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2113B1 - 네트워크를 통한 통신 단말기의 위치정보 제공 방법과 그 시스템 - Google Patents

네트워크를 통한 통신 단말기의 위치정보 제공 방법과 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2113B1
KR101042113B1 KR1020090046300A KR20090046300A KR101042113B1 KR 101042113 B1 KR101042113 B1 KR 101042113B1 KR 1020090046300 A KR1020090046300 A KR 1020090046300A KR 20090046300 A KR20090046300 A KR 20090046300A KR 101042113 B1 KR101042113 B1 KR 1010421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terminal
location
location information
information
side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63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27941A (ko
Inventor
남덕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to KR10200900463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2113B1/ko
Publication of KR201001279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79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21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21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9Location-based management or track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1Services related to particular areas, e.g. point of interest [POI] services, venue services or geof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8Information format or content conversion, e.g. adaptation by the network of the transmitted or received information for the purpose of wireless delivery to users or terminals
    • H04W4/185Information format or content conversion, e.g. adaptation by the network of the transmitted or received information for the purpose of wireless delivery to users or terminals by embedding added-value information into content, e.g. geo-tagg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4/00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송신측 통신 단말기에 대한 위치 정보를 다른 정보 포맷으로 가공하지 않고 제공할 수 있도록 함에 의해, 수신측에서 위치 정보의 변환없이 전자 지도 서비스에 직접 적용하여 표현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는 네트워크를 통한 통신 단말기의 위치정보 제공 방법과 그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송신측 통신 단말기에서 지정 위치에 대한 위치 좌표값을 갖는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송신측 통신 단말기에서 네트워크를 통해서 수신측 통신 단말기에 상기 위치 정보를 미가공 데이터(RAW Data)의 상태로 직접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측 통신 단말기에서 미가공 데이터 상태의 위치 정보를 해석하고, 상기 위치 정보의 위치 좌표값에 따른 지도 데이터를 불러내어 지도 상에 해당 위치를 매칭시켜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네트워크를 통한 통신 단말기의 위치정보 제공 방법과 그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Location Information of communication Terminal in Network}
본 발명은 송신측 통신 단말기에 대한 위치 정보가 다단의 정보 처리없이 수신측 통신 단말기에 직접 제공되어 전자 지도 서비스를 통해 표시될 수 있도록 하는 네트워크를 통한 통신 단말기의 위치정보 제공 방법과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에 제공되는 전자 지도 서비스는, 이미지로 표현되는 전자 지도를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상대방 단말기의 위치 찾기, 자신의 위치 주변에 대한 지리정보 제공, 사용자가 지정하는 주요 지점 찾기, 차량 및 보행자를 위한 내비게이션 기능, 혼잡 교통정보 제공, 대중교통 노선 제공 및 도착정보 제공을 위해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전자지도 서비스에서는 전자지도를 운용하는 전용 서버로서 GIS 서버에서 특정 위치 주변의 전자 지도에 해당 위치와 관련된 지도 서비스 컨텐츠로서 POI(Point of Interest) 정보를 매칭시켜서 결합한 이후에,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POI 정보가 포함된 전자 지도 데이터를 하향 무선 통신에 의해 이동통신 단말기에 전송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전자지도 서비스 중에서 상대방 단말기의 위치 찾기 서비스의 경우에는, 송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의 현재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를 해당 송신측 이동통신 단말기 또는 별도의 위치 정보 서버에서 생성하게 되면, 해당 위치 정보를 지역 정보를 포함한 단문 메시지(SMS) 또는 지도 정보를 포함한 멀티미디어 메시지(MMS)의 형태로 변환하여 수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에 전송하고, 수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에서는 단문 메시지(SMS) 또는 멀티미디어 메시지(MMS)의 형태로 변환되어 수신받은 메시지 내용을 확인하여 현재 위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한편, 송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가 왑 푸쉬(Wap Push)의 형태로 수신자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수신되는 경우에는, 수신자가 송신측 단말기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해 무선 인터넷을 통해서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서버에 접속하여 해당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전자 지도 데이터를 통해서 위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상대방 위치 확인 서비스의 경우에는, 수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에 전자 지도 데이터가 내장되어 외부로부터 지도 데이터를 다운로드받지 않아도 지도 상의 위치를 표현할 수 있는 환경을 가지고 있더라도, 단문 메시지(SMS) 또는 멀티미디어 메시지(MMS)의 형태로 변환되어 전송되는 상대방의 위치 정보를 전자 지도 서비스와 직접 연계하여 상대방 위치 표시를 진행할 수 없도록 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왑 푸쉬 형태로 송신측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제공받는 경 우에도 부득이하게 무선 인터넷을 통해 서버에 접속하여 송신자의 위치 관련 정보를 다시 다운로드 받아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은 송신측 통신 단말기에 대한 위치 정보를 다른 정보 포맷으로 가공하지 않고 제공할 수 있도록 함에 의해, 위치 정보의 변환없이 수신측에서 전자 지도 서비스에 직접 적용하여 표현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는 네트워크를 통한 통신 단말기의 위치정보 제공 방법과 그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방법의 일예에 따르면, 송신측 통신 단말기에서 지정 위치에 대한 위치 좌표값을 갖는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송신측 통신 단말기에서 네트워크를 통해서 수신측 통신 단말기에 상기 위치 정보를 미가공 데이터(RAW Data)의 상태로 직접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측 통신 단말기에서 미가공 데이터 상태의 위치 정보를 해석하고, 상기 위치 정보의 위치 좌표값에 따른 지도 데이터를 불러내어 지도 상에 해당 위치를 