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3886B1 -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location information in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 Google Patents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location information in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3886B1
KR101103886B1 KR1020070074501A KR20070074501A KR101103886B1 KR 101103886 B1 KR101103886 B1 KR 101103886B1 KR 1020070074501 A KR1020070074501 A KR 1020070074501A KR 20070074501 A KR20070074501 A KR 20070074501A KR 101103886 B1 KR101103886 B1 KR 1011038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communication
location information
communication terminal
location
base s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450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90011174A (en
Inventor
김언희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745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3886B1/en
Publication of KR200900111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117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38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3886B1/en

Links

Images

Landscapes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과금 데이터(Call Detail Record:CDR)를 기반으로 각 가입자의 위치 정보를 행정구역별로 파악하여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 통신망에서 위치 정보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시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location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i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hat can identify and manage location information of each subscriber based on billing data (CDR) for each administrative area.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망에서 위치 정보 관리 시스템은, 이동 통신 단말기가 이동 통신 서비스를 이용함에 따라 생성되는 과금 데이터를 수신받아 상기 과금 데이터에서 이동 통신 서비스를 이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가 접속되어 있는 기지국 및 교환기(또는 데이터 서비스 노드) 식별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기지국 및 교환기 식별 정보로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를 행정구역 ID로 파악한 후, 행정구역 ID로 파악된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행정구역 ID별로 관리되는 이동 통신 단말기 위치 정보 테이블에 업데이트하는 과금 데이터 수집 서버와; 상기 과금 데이터 수집 서버로부터 업데이트가 발생할 때마다 업데이트 정보를 전송받고, 상기 전송받은 업데이트 정보를 이용하여 가입자별로 관리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 테이블을 업데이트하고, 각 이동 통신 단말기의 과거 위치 정보를 기초로 특정 요일 및 시간대에 특정 지역에 위치해 있을 것으로 추정되는 가입자들의 리스트를 추론하는 위치 정보 관리 및 추론 서버와; 상기 위치 정보 관리 및 추론 서버로 특정 요일 및 시간대에 특정 지역에 위치해 있을 것으로 추정되는 가입자 리스트를 요청하여 상기 위치 정보 관리 및 추론 서버로부터 가입자 리스트를 제공받으면, 상기 가입자 리스트에 속해 있는 모든 이동 통신 단말기로 제공하고자 하는 정보를 전송하는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o this en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ocation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receives the charging data generat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th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th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is connected to the charging data. Extract base station and exchange (or data service node) identification information, determine the loc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s the administrative area ID using the extracted base station and the exchang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n locat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dentified as the administrative area ID. A charging data collection server for updating the information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location information table managed for each administrative area ID; Whenever an update occurs from the billing data collection server, update information is received, the location information tabl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anaged for each subscriber is updated using the received update information, and based on the past location information of each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location information management and inference server that infers a list of subscribers estimated to be located in a specific region at a specific day and time; Al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belonging to the subscriber list are requested to receive the subscriber list from the location information management and inference server by requesting the subscriber list estimated to be located in a specific region at a specific day and time with the location information management and inference server. It includes a location-based service providing server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to be provided to.

이에 따라, 본 발명은 각 가입자의 위치 정보를 행정구역별로 파악하여 관리하고, 각 가입자별로 구축된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데이터 마이닝, 추론 등을 통해 가입자의 위치를 예측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can identify and manage the location information of each subscriber for each administrative area, and predict the location of the subscriber through data mining, inference, etc. using the location information constructed for each subscriber.

행정구역 ID, 과금 데이터, 기지국 식별 번호, 추론 Administrative Area ID, Billing Data, Base Station Identification Number, Inference

Description

이동 통신망에서 위치 정보 관리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LOCATION INFORMATION IN MOBILE COMMUNICATION NETWORK}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LOCATION INFORMATION IN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본 발명은 이동 통신망에서 위치 정보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과금 데이터(Call Detail Record:CDR)를 기반으로 각 가입자의 위치 정보를 행정구역별로 파악하여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 통신망에서 위치 정보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location informa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in particular, location informa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hat enables the identification and management of location information of each subscriber based on billing data (CDR) for each administrative area. It relates to a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이동 통신 단말기의 사용이 보편화됨에 따라, 단말기 사용자들의 다양한 기능 향상의 요구에 부응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는 단순한 음성 통신 수단이라는 차원에서 벗어나 무선 인터넷 서비스, 네트워크 게임 서비스, 위치 기반 서비스(Location Based Services:LBS) 등 다양한 서비스를 매체로 자리를 잡아가고 있다.As the use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is becoming more common, in order to meet the demands of various functions of terminal user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are not merely a means of voice communication, but also wireless Internet services, network game services, and location based services (LBS). It is taking a variety of services as media.

전술한, 위치 기반 서비스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를 파악하고, 파악된 위치와 관련한 부가 정보를 제공하는 통신 서비스를 일컫는 것으로, 위치 기반 서 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를 파악해야 한다.The above-described location-based service refers to a communication service that detects the loc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provides additional information related to the identified location. In order to use the location-based service, the loc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ust be determined.

전술한 바와 같이,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를 파악하는 기술로 기지국 수신 신호를 이용하는 망 기반 방식과,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위성 신호를 이용하는 핸드셋 기반 방식과, 망 기반 방식과 핸드셋 기반 방식을 혼합하여 위치 정확도를 높이는 하이브리드 방식이 등이 존재한다.As described above, a technique for determining the loc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a combination of a network based method using a base station reception signal, a handset based method using a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satellite signal, and a network based method and a handset based method. There is a hybrid method for increasing the positional accuracy.

