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6620B1 - 기울기 센서를 이용한 3차원 이미지 조망기능을 갖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디스플레이 시스템 - Google Patents

기울기 센서를 이용한 3차원 이미지 조망기능을 갖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디스플레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6620B1
KR101146620B1 KR1020100079420A KR20100079420A KR101146620B1 KR 101146620 B1 KR101146620 B1 KR 101146620B1 KR 1020100079420 A KR1020100079420 A KR 1020100079420A KR 20100079420 A KR20100079420 A KR 20100079420A KR 101146620 B1 KR101146620 B1 KR 1011466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inclination
display device
index data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94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16896A (ko
Inventor
옥영선
Original Assignee
옥영선
더블유에프지연구소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옥영선, 더블유에프지연구소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옥영선
Priority to KR10201000794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6620B1/ko
Publication of KR201200168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68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66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66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9/00Measuring inclination, e.g. by clinometers, by levels
    • G01C9/02Details
    • G01C9/06Electric or photoelectric indication or reading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98Synchronisation thereof; Control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628Alteration of picture size, shape, position or orientation, e.g. zooming, rotation, rolling, perspective, transl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10Image acquisition modality
    • G06T2207/10004Still image; Photographic image
    • G06T2207/10012Stereo im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울기 센서를 이용한 3차원 이미지 조망기능을 갖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관리서버에, 소정 물건을 구의 중심에 두고 구면 상의 비연속적인 소정 위치에서 조망한 3차원 이미지들로 이루어진 이미지 파일과 이에 매핑되는 소정의 인덱스 데이터로 이루어진 이미지 파일 데이터베이스을 구축하고, 관리서버와 데이터 통신을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에, 이미지파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다운로드된 이미지 파일과 매핑된 인덱스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 디스플레이장치와 함께 이동하고 디스플레이장치의 자세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출력하는 기울기 센서부; 기울기 센서부의 디스플레이장치의 자세 데이터로부터 디스플레이장치의 기울기 값을 추출해 내는 각도변환모듈; 각도변환모듈로부터 출력된 기울기 값을 받아서, 디스플레이장치의 조망 위치를 나타내는 인텍스 데이터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조망위치결정모듈, 및 메모리를 검색하여 각도변환모듈에서 출력된 이미지 인덱스 데이터와 동일한 이미지 인덱스 데이터 및 동일한 이미지 인덱스 데이터에 매핑되어 있는 이미지 파일을 추출해서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도록 하는 제어부로 이루어진 3차원 이미지 조망 회로부를 구성함으로써, 디스플레이장치의 기울기에 상응하는 물건의 전면, 상하좌우 이미지를 디스플레이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이 기울기 센서를 이용하여 3차원의 이미지 조망기능을 구비하도록 한 디스플레이장치 및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스크린 골프장의 모션 분석 시스템과 연계시킬 경우 골프를 즐기는 사람들이 보다 실감나게 골프 연습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기울기 센서를 이용한 3차원 이미지 조망기능을 갖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디스플레이 시스템{Displaying device with three dimensional viewing function by using tilting sensor and its displaying system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3차원 이미지 조망기능을 갖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기울기 센서를 이용하여 3차원의 이미지 조망기능을 구비하도록 한 디스플레이장치 및 디스플레이 시스템 구현하여 이를 스크린 골프장의 모션 분석 시스템과 연계시켜 보다 실감있는 골프 연습을 수행할 수 있도록 발명한 것이다.
최근 들어 컴퓨터 시스템 및 통신망이 급속도로 발전함으로 인해, 온라인 상에서 전자 상거래를 수행하는 일이 증가하고 있다.
전자 상거래(Electronic Commerce : EC)란 정보통신기술을 이용한 상거래를 총칭하는 것으로, 기업과 개인, 개인과 개인, 개인과 정부간에 상품 및 서비스 거래에 필요한 모든 정보를 컴퓨터 및 사이버 공간을 이용하여 교환하고 상품에 대한 대가를 결제하는 상거래방식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는 사이버상의 가상쇼핑몰을 통하여 일반 소비자를 대상으로 실시간으로 상품 및 서비스거래를 행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전자 상거래에 의해 소비자는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고 더욱 저렴한 가격으로 제품을 제공받을 수 있고 상품 판매자는 시장정보나 고객의 정보를 수시로 획득할 수 있어서, 소비자와 상호작용하는 마케팅을 할 수 있는 등의 이점이 있다.
따라서 인터넷을 이용한 전자상거래의 경우 1997년부터 매년 2배 정도의 규모로 성장세를 지속하고 있으며, 이러한 추세는 계속 증가되어 전자상거래가 기존 상거래를 대처하여 많은 부분에서 더욱 확대될 전망이다.
