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4243B1 - Vacuum cleaner and a dusting device thereof - Google Patents

Vacuum cleaner and a dusting device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4243B1
KR101134243B1 KR1020090007538A KR20090007538A KR101134243B1 KR 101134243 B1 KR101134243 B1 KR 101134243B1 KR 1020090007538 A KR1020090007538 A KR 1020090007538A KR 20090007538 A KR20090007538 A KR 20090007538A KR 101134243 B1 KR101134243 B1 KR 1011342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cleaner
pressure lever
vacuum cleaner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753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00088365A (en
Inventor
현기탁
정경선
정창욱
최규천
선창화
황근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075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4243B1/en
Publication of KR201000883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836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42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424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0Means for cleaning filt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2Dry filters
    • A47L9/122Dry filters fla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5Construction of inl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58Construction of outlets
    • A47L9/1666Construction of outlets with filter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zzle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먼지통의 착탈시 필터의 청소가 이루어지는 진공 청소기 및 그의 집진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acuum cleaner and a dust collecting apparatus thereof, in which a filter is cleaned when a dust container is attached or detached.

본 발명의 진공청소기는, 흡입모터가 구비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집진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집진장치는, 흡입구와 토출구가 마련되는 바디; 상기 바디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토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 중의 이물을 걸러내는 필터; 및 상기 필터를 청소하기 위한 필터 청소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필터 청소수단은, 상기 바디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필터를 청소하기 위한 필터청소부; 상기 필터청소부를 작동시키며, 일부가 상기 바디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가압레버; 및 상기 바디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가압레버의 작동력을 상기 필터청소부로 전달하는 동력전달부를 포함한다. Vacuum clean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ction motor is provided with a main body; And a dust collecting device detachably mounted to the main body, wherein the dust collecting device comprises: a body provided with a suction port and a discharge port; A filter provided inside the body to filter foreign matter from the air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ort; And a filter cleaning means for cleaning the filter, wherein the filter cleaning means comprises: a filter cleaning part provided inside the body to clean the filter; An actuating lever which operates the filter cleaner and a part of which protrudes outward of the body; And a power transmission unit provided inside the body to transfer the operating force of the pressure lever to the filter cleaner.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필터가 청소될 수 있으므로, 진공 청소기의 흡입 성능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filter can be cleaned,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suction performance of the vacuum cleaner is improved.

진공 청소기, 먼지통, 필터, 연장관, 흡입노즐, 흡입모터 Vacuum cleaner, dust container, filter, extension tube, suction nozzle, suction motor

Description

진공청소기 및 그의 집진장치{Vacuum cleaner and a dusting device thereof}Vacuum cleaner and a dusting device

본 발명은 진공청소기 및 그의 집진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acuum cleaner and a dust collector thereof.

일반적으로 진공 청소기는, 본체 내부에 장착되는 흡입 모터에 의하여 발생되는 흡입력을 이용하여, 먼지가 포함된 공기를 흡입한 다음, 본체 내부에서 먼지를 필터링하는 장치이다. In general, a vacuum cleaner is a device that sucks air containing dust by using suction power generated by a suction motor mounted inside the main body, and then filters the dust inside the main body.

이러한 진공 청소기는, 흡입 모터가 구비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로 흡입된 공기에서 먼지를 분리시키고, 분리된 먼지가 저장되도록 하는 집진장치와, 상기 집진장치에서 배출된 공기를 필터링하기 위한 정화 장치가 포함된다. The vacuum cleaner includes a main body provided with a suction motor, a dust collecting device for separating dust from the air sucked into the main body, and storing the separated dust, and a purifying device for filtering the air discharged from the dust collecting device. Included.

그리고, 상기 정화 장치를 통과한 공기는 상기 흡입 모터를 지나 상기 본체의 외부로 배출된다. 또한, 상기 흡입 모터의 전측 즉, 배기를 위해 흡입 모터로 안내되는 공기의 유동경로에는 상기 흡입 모터에 배출 공기 중에 포함된 미세 먼지를 제거하기 위한 필터가 더 구비된다. Then, the air passing through the purification device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through the suction motor. In addition, the front side of the suction motor, that is, the flow path of the air guided to the suction motor for exhaust is further provided with a filter for removing the fine dust contained in the exhaust air in the suction motor.

그러나, 상기와 같은 필터는 장기간 사용하게 될 경우 미세 먼지에 의해 공기의 유동경로가 차단될 수 있으므로, 일정기간 사용후에는 필터의 청소가 필요한 문제점을 가진다. However, the filter as described above may be blocked by the fine dust when used for a long tim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filter needs to be cleaned after a certain period of use.

본 발명의 목적은, 착탈 시 배기되는 공기중의 미세먼지를 거르기 위한 필터의 청소가 이루어지는 진공 청소기 및 그의 집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집진장치가 본체에서 분리된 상태에서도 집진장치 내부의 필터가 용이하게 청소될 수 있는 진공 청소기 및 그의 집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acuum cleaner and a dust collecting apparatus thereof, in which a filter for cleaning fine dust in the air exhausted and detached is cleaned.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acuum cleaner and its dust collecting apparatus which can easily clean the filter inside the dust collecting apparatus even when the dust collecting apparatus is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본 발명의 진공청소기는, 흡입모터가 구비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집진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집진장치는, 흡입구와 토출구가 마련되는 바디; 상기 바디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토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 중의 이물을 걸러내는 필터; 및 상기 필터를 청소하기 위한 필터 청소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필터 청소수단은, 상기 바디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필터를 청소하기 위한 필터청소부; 상기 필터청소부를 작동시키며, 일부가 상기 바디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가압레버; 및 상기 바디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가압레버의 작동력을 상기 필터청소부로 전달하는 동력전달부를 포함한다.
다른 측면에 따른 진공청소기의 집진장치는, 외관을 형성하며 청소기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는 바디; 상기 바디 일측에 형성되며, 본체의 흡입력을 상기 바디 내부로 안내하는 흡입구; 상기 바디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본체 내부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이동경로를 안내하는 토출구; 상기 바디 내부에서 상기 토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 중의 이물을 거르기 위한 필터; 상기 필터 하측에 마련되어 상기 본체에 상기 바디가 탈착될 때, 상기 필터를 청소하는 필터 청소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필터 청소수단은, 상기 바디 외측으로 적어도 일부분이 노출되는 가압레버와, 상기 필터를 청소하기 위한 필터 청소부와, 상기 가압레버의 작동력을 상기 필터 청소부로 전달하기 위한 동력전달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레버는, 바디가 상기 청소기 본체에 장착될 때 상기 청소기 본체에 의해서 가압되기 위하여, 상기 청소기 본체에 장착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청소기 본체를 향하여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Vacuum clean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ction motor is provided with a main body; And a dust collecting device detachably mounted to the main body, wherein the dust collecting device comprises: a body provided with a suction port and a discharge port; A filter provided inside the body to filter foreign matter from the air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ort; And a filter cleaning means for cleaning the filter, wherein the filter cleaning means comprises: a filter cleaning part provided inside the body to clean the filter; An actuating lever which operates the filter cleaner and a part of which protrudes outward of the body; And a power transmission unit provided inside the body to transfer the operating force of the pressure lever to the filter cleaner.
According to another aspect, a dust collector of a vacuum cleaner includes: a body forming an appearance and detachably attached to a cleaner body; A suction port formed at one side of the body and guiding suction force of the main body into the body; A discharge port provided at one side of the body and guiding a movement path of air discharged from the inside of the main body; A filter for filtering foreign matter in the air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hole in the body; It is provided below the filter and comprises a filter cleaning means for cleaning the filter when the body is detached to the body, the filter cleaning means, the pressure lever to expose at least a portion to the outside of the body, and the filter A filter cleaning unit for cleaning the power supply unit and a power transmiss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operating force of the pressure lever to the filter cleaning unit, wherein the pressure lever is configured to be pressed by the cleaner body when the body is mounted on the cleaner body, It protrudes toward the cleaner body based on the direction in which the cleaner body is mounted.

