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5594B1 - Method of controlling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apparatus thereof - Google Patents

Method of controlling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apparatus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5594B1
KR101365594B1 KR1020070079166A KR20070079166A KR101365594B1 KR 101365594 B1 KR101365594 B1 KR 101365594B1 KR 1020070079166 A KR1020070079166 A KR 1020070079166A KR 20070079166 A KR20070079166 A KR 20070079166A KR 101365594 B1 KR101365594 B1 KR 1013655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touch
touch screen
effect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916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90014864A (en
Inventor
최수빈
김남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791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5594B1/en
Publication of KR200900148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486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55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559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628Alteration of picture size, shape, position or orientation, e.g. zooming, rotation, rolling, perspective, trans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가 터치 스크린을 통하여 이미지를 직접 조작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화면상에서 원하는 부분에 편리하게 효과를 줄 수 있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제어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미지가 디스플레이 되는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위에 배치되고, 외부로부터의 터치 입력을 받아 터치 신호를 생성하는 터치 스크린; 상기 터치 신호를 입력받는 터치 신호 입력부; 상기 터치 신호 입력부를 통하여 상기 터치 신호를 입력받으며, 상기 터치 신호에 따라 상기 이미지를 조작하여 효과를 주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영상 처리장치의 제어장치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 device for controlling a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by which a user can directly manipulate an image through a touch screen, whereby the user can conveniently effect a desired portion on a scree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isplay panel for displaying an image; A touch screen disposed on the display panel and configured to receive a touch input from the outside to generate a touch signal; A touch signal input unit configured to receive the touch signal; And a control unit configured to receive the touch signal through the touch signal input unit and to provide an effect by manipulating the image according to the touch signal.

Description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제어방법 및 그 장치{Method of controlling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apparatus thereof}Method of controlling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apparatus thereof

본 발명은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제어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터치 스크린을 통하여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패널을 통하여 원하는 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제어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 device for controlling a digital image process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ntrol method and a device for a digital image processing device that allows a user to input a desired command through a display panel through a touch screen. will be.

통상적으로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란, 디지털 카메라,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폰 카메라, PC 카메라 등의 영상을 처리하거나 동작 인식 센서를 사용하는 모든 장치를 포함한다. 이러한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는 원하는 영상을 촬상 소자를 통하여 입력받고, 입력된 영상을 디스플레이 패널에 표시하여 보여주고, 사용자의 촬영 선택에 의하여 영상을 이미지 파일로 저장한다. Typically,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includes all devices that process images of a digital camera, a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a phone camera, a PC camera, or the like, or use motion recognition sensors. Such a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receives a desired image through an image pickup device, displays the input image on a display panel, and stores the image as an image file by a user's selection of a photograph.

한편,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에서 디스플레이 패널이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되어,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패널 상에서 직접 원하는 명령을 입력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가 촬상 소자를 통하여 입력받은 영상에 대하여 이미지 변형, 칼라 변경, 아웃 포커싱 등의 효과를 주고자 할 수 있다. Meanwhile, in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the display panel may be implemented as a touch screen so that a user may directly input a desired command on the display panel. In addition, the user may want to give an effect such as image transformation, color change, out focusing, etc. on the image input through the image pickup device.

하지만, 종래에는 메뉴 또는 버튼을 조작하여 촬영한 이미지에 효과를 줄 수 있었다. 이 경우, 사용자가 이미지를 조작하는데 제한적이 요소가 있었다. 또한, 사용자가 원하는 특정 부분에 이미지 효과를 주는데 한계가 있었으며, 특정 카메라의 정해진 구성에 따라서만 효과를 줄 수 있는 한계가 있었다. However, in the related art, an effect on an image photographed by operating a menu or a button can be provided. In this case, there was a limiting factor in the user's manipulation of the image. In addition, there was a limit to give an image effect to a specific portion desired by the user, there was a limit that can be applied only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configuration of a particular camera.

본 발명은, 사용자가 터치 스크린을 통하여 이미지를 직접 조작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화면상에서 원하는 부분에 편리하게 효과를 줄 수 있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제어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trol method of a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a device for allowing a user to directly manipulate an image through a touch screen so that the user can conveniently effect a desired portion on a screen. .

본 발명은, 이미지가 디스플레이 되는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위에 배치되고, 외부로부터의 터치 입력을 받아 터치 신호를 생성하는 터치 스크린; 상기 터치 신호를 입력받는 터치 신호 입력부; 상기 터치 신호 입력부를 통하여 상기 터치 신호를 입력받으며, 상기 터치 신호에 따라 상기 이미지를 조작하여 효과를 주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영상 처리장치의 제어장치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isplay panel for displaying an image; A touch screen disposed on the display panel and configured to receive a touch input from the outside to generate a touch signal; A touch signal input unit configured to receive the touch signal; And a control unit configured to receive the touch signal through the touch signal input unit and to provide an effect by manipulating the image according to the touch signal.