그러나, 망 기반 방식의 경우에는 가입자의 현재 위치를 파악하기 위해 LBS 시스템에서 기지국을 통해 가입자의 위치 정보를 조회해야 하므로, 자원을 낭비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고, 핸드셋 기반 방식 및 하이브리드 방식의 경우에는 단말기에 GPS 모듈을 추가로 탑재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network-based method, since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subscriber must be queried through the base station in the LBS system to determine the current location of the subscriber, there is a problem of wasting resources, and the handset-based and hybrid methods There is a problem that the GPS module must be additionally mounted to the terminal.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이동 통신 서비스 이용에 따라 생성되는 과금 데이터(Call Detail Record:CDR)에 포함되어 있는 발신 기지국 정보를 이용하여 각 가입자의 위치 정보를 파악하고, 파악된 가입자의 위치 정보를 행정구역별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 통신망에서 위치 정보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grasp the location information of each subscriber by using the originating base st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call detail record (CDR) generated according to the us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ocation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i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hat enables management of identified subscriber location information for each administrative area.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행정구역별로 관리된 각 가입자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데이터 마이닝, 추론 등을 통해 특정 요일, 시간대에 특정 지역에 위치할 가입자들을 예측하고, 외부 서비스 시스템의 요청에 따라 추론된 가입자들에게 요청된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 통신망에서 위치 정보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dict the subscribers to be located in a specific region on a specific day of the week and time zone through data mining, inference, etc. us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each subscriber managed by administrative district, and inferred upon request of an external service system.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location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i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hat can provide requested data to subscribers.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망에서 위치 정보 관리 시스템은, 이동 통신 단말기가 이동 통신 서비스를 이용함에 따라 생성되는 과금 데이터를 수신받아 상기 과금 데이터에서 이동 통신 서비스를 이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가 접속되어 있는 기지국 및 교환기(또는 데이터 서비스 노드) 식별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기지국 및 교환기 식별 정보로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를 행정구역 ID로 파악한 후, 행정구역 ID로 파악된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행정구역 ID별로 관리되는 이동 통신 단말기 위치 정보 테이블에 업데이트하는 과금 데이터 수집 서버와; 상기 과금 데이터 수집 서버로부터 업데이트가 발생할 때마다 업데이트 정보를 전송받고, 상기 전송받은 업데이트 정보를 이용하여 가입자별로 관리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 테이블을 업데이트하고, 각 이동 통신 단말기의 과거 위치 정보를 기초로 특정 요일 및 시간대에 특정 지역에 위치해 있을 것으로 추정되는 가입자들의 리스트를 추론하는 위치 정보 관리 및 추론 서버와; 상기 위치 정보 관리 및 추론 서버로 특정 요일 및 시간대에 특정 지역에 위치해 있을 것으로 추정되는 가입자 리스트를 요청하여 상기 위치 정보 관리 및 추론 서버로부터 가입자 리스트를 제공받으면, 상기 가입자 리스트에 속해 있는 모든 이동 통신 단말기로 제공하고자 하는 정보를 전송하는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location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receives the charging data generat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th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to receive th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from the charging data; Extract the base station and the exchange (or data service node)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which the use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connected, identify the loc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s the administrative area ID using the extracted base station and the exchang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n use the administrative area ID. A billing data collection server for updating the identifie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location information table managed for each administrative area ID; Whenever an update occurs from the billing data collection server, update information is received, the location information tabl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anaged for each subscriber is updated using the received update information, and based on the past location information of each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location information management and inference server that infers a list of subscribers estimated to be located in a specific region at a specific day and time; Al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belonging to the subscriber list are requested to receive the subscriber list from the location information management and inference server by requesting the subscriber list estimated to be located in a specific region at a specific day and time with the location information management and inference server.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location-based service providing server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to be provided to.

나아가, 상기 과금 데이터 수집 서버는, 상기 추출된 기지국 및 교환기 식별 정보로 각 기지국의 식별 정보, 각각의 기지국이 속해 있는 교환기의 식별 정보, 각각의 기지국이 위치한 지역의 행정구역 주소지, 각각의 기지국이 위치한 지역의 행정구역 ID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행정구역별 기지국 정보 매핑 테이블을 검색하여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를 행정구역 ID로 파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Further, the charging data collection server, the extracted base station and the exchange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each base statio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exchange to which each base station belongs, the administrative region address of the area where each base station is located, each base station It is preferable to search the base station information mapping table for each administrative area including the administrative area ID of the located area to determine the loc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s the administrative area ID.

