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7215B1 - DLNA Home Network and Method of Managing Thumbnail Therein - Google Patents

DLNA Home Network and Method of Managing Thumbnail Therei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7215B1
KR101147215B1 KR1020050093077A KR20050093077A KR101147215B1 KR 101147215 B1 KR101147215 B1 KR 101147215B1 KR 1020050093077 A KR1020050093077 A KR 1020050093077A KR 20050093077 A KR20050093077 A KR 20050093077A KR 101147215 B1 KR101147215 B1 KR 1011472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file
thumbnail
file
media
original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9307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70037914A (en
Inventor
배영규
신호철
최우준
강승미
김철승
한영섭
김준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930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7215B1/en
Publication of KR200700379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791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72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721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07Ex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12/2812Ex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describing content present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e.g. audio video cont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06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file transfer, e.g. file transfer protocol [FT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2012/2847Home automation networ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home appliance used
    • H04L2012/2849Audio/video applian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ultimedia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DLNA 홈 네트워크 및 DLNA 홈 네트워크의 썸 네일 관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적어도 하나의 미디어 서버가 원본 이미지 파일에 대한 썸네일 파일을 생성하고, 원본 이미지 파일이 저장된 저장 영역과 동일한 위치에 상기 생성된 썸네일 파일을 저장한 상태에서, 사용자의 미디어 검색 명령을 입력받은 미디어 플레이어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미디어 서버로 검색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면, 상기 검색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적어도 하나의 미디어 서버가 하나의 미디어 아이템 내에 원본 이미지 파일 및 그에 상응하는 썸네일 이미지 파일에 대한 정보를 모두 포함하여 결과 셋을 생성하고 상기 미디어 플레이어로 전송하도록 함으로써, DLNA 홈 네트워크에서 간편한 썸네일 구현 방법을 제시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LNA home network and a thumbnail management method of a DLNA home network, wherein at least one media server generates a thumbnail file for an original image file and is generated in the same location as a storage area in which the original image file is stored. When the media player, which has received the user's media search command, transmits a search request message to the at least one media server while storing a thumbnail file, the at least one media server receiving the search request message receives one media item. By presenting all the information about the original image file and the corresponding thumbnail image file in the generated result set and transmitting it to the media player, a simple thumbnail implementation method in a DLNA home network is presented.

Description

DLNA 홈 네트워크 및 DLNA 홈 네트워크에서의 썸 네일 관리 방법{DLNA Home Network and Method of Managing Thumbnail Therein}Thumbnail management method in DLNA home network and DLNA home network {DLNA Home Network and Method of Managing Thumbnail Therein}

도 1은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의 계층을 나타낸 도면.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hierarchy of a 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DLNA).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DLNA 홈 네트워크 구조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DLNA home network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DNLA 네트워크에서의 미디어 서버와 컨트롤 포인트간 이미지 전송 흐름을 나타낸 도면.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mage transmission flow between a media server and a control point in a DNLA net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썸네일 이미지 정보를 포함하는 아이템의 형태를 나타낸 도면.4 is a diagram showing the form of an item including thumbnail imag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00 : DMS(Digital Media Server : 미디어 서버) 100: DMS (Digital Media Server)

200 : DMR(Digital Media Renderer : 미디어 렌더러)200: DMR (Digital Media Renderer)

300 : DMP(Digital Media Player : 미디어 플레이어)300: DMP (Digital Media Player)

400 : M-NCF(Mobile-Network Connectivity Function)400: M-NCF (Mobile-Network Connectivity Function)

500 : CP(Control Point : 컨트롤 포인트)500: CP (Control Point)

본 발명은 UPnP 기반 DLNA에서의 썸네일 생성 및 관리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기존의 DLNA 스펙에서 제시하지 않았던 썸네일의 구체적 구현 방법을 제시하는 DLNA 홈 네트워크 및 DLNA 홈 네트워크에서의 썸 네일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humbnail generation and management in UPnP-based DLNA, and more particularly, to a thumbnail management method in a DLNA home network and a DLNA home network, which proposes a specific implementation method of a thumbnail that is not presented in the existing DLNA specification. It is about.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는 DHWG(Digital Home Working Group)의 후속 표준화 기구로, 가정 내에서 공존하는 네트워크를 PC 인터넷 네트워크(PC, 프린터 등), 이동 네트워크(PDA, 휴대폰, 노트북 등), 가전 네트워크(TV, 오디오, DVD플레이어 등)로 정의하고, 주요 산업체간의 협력, 상호 운용성 프레임워크의 표준화, 이를 준수하는 제품 등의 3가지 방식을 통해 상호 운용성 제공을 시도하였다. 현재 DLNA는 UPnP(Universal Plug-and-Play) 기술을 근간으로 물리적인 미디어, 네트워크 전송, 미디어 포맷, 스트리밍 프로토콜, DRM(Digital Right Management) 등의 표준화를 포함하고 있다.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DLNA) is the successor to the DHWG (Digital Home Working Group), a standardization organization that allows home networks to coexist in the home with PC Internet networks (PCs, printers, etc.), mobile networks (PDAs, mobile phones, laptops, etc.) We defined it as a network (TV, audio, DVD player, etc.) and attempted to provide interoperability through three ways: cooperation among major industries, standardization of interoperability frameworks, and products that comply. DLNA currently includes standardization of physical media, network transport, media formats, streaming protocols, and digital right management (DRM), based on Universal Plug-and-Play (UPnP) technology.

도 1은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의 계층을 나타낸다. 1 illustrates a layer of a 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DLNA).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DLNA는 네트워크 연결을 위해 유선의 경우에는 802.3i, 802.3u 등을 표준으로 하고, 무선의 경우에는 802.11a/b/g를 표준으로 하고 있다. 또한, 네트워크 계층은 IPv4 프로토콜을 사용하고, 미디어 전송 계층에는 HTTP를 사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As shown in FIG. 1, DLNA is a standard for 802.3i, 802.3u, and the like for wired connection and 802.11a / b / g for wireless. In addition, it can be seen that the network layer uses the IPv4 protocol and HTTP is used for the media transport layer.

