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7273B1 - Responsing method in emergency case using footwear - Google Patents

Responsing method in emergency case using footwea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7273B1
KR100987273B1 KR1020080091043A KR20080091043A KR100987273B1 KR 100987273 B1 KR100987273 B1 KR 100987273B1 KR 1020080091043 A KR1020080091043 A KR 1020080091043A KR 20080091043 A KR20080091043 A KR 20080091043A KR 100987273 B1 KR100987273 B1 KR 1009872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ergency
unit
shoe
operation module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104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00032076A (en
Inventor
정보은
이현철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부산테크노파크
이현철
(주)보스코프레이션
정보은
(주)비즈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부산테크노파크, 이현철, (주)보스코프레이션, 정보은, (주)비즈코 filed Critical 재단법인 부산테크노파크
Priority to KR10200800910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7273B1/en
Priority to PCT/KR2009/005277 priority patent/WO2010032961A2/en
Publication of KR201000320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207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72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727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4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 G08B21/0438Sensor means for detecting
    • G08B21/0446Sensor means for detecting worn on the body to detect changes of posture, e.g. a fall, inclination, acceleration, gait

Landscapes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 Alarm System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ulmo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Card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ology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발과 관련되는 것으로 특히 신발 착용자가 갑작스런 신체적 이상으로 의식을 잃게 되거나 불의의 사고를 당하는 경우에 주변 사람들에게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하는 방법으로서, 응급상황을 인지하는 센서모듈 및 상기 센서모듈과 RF통신을 하는 조작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센서모듈에서 사용자가 신발을 착용했을 때의 변화를 감지하여 상기 조작모듈로 신발착용을 알려 대기상태로 전환되게 하되 상기 센서모듈과 조작모듈이 정상적인 동작임을 알려주는 신발착용 알림신호가 상기 조작모듈에서 시각, 청각 또는 진동의 형태로 발생되게 하는 제1단계와; 상기 센서모듈에 내장되는 가속도센서에 의해서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변화되는 가속도 값을 이용하여 비정상적인 가속도 값이 일정시간 이상 지속되는 경우 상기 조작모듈로 예비응급신호를 전송토록 하는 제2단계와; 상기 예비응급신호에 대응한 착용자의 대응이 없는 경우 진정응급신호임으로 판단하도록 하는 제3단계와; 상기 조작모듈에서 진정응급신호임이 인식되면 청각 또는 시각을 통하여 주변사람들이 인식할 수 있는 응급상황 알림신호가 생성되도록 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을 이용한 응급상황 대처방법에 관한 기술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oe and in particular a shoe wearer who loses consciousness due to a sudden physical abnormality or an accident to receive help from the people around the accident, a sensor module for recognizing an emergency situation and the sensor module And an operation module for performing RF communication with the sensor module. The sensor module detects a change when the user wears a shoe and informs the operation module of the shoe wearing so that the sensor module and the operation module operate normally. A first step of causing a shoe wearing notification signal indicating that the shoe is generated in the form of visual, auditory or vibration; A second step of transmitting a preliminary emergency signal to the operation module when an abnormal acceleration value lasts for a predetermined time by using an acceleration value changed according to a user's movement by an acceleration sensor built in the sensor module; A third step of determining that it is a calm emergency signal if there is no response of the wearer corresponding to the preliminary emergency signal; A fourth step of generating an emergency notification signal that can be recognized by people around him or her through hearing or vision when it is recognized that the operation module is a calm emergency signal. Is about technology.

응급상황, 대처방법, 신발, 가속도센서, 압력센서, 응급신호, 부저, LED Emergency, Countermeasure, Shoes, Accelerometer, Pressure Sensor, Emergency Signal, Buzzer, LED

Description

신발을 이용한 응급상황 대처방법{Responsing method in emergency case using footwear} Responsing method in emergency case using footwear}

본 발명은 신발과 관련되는 것으로 특히 신발 착용자가 갑작스런 신체적 이상으로 의식을 잃게 되거나 불의의 사고를 당하는 경우에 주변 사람들에게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응급상황임을 알려주도록 하는 신발에 관한 기술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o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hoe wearer who is unconscious due to a sudden physical abnormality or in the event of an accident, a technology related to the shoes to inform the people around to help in an emergency.

등산과 같이 야외 활동을 하는 중에 갑작스럽게 신체적 이상으로 쓰러지거나 발을 헛디뎌 높은 곳에서 떨어지거나 하는 사고가 종종 발생한다. 이런 경우는 급작스럽게 운동량이 증가됨에 따른 신체의 부적응이나 기온변화에 기인하며, 혹은 지나친 부주의로 인해 추락사고를 당하기도 한다.During outdoor activities, such as mountaineering, accidents often cause people to suddenly fall down or fall from high ground. This may be due to the body's inadequate adaptation or temperature change due to a sudden increase in the amount of exercise, or it may fall due to excessive carelessness.

이러한 사고는 나이가 들수록 그 빈도와 발생 가능성이 높아지는데 응급상황이 발생하면 환자를 무엇보다도 빨리 병원으로 후송시키거나 응급조치를 취해야 한다. 도심이나 사람의 왕래가 많은 곳에서라면 쉽게 환자를 알아볼 수 있어 신속한 도움을 받을 수 있을 것이나, 외딴 곳이나 등산 도중에 응급상황이 발생하면 환자가 발견되기까지 상당한 시간이 흘러갈 수 있다. 즉, 응급시에서의 일분 일초는 환자의 생명과 직결되므로 매우 중요하다.The frequency and likelihood of such accidents increases with age, and in the event of an emergency, the patient must be taken to the hospital or taken first aid first of all. If you are in a city or a place where there are a lot of people, you can easily recognize the patient and get help quickly.However, if an emergency occurs in a remote place or mountain climbing, it can take a long time before the patient is found. That is, one minute and one second in an emergency is very important because it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life of the patient.

응급상황시에는 보통 환자가 의식을 잃게 되는 경우가 많은데 의식이 없는 상태에서는 도움을 요청할 수 없는 바, 응급상황이 발생하면 자동적으로 응급상황임을 주위에 알릴 수 있도록 할 필요성이 있다. 그리고 응급상황인지의 여부를 정확히 판정할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되며 휴대성이 좋아야 한다.In an emergency, the patient usually loses consciousness, but can't ask for help in an unconscious state. Therefore, when an emergency occurs, it is necessary to automatically notify the surroundings of an emergency. In addition, a technology for accurately determining whether or not an emergency is required and should be portable.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응급상황에 효율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하고자 누구나 착용하는 신발을 매개로 하여 응급상황 발생시에 청각이나 시각으로 주위 사람들에게 도움을 요청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고자 한다.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be able to effectively cope with emergencies, it is intended to provide a technology that can request help to those around you by hearing or visually in the event of an emergency by using shoes worn by anyone.

