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5332B1 - 우선순위 기반 전력 절약 제어를 이용하는 휴대용 디바이스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우선순위 기반 전력 절약 제어를 이용하는 휴대용 디바이스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5332B1
KR101095332B1 KR1020097006578A KR20097006578A KR101095332B1 KR 101095332 B1 KR101095332 B1 KR 101095332B1 KR 1020097006578 A KR1020097006578 A KR 1020097006578A KR 20097006578 A KR20097006578 A KR 20097006578A KR 101095332 B1 KR101095332 B1 KR 1010953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cessing capability
portable device
functional processing
power
batt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065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64403A (ko
Inventor
브루스 플롯닉
밀리보제 알렉식
아리스 밸랏소스
케빈 오닐
제임스 엘 에슬리거
Original Assignee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900644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44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53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53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02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a reserve is maintained in an energy source by disconnecting non-critical loads, e.g. maintaining a reserve of charge in a vehicle battery for starting an engi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5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local events, e.g. events related to user activity
    • H04W52/0258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local events, e.g. events related to user activity controlling an operation mode according to history or models of usage information, e.g. activity schedule or time of d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6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 H04W52/0274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by switching on or off the equipment or parts thereof
    • H04W52/0277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by switching on or off the equipment or parts thereof according to available power supply, e.g. switching off when a low battery condition is detect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Power Sources (AREA)

Abstract

휴대용 디바이스는, 배터리의 나머지 전력 용량 및 휴대용 디바이스의 전력 소비 레벨에 응답하고, 사용자 우선순위화된 기능적 프로세싱 능력 특성들에 기초하여 그 디바이스의 기능적 프로세싱 능력 특성들을 동적으로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한다. 그 제어기는, 사용자 우선순위화된 기능적 프로세싱 능력 특성들에 부합하여 더 낮은 우선순위 기능적 프로세싱 능력 특성의 희생으로 더 높은 우선순위 특성에 대한 전력을 제공한다. 또한, 무선 휴대용 디바이스의 수신 신호 강도를 결정하는 무선 신호 강도 결정기, 및 결정된 수신 신호 강도 및 배터리 용량 정보에 기초하여 무선 디바이스의 기능적 프로세싱 능력 특성을 조정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는 무선 휴대용 디바이스가 개시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디바이스의 기능적 프로세싱 능력 특성들을 최상으로 조정하는 방법을 결정하기 위한 추가적인 입력으로서 수신 신호 강도 정보가 사용된다.
배터리, 휴대용 디바이스의 전력 관리

Description

우선순위 기반 전력 절약 제어를 이용하는 휴대용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PORTABLE DEVICE WITH PRIORITY BASED POWER SAVINGS CONTROL AND METHOD THEREOF}
발명의 기술분야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배터리를 갖는 디바이스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전력 절약 관리 동작을 이용하는 배터리 전력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발명의 배경
디지털 오디오 및/또는 비디오 플레이어, 셀 전화기, 카메라, 캠코더, 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휴대용 디바이스와 같은 휴대용 디바이스는 제한된 배터리 용량을 갖는다. 무선 셀 전화 디바이스의 경우에서, 그 디바이스는 네트워크 신호 강도가 상이한 환경에서 또한 동작할 수 있다. 배터리 용량이 임계값 아래로 떨어질 경우, 공지된 휴대용 디바이스는 낮은 배터리 조건에서 동작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를 흐릿하게 함으로써 전력 소비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낮은 배터리 전력 모드는 가변 레벨의 동작에서 디바이스의 특정한 특성의 셧 다운 (shut down) 을 초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터리 레벨이 낮은 배터리 임계 레벨에 도달할 경우, 집적 회로는 저전력 상태로 진입하도록 공지되어 있다. 집적 회로내의 특정 기능 블록들 또는 전체 집적 회로에 대한 클록 주파수는 저전력 모드 상태로 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이는, 주문형 집적 회로, 범 용 프로세서, 기저대역 프로세서 또는 원하는 바와 같은 임의의 다른 회로와 같은 집적 회로에 대한 다양한 내부 회로로의 공급 전압을 낮추고 다양한 회로에 대한 클록 주파수를 변경함으로써 실행될 수도 있다. 그러나, 통상적으로 사용자는, 디지털 오디오 또는 비디오 재생 디바이스의 재생 시간 또는 적어도 응급 호출을 위해 휴대용 디바이스를 사용하는 능력을 위한 셀 전화기의 나머지 통화 시간의 양이 주요한 관심사이다. 그러나, 낮은 네트워크 신호 강도를 갖는 영역에서, 적절한 통신 레벨을 제공하기 위해 통화 시간 단위 당 더 많은 단위의 배터리 용량을 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충분히 높은 레벨로 기지국 또는 다른 무선 디바이스에 송신하는데 충분하지 않은 배터리 용량이 존재할 수도 있으므로 무선 전화기가 낮은 신호 강도 환경에 존재할 경우, 낮은 배터리 레벨 조건에서 기능 블록들 또는 회로들을 "파워 다운" 시키는 것은 너무 늦을 수도 있다.
또한, 게임을 플레이하는 능력, 디지털 미디어를 재생하는 능력, 카메라를 갖는 능력, 캠코더 기능, 이메일 애플리케이션, 음성 통신 능력, 및 다른 특성들과 같은 많은 상이한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 및 특성들을 갖는 휴대용 디바이스가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각각의 특성은 상이한 양의 전력을 소비할 수 있으며, 소정의 애플리케이션 또는 특성에 중요한 상이한 메트릭을 가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휴대용 디바이스상에서 게임을 플레이할 경우, 그 게임을 플레이하는 시간의 양이 사용자에게 중요한 메트릭일 수도 있고, 디지털 오디오 재생 디바이스에 있어서, 노래(들)을 청취할 수 있는 시간의 양이 중요한 메트릭일 수도 있고, 셀 전화기에서의 음성 통신 특성에 있어서, 통화 시간의 양이 중요할 수도 있으며, 이 메일 특성에 있어서, 수신될 수 있는 이메일의 수 또는 사이즈가 중요할 수도 있다. 공지된 디바이스들은, 사용자로 하여금 나머지 배터리 용량의 임계값을 셋팅하게 하여, 배터리 용량이 셋팅된 최소 레벨에 도달할 경우, 배터리 전력을 절약하려는 노력으로 특정한 전력 감소 동작이 발생하게 할 수도 있다. 그러나, 몇몇 사용자들은 이용가능한 특성들에 더 관심있을 수도 있고, 배터리 조건에 덜 관심있을 수도 있다.
따라서, 휴대용 디바이스 및/또는 휴대용 무선 디바이스에서 개선된 전력 관리 동작에 대한 필요성이 존재한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본 발명은 아래의 도면이 수반될 때 다음의 설명의 관점에서 더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며, 그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유사한 엘리먼트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무선 휴대용 디바이스를 이용한 시스템의 일 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휴대용 디바이스의 일 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휴대용 디바이스의 기능적 프로세싱 능력 특성을 동적으로 제어하는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휴대용 디바이스의 일부의 일 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휴대용 디바이스의 기능적 프로세싱 능력 특성을 동적으로 제어하는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신규한 서비스 품질 레벨과 같은 신규한 기능적 프로세싱 능력 특성 레벨을 제공하는데 사용되는 데이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우선순위 정의에 기초한 서비스 품질 셋팅의 예들을 도시한 테이블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애플리케이션 전력 레벨 조정 방식의 일 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9는 최대 품질 에너지 소비 커브 및 최대 런타임 에너지 소비 커브를 도시한 다이어그램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휴대용 디바이스의 기능적 프로세싱 능력 특성을 동적으로 제어하는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 예를 도식적으로 도시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 예를 도식적으로 도시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 예를 도식적으로 도시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 예를 도식적으로 도시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휴대용 디바이스의 전력 소비를 제어하는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휴대용 디바이스의 전력 소비를 제어하는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요약하여, 일 실시형태에서, 휴대용 디바이스는, 사용자 우선순위화된 기능적 프로세싱 능력 특성을 나타내는 데이터에 부합하여 더 낮은 우선순위 기능적 프로세싱 능력 특성의 희생으로 더 높은 우선순위 특성에 대한 전력을 제공하기 위해, 그 디바이스의 기능적 프로세싱 능력 특성들을 동적으로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한다. 그 제어기는, 배터리의 나머지 전력 용량, 휴대용 디바이스의 전력 소비 레벨, 및 사용자 우선순위화된 기능적 프로세싱 능력 특성에 기초하여 기능적 프로세싱 능력들을 동적으로 제어한다. 그로서, 사용자는 휴대용 디바이스의 어느 기능적 프로세싱 능력 특성이 다른 것보다 우선순위를 취하는지를 우선순위화할 수 있으며, 제어기는 배터리 용량 및 전력 소비 레이트를 고려할 것이고, 이러한 정보의 관점에서 최고의 우선순위 특성을 제공할 것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디바이스의 음성 특성을 우선순위화시킨 경우, 특정량의 통화 시간에 대한 사용자의 원하는 필요성에 기초하여, 제어기는 평가에 기초하여 그 음성 특성에 의해 사용될 전력 소비를 계산하며, 제어기는 사용자에 의해 셋팅된 통화 시간 레벨을 충족시키는데 요구될 때 이들 특성들을 턴 오프시킨다. 또한, 특성들을 제어하는 것은, 예를 들어, 원한다면 수신 신호 강도 표시 (RSSI), 또는 원한다면 다른 정보를 고려할 수도 있다. 어느 파라메트릭 셋팅이 디바이스에 대해 제어될 수 있는지를 나타내는 룩업 테이블과 같은 저장된 제어 데이터는, 더 낮은 우선순위 기능적 프로세싱 능력 특성의 희생으로 더 높은 우선순위 특성에 대한 전력을 제공하기 위해, 특성들을 적절히 턴 온 및 턴 오프하거나, 디바이스의 기능적 프로세싱 능력 특성들을 조정하도록 이용될 수도 있다.
일 예에서, 무선 디바이스의 수신 신호 강도를 결정하는 무선 신호 강도 결정기, 및 결정된 수신 신호 강도 및 배터리 용량 정보에 기초하여 무선 디바이스의 기능적 프로세싱 능력 특성을 조정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는 무선 휴대용 디바이스가 또한 개시된다. 통상적으로, 수신 신호 강도는 통신 "채널" 에 대한 품질 메트릭이다. 그러나, 여기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주변 잡음 레벨에 의존하는 가변 레벨의 전력 이용도를 갖는 "음성-인식 채널", 또는 채널로 출력되어야 하는 데이터 레이트에 의존하고 미디어의 조각 상태 (fragmentation state) 에 기초하여 더 많거나 더 적은 전력을 상이한 스트림들이 소비할 수도 있는 "데이터 저장 채널" 과 같이 무선 디바이스에 적용가능할 수도 있는 임의의 채널의 임의의 타입의 품질 메트릭으로 지칭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디바이스의 기능적 프로세싱 능력 특성을 최상으로 조정하는 방법을 결정하기 위한 추가적인 입력으로서 수신 신호 강도 정보가 사용된다. 원한다면, 휴대용 디바이스는 네트워크 정체 정보를 또한 고려할 수 있고, 수신 신호 강도, 배터리 용량 정보 및 네트워크 정체 정보에 기초하여 휴대용 디바이스의 기능적 프로세싱 능력 특성을 조정할 수 있다. 제어기는 소정 특성의 사용 동안 사용될 전력의 양을 결정하도록 동작할 수도 있고, 또한, 제어기는, 휴대용 디바이스가 예를 들어 셀 전화기 기술을 이용하는 인스턴스에서 응급 호출을 위한 전력을 보존하기 위해, 전력 고갈 상태 (out-of-power condtion) 이전에 응급 호출 모드로 진입할 수도 있다. 그로서, 제어기는, 기능적 프로세싱 능력 특성을 제공하는데 사용될 전력량을 결정하며, 응급 호출을 위한 전력을 보전하기 위해 프로세싱 능력 특성들을 감소시키도록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원한다면, 휴대용 디바이스는 그 디바이스의 현재 동작 조건에 기초하여 그 디바이스의 전력 이용 레이트를 결정할 수도 있고, 게임 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애플리케이션과 같은 애플리케이션이 그 전력 이용 레이트에 기초하여 계속 구동할 수 있는 시간량을 예측할 수도 있다. 휴대용 디바이스는, 원하는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품질 레벨이 원하는 애플리케이션 런-타임 길이 동안 유지될 수 있는지를 결정할 수도 있으며, 유지될 수 있다면, 원하는 애플리케이션 런-타임을 충족시키기 위한 시도로, 그 디바이스의 전력 소비를 조정하거나, 그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제공된 서비스 품질 레벨을 조정할 수도 있다. 이것은, 디바이스가 응급 목적을 위해 사용될 수도 있도록 최소 배터리 전력 에너지 예약분을 유지시키거나, 다른 더 높은 우선순위 애플리케이션을 구동시키기 위해 애플리케이션을 셧 다운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의 서비스 품질은, 게임을 위해, 또는 메모리 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양태와 같은 적절한 비디오 소스로부터 특정 레이트로 비디오를 출력하기 위해 그 애플리케이션에 의하여 디스플레이로 출력되는 이미지 해상도 레벨을 포함할 수도 있다. 그로서, 애플리케이션은 계속 구동할 수도 있지만,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는 프로세서 및/또는 그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사용되는 회로가, 예를 들어, 사용자에 의해 경험되는 바와 같은 상이한 품질 레벨로 정보를 출력하도록 제어될 수도 있다.
