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1198B1 - Block navigation method of digital device and system thereof - Google Patents

Block navigation method of digital device and system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1198B1
KR100981198B1 KR1020080016436A KR20080016436A KR100981198B1 KR 100981198 B1 KR100981198 B1 KR 100981198B1 KR 1020080016436 A KR1020080016436 A KR 1020080016436A KR 20080016436 A KR20080016436 A KR 20080016436A KR 100981198 B1 KR100981198 B1 KR 1009811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tegory
block
content
contents
display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643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90090892A (en
Inventor
이재용
김경아
Original Assignee
(주)피엑스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피엑스디 filed Critical (주)피엑스디
Priority to KR10200800164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1198B1/en
Publication of KR200900908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089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11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119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38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limited linear or angular displacement of an operating part of the device from a neutral position, e.g. isotonic or isometric joystic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04Q9/04Arrangements for synchronous operation

Abstract

디지털 장치의 블록 네비게이션 방법 및 그 시스템을 개시한다. 본 발명은 네 방향 이동키를 입력기로 가지는 디지털 장치의 콘텐츠를 그룹핑하여 하나 이상의 카테고리를 형성하는 단계와, 하나 이상의 카테고리를 블록으로 지정하고 카테고리와 카테고리에 속하는 콘텐츠를 동시에 표시하는 단계 및, 네 방향 이동키의 포커스를 블록 간 이동하면서 상기 블록에 연동하는 카테고리의 콘텐츠를 찾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지털 장치의 블록 네비게이션 방법을 제공한다. 카테고리별 콘텐츠를 그룹핑하므로 사전에 콘텐츠 정보를 제공할 수 있고 블록 간 빠른 이동을 통해 원하는 콘텐츠를 효과적으로 찾을 수 있다.Disclosed are a block navigation method of a digital device and a system there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of forming one or more categories by grouping contents of a digital device having four directional navigation keys as an input unit, designating one or more categories as blocks, and simultaneously displaying the categories and contents belonging to the categories, and four directional navigation keys. It provides a block navigation method of a digital device comprising the step of finding the content of the category linked to the block while moving the focus of the block. By grouping content by category, it is possible to provide content information in advance and find the desired content effectively through fast moving between blocks.

블록, 네비게이션, 디지털 Block, navigation, digital

Description

디지털 장치의 블록 네비게이션 방법 및 그 시스템{BLOCK NAVIGATION METHOD OF DIGITAL DEVICE AND SYSTEM THEREOF}BLOCK NAVIGATION METHOD OF DIGITAL DEVICE AND SYSTEM THEREOF

본 발명은 디지털 장치의 블록 네비게이션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카테고리별로 디지털 장치 정보를 그룹핑하여 블록 네비게이션하는 디지털 장치의 블록 네비게이션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lock navigation method and system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to a block navigation method and system for a digital device for block navigation by grouping digital device information by category.

상하좌우의 네 방향 이동키를 입력기로 하는 디지털 장치에서 콘텐츠를 찾기하기 위해 소정 메뉴가 제공되고 네 방향 이동키를 이동시키며 화면 상에 하이라이트되는 부분을 이동시켜 가면서 네비게이션을 실행한다. 예를 들면, 디지털 TV나 디지털 셋톱박스 등 디지털 장치 등에서 방송 프로그램의 편성표를 제공하는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Electronic Program Guide: EPG) 또는 주문형 비디오 등에서 장르별로 방송 프로그램 목록을 보여주게 되는데, 1단계로 몇 개의 장르들을 화면에 먼저 보여주고 한 카테고리를 선택하면 화면이 바뀌면서 선택한 카테고리에 속하는 방송 프로그램 목록을 보여준다. 마음에 드는 프로그램이 없는 경우 상기 프로그램 목록 화면을 빠져 나오고 다시 카테고리를 선택하는 등의 동작을 반복해야 한다. In order to find content in a digital device using up, down, left and right four-way navigation keys, a predetermined menu is provided, and four-way navigation keys are moved to move the highlighted portion on the screen. For example, an electronic program guide (EPG) or an on-demand video, which provides a program schedule of a broadcast program on a digital device such as a digital TV or a digital set-top box, displays a list of programs by genre. The genres are shown on the screen first, and when a category is selected, the screen changes to show a list of programs belonging to the selected category. If there is no favorite program, the user must exit the program list screen and select a category again.

도 1은 종래의 네 방향 이동키를 가지는 디지털 장치에서 콘텐츠를 네비게이 션하는 방법을 보이는 도면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navigating contents in a digital device having a conventional four-way movement key.

도 1을 참조하면, 먼저 콘텐츠가 제시되는 단계에서 디지털 장치의 화면에 다섯 개의 카테고리 즉, 영화, 드라마, 스포츠, 키즈, 성인을 보이고 있다. 그 중 영화 카테고리(1)를 네 방향 이동키의 OK키를 누르는 방식으로 선택하면 영화 카테고리(1)에 포함되는 황진이, 미션 임파서블, 투스카니의 태양, 일 포스타노, 비포더레인이 펼쳐진다. 만약 목록내에 원하는 영화가 없고 다른 카테고리 내의 콘텐츠를 보려면 왼쪽 방향 이동키(◀)를 눌러 이전 메뉴로 이동한다. Referring to FIG. 1, five categories, that is, movies, dramas, sports, kids, and adults, are displayed on a screen of a digital device at the stage of presenting content. When the movie category 1 is selected by pressing the OK key of the four-way movement key, Hwang Jin included in the movie category 1 unfolds the mission impossible, the sun of Tuscany, the Il Postano, and the bipoderrain. If there is no movie in the list and you want to see content in another category, press the left arrow (◀) key to move to the previous menu.

이전 메뉴, 즉 카테고리 선택 화면에서 영화 카테고리에 위치하던 포커스를 아래 방향 이동키(▼)를 눌러 드라마 카테고리(3)로 이동시킨 다음 OK키를 눌러 선택하면 화면이 바뀌면서 하얀 거탑(4)에 포커스가 이동하게 된다. In the previous menu, that is, the category selection screen, move the focus located in the movie category to the drama category (3) by pressing the down button (▼), and then select it by pressing the OK key. Done.

즉, 기존의 디지털 장치에서는 메뉴에서 카테고리를 먼저 보여주고 한 카테고리를 선택하면, 화면이 바뀌고 다음 화면에서 해당 카테고리 내의 콘텐츠를 보여주는 동작 순서를 가지고 있다. 그런데, 각 카테고리의 이름이 불확실하거나, 또는 카테고리 분류가 잘못되거나, 또는 콘텐츠가 어느 카테고리에 속하는지 분명하지 않는 경우, 또는 카테고리 이름만으로는 사용 욕구를 불러일으킬 수 없을 때, 또는 사용자가 해당 카테고리의 콘텐츠를 스크롤하여 보았음에도 원하는 콘텐츠가 없는 경우, 사용자는 각 카테고리 안의 콘텐츠 목록을 일일이 확인해야만 하는데, 이 경우 사용자가 각 카테고리의 콘텐츠를 보려면 카테고리 선택-> 선택 카테고리 콘텐츠 목록 탐색-> 콘텐츠 목록 빠져나옴 -> 다시 카테고리 선택 등의 행동을 반복해야 한다. That is, in the existing digital device, when a category is first displayed in a menu and one category is selected, the screen is changed and the next screen has an operation sequence of showing contents in the corresponding category. However, if the name of each category is uncertain, or if the category classification is incorrect, or if it is not clear which category the content belongs to, or if the category name alone does not trigger the need for use, or the user is in the category If you have scrolled through and do not have the content you want, the user must manually check the list of content within each category, in which case the user must select Select Categories-> Browse Selected Content Lists-> Exit Content List to view the contents of each category. > You must repeat the action, such as category selection.

도 2는 종래의 텔레비전 화면에 나타나는 메뉴와 이를 이용하여 프로그램을 네비게이션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보이는 도면이다.2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menu appearing on a conventional television screen and a process of navigating a program using the same.

