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0717B1 - Condition-based plant operation and maintenance management system - Google Patents

Condition-based plant operation and maintenance management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0717B1
KR101010717B1 KR1020090107957A KR20090107957A KR101010717B1 KR 101010717 B1 KR101010717 B1 KR 101010717B1 KR 1020090107957 A KR1020090107957 A KR 1020090107957A KR 20090107957 A KR20090107957 A KR 20090107957A KR 101010717 B1 KR101010717 B1 KR 1010107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tenance
management unit
facility
unit
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795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임한규
육상윤
김치완
김근태
Original Assignee
한국동서발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동서발전(주) filed Critical 한국동서발전(주)
Priority to KR10200901079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0717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07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071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418Total factory control, i.e. central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machines, e.g. direct or distributed numerical control [DNC],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or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CIM]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3/00Testing or monitoring of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 G05B23/02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 G05B23/0205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 G05B23/0218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characterised by the fault detection method dealing with either existing or incipient faults
    • G05B23/0243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characterised by the fault detection method dealing with either existing or incipient faults model based detection method, e.g. first-principles knowledge model
    • G05B23/0254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characterised by the fault detection method dealing with either existing or incipient faults model based detection method, e.g. first-principles knowledge model based on a quantitative model, e.g. mathematical relationships between inputs and outputs; functions: observer, Kalman filter, residual calculation, Neural Network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3/00Testing or monitoring of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 G05B23/02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 G05B23/0205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 G05B23/0259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characterized by the response to fault detection
    • G05B23/0283Predictive maintenance, e.g. involving the monitoring of a system and, based on the monitoring results, taking decisions on the maintenance schedule of the monitored system; Estimating remaining useful life [RU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nergy or water suppl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Public Health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PURPOSE: A condition-based plant operation and a maintenance management system are provided to help a user to manage all maintenance works through same procedure by standardizing maintenance works. CONSTITUTION: An administration unit(100) comprises a facility master and a work order part and manages a process of maintenance work. An operation management unit(200) receives the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facility and inquires a maintenance record and detail information. A performance management unit(300) calculates performance and efficiency at unit facility. A management department(400) evaluates the comprehensive performance of maintenance and operation of the generator.

Description

상태기반 발전소 운전 및 정비 관리 시스템{CONDITION-BASED PLANT OPERATION AND MAINTENANCE MANAGEMENT SYSTEM}Condition-based plant operation and maintenance management system {CONDITION-BASED PLANT OPERATION AND MAINTENANCE MANAGEMENT SYSTEM}

본 발명은 상태기반 발전소 운전 및 정비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정비관리부, 신뢰도 관리부 및 위험도 관리부의 설비분류체계를 표준화시켜 이들 상호 간의 정보의 연계를 원활하게 하고, 코스트-타임 분석부를 통해 정비 대상 설비 및 정비 대상 설비에 대한 최적 정비 시점을 판단할 수 있는 상태기반 발전소 운전 및 정비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ate-based power plant operation and maintenance management system, which standardizes the facility classification system of the maintenance management unit, the reliability management unit, and the risk management unit to facilitate the linkage of information between them, and the maintenance target facility through the cost-time analysis unit. And a state-based power plant operation and maintenance management system capable of determining an optimal maintenance point for a maintenance target facility.

발전소는 특성이 다른 수많은 종류의 단위 설비와 자재의 조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중 하나의 설비가 고장나도 전체 공정이 중단되어 커다란 손실을 유발하기 때문에 체계적인 정비관리가 필요하며, 최근 전사적 자원관리시스템(Enterprise Resource Plan, 이하 ERP) 도입과 함께 그 중요성은 점점 커지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독립적인 컴퓨터 기반의 정비관리 시스템 (Computerized Maintenance Management System, 이하 CMMS) 또는 ERP 시스템의 일부 기능을 이용하는 종래 시스템에서는 운전자, 설계자 그리고 정비수행자 상호 간에 운전, 고장 및 정비 정보의 유기적 전달이 어려우며, 정비 이력의 체계적인 관리가 불완전하여 단순한 정비 작업의 이력 관리 역할에 머물고 있기 때문에 신속하고 정확한 의사결정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있으며, 통계 및 분석 업무를 통한 체계적인 예방정비나 최적의 정비주기를 선정하는 예측정비 관리 수준에는 못 미치고 있다. 그리고 정비 및 운전 결과를 반영하여 설비의 성능과 손상 정도의 변화를 지속적으로 실시간 감시하여 장기사용에 따른 성능저하 및 열화 정도 등을 정비계획 수립 시 반영하는 정책 또한 정립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A power plant consists of a combination of many kinds of unit equipment and materials with different characteristics, and even if one of the facilities fails, the entire process is interrupted and causes a large loss, requiring systematic maintenance and management. With the introduction of the Enterprise Resource Plan (ERP), the importance is increasing. However, in the conventional system using independent computerized maintenance management system (CMMS) or some of the functions of the ERP system, it is difficult to transmit the operation, failure and maintenance information between the operator, the designer and the maintenance worker. Due to the incomplete management of history, the company is in the role of history management of simple maintenance work. Therefore, it takes much time for quick and accurate decision-making, and predictive maintenance for selecting systematic maintenance and optimal maintenance cycles through statistical and analysis work. It is falling short of the management level. In addition, policies that reflect the deterioration and deterioration due to long-term use in real-time monitoring of changes in the performance and the degree of damage by reflecting the results of maintenance and operation are not established.

종래의 발전소 운전관리 시스템은 발전소의 운전관리를 위하여 분산제어시스템(Distributed Control System, 이하 DCS) 및 프로그램 가능형 제어기(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이하 PLC)로부터 실시간 정보를 취득하고 있지만 통신기술의 한계로 일부 기종은 접속이 불가능하여 정보를 취득할 수가 없으며, 정비관리시스템과 시스템적 연계가 어려워 취득된 운전정보를 예방점검 실적관리와 같은 기능에 활용하기가 매우 어렵다. 또한, 종래의 발전소 운전관리 시스템은 정비관리 지원업무가 불가능한 실정이다.Conventional power plant operation management system acquires real-time information from Distributed Control System (DCS) and 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PLC) for the operation management of power plant. Since the model cannot be accessed, information cannot be obtained, and it is difficult to use the acquired operation information for functions such as preventive inspection performance management because it is difficult to systematically connect with the maintenance management system. In addition, the conventional power plant operation management system is a situation that can not support maintenance management.

한편, 성능관리시스템은 대부분이 DCS 설비에 종속되어 있는 간단한 형태의 시스템으로 구성되어 운전부서에서만 관리해오고 있었다. 성능관리시스템은 최근 단독 시스템 도입을 추진하고 있으나 운전관리가 인프라 설비로 구축되어있어야 성능관리가 가능하며, 성능관리 기능을 갖추었다 하더라도 설비 및 정비 관리업무와 관련된 연계업무 및 절차의 정의가 미흡한 상태이다. 성능관리시스템은 타 관리시스템과 업무적 연결고리 없이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있어 설비상태나 정비 작업의 효과를 분석할 수가 없어 실질적으로 고장을 감소시키거나 설비의 신뢰성을 향상시 키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On the other hand, the performance management system consists of a simple system that is mostly subordinate to the DCS facility and has been managed only by the operation department. Although the performance management system has recently introduced a single system, performance management is possible only when operation management is established as an infrastructure facility, and even though it has a function of performance management, there is a lack of definition of the related tasks and procedures related to facility and maintenance management. . Since the performance management system is operated independently without any business connection with other management systems, it is impossible to analyze the effect of facility status or maintenance work, and thus does not substantially reduce failure or improve the reliability of the facility.

상태기반 정비업무 관리 및 시스템 구성을 위하여 일부 발전소 설비에 RCM과 RBI 분석 기술이 적용되고 있으나 설비분류체계 및 각종 코드분류체계가 CMMS의 설비분류체계 및 각종 코드분류체계와 다르며, 전문가에 의해서 불연속적으로 분석이 이루어져 CMMS를 통한 지속적 활용이 불가능한 상태이다. Although RCM and RBI analysis technologies are applied to some power plant facilities for state-based maintenance work management and system composition, facility classification system and various code classification systems are different from those of CMMS and various code classification system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is impossible to continuously utilize the CMMS.

신뢰도 중심 정비 관리(Reliability Centered Maintenance, 이하, RCM)분석은 1970년대부터 절차화 되어 사용되었으나 대부분 전문가에 의한 서류작업으로 이루어지고, 분석 결과만 CMMS에서 설비단위로 입력하여 사용하여 왔다. 또한, 전산화된 RCM 분석 도구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서로 다른 관리체계 때문에 RCM 분석 결과의 반영 및 RCM 리빙을 위한 정보 취득을 위하여 별도의 자료변환 작업이 필요하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CMMS와 시스템적, 업무적 연계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따라서, RCM 분석기술은 전문가에 의하여 용역 업무로만 추진되어 왔으며 별도의 전산화된 분석 프로그램을 통한 CMMS와 연계 운영하는 실적은 없는 실정이다. Reliability Centered Maintenance (RCM) analysis has been procedurally used since the 1970s, but is mostly done by professional paperwork, and only analysis results have been entered and used in CMMS. In addition, despite the computerized RCM analysis tools, due to the different management systems, additional data conversion is required to reflect the RCM analysis results and to obtain information for RCM living. It was not done. Therefore, RCM analysis technology has been promoted only by service professionals and there is no record of operating in conjunction with CMMS through a separate computerized analysis program.

더욱이 RCM을 구현하려면 CMMS의 설비목록 및 고장코드 체계가 RCM 체계와 같아야 하기 때문에 종래 CMMS로는 RCM을 정확하게 구현하기가 힘들며, 상당한 부분의 프로그램 수정을 요구하고 있어 막대한 비용이 수반된다. 그리고 CMMS의 정비이력을 분석하여 예방업무의 유효성을 평가하고 새로운 예방업무를 설정하는 RCM 리빙 업무 또한 사람에 의하여 이루어지며, 별도의 정보 변환작업을 통하여 이루어지기 때문에 현업에 적용하기가 어려운 상황이다.Moreover, in order to implement the RCM, the equipment list and the fault code system of the CMMS must be the same as the RCM system.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accurately implement the RCM with the conventional CMMS, and requires a large part of the program modification, which entails enormous costs. In addition, the RCM living task of evaluating the effectiveness of preventive tasks by analyzing the maintenance history of the CMMS and establishing new preventive tasks is also performed by humans, and it is difficult to apply them in the field because it is done through a separate information conversion task.

위험도 기반의 진단(Risk Based Inspection, 이하 RBI) 분석기술은 국내외적 으로 실무에 적용된 사례가 적으며, 전문가에 의한 용역형태로 정성적인 분석이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에 정비관리에 활용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변환작업과 관리가 필요하며, 종래 CMMS와 연계하기 위해서는 RCM과 마찬가지로 상당한 프로그램 수정을 필요로 하며, 그나마 제한적인 오프라인 RBI분석만 가능한 실정이다.Risk Based Inspection (RBI) analysis technology has few cases applied to practice at home and abroad, and qualitative analysis is performed in the form of service by experts. In order to connect with the conventional CMMS, a significant program modification is required as in RCM, and only limited offline RBI analysis is possible.

대부분의 발전소 설비는 수명이 제한되어 있어 무한정 운전을 할 수가 없으며 장기 사용에 따른 불시 고장 및 정지 발생 시 그 피해규모가 크기 때문에 수명이 다된 설비의 교체 및 정밀검사를 통한 열화도 진전 설비의 보강 등 계획예방정비를 일정 주기마다 시행(Time Based Maintenance, 이하 TBM)하여 왔으나, 발전소 특성상 초기 안정화 기간이 지나고 나면 노후화가 충분히 진행되기 전까지 손상 및 고장이 거의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이러한 TBM 방식의 적용은 시간과 비용 측면에서 많은 손실을 야기하고 있는 실정이다.Most power plant equipments have a limited lifespan, so they cannot operate indefinitely, and in case of sudden breakdowns or stoppages due to long-term use, the damage is large. Although time-based maintenance (TBM) has been carried out at regular intervals, the application of this TBM method is very time-consuming, since damage and failure rarely occurs until the aging is fully progressed after the initial stabilization period. This is causing a lot of losses in terms of cost.

한편, 한 개의 발전소에 대부분「운전관리-성능관리」형태의 정비관리체계를 운영하고 있으며,「운전관리-성능관리-정비관리」「RCM 기술-정비관리」또는「RBI 기술-정비관리」형태의 정비관리체계를 운영하는 발전소는 일부 존재하나,「정비관리, 운전관리, 성능관리, 정비관리부 관리(RCM 분석), 위험도 관리(RBI 분석), 코스트-타임 분석」을 유기적으로 연계한 정비관리체계를 운영하거나 적용한 발전소는 없다. On the other hand, a single power plant operates a maintenance management system in the form of “operation management-performance management”, and includes “operation management-performance management-maintenance management”, “RCM technology-maintenance management” or “RBI technology-maintenance management”. There are some power plants that operate maintenance management system. However, maintenance management system that organically links `` maintenance management, operation management, performance management, maintenance management (RCM analysis), risk management (RBI analysis), cost-time analysis '' No power plant has operated or applied.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제 1 목적은, 정비관리부에서 정비 작업 절차를 표준화하여, 작업 종류에 관계없이 모든 정비 작업에 대해 동일한 절차로 정비 작업을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상태기반 발전소 운전 및 정비 관리 시스템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first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tandardize the maintenance work procedures in the maintenance management unit, maintenance work in the same procedure for all maintenance work regardless of the work type The purpose is to provide a state-based power plant operation and maintenance management system that can be managed.

본 발명의 제 2 목적은, ERP와 정보가 연계되어 상태기반 발전소 운전 및 정비 관리 시스템에서 정비 작업에 대한 원가 설계가 가능하고, 회계 정산 및 자산회계처리 기능을 가진 상태기반 발전소 운전 및 정비 관리 시스템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The second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tate-based power plant operation and maintenance management system capable of designing costs for maintenance work in a state-based power plant operation and maintenance management system by linking information with ERP, and having an accounting settlement and asset accounting processing function. The purpose is to provide.

본 발명의 제 3 목적은, PI 태그 번호에 의해 정보관리부와 운전관리부가 시스템적으로 연계되어, 운전관리부의 운전정보를 통해 정보관리부가 예방점검의 점검 결과 및 예방정비의 실적 관리를 할 수 있는 상태기반 발전소 운전 및 정비 관리 시스템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The third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information management unit and the operation management unit are systematically linked by the PI tag number, so that the information management unit can manage the results of the preventive inspection and the performance of the preventive maintenance through the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operation management unit. It aims to provide a state-based power plant operation and maintenance management system.

본 발명의 제 4 목적은, 정비관리부에서 설비분류체계 및 코드분류체계를 표준화함으로써, 운전관리부, 성능관리부, 운영관리부, 신뢰도 관리부, 위험도 관리부 및 코스트-타임 분석부가 정비관리부와 유기적으로 연계되어 운영되는 상태기반 발전소 운전 및 정비 관리 시스템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The fourth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tandardize the facility classification system and code classification system in the maintenance management unit, so that the operation management unit, the performance management unit, the operation management unit, the reliability management unit, the risk management unit, and the cost-time analysis unit are organically linked with the maintenance management unit. To provide a state-based power plant operation and maintenance management system.

본 발명의 제 5 목적은, 설비분류체계가 표준화됨으로써, 별도의 정보 가공 없이도 정비관리부로부터 제공받은 정보를 통해 RCM 분석 및 RBI 분석을 실행할 수 있는 상태기반 발전소 운전 및 정비 관리 시스템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A fifth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tate-based power plant operation and maintenance management system capable of performing RCM analysis and RBI analysis through information provided from a maintenance management unit without any separate processing by standardizing a facility classification system. do.

본 발명의 제 6 목적은, 코스트-타임 분석부를 통해, 설비에 대한 최적 정비 시점을 판단하여 정비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고, 설비의 손상 및 고장을 방지하는 상태기반 발전소 운전 및 정비 관리 시스템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A sixth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tate-based power plant operation and maintenance management system that can minimize maintenance costs by determining an optimal maintenance time point for a facility through a cost-time analysis unit and prevent damage and failure of the facility. For the purpose.

본 발명인 설비의 위치, 계통 및 종류에 따라 각각의 설비에 대한 위치 번호, 계통 번호 및 종류 번호가 저장된 설비 마스터(121), 및 설비 마스터(121)와 연계되어 설비 마스터(121)로부터 위치 번호, 계통 번호 및 종류 번호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고, 정비 작업에 대한 절차를 하나의 절차로 표준화한 표준절차(130)에 따라 설비에 대한 워크 오더(work order)를 생성하는 워크 오더부(120)를 포함하여, 설비의 정비 작업에 대한 처리가 일괄적으로 관리되는 정비관리부(100); 발전소 제어설비 시스템(270)으로부터 설비의 운전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받고, 운전정보를 분석하여 설비의 이상 운전 상태를 판단하고, 운전정보인 PI 태그(Plant Imformation Tag) 번호가 설비 마스터(121)에 등록됨으로써 설비 마스터(121)와 연계되어 설비에 대한 정비 이력 및 설비의 상세 정보 조회가 가능한 운전관리부(200); 운전관리부(200)로부터 실시간으로 제공받은 운전정보를 통해 단위 설비별로 성능 및 효율을 계산하는 성능관리부(300); 정비관리부(100), 운전관리부(200), 성능관리부(300) 및 ERP(Enterprise Resource Plan, 900)로부터 정보를 제공받고, 정보를 통해 발전소의 정비 및 운전 활동에 대한 종합 성과를 평가하는 운영관리부(400); 발전소의 보조 설비에 대해 일정 기간 단위로, 정비관리부(100) 로부터 설비의 정비 이력 및 고장 이력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고, 운전관리부(200)로부터 설비의 운전 정보를 제공받아, RCM 리빙(Reliability Centered Maintenance Living) 분석을 실행하여 보조 설비의 경상예방업무(511)의 유효성을 평가하고, RCM(Reliability Centered Maintenance) 분석을 실행하여 RCM 분석 결과를 통해 예방점검 및 예방 정비의 종류 및 주기를 결정하는 신뢰도 관리부(500); 정비관리부(100)로부터 설비의 재질에 대한 검사 결과 및 워크 오더를 제공받고, 운전관리부(200)로부터 운전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받아 RBI(Risk Based Inspection) 분석을 실행하여, RBI 분석 결과를 통해 발전소의 주설비의 잔존 수명 및 차기의 예방 정비에 대한 검사 시점, 검사 대상 및 검사 부위를 결정하는 위험도 관리부(600); 및 신뢰도 관리부(500) 및 위험도 관리부(600)로부터 제공받은 정보를 통해 정비 대상 설비 및 정비 대상 설비에 대한 정비 시점을 제시하는 코스트-타임(Cost-Time) 분석부(7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ccordance with the location, system and type of the equipment of the present inventors, the location number, system number and type number for each facility are stored in the facility master 121 and the facility master 121 in connection with the facility master 121. The work order unit 120 receives the information about the system number and the type number, and generates a work order for the facility according to the standard procedure 130 that standardizes the procedures for the maintenance work as one procedure. Including, the maintenance management unit 100 is a batch management process for the maintenance work of the facility; The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facility is provided from the power plant control facility system 270 in real time, the operation information is analyzed to determine an abnormal operation state of the facility, and the plant information PI tag (Plant Imformation Tag) number, which is the operation information, is provided to the facility master 121. Operation management unit 200 is linked to the facility master 121 by being registered is possible to query the maintenance history for the facility and detailed information of the facility; A performance management unit 300 for calculating performance and efficiency for each unit based on operation information provided in real time from the operation management unit 200; The operation management unit receives information from the maintenance management unit 100, the operation management unit 200, the performance management unit 300, and the ERP (Enterprise Resource Plan, 900), and evaluates the overall performance of the plant's maintenance and operation activities through the information. 400; Receiving the information on the maintenance history and failure history of the facility from the maintenance management unit 100, and the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facility from the operation management unit 200, the RCM living (Reliability Centered) Confidence in determining the type and frequency of preventive maintenance and preventive maintenance based on the results of the RCM analysis by performing the maintenance living analysis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he auxiliary prevention service (511) of the auxiliary equipment, and executing the Reliability Centered Maintenance (RCM) analysis. Management unit 500; The inspection result and work order of the material of the facility are provided from the maintenance management unit 100, the operation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operation management unit 200 in real time, and RBI (Risk Based Inspection) analysis is performed, and the power plant is generated through the RBI analysis result. A risk management unit 600 for determining an inspection time, an inspection subject, and an inspection site for the remaining life of the main equipment and the next preventive maintenance of the main equipment; And a cost-time analyzer 700 for presenting maintenance target equipment and maintenance time points for the maintenance target equipment through the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reliability management unit 500 and the risk management unit 600. It is done.