매칭시켜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를 통한 통신 단말기의 위치정보 제공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방법의 다른 예에 따르면, 위치 정보 서버에서 특정 송신측 통신 단말기로부터의 지정 위치를 검출하고, 상기 지정 위치에 대한 위치 좌표값을 갖는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위치 정보 서버에서 네트워크를 통해서 특정 수신측 통신 단말기에 상기 위치 정보를 미가공 데이터의 상태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측 통신 단말기에서 미가공 데이터 상태의 위치 정보를 해석하고, 상기 송신측 통신 단말기의 지정 위치에 대한 위치 좌표값에 따른 지도 데이터를 불러내어 지도 상에 해당 송신측 통신 단말기로부터의 지정 위치를 매칭시켜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를 통한 통신 단말기의 위치정보 제공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방법의 또 다른 예에 따르면, 송신측 통신 단말기에서 지정 위치에 대한 위치 정보의 전송을 위치 정보 서버에 요청하는 단계, 상기 위치 정보 서버에서 상기 지정 위치에 대한 위치 좌표값을 갖는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위치 정보 서버에서 네트워크를 통해서 특정 수신측 통신 단말기에 상기 위치 정보를 미가공 데이터의 상태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측 통신 단말기에서 미가공 데이터 상태의 위치 정보를 해석하고, 상기 송신측 통신 단말기의 지정 위치에 대한 위치 좌표값에 따른 지도 데이터를 불러내어 지도 상에 해당 송신측 통신 단말기로부터의 지정 위치를 매칭시켜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를 통한 통신 단말기의 위치정보 제공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시스템의 일예에 따르면, 지정 위치에 대한 위치 좌표값을 갖는 위치 정보를 생성하고, 네트워크를 통해서 수신측 통신 단말기에 상기 위치 정보를 미가공 데이터의 상태로 직접 전송하는 송신측 통신 단말기 및 상기 송신측 통신 단말기로부터의 미가공 데이터 상태의 위치 정보를 수신받아 해석하고, 상기 위치 정보로부터 해석된 위치 좌표값에 따른 지도 데이터를 불러내어 지도 상에 해당 송신측 통신 단말기로부터의 지정 위치를 매칭시켜서 표시하는 수신측 통신 단말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를 통한 통신 단말기의 위치정보 제공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시스템의 다른 예에 따르면, 특정 송신측 통신 단말기로부터의 지정 위치를 검출하여 상기 지정 위치에 대한 위치 좌표값을 갖는 위치 정보를 생성하고, 네트워크를 통해서 수신측 통신 단말기에 상기 위치 정보를 미가공 데이터의 상태로 전송하는 위치 정보 서버 및 상기 위치 정보 서버로부터 미가공 데이터 상태의 위치 정보를 수신받아 해석하고, 상기 위치 정보로부터 해석된 위치 좌표값에 따른 지도 데이터를 불러내어 지도 상에 해당 송신측 통신 단말기로부터의 지정 위치를 매칭시켜서 표시하는 수신측 통신 단말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를 통한 통신 단말기의 위치정보 제공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통신 단말기에 따르면, 네트워크를 통해 위치 정보 서버로부터 특정 송신측 통신 단말기에 대한 지정 위치의 위치 정보를 미가공 데이터의 형태로 제공받는 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특정 송신측 통신 단말기에 대한 지정 위치의 위치 정보를 요청하기 위한 사용자 키입력을 수행하는 키입력부, 전자 지도 서비스에 의해 위치 정보를 지도 상에 표시하기 위한 지도 데이터 및 지도 관련 POI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 상기 위치 정보 서버로 부터 미가공 데이터의 형태로 제공되는 위치 정보를 해석하여 상기 메모리로부터 독출된 지도 데이터 및 POI 정보에 지정 위치를 매칭시켜서 화면 표시하는 전자지도 브라우져 및 처리엔진 및 상기 키입력부의 위치정보 요청 키입력에 따라 상기 위치 정보 서버에 상기 특정 송신측 통신 단말기에 대한 지정 위치의 위치 정보를 요청하고, 상기 전자지도 브라우져 및 처리엔진을 통해 상기 미가공 데이터 형태의 위치정보에 의해 지정 위치가 지도 상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정보 제공 기능을 갖춘 통신 단말기를 제공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위치 정보 서버에 따르면, 특정 송신측 통신 단말기에 대한 지정 위치를 특정 수신측 통신 단말기에 제공하기 위한 위치 정보 서버에 있어서, 상기 특정 송신측 통신 단말기 및 수신측 통신 단말기와 위치 검출 및 위치 정보 제공을 위한 네트워크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처리부, 상기 통신 처리부를 통해 상기 특정 송신측 통신 단말기에 대한 지정 위치를 검출하고, 상기 지정 위치에 대한 위치 정보를 미가공 데이터의 형태로 생성하는 위치정보 생성부 및 상기 위치정보 생성부에서 위치 정보를 생성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위치 정보가 미가공 데이터의 형태로 상기 통신 처리부를 통해 상기 특정 수신측 통신 단말기에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위치정보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정보 서버를 제공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송신측 통신 단말기에 대한 위치 정보를 상 대방 수신측 통신 단말기에 제공할때, 위도, 경도, 고도의 위치 좌표값을 미가공 데이터의 상태로 수신측에 전송할 수 있도록 함에 의해, 전자 지도가 내장되어 자체적인 전자 지도 서비스가 가능한 수신측 통신 단말기에서 미가공 데이터 상태의 위치 정보를 전자 지도 서비스에 직접 적용하여 송신측 통신 단말기의 현재 위치를 지도 상에 표현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다단의 정보 변환 과정이나 별도의 인터넷 접속에 의한 현재 위치 관련 지도 데이터를 재전송 받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상대방의 현재 위치를 보다 신속한 정보 처리를 통해서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사용자에게 큰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고, 통신 자원의 불필요한 사용을 대폭 절감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면서 네트워크의 사용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는 효과를 갖게 되며, 전자 지도 서비스의 제공 기능이 내장된 통신 단말기의 경우에 내장 기능을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효과를 갖게 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는 네트워크를 통해 전자 지도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통신 단말기로서, 쌍방향의 무선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Terminal)과, 무선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 폰(Smart Phone), UMPC(Ultra Mobile PC) 등의 무선 휴대 단말기와, 무선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데스크톱 컴퓨터 단말, 노트북 컴퓨터 단말, 넷북 등의 무선 통신 단말기가 모두 적용될 수 있다. 그러나, 설명의 편의상 이하의 설명에서 본 발명에서의 통신 단말기는 쌍방향 무선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일 예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를 통한 통신 단말기의 위치정보 제공 시스템에 대한 전체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를 통한 통신 단말기의 위치정보 제공 시스템은, 송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0)와, GPS 위성(12), 수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4), 네트워크, 위치 정보 서버(16), 단말기 정보 데이터베이스(18), POI(Point of Interest) 정보 서버(20) 및 POI 정보 데이터베이스(2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송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0)는 자신의 현재 위치 또는 해당 단말기 사용자가 지정한 특정 위치에 대한 위치 정보를 생성하여 네트워크를 통한 단문 메시지(SMS)의 전송 방식 또는 인터넷 패킷 전송 방식에 의해 상기 수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4)에 위치 정보를 별도의 다른 정보 포맷으로 변환되지 않은 미가공된 형태의 데이터(RAW Data)(이하, 미가공 데이터라 칭함)의 상태로 전송하게 된다.
