digital camera processor 507 displays icons on the color LCD display panel 35 as shown in FIG. 9A. In FIG. 9A, when the album ALBUM is selected by inputting a contact switch among the buttons B5 in the horizontal row, the main menu icons related to the album are displayed in the vertical column of the color LCD panel 35 as shown in FIG. 9B. As shown in FIG. 8B, when the main menu icons displayed on the color LCD panel 35 are moved up / down while touching the touch sensors among the buttons B9 to B12, the main menu icons corresponding to the touched buttons are displayed. Is activated. When the contact switch of button B9 is input on FIG. 9B, a submenu, SAVE, EDIT menu is displayed, and when the contact switch of button B5 provided in a horizontal column is inputted, album storage is selected. do. After the album is selected, an image stored in an arbitrary folder or a plurality of images photographed until recently is displayed on the left side of FIG. The plurality of images displayed on the left side can be searched by touching or touching the touch sensors among the buttons B1 to B7 provided in the horizontal column, and moving to the left / right, and the folder displayed on the right side includes the buttons provided in the vertical column. The touch sensors in B9 to B11 may be searched by touching or moving up / down while touching the touch sensors. If a contact switch among buttons B10 is input while a folder to store an image is locat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button B10, the current image is stored in the corresponding folder.

도 10은 도 1의 디지털 카메라에서 임의의 앨범에 명칭을 생성하는 것을 보 여주는 도면으로, 도 9b 편집(EDIT) 메뉴를 선택하면(도 10a와 동일), 도 10b와 같이 컬러 LCD 패널(35)에는 저장되어 있는 폴더 즉, 앨범이 디스플레이 되고, 편집을 위한 하위메뉴들이 세로 열에 디스플레이 된다. 가로 열에 구비된 버튼들(B1~ B7) 중 터치 센서들을 터치하거나 터치한 상태에서 좌/우로 이동하여 원하는 앨범을 검색하고, 세로 열에 구비된 버튼(B10) 중 접점식 스위치를 입력하면 도 10c와 같이 앨범의 명칭 생성 모드로 진입한다. 도 10c에서 가로 열 및 세로 열의 버튼들(B1~ B11) 중 접점식 스위치들을 입력하여 원하는 문자를 생성하고, 문자 생성이 완료되면 도 10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튼(B12) 중 접점식 스위치를 입력하여 명칭 생성을 완료한다.FIG. 10 is a view illustrating a name being generated for an album in the digital camera of FIG. 1. When the EDIT menu is selected in FIG. 9B (same as FIG. 10A), the color LCD panel 35 is illustrated in FIG. 10B. ), The saved folder, album, is displayed, and the submenus for editing are displayed in the vertical column. When touching or touching the touch sensors among the buttons B1 to B7 provided in the horizontal column, searching for a desired album by moving left / right and inputting a contact type switch among the buttons B10 provided in the vertical column, FIG. Enter the album name generation mode as well. In FIG. 10C, a desired letter is generated by inputting contact switches among the buttons B1 to B11 i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columns, and when the character generation is completed, the contact switch among the buttons B12 is input as shown in FIG. 10D. To complete the name generation.