설비 마스터(121)는 위치 번호, 계통 번호 및 종류 번호를 설비분류체계로 표준화시키고, 설비분류체계는 신뢰도 관리부(500)의 RCM 분석시 사용되고, 위험도 관리부(600)의 RBI 분석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acility master 121 standardizes the location number, the system number, and the type number into the facility classification system, and the facility classification system is used in the RCM analysis of the reliability management unit 500 and used in the RBI analysis of the risk management unit 600. It is done.

워크 오더부(120)는 ERP(900)와 연계되어, 워크 오더부(120)에는 작업 종류별 노무 품셈에 의한 인력 설계 정보; ERP(900)로부터 제공받은 예산 종류별 자재 설계 정보; 공사 종류별 경비 요율에 따른 경비 설계 정보; 및 설비의 종류마다의 설계표준서가 데이터 형태로 저장되어, 워크 오더부(120)는, 인력 설계 정보, 자재 설계 정보, 경비 설계 정보 및 설계표준서에 의해 정비 작업에 대한 작업 설계안이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work order unit 120 is linked to the ERP 900, and the work order unit 120 includes manpower design information by labor production for each work type; Budget type material desig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ERP (900); Expense design information according to expense rate by type of construction; And design standards for each type of equipment are stored in data form, and the work order unit 120 generates work design proposals for maintenance work by manpower design information, material design information, expense design information, and design standards. It is done.

표준절차(130)는 설비에 대한 증상이 입력되는 요청 절차(131), 접수 절차(132), 설계 절차(133), 승인 절차(134), 허가 절차(135), 완료 절차(136), 및 마감 절차(137)가 순차로 진행되며, 워크 오더부(120)는 요청 절차(131)에서 설비 마스터(121)에 연계되어, 설비 마스터(121)로부터 설비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고, 설계 절차(133)에서 설비에 대한 인력 설계 정보, 자재 설계 정보, 및 경비 설계 정보가 선택되면, 작업 설계안을 생성하고, 워크 오더부(120)에는 승인 절차(134)에서, 설비에 대한 품질 및 안전 등급에 따라 결재 등급이 구분되어, 정비 작업이 승인되고, 허가 절차(135)에서, 설비에 대한 품질 및 안전 등급에 따라 결재 등급이 구분되어, 품질 및 안전 서류(125)가 처리되고, 완료 절차(136)에서 설비에 대한 고장 원인, 고장 현상, 정비 작업 결과 및 예방 업무가 코드화(128)되어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tandard procedure 130 includes a request procedure (131), an acceptance procedure (132), a design procedure (133), an approval procedure (134), an approval procedure (135), a completion procedure (136), and a symptom for a facility. The closing procedure 137 is performed in sequence, and the work order unit 120 is connected to the facility master 121 in the request procedure 131 to receive information about the facility from the facility master 121 and to provide a design procedure ( In step 133, if manpower design information, material design information, and expense design information for the facility are selected, a work design proposal is generated, and the work order unit 120 receives the approval procedure 134 for the quality and safety grade of the facility.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of the approval, maintenance work is approved, in the approval procedure 135, the approval rating is divided according to the quality and safety grade for the equipment, the quality and safety documents 125 are processed, and the completion procedure (136). Causes of failures, failures, maintenance work and preventive work Is 128, characterized in that the input.

정비관리부(100)는 워크 오더부(120)에 연계되어 표준절차(130) 종료 후 설비에 대한 정비 이력이 기록된 워크 오더가 저장되는 이력 DB(database)부(138); 설비에 대한 사고 또는 고장의 발생 순서에 따른 시계열적 분석 후, 시계열적 분석시마다 사람(Human), 조직(Organization), 절차(Procedure) 및 설비(Equipment)에 따른 HOPE 분석을 수행하여, 동일사고의 재발 및 유사사고의 발생 방지에 대한 대책을 수립하고, 대책을 워크 오더부(120)에 제공하는 고장정지 관리부(160); 및 RCM 분석 결과에 의한 경상예방업무(511)를 경상예방공사(115)를 위한 대기 작업의 형태로 관리하고, RBI 분석 결과에 의한 계획예방업무(614)를 계획예방정비공 사(116)를 위한 대기 작업 형태로 관리하는 예방점검정비 관리부(1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Maintenance management unit 100 is connected to the work order unit 120, the history DB (database) unit 138 for storing the work order recorded the maintenance history for the facility after the end of the standard procedure (130); After the time series analysis according to the order of accident or failure of the facility, the HOPE analysis according to the human, organization, procedure and equipment is performed every time series analysis. A failure stop management unit 160 for establishing a countermeasure against the occurrence of recurrence and a similar accident and providing the countermeasure to the work order unit 120; And managing the current prevention task 511 based on the RCM analysis result in the form of waiting work for the current prevention project 115, and the planning prevention task 614 based on the RBI analysis result for the planned preventive maintenance project 116.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reventive maintenance maintenance unit 170 to manage in the form of waiting work.

이력 DB부(138)는 표준절차(130) 후, 정비 이력 및 정비 작업의 결과가 기록된 워크 오더를 데이터 형태로 저장하고, 워크 오더를 신뢰도 관리부(500)에 제공하여 RCM 분석시 사용되도록 하고, 워크 오더를 위험도 관리부(600)에 제공하여 RBI 분석시 사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history DB unit 138 stores the work order in which the maintenance history and the result of the maintenance work are recorded in the form of data after the standard procedure 130, and provides the work order to the reliability management unit 500 to be used in the RCM analysis. , By providing a work order to the risk management unit 600 to be used in the RBI analysis.

예방점검정비 관리부(170)는 PDA(117)에 입력된 설비의 상태 정보, 운전관리부(200)의 운전정보 및 설비에 사용된 기름의 분석 결과를 종합하여, 예방점검의 결과를 판단하되, 설비의 상태 정보는 설비의 상태에 따라 정상 상태, 환경불량 상태, 초기/경미 상태, 지속/감시 상태 및 재발/감시 상태로 구분되어 PDA(117)에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ventive maintenance maintenance unit 170 determines the result of the preventive inspection by combining the state information of the equipment input to the PDA 117, the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operation management unit 200 and the analysis result of the oil used in the equipment, The state informa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put into the PDA 117 is divided into a normal state, environmental failure state, initial / minor state, continuous / monitoring state and recurrence / monitoring state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equipment.

운전관리부(200)는 설비가 이상 운전 상태인 경우에 정비 작업용 워크 오더를 생성하고, 정비 작업용 워크 오더를 정비관리부(100)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operation management unit 200 generates a work order for maintenance work when the facility is in an abnormal operation state, and provides the work management order for the maintenance work to the maintenance management unit 100.

운영관리부(400)는 정비관리부(100)로부터 이력 DB부(138)에 저장된 정보를 주기적으로 제공받고, 운전관리부(200)로부터 운전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받고, 성능관리부(300)로부터 호기별 열효율을 실시간으로 제공받고, ERP(900)로부터 전력 거래 정보 및 정비 작업 간접 비용에 대한 수익정보를 제공받아, 정비관리부(100), 운전관리부(200), 성능관리부(300) 및 ERP(900)와 연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operation management unit 400 is periodically provided with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history DB unit 138 from the maintenance management unit 100, receiving operation information from the operation management unit 200 in real time, and thermal efficiency per unit from the performance management unit 300 Is provided in real time, and receives the revenue information on the power transaction information and maintenance work indirect costs from the ERP (900), maintenance and management unit 100, operation management unit 200, performance management unit 300 and ERP (900) and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linked.

운영관리부(400)는 운영 지표(420)를 호기별로 운전 및 성능 지표(451), 신 뢰도 지표(452) 및 정비 관리 지표(453)로 구분하여 관리하고, 호기별로 집계된 호기별 운영 지표(450)를 사업소별로 집계하고, 사업소별로 집계된 사업소별 운영 지표(440)를 전사 관리 지표(430)로 집계하여, 계획 대비 발전소의 운영 실적을 실시간으로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operation management unit 400 divides and manages the operation indicator 420 into operation and performance indicators 451, reliability indicators 452, and maintenance management indicators 453 for each unit, and calculates the operation indicators for each unit for each unit. It is characterized by the management of the operating performance of the power plant compared to the plan by aggregating 450) by business establishment, and calculating the operating index 440 for each business establishment by company-wide management index 430.

운영관리부(400)에서 운전 및 성능 지표(451)는 운전관리부(200) 및 성능관리부(300)로부터 실시간으로 제공받은 정보를 통해 산출되며, 복수 개의 개별 지표들을 포함하고, 신뢰도 지표(452)는 신뢰도 관리부(500)로부터 제공받은 정보를 통해 산출되며, 복수 개의 개별 지표들로 이루어지며, 정비 관리 지표(453)는 정비관리부(100)로부터 제공받은 정보를 통해 산출되며, 복수 개의 개별 지표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operation and performance indicator 451 in the operation management unit 400 is calculated through information provided in real time from the operation management unit 200 and the performance management unit 300, and includes a plurality of individual indicators, and the reliability indicator 452 is Calculated through the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reliability management unit 500, it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indicators, maintenance management indicator 453 is calculated through the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maintenance management unit 100, and includes a plurality of individual indicators Characterized in that.

운영관리부(400)는 개별 지표에 대해 기간별로 계획 대비 운영 실적을 집계하고, 개별 지표에 대해 기준값을 미리 설정하여, 기준값을 기준으로 개별 지표에 대한 운영실적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operation management unit 400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operating performance of the individual indicators by the aggregate of the period for the plan, and by setting the reference value for each indicator in advance, based on the reference value to determine the performance of the individual indicators.

RCM 분석은 마모 진행형 설비에 대해 실행되고, RBI 분석은 열화 진행형 설비에 대해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RCM analysis is performed on the wear advanced equipment, and RBI analysis is performed on the degradation advanced equipment.

위험도 관리부(600)는 RBI 분석을 통해, 정비 작업에 대한 위험 비용을 계산하여, 위험 비용을 코스트-타임 분석부(700)로 제공하며, 백로그 워크 오더(631, backlog work order) 생성하여, 정비관리부(100)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risk management unit 600 calculates the risk cost for the maintenance work through the RBI analysis, provides the risk cost to the cost-time analysis unit 700, and generates a backlog work order 631.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to the maintenance management unit (100).

상태기반 발전소 운전 및 정비 관리 시스템은 ERP(900)와 연계되어 자재조회, 자재조달판정, 자재출고, 자재 지입 및 자재 환입 처리, 계약, 정산, 자산회계 관리를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tate-based power plant operation and maintenance management system is linked to the ERP (900), characterized in that the material inquiry, material procurement determination, material release, material input and material retrieval processing, contract, settlement, asset accounting management.

코스트-타임 분석부(700)는 신뢰도 관리부(500)로부터 RCM 분석에 따른 정비 비용을 제공받아, 시간의 경과에 따른 정비 비용 곡선(C1)을 생성하고, 위험도 관리부(600)로부터 RBI 분석에 따른 위험 비용을 제공받아, 시간의 경과에 따른 위험 비용 곡선(C2)을 생성하여, 정비 비용 곡선(C1) 및 위험 비용 곡선(C2)을 통해, 단위 설비별 코스트-타임 그래프에서 코스트-타임 곡선(C3)을 생성하고, 코스트-타임 곡선(C3)을 통해, 설비의 최적 정비 시점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st-time analysis unit 700 receives the maintenance cost according to the RCM analysis from the reliability management unit 500, generates a maintenance cost curve C1 over time, and generates the maintenance cost curve C1 according to the RBI analysis from the risk management unit 600. Given a risk cost, a risk cost curve (C2) can be generated over time, and a cost-time curve (C1) and a risk cost curve (C2) can be used to generate C3), and the optimum maintenance point of the facility is determined through the cost-time curve C3.

코스트-타임 분석부(700)는 단위 설비마다의 코스트-타임 곡선(C3)을 호기별 코스트-타임 그래프에 적용하여, 호기별 코스트-타임 그래프에서, 코스트-타임 곡선(C3)의 중첩 부위를 최적 정비 시점을 판단하고, 중첩 부위에 존재하는 설비를 정비 대상 설비라고 판단하고, 정비 대상 설비 및 정비 대상 설비에 대한 최적 정비 시점을 정비관리부(100)에 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st-time analysis unit 700 applies the cost-time curve C3 for each unit to the cost-time graph for each unit, and displays the overlapping portion of the cost-time curve C3 in the cost-time graph for each unit. It is characterized by determining the optimum maintenance time, determining the equipment existing in the overlapping site as the maintenance target equipment, and presenting the maintenance target equipment and the maintenance time for the maintenance target equipment to the maintenance management unit 100.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하기와 같은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has the following effects.

본 발명의 제 1 효과는, 정비관리부에서 정비 작업 절차를 표준화하여, 작업 종류에 관계없이 모든 정비 작업에 대해 동일한 절차로 정비 작업을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A first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aintain a maintenance work standardized by the maintenance management unit so that maintenance work can be managed by the same procedure for all maintenance work regardless of the work type.

본 발명의 제 2 효과는, ERP와 정보가 연계되어 상태기반 발전소 운전 및 정비 관리 시스템에서 정비 작업에 대한 원가 설계가 가능하고, 회계 정산 및 자산회계처리 기능을 가지도록 하는 것이다. The second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ERP and information are linked to enable cost design for maintenance work in a state-based power plant operation and maintenance management system, and to have accounting settlement and asset accounting processing functions.

본 발명의 제 3 효과는, PI 태그 번호에 의해 정보관리부와 운전관리부가 시스템적으로 연계되어, 운전관리부의 운전정보를 통해 정보관리부가 예방점검의 점검 결과 및 예방정비의 실적 관리를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The third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information management unit and the operation management unit are systematically linked by the PI tag number, so that the information management unit can perform the result management of the inspection result of preventive inspection and the preventive maintenance through the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operation management unit. It is.

본 발명의 제 4 효과는, 정비관리부에서 설비분류체계 및 코드분류체계를 표준화함으로써, 운전관리부, 성능관리부, 운영관리부, 신뢰도 관리부, 위험도 관리부 및 코스트-타임 분석부가 정비관리부와 유기적으로 연계되어 운영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The fourth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standardizing the equipment classification system and code classification system in the maintenance management unit, operating management unit, performance management unit, operation management unit, reliability management unit, risk management unit and cost-time analysis unit is organically linked with maintenance management unit To make it possible.

본 발명의 제 5 효과는, 설비분류체계가 표준화됨으로써, 별도의 정보 가공 없이도 정비관리부로부터 제공받은 정보를 통해 RCM 분석 및 RBI 분석을 실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The fifth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equipment classification system is standardized, so that RCM analysis and RBI analysis can be executed through the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maintenance management unit without additional information processing.

본 발명의 제 6 효과는, 코스트-타임 분석부를 통해, 설비에 대한 최적 정비 시점을 판단하여 정비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고, 설비의 손상 및 고장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A sixth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the cost-time analysis unit,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optimum maintenance time for the facility to minimize the maintenance cost, and to prevent damage and failure of the facility.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태기반 발전소 운전 및 정비 관리시스템 체계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비관리부의 개략적인 체계도이다. 도 3은 정비관리부의 정비관리기능에 대한 체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전관리부의 정비관리부 및 위험도 관리부에 대한 개략 적인 업무 흐름도이다. 도 5는 운전관리부의 운전관리기능에 대한 체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성능관리부에 대한 정비관리부, 운전관리부 및 운영관리부에 대한 개략적인 업무 흐름도이다. 도 7은 성능관리부의 성능관리기능에 대한 체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영관리부의 개략적인 체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뢰도 관리부의 정비관리부 및 운전관리부에 대한 개략적인 업무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험도 관리부의 정비관리부, 운전관리부 및 코스트-타임 분석부에 대한 개략적인 업무 흐름도이다. 도 11의 (a)는 단위 설비별 코스트-타임 그래프이고, 도 11의 (b)는 호기별 코스트-타임 그래프이다.1 is a system diagram of a state-based power plant operation and maintenance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chematic system diagram of a maintenance management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ystem diagram for the maintenance management function of the maintenance management unit. 4 is a schematic work flow diagram for a maintenance management unit and a risk management unit of an operation management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ystem diagram for a driving management function of the driving management unit. 6 is a schematic work flow diagram for the maintenance management unit, operation management unit and operation management unit for the performance management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system diagram for a performance management function of the performance management unit. 8 is a schematic system diagram of an operation management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schematic work flow diagram for the maintenance management unit and the operation management unit of the reliability management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schematic work flow diagram for the maintenance management unit, operation management unit and cost-time analysis unit of the risk management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1A is a cost-time graph for each unit, and FIG. 11B is a cost-time graph for each unit.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상태기반 발전소 운전 및 정비 관리 시스템은 정비관리부(100), 운전관리부(200), 성능관리부(300), 운영관리부(400), 신뢰도 관리부(500), 위험도 관리부(600) 및 코스트-타임 분석부(700)를 포함한다. As shown in Figure 1, the inventors state-based power plant operation and maintenance management system maintenance management unit 100, operation management unit 200, performance management unit 300, operation management unit 400, reliability management unit 500, risk degree The management unit 600 and the cost-time analysis unit 700 are included.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비관리부(100)는 설비마스터(121), 워크 오더부(120), 이력 DB부(138), 인수인계 일지부(140), 경상정비요청부(150), 고장정지관리부(160) 및 예방점검정비 관리부(170)를 포함한다. As shown in FIG. 2, the maintenance management unit 100 includes a facility master 121, a work order unit 120, a history DB unit 138, a takeover log unit 140, a current maintenance request unit 150, The failure stop management unit 160 and the preventive maintenance maintenance unit 170 is included.