도 1은, 원한다면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엘리먼트들 (14) 및 다른 휴대용 디바이스들 (16) 과 적절한 네트워크 통신을 통해 통신하는 휴대용 디바이스 (12), 즉, 이 경우, 무선 휴대용 디바이스를 이용하는 시스템 (10) 의 일 예를 도시한다. 제한이 아닌 예시의 목적을 위해, 시스템은, 원한다면 웹 서버와 통신할 수 있는 무선 셀룰러 통신 시스템과 같은 무선 통신 시스템으로서 설명될 것이지만, 원하는 바와 같은 임의의 다른 적절한 통신 네트워크 또는 통신 네트워크들의 조합일 수도 있다. 또한, 이러한 예에서, 휴대용 디바이스 (12) 는, 임의의 적절한 특성을 갖는 무선 셀 전화기, 무선 디지털 오디오 및/또는 비디오 플레이어, 랩탑 컴퓨팅 디바이스, 이메일 통신 디바이스, 또는, 예를 들어, 배터리를 이용하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휴대용 디바이스와 같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 무선 휴대용 디바이스로서 설명될 것이다. 단지 예시의 목적을 위해, 휴대용 디바이스 (12) 는, 공지된 셀 전화 통신 회로를 사용하는 음성 통신 특성, 카메라 특성, 디지털 오디오 저장 및 재생 특성, 비디오 저장 및 재생 특성, 이메일 특성, 및 원하는 바와 같은 임의의 다른 적절한 특성들과 같은 적절한 특성들을 갖는 셀 전화기로서 여기에 설명될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디바이스 (12) 는, 디스플레이, 및 기지국, 기지국 사이트 제어기, 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네트워크 엘리먼트와 같은 무선 네트워크 엘리먼트 (15) 와 무선 통신하기 위한 안테나 (18) 를 포함한다. 예를 들 어, 네트워크 엘리먼트 (15) 는, 당업계에 공지된 바와 같이, 여기에 설명된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및 관련 메모리 및 임의의 적절한 인터페이스 또는 회로를 이용하는 서버 또는 서버들의 그룹일 수도 있다. 네트워크 엘리먼트 (15) 가 안테나 (20) 를 갖는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네트워크 엘리먼트 (15) 가 서로 통신하는 엘리먼트들의 그룹일 수도 있고, 예를 들어, 안테나 (20) 가 기지국의 일부일 수도 있으며, 네트워크 엘리먼트 (15) 의 또 다른 부분이 기지국과 동작적 통신 (operative communication) 하는 서버 또는 회로일 수도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며, 여기서, 기지국은 여기에 설명된 바와 같이 정보를 무선으로 전달할 수 있다. 당업계에 공지된 바와 같이, 휴대용 디바이스 (12) 는 무선 통신 링크 (24) 를 통해 네트워크 (22) 와 통신한다. 네트워크 (22) 는, 무선 광역 네트워크, 무선 로컬 영역 네트워크, 인터넷, 인트라넷, 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네트워크 또는 네트워크들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무선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도 있다. 단지 예시의 목적을 위해, 휴대용 디바이스 (16) 는, 예를 들어, 블루투스 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링크와 같은 짧은 범위의 무선 통신 링크를 통해 휴대용 디바이스 (12) 와 직접 또는 링크 (28) 를 통해 통신할 수도 있고, 또한, 네트워크 (22) 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디바이스 또는 디바이스들과 통신하기 위해 무선 광역 네트워크 링크 (30) 를 이용할 수도 있는 동일한 타입의 휴대용 디바이스 (12) 로서 지칭될 것이다. 그러나, 임의의 적절한 통신 기술이 이용될 수도 있다.
휴대용 디바이스 (12), 즉, 이 예에서 무선 휴대용 디바이스는, 결정된 수신 신호 강도 및 배터리 용량 정보에 기초하여 휴대용 디바이스 (12) 의 기능적 프로세싱 능력 특성을 조정하도록 구성되는 제어기 (32) 를 포함한다. 그로서, 그것은 신호 강도 및 배터리 용량 기반 동적 특성 제어기로서 기능한다. 기능적 프로세싱 능력 특성은, 데이터의 프로세싱이 발생하고 그 데이터의 프로세싱이 조정될 수 있는 디바이스 특성을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기능적 프로세싱 능력 특성은,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 (예를 들어, 애플릿 (applet) 또는 임의의 형태의 실행가능한 코드와 같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 임의의 실행가능한 코드) 의 실행에 기초한 사용자 지각가능한 (perceptible) 특성을 포함할 수도 있으며, 여기서, 회로의 제어는 데이터의 프로세싱에 영향을 준다. 따라서, 기능적 프로세싱 능력 특성은, 예를 들어, 이메일 특성, 게임 플레이 특성, 비디오 재생 특성, 오디오 재생 특성, 오디오 레코딩 특성, 음성 통신 특성,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사용자에게 제공된 서비스 품질, 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기능적 프로세싱 능력 특성일 수도 있다. 서비스 품질에 관하여, 애플리케이션은, 예를 들어, 사용자에 대한 더 높은 품질 특성 또는 사용자에 대한 낮은 품질 특성을 제공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3D 게임의 콘텍스트에서, 예를 들어, 사용자 우선순위 셋팅 및 배터리 용량 및/또는 수신 신호 강도 표시 정보에 의존하여 오브젝트를 표현하기 위해 아마도 더 높은 해상도 모드로 렌더링하거나 더 적은 프리미티브 (primitive) 를 사용하도록 여기에 설명된 바와 같이 제어된다. 또 다른 예는 비디오 재생 특성에 대한 것일 수도 있으며, 디스플레이를 위한 해상도 출력의 품질 또는 프레임 레이트를 감소시킨다. 일 예에서, 제어기 (32) 는, 결정 된 신호 강도 및 디바이스의 배터리 용량 레벨에 기초하여 디바이스상에서 동작하는 애플리케이션의 동작을 애플리케이션 레벨로 제어함으로써, 디바이스의 기능적 프로세싱 능력 특성을 조정한다. 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은, CPU 코어, DSP 코어, 그래픽 프로세싱 코어 또는 다른 프로세서들과 같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상에서 실행하는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모듈들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어기 (32) 는 프로세서 또는 프로세서들로 하여금 여기에 설명된 동작들을 실행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적절한 소프트웨어 모듈들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다른 방법으로, 제어기 (32) 는 주문형 집적 회로, 또는 상태 머신 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구조의 형태로 별개의 로직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거나, 당업계에 공지된 바와 같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및 펌웨어의 임의의 적절한 조합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다.
도 2는 상술된 바와 같은 셀 전화기 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디바이스와 같은, 무선 핸드셋 디바이스와 같은 휴대용 디바이스 (12) 의 일 예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디바이스 (12) 는, 다양한 블록들이 서로 통신하게 하기 위해 원하는 바와 같이 복수의 버스들 또는 다른 배선들을 포함할 수도 있는 통신 구조 (200) 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예에서, 휴대용 디바이스 (12) 는, 하나 이상의 스피커 (202), 키패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인터페이스와 같은 입력/출력 인터페이스 (204),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하나 이상의 프레임 버퍼 (208), 메모리 (210), 카메라 (212), 배터리 (214), 멀티미디어 프로세서 (216), 기저대역 프로세서 (218), 무선 트랜시버 (220) 및 제어기 (32) 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멀티미디어 프로세서 (216) 는, 원하는 바와 같은 기저대역 프로세서 (218) 또는 제어기 (32) 와는 별개인, 또는 그들과 통합된 멀티미디어 코어일 수도 있다. 도 2에 도시된 기능 블록들이 당업계에 공지된 바와 같은 하나 이상의 집적 회로들 또는 다른 구조들과 같은 임의의 적절한 구조로서 포함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예를 들어, 멀티미디어 프로세서 (216) 는,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들 (14 및 206) 상에서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그래픽 및/또는 비디오의 생성을 허용하기 위한 오디오 및 비디오 프로세싱 회로와 결합한 그래픽 프로세싱 코어일 수도 있으며, 당업계에 공지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중간 데이터 및 최종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프레임 버퍼 (208) 를 이용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기 (32) 는, 원한다면, 멀티미디어 프로세서 또는 기저대역 프로세서내에 포함될 수도 있거나 자립형 집적 회로일 수도 있다. 당업계에 공지된 바와 같이, 기저대역 프로세서 (218) 는 무선 트랜시버 (220) 를 통해 송신될 신호들 또는 수신 신호들을 적절히 프로세싱하며, 예를 들어, 음성을 프로세싱하기 위한 임의의 필요한 무선 전화 프로세싱 회로 또는 무선 트랜시버 (220) 를 통해 수신 또는 전송되는 데이터 정보를 프로세싱하기 위한 회로를 포함할 수도 있다. 배터리 (214) 는, 디바이스가 배터리 모드에서 동작되는 경우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다양한 엘리먼트들에 동작적으로 커플링된다. 여기에 사용된 바와 같이, 배터리는 제한된 전력 용량을 갖는 임의의 적절한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터리 (214) 는 충전된 커패시터, 연료 전지 (fuel cell), 리튬 기반 전 력 소스 또는 임의의 적절한 휴대용 제한된 전력 소스일 수도 있으며, 함께 전기적으로 커플링된 복수의 별개의 전력 소스들과 같은 하나 이상의 제한된 용량 전력 소스를 포함할 수도 있거나, 당업계에 공지된 바와 같은 임의의 적절한 형태를 취할 수도 있다.
프레임 버퍼 (208) 는 메모리 (210) 또는 다른 메모리에서 이용될 수도 있고 임의의 적절한 형태를 취할 수도 있으며, 예를 들어, 원하는 바와 같이 멀티미디어 프로세서 (216) 내에 포함되거나 임의의 다른 모듈의 일부로서 포함될 수도 있다. 프레임 버퍼 (208) 및 메모리 (210) 는, ROM, RAM, 광학 저장 구조, 또는 임의의 적절한 디지털 저장 매체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 임의의 적절한 형태를 취할 수도 있다. 메모리 (210) 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메모리는, 실행될 때 제어기 또는 임의의 프로세싱 디바이스로 하여금 여기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동작하게 하는 실행가능한 명령어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도면에 도시된 블록들이 기능 블록들을 나타내도록 의도되며 원하는 바와 같이 적절히 포함 및 결합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그로서, 메모리는 적절한 레지스터들을 포함할 수도 있거나, 프로세서들은 레지스터들을 포함할 수도 있거나, 임의의 적절한 구조는 당업계에 알려진 바와 같이 사용될 수도 있다. 당업계에 공지된 바와 같이, 카메라 (212) 는, 당업계에 공지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들 (14 및 206) 상에서 프로세싱 및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캠코더, 또는 예를 들어, 멀티미디어 프로세서 (216) 에 이미지를 제공하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구조를 포함하는 임의의 적절한 이미지 제공 회로일 수도 있다. 도 2에 도시된 기능 블록들이 단지 예시적일 뿐이며, 임의의 적절한 기능들이 당업계에 공지된 휴대용 디바이스에서 이용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또한, 제어기는 RSSI 정보를 이용할 필요가 없지만, 대신 또는 결합하여, 디바이스의 기능적 프로세싱 능력 특성들을 제어하기 위해 사용자 우선순위 셋팅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술된 바와 같은 사용자 우선순위 정보 및 배터리 용량 정보에 부가하여 RSSI 정보를 사용할 수도 있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블록들 중 하나 이상의 블록들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도 있는 휴대용 디바이스의 기능적 프로세싱 능력 특성을 동적으로 제어하는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다. 또한, 디바이스 (12) 로부터 멀리 떨어진 네트워크 엘리먼트 (15) 를 포함하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엘리먼트가 동작들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여기에 설명된 방법들의 동작들의 순서가 원하는 결과에 의존하여 당업자에 의해 인식되는 바와 같이 적절히 변경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휴대용 디바이스가 전력 공급되고 "온" 상태에 있는 경우, 방법은 블록 302에서 시작한다. 블록 304에서, 그 방법은 휴대용 디바이스에 대한 수신 신호 강도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이것은, 휴대용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 신호 강도를 결정하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로직 또는 무선 트랜시버 (220) 의 일부일 수도 있는 당업계에 공지된 바와 같은 수신 신호 강도 결정기에 의해 행해질 수도 있으며, 수신 신호들을 프로세싱하거나, 또 다른 이동 디바이스와 같은 외부 디바이스 또는 원한다면 네트워크로부터 신호 강도를 나타내는 값을 수신함으로써 결정될 수도 있는 수신 신호 강도 표시 (RSSI) 의 형태로 존재할 수도 있다. 수신 신호 강도 정보 및 배터리 용량 정보에 기초하여, 블록 30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방법은 휴대용 디바이스의 기능적 프로세싱 능력 특성을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배터리 용량 정보는, 예를 들어, 제어기 (32) 에 의해 획득될 수도 있거나, 임의의 다른 적절한 배터리 용량 검출 또는 결정 회로로부터 획득될 수도 있거나, 레지스터 또는 임의의 다른 메모리 위치에 저장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배터리 용량 정보는, 얼마나 많은 나머지 전력이 소정의 시점에서 배터리로부터 이용가능한지를 나타내는 정보일 수도 있다. 또한, 배터리 용량 정보는, 배터리로부터 이용가능한 에너지의 양 (예를 들어, 에너지의 줄 (joule)) 의 관점으로 용량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것은, 디바이스의 현재의 또는 기대된 동작 로드가 주어지면 단위 시간 당 이용가능한 마이크로와트의 수치와 같은 시간 당 전력과 같은 임의의 적절한 방식으로 표현될 수 있거나, 간단히, 디바이스상의 임의의 현재 또는 기대된 로드와 독립적인 암페어-시간의 수치 또는 다른 적절한 표현일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배터리로부터의 유효한 에너지는 시간 또는 로드의 선형 함수가 아니므로, 이러한 데이터는 테이블을 통해 룩업될 수 있거나, ("스마트" 배터리의 경우) 배터리 그 자체로부터 문의될 수 있다.
