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7411B1 - Apparatus for identifying person's idnetity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identifying person's idnetit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7411B1
KR101017411B1 KR1020100091143A KR20100091143A KR101017411B1 KR 101017411 B1 KR101017411 B1 KR 101017411B1 KR 1020100091143 A KR1020100091143 A KR 1020100091143A KR 20100091143 A KR20100091143 A KR 20100091143A KR 101017411 B1 KR101017411 B1 KR 1010174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identification
user
half mirror
indic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114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채장진
Original Assignee
씨엠아이텍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씨엠아이텍주식회사 filed Critical 씨엠아이텍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911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7411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74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7411B1/en
Priority to PCT/KR2011/006882 priority patent/WO2012036521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8Eye characteristics, e.g. of the iris
    • G06V40/19Sensors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60Static or dynamic means for assisting the user to position a body part for biometric acquisition
    • G06V40/63Static or dynamic means for assisting the user to position a body part for biometric acquisition by static gui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Image Input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 Collating Specific Patterns (AREA)

Abstract

PURPOSE: An apparatus for identifying the identity of a person is provided to easily identify a person by providing an indicator which guides an operating area and an image of a target person. CONSTITUTION: A half mirror(13) is arranged on a light route of light refracted by a light condensing lens(12) and is a transparent member having one side coated by materials with reflecting properties. Light emitted from a light source is refracted through the light condensing lens. Part of the refracted light is reflected from one side of the half mirror and provided to a user of an identity checking device. Part of the light propagating to an identity checking target is transmitted through the half mirror and provided to the user. The emitted light and an image of the identity checking target are provided to a user.

Description

신원 확인 장치{APPARATUS FOR IDENTIFYING PERSON'S IDNETITY}Identity device {APPARATUS FOR IDENTIFYING PERSON'S IDNETITY}

본 발명은 신원 확인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 가능하게 제작되어 신원 확인 작업을 수행하는 사용자가 타인의 신원을 확인하기 위해 사용되는 휴대용 신원 확인 장치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dentity verification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portable identity verification device which is manufactured to be portable and used to verify the identity of another user.

최근 특정 시설에 출입가능한 사람을 식별하기 위해 사람의 생체 정보를 기반으로 신원을 확인하는 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일 예로, 사람의 홍채를 촬영하고 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된 홍채 정보와 비교하여 신원을 확인하는 홍채 인식 장치가 있다. Recently, in order to identify a person who can access a specific facility, an apparatus for identifying an identity based on biometric information of a person has been used. For example, there is an iris recognition device that photographs a person's iris and checks its identity by comparing the iris information recorded in a database.

이와 같은 신원 확인 장치는 카메라로 사용자의 신체 정보를 수집하며, 예컨대 홍채 인식 장치의 경우 사람의 홍채 이미지를 촬영한다. 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된 홍채 정보와 상기 홍채 이미지를 비교하기 위해서는 고화질의 선명한 홍채 이미지를 획득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해서는 신원 확인의 대상이 되는 사람의 안구를 홍채 인식 장치의 카메라의 유효 촬영 영역에 위치시킬 필요가 있다. Such an identification device collects user's body information with a camera. For example, an iris recognition device captures an image of a person's iris. In order to compare the iris information recorded in the database with the iris image, it is necessary to acquire a high-quality clear iris image. To do this, the eye of the person to be identified must be placed in the effective photographing area of the camera of the iris recognition device. There is a need.

본 발명은 신원 확인 작업을 수행하는 사용자가 신원 확인 장치의 동작 영역에 신원 확인의 대상이 되는 대상자의 안구를 정확히 위치시키도록 안내하는 신원 확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dentification device for guiding a user performing an identification operation to accurately place an eyeball of a subject to be identified in an operation area of the identification device.

본 발명은 신원 확인 작업을 수행하는 사용자가 신원 확인 장치를 사용할 권한을 가진 자인지 인증하기 위해 사용자 자신의 신원을 확인하는 본인 인증 시에도 자신의 안구를 신원 확인 장치의 동작 영역에 정확히 위치시키도록 안내하는 신원 확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ccurately position the eyeball in the operating area of the identification device even in the authentication of the user to verify his or her identity to authenticate whether the user performing the identification operation is a person who has the authority to use the identification device. Another object is to provide a guiding identification devic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원 확인 장치는 신체 정보를 수집하여 신원을 확인하는 장치로서, 신원 확인 장치의 동작 영역을 가이드하기 위한 지시자를 제공하는 지시부; 상기 지시부로부터 방출된 광의 경로에 배치되어 상기 지시자의 결상 지점을 조정하는 조정부; 및 입사광 중 일부는 반사시키고 다른 일부는 투과시켜 상기 지시자의 영상과 신원 확인 대상의 영상을 합성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합성부를 포함한다. An identific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device for collecting the body information to confirm the identity, comprising: an indicator for providing an indicator for guiding the operation area of the identification device; An adjusting unit disposed in a path of light emitted from the indicating unit to adjust an imaging point of the indicator; And a synthesizer which reflects some of the incident light and transmits the other, thereby synthesizing the image of the indicator and the image of the identification target and providing the image to the user.

본 발명에 따르면, 신원 확인 장치의 동작 영역을 안내하는 지시자의 영상이 신원 확인의 대상이 되는 대상자의 영상과 함께 사용자에게 제공되어, 사용자는 보다 용이하게 타인에 대한 신원 확인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mage of the indicator for guiding the operation area of the identification device is provided to the user together with the image of the target person to be identified, so that the user can more easily perform identification of others. .

본 발명에 따르면, 위와 같은 타인의 신원을 확인하는 타인 인증 시뿐만 아니라 사용자 자신의 신원을 확인시키는 본인 인증 시에도 상기 지시자의 영상을 자신의 영상과 함께 확인할 수 있어, 보다 용이하게 자신에 대한 신원 확인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when verifying another person's identity as described above, but also at the time of the user's own authentication verifying his or her identity, the image of the indicator can be checked together with his own image, thereby making it easier to identify himself / herself. Verification can be perform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원 확인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원 확인 장치의 개략적인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정부가 지시자의 결상 지점을 조정하여 지시자의 상을 형성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신원 확인 장치를 통해 사용자가 볼 수 있는 영상을 도시한다.
도 5 및 도 6은 신원 확인 장치에 조정부가 구비되지 않은 경우, 서로 다른 시각 패턴을 가진 사용자가 인식하는 지시자의 위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원 확인 장치의 개략적인 측단면도이다.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원 확인 장치의 개략적인 측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원 확인 장치를 통해 사용자가 볼 수 있는 영상을 도시한다.
1 is a block diagram of an identific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chematic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n identific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for explaining a process of forming an image of the indicator by the adjustment unit adjusts the imaging point of the indic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llustrates an image that a user can see through the identification device shown in FIG. 2.
5 and 6 are views illustrating the position of an indicator recognized by a user having different visual patterns when the identification device is not provided with an adjusting unit.
7 is a schematic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n identification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to 10 are schematic side cross-sectional views of an identification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view illustrating an image that a user can see through the identific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원 확인 장치(1)의 블록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n identification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원 확인 장치(1)는 신체 정보를 수집하여 신원을 확인하는 장치로서, 신원 확인 장치(1)의 동작 영역을 가이드하기 위한 지시자를 제공하는 지시부(11), 상기 지시부(11)로부터 방출된 광의 경로에 배치되어 상기 지시자의 결상 지점을 조정하는 조정부(12), 및 입사광 중 일부는 반사시키고 다른 일부는 투과시켜 상기 지시자의 영상과 신원 확인 대상의 영상을 합성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합성부(13)를 포함한다. As shown in FIG. 1, the identification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llects body information and confirms an identity, and indicates an indicator for guiding an operation area of the identification device 1. An indicator 11 for providing, an adjuster 12 disposed in a path of light emitted from the indicator 11 to adjust an imaging point of the indicator, and reflecting some of the incident light and transmitting a portion of the incident light so as to transmit an image of the indicator; It includes a synthesizer 13 for synthesizing the image of the identification target to provide to the user.

