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87414B1 - Three dimensional user interface having cubic shape - Google Patents

Three dimensional user interface having cubic shap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87414B1
KR100587414B1 KR1020040023701A KR20040023701A KR100587414B1 KR 100587414 B1 KR100587414 B1 KR 100587414B1 KR 1020040023701 A KR1020040023701 A KR 1020040023701A KR 20040023701 A KR20040023701 A KR 20040023701A KR 100587414 B1 KR100587414 B1 KR 1005874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nu
user interface
group
pressing
but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370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50098468A (en
Inventor
박환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알티캐스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알티캐스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알티캐스트
Priority to KR10200400237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87414B1/en
Publication of KR200500984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846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74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741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5Interaction with a metaphor-based environment or interaction object displayed as three-dimensional, e.g. changing the user viewpoint with respect to the environment or objec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메뉴를 효과적으로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제공된다.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육면체로 이루어진 3차원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로서, 상기 육면체의 각 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뉴를 포함하는 하나의 그룹이 할당되고, 그룹간 이동은 방향버튼의 누름에 의해 행해지고, 그룹 내에서의 메뉴의 선택은 숫자버튼의 누름에 의해 행해진다. 기존의 트리형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경우 6개의 상위메뉴가 존재할 경우 메뉴간 이동이 평균 3회 이상의 키입력이 요구되나,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메뉴간 이동이 평균 2회의 키입력으로 성취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기존의 트리형 사용자 인터페이스 보다 사용자에게 메뉴를 효과적으로 디스플레이하여 메뉴 선택을 용이하게 한다.A user interface for effectively displaying a menu is provided. The user interface is a three-dimensional user interface consisting of a hexahedron, each side of the hexahedron is assigned a group containing at least one menu, the movement between groups is carried out by pressing the direction button, within the group The selection of the menu is made by pressing the numeric buttons. In the conventional tree type user interface, if there are six upper menus, an average of three or more keystrokes is required between menu movements, but the user interfa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chieves an average of two keystrokes. In addition, the user interfa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acilitates menu selection by displaying a menu to a user more effectively than a conventional tree type user interface.

Description

육면체형으로 이루어진 3차원의 사용자 인터페이스{THREE DIMENSIONAL USER INTERFACE HAVING CUBIC SHAPE} 3D user interface consisting of cubes {THREE DIMENSIONAL USER INTERFACE HAVING CUBIC SHAPE}             

도 1은 방송시스템의 기본구조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basic structure of a broadcasting system.

도 2는 전통적인 디지털 텔레비전의 셋톱박스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et-top box of a traditional digital television.

도 3은 종래의 트리형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배치를 보여주는 화면이다.3 is a screen illustrating an arrangement of a conventional tree type user interface.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그림이다.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cept of a user interfa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대화형 디지털 텔레비전용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바람직한 구현예를 보여주는 그림이다.5 shows a preferred embodiment of a user interface for an interactive digital televis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바람직한 구현예를 보여주는 화면상의 배치도이다.6 is a layout view show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user interfa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대화형 디지털 텔레비전에 사용되는 리모컨을 보여준다.7 shows a remote control used in an interactive digital television.

본 발명은 메뉴를 효과적으로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육면체형을 갖는 3차원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user interface for effectively displaying a menu, and more particularly to a three-dimensional user interface having a cube shape.

디지털 텔레비전 또는 디지털 방송의 수신이 가능하도록 소정의 셋톱박스를 구비한 텔레비전(이하, "디지털 텔레비전"이라 통칭함)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플리케이션 콤포넌트(11)와 그래픽 엘리먼트(1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대화형 디지털 텔레비전(iTV)용 어플리케이션(1)을 헤드엔드 서버(2)의 제어를 통해서 패킷단위의 비트스트림 형태의 디지털 방송신호로 송출하고, 송출된 디지털 방송신호는, 통상, 디지털 텔레비전의 셋톱박스(3)로 전달된다.A televis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digital television") having a predetermined set-top box capable of receiving digital television or digital broadcasting includes an application component 11 and a graphic element 12 as shown in FIG. The application 1 for interactive digital television (iTV) is transmitted as a digital broadcast signal in the form of a packet stream, under the control of the headend server 2, and the transmitted digital broadcast signal is usually a digital television. Is delivered to the set top box (3).