도 2를 참조하면 종래의 전체 메뉴(10)는 메인 메뉴(11)에 TV 프로그램, VOD(다시보기), 최신 영화관, 부가서비스, 프로그램 찾기, 환경설정, 서비스 안내의 메뉴가 있고 TV 프로그램을 포커스하면 이에 따라 카테고리(12)가 장르별로 표시된다. 카테고리에는 선호채널보기, 지상파/홈쇼핑, 영화/유로채널, 드라마/오락, 뉴스/정보, 교육/여성, 스포츠/교양 등이 있고 이 중 지상파/홈쇼핑 채널을 선택하면 좌측 화면(12)에서 우측 화면(14)으로 화면이 바뀌면서 지상파/홈쇼핑 채널에 속하는 채널들이 채널 번호 순서로 일렬로 나열된다. 여기서 원하는 채널 또는 방송 프로그램이 없다면 다른 장르를 선택하기 위해 다시 이전 화면 즉, 도3의 좌측 화면(13)으로 가야한다. Referring to FIG. 2, the conventional full menu 10 includes a TV program, a VOD (replay), a new movie theater, an additional service, a program finder, an environment setting, a service guide, and a TV program in the main menu 11. Accordingly, the categories 12 are displayed according to genres accordingly. Categories include Preferred Channel, Terrestrial / Home Shopping, Movie / Euro Channel, Drama / Entertainment, News / Information, Education / Women, Sports / Cultivation, etc. As the screen changes to (14), channels belonging to the terrestrial / home shopping channels are arranged in a line in order of channel number. If there is no desired channel or broadcast program, it is necessary to go back to the previous screen, that is, the left screen 13 of FIG. 3, in order to select another genre.

종래의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는 원하는 채널이나 프로그램을 네비게이션하기 위해 메뉴로부터 카테고리로, 상기 카테고리에서 다시 카테고리에 포함되는 채널로 여러 번 뎁스(depth)를 거쳐 이동하여야 하고 원하는 프로그램이 없는 경우 다시 이전 화면으로 이동을 반복해야 하는 등 조작이 매우 번거롭다. The conventional electronic program guide has to move through the depth several times from a menu to a category, from the category to a channel included in the category again in order to navigate a desired channel or program. The operation is very cumbersome, such as having to repeat.

이러한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이외에도 종래의 네 방향 이동키를 가지는 디지털 장치에서는 콘텐츠가 많아서 스크롤을 빈번하게 해야 하는 경우, 네방향 키 외에 별도의 페이지 이동 키를 두기도 하는데 이런 경우 페이지 이동을 하기 위해 TV 화면을 보다가 다시 리모컨을 보면서 페이지 이동 키를 찾아야 하는 등 매우 불편하다.In addition to the electronic program guide, a conventional digital device having four directional navigation keys has a large amount of content, and if a user needs to scroll frequently, a separate page navigation key may be provided in addition to the four directional keys. Is very inconvenient to find the page navigation key while looking at the remote control again.

즉, 종래에는 페이지 이동을 위해 리모콘의 네 방향 키와 페이지 이동 키의 기능이 분리되어 기능의 전환이 부자연스럽고 여러 뎁스를 거쳐서 콘텐츠를 네비게이션해야 하는 등 사용자의 조작이 번거롭고 매우 불편하다.That is, in the related art, the functions of the four direction keys and the page moving key of the remote controller are separated to move the page, so that the switching of the functions is unnatural and the user has to navigate the contents through various depths.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디지털 장치의 콘텐츠를 카테고리별로 그룹핑하여 블록으로 지정하는 디지털 장치의 블록 네비게이션 방법 및 그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Disclosure of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improve the above-described prior art,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lock navigation method and system for a digital device, in which content of the digital device is grouped into categories and designated as a block.

본 발명은 또한 카테고리에 포함되는 콘텐츠를 함께 제시하고 포커스를 블록 간 빠르게 이동시킴으로써 원하는 콘텐츠를 빠르게 찾을 수 있는 디지털 장치의 블록 네비게이션 방법 및 그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lock navigation method and system for a digital device that can quickly find a desired content by presenting content included in a category together and quickly moving the focus from block to block.

본 발명은 또한 카테고리를 블록으로 지정하거나 빈 블록, 이미지 블록 등으로 불록을 스마트하게 구성함으로써 빠른 블록 간 이동을 통해 원하는 콘텐츠를 신속하게 얻을 수 있는 디지털 장치의 블록 네비게이션 방법 및 그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block navigation method and system for a digital device that can quickly obtain desired content through fast block-to-block movement by designating a category as a block or by constructing a block smartly with an empty block, an image block, or the like. The purpose.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네 방향 이동키를 입력기로 가지는 디지털 장치의 콘텐츠를 그룹핑하여 하나 이상의 카테고리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하나 이상의 카테고리를 블록으로 지정하고 상기 카테고리와 상기 카테고리에 속하는 콘텐츠를 동시에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네 방향 이동키의 포커스를 상기 블록 간 이동하면서 상기 블록에 연동하는 카테고리의 콘텐츠를 찾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장치의 블록 네비게이션 방법을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is to form a group of contents of a digital device having a four-way movement key as an input unit to form at least one category, designating the at least one category as a block and the content belonging to the category and the category And simultaneously displaying the contents and finding contents of a category linked to the blocks while moving the focus of the four-way movement key between the blocks.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또한, 디지털 장치의 방송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기와 상기 디지털 장치의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와 상기 수신기에 사용자가 명령을 입력하는 네 방향 이동키를 입력기로 포함하는 디지털 장치의 네비게이션 시스템으로서, 상기 수신기는, 상기 디스플레이에 상기 콘텐츠를 그룹핑하여 하나 이상의 카테고리로 형성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카테고리를 블록으로 지정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의 화면에 표시하는 블록 형성부 및, 상기 입력기의 입력에 따라 상기 블록 상에 포커스를 상하좌우로 이동하는 포커스 이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장치의 블록 네비게이션 시스템을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digital receiver comprising a receiver for receiving broadcast information of a digital device, a display for displaying the information of the digital device, and a four-way movement key for inputting a user command to the receiver. A navigation system of a device, the receiver comprising: a block forming unit for grouping the contents on the display to form one or more categories and designating the one or more categories as blocks to display on the screen of the display;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lock navigation system of a digital device, including a focus shifter for moving the focus up, down, left, and right on the block.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장치의 블록 네비게이션 방법 및 그 시스템은, 카테고리별 콘텐츠를 보여주므로 콘텐츠 정보를 블록간 포커스 이동 전에 충분히 확인할 수 있다.The block navigation method and system thereof of a digit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 content by category and thus can sufficiently check the content information before moving the focus between block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장치의 블록 네비게이션 방법 및 그 시스템은 또한 블록 네비게이션 방법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콘텐츠를 빠르게 찾을 수 있도록 한다.The block navigation method and system thereof of a digit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lso enable the user to quickly find desired content by using the block navigation metho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장치의 블록 네비게이션 방법 및 그 시스템은 또한 뎁스를 감소시켜 사용자가 원하는 콘텐츠를 빠르게 얻을 수 있도록 한다.The block navigation method and system thereof of a digit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lso reduce the depth so that a user can quickly obtain desired content.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장치의 블록 네비게이션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 3 is a flowchart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block navigation method of a digit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 네비게이션 방법은 네 방향 이동키를 입력기로 가지는 디지털 장치의 콘텐츠를 그룹핑하여 하나 이상의 카테고리를 형성하는 단계(S10)와, 상기 하나 이상의 카테고리를 블록으로 지정하고 상기 카테고리와 상기 카테고리에 속하는 콘텐츠를 동시에 표시하는 단계(S11) 및, 상기 네 방향 이동키의 포커스를 상기 블록 간 이동하면서 상기 블록에 연동하는 카테고리의 콘텐츠를 찾는 단계(S12)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3, in a block navig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grouping contents of a digital device having a four-way movement key as an input unit to form one or more categories (S10) and block the one or more categories And displaying the category and the content belonging to the category at the same time (S11), and finding the contents of the category linked to the block while moving the focus of the four-way movement key between the blocks (S12). .

여기서, 상기 디지털 장치는 디지털 TV, 셋톱박스(위성, 지상파, 케이블, IPTV), 위성 DMB폰, DMB 네이게이터, 지상파 DMB 수신기, VOD 셋톱박스, PVR(Personal Video Recorder) 셋톱박스 등의 영상 기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콘텐츠는 방송정보, VOD 장르, 비디오 목록, 주소록, 기능 목록 등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디지털 장치에서 실시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네비게이션 방법에 대해서는 아래 도 8 내지 도 11에 대한 설명 중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The digital device may include a digital TV, a set-top box (satellite, terrestrial, cable, IPTV), a satellite DMB phone, a DMB navigator, a terrestrial DMB receiver, a VOD set-top box, and a PVR set-top box. In this case, the content may be broadcast information, a VOD genre, a video list, an address book, a function list, and the like. A navigation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mplemented in such a digital devic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8 to 11 below.

상기 디지털 장치는 또한, PMP, MP3, PDA, 휴대형 컴퓨터, 카 네비게이션 수신기, 게임기(휴대용 게임기, 가정용 콘솔 게임기, 오락실용 아케이드 게임기) 등이 될 수 있고, 상기 콘텐츠는 영상 목록, 음악 목록, 사진 목록, 이미지 목록, 주소록, 일정표, 기타 다양한 기능 목록이 될 수 있다. The digital device may also be a PMP, an MP3, a PDA, a portable computer, a car navigation receiver, a game machine (portable game machine, home console game machine, arcade game machine for game room), and the like. It can be a list of images, an address book, a calendar, or a list of other features.