디바이스의 기능적 프로세싱 능력 특성을 조정하는 것은, 예를 들어, 제어기 (32) 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엘리먼트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으며, 예를 들어, 결정된 수신 신호 강도 및 배터리 용량 정보에 기초하여 어느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이 디바이스상에서 동작할 것인지를 선택하는 것을 포함할 수도 있다. 예 를 들어, 전화기 또는 음성 애플리케이션은 이메일 애플리케이션보다 우선순위가 주어질 수도 있으며, 그로서, 그 이메일 애플리케이션은 셧 다운될 수도 있거나, 예를 들어,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셋팅된 바와 같이 특정한 지정 전송자들로부터의 이메일만을 수신하도록 제한될 수도 있다. 이것은, 수용가능한 전송자들의 현재 리스트에 관한 이메일이 아닌 전송자들로부터의 임의의 이-메일을 서버가 보유했다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서버와의 몇몇 통신을 요구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우선순위 기반 기능적 프로세싱 능력 특성 제어는, 주요한 또는 더 높은 우선순위 애플리케이션을 동작시키는데 충분한 배터리 용량을 허용하기 위해, 원한다면 더 낮은 우선순위 애플리케이션을 셧 다운시키도록 작동한다.
다른 방법으로, 디바이스의 기능적 프로세싱 능력 특성은, 결정된 수신 신호 강도 및 배터리 용량 정보에 기초하여 상이한 서비스 품질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도록 소정의 애플리케이션이 제어되기 위해 애플리케이션 레벨에서 조정될 수도 있다. 그러한 동작들의 예가 아래에서 또한 제공된다.
도 4는 애플리케이션 레벨 전력 관리 시스템 (400) 으로서 제어기 (32) 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그 시스템은 휴대용 디바이스 (12) 내에 존재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예에서, 배터리 성능 데이터 (402) 를 포함한 메모리를 포함한다. 배터리 성능 데이터 (402) 는 관련 단위에 대한 (예를 들어, 통화 시간 단위 당) 특정 동작 파라미터들 (예를 들어, 프로세서 클록 및 전압 셋팅, RSSI, 구동중인 다른 애플리케이션) 을 사용하는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소비되는 용량의 이력 데이터일 수도 있다. 이러한 예에서, 배터리 성능 데이터는, 사전-상주될 수 있고, 그 후, 실제 이용 정보로 시간에 걸쳐 업데이트될 수 있는 다수의 엔트리들을 갖는 데이터의 어레이일 것이다. 제조자는 이러한 정보 (예를 들어, 성능 대 로딩 및 성능 대 배터리 수명) 를 또한 제공할 수 있다. 그 후, 시스템은 로딩 레벨 및 배터리 수명을 추적한다. 배터리 성능은 시간에 걸쳐 열화할 수도 있으며, (예를 들어, 랩탑 컴퓨터 내의) 배터리 관리 시스템은 얼마나 자주 배터리가 방전 및 충전되는지를 추적하고, 업데이트된 amp*hours (또는 용량) 레이팅을 유지한다. 테이블 (402) 은 디바이스로 하여금, 상이한 온도에 걸친 상이한 전력 소비 레벨 (즉, 상이한 전류 또는 전력 드로우 레벨 (power draw level)), 및 배터리의 상이한 소진 레벨 (wear level) (제한된 수명, 예를 들어, 2년을 갖는 많은 배터리들이 소비가능하므로 다수의 충전/방전 사이클 이후에, 최대 저장 전하가 통상적으로 떨어진다는 것을 유의함) 에 대한 배터리 에너지 용량을 예측하게 하는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이들 배터리 테이블 (예를 들어, 제조자 테이블) 은 사전-계산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전력 센서 (426) 는 애플리케이션 전력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거나, 이것은 배터리 에너지 레벨 (406) 의 도함수 (derivative) (시간에 걸친 변화 레이트) 에 의해 추론될 수 있으므로, 애플리케이션 전력 레벨은 테이블에 저장될 필요가 없다. 또한, 그것은, 상이한 애플리케이션/서비스가 이들 애플리케이션/서비스의 다양한 구성에서 얼마나 많은 전력을 소비하는지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보유할 수 있다.
디바이스는, 배터리 에너지 레벨 모니터 (404), 수신 신호 강도 정보 (406) 를 포함하는 메모리, 온도 정보 (409) 를 제어기 (32) 에 제공하는 온도 센서와 같 은 보조 센서 (408), 및 네트워크 정체 정보 (410) 를 포함하는 메모리를 포함할 수도 있다. 사용자로 하여금, 예를 들어, 그 사용자가 원하는 최대 애플리케이션 런타임 또는 애플리케이션이 제공하는 최대 서비스 품질 또는 그 사이의 임의의 적절한 레벨을 허용하기 위해 특성들을 제어기가 제어해야 하는지를 애플리케이션 당 기반 (on a per application basis) 으로 선택하게 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412) 가 도시되어 있다. 디스플레이상에서 제공되는 그래픽 (414) 은, 애플리케이션에 의한 최대 서비스 품질 레벨 또는 최대 애플리케이션 구동 길이 시간을 제공하는 제어기의 범위내에서 선택가능한 애플리케이션 런타임 정보 (416) 를 제공한다. 원하는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품질 정보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고 정보 (418) 로서 도시되어 있으며, 제어기에 제공된다. 다른 방법으로, 각각의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사용자 특정 런타임 길이는, 적절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또는 다른 적절한 인터페이스를 통해 선택되는 바와 같은 데이터 (420) 로서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공될 수도 있다. 이러한 예에서, 제어기 (32) 는, 예를 들어, 게임, 이메일 애플리케이션, 음성 애플리케이션, 디지털 오디오 재생 애플리케이션, 카메라 애플리케이션, 또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가능한 특성과 함께 사용되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코드와 같은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 (424) 를 실행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싱부 (422) 를 포함하는 적절히 프로그래밍된 프로세서 또는 프로세서들의 세트이다. 또한, 제어기는, 예를 들어, 이들 양자가 제어기 (32) 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들로서 구현될 수도 있는 총 전력 계산기 및 애플리케이션 런타임 예측기 모듈 (428) 및 서비스 품질 선택기 (430) 에 부가하여, 제어기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일 수도 있는 애플리케이션 전력 센서 모듈 (426) 을 포함한다.
배터리 성능 데이터 (402) 는, 예를 들어, 휴대용 디바이스에서 제공되는 소정의 배터리에 대한 메모리내에 미리 저장된 데이터일 수 있다. 배터리 성능 데이터 (402) 는, 예를 들어, 배터리 제조자에 의해 제공되거나 임의의 다른 적절한 소스로부터 제공될 수도 있으며, 특정한 배터리 타입에 대하여 소정의 전압 레벨에서 배터리가 제공할 수 있는 전력량을 나타낸다. 배터리 에너지 레벨 모니터 (404) 는 현재의 전압 레벨을 모니터링하고 현재의 배터리 레벨 (406) 을 제공하며, 그 후, 그 현재의 배터리 레벨 (406) 은, 예를 들어, 배터리가 제공할 수 있는 대응하는 전력을 룩업하기 위해 배터리 레벨 (406) 을 사용함으로써, 얼마나 많은 배터리 용량을 배터리가 현재 제공할 수 있는지를 결정하도록 총 전력 계산기 및 애플리케이션 런타임 예측기 (428) 에 의해 사용될 수도 있다. 그러나, 임의의 다른 적절한 기술이 배터리 용량 정보를 결정하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더 후술될 바와 같이, 수신 신호 강도 정보 (406) 는, 다양한 애플리케이션 또는 기능적 프로세싱 능력 특성을 제어하는 방법을 결정하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애플리케이션 전력 센서 (426) 는, 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 (424) 를 실행할 때 얼마나 많은 전력이 소비되는지를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 (422) 가 결정하는 전류 감지 회로 또는 전압 감지 회로일 수도 있다. 또한, 애플리케이션 전력 이용 정보 (440) 가 총 전력 계산기 및 애플리케이션 런타임 예측기 (428) 에 제공된다. 총 전력 계산기 및 애플리케이션 런타 임 예측기 (428) 는, 예를 들어, 전력 이용의 현재량 (440) 및 배터리 용량 정보에 기초하여 현재의 애플리케이션 (424) 이 그의 현재의 레벨에서 구동될 수 있는 시간량을 결정한다. 그 후, 총 전력 계산기 및 애플리케이션 런타임 예측기는, 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 (그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제공된 기능적 프로세싱 능력 특성) 의 런타임 길이를 예측하고, 사용자에 의해 셋팅된 런타임 목적 정보 (418) 를 충족시키기 위해 적절한 서비스 품질을 선택한다. 그 후, 서비스 품질 선택은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 (422) 가, 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에 대한 셋팅 정보 (442) 를 제공함으로써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 (424) 의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에 의한 프로세싱을 동적으로 제어할 필요가 있는지를 결정한다. 수신 신호 강도 표시자 (406) 는, 휴대용 디바이스의 수신 신호 강도를 결정하는 무선 신호 강도 결정기로서 기능한다. 보조 센서 정보 (409) 는 나머지 배터리 용량을 더 양호하게 예측하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 또는 제어기의 온도가 높으면, 더 많은 누설 및 더 많은 전력 소비가 발생할 수도 있다.
총 전력 계산기 및 애플리케이션 런타임 예측기 (428) 는 배터리 용량 결정기로서 기능하고, 현재의 배터리 용량에 의해 제공될 수 있는 추정된 런타임을 결정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배터리 용량 정보를 생성한다. 일 실시형태에서, 제어기 (32) 는, 결정된 수신 신호 강도 및 배터리 용량 정보에 기초하여 어느 애플리케이션이 디바이스상에서 동작할지를 선택함으로써 휴대용 디바이스의 기능적 프로세싱 능력 특성을 조정한다. 예를 들어, 낮은 신호 강도가 검출될 경우, 제어기 (32) 는 무선 트랜시버 (220) 의 송신 전력을 증가시킴으로써 전력 소비를 증가 시킬 수도 있고, 또한,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들에 의해 소비되는 전력을 감소시키기 위해, 애플리케이션들을 셧 다운시킬 수도 있거나, 애플리케이션의 동작을 애플리케이션 레벨에서 제어할 수도 있다. 총 전력 계산기 및 애플리케이션 런타임 예측기는, 소정의 동작 조건 하에서 얼마나 많은 전력이 사용될지를 추정한다.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412) 가, 예를 들어, 사용자로 하여금 통화 시간 임계값을 셋팅하게 하기 위해 바 그래프 또는 다른 적절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예에서, 예를 들어, 사용자는, 예를 들어, 응급 호출 모드에 대해 최소 15분의 통화 시간 임계값을 셋팅할 수도 있다. 셋팅가능한 통화 시간 임계값에 의해 지정되는 원하는 통화 시간을 보존하기 위해 나머지 배터리 용량 임계값에 도달하면, 제어기 (32) 는, 예를 들어, 현재 동작중인 모든 애플리케이션을 셧 다운시킴으로써 사용자 셋팅가능한 통화 시간 임계값에 기초하여 기능적 프로세싱 능력 특성을 셋팅한다. 제어기 (32) 는 음성 동작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음성 통신과 관련된 회로 및 다른 애플리케이션들을 "온" 상태로 유지하지만, 다른 모든 애플리케이션에 의한 전력 소비를 셧 다운시키거나 낮출 수도 있다. 이것은, 예약 임계 시간이 충족될 경우 구동중인 다른 애플리케이션들 (그의 카메라 모드에서 동작함, 뮤직으로 하여금 재생되게 함 등) 을 억제함으로써 최소의 응급 호출 시간 주기를 사용자가 셋팅할 수 있을 수도 있다. 예약된 전력 레벨이 응급 호출에 대해 예약될 경우, 제어기 (32) 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기능적 프로세싱 능력 특성을 제공하는데 사용될 전력량 (예를 들어, 배터리 용량) 의 추정치를 결정하고, 응급 호출에 대한 전력을 보존하기 위해 다른 프로세싱 능력 특성을 감소시킨다. 예를 들어, 응급 호출은 911 호출인 호출일 수도 있다. 디바이스는 응급 호출 전력 레벨을 예약하도록 제어되며, 구동하도록 유지되면, 응급 호출이 수행될 수 없거나 (예를 들어, 배우자 또는 자녀들과 같은 지정된 전송자로부터) 중요한 호출이 수신되지 않는 포인트로 배터리 전력을 감소시키는 다른 애플리케이션들을 셧 다운시킨다.
도 5는, 사용자로 하여금, 예를 들어, 응급 호출 전력 임계값을 셋팅함으로써 응급 호출 주기를 예약하게 하며, 응급 호출 임계값이 충족될 때까지 애플리케이션의 런타임을 최대화하는 것을 시도하는 방식으로 디바이스의 기능적 프로세싱 능력 특성을 동적으로 제어하도록 그 디바이스를 제어하게 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다.