정비관리부(100)는 워크 오더 및 표준절차(130)를 통해 정비 대상 설비에 대한 정비 작업(110)을 일괄적으로 관리한다. 정비관리부(100)가 관리하는 정비 작업(110)은 일반 공사(112), 간이 공사(113), 경상정비(114), 경상예방공사(115), 계획예방정비공사(116) 등 다양한 종류의 정비 작업(110)을 포함하며, 본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The maintenance manager 100 collectively manages the maintenance work 110 for the maintenance target equipment through the work order and the standard procedure 130. The maintenance work 110 managed by the maintenance management unit 100 includes various types of construction work such as general construction 112, simple construction 113, current maintenance 114, current prevention construction 115, and planned prevention maintenance construction 116. It includes maintenance work 110, and is not limited by this embodiment.

설비마스터(121)는 표준절차(130)의 요청 절차(131)에서 워크 오더부(120)와 연계되어, 설비마스터(121)에 저장된 정보를 워크 오더부(120)에 제공한다. 설비마스터(121)에는 설비의 위치 번호, 계통 번호 및 종류 번호가 저장된다. 또한, 설비마스터(121)에는 위치 번호, 계통 번호 및 종류 번호뿐 아니라, 설비의 상세 정보, 구성 자재, 이동 이력, 관련 도면, PI 태그 번호, 정비 이력 등도 저장된다. The facility master 121 is connected to the work order unit 120 in the request procedure 131 of the standard procedure 130, and provides the work order unit 120 with information stored in the facility master 121. The facility master 121 stores the location number, system number, and type number of the facility. In addition, the facility master 121 stores not only the location number, the system number, and the type number but also the detailed information of the facility, the constituent material, the movement history, the related drawings, the PI tag number, the maintenance history, and the like.

위치 번호는 설비의 위치를 나타내는 번호이다. 위치번호는 호기별로 단위 설비부터 호기까지 5 단계의 레벨로 구분된다. 예를 들어, 제 1 레벨은 호기의 위치, 제 2 레벨은 호기를 이루는 주 설비, 예컨대 보일러 설비, 터빈 설비, 발전기 설비, 전력 설비, 제어 전산 설비 등의 위치, 제 3 레벨은 주설비를 이루는 설비들, 예를 들어, 주설비가 보일러라면 보일러 본체, 용광로, 재열기, 공급 급수 라인, 재열기 라인 등의 위치, 제 4 레벨은 제 3 레벨의 설비들의 하위 설비들의 위치, 제 5 레벨은 하위 설비들을 이루는 단위 설비들의 위치를 나타낸다. 한편, 계통 번호는 설비의 계통을 나타내는 번호이고, 종류 번호는 설비의 종류를 나타내는 번호이다. The position number is a number indicating the position of the equipment. The location numbers are divided into five levels, from unit to unit. For example, the first level is the location of the exhalation, the second level is the location of the main equipment, such as boiler equipment, turbine equipment, generator equipment, power equipment, control computing equipment, etc. If the facilities are, for example, a boiler, the location of the boiler body, furnace, reheater, feed water supply line, reheater line, etc., the fourth level is the location of the subordinate facilities of the third level of equipment, the fifth level is Represents the location of the unit facilities that make up the subordinate facilities. In addition, a system number is a number which shows the system of a facility, and a kind number is a number which shows the kind of facility.

설비마스터(121)는 설비분류체계를 위치 번호, 계통 번호 및 종류 번호로 표준화한다. 설비마스터(121)의 설비분류체계는 신뢰도 관리부(500)에서 RCM 분석(510)시 사용되며, 위험도 관리부(600)에서 RBI 분석(610)시 사용된다. 이에 따라, 신뢰도 관리부(500) 및 위험도 관리부(600)는 별다른 정보 가공 없이도, 정비관리부(100)의 정보를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RCM이란, 신뢰도 중심 정비 관리(Reliability Centered Maintenance)를 말한다. RBI란 위험도 기반의 진단(Risk Based Inspection)을 말한다. The facility master 121 standardizes the facility classification system into a location number, a system number, and a type number. The facility classification system of the facility master 121 is used in the RCM analysis 510 in the reliability management unit 500 and is used in the RBI analysis 610 in the risk management unit 600. Accordingly, the reliability management unit 500 and the risk management unit 600 may use the information of the maintenance management unit 100 without any additional information processing. Here, RCM means reliability centered maintenance. RBI stands for Risk Based Inspection.

한편, 워크 오더부(120)는 표준절차(130)에 따라 워크 오더(work order)를 생성한다. 워크 오더는 정비 작업(110)에 대한 지시서로서, 설비의 위치 번호, 계통 번호, 종류 번호, PI 태그 번호, 노무비, 경비 요율, 설계표준서, 점검표준, 품질 및 안전 서류, 설비에 사용되는 기름의 종류, 설비의 상태, 설비의 품질 및 안전에 대한 허가 여부, 고장 현상, 고장 원인, 정비 작업, 예방점검, 예방정비 및 정비 시점 등이 기록된 지시서이다. 워크 오더를 통해 설비의 정비 이력이 확인된다. 표준절차(130)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Meanwhile, the work order unit 120 generates a work order according to the standard procedure 130. The work order is an instruction for maintenance work 110, which includes the location number, system number, type number, PI tag number, labor cost, expense rate, design standards, inspection standards, quality and safety documents, and It is a written record of the type, the condition of the facility, whether it is approved for the quality and safety of the facility, the status of the failure, the cause of the failure, maintenance work, preventive maintenance, preventive maintenance and maintenance. The work order confirms the maintenance history of the equipment. The standard procedure 130 will be described later.

워크 오더부(120)에는 노무비, 경비 요율, 설계표준서 및 점검표준 등의 설비의 기준정보(123)가 저장된다. 노무비(노무 품셈)는 피고용자의 노무에 대한 대가 또는 노무와 관련하여 지급되는 일체의 경비를 말하는 것으로서, 노무비(노무 품셈)는 워크 오더부(120)에 각각의 설비에 대해 작업 종류별 및/또는 직종 종류별로 저장된다. 경비 요율은 공사 종류별, 공사 기간별 및/또는 공사 금액별로 정비 작업시 소요되는 경비의 비율이다. 일반적으로 경비 요율은 공사 종류별 경비 요율, 공사 기간별 경비 요율 및/또는 공사 금액별 경비 요율의 평균값이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설계 표준서는 각각의 설비에 대해 표준화된 작업 설계안이다. 계획예방정비공사(116)과 같이 표준화된 정비 작업 또는 경상정비작업(114)이 설계 표준서에 따라 진행된다. The work order unit 120 stores reference information 123 of facilities such as labor costs, expense rates, design standards, and inspection standards. Labor cost (labour labor) refers to the employee's wages or any expenses paid in connection with labor, and labor cost (labour labor) refers to the work order unit 120 for each type of work and / or occupation. Stored by type. Expense rates are the percentage of expenses incurred by maintenance work by construction type, construction period and / or construction cost. In general, the expense rate is an average value of expense rate by construction type, expense rate by construction period, and / or expense rate by construction amount,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design standard, on the other hand, is a standardized work design for each installation. Standardized maintenance work or routine maintenance work 114, such as planned preventive maintenance work 116, is carried out in accordance with design standards.

또한, 워크 오더부(120)에는 품질 및 안전 서류(125)가 저장된다. 품질 및 안전 서류(125)는 레드 태그, 안전작업지시서, 화기작업허가서 및 밀폐공간작업허 가서 등이다. 레드 태그는 조작 금지표이다. In addition, the work order unit 120 stores quality and safety documents 125. The quality and safety documents 125 are red tags, safety work orders, firearms permits and confined space work permits. The red tag is a manipulation prohibition table.

워크 오더부(120)는 설계 기능(122) 및 기술 정산 기능(129)을 가진다. 설계 기능(122)으로는 작업 종류별 및/또는 직종 종류별 노무 품셈에 의한 투입 인력 설계 기능, 공사 종류별, 공사 기간별 및/또는 공사 금액별 경비 요율에 따른 소요경비 설계 기능 및 예산 종류별 자재 설계 기능 등이다. 설계 기능(122)은 기존의 ERP에서 구현하지 못했던 것으로서, 워크 오더부(120)는 설계 기능(122) 및 기준 정보(123)를 통해 정비 대상 설비에 대해 완전한 원가 설계가 가능하다. 한편, 기술 정산 기능(129)은 정비 작업 완료 후의 설비의 점검표, 사진, 교정값, 및 레드 태그의 설치 위치 및 개수 등을 기록하는 것이다.The work order unit 120 has a design function 122 and a technical settlement function 129. The design function 122 includes input manpower design function by labor production by work type and / or job type, required expense design function according to expense rate by construction type, construction period and / or construction amount, and material design function by budget type. The design function 122 is not implemented in the existing ERP, and the work order unit 120 may design a complete cost for the maintenance target facility through the design function 122 and the reference information 123. On the other hand, the technical settlement function 129 records the checklist, photographs, calibration values, installation positions and the number of red tags of the equipment after the maintenance work is completed.

한편, 표준절차(130)는 정비 작업의 종류에 따라 서로 상이한 기존의 작업 절차를 하나의 절차로 표준화한 것이다. 표준절차(130)는 요청 절차(131), 접수 절차(132), 설계 절차(133), 승인 절차(134), 허가 절차(135), 완료 절차(136) 및 마감 절차(137)가 순차로 진행된다. On the other hand, the standard procedure 130 is to standardize different existing working procedures according to the type of maintenance work as a single procedure. The standard procedure 130 includes a request procedure (131), an acceptance procedure (132), a design procedure (133), an approval procedure (134), an approval procedure (135), a completion procedure (136), and a closing procedure (137). Proceed.

요청 절차(131)에서, 워크 오더부(120)는 설비마스터(121)에 연계되어, 설비마스터(121)로부터 정비 대상 설비에 대한 정보, 즉 위치 번호, 계통 번호 및 종류 번호를 제공받는다. 또한, 워크 오더부(120)는 PDA(117)에 연계되어, PDA(117)로부터 정비 대상 설비의 증상을 제공받는다.In the request procedure 131, the work order unit 120 is connected to the facility master 121 and receives information about the facility to be maintained from the facility master 121, that is, a location number, a system number, and a type number. In addition, the work order unit 120 is connected to the PDA 117, receives the symptoms of the maintenance target equipment from the PDA (117).

설계 절차(133)에서, 워크 오더부(120)는 기준 정보(123)를 통해 정비 대상 설비에 대해 정비 작업시 투입되는 투입 인력 및 소요경비에 대한 작업 설계안을 생성한다. 워크 오더부(120)는 ERP(900)에 연계되어, ERP(900)로부터 자재 종류, 자재 수량, 재고, 규격 및 자재별 자재 비용 등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는다. 이에 따라, 워크 오더부(120)는 설계 절차(133)에서 하나의 워크 오더에 대해 예산별로 복수 개의 자재 설계가 가능하다. In the design procedure 133, the work order unit 120 generates a work design proposal for the input manpower and the required expenses input during the maintenance work for the maintenance target equipment through the reference information 123. The work order unit 120 is connected to the ERP 900 and receives information on material type, material quantity, inventory, specification, material cost per material, and the like from the ERP 900. Accordingly, the work order unit 120 may design a plurality of materials per budget for one work order in the design procedure 133.

승인 절차(134)에서, 표 1 및 표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워크 오더부(120)에는 설비에 대한 품질 및 안전 등급에 따라 결재 등급이 구분되어, 정비 작업(110)이 승인된다. 표 1 및 표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품질 및 안전 등급은 경미한 정비 작업에서부터 중대한 정비 작업까지 4 단계로 구분된다. 품질 및 안전 등급에 따른 정비 작업(110)의 승인은 정비 작업(110)의 경중에 따라 결재 권한이 차별화된다. 이에 따라, 워크 오더부(120)는 경미한 정비 작업(110)에 대해서는 결재 단계가 간략화되어 행정 소요 시간이 최소화되는 구조를 가진다. 또한, 워크 오더부(120)는 중대한 정비 작업(110)에 대해서는 책임 권한이 강화된 구조를 가진다. 정비 작업(110)에 대한 계약 의뢰는 승인 절차(134) 후에 ERP(900)을 통해 진행된다. In the approval procedure 134, as shown in Table 1 and Table 2, the work order unit 120 is divided into a payment grade according to the quality and safety grade for the equipment, the maintenance work 110 is approved. As shown in Tables 1 and 2, the quality and safety ratings are divided into four levels, from minor to critical maintenance. Approval of the maintenance work 110 according to the quality and safety grade is different from the payment authority according to the weight of the maintenance work (110). Accordingly, the work order unit 120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payment step is simplified for the minor maintenance work 110 and the administration time is minimized. In addition, the work order unit 120 has a structure in which responsibility for the serious maintenance work 110 is strengthened. Contract request for maintenance work 110 proceeds through ERP 900 after approval procedure 134.

[표 1] 품질 등급별 승인 및 허가 단계[Table 1] Approval and Authorization Stages by Quality Class

등급 분류Classification 등급별 적용기준Application criteria by grade 승인Acknowledgment 허가permission 설계 검토자Design reviewer 품질 검토자Quality reviewer 작업 허가자Work permit R1등급R1 grade 발전정지관련 설비, 계통 또는 자재 관련 작업Plant-related facilities, systems or materials related work 설비부서
팀장
Equipment Department
Team Leader
품질안전
부서장
Quality safety
Department head
발전소장Plant manager
R2 등급R2 rating 부하감발관련 설비, 계통 또는 자재 관련 작업Load related facility, system or material related work 설비부서
과장
Equipment Department
Exaggeration
품질
과장
quality
Exaggeration
발전소장Plant manager
R3 등급R3 rating 사업소별 중점관리 설비, 취약설비 및 레드 태그 발행 정비 작업Maintenance work for issuance of key management facilities, weak facilities and red tags 설비부서 과장Manager of Equipment Department S 등급S grade R1 내지 R3 이외의 설비, 계통 또는 자재교체 관련 정비 작업Maintenance work related to equipment, system or material replacement other than R1 to R3 정비 작업 설계자Maintenance work designer

[표 2] 안전 등급별 승인 및 허가 단계[Table 2] Approval and Authorization Stages by Safety Level

등급 분류Classification 등급별 적용 내용Application by Grade 승인Acknowledgment 허가permission 설계
검토자
design
Reviewer
안전
검토자
safety
Reviewer
작업
허가자
work
licenser
S1등급S1 grade 설비사고 가능성이 높고 심각한 인명사고 가능성이 있는 작업Work that is likely to cause equipment accidents 설비부서
팀장
Equipment Department
Team Leader
품질안전
부서장
Quality safety
Department head
발전소장Plant manager
S2 등급S2 rating 설비사고 가능성이 높고 경미한 인명사고 가능성이 있는 작업Work that has a high probability of equipment accidents and a minor casualty accident 설비부서
과장
Equipment Department
Exaggeration
안전
과장
safety
Exaggeration
발전소장Plant manager
S3 등급S3 rating 경미한 설비 사고, 인명사고 및 레드 태그 발행 정비 작업Minor Facility Accidents, Life and Red Tag Issuance Maintenance Work 설비부서 과장Manager of Equipment Department S4 등급S4 rating S1 내지 S3 이외의 작업Operations other than S1 to S3 정비 작업 설계자Maintenance work designer

허가 절차(135)에서, 품질 안전 서류(125)는 워크 오더부(120)에서 설비에 대한 품질 및 안전 등급에 따라 결재 단계가 구분되어 처리된다. 허가 절차(135)에서의 품질 및 안전 등급은 승인 절차(134)에서의 품질 및 안전 등급과 동일하다. In the permitting process 135, the quality safety document 125 is processed in the payment step according to the quality and safety grade for the facility in the work order unit 120. The quality and safety ratings in the approval procedure 135 are the same as the quality and safety ratings in the approval procedure 134.

완료 절차(136)에서, 워크 오더부(120)에는 정비 대상 설비에 대한 고장 원인, 고장 현상, 정비 작업(110) 결과 및 예방 업무에 대해 코드화(128)되어 입력된다. 완료 절차(136)에서 워크 오더부(120)에 입력된 정보는 후술할 바와 같이, 별도의 정보 가공 없이도, RCM 분석시 신뢰도 관리부(500)에서 사용되고, RBI 분석시 위험도 관리부(600)에서 사용된다. In the completion procedure 136, the work order unit 120 is coded 128 is input to the cause of the failure, failure phenomenon, maintenance work 110 results and preventive work for the maintenance target equipment. The information input to the work order unit 120 in the completion procedure 136 is used by the reliability management unit 500 during the RCM analysis, and used by the risk management unit 600 during the RBI analysis, without additional information processing, as will be described later. .

또한, 완료 절차(136)에서, 정비 대상 설비에 사용되는 기름의 종류, 예컨대 윤활유, 절연유 또는 작동유가 입력된다. 한편, 기름에 대한 분석값은 단위 설비별로 워크 오더부(120)에 입력되어, 추세선 분석이 가능하다. 기름에 대한 분석값은 예방점검정비 관리부(170)에서 분석된 것이다.In addition, in the completion procedure 136, the type of oil used in the maintenance target equipment, such as lubricating oil, insulating oil or hydraulic oil, is input. On the other hand, the analysis value for the oil is input to the work order unit 120 for each unit, it is possible to analyze the trend line. The analysis value for the oil is analyzed in the preventive maintenance maintenance unit 170.

완료 절차(136) 후, 워크 오더부(120)는 ERP(900)에 연계되어, 정비 대상 설비에 대해 회계정산 및 자산회계처리를 할 수 있다. 또한, 워크 오더부(120)에는 설비 부위별 각종 검사 정보 및 검사 결과 등이 데이터 형태로 저장되며, 이는 향후 정비 이력 분석시 활용된다. After the completion procedure 136, the work order unit 120 may be linked to the ERP (900) to perform accounting settlement and asset accounting for the maintenance target equipment. In addition, the work order unit 120 stores various inspection information and inspection results for each facility portion in the form of data, which is used for future maintenance history analysis.

마감 절차(137) 후, 워크 오더부(120)는 정비 대상 설비의 정비 이력 및 상세 정보가 기록된 워크 오더를 생성한다. 마감 절차(137)를 거친 워크 오더는 이력 DB부(138)에 저장된다. After the closing procedure 137, the work order unit 120 generates a work order in which the maintenance history and detailed information of the maintenance target equipment are recorded. The work orde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closing procedure 137 is stored in the history DB unit 138.

한편, 이력 DB부(138)에는 워크 오더부(120)에 연계되어 표준절차(130) 종료 후 정비 대상 설비에 대한 정비 이력이 기록된 워크 오더가 저장된다. 이력 DB부(138)에 저장된 워크 오더는 신뢰도 관리부(500)에 제공되어 RCM 분석(510)시 사용되고, 위험도 관리부(600)에 제공되어 RBI 분석시 사용된다. On the other hand, the history DB unit 138 is stored in the work order recorded in the maintenance history for the maintenance target equipment after the standard procedure 130 is linked to the work order unit 120. The work order stored in the history DB unit 138 is provided to the reliability management unit 500 for use in the RCM analysis 510, and is provided to the risk management unit 600 for use in the RBI analysis.