디바이스 발견, 제어 및 미디어 관리를 위한 미들웨어로는 UPnP AV와 UPnP 디바이스 아키텍처가 사용되고 있으며, 미디어 포맷으로는 이미지, 오디오 및 오디오/비디오(A/V)가 사용되고 있다. UPnP AV and UPnP device architectures are used as middleware for device discovery, control and media management. Image, audio and audio / video (A / V) are used as media formats.

도 1에 알 수 있듯이 DLNA는 IP, TCP, UDP, HTTP, XML 등의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미들웨어인 UPnP를 기반으로 하고 있는데, UPnP는 특정 운영체제나 프로그래밍 언어, 미디어와 독립적으로 네트워크 상의 디바이스 간에 명령과 제어를 가능하게 하는 특징을 가진다. As shown in FIG. 1, DLNA is based on UPnP, which is middleware using protocols such as IP, TCP, UDP, HTTP, XML, and the like. Has the feature of enabling control.

UPnP AV 표준에서는 4가지 서비스를 정의하고 있는데, 연결 관리 서비스(Connection Manager Service), 렌더링 제어(Rendering Control) 서비스, AV전송(AVTransport) 서비스 및 컨텐츠 디렉토리(Content Directory) 서비스가 그것이다. The UPnP AV standard defines four services: Connection Manager Service, Rendering Control Service, AVTransport Service, and Content Directory Service.

연결 관리 서비스(Connection Manager Service)는, 포맷과 프로토콜을 선택하는데, 컨트롤 포인트가 콘텐츠의 소스와 싱크간의 관계를 사용하고 관리할 수 있게 한다. 여기서, 컨트롤 포인트(Control Point)는 다른 디바이스들을 검색하여 제어하는 능력을 가진 디바이스를 의미한다. 연결 관리 서비스는 또한 컨트롤 포인트가 물리적인 미디어 연결 기술을 몰라도 상관없도록 하며, 컨트롤 포인트가 소스와 그 소스를 재생할 싱크를 선택할 수 있게 한다. The Connection Manager Service selects the format and protocol, which allows the control point to use and manag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ource and the sink of the content. Here, the control point refers to a device having the ability to search for and control other devices. The connection management service also allows the control point to not know the physical media connection technology, and allows the control point to select a source and a sink to play that source.

렌더링 제어 서비스는 소리와 이미지 특성을 제어한다. 대부분의 재생 디바이스들은 컨텐츠 재생에 영향을 끼치는 설정 속성들을 제공하는데, 렌더링 제어 서비스는 컨트롤 포인트가 이러한 재생 속성들을 조정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한다. The rendering control service controls the sound and image characteristics. Most playback devices provide configuration properties that affect content playback, and the rendering control service provides the control point the ability to adjust these playback properties.

AV전송 서비스는 재생과 기록을 제어한다. AV전송 서비스는 컨트롤 포인트가 재생, 정지, 일시 정지 등과 같은 작업을 통해서 오디오와 비디오 스트림의 전송에 대한 제어를 할 수 있도록 하는 메커니즘을 제공한다. The AV transmission service controls playback and recording. The AV transport service provides a mechanism that allows the control point to control the transmission of audio and video streams through operations such as play, stop and pause.

컨텐츠 디렉토리 서비스는 콘텐츠와 메타 데이터 리스트를 보여주는 서비스이다. 컨텐츠 디렉토리는 컨트롤 포인트가 오디오 및 비디오 콘텐츠를 검색하고 저장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서비스이다. 컨텐츠 디렉토리는 MP3 플레이어에 있는 노래들, 스틸 이미지로 구성된 슬라이드, DVD-쥬크박스에 있는 영화들, TV 스케쥴 등 많은 미디어 타입들을 나열할 수 있다. The content directory service is a service that displays a list of contents and metadata. The content directory is a service that control points use to retrieve and store audio and video content. The content directory can list many media types, including songs in an MP3 player, slides with still images, movies in a DVD-jukebox, TV schedules, and more.

컨텐츠 디렉토리 서비스에서는 또한 이미지 아이템에 대해 동적으로 썸네일(thumbnail)을 생성하고, 생성된 썸네일을 컨트롤 포인트 혹은 미디어 렌더러에서 효율적으로 재생하기 위한 방법에 대해 기술하고 있는데, DLNA에서 썸네일을 제공하는 형태는 주로 JPEG_TN 또는 PNG_TN 형태의 독립적인 미디어 포맷이다. The Content Directory Service also describes how to dynamically generate thumbnails for image items and how to efficiently play the generated thumbnails in a control point or media renderer. It is an independent media format in the form of JPEG_TN or PNG_TN.

여기서, 썸네일은 일반적으로 원 이미지에 비해 작은 크기의 화상으로, 다수 개의 화상을 동시에 보여주거나 화상의 미리 보기 등에 사용되는 소형 화상을 의미한다. 이러한 썸네일 이미지를 이용하면 원 이미지 전체를 메모리로 올리지 않고 화상의 내용이나 특징을 알 수 있어, 빠른 시간에 많은 이미지 정보를 파악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물론, 화상의 크기나 화질 등의 이유로 보다 정확한 정보를 획득하는 데는 제한이 있으나, 이 경우는 썸네일 이미지에서 얻은 대략적인 정보 분석 결과에 의해 선택된 원 이미지만을 다시 볼 수 있는 기능에 의해 정보 표시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Here, the thumbnail is generally a smaller sized image than the original image, and refers to a small image used for simultaneously displaying a plurality of images or for previewing an image. By using such a thumbnail image, the contents or characteristics of the image can be known without uploading the entire original image to the memory, and thus, there is an advantage that a large amount of image information can be grasped in a short time. Of course, there is a limit to obtaining more accurate information for reasons such as image size or image quality, but in this case, the efficiency of information display by the function of re-viewing only the original image selected by the rough information analysis result obtained from the thumbnail image Can increase.