도 11은 도 1의 디지털 카메라에서 셋-업 메뉴 설정을 보여주는 도면으로, 셋-업 메뉴 설정은 모드 다이얼(14) 조정에 상관없이 어떤 모드에서도 가능하다. 도 11a는 모드 다이얼(14)을 AUTO 모드(14-1)로 조정한 상태에서 버튼(B7) 중 접점식 스위치를 입력한 후 다시 버튼(B6) 중 접점식 스위치를 입력하여 셋-업 메뉴 설정모드를 선택한 화면을 보여준다. 도 11b는 셋-업 메뉴 화면을 보여주고 있으며, 세로 열의 버튼들(B7~ B12) 중 터치 센서들을 터치하거나 터치한 상태에서 상/하로 이동하면 터치된 버튼에 해당하는 주메뉴 아이콘이 활성화 되고, 이 중에서 버튼(B7) 중 접점식 스위치를 입력하여 조정하고자 하는 셋-업 메뉴(예를 들어, FILE)를 선택한 화면을 보여준다.FIG. 1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et-up menu setting in the digital camera of FIG. 1, which can be set in any mode regardless of the mode dial 14 adjustment. 11A shows a set-up menu setting by inputting a contact switch of button B7 with the mode dial 14 adjusted to AUTO mode 14-1, and again by entering a contact switch of button B6. Shows the mode selection screen. FIG. 11B illustrates a set-up menu screen. When the touch sensors of the vertical columns of buttons B7 to B12 are touched or moved up / down while touching, the main menu icon corresponding to the touched button is activated. Among them, a screen is selected by selecting a set-up menu (for example, FILE) to be adjusted by inputting a contact switch among buttons (B7).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 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 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So far I looked at the center of the preferred embodiment for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a modified form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disclosed embodiments should be considered in descriptive sense only and not for purposes of limitatio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in the claims rather than the foregoing description, and all differences within the scope will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이상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의하면, 입력 버튼들 각각에 상응하는 아이콘들이 입력 버튼들 각각의 배열 위치와 대응한 위치에 디스플레이 되므로, 입력 버튼들 각각이 다수의 아이콘들에 상응하는 입력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으며, 입력 버튼들의 입력횟수를 효율적으로 줄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아이콘을 직접적으로 신속하게 선택하여 해당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icons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input buttons are display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arrangement position of each of the input buttons, Input functions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f icons can be performed, and the number of times of input buttons can be efficiently reduced. Accordingly, the user can directly and quickly select the desired icon to perform the corresponding function.

Claims (9)

디스플레이 주변의 가로 및 세로 열에 구비되고, 터치 센서와 접점식 스위치가 일체화된 복수의 버튼들; 및A plurality of buttons provided in horizontal and vertical rows around the display and in which a touch sensor and a contact switch are integrated; And 상기 버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주메뉴 항목을 대응시켜 디스플레이 하고, 적어도 일 회 이상의 상기 접점식 스위치 입력 신호를 수신하여 선택된 주메뉴 항목을 실행하거나, 상기 주메뉴 항목과 다른 열에 디스플레이된 하위메뉴 항목을 실행하고, 상기 접점식 스위치에 의해 선택된 주메뉴 항목과 다른 열에 디스플레이된 하위메뉴 항목들을 상기 터치 센서를 터치한 상태로 이동시키는 조작 신호를 수신하여 활성화시킴으로써 디스플레이된 영상을 상기 선택된 주메뉴에 또는 하위메뉴 실행에 의해 변경된 영상으로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Display the at least one main menu item in correspondence with the button, receive the at least one contact switch input signal to execute a selected main menu item, or execute a sub-menu item displayed in a column different from the main menu item. And receiving and activating an operation signal for moving the submenu items displayed in a column different from the main menu item selected by the contact switch in a state where the touch sensor is touched, to activate the displayed image on the selected main menu or submenu. And a controller for outputting the image changed by execu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ontrol unit 촬영모드에 따라 상기 버튼들에 다른 메뉴 항목을 대응시켜 디스플레이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And displaying other menu items in correspondence with the buttons according to a shooting mode.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ontrol unit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버튼에 대하여 사용자 설정으로 그 기능을 변경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And at least one of the buttons to change a function of the buttons by a user setting. 디스플레이 주변의 가로 및 세로 열에 구비되고 터치 센서와 접점식 스위치가 일체화된 복수의 버튼들을 구비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으로서,A control method of a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having a plurality of buttons provided in horizontal and vertical columns around a display and having a touch sensor and a contact switch integrated therein, (a) 상기 버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뉴 항목을 대응시켜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 및(a) displaying at least one menu item in correspondence with the button; And (b) 적어도 일 회 이상의 상기 접점식 스위치 입력 신호를 수신하여 선택된 주메뉴 항목을 실행하거나, 상기 주메뉴 항목과 다른 열에 디스플레이된 하위메뉴 항목을 실행하고, 상기 접점식 스위치에 의해 선택된 주메뉴 항목과 다른 열에 디스플레이된 하위메뉴 항목들을 상기 터치 센서를 터치한 상태로 이동시키는 조작 신호를 수신하여 활성화시킴으로써 디스플레이된 영상을 상기 선택된 주메뉴에 또는 하위메뉴 실행에 의해 변경된 영상으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b) receive the at least one contact switch input signal to execute a selected main menu item, or execute a submenu item displayed in a column different from the main menu item, and select the main menu item selected by the contact switch. And receiving and activating an operation signal for moving the submenu items displayed in a column different from the touch sensor by touching the touch sensor, and outputting the displayed image to the selected main menu or as an image changed by executing the submenu. Control method. 제 5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5, 촬영모드에 따라 상기 버튼들에 다른 메뉴 항목을 대응시켜 디스플레이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And displaying different menu items corresponding to the buttons according to a shooting mod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050070661A 2005-08-02 2005-08-02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having efficient input function,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114909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0661A KR101149091B1 (en) 2005-08-02 2005-08-02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having efficient input function,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0661A KR101149091B1 (en) 2005-08-02 2005-08-02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having efficient input function,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6282A KR20070016282A (en) 2007-02-08
KR101149091B1 true KR101149091B1 (en) 2012-05-25