인수인계 일지부(140)는 레드 태그의 관리, 가스 및 화재 관리가 가능하고, 운전원에 의한 설비에 대한 예방점검이 가능하다. The takeover log 140 is capable of managing the red tag, gas and fire management, and preventive inspection of the facility by the operator.

경상정비요청부(150)에 의해, 경상 정비가 본사, 기술전문팀, 운전원, 설비 부서 또는 정비 회사 등에 요청된다. The minor maintenance request unit 150 requests the minor maintenance to the head office, a technical expert team, an operator, a facility department, or a maintenance company.

고장정지 관리부(160)는 동일 사고의 재발 및 유사 사고의 발생 방지를 위해 유사고장방지계획(111)을 수립하고 이를 관리한다. 고장정지 관리부(160)는 설비에 대한 사고 또는 고장의 발생 순서에 따라 시계열적 분석을 시행한다. 이후, 시계열적 분석 단계마다, HOPE 분석을 시행하여 유사고장방지계획(111)을 수립한다. 여기서, HOPE 분석이란, 사람(Human), 조직(Organization), 절차(Procedure) 및 설비(Equipment)별로 정비 대상 설비의 근본적인 고장 원인을 분석하는 방법이다. 고장정지 관리부(160)는 유사고장방지계획(111)이 수립되면, 유사고장방지계획(111) 을 워크 오더부(120)에 제공한다. 유사고장방지계획(111)은 워크 오더부(120)에서 표준절차(130)에 따라 실행되며, 표준절차의 마감(137) 후, 이력 DB부(138)에 저장된다. 이력 DB부(138)에 저장된 워크 오더를 통해, 별도의 보고서 없이도, 유사고장방지계획(111)의 실행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The failure stop management unit 160 establishes and manages a similar failure prevention plan 111 to prevent recurrence of the same accident and occurrence of a similar accident. The failure stop management unit 160 performs time series analysis according to the occurrence sequence of an accident or a failure of the facility. Thereafter, at each time-series analysis step, HOPE analysis is performed to establish a similar failure prevention plan 111. Here, the HOPE analysis is a method of analyzing the root cause of the failure of the equipment to be maintained by human, organization, procedure, and equipment. The failure stop management unit 160 provides a similar failure prevention plan 111 to the work order unit 120 when the similar failure prevention plan 111 is established. Similar failure prevention plan 111 is executed in accordance with the standard procedure 130 in the work order unit 120, and after the closing of the standard procedure 137, is stored in the history DB unit 138. Through the work order stored in the history DB unit 138, it is possible to check whether or not the similar failure prevention plan 111 is executed without a separate report.

예방점검정비 관리부(170)는 신뢰도 관리부(500)에서 제시한 경상예방업무(511)를 경상예방공사(115)를 위한 대기 작업의 형태로 관리하고, 위험도 관리부(600)에서 제시한 계획예방업무(614)를 계획예방정비공사(116)를 위한 대기 작업의 형태로 관리한다. The preventive maintenance maintenance unit 170 manages the current prevention task 511 suggested by the reliability management unit 500 in the form of waiting work for the current prevention project 115, and the planned prevention task suggested by the risk management unit 600. 614 is managed in the form of waiting work for the planned preventive maintenance work 116.

예방점검정비 관리부(170)는 예방점검정비마스터를 포함한다. 예방점검정비마스터에는, RCM 분석을 통해 얻어진 정비 주기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임의의 정비 주기로 이루어진 예방정비주기, 및 RCM 분석을 통해 얻어진 점검 주기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임의의 점검 주기로 이루어진 예방점검주기가 설비별로 저장된다. 또한, 예방점검정비마스터에는 예방점검주기 및 예방정비주기에 대한 시작점이 설정된다. 이에 따라, 예방점검 및 예방정비 업무는 시작점을 기준으로 하여 설비별로 예방점검정비마스터에 설정된 예방점검주기 및 예방정비주기에 따라 진행된다. Preventive maintenance maintenance unit 170 includes a preventive maintenance maintenance master. The preventive maintenance maintenance master has a preventive maintenance cycle consisting of a maintenance cycle obtained through the RCM analysis and an arbitrary maintenance cycle input by the user, and an inspection cycle obtained through the RCM analysis and an arbitrary maintenance cycle input by the user. Are stored per plant. In addition, a preventive maintenance master is set a starting point for the preventive maintenance cycle and preventive maintenance cycle. Accordingly, the preventive maintenance and preventive maintenance work is performed according to the preventive maintenance cycle and the preventive maintenance cycle set in the preventive maintenance maintenance master for each facility based on the starting point.

또한, 예방점검정비 관리부(170)는 신뢰도 관리부(500) 및 위험도 관리부(600)에서 제공받은 정보를 통해, 예방점검 및 예방정비에 대한 정비 계획을 수립한다. 예방점검정비 관리부(170)에서 수립된 계획은 이력 DB부(138)에 저장된다. In addition, the preventive maintenance maintenance unit 170 establishes a maintenance plan for preventive maintenance and preventive maintenance, through the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reliability management unit 500 and the risk management unit 600. The plan established by the preventive maintenance maintenance unit 170 is stored in the history DB unit 138.

예방점검정비 관리부(170)는 미리 설정된 예방점검 및 예방정비 주기에 따라, 운전관리부(200)로부터 운전정보를 제공받는다. 예방점검정비 관리부(170)는 예방점검관리부(171) 및 예방정비관리부(172)를 포함한다. The preventive maintenance maintenance unit 170 receives operation information from the operation management unit 200 according to a preset preventive maintenance and preventive maintenance cycle. Preventive maintenance maintenance unit 170 includes a preventive maintenance management unit 171 and preventive maintenance management unit 172.

예방점검관리부(171)는 신뢰도 관리부(500)로부터 제공받은 예방점검의 종류 및 주기를 통해 예방점검계획을 생성하고 PDA(117) 즉, 개인정보단말기로 예방점검계획을 제공한다. 예방점검관리부(171)는 추세선 분석을 통해 예방점검의 결과를 관리한다. 예방점검관리부(171)는 신뢰도 관리부(500)의 RCM 분석(510) 결과에 의한 경상예방업무(511)를 경상예방공사(115)를 위한 대기 작업의 형태로 관리한다. 여기서, 경상예방업무(511)는 경상예방점검 및 경상예방정비이다. The preventive check management unit 171 generates a preventive check plan through the type and cycle of the preventive check provided from the reliability management unit 500 and provides the preventive check plan to the PDA 117, that is, the personal information terminal. The preventive check management unit 171 manages the results of the preventive check through trend line analysis. The preventive inspection management unit 171 manages the current prevention task 511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RCM analysis 510 of the reliability management unit 500 in the form of waiting work for the current prevention construction 115. Here, the current prevention service 511 is a current prevention check and a current prevention maintenance.

한편, PDA(117)는 정비 대상 설비에 대해 설비 상태를 기록하고, 기록한 정보를 예방점검관리부(171)에 제공한다. 예방점검시, 예방점검관리부(171)에는 PDA(117)에 입력된 설비의 상태 정보, 운전관리부(200)의 운전정보 및 설비에 사용된 기름의 분석 결과를 종합한 예방점검의 결과가 저장된다. 예방점검은 설비에 대한 시험값 및 운전값을 기록하는 것이다. 설비의 상태 정보는 설비의 상태에 따라 표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상 상태, 환경불량 상태, 초기/경미 상태, 지속/감시 상태 및 재발/감시 상태로 구분된다. 추세선 분석을 통한 예방점검결과는 예방점검관리부(171)에서 조회가능하다. On the other hand, the PDA 117 records the state of the facility for the maintenance target facility, and provides the recorded information to the preventive inspection management unit 171. During the preventive check, the preventive check management unit 171 stores the result of the preventive check which combines the status information of the facility input to the PDA 117, the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operation management unit 200, and the analysis result of the oil used in the facility. . Preventive maintenance is the recording of test and operating values for a facility. The state information of the facility is divided into normal state, environmental failure state, initial / minor state, sustained / monitored state and recurrence / monitored state as shown in Table 3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facility. The preventive check result through the trend line analysis can be viewed in the preventive check management unit 171.

예방정비관리부(172)는 신뢰도 관리부(500)로부터 제공받은 예방정비의 종류 및 주기를 통해 예방정비계획을 생성하고, 예방정비계획을 백로그 워크 오더(631)의 형태로 워크 오더부(120)에 제공한다. 예방정비관리부(172)는 예방정비실적을 관리한다. 예방정비관리부(172)는 위험도 관리부(600)의 RBI 분석 결과에 의한 계획예방업무(614)를 계획예방정비공사(116)를 위한 대기 작업의 형태로 관리한다. 계획예방업무(614)는 계획예방점검 및 계획예방정비이다. 한편, 예방정비관리부(172)로부터 예방정비계획을 제공받은 워크 오더부(120)는 정비 대상 설비에 대한 예방정비용 워크 오더를 생성하고, 예방정비용 워크 오더를 정비 업체 및 운전원의 PDA(117)로 제공한다. 정비업체에 의해, 정비 대상 설비에 대한 예상정비 결과(136) 및 후속 작업 결과(136)가 이력 DB부(138)에 입력된다. Preventive maintenance management unit 172 generates a preventive maintenance plan through the type and cycle of preventive maintenance received from the reliability management unit 500, and preventive maintenance plan in the form of backlog work order 631 work order unit 120 To provide. Preventive maintenance management unit 172 manages preventive maintenance performance. The preventive maintenance management unit 172 manages the plan prevention task 614 according to the RBI analysis result of the risk management unit 600 in the form of waiting work for the plan preventive maintenance work 116. The planning preventive service 614 is planned preventive maintenance and planned preventive maintenance. On the other hand, the work order unit 120 provided with the preventive maintenance plan from the preventive maintenance management unit 172 generates a preventive maintenance work order for the maintenance target equipment, and the preventive maintenance work order PDA (117) of the maintenance company and the operator ) By the maintenance company, the expected maintenance result 136 and subsequent work results 136 for the maintenance target equipment are input to the history DB unit 138.

예방점검정비 관리부(170)는 RCM 및 RBI 관리 대상설비가 아니더라도 별도로 대상을 추가하여 종합계획을 수립 및 관리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Preventive maintenance maintenance unit 170 is to be able to establish and manage a comprehensive plan by adding a target separately, even if the RCM and RBI management target equipment.

[표 3] 설비 상태에 따른 위험 등급 분류[Table 3] Classification of Hazards by Equipment Condition

위험단계Risk level 등급Rating 상태condition 상세내용Detail
1 단계

Stage 1

A

A

정상

normal
◎설비 정상 상태
◎정비 작업(110) 후 설비 운전 및 운영 상태
◎ Equipment normal condition
◎ Facility operation and operation status after maintenance work (110)


2 단계


2 steps


B


B


환경 불량


Environmental
◎이상은 없으나 운전 환경이 불량할 경우
◎청소 및 주변 정리 정돈 불량
◎먼지, 수분, 기름 등의 이물질에 의한 오염
◎주변 설비에 의한 오염 파급 영향 우려시
◎ No problem but bad driving environment
◎ cleaning and cleaning
◎ Contamination by foreign substances such as dust, water and oil
◎ If you are concerned about the impact of pollution by surrounding facilities

3 단계

3 steps

C

C

초기/경미

Initial / Minor
◎정비 작업(110) 후 초기 발생 사항
◎운전원 현장 조치 가능사항
◎정비업체 예방점검 중 간단 조치 사항
◎ Initial matters after maintenance work (110)
◎ Operator's Field Action
◎ Simple measures during maintenance inspection


4 단계


4 steps


D


D


지속/감시


Sustain / Watch
◎일정 수준의 이상 상태가 계속되는 경우로써
-현장 조치가 불가능하고
-지속적인 감시가 필요하나
-정비 요청은 불필요한 상태
*위의 이상 상태가 심할 경우 작업 요청 처리
◎ When the abnormal state of a certain level continues
-On-site action is impossible
-I need constant monitoring
Maintenance request is unnecessary
* Working with work requests when the above abnormalities are severe


5 단계


5 steps


E


E


재발/감시


Recurrence / Monitor
◎정비 작업(110) 후 이상 상태가 재발한 경우로써
-현장조치가 불가능하고
-일정 수준의 이상상태 감시가 필요하나
-재작업 요청이 불필요한 상태
◎ When the abnormal state recurs after the maintenance work (110)
-On-site action is impossible
-I need some level of abnormality monitoring
-No rework requests needed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비관리부(100)의 정비 관리 기능으로는 설비의 위치, 계통 및 종류, 자재, 설비 제원, 도면 정보, 품셈, 노무비, 경비, 계 획예방정비(O/H, overhaul) 작업설계 표준, 경상정비작업 표준, 설비 및 작업 등급, 품질 및 안전 등급, 및 실시간 운전정보 연계에 따른 정보 관리 기능이 있다. 또한 정비관리부(100)는 경상정비작업, 계획예방정비공사, 일반 공사, 간이 공사, 용역, 법정 검사, 레드 태그, 작업 허가, 안전 허가, 화기 사용, 승인 및 허가의 순서도, ERP(900)에 연계된 설계, 계약 및 정산, 자재 청구, 출고 및 환입 등의 정비 관리 기능을 가진다. 정비관리부(100)는 기기 정비 이력 관리, 자산회계관리, 고온 부품, 전자 카드, 설비 구성 자재, RCM, RBI, 고장정지 관리, HOPE 분석을 통한 유사고장방지를 위한 대책 수립, 공기구 및 계측기 등에 대한 설비 관리 기능이 있다. 아울러, 정비관리부(100)는 운영관리부와 연계되어 운영관리부로부터 발전소 운영 지표를 제공받아, 정비 작업 운영 현황, 정비/설비 통계 분석, 운전원의 인수 인계, 통계 분석, 일일정비 회의, 발전계획/실적 관리 등을 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 3, the maintenance management function of the maintenance management unit 100, the location, system and type of equipment, materials, equipment specifications, drawing information, fabrication, labor costs, expenses, planned preventive maintenance (O / H, overhaul) There is information management function according to work design standard, light maintenance work standard, facility and work grade, quality and safety grade, and real-time operation information linkage. In addition, the maintenance and management unit 100 is a normal maintenance work, preventive maintenance work, general construction, simple construction, services, forensic inspection, red tag, work permit, safety permit, firearms use, approval and permission flow chart, ERP (900) It has maintenance and management functions such as linked design, contract and settlement, material billing, goods issue and return. Maintenance management unit 100 is for equipment maintenance history management, asset accounting management, high temperature components, electronic cards, equipment components, RCM, RBI, failure stop management, HOPE analysis to establish measures to prevent similar failures, air tools and measuring instruments There is facility management function. In addition, the maintenance management unit 100 receives the power plant operation indicators from the operation management unit in connection with the operation management unit, maintenance work operation status, maintenance / facility statistical analysis, operator takeover, statistical analysis, daily maintenance meeting, development plan / performance Management and so on.

한편, 정비관리부(100)는 ERP(900)와 연계된다. 표준절차(130)의 마감 절차(137) 후 워크 오더가 마감되면, 정비관리부(100)는 각 레벨, 예컨대 제 1 내지 제 5 레벨에 대한 공사 비용에 대한 정보를 ERP(900)로 제공한다. 따라서, ERP(900)에서 공사 비용에 대한 자산 회계 관리가 이루어지고, 정비관리부(100)는 ERP(900)에서 제공받은 정보를 통해 원가 설계가 가능하다. On the other hand, maintenance management unit 100 is associated with the ERP (900). When the work order is closed after the closing procedure 137 of the standard procedure 130, the maintenance manager 100 provides the ERP 900 with information on the construction cost for each level, for example, the first to fifth levels. Therefore, the asset accounting management for the construction cost is made in the ERP (900), the maintenance management unit 100 can be designed cost through the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ERP (900).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관리부(200)는 발전소 제어설비 시스템(270)으로부터 호기부터 단위 설비까지의 설비의 운전정보, 예컨대 설비 단위별 온도, 압력, 진동, 회전수, 기동횟수 및 운전 시간 등에 대한 운전정보(200)를 실시간으로 제공받는다. As shown in Figure 4, the operation management unit 200 is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equipment from the power plant control equipment system 270 to the unit to the unit, for example, unit temperature, pressure, vibration, rotational speed, number of times and operation of each unit Operation information about the time 200 is provided in real time.

운전관리부(200)에 등록된 PI 태그 번호가 설비마스터(121)에 등록됨으로써, 운전관리부(200)는 설비마스터(121)와 연계된다. 이에 따라, 운전관리부(200)는 정비 대상 설비에 대한 상세 운전정보(210)를 설비마스터(121)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다. 운전관리부(200)는 상세 운전정보(210)를 통해 정비 대상 설비의 정비 이력, 정비 대상 설비의 상세 정보, 도면, 사진 및 절차를 조회할 수 있다. 또한, 운전관리부(200)는 정비 대상 설비가 이상 운전 상태라면, 정비 대상 설비에 대한 워크 오더(W/O)를 워크 오더부(120)를 통하지 않고 직접 생성한 후, 워크 오더(W/O)를 정비관리부(100)에 제공한다. Since the PI tag number registered in the operation management unit 200 is registered in the facility master 121, the operation management unit 200 is associated with the facility master 121. Accordingly, the operation management unit 200 may be provided with detailed operation information 210 for the maintenance target equipment from the facility master 121. The operation manager 200 may query the maintenance history of the maintenance target equipment, detailed information of the maintenance target equipment, drawings, photos, and procedures through the detailed operation information 210. In addition, the operation management unit 200 generates a work order (W / O) for the maintenance target equipment directly through the work order unit 120, if the maintenance target equipment is in abnormal operation state, the work order (W / O) ) Is provided to the maintenance management unit (100).

운전관리부(200)는 발전소 제어설비 시스템(270)으로부터 단위 설비별로 실시간형 운전정보(220)를 실시간으로 제공받는다. 실시간형 운전정보(220)로는 정비 대상 설비의 온도, 압력, 진동, 회전수, 기동횟수, 운전 시간 등이다. 운전관리부(200)는 정비 대상 설비의 실시간형 운전정보(220)를 통해, 단위 설비별로 설비에 대한 손상 정보, 예컨대 터빈 케이싱, 로터, 밸브, 보일러 튜브, 헤더, 보일러 배관 등에 대한 손상 정보를 각각 분석하여, 운전 상태를 분석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인 상태기반 발전소 운전 및 정비 관리 시스템은 운전관리부(200)를 통해 단위 설비별로 실시간 예방 점검을 통한 예측 정비가 가능하다. The driving management unit 200 receives real-time driving information 220 for each unit from the power plant control facility system 270 in real time. The real time type operation information 220 includes temperature, pressure, vibration, rotation speed, start frequency, operation time, etc. of the maintenance target equipment. Operation management unit 200 through the real-time operation information 220 of the maintenance target equipment, the damage information for the facility for each unit, for example, damage information for the turbine casing, rotor, valve, boiler tube, header, boiler pipe, etc., respectively Analyze the operating condition.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ors state-based power plant operation and maintenance management system is capable of predictive maintenance through a real-time preventive check for each unit through the operation management unit 200.

