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6738B1 - An Vacuum Cleaner - Google Patents

An Vacuum Clean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6738B1
KR101306738B1 KR1020100115496A KR20100115496A KR101306738B1 KR 101306738 B1 KR101306738 B1 KR 101306738B1 KR 1020100115496 A KR1020100115496 A KR 1020100115496A KR 20100115496 A KR20100115496 A KR 20100115496A KR 101306738 B1 KR101306738 B1 KR 1013067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st
unit
filter
discharge hole
rotary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549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20054226A (en
Inventor
김현우
양병선
김응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154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6738B1/en
Publication of KR201200542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422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67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673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83Dust collecting chambers; Dust collecting receptac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06Dust removal
    • A47L9/108Dust compression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2Dry filters
    • A47L9/122Dry filters fla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08Cyclonic chamber construc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58Construction of outl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0Means for cleaning fil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lter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먼지분리부에서 토출된 공기에서 미세먼지를 필터링하는 필터부의 먼지를 필터부로부터 제거할 수 있으며, 제거된 먼지를 집진부로 안내할 수 있는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본체에 착탈가능하게 마련되는 집진장치와; 상기 집진장치에 마련되며 먼지와 공기를 분리하고 공기를 배출하는 먼지분리부와; 상기 먼지분리부와 인접하게 배치되어 먼지를 포집하는 집진부와; 상기 먼지분리부와 인접하게 배치되며, 상기 먼지분리부의 토출부에 마련되는 필터부와; 상기 필터부와 상기 먼지분리부 사이에 배치되되, 상기 필터부에 접촉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필터부에 대해서 이동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필터에 묻은 이물질을 제거하는 이물질 제거부와; 상기 먼지분리부에 마련되어, 상기 필터부에서 분리된 이물질을 상기 집진부로 안내하는 안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acuum clea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vacuum cleaner capable of removing dust from a filter part for filtering fine dust from the air discharged from the dust separation part from the filter part, and guiding the removed dust to the dust collecting part. It is about.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is object, the dust collector is detachably provided in the main body; A dust separator provided in the dust collector and separating dust and air and discharging air; A dust collector disposed adjacent to the dust separator to collect dust; A filter unit disposed adjacent to the dust separation unit and provided at a discharge unit of the dust separation unit; A foreign material removal unit disposed between the filter unit and the dust separation unit and provided to be in contact with the filter unit and movable to the filter unit to remove foreign matters from the filter; It is provided in the dust separation unit, provides a vacuum cleaner comprising a guide unit for guiding the foreign matter separated from the filter unit to the dust collector.

Description

진공청소기{An Vacuum Cleaner}Vacuum Cleaner

본 발명은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먼지분리부에서 토출된 공기에서 미세먼지를 필터링하는 필터부의 먼지를 필터부로부터 제거할 수 있으며, 제거된 먼지를 집진부로 안내할 수 있는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acuum clea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vacuum cleaner capable of removing dust from a filter part for filtering fine dust from the air discharged from the dust separation part from the filter part, and guiding the removed dust to the dust collecting part. It is about.

진공청소기는 진공압을 이용하여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는 메커니즘을 이용하여 건물의 바닥이나 가구등에 있는 먼지 기타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전기장치이다. A vacuum cleaner is an electric device that can remove dust and other foreign substances from the floor or furniture of a building by using a mechanism that sucks external air using a vacuum pressure.

이러한 진공청소기는 그 형태별로 본체와 흡입노즐이 분리되어 소정의 관으로 연결되는 캐니스터(canister) 방식과, 흡입노즐과 본체가 하나로 마련되는 업라이트(up-right)방식으로 구별된다. Such a vacuum cleaner is divided into a canister method in which a main body and a suction nozzle are separated and connected by a predetermined tube, and an up-right method in which the suction nozzle and the main body are provided as one type.

대체적으로 진공청소기의 모습을 보면 흡입노즐과, 상기 흡입노즐에서 유입된 공기와 이물질이 싸이클론 원리에 의하여 분리되는 먼지분리하고 정화된 공기를 토출시키는 먼지분리부와, 먼지분리부에서 분리된 먼지를 포집하는 집진부, 먼지분리부에서 토출된 공기를 다시 한번 필터링하는 필터부, 그리고 진공압을 형성시키는 진공모터를 포함하고 있다. In general, the vacuum cleaner is characterized by a suction nozzle, a dust separator that separates the air and foreign substances introduced from the suction nozzle by a cyclone principle, and discharges purified air, and dust separated from the dust separator. It includes a dust collecting unit for collecting the filter unit for filtering the air discharged from the dust separation unit once again, and a vacuum motor for forming a vacuum pressure.

이러한 구성 하에서 사용자가 진공청소기를 작동시키면 흡입노즐을 통과한 공기와 이물질이 먼지분리부에서 회전을 하다가 질량이 큰 이물질은 그 원심력에 의하여 집진부로 유입된다.When the user operates the vacuum cleaner under such a configuration, the air and the foreign matter passing through the suction nozzle rotate in the dust separation unit, while the mass of the foreign matter is introduced into the dust collector by the centrifugal force.

상기 먼지분리부에서 정화된 공기는 상기 먼지분리부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필터부를 거친다. 필터부에서 미세먼지가 걸러지고, 공기는 진공모터 방향으로 이동한다. The air purified by the dust separator passes through a filter unit disposed adjacent to the dust separator. Fine dust is filtered out of the filter part, and the air moves in the vacuum motor direction.

그런데, 종래의 진공청소기에서는 필터부에 있는 미세먼지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진공청소기 본체에서 필터부를 탈거시켜서 필터부를 청소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By the way, in the conventional vacuum cleaner, in order to remove the fine dust in the filter part, there was the trouble of removing the filter part from the vacuum cleaner main body and cleaning the filter part.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먼지분리부에서 토출된 공기에서 미세먼지를 필터링하는 필터부의 먼지를 필터부로부터 제거할 수 있으며, 제거된 먼지를 집진부로 안내할 수 있는 진공청소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is problem, it is possible to remove the dust from the filter unit for filtering the fine dust in the air discharged from the dust separation unit from the filter unit, to provide a vacuum cleaner that can guide the removed dust to the dust collecting unit Its purpose is to.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본체에 착탈가능하게 마련되는 집진장치와; 상기 집진장치에 마련되며 먼지와 공기를 분리하고 공기를 배출하는 먼지분리부와; 상기 먼지분리부와 인접하게 배치되어 먼지를 포집하는 집진부와; 상기 먼지분리부와 인접하게 배치되며, 상기 먼지분리부의 토출부에 마련되는 필터부와; 상기 필터부와 상기 먼지분리부 사이에 배치되되, 상기 필터부에 접촉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필터부에 대해서 이동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필터에 묻은 이물질을 제거하는 이물질 제거부와; 상기 먼지분리부에 마련되어, 상기 필터부에서 분리된 이물질을 상기 집진부로 안내하는 안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is object, the dust collector is detachably provided in the main body; A dust separator provided in the dust collector and separating dust and air and discharging air; A dust collector disposed adjacent to the dust separator to collect dust; A filter unit disposed adjacent to the dust separation unit and provided at a discharge unit of the dust separation unit; A foreign material removal unit disposed between the filter unit and the dust separation unit and provided to be in contact with the filter unit and movable to the filter unit to remove foreign matters from the filter; It is provided in the dust separation unit, provides a vacuum cleaner comprising a guide unit for guiding the foreign matter separated from the filter unit to the dust collector.