본 발명의 신원 확인 장치(1)는 신원 확인 대상의 홍채 또는 안면과 같은 신체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신체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된 신체 정보와 비교하여 신원 확인 대상의 신원을 확인하거나 인증 작업을 수행하는 장치로서, 예를 들어 홍채 이미지를 촬영하여 신원을 확인하는 홍채 인식 장치 또는 안면을 인식하여 신원을 확인하는 안면 인식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The identification device 1 of the present invention collects body information such as an iris or face of the subject to be identified, and compares the collected body information with the body information recorded in the database to confirm the identity of the subject to be identified or authenticate. The device may include, for example, an iris recognition device for capturing an iris image to identify an identity, or a face recognition device for recognizing a face and verifying an identity.

이하,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신원 확인 장치(1)는 홍채 인식 장치임을 가정하며, 특히 신원 확인 작업을 수행하는 사용자가 휴대하면서 타인의 신원을 확인하는 휴대용 홍채 인식 장치임을 가정하여 설명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신원 확인 장치(1)에 대한 내용은 사용자의 임의의 신체 부위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여 신원을 확인하는 어떠한 장치에도 적용 가능하다. Hereinafter,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assumed that the identification device 1 is an iris recognition device, and in particular, it will be described on the assumption that the user performing the identification work is a portable iris recognition device that confirms the identity of another person. The information on the identification device 1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and can be applied to any device for verifying identity by collecting information on any body part of the user.

상기 지시부(11)는 신원 확인 장치(1)의 동작 영역을 가이드하기 위한 지시자를 제공한다. The indicating unit 11 provides an indicator for guiding the operating area of the identification device 1.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시부(11)는 지시자로서 소정의 광을 방출하는 광원일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신원 확인 장치(1)를 사용하여 타인의 신원을 확인하는 사용자는 상기 지시자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타인의 안구가 신원 확인 장치(1)의 동작 영역에 위치하도록 상기 신원 확인 장치(1)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The indicator 1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light source that emits a predetermined light as an indicator, and a user who confirms the identity of another person using the identification device 1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refer to the indicator. The position of the identification device 1 can be adjusted such that the eyeball of the other person is located in the operating area of the identification device 1.

상기 조정부(12)는 상기 지시부(11)로부터 방출된 광의 광 경로 상에 배치되어 상기 지시자의 결상 지점을 조정한다. The adjusting unit 12 is disposed on the optical path of the light emitted from the indicating unit 11 to adjust the imaging point of the indicator.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원 확인 장치(1)의 개략적인 측단면도이다. 2 is a schematic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n identification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정부(12)는 상기 지시부(11)로부터 방출된 광의 광 경로(A) 상에 배치된다. As shown in FIG. 2, the adjusting part 12 is disposed on the light path A of the light emitted from the indicating part 11.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조정부(12)는 입사되는 광을 집광시키는 집광렌즈로서, 예를 들어, 볼록렌즈 또는 프레넬(Fresnel)렌즈일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djusting unit 12 is a condenser lens for condensing incident light, and may be, for example, a convex lens or a Fresnel lens.

상기 조정부(12)는 상기 지시부(11)가 제공하는 지시자의 결상 지점을 조정한다. 다시 말해, 후술될 합성부(13)에 의해 반사되어 형성되는 상기 지시자의 결상 지점은 상기 조정부(12)에 의해 변경된다. The adjusting unit 12 adjusts an imaging point of the indicator provided by the indicating unit 11. In other words, the imaging point of the indicator reflected and formed by the combining unit 13 to be described later is changed by the adjusting unit 12.

그 결과, 상기 합성부(13)에 의해 반사되어 형성되는 상기 지시자의 상은 상기 조정부(12)가 구비되지 않은 경우에 비해 상기 합성부(13)로부터 보다 멀리 떨어져 형성될 수 있다. As a result, the image of the indicator reflected by the synthesizing unit 13 may be formed farther from the synthesizing unit 13 than when the adjusting unit 12 is not provided.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정부(12)가 지시자의 결상 지점을 조정하여 지시자의 상을 형성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3 is a view for explaining a process of forming an image of the indicator by the adjustment unit 12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adjusting the image point of the indicator.

도 3을 참조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조정부(12)는 볼록렌즈 또는 프레넬 렌즈와 같은 집광렌즈이므로, 지시부(11)로부터 출사된 광은 상기 조정부(12)에 의해 일 지점, 즉 상기 조정부(12)의 초점(F)에 집중된다. Referring to FIG. 3,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adjusting unit 12 is a condensing lens such as a convex lens or a Fresnel lens, the light emitted from the indicating unit 11 is one point by the adjusting unit 12, that is, the adjusting unit 12. It is focused on the focus F of (12).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조정부(12)는 초점거리가 상기 조정부(12)로부터 상기 지시부(11)까지의 거리보다 더 긴 집광렌즈일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djusting unit 12 may be a condenser lens having a focal length longer than the distance from the adjusting unit 12 to the indicating unit 11.

다시 말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시부(11)는 상기 조정부(12)의 초점(F) 안쪽에 배치되며, 그 결과 상기 지시부(11)의 허상(111)은 실상인 상기 지시부(11)가 위치한 지점보다 상기 조정부(12)로부터 보다 멀리 떨어진 지점에 형성되며, 상기 허상(111)의 크기는 실상인 상기 지시부(11)의 크기보다 더 크다. In other words, as shown in FIG. 3, the indicating unit 11 is disposed inside the focal point F of the adjusting unit 12, so that the virtual image 111 of the indicating unit 11 is actually the indicating unit ( It is formed at a point farther from the adjuster 12 than the position where the 11) is located, the size of the virtual image 111 is larger than the size of the indicator 11 is actually.