또한, 응급상태에 빠진 환자가 발견되었을 시에도 보다 적절한 조치를 할 수 있도록 환자의 인적사항 및 병력 그리고 응급상태에 빠진 시간이 표시되도록 하는 기술을 제공하고자 한다.In addition, to find out the patient's personal information and medical history and the time of the emergency so that more appropriate measures can be taken when a patient is found in an emergency.

제시한 바와 같은 과제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은, 응급상황을 인지하기 위하여 신발에 부착하는 것으로서, 제1배터리유닛(110), 제1RF유닛(120), 압력센서(S1)와 가속도 센서(S2)로 이루어지는 센서유닛 및 상기 센서유닛으로부터 수집된 정보를 분석하여 응급상황으로 판단될 시에는 상기 제1RF유닛을 통하여 응급신호를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1CPU유닛(140)으로 구성되는 센서모듈과, 신발 착용자가 소지하도록 휴대용 단말기로 제작되는 것으로서, 디스플레이부(230)와 기능버튼들(250), 제2배터리유닛(210), 신발 착용자의 신상정보가 저장되는 메모리유닛(260), 상기 제1RF유닛과 통신하게 되는 제2RF유닛(220), 응급상황임을 주위에 알릴 수 있는 알림유닛(270) 및 타 요소들과 연결되어 응급상황발생시 상기 알림유닛이 작동되게 하는 제2CPU유닛(240)으로 구성되는 조작모듈을 사용하여 신발 착용자의 응급상황에 대처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센서모듈에서 사용자가 신발을 착용했을 때의 변화를 상기 압력센서가 감지하여 상기 조작모듈로 신발착용을 알려 대기상태로 전환되게 하되 상기 센서모듈과 조작모듈이 정상적인 동작임을 알려주는 신발착용 알림신호가 상기 조작모듈에서 시각, 청각 또는 진동의 형태로 발생되게 하는 제1단계와; 상기 센서모듈에 내장되는 가속도센서에 의해서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변화되는 가속도 값을 이용하여 비정상적인 가속도 값이 일정시간 이상 지속되는 경우 상기 조작모듈로 예비응급신호를 전송토록 하여 상기 조작모듈의 알림유닛에서 시각, 청각 또는 진동의 형태로 예비응급신호를 착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제2단계와; 상기 예비응급신호에 대응하여 착용자가 일정 시간 내에 상기 기능버튼을 조작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2CPU유닛이 진정응급신호임으로 판단하도록 하는 제3단계와; 상기 조작모듈에서 진정응급신호임이 인식되면 상기 알림유닛에 의하여 청각 또는 시각을 통하여 주변사람들이 인식할 수 있는 응급상황 알림신호가 생성되도록 하고, 상기 조작모듈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부를 통해서 사고자의 인적사항 및 병력 등이 표시되도록 하며, 동시에 사고발생시점으로 진정응급신호로 판단된 시간이 표시되도록 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을 이용한 응급상황 대처방법을 제시한다.
여기서, 상기 알림유닛은,청각을 통해 인지할 수 있는 소리음이거나 시각을 통해 인지할 수 있는 LED 또는 유색의 가스인 것으로 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task as presented, the first battery unit 110, the first RF unit 120, the pressure sensor (S1) and the acceleration sensor (S2) as attached to the shoe to recognize the emergency situation Sensor module comprising a sensor module and a first CPU unit 140 for controlling to transmit an emergency signal through the first RF unit when it is determined that an emergency situation by analyzing the information collected from the sensor unit and a shoe wearer And a display unit 230, function buttons 250, a second battery unit 210, a memory unit 260 storing personal information of a shoe wearer, and the first RF unit. An operation consisting of a second RF unit 220 to communicate, the notification unit 270 that can inform the surroundings of an emergency situation and the second CPU unit 240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s to operate the notification unit when an emergency occurs As a way to respond to a shoe wearer's emergency using a module,
The pressure sensor detects the change when the user wears the shoe in the sensor module to notify the wearing of the shoe to the operation module to switch to the standby state, but the notification signal for wearing the shoe module and the operation module is normal. A first step of causing the operation module to be generated in the form of visual, auditory or vibration; If an abnormal acceleration value is maintained for a predetermined time or more by using an acceleration value that is changed according to a user's movement by an acceleration sensor built in the sensor module, the preliminary emergency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operation module to inform the operation module of the operation module. A second step of allowing the wearer to recognize the preliminary emergency signal in the form of visual, auditory or vibration; A third step of determining that the second CPU unit is a genuine emergency signal if the wearer does not operate the function button within a predetermined time in response to the preliminary emergency signal; When it is recognized that the operation module is a calm emergency signal, the notification unit generates an emergency situation notification signal that can be recognized by neighboring people through hearing or vision, and the personal information of the accident through the display unit provided in the operation module. It provides a medical history and the like, and at the same time the fourth step to display the time determined as a calm emergency signal at the time of the accident; proposes an emergency response method using a sho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Here, the notification unit may be a sound that can be recognized through hearing or an LED or colored gas that can be recognized through vision.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본 발명에 의하면 인적이 드문 곳이나 시간대에 발생되는 응급상황시 보다 빠른 시간내에 환자의 위치를 주위 사람들에게 알려줄 수 있어 환자의 생명을 지키는데 크게 기여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ocation of the patient can be informed to the people around the patient in a faster time than in an emergency occurring in a rare place or time zone, thereby greatly contributing to protecting the patient's life.

그리고 신발을 이용하므로 휴대가 불편치 않고 보행시와 보행을 하지 않을 시의 현격한 차이가 있으므로 응급상황 여부에 대한 판단이 정확하다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shoes are not inconvenient to carry and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walking and not walking, the judgment on the emergency situation is accurate.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신발을 이용한 응급상황 대처방법 및 대처장치에 대해 보다 상세한 설명을 하기로 하며, 이해를 돕기 위해 관련도면을 참조하는 것으로 한다. 제시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기초한 것으로서 타인에 의한 단순한 변형 실시예들 역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Hereinafter, a method for dealing with emergency situations and a device using a sho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and reference will be made to related drawings for clarity. The embodiments presented are based on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simple modifications made by others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서의 신발을 이용한 응급상황 대처방법 및 대처장치는 상호 보완적인 관계에 있으므로 중복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이를 고려하여 해석함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emergency response method and the coping device using the shoe have a complementary relationship, it is preferable to interpret the overlapping part in consideration of this.