또한, 본 발명은 본체에 착탈가능하게 마련되는 집진장치와;상기 집진장치 내부에 마련되며 먼지와 공기를 분리하고, 공기를 배출시키는 먼지분리부와; 상기 먼지분리부의 토출측에 마련되는 필터부와; 상기 집진장치 내부에 마련되고 상기 먼지분리부와 인접하게 마련되는 집진부와; 상기 집진부 내에서 이동가능하게 마련되어 포집된 먼지를 모아서 먼지를 압축하는 먼지 압축부와; 상기 먼지압축부와 연결되어 상기 먼지압축부를 구동시키는 구동모터와; 상기 필터와 접촉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구동모터와 연결되어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에 의하여 상기 먼지압축부와 동시에 동작하여 상기 필터부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상기 필터부에 충격을 가하는 이물질 제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를 제공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and a dust collector detachably provided in the main body; Dust separation unit provided inside the dust collector and separates dust and air, and discharges air; A filter unit provided at the discharge side of the dust separation unit; A dust collector provided inside the dust collector and adjacent to the dust separator; A dust compression unit that is movable in the dust collecting unit and collects collected dust to compress the dust; A driving motor connected to the dust compression unit to drive the dust compression unit; It is provided to be in contact with the filter, and is connected to the drive motor to remove the foreign matter that is impacted to the filter unit to remove the foreign substances present in the filter unit by operating simultaneously with the dust compression unit by the drive of the drive motor. It provides a vacuum cleaner comprising a portion.

본 발명에 의하여 집진장치 상부에 마련되는 필터에 묻은 미세먼지 또는 이물질을 자동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automatically remove the fine dust or foreign matter on the filter provided on the dust collector.

구체적으로 보면, 먼지압축부를 구동하는 구동모터를 이용하여 이물질 제거부를 구동시킬 수 있기 때문에 미세먼지 제거가 자동적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동시에 집진부에서 먼지 압축이 가능해짐으로써 미세먼지의 제거 및 압축이 신속하에 이루어질 수 있다. Specifically, fine dust removal is automatically performed because the foreign material removing unit can be driven using a driving motor for driving the dust compression unit. At the same time, the dust can be compressed in the dust collector, so that fine dust can be removed and compressed quickly.

따라서, 필터부를 청소하기 위해서 그 필터부를 본체로부터 탈거하여 세척할 필요성이 사라지게 되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제고할 수 있다. Therefore, the necessity of removing and cleaning the filter part from the main body in order to clean the filter part disappears, thereby improving user convenience.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집진장치의 제1실시예이다.
도2(a)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먼지분리부의 평단면도이다.
도2(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집진부의 평단면도이다.
도3(a)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먼지분리부의 평단면도이다..
도3(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집진부가 변형된 상태의 평단면도이다.
도4는 본 발명에 의한 집진장치의 제1실시예의 동작을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5은 본 발명에 의한 집진장치의 제2실시예이다.
도6(a)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먼지분리부의 평단면도이다.
도6(b)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집진부의 평단면도이다.
도7는 본 발명에 의한 집진장치의 제2실시예의 동작을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8은 본 발명에 의한 집진장치에서 상기 하부커버를 개방하여 먼지 또는 이물질을 버리는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9는 본 발명에 의한 집진장치가 장착되는 캐니스터형 청소기의 사시도이다.
도10은 본 발명에 의한 집진장치가 장착되는 업라이트형 청소기의 사시도이다.
1 is a first embodiment of a dust coll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a) is a plan sectional view of the dust separation uni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b) is a plan sectional view of the dust collecting par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a) is a plan sectional view of the dust separation uni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b) is a cross-sectional plan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dust collecting par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ormed.
Fig. 4 is a side sectional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dust coll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econd embodiment of a dust coll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a) is a plan sectional view of the dust separation unit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B is a plan sectional view of the dust collecting part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side sectional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dust coll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ust cover or dust is opened by opening the lower cover in the dust coll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perspective view of a canister cleaner equipped with a dust coll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perspective view of an upright cleaner equipped with a dust collec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알아보기로 하겠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내에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내에 속함은 물론이다. However,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presented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ho understand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implement other embodiments within the scope of the same idea, but this also falls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Of course.

도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청소기는 집진장치(100)와, 상기 집진장치 내부공간의 상부에 마련되어 그 주위에 싸이클론 선회류를 발생시켜 먼지와 공기를 분리시키는 먼지 분리부(110)와, 상기 먼지분리부(110)의 하부에 마련되어 먼지를 포집하는 먼지를 포집하는 집진부(120)를 포함한다. As shown in FIG. 1, the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ust collecting unit 100 and a dust separating unit provid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inner space of the dust collecting unit to generate cyclone swirl flow around the dust separating air from dust ( 110 and a dust collecting unit 120 provided below the dust separating unit 110 to collect dust collecting dust.

그리고 집진장치의 일측, 구체적으로는 상기 먼지분리부(110)의 옆에는 공기 및 먼지가 유입되는 유입구(111)가 마련된다. In addition, an inlet 111 through which air and dust are introduced i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dust collector, specifically, the dust separation unit 110.

상기 먼지분리부(110)는 원통형태로 마련되고, 그 내부는 중공형태로 마련되고, 그 외주면에는 공기가 출입할 수 있는 공기출입공(111)이 마련된다. The dust separation unit 110 is provided in a cylindrical shape, the inside thereof is provided in a hollow shape,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is provided with an air access hole 111 through which air can enter.

상기 먼지분리부(110) 내부에는 후술할 필터부(130)에서 분리되는 미세먼지들을 상기 집진부 방향으로 안내하는 안내부(200)가 마련된다. Inside the dust separator 110 is provided with a guide 200 for guiding the fine dust separated from the filter unit 130 to be described later toward the dust collector.

상기 안내부(200)는 그 상면에 위치하는 미세먼지나 이물질을 상기 집진부(120) 방향으로 안내하도록 상기 집진부(120) 방향으로 형성되는 안내 경사면(201)과, 상기 안내 경사면(201)의 최하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안내 경사면(201)의 안내를 받은 미세먼지나 이물질이 상기 집진부(120)로 이동하도록 마련되는 배출공(202)을 포함한다. The guide part 200 includes a guide inclined surface 201 formed in the direction of the dust collecting part 120 to guide fine dust or foreign matter located on an upper surface thereof in the direction of the dust collecting part 120, and a lowermost end of the guide inclined surface 201. Is formed in, and the discharge hole 202 is provided to move the fine dust or foreign matter guided by the guide inclined surface 201 to the dust collector 120.

따라서, 상기 배출공(202)은 상기 먼지분리부(110) 내부와 상기 집진부(120)를 연통시키는 역할을 한다. Therefore, the discharge hole 202 serves to communicate the dust separator 110 and the dust collector 120.

여기서, 상기 공기출입공(111)은 상기 먼지분리부(110)의 외주면을 따라 배치되되, 그 배치 높이는 상기 안내경사부(201)의 높이보다 높게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Here, the air access hole 111 is dispos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ust separation unit 110, the placement height is preferably located higher than the height of the guide inclined portion 201.

왜냐하면, 상기 안내경사부(201)보다 낮은 높이에 공기출입공(111)이 형성되면, 그 공기출입공(111)을 통과한 공기가 상기 안내경사부(201)에 막혀서 상승운동을 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Because, when the air entry hole 111 is formed at a lower level than the guide inclined portion 201, the air passing through the air entry hole 111 is blocked by the guide inclined portion 201, it is difficult to move up Because.

상기 먼지분리부(110)는 그 상면 테두리(112)가 외측으로 돌출되게 마련되어, 상기 집진장치(100)의 내측면에 접하도록 마련된다. The dust separation unit 110 is provided so that the upper edge 112 protrudes outward, and contact the inner surface of the dust collector 100.

즉, 상기 먼지분리부(110)의 상면 테두리(112)의 폭이 그 아래쪽보다 크게 형성되므로, 상기 집진장치(100) 내벽과 상기 먼지분리부(110)의 상면 테두리(112)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 사이에 빈 공간이 형성된다. That is, since the width of the upper edge 112 of the dust separation unit 110 is formed larger than the bottom thereof, the remaining portion except for the inner wall of the dust collector 100 and the upper edge 112 of the dust separation unit 110. An empty space is formed between them.