그리고, 상기 행정구역 ID별로 관리되는 이동 통신 단말기 위치 정보 테이블은, 행정구역 ID별로 각 행정구역 ID를 위치 정보로 갖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식별 정보, 위치 정보가 업데이트된 시간,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를 파악하는 데에 사용된 과금 데이터의 종류를 나타내는 위치 등록 소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mobile terminal location information table managed for each administrative area ID includes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each administrative area ID as location information for each administrative area ID, a time at which location information is updated, and a loc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t is preferred to include a location registration source that indicates the type of billing data used to identify the.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망에서 위치 정보 관리 방법은, 이동 통신 단말기가 이동 통신 서비스를 이용함에 따라 생성되는 과금 데이터를 과금 데이터 수집 서버에서 수신받아 상기 과금 데이터에서 이동 통신 서비스를 이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가 접속되어 있는 기지국 및 교환기(또는 데이터 서비스 노드) 식별 정보를 추출하는 과정과; 상기 추출된 기지국 및 교환기 식별 정보로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를 행정구역 ID로 파악한 후, 행정구역 ID로 파악된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행정구역 ID별로 관리되는 이동 통신 단말기 위치 정보 테이블에 업데이트하는 과정과; 상기 행정구역 ID별로 관리되는 이동 통신 단말기 위치 정보 테이블에 업데이트가 발생할 때마다 상기 과금 데이터 수집 서버로부터 전송받은 업데이트 정보를 이용하여 가입자별로 관리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 테이블을 업데이트하는 과정과;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의 특정 요일 및 시간대에 특정 지역에 위치해 있을 것으로 추정되는 가입자 리스트 요청에 따라 상기 가입자별로 관리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 테이블에 저장되어 있는 각 이동 통신 단말기의 과거 위치 정보를 기초로 상기 가입자 리스트를 추론하고, 추론된 가입자 리스트를 상기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서버로 제공하는 과정과; 상기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상기 가입자 리스트에 속해 있는 모든 이동 통신 단말기로 제공하고자 하는 정보를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the location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i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ceiving the charging data generat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th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from the charging data collection server to receive th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from the charging data Extract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 base station and a switch (or data service node) to which the use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connected; After the loc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identified as an administrative area ID by the extracted base station and exchange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termined as an administrative area ID is stored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location information table managed for each administrative area ID. Updating; Updating the location information tabl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anaged for each subscriber by using updat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billing data collection server whenever an update occurs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location information table managed for each administrative area ID; Past location information of each mobile terminal stored in the location information table of the mobile terminal managed for each subscriber according to the subscriber list request estimated to be located in a specific region at a specific day and time from the location-based service providing server. Inferring the list of subscribers based on the list, and providing the inferred subscriber list to the location-based service providing server; Preferably, the location-based service providing server transmits information to be provided to al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belonging to the subscriber list.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망에서 위치 정보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은, 이동 통신 서비스 이용에 따라 생성되는 과금 데이터에 포함되어 있는 기지국 및 교환기 식별 번호를 기반으로 각 가입자의 위치 정보를 행정구역별로 파악하여 관리하고, 각 가입자별로 구축된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데이터 마이닝, 추론 등을 통해 가입자의 위치를 예측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가입자의 위치를 예측하여 행정구역별로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The location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dentify and manage the location information of each subscriber for each administrative area based on the base station and the exchange identification number included in the billing data generated according to the us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In addition, the location of each subscriber can be used to predict the location of the subscriber through data mining and inference. In addition, the location of the subscriber can be predicted to provide location-based services for each administrative area.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망에서 위치 정보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spect to the location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i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망에서 위치 정보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인 도이다.1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location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i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우선, 이동 통신 서비스 가입자들이 각자 자기 소유의 이동 통신 단말기(10-1, 10-2, …, 10-n)를 이용하여 음성 통화 서비스, SMS 서비스, 무선 인터넷 서비스 등과 같은 각종 이동 통신 서비스를 이용하게 되면, 음성 통화를 중계하는 교환기, SMS 서비스를 중계하는 SMSC(Short Message Service Center)(50),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중계하는 데이터 서비스 노드(예를 들어, SGSN, GGSN 등) 등에서는 서비스 이용에 따른 과금을 수행하기 위해 과금 데이터(CDR)를 생성하게 된다.First,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subscribers use various mobile communication services such as voice call service, SMS service, wireless Internet service, etc. using their ow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10-1, 10-2, ..., 10-n. In this case, an exchange for relaying a voice call, a Short Message Service Center (SMSC) 50 for relaying an SMS service, a data service node (eg, SGSN, GGSN, etc.) for relaying a wireless Internet service may be used. In order to perform the charging according to the charge data (CDR) is generated.

즉, 이동 통신 서비스 가입자가 이동 통신 단말기(10-1, 10-2, …, 10-n)를 이용하여 음성 통화 서비스를 이용하게 되면, 음성 통화를 중계하는 교환기는 음성 통화에 따른 과금을 수행하기 위해 음성 통화에 대한 과금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과금 데이터는 발신 단말기 식별 정보인 발신 단말기 전화 번호, 착신 단말기 식별 정보인 착신 단말기 전화 번호, 통화 시작 및 종료 시간, 발신 단말기가 접속되어 있는 기지국 및 교환기의 식별 번호, 착신 단말기가 접속되어 있는 기지국 및 교환기의 식별 번호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at is,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subscriber uses the voice call service us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10-1, 10-2, ..., 10-n, the exchange relaying the voice call performs charging according to the voice call. To generate the charge data for the voice call, the generated charge data is the calling terminal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calling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e called terminal terminal number of the called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e call start and end time, the base station to which the calling terminal is connected And the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exchange, the base station to which the destination terminal is connected, and the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exchange.

그리고, 이동 통신 서비스 가입자가 이동 통신 단말기(10-1, 10-2, …, 10-n)를 이용하여 SMS 서비스를 이용하게 되면, SMS 서비스를 중계하는 SMSC(50)는 SMS 메시지 전송에 따른 과금을 수행하기 위해 과금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과금 데이터는 발신 단말기 전화 번호, 착신 단말기 전화 번호, 메시지 발송 시간, 발신 단말기가 접속되어 있는 기지국 및 교환기의 식별 번호, 착신 단말기가 접속되어 있는 기지국 및 교환기의 식별 번호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subscriber uses the SMS service us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10-1, 10-2,..., 10-n, the SMSC 50 relaying the SMS service transmits the SMS message. The billing data is generated to perform billing, and the generated billing data includes the calling terminal telephone number, called terminal telephone number, message sending time,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base station and exchange to which the calling terminal is connected, and the base station to which the called terminal is connected. And the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exchange.

그리고, 이동 통신 서비스 가입자가 이동 통신 단말기(10-1, 10-2, …, 10-n)를 이용하여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이용하게 되면,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중계하는 데이터 서비스 노드는 무선 인터넷 접속에 따른 과금을 수행하기 위해 과금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과금 데이터는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이용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10-1, 10-2, …, 10-n)의 식별 번호,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이용하는 단말기의 IP 어드레스 및 포트 번호, 접근점 명칭(APN;Access Point Name),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받기 시작할 때의 날짜 및 시간, 전송된 업링크 바이트 수 및 전송된 다운링크 바이트 수, 이동 통신 단말기(10-1, 10-2, …, 10-n)가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접속되어 있는 기지국 및 데이터 서비스 노드의 식별 번호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If th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subscriber uses the wireless Internet service us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10-1, 10-2, ..., 10-n, the data service node relaying the wireless Internet service is connected to the wireless Internet connection. Generate billing data to perform the billing according to the generated billing data, the generated billing data is the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1, 10-2, ..., 10-n) using the wireless Internet service, the terminal using the wireless Internet service IP address and port number, access point name (APN), date and time when starting to receive wireless Internet service, number of uplink bytes transmitted and number of downlink bytes transmitte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1, 10-2, ..., 10-n) include identification numbers of the base station and the data service node connected to receive the wireless Internet service.

전술한 바와 같이, 과금 데이터는 각각의 이동 통신 단말기(10-1, 10-2, …, 10-n)가 음성 통화, SMS, 무선 인터넷 등의 이동 통신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접속되어 있는 기지국 및 교환기(또는 데이터 서비스 노드)의 식별 번호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As described above, the billing data includes a base station to which each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1, 10-2, ..., 10-n is connected to receive a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such as voice call, SMS, wireless Internet, and the like. It includes the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exchange (or data service node).