위와 같이, 상기 조정부(12)는 상기 지시부(11)로부터 방출된 광의 경로에 배치되어, 상기 지시부(11)의 허상(111)이 실제 상기 지시부(11)가 위치한 지점보다 상기 조정부(12)로부터 보다 멀리 이격되어 형성되도록 한다.As described above, the adjusting unit 12 is disposed in the path of the light emitted from the indicating unit 11, so that the virtual image 111 of the indicating unit 11 is located from the adjusting unit 12 rather than the point where the indicating unit 11 is actually located. To be formed farther apar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지시자의 결상 지점은 상기 조정부(12)의 초점 거리를 조절하여 변경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maging point of the indicator may be changed by adjusting the focal length of the adjuster 12.

바람직하게, 상기 조정부(12)의 초점거리는, 상기 지시자의 결상 지점이 신원 확인 장치(1)의 적정 동작 영역에 위치한 신원 확인 대상(200)의 두 눈 중앙이 되도록 형성된다. Preferably, the focal length of the adjustment unit 12 is formed such that the imaging point of the indicator is the center of the two eyes of the identification object 200 located in the proper operation area of the identification device 1.

그 결과, 사용자(100)는 상기 합성부(13)에 반사된 상기 지시부(11)의 허상(111)이 신원 확인 대상(200)에 위치하는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As a result, the user 100 may recognize that the virtual image 111 of the indicating unit 11 reflected by the synthesizing unit 13 is located on the identification object 200.

위와 같이, 상기 조정부(12)는 지시자(112)가 상기 지시부(11)와 상기 합성부(13) 간의 물리적인 거리보다 더 큰 거리만큼 상기 합성부(13)로부터 이격되어 형성되도록 지시자(112)의 결상 지점을 조정하며, 그 결과, 사용자(100)는 상기 지시부(11)와 상기 합성부(13) 간의 거리가 상기 합성부(13)와 신원 확인 대상(200) 간의 거리보다 더 짧음에도 불구하고 상기 지시부(11)에 의해 제공되는 지시자(112)가 신원 확인 대상(200)의 눈 주변에 위치하는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adjusting unit 12 is an indicator 112 so that the indicator 112 is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combining unit 13 by a distance greater than the physical distance between the indicating unit 11 and the combining unit 13. And as a result, the user 100 may determine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indicating unit 11 and the combining unit 13 is shorter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combining unit 13 and the identification target 200. And it can be recognized that the indicator 112 provided by the indicator 11 is located around the eye of the identification object 200.

여기서, 조정부(12)가, 지시자(112)의 결상 지점이 실제 지시부(11)와 합성부(13) 간의 거리보다 합성부(13)로부터 더 멀리 떨어져 형성되도록 조정하는 것은 동일한 지점에 지시자(112)가 형성됨에 불구하고 서로 다른 시각 패턴을 가진 사용자(100)들이 그들의 시각 패턴에 따라 각기 다른 지점에 지시자(112)가 위치하는 것으로 인식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함이다. Here, the adjusting unit 12 adjusts the image forming point of the indicator 112 to be formed farther from the combining unit 13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actual indicating unit 11 and the combining unit 13. This is to solve the problem in which the user (100) having different visual patterns recognizes that the indicator 112 is located at different points according to their visual patterns, despite the fact that) is formed.

도 5 및 도 6은 신원 확인 장치(1)에 조정부(12)가 구비되지 않은 경우, 서로 다른 시각 패턴을 가진 사용자(100)가 인식하는 지시자의 위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5 and 6 illustrate the position of the indicator recognized by the user 100 having different visual patterns when the identification device 1 is not provided with the adjusting unit 12.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원 확인 장치(1)에 조정부(12)가 구비되지 않으면, 지시자(112)는 지시부(11)와 합성부(13) 간의 거리만큼만 상기 합성부(13)로부터 이격되어 형성되므로, 조정부(12)가 구비되지 않은 신원 확인 장치의 지시자(112)는 신원 확인 대상(200)의 눈 주변이 아닌 신원 확인 대상(200)과 신원 확인 장치(1) 사이에 형성된다.As shown in FIGS. 5 and 6, when the identification unit 1 is not provided with the adjusting unit 12, the indicator 112 is configured only by the distance between the indicating unit 11 and the combining unit 13. Since the indicator 112 of the identification device without the adjusting unit 12 is provided between the identification object 200 and the identification device 1, not around the eyes of the identification object 200, Is formed.

사용자(100)는 상기 형성된 지시자(112)를 양쪽 눈으로 보면서 상기 지시자(112)가 신원 확인 대상(200)의 두 눈 중앙에 위치하도록 신원 확인 장치(1)의 위치를 조절한다. The user 100 adjusts the position of the identification device 1 so that the indicator 112 is located at the center of both eyes of the identification object 200 while looking at the formed indicator 112 with both eyes.

하지만, 사용자(100)의 시각 패턴이 오른쪽 눈으로 바라보는 영상을 왼쪽 눈으로 바라보는 영상보다 더 강하게 인식하는 패턴인 경우, 다시 말해 오른쪽 눈이 강한 눈(strong eye)이고 왼쪽 눈이 약한 눈(week eye)인 경우,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시자(112)의 실제 위치가 신원 확인 대상(200)의 두 눈 중앙에 있더라도 오른쪽 눈이 강한 눈인 사용자(100)가 인식하는 지시자의 위치(113)는 신원 확인 대상(200)의 오른쪽 눈에 치우쳐져 있을 수 있다. However, when the visual pattern of the user 100 is a pattern that recognizes an image viewed by the right eye more strongly than an image viewed by the left eye, that is, the right eye is a strong eye and the left eye is a weak eye ( week eye), the user 100 recognizes that the right eye is a strong eye even if the actual position of the indicator 112 is in the center of both eyes of the identification target 200 as shown in FIG. The position 113 of the indicator may be biased in the right eye of the identification target 200.

따라서, 사용자(100)는 상기 지시자의 위치(113)가 신원 확인 대상(200)의 두 눈 중앙에 위치하도록 하기 위해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원 확인 장치(1)를 보다 오른쪽으로 이동시켜 지시자의 위치(113)가 신원 확인 대상(200)의 두 눈 중앙에 위치하도록 조절한다. Accordingly, the user 100 sees the identification device 1 as shown in FIG. 5B so that the position 113 of the indicator is located at the center of both eyes of the identification object 200. By moving to the right, the position of the indicator 113 is adjusted to be located at the center of both eyes of the identification target 200.

그 결과, 비록 사용자(100)는 지시자가 신원 확인 대상(200)의 두 눈 중앙에 위치하도록 신원 확인 장치(1)의 위치를 조절하였지만, 실제 신원 확인 대상(200)의 안구는 신원 확인 장치(1)의 동작 영역에서 벗어난 영역에 위치하게 되어 수집부(18)는 신원 확인 대상(200)의 홍채 이미지를 수집할 수 없게 된다. As a result, although the user 100 adjusts the position of the identification device 1 such that the indicator is located at the center of both eyes of the identification object 200, the eye of the actual identification object 200 is identified by the identification device ( Since it is located in an area deviating from the operation area of 1), the collecting unit 18 may not collect the iris image of the identification object 200.