또한, 도 9를 참조하면, 애플리케이션 에너지 소비 대 시간 커브 다이어그램은, 애플리케이션 런타임 정보 (416; 도 4 참조) 와 같은 셋팅 임계값 (902 및 904) 에서 제어기 (32) 에 의해 행해진 (서비스 품질 조정이 그 일 예임) 동적인 기능적 프로세싱 능력 특성 조정을 도시한다. 예약 배터리 에너지 레벨 (906) 이, 예를 들어, 음성 호출을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이러한 레벨 이상의 이용가능한 에너지는, 게임을 플레이하고 카메라 또는 다른 특성들을 사용하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그러나, 일단 배터리 에너지 레벨 (908) 이 충족되면, 제어기 (32) 는 실행될 특정한 애플리케이션들 또는 특성들 (예를 들어, 게임 애플리케이션) 을 허용하지 않는다. 대신, 동작 모드에서, 제어기 (32) 는 음성 모드만이 활성화되게 할 수도 있다. 배터리 레벨 범위 (906) 내에서, 애플리케이션의 추가적인 우선순위화가 존재한다. 예를 들어, 일단 적어도 디바이스로 하여금 안전상의 이유로 응급 호출을 위해 사용되게 하기 위하여 이러한 배터리 용량 레벨에 도달하면, 다른 애플리케이션들이 구동하도록 허용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응급 호출 레벨 (910) 은 최고의 우선순위 레벨일 수도 있다. 더 적은 우선순위 레벨은 다른 애플리케이션들을 위해 배터리 레벨 범위 (906) 내에서 셋팅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이메일 통신 애플리케이션은 응급 호출 레벨 (910) 보다 더 적은 우선순위를 가질 수도 있고, 뮤직 재생 애플리케이션은 이-메일 통신 애플리케이션보다 적은 우선순위를 갖지만 상술된 예시적인 게임 애플리케이션 우선순위 레벨보다 더 큰 우선순위를 가질 수도 있다. 이러한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일단 배터리 에너지 레벨 (908) 이 충족되거나 그 에너지 레벨에 도달하면, 예시적인 게임 애플리케이션은 추가적인 게임 애플리케이션 플레이를 정지시켜 셧 다운될 것이다. 배터리 에너지 레벨 (908) 이 (배터리 전력 소비의 결과로서) 응급 호출 레벨 (910) 로 전이할 경우, 뮤직 재생 애플리케이션은 셧 다운되는 다음의 애플리케이션이 될 것이며, 그 이후, 이-메일 통신 애플리케이션이 셧 다운될 것이다. 그에 의해, 배터리 레벨 (910) 에 도달할 시에, 음성 통신만이 수행될 수 있을 것이다. 임의의 적절한 애플리케이션 또는 특성이 최고의 우선순위 특성으로서 기능할 수도 있도록 디바이스가 구성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예를 들어, 하나의 다른 모드는 "나의 게임과 관련된 것을 제외한 모든 것을 셧 오프 (shut off)" 시킬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비행기에 있고 (또는 단지 임의의 호출을 원치않음) 게임을 플레이하거나 음악을 청취하길 원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사용자가, 전화기의 무선 주파수 부분을 셧 오프시키고, 배터리 수명을 최적화하면서 전화-호출 부분보다 특정한 애플리케이션을 우선순위화하기 위한 모드를 선택하게 한다. 또는, 맵이 전화기로 다운로딩되고 그 맵이 높은 우선순위 맵이면 (이용가능한 맵만이 전화기상에서 원하는 것임), 그들이 최고의 우선순위로서 이용가능한 맵을 원할 수도 있으므로, 사용자는 무선 주파수 송신 부분을 온으로 하길 원치 않고 전력을 소비하길 원치 않을 수도 있다.
다시 도 5를 참조하면, 방법 (500) 은 (블록 30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신 신호 강도 및 나머지 배터리 전력 용량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블록 50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방법은, RSSI 및 결정된 나머지 배터리 용량에 기초하여 이용가능한 디바이스의 서비스 품질 레벨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것은 블록 504 및 블록 506에 의해 더 상세히 도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것은, 예를 들어,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412) 를 통해 사용자 구성가능한 입력 서비스 품질 레벨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사용자는 애플리케이션 당 기반 또는 임의의 적절한 기반으로 서비스 품질 레벨을 셋팅할 수도 있다. 이것은, 최대 이용가능한 런타임에 대해, 또는 대신, 소비할 수도 있는 전력량에 관계없이 서비스 품질을 최대화하기 위해 소정의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로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412) 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데 사용되며, 애플리케이션 당 기반 또는 다른 적절한 기반으로 서비스 품질 레벨 및 상이한 서비스 품질 레벨에 대한 대응하는 전력 제어 데이터를 룩업 테이블 (또 는 다른 적절한 저장 메커니즘) 에 저장한다. 대응하는 전력 제어 데이터는, 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이 게임이면 하나 이상의 그래픽 프로세싱 코어와 같은,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사용된 소정의 프로세싱 코어 또는 주문형 집적 회로에 대한 동작 클록 레이트 및 공급 전압 레벨을 포함할 수도 있다. 임의의 다른 적절한 전력 제어 정보는, 소정의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전력 소비를 감소 또는 증가시키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이러한 예는 애플리케이션 당 기반으로 전력을 제어하는 것을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전력이 임의의 기능적 프로세싱 능력 특성 기반으로 제어된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블록 50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바와 같은 서비스 품질 셋팅에서 양자의 애플리케이션을 구동시키는데 충분한 전력이 존재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결정된 서비스 품질 또는 기능적 프로세싱 능력 특성이 응급 호출 임계값 이상인 소정의 런타임 길이 동안 전력을 이용하면, 그 방법은 블록 510으로 진행하여, 신규한 셋팅에서의 예측된 장래의 전력 이용 레벨에 기초하여 신규한 셋팅 레벨로 현재의 서비스 품질 셋팅을 조정하도록 디바이스를 제어한다. 그로서, 사용자에 의해 셋팅된 원하는 서비스 품질 레벨이, 예를 들어, 단지 전력 이용도만을 증가시킴으로써 유지될 수 있다고 예측되면, 전력 셋팅은 서비스 품질 셋팅을 충족시키기 위해 변경된다. 그러나, 블록 5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되었던 서비스 품질 특성 및 그 서비스 품질 레벨을 충족시키기 위한 전력량이 응급 호출 임계값과 비교하여 이용가능하지 않다면, 디바이스는 응급 호출 모드로 진입할 것이고, 행해질 필요가 있어야 하는 음성 통신 (예를 들어, 응급 호출) 을 위한 나머지 전력을 예약하기 위해 모든 애플리케이션을 효과적으로 셧 다운시킬 것이다. 그로서, 제어기는 응급 호출을 위한 전력을 보존하기 위해 전력 소비를 감소시키도록 무선 디바이스의 기능적인 프로세싱 능력 특성을 셧 다운시킬 수 있다. 제어기 (32) 또는 GUI를 제공하는 프로세서는, 그것이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 구성가능 입력 서비스 품질 레벨을 수신할 경우, 소정의 서비스 품질 셋팅을 충족시키는데 요구되는 바와 같은, 예를 들어, 디바이스내의 회로에 대한 클록 셋팅 및/또는 관련 전압 레벨 셋팅을 포함하는 기능적 프로세싱 능력 특성 셋팅 데이터로서 구성 정보를 저장한다.
또한, 일 예에서, 기능적 프로세싱 능력 특성을 달성하기 위해, 디바이스가 응급 호출 모드에 있는 경우, 제어기는 다수의 디스플레이들 중 하나를 셧 다운시킴으로써 무선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능력을 감소시키거나, 전력을 보존하기 위해 응급 호출 모드 동안 단일 디스플레이의 더 작은 디스플레이 부분을 사용한다. 그로서, 디바이스의 기능적 프로세싱 능력은, 그 능력이 스크린의 더 작은 부분에서의 디스플레이를 위한 또는 다수의 디스플레이 대신 단일 디스플레이로 출력되는 데이터만을 프로세싱할 필요가 있으므로, 변경된다. 블록 514는, 예를 들어, 룩업 테이블에 저장되어 있는 디바이스내의 다양한 회로들에 대한 클록 주파수 및 전력 공급 전압 레벨 셋팅을 정의하는 레지스터 셋팅과 같은 디바이스에 대한 셋팅을 포함한 룩업 테이블을 사용하는 기능적 프로세싱 능력 특성을 조정하기 위해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일 예를 더 상세히 나타낸다. 예를 들어, 특정한 프로세싱 코어 또는 프로세싱 코어내의 일부의 전력 소비 레벨을 조정하기 위해, 이들 값들 은 다양한 회로에 대해 레지스터를 제어하도록 기입된다. 상술된 바와 같이, 이러한 제어는 나머지 배터리 용량 및 수신 신호 강도 표시 양자에 기초한다. 원한다면 게임이 플레이될 수 있거나 다른 특성이 사용될 수 있기 위해, 사용자로 하여금 응급 전력 모드를 선택-해제 (de-select) 하게 하도록 동작이 변경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도 6은 기능적 프로세싱 능력 특성 셋팅 데이터의 일 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초당 다횟수 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주기와 같은 동적 기반으로, 제어기 (32) 는 RSSI 정보 (406) 를 샘플링하고 또한 배터리 용량 레벨을 결정한다. 수신 신호 강도 표시가 높고, 배터리 용량이 높은 것으로 결정되며, 낮은 네트워크 정체가 존재한다고 네트워크 정체 정보 (410) 가 나타내는 셋팅 (600) 에 대하여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애플리케이션 1에 대한 신규한 서비스 품질 셋팅 또는 기능적 프로세싱 능력 특성 레벨은 그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최고의 서비스 품질 레벨로 설정된다. 특정한 클록 주파수 셋팅, 공급 전압 셋팅 또는 다른 제어 셋팅을 갖는 또 다른 테이블이 사용될 수 있다. 조건들이 변한 경우, 수신 신호 강도가 여전히 높다는 것이 셋팅 (602) 에 의해 도시되어 있지만, 배터리 용량은 낮은 레벨로 감소된다. App 2로 결정되면 플레이될 게임이 출력될 초당 30 프레임으로부터 출력될 초당 15 프레임으로 프레임 레이트가 변경되게 하는 제어기 (32) 에 의해 더 낮은 품질 방식으로 동작할 수도 있도록, App 2로서 도시되어 있는 상이한 애플리케이션은 낮은 품질 서비스 레벨로 설정될 수도 있거나, 배터리 용량이 낮으므로 전력을 절약하기 위하여, 생성하는데 더 적은 프로세싱 능력을 취 하고 그에 따라 더 적은 전류 드로우를 취할 수도 있는 그래픽 이미지가 덜 선명하도록 그래픽 해상도 레벨을 변경할 수도 있다. 그로서, 이러한 특정 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신 신호 강도, 배터리 용량 및 네트워크 정체 정보는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기능적 프로세싱 능력 특성 레벨을 결정하는데 사용된다. 또 다른 예에서, 네트워크 정체가 높고 신호 강도 레벨이 낮으면, 디바이스는, 네트워크와의 통신의 필요한 레벨을 제공하려는 시도로 더 높은 송신 신호 레벨을 출력하기 위해 음성 통신을 제어하는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전력 소비를 증가시킬 필요가 있을 수도 있다. 이것은, 음성 애플리케이션이 우선순위를 취하게 하도록 셧 오프될 수도 있는 또 다른 애플리케이션의 희생으로 행해질 수도 있다. 다른 방법으로, 디바이스는, 이것이 더 낮은 네트워크 정체 상황에서 신호를 송신하는데 더 적은 전력을 취할 수도 있다는 것을 나타낼 수도 있으므로, 네트워크 정체에서의 감소가 발생한다는 것을 나타내는 네트워크 정체 정보에 응답하여, 감소된 전력 모드로 진입할 수도 있다. 또한, 디바이스의 다른 기능적 프로세싱 능력 특성들은, 네트워크 정체, 수신 신호 강도 및 배터리 용량에 기초하여 제어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휴대용 디바이스의 기능적 프로세싱 능력 특성을 동적으로 제어하는 방법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블록 70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방법은, 매 몇 초 또는 다른 적절한 주기와 같이 원하는 바대로 주기적으로 발생하도록 RSSI/신호 에너지 체크의 샘플 레이트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블록 70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방법은 RSSI 에너지 및 디바이스의 현재 전력 이용 레벨을 샘플링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블록 70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방법은, 예약된 에너지 레벨 (도 9 참조) 이 초과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것은, 예를 들어, 현재의 배터리 용량을 결정하고, 배터리 용량 레벨이 예약 에너지 레벨 아래로 떨어질 것인지의 여부를 디바이스의 전력 이용 레벨로부터 판정함으로써 행해질 수도 있다. 떨어진다면, 블록 70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방법은 사용자에게 통지하는 단계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퇴장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러나, 블록 70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약 시간이 초과되지 않으면, 그 방법은, 애플리케이션이 동작중인 현재의 서비스 품질 셋팅에 기초하여 특정 애플리케이션이 현재의 전력 이용 레벨에서 얼마나 길게 구동할 수 있는지를 예측하는 단계 (708) 를 포함한다. 블록 7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방법은, 현재의 애플리케이션 셋팅에 의해 소비될 현재의 전력을 샘플링하는 단계 및 또한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서비스 품질 타겟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로서, 블록 710은, 블록 712에서의 비교에 대해 구동중인 애플리케이션의 "작동 세트" (또는 활성 세트) 에 대한 QoS 타겟을 룩업하는 것을 지칭한다. 구동-길이는 QoS 타겟이며, 즉, 블록 7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것이 충족되지 않으면, 블록 714 및 블록 7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정이 행해져 이것을 수용하고 런-타임을 연장하려고 시도한다. 예를 들어, 블록 7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방법은, 셋팅되었던 서비스 품질이 사용자에 의해 원하는 바와 같이 최적의 서비스 품질을 충족하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는 도 6 및 상술된 바와 같은 원하는 클록 주파수 셋팅 및/또는 전력 공급 전압 셋팅을 포함한 또 다른 테이블을 사용하여 행해진다. 블록 7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샘플링된 입력들 (418, 420) 은 조정을 안내하는데 사용된다.