한편, 이동 통신 수단의 하나인 휴대폰이나 PDA, 스마트 폰 등과 같이 한 손안에 들어오는 소형 크기의 통신 장비(이하에서는 이를 "디스플레이장치"라고 한다.)들이 널리 보급되면서, 전자상거래를 이러한 디스플레이장치를 통해서도 수행하고 있다.
그런데, 디스플레이장치를 통해 전자상거래를 할 때, 가상의 쇼핑몰에 진열된 상품은 전면만이 디스플레이되는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에, 사용자의 상품 탐색 기회가 제한을 받게 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디스플레이장치를 통한 전자 상거래 시에 진열되는 상품을 기울기 센서를 이용하여 입체적(즉, 3차원; 일명 "3D"라고도 함)으로 디스플레이시킬 수 있도록 하되, 이를 스크린 골프장의 모션 분석 시스템과 연계시켜 골프를 즐기는 사람들이 보다 실감나게 골프 연습을 수행할 수 있는 기울기 센서를 이용한 3차원 이미지 조망기능을 갖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시스템은, 소정 물건을 구의 중심에 두고 구면 상의 비연속적인 소정 위치에서 조망한 3차원 이미지들로 이루어진 이미지 파일과 상기 이미지 파일에 매핑되는 소정의 인덱스 데이터로 이루어진 이미지 파일 데이터베이스가 구축되어 있는 관리서버; 상기 관리서버의 이미지파일 데이터베이스와 연동하여 3차원 이미지 조망 기능을 수행할 3차원 이미지 조망 회로부와, 상기 3차원 이미지 조망 회로부의 출력에 따라 소정 이미지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상기 관리서버와 상기 3차원 이미지 조망 회로부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장치와의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네트워크 통신망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3차원 이미지 조망 회로부는, 상기 이미지파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다운로드된 이미지 파일과 매핑된 인덱스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 상기 핸드헬드장치와 함께 이동하고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자세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출력하는 기울기 센서부; 상기 기울기 센서부의 디스플레이장치의 자세 데이터로부터 디스플레이장치의 기울기 값을 추출해 내는 각도변환모듈; 상기 각도변환모듈로부터 출력된 기울기 값을 받아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기준 기울기 값을 설정하고 상기 기준 기울기 값을 기준으로 하는 기울기 변동 값을 추출해내며, 상기 기울기 변동 값을 상기 이미지 인텍스 데이터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조망위치결정모듈, 및 상기 조망위치결정모듈의 동작 완료를 감지하고, 제 1 메모리를 검색하여 상기 각도변환모듈에서 출력된 이미지 인덱스 데이터와 동일한 이미지 인덱스 데이터 및 동일한 이미지 인덱스 데이터에 매핑되어 있는 이미지 파일을 추출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 다른 예로서, 3차원 이미지 조망 회로부는 상기 각도변환모듈에서 추출된 디스플레이장치의 기울기 값이 저장되어 있는 제 2 메모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조망위치결정모듈은 상기 제 2 메모리를 액세스하여 2개 이상의 디스플레이장치의 기울기 값이 저장되었을 때, 상기 기준 기울기값을 설정하고, 상기 기울기 변동값을 계산하며, 조망위치를 나타내는 인덱스 파일을 추출해낼 수 도 있다.
여기서, 상기 기울기 센서부는 서로 직교하는 2축 가속도 센서와 상기 2축 가속도센서로부터 출력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A/D변환기를 포함한다. 상기 기울기 센서부의 출력은 상기 2축 가속도 센서의 기울기의 사인함수값에 비례하며, 각도변환모듈에서는, 상기 기울기 센서부의 출력값의 아크 사인함수값으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기울기 값이 추출된다.
한편, 조망위치결정모듈에서 상기 기울기값으로부터 상기 이미지 인덱스 데이터를 추출해 내는 과정은, 상기 기준 기울기값을 기준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기울기 변동 값을 추출해내는 단계와, 상기 기울기 변동 값을 상기 조망위치결정모듈에 미리 설정되어 있는 소정의 각도와 비교하여, 기울기 변동 값의 크기에 따른 인덱스 데이터를 찾아내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버튼 등과 같이 별도의 입력 장치를 이용하지 않고, 물체의 상하 좌우의 측면 영상이 디스플레이장치 자체를 상하좌우로 기울임으로써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게 되므로, 디스플레이장치를 통한 전자상거래시에, 사용자의 상품 탐색의 자유도를 증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를 스크린 골프장의 모션 분석 시스템과 연계시킬 경우 골프를 즐기는 사람들이 보다 실감나게 골프 연습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전자 상거래시에만 한정되지 않고 디스플레이장치를 이용하여 3차원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를 하는 경우에는 모두 적용할 수 있는 등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를 이용하여 상품 또는 물건의 이미지를 3차원으로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시스템의 개략도.