먼저 신발을 이용한 응급상황 대처방법(이하, 응급상황 대처방법이라 한다)에 대해 설명하는 것으로 하며, 도1은 응급상황 대처방법의 흐름을 보여주는 플로우 차트에 해당되며, 도2는 응급상황 대처장치의 구성도를 보여준다. 도3은 센서모듈의 실제 설치 상태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First of all, an emergency response method using a shoe (hereinafter, referred to as an emergency response method) will be described. FIG. 1 corresponds to a flowchart showing the flow of an emergency response method, and FIG. 2 shows an emergency response device. Show the schematic. 3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 actual installation state of a sensor module.

본 발명의 응급상황 대처방법은 신발을 매개로 하는 것으로서 크게 센서모듈(100)과 조작모듈(200)을 포함한다. 상기 센서모듈과 조작모듈은 상호간에 RF통신을 하면서응급상황시에 적합한 조치가 이루어지도록 동작된다.Emergency respons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 medium of the shoe includes a sensor module 100 and the operation module 200. The sensor module and the operation module are operated to perform appropriate measures in an emergency situation while performing RF communication with each other.

상기 센서모듈(100)은 신발에 설치되는 것으로 하며 상기 조작모듈(200)은 사용자가 소지하는 형태로 제공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센서모듈을 도3에 보이듯이 신발에 설치함에 있어서는 인솔 부위나 갑피 부위 혹은 미드솔 부위 등에 설치될 수도 있다. 구체적인 설치위치는 상황에 맞게 다양한 변화를 줄 수 있는 부분이다.The sensor module 100 is to be installed in the shoe and the operation module 200 is preferably provided in the form possessed by the user. In the installation of the sensor module in the shoe as shown in Figure 3 may be installed in the insole or upper part or the midsole. The specific installation location is the part that can make various changes according to the situation.

본 발명에 따른 응급상황 대처방법으로 제1단계는 최초 사용자가 신발을 착용하게 되면 센서모듈(100)에서 이를 감지하여 조작모듈(200)로 신발착용이 이루어진 것을 알려 대기상태로 전환되도록 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신발착용이 이루어지면 센서모듈에서 조작모듈로 신발 착용임을 알리는 신호가 전송되도록 하고 상기 조작모듈에서는 신호의 유형을 구별하여 대기상태로 전환되었음을 사용자에게 알려주도록 한다. 즉, 신발착용으로 센서모듈(100)과 조작모듈(200)이 정상적으로 동작되고 있음을 부저나 LED 혹은 진동으로 사용자에게 알려주도록 하는 것이다. 사용자는 신발착용을 하고 소정의 시간내에 조작모듈에서 신발착용 알림신호가 발생되면 상기 센서모듈과 조작모듈이 정상적으로 동작되고 있음을 인식할 수 있게 된다. 만약, 신발 착용을 한 후에도 조작모듈에서 신발착용 알림신호가 발생되지 않는다면 상기 센서모듈이나 조작모듈에 이상이 있는 것이므로 적당한 조치를 취하도록 한다. 특히, 신발착용 알림신호 및 후술할 응급상황 알림신호는 조작모듈(200)에 구비되는 동일한 알림유닛(270)을 통해서 생성되므로 신발착용시와 응급상황시를 구별할 수 있도록 상이한 신호가 발생되도록 한다.The first step in the emergency respons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o detect that the sensor module 100 when the first user wears the shoes to inform that the wearing of the shoes to the operation module 200 is switched to the standby state. Preferably, when the shoes are worn, a signal indicating that the shoes are worn from the sensor module to the operation module is transmitted, and the operation module distinguishes the type of the signal to inform the user that the switch has been switched to the standby state. That is, the sensor module 100 and the operation module 200 for wearing the shoe to inform the user with a buzzer or LED or vibration that is operating normally. When the user wears the shoe and the shoe wearing notification signal is generated from the operation module within a predetermined time, the user can recognize that the sensor module and the operation module are normally operated. If the shoe wearing notification signal is not generated from the operation module even after wearing the shoes, the sensor module or the operation module may have an error, and thus appropriate measures should be taken. In particular, the shoe wearing notification signal and the emergency situation notification signal to be described later is generated through the same notification unit 270 provided in the operation module 200 so that different signals are generated to distinguish between wearing and emergency situations. .

한편, 상기 제1단계에서 센서모듈(100)에 의한 신발 착용시의 변화를 감지하는 구체적인 수단으로 압력센서(혹은 온도센서)(S1)를 이용토록 함이 적합하다. 센서모듈에 압력센서 또는 온도센서를 설치하여 사용자가 신발을 착용하게 되면 압력값이나 온도값의 변화로 신발착용 상태임을 인식하여 RF통신으로 조작모듈에 신발착용을 알려주게 된다. 상기 센서모듈(100)의 설치위치로는 신발 인솔 부위가 적합할 것이며 발바닥이 압력센서를 가압함에 따라 압력치의 변화가 발생하게 되고, 온도센서인 경우에는 소정의 시간이 흐름에 따라 온도가 상승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in the first step it is suitable to use a pressure sensor (or temperature sensor) (S1) as a specific means for detecting a change when the shoes worn by the sensor module 100. When a user wears a shoe by installing a pressure sensor or a temperature sensor on the sensor module, the user recognizes that the shoe is worn by a change in pressure or temperature and informs the operation module of the operation module by RF communication. A shoe insole is suitable as an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sensor module 100, and a change in pressure value occurs as the sole presses the pressure sensor, and in the case of a temperature sensor, the temperature increases as a predetermined time passes. do.

제1단계를 통해서 상기 센서모듈(100)과 조작모듈(200)은 대기상태로 전환되어 응급상황시에 대비하게 되는데, 제2단계에서는 사용자가 보행 중 비정상적인 보행을 하거나 보행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상기 센서모듈에서 조작모듈로 예비응급신호를 전송하도록 한다. 신발을 착용한 사용자가 보행을 하는 경우 필연적으로 신발은 지속적으로 움직이게 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신발의 움직임을 이용하여 응급상황과 정상적인 보행상황임을 구별할 수 있도록 한다.Through the first step, the sensor module 100 and the operation module 200 are switched to the standby state to prepare for an emergency situation. In the second step, when the user walks abnormally or does not walk while walking Transmit pre-emergency signal from sensor module to operation module. When the user wearing the shoe walks, the shoe is inevitably moved continuously.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distinguish between an emergency situation and a normal walking situation by using the movement of the shoe.