서비스 품질 셋팅이 이미 최적의 셋팅에 존재한다면, 방법은 다시 한번 시작한다. 그러나, 서비스 품질 레벨이 최적의 서비스 품질 레벨을 충족시키지 못하면, 블록 7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방법은, 현재 구동중인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룩-업 테이블에서 서비스 품질 조정 인자들을 룩업하고, 그 룩-업 테이블에서의 정보에 기초하여 애플리케이션들 각각에 대한 수정된 전력 프로파일들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예로서, 그 룩-업 테이블은, 도 6에 도시된 정보뿐만 아니라, 서비스 품질이 더 높은 우선순위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충족되게 하기 위해 다양한 애플리케이션들의 전력 소비 레벨을 변경하도록 디바이스의 회로 또는 기능 블록들을 셋팅하는 방법에 대한 부가적인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우선순위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될 게임이고 카메라 애플리케이션과 같은 또 다른 애플리케이션이 활성이면, 더 높은 품질 해상도 레벨로 게임을 구동시키는데 충분한 전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더 낮은 품질 해상도 이미지가 카메라에 의해 취해지도록 카메라 애플리케이션이 제어될 수 있다. 블록 7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방법은,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제공될 신규한 서비스 품질을 인에이블하기 위해 당업계에 공지된 바와 같이, 회로의 클록 주파수 또는 회로의 공급 전압을 제어하도록, 예를 들어, 적절한 레지스터 셋팅을 셋팅하는 것을 포함할 수도 있는 수정된 전력 프로파일을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도 8은 전력 절약을 제공하기 위해 디바이스의 동작을 동적으로 제어하는 또 다른 방법을 도시한다. 상술된 프로세스와는 유사하지 않게, 수신 신호 강도 표시가 필요하지 않다. 또한, 이러한 방법은 제어기 (32) 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구조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블록 (800)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방법은 배터리의 나머지 전력 용량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블록 80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방법은, 예를 들어, 디바이스의 엘리먼트들에 의해 사용되는 현재의 전력을 결정함으로써, 사용자 또는 우선순위화된 기능적 프로세스 능력 특성에 기초하여, 및 배터리의 나머지 전력 용량 및 휴대용 디바이스의 전력 소비 레이트에 응답하여, 디바이스의 전력 소비 레벨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블록 80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디바이스를 동적으로 제어한다. 디바이스의 동작은, 사용자 우선순위화된 기능적 프로세싱 능력 특성에 부합하여 더 낮은 우선순위 기능적 프로세싱 능력 특성의 희생으로 더 높은 우선순위 특성을 구동시키기 위한 전력을 제공하기 위해, 사용자 특성 우선순위 셋팅에 기초한다. 또한, 그 방법은, 예를 들어, 디바이스내의 저장 위치로부터 사용자 우선순위화된 기능적 프로세싱 능력 특성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지만, 그 데이터는 네트워크 또는 다른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디바이스에 의해 무선으로 수신될 수 있다. 이러한 예에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사용자는 휴대용 디바이스상에서 이용가능한 애플리케이션을, 예를 들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더 높은 우선순위 또는 더 낮은 우선순위로서 분류할 수 있다. 이러한 예에서, 배터리 레벨이 떨어짐에 따라, 디바이스는, 더 낮은 우선순위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종료하거나 허용하지 않으면서 더 높 은 우선순위인 애플리케이션들을 구동시킨다. 또한, 사용자는, 응급 911 호출 또는 다른 적절한 동작과 같은 중요한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얼마나 많은 배터리 전력이 예약되는지를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412) 는, 일단 배터리 전력 레벨이 임계 레벨로 떨어지면 취해질 액션을 사용자가 특정하게 하는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중요하지 않은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을 디스에이블하는 것을 선택할 수도 있거나, 대신, 디바이스가 사용자에게 그 임계 레벨에 도달하였다는 경고를 제공하게 할 수도 있다.
예로서, 사용자 셋팅 (1000) 이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될 수도 있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사용자는, 예를 들어, 소정의 디바이스 기능에 대한 우선순위 레벨을 셋팅할 수도 있다. 또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예를 들어, 사용자가 다양한 디바이스 기능 (또한, 애플리케이션으로 지칭됨) 의 우선순위 레벨 (1002) 을 셋팅하게 할 수도 있다. 이러한 예에서, 음성 또는 전화 기능은 최고의 우선순위로 셋팅되며, 디바이스가 우선순위로서 통화 시간의 적어도 최소 10분을 허용하는 것을 시도하도록, 사용자 셋팅은 서비스 품질 셋팅 (1004) 에 의해 나타낸 바와 같이 10분 동안 존재한다. 디바이스 배터리의 전력 용량이 감소함에 따라, 배터리 전력을 보존하기 위한 시도로 더 낮은 우선순위 기능들이 셧 다운되거나 특성의 서비스 품질이 감소된다. 이러한 예에서, 디지털 오디오 플레이어 재생 시간은 10분 동안 셋팅되고 (및/또는 볼륨 레벨이 셋팅될 수 있음), 예를 들어, MPEG 디코더와 같은 비디오 재생 회로 또는 카메라로부터의 비디오 해상도가 셋팅될 수도 있고, 이-메일의 1 메가바이트만이 수신되게 하 거나 헤더만이 수신되게 하도록 이-메일 애플리케이션이 셋팅될 수도 있으며, 게임과 같은 디바이스 기능에 있어서, 디스플레이상의 출력 해상도의 초당 프레임이 특정 셋팅으로 셋팅될 수도 있다. 그러한 우선순위화된 특성 (1004) 이 10분과 같은 통화 시간 임계값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포함할 수도 있으므로, 배터리의 나머지 전력 용량이 감소할 경우, 제어기 (32) 는, 그 통화 시간 임계값에 부합하여, 게임 플레이 특성과 같은 더 낮은 우선순위 특성의 희생으로 음성 통신 특성에 대한 전력을 제공하기 위해 디바이스의 기능적 프로세스 능력 특성을 동적으로 제어한다. 배터리의 나머지 전력 용량, 휴대용 디바이스의 전력 소비 레이트 및 사용자 우선순위화된 기능적 프로세싱 능력 특성에 응답하여, 제어기 (32) 는, 사용자 우선순위화된 정보에 부합하여 더 낮은 우선순위 기능적 프로세싱 능력 특성의 희생으로 더 높은 우선순위 특성에 대한 전력을 제공하기 위해 기능적 프로세싱 능력 특성을 동적으로 제어한다.
도 11은 도면부호 (1102) 로서 도시된 디바이스의 다양한 애플리케이션들 (예를 들어, 기능적 프로세싱 능력 특성들) 에 대해 "중요한 (critical)" 또는 "중요하지 않은 (noncritical)" 로서 도시된 선택가능한 우선순위 정보를 제공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1100) 의 일 예를 도시한다. 그로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1100) 는, 선택될 경우 선택가능한 기능적 프로세싱 능력 특성 우선순위 데이터 (1104) 를 제공하며, 사용자 우선순위화된 기능적 프로세싱 능력 특성을 나타내는 데이터로서 저장을 위해 이전의 선택된 특성 우선순위를 메모리에 제공한다.
도 12는, 높은 우선순위 애플리케이션 타입에 대하여, 사용자가 그래픽 (1202) 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총 배터리 전력의 퍼센트로서 예약 배터리 전력 레벨을 셋팅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내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1200) 의 또 다른 부분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다. 또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1200) 는, 사용자가 중요하지 않은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을 거부하는 경고 메시지 또는 중요하지 않은 애플리케이션을 구동시키기 위한 허가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제공하는지를 선택하게 하기 위해, 선택가능한 통지 정보 (1204) 를 제공한다.
도 13은, 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 당 5개의 우선순위 셋팅을 허용하는 더 우선순위화된 방식으로 특성 우선순위 데이터를 제공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1300) 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다. 도 14는, 소정의 애플리케이션 우선순위 셋팅에 대한 예약 배터리 전력 레벨의 선택도를 제공하기 위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1400) 를 도시한다.
원한다면, 방법은, 우선순위 정보, 배터리 용량 및 수신 신호 강도 정보에 기초하여 디바이스의 동작을 동적으로 제어하는 단계를 또한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신호 강도가 감소하고 있다고 수신 신호 강도 정보가 나타내면, 제어기 (32) 는, 높은 우선순위 음성 동작 동안 더 높은 송신 전력을 위해 부가적인 전력이 사용되게 하기 위해 더 낮은 우선순위 애플리케이션을 셧 오프시킬 수도 있다. 당업자는 다른 제어 기술들을 인식할 것이다.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우선순위에 기초하여 배터리 전력을 예약할 수 있다. 제어 패널과 같은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사용자는 애플리케이션 우선순위에 기초하여 배터리 전력을 보존한다. 예 를 들어, 우선순위 1 애플리케이션은 20%의 배터리 전력을 보존할 수 있다. 배터리 전력이 이러한 레벨로 소모될 경우, 우선순위 1 애플리케이션들만이 사용된다. 우선순위 2 애플리케이션은 40%의 배터리 전력을 요구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으며, 40%의 배터리 전력보다 큰 전력이 존재할 경우, 우선순위 2 또는 더 높은 애플리케이션이 구동되도록 허용된다.
도 15는, 도 6을 참조하여 상술된 바와 같이 네트워크 정체 레벨을 또한 고려하는 휴대용 디바이스에서 전력 제어를 제공하는 또 다른 방법을 도시한다. 블록 150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방법은, 신호 강도 정보 및 네트워크 정체 레벨 정보와 함께 나머지 배터리 전력 용량을 계속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블록 150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방법은, 검출된 감소되는 제한 레벨에 기초하여 디바이스의 더 낮은 전력 모드로 진입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최종 평가 이후 네트워크 제한 레벨이 떨어지면, 제어기의 제어하의 디바이스는, 더 적은 송신 전력이 요구되므로 낮은 전력 모드로 진입하며, 그 디바이스는 원하는 바와 같은 전력 절약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도 16은, 블록 160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트워크 정체 레벨이 증가한다는 것을 나타내는 것과 같이 원하는 임계값을 그 네트워크 정체 레벨이 초과하면, 제어기는 디바이스의 신호 송신 전력에서의 증가를 초래하며, 송신 전력에서의 증가를 부분적으로 오프셋하기 위해 다른 특성 능력에서의 감소에 의해 감소된 전력 소비가 초래한다는 것을 포함하는 또 다른 방법을 도시한다. 다른 방법으로, 제어기는, 예를 들어, 나머지 배터리 용량이 적절한 레벨에 있고 네트워크 정체 레벨 이 증가한다는 표시에 기초하여 현재의 전력 레벨로 패킷들을 반복적으로 전송한다. 다른 방법으로, 높은 네트워크 정체가 존재하는 경우, 네트워크는, 수신 신호 강도 표시 및 배터리 용량 이외의 높은 정체 조건 및 정보가, 성공적인 송신의 가능도가 낮기 때문에 높은 네트워크 정체 동안 디바이스가 데이터를 전송하는 시도를 하지 않으므로, 그 디바이스에 대해 더 낮은 전력 모드를 트리거링하는데 사용된다는 것을 나타내도록 휴대용 디바이스에 시그널링할 수도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다른 이점들 중에서, 사용자는 휴대용 디바이스의 다른 특성들의 애플리케이션들 또는 동작들을 우선순위화할 수도 있으며, 특정량의 통화 시간 또는 특정량의 애플리케이션의 런타임에 대한 사용자 필요성에 기초하여, 제어기는 원하는 특성의 전력 소비를 단독으로 또는 신호 강도와 결합하여 계산한다. 이러한 평가에 기초하여, 디바이스는, 통화 시간 또는 런타임 셋팅을 충족시키는데 요구되는 바와 같이 그러한 특성들 또는 애플리케이션들을 턴 오프시킬 수도 있거나, 런타임 요건을 충족시키기 위해 애플리케이션의 서비스 품질을 적절히 감소시킬 수도 있다. 또한, 예약 전력은 원한다면 유지될 수도 있으며, 예약 시간 동안, 응급 호출 또는 다른 동작들을 위한 전력을 보존하기 위해 디바이스의 기본 동작만이 이용될 수도 있다. 당업자는 다른 이점들을 인식할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상세한 설명 및 여기서 설명된 예들은 제한이 아닌 예시 및 설명의 목적을 위해 제공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상기 개시되고 여기에서 청구되는 기본적인 원리내에 존재하는 임의의 및 모든 변형들, 변경들 또는 등가물들을 커버링한다고 간주된다.

Claims (40)

  1. 배터리; 및
    상기 배터리에 동작적으로 커플링되며, (i) 상기 배터리의 나머지 전력 용량 및 (ii) 휴대용 디바이스의 전력 소비 레이트에 응답하고, 상기 휴대용 디바이스의 우선순위화된 기능적 프로세싱 능력 특성들에 기초하여, 상기 우선순위화된 기능적 프로세싱 능력 특성들에 부합하여 더 낮은 우선순위 기능적 프로세싱 능력 특성의 희생으로 더 높은 우선순위 특성에 대한 전력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휴대용 디바이스의 기능적 프로세싱 능력 특성들을 동적으로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는, 휴대용 디바이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사용자 우선순위화된 특성들을 나타내는 데이터는 통화 시간 임계값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기는, 상기 배터리의 전력 용량이 감소할 경우, 상기 통화 시간 임계값에 부합하여 더 낮은 우선순위 기능적 프로세싱 능력 특성의 희생으로 음성 통신 특성에 대한 전력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휴대용 디바이스의 기능적 프로세싱 능력 특성들을 동적으로 제어하도록 동작하는, 휴대용 디바이스.