이에 따라, 과금 데이터 수집 서버(20)는 이동 통신 단말기(10-1, 10-2, …, 10-n)가 이동 통신 서비스를 이용함에 따라 교환기, SMSC(50), 데이터 서비스 노드 등에서 생성하는 과금 데이터를 전달받고, 전달받은 과금 데이터에서 이동 통신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이동 통신 단말기(10-1, 10-2, …, 10-n)가 접속되어 있는 기지국 및 교환기(또는 데이터 서비스 노드)의 식별 정보를 추출하여 기지국이 관할하는 서비스 지역의 행정구역(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행정구역은 읍, 면, 동 단위로 관리될 수 있다) ID를 파악한 후, 이동 통신 서비스를 이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10-1, 10-2, …, 10-n)의 위치 정보를 행정구역 ID를 이용하여 관리하게 된다.Accordingly, the billing data collection server 20 generates at the exchange, the SMSC 50, the data service node, etc. as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10-1, 10-2, ..., 10-n us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s. Of the base station and the exchange (or data service node) to whic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10-1, 10-2,..., 10-n are connected to receive the billing data and to receive a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from the received billing data. After extract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determine the administrative area of the service area that the base station has jurisdiction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dministrative area can be managed by the town, town, town) ID, and t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th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 10-1, 10-2, ..., 10-n) location information is managed using the administrative district ID.

이를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과금 데이터 수집 서버(20)는 교환기, SMSC(50), 데이터 서비스 노드 등에서 생성된 과금 데이터를 전달받은 후, 전달받은 과금 데이터에서 각각의 이동 통신 단말기(10-1, 10-2, …, 10-n)가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접속되어 있는 기지국 및 교환기(또는 데이터 서비스 노드)의 식별 번호를 추출한 후,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행정구역별 기지국 정보 매핑 테이블을 참조하여, 추출된 기지국 및 교환기(또는 데이터 서비스 노드)의 식별 번호로 기지국이 관할하는 서비스 지역의 행정구역 ID를 파악한다.In more detail, the billing data collection server 20 receives the billing data generated by the exchange, the SMSC 50, the data service node, and the like, and then transfers the billing data to each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1. 10-2, ..., 10-n) extracts identification numbers of the base station and the exchange (or data service node) connected to receive the service, and then the base station information mapping table for each administrative region as shown in FIG. With reference to the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extracted base station and the exchange (or data service node) to determine the administrative area ID of the service area that the base station has jurisdiction.

행정구역별 기지국 정보 매핑 테이블은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기지국의 식별 정보, 각각의 기지국이 속해 있는 교환기의 식별 정보, 각각의 기지국이 위치한 지역의 행정구역 주소지, 각각의 기지국이 위치한 지역의 우편 번호, 각각의 기지국이 위치한 지역의 행정구역 ID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 2, the base station information mapping table for each administrative area includes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each base sta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n exchange to which each base station belongs, an administrative area address of an area where each base station is located, and an area where each base station is located. It includes a postal code, a district ID of the area where each base station is located, and the like.

여기서, 과금 데이터 수집 서버(20)는 기지국의 식별 번호만으로는 기지국이 관할하는 서비스 지역을 파악할 수 없기 때문에 기지국 식별 번호뿐만 아니라 교환기(또는 데이터 서비스 노드) 식별 번호도 함께 추출하게 된다.Here, since the billing data collection server 20 cannot determine the service area which the base station has jurisdiction with only the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base station, the billing data collection server 20 extracts not only the base station identification number but also the exchange (or data service node) identification number.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과금 데이터 수집 서버(20)는 각각의 기지국이 관할하는 서비스 지역에 관련된 우편 번호를 행정구역 ID와 매핑시켜 관리함으로써, 이동 통신 단말기(10-1, 10-2, …, 10-n)의 위치 정보를 일반인들이 알기 쉬운 행정구역 주소지 기반으로 관리할 수 있게 된다.As shown in Fig. 2, the billing data collection server 20 maps and manages the postal code related to the service area managed by each base station by mapping the administrative area I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10-1, 10-2, ..., 10-n) location information can be managed based on the administrative area address that is easy for the general public.

한편, 이동 통신 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새로운 망이 도입됨에 따라 CDMA 2000,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WCDMA(Wideband CDMA) 등 다양한 이동 통신망이 오버레이(Overlay)되어 사용됨에 따라, 동일 지역에 서로 다른 종류의 이동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지국이 설치되게 된다.Meanwhile, as new networks are introduced due to the development of mobile communication technologies, various types of mobile communication networks such as CDMA 2000, Wireless Broadband Internet (WIBRO), and Wideband CDMA (WCDMA) are used as overlays, and thus, different types are used in the same region. The base station for providing a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of the will be installed.

이에 따라, 과금 데이터에서 추출된 기지국 및 교환기의 식별 번호가 다른 과금 데이터에서 추출된 기지국 및 교환기의 식별 번호와 서로 다른 값을 갖더라도 파악된 행정구역 ID가 동일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even if the identification numbers of the base station and the exchange extracted from the charging data have different values from the identification numbers of the base station and the exchange extracted from the other charging data, the identified administrative area ID may be the same.

전술한 바와 같이, 과금 데이터에서 추출한 기지국 및 교환기의 식별 번호를 이용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10-1, 10-2, …, 10-n)가 현재 위치해 있는 지역의 행정구역 ID를 파악한 과금 데이터 수집 서버(20)는 행정구역 ID로 위치가 파악된 이동 통신 단말기(10-1, 10-2, …, 10-n)에 대한 위치 정보를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행정구역 ID별로 관리되는 이동 통신 단말기 위치 정보 테이블에 업데이트한다.As described above, using the identification numbers of the base station and the exchange extracted from the billing data, the billing data collection which grasps the administrative area ID of the area wher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10-1, 10-2, ..., 10-n are currently located. The server 20 manages the location information fo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10-1, 10-2, ..., 10-n, whose location is determined by the administrative area ID, for each administrative area ID as shown in FIG. Update to the mobile terminal location information table.

