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6557B1 - intergrated type processing control device of warning signal using Ubiquitous Sensor Network - Google Patents

intergrated type processing control device of warning signal using Ubiquitous Sensor Networ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6557B1
KR101096557B1 KR1020090046307A KR20090046307A KR101096557B1 KR 101096557 B1 KR101096557 B1 KR 101096557B1 KR 1020090046307 A KR1020090046307 A KR 1020090046307A KR 20090046307 A KR20090046307 A KR 20090046307A KR 101096557 B1 KR101096557 B1 KR 1010965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sensor
information
network
temper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630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00127947A (en
Inventor
박세화
황운섭
천수봉
김호
김동국
권순범
Original Assignee
지멘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멘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지멘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463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6557B1/en
Publication of KR201001279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794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65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655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00Systems for signalling characterised solely by the form of transmission of the signal
    • G08B1/08Systems for signalling characterised solely by the form of transmission of the signal using electric transmission ; transformation of alarm signals to electrical signals from a different medium, e.g. transmission of an electric alarm signal upon detection of an audible alarm signal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10Actuation by presence of smoke or gases, e.g. automatic alarm devices for analysing flowing fluid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69System arrangements wherein the object is to detect the exact location of child or item using a navigation satellite system, e.g. GP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77Communication between units on a local network, e.g. Bluetooth, piconet, zigbee,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 [WPA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한 통합형 경보 처리 제어장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감지 센서가 구비된 다수의 감지센서 모듈과; 상기 감지센서 모듈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감지센서 모듈 네트워크 간의 통신을 통해 확인되는 감지 정보들을 제어부에 전달하는 코디네이터(coordinator) 모듈을 포함하는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한 통합형 경보 처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다수의 감지센서 모듈과 네트워킹 연결된 상기 코디네이터 모듈을 통해 상기 각 감지센서 모듈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각 감지센서 모듈의 위치를 분석하는 위치분석모듈과; 상기 각 감지센서 모듈에 구비된 감지센서들로부터 감지된 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통해 각 지점의 온도 정보를 분석하는 온도분석모듈과; 상기 각 감지센서 모듈에 구비된 감지센서들로부터 감지된 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통해 각 지점의 가스누설 정보를 분석하는 가스누설분석모듈과; 상기 온도분석모듈 또는 가스누설분석모듈에 의해 분석된 값 및 메모리에 기 저장된 기준값을 비교하여 경보 발생 여부를 제어하는 경보발생모듈이 포함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Integrated alarm processing control apparatus using a ubiquitous sensor net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sensing sensor module is provided with at least one sensing sensor; An integrated alarm processing system using a ubiquitous sensor network including a coordinator module connected to the sensor module by wire or wirelessly and transferring detection information identified through communication between the sensor sensor module networks to a controller. The control unit may include: a position analysis module configured to receive position information of each sensing sensor module through the coordinator module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sensing sensor modules and analyze the position of each sensing sensor module; A temperature analysis module for receiving the detected information from the detection sensors provided in each of the detection sensor modules and analyzing the temperature information of each point through this; A gas leakage analysis module for receiving the detected information from the detection sensors provided in each detection sensor module and analyzing the gas leakage information of each point through the detection information; And an alarm generation module for controlling whether or not an alarm is generated by comparing the value analyzed by the temperature analysis module or the gas leakage analysis module with a reference value pre-stored in the memory.

Description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한 통합형 경보 처리 제어장치{intergrated type processing control device of warning signal using Ubiquitous Sensor Network} Integrated type processing control device of warning signal using Ubiquitous Sensor Network}

본 발명은 경보 처리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화재, 가스누설탐지, 침입경보 등의 경보 신호를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검출하는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한 통합형 경보 처리 시스템에 구비되는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larm processing control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ntrol device provided in an integrated alarm processing system using a ubiquitous sensor network that detects an alarm signal such as fire, gas leakage detection, and intrusion alarm in real time using a ubiquitous sensor network. It is about.

현대사회의 복잡한 생활여건으로 인하여 공동 생활시설, 플랜트 생산시설, 위험시설은 특정지역에 밀집 분포될 수 밖에 없는 상황에 있으며, 전력, 통신, 가스, 지역난방, 급배수 설비 등의 생활 시설들은 지하공동구에 집합되어 일괄 설치되는 추세에 있다. 또한 지하공동구와 유사한 건축구조라 할 수 있는 도로 터널은 우리나라의 지질학적 구조에 따라 물류비용 절감 및 자연보호라는 문제의 해결을 위하여 건설이 급증하고 있는 실정이다.Due to the complicated living conditions of modern society, common living facilities, plant production facilities, and dangerous facilities are inevitably distributed in specific areas, and living facilities such as power, communication, gas, district heating, and water supply and drainage facilities are underground. There is a tendency to collectively install them in the common ward. In addition, road tunnels, which are similar to underground tunnels, are rapidly expanding to solve the problems of reducing logistics costs and protecting nature, depending on the geological structure of Korea.

이러한 건축물은 다양한 종류의 위험물을 저장 및 취급하고 있으며 사회적으로 매우 중요한 시설물인 관계로 일단의 재해가 발생할 경우에는 엄청난 규모의 피 해가 전체 사회로 확산될 것을 충분히 예상하면서도, 환경적 특징이라고 할 수 있는 습기나 먼지의 과다한 체류, 다양한 기류의 변화, 그리고 무엇보다도 현장의 접근이 용이하지 못하여 유지보수업무의 효율성을 기대하기 어렵다는 이유로 그 중요성에 비하여 마땅히 적합한 경보처리 시스템을 설치하지 못하였다. As these buildings store and handle various kinds of dangerous goods and are very important social facilities, it is an environmental feature, while fully anticipating the spread of enormous damage to the entire society in the event of a disaster. Due to the excessive retention of moisture and dust, various air flow changes, and, above all, the inaccessibility of the site, it was difficult to expect the efficiency of maintenance work.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건축물 등의 화재, 가스 누설 감시, 침임 경보 등에 대하여 감지 센서를 이용하는 경보처리 시스템을 설계하였으나, 이는 통합적으로 운영되지 못하였을 뿐 아니라 각 감지 센서의 감지범위가 넓지 않기 때문에 넓은 지역의 감시를 위해 매우 많은 수의 센서를 설치해야 하고, 이로 인해 과대한 설치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또한, 이렇게 설치된 센서는 공동구나 도로 터널의 환경이 습기와 먼지가 많은 장소로 센서의 고장으로 수명이 짧아 유지 보수 비용과 교체 비용이 많이 드는 단점이 있어 왔다.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n alarm processing system using a detection sensor is designed for fire, gas leakage monitoring, and invasion alarm of a building, etc., but this is not only integrated but also because the detection range of each sensor is not wide. In order to monitor the area, a very large number of sensors have to be installed, which leads to excessive installation costs. Also, the sensor is installed in a cavity or a road tunnel where the environment of moisture and dust is high. Its shortcomings have shortcomings, resulting in high maintenance and replacement costs.