도 2a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3차원 이미지 파일을 얻기 위한 조망 위치를 나타낸 도면.
도 2b는 관리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 있는 이미지에 대응되는 이미지 인덱스 데이터를 3차원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3a 및 도 3b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움직임에 따라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를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3차원 이미지 조망 기능을 갖는 디스플레이장치의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조망위치결정모듈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를 이용하여 소정 물건의 이미지를 3차원으로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시스템의 개략도를 나타낸다.
3차원 이미지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인터넷 쇼핑몰을 운영하는 관리자의 제 어 하에 있는 관리서버(100), 후술하는 3차원 이미지 조망 기능을 갖는 디스플레이장치(300), 및 관리서버(100)와 디스플레이장치(300)와의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네트워크 통신망(200)으로 이루어져 있다.
관리서버(100)에는, 소정의 물건 또는 상품의 3차원 이미지 파일 데이터베이스(110)가 구축되어 있고, 상기 디스플레이장치(300)의 요구에 반응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110)에 있는 3차원 이미지 파일을 네트워크 통신망(200)을 통해 디스플레이장치(300)로 출력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20) 및 상기 데이터베이스(110)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20)를 제어하는 제어부(130)를 포함한다.
데이터베이스(110)에 있는 3차원 이미지 파일 및 이미지 인덱스데이터는 도 2a에 도시된 것과 같은 가상의 반구를 이용하여 얻어진다.
구상의 소정의 위치(P)는 (θ,ω)로 결정되며, 이는 궁극적으로는 이미지 조망 위치를 나타내는 인덱스 데이터(a,b)로 변환된다. 여기서 θ는 X축에서 X축과 수직한 면(YZ면) 쪽으로 반시계방향으로 기울어진 각을 나타내고, θ는 0도 내지 90도의 범위를 가진다. ω는 X축의 수직면 상에서 소정의 축(Y축)에서 이동한 각을 나타내며, ω는 회전방향이 반시계방향일 때 양의 값을 가지며, 시계방향일 때 음의 값을 가지는 것으로서 -90도 내지 90도 범위의 값을 가진다.
3차원 이미지 파일을 얻기 위해 가상의 반구 상의 소정의 위치에서 구의 중심에 놓여있는 상품 또는 물체를 촬영한다.
디지털 촬영일 경우는 이미지데이터를 그대로 사용하고 아날로그 촬영일 경우,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한다. 여기서 얻어진 이미지 파일은 θ가 취할 수 있는 범위와 ω가 취할 수 있는 범위를 다수개의 영역으로 분리하고, 각 영역의 소정 위치에서 조망한 물체의 이미지를 포함한 것이므로, 불연속적인 위치에서 조망한 이미지가 포함된 것이다.
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하면 상품의 전면 및 상하좌우의 측면 이미지를 촬영할 때, θ가 0˚내지 15˚사이에 있을 때의 이미지들, θ가 15˚와 45˚사이에 있을 때의 이미지들, θ가 45˚내지 75˚사이에 있을 때의 이미지들 그리고 θ가 75˚내지 90˚사이에 있을 때의 이미지들을 촬영하게 된다. 또한, 이들의 이미지들 각각은 ω가 0˚내지 15˚사이에 있을 때의 이미지, 15˚내지 45˚사이에 있을 때의 이미지, 45˚내지 90˚사이에 있을 때의 이미지, -90˚내지 -45˚사이에 있을 때의 이미지, -45˚내지 -15˚사이에 있을 때의 이미지 그리고 -15˚내지 0˚사이에 있을 때의 이미지를 포함한다. 그리고 (0˚내지 15˚, -90 ˚내지-45˚)의 이미지, (0 ˚내지 15˚, -45˚ 내지 -15˚)의 이미지, (0˚ 내지 15˚, -15˚ 내지 0˚)의 이미지, (0 ˚내지 15˚, 0˚ 내지 15˚)이미지, (0˚ 내지 15˚, 15˚내지 45˚)이미지 그리고 (0˚ 내지 15˚, 45˚ 내지 90˚)이미지파일은 도 2b와 나타난 것과 같이 각각 (1,1), (1,2), (1,3), (1,4), (1,5) 및 (1,6)의 인덱스 데이터로 매핑되어 데이터베이스(110)에 저장된다. 