도 2는 전통적인 디지털 텔레비전의 셋톱박스(3)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로서, 상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디지털 텔레비전의 튜너(31)는 패킷단위의 비트스트림 형태로 전달된 디지털 방송신호를 수신 및 수신된 방송신호 중에서 시청자가 선택한 채널의 방송신호를 튜닝하고, 역다중화부(32)는 튜닝된 방송신호를 음성/영상 신호 및 데이터 신호로 분리하고, 음성/영상 디코더(33) 및 데이터 디코더(34)는 분리된 방송 신호를 디코딩하고, 그래픽 처리부(35)는 디코딩된 포멧 방식에 따라 음성/영상 데이터 및 데이터를 합성하여 그래픽 처리한 후, 합성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달한다. 어플리케이션 개발자는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구현하기 위해 어플리케이션의 구조를 만들고 이를 화면에 적용할 적당한 네비 게이션 및 그래픽 작업을 하며, 사용자(또는 시청자)는 리모컨을 기본으로 화면에서 보여지는 메뉴들 사이를 이동함으로써 화면상에 구현된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다양한 정보를 얻게 된다.FIG.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et-top box 3 of a conventional digital television. As shown in FIG. 2, the tuner 31 of the digital television is transmitted in the form of a bit stream in a packet unit. The broadcast signal of the channel selected by the viewer among the received and received signals is tuned, and the demultiplexer 32 separates the tuned broadcast signal into an audio / video signal and a data signal, and the audio / video decoder 33 And the data decoder 34 decodes the separated broadcast signal, and the graphic processor 35 synthesizes and processes the audio / video data and the data according to the decoded format and then transfers the synthesized data to the display device. . The application developer creates the structure of the application to implement various applications and performs appropriate navigation and graphic work to apply it to the screen, and the user (or viewer) moves between menus displayed on the screen based on the remote control. You get a lot of information from the application implemented in.

도 3은 종래의 트리형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배치를 보여주는 화면이다. 도 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종래의 트리형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메뉴를 일정한 단위로 그룹화한 후 통상 화면의 하단에 이를 병렬적으로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한다. 따라서, "SHOP" 메뉴바(41)에서 "FOOD" 메뉴(44)로 이동하고 싶은 경우 리모컨(두 7의 2)의 방향버튼(도 7의 20) 중 "→" 버튼(도 7의 202)을 3회 눌러 이동한다. 그러나, 이러한 트리형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메뉴 사이의 이동에 장시간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메뉴를 효율적으로 디스플레이하지 못하는 단점을 갖는다(도 3에서 미설명된 도면부호 411 내지 419는 "SHOP" 메뉴바(41)의 서브메뉴들이고, 도면부호 41 내지 46은 상위메뉴바들이고, 420은 메뉴 설명창이고, 430은 현재 시청자가 시청중인 채널의 화면임).3 is a screen illustrating an arrangement of a conventional tree type user interface. As can be seen in FIG. 3, a conventional tree-type user interface groups menus in a predetermined unit and displays them on a screen in parallel at the bottom of a normal screen. Therefore, when the user wishes to move from the “SHOP” menu bar 41 to the “FOOD” menu 44, the “→” button (202 in FIG. 7) of the direction buttons (20 in FIG. 7) of the remote control (two of two 7). Press three times to move. However, such a tree-type user interface not only takes a long time to move between the menus, but also has a disadvantage of not displaying the menus efficiently (not shown in FIG. 3, reference numerals 411 to 419 denote the "SHOP" menu bar 41. Sub menus, reference numerals 41 to 46 are upper menu bars, 420 is a menu description window, and 430 is a screen of a channel currently being viewed by the viewer.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간단한 구성을 갖고 있으면서도 체계적인 네비게이션을 수행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thereof is to provide a user interface capable of performing systematic navigation while having a simple configuration.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메뉴간 이동시의 키입력을 최소화하고, 메뉴를 효율 적으로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에 의한 메뉴 선택(또는 이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user interface capable of minimizing key input when moving between menus and efficiently displaying menus to facilitate menu selection (or movement) by a user.