본 발명은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킹이 가능한 감지 센서 모듈을 감시 대상물의 전체 구간에 걸쳐 일정한 간격 또는 랜덤하게 배열하고, 이를 통해 상기 감시 대상물 전체 구간에서 감지되는 화재, 가스누설탐지, 침입경보 등의 경보 신호를 실시간으로 검출하여 표시함으로써, 보다 정밀하고 신속한 경보 신호 처리를 가능케 하는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한 통합형 경보 처리 시스템에 구비되는 제어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arranges a sensing sensor module capable of ubiquitous sensor networking at regular intervals or randomly over the entire section of the monitored object, and thereby detects alarm signals such as fire, gas leak detection, and intrusion alarm detected in the entire section of the monitored object.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ntrol device provided in an integrated alarm processing system using a ubiquitous sensor network that enables detection and display in real time, thereby enabling more precise and rapid alarm signal processing.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한 통합형 경보 처리 제어장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감지 센서가 구비된 다수의 감지센서 모듈(100)과; 상기 감지센서 모듈(100)과 무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감지센서 모듈(100) 네트워크 간의 통신을 통해 확인되는 감지 정보들을 제어부(300)에 전달하는 코디네이터(coordinator) 모듈(200)을 포함하는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한 통합형 경보 처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다수의 감지센서 모듈(100)과 네트워킹 연결된 상기 코디네이터 모듈(200)을 통해 상기 각 감지센서 모듈(100)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각 감지센서 모듈(100)의 위치를 분석하는 위치분석모듈(351)과; 상기 각 감지센서 모듈(100)에 구비된 감지센서들로부터 감지된 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통해 각 지점의 온도 정보를 분석하는 온도분석모듈(352)과; 상기 각 감지센서 모듈(100)에 구비된 감지센서들로부터 감지된 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통해 각 지점의 가스누설 정보를 분석하는 가스누설분석모듈(353)과; 상기 온도분석모듈(352) 또는 가스누설분석모듈(353)에 의해 분석된 값 및 메모리에 기 저정된 기준값을 비교하여 경보 발생 여부를 제어하는 경보발생모듈(354)이 포함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n integrated alarm processing control apparatus using a ubiquitous sensor net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sensing sensor modules 100 including at least one sensing sensor; A ubiquitous sensor network including a coordinator module 200 that is wirelessly connected to the sensor sensor module 100 and transmits the detected information to the controller 300 through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sensor network and the sensor sensor 100. In the integrated alarm processing system using the, the control unit 300, by receiving the position information of each sensor module 100 through the coordinator module 200 connected to the network of the plurality of sensor sensors 100 A position analysis module 351 for analyzing the position of each detection sensor module 100; A temperature analysis module 352 for receiving the detected information from the detection sensors provided in the respective detection sensor modules 100 and analyzing the temperature information of each point through this; A gas leakage analysis module 353 for receiving the detected information from the detection sensors provided in each detection sensor module 100 and analyzing the gas leakage information at each point through the detection information; And an alarm generation module 354 for controlling whether or not an alarm is generated by comparing the value analyzed by the temperature analysis module 352 or the gas leakage analysis module 353 and a reference value preset in the memory. .

여기서, 상기 제어부(300)로부터 감지 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미리 저장된 감시대상물 이미지에 맵핑하여, 감시대상물의 구역별 사고 발생 여부를 그래픽으로 출력하는 그래픽표시장치(700)가 더 포함된다.The graphic display apparatus 700 may further include a graphic display device 700 which receives sensing information from the control unit 300, maps it to a pre-stored surveillance object image, and graphically outputs whether an accident occurs for each region of the surveillance object.

또한, 상기 감지센서 모듈(100)에는 온도, 연기, 가스 누출, 외부인 침입을 감지할 수 있는 제 1 내지 제 4 감지 센서들이 각각 구비된다.In addition, the detection sensor module 100 is provided with first to fourth detection sensors that can detect the temperature, smoke, gas leakage, outside intrusion.

또한, 상기 감지센서 모듈(100)과 코디네이터 모듈(200)은 지그비 무선 통신 시스템에 의한 메쉬 네트워크를 구현한다.In addition, the sensor module 100 and the coordinator module 200 implements a mesh network by the Zigbe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또한, 상기 코디네이터 모듈(200)은 상기 감지센서 모듈(100) 간의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확인되는 위치 정보를 제어부(300)에 제공한다. In addition, the coordinator module 200 provides the control unit 300 with location information that is identified through a wireless network between the detection sensor modules 100.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킹이 가능한 감지 센서 모듈을 감시 대상물의 전체 구간에 걸쳐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하고, 이를 통해 상기 감시 대상물 전체 구간에서 감지되는 화재, 가스누설탐지, 침입경보 등의 경보 신호를 실시간으로 검출하여 표시함으로써, 보다 정밀하고 신속한 경보 신호 처리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ection sensor module capable of ubiquitous sensor networking is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over the entire section of the monitoring object, through which the alarm, such as fire, gas leakage detection, intrusion alarm detected in the entire section of the monitoring object By detecting and displaying a signal in real time, there is an advantage that a more precise and rapid alarm signal processing is possible.

또한, 분석된 경보 신호를 그래픽 정보와 아날로그 정보로 출력함으로써, 효과적인 경보 처리가 가능하고, 다수의 감지 센서가 메쉬 네트워크로 연결됨으로써 광범위한 지역에 대한 통합 관리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Also, by outputting the analyzed alarm signal as graphic information and analog information, effective alarm processing is possible, and multiple detection sensors are connected to a mesh network, thereby enabling integrated management of a wide range of regions.

센서 네트워크 및 WPAN 기술은 다양한 정보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들을 네트워크화 하여 서로 통신 가능하게 함으로써 각 센서들이 통신 노드로 동작하도록 하는 기술이다. WPAN 기술은 ZigBee, 무선IEEE1394, UWB, 블루투스 등의 근거리 통신수단을 이용한 네트워킹 기술이다.Sensor network and WPAN technology is a technology that allows each sensor to operate as a communication node by networking sensors capable of sensing various information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WPAN technology is a networking technology using short-range communication means such as ZigBee, wireless IEEE1394, UWB, and Bluetooth.

이러한 센서 네트워크 및 WPAN 기술은 모든 사물에 센싱, 컴퓨팅 및 통신 기능을 탑재하여 언제 어디서나 정보를 처리, 제공하는 유비쿼터스 서비스를 구현할 것이며, 국가 정책적인 미래의 IT 인프라 기술로 선정되었고 집중적으로 육성 지원 중이다. Such sensor network and WPAN technology will implement ubiquitous service that processes and provides information anytime and anywhere by embedding sensing, computing and communication functions in all things, and has been selected as the national policy future IT infrastructure technology and is intensively supported.

무선 통신에 기반한 WPAN 구현은 긍극적으로 인간의 생활공간, 기기, 기계 등 모든 사물에 컴퓨팅 기능과 네크워크 기능을 부여하여, 환경과 상황 자동인지를 통해 인간에게 최적의 기능을 스스로 창출해 제공할 수 있다. WPAN implementation based on wireless communication can ultimately give computing and network functions to all things, such as human living space, devices, and machines, and can create and provide optimal functions to humans through automatic recognition of environment and situation. have.