  3. 제 1 항에 있어서,
    선택가능한 기능적 프로세싱 능력 특성 우선순위 데이터를 제공하며, 우선순위화된 기능적 프로세싱 능력 특성들을 나타내는 데이터로서의 저장을 위해 선택된 특성 우선순위 데이터를 메모리에 제공하도록 동작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휴대용 디바이스.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또한, 상기 배터리의 전력 용량이 감소할 경우, 사용자 우선순위화된 특성들을 나타내는 데이터에 부합하여 더 낮은 우선순위 기능적 프로세싱 능력 특성의 희생으로 더 높은 우선순위 기능적 프로세싱 능력 특성에 대한 전력을 제공하기 위해, 수신 신호 강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휴대용 디바이스의 동작을 동적으로 제어하도록 동작하는, 휴대용 디바이스.
  5. 무선 휴대용 디바이스의 수신 신호 강도를 결정하도록 동작하는 무선 신호 강도 결정기; 및
    상기 무선 신호 강도 결정기에 동작적으로 커플링되며, 상기 결정된 수신 신호 강도 및 배터리 용량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 휴대용 디바이스의 기능적 프로세싱 능력 특성을 조정하도록 동작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는, 무선 휴대용 디바이스.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결정된 수신 신호 강도 및 상기 배터리 용량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 휴대용 디바이스상에서 동작하는 애플리케이션의 동작을 애플리케이션 레벨에서 제어함으로써, 상기 무선 휴대용 디바이스의 기능적 프로세싱 능력 특성을 조정하는, 무선 휴대용 디바이스.
  7. 제 5 항에 있어서,
    배터리; 및
    상기 배터리에 동작적으로 커플링되며, 상기 배터리의 나머지 배터리 용량에 기초하여 상기 배터리 용량 정보를 생성하도록 동작하는 배터리 용량 결정기를 포함하는, 무선 휴대용 디바이스.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결정된 수신 신호 강도 및 상기 배터리 용량 정보에 기초하여, 어느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무선 휴대용 디바이스상에서 동작할지를 선택함으로써, 상기 무선 휴대용 디바이스의 기능적 프로세싱 능력 특성을 조정하는, 무선 휴대용 디바이스.
  9. 제 5 항에 있어서,
    사용자 셋팅가능한 통화 시간 임계값을 제공하도록 동작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기는, 상기 사용자 셋팅가능한 통화 시간 임계값에 의해 표시된 원하는 통화 시간을 보존하도록 상기 기능적 프로세싱 능력 특성을 감소시키기 위해, 상기 사용자 셋팅가능한 통화 시간 임계값에 기초하여 상기 기능적 프로세싱 능력 특성을 셋팅하도록 동작하는, 무선 휴대용 디바이스.
  10.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기능적 프로세싱 능력 특성을 제공하는데 사용될 전력량을 결정하도록 동작하고, 응급 호출을 위한 전력을 보존하기 위해 프로세싱 능력 특성들을 감소시키도록 동작하는, 무선 휴대용 디바이스.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응급 호출을 위한 전력을 보존하도록 전력 소비를 감소시키기 위해 상기 무선 휴대용 디바이스의 기능적 프로세싱 능력 특성을 셧 다운 (shut down) 시키도록 동작하는, 무선 휴대용 디바이스.
  12.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에 동작적으로 커플링되며, 기능적 프로세싱 능력 특성 셋팅 데이터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는, 무선 휴대용 디바이스.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응급 호출 모드에 있을 경우 상기 무선 휴대용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능력을 감소시키는, 무선 휴대용 디바이스.
  14. 휴대용 디바이스의 수신 신호 강도를 결정하도록 동작하는 무선 신호 강도 결정기; 및
    상기 무선 신호 강도 결정기에 동작적으로 커플링되며, 상기 결정된 수신 신호 강도, 배터리 용량 정보 및 네트워크 정체 (congestion)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휴대용 디바이스의 기능적 프로세싱 능력 특성을 조정하도록 동작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는, 휴대용 디바이스.
  15. 제 14 항에 있어서,
    무선 네트워크 통신 신호로부터 상기 네트워크 정체 정보를 수신하도록 동작하는 무선 수신기를 포함하는, 휴대용 디바이스.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결정된 수신 신호 강도 및 상기 배터리 용량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휴대용 디바이스상에서 동작하는 애플리케이션의 동작을 애플리케이션 레벨에서 제어함으로써, 상기 휴대용 디바이스의 기능적 프로세싱 능력 특성을 조정하는, 휴대용 디바이스.
  17. 제 14 항에 있어서,
    배터리; 및
    상기 배터리에 동작적으로 커플링되며, 상기 배터리의 나머지 배터리 용량에 기초하여 상기 배터리 용량 정보를 생성하도록 동작하는 배터리 용량 결정기를 포함하는, 휴대용 디바이스.
  18.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결정된 수신 신호 강도 및 상기 배터리 용량 정보에 기초하여, 어느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휴대용 디바이스상에서 동작할지를 선택함으로써, 상기 휴대용 디바이스의 기능적 프로세싱 능력 특성을 조정하도록 동작하는, 휴대용 디바이스.
  19. 제 14 항에 있어서,
    사용자 셋팅가능한 통화 시간 임계값을 제공하도록 동작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기는, 상기 사용자 셋팅가능한 통화 시간 임계값에 의해 표시된 원하는 통화 시간을 보존하기 위해, 상기 사용자 셋팅가능한 통화 시간 임계값에 기초하여 상기 기능적 프로세싱 능력 특성을 셋팅하도록 동작하는, 휴대용 디바이스.
  20.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기능적 프로세싱 능력 특성을 제공하는데 사용될 전력량을 결정하도록 동작하고, 응급 호출을 위한 전력을 보존하기 위해 전력 고갈 상태 (out of power condition) 이전에 응급 호출 모드로 진입하도록 동작하는, 휴대용 디바이스.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응급 호출을 위한 전력을 보존하도록 전력 소비를 감소시키기 위해 상기 휴대용 디바이스의 기능적 프로세싱 능력 특성을 셧 다운시키도록 동작하는, 휴대용 디바이스.
  22.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에 동작적으로 커플링되며, 기능적 프로세싱 능력 특성 셋팅 데이터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는, 휴대용 디바이스.
  23.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응급 호출 모드에 있는 경우 상기 휴대용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능력을 감소시키는, 휴대용 디바이스.
  24. 사용자 우선순위화된 기능적 프로세싱 능력 특성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및
    휴대용 디바이스의 사용자 우선순위화된 기능적 프로세싱 능력 특성에 기초하고, 상기 휴대용 디바이스의 배터리의 나머지 전력 용량 및 상기 휴대용 디바이스의 전력 소비 레이트에 응답하여, 상기 사용자 우선순위화된 기능적 프로세싱 능력 특성에 부합하여 더 낮은 우선순위 기능적 프로세싱 능력 특성의 희생으로 더 높은 우선순위 기능적 프로세싱 능력 특성에 대한 전력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휴대용 디바이스의 동작을 동적으로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우선순위화된 기능적 프로세싱 능력 특성은 통화 시간 임계값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방법은,
    상기 배터리의 전력 용량이 감소할 경우, 상기 통화 시간 임계값에 부합하여 더 낮은 우선순위 기능적 프로세싱 능력 특성의 희생으로 더 높은 우선순위 기능적 프로세싱 능력 특성에 대한 전력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휴대용 디바이스의 동작을 동적으로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6. 제 24 항에 있어서,
    선택가능한 기능적 프로세싱 능력 특성 우선순위 데이터를 제공하고, 선택된 사용자 우선순위화된 기능적 프로세싱 능력 특성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7.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의 전력 용량이 감소할 경우, 사용자 우선순위화된 기능적 프로세싱 능력 특성을 나타내는 데이터에 부합하여 더 낮은 우선순위 기능적 프로세싱 능력 특성의 희생으로 더 높은 우선순위 기능적 프로세싱 능력 특성에 대한 전력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휴대용 디바이스의 동작을 동적으로 제어하는 단계는, 또한, 수신 신호 강도 정보에 기초하여 행해지는, 방법.
  28. 휴대용 디바이스에 대한 수신 신호 강도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수신 신호 강도 및 배터리 용량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휴대용 디바이스의 기능적 프로세싱 능력 특성을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9.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된 수신 신호 강도 및 상기 배터리 용량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휴대용 디바이스상에서 동작하는 애플리케이션의 동작을 애플리케이션 레벨에서 제어함으로써, 상기 휴대용 디바이스의 기능적 프로세싱 능력 특성을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30.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디바이스의 기능적 프로세싱 능력 특성을 조정하는 단계는, 상 기 결정된 수신 신호 강도 및 상기 배터리 용량 정보에 기초하여 어느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휴대용 디바이스상에서 동작할지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31. 제 28 항에 있어서,
    사용자 셋팅가능한 통화 시간 임계값을 사용하고, 상기 사용자 셋팅가능한 통화 시간 임계값에 의해 표시되는 원하는 통화 시간을 보존하기 위한 노력으로 상기 사용자 셋팅가능한 통화 시간 임계값에 기초하여 상기 기능적 프로세싱 능력 특성을 셋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32. 제 28 항에 있어서,
    기능적 프로세싱 능력 특성을 제공하는데 사용될 전력량을 결정하고, 응급 호출을 위한 전력을 보존하기 위해 프로세싱 능력 특성을 감소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33. 제 32 항에 있어서,
    응급 호출을 위한 전력을 보존하도록 전력 소비를 감소시키기 위해 휴대용 디바이스의 기능적 프로세싱 능력 특성을 셧 다운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34. 제 32 항에 있어서,
    응급 호출 모드에 있을 경우 휴대용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능력을 감소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35. 제 28 항에 있어서,
    네트워크 정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휴대용 디바이스의 기능적 프로세싱 능력 특성을 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36.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디바이스로 하여금, 상기 네트워크 정체 정보가 네트워크 정체에서의 감소를 나타내는 것에 응답하여, 감소된 전력 모드로 진입하게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37.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정체 정보가 원하는 고레벨의 임계값 이상의 네트워크 정체 레벨을 나타내는지 여부를 판정하며, 상기 네트워크 정체 정보가 원하는 고레벨의 임계값 이상이면, 상기 휴대용 디바이스의 신호 송신 전력을 증가시키고, 상기 신호 송신 전력에서의 증가에 의해 초래되는 부가적인 전력 소비를 부분적으로 오프셋하기 위해 다른 특성들에 의해 초래되는 전력 소비를 감소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38.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정체 정보가 원하는 고레벨의 임계값 이상의 네트워크 정체 레벨을 나타내는지 여부를 판정하며, 상기 네트워크 정체 정보가 원하는 고레벨의 임계값 이상이면, 현재의 전력 레벨에서의 패킷들의 전송을 반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39.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디바이스의 현재 동작 조건에 기초하여 상기 휴대용 디바이스의 전력 이용 레이트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전력 이용 레이트에 기초하여 애플리케이션을 계속 구동할 수 있는 시간량을 예측하는 단계;
    원하는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품질 레벨이 원하는 애플리케이션 런-타임 (run-time) 동안 유지될 수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 및
    유지될 수 있다면, 상기 원하는 애플리케이션 런-타임을 충족시키기 위한 시도로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제공되는 서비스 품질 레벨 및 상기 휴대용 디바이스의 전력 소비를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40. 제 39 항에 있어서,
    상기 원하는 애플리케이션 런-타임을 충족시키기 위한 시도로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제공되는 서비스 품질 레벨 및 상기 휴대용 디바이스의 전력 소비를 조정하는 단계는, 최소의 배터리 전력 에너지 예약분을 유지하기 위해 상기 애플리 케이션을 셧 다운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KR1020097006578A 2006-08-31 2007-08-29 우선순위 기반 전력 절약 제어를 이용하는 휴대용 디바이스및 그 제어 방법 KR10109533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1/469,141 US8135443B2 (en) 2006-08-31 2006-08-31 Portable device with priority based power savings control and method thereof
US11/469,141 2006-08-31
PCT/US2007/077125 WO2008027975A2 (en) 2006-08-31 2007-08-29 Portable device with priority based power savings control and method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4403A KR20090064403A (ko) 2009-06-18
KR101095332B1 true KR101095332B1 (ko) 2011-12-16

Family

ID=391368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06578A KR101095332B1 (ko) 2006-08-31 2007-08-29 우선순위 기반 전력 절약 제어를 이용하는 휴대용 디바이스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135443B2 (ko)
EP (1) EP2064796B1 (ko)
JP (1) JP4834159B2 (ko)
KR (1) KR101095332B1 (ko)
CN (2) CN103078390B (ko)
IN (1) IN2014MN01626A (ko)
WO (1) WO2008027975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32022A1 (ko) * 2014-08-27 2016-03-03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에서 배터리 소모를 줄이기 위한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08032B1 (en) 2006-11-30 2016-08-02 NexRf Corporation Content delivery system, device and method
US8942995B1 (en) 2001-02-06 2015-01-27 Nexrf, Corp. Mobile autonomous dynamic graphical user interface
US9507494B1 (en) 2006-11-30 2016-11-29 Nexrf, Corp. Merchant controlled platform system and method
US9396487B1 (en) 2006-11-30 2016-07-19 NexRf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weighting content items
US20020142844A1 (en) 2001-02-06 2002-10-03 Kerr Michael A. Biometric broadband gaming system and method
US9373116B1 (en) 2001-07-05 2016-06-21 NexRf Corporation Player tracking using a wireless device for a casino property
US9615347B1 (en) 2006-11-30 2017-04-04 NEXRF Corp. Location positioning engine system and method
US8738024B1 (en) 2008-03-29 2014-05-27 Nexrf, Corp. Delivering content within a boundary with beacons
US10430492B1 (en) 2006-11-30 2019-10-01 Nexrf, Corp. System and method for handset positioning with dynamically updated RF fingerprinting
US9349128B1 (en) 2006-11-30 2016-05-24 Nevrf Corporation Targeted content delivery
US9773020B2 (en) 2001-07-05 2017-09-26 NEXRF Corp. System and method for map based exploration
US7778596B2 (en) * 2004-07-29 2010-08-17 Qualcomm Incorporated Airlink sensing watermarking repeater
US7319908B2 (en) * 2005-10-28 2008-01-15 Microsoft Corporation Multi-modal device power/mode management
US7729664B2 (en) * 2006-04-20 2010-06-01 Palm, Inc. Technique for reducing interference to radio operations on a computing device
US20080055311A1 (en) * 2006-08-31 2008-03-06 Ati Technologies Inc. Portable device with run-time based rendering quality control and method thereof
US20080081623A1 (en) * 2006-09-29 2008-04-03 Motorola, Inc. Priority handoff based on battery charge level
US8504118B2 (en) * 2006-10-11 2013-08-06 Kyocera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optimizing battery power
US9501786B1 (en) 2006-11-30 2016-11-22 Nexrf, Corp. Interactive display system
US9406079B1 (en) 2006-11-30 2016-08-02 NexRf Corporation Content relevance weighting system
US9043222B1 (en) 2006-11-30 2015-05-26 NexRf Corporation User interface for geofence associated content
KR100819294B1 (ko) * 2006-12-04 2008-04-0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무선전력 제어 장치 및 방법
US8041968B2 (en) * 2007-01-04 2011-10-18 Apple Inc. Power management for driving display with baseband portion when application portion is in low power mode
US20080200220A1 (en) * 2007-02-16 2008-08-21 Jackson Bruce K Methods and devices for limiting battery power consump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WO2008108591A2 (en) * 2007-03-07 2008-09-12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emergency communication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mobile station supporting the same
GB2448534B (en) * 2007-04-19 2009-11-18 Vodafone Plc Mobile telecommunications device
KR101489193B1 (ko) * 2007-07-03 2015-02-06 삼성전자주식회사 단말기의 영상통화 방법