본 발명의 첫 번째 관점에 따르면, 육면체로 이루어진 3차원의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제공되며, 여기서 상기 육면체의 각 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뉴를 포함하는 하나의 그룹이 할당되고, 그룹간 이동은 방향버튼의 누름에 의해 행해지고, 주어진 그룹 내에서의 메뉴의 선택은 숫자버튼의 누름에 의해 행해진다.According to a first aspect of the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three-dimensional user interface consisting of a hexahedron, wherein each side of the hexahedron is assigned one group comprising at least one menu, and the movement between groups is pressing a direction button. The menu selection in a given group is made by pressing a numeric button.

본 발명의 두 번째 관점에 따르면, 현재 사용자가 네비게이션 중인 그룹에 속한 메뉴의 디스플레이와 덧붙여, 방향버튼의 누름에 의해 이동할 수 있는 그룹명을 병행하여 디스플레이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user interface for displaying a menu of a menu belonging to a group currently being navigated by a user in parallel with a group name which can be moved by pressing a direction button.

본 발명의 세 번째 관점에 따르면, 현재 사용자가 네비게이션 중인 그룹에 속한 메뉴의 디스플레이와 방향버튼의 누름에 의해 이동할 수 있는 그룹명을 병행하여 디스플레이함에 있어서, 이동할 수 있는 그룹명이 육면체의 분해도에 의해 디스플레이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제공된다.
According to a thir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isplay of a menu of a menu belonging to a group currently being navigated by a user and a group name that can be moved by pressing a direction button, the group name that can be moved is displayed by an exploded view of the cube. A user interface is provid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대화형 디지털 텔레비전용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그림이다. 도 4에서 보듯이,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육면체로 이루어진 3차원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상기 육면체의 각 면(101 내지 106)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뉴(또는 하위 메뉴)를 포함하는 하나의 그룹( 또는 상위 메뉴)이 할당된다. 예를 들면, 육면체의 정면(101)에는 쇼핑과 관련된 메뉴를 디스플레이하는 "SHOP" 그룹이 할당되고, 육면체의 좌측면(102)에는 뉴스 정보를 제공하는 메뉴를 디스플레이하는 "NEWS" 그룹이, 육면체의 우측면(103)에는 각종 게임과 관련 메뉴를 디스플레이하는 "GAME" 그룹이, 육면체의 상부면(104)에는 음식관련 메뉴를 디스플레이하는 "FOOD" 그룹이, 육면체의 하부면(105)에는 영화관련 메뉴를 디스플레이하는 "MOVIE" 그룹이, 육면체의 뒷면(106)에는 각종 스포츠 관련 메뉴를 디스플레이하는 "SPORT" 그룹이 할당되어 있다고 가정하자. 이 때, 각 그룹간 이동은 리모컨(도 7의 2)의 방향버튼(도 7의 20)에 의해 수행된다. 즉, 사용자가 정면(101)의 "SHOP" 그룹으로부터 좌측면(102)에 할당된 "NEWS" 그룹으로 이동하고자 할 경우 리모컨(도 7의 2)의 좌측이동버튼(도 7의 201)을 눌러 이동하고, 우측면(103)의 "GAME" 그룹으로 이동하고자 할 경우에는 리모컨(도 7의 2)의 우측이동버튼(도 7의 202)를, 그리고 상부면(104)의 "FOOD" 그룹 및 하부면(105)의 "MOVIE" 그룹으로 이동하고자 할 경우에는 각각 리모컨(도 7의 2)의 위쪽 이동버튼(도 7의 203) 및 아래쪽 이동버튼(도 7의 204)를 눌러 이동하게 된다. 이때, 뒷면(106)의 "SPORT" 그룹은 상기 4개의 이동버튼(도 7의 201 내지 204) 중 어느 하나를 2회 누르면 된다. 따라서, 어느 하나의 그룹으로부터 다른 하나의 그룹으로 이동시 2회 이내의 버튼 누름으로 그룹간 이동이 이루어진다. 필요할 경우, 리모컨(2)의 버튼들 중 어느 하나에 뒷면 이동 기능을 설정하거나 뒷면 이동버튼을 추가로 설치할 수 있다. 이를 경우 1회의 버튼 누름으로 그룹(상위 메뉴)간 이동이 성취된다. 