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7733B1 - 컨텐츠 데이터 관리 서버의 컨텐츠 데이터 관리 방법 및컨텐츠 데이터 관리서버 - Google Patents

컨텐츠 데이터 관리 서버의 컨텐츠 데이터 관리 방법 및컨텐츠 데이터 관리서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7733B1
KR100997733B1 KR1020080079340A KR20080079340A KR100997733B1 KR 100997733 B1 KR100997733 B1 KR 100997733B1 KR 1020080079340 A KR1020080079340 A KR 1020080079340A KR 20080079340 A KR20080079340 A KR 20080079340A KR 100997733 B1 KR100997733 B1 KR 1009977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data
similar
original
hash value
management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93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20658A (ko
Inventor
김준범
김진욱
조시연
Original Assignee
씨네이십일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씨네이십일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씨네이십일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793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7733B1/ko
Publication of KR201000206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06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77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77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3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unstructured textual data
    • G06F16/31Indexing; Data structures therefor; Storage structures
    • G06F16/316Indexing structures
    • G06F16/325Hash tabl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컨텐츠 데이터 관리 방법이 개시된다. 원본 컨텐츠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고, 컨텐츠 데이터 리스트가 포함된 컨텐츠 관리 서버의 컨텐츠 데이터 관리 방법에 있어서, (a) 제1 컨텐츠 데이터가 업로드 되는 단계 (b) 제1 컨텐츠 데이터와 원본 컨텐츠 데이터 간의 유사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c) 제1 컨텐츠 데이터가 원본 컨텐츠 데이터와 유사한 제1 유사 컨텐츠 데이터라고 판단되는 경우, 제1 유사 컨텐츠 데이터의 명칭을 포함하도록 컨텐츠 데이터 리스트를 갱신하는 단계 여기서, 컨텐츠 데이터 리스트에 포함되는 제1 유사 컨텐츠 데이터의 명칭은 원본 컨텐츠 데이터와 링크(link)됨-; 및 (d) 제1 유사 컨텐츠 데이터의 해쉬값을 추출하여, 컨텐츠 관리 서버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컨텐츠 관리 서버의 컨텐츠 데이터 관리 방법은, 서버의 용량을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저작권, 컨텐츠 데이터, 리스트

Description

컨텐츠 데이터 관리 서버의 컨텐츠 데이터 관리 방법 및 컨텐츠 데이터 관리서버 {method of managingcontents data in contents data managing server and in contents data managing server}
본 발명은 컨텐츠 데이터 관리 서버의 컨텐츠 데이터 관리 방법 및 컨텐츠 데이터 관리 서버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은 인간 사회에 필수불가결한 존재가 되어가고 있다. 언론사들은 홈페이지를 통해 뉴스를 실시간으로 전달하며, 기업들은 온라인 상에서 소비자들과 접촉하고 그들의 의견을 수렴한다.
또한, 인터넷은 개인의 지식과 정보를 공유하는 미디어로서의 역할을 수행한다. UCC(user created content)의 생산을 돕는 디지털 카메라 등의 개인기기의 대중화 역시 이러한 새로운 미디어의 발전을 더욱 가속화시키고 있다.
한편, 이와 같은 인터넷의 발전은 복제와 공유가 쉽다는 디지털 정보의 특성에 기인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그러나, 디지털 정보의 용이한 복제와 공유가 긍정적인 면만을 가지는 것은 아니다.
컨텐츠 생산자의 저작권에 대한 인식은 높아지고 있으나, 기술적인 발전은 오히려 저작권 보호를 미흡하게 만들기도 한다. 이에 대한 대응 방안으로 온라인 음원 시장에서는 디알엠(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기술이 도입되었다. 이는 음원을 구매할 경우 컨텐츠를 암호화된 형태로 전송하고, 정당한 권한을 가진 것으로 인정되는 기기에서의 재생을 가능하게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노력에도 불구하고, 저작권 인증 받은 원본 데이터가 서버에 업로딩(uploading)이 되어도, 이와 관련된 유사 데이터(예를 들어, 캠버전, dvd-rip, tv-rip)들이 계속 업로딩 되고 있는 실정이다. 예를 들어, 영화 A 에 대하여 저작권을 인증받은 원본 데이터가 업로딩이 되어 있는데도 불구하고, 이와 관련하여 영화 A를 캠으로 찍은 유사 데이터 또는 티브에서 방영된 영화 A에 대한 파일 데이터들이 계속 업로딩 되고 있다. 즉, 동일한 영화 A에 대한 다양한 종류의 데이터들이 서버에 업로딩 되고 있는 것이다.
이는, 서버의 저장 용량을 계속 요구하게 되나 서버의 저장 용량에는 그 한계가 있기 때문에 문제가 된다. 또한, 저작권이 인증받은 원본 데이터 외에 유사 파일이 너무 많아, 데이터를 다운로드 하려는 사용자가 퀄리티가 인증되며 저작권도 또한 인증되는 원본 데이터를 찾기 힘들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저작권 인증 받은 원본 데이터의 유통보다는 저작권 인증받지 아니하는 불법 컨텐츠 데이터가 용이하게 유통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저작권이 인증받은 원본 데이터와 명칭이 유사한 불법 컨텐츠 데이터가 난무하여, 퀄리티 및 저작권이 유효한 원본 데이터를 이용하려는 사용자들에게 혼란이 야기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서버의 용량을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발명은 컨텐츠 데이터 관리 서버의 컨텐츠 데이터 관리 방법 및 컨텐츠 데이터 관리 서버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에게 퀄리티 및 저작권이 인증된 원본 컨텐츠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는 발명은 컨텐츠 데이터 관리 서버의 컨텐츠 데이터 관리 방법 및 컨텐츠 데이터 관리 서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원본 컨텐츠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고, 컨텐츠 데이터 리스트가 포함된 컨텐츠 관리 서버의 컨텐츠 데이터 관리 방법에 있어서, (a) 제1 컨텐츠 데이터가 업로드 되는 단계 (b) 제1 컨텐츠 데이터와 원본 컨텐츠 데이터 간의 유사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c) 제1 컨텐츠 데이터가 원본 컨텐츠 데이터와 유사한 제1 유사 컨텐츠 데이터라고 판단되는 경우, 제1 유사 컨텐츠 데이터의 명칭을 포함하도록 컨텐츠 데이터 리스트를 갱신하는 단계 여기서, 컨텐츠 데이터 리스트에 포함되는 제1 유사 컨텐츠 데이터의 명칭은 원본 컨텐츠 데이터와 링크(link)됨-; 및 (d) 제1 유사 컨텐츠 데이터의 해쉬값을 추출하여, 컨텐츠 관리 서버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컨텐츠 관리 서버의 컨텐츠 데이터 관리 방법이 제공된다.