행정구역 ID별로 관리되는 이동 통신 단말기 위치 정보 테이블은, 행정구역 ID별로 해당 행정구역 ID를 위치 정보로 갖는 이동 통신 단말기(10-1, 10-2, …, 10-n)의 식별 정보(예를 들어, MDN), 위치 정보가 업데이트된 시간, 위치 등록 소스(음성 통화 서비스 이용에 따라 생성된 과금 데이터, SMS 서비스 이용에 따라 생성된 과금 데이터, 무선 인터넷 서비스 이용에 따라 생성된 과금 데이터 등), 해당 가입자의 성별 및 연령, 음성 통화 또는 SMS 메시지 발신에 의한 것인지, 착신에 의한 것인지, 무선 인터넷 사용에 의한 것인 지를 나타내는 비고값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location information table managed for each administrative area ID includes identification information (example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10-1, 10-2, ..., 10-n having the corresponding administrative area ID as location information for each administrative area ID. For example, MDN), the time when the location information was updated, the location registration source (billing data generated by using voice call service, billing data generated by using SMS service, billing data generated by using wireless Internet service, etc.) And a remark value indicating whether the subscriber is gender or age, voice call or SMS message sent, incoming call, or wireless Internet use.

전술한 바와 같이, 과금 데이터 수집 서버(20)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행정구역 ID별로 관리하는 데, 제1행정구역에 위치하여 이동 통신 서비스를 제공받던 이동 통신 단말기(10-1)가 제2행정구역으로 이동하여 이동 통신 서비스를 제공받게 되면, 이동 통신 단말기(10-1)의 위치 정보는 제2행정구역의 이동 통신 단말기 위치 정보 테이블에 업데이트되고, 제1행정구역의 이동 통신 단말기 위치 정보 테이블에서는 삭제된다.As described above, the billing data collection server 20 manage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each administrative area I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1, which is located in the first administrative area and receives th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is provided by moving to the second administrative area,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1 is updat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location information table of the second administrative area,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first administrative area. It is deleted from the location information table.

전술한, 과금 데이터 수집 서버(20)는 각 서비스 사업자가 별도로 관리하는 가입자 정보 관리 서버(미도시)로부터 해당 가입자의 성별 및 연령에 대한 정보를 확보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billing data collection server 20 can secure information on the gender and age of the subscriber from a subscriber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not shown) managed separately by each service provider.

한편, 위치 정보 관리 및 추론 서버(30)는 과금 데이터 수집 서버(20)에 업데이트가 발생할 때마다 과금 데이터 수집 서버(20)로부터 업데이트된 정보를 전송받고, 과금 데이터 수집 서버(20)로부터 전송받은 업데이트 정보를 이용하여 가입자별로 관리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 테이블을 업데이트한다.Meanwhile, the location information management and reasoning server 30 receives the updated information from the billing data collection server 20 whenever an update occurs in the billing data collection server 20, and receives the billing data collection server 20 from the updated information. The location information tabl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anaged for each subscriber is updated using the update information.

전술한, 가입자별로 관리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 테이블에는 각각의 이동 통신 단말기가 이동 통신 서비스를 사용함에 따라 생성되는 과금 데이터를 이용하여 획득한 위치 정보가 순차적으로 기록되어 있다.In the above-described location information tabl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anaged for each subscriber, location information obtained by using the charging data generated as each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es th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is sequentially recorded.

이에 따라, 위치 정보 관리 및 추론 서버(30)는 각 이동 통신 단말기(10-1, 10-2, …, 10-n)의 과거 위치 정보를 기초로 하여, 특정한 요일, 특정한 시간대에 특정한 지역에 위치해 있을 것으로 추정되는 가입자들의 리스트를 추론해 낼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the location information management and reasoning server 30 is based on the past location information of each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10-1, 10-2,. It is possible to infer a list of subscribers that are supposed to be located.

또한, 위치 정보 관리 및 추론 서버(30)는 이동 통신 서비스를 자주 사용하지 않는 가입자들의 위치 정보를 확보하기 위해 서비스 사업자별로 가입자 위치 정보를 관리하는 위치 정보 관리 서버(미도시)로부터 이동 통신 서비스를 자주 사용하지 않는 가입자들의 위치 정보를 확보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location information management and inference server 30 may provide a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from a location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not shown) that manages subscriber location information for each service provider to secure location information of subscribers who do not frequently use th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Location information of infrequently used subscribers can be obtained.

한편,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서버(40)는 특정한 요일, 특정한 시간대에 특정한 지역에 위치해 있을 것으로 추정되는 가입자들에게 제공할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위치 정보 관리 및 추론 서버(30)로 특정한 요일 및 시간대에 특정한 지역에 위치해 있을 것으로 추정되는 가입자들의 리스트를 요청하고, 위치 정보 관리 및 추론 서버(30)로부터 제공받은 가입자 리스트에 속해 있는 모든 이동 통신 단말기로 제공하고자 하는 정보를 전송한다.On the other hand, the location-based service providing server 40, if there is information to provide to subscribers that are estimated to be located in a particular region on a particular day, a specific time zone, location information management and reasoning server 30 to a specific day and time zone Requests a list of subscribers estimated to be located in a specific area at, and transmits information to be provided to al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belonging to a subscriber list provided from the location information management and inference server 30.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망에서 위치 정보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처리도이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managing location informa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우선, 이동 통신 단말기(10-1, 10-2, …, 10-n)가 착신 단말기와 음성 통화를 수행하거나, 착신 단말기로 SMS 메시지를 전송하거나, 무선 인터넷에 접속하여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받게 되면, 음성 통화를 중계하는 교환기, SMS 서비스를 중계하는 SMSC(50),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중계하는 데이터 서비스 노드(예를 들어, SGSN, GGSN 등) 등에서는 과금을 수행하기 위해 과금 데이터를 생성하게 되는 데, 과금 데이터 수집 서버(20)는 이동 통신 단말기(10-1, 10-2, …, 10-n)가 이동 통신 서비스를 이용함에 따라 생성하는 과금 데이터를 교환기, SMSC(50), 데이터 서비스 노드(예를 들어, SGSN, GGSN 등) 등으로부터 수신한다(S10).First,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1, 10-2, ..., 10-n performs a voice call with the called terminal, sends an SMS message to the called terminal, or accesses the wireless Internet to provide the wireless Internet service. When the exchange relays the voice call, the SMSC 50 relaying the SMS service, the data service node relaying the wireless Internet service (eg, SGSN, GGSN, etc.), the charging data is generated to perform the charging. The billing data collection server 20 exchanges the billing data generat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10-1, 10-2,..., 10-n using th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the SMSC 50, and the data. It receives from a service node (eg, SGSN, GGSN, etc.) (S10).