전화기, 비디오폰(LCD 장착 폰), 팩스, 냉장고 등의 디지털 장치와 관련하여서는 전화번호부, 기능 목록 등이 상기 콘텐츠가 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가능한 시계와 같은 디지털 장치의 경우 도시 목록, 기능 목록이 상기 콘텐츠가 될 수 있고, 프린터, 세탁기, 전기밥솥과 같은 디지털 장치의 경우 기능 목록이 상기 콘텐츠가 될 수 있으며, 휴대형 인터넷 기기와 관련하여 인터넷 화면(HTML, WAP 등의 표시)가 상기 콘텐츠가 될 수 있다.In the case of digital devices such as telephones, video phones (LCD-equipped phones), fax machines, refrigerators, and the like, the contents may include the phone book and the function list. For digital devices such as a displayable clock, the city list and the function list may be used. The content list may be a function list in the case of a digital device such as a printer, a washing machine or an electric rice cooker, and the Internet screen (display of HTML, WAP, etc.) may be the content in relation to a portable Internet device. have.

상기 카테고리는 주제별 카테고리, 장르별 카테고리, 지역별 카테고리, 가나다순 카테고리, 시간별 카테고리 등 원하는 각 카테고리별로 다양하게 그룹핑할 수 있다.The categories may be variously grouped for each desired category such as a subject category, a genre category, a region category, an alphabetical category, a time category, and the lik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네비게이션 방법은 종속된 콘텐츠의 내용을 다양한 카테고리가 포함된 메뉴에서 각 콘텐츠 목록명과 함께 제시하여 사용자가 관련된 내용을 바로 확인하고 원하는 콘텐츠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뎁스를 줄임과 동시에 블록으로 카테고리 목록과 종속된 콘텐츠를 묶어 아래로 빠르게 블록간 이동을 할 수 있도록 하여 네 방향 이동키를 가진 모든 디지털 장치에서 획기적으로 콘텐츠를 네비게이션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Content navig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reducing the depth by presenting the content of the dependent content with each content list name in the menu including the various categories so that the user can immediately check the relevant content and select the desired content At the same time, the list of categories and subordinate contents are grouped into blocks so that they can be quickly moved from block to block, and the method of navigating contents in all digital devices with four directional navigation keys is presented.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 네비게이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메뉴를 보이고 있다. 4 shows a menu for executing a block navig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카테고리는 영화(201), 드라마(202), 스포츠(203), 키즈(204)로 이루어지고, 각 카테고리에 포함되는 콘텐츠가 우측에 제시된다. 영화(201)에는 현재 황진이, 미션 임파서블, 투스카니의 태양이 제1콘텐츠(211)로 나타나고, 드라마(202)에는 하얀 거탑, 왕과 나, 쩐의 전쟁이 제2콘텐츠(212)로 보여진다. 영화(201)에 블록 포커스가 위치할 때 오른쪽의 제1콘텐츠(211)가 함께 보여 지며, 사용자가 원하는 콘텐츠를 찾기 위해 오른쪽 방향으로 이동키를 누르면 제1콘텐츠(211)에서 다 표시되지 못한 콘텐츠가 펼쳐진다. Referring to FIG. 4, a category includes a movie 201, a drama 202, a sports 203, and a kids 204, and contents included in each category are presented on the right side. In the movie 201, Hwang Jin, the mission impossible, and the sun of Tuscany are shown as the first content 211, and in the drama 202, the white pagoda, the war between the king and me, and Cheng are shown as the second content 212. When the block focus is located in the movie 201, the first content 211 on the right side is shown together, and when the user presses a movement key in the right direction to find a desired content, the content that is not displayed in the first content 211 is displayed. Unfolds.

사용자는 한 화면에서 다양한 종류의 카테고리와 이에 포함되는 콘텐츠를 한 눈에 볼 수 있어 원하는 콘텐츠와 이를 포함하는 카테고리를 빠르고 쉽게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본 화면에서 뽀로롱(214)을 보고 원하는 콘텐츠가 유아 프로그램인 것을 알고 블록 간 이동을 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영화(201)로부터 블록 포커스를 아래로 이동시켜 빠르게 키즈(204) 메뉴로 이동함으로써 원하는 콘텐츠를 신속하게 찾을 수 있다. The user can see various types of categories and the contents included in the screen at a glance, so that the user can quickly and easily determine the desired contents and the categories including the same. For example, if a user sees Porong 214 on the screen and wants to move between blocks knowing that the desired content is an infant program, the user quickly moves the block focus from the movie 201 to the kids 204 menu. You can quickly find the content you want by going to.

다시 스포츠(203)의 제3콘텐츠(213)로 이동하고자 할 때도 번거로운 뎁스 이동 없이 바로 스포츠(203)로 블록 포커스를 이동시킴으로써 원하는 콘텐츠에 쉽게 도달할 수 있다. Even when the user wants to move to the third content 213 of the sport 203, the desired content can be easily reached by directly moving the block focus to the sport 203 without the cumbersome depth movemen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 네비게이션 방법은 빠른 블록 간 이동을 통해 블록에 속한 콘텐츠를 쉽게 찾을 수 있다. The block navig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find content belonging to a block through fast interblock movement.

아래에서는 다양한 카테고리와 카테고리의 표시 방법, 블록 지정의 예들, 즉 가나다순 카테고리, 장르별 카테고리, 빈 블록 또는 이미지 블록으로 카테고리를 표시한 예들과 이를 응용한 펼쳐지는 블록, 페이지 블록 등의 실시예들을 좀더 상세히 설명한다.In the following, examples of displaying various categories and categories, examples of block designation, that is, examples of displaying categories by alphabetical category, category by genre, empty block or image block, and expanded blocks and page blocks using the same are described in more detail. Explain.

도 5는 다양한 언어의 각 자모에 따른 카테고리, 대한민국의 경우 가나다순 카테고리로 구성한 일 예를 보이는 도면이다. 여기서, 가나다순 카테고리는 영어 자모체계의 경우 abc 카테고리로 대체될 수 있다. 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a category according to each letter of various languages and an alphabetical order in Korea are included. Here, the alphabetical category may be replaced with the abc category in the case of the English alphabet.

도 5를 참조하면, 음악 목록을 가, 나, 다, 라 순으로 그룹핑하여 가 카테고리(301)에는 가는 세월, 구리빛 인생, 그대는 나의 인생-최진, 김죽파류가야금 산조가 가 카테고리의 콘텐츠(311)로 포함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런데, 가 카테고리의 다음 카테고리는 나 카테고리가 아닌 나, 다, 라 카테고리(302)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는 나, 다, 라 카테고리(302)에 포함되는 콘텐츠(312)가 단지, 너를 처음 만난 그 때, 랄랄라로 단지 두 개 뿐이어서 나, 다, 라 카테고리를 묶어 하나의 블록으로 형성하여 블록 단위의 검색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다. 상기 가나다순 카테고리의 아래 부분에는 네 방향 이동키로 분류를 이동하면 블록 검색을 할 수 있음을 보이고 있으며, OK 키를 누르면 해당 블록을 선택하는 것임을 보인다. 또한 원형 키인 장르순 키를 누르면 상기 가나다순 카테고리를 장르별 카테고리로 재정렬시킬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the music list is grouped in order of go, me, da, and la in order to go to category (301). It can be seen that it is included as (311). By the way, the next category of the category A is not the category B, but is composed of the category C, 302, which means that the content 312 included in the category C, the category C, only meets you for the first time. At this time, there are only two in La Lala, so I, Da, and La are grouped together to form a block to facilitate a block-by-block search. The lower part of the alphabetical category shows that the block search can be performed by moving the classification by the four-way movement key, and selecting the corresponding block by pressing the OK key. In addition, when the genre sequence key, which is a circular key, is pressed, the alphabetical categories can be rearranged into categories by genre.