US7925909B1 (en) * 2007-08-03 2011-04-12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Emergency mobile device power source
JP5018332B2 (ja) * 2007-08-17 2012-09-05 ソニー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撮像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397012B1 (ko) * 2007-11-20 2014-06-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말기 및 단말기의 데이터 통신을 위한 서비스 설정 방법
US8022956B2 (en) 2007-12-13 2011-09-20 Ati Technologies Ulc Settings control in devices comprising at least two graphics processors
US7792051B2 (en) * 2007-12-17 2010-09-07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Method and apparatus for relating to quality of service in wireless networks
JP4568767B2 (ja) * 2008-01-30 2010-10-27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携帯電話機
US11706733B1 (en) 2008-03-29 2023-07-18 NEXRF Corp. Location positioning engine system and method
US11729576B2 (en) 2008-03-29 2023-08-15 NEXRF Corp. Targeted content delivery
KR101435835B1 (ko) * 2008-03-31 2014-08-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말기 및 이것의 채널 버퍼링 방법
US8032317B2 (en) * 2008-05-15 2011-10-04 The Nielsen Company (Us), Llc System and methods for metering and analyzing energy consumption of events within a portable device
US9198017B2 (en) * 2008-05-19 2015-11-24 Qualcomm Incorporated Infrastructure assisted discovery in a wireless peer-to-peer network
US9848314B2 (en) * 2008-05-19 2017-12-19 Qualcomm Incorporated Managing discovery in a wireless peer-to-peer network
US7978088B2 (en) * 2008-05-30 2011-07-12 Motorola Mobility, Inc. Device and method to prolong the life of an energy source
US8589541B2 (en) 2009-01-28 2013-11-19 Headwater Partners I Llc Device-assisted services for protecting network capacity
US8832777B2 (en) 2009-03-02 2014-09-09 Headwater Partners I Llc Adapting network policies based on device service processor configuration
EP4342723A1 (en) 2008-08-18 2024-03-27 Christopher B. Austin Vehicular battery charger, charging system, and method
US20100124896A1 (en) * 2008-11-20 2010-05-20 Kumar Dinesh J Dual battery mobile phone
GB2466662A (en) * 2009-01-05 2010-07-07 Symbian Software Ltd Mobile communication device with charge conserving system
US20120108224A1 (en) * 2009-01-09 2012-05-03 Qualcomm Incorporated Using quality of service to control hardware for low battery scenarios
US9268386B2 (en) * 2009-01-09 2016-02-23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systems for dynamic service flow using available battery power
US10237757B2 (en) 2009-01-28 2019-03-19 Headwater Research Llc System and method for wireless network offloading
US9565707B2 (en) 2009-01-28 2017-02-07 Headwater Partners I Llc Wireless end-user device with wireless data attribution to multiple personas
US9706061B2 (en) 2009-01-28 2017-07-11 Headwater Partners I Llc Service design center for device assisted services
US9980146B2 (en) 2009-01-28 2018-05-22 Headwater Research Llc Communications device with secure data path processing agents
US9572019B2 (en) 2009-01-28 2017-02-14 Headwater Partners LLC Service selection set published to device agent with on-device service selection
US10326800B2 (en) 2009-01-28 2019-06-18 Headwater Research Llc Wireless network service interfaces
US11985155B2 (en) 2009-01-28 2024-05-14 Headwater Research Llc Communications device with secure data path processing agents
US10798252B2 (en) 2009-01-28 2020-10-06 Headwater Research Llc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user notifications
JP2010211526A (ja) * 2009-03-10 2010-09-24 Fujitsu Ltd プログラム、コンピュータ及び制御方法
US8886721B2 (en) * 2009-04-14 2014-11-11 Avaya Inc. Short impromptu communications in presence-based systems
US8054625B2 (en) 2009-04-21 2011-11-08 Yahoo! Inc. Cold row encapsulation for server farm cooling system
US8667109B2 (en) 2009-04-30 2014-03-04 Empire Technology Development Llc User profile-based wireless device system level management
US9407407B2 (en) * 2009-05-08 2016-08-02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carriers used at an access terminal
US9634806B2 (en) * 2009-06-11 2017-04-25 Qualcomm Incorporated Data prioritization for a power-limited U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346203B2 (en) * 2009-08-14 2013-01-01 Apple Inc. Power management techniques for buffering and playback of audio broadcast data
US8538484B2 (en) * 2009-08-14 2013-09-17 Google Inc. Providing a user with feedback regarding power consumption in battery-operated electronic devices
US8280456B2 (en) 2009-08-14 2012-10-02 Google Inc. Providing a user with feedback regarding power consumption in battery-operated electronic devices
US20110071780A1 (en) * 2009-09-21 2011-03-24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at least one indicator related to a projected battery lifespan
US9047084B2 (en) * 2009-09-22 2015-06-02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Power management of a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US20110072378A1 (en) * 2009-09-24 2011-03-24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visualizing energy consumption of applications and actions
JP5347906B2 (ja) * 2009-10-28 2013-11-20 富士通株式会社 情報生成装置、情報生成方法及び情報生成プログラム
US8244311B2 (en) * 2009-12-29 2012-08-1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Time-related power systems
JP5299314B2 (ja) * 2010-02-22 2013-09-25 富士通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携帯端末
WO2011104583A1 (en) * 2010-02-25 2011-09-01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changing an operational characteristic of a device in order to adjust the power consumption level
CN102884829B (zh) 2010-04-01 2016-03-09 诺基亚技术有限公司 用于在小区改变之后提供测量报告管理的方法和装置
US9721398B2 (en) * 2010-04-06 2017-08-0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obile telemetry system
US8437808B2 (en) * 2010-05-03 2013-05-07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Apparatus and methods for power management on mobile devices
US10721705B1 (en) 2010-06-04 2020-07-21 NEXRF Corp. Content Relevance Weighting System
US8811743B2 (en) * 2010-06-09 2014-08-19 Microsoft Corporation Resource-aware computer vision
JP5170167B2 (ja) * 2010-06-16 2013-03-27 Necアクセステクニカ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設定変更方法および通信設定変更プログラム
US20120001883A1 (en) * 2010-07-01 2012-01-05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calculating a power consumption segment and displaying a power consumption indicator
PL3367252T3 (pl) 2010-07-26 2020-05-18 Seven Networks, Llc Zarządzanie ruchem z uwzględnieniem kontekstu w celu zaoszczędzenia zasobów w sieci bezprzewodowej
CA2806527A1 (en) 2010-07-26 2012-02-09 Seven Networks, Inc. Mobile network traffic coordination across multiple applications
US8843774B2 (en) 2010-08-20 2014-09-23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battery power in response to an indication of an application being scheduled for immediate execution
US9667280B2 (en) * 2010-09-24 2017-05-30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touch temperature management based on power dissipation history
US9229510B2 (en) 2010-11-25 2016-01-05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Power management method for electro-chemical batteries in low capacity state
US8380999B1 (en) 2010-12-20 2013-02-19 Amazon Technologies, Inc. Power management for electronic devices
CN102540920A (zh) * 2010-12-31 2012-07-04 富泰华工业(深圳)有限公司 电子装置及软件运行控制方法
US9119159B2 (en) 2011-01-10 2015-08-25 Qualcomm Incorporated Battery power monitoring and audio signal attenuation
KR101723389B1 (ko) * 2011-01-10 2017-04-18 삼성전자주식회사 적응적 응용 프로그램 구동 장치 및 방법
US8863256B1 (en) 2011-01-14 2014-10-14 Cisco Technology, Inc. System and method for enabling secure transactions using flexible identity management in a vehicular environment
US8898461B2 (en) * 2011-03-03 2014-11-25 Lenovo (Singapore) Pte. Ltd. Battery authentication method and apparatus
US20120239949A1 (en) * 2011-03-14 2012-09-20 Research In Motion Limite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application and profile sensitive battery power management
US10678905B2 (en) 2011-03-18 2020-06-09 Lenovo (Singapore) Pte. Ltd. Process for controlling battery authentication
US8612782B2 (en) * 2011-03-31 2013-12-17 Intel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multiple power levels of the sub-systems based on a detected available power and prestored power setting information of a plurality of different combinations of the sub-systems
KR101759941B1 (ko) * 2011-04-21 2017-07-3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JP5784353B2 (ja) * 2011-04-25 2015-09-24 オリンパス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
US9652016B2 (en) * 2011-04-27 2017-05-16 Nvidia Corporation Techniques for degrading rendering quality to increase operating time of a computing platform
WO2012153787A1 (ja) * 2011-05-12 2012-11-15 シャープ株式会社 情報端末、情報端末の制御方法、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KR101847914B1 (ko) * 2011-05-19 2018-04-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동작 방법
KR101834810B1 (ko) * 2011-06-07 2018-03-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의 배터리 절전모드 전환 방법
WO2012178113A1 (en) 2011-06-23 2012-12-27 University Of Virginia Patent Found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modular power management and protection of critical services in ambulatory medical devices
CN102915106A (zh) * 2011-08-02 2013-02-06 宏碁股份有限公司 便携式装置的电源管理方法
US8359389B1 (en) * 2011-10-11 2013-01-22 Google Inc. Monitoring application program resource consumption
US8829847B2 (en) 2011-11-01 2014-09-09 Blackberry Limited Hybrid battery system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US8509861B2 (en) 2011-11-01 2013-08-13 Research In Motion Limited Hybrid battery system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US20130122804A1 (en) * 2011-11-14 2013-05-16 Siva G. Narendra Mobile device power management
US9100854B2 (en) 2011-12-06 2015-08-04 T-Mobile Usa, Inc. Quality of service application controller and user equipment application profiler
WO2013085539A1 (en) * 2011-12-09 2013-06-13 Intel Corporation Adaptive graphics subsystem power and performance management
CN103988146B (zh) * 2011-12-28 2018-10-19 松下知识产权经营株式会社 驱动控制装置和驱动控制方法
WO2013099229A2 (en) 2011-12-30 2013-07-04 Makita Corporation Battery system for a power tool, as well as battery holder therefor, charger, and charging system
US8768419B2 (en) * 2012-01-26 2014-07-01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Mobile battery partitioning system and method
US9078208B1 (en) * 2012-03-05 2015-07-07 Google Inc. Power modes of computing devices
US9513696B2 (en) 2012-03-08 2016-12-06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Migrating applications across a group of personal mobile devices based on battery usage
US9596697B2 (en) 2012-04-03 2017-03-14 T-Mobile Usa, Inc. Application controller for quality-of-service configuration of a telecommunication device radio
US20130258929A1 (en) * 2012-04-03 2013-10-03 T-Mobile Usa, Inc. Rule-Based Application Controller for Signaling Reduction
SG11201406477UA (en) * 2012-04-10 2014-11-27 Tencent Tech Shenzhen Co Ltd Method for monitoring and manging battery charge level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same
KR102070276B1 (ko) * 2012-04-24 2020-01-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US11073959B2 (en) * 2012-06-08 2021-07-27 Apple Inc. Simulating physical materials and light interaction in a user interface of a resource-constrained device
KR101941510B1 (ko) * 2012-06-13 2019-01-23 삼성전자주식회사 전력 소모를 줄이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JP5692215B2 (ja) * 2012-06-15 2015-04-01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撮像装置、撮像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8965462B2 (en) * 2012-07-25 2015-02-2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Persistent display of priority information on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8868025B2 (en) 2012-08-14 2014-10-21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systems and devices for prioritizing access to wireless networks
US8984313B2 (en) 2012-08-31 2015-03-17 Intel Corporation Configuring power management functionality in a processor including a plurality of cores by utilizing a register to store a power domain indicator
US9781496B2 (en) 2012-10-25 2017-10-03 Milwaukee Electric Tool Corporation Worksite audio device with wireless interface