운전관리부(200)는 운전정보를 정비관리부(100)에 설정된 예방점검 주기에 따라 자동으로 또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예방점검정비 관리부(170)로 제공한다. 운전정보는 정비관리부(100)에 등록된 PI 태그 번호를 통해 실시간으로 예방점검정비 관리부(170)로 제공된다. 운전관리부(200)는 PDA(117)에 입력된 정보와 운전정 보를 추세선 분석하여, 설비의 상태를 판단한다. The driving management unit 200 provides the driving information to the preventive maintenance maintenance unit 170 automatically or at the request of the user according to the preventive maintenance cycle set in the maintenance management unit 100. The operation information is provided to the preventive maintenance maintenance unit 170 in real time through the PI tag number registered in the maintenance management unit 100. The operation manager 200 analyzes the information and the driving information inputted to the PDA 117 in a trend line to determine the state of the facility.

한편, 운전관리부(200)는 오프라인 RBI 분석용 운전정보(220) 및 오프라인 RBI 분석용 손상 정보(230)를 위험도 관리부(600)에 제공한다. 정비 대상 설비의 손상 정보(230) 및 운전정보(220)를 통해, 위험도 관리부(600)는 실시간으로 정비 대상 설비의 잔존 수명 및 계획예방정비시점을 계산하고 온라인 및 오프라인 RBI 분석을 실행할 수 있다. 한편, 발전소의 제어 시스템으로는 옥외 독립형 설비, 이동형 설비 및 소규모 설비의 프로그램 가능형 제어기(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및 터빈, 보일러 및 보조 기기의 제어 설비 시스템 등이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driving management unit 200 provides the offline RBI analysis operation information 220 and the offline RBI analysis damage information 230 to the risk management unit 600. Through the damage information 230 and the operation information 220 of the maintenance target facility, the risk management unit 600 may calculate the remaining life and the planned preventive maintenance point of the maintenance target facility in real time, and execute online and offline RBI analysis. On the other hand, control systems of power plants include programmable logic controllers of outdoor stand-alone equipment, mobile equipment, and small equipment, and control equipment systems of turbines, boilers, and auxiliary equipment.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관리부(200)는 운전정보기능, 운전지원기능, 운전분석기능, 실적관리기능 및 경보관리기능을 가진다. 운전정보기능은 발전소 제어설비 시스템으로부터 설비의 운전정보(디지털 신호 및/또는 아날로그 신호)를 실시간으로 제공받아 막대 그래프 및/또는 추세선 그래프를 통해 표시하여 단위 설비별로 또는 계통별로 운전 상태 변화를 감시한다. 운전관리부(200)는 운전정보기능을 통해 설비의 이상 상태를 조기에 발견하고, 동시에 정비 작업 결과의 유효성을 확인할 수 있다. 운전정보 기능은 예를 들어, 설비의 운전 상태 관리, 트렌드/바(TREND/BAR) 관리, PI 태그 번호 관리, 회전기 진동 관리, 핵심 설비 정보 지원, 발전 정지 분석 로직(TRIP LOGIC) 분석 및 석탄계량관리 등이다. As shown in FIG. 5, the driving manager 200 has a driving information function, a driving support function, a driving analysis function, a performance management function, and an alarm management function. The operation information function receives real-time operation information (digital signals and / or analog signals) from the plant control facility system and displays them through bar graphs and / or trend line graphs to monitor the operation status of each unit or system. . The operation management unit 200 may detect an abnormal state of the facility early through the operation information function, and at the same time, confirm the validity of the maintenance work result. Operational information functions include, for example, operation status management of the facility, trend / bar management, PI tag number management, rotor vibration management, key facility information support, power plant stop analysis logic (TRIP LOGIC) analysis and coal weighing. Management and so on.

운전지원기능은 설비 운영 가이드, 운전 모드 가이드, 속도 조정률 계산, 로그 시트의 전산화, 정비관리 연계 기능 등이다. 운전분석 기능은 예를 들어, 호기별 상태 비교, 설비 부서 전용 화면, 온라인 RBI(ON-LINE RBI), 실시간 소내 부하, 전력 계통도, 고온 부품 관리 등이고, 실적관리기능은 운전시간/기동횟수, 일일 보고서, 월별 보고서 및 연간 보고서 생성 등이고, 또한 경보관리기능은 예컨대 통합 경보 관리, 고장기록분석장치(SOE, Sequence Of Event)의 연계 및 분석, 경보 분석, 경보 카운팅, 경보 챠트의 제공하는 것이다. Operation support functions include facility operation guide, operation mode guide, speed adjustment rate calculation, computerization of log sheets, and maintenance management linkage. The operation analysis function is, for example, a comparison of air condition by unit, a screen dedicated to the facility department, an on-line RBI, real-time on-site load, power schematic, and high temperature parts management. Reports, monthly reports and annual reports are generated, and the alarm management function is to provide, for example, integrated alarm management, linkage and analysis of a sequence of events (SOE), alarm analysis, alarm counting, and alarm charts.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성능관리부(300)는 설비의 효율 및 성능을 관리한다. 성능관리부(300)는 운전관리부(200)로부터 운전정보, 예컨대 온도, 압력, 진동 등을 실시간으로 제공받는다. 성능관리부(300)는 운전정보를 통해 단위 설비부터 호기 단위까지 단위 설비별로 설비의 성능 및 효율을 계산한다. 또한, 성능관리부(300)는 설비의 성능 및 효율에 대한 일일 보고서를 생성하고, 이를 정비관리부(100)로 제공한다.As shown in Figure 6, the performance management unit 300 manages the efficiency and performance of the facility. The performance management unit 300 receives operation information, for example, temperature, pressure, vibration, and the like from the operation management unit 200 in real time. The performance management unit 300 calculates the performance and efficiency of the facility for each unit from the unit to the exhalation unit through the operation information. In addition, the performance management unit 300 generates a daily report on the performance and efficiency of the facility, and provides it to the maintenance management unit (100).

성능관리부(300)에는 단위 설비별로 설비에 대한 기준 효율값 및 기준 성능값이 미리 설정된다. 성능관리부(300)는 기준 효율값과 운전관리부(200)로부터 운전정보를 제공받아 분석된 설비의 측정 효율값 사이의 편차를 계산한다. 성능관리부(300)는 기준 효율값과 측정 효율값 사이의 편차를 추세선 분석을 통하여 실시간으로 관리한다. 성능관리부(300)는 기준 효율값과 측정 효율값 사이의 편차가 크면, 계획예방정비공사용 장기 정비 계획을 정비관리부(100)에 제공하고, 반면 기준 효율값과 측정 효율값 사이의 편차가 작으면 설비보강용 단기 정비 계획을 정비관리부(100)에 제공한다. The performance management unit 300 is set in advance the reference efficiency value and the reference performance value for the facility for each unit. The performance management unit 300 receives the operation information from the reference efficiency value and the operation management unit 200 and calculates a deviation between the measured efficiency values of the analyzed equipment. The performance management unit 300 manages the deviation between the reference efficiency value and the measured efficiency value in real time through trend line analysis. If the deviation between the reference efficiency value and the measured efficiency value is large, the performance management unit 300 provides the maintenance management unit 100 with a long-term maintenance plan for the preventive maintenance service, while the deviation between the reference efficiency value and the measured efficiency value is small. Provide short term maintenance plan for facility reinforcement to the maintenance management unit (100).

성능관리부(300)는 단위 설비별로 성능영향인자를 계산한다. 성능관리부(300)는 성능영향인자의 변화를 실시간으로 분석하여, 설비의 성능 복구 및 개선 을 위한 정비 작업(110) 범위를 정비관리부(100)에 제시한다. 성능관리부(300)에서 제공된 정보를 통해, 정비관리부(100)에서 계획예방정비, 노후설비 교체 또는 신규설비 추가설치와 같은 정비 작업(110)이 실행된다. 성능관리부(300)는 정비 작업 전의 편차와 정비 작업 후의 편차를 비교한 추세선 회복 여부를 통해 정비 작업의 결과를 확인한다. The performance management unit 300 calculates a performance influence factor for each unit. The performance management unit 300 analyzes the change of the performance influence factor in real time, and presents the maintenance operation unit 110 to the maintenance management unit 100 for the performance recovery and improvement of the facility. Through the information provided by the performance management unit 300, maintenance operation 110, such as planned preventive maintenance, replacement of old equipment or installation of new equipment is executed in the maintenance management unit 100. The performance management unit 300 confirms the result of the maintenance work through the recovery of the trend line comparing the deviation before the maintenance work and the deviation after the maintenance work.

성능관리부(300)는 호기별 열효율을 운영관리부(400)로 제공한다. 한편, 본 발명인 상태기반 발전소 운전 및 정비 관리 시스템은 성능관리부(300)를 통해 단위 설비의 성능 측정 및 성능 분석에 필요한 설비의 운전정보를 실시간으로 취득함으로써, 설비의 이상 운전 상태를 조기에 발견할 수 있다. Performance management unit 300 provides a thermal efficiency for each unit to the operation management unit 400. 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ors state-based power plant operation and maintenance management system through the performance management unit 300 by obtaining the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equipment necessary for the performance measurement and performance analysis of the unit equipment in real time, to detect the abnormal operation state of the equipment early Can be.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성능관리부(300)의 기능은 다음과 같다. 성능관리부(300)는 발전소 종합 성능 감시, 보일러/터빈 종합 성능 감시, 보일러의 효율 및 손실 감시, 보일러의 열 흡수율 감시, 공기예열기 성능 감시, 터빈 팽창 선도 감시, 운전 값 조회, 터빈 히트 밸런스 감시, 터빈 내부 효율 감시, 터빈 축 동력 감시, 터빈 주기 효율 감시, 급수가열기 성능 감시, 복수기 성능 감시, 복합 종합 성능 감시, 가상 모사 모듈 감시, 가스터빈 효율 관리, 증기 터빈 효율 관리, 복수기 효율 관리, 열교환기 회수 보일러 효율 관리, 발전기 성능 관리, 질소산화물과 발전출력 간의 성능 감시 등의 기능을 가진다. As shown in Figure 7, the function of the performance management unit 300 is as follows. The performance management unit 300 monitors power plant comprehensive performance, boiler / turbine comprehensive performance monitoring, boiler efficiency and loss monitoring, boiler heat absorption rate monitoring, air preheater performance monitoring, turbine expansion leading monitoring, operating value inquiry, turbine heat balance monitoring, Turbine internal efficiency monitoring, turbine shaft power monitoring, turbine cycle efficiency monitoring, feedwater heater performance monitoring, condenser performance monitoring, complex comprehensive performance monitoring, virtual simulation module monitoring, gas turbine efficiency management, steam turbine efficiency management, condenser efficiency management, heat exchange It has functions such as recovery of boiler efficiency, generator performance management, and performance monitoring between nitrogen oxide and power generation output.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영관리부(400)는 운전현황(410) 및 운영 지표(420)를 통해 발전소의 정비 및 운전 활동에 대한 종합 성과를 판단한다. 운영관리부(400)는 정비관리부(100), 운전관리부(200), 성능관리부(300) 및 ERP(900)와 연계된다. 상세하게는 운영관리부(400)는 정비관리부(100)로부터 이력 DB부(138)에 저장된 정보를 주기적으로 제공받고, 운전관리부(200)로부터 운전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받고, 성능관리부(300)로부터 호기별 열효율을 실시간으로 제공받고, ERP(900)로부터 전력 거래 정보 및 정비 작업(110) 간접 비용에 대한 수익정보를 제공받아, 정비관리부(100), 운전관리부(200), 성능관리부(300) 및 ERP(900)와 연계되어, 발전소의 운전현황(410)을 실시간으로 감시한다. 발전소의 운전현황(410)으로는 호기별 발전량, 호기별 발전소 내의 소비전력, 호기별 효율, 배출가스 성상, 대기온도, 습도, 기압, 24시간 추세선, 전국 전력계통현황 및 회사 전력계통현황 등이다.As shown in FIG. 8, the operation management unit 400 determines the overall performance of the maintenance and operation activities of the power plant through the operation status 410 and the operation indicator 420. The operation manager 400 is connected to the maintenance manager 100, the operation manager 200, the performance manager 300, and the ERP 900. In detail, the operation management unit 400 is periodically provided with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history DB unit 138 from the maintenance management unit 100, receiving the operation information in real time from the operation management unit 200, from the performance management unit 300 Received real-time thermal efficiency of each unit, received from the ERP (900) power transaction information and maintenance information (110) indirect cost revenue information, maintenance management unit 100, operation management unit 200, performance management unit 300 And in conjunction with the ERP (900), monitor the operating status of the power plant (410) in real time. Operation status of the power plant (410) is the amount of electricity generated by each exhalation, power consumption in the power plant by each exhalation, efficiency by each unit, emission characteristics, atmospheric temperature, humidity, barometric pressure, 24-hour trend line, national power system status and company power system status .

운영관리부(400)는 호기별로 운영 지표를 관리한다. 호기별 운영 지표(450)는 운전 및 성능 지표(451), 신뢰도 지표(452) 및 정비 관리 지표(453)로 구분된다. 또한, 운영관리부(400)는 정비 작업(110) 관리 및 연료 재고 상태(454)를 실시간으로 관리한다. 운영관리부(400)는 호기별로 관리된 호기별 운영 지표(450)를 사업소별 운영 지표(440)로 집계하고, 사업소별로 집계된 운영 지표(440)를 전사 관리 지표(430)로 실시간으로 집계하여, 계획 대비 발전소의 운영 실적을 실시간으로 관리한다. The operation management unit 400 manages operation indicators for each unit. The operation index 450 for each unit is divided into an operation and performance index 451, a reliability index 452, and a maintenance management index 453. In addition, the operation management unit 400 manages the maintenance work 110 and the fuel inventory status 454 in real time. The operation management unit 400 aggregates the operation indicators 450 for each unit managed by each unit as operation index 440 for each establishment, and aggregates the operation index 440 collected for each establishment in real time as the enterprise management index 430. In addition, the operation performance of the power plant against the plan is managed in real time.

운영 지표(420)는 정비관리부(100)의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운전관리부(200) 및 성능관리부(300)의 실시간형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생성된다. 운영관리부(400)가 정비관리부(100)로부터 주기적으로 제공받는 관계형 데이터베이스(470)로는, 정비 착수 및 종료 실적, 정비 작업(110)에 대한 직접 비용, 연료 재고량, 연료 사용량 및 설비의 고장 정지에 대한 실적 정보이다. 또한, 운영관리부(400)가 운전관리부(200)로부터 실시간으로 제공받는 실시간형 데이터베이스(480)로는, 발전량, 송전량 및 소내 소비 전력 사용량에 대한 정보이다. The operation indicator 420 is generated from a relational database of the maintenance manager 100, a real-time database of the operation manager 200 and the performance manager 300. The relational database 470 that the operation management unit 400 is periodically provided from the maintenance management unit 100 includes maintenance start and end results, direct costs for the maintenance work 110, fuel inventory, fuel usage, and failure stop of the equipment. Performance information. In addition, the operation management unit 400 is a real-time type database 480 provided in real time from the operation management unit 200, the information on the amount of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amount and power consumption in the site.

운영 지표(420)는 북미전기신뢰도협회(NERC, North America Electric Reliability Community)에서 관리하는 항목별 지표를 핵심성과지표(Key Performance Index, KPI)로 한다. 운영 지표(420)는 전사 운영 지표(430), 사업소별 운영 지표(440) 및 호기별 운영 지표(450)로 구분되어 관리된다. The operation index 420 is a key performance index (KPI) that is an item-level indicator managed by the North America Electric Reliability Community (NERC). The operation indicator 420 is managed by being divided into an enterprise operation indicator 430, an operation indicator 440 for each establishment, and an operation indicator 450 for each unit.

호기별 운영 지표(450)는 운전 및 성능 지표(451), 신뢰도 지표(452), 정비 관리 지표(453), 연료재고지표, 대기작업지표 및 진행작업지표로 이루어진다. Operation index per unit 450 is composed of operation and performance indicators 451, reliability indicators 452, maintenance management indicators 453, fuel inventory indicators, waiting work indicators and progress work indicators.

운전 및 성능 지표(451)는 실시간형 데이터베이스(480)를 통해 산출되며, 발전량, 송전량, 발전소 내의 전력량, 열효율 및 전력 거래 수익에 대한 개별 지표들을 포함한다. 신뢰도 지표(452)는 관계형 데이터베이스(470)를 통해 산출되며, 설비신뢰도, 이용율, 가동율 및 운전율에 대한 개별 지표들을 포함하고, 정비 관리 지표(453)는 관계형 데이터베이스(470)를 통해 산출되며, 계획예방정비 공기 준수율, 작업 마감율, 수선유지비 집행 및 안전사고 여부에 대한 개별 지표들을 포함한다. 연료재고지표는 기준재고 및 일일 재고에 대한 개별 지표를 포함하고, 대기작업지표는 운전중 작업, 정지중 작업, 예방작업, 계량작업 및 고장 작업에 대한 개별 지표를 포함하며, 진행작업지표는 품질등급별, 안전등급별 및 허가등급별에 대한 개별 지표를 포함한다. Operation and performance indicators 451 are calculated via a real-time database 480 and include individual indicators for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power in the plant, thermal efficiency, and power transaction revenue. Reliability indicator 452 is calculated through relational database 470, and includes individual indicators for equipment reliability, utilization, operation rate and operation rate, maintenance management indicator 453 is calculated through relational database 470, Includes separate indicators of planned preventive maintenance air compliance rates, work closure rates, maintenance maintenance and safety incidents. Fuel inventory indicators include individual indicators for baseline inventory and daily inventory, and standby work indicators include individual indicators for in-service, out-of-stop, preventive, weighing and breakdown operations. Include individual indicators for class, safety class and permit class.

운영관리부(400)는 각각의 개별 지표마다 관계형 데이터베이스(470)와 실시 간형 데이터베이스(480) 간의 정보연계를 통하여 관계형 데이터베이스(470)의 데이터와 실시간형 데이터베이스(480)의 데이터 간에 데이터의 무결성을 점검(461)하여, 데이터의 정확성을 확인한다. 운영관리부(400)에는 각각의 개별 지표들에 대해 기준 범위가 설정되고, 개별 지표들은 기준 범위를 기준으로 운영 성과에 따라 초과, 정상 또는 미달로 구분되어 표시된다. 예를 들어, 운영관리부(400)에는, 각각의 개별 지표에 대해 과거의 일정 기간 동안, 예를 들어 과거의 3개월 동안의 계획 대비 실적이 일간 정보로 누계되어 월별집계형태로 표시되고, 개별 지표의 계획 대비 실적이 기준 범위를 초과하면 빨간색으로 표시되고, 기준 범위 내이면 초록색으로 표시되며, 기준 범위에 미달되면 노란색으로 표시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인 상태기반 발전소 운전 및 정비 관리 시스템은 운영관리부(400)를 통해 발전소의 운영 성과를 직관적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운영관리부(400)를 통해 각각의 개별 지표들은 추세선 분석이 가능하여, 사용자는 과거의 운영 실적 및 미흡한 지표의 시정 조치 여부를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다. The operation management unit 400 checks the integrity of the data between the data of the relational database 470 and the data of the real-time database 480 through information linkage between the relational database 470 and the real-time database 480 for each individual indicator. (461), to confirm the accuracy of the data. In the operation management unit 400, a reference range is set for each individual indicator, and the individual indicators are divided into over, normal, or under, based on the performance of the reference range. For example, in the operation management unit 400, the performance of the plan for each individual indicator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in the past, for example, for the past three months, is accumulated as daily information and displayed in the form of monthly aggregation. If the plan's performance exceeds the standard range, it is displayed in red, and if it is within the standard range, it is displayed in green. Accordingly, the inventors state-based power plant operation and maintenance management system allows the operation management unit 400 to intuitively recognize the operating performance of the power plant. In addition, through the operation management unit 400, each of the individual indicators can be analyzed trend line, the user can easily recognize the past operating performance and corrective measures of the insufficient indicators.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뢰도 관리부(500)는 발전소 보조 설비에 대해, 이력 DB부(138)에서 제공받은 워크 오더에 의한 예방업무 통계 자료와 운전관리부(200)로부터 제공받은 정보를 비교하여 RCM 분석한다. 신뢰도 관리부(500)는 RCM 분석을 통해 RCM 분석 대상인 보조 설비에 대해 예방점검 및 예방정비를 지속적으로 시행할지 여부를 결정한다. 여기서, 예방업무 통계 자료는 이력 DB부(138)에서 제공받은 워크 오더에 기록된 정보, 즉 설비의 정비 이력 및 고장 이력을 정량화한 자료이다. As shown in FIG. 9, the reliability management unit 500 compares the preventive work statistical data by the work order provided by the history DB unit 138 with the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operation management unit 200 with respect to the power plant auxiliary facilities. RCM analysis. The reliability management unit 500 determines whether to continuously carry out preventive checks and preventive maintenance on the auxiliary equipment subject to the RCM analysis through the RCM analysis. Here, the preventive work statistical data is the data recorded in the work order provided from the history DB unit 138, that is, the data quantifying the maintenance history and failure history of the facility.