여기서, 원본 컨텐츠 데이터는, 원본 컨텐츠 데이터에 대한 재생 권한이 유효한 경우, 원본 컨텐츠 데이터를 재생할 수 있는 재생 코드 및 재생 권한이 유효하지 않은 경우, 원본 컨텐츠 데이터의 재생을 제어하는 결제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d) 단계 이후에, (e) 제2 컨텐츠 데이터가 업로드 되는 단계 (f) 제2 컨텐츠 데이터와 원본 컨텐츠 데이터 간의 유사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g) 제2 컨텐츠 데이터가 원본 컨텐츠 데이터와 유사한 제2 유사 컨텐츠 데이터라고 판단되는 경우, 제2 유사 컨텐츠 데이터의 해쉬값을 추출하는 단계 (h) 제2 유사 컨텐츠 데이터의 해쉬값과 컨텐츠 관리 서버에 저장된 유사 컨텐츠 데이터의 해쉬값의 지정된 범위내에서 유사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i) 제2 유사 컨텐츠 데이터의 해쉬값과 유사 컨텐츠 데이터의 해쉬값이 지정된 범위내에서 유사한 경우, 제2 유사 컨텐츠 데이터의 명칭을 포함하도록 컨텐츠 데이터 리스트를 갱신하는 단계 여기서, 컨텐츠 데이터 리스트에 포함되는 제2 유사 컨텐츠 데이터의 명칭은 원본 컨텐츠 데이터와 링크(link)됨-;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h) 단계에서, 제2 유사 컨텐츠 데이터의 해쉬값과 제1 유사 컨텐츠 데이터의 해쉬값이 지정된 범위내에서 유사하지 않다고 판단되는 경우, (i) 제2 유사 컨텐츠 데이터의 명칭을 포함하도록 컨텐츠 데이터 리스트를 갱신하는 단계 여기서, 컨텐츠 데이터 리스트에 포함되는 제2 유사 컨텐츠 데이터의 명칭은 원본 컨텐츠 데이터와 링크(link)됨-; (j) 제2 유사 컨텐츠 데이터의 해쉬값을 컨텐츠 관리 서버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f) 단계는, (f-1) 원본 컨텐츠 데이터에서 복수개의 원본 컨텐츠 데이터 프레임을 추출하는 단계 (f-2) 추출한 복수개의 원본 컨텐츠 데이터 프레임과 지정된 범위내에서 유사한 프레임이 제2 컨텐츠 데이터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f-3) 복수개의 원본 컨텐츠 데이터 프레임과 지정된 범위내에서 유사한 프레임이 제2컨텐츠 데이터에 포함되는 정도에 기초하여 원본 컨텐츠 데이터와 제2 컨텐츠 데이터의 유사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f) 단계는, (f-1) 제2 컨텐츠 데이터에서 복수개의 제2 컨텐츠 데이터 프레임을 추출하는 단계 (f-2) 추출한 복수개의 제2 컨텐츠 데이터 프레임과 지정된 범위내에서 유사한 프레임이 원본 컨텐츠 데이터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f-3) 복수개의 제2 컨텐츠 데이터 프레임과 지정된 범위내에서 유사한 프레임이 원본컨텐츠 데이터에 포함되는 정도에 기초하여 원본 컨텐츠 데이터와 제2 컨텐츠 데이터의 유사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b) 단계는, (b-1) 원본 컨텐츠 데이터에서 복수개의 원본 컨텐츠 데이터 프레임을 추출하는 단계 (b-2) 추출한 복수개의 원본 컨텐츠 데이터 프레임과 지정된 범위내에서 유사한 프레임이 제1 컨텐츠 데이터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b-3) 복수개의 원본 컨텐츠 데이터 프레임과 지정된 범위내에서 유사한 프레임이 제1 컨텐츠 데이터에 포함되는 정도에 기초하여 원본 컨텐츠 데이터와 제1 컨텐츠 데이터의 유사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거나, (b-1) 제1 컨텐츠 데이터에서 복수개의 제1 컨텐츠 데이터 프레임을 추출하는 단계 (b-2) 추출 한 복수개의 제1 컨텐츠 데이터 프레임과 동일한 프레임이 원본 컨텐츠 데이터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b-3) 복수개의 제1 컨텐츠 데이터 프레임과 지정된 범위내에서 유사한 프레임이 원본컨텐츠 데이터에 포함되는 정도에 기초하여 원본 컨텐츠 데이터와 제1 컨텐츠 데이터의 유사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컨텐츠 데이터가 업로드 되는 컨텐츠 데이터 업로딩부 저작권 인증을 받은 원본 컨텐츠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원본 컨텐츠 데이터 저장부 컨텐츠 데이터가 원본 컨텐츠 데이터와 유사한 유사 컨텐츠 데이터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유사 컨텐츠 데이터 판단부 유사 컨텐츠 데이터의 명칭 및 원본 컨텐츠 데이터의 명칭을 포함하는 컨텐츠 데이터 리스트를 저장하는 컨텐츠 데이터 리스트 저장부 유사 컨텐츠 데이터의 명칭 및 원본 컨텐츠 데이터의 명칭은 원본 컨텐츠 데이터가 다운로드 되도록 링크됨-; 유사 컨텐츠 데이터의 해쉬값을 추출하는 해쉬값 추출부 및 유사 컨텐츠 데이터의 해쉬값을 저장하는 해쉬값 저장부를 포함하는 컨텐츠 데이터 관리 서버가 제공된다.
여기서, 원본 컨텐츠 데이터는, 원본 컨텐츠 데이터에 대한 재생 권한이 유효한 경우, 원본 컨텐츠 데이터를 재생할 수 있는 재생 코드 및 재생 권한이 유효하지 않은 경우, 원본 컨텐츠 데이터의 재생을 제어하는 결제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유사 컨텐츠 데이터 판단부는 컨텐츠 데이터에서 복수개의 컨텐츠 데이터 프레임을 추출하는 프레임 추출부 및 컨텐츠 데이터 프레임이 원본 컨텐츠 데이터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프레임 판단부를 포함하거나, 원본 컨텐츠 데이터에서 복수개의 원본 컨텐츠 데이터 프레임을 추출하는 프레임 추출부 및 원본 컨텐츠 데이터 프레임이 컨텐츠 데이터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프레임 판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유사 컨텐츠 데이터들의 해쉬값이 지정된 범위내에서 유사한지 여부를 판단하여, 유사 컨텐츠 데이터들 간의 동일 여부를 판단하는 유사 컨텐츠 데이터 동일 여부 판단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컨텐츠 데이터 서버의 용량을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에게 퀄리티 및 저작권이 인증된 컨텐츠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로부터 다른 구성요소로 "입력된다" 거나 "전달된다" 등으로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구성요소에 직접 입력되거나 또는 직접 전달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를 거쳐 입력되거나 또는 전달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로부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입력된다" 거나 "직접 전달된다" 라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를 거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데이터 관리 서버의 컨텐츠 데이터 관리 방법에 대하여 살펴보도록 한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 설명될 컨텐츠 데이터 관리 방법은, 컨텐츠 데이터를 관리하고 제공하는 컨텐츠 데이터 관리 서버에서 수행되며, 컨텐츠 데이터는 재생의 대상이 되는 컨텐츠 자체를 포함하는 데이터이다. 예를 들어, 컨텐츠 데이터는 이미지, 동영상, 음악 등의 다양한 형태의 컨텐츠 일 수 있다. 본 명세서 상에서 컨텐츠 데이터는 원본 컨텐츠 데이터와 유사 컨텐츠 데이터로 나뉠 수 있다.