이를 위해서 상기 센서모듈에는 가속도센서(S2)를 두도록 하며 상기 가속도센서는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지속적으로 가속도값에 변화가 발생하게 된다. 즉, 사용자가 신체적 이상없이 보행을 하는 경우에는 가속도값이 계속 변화되므로 정상적인 보행상황임을 의미하게 되는 것이나, 보행 중 사용자가 의식을 잃고 쓰러지거나 높은 곳에서 추락하는 경우에는 가속도센서에서 측정되는 가속도값이 정상상태로 보행하는 경우와 달라지게 된다. 이와 같은 상황하에서 측정되는 비정상적인 가속도값이 일정시간 이상 지속되는 경우에 센서모듈에서 조작모듈로 예비응급신호를 전송하도록 한다. 비정상적인 가속도값의 지속시간은 설정하기 나름이지만 대략 10초 ~ 20초 동안 지속되는 경우를 응급상황 또는 응급상황과 유사한 상 황으로 인식하도록 함이 바람직할 것이다.To this end, an acceleration sensor S2 is provided in the sensor module, and the acceleration sensor continuously changes in the acceleration value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user. In other words, when the user walks without physical abnormality, the acceleration value is continuously changed, which means that it is a normal walking situation, or the acceleration value measured by the acceleration sensor when the user loses consciousness and falls or falls from a high place while walking. This will be different from the case of walking in a steady state. If the abnormal acceleration value measured under such a situation lasts for a predetermined time, the preliminary emergency signal is transmitted from the sensor module to the operation module. The duration of the abnormal acceleration value is up to the setting, but it may be desirable to recognize that the case lasts for about 10 to 20 seconds as an emergency or similar situation.

비정상적인 가속도값의 지속으로 조작모듈(200)로 예비응급신호가 전송되면 조작모듈에 구비되는 알림유닛(270)으로서의 부저나, LED 또는 진동으로 신발 착용자에게 예비응급신호가 수신되었음을 알려주게 된다.When the preliminary emergency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operation module 200 with an abnormal acceleration value, the preliminary emergency signal is notified to the wearer of the shoe by the buzzer, the LED, or the vibration as a notification unit 270 provided in the operation module.

제3단계에서는 예비응급신호에 대응하여 착용자가 예비응급신호를 해제하는 것과 같은 대응 조치가 없는 경우에 조작모듈(200)의 제2CPU유닛(240)에서 진정응급신호로 판단하도록 하는 것이다. 예비응급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신발 착용자가 잠시 휴식을 취하느라 보행을 멈춘 경우라면 착용자는 조작모듈(200)에 구비되는 기능버튼(250)을 눌러서 예비응급신호를 해제시키도록 하면 된다. 그러나 착용자가 의식 불명의 상태이거나 추락 등으로 신체를 움직일 수 없는 경우에는 기능버튼을 조작할 수가 없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에는 예비응급신호가 수신 된 후 일정기간이 경과하여도 예비응급신호가 해제되지 않을 것이고, 조작모듈의 제2CPU유닛(240)은 자동적으로 현재 상황을 진정응급상황으로 판단하게 된다. In the third step, in response to the preliminary emergency signal, when the wearer does not have a countermeasure such as releasing the preliminary emergency signal, the second CPU unit 240 of the operation module 200 determines that the emergency emergency signal is true. When the preliminary emergency signal is received If the shoe wearer stops walking for a while, the wearer may press the function button 250 provided in the operation module 200 to release the preliminary emergency signal. However, if the wearer is unconscious or unable to move his body due to a fall, the function button cannot be operated. Therefore, in this case, even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after the preliminary emergency signal is received, the preliminary emergency signal will not be released, and the second CPU unit 240 of the operation module automatically determines the current situation as a truly emergency situation.

다음으로 제4단계에서는 진정응급신호에 따라 주위 사람들에게 응급환자가 발생되었음을 알려주기 위한 응급상황 알림신호가 발생되도록 한다. 조작모듈(200)에 구비되는 알림유닛(270)에서 진정응급상황시에 청각이나 시각을 통해 주변 사람들이 인식할 수 있는 응급상황 알림신호가 생성된다. 청각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알림유닛으로 부저(Buzzer)와 같은 것을 이용하여 특정 소리음이 반복적으로 울리도록 한다. 한편, 시각을 이용하는 경우라면 LED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며 낮에도 식별이 가능할 수 있도록 고휘도의 LED로써 점멸되도록 한 다. 그리고 시각을 이용하는 경우 상기 LED외에 유색의 가스가 발생되는 것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LED의 경우에는 야간이나 어두울 때 보다 효과적이지만 대낮에는 먼곳에서 LED 를 식별하기 어려운 경우가 발생된다. 따라서 낮인 경우에는 상기 알림신호로서 유색의 가스를 이용하는 것도 효과적이다. 이러한 유색 가스의 발생은 진정응급신호로 판단되는 경우 화학반응이 진행되어 유색의 무해한 가스가 외부로 방출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으로 충분하다.Next, in the fourth step, an emergency situation notification signal is generated to inform people around the emergency that an emergency patient has occurred according to the calm emergency signal. In the notification unit 270 provided in the operation module 200, an emergency situation notification signal is generated which can be recognized by surrounding people through hearing or vision at the time of a calm emergency. In the case of using hearing, a specific buzzer sounds repeatedly using a buzzer as the notification unit. On the other hand, if the time is used, it is preferable to use the LED, so that it can be identified as a high brightness LED so that it can be identified even during the day. In addition, when using time, a colored gas may be generated in addition to the LED. LEDs are more effective at night or in the dark, but can be difficult to identify at a distance from daylight. Therefore, it is also effective to use colored gas as the notification signal in the daytime. The generation of the colored gas is enough to configure the chemical reaction proceeds when it is determined as a calm emergency signal so that the colored harmless gas can be released to the outside.