DLNA 컨텐츠 디렉토리 서비스에서 이러한 썸네일을 지원하기 위해서는, 하나의 이미지 아이템 정보를 구성하는 XML 데이터의 res(resource) 구성요소(element)의 attribute인 importURI에 썸네일의 URI 위치 정보를 원본 이미지의 res와는 별도로 하나 더 추가 구성하는 구조를 띤다. 이뿐 아니라, 썸네일 지원시 이미지나 비디오 아이템의 res 구성 요소와는 별도로 썸네일에 대한 res 구성요소를 생성하여 전송한다고만 언급되어 있을 뿐 구체적인 구현 방법은 DLNA 스펙에 언급되어 있지 않다. To support such thumbnails in the DLNA Content Directory Service, the URI location information of thumbnails should be added to importURI, which is an attribute of the res (resource) element of XML data constituting one image item information, separately from the res of the original image. It has a more constitutive structure. In addition, it is mentioned that when supporting thumbnails, a res component for thumbnails is generated and transmitted separately from the res component of an image or video item, and a specific implementation method is not mentioned in the DLNA specification.

DLNA에서의 기존의 썸네일 지원 방법은 또한, 썸네일 형태로 이미지를 재생하기 위해서는 DLNA와는 별도로 사용자가 이미지 썸네일 파일을 생성하여 미디어 서버에 저장해야 하는 번거로운 과정이 필요한 문제점이 있다. The existing thumbnail support method in DLNA also has a problem that a user needs to create an image thumbnail file and store it in a media server separately from DLNA in order to play an image in thumbnail form.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DLNA 스펙을 기반으로 서버 측에서의 구체적인 썸네일 생성 및 처리 방법을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generating and processing detailed thumbnails on a server side based on a DLNA specification.

상기의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DLNA 홈 네트워크의 썸네일 관리 방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미디어 서버가 원본 이미지 파일에 대한 썸네일 파일을 생성하고, 원본 이미지 파일이 저장된 저장 영역과 동일한 위치에 상기 생성된 썸네일 파일을 저장하는 단계; 사용자의 미디어 검색 명령을 입력받은 미디어 플레이어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미디어 서버로 검색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검색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적어도 하나의 미디어 서버가 하나의 미디어 아이템 내에 원본 이미지 파일 및 그에 상응하는 썸네일 이미지 파일에 대한 정보를 모두 포함하여 결과 셋을 생성하고 상기 미디어 플레이어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thumbnail management method of a DLNA home network, wherein the at least one media server generates a thumbnail file for an original image file, and the same location as a storage area in which the original image file is stored. Storing the generated thumbnail file in the; A media player receiving a user's media search command, transmitting a search request message to the at least one media server; And generating, by the at least one media server receiving the search request message, a result set including all of the original image file and the corresponding thumbnail image file in one media item and transmitting the result set to the media player. do.

상기 썸네일 이미지 파일은, 원본 이미지 파일의 명칭에 썸네일 파일임을 의미하는 부가 기호가 부착된 형태의 파일 명칭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thumbnail image file may have a file name in a form in which an additional symbol indicating a thumbnail file is attached to a name of an original image file.

상기 결과 셋은, 원본 이미지 파일에 대한 자원(res) 정보와 썸네일 이미지 파일에 대한 자원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자원 정보는 파일의 저장 위치와 파일의 프로토콜 정보를 포함한다. The result set includes resource information about the original image file and resource information about the thumbnail image file, and the resource information includes a storage location of the file and protocol information of the file.

상기 DLNA 홈네트워크의 썸네일 관리 방법은 상기 미디어 플레이어가 수신한 결과 셋으로부터 썸네일 이미지 파일 위치를 획득하고, 상기 미디어 서버로 접속하여 상기 썸네일 이미지 파일을 다운로드받고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method of managing a thumbnail of the DLNA home network may further include obtaining a thumbnail image file location from a result set received by the media player, accessing the media server, and downloading and displaying the thumbnail image file.

상기 DLNA 홈네트워크의 썸네일 관리 방법은 또한 사용자로부터 특정 이미지 파일에 대해 재생 요구를 입력받은 상기 미디어 플레이어가, 상기 디스플레이 된 썸네일 이미지 파일과 동일한 위치에 원본 이미지 파일을 저장하고 있는 미디어 서버로 접속하여 상기 원본 이미지 파일을 다운로드받고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thumbnail management method of the DLNA home network may further include the media player receiving a playback request from a user for a specific image file by connecting to a media server storing the original image file at the same location as the displayed thumbnail image file.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downloading and displaying the original image file.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홈 네트워크는 원본 이미지 파일에 대한 썸네일 이미지 파일을 생성하고, 원본 이미지 파일이 저장된 저장 영역과 동일한 위치에 상기 생성한 썸네일 이미지 파일을 저장하고, 미디어 검색 요청에 대해 하나의 미디어 아이템 내에 원본 이미지 파일 및 그에 상응하는 썸네일 이미지 파일에 대한 정보를 모두 포함하여 결과 셋을 생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미디어 서버를 포함한다. DLNA home network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generates a thumbnail image file for the original image file, and stores the generated thumbnail image file in the same location as the storage area where the original image file is stored, At least one media server for generating a result set including all information about the original image file and the corresponding thumbnail image file in one media item for the media search request.

상기 DLNA 홈 네트워크는 또한 사용자의 미디어 검색 명령을 입력받아 상기 적어도 하나의 미디어 서버로 검색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미디어 서버로부터 수신한 결과 셋으로부터 썸네일 이미지 파일 위치를 획득하여 상기 미디어 서버로 접속하여 상기 썸네일 이미지 파일을 다운로드받고 디스플레이 하는 미디어 플레이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DLNA home network also receives a user's media search command and transmits a search request message to the at least one media server, obtains a thumbnail image file location from the result set received from the media server, and accesses the media server. 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media player for downloading and displaying the thumbnail image file.