상기 터치 스크린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위에 광투과성을 갖는 2차원 저항 필름이 배치되는 터치부, 상기 터치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외부로부터의 입력에 따라 상기 터치부의 상기 터치 신호를 생성하는 터치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The touch screen may include a touch unit on which a two-dimensional resistive film having light transparency is disposed on the display panel, and a touch control uni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ouch unit to generate the touch signal according to an input from the outside. It may include.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이미지가 디스플레이 되는 단계; 외부로부터 터치 스크린에 의한 이미지 효과 주기 입력을 받는 단계; 상기 터치 스크린 영역과 상기 이미지 영역을 상호 대응시키는 단계; 상기 이미지 영역 중에서 변경될 영역인 이미지 효과 영역이 특정되는 단계; 상기 터치 스크린의 조작에 따라 이미지 조작 명령이 입력되는 단계; 및 상기 이미지 조작 명령에 따라 이미지를 변경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영상 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Another aspect of the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displaying an image; Receiving an image effect period input by a touch screen from the outside; Correlating the touch screen area with the image area; Specifying an image effect region which is a region to be changed among the image regions; Inputting an image manipulation command according to manipulation of the touch screen; And changing the image according to the image manipulation command.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제어방법 및 그 장치에 의하면, 사용자가 터치 스크린을 통하여 이미지를 직접 조작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화면상에서 원하는 부분에 편리하게 효과를 줄 수 있다. According to the control method and the apparatus of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allowing the user to directly manipulate the image through the touch screen, it is possible to conveniently effect the desired portion on the scree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에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처리 장치의 일 실시예인 디지털 카메라(200)의 뒷면 외형이 도시되어 있다. 도 2에는 디지털 카메라(200)에서 터치 스크린(26)의 구성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1 is a rear view of a digital camera 200 which is an embodiment of a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schematically illustrates the configuration of the touch screen 26 in the digital camera 200.

도면을 참조하면, 디지털 카메라(200)의 뒷면에는 방향 버튼(21), 메뉴-OK 버튼(22), 광각(Wide angle)-줌(Zoom) 버튼(W), 망원(Telephoto)-줌(Zoom) 버튼(T), 및 디스플레이 패널(25) 등이 구비될 수 있다. Referring to the drawings, on the back of the digital camera 200, the direction button 21, the menu-OK button 22, the wide angle (Zoom) button (W), the telephoto (Zoom) ) Button T, the display panel 25 and the like.

방향 버튼(21)에는 상향 버튼(21a), 하향 버튼(21b), 좌향 버튼(21c), 우향 버튼(21d)의 총4개의 버튼이 포함될 수 있다. 방향 버튼(21)과 메뉴-OK 버튼(22) 은 디지털 카메라와 같은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동작에 관한 각종 메뉴를 실행시키기 위해 입력하는 키이다. The direction button 21 may include a total of four buttons including an up button 21a, a down button 21b, a left button 21c, and a right button 21d. The direction button 21 and the menu-OK button 22 are keys for inputting various menu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such as a digital camera.

광각-줌 버튼(W) 또는 망원-줌 버튼(T)은 그 입력에 따라 화각이 넓어지거나, 화각이 좁아진다. 특히, 선택된 노출영역의 크기를 변경시키고자 할 때 사용도리 수 있다. 이때, 광각-줌 버튼(W)이 입력되면 선택된 노출영역의 크기가 작아지고, 망원-줌 버튼(T)이 입력되면 선택된 노출영역의 크기가 커질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25)로는 LCD(liquid crystal display)등의 영상 표시소자가 사용될 수 있다. Wide angle-zoom button W or telephoto-zoom button T widens the view angle or narrows the view angle depending on the input. In particular, it can be used to change the size of the selected exposure area. At this time, when the wide-angle zoom button W is input, the size of the selected exposure area is reduced, and when the telephoto-zoom button T is input, the size of the selected exposure area may be enlarged. As the display panel 25, an image display device such as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may be used.

한편, 디지털 카메라(2)의 앞면 또는 윗면에는 셔터 릴리즈 버튼, 플래시, 전원 스위치, 렌즈부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카메라(2)의 앞면과 뒷면에는 뷰 파인더(view finder)의 대물 렌즈와 접안 렌즈가 구비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 shutter release button, a flash, a power switch, and a lens unit may be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r the top surface of the digital camera 2. In addition, the front and rear of the digital camera 2 may be provided with an objective lens and a eyepiece of a view finder.

셔터 릴리즈 버튼은 정해진 시간 동안 CCD(Charge Coupled Device)와 같은 촬상 소자나 필름을 빛에 노출시키기 위해 열리고 닫힌다. 또한, 셔터 릴리즈 버튼은 조리개(미도시)와 연동하여 피사체를 적정하게 노출시켜 촬상 소자에 영상을 기록한다. The shutter release button is opened and closed to expose the imaging element or film, such as a charge coupled device (CCD), to light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Further, the shutter release button interlocks with an iris (not shown) to appropriately expose the subject to record the image on the imaging element.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일 실시예로서 디지털 카메라와 그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이 본 출원인의 미국 특허출원 공개번호 제2004/0130650호(명칭: 카메라의 이차함수를 이용한 자동 포커싱 방법, Method of automatically focusing using a quadratic function in camera)에 개시되어 있다. As an embodiment of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a digital camera, a control apparatus thereof,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are disclosed in U.S.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2004/0130650 (titled: automatic using a quadratic function of a camera A focusing method, a focusing method, and a quadratic function in camera.

상기 미국출원에 개시된 디지털 카메라와 그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 한 사항은 본 명세서에 포함되는 것으로 하고,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Details of the digital camera disclosed in the US application, its control device, and its control method will be includ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디지털 카메라의 제어장치(500)는 디지털 카메라(200)에 장착되어 디지털 카메라(200)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디지털 카메라(200)를 제어할 수 있다. 디지털 카메라의 제어장치(500)는 디스플레이 패널(25); 터치 스크린(26); 터치 신호 입력부(526); 제어부를 구비한다. The control device 500 of the digital camera may be mounted on the digital camera 200 to control the digital camera 200 to operate the digital camera 200. The control device 500 of the digital camera includes a display panel 25; Touch screen 26; A touch signal input unit 526; It is provided with a control unit.