반대로, 사용자의 시각 패턴이 왼쪽 눈으로 바라보는 영상을 오른쪽 눈으로 바라보는 영상보다 더 강하게 인식하는 경우, 다시 말해 사용자의 왼쪽 눈이 강한 눈이고 오른쪽 눈이 약한 눈인 경우에는,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시자의 실제 위치(112)가 신원 확인 대상(200)의 두 눈 중앙에 위치하더라도 사용자(100)가 인식하는 지시자의 위치(113)는 신원 확인 대상(200)의 왼쪽 눈에 치우쳐져 있는 것으로 사용자(100)는 인식할 수 있다. On the contrary, when the visual pattern of the user recognizes the image viewed by the left eye more strongly than the image viewed by the right eye, that is, when the user's left eye is a strong eye and the right eye is a weak eye, FIG. As shown in), even though the actual location 112 of the indicator is located at the center of both eyes of the identification object 200, the location 113 of the indicator that the user 100 recognizes is left of the identification object 200. The user 100 may recognize that the eye is biased.

따라서, 사용자(100)는 지시자의 위치(113)가 신원 확인 대상(200)의 두 눈 중앙에 위치하도록 하기 위해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원 확인 장치(1)를 보다 왼쪽으로 이동시켜 지시자의 위치(113)가 신원 확인 대상(200)의 두 눈 중앙에 위치하도록 조절한다. Thus, the user 100 is left to the identification device 1, as shown in Figure 6 (b) to ensure that the position of the indicator 113 is located in the center of both eyes of the identification target 200. By moving to the position 113 of the indicator is adjusted to be located in the center of both eyes of the identification target 200.

그 결과, 비록 사용자(100)는 지시자가 신원 확인 대상(200)의 두 눈 중앙에 위치하도록 신원 확인 장치(1)의 위치를 조절하였지만, 실제 신원 확인 대상(200)의 안구는 신원 확인 장치(1)의 동작 영역에서 벗어난 영역에 위치하게 되며, 따라서 수집부(18)는 신원 확인 대상(200)의 홍채 이미지를 수집할 수 없게 된다.As a result, although the user 100 adjusts the position of the identification device 1 such that the indicator is located at the center of both eyes of the identification object 200, the eye of the actual identification object 200 is identified by the identification device ( It is located in an area out of the operating area of 1), and thus the collection unit 18 cannot collect the iris image of the identification target 200.

이와 같이, 신원 확인 장치(1)가 조정부(12)를 구비하지 않아 지시자(112)의 결상 지점을 신원 확인 대상(200)의 안구 주변으로 이동시키지 못한 경우, 사용자(100)는 서로 다른 시각 패턴에 따라 지시자(112)의 위치를 서로 다르게 인식하게 되어, 신원 확인 장치(1)를 신원 확인 대상(200)과 정렬시키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As described above, when the identification device 1 does not include the adjusting unit 12 and thus does not move the imaging point of the indicator 112 around the eyeball of the identification target 200, the user 100 may have different visual patterns. As a result, the position of the indicator 112 is recognized differently, which causes a problem that the identification device 1 cannot be aligned with the identification object 200.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조정부(12)가 지시자(112)의 결상 지점을 적정 동작 거리에 위치한 신원 확인 대상(200)으로 이동시키므로, 일단 신원 확인 대상(200)이 신원 확인 장치(1)의 동작 거리에 위치하면, 본 발명의 신원 확인 장치(1)는 사용자(100)의 시각 패턴에 관계없이 신원 확인 대상(200)을 기준으로 모두 동일한 지점에 지시자(112)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Howe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adjustment unit 12 moves the imaging point of the indicator 112 to the identification target 200 located at an appropriate operating distance, the identification target 200 is once the identification device 1 When located at the operating distance of the identity verification device 1 of the present invention, regardless of the visual pattern of the user 100 can be provided with the indicator 112 at the same point, all based on the identity verification target 200. .

상기 합성부(13)는 합성부(13)로 입사되는 입사광 중 일부는 반사시키고 다른 일부는 투과시켜 상기 지시자의 영상과 신원 확인 대상(200)의 영상을 합성하여 사용자(100)에게 제공한다. The synthesizing unit 13 reflects some of the incident light incident to the synthesizing unit 13 and transmits the other of the incident light to synthesize the image of the indicator and the image of the identification target 200 and provide the synthesized image to the user 10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합성부(13)는 투명부재의 적어도 일면에 반사효과를 가지는 물질을 코팅한 하프미러(half mirror)일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posite part 13 may be a half mirror coated with a material having a reflective effect on at least one surface of the transparent member.

상기 투명부재는 빛을 투과하는 투과성을 가진 부재로서, 유리 또는 투명수지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반사효과를 가지는 물질은 빛을 반사하는 반사성을 가지는 물질로서, 알루미늄, 니켈 또는 크롬과 같은 금속물질, 산화티타늄과 산화규소를 번갈아가며 연속적으로 코팅한 물질 또는 하프미러 필름일 수 있다. The transparent member is a member having light permeability and may be glass or transparent resin. In addition, the reflective material is a reflective material that reflects light, and may be a metal material such as aluminum, nickel or chromium, a material coated continuously with alternating titanium oxide and silicon oxide, or a half mirror film.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합성부(13)는 상기 지시부(11)로부터 방출된 광의 경로(A)와 상기 신원 확인 대상(200)으로부터 반사된 광의 경로(B)가 교차하는 교차지점에 위치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ynthesizing unit 13 has an intersection point where the path A of the light emitted from the indicating unit 11 and the path B of the light reflected from the identification object 200 cross each other. It can be located at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합성부(13)는 아래에서 위로 진행하는 상기 지시부(11)로부터 방출된 광의 경로(A)와 좌측에서 우측으로 진행하는 상기 신원 확인 대상(200)으로부터 반사된 광의 경로(B)의 교차지점에 위치할 수 있다. For example, as shown in FIG. 2, the synthesizing unit 13 includes the path A of the light emitted from the indicating unit 11 proceeding from the bottom to the identification object 200 proceeding from the left to the right. It may be located at the intersection of the path (B) of the light reflected from.

이 경우, 상기 합성부(13)는 상기 지시부(11)로부터 방출된 광의 일부를 사용자(100)를 향해 반사시키고, 상기 신원 확인 대상(200)으로부터 반사된 광의 일부를 사용자(100)를 향해 투과시켜, 사용자로 하여금 상기 지시자와 상기 신원 확인 대상(200)이 함께 표시된 영상을 볼 수 있도록 한다. In this case, the combining unit 13 reflects a part of the light emitted from the indicating unit 11 toward the user 100 and transmits a part of the light reflected from the identification object 200 toward the user 100. The user may view the indicator and the identification object 200 displayed together.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신원 확인 장치(1)를 통해 사용자(100)가 볼 수 있는 영상을 도시한다. FIG. 4 illustrates an image that can be viewed by the user 100 through the identification device 1 shown in FIG. 2.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100)는 상기 신원 확인 장치(1)를 통해, 신원 확인 대상(200)의 안구의 영상(합성부(13)를 투과한 광)과 지시자(112)의 영상(합성부(13)에서 반사된 광)을 함께 볼 수 있다. As shown in FIG. 4, the user 100 uses the identification device 1 to determine an image of the eye of the identification target 200 (light passing through the synthesis unit 13) and the indicator 112. The image (light reflected from the synthesis unit 13) can be viewed together.