상기 미디어 플레이어는, 사용자로부터 특정 이미지 파일에 대해 재생 요구를 입력받고, 상기 선택된 썸네일 이미지 파일과 동일한 위치에 원본 이미지 파일을 저장하고 있는 미디어 서버로 접속하여 상기 원본 이미지 파일을 다운로드받고 디스플레이 한다. The media player receives a play request for a specific image file from a user, connects to a media server that stores the original image file at the same location as the selected thumbnail image file, and downloads and displays the original image file.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홈 네트워크는, 원본 이미지 파일에 대한 썸네일 이미지 파일을 생성하고, 원본 이미지 파일이 저장된 저장 영역과 동일한 위치에 상기 생성한 썸네일 이미지 파일을 저장하고, 미디어 검색 요청에 대해 하나의 미디어 아이템 내에 원본 이미지 파일 및 그에 상응하는 썸네일 이미지 파일에 대한 정보를 모두 포함하여 결과 셋을 생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미디어 서버와 사용자의 미디어 검색 명령을 입력받아 상기 적어도 하나의 미디어 서버로 검색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미디어 서버로부터 수신한 결과 셋으로부터 썸네일 이미지 파일 위치를 획득하여 상기 미디어 서버로 접속하여 상기 썸네일 이미지 파일을 다운로드받고 디스플레이 하는 컨트롤 포인트를 포함한다. The 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DLNA) home network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generates a thumbnail image file for the original image file and stores the generated thumbnail image file in the same location as the storage area in which the original image file is stored. And receiving at least one media server and a user's media retrieval command to generate a result set including all the information about the original image file and the corresponding thumbnail image file in one media item in response to the media retrieval request. And a control point for transmitting a search request message to one media server, obtaining a thumbnail image file location from a result set received from the media server, connecting to the media server, and downloading and displaying the thumbnail image file.

상기 DLNA 홈 네트워크는 사용자로부터 특정 이미지 파일에 대해 재생 요구를 입력받은 컨트롤 포인트의 제어에 따라 상기 선택된 이미지의 썸네일 파일과 동일한 위치에 원본 이미지 파일을 저장하고 있는 미디어 서버로 접속하여 상기 원본 이미지 파일을 다운로드받고 디스플레이 하는 미디어 렌더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DLNA home network accesses the original image file by accessing a media server that stores the original image file at the same location as the thumbnail file of the selected image under the control of a control point receiving a playback request for a specific image file from a user. It may further include a media renderer to download and display.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살펴보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DLNA 홈 네트워크 구조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다. 2 illustrates an embodiment of a DLNA home network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LNA 홈 네트워크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DMS(100), DMR(200), DMP(300), M-NCF(400) 등의 구성 요소가 포함되어 있다. The DLNA home network includes components such as the DMS 100, the DMR 200, the DMP 300, and the M-NCF 400 as illustrated in FIG. 2.

UPnP를 기반으로 하는 DLNA에서는 디바이스마다 디바이스 클래스(Device Class)가 설정되는데, 도2의 구성 요소들은 이러한 디바이스 클래스에 따라 분류되고 명명된 것이다. 디바이스 클래스는 물리적 특성에 상관없이 어떠한 기능을 지원 하는가에 따라 분류되는데, 하나의 디바이스가 여러 기능을 제공할 수도 있으므로, 하나의 디바이스가 여러 디바이스 클래스에 속할 수도 있다. DMS(Digital media Server)(100)는 DLNA 기반 홈 네트워크 상에 미디어를 제공하는 디바이스이며, DMR(Digital Media Renderer)(200)은 홈 네트워크로부터 받은 콘텐츠를 재생하는 디바이스이다. DMP(Digital Media Player)(300)는 홈 네트워크 상의 미디어를 선택, 제어하고 선택된 미디어를 재생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디바이스로, 컨트롤 포인트의 기능과 DMS의 기능이 복합되어 있다. 또한, CP(Control Point, 컨트롤 포인트)(500)는 이미 상술한 바와 같이, 다른 디바이스들을 검색하여 제어하는 능력을 가진 디바이스를 의미한다. CP(500)는 사용자의 자유로운 제어 및 관리를 위해 댁내의 가전기기에 흔히 사용되는 리모콘과 같이 이동성을 지원하는 휴대용 단말의 형태를 띠는 것이 보통이나, 유선으로 홈 네트워크 내의 다른 디바이스들과 연결되는 형태가 배제되는 것은 아니다. In UPNA-based DLNA, a device class is set for each device, and the components of FIG. 2 are classified and named according to the device class. Device classes are classified according to which functions they support regardless of their physical characteristics. Since a device may provide various functions, a device may belong to several device classes. The digital media server (DMS) 100 is a device that provides media on a DLNA-based home network, and the digital media renderer (DMR) 200 is a device that plays content received from the home network. The digital media player (DMP) 300 is a device that provides a function of selecting and controlling media on a home network and playing the selected media. The DMP 300 is a combination of a control point function and a DMS function. In addition, the CP 500 refers to a device having the capability of searching for and controlling other devices as described above. CP 500 is usually a portable terminal that supports mobility, such as a remote control commonly used in home appliances for free control and management of the user, but is connected to other devices in the home network by wire. Form is not excluded.

한편, M-NCF(Mobile-Network Connectivity Function)(400)는 이동 전화와 같은 무선 장치와 DVD 플레이어 같은 유선 장치간의 네트워크 연결을 중계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Meanwhile, the mobile-network connectivity function (M-NCF) 400 plays a role of relaying a network connection between a wireless device such as a mobile phone and a wired device such as a DVD player.

기능 및 물리적 특성에 따라 구분되는 DLNA 디바이스 종류에는 DVD 플레이어, TV, DVR, 이동 전화, 프린터, 카메라 등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여러 종류의 디바이스들은 그 서비스 형태에 따라 DMS, DMR, CP, DMP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전화 등의 경우에는 컨트롤 포인트로 기능할 가능성이 높으며, TV, DVR 등은 DMS 혹은 DMR로 기능할 가능성이 높다 할 것이다. DLNA device types classified according to functional and physical characteristics may include a DVD player, a TV, a DVR, a mobile phone, a printer, and a camera. These various types of devices may be DMS, DMR, CP, or DMP depending on the type of service. For example, mobile phones, etc., are likely to function as control points, while TVs, DVRs, etc., are likely to function as DMS or DMR.