그 빈 공간에서 상기 먼지와 공기가 선회류를 형성하고, 원심력에 의하여 먼지가 집진장치(110) 내벽면을 따라서 움직이다가 상기 집진장치(110) 하부에 있는 집진부(120)에 포집되는 것이다. In the empty space, the dust and air form a swirl flow, and the dust moves along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dust collector 110 by centrifugal force and is collected by the dust collector 120 under the dust collector 110.

상기 먼지분리부(110)의 상면에는 상기 공기출입공(111)을 통과한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부(113)가 마련되고, 상기 토출부(113)의 상부에는 상기 공기출입공(111)을 통과한 공기에서 미세먼지를 필터링하는 필터부(130)가 마련된다. The upper surface of the dust separation unit 110 is provided with a discharge portion 113 for discharging the air passing through the air access hole 111, the upper portion of the discharge portion 113 is provided with the air access hole 111 A filter unit 130 for filtering fine dust from the air passing through is provided.

상기 먼지분리부(110)에서 상대적으로 큰 중량을 갖는 먼지나 이물질을 하나, 중량이 작거나 그 지름이 작은 미세먼지는 공기를 따라서 상기 공기출입공(111)을 통과하기 때문에 이를 필터링할 필요가 있다. Since the dust separation unit 110 has a relatively large weight of dust or foreign matter, the fine dust having a small weight or a small diameter passes through the air access hole 111 along air, and thus it is necessary to filter it. have.

따라서, 공기가 상기 필터부(130)를 통과하면, 상기 필터부(130) 하부에는 미세먼지가 누적되고, 청소 횟수가 늘어나면 상기 필터부(130)의 하면에 묻는 미세먼지의 양도 증가한다. Therefore, when air passes through the filter unit 130, fine dust accumulates under the filter unit 130, and when the number of cleaning increases, the amount of fine dust buri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filter unit 130 also increases.

이러한 미세먼지를 제거하기 위해서 상기 필터부(130)와 상기 먼지분리부(110)의 토출부(113) 사이에 필터부(113)에 묻은 미세먼지 또는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이물질 제거부(300)가 마련된다. In order to remove such fine dust, between the filter unit 130 and the discharge unit 113 of the dust separation unit 110, the foreign matter removing unit 300 for removing fine dust or foreign matter from the filter unit 113. Is prepared.

상기 이물질 제거부(300)는 상기 필터부(130)와 접촉하도록 마련되고, 이동가능하게 마련됨으로써, 그 접촉부분이 상기 필터부(130) 하면에 있는 미세먼지를 긁거나 충격을 주도록 한다. The foreign material removing unit 300 is provided to contact the filter unit 130, and is provided to be movable, so that the contact portion scratches or impacts the fine dust on the lower surface of the filter unit 130.

따라서, 상기 필터부(130) 하면에 있는 미세먼지가 상기 필터부(130)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한다. Therefore, the fine dust on the lower surface of the filter unit 130 can be separated from the filter unit 130.

상기 이물질 제거부(300)의 구체적인 구성을 보면, 특정한 중심점을 기준으로 회전운동을 하도록 마련되며, 그 중심점으로부터 외측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301)와, 상기 연장부(301)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필터부(130)와 접촉하여 미세먼지를 분리시키는 접촉부(302)를 포함한다. Looking at the specific configuration of the foreign material removing unit 300, it is provided to rotate based on a specific center point, the extension portion 301 extending outwardly from the center point, and upwar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extension portion 301 It extends to the contact portion 302 to contact the filter unit 130 to separate the fine dust.

상기 접촉부(302)는 브러쉬 형태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재질은 금속이나 수지 처럼 어느 정도의 경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contact portion 302 is preferably provided in the form of a brush, the material is preferably a certain degree of hardness, such as metal or resin.

상기 먼지 분리부(110)의 하부 공간에 마련되는 상기 집진부(120)에는 상기 집진부(120)에 포집된 먼지를 특정한 방향으로 모아서 압축시키는 먼지 압축부(400) 및 상기 먼지 압축부(400)에 의하여 이동한 먼지가 모이는 장소를 형성하는 고정판(410)이 배치된다. In the dust collecting unit 120 provided in the lower space of the dust separating unit 110 to the dust compression unit 400 and the dust compression unit 400 to collect and compress the dust collected in the dust collecting unit 120 in a specific direction The fixing plate 410 is formed to form a place where the moved dust is collected.

상기 먼지압축부(400)의 구성을 보면, 상기 집진부(120) 내부에서 회동하도록 마련되는 압축판(401)을 포함하고 있다. Looking at the configuration of the dust compression unit 400, it includes a compression plate 401 is provided to rotate in the dust collector 120.

상기 압축판(401)은 상기 고정판(410) 방향으로 움직여 상기 집진부(120)에 포집된 먼지가 상기 고정판(410) 주위에 모이게 한다. The compression plate 401 moves in the direction of the fixing plate 410 to collect dust collected in the dust collecting part 120 around the fixing plate 410.

그리고 상기 고정판(410) 주위에 모인 먼지는 상기 압축판(401)와 상기 고정판(410) 사이에서 압착되어 덩어리 형태가 된다. The dust collected around the fixing plate 410 is compressed between the compression plate 401 and the fixing plate 410 to form a lump.

상기 압축판(401)의 일측에는 상기 집진장치(100) 내측벽면과 접촉하는 접촉부재(402)가 마련되는데, 상기 접촉부재(402)는 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로 구성되어, 상기 압축판(401)이 회동운동을 하는 경우, 상기 집진장치(100) 내벽면에 묻은 먼지를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One side of the compression plate 401 is provided with a contact member 402 in contact with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dust collector 100, the contact member 402 is made of a rubber or silicon material, the compression plate 401 When the rotational movement, the dust collector 100 serves to remove the dust on the inner wall surface.

한편, 상기 먼지 압축부(400)의 압축판(401)과, 상기 이물질 제거부(300)의 상기 연장부(301)는 회전축(450)에 의하여 연결되어, 동시에 회전동작을 할 수 있게 된다.  On the other hand, the compression plate 401 of the dust compression unit 400 and the extension portion 301 of the foreign material removing unit 300 is connected by a rotation shaft 450, it is possible to perform a rotation operation at the same time.

이를 위해 상기 회전축(450)은 상기 먼지 분리부(110)에 마련되는 안내경사면(201)을 관통하여 상기 집진장치(110) 내부에 상하로 배치된다. To this end, the rotary shaft 450 penetrates the guide inclined surface 201 provided in the dust separation unit 110 and is disposed up and down inside the dust collector 110.

상기 연장부(301)는 상기 회전축(450)의 상단부에 결합되어 배치되고, 상기 압축판(401)에는 결합관(403)이 마련되어, 상기 회전축(450)의 외주면을 둘러싸며, 상기 회전축(450)과 결합된다. The extension part 301 is disposed to be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rotary shaft 450, the compression plate 401 is provided with a coupling pipe 403, surrounds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rotary shaft 450, the rotary shaft 450 ) Is combined.

따라서, 상기 회전축(450)이 회전을 하면, 상기 압축판(401)과 상기 연장부(301)가 회전을 할 수 있는 것이다. Therefore, when the rotary shaft 450 is rotated, the compression plate 401 and the extension portion 301 can be rotated.

상기 회전축(450)은 상기 집진장치(100)에 하부에 마련되는 하부커버(500)까지 연장되어 있다. The rotation shaft 450 extends to the lower cover 500 provided below the dust collector 100.

그리고, 상기 회전커버(500)의 하면에는 상기 회전축(450)과 연결되는 구동모터(520)가 마련된다. In addition, a driving motor 520 connected to the rotating shaft 450 is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rotating cover 500.