상기한 과정 S10을 통해 교환기, SMSC(50), 데이터 서비스 노드 등으로부터 과금 데이터를 수신한 과금 데이터 수집 서버(20)는 과금 데이터에서 발신 전화 번호, 발신 단말기가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접속되어 있는 기지국 및 교환기의 식별 번호와, 착신 전화 번호, 착신 단말기가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접속되어 있는 기지국 및 교환기의 식별 번호를 추출한다(S12).The billing data collection server 20 that has received billing data from the exchange, the SMSC 50, the data service node, and the like through the process S10 described above, is the base station to which the outgoing telephone number and the calling terminal are connected to receive the service from the billing data. And the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exchange, the called telephone number, and the identification numbers of the base station and the exchange to which the called terminal is connected to receive the service (S12).

상기한 과정 S10에서 수신한 과금 데이터가 무선 인터넷 서비스 이용에 따라 데이터 서비스 노드에서 수신한 과금 데이터인 경우에는, 상기한 과정 S12에서 발 신 전화 번호, 발신 단말기가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접속되어 있는 기지국 및 데이터 서비스 노드의 식별 번호를 추출한다.If the billing data received at step S10 is billing data received at the data service node according to the use of the wireless Internet service, the calling telephone number and the base station to which the calling terminal is connected to receive the service at step S12. And an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data service node.

이후에는 상기한 과정 S12에서 추출한 기지국 및 교환기(또는 데이터 서비스 노드)의 식별 번호를 이용하여 행정구역별 기지국 정보 매핑 테이블에서 발신 단말기와 착신 단말기가 각각 접속되어 있는 기지국이 관할하는 서비스 지역의 행정구역 ID를 파악한다(S14).Thereafter, in the base station information mapping table for each administrative area, using the identification numbers of the base station and the exchange (or data service node) extracted in step S12, the administrative area of the service area managed by the base station to which the calling terminal and the called terminal are respectively connected. The ID is determined (S14).

상기한 과정 S14를 통해 파악된 발신 기지국과 착신 기지국이 각각 관할하는 서비스 지역의 행정구역 ID는 발신 단말기와 착신 단말기가 각각 위치한 지역의 행정구역 ID가 된다. 이는, 기지국에 접속되어 이동 통신 서비스를 제공받는 이동 통신 단말기가 기지국으로부터 소정 반경 내에 위치하기 때문으로, 기지국의 위치 정보를 알면 이동 통신 단말기(10-1, 10-2, …, 10-n)의 위치 정보도 알 수 있게 된다.The administrative district ID of the service area managed by the calling base station and the called base station respectively identified through the process S14 becomes the administrative area ID of the area where the calling terminal and the called terminal are located, respectively. This is because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nnected to a base station and receiving a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is located within a predetermined radius from the base station. Thus, if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base station is know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10-1, 10-2, ..., 10-n are located. The location information of can also be known.

상기한 과정 S12 및 과정 S14를 통해 과금 데이터에서 추출한 기지국 및 교환기의 식별 번호를 이용하여 발신 단말기와 착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파악한 과금 데이터 수집 서버(20)는 행정구역 ID로 위치가 파악된 이동 통신 단말기(10-1, 10-2, …, 10-n)에 대한 위치 정보를 행정구역 ID별로 관리되는 이동 통신 단말기 위치 정보 테이블에 업데이트한다(S16).The billing data collection server 20 which grasp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calling terminal and the called terminal by using the identification numbers of the base station and the exchange extracted from the billing data through steps S12 and S14 described above is a mobile communication in which the location is identified by the administrative area ID.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s 10-1, 10-2, ..., 10-n is updat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location information table managed for each administrative area ID (S16).

이후, 과금 데이터 수집 서버(20)는 행정구역 ID별로 관리되는 이동 통신 단말기 위치 정보 테이블이 업데이트됨에 따라, 업데이트된 정보를 위치 정보 관리 및 추론 서버(30)로 전송하고(S18), 과금 데이터 수집 서버(20)로부터 업데이트된 정보를 전송받은 위치 정보 관리 및 추론 서버(30)는 상기한 과정 S18을 통해 과금 데이터 수집 서버(20)로부터 전송받은 업데이트 정보를 이용하여 가입자별로 관리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 테이블을 업데이트한다(S20).Subsequently, the charging data collection server 20 transmits the updated information to the location information management and inference server 30 as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location information table managed for each administrative area ID is updated (S18) and collects the charging data. The location information management and inference server 30 that has received the updated information from the server 20 uses the updat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billing data collection server 20 through the process S18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anaged for each subscriber. The location information table is updated (S20).

전술한, 가입자별로 관리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 테이블에는 각각의 이동 통신 단말기가 이동 통신 서비스를 사용함에 따라 생성되는 과금 데이터를 이용하여 획득한 위치 정보가 순차적으로 기록되어 있다.In the above-described location information tabl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anaged for each subscriber, location information obtained by using the charging data generated as each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es th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is sequentially recorded.

한편,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서버(40)에서 특정한 요일, 특정한 시간대에 특정한 지역에 위치해 있을 것으로 추정되는 가입자들에게 제공할 정보가 발생하게 되면,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서버(40)는 위치 정보 관리 및 추론 서버(30)로 특정한 요일, 특정한 시간대에 특정한 지역에 위치해 있을 것으로 추정되는 가입자들의 리스트를 요청한다(S22).On the other hand, when the location-based service providing server 40 generates information to be provided to subscribers that are estimated to be located in a specific region on a specific day of the week, a specific time zone, the location-based service providing server 40 is location information management and inference The server 30 requests a list of subscribers estimated to be located in a specific region at a specific day of the week and a specific time zone (S22).