한편, 썸네일은 이미지 아이템의 리스트를 시각적으로 제공함으로써 텍스트 형태보다 직관적인 사용자 편의성을 제공하며 DLNA 홈 네트워크에서도 활용 가능성이 높다. 이러한 썸네일을 구성하는 방법으로는, 서버 측에서 구성하는 방법과 클라이언트 측에서 구성하는 두 가지 방법이 있다. On the other hand, thumbnails provide a more intuitive user convenience than text form by providing a list of image items visually, and is highly applicable to DLNA home networks. There are two ways to configure such thumbnails on the server side and on the client side.

클라이언트 측에서 구성하는 방법은 서버상의 이미지를 그대로 다운로드 받아 이를 클라이언트 측에서 재구성하여 마치 썸네일 파일을 보는 것처럼 재생하는데, 이는 전체 이미지를 전송해야 하기 때문에 네트워크 및 메모리 로드(load)를 증가시키는 단점이 있다. The method of configuring on the client side downloads the image on the server as it is and reconstructs it on the client side and plays it as if the thumbnail file is viewed. This has the disadvantage of increasing the network and memory load because the entire image must be transmitted. .

본 발명에서와 같이 썸네일을 서버 측에서 구성하는 방법은, 서버가 내부적으로 모든 이미지에 대한 썸네일 파일을 별도로 구성하여 저장하거나, 외부적으로 구성된 썸네일 파일을 수동적으로 서버에 저장하는 두 가지 방법으로 나눌 수 있다. As in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of configuring thumbnails on the server side may be divided into two methods, in which the server separately configures and stores thumbnail files for all images internally, or manually stores externally configured thumbnail files on the server. Can be.

이렇듯 서버 측에서 내부적으로 생성하여 저장한 썸네일 이미지를 미리보기 형식으로 클라이언트 측으로 제공하는 방법은 원본 이미지를 그대로 전송하는 것에 비해 네트워크 로드를 줄일 뿐 아니라 처리 속도에 있어서도 향상을 가져온다. This method of providing thumbnail images generated and stored internally on the server side to the client side in preview form not only reduces the network load but also improves the processing speed compared to transmitting the original image as it is.

본 발명에 따라 미디어 서버가 썸네일을 생성하고 저장하는 방법 및 미디어 서버와 컨트롤 포인트간의 썸네일 파일 전송에 관해 도 3 및 도 4를 통해 살펴보기로 한다.A method of generating and storing thumbnails by the media server and transferring thumbnail files between the media server and the control poi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4.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DNLA 네트워크에서의 미디어 서버와 컨트롤 포인트간 이미지 전송 흐름을 나타낸다. 3 illustrates an image transmission flow between a media server and a control point in a DNLA net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미디어 서버(100)는 썸네일을 생성하고자 하는 미디어 아이템을 찾아 해당 이미지 파일을 썸네일 크기의 이미지 파일로 재 인코딩/디코딩 과정을 거쳐 썸네일 파일로 저장한다(S310). 이 때, 썸네일 파일은 원본 이미지 파일과 동일한 저장영역(container) 내에 원본 이미지 파일과 동일한 형태의 파일명을 사용하되, 파일명 뒤에 "_thumb"라는 이름을 추가로 붙여 저장한다(S311). 예를 들어, 원본 이미지 파일이 summer.jpg라면 이에 대한 썸네일 파일의 이름은 summer_thumb.jpg로 설정되어 저장된다. The media server 100 finds a media item for generating a thumbnail and stores the image file as a thumbnail file after re-encoding / decoding a corresponding image file into a thumbnail sized image file (S310). In this case, the thumbnail file uses a file name having the same form as the original image file in the same storage area as the original image file, but additionally stores the name "_thumb" after the file name (S311). For example, if the original image file is summer.jpg, the thumbnail file for it is named and stored as summer_thumb.jpg.

이러한 썸네일 파일의 생성 및 저장은 DLNA 특성상 미디어 서버의 컨텐츠 디렉토리 서비스 제공 모듈의 내부 루틴이 모든 미디어 아이템에 대한 정보를 가지고 있는 점을 이용, 컨텐츠 디렉토리 서비스를 담당하는 모듈에서 썸네일을 구성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The generation and storage of such a thumbnail file is preferable to configure the thumbnail in the module in charge of the content directory service by using the fact that the internal routine of the content directory service providing module of the media server has information about all media items due to the nature of DLNA. Will do.

미디어 서버(100) 내에서 상기의 썸네일 파일 생성 및 저장이 완료된 상태에서, DMP(300)를 통해 사용자가 홈 네트워크 내에 존재하는 미디어에 대한 검색 명령을 내린다고 가정한다(S320). 도 3에서는 DMP(300)를 통해 검색 명령을 입력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DMP(300)가 아닌 컨트롤 포인트를 통해 입력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미디어 재생을 담당하는 디바이스가 DMR로 분리되는 차이점이 발생할 수 있을 것이나 기본적인 흐름은 동일하다 할 것이다. In the state where the thumbnail file generation and storage are completed in the media server 100, it is assumed that the user issues a search command for the media existing in the home network through the DMP 300 (S320). In FIG. 3, the search command is input through the DMP 300, but may be input through a control point instead of the DMP 300. In this case, there may be a difference that the device responsible for media playback is separated by DMR, but the basic flow is the same.

미디어 검색 명령을 입력받은 DMP(300)는 browse 혹은 search 명령을 통해 홈 네트워크 내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DMS(100)로 각각의 DMS가 보유하는 미디 어에 대해 보고할 것을 요구한다(S321). DMP(300)의 browse/search 메시지를 수신한 DMS(100)는 저장하고 있는 이미지 파일 및 그에 대한 썸네일 파일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결과 셋(result set)을 작성한다(S312). 결과 셋은 미디어 아이템에 대한 리스트를 포함하게 되는데, 각각의 이미지 파일들에 대해서 하나의 res 구성요소(element)가 추가된 상태이며, 추가된 res 내에 썸네일에 관한 정보가 삽입된다. 썸네일용으로 추가된 res 구성요소의 importURI attribute는 원본 이미지 파일의 importURI와 동일하게 설정되나, 원본 파일명 뒤에 "_thumb"이 추가되어 썸네일 파일임을 표시하게 된다. The DMP 300 receiving the media search command requests to report on the media held by each DMS to at least one DMS 100 located in the home network through a browse or search command (S321). Upon receiving the browse / search message of the DMP 300, the DMS 100 creates a result set including information on the image file and the thumbnail file thereof (S312). The result set includes a list of media items, with one res element added for each image file, and information about thumbnails is inserted in the added res. The importURI attribute of the res component added for thumbnails is set to be the same as the importURI of the original image file, but "_thumb" is added after the original file name to indicate that it is a thumbnail file.