원본 컨텐츠 데이터는, 저작권이 인증된 컨텐츠 데이터로 본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데이터 관리 서버에 저장되어,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컨텐츠 데이터를 말한다. 유사 컨텐츠 데이터는, 저작권이 인증되지 않은 컨텐츠 데이터로, 예를 들어, 특정 영화에 대한 캠 버전, dvd-rip, tv-rip 등의 컨텐츠 데이터를 말한다. 이와 같은 유사 컨텐츠 데이터의 경우, 저작권이 인증되지 않아, 저작권 관련 문제가 있으며, 그 퀄리티(quality)가 보장되지 않는다는 문제가 있다. 이하, 본 명세서 상 에서 원본 컨텐츠 데이터 및 유사 컨텐츠 데이터는 상기와 같은 의미로 사용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원본 컨텐츠 데이터는 원본 컨텐츠 데이터에 대한 재생 권한이 유효한 경우, 원본 컨텐츠 데이터를 재생할 수 있는 재생 코드 및 재생 권한이 유효하지 않은 경우, 원본 컨텐츠 데이터의 재생을 제어하는 결제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이하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도록 한다.
도 1 내지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데이터 관리 서버의 컨텐츠 데이터 관리 방법을 도시한 제어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데이터 관리 방법을 설명함에 있어서, 컨텐츠 데이터 관리 서버가 주체인 것으로 설명한다. 컨텐츠 데이터 관리 서버의 각 구성부에 대해서는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후술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데이터 관리 서버는 사용자에게 영화, 음악 등과 같은 컨텐츠 데이터를 제공하는 서버로서, 전술한 바와 같이, 원본 컨텐츠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으며, 사용자에게는 원본 컨텐츠 데이터를 제공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데이터 관리 서버는, 사용자에게 컨텐츠 데이터 관리 서버에 어떤 컨텐츠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컨텐츠 데이터 리스트를 포함하고 있다.
도 1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원본 컨텐츠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고, 컨텐츠 데이터 리스트를 포함하는 컨텐츠 관리 서버에 제1 컨텐츠 데이터가 업로드(upload) 된다(S110). 제1 컨텐츠 데이터는, 컨텐츠 관리 서버에 사용자들에 의하여 업로드 될 수 있다.
제1 컨텐츠 데이터가 업로드 된 경우, 컨텐츠 데이터 관리 서버는 저장되어 있는 원본 컨텐츠 데이터들 중 제1 컨텐츠 데이터가 유사한 컨텐츠 데이터가 있는지를 판단한다(S120). 이때, 본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데이터 관리 서버가 원본 컨텐츠 데이터와 제1 컨텐츠 데이터의 유사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은 하기와 같은 방법일 수 있다.
먼저, 컨텐츠 데이터 관리 서버는 원본 컨텐츠 데이터에서 복수개의 원본 컨텐츠 데이터 프레임을 추출한다. 즉, 컨텐츠 데이터 관리 서버는 원본 컨텐츠 데이터에서 임의의 프레임을 복수개 추출한다. 이때, 원본 컨텐츠에서 추출한 프레임을 원본 컨텐츠 데이터 프레임이라 한다. 이와 같이, 추출된 원본 컨텐츠 데이터 프레임과 지정된 범위내에서 유사한 프레임이 제1 컨텐츠 데이터에 포함되는 정도에 기초하여, 컨텐츠 데이터 관리 서버는 원본 컨텐츠 데이터와 제1 컨텐츠 데이터의 유사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즉, 추출된 복수개의 원본 컨텐츠 데이터 프레임 중 일정 개수 이상의 원본 컨텐츠 데이터 프레임과 지정된 범위내에서 유사한 프레임이 제1 컨텐츠 데이터에 포함되는 경우, 원본 컨텐츠 데이터와 제1 컨텐츠 데이터는 제1 유사 컨텐츠 데이터라고 판단된다. 이때, 원본 컨텐츠 데이터와 제1 컨텐츠 데이터의 유사 여부를 결정하는 기준이 되는 비율은, 컨텐츠 데이터 관리 서버의 관리자에 의하여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리자가 조금만 유사한 프레임이 들어있어도 유사 컨텐츠 데이터로 분류하여 관리하고자 하는 경우는 그 비율은 하향 조 정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원본 컨텐츠 데이터에서 원본 컨텐츠 데이터 프레임을 추출한 후 이들이 제1 컨텐츠 데이터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 이외에도, 컨텐츠 데이터 관리 서버는 제1 컨텐츠 데이터에서 복수개의 제1 컨텐츠 데이터 프레임을 추출한 후, 복수개의 제1 컨텐츠 데이터 프레임이 원본 컨텐츠 데이터에 포함되는 정도에 기초하여 원본 컨텐츠 데이터와 제1 컨텐츠 데이터의 유사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즉, 컨텐츠 데이터 관리 서버는 제1 컨텐츠 데이터에서 복수개의 제1 컨텐츠 데이터 프레임을 추출한다. 이때, 추출된 제1 컨텐츠 데이터 프레임과 지정된 범위내에서 유사한 프레임이 원본 컨텐츠 데이터 프레임에 포함되는 정도에 기초하여, 컨텐츠 데이터 관리 서버는 원본 컨텐츠 데이터와 제1 컨텐츠 데이터의 유사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제1 컨텐츠 데이터가 원본 컨텐츠 데이터와 유사하지 않다고 판단되는 경우, 업로드 된 제1 컨텐츠 데이터는 컨텐츠 관리 서버에서 삭제될 수 있다(S131).
상술한 바와 같이, 도 1의 참조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단계 S131에서 컨텐츠 데이터간의 유사성을 판단하기 위하여 하나의 컨텐츠 데이터에서 임의의 프레임을 추출하여 다른 컨텐츠 데이터에서 유사한 데이터가 포함되는지 여부를 이용하여 판단하는 것으로 설명하였다. 그러나, 컨텐츠 데이터간의 유사성을 판단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출원시 다양한 방법이 공지되어 있으므로, 공지된 방법 이 단계 S110에 적용될 수 있음은 컨텐츠 데이터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하, ‘당업자’라 칭함)에게 자명하다.