상기 구동모터(520)의 동작에 의하여 상기 회전축(450)이 회전을 하고 , 그 회전에 의하여 상기 압축판(401)과 상기 이물질 제거부(300)가 회전동작을 하여, 각각 먼지를 포집하고, 상기 필터부(130)의 미세먼지를 제거할 수 있다. The rotation shaft 450 rotates by the operation of the drive motor 520, and the compression plate 401 and the foreign matter removing unit 300 rotates by the rotation to collect dust, respectively. Fine dust of the filter unit 130 may be removed.

상기 하부커버(500)는 상기 집진장치(100)의 하면을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마련되어, 상기 집진부(120) 내부에 포집된 먼지를 간편히 버릴 수 있도록 한다. The lower cover 500 is provided to selectively open and close the lower surface of the dust collecting device 100, so that the dust collected in the dust collecting unit 120 can be easily discarded.

이를 위해서 상기 하부커버(500)의 일측에는 상기 집진장치(100)에 상기 하부커버(500)를 회동가능하게 지지시키는 회동지지부(501)가 마련되고, 상기 하부커버(500)의 타측에는 상기 집진장치(100)와 상기 하부커버(500)를 착탈가능하게 연결시키는 연결부(502)가 마련된다. To this end, a rotation support part 501 i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lower cover 500 to rotatably support the lower cover 500 at the dust collecting device 100, and at the other side of the lower cover 500. A connecting portion 502 is provided to detachably connect the device 100 and the lower cover 500.

도2(a)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먼지분리부(110)의 내부에 마련되는 중공부의 바닥면에는 상기 안내경사면(201)과, 상기 배출공(202)이 마련된다. As shown in Figure 2 (a), the guide inclined surface 201 and the discharge hole 202 is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hollow portion provided in the dust separation unit 110.

상기 안내경사면(201)은 상기 배출공(202)을 향하여 하향경사지게 마련된다.The guide inclined surface 201 is provided to be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discharge hole (202).

한편, 상기 먼지분리부(110)의 평단면 중심에는 상기 회전축(450)이 통과하여 상기 이물질 제거부(300)와 연결된다. On the other hand, the rotating shaft 450 passes through the center of the flat section of the dust separation unit 110 is connected to the foreign material removing unit 300.

상기 이물질 제거부(300)에 의하여 상기 필터부(130)로부터 분리된 미세먼지는 상기 안내경사면(201)으로 떨어져, 상기 안내경사면(201)을 타고 상기 배출공(202)으로 이동하여, 상기 집진부(120)로 떨어진다. The fine dust separated from the filter unit 130 by the foreign matter removing unit 300 is separated by the guide inclined surface 201, the guide inclined surface 201 is moved to the discharge hole 202, the dust collecting unit Falls to 120.

상기 배출공(120)은 상기 먼지분리부(110) 내부에서 일측으로 치우쳐지게 형성된다.The discharge hole 120 is formed to be biased to one side in the dust separation unit 110.

도2(b)는 상기 집진부(120)에서 먼지가 압축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Figure 2 (b) shows a state in which dust is compressed in the dust collector 120.

상기 압축판(401)은 상기 회전축(450)을 둘러싸는 상기 결합관(403)을 중심으로 시계방향과 시계반대방향으로 교번적으로 회전하며, 상기 집진부(120)에 쌓인 먼지를 상기 고정판(410) 방향으로 모으고 압축한다. The compression plate 401 alternately rotates clockwise and counterclockwise about the coupling pipe 403 surrounding the rotary shaft 450, and fixes the dust accumulated on the dust collecting part 120 to the fixed plate 410. Direction) and compress.

한편, 상기 도2(a)에 도시된 상기 배출공(202)은 상기 고정판(410) 상부에 배치되기 때문에, 상기 배출공(202)에서 배출된 먼지는 상기 고정판(410) 주위로 떨어져, 상기 압축판(401)과, 상기 고정판(410) 간의 압축작용에 의하여 집진부(401)의 먼지와 함께 압축된다. On the other hand, since the discharge hole 202 shown in Figure 2 (a) is disposed above the fixing plate 410, the dust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hole 202 falls around the fixing plate 410, the Compression is performed together with the dust of the dust collecting part 401 by a compression action between the compression plate 401 and the fixed plate 410.

도3은 도2와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는데, 도3(a)에서 나타난 구성은 도2(a)에서 나타난 구성과 동일하기 때문에 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겠다.FIG. 3 shows an embodiment different from that of FIG. 2, and the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since the configuration shown in FIG. 3 (a) is the same as that shown in FIG.

다만, 도3(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집진부(120) 내부에 마련되는 고정판(410)은 도2(b) 처럼 일직선 형태로 배치되는 것이 아니라, 소정의 공간을 둘러싸는 형태로 배치된다.However, as shown in FIG. 3 (b), the fixing plate 410 provided inside the dust collecting part 120 is not arranged in a straight line like FIG. 2 (b), but arranged in a shape surrounding a predetermined space. do.

여기서, 상기 고정판에 의하여 둘러싸이는 부분(S)은 상기 배출공(202)의 형상이 아래로 투사되는 상기 집진부(120)의 하면 부분이다. Here, the portion S surrounded by the fixing plate is a lower surface portion of the dust collecting part 120 in which the shape of the discharge hole 202 is projected downward.

이와 같은 구성에서, 상기 배출공(202)에서 배출되는 미세먼지는 상기 고정판(202)에 둘러싸인 공간에 포집된다. In this configuration, the fine dust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hole 202 is collected in the space surrounded by the fixing plate 202.

그리고, 상기 압축판(401)에 의하여 이동하는 먼지는 고정판(401)의 외면에 모여서 상기 고정판(410)과 상기 압축판(401) 간의 압축작용에 의하여 덩어리 형태가 된다. In addition, the dust moving by the compression plate 401 is collect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ixed plate 401 and becomes a lump form by the compression action between the fixed plate 410 and the compression plate 401.

여기서도, 상기 압축판(401)은 시계방향 운동과 반시계방향 운동을 반복적으로 수행하여, 상기 고정판(410)의 외측에 먼지가 모여 압축되게 한다. Here, the compression plate 401 repeatedly performs a clockwise movement and a counterclockwise movement, so that dust gathers on the outside of the fixed plate 410 to be compressed.

도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도1 내지 도3에서 설명된 실시예에서의 먼지 분리 및 포집동작을 보면 다음과 같다. As shown in FIG. 4, the dust separation and collection operations in the embodiment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3 are as follows.

진공압에 의하여 먼지와 공기가 상기 흡입구로 통과한 후에, 상기 집진장치 (100)내부로 유입된다. After dust and air pass through the suction port by the vacuum pressure, the dust is introduced into the dust collector 100.

먼지와 공기는 상기 집진장치(100) 내부에서 상기 먼지분리부(110)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선회류를 형성하는데, 무게가 있는 먼지는 상기 집진장치(100) 내벽을 따라 움직이면서, 상기 집진부에 모인다(화살표 D). Dust and air form a swirl flow that rotates about the dust separator 110 within the dust collector 100, and heavy dust moves along the inner wall of the dust collector 100, and collects in the dust collector. (Arrow D).

그리고, 먼지와 분리된 공기는 상기 먼지분리부(110)의 상기 공기출입공(111)을 통과하여, 상기 필터부를 통과한다(화살표 A). 상기 필터부는 상기 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를 필터링하고, 이에 따라서 상기 필터부(130)에는 미세먼지 또는 이물질이 존재한다. Then, the air separated from the dust passes through the air access hole 111 of the dust separation unit 110, passes through the filter unit (arrow A). The filter unit filters the fine dust included in the air, and thus, the fine dust or foreign matter is present in the filter unit 130.

이와 같이, 상기 먼지와 공기를 분리한 이후에, 상기 구동모터(520)가 상기 회전축(450)을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으로 교번적으로 회전을 시키면, 상기 먼지압축부의 압축판(401)과, 상기 이물질 제거부(300)가 각각 회전동작을 한다. As such, after separating the dust and air, if the drive motor 520 alternately rotates the rotary shaft 450 clockwise and counterclockwise, the compression plate 401 of the dust compression unit and The foreign material removing unit 300 rotates.