상기 미가공 데이터와 대비되는 종래의 가공된 형태의 데이터로는, 단문 메시지(SMS) 또는 멀티미디어 메시지(MMS)를 통해서 송신측 단말기의 현재 위치에 대한 위치 좌표 정보를 위치를 설명하는 문자의 형태로 가공하여 상대방에게 전송하는 형태 또는 서버에 접속하여 송신측 위치에 대한 위치데이터 및 지도 데이터를 다운로드 받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링크 정보의 형태로 가공하여 전송하는 형태에 해당되는 바, 본 발명의 미가공 데이터는 상기한 종래의 데이터 변환 과정을 통하지 않고 위치좌표 정보를 원본 데이터 그대로 상대방에게 전송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GPS 위성(12)은 GPS 방식에 따라 상기 송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0)에 현재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위치 좌표값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송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0)는 상기 GPS 위성(12)을 이용한 GPS 방식과, 네트워크 상의 인근 기지국을 이용한 셀 방식(Cell) 방식, GPS 위성 신호 및 셀내의 기지국으로부터의 GPS 정보를 이용하는 A-GPS 방식 중에서 어느 하나의 위치 검출 방식을 사용하여 자신의 위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A-GPS 방식은 네트워크의 기지국 제어기 또는 별도의 PDE(Position Determination Entity) 서버에서 GPS 위성(12)으로부터의 위성 궤도 정보를 수신 받아서 위치 검출을 위한 보조 정보로서 상기 송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0)에 제공하고, 상기 송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0)에서 상기 GSP 위성(12)으로부터의 GPS 위성 신호를 수신 받음과 더불어, 상기 네트워크 셀 내의 기지국 제어기 또는 PDE 서버로부터 위성 궤도 정보를 보조 정보로서 제공받아 연산함에 의해, 단말기가 위성 신호를 수신하고 현재의 위치를 계산하는 데 소요되는 시간에 해당되는 TTFF(Time To First Fix) 속도가 한층 빨리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수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4)는 지도 데이터가 내장되어 자체적인 전자 지도 서비스가 가능한 단말기로서, 상기 송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0)로부터 단문 메시지(SMS)의 전송 방식 또는 인터넷 패킷 전송 방식에 의해 송신측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미가공 데이터 상태로 직접 전송받거나,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위치 정 보 서버(16)로부터 상기 송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0)에 대한 위치 정보 또는 송신측 사용자가 지정한 특정 위치의 위치 정보를 미가공 데이터 상태로 전송 받아서, 상기 미가공 데이터 상태의 위치 정보를 별도의 정보 변환을 통하지 않고 전자 지도 브라우져에 적용하여 상대방 송신측 단말기의 현재 위치 또는 송신측에서 지정한 특정 위치를 지도 상에 표현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네트워크는 이동 통신망과 같은 무선 시그널링 네트워크와, IMS(IP Multimedia Subsystem) 망이나 인터넷망과 같은 무선 디지털 데이터 네트워크를 모두 포함하고 있다.
상기 위치 정보 서버(16)는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송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0)의 현재 위치 또는 송신측 사용자가 지정한 특정 위치의 위치 정보를 생성하고서, 상기 생성된 위치 정보를 미가공 데이터의 상태로 상기 수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4)에 전송한다.
상기 단말기 정보 데이터베이스(18)는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 통신 서비스를 제공받는 모든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한 단말기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것으로서, 상기 단말기 정보에는 각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종 정보와, 지도 데이터가 내장되어 전자 지도 서비스를 자체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지의 여부에 대한 판별 정보 등이 포함된다.
상기 위치 정보 서버(16)는 상기 송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0)의 현재 위치 또는 송신측에서 별도 지정한 특정 위치에 대한 위치 정보를 수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4)에 전송할 때에, 상기 단말기 정보 데이터베이스(18)에 저장된 해당 수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4)의 단말기 정보를 참조하여 미가공 데이터 상태의 위치 정보를 전자 지도 서비스에 직접 적용할 능력을 상기 수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4)가 갖추고 있는지를 판별하게 된다.
상기 위치 정보 서버(16)는 상기 수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4)가 미가공 데이터 상태의 위치 정보를 전자 지도 서비스에 직접 적용할 능력이 있다고 판단하는 경우에는, 상기 위치 정보를 미가공 데이터의 형태로 제공하지만, 미가공 데이터의 전자 지도 처리 능력이 없다고 판단하게 되면 송신측의 현재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이미지 형태의 지도 데이터와, POI 정보를 상기 수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4)에 전반적으로 제공한다.
상기 POI 정보 서버(20)는 상기 위치 정보 서버(16)에 상기 송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0)의 현재 위치와 관련되어 있는 다양한 POI 정보의 데이터값을 제공한다.
상기 POI 정보 데이터베이스(22)에는 상기 송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0)의 현재 위치 또는 송신측에서 지정한 특정 위치와 관련되어 표현이 가능한 다양한 형태의 POI 정보에 대한 데이터값이 저장되어 있다.
상기 POI 정보의 데이터값은, 다양한 형태의 서비스 컨텐츠 별로 위도, 경도, 고도의 위치 좌표값을 갖추고 있고, 각 서비스 컨텐츠 별로 색상, 모양, 크기, 넓이, 지도상 위치, 이벤트 정보, 효과음, 이벤트시 반응 여부 정보 등과 같은 개별 속성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한편, 상기 송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0)로부터 상기 수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4)에 제공되는 미가공 데이터 상태의 위치 정보와, 상기 위치 정보 서버(16)로 부터 상기 수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4)에 제공되는 미가공 데이터 상태의 위치 정보에는, 송신측 단말기의 현재 위치 또는 별도의 특정 위치를 나타내는 관련 컨텐츠를 갖춘 POI 정보와 수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4)가 표시할 지도의 축척값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위치 정보에 포함되는 POI 정보에는 사람의 형상이나 이동통신 단말기의 형상, 송신측 사용자의 현재 위치 부근의 건물, 하천, 산 등의 지형 지물이 포함되어 있다.
그 다음에,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송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0) 및 수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4)는 키입력부(24)와, 프로그램 메모리(26), 지도 메모리(28), POI 메모리(30), 마이크로 프로세서(32), GPS 모듈(34), 통신신호 처리부(36), 통신신호 송수신부(38), 디지털신호 처리부(40), 표시부(42), 송화부(44), 수화부(4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키입력부(24)는 전자 지도 서비스를 이용하여 상대방 단말기의 위치를 찾기 위한 키입력(즉, 상대방 위치 또는 상대방이 지정한 특정 위치의 검색 기능)과, 상대방 단말기로 자신의 현재 위치 또는 특정 위치를 알려 주기 위한 키입력(즉, 상대방에게 자신의 위치 또는 별도 지정한 특정 위치를 통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키입력부(24)는 사용자의 선택 조작에 따라 GPS 방식과, 셀 방식, A-GPS 방식 중에서 어느 하나의 위치 검출 방식을 사용자가 임의로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키입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26)는 전자 지도 서비스의 상대방 위치 찾기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전자지도 브라우져 프로그램과, 전자지도 처리 엔진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다.
상기 지도 메모리(28)에는 전국 권역의 전자 지도에 대한 지도 데이터가 전반적으로 저장되어 있는 바, 상기 지도 데이터에는 위도, 경도, 고도 별로 분류된 위치 좌표값이 포함되어 있다.