상기한 과정 S22를 통해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서버(40)로부터 특정한 요일, 특정한 시간대에 특정한 지역에 위치해 있을 것으로 추정되는 가입자들의 리스트를 요청받은 위치 정보 관리 및 추론 서버(30)는 가입자별로 관리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 테이블에 저장되어 있는 각 이동 통신 단말기(10-1, 10-2, …, 10-n)의 과거 위치 정보를 기초로 하여, 특정한 요일, 특정한 시간대에 특정한 지역에 위치해 있을 것으로 추정되는 가입자들을 추론하고(S24), 추론한 가입자 리스트를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서버(40)로 제공한다(S26).The location information management and reasoning server 30, which has received a list of subscribers estimated to be located at a specific day of the week, at a specific time zone, from the location-based service providing server 40 through the above-described process S22, is managed by the subscriber. Based on the past location information of each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10-1, 10-2, ..., 10-n stored in the location information table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it may be located in a specific region on a specific day of the week and a specific time zone. Inferred subscribers are estimated (S24), and provides the inferred subscriber list to the location-based service providing server 40 (S26).

상기한 과정 S26을 통해 위치 정보 관리 및 추론 서버(30)로부터 가입자 리스트를 제공받은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서버(40)는 위치 정보 관리 및 추론 서 버(30)로부터 제공받은 가입자 리스트에 속해 있는 모든 이동 통신 단말기로 제공하고자 하는 정보를 전송한다(S28).The location-based service providing server 40, which has received the subscriber list from the location information management and inference server 30 through the process S26, all movements belonging to the subscriber list provided from the location information management and inference server 30. Information to be provided to the communication terminal is transmitted (S28).

본 발명의 이동 통신망에서 위치 정보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은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The location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망에서 위치 정보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은, 이동 통신 서비스 이용에 따라 생성되는 과금 데이터를 이용하여 이동 통신 서비스를 이용한 가입자의 위치 정보를 행정구역별로 파악하여 관리하고, 가입자별로 구축된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가입자의 위치를 예측할 수 있게 된다.Location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i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using the billing data generated according to the us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to grasp and manage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subscriber using th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for each administrative area, and established for each subscriber The location information can be used to predict the location of the subscribe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망에서 위치 정보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인 도면.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location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i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행정구역별 기지국 정보 매핑 테이블을 예시적으로 보인 도면.2 is a view showing an exemplary base station information mapping table for each administrative region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행정구역 ID별로 관리되는 이동 통신 단말기 위치 정보 테이블을 예시적으로 보인 도면.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emplary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location information table managed for each administrative area ID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망에서 위치 정보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처리도.4 is a process diagram for explaining a location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i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 ***

10-1, 10-2, …, 10-n. 이동 통신 단말기, 20. 과금 데이터 수집 서버,10-1, 10-2,... , 10-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 billing data collection server,

30. 위치 정보 관리 및 추론 서버, 40.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서버,30. location information management and reasoning server, 40. location based service providing server,

50. SMSC50. SMSC

Claims (5)