진정응급신호로 판단되는 경우 생성되는 응급상황 알림신호로 언급한 부저, LED 혹은 유색 가스는 조작모듈에 모두 구비되거나 어느 하나 이상이 구비될 수 있으며 동시에 혹은 차례로 동작되는 것으로 한다. 즉, 부저가 일정시간 이상 울린 후에 LED나 유색가스가 생성되도록 하며, 특히 LED 또는 유색 가스는 식별력에서 주야간의 현저한 차이를 나타내므로 시간대에 따라 LED 또는 유색 가스가 선택적으로 생성되는 것으로 함이 바람직하다. 조작모듈에 현재시각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하여 현재 시간이 낮 시간대인 경우에는 유색가스가 선택될 수 있도록 하며, 밤 시간대인 경우에는 LED가 선택되는 것으로 구성할 수 있다.The buzzer, LED or colored gas referred to as an emergency emergency signal generated when it is determined to be a calm emergency signal may be provided in the operation module or any one or more may be provided and operated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That is, the LED or the colored gas is generated after the buzzer rings for a predetermined time, and in particular, the LED or the colored gas exhibits a remarkable difference between day and night in the discriminating power, so it is preferable that the LED or the colored gas is selectively generated depending on the time zone. . The current module can be recognized by the operation module so that the colored gas can be selected when the current time is daytime, and the LED can be selected when the time is nighttime.

더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응급상황 대처방법으로 진정응급신호로 판단되는 경우에 응긍상황 알림신호가 발생되도록 함과 아울러 조작모듈(200)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부(230)에서는 사고자(신발 착용자)의 인적사항이나 병력 등이 표시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응급상황 알림신호를 보고서 주위 사람들이 사고자를 발견한 경우 신속한 연락 및 응급처치를 위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환자 발견자는 119나 환자의 가족에게 신속하게 연락을 취할 수 있을 것이며 발견자가 의사면허나 응급구조 자격을 갖는 사람이라면 환자의 병명을 보고서 적합한 응급처치를 할 수 있을 것이다.Furthermor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emergency emergency sig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response to the emergency situation signal is generated and the display unit 230 provided in the operation module 200 of the accident (shoe wearer) It is desirable to display personal information or medical history. This is to report the emergency notification signal so that the people around them can find the accident and provide information for prompt contact and first aid. That is, the patient detector will be able to contact 119 or the patient's family quickly, and if the detector is a doctor's license or an emergency rescue person, he or she will be able to view the patient's illness and take appropriate first aid.

그리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진정응급신호로 판단된 시점의 시간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될 수 있도록 구성함이 적합하다. 즉, 사고가 발생한 시점을 정확하게 알려주므로 환자에 대한 응급조치나 기타 일처리에 도움을 줄 수 있다.And more preferably, it is suitable to configure so that the time of the time determined as the calm emergency signal can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In other words, it tells you exactly when the accident occurred and can help you with your first aid or other tasks.

다음으로는 언급한 바와 같은 응급상황 대처방법과 관련한 응급상황 대처장치에 대해 설명하는 것으로 한다.Next, the emergency response device related to the emergency response method as mentioned above will be described.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응급상황 대처장치는 신발을 매개로 하는 것으로 센서모듈과 조작모듈이 구비되되 이들은 RF통신으로 신호를 주고받게 된다.As shown in Figure 2, the emergency response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sensor module and an operation module by means of shoes, and these are used to transmit and receive signals by RF communication.

상기 센서모듈(100)은 신발에 설치되며 조작모듈은 사용자가 소지할 수 있는 형태로 제공된다. 먼저 상기 센서모듈(100)은 제1배터리유닛(110), 제1RF유닛(120), 센서유닛(130), 제1CPU유닛(140)을 포함하게 된다. 제1배터리유닛(110)은 센서모듈(100) 전체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것이며, 제1RF유닛(120)은 조작모듈(200)의 제2RF유닛(220)과 무선통신을 하게 되는 부위가 된다. 그리고 센서유닛(130)에서는 기본적으로 신발 착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정상상태와 응급상태 시의 차이를 정보로서 제공하게 되며, 제1CPU유닛(140)에서는 센서모듈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게 된다.The sensor module 100 is installed in the shoe and the operation module is provided in a form that can be carried by the user. First, the sensor module 100 includes a first battery unit 110, a first RF unit 120, a sensor unit 130, and a first CPU unit 140. The first battery unit 110 is to supply power to the entire sensor module 100, the first RF unit 120 is a portion that is in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second RF unit 220 of the operation module 200. . The sensor unit 130 basically detects the movement of the shoe wearer and provides the difference between the normal state and the emergency state as information, and the first CPU unit 140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sensor module.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센서유닛(130)에는 응급상황을 인식하기 위한 가속도센서(S2)를 갖추게 되며, 그 외 최초 신발 착용시를 판별할 수 있도록 하고자 압력 센서 또는 온도센서(S1)가 구비될 수 있다. 신발을 착용하게 되면 상기 압력센서나 온도센서(S1)에서의 변화값에 의해서 사용자가 신발을 착용했음을 조작모듈(200)로 알려주어야 한다. 상기 압력센서나 온도센서에서 감지된 변화값이 신발착용인 경우로 판단되면 제1RF유닛(120)에서 조작모듈(200)의 제2RF유닛(220)으로 신발착용 상태임을 전송하게 된다. 조작모듈(200)의 제2CPU유닛(240)에서는 이 신호에 의해서 응급상황을 판단할 수 있는 대기상태로 들어가게 되며, 동시에 진동이나 부저 혹은 LED로 사용자에게 신발착용으로 센서모듈과 조작모듈이 정상적으로 동작되고 있음을 알려주게 된다.More specifically, the sensor unit 130 is equipped with an acceleration sensor (S2) for recognizing an emergency situation, and may be provided with a pressure sensor or a temperature sensor (S1) in order to be able to determine when the first shoe wearing. . When the shoe is worn, the user should inform the operation module 200 that the user wears the shoe by the change value in the pressure sensor or the temperature sensor S1.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change value detected by the pressure sensor or the temperature sensor is shoe wearing, the first RF unit 120 transmits the shoe wearing state to the second RF unit 220 of the operation module 200. The second CPU unit 240 of the operation module 200 enters the standby state to determine an emergency situation by this signal, and at the same time, the sensor module and the operation module operate normally by putting on shoes to the user with vibration, buzzer, or LED. It will tell you that it is.

상기 센서유닛(130)에 구비되는 가속도센서(S2)는 사용자가 신발을 착용하고서 움직이는 경우 가속도값이 변화되며, 정상적인 보행시와 비정상적인 보행상태인 경우 현격한 측정치의 차이가 발생된다. 여기서 비정상적인 보행상태라 함은 신발 착용자가 의식불명상태로 쓰러지거나 높은 곳에서 추락하여 거동이 불가능한 상태로 되는 등 정상적인 보행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를 의미한다.The acceleration sensor S2 provided in the sensor unit 130 changes in the acceleration value when the user moves while wearing a shoe, and a difference in the measured value is generated in the normal walking state and the abnormal walking state. The abnormal walking state refers to a case in which normal walking is not performed, such as a shoe wearer falling into an unconscious state or falling down from a high place to become unable to move.