DMS(100)는 작성된 결과 셋을 DMP(300)로 전송한다(S313). 이를 수신한 DMP(300)는 수신한 결과 셋의 "res@protocolinfo"의 네 번째 필드가 썸네일을 표시하는 경우, 해당 썸네일 파일을 전송할 것을 요구한다(S322). 썸네일 파일을 요구하기 위해 DMP(300)는 http-get 메시지를 DMS(100)로 전송한다(S323). DMS(100)는 해당 썸네일 파일을 DMP(300)로 전송하고, 이를 수신한 DMP(300)는 썸네일 파일을 디스플레이한다(SS323). 즉, DMS(100)는 수신한 결과 셋의 아이템 리스트 XML을 파싱해 res 구성요소 중 형태가 JPEG_TN인 구성요소의 importURI attribute의 위치로 접속하여, 해당 위치의 썸네일 파일을 다운받아 디스플레이 한다(S322 S323). The DMS 100 transmits the created result set to the DMP 300 (S313). Upon receiving this, if the fourth field of "res @ protocolinfo" of the received result set indicates a thumbnail, the DMP 300 requests to transmit the corresponding thumbnail file (S322). In order to request a thumbnail file, the DMP 300 transmits an http-get message to the DMS 100 (S323). The DMS 100 transmits the corresponding thumbnail file to the DMP 300, and the received DMP 300 displays the thumbnail file (SS323). That is, the DMS 100 parses the received item list XML of the result set, accesses the location of the importURI attribute of the component having a JPEG_TN type among the res components, and downloads and displays a thumbnail file of the corresponding position (S322 S323). ).

디스플레이된 썸네일 파일을 사용자가 선택하는 경우(S324), DMP(300)는 썸네일 파일에 대한 원본 이미지 파일을 전송해 줄 것을 http-get 메시지를 통해 DMS(100)로 요구한다(S325). DMS(100)는 전송 요구된 썸네일 파일에 대한 원본 이미지 파일이 저장된 위치에서 원본 이미지 파일을 찾아 DMP(300)로 전송한다 (S315). 즉, DMP(300)의 원본 이미지 파일 전송 요구시, 해당 이미지 아이템이 포함하는 두 개의 res 구성요소 중 타입 특성이 JPEG_TN이 아닌 다른 구성요소의 importURI를 다운로드 하여 디스플레이 하게 된다.When the user selects the displayed thumbnail file (S324), the DMP 300 requests the DMS 100 to transmit the original image file for the thumbnail file through the http-get message (S325). The DMS 100 finds the original image file at the location where the original image file for the thumbnail file to be transmitted is stored and transmits the original image file to the DMP 300 (S315). That is, upon request of the transfer of the original image file of the DMP 300, the importURI of a component whose type property is not JPEG_TN among two res components included in the corresponding image item is downloaded and displayed.

이때, 썸네일 파일이 저장된 위치와 원본 이미지 파일이 저장된 위치는 동일한 저장 영역에 포함되므로 DMS(100)가 원본 이미지 파일을 검색하는 데 걸리는 시간이 상당히 단축된다. 원본 이미지 파일을 수신한 DMP(300)는 이를 디스플레이함으로써(S326) 사용자의 요구에 응답하게 된다. At this time, since the location where the thumbnail file is stored and the location where the original image file is stored are included in the same storage area, the time required for the DMS 100 to search for the original image file is significantly shortened. Upon receiving the original image file, the DMP 300 responds to the user's request by displaying it (S326).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썸네일 이미지 정보를 포함하는 아이템의 형태를 나타낸다. 4 illustrates a form of an item including thumbnail imag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도 3의 이미지 파일 전송 과정을 통해 살펴보았던 결과 셋이 포함하는 미디어 아이템 리스트 중 하나의 아이템이 포함하는 내용을 디스플레이 한 것이다. FIG. 4 displays contents included in one item of a media item list included in the result set as described through the image file transfer process of FIG. 3.

도 4의 결과셋은 하나의 아이템(400) 내에 두 res 구성요소(410, 420)가 포함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원본 이미지 파일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res(410)는 <res importUri="http://a.b.c.d/~abc/image.jpg" protocolinfo="*:*:image:JPEG" /> 으로 원본 이미지 파일의 위치(location)와 이미지에 대한 프로토콜 정보를 표현하고 있다. 썸네일 이미지 파일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res(420)는 <res importUri="http://a.b.c.d/~abc/image_thumb.jpg"protocolinfo="*:*:image:JPEG_TN"/>의 형태로, 원본 이미지 파일이 위치하는 곳과 저장 영역이 동일하고 이미지 에 대한 프로토콜은 JPEG 썸네일 이미지임을 나타내고 있다. It can be seen that the result set of FIG. 4 includes two res components 410 and 420 in one item 400. Res (410), which contains information about the original image file, is <res importUri = "http: //abcd/~abc/image.jpg" protocolinfo = "*: *: image: JPEG" /> It expresses protocol information about location and image. Res (420), which contains information about thumbnail image files, is in the form of <res importUri = "http: //abcd/~abc/image_thumb.jpg" protocolinfo = "*: *: image: JPEG_TN" /> Where the image file is located and the storage area is the same, the protocol for the image is a JPEG thumbnail image.

즉, 도 4와 같이 원본 이미지 파일과 그에 대한 썸네일 이미지 파일을 별도의 미디어 아이템으로 생성하지 않고, 하나의 아이템 리스트에 포함시켜 결과 셋을 구성함으로써 썸네일 파일과 원본 파일의 저장 위치 및 파일명의 상관 관계를 간편하게 구현하였다. That is, as shown in FIG. 4, the correlation between the thumbnail file and the storage location of the original file and the file name is not generated by generating the original image file and the thumbnail image file thereof as a separate media item, but included in a single item list to form a result set. Was easily implemented.