단계 S131에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원본 컨텐츠 데이터와 동일 또는 유사하지 않는 제1 컨텐츠 데이터가 삭제되는 것으로 설명하였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1을 참조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저작권 및 퀄리티가 인증받은 컨텐츠 데이터 제공자(Contents Provider)에 의해서만 원본 컨텐츠 데이터가 업로드되며, 그 외에 컨텐츠 데이터가 업로드되지 않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술한 가정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도모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단계 S121에서 다양한 방법이 적용될 수 있음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비추어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예를 들어, 단계 S120에서 원본 데이터와 유사하지 아니한 제1 컨텐츠 데이터가 업로드 되는 경우, 단계 S121에서 제1 컨텐츠 데이터는 컨텐츠 데이터 관리 서버의 관리자가 모니터링 하기 위해서 별도의 저장공간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단계 S121에서 제1 컨텐츠 데이터가 삭제됨과 함께, 삭제된 제1 컨텐츠 데이터의 명칭이 삭제 리스트와 같이 별도로 관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텐츠 데이터 관리 서버는 향후 업로드되는 컨텐츠 데이터를 삭제 리스트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업로드 되는 컨텐츠 데이터의 명칭에 삭제 리스트에 포함되는 경우, 이후 후술할 S130 단계 이후의 방법을 거치지 아니하고, 바로 삭제할 수 있다.
이어서, 제1 컨텐츠 데이터가 원본 컨텐츠 데이터와 유사한 제1 유사 컨텐츠 데이터라고 판단되는 경우, 컨텐츠 데이터 관리 서버는 제1 유사 컨텐츠 데이터의 명칭을 포함하도록 컨텐츠 데이터 리스트를 갱신한다(S130). 본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데이터 관리 서버에 어떤 컨텐츠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지를 나타내는 컨텐츠 데이터 리스트에 제1 유사 컨텐츠 데이터의 명칭이 포함되도록 컨텐츠 데이터 리스트가 갱신된다. 이때, 제1 유사 컨텐츠 데이터의 명칭은 원본 컨텐츠 데이터와 링크(link)되어 있다.
예를 들어, 원본 컨텐츠 데이터가 영화 ‘아이언 맨’인 경우, 제1 유사 컨텐츠 데이터의 명칭 ‘아이언 맨(캠버젼)’이 포함되도록 컨텐츠 데이터 리스트가 갱신되고, 제1 유사 컨텐츠 데이터의 명칭 ‘아이언 맨(캠버젼)’ 은 원본 컨텐츠 데이터와 링크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제1 유사 컨텐츠 데이터의 명칭 ‘아이언 맨(캠버젼)’을 다운로드 받기 위하여, 제1 유사 컨텐츠 데이터의 명칭을 클릭(CLICK)하여 다운로드를 요청하는 경우에도, 제1 유사 컨텐츠 데이터가 아닌, 저작권 인증을 받은 원본 컨텐츠 데이터가 다운로드 되게 된다.
이와 같이, 제1 유사 컨텐츠 데이터 명칭이 포함되도록 컨텐츠 데이터 리스트가 갱신된 이후, 제1 유사 컨텐츠 데이터의 해쉬값이 추출되고, 제1 유사 컨텐츠 데이터의 해쉬값이 컨텐츠 데이터 관리 서버에 저장되게 된다(S140).
해쉬값은 해당 데이터 즉, 해당 파일이 가질 수 있는 고유값으로, 상이한 파일이라면 서로 상이한 해쉬값을 갖게 된다. 따라서, 제1 유사 컨텐츠 데이터의 해쉬값을 추출하여 이를 저장하는 것을 통하여, 이후 제1 유사 컨텐츠 데이터와 동일한 데이터가 업로드 되는 경우를 쉽게 판단할 수 있다. 이후에 업로드되는 유사 컨 텐츠 데이터의 관리가 용이해질 수 있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제1 유사 컨텐츠 데이터가 업로드 된 이후, 제2 유사 컨텐츠 데이터가 업로드 되는 경우의 컨텐츠 데이터 관리 서버의 컨텐츠 데이터 관리 방법에 대하여 살펴보도록 한다. 도 2는 제1 유사 컨텐츠 데이터가 업로드 된 이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데이터 관리 서버의 컨텐츠 데이터 관리 방법을 도시한 제어 흐름도 이다.
제1 유사 컨텐츠 데이터가 업로드 된 이후, 본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데이터관리 서버에 제2 컨텐츠 데이터가 업로드 된다(S150). 그리고, 컨텐츠 관리 서버는 제2 컨텐츠 데이터가 원본 컨텐츠 데이터와 유사한지 여부를 판단한다(S160). 즉, 컨텐츠 데이터 관리 서버는 저장되어 있는 원본 컨텐츠 데이터들 중 제2 컨텐츠 데이터와 유사한 컨텐츠 데이터가 있는지를 판단한다. 이때, 제2 컨텐츠 데이터가 원본 컨텐츠 데이터와 유사한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서는 전술한 제1 컨텐츠 데이터와 원본 컨텐츠 데이터 간의 유사 여부 판단 방법과 유사한 방법이 사용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2 컨텐츠 데이터가 원본 컨텐츠 데이터와 유사하지 않다고 판단되는 경우, 업로드 된 제2 컨텐츠 데이터는 컨텐츠 관리 서버에서 삭제될 수 있다(S161).
또는 앞서 도 1의 단계 S12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2 컨텐츠 데이터가 컨텐츠 데이터 서버의 관리자에 의해 별도로 관리 될 수 있음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비추어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반면, 컨텐츠 데이터 관리 서버가 제2 컨텐츠 데이터가 원본 컨텐츠 데이터와 유사하다고 판단한 경우, 즉 제2 컨텐츠 데이터가 원본 컨텐츠 데이터와 유사한 제2 유사 컨텐츠 데이터라고 판단되는 경우, 제2 유사 컨텐츠 데이터의 해쉬값을 추출한다(S170). 다음으로, 추출한 제2 유사 컨텐츠 데이터의 해쉬값과 컨텐츠 데이터 관리 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유사 컨텐츠 데이터의 해쉬값이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S180). 즉, 컨텐츠 데이터 관리 서버에 저장된 제1 유사 컨텐츠 데이터의 해쉬값 이외에도 하나의 원본 컨텐츠 데이터와 유사한 복수개의 유사 컨텐츠 데이터의 해쉬값이 저장된 경우, 저장되어 있는 유사 컨텐츠 데이터의 해쉬값 각각과 제2 유사 컨텐츠 데이터의 해쉬값이 일치하는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기 저장되어 있는 유사 컨텐츠 데이터의해쉬값과 제2 유사 컨텐츠 데이터의 해쉬값이 일치하는 경우, 이미 저장되어 있는 유사 컨텐츠 데이터와 제2 유사 컨텐츠 데이터는 동일한 데이터이므로, 제2 유사 컨텐츠 데이터의 명칭이 포함되도록 컨텐츠 데이터 리스트만을 갱신하게 된다(S190). 이때, 제2 유사 컨텐츠 데이터의 명칭은 제2 유사 컨텐츠 데이터의 원본 컨텐츠 데이터와 링크된다. 즉, 사용자가 제2 유사 컨텐츠 데이터를 다운로드 받기 위하여, 제2 유사 컨텐츠 데이터의 명칭을 클릭(CLICK)하는 경우, 컨텐츠 데이터 관리 서버는 제2 유사 컨텐츠 데이터가 아닌, 저작권 인증을 받은 원본 컨텐츠 데이터가 사용자에게 다운로드 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저작권 인증 및 컨텐츠 데이터의 퀄리티가 보장된 원본 컨텐츠 데이터를 자동으로 다운받아 감상할 수 있게 된다.