상기 POI 메모리(30)는 각 지역별 지도 데이터에 표현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서비스 컨텐츠별 POI 정보가 전반적으로 저장되어 있다.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32)는 상기 송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0)에 구비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키입력부(24)의 사용자 조작에 의한 해당 송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0)의 현재 위치 통보 요청 또는 별도 지정한 특정 위치의 통보 요청 키입력에 따라, 상기 GPS 모듈(34)에 의해 검출되는 GPS 방식에 의한 해당 단말기의 현재 위치에 의해 위치 정보를 생성하거나, 셀 방식에 따라 상기 통신신호 송수신부(38)를 통해 획득되는 현재 위치에 의해 위치 정보를 생성하고서, 단문 메시지(SMS) 또는 인터넷 패킷을 통해 위치 정보를 미가공 데이터의 형태로 상대방 수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4)에 전송하기 위한 제어를 수행한다.
또한,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32)는 상기 수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4)에 구비되어 있는 경우에, 단문 메시지(SMS) 또는 인터넷 패킷을 통해서 상기 송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0)로부터의 위치 정보를 미가공 데이터 상태로 전송 받아서,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26)의 전자 지도 브라우져와 전자 지도 처리 엔진에 의한 전자 지도 서비스 처리에 따라 상기 송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0)의 현재 위치 또는 송신측에서 지정한 특정 위치가 전자 지도 상에 표현되도록 제어한다.
또,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32)는 상기 수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4)에 구비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키입력부(24)의 사용자 조작에 따라 상대방 송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0)의 현재 위치 또는 상대방 송신측에서 지정한 특정 위치를 찾고자 하는 키입력이 이루어지면,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위치 정보 서버(16)에 상기 송신측 단말기의 현재 위치 또는 특정 위치를 요청하고, 상기 위치 정보 서버(16)로부터 전송되는 미가공 데이터 상태의 위치 정보를 전자 지도 브라우져에 직접 적용하여 상기 송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0)의 현재 위치 또는 송신측에서 지정한 특정 위치가 전자 지도 상에 표현되도록 제어한다.
한편,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32)는 상기 키입력부(24)로부터의 사용자 선택 입력에 따라 위치 검출 방식을 GPS 방식이나 셀 방식, A-GPS 방식 중에서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선택하여 위치를 검출할 수 있도록 하고, 사용자에 의한 선택 입력이 이루어지지 않더라도 상기 GPS 위성(12)으로부터의 GPS 위성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음영 지역인 경우에 셀 방식으로 자동 전환하여 위치를 검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GPS 모듈(34)은 GPS 안테나를 통해 상기 GPS 위성(12)으로부터의 GPS 위치 좌표값을 수신 받아 연산 처리를 통하여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의 현재 위치값을 산출하게 된다.
상기 통신신호 처리부(36)는 상기 통신신호 송수신부(38)를 통한 RF 신호를 중간주파수 신호로 변환하여 디지털 정보 신호로 변환하며,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32)로부터의 디지털 정보 신호를 중간주파수 신호로 변환하고, 그 중간주파수 신호를 RF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통신신호 송수신부(38)를 통해 전송되도록 한다.
상기 통신신호 송수신부(38)는 안테나를 통해서 이동 통신망의 기지국과 무선 통신을 수행하여 RF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디지털신호 처리부(40)는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32)의 제어 하에 상기 전자지도 브라우져와, 상기 전자지도 처리 엔진이 구동되어 미가공 데이터 상태의 위치 정보를 적용하여 송신측 단말기의 현재 위치를 지도 데이터에 매칭시켜 화면 표시하기 위한 디지털신호 처리를 수행한다.
상기 표시부(42)는 전자 지도 상에 상대방 송신측의 현재 위치를 나타내는 POI 정보를 화면 표시하기 위한 것이다.
그 다음에,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위치 정보 서버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위치 정보 서버((16)는 통신 처리부(60)와, 위치정보 생성부(62), POI 요청부(64), 위치정보 제어부(6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통신 처리부(60)는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송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0) 및 수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4)와 지도정보 서비스에 따른 위치 검출 및 위치 정보의 제공을 위한 통신을 진행한다.
상기 위치정보 생성부(62)는 상기 통신 처리부(60)를 통해서 상기 송신측 이 동통신 단말기(10)의 현재 위치 또는 송신측 사용자가 지정한 특정 위치를 검출하고, 해당 위치에 대한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것으로서, 이는 상기 위치 정보에 대한 위치 좌표값 및 POI 정보를 미가공 데이터의 형태로 생성(즉, 미가공 데이터의 지원 능력이 있는 단말기에 제공하기 위해 생성)하거나, 해당 위치의 위치 좌표값을 갖는 지도 데이터 및 POI 정보를 패키징하여 생성(즉, 미가공 데이터의 지원 능력이 없는 단말기에 제공하기 위해 생성)하게 된다.
상기 POI 요청부(64)는 상기 POI 정보 서버(20)에 상기 수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4)에 제공할 POI 정보를 요청하고, 그 요청된 POI 정보를 수신 받게 된다.
상기 위치정보 제어부(66)는 상기 위치정보 생성부(62)를 통해 상기 송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0)의 현재 위치 또는 송신측 사용자가 지정한 특정 위치에 대한 위치 정보가 생성되도록 하되, 상기 단말기 정보 데이터베이스(18)의 단말기 정보를 근거로 해당 수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4)가 미가공 데이터의 지원 능력이 있는지를 판별한 여부에 따라 상기 위치 정보가 미가공 데이터의 형태로 생성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수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4)에 대한 미가공 데이터 지원 능력 판별 결과에 따라 상기 수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4)에 상기 위치 정보를 미가공 데이터 형태 또는 지도데이터 및 POI 정보의 패키징 데이터를 제공한다.
그 다음에,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송신측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제공되는 송신측 위치 정보를 수신측에서 직접 수신 받아 전자 지도 상에 화면 표시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0)로부터의 위치 정보를 수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4)에서 직접 수신 받는 경우에, 상기 수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4)에는 상대방 송신측으로부터의 단문 메시지(SMS)를 수신 받는 단문 메시지(SMS) 송수신 관리 프로그램이 구동되는 단문메시지(SMS) 송수신 모듈(50) 또는 상대방 송신측으로부터 네트워크를 통해 제공되는 인터넷 패킷 데이터를 수신받는 인터넷 패킷 송수신 관리 프로그램이 구동되는 패킷 송수신 모듈(52)을 포함한다.
상기 전자 지도 처리 엔진(54)은 상기 단문 메시지(SMS) 송수신 모듈(50)로부터 수신되는 단문 메시지(SMS)에 포함된 미가공 데이터 상태의 위치 정보를 추출하거나, 상기 패킷 송수신 모듈(52)에 수신되는 인터넷 패킷에 포함된 미가공 데이터 상태의 위치 정보를 추출하게 된다.