가속도센서(S2)에서 측정되는 가속도값이 비정상적인 상태로 일정기간 이상 지속되는 경우에는 제1CPU유닛(140)에서 이를 인식하여 제1RF유닛(120)을 통해서 제2RF유닛(220)으로 예비응급신호를 전송하게 된다.If the acceleration value measured by the acceleration sensor S2 is maintained in an abnormal state for a predetermined period or more, the first CPU unit 140 recognizes this and sends a preliminary emergency signal to the second RF unit 220 through the first RF unit 120. Will be sent.

상기 조작모듈(200)은 신발 착용자가 소지하거나 신체에 부착시킬 수 있는 것이며, 디스플레이부(230), 다수의 기능버튼(250), 제2배터리유닛(210), 메모리유닛(260), 제2RF유닛(220), 알림유닛(270) 및 제2CPU유닛(240)을 포함하게 된다. 상기 메모리유닛(260)에는 신발 착용자의 기본적인 신상정보로서 연락처, 성명 그 리고 병력 등이 저장되는 것으로 하며, 알림유닛(270)에 구비되는 알림신호로는 부저, LED, 진동발생자, 유색 가스 등이 될 수 있다. 알림신호으로의 부저 등은 신발 착용시의 신발착용 알림신호와 응급상황시의 응급상황 알림신호를 구별할 수 있도록 셋팅된다. 예를 들어 신발착용 알림신호시의 소리음과 응급상황 알림신호시의 소리음이 다르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상기 디스플레이부(230)에서는 응급상황시 사용자의 인적사항이나 병력 등이 표시되는 것으로 한다. 그 외 조작모듈(200)에는 현재 시각을 알 수 있는 시계(280)가 구비되며 응급상황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응급상황 발생시간을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서 표시되는 것으로 구성한다.The operation module 200 may be carried by a shoe wearer or attached to a body, and includes a display unit 230, a plurality of function buttons 250, a second battery unit 210, a memory unit 260, and a second RF. The unit 220, the notification unit 270 and the second CPU unit 240 will be included. The memory unit 260 is to store the contact information, name and history as basic personal information of the shoe wearer, and the notification signal provided in the notification unit 270, buzzer, LED, vibration generator, colored gas, etc. This can be The buzzer as the notification signal is set to distinguish the notification signal for wearing shoes and the emergency signal for emergencies. For example, the sound of the notification signal when wearing shoes and the sound of the emergency notification signal is configured to be different. In the display 230, the personal information or medical history of the user may be displayed in an emergency situation. In addition, the operation module 200 is provided with a clock 280 for knowing the current time,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emergency situation is configured to display the emergency occurrence time through the display.

본 발명의 응급상황 대처장치의 작동관계는 상술한 응급상황 대처방법에서 서술한 바와 중복되는 바, 개략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The operation relationship of the emergency response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overlaps with that described in the above-mentioned emergency response method, and will be described schematically.

최초 사용자가 신발을 착용하면 압력센서 또는 온도센서(S1)가 이를 감지하여 제1RF유닛(120)을 통해서 제2RF유닛(220)으로 신호를 전송하며, 제2CPU유닛(240)에서는 이것을 받아서 신발착용 신호로 인식하여 센서모듈(100)과 조작모듈(200)이 대기상태로 전환되도록 한다. 동시에 정상적으로 센서모듈(100)과 조작모듈(200)이 작동되고 있음을 사용자에게 알려줄 필요가 있는 바, 조작모듈에 구비되는 알림신호 중에서 부저, LED 혹은 진동으로 사용자에게 정상동작 되고 있음을 알려준다.When the first user wears a shoe, a pressure sensor or a temperature sensor S1 detects this and transmits a signal to the second RF unit 220 through the first RF unit 120, and the second CPU unit 240 receives the shoe and wears it. The sensor module 100 and the operation module 200 are recognized as a signal to be switched to the standby state. At the same time, it is necessary to inform the user that the sensor module 100 and the operation module 200 are normally operating. The notification signal provided in the operation module indicates that the user is operating normally by buzzer, LED or vibration.

사용자가 보행을 하게 되면 센서모듈(100)의 가속도센서(S2)는 신발의 움직임에 따른 가속도값을 측정하게 되는데, 만약 사용자가 쓰러지거나 하는 경우 상기 가속도센서의 측정값에는 현저한 변화가 생긴다. 따라서 센서모듈에서는 가속도값이 일정시간 이상 비정상상태로 인식되면 예비응급신호를 조작모듈로 전송하게 된다. 조작모듈(200)에서 예비응급신호를 받게 되면 상기 알림신호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써 사용자에게 예비응급신호가 수신되었음을 알려주게 되며, 상기 예비응급신호에 대한 아무런 대응조치가 없는 경우에는 제2CPU유닛(240)이 진정응급신호로 판단하게 된다. 진정응급신호로 판단되면 알림신호 중 부저, LED, 유색가스 중 어느 하나 혹은 둘이상의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하여 주위사람들에게 응급상황 발생을 알리도록 한다.When the user walks, the acceleration sensor S2 of the sensor module 100 measures the acceleration value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shoe. If the user falls, a significant change occurs in the measured value of the acceleration sensor. Therefore, the sensor module transmits a preliminary emergency signal to the operation module when the acceleration value is recognized as an abnormal state for a predetermined time or more. When the preliminary emergency signal is received by the operation module 200, the user is informed that the preliminary emergency signal has been received as one or more of the notification signals, and when there is no corresponding action on the preliminary emergency signal, the second CPU unit 240. The calm emergency signal is judged. If it is determined to be a calm emergency signal, one or more of the buzzer, LED, colored gas or two or more of the notification signal to generate an emergency situation to the people around.

바람직하게는 LED는 야간에 생성되는 것으로 하고 유색가스는 낮에 생성되는 것으로 함이 적합하다. 따라서 시간대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하여 제2CPU유닛에서는 시간대에 맞게 LED나 유색가스가 생성되도록 한다.Preferably, the LED is produced at night and the colored gas is produced at daytime. Therefore, the time zone can be recognized so that the second CPU unit generates the LED or the colored gas according to the time zone.