다른 측면에 따른 진공청소기의 집진장치는, 외관을 형성하며 청소기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며, 손잡이를 구비하는 바디; 상기 바디 일측에 형성되며, 본체의 흡입력을 상기 바디 내부로 안내하는 흡입구; 상기 바디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본체 내부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이동경로를 안내하는 토출구; 상기 바디 내부에서 상기 토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 중의 이물을 거르기 위한 필터; 상기 필터 하측에 마련되어 상기 본체에 상기 바디가 탈착될 때, 상기 필터를 청소하는 필터 청소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필터 청소수단은, 상기 바디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손잡이를 관통하는 가압레버와, 상기 필터를 청소하기 위한 필터 청소부와, 상기 가압레버의 작동력을 상기 필터 청소부로 전달하기 위한 동력전달부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a dust collector of a vacuum cleaner includes: a body forming an appearance and detachably attached to a cleaner body, the body having a handle; A suction port formed at one side of the body and guiding suction force of the main body into the body; A discharge port provided at one side of the body and guiding a movement path of air discharged from the inside of the main body; A filter for filtering foreign matter in the air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hole in the body; It is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filter when the body is detached to the body, comprising a filter cleaning means for cleaning the filter, the filter cleaning means, the pressure lever protruding out of the body and penetrates the handle; A filter cleaning unit for cleaning the filter, and a power transmiss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operating force of the pressure lever to the filter cleaning unit.

본 발명은 집진장치 내부에 배기되는 공기중의 미세먼지를 거르기 위한 필터가 구비되고, 이러한 필터의 하측으로 필터에 누적된 미세먼지를 제거하기 위한 필터 청소수단이 구비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filter for filtering fine dust in the air exhausted inside the dust collector, and filter cleaning means for removing the fine dust accumulated in the filter under the filter.

그리고, 상기 필터 청소수단은 일구성인 가압레버가 집진장치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성되어, 청소기 본체에 집진장치를 장착하거나 탈착할 때 가압레버가 본체에 의해 가압되면서 브러쉬를 회전시키도록 구성된다. The filter cleaning means is configured to expose the pressure lever, which is one component, to the outside of the dust collector, and is configured to rotate the brush while the pressure lever is pressed by the body when the dust collector is mounted or detached from the cleaner body.

따라서, 이러한 브러쉬의 회전에 의해 필터에 누적된 미세먼지의 제거가 이루어 질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집진장치의 탈착 과정만으로도 용이하게 미세먼지를 제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Therefore, the fine dust accumulated in the filter can be removed by the rotation of the brush. In other words, the user can easily remove the fine dust only by the desorption process of the dust collector.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는 사용자가 파지하는 손잡이 일측으로 가압레버가 돌출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손잡이를 파지한 상태에서 돌출된 가압레버를 눌러 용이하게 필터에 누적된 미세먼지를 제거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protrude the pressure lever to one side of the handle that the user grips. Therefore, the user can easily remove the fine dust accumulated in the filter by pressing the protruding pressure lever while holding the handle.

한편, 상기와 같이 필터에 누적된 미세먼지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게 됨으로써, 흡입 모터의 흡입 성능이 향상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진공 청소기를 통한 청소가 용이하게 이루어져 사용자의 제품 만족도가 상승할 것으로 기대된다.On the other hand, by being able to easily remove the fine dust accumulated in the filter as described above, the suction performance of the suction motor can be improved, thereby making it easy to clean through a vacuum cleaner will increase the user's product satisfaction It is expected.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will be described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presented,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ho understand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suggest other embodiments within the scope of the same idea.

즉, 이하 도시되는 내용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업라이트 청소기를 일실시 예로 설명되나, 본 발명은 캐니스터형 청소기에도 적용가능함을 밝혀둔다.That is, the contents shown below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of an upright cleaner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found to be applicable to a canister cleaner.

도 1 에는 본 발명이 채용된 일실시 예인 진공 청소기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 도시되어 있고, 도 2 에는 도 1 에 도시된 진공 청소기에서 집진장치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1 is a view illustrating the appearance of 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employed, and FIG. 2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dust collector is separated from the vacuum cleaner shown in FIG. 1.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채용된 진공 청소기(1)는 외관을 형성하며 내부에 구비되는 흡입모터를 이용하여 흡입력을 생성하는 본체(10)와, 청소영역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본체(10)에서 제공되는 흡입력을 이용하여 공기와 함께 피청소면에 산재한 이물을 흡입하는 흡입노즐(30)과, 상기 흡입 노즐(30)을 통해 흡입된 공기중에서 이물을 걸러내어 포집하는 집진장치(1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As shown in these drawings, the vacuum cleaner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mploys a main body 10 that forms an appearance and generates suction force using a suction motor provided therein, and moves along the cleaning area. 10, a suction nozzle 30 which sucks foreign substances scattered on the surface to be cleaned together with air by using the suction force provided in the air, and a dust collecting device 100 for filtering and collecting foreign substances from the air sucked through the suction nozzle 30. It is configured to include.

그리고, 상기 본체(10)의 상측에는 사용자가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손잡이(20)가 더 형성되어, 사용자는 이러한 손잡이(20)를 파지하여 진공 청소기(1)를 이용한 청소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a handle 20 is further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main body 10 so that the user can easily grip the user, so that the user can hold the handle 20 to perform cleaning using the vacuum cleaner 1. do.