이동 통신 단말기가 이동 통신 서비스를 이용함에 따라 생성되는 과금 데이터를 수신받아 상기 과금 데이터에서 이동 통신 서비스를 이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가 접속되어 있는 기지국 및 교환기(또는 데이터 서비스 노드) 식별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기지국 및 교환기 식별 정보로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를 행정구역 ID로 파악한 후, 행정구역 ID로 파악된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행정구역 ID별로 관리되는 이동 통신 단말기 위치 정보 테이블에 업데이트하는 과금 데이터 수집 서버와;Receiving charging data generat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th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extracting base station and exchange (or data service node) identification information connec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th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from the charging data, and After the loc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identified as the administrative area ID by the extracted base station and the exchange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termined as the administrative area ID is updat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location information table managed for each administrative area ID. A billing data collection server; 상기 과금 데이터 수집 서버로부터 업데이트가 발생할 때마다 업데이트 정보를 전송받고, 상기 전송받은 업데이트 정보를 이용하여 가입자별로 관리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 테이블을 업데이트하고, 각 이동 통신 단말기의 과거 위치 정보를 기초로 특정 요일 및 시간대에 특정 지역에 위치해 있을 것으로 추정되는 가입자들의 리스트를 추론하는 위치 정보 관리 및 추론 서버와;Whenever an update occurs from the billing data collection server, update information is received, the location information tabl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anaged for each subscriber is updated using the received update information, and based on the past location information of each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location information management and inference server that infers a list of subscribers estimated to be located in a specific region at a specific day and time; 상기 위치 정보 관리 및 추론 서버로 특정 요일 및 시간대에 특정 지역에 위치해 있을 것으로 추정되는 가입자 리스트를 요청하여 상기 위치 정보 관리 및 추론 서버로부터 가입자 리스트를 제공받으면, 상기 가입자 리스트에 속해 있는 모든 이동 통신 단말기로 제공하고자 하는 정보를 전송하는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이동 통신망에서 위치 정보 관리 시스템.Al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belonging to the subscriber list are requested to receive the subscriber list from the location information management and inference server by requesting the subscriber list estimated to be located in a specific region at a specific day and time with the location information management and inference server. Location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i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comprising a location-based service providing server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to be provided to.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통신 서비스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음성 통화 서비스, SMS 서비스,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망에서 위치 정보 관리 시스템.Location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i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comprising a voice call service, SMS service, wireless Internet servic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과금 데이터 수집 서버는,According to claim 1, The billing data collection server, 상기 추출된 기지국 및 교환기 식별 정보로 각 기지국의 식별 정보, 각각의 기지국이 속해 있는 교환기의 식별 정보, 각각의 기지국이 위치한 지역의 행정구역 주소지, 각각의 기지국이 위치한 지역의 행정구역 ID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행정구역별 기지국 정보 매핑 테이블을 검색하여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를 행정구역 ID로 파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망에서 위치 정보 관리 시스템.The extracted base station and switch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es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each base sta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n exchange to which each base station belongs, an administrative area address of an area where each base station is located, and an administrative area ID of an area where each base station is located. And a base station information mapping table for each administrative region, wherein the loc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identified as an administrative region I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행정구역 ID별로 관리되는 이동 통신 단말기 위치 정보 테이블은,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location information table manage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행정구역 ID별로 각 행정구역 ID를 위치 정보로 갖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식별 정보, 위치 정보가 업데이트된 시간,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를 파악하는 데에 사용된 과금 데이터의 종류를 나타내는 위치 등록 소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망에서 위치 정보 관리 시스템.Location registration source indicat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each administrative area ID as the location information for each administrative area ID, the time when the location information was updated, and the type of billing data used to determine the loc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osition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i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comprising a. 이동 통신 단말기가 이동 통신 서비스를 이용함에 따라 생성되는 과금 데이터를 과금 데이터 수집 서버에서 수신받아 상기 과금 데이터에서 이동 통신 서비스를 이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가 접속되어 있는 기지국 및 교환기(또는 데이터 서비스 노드) 식별 정보를 추출하는 과정과;The base station and the exchange (or data service node)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whic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nnec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th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is received from the charging data collection server by receiving the charging data generat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th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Extracting the process; 상기 추출된 기지국 및 교환기 식별 정보로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를 행정구역 ID로 파악한 후, 행정구역 ID로 파악된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행정구역 ID별로 관리되는 이동 통신 단말기 위치 정보 테이블에 업데이트하는 과정과;After the loc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identified as an administrative area ID by the extracted base station and exchange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termined as an administrative area ID is stored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location information table managed for each administrative area ID. Updating; 상기 행정구역 ID별로 관리되는 이동 통신 단말기 위치 정보 테이블에 업데이트가 발생할 때마다 상기 과금 데이터 수집 서버로부터 전송받은 업데이트 정보를 이용하여 가입자별로 관리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 테이블을 업데이트하는 과정과;Updating the location information tabl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anaged for each subscriber by using updat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billing data collection server whenever an update occurs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location information table managed for each administrative area ID;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의 특정 요일 및 시간대에 특정 지역에 위치해 있을 것으로 추정되는 가입자 리스트 요청에 따라 상기 가입자별로 관리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 테이블에 저장되어 있는 각 이동 통신 단말기의 과거 위치 정보를 기초로 상기 가입자 리스트를 추론하고, 추론된 가입자 리스트를 상기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서버로 제공하는 과정과;Past location information of each mobile terminal stored in the location information table of the mobile terminal managed for each subscriber according to the subscriber list request estimated to be located in a specific region at a specific day and time from the location-based service providing server. Inferring the list of subscribers based on the list, and providing the inferred subscriber list to the location-based service providing server; 상기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상기 가입자 리스트에 속해 있는 모든 이동 통신 단말기로 제공하고자 하는 정보를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이동 통신망에서 위치 정보 관리 방법.And transmitting the information to be provided from the location-based service providing server to al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belonging to the subscriber list.
KR1020070074501A 2007-07-25 2007-07-25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location information in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KR10110388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4501A KR101103886B1 (en) 2007-07-25 2007-07-25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location information in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4501A KR101103886B1 (en) 2007-07-25 2007-07-25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location information in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1174A KR20090011174A (en) 2009-02-02
KR101103886B1 true KR101103886B1 (en) 2012-01-12

Family

ID=406823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4501A KR101103886B1 (en) 2007-07-25 2007-07-25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location information in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3886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0538B1 (en) * 2010-08-30 2012-09-06 엔에이치엔비즈니스플랫폼 주식회사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geographical information of ip addres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85331B1 (en) 1997-08-30 2001-04-02 김진찬 Apparatus for forming statistics data in a private branch exchange
KR100292156B1 (en) 1998-06-15 2001-07-12 조정남 Usage data collection method and usange data collection and distribution apparatus using the same
KR20060012390A (en) * 2004-08-03 2006-02-08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Mobile satation with function of operating application on lacation based and method thereof
KR100642580B1 (en) 2005-01-13 2006-11-10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Method for generating traffic information using Call Detail Record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85331B1 (en) 1997-08-30 2001-04-02 김진찬 Apparatus for forming statistics data in a private branch exchange
KR100292156B1 (en) 1998-06-15 2001-07-12 조정남 Usage data collection method and usange data collection and distribution apparatus using the same
KR20060012390A (en) * 2004-08-03 2006-02-08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Mobile satation with function of operating application on lacation based and method thereof
KR100642580B1 (en) 2005-01-13 2006-11-10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Method for generating traffic information using Call Detail Recor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1174A (en) 2009-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29482B2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C car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program, and communication charge notification method
CN1711794B (en)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of route information in communication system
US8725107B2 (en) Method for sending emergency messages to mobile terminals
US8493944B2 (en) Terminal position managing server, access point, and call control server
PT2481227E (en) Subscriber identification management broker for fixed/mobile networks
KR20010071927A (en) Integration of voice and data services provided to a mobile wireless device
US10819845B2 (en) Country-specific telephone number system analysis system using machine learning technique, and telephone connection method using same
RU2365066C2 (en) Method and system for inclusion of information about location in ussd message using net point
KR101236880B1 (en) Mobile unit communication system, area management device, communication control device and communication method
KR101103886B1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location information in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KR20070073150A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location information of terminal
CN111903246B (en) High-mobility backbone communication system user sniffing method
KR102153219B1 (en) System for confirmation of Message and Caller Identification that has been sent to a mobile terminal where the 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removed and method thereof
KR20080024555A (en) Roaming service system and method to use payment in prepaid card
CN110381453B (en) Incoming call reminding method and system for one-number double-terminal
KR101082203B1 (en) Method of transmitting data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system thereof
KR100851582B1 (en)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long message to roamed terminal
KR100911932B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harging Data of Outbound Roaming Area and Home Location Register
KR20090126839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toring of transmission/receipt data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100718454B1 (en) System for distplaying called party location using location based service
WO2003043367A1 (en) Roaming in mms environment
US20130072151A1 (en) Exchange and communication management method
JP2016139842A (en) Position information distribution server, position information distribution method, position information distribution program, and position information transmission system
KR100408822B1 (en) Apparatus for handling the maintenance of a mobile tele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providing a data service therewith
KR101510300B1 (en) System for providing the information of changed number and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0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