다시 말하면, 가나다순 카테고리는 각 자모에 따라 일정하게 블록 구성이 가능하지만, 각 자모에 속하는 콘텐츠 개수에 따라 스마트하게 블록 구성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하나의 블록을 구성하는 최소 콘텐츠 개수가 세 개라면 가 카테고리는 단독 블록을 구성하는 반면, 나 카테고리, 다 카테고리와 라 카테고리는 세 개의 카테고리가 하나의 블록을 구성하게 되는 것이다. 이 때 다 카테고리는 비록 콘텐츠가 없더라고 사용자의 혼란을 방지하기 위해 블록 이름을 넣어 줄 수 있다. 카테고리 개수가 네 개 이상이 되는 경우 자동으로 축약 표현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마 카테고리, 바 카테고리, 사 카테고리 및 아 카테고리를 하나의 블록으로 지정하는 경우 블록은 마-아 카테고리로 표시할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alphabetical category can be configured in a block consistently according to each letter, but can be smartly configur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contents belonging to each letter. For example, if the minimum number of contents constituting one block is three, the temporary category constitutes a single block, whereas the b category, the multi category, and the category D constitute three blocks. In this case, even though the category does not have any content, the block name can be added to prevent user confusion. If the number of categories is more than four, the abbreviated expression can be automatically displayed. For example, when a town category, a bar category, a company category, and a subcategory are designated as one block, the block may be displayed as a town category.

도 3에 나타난, 상기 하나 이상의 카테고리를 블록으로 지정하고 상기 카테고리와 상기 카테고리에 속하는 콘텐츠를 동시에 표시하는 단계(S11)에서 상기 카테고리를 빈 블록으로도 표현할 수 있다. In the step S11 of designating one or more categories as a block and simultaneously displaying the category and the content belonging to the category, the category may also be expressed as an empty block.

도 6은 상기 카테고리를 각 장르별 뉴스에 따라 그룹핑하고 빈 블록으로 상기 카테고리를 표시한 일 예를 보인다. 빈 블록으로 표시하는 경우는 장르별 카테고리의 특정 제목이 없거나 제목을 정하기 어려운 경우 등에 주로 이용될 수 있다.6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categories are grouped according to news of each genre, and the categories are displayed as empty blocks. In the case of displaying as an empty block, it may be mainly used when there is no specific title of the category by genre or it is difficult to determine the title.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장르별 뉴스는 정치 뉴스, 경제 뉴스 등으로 분류하고 상기 정치 뉴스의 콘텐츠에는, 노 대통령 파병 연장, 김승연 회장의 굴욕, 경실련 반값 아파트 문제가 있다. 황창규 사장의 역전, 해군 전투력 저하 우려, 반쪽 대통령은 싫다를 아울러 제1 빈 블록(401)로 지정한다. 현재 네 방향 이동키의 포커스가 상기 정치 뉴스에 위치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Referring to FIG. 6, the genre-based news is classified into political news, economic news, and the like, and the content of the political news includes problems such as extension of President Roh's dispatch, humiliation of President Kim Seung-yeon, and half-price apartments. President Hwang Chang-gyu's reversal, fear of naval combat deterioration, and the other president hate it and designate it as the first empty block (401). It can be seen that the focus of the four-way navigation key is located in the political news.

네 방향 이동키의 포커스는 상기 정치 뉴스의 제1 빈 블록(401)에 있다. 상기 정치 뉴스 다음의 콘텐츠는 경제 뉴스이며 현재 화면에 나타나고 있는 상기 경제 뉴스의 콘텐츠(412)는 전국 분양가 상승률 두 배, 주식시장 주가 폭락의 두 개의 뉴스이다. 상기 네 방향 이동키의 포커스가 상기 정치 뉴스의 다음 제2 빈 블록(402)으로 이동하면 상기 경제 뉴스로 상기 포커스를 이동시킬 수 있고, 원하는 뉴스에 상기 포커스를 위치시키고 선택하면 상세한 뉴스를 볼 수 있다. The focus of the four-way navigation key is in the first empty block 401 of the political news. The content following the political news is economic news, and the content of the economic news 412 currently displayed on the screen is two times the national presale price increase rate and the stock market share price crash. When the focus of the four-way navigation key moves to the next second empty block 402 of the political news, the focus can be shifted to the economic news, and the detailed news can be viewed by placing the focus on the desired news and selecting it. .

현재 상기 경제 뉴스의 콘텐츠로 화면에 나타나지 못한 뉴스들은 제2 빈 블록(402)에 위치하던 상기 포커스를 아래로 이동시켜 제3 빈 블록(미도시)를 지정하면 다음 화면에서 제시될 것이다. News that does not currently appear on the screen with the content of the economic news will be presented on the next screen if the third empty block (not shown) is designated by moving the focus down on the second empty block 402 down.

이와 같은 빈 블록으로 카테고리를 표시하여 블록을 따라 상하키를 이용하여빠른 블록 간 이동이 가능하다. 상기 빈 블록의 위치는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이 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우측이나 각 카테고리별 콘텐츠의 상단이나 하단에 두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By displaying a category as such an empty block, it is possible to move quickly between blocks using up and down keys along the block. The location of the empty block may be left as shown,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placed on the right side or the top or bottom of the content for each category.

상기 카테고리는 상기 카테고리의 제목을 특별히 정하여 상기 빈 블록 내에 표시할 수도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도 4의 상기 정치 뉴스의 콘텐츠(411)을 아우르는 제목인 "정치 뉴스"를 제1 빈 블록(401) 내에 위치시키고 상기 경제 뉴스의 콘텐츠(412)를 아우르는 "경제 뉴스"를 제2 빈 블록(402) 내에 위치시켜 카테고리의 특징을 명확히 나타낼 수도 있다.The category may be displayed in the empty block by specially designating a title of the category. For example, a "political news" title covering the content 411 of the political news of FIG. 4 is placed in the first empty block 401 and a "economic news" covering the content 412 of the economic news is created. It may be located within two empty blocks 402 to clearly indicate the characteristics of the category.

도 7은 상기 카테고리의 빈 블록에 카테고리별 이미지를 표현한 다른 이미지 블록의 일 예를 나타낸다.7 illustrates an example of another image block in which an image for each category is expressed in an empty block of the category.

도 7을 참조하면, 가나다 순으로 정렬된 카테고리의 각 블록에 상기 카테고리에 포함되는 소정 콘텐츠를 의미하는 이미지를 표시한다. 제1이미지 블록(501)은 제1이미지 블록의 콘텐츠(511)에서 "가는 세월"의 이미지를 나타내고 있으며 제2이미지 블록(502)는 제2이미지 블록의 콘텐츠(512)의 "너를 처음 만난 그 때"라는 이미지를 보이고 있다. 상기 이미지는 동영상으로 나타낼 수도 있으며 원하는 이미지를 설정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이미지를 통해 사용자는 보다 빠르게 원하는 콘텐츠를 찾을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an image representing a predetermined content included in the category is displayed on each block of the category arranged in alphabetical order. The first image block 501 represents an image of "fine time" in the content 511 of the first image block, and the second image block 502 represents the "first encounter with you" of the content 512 of the second image block. When "is the image. The image may be represented as a video or may be set as a desired image. This image allows the user to find the desired content more quickly.

도 8은 디지털 장치의 화면에 카테고리의 블록과 상기 카테고리에 포함되는 일부 콘텐츠를 표현하는 펼쳐지는 블록의 실시예를 보이는 도면이다.FIG.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n expanded block representing a block of a category and some content included in the category on a screen of the digital device.

도 8을 참조하면, 가나다순 카테고리가 형성되고 화면에 차례대로 가 카테고리(601), 나, 다, 라 카테고리(602), 마 카테고리(603), 바~자 카테고리(604), 차 카테고리(605), 카, 타 카테고리(606)이 배열되어 있다. 가 카테고리(601)에는 총 네 개의 콘텐츠(611)가 포함되므로 도면에 "가(4)"로 표시하고 있으며, 나, 다, 라 카테고리(602)에는 총 두 개의 콘텐츠(612)가 포함되므로 "나, 다, 라(2)"로 표시하고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나, 다, 라 카테고리(602)의 콘텐츠 수가 한 블록을 형성하는 최소 콘텐츠 수, 여기서는 세 개, 보다 적으므로 나, 다, 라를 묶어 하나의 카테고리로 형성한 것이다. 참조부호 613, 614, 615, 616은 각각 마 카테고리(603), 바~자 카테고리(604), 차 카테고리(605), 카, 타 카테고리(606)의 콘텐츠를 나타낸다.Referring to FIG. 8, an alphabetical category is formed, and the categories are sequentially displayed on the screen, such as category 601, me, da, la category 602, town category 603, bar-child category 604, and tea category 605. , Car, and other categories 606 are arranged. The category 601 includes a total of four contents 611, and thus, is labeled "(4)" in the drawing, and the category d. 602 includes a total of two contents 612. I, C, and la (2) ". As described above, the minimum number of contents in the category B, D, and C of the category 602 forms one block, and in this case, three, and less, the contents of the categories B, D, and R are combined to form one category. Reference numerals 613, 614, 615, and 616 denote the contents of the town category 603, the bar to child category 604, the car category 605, the car, and other categories 606, respectively.