그리고, (15 ˚내지 45˚,-90˚ 내지-45˚)의 이미지, (15˚ 내지 45˚, -45˚ 내지 -15˚)의 이미지, (15˚ 내지 45˚, -15˚ 내지 0˚)의 이미지, (15˚ 내지 45˚, 0˚ 내지 15˚)이미지, (15˚ 내지 45˚, 15˚내지 45˚)이미지 그리고 (15˚ 내지 45˚,45˚ 내지 90˚)이미지들은 도 2b와 나타난 것과 같이 각각 (2,1), (2,2), (2,3), (2,4), (2,5) 및 (2,6)의 인덱스 데이터에 매핑되어서 데이터베이스(110)에 저장된다. 유사하게, (45˚ 내지 75˚, -90˚ 내지-45˚)의 이미지, (45˚ 내지 75˚, -45˚ 내지 -15˚)의 이미지, (45˚ 내지 75˚, -15˚ 내지 0˚)의 이미지, (45 ˚내지 75˚, 0˚ 내지 15˚)이미지, (45˚ 내지 75˚, 15˚ 내지 45˚)이미지 그리고 (45˚ 내지 75˚, 45˚ 내지 90˚)이미지들은 도 2b와 나타난 것과 같이 각각 (3,1), (3,2), (3,3), (3,4), (3,5) 및 (3,6)의 인덱스 데이터에 매핑되어 데이터베이스(110)에 저장되고, (75˚ 내지 90˚, -90˚ 내지-45˚)의 이미지, (75˚ 내지 90˚, -45˚ 내지 -15˚)의 이미지, (75˚ 내지 90˚, -15˚ 내지 0˚)의 이미지, (75˚ 내지 90˚, 0˚ 내지 15˚)이미지, (75˚ 내지 90˚, 15˚ 내지 45˚)이미지 그리고 (75˚ 내지 90˚, 45˚ 내지 90˚)이미지들은 도 2b와 나타난 것과 같이 각각 (4,1), (4,2), (4,3), (4,4), (4,5) 및 (4,6)의 인덱스 데이터에 매핑되어 데이터베이스(110)에 저장된다. 여기서 θ는 4개의 영역으로 분리되고 ω는 6개의 영역으로 분리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디스플레이하고자 하는 물건의 형상 등을 고려하여 다양하게 변경설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품 또는 물체가 육면체의 형상을 하고 있고 일면에 "a"가 표시되어 있다고 가정하자. 도
3a에서는 이러한 물체를 θ가 15˚, 45˚그리고 75˚일때의 메모리(110)에 저장되는 이미지를 나타내고 있으며, 도 3b에서는 소정의 θ(약 45˚)에서 ω가 0˚, 45˚그리고 -45˚일 때의 데이터베이스(110)에 저장되는 이미지를 나타낸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이미지 조망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 디스플레이장치(300)는 3차원 이미지 조망 기능을 수행할 회로부(350)와 상기 회로부(350)의 출력에 따라 소정 이미지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380)를 포함하고 있으며, 3차원 이미지 조망 회로부(350)의 일 예가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도 4에서, 3차원 이미지 조망 회로부(350)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자세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출력하는 기울기 센서부(360), 기울기 센서부(360)로부터 출력된 디스플레이장치의 자세 데이터로부터 디스플레이장치의 기울기 값을 추출해 내는 각도변환모듈(355) 및 각도변환모듈(355)로부터 출력된 기울기 값을 받아서, 디스플레이장치의 기준 기울기 값을 설정하고 상기 기준 기울기 값을 기준으로 하는 기울기 변동값을 추출해내며, 기울기 변동 값을 이미지 인텍스 데이터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조망위치결정모듈(356)을 포함한다.
여기서, 기울기 센서부(360)는 2축 가속도 센서(361a, 361b)와 2축 가속도 센서의 아날로그 출력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A/D 변환기(363)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장치의 X축 방향의 기울기에 따른 가속도를 측정하는 X축 가속도센서(361a), 디스플레이장치의 Y축 방향의 기울기에 따른 가속도를 측정하는 Y축 가속도센서(361b), X축 가속도센서(361a) 및 Y축 가속도센서(361b)의 출력에서 잡음을 제거하기 위한 필터들(362a,362b), X축 가속도센서(361a) 및 Y축 가속도센서(361b)의 아날로그 출력을 디지털 출력으로 변환하기 위한 A/D변환기(363)를 포함한다.
여기서 X축이란 도 3a 및 도 3b에서 나타난 물체의 수직 길이축을 의미하며, Y 축이란 X축에 수직인 면에 위치하는 일축을 나타낸다.