기 저장되어 있는 유사 컨텐츠 데이터의해쉬값과 제2 유사 컨텐츠 데이터의 해쉬값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제2 유사 컨텐츠 데이터는 원본 컨텐츠 데이터와 유사하나, 이미 저장되어 있는 유사 컨텐츠 데이터와는 상이한 컨텐츠 데이터이므로, 먼저 제2 유사 컨텐츠 데이터의 명칭이 포함되도록 컨텐츠 데이터 리스트를 갱신하고(S191), 다음으로 제2 유사 컨텐츠 데이터의 해쉬값을 저장하게 된다(S192). 후에 또 다른 유사 컨텐츠 데이터가 업로드 된 경우, 이들의 관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제2 유사 컨텐츠 데이터의 해쉬값도 저장되는 것이다.
지금까지 도 2를 참조하여, 제1 유사 컨텐츠 데이터가 업로드 된 이후, 제2 유사 컨텐츠 데이터가 업로드 되는 경우의 컨텐츠 데이터 관리 서버의 컨텐츠 데이터 관리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 각 단계는 다양하게 순서가 변경되거나, 통합되어 실시되거나 수정 변경될 수 있음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비추어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컨텐츠 데이터 리스트는 원본 컨텐츠 리스트 및 유사 컨텐츠 리스트의 명칭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컨텐츠 데이터 별로 원본 컨텐츠 데이터 명칭과 유사 컨텐츠 데이터 명칭을 포함하는 컨텐츠 리스트가 존재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 컨텐츠 데이터가 업로드 되는 경우(S150), 제2 컨텐츠 데이터의 명칭을 이용하여 유사한 명칭을 포함하는 컨텐츠 리스트를 추출할 수 있다(미도시). 이어서, 추출된 컨텐츠 리스트에 존재하는 원본 데이터와 제2 컨텐츠 데이터의 유사 여부가 판단될 수 있으며(S160), 이후 S170 단계 이하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제2 컨텐츠 데이터의 해쉬값이 추출되고(S170), 추출된 컨텐츠 리스트에 포함되는 유사 컨텐츠의 해쉬값과 비교되는 단계(S180)가 먼저 수행되고, 이후 추출된 컨텐츠 리스트에 포함되는 원본 컨텐츠 데이터와 제2 컨텐츠 데이터간의 유사여부가 먼저 판단될 수 있음은(S160)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비추어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본 컨텐츠 데이터 재생 관리 방법의 흐름도이다.
사용자 식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310)는 재생 제어 코드에 의하여 사용자 단말기의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 식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이다. 사용자 식별 정보로는 사용자 아이디 정보, 사용자 고유키 정보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사용자 각각을 구별하기에 충분한 정보는 사용자 식별 정보로 사용될 수 있다.
사용자 식별 정보는 패키지 이력 정보에 포함되는 전송 이력 정보, 결제 이력 정보, 재생 이력 정보의 일부로서 포함될 수 있다.
재생 권한 유효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320)는 재생 제어 코드에 의하여 재생 권한의 유효성을 판단하는 단계이다. 재생 권한의 유효성은 패키지 이력 정보를 참조하여 판단될 수 있다.
재생 권한의 유효성에 따라 컨텐츠 데이터 재생 단계(S330) 또는 결제 코드 실행 단계(S340)이 실행된다.
컨텐츠 재생 코드를 실행하여 컨텐츠 데이터를 재생하는 단계(S330)는 컨텐 츠 재생 코드가 사용자 단말기에서 실행되어 컨텐츠 데이터를 재생하는 단계이다. 본 실시예에서 컨텐츠 재생 코드는 컨텐츠 데이터를 재생하기 위한 전용 재생기 프로그램이다.
결제 코드를 실행하는 단계(3240)는 컨텐츠 패키지에 포함된 결제 코드의 실행으로 사용자에게 컨텐츠 데이터의 재생에 대한 비용 지불을 요청하는 단계이다.
한편, 결제 코드의 실행에 의한 결제 수단 정보를 사용자에게 요청하기 전에 미리 보기 컨텐츠로서 컨텐츠 데이터의 일부를 재생할 수 도 있으며, 이는 컨텐츠 구매율을 높이는 역할을 수행 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데이터 재생 관리 방법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에 표시되는 컨텐츠 재생 화면 및 결제 요청 화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컨텐츠 재생 화면(400) 및 결제 요청 화면(410)이 도시되어 있다.
컨텐츠 재생 화면(400)은 컨텐츠 데이터가 재생되어 표현되는 영역과 재생관련 명령들을 수신할 수 있는 수단이 표현되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결제 요청 화면(410)은 컨텐츠 패키지에서 미리 보기로 제공되는 컨텐츠 데이터의 일부에 대한 재생(예를 들어, 미리 보기)이 완료된 후, 제공되는 화면이다. 결제 요청 화면(410)을 통해 사용자는 지불 수단을 선택할 수 있다. 선택된 지불 수단에 대한 추가적인 정보는 결제 서버(130)로 전달된다.
결제 서버(130)는 지불 수단에 대한 추가적인 정보에 상응하여, 해당 요금이 유효하게 결제되는지 여부를 검증하고, 결제가 유효한 경우, 컨텐츠 관리 서버(100) 및 제1 사용자 단말기(110)로 결제 완료 신호를 전송한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데이터 관리 서버의 구성에 대하여 살펴보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데이터 관리 서버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 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데이터 관리 서버(500)는 원본 컨텐츠 데이터 저장부(510), 컨텐츠 데이터 업로딩부 (520), 유사 컨텐츠 데이터 판단부(530), 컨텐츠 데이터 리스트 저장부(540), 해쉬값 추출부(550), 해쉬값 저장부(560) 및 유사 컨텐츠 데이터 유사 여부 판단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데이터 관리 서버(500)는 앞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 있는 컨텐츠 데이터 관리 방법과 동일한 방법이 수행되는 컨텐츠 데이터 관리 서버로,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고 간단하게 살펴보도록 한다.
원본 컨텐츠 데이터 저장부(510)는, 본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데이터 관리 서버(500)에서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저작권 인증을 받은 원본 컨텐츠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다.
컨텐츠 데이터 업로딩부(520)는 컨텐츠 데이터 관리 서버(500)에서 업로드되는 컨텐츠 데이터들을 포함하는 구성부이다. 컨텐츠 데이터 업로딩부(520)로 사용자에 의해 유사 컨텐츠 데이트가업로드 될 수 있다.