현재 모든 카테고리(601, 602, 603, 604, 605)의 화면에 표시되는 콘텐츠는 하나씩, 여기서는 첫 번째 콘텐츠만이 나타난다. 상기 포커스는 가 카테고리(601)에 위치하고 있으며, 가 카테고리(601)의 콘텐츠(611)로는 단지 "가는 세월, 872 70년대의 추억"만 나타나고 있다. 상기 포커스가 "가는 세월, 872 70년대의 추억"로 이동하면 가 카테고리(4)에 있던 콘텐츠(611)가 모두 나타난다. 이와 같이 펼쳐지는 블록을 통해 한 화면에 보다 많은 카테고리를 표시하여 빠른 블록 간 이동이 가능하다.Currently, the content displayed on the screens of all categories 601, 602, 603, 604, and 605 is one by one, and only the first content is shown here. The focus is located in the temporary category 601, and only the contents "611, the memories of the 872 70s" appear as the content 611 of the temporary category 601. When the focus shifts to "Fine time, memories of the 872 70s", all the contents 611 in the temporary category 4 appear. The unfolding block allows you to display more categories on one screen and move faster between blocks.

도9는 블록 이동에 따라 페이지가 변화하는 예를 보이는 도면이다.9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a page changes as a block moves.

도 9를 참조하면, 전화번호부를 ㄱ, ㄴ, ㄷ 순으로 정렬하여 카테고리를 구성한다. 한 화면에 나타나는 소정 카테고리를 블록으로 지정하여 포커스를 다음 블록으로 이동시키면 화면도 함께 전환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첫 번째 화면(721)에 ㄱ 카테고리(701)이 블록으로 지정되고 이에 포함되는 콘텐츠(711)이 나타난다. 네 방향 이동키를 눌러 블록을 아래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다음 콘텐츠(712)가 두 번째 화면(722)에 나타나고 이를 포함하는 ㄱ 카테고리(701)에 상기 포커스가 위치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 9, the phone book is organized in the order of a, b, c order. If a certain category that appears on one screen is designated as a block and the focus is moved to the next block, the screen is also switched. As shown in the first screen 721, a category 701 is designated as a block and content 711 included therein is displayed. When the block is moved downward by pressing the four-way movement key, the next content 712 appears on the second screen 722 and it can be seen that the focus is located in the a category 701 including the same.

다시 네 방향 이동키의 포커스를 다음 블록으로 이동시키면 ㄱ카테고리(701) 블록에 포커스가 있고, 세 번째 화면(723)에 ㄱ 카테고리(701)에 포함되는 콘텐츠(713)와 ㄴ 카테고리(702)에 포함되는 콘텐츠(714)가 표시된다. 다시 하 방향 키로 ㄴ카테고리(702) 블록에 포커스를 줄 수 있다.If the focus of the four-way movement key is moved to the next block, the a category 701 block has the focus, and the third screen 723 includes the content 713 and the b category 702 included in the a category 701. Content 714 is displayed. Again, the down arrow key can give focus to the b category 702 block.

다시 네 방향 이동키의 포커스를 다음 블록으로 이동하면, ㄴ카테고리(702)의 마지막 콘텐츠가 우측 화면(715)에 같이 보여지고, 각 카테고리에 포함되는 콘텐츠(715, 716, 717)이 네 번째 화면(724)에 도시된다.When the focus of the four-way movement key is moved to the next block, the last content of the category 702 is shown on the right screen 715, and the contents 715, 716, and 717 included in each category are displayed on the fourth screen ( 724.

여기서, ㄷ,ㄹ,ㅁ 카테고리(703)은 카테고리의 콘텐츠 수를 모두 합쳐서 최소 콘텐츠 수를 만족하므로 ㄷ, ㄹ, ㅁ 을 묶어서 하나의 카테고리로 나타내었다. 현재 도시된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한 화면에 표시되는 소정 카테고리를 하나의 블록으로 지정하고 블록 이동에 따라 화면의 전환이 일어나 페이지 이동과 유사한 블록 네비게이션을 실행할 수 있도록 한다. Here, the c, d, ㅁ category 703 satisfies the minimum number of contents by adding up the total number of contents of the category, and thus, c, d, and ㅁ are collectively represented as one catego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redetermined category displayed on one screen is designated as one block, and the screen is changed according to the block movement, so that block navigation similar to the page movement can be executed.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장치의 블록 네비게이션 방법을 보이는 플로우 차트이다. 상기 디지털 장치는 특히 디지털 방송 장치를 나타내며, 상술한 디지털 장치의 블록 네비게이션과 달리 메인 메뉴와 카테고리의 두 종류의 메뉴를 구성하여 뎁스를 거치면서 블록 네비게이션이 일어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10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block navigation method of a digital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particular, the digital device represents a digital broadcasting device. Unlike the block navigation of the digital device, the digital device comprises two types of menus, a main menu and a category, and performs block navigation while passing through a depth.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 네비게이션 방법은 먼저 화면에 메인 메뉴를 표시하고(S20), 사용자가 상기 메인 메뉴 중 메뉴 항목을 선택하면(S21), 상기 선택된 메인 항목의 콘텐츠를 그룹핑한 하나 이상의 카테고리를 블록으로 지정하고 상기 카테고리와 포함되는 콘텐츠를 화면에 표시한다(S22). 상기 사용자의 포커스 이동 신호에 따라 상기 블록간 포커스를 이동하면서 상기 카테고리에 포함되는 상기 콘텐츠를 빠른 블록 간 이동을 통해 찾을 수 있다.Referring to FIG. 10, in a block navig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ain menu is first displayed on a screen (S20), and when a user selects a menu item from the main menu (S21), the content of the selected main item is displayed. Designate one or more categories grouped as blocks and display the categories and the content included on the screen (S22). The content included in the category may be found through fast interblock movement while moving the interblock focus according to the focus movement signal of the user.

사용자가 상기 블록의 소정의 카테고리를 선택하면(S23), 상기 카테고리의 콘텐츠로 포커스가 이동되며 소정 콘텐츠가 선택되면(S24), 해당 카테고리의 정보가 표시되거나 해당 동작이 실행된다(S25).When the user selects a predetermined category of the block (S23), the focus shifts to the content of the category, and when the predetermined content is selected (S24), information of the category is displayed or the corresponding operation is executed (S25).

메인 메뉴 표시단계(S20)에서 메뉴 항목 선택을 하지 않으면 디지털 장치의 정보에 대한 어떠한 선택도 없는 것이며 메인 메뉴 상에서 포커스를 이동 중인 것이다. 카테고리 선택(S23) 단계에서 콘텐츠 선택을 하지 않으면 블록이 표시된 상태에서 계속 블록간 이동을 할 것이며, 이전 메뉴를 선택하면 당해 이전 메뉴로 이동하고 역시 상기 이전 메뉴 상의 블록이 나타난 상태에서 포커스를 이동시킬 수 있다. 콘텐츠를 선택하는 단계(S24)에서도 소정 콘텐츠에 대한 선택이 없으며 이전 메뉴를 선택하는 경우 블록이 표시되면서 콘텐츠 상에서 상기 포커스를 이동시킬 수 있다. If the menu item is not selected in the main menu display step S20, there is no selection for the information of the digital device and the focus is being moved on the main menu. If the content is not selected in the category selection step (S23), the block will continue to move between blocks while the block is displayed.If the previous menu is selected, the screen moves to the previous menu and the focus is moved while the block on the previous menu appears. Can be. In the step of selecting the content (S24), there is no selection of the predetermined content, and when the previous menu is selected, the block may be displayed and the focus may be shifted on the conten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 네비게이션 시스템과 블록 네비게이션 방법은 디스플레이의 한 화면에 표시되는 콘텐츠를 카테고리별로, 즉 장르별 또는 페이지별로 그룹핑하여 카테고리로 구성하고 콘텐츠와 함께 블록으로 설정하여 사용자가 빠른 블록 간 이동을 통해 디지털 장치의 정보 또는 콘텐츠를 신속히 찾을 수 있도록 한다.In the block navigation system and the block navig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ents displayed on one screen of the display are grouped by category, that is, by genre or page, organized into categories, and set as blocks with the contents so that the user can quickly switch between blocks. Move quickly to find information or content on digital devices.