디스플레이 패널(25)에는 이미지가 디스플레이 된다. 터치 스크린(26)은 디스플레이 패널(25) 위에 배치되고, 외부로부터의 터치 입력을 받아 터치 신호를 생성한다. The image is displayed on the display panel 25. The touch screen 26 is disposed on the display panel 25 and receives a touch input from the outside to generate a touch signal.

터치 신호 입력부(526)는 터치 신호를 입력받는다. 제어부는 터치 신호 입력부(526)를 통하여 터치 신호를 입력받으며, 터치 신호에 따라 이미지를 조작하여 효과를 준다. 이때, 제어부(507)는 도 3의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가 될 수 있다.The touch signal input unit 526 receives a touch signal. The control unit receives a touch signal through the touch signal input unit 526 and manipulates an image according to the touch signal to give an effect. In this case, the controller 507 may be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507 of FIG. 3.

예를 들어, 터치신호 입력부(526)를 통하여 터치 신호가 입력되면 마이크로 제어기(512)에서 그 입력을 처리하고,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에서 현재 설정된 메뉴 또는 기능에 따라 각각의 터치 신호에 할당된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a touch signal is input through the touch signal input unit 526, the micro controller 512 processes the input and is assigned to each touch signal according to a menu or function currently set in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507. The function can be performed.

또한, 제어부(507)에서 조작하는 이미지에 대한 효과는, 이미지의 모양 및/또는 크기의 변경, 이미지에 대한 아웃 포커싱, 및 색상 변경 중의 어느 하나가 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이미지 효과는 그 외에도 이미지를 처리하여 효과를 주는 다양한 다른 이미지 처리가 포함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effect on the image manipulated by the controller 507 may be any one of a change in shape and / or size of the image, out focusing on the image, and color chang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image effect may further include various other image processing for giving an effect by processing the image.

터치 스크린(26)은 터치부(261) 및 터치 제어부(262)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부(261)는 디스플레이 패널(25) 위에 광투과성을 갖는 2차원 저항 필름이 배치되 어 이루어질 수 있다. 터치 제어부(262)는 터치부(26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외부로부터의 입력에 따라 터치부의 특정 위치가 터치된 것을 나타내는 터치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The touch screen 26 may include a touch unit 261 and a touch controller 262. The touch unit 261 may be formed by disposing a two-dimensional resistive film having a light transmittance on the display panel 25. The touch controller 262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ouch unit 261 to generate a touch signal indicating that a specific position of the touch unit is touched according to an input from the outside.

터치 스크린(26)은 저항 측정 방식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터치부(261) 상의 특정 위치가 터치되는 경우에 터치 제어부(262)에서 측정되는 저항 변화 위치를 감지하여 스크린 상의 위치를 X, Y 좌표로 인식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터치부(261)의 X 방향의 양단의 신호가 터치 제어부(262)의 X-, X+ 단자를 통하여 입력되고, 터치부(261)의 Y 방향의 양단의 신호가 터치 제어부(262)의 Y-, Y+ 단자를 통하여 입력될 수 있다. The touch screen 26 may be made by a resistance measurement method. In this case, when a specific position on the touch unit 261 is touched, the resistance change position measured by the touch controller 262 may be sensed to recognize the position on the screen as X and Y coordinates. To this end, signals at both ends in the X direction of the touch unit 261 are input through the X- and X + terminals of the touch controller 262, and signals at both ends in the Y direction of the touch unit 261 are input to the touch controller 262. It can be input through the Y- and Y + terminals.

터치부(261)의 특정 위치가 터치될 때, 디스플레이 패널(25) 위에 표시되는 이미지의 대응되는 위치가 터치된 것을 나타내는 터치 신호를 생성하기 위하여, 터치 스크린 영역과 이미지 영역이 상호 대응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외부로부터의 터치 스크린 상의 이미지가 조작되는 것에 따라, 그에 따른 터치 신호가 생성될 수 있다. When a specific position of the touch unit 261 is touched, in order to generate a touch signal indicating that a corresponding position of an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panel 25 is touched, the touch screen region and the image region are corresponded to each other. Accordingly, as the image on the touch screen from the outside is manipulated, a corresponding touch signal may be generated.

즉, 사용자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패널(25)에 표시된 이미지가 터치되는 경우에, 그 터치 신호가 생성되어 터치 신호 입력부(526)를 통하여 제어부 예를 들어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로 입력되고, 제어부에서 해당 터치 신호를 해석하여 그에 따라 이미지를 조작하게 된다. That is, when an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panel 25 is touched by the user, the touch signal is generated and input to the control unit, for example,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507 through the touch signal input unit 526, and the corresponding control unit generates the touch signal. The touch signal is interpreted to manipulate the image accordingly.

이를 위하여, 먼저 이미지가 표시된 터치 스크린(26) 위에서 외부로부터 사용자의 입력에 의하여 해당 이미지에서 효과를 주어 조작될 효과 영역이 특정되도 록 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된 이미지 효과에 따라, 제어부에서 터치 신호의 변화를 감지하여 이미지에 이미지 효과를 주어 이미지를 변경할 수 있다. To this end, first, an effect area to be manipulated may be specified by giving an effect in the corresponding image by a user's input from the outside on the touch screen 26 on which the image is displayed. At this time, according to the image effect selected by the user, the control unit detects a change in the touch signal and gives an image effect to the image to change the image.