상기 전자 지도 처리 엔진(54)은 상기 위치 정보의 데이터값이 전자 지도 서비스에 직접 적용이 가능한 미가공 데이터 상태임에 따라, 해당 위치 좌표값을 통해 상기 지도 메모리(28)로부터 해당 위치 좌표에 대응하는 지도 데이터를 독출하고, 상기 위치 정보에 포함된 POI 정보에 따라 상기 POI 메모리(30)로부터 해당되는 POI 데이터를 독출한다.
상기 전자 지도 브라우져(56)에서는 상기 전자 지도 처리 엔진(54)의 지도 정보 처리에 따라 지도 데이터 상에 상기 송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0)의 현재 위치를 나타내는 POI 정보를 매칭시켜서 상기 표시부(42) 상에 화면 표시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패킷 송수신 모듈(52)은 상대방 송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0)로부터 위치 정보가 포함된 인터넷 패킷을 수신받기 위한 수단으로서, 인스턴트 메신저(Instant Messenger), 인터넷 웹 브라우져, 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 프로그램 등이 적용될 수 있다.
그 다음에,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위치정보 서버로부터 송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수신 받아 전자 지도 상에 화면 표시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위치 정보 서버(16)를 통해 상기 송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0)의 위치를 알려주는 위치 정보를 제공받는 경우에, 상기 전자 지도 브라우져(56)에서는 수신측 사용자의 키입력에 따라 상기 송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0)의 위치를 상기 위치 정보 서버(16)에 요청하고, 상기 위치 정보 서버(16)는 상기 전자 지도 브라우져(56)에 상기 송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0)에 대해서 생성된 위치 정보를 미가공 데이터의 형태로 상기 전자 지도 브라우져(56)에 제공한다.
상기 전자 지도 처리 엔진(54)에서는 상기 전자 지도 브라우져(56)를 통해 상기 위치 정보 서버(16)로부터 전송받은 상대방 송신측 단말기로부터의 위치 정보를 해석하여 상대방의 위치 좌표값에 대응하는 지도 데이터를 상기 지도 메모리(28)로부터 독출하고, 상기 위치 정보에 포함된 POI 정보에 따라 상기 POI 메모리(30)로부터 해당 POI 데이터를 독출한다.
상기 전자 지도 브라우져(56)는 상기 전자 지도 처리 엔진(54)의 지도 정보 처리에 따라 지도 데이터 상에 상기 송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0)의 현재 위치 또는 송신측에서 지정한 특정 위치를 나타내는 POI 정보를 매칭시켜서 상기 표시부(42) 상에 화면 표시하도록 한다.
여기서, 본 발명에서는 전자 지도 브라우져(56)의 전자 지도 표시 기능과, 전자 지도 처리 엔진(54)의 전자 지도 정보 처리 기능을 각각 별도로 분리하여 적용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 것으로서 상기 전자 지도 브라우져(56)에 상기 전자 지도 처리 엔진의 처리 기능을 내장하여 단일의 구성요소로서 적용되도록 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하다.
한편, 상기 위치 정보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가공 데이터(RAW Data)의 형태로 제공되는 바, 단말의 위치 좌표값만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단말의 위치 좌표값에 하나 이상의 POI 정보와 수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4)가 표시할 지도의 축척값을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단말의 위치 좌표값에는 좌표 정보 표시 타입을 나타내는 플래그 정보와 위도, 경도, 고도가 포함되어 있다.
상기 좌표 정보의 표시 타입은 "십진 위경도" 방식, "60진법 위경도" 방식, "WGS-84 표준의 위경도" 방식 등과 같이 위도, 경도, 고도를 표시하는 방식의 종류를 나타낸 것이다.
또한, 상기 POI 정보에는 컨텐츠의 색상, 모양, 사이즈(크기, 넓이), 지도상 위치, 이벤트 정보, 효과음, 이벤트시 반응 여부 정보 등과 같은 속성값과, 좌표 정보 표시 타입, 위도, 경도, 고도의 위치 좌표값이 포함되어 있다.
상기 위치 정보에 포함된 단말 위치 좌표값, POI 정보 및 축척값은 데이터 포맷의 변환을 진행하지 않고, 미가공 데이터의 상태로 단문 메시지(SMS)나 인터넷 데이터 패킷에 원데이터 그대로 삽입되어 전송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송신측 단말기의 위치 정보는 정보의 보안을 위해 개인키 암호화 방식 과 같은 암호화 방식을 적용하여 정보를 암호화하여 전송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어,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동작에 대해 도 7 내지 도 9의 플로우차트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도 7의 플로우차트를 참조하여 송신측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의 위치 정보가 수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에 직접 제공하는 동작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송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0)는 GPS 방식에 따라 GPS 위성(12)으로부터의 위치 좌표 정보를 근거로 해당 송신측 단말기의 현재 위치값을 검출하거나, 셀 방식에 따라 해당 송신측 단말기의 현재 위치값을 검출함에 의해, 위치표시타입 플래그, 위도, 경도, 고도의 위치 좌표값과 필요하면 하나 이상의 POI 정보와 축척값을 포함하는 위치 정보를 생성하게 된다(단계 S10).
이 때, 상기 송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0)에서 생성되는 위치 정보는 해당 단말기의 현재 위치에 대한 위치 정보이거나, 해당 송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0)의 사용자가 지정한 특정 위치에 대한 위치 정보일 수 있다.
그 상태에서, 상기 송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0)는 상기 수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4)에 상기 위치 정보를 미가공 데이터의 상태로 단문 메시지(SMS) 또는 인터넷 패킷 데이터의 형태로 전송하게 된다(단계 S11).
상기 수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4)는 상기 송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0)로부터의 위치정보 수신에 따라 전자 지도 브라우져(56)를 실행하게 되고(단계 S12), 상 기 전자 지도 브라우져(56)와 연동하는 전자 지도 처리 엔진(54)에서 단문메시지(SMS) 송수신 모듈(50) 또는 패킷 송수신 모듈(52)에 수신되는 단문 메시지(SMS) 또는 인터넷 패킷 데이터로부터 미가공 상태의 위치 정보 데이터를 추출하게 된다(단계 S13).
상기 수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4)의 전자 지도 처리 엔진(54)에서는 상기 미가공 상태의 위치 정보에 포함된 위치 좌표값에 따라 상기 송신측 단말기의 현재 위치에 대응하는 지도 데이터를 지도 메모리(28)로부터 독출하게 되고(단계 S14), 상기 위치 정보에 포함된 POI 정보의 속성값을 근거로 POI 메모리(30)로부터 POI 데이터를 독출하여 상기 지도 데이터 상에 위치를 매칭시켜서 화면 표시하게 된다(단계 S15).