유사 컨텐츠 데이터 판단부(530)는 컨텐츠 데이터 관리 서버(500)로 업로드 된 컨텐츠 데이터가 원본 컨텐츠 데이터와 유사한 유사 컨텐츠 데이터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유사 컨텐츠 데이터 판단부(530)는 프레임 추출부(531) 및 프레임 판단부 (532)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프레임 추출부(531)는, 업로드 된 컨텐츠 데이터에서 복수개의 컨텐츠 데이터 프레임을 추출할 수 있다. 프레임 판단부(532)는 추출한 컨텐츠 데이터 프레임이 원본 컨텐츠 데이터에 포함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프레임 판단부(532)는 추출한 복수개의 컨텐츠 데이터 프레임이 지정된 범위내에서 원본 컨텐츠 데이터에 포함된 프레임과 유사한 경우 업로드 된 컨텐츠 데이터를 유사 컨텐츠 데이터라고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전술한바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프레임 추출부(531)는 원본 컨텐츠 데이터에서 복수개의 원본 컨텐츠 데이터 프레임을 추출할 수 있다. 프레임 판단부(532)는 추출한 원본 컨텐츠 데이터 프레임이 비교 대상인 컨텐츠 데이터에서 지정된 범위 이내의 유사한 프레임이 포함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프레임 판단부(532)는 추출한 원본 컨텐츠 데이터 프레임 중 일정 정도 이상이 컨텐츠 데이터에 포함되는 경우 업로드 된 컨텐츠 데이터를 유사 컨텐츠 데이터라고 판단할 수 있다.
컨텐츠 데이터 리스트 저장부(540)는 유사 컨텐츠 데이터의 명칭 및 원본 컨텐츠 데이터의 명칭을 포함하는 컨텐츠 데이터 리스트를 저장한다. 이때, 컨텐츠 데이터 리스트에 포함되는 유사 컨텐츠 데이터의 명칭 및 원본 컨텐츠 데이터의 명 칭은 원본 컨텐츠 데이터가 다운로드 되도록 링크된다.
컨텐츠 데이터 리스트 저장부(540)에 저장된 컨텐츠 데이터 리스트는 컨텐츠 데이터 관리 서버(500)에 저장된 원본 컨텐츠 데이터의 명칭 및 업로드 되는 유사 컨텐츠 데이터의 명칭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컨텐츠 데이터 리스트는 원본 컨텐츠 데이터가 다운로드 되도록 링크되어 있으므로, 사용자가 컨텐츠 데이터 리스트 중 유사 컨텐츠 데이터 명칭을 클릭하는 경우에도 사용자는 원본 컨텐츠 데이터를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해쉬값 추출부(550)는 유사 컨텐츠 데이터의 해쉬값을 추출한다. 그리고, 해쉬값 저장부(560)는 유사 컨텐츠 데이터에서 추출한 유사 컨텐츠 데이터들의 해쉬값을 저장한다.
유사 컨텐츠 데이터 유사 여부 판단부(미도시)는 추출한 유사 컨텐츠 데이터들의 해쉬값의 유사 여부를 판단하여, 유사 컨텐츠 데이터들간의 유사 여부를 판단한다. 즉, 유사 컨텐츠 데이터 유사 여부 판단부(미도시)는 본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데이터 관리 서버에 제일 처음 유사 컨텐츠 데이터가 업로드 된 이후, 유사 컨텐츠 데이터가 업로드 되는 경우, 유사 컨텐츠 데이터들간의 유사 여부를 판단한다. 해쉬값 추출부(550) 및 해쉬값 저장부(560)를 통하여 유사 컨텐츠 데이터의 해쉬값이 추출 및 저장되어 있으므로, 이미 저장되어 있는 제1 유사 컨텐츠 데이터의 해쉬값과 새로 업로드 된 제2 유사 컨텐츠 데이터의 해쉬값을 비교하여, 이들의 유사 여부를 판단 할 수 있다. 유사 컨텐츠 데이터 유사 여부 판단부(미도시)를 통하여, 유사 컨텐츠 데이터들간의 유사 여부 까지도 판단할 수 있게 되므로, 보다 효 과적으로 데이터 관리가 가능해진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것이다.
전술한 실시예 외의 많은 실시예들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 내에 존재한다.
도 1 내지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데이터 관리 서버의 컨텐츠 데이터 관리 방법을 도시한 제어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본 컨텐츠 데이터 재생 관리 방법의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데이터 재생 관리 방법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에 표시되는 컨텐츠 재생 화면 및 결제 요청 화면을 예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데이터 관리 서버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

Claims (14)

  1. 원본 컨텐츠 데이터를 저장하고, 컨텐츠 데이터 리스트를포함하는 컨텐츠 관리 서버가 컨텐츠 데이터를 관리하는방법에 있어서,
    (a) 사용자에 의해 컨텐츠 관리 서버에 제1 컨텐츠 데이터가 업로드 되는 단계;
    (b) 컨텐츠 관리 서버가 원본 컨텐츠 데이터에서 복수개의 원본 컨텐츠 데이터 프레임을 추출하고, 추출한 복수개의 원본 컨텐츠 데이터 프레임과 지정된 범위 내에서 유사한 프레임이 제1 컨텐츠 데이터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며, 복수개의 원본 컨텐츠 데이터 프레임과 지정된 범위 내에서 유사한 프레임이 제1 컨텐츠 데이터에 포함되는 정도에 기초하여 제1 컨텐츠 데이터와 원본 컨텐츠 데이터 간의 유사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c) 컨텐츠 관리 서버가 제1 컨텐츠 데이터가 원본 컨텐츠 데이터와 유사한 제1 유사 컨텐츠 데이터라고 판단되는 경우, 제1 유사 컨텐츠 데이터의 명칭을 포함하도록 컨텐츠 데이터 리스트를 갱신하는 단계-여기서, 컨텐츠 데이터 리스트에 포함되는 제1 유사 컨텐츠 데이터의 명칭은 원본 컨텐츠 데이터와 링크(link)됨-; 및
    (d) 컨텐츠 관리 서버가 제1 유사 컨텐츠 데이터의 해쉬값을 추출하여, 컨텐츠 관리 서버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컨텐츠 관리 서버의 컨텐츠 데이터 관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원본 컨텐츠 데이터는,
    원본 컨텐츠 데이터에 대한 재생 권한이 유효한 경우, 원본 컨텐츠 데이터를 재생할 수 있는 재생 코드와, 재생 권한이 유효하지 않은 경우 원본 컨텐츠 데이터의 재생을 제어하는 결제 코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관리 서버의 컨텐츠 데이터 관리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d) 단계 이후에,
    (e) 제2 컨텐츠 데이터가 업로드 되는 단계;
    (f) 제2 컨텐츠 데이터와 원본 컨텐츠 데이터 간의 유사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g) 제2 컨텐츠 데이터가 원본 컨텐츠 데이터와 유사한 제2 유사 컨텐츠 데이터라고 판단되는 경우, 제2 유사 컨텐츠 데이터의 해쉬값을 추출하는 단계;