즉, 상기 압축판(401)이 상기 고정판(410)으로 이동하여, 상기 고정판(410)과 상기 압축판(401) 사이에 먼지를 모으게 한 뒤, 압축하여 덩어리를 만든다. That is, the compression plate 401 moves to the fixed plate 410, collects dust between the fixed plate 410 and the compression plate 401, and compresses to form a lump.

한편, 상기 이물질 제거부(300)의 연장부(301)가 상기 회전축(450)을 중심으로 시계방향과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운동을 하고, 그에 따라서, 상기 연장부(301)의 상면에 마련되는 접촉부(302)가 지속적으로 상기 필터부(130)에 외력을 가하여, 상기 필터부(130)에 마련되는 미세먼지를 상기 필터부(130)로부터 분리시킨다(화살표 MD). On the other hand, the extension part 301 of the foreign material removing unit 300 is rotated in a clockwise and counterclockwise direction about the rotation axis 450, accordingly,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extension part 301 The contact unit 302 continuously applies an external force to the filter unit 130 to separate the fine dust provided in the filter unit 130 from the filter unit 130 (arrow MD).

상기 필터부(130)로부터 분리된 미세먼지 또는 이물질은 상기 안내경사면(201) 위로 떨어지고, 상기 안내경사면(201)의 안내에 의하여 상기 배출공(202)으로 이동한다.The fine dust or foreign matter separated from the filter unit 130 falls on the guide inclined surface 201 and moves to the discharge hole 202 by the guide of the guide inclined surface 201.

상기 배출공(202)으로 이동한 미세먼지 또는 이물질은 상기 집진부(120)로 떨어지고, 특히, 상기 고정판(410) 주위 또는 고정판(410)에 둘러싸인 공간으로 낙하하여 포집된다. The fine dust or foreign matter moved to the discharge hole 202 falls to the dust collecting part 120 and, in particular, falls to the space surrounding the fixing plate 410 or surrounded by the fixing plate 410 and is collected.

도5는 도1과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5 shows an embodiment different from that of FIG.

여기서, 도1과 다른 점은 상기 먼지분리부(110)의 내부에 마련되는 상기 안내부(210)를 구성하는 경사안내면(211) 및 배출공(212)의 형태이다. Here, the difference from FIG. 1 is the shape of the inclined guide surface 211 and the discharge hole 212 constituting the guide portion 210 provided in the dust separation unit 110.

상기 경사안내면(211)은 상기 먼지분리부(110)의 면에 하향 경사지게 배치되고, 상기 배출공(212)은 상기 먼지분리부(110)의 중앙에 배치된다.The inclined guide surface 211 is disposed to be inclined downward on the surface of the dust separation unit 110, the discharge hole 212 is disposed in the center of the dust separation unit 110.

따라서, 상기 경사안내면(211)은 상기 배출공(212)이 형성되는 상기 먼지분리부(110)의 중심방향을 향한다. Accordingly, the inclined guide surface 211 faces the center direction of the dust separation unit 110 in which the discharge hole 212 is formed.

상기 회전축(450)은 상기 배출공(212)을 통과하여 상기 이물질 제거부(300)의 연장부(301)와 결합된다. The rotating shaft 450 is coupled to the extension part 301 of the foreign material removing part 300 through the discharge hole 212.

상기 회전축(450)이 상기 배출공(212)을 통과하기 때문에, 상기 회전축(450)과 결합되는 상기 압축판(401)에 마련되는 결합관(403)은 상기 배출공(212)의 하부에 마련된다. Since the rotary shaft 450 passes through the discharge hole 212, the coupling pipe 403 provided on the compression plate 401 coupled to the rotary shaft 450 is provided below the discharge hole 212. do.

상기 결합관(403)의 내부는 중공관 형태로 마련되고, 상기 결합관(403) 내벽의 일부만 돌출되어 상기 회전축(450)과 결합되어 상기 회전축(450)의 회전운동이 상기 결합관(403)을 통하여 상기 압축판으로 전달된다. The inside of the coupling pipe 403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hollow tube, only a portion of the inner wall of the coupling pipe 403 is coupled to the rotary shaft 450 so that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rotary shaft 450 is the coupling pipe 403 It is transmitted to the compression plate through.

상기 결합관(403)의 내부는 상기 배출공(212)과 연통되어, 상기 배출공(212)에서 배출되는 미세먼지 또는 이물질은 상기 결합관(403)의 안내를 받아서 하강운동을 한다. The inside of the coupling pipe 403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discharge hole 212, the fine dust or foreign matter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hole 212 is guided by the coupling pipe 403 to move down.

상기 결합관(403)의 하단부는 상기 집진부(120)의 하면과 소정간격 이격되게 마련됨으로써, 상기 결합관(403)의 안내를 받아 하부로 이동하는 먼지 또는 이물질이 그 이격공간으로 배출된다.The lower end of the coupling pipe 403 is provid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dust collecting part 12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the dust or foreign matter moving to the lower side under the guidance of the coupling pipe 403 is discharged to the space.

그리하여 상기 필터부(130)에서 제거된 미세먼지 또는 이물질이 상기 집진부(120)에 쌓일 수 있고, 이들은 상기 먼지 압축부(400)에 의하여 상기 고정판(410) 주위로 이동하고 압축된다. Thus, fine dust or foreign matter removed from the filter unit 130 may accumulate in the dust collecting unit 120, which are moved around the fixing plate 410 by the dust compressing unit 400 and compressed.

도5에서도, 상기 필터부(130)와 상기 먼지분리부(110)의 상부에 마련된 토출부(113) 사이에 이물질 제거부(300)가 마련되고, 상기 이물질 제거부(300)는 상기 회전축(450)에 결합되는 연장부(301)와, 필터부(130)와 접촉하는 접촉부(302)를 포함한다.5, the foreign matter removing unit 300 is provided between the filter unit 130 and the discharge unit 113 provided on the dust separation unit 110, the foreign matter removing unit 300 is the rotary shaft ( An extension part 301 coupled to 450 and a contact part 302 contacting the filter part 130 are included.

상기 구동모터(520)가 동작함에 따라서, 상기 회전축(450)이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으로 교번적으로 회전하고, 그에 따라서 상기 먼지압축부(400)의 압축판(401)과 상기 이물질 제거부(300)도 동시에 회전한다. As the driving motor 520 operates, the rotation shaft 450 alternately rotates clockwise and counterclockwise, and thus the compression plate 401 and the foreign material removing unit of the dust compression unit 400 are rotated. 300 also rotates at the same time.

도6(a)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이물질 제거부(300)의 동작에 의하여 상기 필터부(130)에서 미세먼지 또는 이물질이 분리되어 상기 먼지분리부(120) 내부의 안내경사면(211)에 떨어진다. As shown in FIG. 6 (a), fine dust or foreign matter is separated from the filter unit 130 by the operation of the foreign substance removing unit 300 to guide the inclined surface 211 inside the dust separation unit 120. Falls on.

상기 안내경사면(211)에 떨어진 미세먼지 또는 이물질은 상기 배출공(212)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배출공(212)에서 토출된 후, 상기 결합관(403)의 내부 공간을 따라서 하강운동을 하고, 상기 집진부(120)로 포집된다. Fine dust or foreign matter dropped to the guide inclined surface 211 is moved in the direction of the discharge hole 212, and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hole 212, the downward movement along the inner space of the coupling pipe 403 The dust collector 120 is collected.

그리고, 상기 압축판(401)의 시계방향 회전과 반시계방향 회전에 의하여 집진부로 포집된 먼지나 이물질들은 상기 고정판(410) 근처로 이동하여 압축된다. In addition, the dust or foreign matter collected by the dust collecting part by the clockwise rotation and the counterclockwise rotation of the compression plate 401 moves near the fixed plate 410 and is compressed.