제어부 예를 들어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에서 터치 스크린을 통한 사용자 입력을 받아 디스플레이 패널(25)에 표시된 이미지의 이미지 조작은, 도 4에 도시된 제어방법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An image manipulation of an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panel 25 by receiving a user input through a touch screen by the controller, for example,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507 may be performed by the control method illustrated in FIG. 4.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의 제어장치(500)에서는 사용자가 터치 스크린 상에서 직접 조작하여 디스플레이 패널에 표시된 이미지에 효과를 줄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편리하게 이미지를 조작할 수 있다. In the control device 500 of the digital camer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user may directly operate on a touch screen to effect an image displayed on a display panel. Thus, the user can conveniently manipulate the image.

도 3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의 제어장치(500) 내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가 도시되어 있다. 3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interior of the control device 500 of the digital camer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을 참조하면, 렌즈부와 필터부를 포함한 광학계(OPS)는 피사체로부터의 빛을 광학적으로 처리한다. 광학계(OPS)의 렌즈부는 줌 렌즈, 포커스 렌즈 및 보상 렌즈를 포함한다. 사용자가 사용자 입력부(INP)에 포함된 광각-줌 버튼(W) 또는 망원-줌 버튼(T)을 누르면, 이에 상응하는 신호가 마이크로제어기(512)에 입력된다. Referring to the drawings, an optical system (OPS) including a lens unit and a filter unit optically processes light from a subject. The lens unit of the optical system OPS includes a zoom lens, a focus lens, and a compensation lens. When the user presses the wide-zoom button W or telephoto-zoom button T included in the user input unit INP, a corresponding signal is input to the micro controller 512. [

이에 따라, 마이크로제어기(512)가 렌즈 구동부(510)를 제어함에 따라, 줌 모터(MZ)가 구동되어 줌 렌즈가 이동된다. 즉, 광각-줌 버튼(W)이 눌려지면 줌 렌즈의 초점 길이가 짧아져서 화각이 넓어지고, 망원-줌 버튼(T)이 눌려지면 줌 렌즈의 초점 길이가 길어져서 화각이 좁아진다. Accordingly, as the micro controller 512 controls the lens driving unit 510, the zoom motor M Z is driven to move the zoom lens. That is, when the wide-angle zoom button W is depressed, the focal length of the zoom lens is shortened to enlarge the angle of view, and if the telephoto-zoom button T is depressed, the focal length of the zoom lens becomes long and the angle of view becomes narrow.

한편, 자동 초점 모드에 있어서,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 안에 내장된 주 제어기가 마이크로제어기(512)를 통하여 렌즈 구동부(510)를 제어함에 의하여 포커스 모터(MF)가 구동된다. 보상 렌즈는 전체적인 굴절률을 보상하는 역할을 하므로 별도로 구동되지 않는다. 참조 부호 MA는 조리개(aperture, 도시되지 않음)를 구동하기 위한 모터를 가리킨다. Meanwhile, in the auto focus mode, the main controller incorporated in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507 controls the lens driving unit 510 through the micro controller 512 to drive the focus motor M F. The compensation lens compensates for the overall refractive index and is not driven separately. Reference symbol M A denotes a motor for driving an aperture (not shown).

광학계(OPS)의 필터부에 있어서, 광학적 저역통과필터(Optical Low Pass Filter)는 고주파 성분의 광학적 노이즈를 제거한다. 적외선 차단 필터(Infra-Red cut Filter)는 입사되는 빛의 적외선 성분을 차단한다. In the filter section of the optical system (OPS), an optical low pass filter removes optical noise of a high frequency component. Infra-red cut filter blocks the infrared component of incident light.

광전 변환부(OEC)는 CCD(Charge Coupled Device) 또는 CMOS(Comple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 등의 촬상 소자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광전 변환부(OEC)는 광학계(OPS)로부터의 빛을 전기적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시킨다. The photoelectric conversion unit OEC may include an image pickup device such as a CCD (Charge Coupled Device) or a CMOS (Complementary Metal-Oxide-Semiconductor). The photoelectric conversion unit OEC converts light from the optical system OPS into an electrical analog signal.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는 CDS-ADC(Correlation Double Sampler and Analog-to-Digital Converter) 소자(501)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는 광전 변환부(OEC)로부터의 아날로그 신호를 처리하여, 그 고주파 노이즈를 제거하고 진폭을 조정한 후,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킨다. 여기서,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는 타이밍 회로(502)를 제어하여 광전 변환부(OEC)와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501)의 동작을 제어한다. The analog-to-digital conversion unit may include a CDS-ADC (Correlation Double Sampler and Analog-to-Digital Converter) The analog-to-digital converter processes the analog signal from the photoelectric converter (OEC), removes the high-frequency noise, adjusts the amplitude, and converts the analog signal into a digital signal. Here,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507 controls the timing circuit 502 to control the operations of the photoelectric conversion unit (OEC) and the analog-digital conversion unit 501.