그 결과, 합성부(13)를 기준으로 지시부(11)가 신원 확인 대상(200)과 서로 다른 지점에 위치하더라도 사용자(100)는 상기 신원 확인 대상(200)과 지시자(112)를 동시에 확인할 수 있으며, 사용자(100)는 상기 지시자(112)를 이용하여 상기 신원 확인 대상(200)의 안구가 상기 신원 확인 장치(1)의 동작 영역에 위치하도록 신원 확인 장치(1)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As a result, even if the indicator 11 is located at a different point from the identification object 200 based on the synthesis unit 13, the user 100 may simultaneously identify the identification object 200 and the indicator 112. In addition, the user 100 may adjust the position of the identification device 1 using the indicator 112 so that the eyeball of the identification object 200 is located in the operation region of the identification device 1. .

예를 들어, 지시자(112)가 신원 확인 대상(200)의 두 눈 중앙에 위치할 때 상기 신원 확인 장치(1)가 정상적으로 동작할 수 있는 경우, 사용자(100)는 신원 확인 장치(1)를 통해 도 4과 같은 영상을 확인하면서 상기 지시자(112)가 신원 확인 대상(200)의 두 눈 중앙에 위치하도록 신원 확인 장치(1)를 이동시킬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identification device 1 may operate normally when the indicator 112 is located at the center of both eyes of the identification object 200, the user 100 may identify the identification device 1. The identification device 1 may be moved such that the indicator 112 is positioned at the center of both eyes of the identification object 200 while checking the image as illustrated in FIG. 4.

그 결과, 사용자는 타인의 신원을 확인하는 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As a result, the user can more easily perform the task of verifying the identity of others.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신원 확인 장치는 상기 지시자(112)의 영상을 신원 확인 대상(200)으로도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dentification device may also provide an image of the indicator 112 to the identification object 200.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신원 확인 장치는 상기 지시부(11)로부터 방출되어 상기 합성부(13)를 투과한 광을 상기 합성부(13)로 재반사시키는 반사부(14)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합성부(13)는 상기 재반사된 광을 상기 신원 확인 대상(200)을 향해 반사시킬 수 있다. Specificall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dentification device is a reflecting portion 14 for reflecting the light emitted from the indicating portion 11 and transmitted through the synthesizing portion 13 back to the synthesizing portion 13. Further comprising, the synthesis unit 13 may reflect the re-reflected light toward the identification target 200.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원 확인 장치(2)의 개략적인 측단면도이다. 7 is a schematic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n identification device 2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원 확인 장치(2)는 상기 지시부(11)로부터 방출되어 상기 합성부(13)를 투과한 광(A)을 상기 합성부(13)로 다시 반사시키는 반사부(14)를 더 포함한다. As shown in FIG. 7, the identification device 2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transmit the light A emitted from the indicating unit 11 and transmitted through the combining unit 13 to the combining unit 13. It further comprises a reflector 14 for reflecting back.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반사부(14)는 빛을 반사시키는 반사성 부재, 예컨대 거울일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reflector 14 may be a reflective member, such as a mirror, which reflects light.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지시부(11), 상기 조정부(12), 상기 합성부(13) 및 상기 반사부(14)는 신원 확인 장치(2) 내에서 일직선 상에 배치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dicating unit 11, the adjusting unit 12, the combining unit 13, and the reflecting unit 14 may be disposed in a straight line in the identification device 2. Can be.

도 7에 도시된 신원 확인 장치(2)에 따르면, 상기 지시부(11)로부터 방출된 광(A)은 상기 조정부(12)를 지나 상기 합성부(13)에 도달하여 일부는 반사되고 다른 일부는 투과하여 상기 반사부(14)에 도달하며, 상기 반사부(14)에 의해 다시 상기 합성부(13)로 재반사되고, 또다시 상기 합성부(13)는 상기 재반사된 광의 일부는 투과시키고 다른 일부는 반사시켜, 최종적으로 상기 광(A)은 신원 확인 대상(200)으로 제공된다. According to the identification device 2 shown in FIG. 7, the light A emitted from the indicating unit 11 passes through the adjusting unit 12 and reaches the combining unit 13 so that some of it is reflected and some of the other The light is transmitted and reaches the reflecting unit 14, and is reflected back to the combining unit 13 by the reflecting unit 14, and the combining unit 13 transmits a part of the re-reflected light. The other part is reflected and finally the light A is provided to the identification object 200.

또한, 상기 신원 확인 대상(200)으로부터 반사된 광(B)은 상기 합성부(13)로 진행하고, 상기 합성부(13)에 도달한 광의 일부는 투과되고 다른 일부는 반사되어 상기 반사부(14)로 진행하며, 상기 반사부(14)에서 재반사된 광은 상기 합성부(13)에서 일부가 투과되고 다른 일부가 반사되어, 최종적으로 상기 광(B)은 신원 확인 대상(200)으로 제공된다. In addition, the light B reflected from the identification object 200 proceeds to the synthesizing unit 13, and a part of the light reaching the synthesizing unit 13 is transmitted and the other part is reflected and the reflecting unit ( 14), the light reflected back from the reflector 14 is partially transmitted from the synthesizer 13 and the other is reflected, so that the light B is finally sent to the identification target 200. Is provided.

그 결과, 상기 신원 확인 대상(200)은 지시자의 영상뿐만 아니라 자신의 모습, 즉 안구의 영상까지 상기 신원 확인 장치(2)를 통해 확인할 수 있게 된다. As a result, the identification object 200 can check not only the image of the indicator but also his or her own image, that is, the image of the eye, through the identification device 2.

따라서, 신원 확인 대상(200)은 도 4의 경우와 유사하게 지시자(112)가 자신의 두 눈 중앙에 위치하도록 자신의 얼굴을 움직이거나 또는 신원 확인 장치(2)를 이동시켜 자신의 안구가 신원 확인 장치(2)의 동작 영역에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identification object 200 moves the face of the indicator 112 so that the indicator 112 is located at the center of his or her eyes, or moves the identification device 2 so that the eyeball is identified. It can be located in the operating area of the confirmation device (2).

도 7과 같은 실시예는 신원 확인 작업을 수행하는 사용자(100)가 본 발명의 신원 확인 장치(2)를 사용하기 전에 사용자 자신이 신원 확인 장치(2)을 사용할 권한을 가진 정당한 사용자인지 여부를 신원 확인 장치(2)에게 확인시키는 본인 인증을 수행 시 도움이 된다. 7 shows whether the user 100 performing the identification operation is a legitimate user who has the authority to use the identification device 2 before using the identification device 2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helpful when performing identity verification which confirms to the identification device 2.