도 11은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장치의 블록 간 빠른 이동을 실행하는 블록 네비게이션 화면을 보이는 도면이다. FIG. 1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block navigation screen for fast moving between blocks of a digit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에 첫 제시되는 화면(231)에 메인 메뉴(310)가 나타난다. 도시된 메인 메뉴(310)는 편성표, 음악 방송, 주문형 영화 및 설정을 메뉴 항목으로 설정한다. 상기 편성표는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정보가 표시되는 곳으로 실시간 디지털 장치의 콘텐츠를 시간별, 채널별, 장르별 등으로 보일 수 있다. 본 메인 메뉴(310)는 사용자가 특히 선호하는 음악 방송과 주문형 영화를 첫 화면에 제시하도록 설정된 경우이다. 이외에도 장르별 방송에 대한 다양한 타이틀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1, the main menu 310 appears on the screen 231 first displayed on the display. The main menu 310 shown sets a schedule, a music broadcast, a movie on demand, and a setting as a menu item. The programming table is where electronic program guide information is displayed, and the contents of the real-time digital device may be viewed by time, channel, or genre. This main menu 310 is a case where the user is set to present a particularly preferred music broadcast and on-demand movie on the first screen. In addition, it may include various titles for broadcasting by genre.

메인 메뉴(310)에서 도 13의 입력기(150)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포커스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명령을 입력하면, 수신기(130)의 포커스 이동부(115)가 입력기(150)의 명령에 응답하여 메인 메뉴(310) 상에서 상기 포커스를 이동시킨다. 사용자가 메인 메뉴(310)의 음악 방송을 선택하면 한 뎁스 화면 이동이 되어 두 번째 화면(232)이 나타난다. When the user inputs a command for moving the focus up and down using the input unit 150 of FIG. 13 in the main menu 310, the focus moving unit 115 of the receiver 130 responds to the command of the input unit 150. The focus is moved on the main menu 310. When the user selects the music broadcast in the main menu 310, the screen is moved one depth screen and the second screen 232 appears.

두 번째 화면(232)에는 카테고리 메뉴(320)와 카테고리 메뉴(320)에 연동되는 콘텐츠(330)가 한 화면에 나타난다. 현재 포커스는 카테고리 메뉴(320)의 국내 음악(321)이라는 카테고리에 위치하고 있다. 국내 음악(321) 카테고리에는 801 국악마당, 803 발라드, 804 댄스, 805 성인 가요, 806 추억의 가요, 821 동요나라 등이 포함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러한 카테고리 메뉴(320)에 포함되는 콘텐츠(330)은 도 13의 블록 형성부(113)에 의해 각 카테고리별로 그룹핑이 되어 주제별 카테고리에 종속되게 된다. On the second screen 232, the category menu 320 and the content 330 linked to the category menu 320 appear on one screen. The focus is currently located in the category of domestic music 321 of the category menu 320. The domestic music 321 category includes 801 Korean traditional music court, 803 ballads, 804 dances, 805 adult songs, 806 memories songs, and 821 nursery songs. The content 330 included in the category menu 320 is grouped by each category by the block forming unit 113 of FIG. 13 to be subordinate to a category by topic.

다시 말하면, 소정 주제별로 카테고리가 설정되므로 카테고리가 하나의 블록으로 지정되고 블록간 이동 또는 선택을 하게 되면 카테고리의 변화와 동시에 한 블록으로 표시되는 콘텐츠 목록도 변하게 되는 것이다. 현재 두 번째 화면(232)에서 장르 이동을 위해 상하 화살표 방향 키를 사용할 수 있다는 표지가 화면 하단부에 제공되고 있다.In other words, since a category is set for each predetermined theme, when a category is designated as one block and moving or selecting between blocks, the content list displayed in one block is changed at the same time as the category is changed. Currently, a sign indicating that the up and down arrow direction keys can be used to move the genre on the second screen 232 is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screen.

여기서, 포커스되는 부분과 한 화면에 제시되는 콘텐츠가 블록의 이동에 따라연동되어 전환되는 것에 유의한다. 상기 블록 상의 포커스를 이동함에 따라 블록에 연동되는 콘텐츠도 함께 변화되어 표시되도록 하는 것이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블록 네비게이션 방법이다. Here, it is noted that the focused portion and the content presented on one screen are interlocked and switched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block. As the focus on the block is shifted, the content linked to the block is also changed and displayed.

네 방향 이동키의 하향 방향 이동 키를 누르면, 세 번째 화면(233)의 상단부에 국내 음악(321) 카테고리가 두 번째 화면(232)에서 제시되지 못했던 835 최신가요 콘텐츠와 함께 제시되고 다음 카테고리인 해외 음악(322)과 국내외 종합(333)이 나타난다. When the downward movement key of the four-way movement key is pressed, the domestic music 321 category is presented at the top of the third screen 233 together with the 835 latest content that was not presented on the second screen 232, and the next category is overseas music. 322 and domestic and international synthesis 333 appear.

두 번째 화면(232)에서 국내 음악(321)과 한 블록으로 표시되던 콘텐츠는 801 부터 821까지 여섯 개가 있다. 이는 현재 디스플레이(130) 화면에 제시될 수 있는 최대 콘텐츠는 여섯 개로 설정되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세 번째 화면(233)에서는 국내 음악(321)과 한 화면으로 나타날 수 없었던 마지막 835가 한 블록으로 표시되고, 다음 블록은 해외 음악(322) 카테고리와 이에 포함되는 네 개의 콘텐츠, 807 최신히트팝스, 810 J-POP, 811 골든팝스, 820 월드뮤직을 아울러 형성된다. 그리고 그 다음 블록은 국내외종합(333)과 이 콘텐츠에 포함되는 802 추천 음악이 된다. On the second screen 232, there are six contents of 801 to 821, which are displayed in one block with the domestic music 321. This is because the maximum content that can be presented on the screen of the display 130 is set to six. Accordingly, in the third screen 233, the domestic music 321 and the last 835, which could not be displayed in one screen, are displayed as one block, and the next block is the overseas music 322 category and four contents included therein, 807 latest hits. It is formed by Pops, 810 J-POP, 811 Golden Pops, and 820 World Music. The next block becomes the national and international 333 and 802 recommended music included in this content.

두 번째 화면(232)에서 제시된 바와 같이 한 화면에 제시되는 블록은 소정 주제의 카테고리에 포함되는 콘텐츠의 개수가 소수인 경우, 본 실시예에 경우 일곱개 이하인 경우 인접 카테고리 및 상기 인접 카테고리에 포함되는 콘텐츠의 일부와 함께 표시될 수 있다. As shown in the second screen 232, a block presented on one screen is included in the neighboring category and the neighboring category when the number of contents included in a category of a predetermined subject is a small number, and in the present embodiment, seven or less. It can be displayed along with some of the content.

화면에 최대 제시될 수 있는 콘텐츠수에 따라 카테고리를 결정하고 입력기에서 입력되는 포커스 이동 명령에 따라 화면에 블록 단위로 이동하며 카테고리와 해당 카테고리에 속하는 콘텐츠를 출력한다. 사용자는 그룹핑된 카테고리를 보면서 한편으로는 포커스를 상하로 이동시키고 다른 한 편으로는 포커싱된 카테고리에 포함되는 콘텐츠를 보면서 빠르게 원하는 프로그램을 찾을 수 있다.The category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maximum number of contents that can be presented on the screen, and the category and the contents belonging to the category are outputted by moving the blocks on the screen in units of blocks according to the focus shift command input from the input device. The user can quickly find the desired program while looking at the grouped categories while moving the focus up and down on the one hand and the content included in the focused category on the other.

만약 사용자가 두 번째 화면(233)에서 입력기를 이용해 포커스를 하향이동시키는 명령을 입력하면, 디스플레이 화면의 카테고리(320)의 국내음악(321)에서 상기 포커스는 해외음악(322)로 이동할 것이다. 그리고 다시 상기 포커스를 하향 이동시키면 다음 국내외종합(333)로 이동할 것이다. If the user inputs a command to move the focus downward using the input device on the second screen 233, the focus will move to the overseas music 322 in the domestic music 321 of the category 320 of the display screen. And if you move the focus down again, it will move to the next domestic and international comprehensive (333).

네 번째 화면(234)에서는 국내음악(321)에 위치하던 상기 포커스를 입력기(150)를 이용하여 오른쪽으로 이동시켜 835 최신가요를 선택하는 것을 보인다. 여기서는 해당 콘텐츠의 선택에 따른 상세 정보가 나타나지만, 다른 경우 해당 동작이 실행될 수 있다. In the fourth screen 234, it is shown that the focus located in the domestic music 321 is moved to the right using the input device 150 to select 835 Choi. Here, detailed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selection of the corresponding content appears, but in other cases, the corresponding operation may be executed.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장치의 블록 네비게이션 시스템을 보이는 도면이다.12 illustrates a block navigation system of a digit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장치의 블록 네비게이션 시스템(100)은 디지털 장치의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기(110)와 상기 디지털 장치의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130)와 수신기(130)에 사용자가 명령을 입력하는 입력기(15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2, the block navigation system 100 of a digit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eceiver 110 for receiving information of the digital device, a display 130 for displaying the digital device, and a receiver ( 130, the user inputs a command 150.