본 발명에 의하면 노약자를 비롯한 신발 착용자가 불의의 사고를 당하거나 하는 경우 자동적으로 응급구조신호를 발생시켜서 주위사람들에게 도움을 요청할 수 있도록 하므로 소중한 인명을 구하는데 기여할 수 있으므로 부가가치가 높은 신발로서 실제 적용될 가능성이 높은 기술이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shoe wearer including an elderly person is in an accident or causes an accident, the emergency rescue signal is automatically generated so that people can ask for help, so it can contribute to saving precious lives. It is a highly likely technology.

도1은 응급상황 대처방법의 흐름을 보여주는 플로우 차트.1 is a flow chart showing the flow of emergency response measures.

도2는 응급상황 대처장치의 구성도.2 is a block diagram of an emergency response device.

도3은 센서모듈의 실제 설치 상태를 보여주는 예시도.Figure 3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the actual installation state of the sensor module.

<도면에 사용된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Description of Major Symbols Used in Drawings>

100 : 센서모듈 110 : 제1배터리유닛100: sensor module 110: first battery unit

120 : 제1RF유닛 130 : 센서유닛120: first RF unit 130: sensor unit

140 : 제1CPU유닛 200 : 조작모듈140: first CPU unit 200: operation module

210 : 제2배터리유닛 220 : 제2RF유닛210: second battery unit 220: second RF unit

230 : 디스플레이부 240 : 제2CPU유닛230: display unit 240: second CPU unit

250 : 기능버튼 260 : 메모리유닛250: Function button 260: Memory unit

270 : 알림유닛 280 : 시계270: notification unit 280: clock

S1 : 압력센서 또는 온도센서 S2 : 가속도센서S1: pressure sensor or temperature sensor S2: acceleration sensor

Claims (7)

응급상황을 인지하기 위하여 신발에 부착하는 것으로서, 제1배터리유닛(110), 제1RF유닛(120), 압력센서(S1)와 가속도 센서(S2)로 이루어지는 센서유닛 및 상기 센서유닛으로부터 수집된 정보를 분석하여 응급상황으로 판단될 시에는 상기 제1RF유닛을 통하여 응급신호를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1CPU유닛(140)으로 구성되는 센서모듈과, Attached to the shoe to recognize the emergency, the sensor unit consisting of the first battery unit 110, the first RF unit 120, the pressure sensor (S1) and the acceleration sensor (S2) and the information collected from the sensor unit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emergency situation by analyzing the sensor module consisting of a first CPU unit 140 for controlling to transmit the emergency signal through the first RF unit, 신발 착용자가 소지하도록 휴대용 단말기로 제작되는 것으로서, 디스플레이부(230)와 기능버튼들(250), 제2배터리유닛(210), 신발 착용자의 신상정보가 저장되는 메모리유닛(260), 상기 제1RF유닛과 통신하게 되는 제2RF유닛(220), 응급상황임을 주위에 알릴 수 있는 알림유닛(270) 및 타 요소들과 연결되어 응급상황발생시 상기 알림유닛이 작동되게 하는 제2CPU유닛(240)으로 구성되는 조작모듈을 사용하여 신발 착용자의 응급상황에 대처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It is manufactured as a portable terminal to be worn by the shoe wearer, the display unit 230, the function buttons 250, the second battery unit 210, memory unit 260 that stores the personal information of the shoe wearer, the first RF The second RF unit 220 which communicates with the unit, the notification unit 270 that can notify the surroundings of the emergency situation and the other elements are connected to the second CPU unit 240 to operate the notification unit when an emergency occurs As a method for coping with the emergency situation of the shoe wearer using the operation module, 상기 센서모듈에서 사용자가 신발을 착용했을 때의 변화를 상기 압력센서가 감지하여 상기 조작모듈로 신발착용을 알려 대기상태로 전환되게 하되 상기 센서모듈과 조작모듈이 정상적인 동작임을 알려주는 신발착용 알림신호가 상기 조작모듈에서 시각, 청각 또는 진동의 형태로 발생되게 하는 제1단계와;The pressure sensor detects the change when the user wears the shoe in the sensor module to notify the wearing of the shoe to the operation module to switch to the standby state, but the notification signal for wearing the shoe module and the operation module is normal. A first step of causing the operation module to be generated in the form of visual, auditory or vibration; 상기 센서모듈에 내장되는 가속도센서에 의해서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변화되는 가속도 값을 이용하여 비정상적인 가속도 값이 일정시간 이상 지속되는 경우 상기 조작모듈로 예비응급신호를 전송토록 하여 상기 조작모듈의 알림유닛에서 시각, 청각 또는 진동의 형태로 예비응급신호를 착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제2단계와;If an abnormal acceleration value is maintained for a predetermined time or more by using an acceleration value that is changed according to a user's movement by an acceleration sensor built in the sensor module, the preliminary emergency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operation module to inform the operation module of the operation module. A second step of allowing the wearer to recognize the preliminary emergency signal in the form of visual, auditory or vibration; 상기 예비응급신호에 대응하여 착용자가 일정 시간 내에 상기 기능버튼을 조작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2CPU유닛이 진정응급신호임으로 판단하도록 하는 제3단계와; A third step of determining that the second CPU unit is a genuine emergency signal if the wearer does not operate the function button within a predetermined time in response to the preliminary emergency signal; 상기 조작모듈에서 진정응급신호임이 인식되면 상기 알림유닛에 의하여 청각 또는 시각을 통하여 주변사람들이 인식할 수 있는 응급상황 알림신호가 생성되도록 하고, 상기 조작모듈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부를 통해서 사고자의 인적사항 및 병력 등이 표시되도록 하며, 동시에 사고발생시점으로 진정응급신호로 판단된 시간이 표시되도록 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을 이용한 응급상황 대처방법.When it is recognized that the operation module is a calm emergency signal, the notification unit generates an emergency situation notification signal that can be recognized by neighboring people through hearing or vision, and the personal information of the accident through the display unit provided in the operation module. And a fourth step of displaying the medical history and the like, and at the same time displaying the time determined as the emergency emergency signal at the time of occurrence of the accident.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알림유닛은,The notification unit, 청각을 통해 인지할 수 있는 소리음이거나 시각을 통해 인지할 수 있는 LED 또는 유색의 가스인 것으로 함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을 이용한 응급상황 대처방법.How to deal with emergencies using shoes, characterized in that the sound that can be perceived through hearing or LED or colored gas that can be recognized through vision.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080091043A 2008-09-17 2008-09-17 Responsing method in emergency case using footwear KR100987273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1043A KR100987273B1 (en) 2008-09-17 2008-09-17 Responsing method in emergency case using footwear
PCT/KR2009/005277 WO2010032961A2 (en) 2008-09-17 2009-09-17 Method and apparatus for emergency rescue using sho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1043A KR100987273B1 (en) 2008-09-17 2008-09-17 Responsing method in emergency case using footwea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2076A KR20100032076A (en) 2010-03-25
KR100987273B1 true KR100987273B1 (en) 2010-10-12