Family

ID=436504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0661A KR101149091B1 (en) 2005-08-02 2005-08-02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having efficient input function,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9091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07644A (en) * 1999-04-13 2004-01-08 Seiko Epson Corp Digital camera
KR20050004951A (en) * 2003-06-27 2005-01-13 김숙영 The keypad of a double sensor for a portable terminal
US20050043063A1 (en) 2002-03-13 2005-02-24 Kevin Dinn Device interfac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07644A (en) * 1999-04-13 2004-01-08 Seiko Epson Corp Digital camera
US20050043063A1 (en) 2002-03-13 2005-02-24 Kevin Dinn Device interface
KR20050004951A (en) * 2003-06-27 2005-01-13 김숙영 The keypad of a double sensor for a portable termin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6282A (en) 2007-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20137236A1 (en) Electronic device
KR101109582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position of image when the imame is enlarged or reduced
KR101129382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otating imgae in digital camera
KR20070013492A (en)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having efficient input function,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1037932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curing storage space using resolution change
KR101086404B1 (en) Method of controlling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for out-focusing operation, and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adopting the method
KR101257368B1 (en) Method for processing digital image
KR100548004B1 (en) Method for controlling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and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using the method
KR100929390B1 (en) Adaptive menu control method of digital camera and device therefor
KR20040110155A (en) Method for controlling portable digital apparatus wherein folder icons move
JP5959297B2 (en) Imaging device and imaging support method
KR101149091B1 (en)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having efficient input function,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0604320B1 (en) Method of controlling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for efficient replay operation
JP6761228B2 (en) Display devices and their control methods, programs, and storage media
KR100515964B1 (en) Method for controlling portable digital apparatus wherein folder icons are adaptively displayed
JPH11331646A (en) Electronic image pickup device
JP2010074205A (en) Image display device
KR101365594B1 (en) Method of controlling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apparatus thereof
KR20060082187A (en) Method of controlling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for selective index reproduction, and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adopting the method
KR100627056B1 (en) Method for controlling digital portable apparatus, and digital portable apparatus adopting the method
KR101058017B1 (en) Method of controlling menu display of digital shooting device and digital shooting device employing this method
KR101058023B1 (en) Image Rotating Device and Method
KR101235804B1 (en)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having track pointer and control method therof
KR101000920B1 (en) Method for managing directories within portable digital apparatus
KR20060034453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digital carmera according to recognizing vo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6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