위와 같은 본인 인증을 거쳐 사용자(100)가 정당한 권한을 가진 사용자임이 확인되면, 그 후 사용자(100)는 신원 확인 장치(2)를 사용하여 타인에 대한 신원 확인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When it is confirmed that the user 100 is a user having a legitimate authority through the above authentication, the user 100 may then use the identity verification device 2 to perform identity verification on another person.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신원 확인 장치는 반사면이 형성된 덮개부(15)를 더 포함하여 타인 인증 및 본인 인증 둘 모두의 경우 지시자와 안구의 영상을 함께 확인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dentification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cover part 15 having a reflective surface, where both the indicator and the eye image may be checked together in the case of both the authentication of the person and the authentication of the person.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신원 확인 장치는 상기 합성부(13)와 상기 사용자(100) 간의 광 경로를 차단하는 폐쇄 위치와 상기 광 경로를 개방하는 개방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고, 일측에 반사면을 구비하여, 상기 폐쇄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지시부(11)로부터 방출되어 상기 합성부(13)에서 반사된 광을 상기 합성부(13)로 재반사시키는 덮개부(15)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합성부(13)는 상기 재반사된 광을 상기 신원 확인 대상(200)을 향해 투과시킬 수 있다. Specificall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dentification device is movable between a closed position for blocking the optical path between the synthesizing unit 13 and the user 100 and an open position for opening the optical path. And a cover part 15 having a reflecting surface on one side and emitting the light emitted from the indicating part 11 and reflected by the combining part 13 back to the combining part 13 when positioned in the closed position. ), And the synthesizing unit 13 may transmit the re-reflected light toward the identification object 200.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원 확인 장치(3)의 개략적인 측단면도이다. 8 is a schematic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n identification device 3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신원 확인 장치(3)는 덮개부(15)를 더 포함하고, 상기 덮개부(15)는 상기 합성부(13)와 사용자(100) 간의 광 경로를 차단하는 폐쇄 위치(도 8의 덮개부 위치) 및 상기 광 경로를 개방하는 개방 위치(도 9의 덮개부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다. As shown in FIG. 8, the identification device 3 further includes a cover part 15, and the cover part 15 blocks an optical path between the synthesis part 13 and the user 100. It is movable between a closed position (cover position in FIG. 8) and an open position (cover position in FIG. 9) for opening the optical path.

도 8에 도시된 덮개부(15)는 신원 확인 장치(3)에 구비된 힌지부(19)에 의해 상기 폐쇄 위치와 개방 위치 사이에서 회전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지만, 본 발명의 덮개부(15)는 이에 제한되지 않고, 상기 폐쇄 위치와 상기 개방 위치 사이를 이동할 수 있는 다양한 메커니즘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cover part 15 shown in FIG. 8 is configured to be rotatable between the closed position and the open position by the hinge part 19 provided in the identification device 3, but the cover part 15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configured with various mechanisms capable of moving between the closed position and the open position.

예를 들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부(15)는 슬라이드 방식으로 폐쇄 위치와 개방 위치 사이를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0, the lid 15 may be configured to move between the closed position and the open position in a sliding manner.

또한, 상기 덮개부(15)는 일측에 반사면(151)을 구비하여 반사면(151)으로 입사하는 광을 다른 방향으로 반사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ver part 15 may include a reflective surface 151 on one side to reflect light incident on the reflective surface 151 in a different direction.

예를 들어, 도 8에 도시된 신원 확인 장치(3)에 따르면, 상기 지시부(11)로부터 방출된 광(A)은 상기 조정부(12)를 지나 상기 합성부(13)에 도달하여 일부는 투과하고 다른 일부는 반사되어 상기 덮개부(15)의 반사면(151)에 도달하며, 상기 반사면(151)에 의해 다시 상기 합성부(13)로 재반사되고, 또다시 상기 합성부(13)는 상기 재반사된 광의 일부를 반사시키고 다른 일부는 투과시켜, 최종적으로 상기 광(A)은 신원 확인 대상(200)으로 제공된다. For example, according to the identification device 3 shown in FIG. 8, the light A emitted from the indicating unit 11 reaches the combining unit 13 through the adjusting unit 12 and partially transmits the light. And the other part is reflected to reach the reflecting surface 151 of the cover part 15, and is reflected back to the combining part 13 by the reflecting surface 151, and again the combining part 13 Reflects a part of the re-reflected light and transmits another part, so that the light A is finally provided to the identification object 200.

또한, 상기 신원 확인 대상(200)으로부터 반사된 광(B)은 상기 합성부(13)로 진행하고, 상기 합성부(13)에 도달한 광의 일부는 반사되고 다른 일부는 투과하여 상기 덮개부(15)의 반사면(151)으로 진행하며, 상기 반사면(151)에서 재반사된 광은 상기 합성부(13)에서 일부가 반사되고 다른 일부가 투과하어, 최종적으로 상기 광(B)은 신원 확인 대상(200)으로 제공된다. In addition, the light B reflected from the identification object 200 proceeds to the combining unit 13, a part of the light reaching the combining unit 13 is reflected and the other part transmits the cover unit ( 15 is reflected to the reflective surface 151, and the light reflected back from the reflective surface 151 is partially reflected by the synthesis unit 13 and the other part is transmitted, finally the light (B) is identified It is provided to the confirmation target 200.

그 결과, 상기 신원 확인 대상(200)은 도 4의 경우와 유사하게 지시자의 영상뿐만 아니라 자신의 모습, 즉 안구의 영상까지 상기 신원 확인 장치(3)를 통해 확인할 수 있게 된다. As a result, similarly to the case of FIG. 4, the identification object 200 may check not only an image of an indicator but also an image of itself, that is, an image of an eye, through the identification device 3.

마찬가지로, 신원 확인 대상(200)은 위와 같은 지시자 및 안구의 영상을 통해 지시자(112)가 자신의 두 눈 중앙에 위치하도록 자신의 얼굴을 움직이거나 또는 신원 확인 장치(3)를 이동시켜 자신의 안구가 신원 확인 장치(3)의 동작 영역에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Similarly, the identification target 200 moves its face or moves the identification device 3 so that the indicator 112 is located at the center of his or her eyes through the indicator and the image of the eye as described above. Can be located in the operating area of the identification device (3).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덮개부(15)의 폐쇄 위치는 신원 확인 장치(3)의 동작 모드 중 사용자(100)가 자신의 신원을 확인시키는 본인 인증 모드에 대응할 수 있고, 상기 덮개부(15)의 개방 위치는 사용자(100)가 타인의 신원을 확인하는 타인 인증 모드에 대응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losed position of the cover part 15 may correspond to an identity authentication mode in which the user 100 confirms his or her identity among the operation modes of the identification device 3, and the cover The open position of the unit 15 may correspond to a third party authentication mode in which the user 100 confirms the identity of another person.

즉, 사용자(100)가 자신의 신원을 확인시키는 본인 인증 모드로 신원 확인 장치(3)를 사용하는 경우, 상기 덮개부(15)는 도 8과 같은 폐쇄 위치에 위치하고, 사용자(100)가 타인의 신원을 확인하는 타인 인증 모드로 신원 확인 장치(3)를 사용하는 경우, 상기 덮개부(15)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That is, when the user 100 uses the identity verification device 3 in the identity authentication mode for verifying his or her identity, the cover part 15 is located in the closed position as shown in FIG. 8, and the user 100 When using the identification device 3 in the authentication mode to verify the identity of the cover portion 15 may be located in the open position as shown in FIG.