US9648636B2 (en) * 2012-12-10 2017-05-09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Intelligent M2M energy optimization algorithm
US9253793B2 (en) * 2012-12-19 2016-02-02 Intel Corporation Channel aware job scheduling
US9367113B2 (en) * 2013-01-11 2016-06-14 Qualcomm Incorporated Managing modem power consumption
JP6036852B2 (ja) * 2013-01-24 2016-11-30 富士通株式会社 携帯情報端末、制御方法、制御プログラム
JP6163167B2 (ja) * 2013-01-28 2017-07-12 華為技術有限公司Huawei Technologies Co.,Ltd. 電池式モバイル無線情報デバイスの動作中の電力消費を最小化する方法
US9207981B2 (en) 2013-03-15 2015-12-08 Googl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power awareness in mobile applications
US9858052B2 (en) 2013-03-21 2018-01-02 Razer (Asia-Pacific) Pte. Ltd. Decentralized operating system
US9516127B2 (en) 2013-03-25 2016-12-06 Seven Networks, Llc Intelligent alarm manipulator and resource tracker
CN103248763B (zh) * 2013-04-19 2016-04-13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通讯方法及移动终端
JP6205847B2 (ja) * 2013-05-28 2017-10-04 沖電気工業株式会社 通信制御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10079507B2 (en) * 2013-06-28 2018-09-18 Intel Corporation Techniques for adaptive demand/response energy management of electronic systems
KR101477179B1 (ko) * 2013-07-19 2014-12-29 삼성전자주식회사 어플리케이션의 전력 효율을 결정하고 표시하는 방법 및 단말기
US9730163B2 (en) * 2013-08-27 2017-08-08 Life360,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conservation of battery power of mobile devices within a location-based group
US9703355B2 (en) 2013-08-28 2017-07-11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devices and systems for dynamic multimedia data flow control for thermal power budgeting
US9168459B1 (en) * 2013-10-24 2015-10-27 Kabam, Inc. System and method for dynamically altering an in-game experience based on a user's connection to the game
USD741795S1 (en) 2013-10-25 2015-10-27 Milwaukee Electric Tool Corporation Radio charger
US9020483B1 (en) 2013-11-26 2015-04-28 At&T Mobility Ii Llc Setting voice and data priority using a registration message
TWI497284B (zh) * 2014-01-13 2015-08-21 Wistron Neweb Corp 控制表面溫度之方法及其相關表面溫度控制系統
US9351254B2 (en) 2014-01-22 2016-05-24 Seven Networks, Llc Method for power saving in mobile devices by optimizing wakelocks
US10067555B2 (en) 2014-02-20 2018-09-04 Advanced Micro Devices, Inc. Control of performance levels of different types of processors via a user interface
WO2015132562A1 (en) * 2014-03-06 2015-09-11 British Telecommunications Public Limited Company User equipment battery consumption
US9426748B2 (en) * 2014-07-11 2016-08-23 Qualcomm Incorporated Dynamic sleep mode based upon battery charge
US10503912B1 (en) 2014-08-12 2019-12-10 NEXRF Corp. Multi-channel communication of data files
KR102267713B1 (ko) * 2014-08-25 2021-06-23 삼성전자주식회사 송신 전력 제어와 관련한 전자 장치 운용 방법 및 전자 장치
US9811132B2 (en) 2014-08-26 2017-11-0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Power management for battery-powered devices
US9736567B2 (en) * 2014-09-29 2017-08-15 Qualcomm Incorporated Electronics interface for device headset jack
CN104467997B (zh) * 2014-11-18 2017-05-31 无锡清华信息科学与技术国家实验室物联网技术中心 一种基于无线信号强度预测的终端节能的方法和装置
US9247410B1 (en) * 2014-12-08 2016-01-26 GreatCall, Inc. Power management for emergency communications device
US9749960B2 (en) * 2015-02-05 2017-08-29 Dell Prodiucts, L.P. Adaptable power-budget for mobile devices
US10219223B2 (en) * 2015-02-18 2019-02-26 Gainspan Corporation Concurrent mode radio
US9788155B1 (en) 2015-04-22 2017-10-10 Michael A. Kerr User interface for geofence associated content
CN105183132A (zh) * 2015-08-18 2015-12-23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节能模式启动方法和装置
JP7061567B2 (ja) 2015-09-15 2022-04-28 インターデジタル マディソン パテント ホールディングス, エスアーエス 節電メディア・コンテンツを提供する方法および装置
US9907024B2 (en) * 2015-09-23 2018-02-27 Htc Corporatio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0193999B1 (en) 2015-12-10 2019-01-29 Kabam, Inc. Dynamic online game implementation on a client device
US10068431B1 (en) 2015-12-10 2018-09-04 Kabam, Inc. Facilitating event implementation in an online game
CN105676997B (zh) * 2016-01-05 2018-11-30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移动终端管理方法和系统、移动终端
CN106998098A (zh) * 2016-01-25 2017-08-01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终端设备
US10728164B2 (en) * 2016-02-12 2020-07-28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Power-aware network communication
US9936457B2 (en) 2016-03-29 2018-04-0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Ensuring battery reserve for mobile communication
US9854528B2 (en) 2016-04-05 2017-12-26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Tuning networks and user equipment using a power profile
US9860848B2 (en) * 2016-05-31 2018-01-02 Apple Inc. Baseband power estimation and feedback mechanism
US10838582B2 (en) 2016-06-15 2020-11-17 NEXRF Corp. Mobile autonomous dynamic graphical user interface
US9838971B1 (en) 2016-08-31 2017-12-0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utomatic configuration of power settings
CN106331374B (zh) * 2016-09-28 2019-11-08 珠海市魅族科技有限公司 一种网络连接控制方法及装置
WO2018069746A1 (en) * 2016-10-11 2018-04-19 Sony Mobile Communications Inc. Automatic power saving selection based on target use
US10903665B2 (en) 2016-11-01 2021-01-26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Usage data based battery charge or discharge time determination
US11656666B2 (en) 2016-11-16 2023-05-2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Dynamic power source selection, charging, and discharging
US10488905B2 (en) 2016-11-16 2019-11-26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Dynamic energy storage device discharging
CN114679762A (zh) * 2016-12-30 2022-06-28 英特尔公司 用于无线电通信的方法和设备
US10725529B2 (en) 2017-06-26 2020-07-28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Target based power management
CN117950478A (zh) * 2017-08-22 2024-04-30 英特尔公司 用于计算机设备的基于应用优先级的功率管理
US10512025B2 (en) * 2017-11-14 2019-12-17 Apple Inc. Activity mode for a cellular connection
US10757601B2 (en) * 2017-12-13 2020-08-25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Physical layer procedures for user equipment in power saving mode
US11241616B1 (en) * 2019-05-17 2022-02-08 Amazon Technologies, Inc. Techniques for conserving power on a device
DE102020200117A1 (de) * 2020-01-08 2021-07-08 Fachhochschule Kiel Vorrichtung mit einer Steuer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Steuerung einer Energieversorgung der Vorrichtung
US11570205B1 (en) 2020-03-20 2023-01-31 Loyalty Iot, Inc. Anonymous contact tracing with network based hyperlocal authentication
WO2022039753A1 (en) * 2020-08-21 2022-02-24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Modifications based on signal-to-noise ratios
US11979767B2 (en) * 2020-11-27 2024-05-07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Automatic adjustment of throughput rate to optimize wireless device battery performance
CN114625328A (zh) * 2020-12-11 2022-06-14 慧荣科技股份有限公司 多屏幕显示控制装置
CN114625330A (zh) 2020-12-11 2022-06-14 慧荣科技股份有限公司 多屏幕显示控制装置
CN114625329A (zh) 2020-12-11 2022-06-14 慧荣科技股份有限公司 多屏幕显示控制装置
FR3137246A1 (fr) * 2022-06-28 2023-12-29 Orange Procédé de gestion de l’énergie d’un équipement électronique, équipement et programme d’ordinateur corresponda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070339A1 (en) 2003-09-30 2005-03-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performing power saving control of mobile terminal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36674B1 (en) * 1996-02-23 2001-05-22 Teletransactions, Inc. Transceiver control with sleep mode operation
JP2877116B2 (ja) * 1996-12-26 1999-03-31 日本電気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
JPH10290195A (ja) 1997-04-15 1998-10-2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携帯無線通信装置
US6427072B1 (en) 1998-12-30 2002-07-30 Ericsson Inc. Reserve power system for any battery operated device
JP3928292B2 (ja) 1999-03-01 2007-06-13 ソニー株式会社 電子機器
JP2000253142A (ja) 1999-03-02 2000-09-1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通信端末装置および消費電力削減方法
JP3334753B2 (ja) 1999-06-15 2002-10-15 日本電気株式会社 移動端末、移動通信システム、及び移動端末の消費電力抑制方法
US6201372B1 (en) 1999-09-08 2001-03-13 Denso Corporation, Ltd. Reserve power option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6215275B1 (en) 1999-10-29 2001-04-10 Hewlett-Packard Company Method for the automatic determination of battery chemistry in portable electronic devices
JP2001274898A (ja) 2000-03-27 2001-10-05 Tu-Ka Cellular Tokyo Inc 携帯装置
JP2001352394A (ja) 2000-06-08 2001-12-21 Sony Corp 所要電池残容量通知機能付き携帯用無線端末
JP2002199062A (ja) 2000-12-25 2002-07-12 Hitachi Ltd 携帯端末装置
US6710578B1 (en) 2002-08-27 2004-03-23 Motorola, Inc. Power resource management in a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US7525918B2 (en) 2003-01-21 2009-04-28 Broadcom Corporation Using RTCP statistics for media system control
US20040247993A1 (en) 2003-05-21 2004-12-09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System and Method of Improving Talk-Time at the End of Battery Life
US7099689B2 (en) * 2003-06-30 2006-08-29 Microsoft Corporation Energy-aware communications for a multi-radio system
FR2857195B1 (fr) 2003-07-02 2005-10-14 Wavecom Procede de controle d'un service mis en oeuvre dans un dispositif de radiocommunication, pour optimiser la gestion de la charge de la batterie et dispositif de controle correspondant
GB0316969D0 (en) 2003-07-19 2003-08-27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Improved battery powered devices
JP2006050510A (ja) 2003-09-03 2006-02-16 Sharp Corp 情報処理装置、無線モジュール、電子制御装置、電力制御方法、電力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2005117304A (ja) 2003-10-07 2005-04-28 Nec Access Technica Ltd 携帯電話機およびその動作制御方法
US7057372B2 (en) * 2003-10-17 2006-06-06 Research In Motion Limited Battery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KR100664123B1 (ko) 2004-05-06 2007-01-04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전원 운용장치 및 방법
JP4462614B2 (ja) * 2004-07-05 2010-05-12 ソニー・エリクソン・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近距離無線通信システム、携帯端末装置および無線通信装置
US20060279256A1 (en) * 2005-06-10 2006-12-14 Media Lab Power management system for multi-function battery-operated devic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070339A1 (en) 2003-09-30 2005-03-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performing power saving control of mobile terminal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32022A1 (ko) * 2014-08-27 2016-03-03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에서 배터리 소모를 줄이기 위한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8027975A2 (en) 2008-03-06
CN103078390A (zh) 2013-05-01
CN103078390B (zh) 2016-06-01
WO2008027975A3 (en) 2008-07-17
EP2064796A2 (en) 2009-06-03
US8135443B2 (en) 2012-03-13
CN101523690A (zh) 2009-09-02
JP4834159B2 (ja) 2011-12-14
KR20090064403A (ko) 2009-06-18
JP2010503290A (ja) 2010-01-28
US20080057894A1 (en) 2008-03-06
IN2014MN01626A (ko) 2015-07-03
EP2064796B1 (en) 2019-04-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95332B1 (ko) 우선순위 기반 전력 절약 제어를 이용하는 휴대용 디바이스및 그 제어 방법
US20080055311A1 (en) Portable device with run-time based rendering quality control and method thereof
US9144014B2 (en) Method for operating portable terminal to reduce power during support of communication service and portable terminal supporting the same
US9936458B2 (en) Battery power management for a mobile device
US6710578B1 (en) Power resource management in a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US8676154B2 (en)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controlling data transmission based on power consumption
US9172117B2 (en) User-controlled application-based power management
KR102201123B1 (ko) 셀룰러 네트워크에서의 신호 인지 데이터 전송
US20070243852A1 (en) Virtual batteries for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CN111343682B (zh) 一种网络切换方法、装置、存储介质及终端
US8869152B1 (en) Methods and procedures to dynamically adjust processor frequency
US8502505B2 (en) Battery driving device, load control method, integrated circuit and load control program
JP2005117304A (ja) 携帯電話機およびその動作制御方法
US2012000188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alculating a power consumption segment and displaying a power consumption indicator
US20100041446A1 (en) Electronic apparatus with power saving function and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4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