또한, 상기 흡입노즐(30)에는 진공 청소기(1)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이동바퀴(34)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이러한 이동바퀴(34)는 흡입노즐(30) 양측면 후측에 구비됨이 일반적이다.In addition, the suction nozzle 30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a moving wheel 34 to facilitate the movement of the vacuum cleaner 1, the moving wheel 34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suction nozzle (30) rear side. This is common.

상기 흡입노즐(30)과 본체(10)의 연결부는 상기 본체(10)가 일정각도 범위 이내에서 회동 가능하게 구성된다. 즉, 상기 본체(10)는 상기 흡입노즐(30)에 대하여 후방으로 일정한 경사각도의 범위 내에서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데, 이러한 본체(10)의 회동을 제한하기 위하여 상기 흡입노즐(30)의 상면 후단부에는 회동레버(32)가 구비된다.The connection part of the suction nozzle 30 and the main body 10 is configured to be rotatable within the main body 10 within a predetermined angle range. That is, the main body 10 is coupled to be rotatable in a range of a predetermined inclination angle rearward with respect to the suction nozzle 30, the upper surface of the suction nozzle 30 to limit the rotation of the main body 10 The rear end is provided with a rotation lever 32.

따라서, 사용자가 발을 사용하여 상기 회동레버(64)를 가압하고, 상기 손잡이(20)를 파지한 손으로 상기 본체(10)를 후방으로 당기면 상기 본체(10)가 후방으로 기울어지게 된다. 이렇게 되면 사용자는 상기 본체(10)를 원하는 각도로 조정하면서 청소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when the user presses the pivot lever 64 using the foot and pulls the main body 10 backward with the hand holding the handle 20, the main body 10 is inclined backward. In this case, the user can perform cleaning while adjusting the main body 10 to a desired angle.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본체(10)의 내부에는 흡입력의 생성을 위한 흡입모터가 마련되며, 상기 흡입모터를 통해 생성된 흡입력은 상기 본체(10)의 중앙부 전측에 장착되는 집진장치(100)로 안내된다. On the other hand, although not shown, the suction motor for generating the suction force is provided inside the main body 10, the suction force generated through the suction motor is mounted on the front side of the central portion of the main body 10, the dust collector 100 You are guided to.

상세하게, 상기 본체(10)의 전측에는 상기 집진장치(100)의 일측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함몰 형성되는 집진장치 장착부(11)가 마련된다. In detail, the front side of the main body 10 is provided with a dust collector mounting portion 11 is formed recess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one side of the dust collector (100).

상기 집진장치 장착부(11)에는 상기 흡입모터에 의해 생성된 흡입력을 이용하여 상기 흡입노즐(30)을 통해 흡입되는 이물이 포함된 공기가 상기 집진장치(100)로 안내될 수 있도록 하는 흡입유로(미도시)와, 상기 집진장치(100) 에서 이물이 걸러진 공기가 본체(10)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배기유로(14)가 연결된다. The dust collecting device mounting part 11 has a suction flow path for allowing air containing foreign matter sucked through the suction nozzle 30 to be guided to the dust collecting device 100 by using the suction force generated by the suction motor ( Not shown) and an exhaust passage 14 for guiding the foreign matter filtered by the dust collector 100 to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10 is connected.

그리고, 상기 집진장치(100)는 대략 원기둥 형상으로 하부가 개구되도록 형성되는 바디(110)와 상기 바디(110)의 개구된 하부를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커버(120) 및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상기 바디(110)의 외면에서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집진장치 손잡이(140)에 의해 외관이 형성된다. In addition, the dust collector 100 may have a body 110 formed to have a lower portion in an approximately cylindrical shape, a cover 120 for selectively shielding the opened lower portion of the body 110, and the user to hold it. The exterior is formed by the dust collector knob 140 protruding outward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110.

상기 바디(110)의 상면에는 착탈홈(122)이 형성된다. 상기 착탈홈(122)은 상기 본체(10)에 마련되는 착탈노브(12)의 일측이 선택적으로 끼움 장착되면서 상기 집진장치(100)의 선택적인 장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The detachable groove 122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110. The detachable groove 122 allows one side of the detachable knob 12 provided in the main body 10 to be selectively fitted to allow selective mounting of the dust collector 100.

상기 집진장치 손잡이(140)는 상기 바디(110)와 커버(120)를 연결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커버(120)와 집진장치 손잡이(140)의 연결부분은 힌지구조로 이루어져 집진장치 손잡이(140) 일단을 기준으로 상기 커버(120)가 회동할 수 있다.The dust collector handle 140 may be configured to connect the body 110 and the cover 120, and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cover 120 and the dust collector handle 140 has a hinge structure, and the dust collector handle 140 The cover 120 may rotate based on one end.

또한, 상기 바디(110)의 외면에는 상기 흡입유로(미도시)와 연통되어 이물이 포함된 공기가 바디(110) 내측으로 안내될 수 있도록 하는 흡입구(160)와 상기 흡입구(160)를 통해 상기 바디(110) 내부로 유입되어 이물이 걸러진 공기를 바디(110) 외측으로 안내하는 토출구(180)가 더 형성된다. In addition,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110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suction passage (not shown) through the suction port 160 and the suction port 160 to guide the air containing the foreign material into the body 110 inside the A discharge port 180 is further formed to guide the air, which is introduced into the body 110 and the foreign material filtered, to the outside of the body 110.

여기서, 상기 흡입구(160)는 상기 바디(110)의 접선방향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바디(110)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가 와류되면서 싸이클론 유동을 가질 수 있도록 한다. 이로 인해 상기 바디(110)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 중 이물은 바디(110) 내부에 적산되고, 공기는 상기 토출구(180)를 통해 외부로 배출 될 수 있다. Here, the suction port 160 is formed to protrude outward in the tangential direction of the body 110, so that the air flowing into the body 110 has a cyclone flow while vortexing. As a result, foreign matter in the air introduced into the body 110 is accumulated in the body 110, and the air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discharge port 180.

그리고,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커버(120)의 중앙 부분에는 이물 여과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대략 원뿔 형상으로 형성되는 필터부재가 더 구비될 수도 있을 것이다.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a central portion of the cover 120 may further include a filter member formed in a substantially conical shape in order to improve foreign material filtration performance.