신뢰도 관리부(500)는 발전소 보조 설비에 대하여 일정 기간 단위로, 예를 들어 3년 단위로, 예방업무 DB(520) 내에 저장된 평균고장주기(MTFT), 미국전력연구원(EPRI) 데이터베이스, INI(International Nominal Internal) 데이터베이스 또는 제작사 기준 정보를 기준으로 하여, 설비의 정비 이력 및 고장 이력에 대해 RCM 리빙 분석(530)을 시행하여 현재 시행되고 있는 경상 예방 업무의 유효성을 평가한다. The reliability management unit 500 is a unit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for example, every three years for the power plant auxiliary facilities, the mean failure period (MTFT), the US Power Research Institute (EPRI) database, INI (International) stored in the preventive service DB 520 Nominal Internal) RCM Living Analysis (530) is performed on the maintenance history and failure history of the facility based on the database or manufacturer's reference information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current injuries.

신뢰도 관리부(500)는 RCM 리빙 분석(530) 결과를 통해 RCM 분석(510)을 시행하여 정비 대상 설비에 대한 새로운 예방 점검 및 예방 정비의 종류 및 주기를 설정한다. 신뢰도 관리부(500)는 설비의 운전 여부를 고려하여 RCM 분석 결과에 따른 예방 점검의 종류 및 주기를 예방점검관리부(171)로 제공하고, 예방정비의 종류 및 주기를 예방정비관리부(172)로 제공한다. The reliability management unit 500 performs the RCM analysis 510 through the results of the RCM living analysis 530 to set the type and cycle of new preventive inspection and preventive maintenance on the maintenance target equipment. The reliability management unit 500 provides the type and cycle of preventive maintenance to the preventive maintenance management unit 171 in consideration of the operation of the facility, and provides the type and cycle of preventive maintenance to the preventive maintenance management unit 172. do.

여기서, RCM 분석(510)이란, 발전소 계통의 기능 장애를 분석하고, 설비 종류별로 고장 기구를 분석하며, 설비별로 예방 업무, 즉 예방점검 및 예방정비의 지속적인 시행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말한다. 예를 들어, RCM 분석(510)은 정량화된 통계 자료를 기준으로 설비가 어느 정도 사용되었을 때, 고장이 발생할 것인지 여부를 분석하는 것이다.Here, the RCM analysis 510 refers to analyzing a malfunction of a power plant system, analyzing a failure mechanism for each type of facility, and determining whether to continuously perform preventive tasks, that is, preventive inspection and preventive maintenance for each facility. For example, the RCM analysis 510 analyzes whether a failure will occur when the facility is used to some extent based on the quantified statistical data.

RCM 분석 대상 설비는 주로 마모진행형 부품을 가진 공기압축기, 미분기 및 밸브 등의 발전소 보조 설비이다. RCM 분석 대상 설비는 주기적으로 부품 교체, 측정 및 분해 조립 등의 경상 예방점검정비작업 대상이다. The equipment to be analyzed for RCM is mainly power plant auxiliary equipment such as air compressors, differentiators and valves with wear-prone components. Facilities subject to RCM analysis are subject to routine preventive maintenance, such as parts replacement, measurement and disassembly.

신뢰도 관리부(500)는 설비의 고장 유형 및 설비의 작업 유형 등에 대한 설 비의 정비 이력 및 설비의 고장 이력이 저장된 이력 DB부(138)와 연계되어, 정비 이력이 기록된 워크 오더를 제공받는다. 신뢰도 관리부(500)는 상기의 워크 오더를 통해 각각의 보조 설비에 대해 보조 설비에서 주로 발생하는 고장 현상, 고장 원인, 고장시의 조치, 정비 작업(110)에 소요되는 시간 등이 통계된다. 신뢰도 관리부(500)는 이러한 워크 오더를 사용하여, 해당 보조 설비의 예방 업무의 종류, 정비 작업(110)의 유형, 고장 현상, 고장 원인, 고장에 따른 조치 및 정비 작업(110)시 소요 시간에 따라 예방 업무의 유효성, 평균 고장 주기 및 평균 정비 주기를 분석하는 RCM 리빙 분석을 실행한다. 여기서 RCM 리빙 분석(530)이란, 3년 단위로 정비 이력, 고장 이력 및 공인된 예방업무 통계자료(520 - EPRI DB, INI DB 및 제작사 기준 등)를 분석하여 단위 설비별로 예방점검 및 예방정비업무 지속시행의 유효성을 평가하여 새로운 예방업무 종류 및 주기 설정하는 것이다. The reliability management unit 500 is provided with a work order in which the maintenance history is recorded in connection with the history DB unit 138 in which the facility maintenance history and the facility failure history of the facility and the facility failure history of the facility are stored. Reliability management unit 500 is a statistic, such as the failure phenomenon, the cause of the failure, the action at the time of the failure, the time required for the maintenance work 110, etc. that occur mainly in the auxiliary equipment for each of the auxiliary equipment through the above work order. The reliability management unit 500 uses the work order to determine the type of preventive work of the corresponding auxiliary equipment, the type of the maintenance work 110, the failure phenomenon, the cause of the failure, the action according to the failure, and the time required for the maintenance work 110. Therefore, an RCM living analysis is conducted to analyze the effectiveness of the preventive task, the average failure cycle, and the average maintenance cycle. Here, the RCM living analysis 530 is a three-year unit that analyzes maintenance history, failure history, and certified preventive maintenance statistical data (520-EPRI DB, INI DB, and manufacturer's standards, etc.) to preventive inspection and preventive maintenance by unit.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sustaining practices to establish new preventive work types and cycles.

또한, 신뢰도 관리부(500)는 설비마스터(121)와 연계된다. 신뢰도 관리부(500)의 RCM 분석(510) 체계는 정비관리부(100)의 설비분류체계와 동일하여, 설비마스터(121)의 정보를 별도의 가공 없이도 사용가능하다. In addition, the reliability management unit 500 is associated with the facility master 121. RCM analysis 510 system of the reliability management unit 500 is the same as the facility classification system of the maintenance management unit 100, it is possible to use the information of the facility master 121 without additional processing.

신뢰도 관리부(500)는 설비마스터(121)로부터 제공받은 정보를 통해 계통 기능 장애, 종류별 고장 기구 및 설비별 예방 업무를 분석하는 RCM 분석(510)을 실행한다. 신뢰도 관리부(500)는 RCM 분석(510) 후, 예방 업무의 실행 상태를 설비 운전 중 또는 설비 정지 중으로 구분하여, 새로운 예방 점검의 종류 및 주기 또는 예방 정비의 종류 및 주기를 설정하고, 이를 정비관리부(100)의 예방점검정비 관리부(170)에 제공한다. 예방 정비의 주기 및 예방 점검의 주기는 설비에 따라 가변 가능하다. 예방점검정비 관리부(170)는 신뢰도 관리부(500)로부터 제공받은 정보를 통해 설비의 점검 또는 정비 계획을 생성하고, 추세선을 통해 점검 후의 점검 결과를 관리하고 정비 실적을 관리한다. The reliability management unit 500 executes the RCM analysis 510 analyzing the system malfunction, the failure mechanism by type, and the preventive task by facility through the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facility master 121. After the RCM analysis 510, the reliability management unit 500 divides the execution state of the preventive work into the operation of the facility or the operation of the facility, and sets the type and cycle of the new preventive inspection or the type and cycle of the preventive maintenance, and the maintenance management unit. Provided to the preventive maintenance maintenance unit 170 of (100). The frequency of preventive maintenance and preventive maintenance can vary depending on the installation. The preventive maintenance maintenance unit 170 generates an inspection or maintenance plan of the facility through the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reliability management unit 500, manages the inspection result after the inspection and manages the maintenance result through the trend line.

본 발명인 상태기반 발전소 운전 및 정비 관리 시스템은 RCM 리빙을 통해 향후 고장을 방지하기 위한 정비전략을 수립하고 예방업무 권고안을 도출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ors state-based power plant operation and maintenance management system can establish a maintenance strategy to prevent future failures through the RCM living and can derive preventive work recommendations.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험도 관리부(600)는 열화 진행형 설비인 터빈, 보일러 및 발전기 등을 대상으로 정비관리부(100)로부터 정보를 제공받는다. 위험도 관리부(600)는 정보를 RBI(Risk Based Inspection) 분석하여 계획예방정비공사 후 검사결과 및 설비의 운전 이력을 분석하여 설비의 현재 상태를 판정 한 후 차기 검사시점, 검사 대상 및 검사 부위를 예측한다. As shown in FIG. 10, the risk management unit 600 receives information from the maintenance management unit 100 for a turbine, a boiler, a generator, and the like, which are deterioration-type equipments. The risk management unit 600 analyzes the information based on RBI (Risk Based Inspection), analyzes the inspection result and the operation history of the facility after the planned preventive maintenance work, determines the current state of the facility, and then predicts the next inspection point, the inspection subject, and the inspection site. do.

위험도 관리부(600)는 설비마스터(121)와 연계된다. 위험도 관리부(600)의 RBI 분석 체계는 정비관리부(100)의 설비분류체계와 동일하여, 설비마스터(121)의 정보를 별도의 가공 없이도 사용가능하다. The risk management unit 600 is associated with the facility master 121. RBI analysis system of the risk management unit 600 is the same as the facility classification system of the maintenance management unit 100, it is possible to use the information of the facility master 121 without additional processing.

위험도 관리부(600)는 정비관리부(100)로부터 워크 오더를 제공받고, 운전관리부(200)로부터 운전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받아 RBI 분석(610)을 실행한다. 위험도 관리부(600)가 정비관리부(100)로부터 제공받은 워크 오더에는 비파괴검사, 조직검사, 견본시험검사 등과 같은 설비 검사 결과 및 설비의 고장 이력 등 설비에 대한 상세 정보가 기록되어 있다. 한편, 위험도 관리부(600)는 이력 DB부(138)에 저장된 설비의 손상 확률 및 피해규모를 기초로 하여 운전관리부(200)로부터 실시간으로 분석된 운전정보(예컨대, 온도, 압력, 유량) 및 손상 정보(예컨대, 손상율) 를 제공받아 설비의 위험도 및 잔존수명 분석하고, 설비의 운전 상태 또는 설비의 정지 상태를 반영하여 미래의 검사 시점을 갱신한다.The risk management unit 600 receives a work order from the maintenance management unit 100, receives the operation information from the operation management unit 200 in real time, and executes the RBI analysis 610. The work order provided by the risk management unit 600 from the maintenance management unit 100 records detailed information on the equipment such as equipment inspection results such as non-destructive inspection, tissue inspection, specimen test inspection, and failure history of the equipment. Meanwhile, the risk management unit 600 analyzes operation information (eg, temperature, pressure, flow rate) and damage in real time from the operation management unit 200 on the basis of the damage probability and the damage size of the equipment stored in the history DB unit 138. Information (eg damage rates) is provided to analyze the risk and remaining life of the installation and update future inspection points to reflect the operating or shutdown status of the installation.

위험도 관리부(600)는 RBI 분석 후, 계획예방정비(O/H, overhaul) 시점(613) 및 계획예방업무(614)를 정비관리부(100)에 제공한다. After the RBI analysis, the risk management unit 600 provides the maintenance prevention unit 100 with the planned preventive maintenance (O / H, overhaul) time point 613 and the planned preventive service 614.

위험도 관리부(600)는 RBI 분석을 통해, 정비 작업(110)의 위험비용(612)을 계산하고, 위험비용(612)에 관한 정보를 코스트-타임 분석부(700)로 제공한다. 또한, 위험도 관리부(600)는 백로그 워크 오더(631, backlog work order)를 생성하여, 정비관리부(100)의 예방정비관리부(172)에 제공한다. 백로그 워크 오더(631)는 대기 상태의 워크 오더이다. 백로그 워크 오더(631)는 예상 정비 시점 도래 전에 발행된다. 점검결과 및 설비 이력(138)이 재분석된 백로그 워크 오더(631)는 설비의 새로운 잔존수명(620)에 대한 차기 점검시점(630)을 제시하기 위한 RBI 분석(610) 입력정보로 활용된다. The risk management unit 600 calculates the risk cost 612 of the maintenance work 110 through the RBI analysis, and provides the cost-time analysis unit 700 with information about the risk cost 612. In addition, the risk management unit 600 generates a backlog work order 631 and provides the preventive maintenance manager 172 of the maintenance manager 100. The backlog work order 631 is a work order in the waiting state. The backlog work order 631 is issued before the expected maintenance time arrives. The backlog work order 631 in which the inspection result and the facility history 138 are re-analyzed is used as the RBI analysis 610 input information for presenting the next inspection point 630 for the new remaining life 620 of the facility.

여기서 RBI 분석(610)이란 설비의 재질에 대한 비파괴 검사, 조직검사 및 견본 시험 결과를 정비관리부(100)로부터 제공받아 세부 위험도(611)를 분석함으로써 설비의 고장으로 인한 위험비용(612)을 예측하고, 운전관리부(200)로부터 운전환경의 변화와 가동률 정보를 취득하여 설비의 잔존수명 및 차기의 정비시점(630)을 분석하는 것이다. 위험도 관리부(600)는 RBI 분석을 통해 설비의 운전상태(621)를 평가할 수 있다. Here, the RBI analysis 610 predicts the risk cost 612 due to the failure of the facility by analyzing the detailed risk 611 by receiving the results of the non-destructive inspection, the histological examination, and the sample test of the material of the facility from the maintenance management unit 100. Then, the change in the operating environment and the operation rate information are acquired from the operation management unit 200 to analyze the remaining life of the equipment and the next maintenance time 630. The risk management unit 600 may evaluate the operation state 621 of the facility through the RBI analysis.

한편, RBI 분석은 오프라인 RBI 분석과 온라인 RBI 분석으로 구분된다. 오프라인 RBI 분석은 종래에 사용되고 있는 RBI분석과 동일하다. 온라인 RBI 분석은 운 전관리부(200)로부터 실시간 운전정보와 손상정보를 받아서 설비의 잔존수명(620)과 차기 검사시점(630)을 분석하며, 분석결과는 백로그 워크 오더(631)를 통해 정비관리부(100)의 예방점검정비 관리부(170)에 등록된다. On the other hand, RBI analysis is classified into offline RBI analysis and online RBI analysis. The offline RBI analysis is the same as the RBI analysis used conventionally. On-line RBI analysis receives real-time operation information and damage information from the operation management unit 200 to analyze the remaining life (620) and the next inspection point (630) of the facility, the analysis result is maintained through the backlog work order (631) The preventive maintenance maintenance unit 170 of the management unit 100 is registered.

코스트-타임(Cost-Time) 분석부(700)는 신뢰도 관리부(500) 및 위험도 관리부(600)로부터 제공받은 정보를 통해 정비 대상 설비, 정비 시점 및 정비 범위를 제시한다. 상세하게는 코스트-타임 분석부(700)는 부품별 RCM 분석(510)을 통해 신뢰도 관리부(500)로부터 정비 비용을 단위 설비별로 제공받고, 부품별 RBI 분석을 통해 위험도 관리부(600)로부터 위험비용(612)을 단위 설비별로 제공받는다. 코스트-타임 분석부(700)는 단위 설비별 코스트-타임 그래프에서 정비 비용의 곡선(C1)과 위험비용의 곡선(C2)이 교차하는 코스트-타임 곡선(C3)을 생성한다. The cost-time analysis unit 700 presents the maintenance target equipment, the maintenance timing, and the maintenance range through the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reliability management unit 500 and the risk management unit 600. In detail, the cost-time analysis unit 700 receives the maintenance cost from the reliability management unit 500 for each unit through the RCM analysis 510 for each part, and the risk cost from the risk management unit 600 through the RBI analysis for each part. 612 is provided for each unit. The cost-time analysis unit 700 generates a cost-time curve C3 in which the curve C1 of the maintenance cost and the curve C2 of the risk cost cross each other in the cost-time graph for each unit.

코스트-타임 분석부(700)는 도 11의 (a)에 도시된 단위 설비별 코스트-타임 그래프에서 정비 비용 곡선(C1)과 위험 비용 곡선(C2)의 교차점을 단위 설비의 최적 정비 시점이라고 판단한다. 또한, 코스트-타임 분석부(700)는 단위 설비별 코스트-타임 곡선(C3)을 호기별 코스트-타임 그래프에 적용하여 정비 대상, 범위 및 정비 시점을 판단한다. The cost-time analysis unit 700 determines that the intersection point of the maintenance cost curve C1 and the risk cost curve C2 in the cost-time graph for each unit shown in FIG. 11A is the optimum maintenance point of the unit. do. In addition, the cost-time analyzer 700 determines a maintenance target, a range, and a maintenance time point by applying a cost-time curve C3 for each unit to a cost-time graph for each unit.

도 11의 (b)에 도시된 호기별 코스트-타임 그래프에는, 단위 설비별로 예를 들어, 펌프(C3p), 보일러(C3b), 발전기(C3g), 터빈(C3t), 및 통풍팬(C3f)에 대한 코스트-타임 곡선(C3)이 도시된다. 코스트-타임 분석부(700)는 호기별 코스트-타임 그래프에서, 단위 설비별 코스트-타임 곡선들(C3p, C3g, C3b, C3t)의 중첩 부위를 최 적 정비 시점이라 판단하고, 최적 정비 시점 범위 내에 존재하는 설비를 최적 정비 대상이라고 판단한다. 한편, 통풍팬의 코스트-타임 곡선(C3f)의 최적 정비 시점은 곡선의 꼭지점 부분이다. The expiratory cost-time graph shown in FIG. 11B shows, for example, a pump C3 p , a boiler C3 b , a generator C3 g , a turbine C3 t , and ventilation for each unit. The cost-time curve C3 for the fan C3 f is shown. The cost-time analyzer 700 determines an overlapping portion of the cost-time curves C3 p , C3 g , C3 b , and C3 t for each unit in the cost-time graph for each unit as an optimal maintenance point. It is determined that the equipment existing within the optimum maintenance time frame is the optimum maintenance target. On the other hand, the optimal maintenance point of the cost-time curve C3 f of the ventilation fan is a vertex portion of the curve.