도6(b)에서 상기 결합관(403)의 내측부에 내측방향으로 돌출된 것은 상기 결합관(403)과 상기 회전축(450)을 연결하는 돌기부이다. In FIG. 6 (b), an inner portion of the coupling pipe 403 protrudes inwardly is a protrusion connecting the coupling pipe 403 and the rotation shaft 450.

도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도6 내지 도7에서 설명된 실시예에서의 먼지 분리 및 포집동작을 보면 다음과 같다. As shown in FIG. 7, the dust separation and collection operation in the embodiment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6 to 7 is as follows.

진공압에 의하여 먼지와 공기가 상기 흡입구로 통과한 후에, 상기 집진장치 (100)내부로 유입된다. After dust and air pass through the suction port by the vacuum pressure, the dust is introduced into the dust collector 100.

먼지와 공기는 상기 집진장치 (100)내부에서 상기 먼지분리부(110)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선회류를 형성하는데, 무게가 있는 먼지는 상기 집진장치(100) 내벽을 따라 움직이면서, 상기 집진부(120)에 모인다. Dust and air form a swirl flow that rotates about the dust separator 110 in the dust collector 100, and the dust having weight moves along the inner wall of the dust collector 100, and the dust collector 120 Gathers).

그리고, 먼지와 분리된 공기는 상기 먼지분리부(110)의 상기 공기출입공(111)을 통과하여, 상기 필터부(130)를 통과한다. In addition, the air separated from the dust passes through the air access hole 111 of the dust separation unit 110 and passes through the filter unit 130.

상기 필터부(130)는 상기 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를 필터링하고, 이에 따라서 상기 필터부(130)에는 미세먼지 또는 이물질이 존재한다. The filter unit 130 filters the fine dust contained in the air, and thus, the fine dust or foreign matter is present in the filter unit 130.

이와 같이, 상기 먼지와 공기를 분리한 이후에, 상기 구동모터(520)가 상기 회전축을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으로 교번적으로 회전을 시키면, 상기 먼지압축부(400)의 압축판(401)과, 상기 이물질 제거부(300)가 각각 회전동작을 한다. As such, after separating the dust and air, if the drive motor 520 alternately rotates the rotating shaft clockwise and counterclockwise, the compression plate 401 of the dust compression unit 400 And, the foreign material removing unit 300 is rotated respectively.

즉, 상기 압축판(401)이 상기 고정판(410)으로 이동하여, 상기 고정판(410)과 상기 압축판(401) 사이에 먼지를 모으게 한 뒤, 압축하여 덩어리를 만든다. That is, the compression plate 401 moves to the fixed plate 410, collects dust between the fixed plate 410 and the compression plate 401, and compresses to form a lump.

한편, 상기 이물질 제거부(300)의 연장부가 상기 회전축(450)을 중심으로 시계방향과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운동을 하고, 그에 따라서, 상기 연장부(301)의 상면에 마련되는 접촉부(302)가 지속적으로 상기 필터부(130)에 외력을 가함으로써, 상기 필터부(130)에 마련되는 미세먼지를 상기 필터부(130)로부터 분리시킨다. On the other hand, the extension of the foreign material removing unit 300 rotates in a clockwise and counterclockwise direction about the rotation axis 450, accordingly, the contact portion 302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extension 301 By continuously applying an external force to the filter unit 130, to separate the fine dust provided in the filter unit 130 from the filter unit 130.

상기 필터부(130)로부터 분리된 미세먼지 또는 이물질은 상기 안내경사면(211) 위로 떨어지고, 상기 안내경사면(211)의 안내에 의하여 상기 배출공(212)으로 이동한다.The fine dust or foreign matter separated from the filter unit 130 falls on the guide slope 211 and moves to the discharge hole 212 by the guide slope 211.

상기 배출공(212)으로 이동한 미세먼지 또는 이물질은 상기 결합관(403) 내부로 떨어지고, 상기 결합관(403)을 타고 하강한 이후에, 상기 집진부(120) 바닥면에 떨어진 후, 상기 먼지 압축부(400)에 의하여 압축된다. The fine dust or foreign matter moved to the discharge hole 212 falls into the coupling pipe 403, and after descending the coupling pipe 403, after falling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dust collector 120, the dust It is compressed by the compression unit 400.

도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집진장치(100)의 집진부(120)에 포집된 먼지 또는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상기 하부커버(500)를 아래로 개방시키면, 상기 집진부(120)에 포집되어 있던 먼지 또는 이물질이 아래로 쏟아진다. As shown in FIG. 8, when the lower cover 500 is opened downward to remove dust or foreign matter collected in the dust collecting part 120 of the dust collecting device 100, the dust collecting part 120 has been collected. Dust or foreign matter spills down.

이후, 먼지 또는 이물질이 모두 제거된 경우, 사용자는 상기 하부커버(500)를 위로 올려서 상기 집진장치(100)의 내부를 폐쇄하면 된다. Then, when all the dust or foreign matter is removed, the user is to raise the lower cover 500 to close the inside of the dust collector 100.

도9는 캐니스터형 청소기에 본 발명에 의한 집진장치가 배치된 것을 도시한 것이다. 9 shows that the dust coll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in a canister cleaner.

본 발명에 의한 캐니스터형 진공청소기는, 본체(700)와, 본체(700)에 장착가능하게 마련되는 집진장치(100)와, 피청소면의 먼지 또는 이물질을 흡입하는 흡입노즐(7010)과, 상기 흡입노즐(701) 및 상기 본체(700)를 연결하는 연결관(702)을 포함한다.The canister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700, a dust collecting device 100 provided to be mountable on the main body 700, a suction nozzle 7010 for sucking dust or foreign matter on the surface to be cleaned, and And a connection pipe 702 connecting the suction nozzle 701 and the main body 700.

그리고, 도10은 업라이트형 청소기에 본 발명에 의한 집진장치가 배치된 것을 도시한 것이다. 10 shows that the dust coll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in an upright cleaner.

본 발명에 의한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는 상기 집진장치(100)가 수용되는 수용홈(802)을 구비한 본체(800)와, 상기 수용홈(802)에 선택적으로 장착되는 상기 집진장치(100), 그리고, 상기 본체(800)의 하부에 마련되는 흡입노즐(801)을 포함한다. The upright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800 having a receiving groove 802 in which the dust collecting device 100 is accommodated, the dust collecting device 100 selectively mounted in the receiving groove 802, In addition, the suction nozzle 801 provided below the main body 800 is included.

100: 집진장치 110: 먼지분리부
120: 먼지분리부 130: 필터부
200;210: 안내부 201,211: 안내경사면
202,212: 배출공 300: 이물질 제거부
301: 연장부 302: 접촉부
400: 먼지압축부 401: 압축판
402: 접촉부재 403:결합관
410: 고정판 450: 회전축
500: 하부커버 520: 하부커버
100: dust collector 110: dust separation unit
120: dust separation unit 130: filter unit
200; 210: guide portion 201, 211: guide slope
202, 212: discharge hole 300: foreign material removal unit
301: extension portion 302: contact portion
400: dust compression unit 401: compression plate
402: contact member 403: coupling tube
410: fixed plate 450: rotation axis
500: lower cover 520: lower cover

Claims (17)