한편, 상기 바디(110)의 내부에는 상기 토출구(180)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중의 미세먼지를 거르기 위한 필터(300 도 4 참조)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필터(300 도 4 참조)의 하측에는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할 필터 청소수단(200)이 구비된다.On the other hand, the inside of the body 110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a filter (see 300 Figure 4) for filtering fine dust in the air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ort 180, the filter (see 300 Figure 4) The lower side is provided with a filter cleaning means 200 to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그리고, 상기 집진장치 장착부(11)에는 상기 집진장치(100)의 장착 시 상기 필터 청소수단(200)의 일부와 접하여 상기 필터 청소수단(200)에 압력이 가해질 수 있도록 하는 필터 청소수단 가압부(16)가 상기 본체(10)의 내측으로 함몰 형성된다. 이에 관한 설명은 아래에서 보다 상세히 하기로 한다.In addition, the dust collecting device mounting portion 11 is in contact with a part of the filter cleaning means 200 when the dust collecting device 100 is mounted, the filter cleaning means pressurizing portion for applying a pressure to the filter cleaning means 200 ( 16 is recessed inwardly of the main body 10. Description of thi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도 3 에는 본 발명에 의한 일 실시 예인 진공 청소기의 집진 장치 구성을 보이기 위한 도면이 도시되어 있고, 도 4 에는 본 발명의 요부구성인 필터 청소구단의 일실시 예를 보인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3 is a view for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dust collecting apparatus of the vacuum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filter cleaning section of the main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이들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집진장치(100)의 외면 즉, 바디(110)에는 흡입력을 통해 피 청소면의 이물과 함께 유입되는 공기가 상기 바디(110) 내측으로 안내되도록 하는 흡입구(160)가 바디(110) 하부에서 접선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돌출 형성되고, 상측으로 상기 바디(110)에서 여과된 공기의 배출을 안내하는 토출구(180)가 돌출 형성된다. Referring to these drawings, as described above, the outer surface of the dust collecting apparatus 100, that is, the inlet for allowing air introduced into the body 110 with the foreign matter of the surface to be cleaned through suction force to be guided into the body 110 inside. The protrusion 160 is formed to protrude in a tangential direction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body 110, and a discharge port 180 for guiding discharge of the filtered air from the body 110 is protruded upward.

그리고, 상기 토출구(180)의 하측에는 상기 필터 청소수단(200)의 요부구성인 가압레버(220)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레버인출홀(190)이 천공 형성되며, 상기 레버인출홀(190)을 통과한 가압레버(220)는 전술한 필터 청소수단 가압부(16)와 접하게 된다.In addition, a lever withdrawal hole 190 is formed in the lower side of the discharge hole 180 so that the pressure lever 220, which is a main component of the filter cleaning means 200, is exposed to the outside, and the lever withdrawal hole 190 is formed. The pressure lever 220 passing through) is in contact with the filter cleaning means pressing unit 16 described above.

한편, 상기와 같이 형성된 바디(110)의 내부에는 전술한 필터(300)와 상기 필터(300)의 청소를 위한 필터 청소수단(200)이 구비된다. On the other hand, the inside of the body 110 formed as described above is provided with the filter 300 and the filter cleaning means 200 for cleaning the filter 300.

상세하게, 상기 필터(300)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면서 미세기공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되며, 본 발명에서는 스펀지가 사용될 수 있다.In detail, the filter 300 is formed of a material having fine pores whil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a sponge may be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그리고,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필터(300)의 장착을 위해 상기 바디(110)의 내부에는 상기 필터(300)가 끼움 장착될 수 있는 장착부가 마련될 수 있다. Although not shown, a mounting part into which the filter 300 may be fitted may be provided inside the body 110 to mount the filter 300.

한편, 상기 필터(300)에는 격자무늬를 가지는 필터 하우징(320)이 더 구비된다. On the other hand, the filter 300 is further provided with a filter housing 320 having a grid pattern.

상기 필터 하우징(320)은 상기 필터(300)의 하면과 측면을 감싸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하면에 격자무늬가 형성되어 격자를 통해 공기의 유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필터 하우징(320)의 하면 중앙에는 상기 필터 청소수단(200)이 장착된다. The filter housing 320 is formed in a shape surrounding the lower surface and the side of the filter 300, the grid pattern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may be a flow of air through the grid. In addition, the filter cleaning means 200 is mounted at the center of the lower surface of the filter housing 320.

상세하게, 상기 필터 청소수단(200)에는 상기 필터 하우징(320)의 중앙에 고정되어 이하 설명할 구성요소들의 장착공간 및 회전 중심을 형성하게 되는 중심축(250)이 고정된다. In detail, the filter cleaning means 200 is fixed to the center of the filter housing 320 is fixed to the central axis 250 which forms the mounting space and rotation center of the components to be described below.

그리고, 상기 중심축(250)에는 상기 필터(300)의 하면과 접하여 상기 필터(300)에 누적된 미세먼지를 제거하기 위한 필터 청소부(290)가 회전가능하게 구비된다. In addition, the central shaft 250 is rotatably provided with a filter cleaning unit 290 for removing the fine dust accumulated in the filter 300 in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filter 300.

즉, 상기 필터 청소부(290)는 상기 중심축(250)을 감싸는 중앙부 형상과 상기 필터(300)의 직경을 고려한 길이로 중앙부에서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바(Bar) 형상의 외측부를 가지는 프레임(292)에 의해 골격이 형성되고, 상기 바 형상의 외측부 상면에는 상방으로 돌출되는 브러쉬(294)가 마련되어 상기 필터(300)의 하면과 접하면서 회전하여 필터(300)를 청소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That is, the filter cleaning unit 290 has a frame portion 292 having a central shape surrounding the central axis 250 and a bar shape extending outward from the center to a length in consideration of the diameter of the filter 300. Skeleton is formed by, and the brush 294 protruding upward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r-shaped outer portion is configured to rotate while contacting the lower surface of the filter 300 to clean the filter 300.

그리고, 상기 프레임(292)의 중심부는 상기 중심축(250)에 끼워진 상태에서 이하 설명할 회동부(280)와 연결된다. In addition, the center of the frame 292 is connected to the rotating part 280 to be described later in the state fitted to the central axis (250).

상기 회동부(280)는 중앙 부분이 상기 중심축(250)의 직경보다 조금 더 크게 천공 형성되며, 외면에는 다수의 나사산이 형성되는 평기어로 이하 설명할 작동력 전달부(260)와 맞물려 회전하게 된다. The pivoting portion 280 is formed in the center portion is drilled slightly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central axis 250, the outer surface is a spur gear formed with a plurality of threads are formed to rotate in engagement with the operating force transmission unit 260 to be described below. do.

따라서, 상기 회동부(280)의 회전에 의해 이와 연결된 프레임(292)이 회전하게 되어 필터(300)의 청소가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중심축(250)과 회동부(280) 사이에는 베어링(282)이 더 구비되어 원활한 회전을 보조할 수 있다. Therefore, the frame 292 connected thereto is rotated by the rotation of the pivoting part 280, so that the filter 300 can be cleaned. Here, a bearing 282 is further provided between the central axis 250 and the pivot 280 to assist smooth rotation.