도 4에서 미설명부호 200 및 300은 각각 메뉴 설명창과 현재 시청자가 시청중인 채널의 화면이다.4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concept of a user interface for an interactive digital televis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4, the user interfa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three-dimensional user interface consisting of a cube. Each side 101 to 106 of the cube is assigned one group (or upper menu) including at least one menu (or lower menu). For example, the front side 101 of the cube is assigned a "SHOP" group for displaying a menu relating to shopping, and the left side 102 of the cube is a "NEWS" group for displaying a menu for providing news information. On the right side 103 is a "GAME" group for displaying various games and menus, the upper surface 104 of the cube is a "FOOD" group for displaying food-related menus, the lower surface 105 of the cube is movie-related Assume that the "MOVIE" group displaying a menu is assigned to the "SPORT" group displaying various sports-related menus on the back side 106 of the cube. At this time, the movement between each group is performed by the direction button (20 in Fig. 7) of the remote control (2 in Fig. 7). That is, when the user wants to move from the "SHOP" group of the front side 101 to the "NEWS" group assigned to the left side 102, he presses the left moving button (201 of FIG. 7) of the remote control (2 of FIG. 7). To move to the " GAME " group of the right side 103, the right button (202 of FIG. 7) of the remote controller (2 of FIG. 7), and the " FOOD " In order to move to the "MOVIE" group of the plane 105, the up and down movement buttons (203 of FIG. 7) and the down movement button (204 of FIG. 7) of the remote controller (2 of FIG. 7) are pressed to move. At this time, the "SPORT" group of the back side 106 may press any one of the four moving buttons (201 to 204 of FIG. 7) twice. Therefore, when moving from one group to another, the movement between groups is made by pressing a button within two times. If necessary, one of the buttons of the remote control (2) can be set to the rear movement function or additionally installed the rear movement button. In this case, the movement between groups (upper menu) is achieved by one button press. In FIG. 4, reference numerals 200 and 300 denote screens of a menu and a channel currently viewed by the viewer, respectively.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대화형 디지털 텔레비전용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바람직한 구현예를 보여주는 그림이다. 사용자는 현재 "SHOP" 그룹(101)을 네비게이션 중이다. 이 때, "SHOP" 그룹에 속하는 메뉴들(111 내지 119) 중 어느 하나의 메뉴로의 포커스 이동 또는 선택은 리모컨(도 7의 2)의 숫자버튼(도 7의 30)의 누름에 의해 성취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뉴에 대한 메뉴 설명창(200)이 디스플레이될 경우에는 리모컨(도 7의 2)의 숫자버튼(도 7의 30)의 누름에 의해 포커스 이동이, 그리고 리모컨의 확인버튼(도 7의 40)의 누름에 의해 최종 이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설명창(200)이 불필요할 경우에는 숫자버튼(도 7의 30)의 누름에 의해 선택된 메뉴로 곧 바로 이동하는 하는 것이 좋다. 이 때, 하나의 그룹에 포함되는 메뉴의 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한다. 예를 들면, 하나의 그룹이 15개의 메뉴를 포함할 경우를 가정해 보자. 이 때, 15개의 메뉴 중 14번째 메뉴로의 포커스 이동 또는 선택은 숫자버튼(30) 중 "1" 버튼과 "4" 버튼를 연속하여 누르면 된다. 그리고, 8번째 메뉴로의 이동은 숫자 "0" 버튼과 숫자 "8" 버튼을 연속하여 누르면 된다. 대체 방안으로서, 숫자 "8" 버튼을 누른 후 일정시간(예: 0.5초) 동안 추가적 숫자버튼(30)의 누름이 없을 경우에는 8번째 메뉴의 선택으로 인식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하나의 그룹에 포함되는 메뉴의 수는 12개 이하이며, 이들이 3×4 행렬로 배열되는 것이다. 