수신기(110)는 디스플레이(130)에 디지털 장치의의 메인 메뉴를 표시하는 메인 메뉴 형성부(113), 상기 메인 메뉴의 소정 카테고리에 포함되는 콘텐츠들을 카테고리별로 그룹핑하여 카테고리를 마련하고, 상기 카테고리와 상기 카테고리의 콘텐츠를 화면에 표시하는 블록 형성부(115) 및, 입력기(150)의 입력에 따라 포커스를 상기 메뉴의 상하좌우로 이동하는 포커스 이동부(115)를 포함한다. The receiver 110 prepares a category by grouping contents included in a predetermined category of the main menu, the main menu forming unit 113 displaying a main menu of the digital device on the display 130, by category. And a block forming unit 115 for displaying the contents of the category on the screen, and a focus moving unit 115 for moving the focus up, down, left, and right of the menu according to the input of the input unit 150.

수신기(110)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멀티플렉싱되어 전송되는 디지털 장치의 정보를 디멀티플렉싱하는 디멀티플렉서, 상기 디멀티플렉서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디코딩하는 디코더를 포함하고 디지털 장치의 정보 중 실시간 디지털 장치의의 비디오/오디오 신호 및 기타 메타데이터(metadata)를 처리하는 신호 처리부를 포함한다. 수신기(110)는 또한 필요에 따라 다양한 애플리케이션 레이어(application layer)를 구비할 수 있다. Although not shown, the receiver 110 includes a demultiplexer for demultiplexing information of a digital device which is multiplexed and transmitted, a decoder for decoding a signal input from the demultiplexer, and a video / audio signal of a real-time digital device among information of the digital device. It includes a signal processor for processing other metadata (metadata). Receiver 110 may also have various application layers as needed.

수신기(110)는 셋톱박스, 디지털 텔레비전, 컴퓨터, 이동통신 단말기 등의 장치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130)는 텔레비전 화면, 컴퓨터 모니터, 이동통신 단말기의 액정 화면 등이 될 수 있고, 입력기(150)는 리모트 컨트롤, 마우스, 자판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 터치 스크린 등 각종 인터페이스가 가능하다.The receiver 110 may be implemented as a device such as a set-top box, a digital television, a compute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display 130 may be a television screen, a computer monitor, a liquid crystal scree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r the like. 150 may be any interface such as a remote control, a mouse, a vending machine, a key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touch screen, and the like.

상기 디지털 장치의 정보는 실시간 방송 정보,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정보, VOD(Video on Demand), PPV(Pay Per View)를 포함하는 주문형 방송 정보, 기타 메타데이터 정보를 포함한다. The information of the digital device includes real time broadcast information, electronic program guide information, video on demand (VOD), on-demand broadcast information including pay per view (PPV), and other metadata informa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장치의 블록 네비게이션 시스템에서는 사용자가 원하는 콘텐츠를 찾기 편리하도록 상기 카테고리를 블록 단위로 처리한다. 즉, 상기 카테고리를 블록으로 지정하고 소정 카테고리에 포함되는 콘텐츠와상기 카테고리를 한 화면에 표시하고, 상기 블록간 이동이 일어나면 이전 블록의 카테고리가 사라짐과 동시에 다음 포커싱 블록의 카테고리와 상기 카테고리에 포함되는 콘텐츠도 함께 표시된다.In a block navigation system of a digit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ategory is processed in units of blocks so that a user can easily find desired content. That is, the category is designated as a block, and the content included in a predetermined category and the category are displayed on one screen. When the movement between the blocks occurs, the category of the previous block disappears and the category of the next focusing block is included in the category. The content is also displayed.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by way of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which can be variously modified and modifi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Modifications are possible. Accordingly,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understood only by the claims set forth below, and all equivalent or equivalent modifications thereof will belong t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종래의 네 방향 이동키를 이용하여 디지털 장치의 콘텐츠를 검색하는 일 방법을 보인 도면,1 is a view showing a method for searching contents of a digital device using a conventional four-way navigation key;

도 2는 종래의 텔레비전 화면에 나타나는 메뉴와 이를 이용하여 프로그램을 네비게이션하는 과정를 개략적으로 보이는 도면,2 is a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menu appearing on a conventional television screen and a process of navigating a program using the same;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장치의 블록 네비게이션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플로우 차트,3 is a flowchart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block navigation method of a digit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블록 네비게이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메뉴를 보이는 도면,4 is a view showing a menu for executing a smart block navig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상기 카테고리를 가나다순 메뉴로 구성한 일 예를 보이는 도면,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the categories are organized in an alphabetical order menu;

도 6은 상기 카테고리를 각 장르별 뉴스에 따라 그룹핑하고 빈 블록으로 상기 카테고리를 표시한 일 예를 보이는 도면,FIG.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the categories are grouped according to news of each genre and the categories are displayed with empty blocks; FIG.

도 7은 상기 카테고리의 빈 블록에 카테고리별 이미지를 표현한 다른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7 is a diagram illustrating another example in which an image for each category is expressed in an empty block of the category;

도 8은 디지털 장치의 화면에 카테고리의 블록과 상기 카테고리에 포함되는 일부 콘텐츠를 표현하는 일 예를 보이는 도면,8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representing a block of a category and some content included in the category on a screen of a digital device;

도 9는 페이지 블록 이동을 보이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 네비게이션을 보이는 도면,9 illustrates block naviga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page block movement;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장치의 블록 네비게이션 방법을 보이는 플로우 차트,10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block navigation method of a digital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은 디지털 방송 장치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장치의 블록 네비게이션 방법을 실행하는 블록 네비게이션 화면을 보이는 도면,11 illustrates a block navigation screen for executing a block navigation method of a digit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장치의 블록 네비게이션 시스템을 보이는 도면.12 illustrates a block navigation system of a digit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디지털 장치의 블록 네비게이션 시스템100: block navigation system of the digital device

110: 수신기 130: 디스플레이110: receiver 130: display

150: 입력기150: input method

Claims (22)