또한, 3차원 이미지 조망 회로부(350)는 각도변환모듈(355)로부터 출력된 기울기 값을 저장하는 제 1 메모리(358), 기울기 센서부(360)의 동작을 지시하는 동작 스위치(361) 및 관리서버(100)의 메모리(110)에 저장되어 있는 이미지 파일과 인텍스 데이터들을 다운로드 받아 저장해 놓는 제 2 메모리(363)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동작 스위치(361)를 제어하며, 조망위치결종모듈(356)로부터 출력된 이미지 인덱스 데이터를 받은 후 제 2 메모리(363)를 억세스하여 수신된 이미지 인덱스 데이터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독출하고, 이를 소정의 이미지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380)로 전달함으로써, 디스플레이장치의 자세 변화에 대응하여 물체의 3차원 이미지를 표시하도록 하는 제어부(357)를 더 포함한다.
또한, 디스플레이장치(300)에는 관리서버(100)와의 통신 및 이미지 데이터의 다운로드 그리고 이미지 데이터의 표시를 위한 실행 프로그램(viewer program)의 다운로드를 수행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59)가 마련되어 있다(도 1참조).
한편, 도 4에 나타난 디스플레이장치(300)의 3차원 이미지 조망 회로부(350)는, 관리서버(100)로부터 데이터베이스(110)에 있는 3차원 이미지 파일의 전부를 다운로드 받는 경우를 나타내는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3차원 이미지 조망 회로부(350)가 관리서버(100)에 특정의 이미지 파일만을 요구하고 이에 대응하여 데이터베이스(110)에 있는 3차원 이미지 파일 중에서 일부만을 다운로드 받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동작을 살펴본다. 디스플레이장치(300)의 동작 스위치(361)가 눌려지게 되면, 3차원 이미지 조망 회로부(350)의 X축 가속도 센서(361a) 및 Y축 가속도 센서(361b)가 동작하여 디스플레이장치(300)의 초기 위치에 대응하는 가속도 값을 출력하게 된다.
출력된 가속도 값은, 디스플레이장치(300)와 함께 이동하는 X축 가속도 센서(361a) 및 Y축 가속도 센서(361b)의 기울기를 나타내는 θ와 ω의 사인 함수 값에 비례하게 된다. 그리고 출력된 가속도 값은 필터(362a, 362b)에 입력되어 이값에서 잡음이 제거된다.
X축 가속도 센서(361a) 및 Y축 가속도 센서(361b)의 출력 값은 A/D변환기(363)를 거쳐 디지털 신호로 출력되고 다시 이 디지털 신호는 각도변환모듈(355)로 입력된다. 각도변환모듈(355)에서는 출력된 디지털 신호로부터 디스플레이장치(300)의 기울기 값이 추출되게 된다.
보다 상세히 나타내면, 디스플레이장치(300)의 기울기 값을 나타내는 θ와 ω는, A/D 변환기(363)를 거쳐 디지털 신호 형태로 출력된 가속도 센서들의 출력 값의 아크 사인값(arcsin)으로부터 얻어질 수 있다.
다음, 각도변환모듈(355)로부터 출력된 디스플레이장치의 기울기 값은 (θ, ω)로 표시되어 제 1 메모리(358)에 저장된다.
여기서 동작 스위치(361)의 작동 후 바로(처음) 저장되는 기울기 값은 기준 기울기 값(θ ref , ω ref )으로 설정되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는 디스플레이장치(300)를 원하는 방향으로 소정 각도 움직이게 되면 그 내부에 장착되어 있는 X축 가속도 센서(361a) 및 Y축 가속도 센서(361b)도 함께 기울어져서, 소정 기울기에 대응하는 가속도 값이 출력되고 이 값은 A/D변환기(353)를 거쳐 디지털화 되고 각도변환모듈(355)에 의해 디스플레이장치(300)의 기울기 값((θ, ω)으로 표시된다.)으로 변환되어, 제 1 메모리(358)에 저장된다.
한편 제어부(357)는 동작 스위치(361) 동작 후 제 1 메모리(358)에 2개 이상의 디스플레이장치의 기울기 값이 저장됨을 확인한 뒤 조망위치결정모듈(356)을 구동시키고, 조망위치결정모듈(356)은 제 1 메모리(358)에 저장되어 있는 기울기 값을 읽어낸 뒤 기울기 값 변동량을 추출해 내고 기울기 값 변동 량에 대응하는 이미지 인덱스데이터를 출력시킨다.
여기서 기울기 값 변동 량이란 소정의 기울기를 갖는 디스플레이장치의 기울기 값에서 기준 기울기 값을 뺀 것을 말한다.