이러한 배치는 리모컨(2)의 숫자버튼(30)이 배치와 일대일로 대응되며(이때, "#" 버튼과 "*" 버튼도 메뉴 선택에 이용됨), 사용자 에 의한 용이한 메뉴 선택을 가능케 한다. 하나의 그룹에 포함되는 메뉴의 수가 9개 이하이면, 이들은 3×3 행렬로 배열된다. 하나의 그룹이 9개의 메뉴를 포함할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구현가능한 메뉴의 총수는 54개이다. 54개의 메뉴는 모두 2회 또는 3회의 버튼 누름만으로 선택가능하다. 필요할 경우, 하나의 하위 메뉴 내에 이들에 속하는 하위 하위 메뉴를 두어 하위 하위 메뉴를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형식으로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도 5의 "SHOP 05" 메뉴(115)의 선택시, "SHOP 05" 메뉴(15)에 속하는 서브메뉴들을 육면체형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설정할 수 있다.5 shows a preferred embodiment of a user interface for an interactive digital televis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is currently navigating the "SHOP" group 101. At this time, the focus shift or selection to any one of the menus 111 to 119 belonging to the "SHOP" group is achieved by pressing the number buttons (30 in FIG. 7) of the remote controller (2 in FIG. 7). . As shown in FIG. 5, when the menu description window 200 for the menu is displayed, the focus shifting by pressing the number buttons 30 in FIG. 7 of the remote controller 2 in FIG. It is preferable to finally move by pressing the button (40 of FIG. 7), and if the explanation window 200 is unnecessary, it is preferable to move directly to the menu selected by pressing the number button (30 of FIG. 7). . At this time, the number of menus included in one group is not particularly limited. For example, suppose a group contains 15 menus. At this time, the focus shift or selection to the 14th menu among the 15 menus is performed by successively pressing the "1" button and the "4" button of the number buttons 30. Then, to move to the eighth menu, press the number "0" button and the number "8" button consecutively. As an alternative, if the additional number button 30 is not pressed for a predetermined time (for example, 0.5 seconds) after pressing the number "8" button, it can be set to be recognized as the selection of the eighth menu. Preferably, the number of menus included in one group is 12 or less, and they are arranged in a 3x4 matrix. In this arrangement, the number buttons 30 of the remote controller 2 correspond one-to-one with the arrangement (in this case, the "#" button and the "*" button are also used for menu selection), and enable easy menu selection by the user. If the number of menus included in one group is 9 or less, they are arranged in a 3x3 matrix. When one group includes nine menus, the total number of menus that can be implemented by the user interfa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54. All 54 menus can be selected by pressing two or three button presses. If necessary, sub-menus belonging to them may be provided in one sub-menu to provide a sub-menu to the user in the form of a user interfa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when selecting the “SHOP 05” menu 115 of FIG. 5, submenus belonging to the “SHOP 05” menu 15 may be set as a hexahedral user interface.