다시 말해, 초소형 무선장치가 다양한 센서에 내장되어 센서 간에 자율적으로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무선으로 정보유통 및 고도화된 서비스를 실현하는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Ubiquitous Sensor Network, USN) 서비스를 실현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지속적으로 다양한 용도에 응용할 수 있는 센서 네트워크 및 WPAN 기술의 연구와 상용화의 노력은 계속되고 있다.In other words, an ultra-small wireless device is embedded in various sensors to autonomously form a network between the sensors, and to realize a ubiquitous sensor network (USN) service for realizing information distribution and advanced services over the air. Therefore, the research and commercialization of sensor network and WPAN technology that can be continuously applied to various applications are continuing.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화재, 가스누설탐지, 침입경보 등의 경보 신호를 실시간으로 검출하는 통합형 경보 처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integrated alarm processing system for detecting alarm signals such as fire, gas leakage detection, intrusion alarm, and the like in real time using such a ubiquitous sensor network.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의한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한 통합형 경보 처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2는 지그비 무선 통신 시스템을 채용하는 무선 네트워크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integrated alarm processing system using a ubiquitous sensor net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wireless network employing a Zigbe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의한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한 통합형 경보 처리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감지 센서가 구비된 다 수의 감지센서 모듈(100)과; 상기 감지센서 모듈(100)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감지센서 모듈(100) 네트워크 간의 통신을 통해 확인되는 감지 정보들을 제어부(300)에 전달하는 코디네이터(coordinator) 모듈(200)과; 상기 코디네이터 모듈(200)로부터 전달받은 감지 정보를 통해 경보장치(400), 자동소화설비(500), 제연설비(600) 및 가스 차단기(70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300)가 포함되어 구성된다.Referring to FIG. 1, an integrated alarm processing system using a ubiquitous sensor net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sensing sensor modules 100 including at least one sensing sensor; A coordinator module 200 connected to the sensor sensor module 100 by wire or wirelessly and transmitting the detected information to the control unit 300 through communication between the sensor network and the network; A control unit 300 is configured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alarm device 400, the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facility 500, the ventilation system 600, and the gas circuit breaker 700 through the detec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coordinator module 200. do.

이 때, 상기 제어부(3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스템 확장을 위해 여러개가 네트워크로 연결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300)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코디네이터 모듈(200)이 연결되어 있다. 제어부(300)와 코디네이터 모듈(200)와의 네트워크에는 여러 형태의 모듈이 구성될 수 있다. 이런 네트워크의 구성은 RS485 통신방식을 통해 1:N 의 통신 을 많이 적용하고 있다. In this case, as shown in FIG. 1, the controller 300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networks for system expansion, and at least one coordinator module 200 is connected to the controller 300. Various types of modules may be configured in the network between the control unit 300 and the coordinator module 200. In this network, 1: N communication is widely used through RS485 communication.

특히, 상기 제어부(300)가 2 이상으로 구성되며, 서로 원격 네트워크으로 구성되는 경우 시간 동기화 문제가 매우 중요하다. 이를 위해 제어부(300)와 복수의 코디네이터 모듈(200)을 연결하는 네트워크에 GPS모듈(310)이 하나의 노드로 추가되어 상기 복수의 제어부(300) 간의 시각을 동기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particular, when the control unit 300 is composed of two or more, and composed of a remote network with each other, the time synchronization problem is very important. To this end, it is preferable that the GPS module 310 is added as a node to a network connecting the control unit 300 and the plurality of coordinator modules 200 to synchronize the time between the plurality of control units 300.

그리고, 복수의 감지 센서 모듈(100)들은 각각의 감지 대상물에 설치되는데, 상기 감지 대상물이 여러 지역에 분산된 경우에는 각 지역의 감지 대상물을 네트워크로 연결함에 있어서 각 지역의 감지 대상물로부터 감지된 신호를 코디네이터 모듈(200)로부터 제어부(300)로 전송시 발생하는 시간차를 보정하기 위해 GPS 모듈(310)을 이용하여 복수의 코디네이터 모듈간(200)간의 시각 및 제어부(300)의 시 각을 동시화시킬 필요가 있다. In addition, the plurality of sensing sensor modules 100 are installed in respective sensing objects. When the sensing objects are distributed in several regions, a signal detected from the sensing objects of each region in connecting the sensing objects of each region to a network. In order to correct the time difference generated when the coordinator module 200 is transmitted from the coordinator module 200 to the control unit 300, the time between the coordinator modules 200 and the time between the control unit 300 may be synchronized. There is a need.

즉, 예를 들면 대학 캠퍼스 내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통합형 경보 시스템을 설치할 경우 서울의 캠퍼스와 지방의 캠퍼스를 각각의 감지 대상물로 하게 되면 각 감지 대상물로부터 감지된 신호를 코디네이터 모듈(200)이 제어부(300)로 전송하는 경우, 각 코디네이터 모듈(200)과 제어부(300) 사이의 위치가 다르기 때문에 각 제어부(200)에 설정된 고유 시각에 차이가 발생할 수 있고, 이러한 경우 화재, 연기, 침입, 가스누출이 감지된 정확한 시각을 파악하지 못하게 되어 감지 정보의 신뢰성을 보장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이를 극복하기 위해 GPS 위성으로부터 수신된 표준시각 정보를 기준으로 하여 각 제어부(200)간의 시각 및 코디네이터 모듈들 간의 시각 동기를 위해 상기 GPS 모듈(310)을 추가 구비하는 것이다.That is, for example, when the integrated alarm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the university campus, the coordinator module 200 may detect the signals detected from each detection object when the campus and the local campus of Seoul are the respective detection objects. When transmitting to the control unit 300, since the position between each coordinator module 200 and the control unit 300 is different, there may be a difference in the unique time set in each control unit 200, in this case, fire, smoke, intrusion, It is not possible to determine the exact time at which the gas leak is detected, and thus the reliability of the detected information cannot be guaranteed. Therefore, in order to overcome this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the GPS module 310 for synchronizing the time between each control unit 200 and the time coordinator modules based on the standard tim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GPS satellites. will be.

상기 GPS 모듈(310)은 지구상에 고정된 위치에 있는 여러개의 인공위성에서 보내오는 신호를 통해 위도, 경도 등 위치 계산 뿐 아니라 표준시각 정보를 계산할 수 있으므로 이를 활용하여 제어부(200)의 시각 동기화를 실현할 수 있는 것이다. The GPS module 310 may calculate standard time information as well as position calculation such as latitude and longitude through signals from a plurality of satellites located at a fixed position on the earth, thereby realizing the time synchronization of the control unit 200. It can be.

여기서, 상기 GPS 모듈(310)은 GPS 위성으로부터 표준시각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정보는 네트워크에 연결된 복수의 코디네이터 모듈(200) 및 제어부(300)로 전송된다. 각 코디네이터 모듈(200) 및 제어부(300)의 중앙처리장치(미도시)에서는 기 설정된 시각을 GPS 모듈(310)로부터 전달받은 표준시각 정보로 실시간 리셋함으로써, 복수의 코디네이터 모듈(200) 및 제어부(300)의 시각이 상호 동기화된다. Here, the GPS module 310 receives standard time information from the GPS satellites, and the received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plurality of coordinator modules 200 and the controller 300 connected to the network. In the central processing unit (not shown) of each coordinator module 200 and the control unit 300 by real-time reset to the standard tim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GPS module 310, a plurality of coordinator module 200 and the control unit ( The time of 300 is synchronized with each other.

한편, 상기 제어부(300)는 방재실 등에 설치된 그래픽표시장치(800)에 상기 감지 정보들을 전송하며, 상기 그래픽표시장치(800)는 제어부(300)로부터 온도정보, 위치정보, 및 경보신호들을 수신하고, 이를 미리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과 상기 감지센서 모듈(100)이 설치된 위치에 대한 실제 지도 모형 데이터를 기초로, 감지 대상물의 구역별 온도 분포와 화재 발생 여부, 가스 누설 여부, 외부인 침입 여부 등을 그래픽을 이용하여 출력한다. The control unit 300 transmits the sensing information to the graphic display device 800 installed in the disaster prevention room, and the graphic display device 800 receives temperature information, location information, and alarm signals from the control unit 300. Based on the pre-stored various programs and the actual map model data of the location where the detection sensor module 100 is installed, the graphic shows the temperature distribution of each object to be detected, the presence of fire, the presence of gas, and the intrusion of outsiders. Output using

또한, 상기 그래픽 표시장치(800)에는 다수의 로컬 단말기(900)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이를 통해 상기 로컬 단말기(900)가 설치된 외부에서도 상기 그래픽 표시장치(800)에서 출력하는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In addition, a plurality of local terminals 900 are connected to the graphic display device 800 by wire or wirelessly, through which the information output from the graphic display device 800 is output even when the local terminal 900 is installed. It can be acquired.