정비비용은 정비관리부(100)로부터 취득된 계획예방정비공사비용에 경상정비비용을 보정한 것으로서, 신뢰도 관리부(500)의 부품별 RCM 분석의 결과이다. 정비 비용은 계획예방정비공사(116) 시행 후 정지를 하지 않고 연속운전을 한다면 지속적으로 감소한다. 반면, 위험비용(612)은 계획예방정비공사(116) 시행 후 정지를 하지 않고 연속운전을 한다면 설비의 고장 확률이 반대로 증가하여, 증가하게 된다. 위험 비용(612)은 RBI 분석의 결과이다. 위험도 관리부(600)에는 RBI 관리 대상설비의 점검부위별 손상 종류에 따라 자재비, 노무비, 작업비, 경제적 손실비용 등에 대한 위험 비용(612)이 미리 산정되어 설정된다. The maintenance cost is a correction of the ordinary maintenance cost to the planned preventive maintenance work cost obtained from the maintenance management unit 100, and is a result of the RCM analysis for each part of the reliability management unit 500. The maintenance cost is continuously reduced if the continuous operation is performed without stopping after the implementation of the planned preventive maintenance work (116). On the other hand, if the risk cost 612 is continuous operation without stopping after the implementation of the planned preventive maintenance 116, the probability of failure of the equipment is increased to the contrary, increases. Risk cost 612 is the result of an RBI analysis. In the risk management unit 600, a risk cost 612 for a material cost, a labor cost, a work cost, an economic loss cost, etc. is calculated and set in advance according to the type of damage for each inspection site of the RBI management target facility.

한편, 코스트-타임 분석은 설비의 사용시간에 따른 설비의 상태 변화를 고려하여 정비의 최적 시점을 판단하는 것이다. 코스트-타임 분석은 코스트-타임 곡선(C3)을 형성하여, 단위 설비별로 경제적 설비 시점을 분석하는 것이다. On the other hand, cost-time analysis is to determine the optimum time of maintenance in consideration of the change in the state of the facility according to the use time of the facility. The cost-time analysis forms a cost-time curve (C3) to analyze the economic equipment point of time for each unit.

위에 설명된 예시적인 실시예는 제한적이기보다는 본 발명의 모든 관점들 내에서 설명적인 것이 되도록 의도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 기술 분야의 숙련된 자들에 의하여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된 설명들로부터 얻어질 수 있는 많은 변형 및 상세한 실행이 가능하다. 다음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한정된 바와 같이 이러한 모든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 및 사상 내에 있는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The exemplary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ntended to be illustrative, not limiting, in all aspects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many modifications and detailed implementations which may be obtained from those contained within the specification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ll such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to be considered as within the scope and spirit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following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태기반 발전소 운전 및 정비 관리시스템 체계도를 도시한다.1 is a system diagram of a state-based power plant operation and maintenance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비관리부의 개략적인 체계도이다.2 is a schematic system diagram of a maintenance management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정비관리부의 정비관리기능에 대한 체계도이다.3 is a system diagram for the maintenance management function of the maintenance management unit.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전관리부의 정비관리부 및 위험도 관리부에 대한 개략적인 업무 흐름도이다.4 is a schematic work flow diagram for a maintenance management unit and a risk management unit of an operation management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운전관리부의 운전관리기능에 대한 체계도이다.5 is a system diagram for a driving management function of the driving management unit.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성능관리부에 대한 정비관리부, 운전관리부 및 운영관리부에 대한 개략적인 업무 흐름도이다.6 is a schematic work flow diagram for the maintenance management unit, operation management unit and operation management unit for the performance management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성능관리부의 성능관리기능에 대한 체계도이다.7 is a system diagram for a performance management function of the performance management unit.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영관리부의 개략적인 체계도이다.8 is a schematic system diagram of an operation management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뢰도 관리부의 정비관리부 및 운전관리부에 대한 개략적인 업무 흐름도이다.9 is a schematic work flow diagram for the maintenance management unit and the operation management unit of the reliability management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험도 관리부의 정비관리부, 운전관리부 및 코스트-타임 분석부에 대한 개략적인 업무 흐름도이다.10 is a schematic work flow diagram for the maintenance management unit, operation management unit and cost-time analysis unit of the risk management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의 (a)는 단위 설비별 코스트-타임 그래프이고, 도 11의 (b)는 호기별 코스트-타임 그래프이다.FIG. 11A is a cost-time graph for each unit, and FIG. 11B is a cost-time graph for each unit.

Claims (17)

설비의 위치, 계통 및 종류에 따라 각각의 설비에 대한 위치 번호, 계통 번호 및 종류 번호가 저장된 설비 마스터(121), 및 상기 설비 마스터(121)와 연계되어 상기 설비 마스터(121)로부터 상기 위치 번호, 상기 계통 번호 및 상기 종류 번호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고, 정비 작업에 대한 절차를 하나의 절차로 표준화한 표준절차(130)에 따라 상기 설비에 대한 워크 오더(work order)를 생성하는 워크 오더부(120)를 포함하여, 상기 설비의 상기 정비 작업에 대한 처리가 일괄적으로 관리되는 정비관리부(100);According to the location, system and type of the facility, the location number, system number and type number for each facility is stored in the facility master 121, and the location number from the facility master 121 in association with the facility master 121 The work order unit receives the information about the system number and the type number, and generates a work order for the facility according to a standard procedure 130 that standardizes a procedure for maintenance work as a single procedure. Maintenance management unit 100, including 120, the process for the maintenance work of the facility is collectively managed; 발전소 제어설비 시스템(270)으로부터 상기 설비의 운전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받고, 상기 운전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설비의 이상 운전 상태를 판단하고, 상기 운전정보인 PI 태그(Plant Imformation Tag) 번호가 상기 설비 마스터(121)에 등록됨으로써 상기 설비 마스터(121)와 연계되어 상기 설비에 대한 정비 이력 및 상기 설비의 상세 정보 조회가 가능한 운전관리부(200);The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facility is provided from the power plant control facility system 270 in real time, the operation information is analyzed to determine an abnormal operation state of the facility, and the PI tag (Plant Imformation Tag) number, which is the operation information, is the facility. An operation management unit 200 which is registered with the master 121 so as to be connected with the facility master 121 and inquire the maintenance history of the facility and detailed information of the facility; 상기 운전관리부(200)로부터 실시간으로 제공받은 상기 운전정보를 통해 단위 설비별로 성능 및 효율을 계산하는 성능관리부(300);A performance management unit 300 for calculating performance and efficiency for each unit based on the operation information provided in real time from the operation management unit 200; 상기 정비관리부(100), 상기 운전관리부(200), 상기 성능관리부(300) 및 ERP(Enterprise Resource Plan, 900)로부터 정보를 제공받고, 상기 정보를 통해 상기 발전소의 정비 및 운전 활동에 대한 종합 성과를 평가하는 운영관리부(400);Received information from the maintenance management unit 100, the operation management unit 200, the performance management unit 300 and the ERP (Enterprise Resource Plan, 900), through the information comprehensive performance of the maintenance and operation activities of the power plant Evaluating the operation management unit 400; 상기 발전소의 보조 설비에 대해 일정 기간 단위로, 상기 정비관리부(100)로 부터 상기 설비의 정비 이력 및 고장 이력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고, 상기 운전관리부(200)로부터 상기 설비의 운전 정보를 제공받아, RCM 리빙(Reliability Centered Maintenance Living) 분석을 실행하여 상기 보조 설비의 경상예방업무(511)의 유효성을 평가하고, RCM(Reliability Centered Maintenance) 분석을 실행하여 상기 RCM 분석 결과를 통해 예방점검 및 예방 정비의 종류 및 주기를 결정하는 신뢰도 관리부(500); Receive the information on the maintenance history and failure history of the facility from the maintenance management unit 100, and the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facility from the operation management unit 200 for the auxiliary facilities of the power plant on a predetermined basis. And evaluating the effectiveness of the current preventive task 511 of the ancillary equipment by performing an analysis of RCM Living (Reliability Centered Maintenance Living), and performing a preventive check and preventive maintenance through the results of the RCM analysis by performing a Reliability Centered Maintenance (RCM) analysis. Reliability management unit 500 for determining the type and period of the; 상기 정비관리부(100)로부터 상기 설비의 재질에 대한 검사 결과 및 상기 워크 오더를 제공받고, 상기 운전관리부(200)로부터 상기 운전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받아 RBI(Risk Based Inspection) 분석을 실행하여, 상기 RBI 분석 결과를 통해 상기 발전소의 주설비의 잔존 수명 및 차기의 예방 정비에 대한 검사 시점, 검사 대상 및 검사 부위를 결정하는 위험도 관리부(600); 및Receiving the inspection result and the work order for the material of the facility from the maintenance management unit 100, and receives the operation information from the operation management unit 200 in real time to execute RBI (Risk Based Inspection) analysis, A risk management unit 600 determining an inspection time, an inspection object, and an inspection site for the remaining life of the main equipment of the power plant and the next preventive maintenance through the RBI analysis result; And 상기 신뢰도 관리부(500) 및 상기 위험도 관리부(600)로부터 제공받은 정보를 통해 정비 대상 설비 및 상기 정비 대상 설비에 대한 정비 시점을 제시하는 코스트-타임(Cost-Time) 분석부(7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태기반 발전소 운전 및 정비 관리 시스템.It includes a cost-time analysis unit 700 for presenting the maintenance target equipment and the maintenance time point for the maintenance target equipment through the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reliability management unit 500 and the risk management unit 600. State-based power plant operation and maintenance managemen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설비 마스터(121)는 상기 위치 번호, 상기 계통 번호 및 상기 종류 번호를 설비분류체계로 표준화시키고,The facility master 121 standardizes the location number, the system number, and the type number into a facility classification system. 상기 설비분류체계는 상기 신뢰도 관리부(500)의 상기 RCM 분석시 사용되고, 상기 위험도 관리부(600)의 상기 RBI 분석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태기반 발전소 운전 및 정비 관리 시스템.The facility classification system is used in the RCM analysis of the reliability management unit 500, the state-based power plant operation and maintenance managemen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used in the RBI analysis of the risk management unit (600).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워크 오더부(120)는 상기 ERP(900)와 연계되어, The work order unit 120 is associated with the ERP 900, 상기 워크 오더부(120)에는 The work order unit 120 작업 종류별 노무 품셈에 의한 인력 설계 정보;Manpower design information by labor product by work type; 상기 ERP(900)로부터 제공받은 예산 종류별 자재 설계 정보;Material design information for each budget type received from the ERP (900); 공사 종류별 경비 요율에 따른 경비 설계 정보; 및 Expense design information according to expense rate by type of construction; And 상기 설비의 종류마다의 설계표준서가 데이터 형태로 저장되어,The design standard for each type of the facility is stored in the form of data, 상기 워크 오더부(120)는, 상기 인력 설계 정보, 상기 자재 설계 정보, 상기 경비 설계 정보 및 상기 설계표준서에 의해 상기 정비 작업에 대한 작업 설계안이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태기반 발전소 운전 및 정비 관리 시스템.The work order unit 120 is a state-based power plant operation and maintenance management, characterized in that the work design for the maintenance work is generated by the manpower design information, the material design information, the expense design information and the design standard system. 제 3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표준절차(130)는 상기 설비에 대한 증상이 입력되는 요청 절차(131), 접수 절차(132), 설계 절차(133), 승인 절차(134), 허가 절차(135), 완료 절 차(136), 및 마감 절차(137)가 순차로 진행되며,The standard procedure 130 includes a request procedure (131), an acceptance procedure (132), a design procedure (133), an approval procedure (134), an approval procedure (135), and a completion procedure (136) in which symptoms for the facility are input. ), And the closing process (137) in sequence, 상기 워크 오더부(120)는The work order unit 120 is 상기 요청 절차(131)에서 상기 설비 마스터(121)에 연계되어, 상기 설비 마스터(121)로부터 상기 설비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고,In connection with the facility master 121 in the request procedure 131, receiving information about the facility from the facility master 121, 상기 설계 절차(133)에서 상기 설비에 대한 상기 인력 설계 정보, 상기 자재 설계 정보, 및 상기 경비 설계 정보가 선택되면, 상기 작업 설계안을 생성하고,If the manpower design information, the material design information, and the expense design information for the facility are selected in the design procedure 133, generate the work design proposal, 상기 워크 오더부(120)에는The work order unit 120 상기 승인 절차(134)에서, 상기 설비에 대한 품질 및 안전 등급에 따라 결재 등급이 구분되어, 상기 정비 작업이 승인되고,In the approval process 134, the payment grade is divided according to the quality and safety grade for the facility, the maintenance work is approved, 상기 허가 절차(135)에서, 상기 설비에 대한 품질 및 안전 등급에 따라 결재 등급이 구분되어, 품질 및 안전 서류(125)가 처리되고,In the permit procedure 135, the payment grade is divided according to the quality and safety grade for the facility, and the quality and safety documents 125 are processed, 상기 완료 절차(136)에서 상기 설비에 대한 고장 원인, 고장 현상, 정비 작업 결과 및 예방 업무가 코드화(128)되어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태기반 발전소 운전 및 정비 관리 시스템.In the completion procedure (136), the cause of the failure, failure phenomenon, maintenance work result and preventive work for the facility is coded (128) is input, characterized in that the power plant operation and maintenance management system.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비관리부(100)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maintenance management unit 100 상기 워크 오더부(120)에 연계되어 상기 표준절차(130) 종료 후 상기 설비에 대한 정비 이력이 기록된 상기 워크 오더가 저장되는 이력 DB(database)부(138);A history DB unit 138 that stores the work order in which the maintenance history of the facility is recorded after the standard procedure 130 is linked to the work order unit 120; 상기 설비에 대한 사고 또는 고장의 발생 순서에 따른 시계열적 분석 후, 상기 시계열적 분석시마다 사람(Human), 조직(Organization), 절차(Procedure) 및 설비(Equipment)에 따른 HOPE 분석을 수행하여, 동일사고의 재발 및 유사사고의 발생 방지에 대한 대책을 수립하고, 상기 대책을 상기 워크 오더부(120)에 제공하는 고장정지 관리부(160); 및After the time series analysis according to the order of occurrence of the accident or failure of the facility, the HOPE analysis according to the human, organization, procedure, and equipment is performed for each time series analysis. A failure stop management unit 160 for establishing a countermeasure for preventing a recurrence of an accident and occurrence of a similar accident and providing the countermeasure to the work order unit 120; And 상기 RCM 분석 결과에 의한 경상예방업무(511)를 경상예방공사(115)를 위한 대기 작업의 형태로 관리하고, 상기 RBI 분석 결과에 의한 계획예방업무(614)를 계획예방정비공사(116)를 위한 대기 작업 형태로 관리하는 예방점검정비 관리부(1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태기반 발전소 운전 및 정비 관리 시스템.The current preventive work 511 based on the RCM analysis result is managed in the form of waiting work for the current preventive work 115, and the planned preventive maintenance work 614 based on the RBI analysis result is performed by the planned preventive maintenance work 116. State-based power plant operation and maintenance managemen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reventive maintenance maintenance unit 170 for managing in the form of waiting work.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이력 DB부(138)는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history DB unit 138 is 상기 표준절차(130) 후, 상기 정비 이력 및 상기 정비 작업의 결과가 기록된 워크 오더를 데이터 형태로 저장하고,After the standard procedure 130, the work order in which the maintenance history and the result of the maintenance work are recorded is stored in the form of data. 상기 워크 오더를 상기 신뢰도 관리부(500)에 제공하여 상기 RCM 분석시 사용되도록 하고, Providing the work order to the reliability management unit 500 to be used in the RCM analysis, 상기 워크 오더를 상기 위험도 관리부(600)에 제공하여 상기 RBI 분석시 사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태기반 발전소 운전 및 정비 관리 시스템.State-based power plant operation and maintenance managemen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for providing the work order to the risk management unit 600 to be used in the RBI analysis. 제 5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5, 상기 예방점검정비 관리부(170)는 The preventive maintenance maintenance unit 170 is PDA(117)에 입력된 상기 설비의 상태 정보, 상기 운전관리부(200)의 운전정보 및 상기 설비에 사용된 기름의 분석 결과를 종합하여, 상기 예방점검의 결과를 판단하되,The result of the preventive check is determined by combining the status information of the facility input to the PDA 117, the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operation management unit 200 and the analysis result of the oil used in the facility, 상기 설비의 상태 정보는 상기 설비의 상태에 따라 정상 상태, 환경불량 상태, 초기/경미 상태, 지속/감시 상태 및 재발/감시 상태로 구분되어 상기 PDA(117)에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태기반 발전소 운전 및 정비 관리 시스템.The state information of the facility is classified into a normal state, an environmental defect state, an initial / minor state, a sustained / monitored state, and a recurrence / monitoring state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facility and is input to the PDA 117. Power plant operation and maintenance management system.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관리부(200)는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operation management unit 200 상기 설비가 이상 운전 상태인 경우에 정비 작업용 워크 오더를 생성하고, 상기 정비 작업용 워크 오더를 상기 정비관리부(100)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태기반 발전소 운전 및 정비 관리 시스템.When the facility is in an abnormal operation state, a work order for maintenance work is generated, and a state-based power plant operation and maintenance management system, characterized by providing the maintenance work work order to the maintenance management unit (10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운영관리부(400)는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operation management unit 400 상기 정비관리부(100)로부터 상기 이력 DB부(138)에 저장된 정보를 주기적으로 제공받고, 상기 운전관리부(200)로부터 상기 운전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받고, 상기 성능관리부(300)로부터 상기 호기별 열효율을 실시간으로 제공받고, 상기 ERP(900)로부터 전력 거래 정보 및 정비 작업 간접 비용에 대한 수익정보를 제공받아, Periodically received information stored in the history DB unit 138 from the maintenance management unit 100, receiving the operation information in real time from the operation management unit 200, the thermal efficiency of each breath from the performance management unit 300 Received in real time, and receives the revenue information on the power transaction information and maintenance work indirect costs from the ERP (900), 상기 정비관리부(100), 상기 운전관리부(200), 상기 성능관리부(300) 및 상기 ERP(900)와 연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태기반 발전소 운전 및 정비 관리 시스템.State-based power plant operation and maintenance managemen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associated with the maintenance management unit (100), the operation management unit (200), the performance management unit (300) and the ERP (90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운영관리부(400)는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operation management unit 400 운영 지표(420)를 호기별로 운전 및 성능 지표(451), 신뢰도 지표(452) 및 정비 관리 지표(453)로 구분하여 관리하고, The operating indicators 420 are classified and managed by operation into performance and performance indicators 451, reliability indicators 452, and maintenance management indicators 453. 상기 호기별로 집계된 호기별 운영 지표(450)를 사업소별로 집계하고, Aggregate by operation unit (450) for each of the units collected by the unit, 상기 사업소별로 집계된 사업소별 운영 지표(440)를 전사 관리 지표(430)로 집계하여, The operation index 440 for each establishment counted by each establishment is aggregated as an enterprise management index 430, 계획 대비 상기 발전소의 운영 실적을 실시간으로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태기반 발전소 운전 및 정비 관리 시스템.State-based power plant operation and maintenance managemen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management of the operating performance of the power plant compared to the plan in real time.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운영관리부(400)에서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in the operation management unit 400 상기 운전 및 성능 지표(451)는 상기 운전관리부(200) 및 상기 성능관리부(300)로부터 실시간으로 제공받은 정보를 통해 산출되며, 복수 개의 개별 지표들 을 포함하고, The driving and performance indicator 451 is calculated through the information provided in real time from the driving management unit 200 and the performance management unit 300, and includes a plurality of individual indicators, 상기 신뢰도 지표(452)는 상기 신뢰도 관리부(500)로부터 제공받은 정보를 통해 산출되며, 복수 개의 개별 지표들로 이루어지며,The reliability indicator 452 is calculated through the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reliability manager 500, and consists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indicators, 상기 정비 관리 지표(453)는 상기 정비관리부(100)로부터 제공받은 정보를 통해 산출되며, 복수 개의 개별 지표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태기반 발전소 운전 및 정비 관리 시스템.The maintenance management index 453 is calculated through the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maintenance management unit 100, the state-based power plant operation and maintenance managemen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lurality of individual indicators.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운영관리부(400)는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operation management unit 400 상기 개별 지표에 대해 기간별로 계획 대비 운영 실적을 집계하고, 상기 개별 지표에 대해 기준값을 미리 설정하여,By calculating the operating results compared to the plan for the individual indicators for each period, by setting a reference value for the individual indicators in advance, 상기 기준값을 기준으로 상기 개별 지표에 대한 운영실적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태기반 발전소 운전 및 정비 관리 시스템.A state-based power plant operation and maintenance managemen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for determining the operating performance of the individual indicators based on the reference valu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RCM 분석은 마모 진행형 설비에 대해 실행되고,The RCM analysis is performed on the wear progress facility, 상기 RBI 분석은 열화 진행형 설비에 대해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태기반 발전소 운전 및 정비 관리 시스템.Wherein said RBI analysis is performed on a deteriorated advanced plan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위험도 관리부(600)는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isk management unit 600 상기 RBI 분석을 통해, 상기 정비 작업에 대한 위험 비용을 계산하여, 상기 위험 비용을 상기 코스트-타임 분석부(700)로 제공하며, Through the RBI analysis, the risk cost for the maintenance work is calculated, and the risk cost is provided to the cost-time analysis unit 700, 백로그 워크 오더(631, backlog work order) 생성하여, 상기 정비관리부(100)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태기반 발전소 운전 및 정비 관리 시스템.State-based power plant operation and maintenance managemen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o generate a backlog work order (631, backlog work order) to provide to the maintenance management unit (10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기반 발전소 운전 및 정비 관리 시스템은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tate-based power plant operation and maintenance management system 상기 ERP(900)와 연계되어 자재조회, 자재조달판정, 자재출고, 자재 지입 및 자재 환입 처리, 계약, 정산, 자산회계 관리를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태기반 발전소 운전 및 정비 관리 시스템.The state-based power plant operation and maintenance managemen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material inquiry, material procurement determination, material release, material input and material return processing, contract, settlement, asset accounting management in connection with the ERP (90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스트-타임 분석부(700)는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ost-time analysis unit 700 상기 신뢰도 관리부(500)로부터 상기 RCM 분석에 따른 정비 비용을 제공받아, 시간의 경과에 따른 정비 비용 곡선(C1)을 생성하고, Receiving the maintenance cost according to the RCM analysis from the reliability management unit 500, generates a maintenance cost curve (C1) over time, 상기 위험도 관리부(600)로부터 상기 RBI 분석에 따른 위험 비용을 제공받아, 시간의 경과에 따른 위험 비용 곡선(C2)을 생성하여, By receiving the risk cost according to the RBI analysis from the risk management unit 600, generates a risk cost curve (C2) over time, 상기 정비 비용 곡선(C1) 및 상기 위험 비용 곡선(C2)을 통해, 단위 설비별 코스트-타임 그래프에서 코스트-타임 곡선(C3)을 생성하고, Through the maintenance cost curve (C1) and the risk cost curve (C2), to generate a cost-time curve (C3) in the cost-time graph for each unit, 상기 코스트-타임 곡선(C3)을 통해, 상기 설비의 최적 정비 시점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태기반 발전소 운전 및 정비 관리 시스템.The state-based power plant operation and maintenance managemen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for determining the optimum maintenance time of the facility through the cost-time curve (C3).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코스트-타임 분석부(700)는 The method of claim 16, wherein the cost-time analysis unit 700 단위 설비마다의 상기 코스트-타임 곡선(C3)을 호기별 코스트-타임 그래프에 적용하여, The cost-time curve C3 for each unit is applied to the cost-time graph for each unit, 상기 호기별 코스트-타임 그래프에서, 상기 코스트-타임 곡선(C3)의 중첩 부위를 최적 정비 시점을 판단하고, 상기 중첩 부위에 존재하는 설비를 정비 대상 설비라고 판단하고, 상기 정비 대상 설비 및 상기 정비 대상 설비에 대한 상기 최적 정비 시점을 상기 정비관리부(100)에 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태기반 발전소 운전 및 정비 관리 시스템.In the cost-time graph for each breath, the optimum maintenance time is determined for the overlapped portion of the cost-time curve C3, the facility existing at the overlapped portion is determined to be the maintenance target equipment, and the maintenance target equipment and the maintenance State-based power plant operation and maintenance managemen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o present the optimum maintenance time for the target facility to the maintenance management unit (100).
KR1020090107957A 2009-11-10 2009-11-10 Condition-based plant operation and maintenance management system KR10101071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7957A KR101010717B1 (en) 2009-11-10 2009-11-10 Condition-based plant operation and maintenance management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7957A KR101010717B1 (en) 2009-11-10 2009-11-10 Condition-based plant operation and maintenance management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10717B1 true KR101010717B1 (en) 2011-01-24