    (h) 제2 유사 컨텐츠 데이터의 해쉬값과 컨텐츠 관리 서버에 저장된 유사 컨텐츠 데이터의 해쉬값간의 유사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i) 제2 유사 컨텐츠 데이터의 해쉬값과 유사 컨텐츠 데이터의 해쉬값이 유사한 경우, 제2 유사 컨텐츠 데이터의 명칭을 포함하도록 컨텐츠 데이터 리스트를 갱신하는 단계 여기서, 컨텐츠 데이터 리스트에 포함되는 제2 유사 컨텐츠 데이터의 명칭은 원본 컨텐츠 데이터와 링크(link)됨-; 를 포함하는 컨텐츠 관리 서버의 컨텐츠 데이터 관리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h) 단계에서, 제2 유사 컨텐츠 데이터의 해쉬값과 제1 유사 컨텐츠 데이터의 해쉬값이 유사하지 않다고 판단되는 경우,
    (j) 제2 유사 컨텐츠 데이터의 명칭을 포함하도록 컨텐츠 데이터 리스트를 갱신하는 단계-여기서, 컨텐츠 데이터 리스트에 포함되는 제2 유사 컨텐츠 데이터의 명칭은 원본 컨텐츠 데이터와 링크(link)됨-;
    (k) 제2 유사 컨텐츠 데이터의 해쉬값을 컨텐츠 관리 서버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컨텐츠 관리 서버의 컨텐츠 데이터 관리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f) 단계는,
    (f-1) 원본 컨텐츠 데이터에서 복수개의 원본 컨텐츠 데이터 프레임을 추출하는 단계;
    (f-2) 추출한 복수개의 원본 컨텐츠 데이터 프레임과 지정된 범위내에서 유사한 프레임이 제2 컨텐츠 데이터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f-3) 복수개의 원본 컨텐츠 데이터 프레임과 지정된 범위내에서 유사한 프레임이 제2컨텐츠 데이터에 포함되는 정도에 기초하여 원본 컨텐츠 데이터와 제2 컨텐츠 데이터의 유사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컨텐츠 관리 서버의 컨텐츠 데이터 관리 방법.
  6. 제3항에 있어서,
    (f) 단계는,
    (f-1) 제2 컨텐츠 데이터에서 복수개의 제2 컨텐츠 데이터 프레임을 추출하는 단계;
    (f-2) 추출한 복수개의 제2 컨텐츠 데이터 프레임과 지정된 범위내에서 유사한 프레임이 원본 컨텐츠 데이터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f-3) 복수개의 제2 컨텐츠 데이터 프레임과 지정된 범위내에서 유사한 프레임이 원본컨텐츠 데이터에 포함되는 정도에 기초하여 원본 컨텐츠 데이터와 제2 컨텐츠 데이터의 유사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컨텐츠 관리 서버의 컨텐츠 데이터 관리 방법.
  7. 원본 컨텐츠 데이터를 저장하고, 컨텐츠 데이터 리스트를 포함하는 컨텐츠 관리 서버가 컨텐츠 데이터를 관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사용자에 의해 컨텐츠 관리 서버에 제1 컨텐츠 데이터가 업로드 되는 단계;
    (b) 컨텐츠 관리 서버가 제1 컨텐츠 데이터에서 복수개의 제1 컨텐츠 데이터 프레임을 추출하고, 추출한 복수개의 제1 컨텐츠 데이터 프레임과 지정된 범위내에서 유사한 프레임이 원본 컨텐츠 데이터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며, 복수개의 제1 컨텐츠 데이터 프레임과 지정된 범위내에서 유사한 프레임이 원본컨텐츠 데이터에 포함되는 정도에 기초하여 원본 컨텐츠 데이터와 제1 컨텐츠 데이터의 유사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c) 컨텐츠 관리 서버가 제1 컨텐츠 데이터가 원본 컨텐츠 데이터와 유사한 제1 유사 컨텐츠 데이터라고 판단되는 경우, 제1 유사 컨텐츠 데이터의 명칭을 포함하도록 컨텐츠 데이터 리스트를 갱신하는 단계 -여기서, 컨텐츠 데이터 리스트에 포함되는 제1 유사 컨텐츠 데이터의 명칭은 원본 컨텐츠 데이터와 링크(link)됨-; 및
    (d) 컨텐츠 관리 서버가 제1 유사 컨텐츠 데이터의 해쉬값을 추출하여, 컨텐츠 관리 서버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컨텐츠 관리 서버의 컨텐츠 데이터 관리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d) 단계 이후에,
    (e) 제2 컨텐츠 데이터가 업로드 되는 단계;
    (f) 제2 컨텐츠 데이터와 원본 컨텐츠 데이터 간의 유사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g) 제2 컨텐츠 데이터가 원본 컨텐츠 데이터와 유사한 제2 유사 컨텐츠 데이터라고 판단되는 경우, 제2 유사 컨텐츠 데이터의 해쉬값을 추출하는 단계;
    (h) 제2 유사 컨텐츠 데이터의 해쉬값과 컨텐츠 관리 서버에 저장된 유사 컨텐츠 데이터의 해쉬값간의 유사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i) 제2 유사 컨텐츠 데이터의 해쉬값과 유사 컨텐츠 데이터의 해쉬값이 유사한 경우, 제2 유사 컨텐츠 데이터의 명칭을 포함하도록 컨텐츠 데이터 리스트를 갱신하는 단계 -여기서, 컨텐츠 데이터 리스트에 포함되는 제2 유사 컨텐츠 데이터의 명칭은 원본 컨텐츠 데이터와 링크(link)됨-; 를 포함하는 컨텐츠 관리 서버의 컨텐츠 데이터 관리 방법.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컨텐츠 관리 서버의 컨텐츠 데이터 관리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디지털 처리 장치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명령어들의 프로그램이 구현되어 있으며, 디지털 처리 장치에 의해 판독될 수 있는 프로그 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10. 컨텐츠 데이터가 업로드 되는 컨텐츠 데이터 업로딩부;
    저작권 인증을 받은 원본 컨텐츠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원본 컨텐츠 데이터 저장부;
    원본 컨텐츠 데이터에서 복수개의 원본 컨텐츠 데이터 프레임을 추출하고, 원본 컨텐츠 데이터 프레임과 지정된 범위내에서 유사한 프레임이 컨텐츠 데이터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컨텐츠 데이터가 원본 컨텐츠 데이터와 유사한 유사 컨텐츠 데이터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유사 컨텐츠 데이터 판단부; 및
    유사 컨텐츠 데이터의 명칭 및 원본 컨텐츠 데이터의명칭을 포함하는 컨텐츠 데이터 리스트를 저장하는 컨텐츠 데이터 리스트 저장부-유사 컨텐츠 데이터의 명칭을 이용한 다운로드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원본 컨텐츠 데이터가 다운되도록 링크됨-
    를 포함하는 컨텐츠 데이터 관리 서버.