여기서, 상기 제어부(300)는 코디네이터 모듈(200)로부터 수신한 감지 정보(온도정보, 위치정보, 경보신호 등)들을 기초로, 건물 또는 터널 등 감시 대상물 내외부에 설치된 경종, 싸이렌, 시각경보기 등의 경보장치(400)에 화재 경보 등을 발령할 수 있으며, 이와 아울러, 상기 제어부(300)는 화재 발생 감지시 화재 감시대상물에 설치된 스프링쿨러나 소화전 등 자동소화설비(500) 및/또는 제연댐퍼와 송풍기와 같은 제연설비(600) 등의 소방설비의 작동을 원격 제어하고, 가스 누출 사고 발생 감지시 감시 대상물에 설치된 가스 차단기(700)의 작동을 원격 제어한다.Here, the control unit 300 is based on the detection information (temperature information, location information, alarm signal, etc.) received from the coordinator module 200, such as the bell, sirens, visual alarms, etc. installed inside and outside the monitoring object such as a building or tunnel A fire alarm may be issued to the alarm device 400.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300 may include an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system 500 and / or a smoke damper such as a sprinkler or a fire hydrant installed on a fire monitoring object when a fire is detected. It remotely controls the operation of fire-fighting equipment, such as a ventilation device 600, such as a blower, and remotely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gas circuit breaker 700 installed in the monitoring object when a gas leakage accident is detected.

상기 감지센서 모듈(100)은 무선 네트워크 또는 유선 네트워크로 구현될 수 있는데, 무선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구성요소로 이루어질 경우에는 감지센서 모듈(100)로 구현된다. 또한, 유선 네트워크로 구현될 경우에는 광선로를 이용한 광 센서감지기로 구현됨이 바람직하다. The sensing sensor module 100 may be implemented as a wireless network or a wired network. When the sensing sensor module 100 is formed of components constituting the wireless network, the sensing sensor module 100 may be implemented. In addition, when implemented in a wired network, it is preferable that the optical sensor is implemented using an optical path.

또한, 상기 다수의 감지센서 모듈(100)은 무선 네트워크를 구현하는 구성요소로서, 이는 무선 네트워크를 연결하여 정보를 주고받을 때 송신정보(패킷: packet)에 담긴 수신처의 주소를 읽고 가장 적절한 통신통로를 이용하여 전송하는 장치이며, 상기 감지센서 모듈(100)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화재, 가스 누출, 외부인 침입 등을 감지할 수 있는 제 1 내지 제 n감지 센서들이 구비된다.  In addition, the plurality of sensor module 100 is a component that implements a wireless network, which reads the address of a destination contained in transmission information (packet: packet) when connecting and transmitting information by connecting a wireless network to the most appropriate communication path. It is a device for transmitting using, and the detection sensor module 100 is provided with first to n-th detection sensors that can detect a fire, gas leakage, outsider intrusion, respectively, as shown in FIG.

이 때, 상기 화재 감지 센서는 보다 구체적으로 온도 감지 센서와, 연기 감지 센서로 구분된다. In this case, the fire detection sensor is more specifically classified into a temperature sensor and a smoke detection sensor.

상기 온도 감지 센서와 연기 감지 센서는 각각 온도나 연기농도를 측정하는 센서로서, 각각 온도 및 연기 농도를 측정하여 온도 아날로그신호와 연기농도 아날로그신호를 출력한다. 특히 상기 연기 감지 센서는 먼지가 적은 곳에서는 광전식이 적합하며, 먼지가 많은 곳은 이온화식이 적합하다. 예컨대, 광전식 연기 감지 센서는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93-22221호에, 이온화식 연기 감지 센서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1980-000494호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온도 감지 센서와 연기 감지 센서는 그 구성이 공지된 것이어서 본원에서는 이에 대한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The temperature sensor and the smoke sensor are sensors for measuring temperature or smoke concentration, respectively, and output a temperature analog signal and a smoke concentration analog signal by measuring temperature and smoke concentration, respectively. In particular, the smoke detection sensor is suitable for photoelectric where the dust is small, the ionization type is suitable for the dusty place. For example, the photoelectric smoke detection sensor is disclosed in Republic of Korea Utility Model No. 93-22221, the ionization smoke detection sensor in Korea Utility Model Model No. 1980-000494. Since the configuration of the temperature sensor and the smoke sensor is know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herein.

또한, 상기 코디네이터 모듈(200)은 일종의 중계기로서, 상기 감지센서 모듈(100) 간의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확인되는 감지 정보들을 제어부(300)에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In addition, the coordinator module 200 is a kind of repeater, and serves to provide the control unit 300 with sensing information identified through a wireless network between the sensing sensor modules 100.

즉, 예컨대, 상기 감지센서 모듈(100)은 각 센서에 근거리 무선통신을 위한 지그비송신기가 결합된 상태로 구성되며, 상기 코디네이터 모듈(200)에는 지그비수신기가 구비되어 감지센서 모듈(100)로부터 감지된 신호를 무선으로 전달받을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at is, for example, the detection sensor module 100 is configured in a state in which a Zigbee transmitter for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is coupled to each sensor, the coordinator module 200 is provided with a Zigbee receiver is detected from the detection sensor module 100 It can be configured to receive the received signal wirelessly.

그리고,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코디네이터 모듈(200)과 연결되는 각각의 감지센서 모듈(100) 간의 통신을 제어하는 역할도 수행한다. The controller 300 also controls communication between the respective sensor sensors 100 connected with the coordinator module 200.

이하 설명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감지센서 모듈(100) 및 코디네이터 모듈(200)이 무선 네트워크를 구성함을 그 예로 설명하도록 한다.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below, for the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sensor module 100 and the coordinator module 200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of configuring a wireless network.

상기 감지센서 모듈(100)은 서로 다른 프로토콜로 운영하는 통신망에서 정보를 전송하기 위해 경로를 설정하는 역할을 제공하는 통신장비로서, 단순히 통신망을 연결해주는 브리지(bridge) 기능에 추가하여 경로 배정표에 따라 다른 통신망을 인식하여 경로를 배정하며, 수신된 패킷에 의하여 다른 통신망 또는 자신이 연결되어 있는 통신망 내의 수신처(노드)를 결정하여 여러 경로 중 가장 효율적인 경로를 선택하여 패킷을 보낸다. 통신 흐름을 제어하며 통신망 내부에 여러 보조 통신망을 구성하는 등의 다양한 통신망 관리기능을 수행한다. The sensing sensor module 100 is a communication device that provides a role of setting a path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in a communication network operating with different protocols, and in addition to a bridge function for simply connecting a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a route assignment table. It recognizes other communication networks and assigns routes, and determines the destination (node) in another communication network or the communication network to which it is connected based on the received packets, and selects the most efficient route among the various paths and sends the packet. It controls the communication flow and performs various communication network management functions such as configuring various auxiliary communication networks in the communication network.