실시간 클럭(503)은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에 시간 정보를 제공한다. 디지 털 신호 처리기(507)는 CDS-ADC 소자(501)로부터의 디지털 신호를 처리하여 휘도 및 색도 신호로 분류된 디지털 화상 신호를 발생시킨다. The real-time clock 503 provides time information to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507.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507 processes the digital signal from the CDS-ADC element 501 to generate a digital image signal classified into luminance and chroma signals.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에 내장된 주 제어기의 제어에 따라 마이크로 제어기(512)에 의하여 구동되는 발광부(LAMP)에는, 셀프-타이머 램프, 자동-초점 램프, 모드 지시 램프 및 플래시 대기 램프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INP)에는, 방향 버튼(21), 광각-줌 버튼(W) 및 망원-줌 버튼(T) 등이 포함될 수 있다. A self-timer lamp, an auto-focus lamp, a mode indicating lamp, a flash standby lamp, and the like are provided in the light emitting portion (LAMP) driven by the microcontroller 512 under the control of the main controller incorporated in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507 . The user input unit INP may include a direction button 21, a wide-angle zoom button W, a tele-zoom button T, and the like.

DRAM(Dynamic Random Access Memory, 504)에는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로부터의 디지털 화상 신호가 일시 저장된다.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505)에는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의 동작에 필요한 부팅 프로그램 및 키 입력 프로그램 등과 같은 알고리즘 및 설정 데이터가 저장된다. 메모리 카드 인터페이스(506)에서는 사용자의 메모리 카드가 착탈된다. A digital image signal from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507 is temporarily stored in a DRAM (Dynamic Random Access Memory) 504. The EEPROM (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505 stores algorithms and setting data such as a boot program and a key input program required for the operation of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507. In the memory card interface 506, a user's memory card is detached.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로부터의 디지털 화상 신호는 디스플레이 패널 구동부(514)에 입력되고, 이로 인하여 디스플레이 패널(25)에 화상이 디스플레이 된다. The digital image signal from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507 is input to the display panel driver 514, which causes the image to be displayed on the display panel 25.

한편,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로부터의 디지털 화상 신호는, USB(Universal Serial Bus) 접속부(31a) 또는 RS232C 인터페이스(508)와 그 접속부(31b)를 통하여 직렬 통신으로써 전송될 수 있고, 비디오 필터(509) 및 비디오 출력부(31c)를 통하여 비디오 신호로서 전송될 수 있다. 여기서,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는 그 내부에 마이크로제어기를 내장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digital image signal from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507 can be transmitted by serial communication through a USB (Universal Serial Bus) connection 31a or RS232C interface 508 and its connection 31b, 509 and the video output unit 31c as video signals. Here,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507 may incorporate a micro controller therein.

오디오 처리기(513)는, 마이크로폰(MIC)으로부터의 음성 신호를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 또는 스피커(SP)로 출력하고,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로부터의 오디 오 신호를 스피커(SP)로 출력한다. The audio processor 513 outputs the audio signal from the microphone MIC to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507 or the speaker SP and outputs the audio signal from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507 to the speaker SP .

한편, 디지털 카메라의 제어장치(500)에는 터치신호 입력부(526)가 구비될 수 있다. 터치신호 입력부(526)를 통하여 외부로부터의 사용자 명령이 입력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control device 500 of the digital camera may be provided with a touch signal input unit 526. The user command from the outside may be input through the touch signal input unit 526.

이때, 터치신호 입력부(526)에는 터치 스크린(도 1의 26)을 통하여 입력되는 터치 신호가 입력될 수 있다. 터치신호 입력부(526)를 통하여 터치 신호가 입력되면 마이크로 제어기(512)에서 그 입력을 처리하여 그에 따른 기능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에서 현재 설정된 메뉴 또는 기능에 따라 각각의 터치 신호에 할당된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In this case, a touch signal input through the touch screen 26 of FIG. 1 may be input to the touch signal input unit 526. When a touch signal is input through the touch signal input unit 526, the micro controller 512 processes the input to perform a function according to the input. In this case, a function allocated to each touch signal may be performed according to a menu or function currently set in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507.

도 4에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인 영상 처리장치의 제어방법(S400)의 흐름도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4 is a flowchart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control method S400 of a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을 참조하면, 영상 처리장치의 제어방법(S400)은 이미지 디스플레이 단계(S410); 이미지 효과 입력단계(S420); 터치 스크린과 이미지 영역 매핑단계(S430); 효과 영역 특정단계(S440); 이미지 조작 입력단계(S450); 및 이미지 변경단계(S460)를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영상 처리장치의 제어방법(S400)은 주 알고리즘이 도 4의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에 해당하는 제어부에서 처리될 수 있다. 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control method (S400) of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includes an image display step (S410); Image effect input step (S420); A touch screen and image area mapping step (S430); An effect region specifying step S440; An image manipulation input step S450; And an image changing step (S460). In the control method (S400) of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a main algorithm may be processed by a controller corresponding to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507 of FIG. 4.

이미지 디스플레이 단계(S410)에는 이미지가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되는 디스플레이 패널에 표시된다. 이미지 효과 입력단계(S420)에는 외부로부터 이미지 효과 주기를 입력을 받는다. 터치 스크린과 이미지 영역 매핑단계(S430)에는 터치 스크 린 영역과 이미지 영역을 상호 대응시킨다. In the image display step S410, an image is displayed on a display panel implemented as a touch screen. In the image effect input step S420, an image effect period is received from the outside. In the touch screen and image area mapping step (S430), the touch screen area and the image area are correlated with each other.

효과 영역 특정단계(S440)에는 이미지 영역 중에서 변경될 영역인 이미지 효과 영역이 특정된다. 이미지 조작 입력단계(S450)에는 사용자의 터치 스크린의 조작에 따라 이미지 조작 명령이 입력된다. 이미지 변경단계(S460)에는 이미지 조작 명령에 따라 이미지를 변경된다. In the effect region specifying step S440, an image effect region which is a region to be changed among the image regions is specified. In the image manipulation input step S450, an image manipulation command is input according to a manipulation of a user's touch screen. In the image changing step S460, an image is changed according to an image manipulation command.