그 다음에, 도 8의 플로우차트를 참조하여 위치 정보 서버가 송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수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에 제공하는 동작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상기 송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0)는 사용자의 키입력에 따라 전자 지도 브라우져(56)를 실행하게 되고(단계 S20), 상기 전자 지도 브라우져(56)를 통해 상기 위치 정보 서버(16)에 접속하고서, 수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4)의 전화번호 등을 제공하면서 상기 위치 정보 서버(16)에 자신의 위치 또는 해당 송신측 사용자가 지정한 특정 위치에 대한 위치정보를 상대방 수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4)에 전송하도록 요청한다(단계 S21).
이에, 상기 위치 정보 서버(16)는 셀 방식에 따라 상기 송신측 이동통신 단 말기(10)의 현재 위치 또는 송신측 사용자가 지정한 특정 위치를 검출하여 그에 따른 위치 정보를 생성하고(단계 S22), POI 정보 서버(20)에 해당 위치에서의 POI 정보를 요청함에 의해(단계 S23), 상기 POI 정보 서버(20)로부터 POI 정보를 수신받은 상태에서, 상기 송신측 단말기의 현재 위치 또는 특정 위치에 대한 위치 좌표값과 POI 정보를 포함하는 위치 정보를 생성하게 된다(단계 S24).
그 다음에, 상기 위치 정보 서버(16)는 상기 수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4)에 상기 송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0)에 대한 위치 정보를 미가공 데이터의 상태로 전송하게 된다(단계 S25).
상기 수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4)는 상기 위치 정보 서버(16)로부터 미가공 데이터 상태의 위치 정보를 수신받게 되면, 전자지도 브라우져(56)를 실행하게 되고(단계 S26), 전자 지도 처리 엔진(54)에서는 상기 미가공 상태의 위치 정보에 포함된 위치 좌표값에 따라 상기 송신측 단말기의 현재 위치 또는 송신측에서 지정한 특정 위치에 대응하는 지도 데이터를 상기 지도 메모리(28)로부터 독출하게 되고(단계 S27), 상기 위치 정보에 포함된 POI 정보의 속성값을 근거로 POI 메모리(30)로부터 POI 데이터를 독출하여 상기 지도 데이터 상에 위치를 매칭시켜서 화면 표시하게 된다(단계 S28).
그 다음에, 도 9의 플로우차트를 참조하여 이동통신 단말기가 자신의 위치 정보를 위치 정보 서버로부터 제공받는 동작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상기 수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4)는 사용자의 키입력에 따라 전자 지도 브라우져(56)를 실행하게 되고(단계 S30), 상기 전자 지도 브라우져(56)를 통해 상기 위치 정보 서버(16)에 접속하고서, 상기 위치 정보 서버(16)에 자신의 위치 또는 해당 수신측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특정 위치에 대한 위치 정보를 요청한다(단계 S31).
이에, 상기 위치 정보 서버(16)는 셀 방식에 따라 상기 수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4)의 현재 위치 또는 수신측 사용자가 지정한 특정 위치를 검출하여 그에 따른 위치 정보를 생성하고(단계 S32), POI 정보 서버(20)에 해당 위치에서의 POI 정보를 요청함에 의해(단계 S33), 상기 POI 정보 서버(20)로부터 POI 정보를 수신받은 상태에서, 해당 수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4)의 현재 위치 또는 특정 위치에 대한 위치 좌표값과 POI 정보를 포함하는 위치 정보를 생성하게 된다(단계 S34).
그 다음에, 상기 위치 정보 서버(16)는 상기 수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4)에 해당 수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4)에 대한 위치 정보를 미가공 데이터의 상태로 전송하게 되고(단계 S35), 상기 수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4)의 전자 지도 처리 엔진(54)에서는 상기 미가공 상태의 위치 정보에 포함된 위치 좌표값에 따라 자신의 현재 위치 또는 수신측 사용자가 지정한 특정 위치에 대응하는 지도 데이터를 상기 지도 메모리(28)로부터 독출하게 되고(단계 S36), 상기 위치 정보에 포함된 POI 정보의 속성값을 근거로 POI 메모리(30)로부터 POI 데이터를 독출하여 상기 지도 데이터 상에 위치를 매칭시켜서 화면 표시하게 된다(단계 S37).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서는, 이동통신 단말기 들간의 위치 정보 제공 서비스에 대해서만 기재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 것으로서 유선 웹 환경에서 전자지도 기반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에 위치 정보의 송신측(무선 통신 단말기 또는 유선 통신 단말기) 또는 유선 웹 사이트를 운영하는 위치 정보 서버에서 유선 웹 사이트에 접속할 수 있는 유선 통신 단말기의 수신자에게 미가공 데이터 상태의 위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얼마든지 가능하다.
상기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이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가능성이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본 발명에 첨부된 청구범위 안에 속한다고 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를 통한 통신 단말기의 위치정보 제공 시스템에 대한 전체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위치 정보 서버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송신측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제공되는 송신측 위치 정보를 수신측에서 직접 수신받아 전자 지도 상에 화면 표시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위치정보 서버로부터 송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수신받아 전자 지도 상에 화면 표시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송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한 위치 정보의 데이터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를 통한 통신 단말기의 위치정보 제공 방법에서 송신측 이동통신 단말기가 자신의 위치 정보를 수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에 직접 제공하는 동작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를 통한 통신 단말기의 위치정보 제공 방법에서 위치 정보 서버가 송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수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에 제공하는 동작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를 통한 통신 단말기의 위치정보 제공 방법 에서 이동통신 단말기가 자신의 위치 정보를 위치 정보 서버로부터 제공받는 동작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4:이동통신 단말기, 12:GPS 위성,
16:위치 정보 서버, 18:단말기 정보 데이터베이스,
20:POI 정보 서버, 22:POI 정보 데이터베이스,
24:키입력부, 26:프로그램 메모리,
28:지도 메모리, 30:POI 메모리,
32:마이크로 프로세서, 34:GPS 모듈,
36:통신신호 처리부, 38:통신신호 송수신부,
40:디지털신호 처리부, 42:표시부,
42:송화부, 44:수화부.

Claims (21)

  1. 송신측 통신 단말기에서 지정 위치에 대한 위치 좌표값을 갖는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제1단계;
    상기 송신측 통신 단말기에서 네트워크를 통해서 수신측 통신 단말기에 상기 위치 정보를 미가공 데이터(RAW Data)의 상태로 전송하는 제2단계; 및
    상기 수신측 통신 단말기에서 미가공 데이터 상태의 위치 정보를 해석하고, 상기 위치 정보의 위치 좌표값에 따른 지도 데이터를 불러내어 지도 상에 해당 위치를 매칭시켜서 표시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지정 위치는, 상기 송신측 통신 단말기의 현재 위치와, 송신측 통신 단말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임의의 특정 위치 중에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를 통한 통신 단말기의 위치정보 제공 방법.