본 발명은 현재 사용자가 네비게이션 중인 그룹에 속한 메뉴의 디스플레이와 더불어, 방향버튼의 누름에 의해 이동할 수 있는 그룹명을 병행하여 디스플레이한다. 도 5의 화면에서, 사용자는 방향버튼(20)의 좌측이동버튼(201)의 누름에 의해 "NEWS" 그룹으로, 우측이동버튼(202)의 누름에 의해 "GAME" 그룹으로, 상측이동버튼(203)의 누름에 의해 "FOOD" 그룹으로, 하측이동버튼(204)의 누름에 의해 "MOVIE" 그룹으로, 방향버튼(20)의 2회 누름에 의해 "SPORT" 그룹으로 이동할 수 있음을 직감적으로 알게 된다.The present invention displays a group name which can be moved by pressing a direction button together with a display of a menu belonging to a group currently being navigated by a user. In the screen of FIG. 5, the user moves to the "NEWS" group by pressing the left move button 201 of the direction button 20, the "GAME" group by pressing the right move button 202, and the upper move button ( Intuitively, it is possible to move to the "FOOD" group by pressing 203, to the "MOVIE" group by pressing the lower movement button 204, and to the "SPORT" group by pressing the direction button 20 twice. Get to know.

가장 바람직하게는, 사용자가 현재 네비게이션 중인 그룹("SHOP" 그룹)의 메뉴의 디스플레이와 더불어 방향버튼의 누름에 의해 이동할 수 있는 그룹명을 병행하여 디스플레이함에 있어서, 이동할 수 있는 그룹명이 육면체의 분해도에 의해 사 용자에게 제공되는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바람직한 구현예를 보여주는 화면상의 배치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사용자가 현재 네비게이션 중인 메뉴 표시창(501)과 방향버튼(20)의 누름에 의해 이동할 수 있는 그룹명 표시창(502)이 화면상에 디스플레이된다. 그리고, 방향버튼(20)의 누름에 의해 이동할 수 있는 그룹명 표시창(502)은 육면체의 분해도로 이루어지며, 상기 육면체의 분해도의 중심에는 사용자가 현재 네비게이션 중인 "SHOP 메뉴"(101)가 하이라이트된 상태로 제공되며, 상기 중심(101)의 좌측(102), 우측(103), 상측(104) 및 하측(105)에는 각각 "NEWS" 그룹, "GAME" 그룹, "FOOD" 그룹 및 "MOVIE" 그룹의 그룹명이 제공되며, 최종적으로, "SPORT" 그룹이 분해도의 나머지 면(106)에 배치된다. 사용자는 상기 메뉴 표시창(501)을 보면서 하위 메뉴에 대한 네비게이션을 수행하고, 상기 그룹명 표시창(502)을 보면서, 그룹(상위 메뉴)에 대한 네비게이션을 수행한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NEWS" 그룹(102)으로 이동하고자 할 경우 리모컨(도 7의 2)의 좌측이동버튼(도 7의 201)을 눌러 이동하고, "GAME" 그룹(103)으로 이동하고자 할 경우에는 리모컨(도 7의 2)의 우측이동버튼(도 7의 202)를, 그리고 "FOOD" 그룹(104)으로 이동하고자 할 경우에는 위쪽 이동버튼(도 7의 203)를, "MOVIE" 그룹(105)으로 이동하고자 할 경우에는 아래쪽 이동버튼(도 7의 204)를 눌러 이동하게 된다. "SPORT" 그룹(106)으로 이동하고자 할 경우에는 방향버튼(201 내지 204) 중 어느 하나를 2회 순차 누르면 된다. 도 6에 따른 배치는 사용자가 현재 네비게이션 중인 하위 메뉴와, 방향버튼의 조작에 의해 이동할 수 있는 그룹(상위 메뉴)을 일목요연하게 보 여준다는 장점을 갖는다.Most preferably, in the display of the group name that can be moved by pressing a direction button together with the display of the menu of the group currently being navigated ("SHOP" group), the group name that can be moved is displayed in an exploded view of the cube. Is provided to the user. 6 is a layout view show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user interfa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6, the user interfa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isplays a group name display window 502 on which a user can move by pressing a menu display window 501 and a direction button 20 which are currently being navigated. . In addition, the group name display window 502 which can be moved by pressing the direction button 20 is formed in an exploded view of the cube, and the center of the exploded view of the cube is highlighted with a "SHOP menu" 101 currently being navigated by the user. And the left 102, right 103, upper 104 and lower 105 of the center 101, respectively, the "NEWS" group, the "GAME" group, the "FOOD" group and the "MOVIE". The group name of the group is provided, and finally, the "SPORT" group is placed on the remaining side 106 of the exploded view. The user performs navigation on the lower menu while looking at the menu display window 501, and performs navigation on a group (upper menu) while looking at the group name display window 502. For example, when the user wants to move to the "NEWS" group 102, the user moves by pressing the left move button (201 of FIG. 7) of the remote controller (2 of FIG. 7) and moves to the "GAME" group 103. In order to move the right button (202 in FIG. 7) of the remote control (2 in FIG. 7) and the up button (203 in FIG. 7) to move to the "FOOD" group 104, the "MOVIE" When the user wants to move to the group 105, the user moves by pressing the down button (204 of FIG. 7). In order to move to the "SPORT" group 106, one of the direction buttons 201 to 204 is sequentially pressed twice. The arrangement according to FIG. 6 has the advantage that the user can clearly show the submenu currently being navigated and the group (upper menu) which can be moved by manipulation of the direction button.