상기 작동력 전달부(26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면에 상기 회동부(280)에 형성된 나사산과 대응되는 톱니 형상이 형성되어, 상기 작동력 전달부(260)가 직선 운동을 하게 될 경우, 상기 회동부(280)가 회전할 수 있도록 치형이 맞물리게 된다.As shown in FIG. 4, the actuation force transmission unit 260 has a tooth shape corresponding to a screw thread formed on the pivoting unit 280 on one surface thereof, and when the actuation force transmission unit 260 performs a linear motion, The teeth are engaged so that the pivoting part 280 can rotate.

그리고, 상기 중심축(250)에는 상기 작동력 전달부(260)의 원활한 직선 운동 을 안내하기 위하여 상기 작동력 전달부(260)의 이동방향을 따라 가이드(270)가 더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guide 270 may be further formed on the central axis 250 along the moving direction of the operating force transmission unit 260 to guide a smooth linear movement of the operating force transmission unit 260.

한편, 상기 작동력 전달부(260)와 상기 가압레버(220)는 탄성에 의해 길이가 가변되는 탄성변형부(240)를 통해 동일선상에 위치하도록 연결된다. On the other hand, the operating force transmission unit 260 and the pressure lever 220 is connected to be located on the same line through the elastic deformation unit 240 is variable in length by elasticity.

상세하게, 상기 탄성변형부(240)는 상기 작동력 전달부(260)와 가압레버(220) 사이를 연결하여 고정시키는 연결편(246)과, 상기 가압레버(220)가 관통하며, 일단이 상기 바디(110)의 내면에 고정되는 고정편(242) 및 상기 고정편(242)과 연결편(246)을 연결하는 탄성부재(24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In detail, the elastic deformation part 240 has a connection piece 246 for connecting and fixing the operating force transmission part 260 and the pressure lever 220, and the pressure lever 220 penetrates, and one end of the body It comprises a fixing piece 242 fix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110 and the elastic member 244 connecting the fixing piece 242 and the connecting piece 246.

보다 상세하게, 상기 고정편(242)은 상기 바디(110)에 고정되는 부분이 상기 레버인출홀(190)과 대응되는 내경을 가지도록 천공 형성되며, 단부는 상기 바디(110)의 내면에 고정되어 상기 가압레버(220)의 인출/입 경로를 안내하게 된다. In more detail, the fixing piece 242 is perforated to be formed so that the portion fixed to the body 110 has an inner diameter corresponding to the lever withdrawal hole 190, the end is fix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body 110 It guides the withdrawal / entry path of the pressure lever 220.

그리고, 상기 고정편(242)의 타측 단부에는 상기 탄성부재(244)가 연결된다. The elastic member 244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fixing piece 242.

상기 탄성부재(244)는 상기 고정편(242)을 관통한 가압레버(220)의 외면을 감싸는 코일 형상의 스프링으로 일단이 상기 고정편(242)과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연결편(246)과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가압레버(220)가 상기 본체(110) 내부로 인입될 경우 상기 고정편(242)은 고정된 위치를 유지하고, 상기 연결편(246)이 내측으로 밀리면서 상기 작동력 전달부(260)와 함께 이동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탄성부재(244)가 인장되면서 탄성복원력이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의 설명에 있어서, 상기 중심축, 상기 회동부, 상기 작동력전달부, 상기 탄성변형부를 상기 가압레버의 작동력을 상기 필터청소부로 전달하기 위한 동력전달부로 이름할 수 있다.
The elastic member 244 is a coil-shaped spring surrounding the outer surface of the pressure lever 220 penetrating the fixing piece 242, one end is connected to the fixing piece 242,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connecting piece 246 Connected. Therefore, when the pressure lever 220 is introduced into the main body 110, the fixing piece 242 maintains a fixed position, the connecting piece 246 is pushed inwards while the operating force transmission unit 260 It can move with, at this time, the elastic member 244 is tensioned as the elastic restoring force is generated.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entral axis, the rotating part, the operating force transmission unit, the elastic deformation unit may be referred to as a power transmiss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operating force of the pressure lever to the filter cleaner.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통해 상기 필터 청소수단(200)의 작용에 대하여 상세히 살펴본다. Hereinafter, the action of the filter cleaning means 2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5 에는 본 발명에 의한 일실시 예인 진공 청소기의 집진장치가 장착된 상태에서 필터 청소수단의 작동 상태를 보인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5 is a view showing an operation state of the filter cleaning means in a state where the dust collector of the vacuum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집진장치(100)가 상기 본체(10)에 장착되면, 상기 바디(110)의 외측으로 노출된 가압레버(220)가 상기 필터 청소수단 가압부(16)와 접하게 된다. As illustrated, when the dust collecting device 100 is mounted on the main body 10, the pressure lever 220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body 110 comes into contact with the filter cleaning means pressing unit 16.

따라서, 상기 가압레버(220)가 바디(110) 내측으로 이동하여 작동력 전달부(260)를 우측(도 5 에서)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Thus, the pressure lever 220 is moved to the inside of the body 110 to move the actuation force transmission unit 260 to the right (in Figure 5).

이때, 상기 고정편(242)과 연결편(246)를 연결하는 탄성부재(244)는 인장되고, 상기 작동력 전달부(260)의 톱니 형상과 맞물린 회동부(280 도 4 참조)가 작동력 전달부(260)의 이동에 의해 회전하게 된다. At this time, the elastic member 244 connecting the fixing piece 242 and the connecting piece 246 is tensioned, and the rotating portion (see FIG. 4) 280 engaged with the sawtooth shape of the operating force transmitting unit 260 is the operating force transmitting unit ( It is rotated by the movement of 260.

그리고, 상기와 같이 작동력 전달부(260)가 회전함에 따라 이와 연결된 프레임(292)이 회전하게 되고, 이에 구비된 브러쉬(294)에 의해 필터(300)의 하면에 누적된 미세먼지의 제거가 이루어지게 된다. In addition, as the operating force transmission unit 260 rotates as described above, the frame 292 connected thereto rotates, and the fine dust accumulat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filter 300 is removed by the brush 294 provided therein. You lose.

한편, 도 6 에는 본 발명에 의한 일실시 예인 진공 청소기의 집진장치가 탈거되는 상태에서 필터 청소수단의 작동 상태를 보인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Figure 6 is a view showing an operation state of the filter cleaning means in a state in which the dust collector of the vacuum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emoved.

도시된 바와 같이 도 6 에는 상기 집진장치(100)가 상기 본체(10)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가압레버(220)가 상기 바디(110)의 외측으로 상당부분 노출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6, the dust collecting device 100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main body 10 so that the pressure lever 220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body 110.