본체에 착탈가능하게 마련되는 집진장치와;
상기 집진장치에 마련되며 먼지와 공기를 분리하고 공기를 배출하는 먼지분리부와; 상기 먼지분리부와 인접하게 배치되어 먼지를 포집하는 집진부와;
상기 먼지분리부와 인접하게 배치되며, 상기 먼지분리부의 토출부에 마련되는 필터부와;
상기 필터부와 상기 먼지분리부 사이에 배치되되, 상기 필터부에 접촉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필터부에 대해서 이동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필터에 묻은 이물질을 제거하는 이물질 제거부와;
상기 집진부에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집진부에 포집된 먼지를 모아서 압축하는 먼지압축부;
상기 먼지압축부와 상기 이물질 제거부에 동시에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
A dust collecting device detachably provided at the main body;
A dust separator provided in the dust collector and separating dust and air and discharging air; A dust collector disposed adjacent to the dust separator to collect dust;
A filter unit disposed adjacent to the dust separation unit and provided at a discharge unit of the dust separation unit;
A foreign material removal unit disposed between the filter unit and the dust separation unit and provided to be in contact with the filter unit and movable to the filter unit to remove foreign matters from the filter;
A dust compression unit rotatably provided to the dust collecting unit to collect and compress dust collected in the dust collecting unit;
And a driving motor which simultaneously provides power to the dust compression unit and the foreign matter removing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먼지분리부는 그 내부가 중공상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먼지분리부에 마련되어, 상기 필터부에서 분리된 이물질을 상기 집진부로 안내하는 안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안내부는 그 상면에 위치하는 이물질을 상기 집진부 방향으로 안내하도록 상기 집진부 방향으로 형성되는 안내 경사면과;
상기 안내 경사면의 최하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안내 경사면의 안내를 받은 이물질이 상기 집진부로 이동하도록 마련되는 배출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dust separator is made of a hollow state inside,
It is provided in the dust separation unit, further comprising a guide for guiding the foreign matter separated from the filter unit to the dust collecting unit,
The guide portion includes a guide inclined surface formed in the direction of the dust collector to guide the foreign matter located on the upper surface in the direction of the dust collector;
And a discharge hole formed at a lowermost end of the guide inclined surface and provided with a foreign material guided by the guide inclined surface to move to the dust collecting uni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모터는 상기 집진장치 하면에 마련되며,
상기 집진부에 고정되어, 상기 먼지압축부에 의하여 이동한 먼지를 상기 먼지압축부와 압축하는 고정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The method of claim 2,
The drive motor is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dust collector,
And a fixing plate fixed to the dust collecting part to compress the dust moved by the dust compressing part with the dust compressing part.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공은 상기 먼지분리부의 단면 중심에서 일측으로 치우쳐지게 배치되고, 상기 안내 경사면은 상기 배출공에 대해서 하향 경사지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The method of claim 3,
The discharge hole is disposed to be biased toward one side from the center of the cross-section of the dust separator, the guide inclined surface is disposed inclined downward with respect to the discharge hole vacuum cleaner.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공으로부터 배출되는 이물질이 상기 고정판 주위에 위치하도록, 상기 배출공은 상기 고정판 상부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5. The method of claim 4,
The vacuum clea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discharge hole is provided on the fixing plate so that the foreign matter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hole is located around the fixing plat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은 상기 집진부 하면 중 상기 배출공에 대향되는 면을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그 내부공간에 상기 배출공에서 배출된 이물질이 포집되도록 하고, 그 외부에 상기 먼지 압축부에 의하여 모이는 먼지가 압축되어 포집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5. The method of claim 4,
The fixing plate is disposed to surround a surfac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dust collecting part opposite to the discharge hole so that foreign matter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hole is collected in the inner space, and dust collected by the dust compressing unit is compressed to the outside. Vacuum cleaner, characterized in that to be collected.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공은 상기 먼지분리부의 단면 중심에 배치되고,
상기 안내 경사면은 상기 먼지분리부의 내벽에서 그 중심방향으로 하향경사지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The method of claim 3,
The discharge hole is disposed in the center of the cross section of the dust separation unit,
The guide inclined surface is vacuum cleaner, characterized in that arranged inclined downward in the center direction from the inner wall of the dust separator.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모터와 연결되고 상기 먼지분리부를 관통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먼지압축부와 상기 이물질 제거부와 연결되어 상기 먼지압축부와 상기 이물질 제거부에 회전 동력을 전달하는 회전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The method of claim 3,
It is connected to the drive motor and provided to penetrate through the dust separation uni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rotary shaft connected to the dust compression unit and the foreign matter removing unit for transmitting rotational power to the dust compression unit and the foreign material removing unit. Vacuum cleaner.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 제거부는 상기 회전축 상단부 고정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회전축의 회전반경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서 상기 먼지 분리부와 상기 필터부 사이를 회전운동하는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의 상면으로부터 상기 필터부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필터부와 접촉하여, 상기 연장부의 회전에 따라서 상기 필터부의 표면을 따라 이동하는 접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9. The method of claim 8,
The debris removal unit is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rotary shaft to be fixed, extending in the direction of the rotation radius of the rotary shaft, the extension portion for rotating the rotation between the dust separation unit and the filter unit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rotary shaft,
And a contact portion extending from an upper surface of the extension portion toward the filter portion and in contact with the filter portion and moving along the surface of the filter portion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extension portion.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먼지 압축부는 상기 회전축을 둘러싸며 상기 회전축에 고정결합되는 결합관과,
상기 결합관으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회전운동을 하며, 상기 집진부의 먼지를 모아서 압축하는 압축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9. The method of claim 8,
The dust compression unit and the coupling tube is fixed to the rotary shaft surrounding the rotary shaft,
And a compression plate extending from the coupling pipe and rotating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rotary shaft and collecting and compressing the dust of the dust collecting part.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공은 상기 먼지분리부의 단면 중심에 배치되고,
상기 안내 경사면은 상기 배출공을 향하도록 상기 먼지분리부의 내벽에서 그 중심방향으로 하향경사지게 배치되되,
상기 배출공은 상기 결합관과 연통되어, 상기 배출공에서 배출된 먼지가 상기 결합관 내부 공간의 안내를 받아 상기 집진부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The method of claim 10,
The discharge hole is disposed in the center of the cross section of the dust separation unit,
The guide inclined surface is disposed to be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center from the inner wall of the dust separation unit to face the discharge hole,
The discharge hole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coupling tube, the vacuum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hole characterized in that the movement to the dust collecting unit guided by the space inside the coupling tube.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관 내부에서 하강이동한 이물질이 상기 집진부 바닥면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결합관의 하단부는 상기 집진부의 바닥면과 일정 간격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12. The method of claim 11,
And a lower end of the coupling pipe is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dust collecto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so that foreign matters moved downward in the coupling pipe are discharg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dust collecto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장치 본체의 하부에 회동가능하게 마련되되, 상기 집진장치 본체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며,
상기 집진부를 개폐하는 하부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The method of claim 2,
Is provided rotatably in the lower portion of the dust collector body, is detachably fixed to the dust collector body,
The vacuum cleaner further comprises a lower cove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dust collector.
본체에 착탈가능하게 마련되는 집진장치와;
상기 집진장치 내부에 마련되며 먼지와 공기를 분리하고, 공기를 배출시키는 먼지분리부와;
상기 먼지분리부의 토출측에 마련되는 필터부와;
상기 집진장치 내부에 마련되고 상기 먼지분리부와 인접하게 마련되는 집진부와;
상기 필터와 접촉 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필터부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상기 필터부에 충격을 가하는 이물질 제거부와;
상기 먼지분리부에 마련되어, 상기 필터부에서 분리된 이물질을 상기 집진부로 안내하는 안내부와;
상기 집진부 내에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집진부에 포집된 먼지를 모아서 압축하는 먼지 압축부와; 그리고
상기 먼지분리부 및 상기 이물질 제거부와 연결되어, 구동에 의하여 상기 먼지압축부 및 상기 이물질 제거부를 동시에 동작시키는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A dust collecting device detachably provided at the main body;
A dust separation unit provided inside the dust collector and separating dust and air and discharging air;
A filter unit provided at the discharge side of the dust separation unit;
A dust collector provided inside the dust collector and adjacent to the dust separator;
A foreign material removal unit provided to be in contact with the filter and applying an impact to the filter unit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present in the filter unit;
A guide part provided in the dust separation part to guide foreign matter separated from the filter part to the dust collecting part;
A dust compressing unit provided to be movable in the dust collecting unit and collecting and compressing dust collected in the dust collecting unit; And
And a driving motor connected to the dust separator and the foreign matter removing unit to simultaneously operate the dust compressing unit and the foreign substance removing unit by driving.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먼지분리부는 그 내부가 중공상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안내부는 그 위에 위치하는 이물질을 상기 집진부 방향으로 안내하도록 상기 집진부 방향으로 형성되는 안내 경사면과;
상기 안내 경사면의 최하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안내 경사면의 안내를 받은 이물질이 상기 집진부로 이동하도록 마련되는 배출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15. The method of claim 14,
The dust separator is made of a hollow state inside,
The guide portion includes a guide inclined surface formed in the direction of the dust collecting portion to guide the foreign matter located thereon in the direction of the dust collecting portion;
And a discharge hole formed at a lowermost end of the guide inclined surface and provided with a foreign material guided by the guide inclined surface to move to the dust collecting unit.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모터와 연결되어 상기 이물질 제거부와 상기 이물질 압축부를 연결하는 회전축을 더 포함하되,
상기 이물질 제거부는 상기 회전축 상단부에 고정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회전축의 회전반경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서 상기 먼지 분리부와 상기 필터부 사이를 회전운동하는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의 상면으로부터 상기 필터부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필터부와 접촉하여, 상기 연장부의 회전에 따라서 상기 필터부의 표면을 따라 이동하는 접촉부를 포함하고,
상기 먼지 압축부는 상기 회전축을 둘러싸며 상기 회전축에 고정결합되는 결합관과, 상기 결합관으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회전운동을 하며, 상기 집진부의 먼지를 모으는 회전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15. The method of claim 14,
Further comprising a rotary shaft connected to the drive motor to connect the foreign material removing unit and the foreign material compression unit,
The foreign matter removing unit is fixedly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rotary shaft, extending in the direction of the rotation radius of the rotary shaft, an extension for rotating the movement between the dust separation unit and the filter unit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rotary shaft,
A contact portion extending from an upper surface of the extension portion toward the filter portion and in contact with the filter portion and moving along the surface of the filter portion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extension portion,
The dust compression unit includes a coupling tube surrounding the rotary shaft and fixedly coupled to the rotary shaft, and a rotary plate extending from the coupling tube and rotating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rotary shaft and collecting dust of the dust collector. Vacuum cleaner.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부에 고정되어, 상기 먼지 압축부에 의하여 이동한 먼지를 상기 먼지 압축부와 함께 압축하는 고정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15. The method of claim 14,
And a fixing plate fixed to the dust collecting unit and compressing the dust moved by the dust compressing unit together with the dust compressing unit.
KR1020100115496A 2010-11-19 2010-11-19 An Vacuum Cleaner KR10130673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5496A KR101306738B1 (en) 2010-11-19 2010-11-19 An Vacuum Clea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5496A KR101306738B1 (en) 2010-11-19 2010-11-19 An Vacuum Clean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4226A KR20120054226A (en) 2012-05-30
KR101306738B1 true KR101306738B1 (en) 2013-09-11