기존의 트리형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하위 메뉴 아이템에서 다른 그룹의 메뉴 아이템으로 이동하기 위해선 상위 메뉴를 통해 움직여야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그룹간 이동은 방향버튼의 누름으로, 그룹에 속하는 메뉴의 선택은 숫자버튼의 누름으로 수행함으로써, 트리형의 단점인 메뉴 선택의 곤란함을 극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6개의 그룹과 각각의 그룹에 9개의 메뉴를 할당할 경우 54개의 메뉴를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으며, 평균 2회 이하의 버튼 누름으로 메뉴간 이동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반해, 동일한 양의 메뉴를 지원하는 트리형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그룹간 이동에 평균 3회, 그룹에 속하는 하위 메뉴 사이의 이동에 평균 4 내지 5회가 소요된다. 기존의 트리형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비교할 때,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버튼 누름을 1/3 이상 감소시킬 수 있다. 더 나아가, 특정 그룹에 속하는 메뉴의 구성시, 리모컨의 숫자버튼의 배열과 동일하게 함으로써 사용자가 손쉽게 메뉴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이것은 메뉴 선택에 소요되는 시간을 추가적으로 단축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대화형 디지털 텔레비전 뿐만 아니라, 다양한 전자단말(예를 들면, 전자수첩, 휴대폰 등)에 적용될 수 있다.The existing tree-type user interface must move through the parent menu to move from the submenu item to the menu item in the other group. However, the user interfa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overcome the difficulty of menu selection, which is a disadvantage of a tree type, by moving between groups by pressing a direction button and selecting a menu belonging to a group by pressing a number button.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implement 54 menus when six menus and nine menus are assigned to each group, and can move between menus by pressing an average of two buttons or less. In contrast, a tree-type user interface supporting the same amount of menus takes an average of three times to move between groups and an average of four to five times to move between submenus belonging to a group. Compared with the existing tree type user interface, the user interfa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button presses by 1/3 or more. Furthermore, when configuring a menu belonging to a specific group, the user can easily select the menu by making the same arrangement of the number buttons of the remote controller, which further reduces the time required for menu selection. The user interfa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not only to interactive digital television, but also to various electronic terminals (for example, electronic notebooks, mobile phones, etc.).

Claims (8)

메뉴를 효과적으로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육면체로 이루어진 3차원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로서, 상기 육면체의 각 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위메뉴를 포함하는 상위메뉴가 할당되고, 특정 상위메뉴가 선택되면 이러한 선택에 동반하여 상하좌우 4개의 상위메뉴와 후면의 상위메뉴가 육면체 상에서의 배치에 의해 결정되고, 특정 상위메뉴에 인접한 상하좌우 4개의 상위메뉴로의 이동은 상하좌우 4개의 방향버튼의 1회 누름에 의해 행해지고, 특정 상위메뉴의 후면에 배치된 상위메뉴로의 이동은 상하좌우 4개의 방향버튼 중 어느 하나의 2회 누름에 의해 행해지고, 특정 상위메뉴에 속하는 하위메뉴의 선택은 해당 상위메뉴가 선택된 상황에서 숫자버튼의 누름에 의해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면체로 이루어진 3차원의 사용자 인터페이스.In the user interface for effectively displaying a menu, the user interface is a three-dimensional user interface consisting of a hexahedron, each side of the hexahedron is assigned an upper menu including at least one submenu, a specific upper menu is selected With this selection, the top, bottom, left and right four top menus and rear top menus are determined by the layout on the cube, and the movement to the top, bottom, left and right four top menus adjacent to a specific top menu is determined by 1, 4, 4, or 4 direction buttons. It is performed by pressing twice, and the movement to the upper menu arranged at the rear of the specific upper menu is performed by pressing twice of any one of the four direction buttons up, down, left and right, and the selection of the lower menu belonging to the specific upper menu is selected by the corresponding upper menu. Is performed by pressing a number button in the selected situation. The three-dimensional user interface consisting of a cube. 제1항에 있어서, 현재 사용자가 네비게이션 중인 상위메뉴에 속한 하위메뉴의 디스플레이와 더불어, 방향버튼의 누름에 의해 이동할 수 있는 상위메뉴의 그룹명을 병행하여 디스플레이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The user interface as claimed in claim 1, wherein a group name of the upper menu which can be moved by pressing a direction button is displayed in parallel with the display of the lower menu belonging to the upper menu currently being navigated by the use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방향버튼의 누름에 의해 이동할 수 있는 상위메뉴의 그룹명을 육면체의 분해도에 의해 디스플레이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The user interface as claimed in claim 2, wherein the user interface displays the group name of the upper menu that can be moved by pressing a direction button by an exploded view of a cube.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나의 상위메뉴에 12개 이하의 하위메뉴가 포함되고, 상기 하위메뉴가 3×4 행렬의 형태로 디스플레이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The user interface as claimed in claim 1, wherein up to 12 submenus are included in one upper menu, and the submenus are displayed in a 3 × 4 matrix.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나의 상위메뉴에 9개 이하의 하위메뉴가 포함되고, 상기 하위메뉴가 3×3 행렬의 형태로 디스플레이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The user interface as claimed in claim 1, wherein up to nine submenus are included in one upper menu, and the submenus are displayed in a 3 × 3 matrix.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040023701A 2004-04-07 2004-04-07 Three dimensional user interface having cubic shape KR10058741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3701A KR100587414B1 (en) 2004-04-07 2004-04-07 Three dimensional user interface having cubic shap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3701A KR100587414B1 (en) 2004-04-07 2004-04-07 Three dimensional user interface having cubic shap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8468A KR20050098468A (en) 2005-10-12
KR100587414B1 true KR100587414B1 (en) 2006-06-08