따라서, 사용자는 사용하고자 하는 신원 확인 장치(3)의 동작 모드에 따라 덮개부(15)의 위치를 변경하여 신원 확인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Therefore, the user may change the position of the cover 15 according to the operation mode of the identification device 3 to be used to perform the identification operation.

상술한 구성 외에, 본 발명의 신원 확인 장치(1)는 주변이 어두워 신원 확인 대상(200)으로부터 반사된 광의 광량이 적은 경우, 상기 신원 확인 대상(200)을 조명하는 조명부(1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the identification device 1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n illumination unit 18 that illuminates the identification object 200 when the amount of light reflected from the identification object 200 is low due to a dark surrounding. can do.

어두운 곳에서 신원 확인 작업을 수행하는 경우, 사용자(100) 또는 신원 확인 대상(200)은 조명부(18)로부터 방출된 광을 이용하여 신원 확인 대상(200)의 안구 영상을 보다 선명하게 확인할 수 있다. When the identification operation is performed in a dark place, the user 100 or the identification object 200 may check the eyeball image of the identification object 200 more clearly by using the light emitted from the illumination unit 18. .

또한, 본 발명의 신원 확인 장치(1)는 신원 확인 대상(200)의 신체 정보를 수집하는 수집부(16)를 포함하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수집부(16)는 홍채 이미지를 촬영하는 카메라일 수 있다. In addition, the identification device 1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llection unit 16 for collecting body information of the identification target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llection unit 16 is an iris It may be a camera that takes an image.

또한, 본 발명의 신원 확인 장치(1)는 신원 확인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17)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17)는 지시부(11)의 발광, 조명부(18)의 조명, 수집부(16)의 촬영과 같은 신원 확인 장치(1)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identification device 1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trol unit 17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identification device, the control unit 17 is the light of the indicator 11, the illumination of the illumination unit 18, the collecting unit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identification device 1 such as the photographing of 16 can be controll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지시부(11)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광원을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dicator 11 may include one or more light sources.

예를 들어, 상기 지시부(11)는 하나의 광원만을 구비하여 도 4와 같은 하나의 지시자(112)를 제공하거나, 또는 다수의 광원을 구비하여 도 11과 같은 다수의 지시자(112, 112', 112'')들을 제공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indicator 11 may include only one light source to provide one indicator 112 as shown in FIG. 4, or include a plurality of indicators 112 and 112 ′ as illustrated in FIG. 11. 112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신원 확인 장치(1)는 신원 확인 장치(1)와 신원 확인 대상(200) 간의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 측정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dentification device 1 may further include a distance measuring sensor for measuring the distance between the identification device 1 and the identification target 200.

또한, 상기 제어부(17)는 상기 신원 확인 장치(1)와 신원 확인 대상(200) 간의 거리 또는 신원 확인 장치(1)의 현재 진행 중인 프로세스에 따라 상기 지시부(11)가 방출하는 광의 패턴, 예컨대 색, 점멸주파수, 세기 등을 제어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troller 17 may determine a pattern of light emitted from the indicator 11 according to a distance between the identification device 1 and the identification target 200 or a process in progress of the identification device 1. Color, blinking frequency, intensity, etc. can be controlled.

예를 들어, 신원 확인 장치(1)와 신원 확인 대상(200) 간의 거리가 동작 가능 거리보다 더 짧은 경우에는 붉은 색의 광을 방출하고, 더 긴 경우에는 푸른 색의 광을 방출하고, 동작 가능 거리인 경우에는 녹색의 광을 방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identification device 1 and the identification object 200 is shorter than the operable distance, red light is emitted, and when it is longer, blue light is emitted and the operation is possible. In the case of distance, it can be controlled to emit green light.

마찬가지로, 신원 확인 장치(1)와 신원 확인 대상(200) 간의 거리에 따라 점멸주파수 또는 세기를 변경시켜 광을 방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Similarly, it may be controlled to emit light by changing the blinking frequency or intensity according to the distance between the identification device 1 and the identification object 200.

또한, 신원 확인 장치(1)가 신원 확인 대상(200)으로부터 신체 정보를 수집하기 전인 경우, 수집 중인 경우, 수집이 완료되어 인증이 성공한 경우, 수집이 완료되었지만 인증이 실패한 경우와 같이 현재 진행 중인 프로세스에 따라 빛의 색, 점멸주파수 또는 세기와 같은 빛의 패턴을 변경시켜 광을 방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identification device 1 before collecting the body information from the identification target 200, if the collection is completed, if the collection is completed and the authentication is successful, the current is in progress, such as when the collection is completed but the authentication failed Depending on the process, it can be controlled to emit light by changing the light's pattern, such as its color, flashing frequency, or intensity.

상술한 본 발명의 신원 확인 장치에 따르면, 사용자(100)는 타인의 신원을 확인하는 경우 신원 확인 대상(200)의 영상과 지시자의 영상을 함께 볼 수 있어, 상기 지시자를 통해 신원 확인 장치(1)의 동작 영역에 신원 확인 대상(200)의 안구가 위치하도록 신원 확인 장치(1)를 조절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identifica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when the user 100 confirms the identity of another person, the user 100 can view the image of the identification target 200 and the image of the indicator together, the identification device (1) through the indicator The identity verification device 1 may be adjusted such that the eyeball of the identity verification target 200 is located in an operation region of the backplane.

또한, 사용자(100)가 신원 확인 장치(1)를 사용하기 전, 사용자 자신이 신원 확인 장치(1)를 사용할 권한을 가지는지 여부를 확인시키기 위해 사용자 자신의 신원을 확인하는 자기 인증 시에도 자신의 영상과 지시자의 영상을 함께 볼 수 있어, 상기 지시자를 통해 신원 확인 장치(1)의 동작 영역에 자신의 안구를 위치시키도록 조절할 수 있다. In addition, before the user 100 uses the identification device 1, the user 100 also checks his / her own identity to confirm whether the user has the authority to use the identification device 1 The image of the and the image of the indicator can be viewed together, the indicator can be adjusted to place their eye in the operating area of the identification device (1).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capable of various substitutions, modifications, and changes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not limited by the drawings.