본 발명은, 기존의 DLNA 스펙에서 구체적으로 정의하지 않았던 썸네일 구현방법에 대한 구체적 형태를 제시함으로써, DLNA 홈 네트워크에서 간편하게 썸네일을 구성할 수 있는 편의성을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nvenience of easily configuring a thumbnail in a DLNA home network by presenting a specific form of a thumbnail implementation method that is not specifically defined in the existing DLNA specification.

Claims (15)

적어도 하나의 미디어 서버와 미디어 플레이어를 포함하는 DLNA 네트워크의 썸네일 관리 방법에 있어서,In the thumbnail management method of a DLNA network comprising at least one media server and a media player, 상기 적어도 하나의 미디어 서버가 원본 이미지 파일에 대한 썸네일 파일을 생성하고, 원본 이미지 파일이 저장된 저장 영역과 동일한 위치에 상기 생성된 썸네일 파일을 저장하는 단계;Generating, by the at least one media server, a thumbnail file for the original image file, and storing the generated thumbnail file in the same location as a storage area in which the original image file is stored; 사용자의 미디어 검색 명령을 입력받은 미디어 플레이어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미디어 서버로 검색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 및A media player receiving a user's media search command, transmitting a search request message to the at least one media server; And 상기 검색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적어도 하나의 미디어 서버가 하나의 미디어 아이템 내에 원본 이미지 파일 및 그에 상응하는 썸네일 이미지 파일에 대한 정보를 모두 포함하여 결과 셋을 생성하고 상기 미디어 플레이어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DLNA 홈 네트워크의 썸네일 관리 방법.At least one media server receiving the search request message generates a result set including all the information about the original image file and the corresponding thumbnail image file in one media item and transmits the result set to the media player; How to manage thumbnails in DLNA home network. 제 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썸네일 이미지 파일은, The thumbnail image file, 원본 이미지 파일의 명칭에 썸네일 파일임을 의미하는 부가 기호가 부착된 형태의 파일 명칭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LNA 홈 네트워크의 썸네일 관리 방법.A thumbnail management method of a DLNA home network, characterized by having a file name in the form of an appended symbol indicating that the original image file is a thumbnail file.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결과 셋은, The result set is 원본 이미지 파일에 대한 자원(res) 정보와 썸네일 이미지 파일에 대한 자원 정보를 포함하는 DLNA 홈 네트워크의 썸네일 관리 방법.A thumbnail management method for a DLNA home network that includes resource information for a source image file and resource information for a thumbnail image file. 제 3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3, 상기 자원 정보는 파일의 저장 위치와 파일의 프로토콜 정보를 포함하는 DLNA 홈 네트워크의 썸네일 관리 방법.And the resource information includes a storage location of a file and protocol information of the file. 제 3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3, 상기 미디어 플레이어가 수신한 결과 셋으로부터 썸네일 이미지 파일 위치를 획득하고, 상기 미디어 서버로 접속하여 상기 썸네일 이미지 파일을 다운로드받고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DLNA 홈네트워크의 썸네일 관리 방법.Obtaining a thumbnail image file location from the result set received by the media player, and accessing the media server to download and display the thumbnail image file. 제 5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5, 사용자로부터 특정 이미지 파일에 대해 재생 요구를 입력받은 상기 미디어 플레이어가, 상기 디스플레이 된 썸네일 이미지 파일과 동일한 위치에 원본 이미지 파일을 저장하고 있는 미디어 서버로 접속하여 상기 원본 이미지 파일을 다운로드받고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DLNA 홈네트워크의 썸네일 관리 방법.The media player receiving a play request for a specific image file from a user, accessing a media server storing the original image file at the same location as the displayed thumbnail image file to download and display the original image file; Thumbnail management method of the DLNA home network further comprising.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홈 네트워크에 있어서,In the 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DLNA) home network, 원본 이미지 파일에 대한 썸네일 이미지 파일을 생성하고, 원본 이미지 파일이 저장된 저장 영역과 동일한 위치에 상기 생성한 썸네일 이미지 파일을 저장하고, 미디어 검색 요청에 대해 하나의 미디어 아이템 내에 원본 이미지 파일 및 그에 상응하는 썸네일 이미지 파일에 대한 정보를 모두 포함하여 결과 셋을 생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미디어 서버를 포함하는 DLNA 홈 네트워크. Create a thumbnail image file for the original image file, store the created thumbnail image file in the same location as the storage area where the original image file is stored, and place the original image file and its corresponding within one media item for a media retrieval request A DLNA home network comprising at least one media server for generating a result set including all information about thumbnail image files. 제 7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썸네일 이미지 파일은, The thumbnail image file, 원본 이미지 파일의 명칭에 썸네일 파일임을 의미하는 부가 기호가 부착된 형태의 파일 명칭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LNA 홈 네트워크.DLNA home network, characterized in that the name of the original image file has a file name in the form of appended symbols indicating that the thumbnail file. 제 7항 또는 제 8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7 or 8, 상기 결과 셋은, The result set is 원본 이미지 파일에 대한 자원(res) 정보와 썸네일 이미지 파일에 대한 자원 정보를 포함하는 DLNA 홈 네트워크.DLNA home network that contains resource (res) information for the original image file and resource information for the thumbnail image file. 제 9항에 있어서, 10. The method of claim 9, 상기 자원 정보는 파일의 저장 위치와 파일의 프로토콜 정보를 포함하는 DLNA 홈 네트워크.The resource information includes a storage location of a file and protocol information of the file. 제 7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사용자의 미디어 검색 명령을 입력받아 상기 적어도 하나의 미디어 서버로 검색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미디어 서버로부터 수신한 결과 셋으로부터 썸네일 이미지 파일 위치를 획득하여 상기 미디어 서버로 접속하여 상기 썸네일 이미지 파일을 다운로드받고 디스플레이 하는 미디어 플레이어를 더 포함하는 DLNA 홈 네트워크.Receives a user's media search command and sends a search request message to the at least one media server, obtains a thumbnail image file location from the result set received from the media server, connects to the media server, and downloads the thumbnail image file. DLNA home network further comprising a media player to receive and display. 제 11항에 있어서, 12. The method of claim 11, 상기 미디어 플레이어는, The media player, 사용자로부터 특정 이미지 파일에 대해 재생 요구를 입력받고, 상기 선택된 썸네일 이미지 파일과 동일한 위치에 원본 이미지 파일을 저장하고 있는 미디어 서버로 접속하여 상기 원본 이미지 파일을 다운로드받고 디스플레이 하는 DLNA 홈 네트워크.DLNA home network for receiving a playback request for a specific image file from a user, connecting to a media server storing the original image file at the same location as the selected thumbnail image file, and downloading and displaying the original image file.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홈 네트워크에 있어서,In the 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DLNA) home network, 원본 이미지 파일에 대한 썸네일 이미지 파일을 생성하고, 원본 이미지 파일이 저장된 저장 영역과 동일한 위치에 상기 생성한 썸네일 이미지 파일을 저장하고, 미디어 검색 요청에 대해 하나의 미디어 아이템 내에 원본 이미지 파일 및 그에 상응하는 썸네일 이미지 파일에 대한 정보를 모두 포함하여 결과 셋을 생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미디어 서버; 와Create a thumbnail image file for the original image file, store the created thumbnail image file in the same location as the storage area where the original image file is stored, and place the original image file and its corresponding within one media item for a media retrieval request At least one media server for generating a result set including all the information on the thumbnail image file; Wow 사용자의 미디어 검색 명령을 입력받아 상기 적어도 하나의 미디어 서버로 검색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미디어 서버로부터 수신한 결과 셋으로부터 썸네일 이미지 파일 위치를 획득하여 상기 미디어 서버로 접속하여 상기 썸네일 이미지 파일을 다운로드받고 디스플레이 하는 컨트롤 포인트를 포함하는 DLNA 홈 네트워크.Receives a user's media search command and sends a search request message to the at least one media server, obtains a thumbnail image file location from the result set received from the media server, connects to the media server, and downloads the thumbnail image file. DLNA home network with control points to receive and display. 제 1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3, 상기 썸네일 이미지 파일은, The thumbnail image file, 원본 이미지 파일의 명칭에 썸네일 파일임을 의미하는 부가 기호가 부착된 형태의 파일 명칭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LNA 홈 네트워크.DLNA home network, characterized in that the name of the original image file has a file name in the form of appended symbols indicating that the thumbnail file. 제 14항에 있어서,15. The method of claim 14, 사용자로부터 특정 이미지 파일에 대해 재생 요구를 입력받은 컨트롤 포인트의 제어에 따라 상기 선택된 이미지의 썸네일 파일과 동일한 위치에 원본 이미지 파일을 저장하고 있는 미디어 서버로 접속하여 상기 원본 이미지 파일을 다운로드받고 디스플레이 하는 미디어 렌더러를 더 포함하는 DLNA 홈 네트워크.Media for downloading and displaying the original image file by accessing a media server storing the original image file in the same location as the thumbnail file of the selected image under the control of a control point receiving a playback request for a specific image file from a user. DLNA home network further comprising a renderer.
KR1020050093077A 2005-10-04 2005-10-04 DLNA Home Network and Method of Managing Thumbnail Therein KR10114721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3077A KR101147215B1 (en) 2005-10-04 2005-10-04 DLNA Home Network and Method of Managing Thumbnail Therei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3077A KR101147215B1 (en) 2005-10-04 2005-10-04 DLNA Home Network and Method of Managing Thumbnail Therei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7914A KR20070037914A (en) 2007-04-09
KR101147215B1 true KR101147215B1 (en) 2012-05-25