그리고, 제어부(357)는 동작 스위치(361)의 동작 개시를 감지하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59) 및 네트워크 통신망(200)을 통해 관리서버(100)에 접속하여, 관리서버(100)의 메모리(110)에 저장되어 있는 이미지 인덱스 데이터와 이미지 파일을 다운로드 받아, 디스플레이장치(300)의 제 2 메모리(363)에 저장해 두게 된다.
이하에서 조망위치결정모듈(356)의 동작을 도 5를 참고로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제어부(357)로부터 조망위치결정모듈(356)의 동작 명령이 접수되면(S51), 조망위치결정모듈(356)은 제 1 메모리(358)를 액세스하여, 저장되어 있는 (θ, ω)를 독출해 낸다(S52). 독출해 낸 (θ, ω)들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동작 스위치(361)의 작동 후 첫 번째로 바로 저장되어 있는 기울기 값을 기준 기울기 값(θ ref , ω ref )으로 설정하고(S53), 기울기 값 변동량(θ var , ω var )을 계산해 낸다(S54). 계산해 낸 기울 기 값 변동량으로부터 이미지 인덱스 데이터(a,b)를 얻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기울기 값 변동량 θ var 에 대해서는, 0≤θ var <15˚일 경우에는 a=1로 배정하고(S55, S56), 15˚≤θ var <45˚일 경우에는 a=2로 배정하고(S57, S58), 45˚≤θ var <75˚일 경우에는 a=3으로 배정하고(S59, S60), θ var≥ 75˚일 경우에는 a=4로 배정한다(S61), ω var 에 대해서는, -90˚≤ω var <-45˚일 경우에는 b=1로 배정하고(S62,S63), -45˚≤ω var <-15˚일 경우에는 b=2로 배정하고(S64, S65), -15˚≤ω var <0˚일 경우에는 b=3으로 배정하고(S66, S67), 0˚≤ω var <15˚일 경우에는 b=4로 배정하고(S68, S69), 15˚≤ω var <45˚일 경우에는 b=5로 배정하고(S70, S71), ω var≥ 45˚일 경우에는 b=6로 배정한다(S72).
그리고 제어부(357)는 조망위치결정모듈(356)로부터 출력된 이미지 인덱스 데이터를 받은 뒤 제 2 메모리(363)를 억세스하여, 수신된 이미지 인덱스 데이터와 동일한 이미지 인덱스 데이터를 검색하고 검색된 이미지 인텍스 데이터에 매핑되어 있는 이미지 파일을 검출한 뒤, 해당 이미지 파일의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부(380)에 표시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기준 기울기 값(θ ref , ω ref )이 (15˚, 0˚)인 상태이고, 이후에 측정된 디스플레이장치의 기울기 값이 (50˚, 10˚)이면, 기울기 값 변동 량(θ var , ω var )은 (35˚, 10˚)가 된다.
이 기울기 값 변동 량은 이미지 인덱스데이터 (2,4)로 변환된다.
그리고 이미지 인덱스 데이터 (2,4)는 제어부(357)로 전달되고, 제어부(357)는 제 2 메모리(363)에 저장되어 있던 이미지 파일에서 (2,4) 인덱스 데이터에 매핑되어 있는 이미지 파일을 검출하고, 검출된 이미지 파일을 디스플레이부(380)를 통해 표시되게 한다.
따라서, 디스플레이장치(300)의 기울기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바라본 물체 또는 상품의 영상이 표시되게 된다. 즉, 실제 매장에서 상품을 둘러보는 것과 유사한 효과를 얻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제어부(357)가 제 2 메모리(363)에 기울기 값이 저장됨을 확인한 후 조망위치결정모듈(356)의 동작을 지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제 1 메모리(358)가 독립적으로 마련되지 않고 조망위치결정모듈(356) 내에 마련되고, 조망위치결정모듈(356)이 내부 메모리를 억세스하여 기준 기울기값이 되는 초기 기울기 값과 후속 기울기 값을 검색하여 조망위치를 나타내는 인덱스 데이터를 추출해 낼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버튼 등과 같이 별도의 입력 장치를 이용하지 않고, 물체의 상하 좌우의 측면 영상이 디스플레이장치 자체를 상하좌우로 기울임으로써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게 되므로, 디스플레이장치를 통한 전자상거래시에, 사용자의 상품 탐색의 자유도를 증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를 스크린 골프장의 모션 분석 시스템과 연계시킬 경우 골프를 즐기는 사람들이 보다 실감나게 골프 연습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상기 실시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다.