  2. 위치 정보 서버에서 특정 송신측 통신 단말기로부터의 지정 위치를 검출하고, 상기 지정 위치에 대한 위치 좌표값을 갖는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제1단계;
    상기 위치 정보 서버에서 네트워크를 통해서 특정 수신측 통신 단말기에 상기 위치 정보를 미가공 데이터(RAW Data)의 상태로 전송하는 제2단계; 및
    상기 수신측 통신 단말기에서 미가공 데이터 상태의 위치 정보를 해석하고, 상기 송신측 통신 단말기의 지정 위치에 대한 위치 좌표값에 따른 지도 데이터를 불러내어 지도 상에 해당 송신측 통신 단말기로부터의 지정 위치를 매칭시켜서 표시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지정 위치는, 상기 송신측 통신 단말기의 현재 위치와, 송신측 통신 단말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임의의 특정 위치 중에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를 통한 통신 단말기의 위치정보 제공 방법.
  3. 송신측 통신 단말기에서 지정 위치에 대한 위치 정보의 전송을 위치 정보 서버에 요청하는 제1단계;
    상기 위치 정보 서버에서 상기 지정 위치에 대한 위치 좌표값을 갖는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제2단계;
    상기 위치 정보 서버에서 네트워크를 통해서 특정 수신측 통신 단말기에 상기 위치 정보를 미가공 데이터(RAW Data)의 상태로 전송하는 제3단계; 및
    상기 수신측 통신 단말기에서 미가공 데이터 상태의 위치 정보를 해석하고, 상기 송신측 통신 단말기의 지정 위치에 대한 위치 좌표값에 따른 지도 데이터를 불러내어 지도 상에 해당 송신측 통신 단말기로부터의 지정 위치를 매칭시켜서 표시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를 통한 통신 단말기의 위치정보 제공 방법.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정보에는, 위치 좌표값과 함께 위치와 관련된 POI(Point of Interest)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를 통한 통신 단말기의 위치정보 제공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정보는 위치 좌표값 또는 위치 좌표값과 하나 이상의 POI 정보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위치 좌표값에는 위도, 경도, 고도 및 위치표시타입 플래그가 포함되어 있고, 상기 POI 정보에는 속성값과 위도, 경도, 고도 및 위치표시타입 플래그의 위치 좌표값이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를 통한 통신 단말기의 위치정보 제공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측 통신 단말기에서 지도 상에 상기 POI 정보의 속성값 및 위치 좌표값에 따라 POI의 컨텐츠 데이터를 지정 위치에 매칭시켜서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를 통한 통신 단말기의 위치정보 제공 방법.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에서, 상기 송신측 통신 단말기는 상기 위치 정보를 미가공 데이터의 상태로 단문 메시지(SMS) 또는 인터넷 패킷 데이터 중에서 어느 하나를 사용하여 상기 수신측 통신 단말기에 전송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 워크를 통한 통신 단말기의 위치정보 제공 방법.
  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는, 상기 수신측 통신 단말기에서 상기 위치 정보 서버에 접속하고서, 상기 송신측 통신 단말기로부터의 지정 위치에 대한 위치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 위치 정보 서버에서 상기 수신측 통신 단말기에 상기 송신측 통신 단말기로부터의 지정 위치에 대한 위치 정보를 미가공 데이터 상태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를 통한 통신 단말기의 위치정보 제공 방법.
  10. 위치 정보 서버에서 특정 송신측 통신 단말기로부터의 지정 위치를 검출하고, 상기 지정 위치에 대한 위치 좌표값을 갖는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위치 정보 서버에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단말기 정보를 참조하여 특정 수신측 통신 단말기가 미가공 데이터(RAW Data)의 지원이 가능한 단말기인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특정 수신측 통신 단말기가 미가공 데이터의 지원 가능 단말기인 것으로 확인되면, 네트워크를 통해 특정 수신측 통신 단말기에 상기 송신측 통신 단말기로부터의 지정 위치에 대한 위치 정보를 미가공 데이터의 상태로 전송하고, 지원이 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위치 정보에 대한 지도 데이터 및 POI(Point of Interest) 정보를 상기 특정 수신측 통신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를 통한 통신 단말기의 위치정보 제공 방법.
  11. 지정 위치에 대한 위치 좌표값을 갖는 위치 정보를 생성하고, 네트워크를 통해서 수신측 통신 단말기에 상기 위치 정보를 미가공 데이터(RAW Data)의 상태로 직접 전송하는 송신측 통신 단말기; 및
    상기 송신측 통신 단말기로부터의 미가공 데이터 상태의 위치 정보를 수신받아 해석하고, 상기 위치 정보로부터 해석된 위치 좌표값에 따른 지도 데이터를 불러내어 지도 상에 해당 송신측 통신 단말기로부터의 지정 위치를 매칭시켜서 표시하는 수신측 통신 단말기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지정 위치는, 상기 송신측 통신 단말기의 현재 위치와, 송신측 통신 단말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임의의 특정 위치 중에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를 통한 통신 단말기의 위치정보 제공 시스템.
  12. 특정 송신측 통신 단말기로부터의 지정 위치를 검출하여 상기 지정 위치에 대한 위치 좌표값을 갖는 위치 정보를 생성하고, 네트워크를 통해서 수신측 통신 단말기에 상기 위치 정보를 미가공 데이터(RAW Data)의 상태로 전송하는 위치 정보 서버; 및
    상기 위치 정보 서버로부터 미가공 데이터 상태의 위치 정보를 수신받아 해석하고, 상기 위치 정보로부터 해석된 위치 좌표값에 따른 지도 데이터를 불러내어 지도 상에 해당 송신측 통신 단말기로부터의 지정 위치를 매칭시켜서 표시하는 수신측 통신 단말기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지정 위치는, 상기 송신측 통신 단말기의 현재 위치와, 송신측 통신 단말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임의의 특정 위치 중에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를 통한 통신 단말기의 위치정보 제공 시스템.
  13. 네트워크를 통해 위치 정보 서버로부터 특정 송신측 통신 단말기에 대한 지정 위치의 위치 정보를 미가공 데이터(RAW Data)의 형태로 제공받는 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전자 지도 서비스에 의해 위치 정보를 지도 상에 표시하기 위한 지도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
    상기 위치 정보 서버로부터 미가공 데이터의 형태로 제공되는 위치 정보를 해석하여 상기 메모리로부터 독출된 지도 데이터에 지정 위치를 매칭시켜서 화면 표시하는 전자지도 브라우져 및 처리엔진; 및
    상기 전자지도 브라우져 및 처리엔진을 통해 상기 미가공 데이터 형태의 위치정보에 의해 지정 위치가 지도 상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지정 위치는, 상기 송신측 통신 단말기의 현재 위치와, 송신측 통신 단말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임의의 특정 위치 중에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정보 제공 기능을 갖춘 통신 단말기.