이때, 이미지 효과는, 이미지의 모양 및/또는 크기의 변경, 이미지에 대한 아웃 포커싱, 및 색상 변경 중의 어느 하나가 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이미지 효과는 그 외에도 이미지를 처리하여 효과를 주는 다양한 다른 이미지 처리가 포함될 수 있다. 이미지 효과 입력단계(S420)에서의 이미지 효과 주기는 터치 스크린 상의 입력에 의하여 이미지에 효과를 주는 것이 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image effect may be any one of a change in shape and / or size of the image, out focusing on the image, and color chang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image effect may further include various other image processing for giving an effect by processing the image. The image effect period in the image effect input step S420 may be to effect the image by input on the touch screen.

이미지 효과 입력단계(S420)에는 외부로부터 사용자의 입력을 받는데, 메뉴 또는 특정 버튼의 선택에 의하여 사용자가 구현하고자 하는 이미지 효과를 선택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 예를 들어 도 4의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에서는 특정 이미지 효과 주기가 입력되었는지를 판단하여, 미리 설정된 특정 이미지 효과 주기가 선택되는 경우에 다음 단계로 진행한다. In the image effect input step S420, a user input is received from the outside, and an image effect that the user wants to implement may be selected by selecting a menu or a specific button. At this time, the controller, for example,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507 of FIG. 4 determines whether a specific image effect period is input, and proceeds to the next step when a predetermined specific image effect period is selected.

이미지 조작 입력단계(S450)에는 외부로부터 사용자의 입력을 받는데, 외부로부터 터치 스크린을 통하여 이미지를 조작하는 명령이 입력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때, 터치 스크린을 통한 이미지 조작이 입력되는 경우에 그 입력 내용이 무엇인지 판단한다. 터치 스크린을 통한 이미지 조작의 내용은 이미지 효과 입력단 계(S420)에서 입력받은 이미지 효과의 종류에 따라 다르게 인식될 수 있다. In the image manipulation input step S450, a user input is received from the outside, and it is determined whether a command to manipulate an image is input from the outside through the touch screen. In this case, when an image manipulation through a touch screen is input, it is determined what the input contents are. The contents of the image manipulation through the touch screen may be recogniz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type of image effect received at the image effect input step S420.

효과 영역 특정단계(S440)에는 이미지 영역 중에서 변경될 영역인 이미지 효과 영역이 특정되는데, 터치 스크린 상에서 선택된 점이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되는 것으로 초점이 맞추어진 객체가 이미지 효과 영역으로 특정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이미지 효과 영역은 터치 스크린 상에서 선택된 두 개 이상의 점을 잇는 다각형 내에 존재하는 특정 개체가 될 수 있다. In the effect region specifying step S440, an image effect region, which is a region to be changed, is specified among the image regions. An object focused as including at least one selected point on the touch screen may be specified as the image effect region. In another embodiment, the image effect area may be a specific object present in a polygon connecting two or more points selected on the touch screen.

예를 들어, 이미지 효과 주기가 이미지의 모양 및/또는 크기의 변경이 될 수 있다. 이 경우, 이미지 효과 영역 내에서 특정된 개체에서 제1점이 선택되어 터치 스크린 내에서 제2점까지 이동되는 경우에 제1점이 제2점과 일치되도록 이미지의 모양 및/또는 크기가 변경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image effect period can be a change in the shape and / or size of the image. In this case, when the first point is selected in the object specified in the image effect area and moved to the second point in the touch screen, the shape and / or size of the image may be changed to match the second point. .

도 5에는 이미치 처리에 의하여 이미지가 변경되기 전에 선택된 개체의 일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6에는 도 5의 선택된 개체에 대하여 이미지 모양 및/또는 크기 변경한 예가 도시되어 있다. FIG. 5 illustrates an embodiment of an object selected before the image is changed by the image processing, and FIG. 6 illustrates an example of changing the shape and / or size of an image of the selected object of FIG. 5.

다른 실시예로서, 이미지 효과 주기가 아웃 포커싱될 수 있다. 이 경우, 이미지 효과 영역 내에서 특정된 개체에서 제1점이 선택되어 터치 스크린 내에서 제2점까지 이동되는 경우에 제1점이 제2점까지 아웃 포커싱된다. 도 7에는 도 5의 선택된 개체에 대하여 아웃 포커싱 효과에 의하여 변경된 예가 도시되어 있다. As another example, the image effect period may be out of focus. In this case, when the first point is selected in the object specified in the image effect area and moved to the second point in the touch screen, the first point is out of focus to the second point. FIG. 7 shows an example modified by the out-focusing effect for the selected entity of FIG. 5.