Family

ID=372779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3701A KR100587414B1 (en) 2004-04-07 2004-04-07 Three dimensional user interface having cubic shap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87414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3272B1 (en) * 2006-06-26 2008-04-21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3 dimensional menu,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recording program performing the method
KR101006365B1 (en) * 2009-11-16 2011-01-10 (주) 퓨처로봇 User interface system for providing multidimensions dynamic menu,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0985B1 (en) 2011-11-22 2014-01-15 도시바삼성스토리지테크놀러지코리아 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3D polyhedron user interface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3272B1 (en) * 2006-06-26 2008-04-21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3 dimensional menu,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recording program performing the method
KR101006365B1 (en) * 2009-11-16 2011-01-10 (주) 퓨처로봇 User interface system for providing multidimensions dynamic menu,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WO2011059299A2 (en) * 2009-11-16 2011-05-19 (주) 퓨처로봇 User interface system which provides a multidimensional dynamic menu, and method for operating same
WO2011059299A3 (en) * 2009-11-16 2011-11-03 (주) 퓨처로봇 User interface system which provides a multidimensional dynamic menu, and method for operat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8468A (en) 2005-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81128B2 (en) Multimedia player and method of displaying on-screen menu
CN1109297C (en) VF/V.F. device and operating method based on gradation menu for VF/V. F. device
US787397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a mosaic style electronic program guide
EP2259579B1 (en) Electronic Programming Guide
US8601510B2 (en) User interface for interactive digital television
US7043691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ssisting a user to make a connection between a main device and a peripheral device
KR10042980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linked with a digital TV program
US2009018786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intuitive browsing of content
KR100514817B1 (en) Application user interface for interactive digital televisions and navigation method using the same
CN104244064B (en) The method for operating image display
WO2011084890A1 (en) Overlay device, system and method
EP1681617B1 (en) Method of selecting an element from a list by moving a graphics distinction and apparatus implementing the method
CN1155250C (en) Method for navigation on figure user interface and apparatus for realising it
JP4533292B2 (en) Remote control device
US6950148B2 (en) Method and apparatus of composing menu for users
KR100587414B1 (en) Three dimensional user interface having cubic shape
CN104661063B (en) Image display device and its operating method
JP2005521132A (en) Screen displaying menu in graphics style
JP2006166435A (en) Image display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KR100981198B1 (en) Block navigation method of digital device and system thereof
EP1801690A1 (en) Interactive television system with user-friendly interface
US20070260903A1 (en) Multimedia reproduction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030007924A (en) Video-processing method and system for enriching the content of a TV program
KR20050059353A (en) Method for moving sub-picture in digital broadcasting receiver
US20090009355A1 (en) Wireless remote control for a media player connectable to a networ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1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