100 : 관리서버 110 : 데이터베이스
120 :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130 : 제어부
200 : 네트워크 통신망 300 : 디스플레이장치
350 : 3차원 이미지 조망 회로부 355 : 각도변환모듈
356 : 조망위치결정모듈 357 : 제어부
358, 363 : 메모리 360 : 기울기 센서
361 : 스위치 361a, 361b : 2축 가속도 센서
362a, 362b : 필터 363 : A/D 변환기
380 : 디스플레이부

Claims (3)

  1. 3차원 이미지 조망 회로부 및 상기 3차원 이미지 조망 회로부의 출력에 따라 소정 이미지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로서,
    상기 3차원 이미지 조망 회로부의 메모리에 저장된 이미지 파일 및 이미지 파일에 매핑된 이미지 인덱스 데이터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통신하는 관리서버로부터 다운로드되며, 상기 이미지 파일에는 소정 물건을 가상의 구의 중심에 두고 구면 상의 비연속적인 소정 위치에서 조망하여 획득한 3차원 이미지를 포함하며,
    상기 3차원 이미지 조망 회로부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와 함께 이동하고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자세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출력하는 기울기 센서부;
    상기 기울기 센서부의 디스플레이장치의 자세 데이터로부터 디스플레이장치의 기울기 값을 추출해 내는 각도변환모듈;
    상기 각도변환모듈로부터 출력된 기울기 값을 받아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기준 기울기 값을 설정하고 상기 기준기울기 값을 기준으로 하는 기울기 변동 값을 추출해내며, 상기 기울기 변동 값을 상기 이미지 인텍스 데이터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조망위치결정모듈 및,
    상기 조망위치결정모듈의 동작 완료를 감지하고, 제 1 메모리를 검색하여 상기 각도변환모듈에서 출력된 이미지 인덱스 데이터와 동일한 이미지 인덱스 데이터를 검색하고 및 동일한 이미지 인덱스 데이터에 매핑되어 있는 이미지 파일을 추출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기울기 센서부는 서로 직교하는 2축 가속도 센서와 상기 2축 가속도센서로부터 출력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A/D변환기를 포함하며, 상기 기울기 센서부의 출력은 상기 2축 가속도 센서의 기울기의 사인 함수값에 비례하되,
    상기 각도변환모듈에서는, 상기 기울기 센서부의 출력값의 아크 사인 함수값으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기울기 값을 추출해 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울기 센서를 이용한 3차원 이미지 조망기능을 갖는 디스플레이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망위치결정모듈에서,
    상기 각도변환모듈로부터 출력되는 기울기 값으로부터 상기 이미지 인덱스 데이터를 추출하고, 상기 기준 기울기 값을 기준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기울기 변동 값을 추출하며, 상기 기울기 변동 값을 상기 조망위치결정모듈에 미리 설정되어 있는 소정의 각도와 비교하여, 기울기 변동 값의 크기에 따른 인덱스 데이터를 찾아내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울기 센서를 이용한 3차원 이미지 조망기능을 갖는 디스플레이장치.
  3. 소정의 이미지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가지는 디스플레이장치를 이용한 이미지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있어서,
    소정 물건을 구의 중심에 두고 구면 상의 비연속적인 소정 위치에서 조망한 3차원 이미지들로 이루어진 이미지 파일과 상기 이미지 파일에 매핑되는 소정의 인덱스 데이터로 이루어진 이미지 파일 데이터베이스가 구축되어 있는 관리서버; 상기 관리서버의 이미지파일 데이터베이스와 연동하여 3차원 이미지 조망 기능을 수행할 3차원 이미지 조망 회로부와, 상기 3차원 이미지 조망 회로부의 출력에 따라 소정 이미지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상기 관리서버와 상기 3차원 이미지 조망 회로부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장치와의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네트워크 통신망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3차원 이미지 조망 회로부는,
    상기 이미지파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다운로드된 이미지 파일과 매핑된 인덱스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와 함께 이동하고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자세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출력하는 기울기 센서부;
    상기 기울기 센서부의 디스플레이장치의 자세 데이터로부터 디스플레이장치의 기울기 값을 추출해 내는 각도변환모듈;
    상기 각도변환모듈로부터 출력된 기울기 값을 받아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기준 기울기 값을 설정하고 상기 기준 기울기 값을 기준으로 하는 기울기 변동 값을 추출해내며, 상기 기울기 변동 값을 상기 이미지 인텍스 데이터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조망위치결정모듈 및,
    상기 조망위치결정모듈의 동작 완료를 감지하고, 제 1 메모리를 검색하여 상기 각도변환모듈에서 출력된 이미지 인덱스 데이터와 동일한 이미지 인덱스 데이터 및 동일한 이미지 인덱스 데이터에 매핑되어 있는 이미지 파일을 추출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울기 센서를 이용한 3차원 이미지 조망기능을 갖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KR1020100079420A 2010-08-17 2010-08-17 기울기 센서를 이용한 3차원 이미지 조망기능을 갖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디스플레이 시스템 KR1011466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9420A KR101146620B1 (ko) 2010-08-17 2010-08-17 기울기 센서를 이용한 3차원 이미지 조망기능을 갖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디스플레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9420A KR101146620B1 (ko) 2010-08-17 2010-08-17 기울기 센서를 이용한 3차원 이미지 조망기능을 갖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디스플레이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6896A KR20120016896A (ko) 2012-02-27