다른 실시예로서, 이미지 효과 주기가 색상 변경이 될 수 있다. 이 경우, 이미지 효과 영역 내의 색상이 변경될 수 있다. 도 8에는 도 5의 선택된 개체에 대하여 색상 변경에 의하여 변경된 예가 도시되어 있다. In another embodiment, the image effect period may be a color change. In this case, the color in the image effect area may be changed. 8 illustrates an example of changing the color of the selected object of FIG. 5.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의 제어방법(S400)에서는 사용자가 터치 스크린 상에서 직접 조작하여 디스플레이 패널에 표시된 이미지에 효과를 줄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편리하게 이미지를 조작할 수 있다. In the control method (S400) of the digital camer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can directly operate on the touch screen to effect the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panel. Thus, the user can conveniently manipulate the image.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clearly understood that the same is by way of illustration and example only and is not to be taken by way of limitation, You will understand.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only by the appended claim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처리 장치의 일 실시예로서, 디지털 카메라의 뒷면 외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FIG. 1 is a view showing the outer appearance of a back side of a digital camer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디지털 카메라에서, 터치 스크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FIG. 2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touch screen in the digital camera of FIG. 1.

도 3은 도 1의 디지털 카메라의 제어장치 내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3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e inside of a control device of the digital camera of FIG. 1.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영상 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4 is a flowchart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method of controlling a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도 1 및 도 4의 영상 처리장치의 제어장치 및 그 방법에 따라 이미지가 변경되기 전의 개체의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FIG. 5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n object before an image is changed according to a control device and a method of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of FIGS. 1 and 4.

도 6은 도 5의 개체에 대하여 이미지 모양 및/또는 크기 변경한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FIG. 6 is a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example of changing an image shape and / or size of an object of FIG. 5.

도 7은 도 5의 개체에 대하여 아웃 포커싱 효과에 의하여 변경된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FIG. 7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example changed by the out-focusing effect on the object of FIG. 5.

도 8은 도 5의 개체에 대하여 색상 변경에 의하여 변경된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FIG. 8 is a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example changed by color change of the entity of FIG. 5.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200: 디지털 카메라, 25: 디스플레이 패널, 200: digital camera, 25: display panel,

26: 터치 스크린, 261: 터치부, 26: touch screen, 261: touch unit,

262: 터치 제어부, 500: 제어장치, 262: touch control unit, 500: control unit,

526: 터치신호 입력부.526: Touch signal input unit.

Claims (13)

이미지가 디스플레이 되는 디스플레이 패널; A display panel on which an image is displayed;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위에 배치되고, 외부로부터의 터치 입력을 받아 터치 신호를 생성하는 터치 스크린; A touch screen disposed on the display panel and configured to receive a touch input from the outside to generate a touch signal; 상기 터치 신호를 입력받는 터치 신호 입력부; A touch signal input unit configured to receive the touch signal; 상기 터치 신호 입력부를 통하여 상기 터치 신호를 입력받으며, 상기 터치 신호에 따라 상기 이미지를 조작하여 효과를 주는 제어부를 구비하고,A control unit configured to receive the touch signal through the touch signal input unit and manipulate the image according to the touch signal to provide an effect; 상기 터치 스크린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위에 광투과성을 갖는 2차원 저항 필름이 배치되는 터치부, 상기 터치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외부로부터의 입력에 따라 상기 터치부의 상기 터치 신호를 생성하는 터치 제어부를 포함하는 영상 처리장치의 제어장치.The touch screen may include a touch unit on which a two-dimensional resistive film having light transparency is disposed on the display panel, and a touch control uni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ouch unit to generate the touch signal according to an input from the outside. Control device of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comprising.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터치 스크린 영역과 상기 이미지 영역이 상호 대응되고, The touch screen area and the image area correspond to each other; 외부로부터의 상기 터치 스크린 상의 이미지 조작에 따라 상기 터치 신호가 생성되는 영상 처리장치의 제어장치.And a touch signal is generated in response to an image manipulation on the touch screen from the outside. 제2항에 있어서, 3. The method of claim 2,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이미지 효과에 따라, Depending on the image effect input from the outside,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터치 신호의 변화를 감지하여 상기 이미지에 이미지 효과를 주어 상기 이미지를 변경하는 영상 처리장치의 제어장치.And a control unit of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to detect the change of the touch signal and change the image by applying an image effect to the image. 제2항에 있어서, 3. The method of claim 2, 외부로부터의 상기 터치 스크린 상의 입력에 따라 상기 이미지에서 효과를 주어 조작될 효과 영역이 특정되는 영상 처리장치의 제어장치.And an effect region to be manipulated by giving an effect in the image according to an input on the touch screen from the outsid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이미지에 대한 효과가, 상기 이미지의 모양 및/또는 크기의 변경, 상기 이미지에 대한 아웃 포커싱, 및 색상 변경 중의 적어도 하나인 영상 처리장치의 제어장치.And the effect on the image is at least one of a change in shape and / or size of the image, out focusing on the image, and color change. 이미지가 디스플레이 되는 단계; Displaying an image; 외부로부터 터치 스크린에 의한 이미지 효과 주기 입력을 받는 단계; Receiving an image effect period input by a touch screen from the outside; 상기 터치 스크린 영역과 상기 이미지 영역을 상호 대응시키는 단계; Correlating the touch screen area with the image area; 상기 이미지 영역 중에서 변경될 영역인 이미지 효과 영역이 특정되는 단계; Specifying an image effect region which is a region to be changed among the image regions; 상기 터치 스크린의 조작에 따라 이미지 조작 명령이 입력되는 단계; 및 Inputting an image manipulation command according to manipulation of the touch screen; And 상기 이미지 조작 명령에 따라 이미지를 변경하는 단계를 구비하고,Changing an image according to the image manipulation instruction, 상기 터치 스크린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위에 광투과성을 갖는 2차원 저항 필름이 배치되는 터치부, 상기 터치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외부로부터의 입력에 따라 상기 터치부의 상기 터치 신호를 생성하는 터치 제어부를 포함하는 영상 처리장치의 제어방법. The touch screen may include a touch unit on which a two-dimensional resistive film having light transparency is disposed on the display panel, and a touch control uni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ouch unit to generate the touch signal according to an input from the outside. Control method of an image processing apparatus comprising. 제7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이미지 효과 주기가, 상기 이미지의 모양 및/또는 크기의 변경, 상기 이미지에 대한 아웃 포커싱, 및 색상 변경 중의 적어도 하나인 영상 처리장치의 제어방법. And the image effect period is at least one of changing a shape and / or size of the image, out focusing on the image, and changing a color. 제7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이미지 효과 영역이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서 선택된 점이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되는 초점이 맞추어진 객체인 영상 처리장치의 제어방법. And a focused object including at least one selected point on the touch screen. 제7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이미지 효과 영역이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서 선택된 두 개 이상의 점을 잇는 다각형 내에 존재하는 특정 개체인 영상 처리장치의 제어방법. And the image effect area is a specific object present in a polygon connecting two or more points selected on the touch screen. 제8항에 있어서, 9. The method of claim 8, 상기 이미지 효과 주기가 상기 이미지의 모양 및/또는 크기의 변경인 경우에, 상기 이미지 효과 영역 내에서 특정된 개체에서 제1점이 선택되어 상기 터치 스크린 내에서 제2점까지 이동되는 경우에 상기 제1점이 상기 제2점과 일치되도록 상기 이미지가 변경되는 영상 처리장치의 제어방법. When the image effect period is a change in shape and / or size of the image, when the first point is selected in the object specified in the image effect area and moved to the second point in the touch screen And the image is changed so that a dot coincides with the second point. 제8항에 있어서, 9. The method of claim 8, 상기 이미지 효과 주기가 상기 아웃 포커싱인 경우에, 상기 이미지 효과 영역 내에서 특정된 개체에서 제1점이 선택되어 상기 터치 스크린 내에서 제2점까지 이동되는 경우에 상기 제1점이 상기 제2점까지 아웃 포커싱되는 영상 처리장치의 제어방법. When the image effect period is the out focusing, the first point is out to the second point when a first point is selected from an object specified in the image effect area and moved to a second point in the touch screen. Control method of an image processing apparatus that is focused. 제8항에 있어서, 9. The method of claim 8, 상기 이미지 효과 주기가 상기 색상 변경인 경우에, 상기 이미지 효과 영역 내의 색상이 변경되는 영상 처리장치의 제어방법. And the color in the image effect area is changed when the image effect period is the color change.
KR1020070079166A 2007-08-07 2007-08-07 Method of controlling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apparatus thereof KR10136559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9166A KR101365594B1 (en) 2007-08-07 2007-08-07 Method of controlling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apparatus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9166A KR101365594B1 (en) 2007-08-07 2007-08-07 Method of controlling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apparatus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4864A KR20090014864A (en) 2009-02-11
KR101365594B1 true KR101365594B1 (en) 2014-02-20