이와 같은 감지센서 모듈의 장점은 통신환경의 설정을 가능하게 하여 관리 방침에 따라 라우팅 방식을 결정하여 전체 네트워크의 성능을 개선토록 할 수 있다. 또한, 표준 논리에 따라 통신방법이 자동으로 결정되므로 유지보수가 용이하고, 통신방법에 구애 받지 않으므로 대규모 통신망을 쉽게 구성할 수 있으며, 다양한 경로를 따라 통신량(트래픽: traffic)을 분산할 수 있다. The advantage of such a sensor module is to enable the setting of the communication environment and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the entire network by determining the routing method according to the management policy. In addition, since the communication method is automatically determined according to the standard logic, maintenance is easy, and regardless of the communication method, a large-scale communication network can be easily configured, and traffic (traffic) can be distributed along various paths.

따라서, 감지 대상물에 대해 일정하게 또는 랜덤하게 상기 감지센서 모듈(100)이 설치되면, 특정 위치에 형성된 감지센서 모듈(100)에서 송출되는 감지 정보 및 위치 정보를 이에 인접한 감지센서 모듈(100)이 입력받아 상기 코디네이터 모듈(200)을 통해 상기 제어부(300)에서 상기 특정 위치의 감지센서 모듈의 정확한 위치와 상기 감지센서 모듈에서 제공하는 감지정보를 취득하게 된다.Therefore, when the sensing sensor module 100 is constantly or randomly installed on a sensing object, the sensing sensor module 100 adjacent to the sensing information and the position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sensing sensor module 100 formed at a specific position are located. The controller 300 acquires the correct position of the sensor module of the specific position and the sensing information provided by the sensor module through the coordinator module 200.

본 발명에 적용되는 각각의 감지센서 모듈(100) 및/또는 코디네이터 모듈(200) 간의 무선 네트워크는 지그비(ZigBee) 무선통신 시스템과, 무선랜 통신 시스템과, RFID 통신 시스템, 블루투스 통신 시스템 등을 채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특히 상기 무선 네트워크는 확장성과 호환성이 우수하고, 낮은 소모 전력이 구현되는 지그비 무선통신 시스템을 통해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The wireless network between each sensor sensor module 100 and / or coordinator module 200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employs a ZigBe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 wireless LAN communication system, an RFID communication system, a Bluetooth communication system, and the like. In particular, the wireless network is preferably made through a Zigbe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that is excellent in scalability and compatibility, and low power consumption.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무선 네트워크는 지그비 무선통신 시스템을 채용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Therefor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ireless network will be described as employing a Zigbe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상기 지그비 무선통신 시스템은 근거리 통신을 지원하는 IEEE 802.15.4 표준 중 하나로서 가정, 사무실 등의 무선 네트워킹 분야에서 10~20미터 내외의 근거리 통신과 유비쿼터스 컴퓨팅을 위한 세계 무선통신의 표준규격의 기술이다. The ZigBe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is one of the IEEE 802.15.4 standards supporting near field communication. The Zigbe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is a technology of the world wireless communication standard for near field communication and ubiquitous computing in the field of wireless networking such as home and office. .

지그비 무선통신 시스템은 저전력, 저가격, 낮은 데이터비율, 다수의 네트워크 노드 지원, 단순한 프로토콜 구조, 긴 배터리(battery) 수명이 특징이다. 또 3개의 주파수 대역을 사용해 최대 100미터까지 20~50kbps 의 전송속도를 지원하며 2.4GHz에서 하나의 무선 네트워크에 대해, 상기 제어 컴퓨터에 연결된 지그비 코디네이터(coordinator) 모듈의 연결이 가능하고, 상기 코디네이터 모듈에 무선 또는 유선으로 연결되는 다수의 지그비 라우터 모듈로 이루어진 노드를 확장해 연결할 수 있다.ZigBee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s feature low power, low cost, low data rates, support for multiple network nodes, simple protocol architecture, and long battery life. It also supports transmission rates of 20 to 50kbps up to 100 meters using three frequency bands, and can connect a ZigBee coordinator module connected to the control computer to one wireless network at 2.4 GHz. You can expand and connect nodes that consist of multiple ZigBee router modules that connect wirelessly or wired to.

상기 지그비 무선통신 시스템은 866MHz또는 915MHz 중주파 영역의 주파수에서 2.4GHz의 고주파 영역의 주파수까지 사용하며, 이는 각각의 라우터 모듈에서 출력되는 정보를 검출하는 노드가 많고 확장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엔드(end) 포인트 개수가 기존의 무선랜 또는 RFID에 비해 월등히 많다.The Zigbe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es a frequency of 866MHz or 915MHz mid-frequency range up to a frequency of 2.4GHz high-frequency range, which is end because there are many nodes and excellent scalability for detecting information output from each router module The number of points is much higher than that of conventional WLAN or RFID.

예컨대, 상기 지그비 무선통신 시스템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코디네이터 모듈(200)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다수개의 감지센서 모듈(100)이 무선으로 확장 연결되는 스타(star) 구조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코디네이터 모듈(200)을 중심으로 일 방향으로 다수개의 감지센서 모듈(100)이 무선 확장 연결되는 클러스터 트리(cluster tree) 구조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코디네이터 모듈(200)을 중심으로 다수개의 감지센서 모듈(100)이 무선 확장 연결되면서 상호 교차 연결되는 메쉬(mesh) 구조를 갖도록 설계될 수 있다. For example, as shown in FIG. 2, the Zigbe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includes a star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sensor modules 100 are radially connected to a plurality of radially around at least one coordinator module 200. A cluster tree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sensing sensor modules 100 are wirelessly extended in one direction about at least one coordinator module 200, and a plurality of sensing centers on at least one coordinator module 200. The sensor module 100 may be designed to have a mesh structure that is wirelessly connected and cross-connected with each other.

이 때, 상기 감지센서 모듈(100)은 상기 코디네이터 모듈(200)에서 각 감지 대상물까지의 거리가 먼 경우, 상기 코디네이터 모듈(200)로부터 인접하게 위치한 다수개의 감지센서 모듈(100)을 통해 멀티 홉핑(multi-hopping)을 구현하기 위해 중계기 역할을 하면서 다기능 라우터의 기능을 구현한다. In this case, when the distance from the coordinator module 200 to each sensing object is far from the coordinator module 200, the sensing sensor module 100 may multi-hop through a plurality of sensing sensor modules 100 adjacent to the coordinator module 200. It acts as a repeater to implement multi-hopping and implements the functions of a multifunction router.

본 발명의 실시예의 경우 상기 감지센서 모듈(100)의 위치를 파악하기 위한 정보로 각각의 감지센서 모듈로부터 얻어지는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신호를 활용한다. 즉, 상기 RSSI 값이 감지센서 모듈(100)간의 거리가 가까울수록 커짐을 활용하여 위치를 파악하고자 하는 감지센서 모듈(100)의 위치를 보다 신속하고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는 것이다.In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RSSI signal received from each sensor module is used as information for determining the position of the sensor module 100. That is, as the RSSI value increases as the distance between the sensing sensor modules 100 increases, it is possible to more quickly and accurately determine the position of the sensing sensor module 100 to determine the position.

또한, 이러한 지그비 무선통신 시스템은 무선랜 통신 시스템과 RFID 통신 시스템에 비해 평균 전류가 월등하게 낮기 때문에 지그비 라우터 모듈에 탑재되는 전원 보조장치(battery)수명이 수개월에서 1년 정도의 전원전압 프로파일(power profile)을 갖는다.In addition, since the ZigBe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has a significantly lower average current than the WLAN communication system and the RFID communication system, a power supply voltage profile of several months to one year is required for a power battery life mounted in the Zigbee router module. profile).