상세하게, 상기 가압레버(220)는 도 5 에서와 같이 상기 필터 청소수단 가압 부(16)와 접하여 상기 바디(110) 내측으로 밀려 들어간 상태에서 상기 탄성부재(244)를 인장시키게 된다.In detail, the pressing lever 220 is in contact with the filter cleaning means pressing portion 16 as shown in Figure 5 to tension the elastic member 244 in the state pushed into the body 110.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집진장치(100)가 탈거되면, 상기 가압레버(220)에 가해지던 압력이 해지되면서 상기 탄성부재(244)의 복원력에 의해 가압레버(220)가 바디(110)의 외측으로 복귀할 수 있게 되며, 이때, 상기 가압레버(220)와 연결편(246)에 의해 연결된 작동력 전달부(260)가 좌측(도 6에서)으로 이동하게 되면서 상기 회동부(280 도 4 참조)를 회전시키게 된다. When the dust collector 100 is removed in the above state, the pressure applied to the pressure lever 220 is released and the pressure lever 220 is the outer side of the body 110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elastic member 244. In this case, the actuation force transmission unit 260 connected by the pressure lever 220 and the connecting piece 246 is moved to the left side (see FIG. 6) while the rotating unit (see FIG. 4) is rotated. Rotated.

따라서, 상기 회동부(280 도 4 참조)의 회전에 의해 상기 프레임(292) 및 이에 구비된 브러쉬(294)가 작동하면서 상기 필터(300) 하면에 누적된 미세먼지를 제거할 수 있게 된다. Therefore, the frame 292 and the brush 294 provided therein are operated by the rotation of the pivoting part 280 (see FIG. 4) to remove fine dust accumula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filter 300.

즉, 상기 집진장치(100)는 상기 본체(10)에 장착될 때, 상기 가압레버(220)가 바디(110) 내측으로 인입되면서 상기 필터(300)를 청소하고, 상기 집진장치(100)의 탈거시 상기 가압레버(220)가 탄성부재(244)에 의회 외측으로 복귀하게 되면서 상기 필터(300)의 청소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That is, when the dust collector 100 is mounted to the main body 10, the pressure lever 220 is introduced into the body 110 to clean the filter 300, and the dust collector 100 may be When the pressure lever 220 is removed to return to the outside of the circumference in the elastic member 244 can be cleaned of the filter 300.

한편, 상기와 같이 집진장치(100)의 탈거 또는 장착과정에서 필터(300)의 청소가 이루어지는 필터 청소수단(200)은 사용자가 수동으로 작동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the filter cleaning means 200 in which the cleaning of the filter 300 in the removal or mounting process of the dust collector 100 as described above may be configured to allow the user to operate manually.

도 7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보인 도면이다.7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는 상기 집진장치(100)가 상기 본체(10)에 탈착 되는것과는 상관 없이 집진장치(100)의 내부에 구비되는 필터 청 소수단(200)이 사용자의 누름 조작에 의해 작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As shown,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gardless of whether the dust collecting device 100 is detached from the main body 10, the filter cleaning step 200 provided inside the dust collecting device 100 is pressed by a user. It is configured to operate by operation.

상세하게,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는 상기 필터 청소수단(200)의 상세구성은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게 구성되며, 상기 가압레버(220)가 상기 바디(110)의 외부로 노출되는 위치만 차이를 가지게 된다. In detail,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filter cleaning means 200 is configured in the same manner as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only the position at which the pressure lever 220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body 110. There is a difference.

즉,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는 상기 가압레버(220)가 사용자가 파지하기 위한 집진장치 손잡이(140)를 관통할 수 있도록 상기 바디(110)의 외부로 노출된다. That is, as shown in FIG. 7,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sure lever 220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body 110 so as to penetrate the dust collector handle 140 for the user to grip.

상세하게,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는 상기 바디(110)에는 상기 가압레버(220)가 바디(110) 외부로 인출될 수 있도록 천공 형성되는 레버인출홀(190)이 상기 집진장치 손잡이(140)의 하측에 위치하고, 상기 집진장치 손잡이(140)에도 상기 레버인출홀(190)과 대응되는 크기의 레버관통홀(도면부호 부여되지 않음)이 천공 형성된다. In detail,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ody 110 has a lever withdrawal hole 190 formed therein so that the pressing lever 220 can be drawn out of the body 110, and the handle of the dust collector 140. Located at the lower side of the dust collecting device handle 140 is also formed through the lever through hole (not shown) of the size corresponding to the lever take-out hole 190.

따라서, 상기 가압레버(220)는 상기 레버인출홀(190) 및 레버관통홀(도면부호 부여되지 않음)을 모두 통과하여 집진장치 손잡이(140)의 외부로 노출되고, 사용자는 이와 같이 노출된 가압레버(220)를 상기 집진장치 손잡이(140)를 파지한 상태로 상기 가압레버(220)를 누르거나 누름 해지하는 동작만으로 바디(110)의 내부에 구비된 필터(300)를 청소할 수 있게 된다. Thus, the pressure lever 220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dust collector handle 140 through both the lever withdrawal hole 190 and the lever through hole (not shown), the user is exposed pressure in this way It is possible to clean the filter 300 provided inside the body 110 only by pressing or releasing the pressing lever 220 while the lever 220 is held by the dust collector handle 140.

도 1 은 본 발명이 채용된 일실시 예인 진공 청소기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1 is a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a vacuum cleaner which is an embodiment in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employed.

도 2 는 도 1 에 도시된 진공 청소기에서 본 발명에 의한 일 실시 예인 진공 청소기의 집진장치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Figure 2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ust collector of the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eparated from the vacuum cleaner shown in FIG.

도 3 은 본 발명에 의한 일 실시 예인 진공 청소기의 집진 장치 구성을 보이기 위한 도면.Figure 3 is a view for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dust collector of 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는 본 발명의 요부구성인 필터 청소구단의 일실시 예를 보인 도면.Figure 4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filter cleaning stage which is a main compon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 는 본 발명에 의한 일실시 예인 진공 청소기의 집진장치가 장착된 상태에서 필터 청소수단의 작동 상태를 보인 도면.Figure 5 is a view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filter cleaning means in a state equipped with a dust collector of 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 은 본 발명에 의한 일실시 예인 진공 청소기의 집진장치가 탈거되는 상태에서 필터 청소수단의 작동 상태를 보인 도면.6 is a view showing an operation state of the filter cleaning means in a state in which the dust collector of the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emoved.