  14. 특정 송신측 통신 단말기에 대한 지정 위치를 특정 수신측 통신 단말기에 제공하기 위한 위치 정보 서버에 있어서,
    상기 특정 송신측 통신 단말기 및 수신측 통신 단말기와 위치 검출 및 위치 정보 제공을 위한 네트워크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처리부;
    상기 통신 처리부를 통해 상기 특정 송신측 통신 단말기에 대한 지정 위치를 검출하고, 상기 지정 위치에 대한 위치 정보를 미가공 데이터(RAW Data)의 형태로 생성하는 위치정보 생성부; 및
    상기 위치정보 생성부에서 위치 정보를 생성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위치 정보가 미가공 데이터의 형태로 상기 통신 처리부를 통해 상기 특정 수신측 통신 단말기에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위치정보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정보 서버.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정보에는, 위치 좌표값과 함께 위치와 관련된 POI(Point of Interest)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정보 제공 기능을 갖춘 통신 단말기.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정보는 위치 좌표값 또는 위치 좌표값과 하나 이상의 POI 정보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위치 좌표값에는 위도, 경도, 고도 및 위치표시타입 플래그가 포함되어 있고, 상기 POI 정보에는 속성값과 위도, 경도, 고도 및 위치표시타입 플래그의 위치 좌표값이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정보 제공 기능을 갖춘 통신 단말기.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지도 브라우져 및 처리엔진은 지도 상에 상기 POI 정보의 속성값 및 위치 좌표값에 따라 POI의 컨텐츠 데이터를 지정 위치에 매칭시켜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정보 제공 기능을 갖춘 통신 단말기.
  18.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는 상기 위치 정보 서버에 접속하고서, 상기 송신측 통신 단말기로부터의 지정 위치에 대한 위치 정보를 요청하고, 상기 위치 정보 서버에서 상기 송신측 통신 단말기로부터의 지정 위치에 대한 위치 정보를 미가공 데이터 상태로 전송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정보 제공 기능을 갖춘 통신 단말기.
  19.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정보에는, 위치 좌표값과 함께 위치와 관련된 POI(Point of Interest)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정보 서버.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정보는 위치 좌표값 또는 위치 좌표값과 하나 이상의 POI 정보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위치 좌표값에는 위도, 경도, 고도 및 위치표시타입 플래그가 포함되어 있고, 상기 POI 정보에는 속성값과 위도, 경도, 고도 및 위치표시타입 플래그의 위치 좌표값이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정보 서버.
  21.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처리부는 상기 특정 수신측 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특정 송신측 통신 단말기로부터의 지정 위치에 대한 위치 정보를 요청받으면, 상기 특정 수신측 통신 단말기에 상기 특정 송신측 통신 단말기로부터의 지정 위치에 대한 위치 정보를 미가공 데이터 상태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정보 서버.
KR1020090046300A 2009-05-27 2009-05-27 네트워크를 통한 통신 단말기의 위치정보 제공 방법과 그 시스템 KR1010421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6300A KR101042113B1 (ko) 2009-05-27 2009-05-27 네트워크를 통한 통신 단말기의 위치정보 제공 방법과 그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6300A KR101042113B1 (ko) 2009-05-27 2009-05-27 네트워크를 통한 통신 단말기의 위치정보 제공 방법과 그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7941A KR20100127941A (ko) 2010-12-07
KR101042113B1 true KR101042113B1 (ko) 2011-06-16

Family

ID=435049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6300A KR101042113B1 (ko) 2009-05-27 2009-05-27 네트워크를 통한 통신 단말기의 위치정보 제공 방법과 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211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18014A1 (ko) * 2021-08-09 2023-02-16 삼성전자주식회사 타겟 장치의 위치 추적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및 위치 추적 서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4407B1 (ko) * 2011-09-19 2019-07-29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측위 방법 및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11297A (ja) 1999-04-27 2000-11-07 Japan Radio Co Ltd 携帯型情報処理装置
KR100654191B1 (ko) * 2005-12-09 2006-12-0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단거리 통신과 장거리 통신을 병용한 위치 및 경로 인식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11297A (ja) 1999-04-27 2000-11-07 Japan Radio Co Ltd 携帯型情報処理装置
KR100654191B1 (ko) * 2005-12-09 2006-12-0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단거리 통신과 장거리 통신을 병용한 위치 및 경로 인식장치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18014A1 (ko) * 2021-08-09 2023-02-16 삼성전자주식회사 타겟 장치의 위치 추적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및 위치 추적 서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7941A (ko) 2010-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23882B2 (en) Method,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for selecting location of mobile device
US9759566B2 (en) Methods for obtaining a navigation track between a first and a second location based on location information shared between peer devices and related device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US7634292B2 (en) Portable terminal, and radio quality display method, program, and system
EP1488658B1 (en) Geographical location information exchange between terminals
CN110062365B (zh) 定位方法和通信设备
CN107941222B (zh) 导航方法和装置、计算机设备、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02023289B (zh) 电子装置及地图显示方法
KR100754690B1 (ko) 네비게이션 단말의 목적지 설정 방법 및 장치
KR101615504B1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컨텐츠를 저장하고 검색하는 방법 및 장치
KR100706345B1 (ko) 메세지 서비스를 이용한 위치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0802090B1 (ko) 3차원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1042113B1 (ko) 네트워크를 통한 통신 단말기의 위치정보 제공 방법과 그 시스템
JP2006292611A (ja) 測位装置
TWI274892B (en) Position data exchange systems, mobile communication devices, and methods
JP2003199158A (ja) 無線品質良好表示方式および方法
JP2004303125A (ja) 環境情報供給システム、情報管理装置、環境情報送信装置及び環境情報送受信装置
KR20080107890A (ko) 네비게이션 단말기 간의 위치 정보 송수신 시스템 및 방법
KR20090030797A (ko)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약도 데이터 제공 방법 및 시스템
JP2004312435A (ja) 携帯端末装置
JP2002062158A (ja) 位置情報交換システム、位置情報生成装置、位置表示装置および情報処理装置
KR100583873B1 (ko) 무선통신 단말기에서 목적지정보 제공 장치
KR100774841B1 (ko) 로밍 서비스를 이용한 해외 길안내 서비스 시스템 및 해외길안내 서비스 제공 방법
JP4179028B2 (ja) 携帯端末
KR20200072762A (ko) 장소정보 제공방법 및 그 시스템
US20040198384A1 (en)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integrating positioning function and method for displaying positioning information in real time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4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