여기서, 상기 지그비 무선통신 시스템의 상세한 구성 회로는 지그비 국제 표준화 단체인 지그비 얼라이언스(ZigBee alliance)에서 이미 공지된 기술로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Here, a detailed configuration circuit of the ZigBe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is a technique already known from ZigBee alliance, a ZigBee International Standardization Organization,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제어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control unit illustrated in FIG. 1.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300)는 위치분석모듈(351), 온도분석모듈(352), 가스누설분석모듈(353), 경보발생모듈(354), 온도설정모듈(356), 그리고 통신모듈(358)을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3, the controller 300 includes a position analysis module 351, a temperature analysis module 352, a gas leakage analysis module 353, an alarm generation module 354, a temperature setting module 356, and communication. Module 358.

상기 위치분석모듈(251)은 앞서 도 2를 통해 설명한 바와 같이 다수의 감지센서 모듈(100)과 네트워킹 연결된 상기 코디네이터 모듈(200)을 통해 상기 각 감지센서 모듈(100)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각 감지센서 모듈(100)의 위치를 분석한다.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2, the position analysis module 251 receives position information of each sensor module 100 through the coordinator module 200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sensor sensor modules 100. Analyze the position of the sensor module 100.

또한, 온도분석모듈(352) 및 가스누설분석모듈(353)은 각각 감지센서 모듈(100)에 구비된 감지센서들로부터 감지된 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통해 각 지점의 온도 및 가스 누설 정도를 분석하는 역할을 한다. In addition, the temperature analysis module 352 and the gas leakage analysis module 353 respectively receive information detected from the detection sensors provided in the detection sensor module 100 to analyze the temperature and the degree of gas leakage at each point through this. Play a role.

이러한 구성을 통하여, 감지센서 모듈(100)의 전체 구간에 걸친 실시간 온도 측정, 가스누설 측정 등에 의해 화재 발생 여부, 가스 누설 여부 등의 판단이 가능하게 된다.Through such a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a fire occurs, gas leakage, etc. by real-time temperature measurement, gas leakage measurement, etc. over the entire section of the sensor module 100.

상기 경보발생모듈(354)은 온도분석모듈(352)에 의하여 산출된 온도값(이하, '산출온도값'이라 칭함)과 메모리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화재 발생 경고 기준 온도값(이하, '경보발생기준값')을 서로 비교하여, 산출온도값이 경보발생기준값 보다 큰 경우 화재경보신호를 발생한다.The alarm generation module 354 is a temperature value calculated by the temperature analysis module 352 (hereinafter, referred to as 'calculation temperature value') and the fire occurrence warning reference temperature value stored in advance in the memory (hereinafter, 'alarm generation' Reference value ') is compared with each other, and a fire alarm signal is generated when the calculated temperature value is greater than the alarm generation reference value.

또한, 상기 경보발생모듈(354)은 상기 화재 발생 경고 외에도 가스누설분석모듈(353)로부터 제공받은 정보를 통해 가스 누설 경고의 역할도 수행한다. In addition to the fire occurrence warning, the alarm generation module 354 also serves as a gas leakage warning through the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gas leakage analysis module 353.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의 경보발생모듈(354)은 자동온도보정기능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경보발생모듈(354)은 온도분석모듈(352)로부터 실시간으로 전달되는 평시 주변 온도값들을 기초로 화재 감시대상물 주변 공기의 평시 온도 평균값을 산출하고, 산출된 평시 온도 평균값을 기초로 상기 경보발생기준값을 자동보정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경보발생모듈(354)은 실시간으로 자동 보정된 경보발생기준값과 온도분석모듈(352)에 의해 계산된 산출온도값을 비교하여, 산출온도값이 보정된 경보발생기준값 보다 큰 경우 경보 신호를 발생하게 된다. According to one preferred embodiment, the alarm generating module 354 of the control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to have an automatic temperature correction function. That is, the alarm generating module 354 calculates a normal temperature average value of the air surrounding the fire monitoring target based on the normal ambient temperature values transmitted from the temperature analysis module 352 in real time, and based on the calculated normal temperature average value. It is configured to automatically calibrate the alarm occurrence threshold. In this case, the alarm generation module 354 compares the alarm generation reference value automatically corrected in real time with the calculated temperature value calculated by the temperature analysis module 352, and generates an alarm when the calculated temperature value is larger than the corrected alarm generation reference value. Will generate a signal.

한편,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에 수동으로 상기 경보발생기준값의 자유로운 변경이 가능하도록 온도설정모듈(356)을 추가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상기 온도설정모듈(356)은 제어부(300)의 전면에 설치된 제어패널(360)을 통하여 온도값을 입력받아 이를 경보발생모듈(354)에 전달하여 입력된 온도값을 경보발생기준값으로 업데이트시킨다. 이 경우, 상기 경보발생모듈(354)은 온도설정모듈(356)로부터 입력되어 보정된 경보발생기준값과 온도분석모듈(352)에 의해 계산된 산출온도값을 비교하여, 산출온도값이 보정된 경보발생기준값 보다 큰 경우 경보 신호를 발생하게 된다. 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it is also preferable to add the temperature setting module 356 to the control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manually change the alarm generation reference value. The temperature setting module 356 receives the temperature value through the control panel 360 installed on the front of the controller 300 and transmits the temperature value to the alarm generation module 354 to update the input temperature value with the alarm generation reference value. In this case, the alarm generation module 354 compares the alarm generation reference value corrected and input by the temperature setting module 356 with the calculated temperature value calculated by the temperature analysis module 352 to correct the calculated temperature value. If it exceeds the reference value, an alarm signal will be generated.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경보발생모듈(354)의 구성을 통하여, 경보발생기준값이 실시간으로 또는 낮과 밤, 계절별로 자동 또는 수동으로 자유롭게 보정 변경될 수 있어, 화재 감시대상물의 주변 온도 변화에 따른 정밀한 온도 측정이 가능해진다.Through the configuration of the alarm generation module 354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larm occurrence reference value can be freely corrected and changed in real time or day, night, and season automatically or manually, and according to the change in the ambient temperature of the fire monitoring target Temperature measurement is possible.

또한, 통신 모듈(358)을 통해 상기 정보를 그래픽표시장치(800)에 전송한다.In addition, the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graphic display device 800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358.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그래픽 분석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FIG.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graphic analysis apparatus shown in FIG. 1.

상기 그래픽표시장치(800)는 제어부(300)로부터 온도정보, 위치정보, 가스누설정보 및 경보신호들을 수신하고, 이를 미리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과 감지센서 모듈(100)이 설치된 위치에 대한 실제 지도 모형 데이터를 기초로, 감시대상물의 구역별 온도 분포와 화재 발생 여부, 가스 누설 여부, 외부인 침입여부 등을 그래픽을 이용하여 출력하는 장치이다. The graphic display device 800 receives temperature information, location information, gas leak setting reports, and alarm signals from the control unit 300, and pre-stores various maps and data for the location where the sensor module 100 is installed. On the basis of this, it is a device that outputs the temperature distribution by zone of the monitored object, whether a fire has occurred, whether gas is leaked or not, and whether an outsider invades using graphics.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그래픽표시장치는 메모리부(810)와 그래픽표시장치제어부(820), 그리고 디스플레이부(830)로 구성된다. As shown in FIG. 4, the graphic display device includes a memory unit 810, a graphic display device control unit 820, and a display unit 830.