Family

ID=420400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1043A KR100987273B1 (en) 2008-09-17 2008-09-17 Responsing method in emergency case using footwear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987273B1 (en)
WO (1) WO2010032961A2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60096A3 (en) * 2016-03-17 2018-08-02 엘지전자 주식회사 Smart shoe module
KR20210101902A (en) 2020-02-11 2021-08-19 한영대학교산학협력단 Safety gaiters for notifying accidents and their severity and Method for worker safety management Using them
KR20210101677A (en) 2020-02-10 2021-08-19 이상현 Apparatus and system of detecting emergency and alarming using smart phone and method thereof
KR102353330B1 (en) 2020-11-18 2022-01-19 주식회사 그린에스시스템즈 Harmful gas detection system using safety shoes equipped with harmful gas detection senso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80675B2 (en) 2006-05-22 2014-07-15 Nike, Inc. Watch display using light sources with a translucent cover
US9383220B2 (en) 2010-11-01 2016-07-05 Nike, Inc. Activity identification
US8814754B2 (en) 2010-11-01 2014-08-26 Nike, Inc. Wearable device having athletic functionality
US8974349B2 (en) 2010-11-01 2015-03-10 Nike, Inc. Wearable device assembly having athletic functionality
US9011292B2 (en) 2010-11-01 2015-04-21 Nike, Inc. Wearable device assembly having athletic functionality
KR101605999B1 (en) 2010-11-01 2016-03-23 나이키 이노베이트 씨.브이. Wearable device assembly having athletic functionality
KR101314858B1 (en) * 2012-05-25 2013-10-04 한국철도기술연구원 Self generating safety shoes and system of preventing accident at railway using the same
US9720443B2 (en) 2013-03-15 2017-08-01 Nike, Inc. Wearable device assembly having athletic functionality
KR101671737B1 (en) 2014-02-05 2016-11-02 대 곤 윤 Restoration switch for the standby-power
CN104077880A (en) * 2014-06-10 2014-10-01 深圳市元征软件开发有限公司 Accident alarming help-calling system and method
KR101454189B1 (en) * 2014-07-09 2014-11-04 차아란 Shoes for tracing location
KR102475626B1 (en) * 2016-05-18 2022-12-08 엘지전자 주식회사 Smart terminal service system and smart terminal processing data
GB2561328B (en) * 2016-06-28 2019-04-10 Skyguard Ltd Safety device with fall detection
KR102398480B1 (en) * 2020-07-31 2022-05-16 주식회사 슈올즈 Shoes interlocked with the app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94973A (en) * 1998-10-23 2000-07-14 Masanobu Kujirada Emergency informing system
KR20020014005A (en) * 2000-08-12 2002-02-25 박병규 Internet exercise control system by using shoe with exercise-quantity measuring sensor
KR20040077625A (en) * 2004-08-16 2004-09-04 박정규 Apparatus and method for indicating emergency of human body
KR20060037642A (en) * 2004-10-28 2006-05-03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Shoe having medical examining function and medical examining system with the sam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94973A (en) * 1998-10-23 2000-07-14 Masanobu Kujirada Emergency informing system
KR20020014005A (en) * 2000-08-12 2002-02-25 박병규 Internet exercise control system by using shoe with exercise-quantity measuring sensor
KR20040077625A (en) * 2004-08-16 2004-09-04 박정규 Apparatus and method for indicating emergency of human body
KR20060037642A (en) * 2004-10-28 2006-05-03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Shoe having medical examining function and medical examining system with the same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60096A3 (en) * 2016-03-17 2018-08-02 엘지전자 주식회사 Smart shoe module
US10893719B2 (en) 2016-03-17 2021-01-19 Lg Electronics Inc. Smart shoe module
KR20210101677A (en) 2020-02-10 2021-08-19 이상현 Apparatus and system of detecting emergency and alarming using smart phone and method thereof
KR20210101902A (en) 2020-02-11 2021-08-19 한영대학교산학협력단 Safety gaiters for notifying accidents and their severity and Method for worker safety management Using them
KR102353330B1 (en) 2020-11-18 2022-01-19 주식회사 그린에스시스템즈 Harmful gas detection system using safety shoes equipped with harmful gas detection sens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0032961A2 (en) 2010-03-25
KR20100032076A (en) 2010-03-25
WO2010032961A3 (en) 2010-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7273B1 (en) Responsing method in emergency case using footwear
CN103368792B (en) Communication system for monitoring the health status of a patient, communication device, sensor device and method
US20160157756A1 (en) Bluetooth falling-over alarm insole
CN106781275B (en) Shoes for fall detection and fall detection method and device thereof
US20140135644A1 (en) Wearable device and managing device to manage status of user, and methods thereof
EP3033958B1 (en) Method of detecting a fall of a footwear user
KR101856053B1 (en) A shoe pad for coping with dangerous situation and a method for distinguishing dangerous situation using the same
WO2006101587A3 (en) System and method for human body fall detection
US10803721B2 (en) Method for supporting a user and user device
KR101612507B1 (en) Dangerous situation management system by self-protection ring
KR20130096085A (en) Sport helmet
WO2019158954A1 (en) A wearable alarm device and a method of use thereof
KR20200059508A (en) Shoe with piezoelectric element based energy harvester and pedestrian monitoring system using the same
KR100874839B1 (en) Ubiquitous network system for rescue and emergency statement based on lighting supervisory system
KR20130098533A (en) System for mobile terminal base u-health helmet and safety
CN206610414U (en) A kind of the elderly falls down monitoring system
KR20100089911A (en) Lifesaving method and system for safety cap
KR20200016439A (en) Walking monitoring system using sensing module mounted on wearer&#39;s shoes
KR101388984B1 (en) Alarm system for the lifesaving
KR102426544B1 (en) Safety gaiters for notifying accidents and their severity and Method for worker safety management Using them
CN110916671A (en) Intelligent running monitoring system
GB2581221A (en)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KR101674474B1 (en) Wrist wear type alarm device for heat-resisting and waterproof guaranteed
KR102274822B1 (en) Monitering system for a dementia patient
KR102615018B1 (en) Smart safety cloth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5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