Family

ID=406846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9166A KR101365594B1 (en) 2007-08-07 2007-08-07 Method of controlling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apparatus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5594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4735B1 (en) 2010-03-31 2013-08-08 삼성전자주식회사 Image processing method and photographing apparatus using the sam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29353A (en) * 2004-10-01 2006-04-06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Method for operating digital camera using touch screen
KR100668718B1 (en) * 2005-09-27 2007-01-16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Method for changing focus position on fixed subject composition
KR20070040107A (en) * 2005-10-11 2007-04-16 삼성전자주식회사 Photographing method of portable terminal using touch-screen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29353A (en) * 2004-10-01 2006-04-06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Method for operating digital camera using touch screen
KR100668718B1 (en) * 2005-09-27 2007-01-16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Method for changing focus position on fixed subject composition
KR20070040107A (en) * 2005-10-11 2007-04-16 삼성전자주식회사 Photographing method of portable terminal using touch-scre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4864A (en) 2009-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0027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on screen display when shutter is pressed half state in digital camera
KR101477542B1 (en) Apparatus for processing digital imag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1510101B1 (en) Apparatus for processing digital imag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KR100929390B1 (en) Adaptive menu control method of digital camera and device therefor
KR101365594B1 (en) Method of controlling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apparatus thereof
KR101564417B1 (en) Apparatus for processing digital imag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KR101411318B1 (en) Apparatus for processing digital imag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KR101396333B1 (en) Apparatus for processing digital image and method controlling thereof
KR101612448B1 (en) Apparatus for processing digital imag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KR101364537B1 (en) Apparatus for processing digital image
KR101469541B1 (en) Apparatus for processing digital imag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KR101387406B1 (en) Apparatus for digital image processing
KR20110056102A (en) Apparatus for processing digital imag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KR101416229B1 (en) Apparatus of processing image
KR101362769B1 (en) Apparatus for processing digital imag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KR101288914B1 (en) Method of controlling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apparatus thereof
KR101235803B1 (en) Method for processing digital image according to area setting up
KR101284038B1 (en) Apparatus for processing digital imag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KR101336924B1 (en) Apparatus for processing digital imag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KR101387408B1 (en) Apparatus for processing digital imag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KR20220014512A (en) Automatic image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of image apparatus
KR101537950B1 (en) Apparatus for processing digital imag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KR101658034B1 (en) Digital Image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and focus information display method thereof
KR101582085B1 (en) Apparatus for processing digital imag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KR101599883B1 (en) Apparatus for processing digital imag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3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