Family

ID=381594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3077A KR101147215B1 (en) 2005-10-04 2005-10-04 DLNA Home Network and Method of Managing Thumbnail Therei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7215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4796B1 (en) * 2009-01-21 2012-02-28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for managing image using thumnail in 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system and the system
CN103248611B (en) 2012-02-07 2017-05-24 华为终端有限公司 Media player processing and controlling method, device and system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2996B1 (en) 2001-11-09 2010-12-21 소니 주식회사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computer-readable recrding medium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2996B1 (en) 2001-11-09 2010-12-21 소니 주식회사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computer-readable recrding mediu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7914A (en) 2007-04-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03301B2 (en) Image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using thumbnail in DLNA system
RU2448362C2 (en) Mapping universal plug and play discovered items to an smb location
US7568042B2 (en) Networked local media cache engine
KR101123155B1 (en) Embedding a UPnP AV MediaServer object ID in a URI
US988325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connection between broadcast receiving device and another device connected by network
US922993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digital contents distributed over network
US20070118606A1 (en) Virtual content directory service
JP2008520029A (en) Method, apparatus and software for tracking content
US850471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multi-streaming contents and for controlling of changing players during playback of multi-streaming contents
KR10159782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laybacking scene using universal plug and play
US2005008635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identifying original streams of media content
US8327010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20060155766A1 (en) Structure of objects stored in a media server and improving accessibility to the structure
JP2010026983A (en) Content providing device, mobile terminal device, content providing method, and content managing method
US20120324362A1 (en) Electronic device and operating method of the same
US8531707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executing forms
KR100744473B1 (en) Method and system for serving rss in devices of dms based dlna network
KR101147215B1 (en) DLNA Home Network and Method of Managing Thumbnail Therein
US20140082012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enhanced access to multimedia contentt
US8015308B2 (en) Audio/video task calculation method, method of providing summary information for audio/video task calculation, and apparatus using the methods
KR101160263B1 (en) DLNA Home Network and Method for Managing Digital Rights Therein
KR101076037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 playlist construction of dlna home network
US20140081921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providing access to regions of interest within multimedia content
EP2577915B1 (en) Playback contextual information sharing between controlling devices
JP2010263541A (en) Content sharing system, content controller, content sharing method, and content sharing progra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