Family

ID=462701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5496A KR101306738B1 (en) 2010-11-19 2010-11-19 An Vacuum Clean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6738B1 (en)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95696B2 (en) 2018-05-01 2020-03-24 Sharkninja Operating Llc Docking station for robotic cleaner
US10952578B2 (en) 2018-07-20 2021-03-23 Sharkninja Operating Llc Robotic cleaner debris removal docking station
US11013378B2 (en) 2018-04-20 2021-05-25 Omachon Intellectual Property Inc.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11445874B2 (en) 2014-12-17 2022-09-20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Hand carryable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11445873B2 (en) 2014-12-17 2022-09-20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Hand carryable surface cleaning apparatus
WO2024024992A1 (en) * 2022-07-25 2024-02-01 엘지전자 주식회사 Vacuum cleaner statio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51663A (en) * 1976-10-20 1978-05-11 Sanyo Electric Co Ltd Vacuum cleaner
KR20080104516A (en) * 2007-05-28 2008-12-03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Cyclone dust-separating apparatus of vacuum cleaner
KR20090040419A (en) * 2009-04-10 2009-04-24 엘지전자 주식회사 Vacuum cleaner
KR20100088365A (en) * 2009-01-30 2010-08-09 엘지전자 주식회사 A dusting device for vacuum cleann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51663A (en) * 1976-10-20 1978-05-11 Sanyo Electric Co Ltd Vacuum cleaner
KR20080104516A (en) * 2007-05-28 2008-12-03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Cyclone dust-separating apparatus of vacuum cleaner
KR20100088365A (en) * 2009-01-30 2010-08-09 엘지전자 주식회사 A dusting device for vacuum cleanner
KR20090040419A (en) * 2009-04-10 2009-04-24 엘지전자 주식회사 Vacuum cleaner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59066B2 (en) 2014-12-17 2023-09-19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Hand carryable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11445874B2 (en) 2014-12-17 2022-09-20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Hand carryable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11445873B2 (en) 2014-12-17 2022-09-20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Hand carryable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11896185B2 (en) 2014-12-17 2024-02-13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Hand carryable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11013378B2 (en) 2018-04-20 2021-05-25 Omachon Intellectual Property Inc.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11375861B2 (en) 2018-04-20 2022-07-05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11930987B2 (en) 2018-04-20 2024-03-19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11234572B2 (en) 2018-05-01 2022-02-01 Sharkninja Operating Llc Docking station for robotic cleaner
US10595696B2 (en) 2018-05-01 2020-03-24 Sharkninja Operating Llc Docking station for robotic cleaner
US10952578B2 (en) 2018-07-20 2021-03-23 Sharkninja Operating Llc Robotic cleaner debris removal docking station
US11191403B2 (en) 2018-07-20 2021-12-07 Sharkninja Operating Llc Robotic cleaner debris removal docking station
US11497363B2 (en) 2018-07-20 2022-11-15 Sharkninja Operating Llc Robotic cleaner debris removal docking station
WO2024024992A1 (en) * 2022-07-25 2024-02-01 엘지전자 주식회사 Vacuum cleaner st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4226A (en) 2012-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987753B1 (en) Dust collecting apparatus for vacuum cleaner
KR100445808B1 (en) Cyclone-type dust collecting apparatus for a vacuum cleaner
EP2452604B1 (en) Cyclone dust collecting apparatus and vacuum cleaner having the same
KR100623915B1 (en) Dust separating apparatus
KR101306738B1 (en) An Vacuum Cleaner
CA2397002C (en) Cyclone dust collecting apparatus for a vacuum cleaner
KR100601896B1 (en) Cyclone separating apparatus and vacuum cleaner
KR101356519B1 (en) A vacuum cleaner
KR100539762B1 (en) Filter cleaning device for vacuum cleaner
KR100607440B1 (en) Cyclone dust collector and vacuum cleaner having the same
RU2253348C1 (en) Filter cleaning apparatus for cyclone type vacuum cleaner
KR100648959B1 (en) A multi cyclone separating apparatus
KR100445806B1 (en) Cyclone-type dust collecting apparatus for a vacuum cleaner
US8870988B2 (en) Dust collector for a vacuum cleaner having a dust removal function
KR20080097104A (en) Dust collecting apparatus for vacuum cleaner
KR100678673B1 (en) Cyclone device for vacuum cleaner
KR100437374B1 (en) Cyclone dust-collection apparatus of vacuum cleaner
KR100992221B1 (en) Vacuum cleaner
CN100358455C (en) Vacuum cleaner
KR101196070B1 (en) Dust container of vacuum cleaner
KR20090018482A (en) A dust-separating apparatus
KR101306739B1 (en) A vacuum cleaner
KR101393491B1 (en) The dust compress apparatus and vacuum cleaner having the same
KR101617171B1 (en) Dust collector of vacuum cleaner having a function of removing dust from filter and the vacuum cleaner
KR100809748B1 (en) Dust seperation appratus for vacuum clea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