Family

ID=436167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7957A KR101010717B1 (en) 2009-11-10 2009-11-10 Condition-based plant operation and maintenance management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0717B1 (en)

Cited B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1274B1 (en) 2011-07-13 2012-08-20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System and method with erp system to manage planet risk during outage
KR20130035122A (en) * 2011-09-29 2013-04-08 한국전력공사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performance monitoring and analysis
KR101266400B1 (en) * 2011-08-30 2013-05-22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maintenance intervals of printed circuit board
KR101282244B1 (en) * 2012-02-13 2013-07-10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preventing/failure maintenance information of equipment in nuclear power plant
KR101329395B1 (en) * 2012-06-04 2013-11-14 한국남동발전 주식회사 Power plant equipment management system and control method for thereof
KR101379288B1 (en) 2012-10-30 2014-04-02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System and method for grouping of maintenance activities using function group
KR101403690B1 (en) 2012-10-31 2014-06-05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risk evaluation according to working of nuclear power plant
KR101403691B1 (en) 2012-10-30 2014-06-05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risk evaluation according to maintenance plan of nuclear power plant
KR101405627B1 (en) * 2012-11-28 2014-06-10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System and method for condition monitoring of nuclear power plant equipment for preventing shadow effect
KR101409589B1 (en) * 2013-01-09 2014-06-20 주식회사 이지티 System for supporting maintenance for gas turbine
KR101502990B1 (en) * 2012-11-13 2015-03-16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System for preventing loss of voltage of safety bus in nuclear power plants
KR101579250B1 (en) 2015-06-26 2015-12-21 한국발전기술 주식회사 balance of plant vibration alarm device
KR20160000790A (en) 2014-06-25 2016-01-05 주식회사 이지티 Operating method for supporting maintenance for gas turbine
KR20160092527A (en) * 2014-12-31 2016-08-05 주식회사 효성 System and method for maintenance assessment in electric power equipment
KR20160093119A (en) * 2014-12-31 2016-08-08 주식회사 효성 Asset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electric power apparatus
KR20190043571A (en) * 2016-10-14 2019-04-26 미츠비시 히타치 파워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A guide information presentation system, a guide information presentation method, a program stored in a recording medium, and a guide information presentation device
KR20190094855A (en) * 2018-02-06 2019-08-14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Preventive maintenance job selection system, method considering failure prevention effect and storing medium of program executing preventive maintenance job selection
KR20200072178A (en) * 2018-12-12 2020-06-22 고등기술연구원연구조합 Dynamic risk assessment system and assessment method
KR20200075437A (en) * 2018-12-18 2020-06-26 대한민국(환경부 화학물질안전원장) System for checking performance of risk management plan
CN112446564A (en) * 2019-08-27 2021-03-05 北京国双科技有限公司 Method, device,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for determining equipment maintenance time
KR20210134466A (en) * 2020-05-01 2021-11-10 주식회사 에이티지 Method and System of Decision-Making for Establishing Maintenance Strategy of Power Generation Facilities
CN114662812A (en) * 2020-12-22 2022-06-24 中核核电运行管理有限公司 Automatic scheduling method for daily pre-maintenance projects of nuclear power plant
AU2020260535B2 (en) * 2018-03-16 2022-09-29 Kabushiki Kaisha Toshiba Operation plan creation apparatus, operation plan creation method, and program
US11550874B2 (en) * 2014-04-11 2023-01-10 Hartford Steam Boiler Inspection And Insurance Company Future reliability prediction based on system operational and performance data modelling
US11615348B2 (en) 2019-09-18 2023-03-28 Hartford Steam Boiler Inspection And Insurance Company Computer-based systems, computing components and computing objects configured to implement dynamic outlier bias reduction in machine learning models
US11636292B2 (en) 2018-09-28 2023-04-25 Hartford Steam Boiler Inspection And Insurance Company Dynamic outlier bias reduction system and method
KR20230131721A (en) 2022-03-07 2023-09-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acility data-based maintenance management system and management method
US11868425B2 (en) 2011-08-19 2024-01-09 Hartford Steam Boiler Inspection And Insurance Company Dynamic outlier bias reduction system and method
CN117474527A (en) * 2023-11-28 2024-01-30 北京都朗信息科技有限公司 Building construction safety standard assessment method
CN117474527B (en) * 2023-11-28 2024-05-24 北京都朗信息科技有限公司 Building construction safety standard assessment method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4417A (en) * 2000-07-04 2003-02-17 아사히 엔지니어링구 가부시키가이샤 System for diagnosing facility apparatus, managing apparatus and diagnostic apparatus
JP2003067042A (en) 2001-08-24 2003-03-07 Mitsubishi Heavy Ind Ltd Device and method for supporting maintenance scheduling
KR20050009009A (en) * 2003-07-15 2005-01-24 한국가스안전공사 Inspection Planning And Diagnosis Method for Major Industrial Plants Considering Potential Risk Involved And Recording Media Recorded Thereof Program
JP2008191900A (en) 2007-02-05 2008-08-21 Toshiba Corp Reliability-oriented plant maintenance operation support system, and operation support method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4417A (en) * 2000-07-04 2003-02-17 아사히 엔지니어링구 가부시키가이샤 System for diagnosing facility apparatus, managing apparatus and diagnostic apparatus
JP2003067042A (en) 2001-08-24 2003-03-07 Mitsubishi Heavy Ind Ltd Device and method for supporting maintenance scheduling
KR20050009009A (en) * 2003-07-15 2005-01-24 한국가스안전공사 Inspection Planning And Diagnosis Method for Major Industrial Plants Considering Potential Risk Involved And Recording Media Recorded Thereof Program
JP2008191900A (en) 2007-02-05 2008-08-21 Toshiba Corp Reliability-oriented plant maintenance operation support system, and operation support method

Cited By (3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1274B1 (en) 2011-07-13 2012-08-20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System and method with erp system to manage planet risk during outage
US11868425B2 (en) 2011-08-19 2024-01-09 Hartford Steam Boiler Inspection And Insurance Company Dynamic outlier bias reduction system and method
KR101266400B1 (en) * 2011-08-30 2013-05-22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maintenance intervals of printed circuit board
KR20130035122A (en) * 2011-09-29 2013-04-08 한국전력공사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performance monitoring and analysis
KR101282244B1 (en) * 2012-02-13 2013-07-10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preventing/failure maintenance information of equipment in nuclear power plant
KR101329395B1 (en) * 2012-06-04 2013-11-14 한국남동발전 주식회사 Power plant equipment management system and control method for thereof
KR101379288B1 (en) 2012-10-30 2014-04-02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System and method for grouping of maintenance activities using function group
KR101403691B1 (en) 2012-10-30 2014-06-05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risk evaluation according to maintenance plan of nuclear power plant
KR101403690B1 (en) 2012-10-31 2014-06-05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risk evaluation according to working of nuclear power plant
KR101502990B1 (en) * 2012-11-13 2015-03-16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System for preventing loss of voltage of safety bus in nuclear power plants
KR101405627B1 (en) * 2012-11-28 2014-06-10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System and method for condition monitoring of nuclear power plant equipment for preventing shadow effect
KR101409589B1 (en) * 2013-01-09 2014-06-20 주식회사 이지티 System for supporting maintenance for gas turbine
US11550874B2 (en) * 2014-04-11 2023-01-10 Hartford Steam Boiler Inspection And Insurance Company Future reliability prediction based on system operational and performance data modelling
KR20160000790A (en) 2014-06-25 2016-01-05 주식회사 이지티 Operating method for supporting maintenance for gas turbine
KR20160092527A (en) * 2014-12-31 2016-08-05 주식회사 효성 System and method for maintenance assessment in electric power equipment
KR20160093119A (en) * 2014-12-31 2016-08-08 주식회사 효성 Asset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electric power apparatus
KR101683256B1 (en) * 2014-12-31 2016-12-07 주식회사 효성 Asset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electric power apparatus
KR101683262B1 (en) * 2014-12-31 2016-12-21 주식회사 효성 System and method for maintenance assessment in electric power equipment
KR101579250B1 (en) 2015-06-26 2015-12-21 한국발전기술 주식회사 balance of plant vibration alarm device
CN109791634A (en) * 2016-10-14 2019-05-21 三菱日立电力系统株式会社 Tutorial message prompt system, tutorial message reminding method, program and tutorial message prompt equipment
KR20190043571A (en) * 2016-10-14 2019-04-26 미츠비시 히타치 파워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A guide information presentation system, a guide information presentation method, a program stored in a recording medium, and a guide information presentation device
KR102341915B1 (en) * 2016-10-14 2021-12-21 미츠비시 파워 가부시키가이샤 Guide information presentation system, guide information presentation method, program stored in a recording medium and guide information presentation device
KR102061404B1 (en) * 2018-02-06 2020-02-11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Preventive maintenance job selection system, method considering failure prevention effect and storing medium of program executing preventive maintenance job selection
KR20190094855A (en) * 2018-02-06 2019-08-14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Preventive maintenance job selection system, method considering failure prevention effect and storing medium of program executing preventive maintenance job selection
AU2020260535B2 (en) * 2018-03-16 2022-09-29 Kabushiki Kaisha Toshiba Operation plan creation apparatus, operation plan creation method, and program
US11636292B2 (en) 2018-09-28 2023-04-25 Hartford Steam Boiler Inspection And Insurance Company Dynamic outlier bias reduction system and method
US11803612B2 (en) 2018-09-28 2023-10-31 Hartford Steam Boiler Inspection And Insurance Company Systems and methods of dynamic outlier bias reduction in facility operating data
KR20200072178A (en) * 2018-12-12 2020-06-22 고등기술연구원연구조합 Dynamic risk assessment system and assessment method
KR102196748B1 (en) * 2018-12-12 2020-12-30 고등기술연구원연구조합 Dynamic risk assessment system and assessment method
KR20200075437A (en) * 2018-12-18 2020-06-26 대한민국(환경부 화학물질안전원장) System for checking performance of risk management plan
KR102266103B1 (en) 2018-12-18 2021-06-17 대한민국 System for checking performance of risk management plan
CN112446564A (en) * 2019-08-27 2021-03-05 北京国双科技有限公司 Method, device,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for determining equipment maintenance time
US11615348B2 (en) 2019-09-18 2023-03-28 Hartford Steam Boiler Inspection And Insurance Company Computer-based systems, computing components and computing objects configured to implement dynamic outlier bias reduction in machine learning models
KR102536984B1 (en) * 2020-05-01 2023-05-25 주식회사 에이티지 Method and System of Decision-Making for Establishing Maintenance Strategy of Power Generation Facilities
KR20210134466A (en) * 2020-05-01 2021-11-10 주식회사 에이티지 Method and System of Decision-Making for Establishing Maintenance Strategy of Power Generation Facilities
CN114662812A (en) * 2020-12-22 2022-06-24 中核核电运行管理有限公司 Automatic scheduling method for daily pre-maintenance projects of nuclear power plant
KR20230131721A (en) 2022-03-07 2023-09-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acility data-based maintenance management system and management method
CN117474527A (en) * 2023-11-28 2024-01-30 北京都朗信息科技有限公司 Building construction safety standard assessment method
CN117474527B (en) * 2023-11-28 2024-05-24 北京都朗信息科技有限公司 Building construction safety standard assessment metho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10717B1 (en) Condition-based plant operation and maintenance management system
KR101329395B1 (en) Power plant equipment management system and control method for thereof
Qingfeng et al.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equipment maintenance and safety integrity management system
US7016742B2 (en) Decision support for operations and maintenance (DSOM) system
US8442853B2 (en) Targeted equipment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for optimizing equipment reliability
US7103452B2 (en) Method and system for targeting and monitoring the energy performance of manufacturing facilities
US20020010563A1 (en) Method for achieving and verifying increased productivity in an industrial process
US9569397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maintenance of turbomachinery
US20130041783A1 (en) System and method for dynamic spare part management
US20130179356A1 (en) Method and system for maintenance of turbomachinery
CN111650901A (en) Intelligent unattended factory system for cement production line
US8639646B1 (en) System to build, analyze and manage a computer generated risk assessment model and perform layer of protection analysis using a real world model in software of a safety instrumented system architecture
Wakiru et al. A simulation-based optimization approach evaluating maintenance and spare parts demand interaction effects
KR102355401B1 (en) Apparatus and method establishing maintenance plan based on health index of equipment asset
CN107798479B (en) Knowledge management system based on full life cycle integrated knowledge experience information
US8521676B1 (en) System to build, analyze and manage a real world model in software of a safety instrumented system architecture for safety instrumented systems in a facility
CN112561289A (en) Energy performance integrated verification method in energy management system authentication
Vicente Assessing the cost of unreliability in gas plant to have a sustainable operation
JP2004191359A (en) Risk management device
Hunton et al. Business case analysis for digital safety-related instrumentation & control system modernizations
Bakri et al. Systematic Industrial Maintenance to Boost the Quality Management Programs
CN113537681A (en) Method and system for refining enterprise equipment management informatization
CN110874712A (en) Modeling method of equipment integrity management system
England et al. Business Case Analysis for Digital Safety-Related Instrumentation & Control System Modernizations
Trappey et al. Re-engineering transformer maintenance processes to improve customized service deliver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3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