도 7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보인 도면.7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집진장치 110..... 바디100 ..... Dust Collector 110 ..... Body

120..... 커버 140..... 집진장치 손잡이120 ..... Cover 140 ..... Dust Collector Handle

160..... 흡입구 180..... 토출구160 ..... inlet 180 ..... outlet

190..... 레버인출홀 200..... 필터 청소수단190 ... Lever withdrawal hole 200 ..... Filter cleaning means

220..... 가압레버 240..... 탄성변형부220 ..... Pressure lever 240 ..... Elastic deformation part

242..... 고정편 244..... 탄성부재242 ..... Fixing piece 244 ..... Elastic member

246..... 연결편 250..... 중심축246 ..... Connection 250 ..... Central axis

260..... 작동력 전달부 270..... 가이드260 ..... actuation force transmission 270 ..... guide

280..... 회동부 290..... 필터 청소부280 ..... Rotator 290 ..... Filter cleaner

292..... 프레임 294..... 브러쉬292 ..... Frame 294 ..... Brush

300..... 필터 320..... 필터하우징300 ..... Filter 320 ..... Filter Housing

Claims (9)

흡입모터가 구비되는 본체; 및 A main body provided with a suction motor; And 상기 본체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집진장치를 포함하고, A dust collector detachably mounted to the main body, 상기 집진장치는, The dust collector, 흡입구와 토출구가 마련되는 바디;A body provided with a suction port and a discharge port; 상기 바디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토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 중의 이물을 걸러내는 필터; 및 A filter provided inside the body to filter foreign matter from the air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ort; And 상기 필터를 청소하기 위한 필터 청소수단을 포함하고, A filter cleaning means for cleaning the filter, 상기 필터 청소수단은, The filter cleaning means, 상기 바디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필터를 청소하기 위한 필터청소부; A filter cleaner configured to be provided inside the body to clean the filter; 상기 필터청소부를 작동시키며, 일부가 상기 바디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가압레버; 및 An actuating lever which operates the filter cleaner and a part of which protrudes outward of the body; And 상기 바디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가압레버의 작동력을 상기 필터청소부로 전달하는 동력전달부를 포함하는 진공 청소기. Is provided inside the body, the vacuum cleaner including a power transmiss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operating force of the pressure lever to the filter cleaner.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필터에는, 상기 필터 청소수단이 장착될 수 있도록 하는 필터하우징이 구비되는 진공 청소기.The filter, the vacuum cleaner is provided with a filter housing for mounting the filter cleaning means.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부는,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power transmission unit, 상기 필터 하우징에 고정되는 중심축과,A central axis fixed to the filter housing; 상기 가압레버와 연결되며, 적어도 일면에 톱니 형상이 형성되는 작동력 전달부와,An actuation force transmission unit connected to the pressure lever and having a sawtooth shape formed on at least one surface thereof; 상기 작동력 전달부의 톱니 형상과 대응되는 치형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작동력 전달부의 이동 시 상기 필터 청소부로 회전력을 제공하는 회동부 및Rotating portion is formed to have a tooth shape corresponding to the tooth shape of the actuation force transmission portion, to provide a rotational force to the filter cleaning unit when the actuation force transmission portion moves; 상기 작동력 전달부와 가압레버 사이에 구비되어 탄성에 의해 길이가 가변되는 탄성변형부를 포함하고, It is provided between the operating force transmission unit and the pressure lever and includes an elastic deformation unit is variable in length by elasticity, 상기 회동부와 중심축 사이에는 베어링이 구비되며, A bearing is provided between the pivot part and the central axis. 상기 중심축에는, 상기 작동력 전달부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가 더 구비되는 진공 청소기.The central axis, the vacuum cleaner further comprises a guide for guiding the movement of the operating force transmission unit.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청소부는,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filter cleaning unit, 상기 회동부와 연결되는 프레임과,A frame connected to the pivot unit, 상기 프레임에 구비되어, 상기 필터와 접하는 브러쉬를 포함하는 진공 청소기.And a brush provided in the frame and in contact with the filter.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변형부는,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elastic deformation portion, 상기 가압레버가 관통되며, 상기 바디의 내면에 고정되는 고정편과,A fixing piece through which the pressure lever penetrates and is fixed to an inner surface of the body; 상기 가압레버와 상기 작동력 전달부를 연결하는 연결편과,A connecting piece connecting the pressure lever and the operating force transmission part; 상기 고정편과 연결편을 연결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진공 청소기.Vacuum cleaner comprising an elastic member for connecting the fixing piece and the connecting piec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가압레버는 상기 집진장치가 상기 청소기 본체에 장착될 때, 상기 청소기 본체에 의해서 가압되기 위하여, 상기 청소기 본체에 장착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청소기 본체를 향하여 돌출되는 진공 청소기.The pressure lever is a vacuum cleaner which protrudes toward the cleaner body based on a direction in which the dust collector is mounted on the cleaner body when the dust collector is mounted on the cleaner body.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바디에는 손잡이가 형성되며, The body is formed with a handle, 상기 가압레버는 상기 손잡이를 관통하는 진공 청소기.The pressure lever is a vacuum cleaner penetrating the handle. 외관을 형성하며 청소기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는 바디;A body configured to form an appearance and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cleaner body; 상기 바디 일측에 형성되며, 본체의 흡입력을 상기 바디 내부로 안내하는 흡입구;A suction port formed at one side of the body and guiding suction force of the main body into the body; 상기 바디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본체 내부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이동경로를 안내하는 토출구;A discharge port provided at one side of the body and guiding a movement path of air discharged from the inside of the main body; 상기 바디 내부에서 상기 토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 중의 이물을 거르기 위한 필터;A filter for filtering foreign matter in the air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hole in the body; 상기 필터 하측에 마련되어 상기 본체에 상기 바디가 탈착될 때, 상기 필터를 청소하는 필터 청소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며,It is provided below the filter and comprises a filter cleaning means for cleaning the filter when the body is detached to the main body, 상기 필터 청소수단은,The filter cleaning means, 상기 바디 외측으로 적어도 일부분이 노출되는 가압레버와,A pressure lever at least partially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body; 상기 필터를 청소하기 위한 필터 청소부와, A filter cleaning unit for cleaning the filter; 상기 가압레버의 작동력을 상기 필터 청소부로 전달하기 위한 동력전달부를 포함하고, It includes a power transmission for transmitting the operating force of the pressure lever to the filter cleaning portion, 상기 가압레버는, 바디가 상기 청소기 본체에 장착될 때 상기 청소기 본체에 의해서 가압되기 위하여, 상기 청소기 본체에 장착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청소기 본체를 향하여 돌출되는 진공 청소기의 집진장치.The pressure lever is a dust collector of the vacuum cleaner protruding toward the cleaner body based on the direction in which the body is mounted on the cleaner body, in order to be pressed by the cleaner body when the body is mounted on the cleaner body. 외관을 형성하며 청소기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며, 손잡이를 구비하는 바디;A body configured to be detachable to the cleaner body and to form an appearance, and having a handle; 상기 바디 일측에 형성되며, 본체의 흡입력을 상기 바디 내부로 안내하는 흡입구;A suction port formed at one side of the body and guiding suction force of the main body into the body; 상기 바디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본체 내부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이동경로를 안내하는 토출구;A discharge port provided at one side of the body and guiding a movement path of air discharged from the inside of the main body; 상기 바디 내부에서 상기 토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 중의 이물을 거르기 위한 필터;A filter for filtering foreign matter in the air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hole in the body; 상기 필터 하측에 마련되어 상기 본체에 상기 바디가 탈착될 때, 상기 필터를 청소하는 필터 청소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며,It is provided below the filter and comprises a filter cleaning means for cleaning the filter when the body is detached to the main body, 상기 필터 청소수단은,The filter cleaning means, 상기 바디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손잡이를 관통하는 가압레버와,A pressure lever protruding out of the body and penetrating the handle; 상기 필터를 청소하기 위한 필터 청소부와, A filter cleaning unit for cleaning the filter; 상기 가압레버의 작동력을 상기 필터 청소부로 전달하기 위한 동력전달부를 포함하는 진공 청소기의 집진장치.Dust collecting device of the vacuum cleaner including a power transmiss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operating force of the pressure lever to the filter cleaning unit.
KR1020090007538A 2009-01-30 2009-01-30 Vacuum cleaner and a dusting device thereof KR10113424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7538A KR101134243B1 (en) 2009-01-30 2009-01-30 Vacuum cleaner and a dusting device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7538A KR101134243B1 (en) 2009-01-30 2009-01-30 Vacuum cleaner and a dusting device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8365A KR20100088365A (en) 2010-08-09
KR101134243B1 true KR101134243B1 (en) 2012-04-09