  11. 제10항에 있어서,
    원본 컨텐츠 데이터는,
    원본 컨텐츠 데이터에 대한 재생 권한이 유효한 경우, 원본 컨텐츠 데이터를 재생할 수 있는 재생 코드 및 재생 권한이 유효하지 않은 경우, 원본 컨텐츠 데이터의 재생을 제어하는 결제 코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관리 서 버.
  12. 제 10항에 있어서,
    유사 컨텐츠 데이터의 해쉬값을 추출하는 해쉬값 추출부;
    유사 컨텐츠 데이터의 해쉬값을 저장하는 해쉬값 저장부; 및
    유사 컨텐츠 데이터들의 해쉬값이 지정된 범위내에서 유사한지 여부를 판단하여, 유사 컨텐츠 데이터들 간의 유사 여부를 판단하는 유사 컨텐츠 데이터 유사 여부 판단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관리 서버.
  13. 컨텐츠 데이터가 업로드 되는 컨텐츠 데이터 업로딩부;
    저작권 인증을 받은 원본 컨텐츠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원본 컨텐츠 데이터 저장부;
    컨텐츠 데이터에서 복수개의 컨텐츠 데이터 프레임을 추출하고, 컨텐츠 데이터 프레임과 지정된 범위내에서 유사한 프레임이 원본 컨텐츠 데이터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컨텐츠 데이터가 원본 컨텐츠 데이터와 유사한 유사 컨텐츠 데이터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유사 컨텐츠 데이터 판단부; 및
    유사 컨텐츠 데이터의 명칭 및 원본 컨텐츠 데이터의 명칭을 포함하는 컨텐츠 데이터 리스트를 저장하는 컨텐츠 데이터 리스트 저장부 -유사 컨텐츠 데이터의 명칭을 이용한 다운로드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원본 컨텐츠 데이터가 다운되도록 링크됨-
    를 포함하는 컨텐츠 데이터 관리 서버.
  14. 제 13항에 있어서,
    유사 컨텐츠 데이터의 해쉬값을 추출하는 해쉬값 추출부;
    유사 컨텐츠 데이터의 해쉬값을 저장하는 해쉬값 저장부; 및
    유사 컨텐츠 데이터들의 해쉬값이 지정된 범위내에서 유사한지 여부를 판단하여, 유사 컨텐츠 데이터들 간의 유사 여부를 판단하는 유사 컨텐츠 데이터 유사 여부 판단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관리 서버.
KR1020080079340A 2008-08-13 2008-08-13 컨텐츠 데이터 관리 서버의 컨텐츠 데이터 관리 방법 및컨텐츠 데이터 관리서버 KR1009977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9340A KR100997733B1 (ko) 2008-08-13 2008-08-13 컨텐츠 데이터 관리 서버의 컨텐츠 데이터 관리 방법 및컨텐츠 데이터 관리서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9340A KR100997733B1 (ko) 2008-08-13 2008-08-13 컨텐츠 데이터 관리 서버의 컨텐츠 데이터 관리 방법 및컨텐츠 데이터 관리서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0658A KR20100020658A (ko) 2010-02-23
KR100997733B1 true KR100997733B1 (ko) 2010-12-02

Family

ID=420906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9340A KR100997733B1 (ko) 2008-08-13 2008-08-13 컨텐츠 데이터 관리 서버의 컨텐츠 데이터 관리 방법 및컨텐츠 데이터 관리서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773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9648B1 (ko) * 2014-02-27 2020-10-23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카드 컨텐츠 작성 권한 설정 시스템 및 방법
KR101668467B1 (ko) * 2015-03-03 2016-10-21 허규호 3차원 프린터용 데이터 중개 장치
KR102176326B1 (ko) 2018-12-11 2020-11-09 (주)아이엠비씨 콘텐츠 보호 시스템
KR20210065588A (ko) 2019-11-27 2021-06-04 (주)아이엠비씨 디지털 콘텐츠 저작권 보호를 위한 콘텐츠 등록 및 빌링 시스템 및 방법
KR102594382B1 (ko) * 2023-06-20 2023-10-26 주식회사 쿵월드 인공지능을 기반으로 콘텐츠의 저작권을 탐지하고 저작권이 존재하는 콘텐츠의 부정 사용을 방지하기 위한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0658A (ko) 2010-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07327B1 (ko)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프로그램 저장 매체
JP5402079B2 (ja) 対話システム及び対話システムのためのプログラム
JP4504194B2 (ja) デジタル著作権管理装置、方法、及び、生体データを利用したマルチメディア製品
JP5530299B2 (ja) コンテンツ受信機、及びコンテンツ受信機の書き出し方法
US8336104B2 (en) Generation and use of digital contents
KR20060106654A (ko) 콘텐츠 정보제공시스템, 콘텐츠 정보제공서버, 콘텐츠재생장치, 콘텐츠 정보제공방법, 콘텐츠 재생방법 및컴퓨터 프로그램
JP2005141635A (ja) コンテンツ共有システム,コンテンツ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プログラム,記録媒体,コンテンツ共有方法
KR100954474B1 (ko) 정보 처리 장치 및 방법, 정보 처리 시스템, 및 기록 매체
KR20120031176A (ko) 동기화된 분산 미디어 자산
JPWO2008146913A1 (ja) コンテンツダウンロードシステムおよびコンテンツダウンロード方法、コンテンツ供給装置およびコンテンツ供給方法、コンテンツ受信装置およびコンテンツ受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KR100997733B1 (ko) 컨텐츠 데이터 관리 서버의 컨텐츠 데이터 관리 방법 및컨텐츠 데이터 관리서버
JP2009294777A (ja) コンテンツ再生装置、コンテンツ再生方法、プログラム、コンテンツ再生システム
US10430868B2 (en) Content purchases and rights storage and entitlements
WO2010116894A1 (ja) 通信装置、通信方法、及び通信システム
US20070027764A1 (en) Information managing apparatus, information managing method, and information managing system
KR20010102177A (ko)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프로그램 저장 매체
KR20030001382A (ko) 설비, 편의 장치, 제1 사용자 장치 및 방법
JP2009188936A (ja) コンテンツ編集装置、コンテンツ編集方法、およびコンテンツ編集プログラム
KR100741482B1 (ko) 멀티미디어 컨텐츠와 이에 대응하는 자막 정보를 개인용정보 처리기로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시스템
JP2009199689A (ja) コピー制限管理装置及びその方法とコンテンツ蓄積装置
JP4340944B2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格納媒体
KR101971181B1 (ko) 광고 수익 공유를 이용한 동영상 저작권 보호 방법 및 시스템
TWI474201B (zh) Construction system scene fragment, method and recording medium
KR20010102179A (ko)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프로그램 저장 매체
KR101213360B1 (ko) 권한에 따른 콘텐츠 스크랩 서비스 제공 방법, 그를 위한콘텐츠 스크랩 서비스 시스템, 콘텐츠 제공 서버 및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5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