1, 2, 3: 신원 확인 장치
11: 지시부
12: 조정부
13: 합성부
14: 반사부
15: 덮개부
151: 반사면
100: 사용자
200: 신원 확인 대상
A: 지시부로부터 방출된 광의 경로
B: 신원 확인 대상으로부터 반사된 광의 경로
1, 2, 3: identification device
11: indicator
12: adjuster
13: synthesis section
14: reflector
15: cover part
151: reflective surface
100: user
200: identity verification target
A: path of light emitted from the indicator
B: Path of light reflected from the identification object

Claims (10)

신체 정보를 수집하여 신원을 확인하는 장치에 있어서,
광을 발산하는 광원;
상기 광의 경로에 배치되고, 상기 광원까지의 거리보다 더 긴 초점거리를 갖는 집광렌즈; 및
상기 집광렌즈에 의해 굴절된 광의 경로에 배치되고, 반사효과를 갖는 물질이 일면에 코팅된 투명부재인 하프미러를 포함하며,
상기 광원으로부터 발산된 광은 상기 집광렌즈를 통해 굴절되고, 굴절된 광 중 일부는 상기 하프미러의 일면에서 반사되어 신원 확인 장치의 사용자에게 제공되고, 신원 확인 대상으로부터 진행되는 광 중 일부가 상기 하프미러를 투과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됨으로써, 상기 발산된 광과 상기 신원 확인 대상의 영상이 사용자에게 함께 제공되며,
상기 집광렌즈 및 상기 하프미러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광원의 허상은, 신원 확인을 위해 상기 신원 확인 대상이 위치하도록 요구되는 지점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원 확인 장치.
In the device for collecting body information to verify the identity,
A light source for emitting light;
A condenser lens disposed in the path of the light and having a focal length longer than the distance to the light source; And
A half mirror disposed in a path of light refracted by the condenser lens and having a reflective effect coated on one surface thereof;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is refracted through the condensing lens, and part of the refracted light is reflected from one surface of the half mirror to be provided to the user of the identification device, and a part of the light proceeding from the identification object is the half By being transmitted to the user through the mirror, the emitted light and the image of the identification target is provided to the user together,
And the virtual image of the light source formed by the condensing lens and the half mirror is positioned at a point where the object of identification is required for identification.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굴절된 광 중 상기 하프미러를 투과하는 광의 경로에 배치되는 거울을 더 포함하며,
상기 굴절된 광 중 상기 하프미러를 투과한 광은, 상기 거울에 의해 다시 상기 하프미러로 반사되고, 상기 하프미러의 일면에서 상기 신원 확인 대상을 향해 반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원 확인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mirror disposed in the path of the light transmitted through the half mirror of the refracted light,
The light transmitted through the half mirror among the refracted light is reflected back to the half mirror by the mirror, and is reflected from one surface of the half mirror toward the identification object.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 상기 집광렌즈, 상기 하프미러 및 상기 거울은 일직선 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원 확인 장치.
The method of claim 6,
And the light source, the condenser lens, the half mirror, and the mirror are arranged in a straight line.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하프미러와 상기 사용자 간의 광 경로를 차단하는 폐쇄 위치와 상기 광 경로를 개방하는 개방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한 덮개부를 더 포함하는 신원 확인 장치.
The method of claim 6,
And a lid portion movable between a closed position for blocking the optical path between the half mirror and the user and an open position for opening the optical path.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프미러와 상기 사용자 간의 광 경로를 차단하는 폐쇄 위치와 상기 광 경로를 개방하는 개방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고, 일측에 반사면을 구비하여, 상기 폐쇄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광원로부터 발산되어 상기 하프미러에서 반사된 광을 다시 상기 하프미러로 반사시키는 덮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프미러로 반사된 광 중 일부는 상기 하프미러를 투과하여 상기 신원 확인 대상을 향해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원 확인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Moveable between a closed position for blocking the optical path between the half mirror and the user and an open position for opening the optical path, and having a reflective surface on one side, the light is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when positioned in the closed position The cover unit further reflects the light reflected from the half mirror back to the half mirror.
And some of the light reflected by the half mirror passes through the half mirror and proceeds toward the identification object.
제 8항 또는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의 폐쇄 위치는 상기 사용자가 자신의 신원을 확인시키는 본인 인증 모드에 대응하고, 상기 덮개부의 개방 위치는 상기 사용자가 타인의 신원을 확인하는 타인 인증 모드에 대응하는 신원 확인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8 or 9,
And a closed position of the cover part corresponds to an identity authentication mode in which the user confirms his or her identity, and an open position of the cover part corresponds to another person authentication mode in which the user confirms the identity of another person.
KR1020100091143A 2010-09-16 2010-09-16 Apparatus for identifying person's idnetity KR101017411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1143A KR101017411B1 (en) 2010-09-16 2010-09-16 Apparatus for identifying person's idnetity
PCT/KR2011/006882 WO2012036521A1 (en) 2010-09-16 2011-09-16 Identification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1143A KR101017411B1 (en) 2010-09-16 2010-09-16 Apparatus for identifying person's idnetit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17411B1 true KR101017411B1 (en) 2011-02-28

Family

ID=437779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1143A KR101017411B1 (en) 2010-09-16 2010-09-16 Apparatus for identifying person's idnetity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017411B1 (en)
WO (1) WO2012036521A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47840A (en) * 2007-11-08 2009-05-13 르호봇테크(주) Guidance device for focus of iris and guidance method for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0972B1 (en) * 2001-03-15 2003-12-18 엘지전자 주식회사 Focusing distance display of iris recognition system
JP2003141516A (en) * 2001-10-31 2003-05-1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Iris image pickup device and iris authentication device
EP1751691A1 (en) * 2004-05-12 2007-02-14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Personal identification method and apparatus
KR20040096965A (en) * 2004-10-12 2004-11-17 김신호 A Guidance Device and Method for focus of the Iris Camera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47840A (en) * 2007-11-08 2009-05-13 르호봇테크(주) Guidance device for focus of iris and guidance method for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036521A1 (en) 2012-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341119B1 (en) Iris recognition system
US7095901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djusting focus position in iris recognition system
KR101511326B1 (en) Iris and face image capture device
JP2007319174A (en) Photographic equipment and authentication apparatus using the same
JP2006338236A (en) Eye image imaging device and authentication device using the same
JPWO2009016846A1 (en) Iris authentication device and iris authentication system
JPWO2006088042A1 (en) Biometric device, authentication device, and biometric method
EP2953057B1 (en) Iris recognition terminal and method
WO2008039252A2 (en) Multimodal ocular biometric system
KR10211233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 measurement of deviation angle in strabismus
WO2007139085A1 (en) Imaging device and authentication device using the same
KR101548624B1 (en) Iris recognized system for automatically adjusting focusing of the iris and the method thereof
KR101001338B1 (en) Apparatus for identifying person's identity
JP2008310480A (en) Iris photographing device and iris identification device
KR101017411B1 (en) Apparatus for identifying person's idnetity
KR20090106790A (en) Iris scanning device and method
JP2006277730A (en) Personal identification apparatus
KR101433788B1 (en) Portable Iris Image Capture Device For Single-Eye
KR100900263B1 (en) Guidance device for focus of iris and guidance method for the same
KR100557037B1 (en) Indicated device of iris location for iris recognition system
KR100410972B1 (en) Focusing distance display of iris recognition system
JP2006163683A (en) Eye image imaging device and authentication device using it
JPH11347016A (en) Imaging device
JP2007082655A (en) Ocular image photographing device, living body identifying device, authentication device and registration device using the same, and method of photographing ocular image
KR20110134999A (en) Camera for iris recogni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7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