Family

ID=427545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7538A KR101134243B1 (en) 2009-01-30 2009-01-30 Vacuum cleaner and a dusting device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4243B1 (en)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95696B2 (en) 2018-05-01 2020-03-24 Sharkninja Operating Llc Docking station for robotic cleaner
US10952578B2 (en) 2018-07-20 2021-03-23 Sharkninja Operating Llc Robotic cleaner debris removal docking station
US11013378B2 (en) 2018-04-20 2021-05-25 Omachon Intellectual Property Inc.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11445873B2 (en) 2014-12-17 2022-09-20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Hand carryable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11445874B2 (en) 2014-12-17 2022-09-20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Hand carryable surface cleaning apparatu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6738B1 (en) * 2010-11-19 2013-09-11 엘지전자 주식회사 An Vacuum Cleaner
EP3219239B1 (en) * 2015-05-19 2020-04-22 Jiangsu Midea Cleaning Appliances Co., Ltd. Filtering assembly used for dust cleaner and dust cleaner having same
GB2540134B (en) 2015-07-01 2017-10-11 Dyson Technology Ltd A separating apparatus
GB2539933B (en) 2015-07-01 2017-10-11 Dyson Technology Ltd A separating apparatus
GB2539934B (en) * 2015-07-01 2017-10-11 Dyson Technology Ltd A separating apparatus
GB2539924B (en) * 2015-07-01 2017-10-11 Dyson Technology Ltd A separating apparatus
CN109288450B (en) * 2018-09-11 2021-03-26 安克创新科技股份有限公司 Intelligent self-moving equipment and dust box assembly thereof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04613A (en) * 2004-04-29 2005-11-03 엘지전자 주식회사 A dust collector for vacuum cleaner
KR20070098717A (en) * 2006-03-31 2007-10-05 도시바 테크 가부시키가이샤 Vacuum cleaner
JP2008132274A (en) * 2006-11-29 2008-06-12 Sanyo Electric Co Ltd Vacuum cleaner
KR20080104516A (en) * 2007-05-28 2008-12-03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Cyclone dust-separating apparatus of vacuum clean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04613A (en) * 2004-04-29 2005-11-03 엘지전자 주식회사 A dust collector for vacuum cleaner
KR20070098717A (en) * 2006-03-31 2007-10-05 도시바 테크 가부시키가이샤 Vacuum cleaner
JP2008132274A (en) * 2006-11-29 2008-06-12 Sanyo Electric Co Ltd Vacuum cleaner
KR20080104516A (en) * 2007-05-28 2008-12-03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Cyclone dust-separating apparatus of vacuum cleaner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45873B2 (en) 2014-12-17 2022-09-20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Hand carryable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11445874B2 (en) 2014-12-17 2022-09-20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Hand carryable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11759066B2 (en) 2014-12-17 2023-09-19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Hand carryable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11896185B2 (en) 2014-12-17 2024-02-13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Hand carryable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11013378B2 (en) 2018-04-20 2021-05-25 Omachon Intellectual Property Inc.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11375861B2 (en) 2018-04-20 2022-07-05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11930987B2 (en) 2018-04-20 2024-03-19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10595696B2 (en) 2018-05-01 2020-03-24 Sharkninja Operating Llc Docking station for robotic cleaner
US11234572B2 (en) 2018-05-01 2022-02-01 Sharkninja Operating Llc Docking station for robotic cleaner
US10952578B2 (en) 2018-07-20 2021-03-23 Sharkninja Operating Llc Robotic cleaner debris removal docking station
US11191403B2 (en) 2018-07-20 2021-12-07 Sharkninja Operating Llc Robotic cleaner debris removal docking station
US11497363B2 (en) 2018-07-20 2022-11-15 Sharkninja Operating Llc Robotic cleaner debris removal docking st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8365A (en) 2010-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4243B1 (en) Vacuum cleaner and a dusting device thereof
KR102452480B1 (en) Vacuum cleaner
KR101119615B1 (en) Vacuum cleaner
KR100320187B1 (en) A dust collector for using the cleaner and a upright cleaner
KR100880492B1 (en) Dust and dirt Collecting unit for vacuum Cleaner
KR101356519B1 (en) A vacuum cleaner
KR101196128B1 (en) Open/closing apparatus of dust collecting unit
KR20130005135A (en) Upright cleaner
KR101064074B1 (en) Dust collection assembly of vacuum cleaner
JP2008194177A (en) Vacuum cleaner
JP3949615B2 (en) Electric vacuum cleaner
JP5330909B2 (en) Dust collector and vacuum cleaner
KR102228892B1 (en) Vacuum cleaner
KR101208556B1 (en) Upright type vacuum cleaner
JP5812744B2 (en) Electric vacuum cleaner
JP6140580B2 (en) Dust collector
JP2015066120A (en) Vacuum cleaner
JP5086859B2 (en) Electric vacuum cleaner
JP2007117465A (en) Dust collector and vacuum cleaner having the same
WO2014030552A1 (en) Electric vacuum cleaner
KR20060118791A (en) Vacuum cleaner
JP2017213157A (en) Vacuum cleaner
KR20060118187A (en) Vaccum cleaner
JP5801131B2 (en) Electric vacuum cleaner
JP6072471B2 (en) Dust removal mechanism, dust collector, and vacuum cleaner provided with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4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