네 방향 이동키를 입력기로 가지는 디지털 장치의 콘텐츠를 그룹핑하여 하나 이상의 카테고리를 형성하는 단계;Grouping contents of a digital device having a four-way movement key as an input unit to form one or more categories; 상기 하나 이상의 카테고리를 블록으로 지정하고 상기 카테고리와 상기 카테고리에 속하는 콘텐츠를 동시에 표시하는 단계-상기 카테고리는 상기 카테고리의 콘텐츠 수가 한 블록을 형성하는 최소 콘텐츠 수를 만족하면 단독 블록으로 표시되고, 상기 카테고리의 콘텐츠 수가 한 블록을 형성하는 최소 콘텐츠 수를 만족하지 않으면 상기 카테고리와 인접하는 다른 카테고리를 한 블록으로 표시됨; 및Designating the at least one category as a block and simultaneously displaying the category and contents belonging to the category, wherein the category is displayed as a single block if the number of contents of the category satisfies the minimum number of contents forming one block, and the category If the number of contents does not satisfy the minimum number of contents forming one block, another category adjacent to the category is displayed as one block; And 상기 네 방향 이동키의 포커스를 상기 블록 간 이동하면서 상기 블록에 연동하는 카테고리의 콘텐츠를 찾는 단계;Finding content of a category linked to the block while moving the focus of the four-way movement key between the blocks;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장치의 블록 네비게이션 방법.Block navigation method of a digital device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테고리를 형성하는 단계에서,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in the forming of the category, 상기 카테고리는 주제별 카테고리, 장르별 카테고리, 지역별 카테고리, 가나다순 카테고리, 시간별 카테고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장치의 블록 네비게이션 방법.The category includes a category category, a category category, a region category, an alphabetical category, and a time categor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를 동시에 표시하는 단계에서,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in the step of simultaneously displaying the content, 상기 카테고리는 빈 블록으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장치의 블록 네비게이션 방법.And the category is represented by a blank block.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를 동시에 표시하는 단계에서,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in the step of simultaneously displaying the content, 상기 카테고리는 제목으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장치의 블록 네비게이션 방법.And the category is displayed as a tit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를 동시에 표시하는 단계에서,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in the step of simultaneously displaying the content, 상기 카테고리는 이미지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장치의 블록 네비게이션 방법.The category is a block navigation method of the digita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displayed as an imag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에 연동하는 카테고리의 콘텐츠를 찾는 단계에서,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earching for the content of the category linked to the block comprises: 상기 네 방향 이동키의 포커스를 상기 블록에서 상기 블록의 카테고리에 속하는 콘텐츠로 이동시키면 상기 카테고리의 모든 콘텐츠가 펼쳐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장치의 블록 네비게이션 방법.And moving all the contents of the category from the block to the content belonging to the category of the block from the block.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를 동시에 표시하는 단계에서,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in the step of simultaneously displaying the content, 소정 카테고리의 콘텐츠가 한 화면에 표시되는 최대수를 넘으면 다음 화면에서 전 화면에 표시되지 못한 콘텐츠를 상기 카테고리와 함께 표시하고 상기 카테고리를 한 블록으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장치의 블록 네비게이션 방법.And if the content of a certain category exceeds the maximum number displayed on one screen, the content not displayed on the previous screen is displayed together with the category, and the category is displayed in one block.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에 연동하는 카테고리의 콘텐츠를 찾는 단계에서,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earching for the content of the category linked to the block comprises: 상기 콘텐츠에 상기 네 방향 이동키의 포커스를 이동시키면 상기 콘텐츠의 상세 정보가 나타나거나 콘텐츠의 해당 동작이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장치의 블록 네비게이션 방법.And moving the focus of the four-way movement key to the contents to display detailed information of the contents or to execute a corresponding operation of the contents.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콘텐츠는 방송 프로그램, 비디오 목록, 음악목록, 사진 목록, 이미지 목록, 주소록, 기능목록, 전화번호부, 인터넷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장치의 블록 네비게이션 방법.The content includes a broadcast program, a video list, a music list, a picture list, an image list, an address book, a function list, a phone book, and internet information. 디지털 장치의 방송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기와 상기 디지털 장치의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와 상기 수신기에 사용자가 명령을 입력하는 네 방향 이동키를 입력기로 포함하는 디지털 장치의 네비게이션 시스템으로서, 상기 수신기는,A navigation system of a digital device, comprising: a receiver for receiving broadcast information of a digital device; a display for displaying information of the digital device; and a four-way navigation key for inputting a command to a user by the receiver; 상기 디스플레이에 상기 콘텐츠를 그룹핑하여 하나 이상의 카테고리로 형성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카테고리를 블록으로 지정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의 화면에 표시하는 블록 형성부-상기 블록 형성부는 상기 카테고리의 콘텐츠 수가 한 블록을 형성하는 최소 콘텐츠 수를 만족하면 단독 블록으로 표시하고, 상기 카테고리의 콘텐츠 수가 한 블록을 형성하는 최소 콘텐츠 수를 만족하지 않으면 상기 카테고리와 인접하는 다른 카테고리를 한 블록으로 표시함; 및A block forming unit for grouping the contents on the display to form one or more categories and designating the one or more categories as blocks to display on the screen of the display; the block forming unit is a minimum content in which the number of contents of the category forms one block If the number is satisfied, the block is displayed as a single block, and if the number of contents of the category does not satisfy the minimum number of contents forming one block, another category adjacent to the category is displayed as one block; And 상기 입력기의 입력에 따라 상기 블록 상에 포커스를 상하좌우로 이동하는 포커스 이동부;A focus shifter for moving the focus up, down, left, and right on the block according to the input of the input unit;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장치의 블록 네비게이션 시스템.Block navigation system of a digital device comprising a. 제 12 항에 있어서, 13. The method of claim 12, 상기 카테고리는 주제별 카테고리, 장르별 카테고리, 지역별 카테고리, 가나다순 카테고리, 시간별 카테고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장치의 블록 네비게이션 시스템.The category includes a category category, a category category, a region category, an alphabetical category, and a category by time. 제12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2, 상기 블록 형성부는 상기 카테고리를 빈 블록으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장치의 블록 네비게이션 시스템.And the block forming unit displays the category as a blank block. 제12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2, 상기 블록 형성부는 상기 카테고리를 제목으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장치의 블록 네비게이션 시스템.The block forming unit displays the category as a title block navigation system of a digital device. 제12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2, 상기 블록 형성부는 상기 카테고리를 이미지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장치의 블록 네비게이션 시스템.And the block forming unit displays the category as an image. 삭제delete 제12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2, 상기 블록 형성부는 상기 네 방향 이동키의 포커스를 상기 블록에서 상기 블록의 카테고리에 속하는 콘텐츠로 이동시키면 상기 카테고리의 모든 콘텐츠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장치의 블록 네비게이션 시스템.And the block forming unit displays all contents of the category when the focus of the four-way movement key is moved from the block to contents belonging to the category of the block. 삭제delete 제12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2, 상기 블록 형성부는 소정 카테고리의 콘텐츠가 한 화면에 표시되는 최대수를 넘으면 다음 화면에서 전 화면에 표시되지 못한 콘텐츠를 상기 카테고리와 함께 표시하고 상기 카테고리를 한 블록으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장치의 블록 네비게이션 시스템.The block forming unit may display content that is not displayed on the previous screen together with the category and display the category in one block when the content of a predetermined category exceeds the maximum number displayed on one screen. Block navigation system. 제12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2, 상기 블록 형성부는 상기 콘텐츠에 상기 네 방향 이동키의 포커스를 이동시키면 상기 콘텐츠의 상세 정보가 나타나거나 콘텐츠의 해당 동작이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장치의 블록 네비게이션 시스템.The block forming unit is a block navigation system of the digita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detailed information of the content is displayed or the corresponding operation of the content is executed by moving the focus of the four-way movement key to the content. 제12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2, 상기 블록 형성부는 상기 콘텐츠로 방송 프로그램, 비디오 목록, 음악목록, 사진 목록, 이미지 목록, 주소록, 기능목록, 전화번호부, 인터넷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장치의 블록 네비게이션 시스템.And the block forming unit includes a broadcast program, a video list, a music list, a photo list, an image list, an address book, a function list, a phone book, and internet information as the content.
KR1020080016436A 2008-02-22 2008-02-22 Block navigation method of digital device and system thereof KR10098119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6436A KR100981198B1 (en) 2008-02-22 2008-02-22 Block navigation method of digital device and system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6436A KR100981198B1 (en) 2008-02-22 2008-02-22 Block navigation method of digital device and system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0892A KR20090090892A (en) 2009-08-26
KR100981198B1 true KR100981198B1 (en) 2010-09-10

Family

ID=412086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6436A KR100981198B1 (en) 2008-02-22 2008-02-22 Block navigation method of digital device and system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1198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1255B1 (en) * 2012-01-06 2019-02-25 삼성전자주식회사 Classification And Display Method of Item And Portable Device supporting the sam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75076A (en) * 1995-03-31 1996-10-18 Sony Corp Television function selection method, television receiver and remote commander for television receiver
JPH10191193A (en) 1996-12-26 1998-07-21 Victor Co Of Japan Ltd Electronic program guide display device and display method
KR20000031695A (en) * 1998-11-09 2000-06-05 구자홍 Method for selecting menu of display device
KR20060031922A (en) * 2004-10-11 2006-04-14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Menu providing system, method for menu navigation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refo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75076A (en) * 1995-03-31 1996-10-18 Sony Corp Television function selection method, television receiver and remote commander for television receiver
JPH10191193A (en) 1996-12-26 1998-07-21 Victor Co Of Japan Ltd Electronic program guide display device and display method
KR20000031695A (en) * 1998-11-09 2000-06-05 구자홍 Method for selecting menu of display device
KR20060031922A (en) * 2004-10-11 2006-04-14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Menu providing system, method for menu navigation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ref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0892A (en) 2009-08-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36317B1 (en) Program guide controller
US7386806B2 (en) Scaling and layout methods and systems for handling one-to-many objects
KR101669017B1 (en) System, method and user interface for content search
CN103731701B (en) Image display and the method for operating it
US20170272807A1 (en) Overlay device, system and method
US8640050B2 (en) Method of selecting items and functions by displaying a specific icon, and device implementing the method
US20140229836A1 (en) User-defined home screen for ultra high definition (uhd) tv
CN10109434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browsing broadcast programs using dynamic user interface
KR100514817B1 (en) Application user interface for interactive digital televisions and navigation method using the same
WO2010080793A2 (en) Zooming and panning widget for internet browsers
EP3361720B1 (en) Signal processing apparatus for producing a program information table and a method thereof
US7956935B2 (en) Control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a controllable device
KR100981198B1 (en) Block navigation method of digital device and system thereof
KR101265609B1 (en) Broadcasting receiver and method for screen control thereof
JP4597157B2 (en) Program guide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JP3966339B2 (en) Receiver
KR20160055011A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image
KR100947225B1 (en) Digital TV receiver and method of processing program information
KR100587414B1 (en) Three dimensional user interface having cubic shape
KR100621127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displayed objects
KR100604094B1 (en) Method for guiding contents for TV system
WO2012088005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lectronic program guide improvement
KR100998154B1 (en) Method for displaying menu list in digital broadcasting receiver
KR101341465B1 (en) Broadcasting Terminal and Method for Display Data Object thereof
KR101904161B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2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