상기 메모리부(810)는 감지센서 모듈(100)이 설치된 감시대상물을 모식적으 로 나타낸 이미지가 저장되는 이미지DB(812)와, 상기 제어부(300)로부터 전달받은 온도정보, 위치정보, 가스누설정보 및 경보신호 등을 저장하는 감지정보DB(814)를 포함하며, 기타, 그래픽표시장치제어부(820)의 기능을 지원하는 각종 프로그램이 저장된다. 여기서 상기 이미지DB(812)에 저장되는 이미지는 해당 감시대상물의 위치를 지도 형식으로 표시한 이미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The memory unit 810 is an image DB 812, which stores an image representing a monitoring object in which the detection sensor module 100 is installed, and temperature information, location information, and gas leakage setting report received from the controller 300. And a sensing information DB 814 for storing an alarm signal and the like, and other programs for supporting the functions of the graphic display device controller 820 are stored. Here, the image stored in the image DB 812 is preferably an image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monitored object is displayed in a map format.

상기 그래픽표시장치제어부(820)는 데이터맵핑부(822)와 아날로그정보산출부(824)를 포함한다. 상기 데이터맵핑부(822)는 상기 이미지DB(812)로부터 감시대상물의 이미지를 추출하고, 추출된 특정 이미지에 표시된 위치에 상응하는 감지 정보를 감지정보DB(814)로부터 추출하고, 추출된 감지 정보를 해당 이미지 상에 맵핑하여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표시한다. The graphic display device controller 820 includes a data mapping unit 822 and an analog information calculating unit 824. The data mapping unit 822 extracts an image of a surveillance object from the image DB 812, extracts sensing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position displayed on the extracted specific image from the sensing information DB 814, and extracts the extracted sensing information. Is mapped onto the corresponding image and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unit.

그리고, 상기 아날로그정보산출부(824)는 상기 감지정보DB(814)에 저장된 감지 정보를 기초로, 위치별(거리별) 온도값 등을 나타내는 그래프와 특정 위치에서의 시간에 따른 온도 변화 그래프 등을 작성하여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한다. 이와 같이, 감시 구역의 감시 정보들을 연속적인 아날로그정보로 산출하여 표시함에 따라 실시간 온도 변화 정도 등을 파악할 수 있어 화재 등의 징후를 미리 발견하여 예비경고할 수 있고, 화재 등의 사고 발생 위치를 보다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the analog information calculating unit 824 is based on the sensing information stored in the sensing information DB 814, a graph indicating a temperature value for each location (by distance) and the like and a graph of temperature change over time at a specific location. Create and display on the display. In this way, the monitoring information of the monitoring area is calculated and displayed as continuous analog information, so that the degree of real-time temperature change can be grasped, and the warning signs can be detected in advance, and a preliminary warning can be made. You will be able to pinpoint it.

아울러, 상기 그래픽표시장치제어부(820)는 유무선통신부(826)를 더 포함하여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물의 경비실이나 시설팀 PC 등과 같은 로컬단말기(900)와 연동되어 그래픽표시장치에 표시되는 정보들을 실시간으로 제공할 수 있 으며 화재경보 등을 전달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graphic display device control unit 820 further includes a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unit 826 as shown in FIG. 1 and displayed on the graphic display device in conjunction with a local terminal 900 such as a guard room of a building or a facility team PC. Can be provided in real time and can deliver a fire alarm.

지금까지, 본 발명의 실시예를 기준으로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와 실질적 균등범위까지 포함된다 할 것이다. So far,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include practically equivalent range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의한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한 통합형 경보 처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n integrated alarm processing system using a ubiquitous sensor net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지그비 무선 통신 시스템을 채용하는 무선 네트워크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wireless network employing a Zigbe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제어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3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ntrol unit shown in FIG. 1;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그래픽 분석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4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graphic analysis device shown in FIG.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 감지센서 모듈 200 : 코디네이터 모듈100: sensor module 200: coordinator module