KR101146620B1 true KR101146620B1 (ko) 2012-05-16

Family

ID=458390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9420A KR101146620B1 (ko) 2010-08-17 2010-08-17 기울기 센서를 이용한 3차원 이미지 조망기능을 갖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디스플레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662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0179B1 (ko) * 2016-02-02 2022-02-08 삼성전자주식회사 가상 현실을 제공하기 위한 이미지를 촬영하는 3차원 카메라
KR102381370B1 (ko) 2016-02-19 2022-03-31 삼성전자주식회사 가상 현실을 제공하기 위한 이미지 처리 방법 및 가상 현실 디바이스
EP3557866A4 (en) 2016-12-16 2019-12-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TRANSMITTING DATA RELATED TO A THREE-DIMENSIONAL IMAGE
WO2018110839A1 (ko) * 2016-12-16 2018-06-21 삼성전자 주식회사 3차원 이미지에 관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5161B1 (ko) 2003-07-01 2004-01-13 (주)두모션 기울기 센서를 이용한 3차원 이미지 조망 기능을 갖는핸드헬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3차원 이미지 디스플레이시스템
KR100605458B1 (ko) 2005-05-24 2006-07-28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방향 및 기울기에 따라 변화하는 입체 사진을 제공하는이동통신 단말기 및 제공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5161B1 (ko) 2003-07-01 2004-01-13 (주)두모션 기울기 센서를 이용한 3차원 이미지 조망 기능을 갖는핸드헬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3차원 이미지 디스플레이시스템
KR100605458B1 (ko) 2005-05-24 2006-07-28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방향 및 기울기에 따라 변화하는 입체 사진을 제공하는이동통신 단말기 및 제공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6896A (ko) 2012-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15161B1 (ko) 기울기 센서를 이용한 3차원 이미지 조망 기능을 갖는핸드헬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3차원 이미지 디스플레이시스템
US11238513B1 (en) Methods and device for implementing a virtual browsing experience
KR102049132B1 (ko) 증강 현실 광 가이드 디스플레이
US9269196B1 (en) Photo-image-based 3D modeling system on a mobile device
KR20210064115A (ko) 촬영을 기반으로 하는 3d 모델링 시스템 및 방법, 자동 3d 모델링 장치 및 방법
KR101637990B1 (ko) 임의의 위치들을 가지는 디스플레이 구성 요소들 상에 3차원 콘텐츠의 공간적으로 상호 연관된 렌더링
CN100461212C (zh) 显示控制方法及装置以及便携设备
CN108520552A (zh) 图像处理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US20100171691A1 (en) Viewing images with tilt control on a hand-held device
CN104081307A (zh) 图像处理装置、图像处理方法和程序
US20120054690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three-dimensional (3d) object
WO2013148169A1 (en) Mobile device light guide display
CN107329671B (zh) 模型显示方法和装置
CN111742281B (zh) 用于针对显示在显示器上的第一内容提供根据外部对象的移动的第二内容的电子装置及其操作方法
US9035880B2 (en) Controlling images at hand-held devices
EP3960261A1 (en) Object construction method and apparatus based on virtual environment, computer device, and readable storage medium
MX2011000607A (es) Presentacion de cuadriculas dinamicas.
CN110111388A (zh) 三维物体位姿参数估计方法及视觉设备
KR101146620B1 (ko) 기울기 센서를 이용한 3차원 이미지 조망기능을 갖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디스플레이 시스템
US20140132725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determining depth of 3d object image in a 3d environment image
KR20120080052A (ko) 촬영 장치 및 그 촬영 방법
CN105718232A (zh) 一种任意角平面旋转显示方法及显示装置
Deng et al. Interactive urban context-aware visualization via multiple disocclusion operators
CN110148224B (zh) Hud图像显示方法、装置及终端设备
CN111710047A (zh) 一种信息展示方法、装置和电子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