300 : 제어부 310: GPS 모듈300: control unit 310: GPS module

800 : 그래픽 분석장치800: graphic analysis device

Claims (5)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감지 센서가 구비된 다수의 감지센서 모듈(100)과; 상기 감지센서 모듈(100)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감지센서 모듈(100) 네트워크 간의 통신을 통해 확인되는 감지 정보들을 제어부(300)에 전달하는 코디네이터(coordinator) 모듈(200)을 포함하는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한 통합형 경보 처리 시스템에 있어서,A plurality of sensing sensor modules 100 provided with at least one sensing sensor; Ubiquitous comprising a coordinator module 200 is connected to the sensor sensor module 100 by wire or wirelessly and transmits the detected information to the control unit 300 through communication between the network of the sensor sensor module 100. In the integrated alarm processing system using a sensor network,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다수의 감지센서 모듈(100)과 네트워킹 연결된 상기 코디네이터 모듈(200)을 통해 상기 각 감지센서 모듈(100)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각 감지센서 모듈(100)의 위치를 분석하는 위치분석모듈(351)과; 상기 각 감지센서 모듈(100)에 구비된 감지센서들로부터 감지된 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통해 각 지점의 온도 정보를 분석하는 온도분석모듈(352)과; 상기 각 감지센서 모듈(100)에 구비된 감지센서들로부터 감지된 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통해 각 지점의 가스누설 정보를 분석하는 가스누설분석모듈(353)과; 상기 온도분석모듈(352) 또는 가스누설분석모듈(353)에 의해 분석된 값 및 메모리에 기 저정된 경보발생기준값을 비교하여 경보 발생 여부를 제어하는 경보발생모듈(354)을 포함하고,The control unit 300 receive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each detection sensor module 100 through the coordinator module 200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detection sensor modules 100 and positions the location of each detection sensor module 100. Position analysis module 351 for analyzing the; A temperature analysis module 352 for receiving the detected information from the detection sensors provided in the respective detection sensor modules 100 and analyzing the temperature information of each point through this; A gas leakage analysis module 353 for receiving the detected information from the detection sensors provided in each detection sensor module 100 and analyzing the gas leakage information at each point through the detection information; And an alarm generation module 354 for controlling whether or not an alarm is generated by comparing the value analyzed by the temperature analysis module 352 or the gas leakage analysis module 353 with the alarm occurrence reference value preset in the memory. 상기 제어부(300)와 복수의 코디네이터 모듈(200)을 연결하는 네트워크의 하나의 노드로서 추가되어, GPS 위성으로부터 표준시각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표준시각 정보를 네트워크로 연결된 제어부(300) 및 각 코디네이터 모듈(200)에 전송함에 따라, 상기 복수의 코디네이터 모듈(200) 및 제어부(300)의 시각을 동기화시키기 위한 GPS모듈(310)을 포함하고,It is added as one node of the network connecting the control unit 300 and the plurality of coordinator module 200, and receives the standard time information from the GPS satellites and the received control unit 300 and each coordinator connected to the network As transmitted to the module 200, GPS module 310 for synchronizing the time of the plurality of coordinator module 200 and the control unit 300, 상기 감지센서 모듈(100)은 서로 다른 프로토콜로 운영하는 통신망에서 정보를 전송하기 위해 경로를 설정하는 역할을 제공하는 통신장비로서, 상기 통신망을 연결해주는 브리지(bridge) 기능에 추가하여 경로 배정표에 따라 다른 통신망을 인식하여 경로를 배정하며, 수신된 패킷에 의하여 다른 통신망 또는 자신이 연결되어 있는 통신망 내의 수신처(노드)를 확인하여 경로를 선택하고 패킷을 보내는 라우팅 기능을 포함하며,The sensor module 100 is a communication device providing a role of setting a path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in a communication network operating in different protocols, in addition to a bridge function for connecting the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a route assignment table. It recognizes the other communication network and assigns a route, and includes a routing function of selecting a path and sending a packet by identifying a destination (node) in another communication network or a communication network to which it is connected by the received packet. 상기 경보발생모듈(354)은 자동온도보정기능을 구비하여, 상기 온도분석모듈(352)로부터 실시간으로 전달되는 평시 주변 온도값들을 기초로 화재 감시대상물 주변 공기의 평시 온도 평균값을 산출하고, 산출된 평시 온도 평균값을 기초로 상기 경보발생기준값을 자동보정하고, 상기 경보발생모듈(354)은 실시간으로 자동 보정된 경보발생기준값과 온도분석모듈(352)에 의해 계산된 산출온도값을 비교하여, 산출온도값이 보정된 경보발생기준값 보다 큰 경우 경보 신호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한 통합형 경보 처리 제어장치.The alarm generation module 354 has an automatic temperature correction function, and calculates an average value of the normal temperature of the air surrounding the fire monitoring target based on the normal ambient temperature values transmitted from the temperature analysis module 352 in real time. The alarm occurrence reference value is automatically corrected based on the average temperature average value, and the alarm generation module 354 compares the alarm generation reference value automatically corrected in real time with the calculated temperature value calculated by the temperature analysis module 352, and calculates the result. An integrated alarm processing control device using a ubiquitous sensor network, characterized in that to generate an alarm signal if the temperature value is greater than the calibrated alarm generation reference value.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어부(300)로부터 감지 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미리 저장된 감시대상물 이미지에 맵핑하여, 감시대상물의 구역별 사고 발생 여부를 그래픽으로 출력하는 그래픽표시장치(700)가 더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한 통합형 경보 처리 제어장치.The ubiquitous sensor further comprises a graphic display device 700 for receiving the sensing information from the control unit 300, maps it to a pre-stored monitoring object image, and graphically outputs whether an accident occurs for each zone of the monitoring object. Integrated alarm processing controller using network.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감지센서 모듈(100)에는 온도, 연기, 가스 누출, 외부인 침입을 감지할 수 있는 제 1 내지 제 4 감지 센서들이 각각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한 통합형 경보 처리 제어장치.The detection sensor module 100 is integrated alarm processing control device using a ubiquitous sensor network, characterized in that each of the first to fourth detection sensors that can detect the temperature, smoke, gas leakage, outsider intrusion.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감지센서 모듈(100)과 코디네이터 모듈(200)은 지그비 무선 통신 시스템에 의한 메쉬 네트워크를 구현함을 특징으로 하는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한 통합형 경보 처리 제어장치.The detection sensor module 100 and the coordinator module 200 is integrated alarm processing control device using a ubiquitous sensor network, characterized in that to implement a mesh network by the Zigbe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코디네이터 모듈(200)은 상기 감지센서 모듈(100) 간의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확인되는 위치 정보를 제어부(300)에 제공함을 특징으로 하는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한 통합형 경보 처리 제어장치.The coordinator module 200 is integrated alarm processing control device using a ubiquitous sensor network, characterized in that to provide the control unit 300 with the location information identified through a wireless network between the sensor module 100.
KR1020090046307A 2009-05-27 2009-05-27 intergrated type processing control device of warning signal using Ubiquitous Sensor Network KR10109655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6307A KR101096557B1 (en) 2009-05-27 2009-05-27 intergrated type processing control device of warning signal using Ubiquitous Sensor Networ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6307A KR101096557B1 (en) 2009-05-27 2009-05-27 intergrated type processing control device of warning signal using Ubiquitous Sensor Network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7947A KR20100127947A (en) 2010-12-07
KR101096557B1 true KR101096557B1 (en) 2011-12-22

Family

ID=435049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6307A KR101096557B1 (en) 2009-05-27 2009-05-27 intergrated type processing control device of warning signal using Ubiquitous Sensor Networ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6557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4625B1 (en) 2013-05-06 2014-01-22 주식회사 카이언스 Remote protection and surveillance system
KR101399739B1 (en) 2014-02-26 2014-05-27 삼삼기업주식회사 Wireless fire monitoring syste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8481B1 (en) * 2012-04-09 2013-09-25 주식회사 에이에스엔 Violence prevention ubiquitous sensor network radio paging communication network system in school
KR101529563B1 (en) * 2014-04-01 2015-06-18 (주) 오토이노텍 Power Equipment Monitoring system using Mesh Network-Smart Sensor.
KR101708559B1 (en) * 2015-06-05 2017-02-22 수원대학교산학협력단 Tension sensing system and method having wireless switching function
KR102048675B1 (en) * 2017-10-31 2019-11-26 (주)에어릭스 System for monitoring gas leakage
KR102230145B1 (en) * 2020-06-19 2021-03-22 임종천 Fire detection system to prevent fire extinguisher malfunction
KR102450024B1 (en) * 2022-03-25 2022-10-06 주식회사 일신앤아이에스 Neural network based building fire detection system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8606B1 (en) * 2006-10-23 2007-12-26 주식회사 케이티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invader and fire by using ubiquitous sensor network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8606B1 (en) * 2006-10-23 2007-12-26 주식회사 케이티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invader and fire by using ubiquitous sensor network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4625B1 (en) 2013-05-06 2014-01-22 주식회사 카이언스 Remote protection and surveillance system
KR101399739B1 (en) 2014-02-26 2014-05-27 삼삼기업주식회사 Wireless fire monitoring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7947A (en) 2010-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96557B1 (en) intergrated type processing control device of warning signal using Ubiquitous Sensor Network
US11537178B2 (en) Server rack for improved data center management
US8738318B2 (en) Dynamic electric power line monitoring system
EP2638684B1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cting, collecting, communicating, and using information about environmental conditions and occurrences
KR100900937B1 (en) Forest fire monitoring system based on a global information system using a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ubiquitous sensor network fire sensor
KR100929473B1 (en) Zigbee Wildfire Monitoring System Using GPS
CN101908997B (en) Airport environment monitoring method based on wireless sensor network
CN204029094U (en) A kind of interactive intelligent based on Zigbee wireless sensor network is lived in peace system
CN105474283A (en) Smoke detectors with wireless local area network capabilities
KR20090118185A (en) Wireless sensor system for surface temperature monitoring of the underground tunnel cable joint
KR101875028B1 (en) Monitoring and Managing system for preventing collapse of telegraph poles
KR100632466B1 (en) System for watching disaster
KR101035908B1 (en) intergrated type processing system of warning signal using Ubiquitous Sensor Network
CN111462439A (en) Fire detection early warning system
KR102184093B1 (en) Safety management system for telecom shaded area using bluetooth mesh network
KR20130068582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obtaining positional information using fire-fighting facility
Gajbhiye et al. A survey on weather monitoring system in agriculture zone using Zigbee
KR20170060588A (en) System and method for tracking position of a worker
KR102473778B1 (en) Artificial intelligence based smart fire detection device and non-fire alarm analysis system comprising the same
KR101532209B1 (en) Safety management system
KR101676692B1 (en) Fire alert apparatus of electricity facilities usng spark detector
KR101006548B1 (en) A flame-tracing system for outdoor area Using wirless sensor network
CN208400266U (en) Indoor smog alarm system
KR101885865B1 (en) Monitoring and controlling system of remote facility
JP5849851B2 (en) Wireless terminal devic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wireless terminal device control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7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