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8098B1 - Led 조명 기구의 점등회로 및 보호 장치와 방법 - Google Patents

Led 조명 기구의 점등회로 및 보호 장치와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8098B1
KR100948098B1 KR1020090092661A KR20090092661A KR100948098B1 KR 100948098 B1 KR100948098 B1 KR 100948098B1 KR 1020090092661 A KR1020090092661 A KR 1020090092661A KR 20090092661 A KR20090092661 A KR 20090092661A KR 100948098 B1 KR100948098 B1 KR 1009480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led
constant current
output voltage
led la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26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종균
심명보
박재권
윤중재
Original Assignee
선광에이앤씨 주식회사
씨엘텍(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선광에이앤씨 주식회사, 씨엘텍(주) filed Critical 선광에이앤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926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809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80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8098B1/ko
Priority to JP2010211578A priority patent/JP2011077037A/ja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05B45/5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responsive to malfunctions or undesirable behaviour of LEDs; responsive to LED life; Protective circui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05B45/40Details of LED load circuits
    • H05B45/44Details of LED load circuits with an active control inside an LED matrix

Landscapes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ED 조명 기구의 점등회로 및 보호 장치는 램프 또는 상기 램프의 출력선에 대한 단락 여부를 감지하고, 상기 램프 또는 상기 램프의 출력선이 단락된 경우, 상기 램프에 공급되는 구동 전원을 차단하는 회로 보호부; 상기 램프의 점등 시, 상기 구동 전원에 대해 정전류 제어를 수행하는 정전류 제어부; 상기 정전류 제어부의 출력 전압을 검출하는 전압 검출부; 및 상기 정전류 제어로 인해 발생되는 전압의 손실을 보상하기 위해, 상기 검출된 전압을 이용하여 PFC(Power Factor Correction)의 출력 전압을 제어하는 드라이버를 포함한다.
조명, LED, 단락, 쇼트, 회로 보호, 전원 차단, 정전류 제어, 전압 보상

Description

LED 조명 기구의 점등회로 및 보호 장치와 방법{LIGHTING CIRCUIT AND PROTECTION DEVICE OF LED LIGH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THE SAME}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LED 조명 기구의 점등회로 및 보호 장치와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회가 발전하여 사람들의 삶의 질이 향상됨에 따라 사람들은 사무실, 일반 가정에서 보다 쾌적한 실내 환경을 추구한다. 따라서, 실내 인테리어에 대한 관심이 점차적으로 증대하고 있는 실정이며, 이러한 실내의 분위기를 조성하는 요인으로 어두운 실내를 밝히는 조명 기구의 선택에 지대한 관심을 보이고 있다.
조명 기구에는 여러 가지 종류가 있는데, 각각 환경에 따라 용도가 다르게 사용되고 있어, 여러 가지의 분위기를 연출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조명 기구를 용도에 맞게 따로 설치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조명 기구는 사물과 주변의 해당 부위를 밝게 비추어 보이도록 하는 기구로서, 크게 무대, 쇼윈도, 레스토랑 등의 분위기를 조성하기 위한 것과, 교통신호, 네온사인, 도로정보표시판 등과 같은 정보 전달 수단으로 이용하기 위한 것과, 살균, 가열, 건조 등을 위해 자외선, 적외선 등을 이용하는 것과, 물고기나 곤충을 유인하거나 식물 재배에 이용하는 등 인간 이외를 대상으로 하는 것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조명 기구는 LED 램프의 출력선이 단락되거나 상기 LED 램프가 잘못 설치되어 상기 LED 램프 자체적으로 단락이 일어나는 경우, 상기 조명 기구의 내부 회로에 손상을 주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상기 조명 기구의 내부 회로가 손상되지 않도록 보호할 수 있는 LED 점등회로 및 보호 장치와 방법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LED 램프 또는 상기 LED 램프의 출력선이 단락된 경우, 상기 LED 램프에 공급되는 구동 전원을 차단함으로써, 상기 LED 램프를 통해 빛을 발광시키는 조명 기구의 내부 회로를 과전류, 과전압 등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LED 조명 기구의 점등회로 및 보호 장치와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 LED 램프의 점등 시에 공급되는 구동 전원을 정전류 제어함으로써, 상기 LED 램프로 과전류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LED 조명 기구의 점등회로 및 보호 장치와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 정전류 제어로 인해 전압의 손실이 발생된 경우, PFC(Power Factor Correction)의 출력 전압을 일정하게 제어함으로써, 상기 정전류 제어로 인해 발생되는 전압의 손실을 보상할 수 있는 LED 조명 기구의 점등회로 및 보호 장치와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ED 조명 기구의 점등회로 및 보호 장치는 램프 또는 상기 램프의 출력선에 대한 단락 여부를 감지하고, 상기 램프 또는 상기 램프 의 출력선이 단락된 경우, 상기 램프에 공급되는 구동 전원을 차단하는 회로 보호부; 상기 램프의 점등 시, 상기 구동 전원에 대해 정전류 제어를 수행하는 정전류 제어부; 상기 정전류 제어부의 출력 전압을 검출하는 전압 검출부; 및 상기 정전류 제어로 인해 발생되는 전압의 손실을 보상하기 위해, 상기 검출된 전압을 이용하여 PFC(Power Factor Correction)의 출력 전압을 제어하는 드라이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ED 조명 기구의 점등 및 보호 방법은 회로 보호부에서, 램프 또는 상기 램프의 출력선에 대한 단락 여부를 감지하고, 상기 램프 또는 상기 램프의 출력선이 단락된 경우, 상기 램프에 공급되는 구동 전원을 차단하는 단계; 정전류 제어부에서, 상기 램프의 점등 시, 상기 구동 전원에 대해 정전류 제어를 수행하는 단계; 전압 검출부에서, 상기 정전류 제어부의 출력 전압을 검출하는 단계; 및 드라이버에서, 상기 정전류 제어로 인해 발생되는 전압의 손실을 보상하기 위해, 상기 검출된 전압을 이용하여 PFC의 출력 전압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첨부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또는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 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LED 램프 또는 상기 LED 램프의 출력선이 단락된 경우, 상기 LED 램프에 공급되는 구동 전원을 차단함으로써, 상기 LED 램프를 통해 빛을 발광시키는 조명 기구의 내부 회로를 과전류, 과전압 등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LED 램프의 점등 시에 공급되는 구동 전원을 정전류 제어함으로써, 상기 LED 램프로 과전류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정전류 제어로 인해 전압의 손실이 발생된 경우, PFC(Power Factor Correction)의 출력 전압을 일정하게 제어함으로써, 상기 정전류 제어로 인해 발생되는 전압의 손실을 보상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ED 조명 기구의 점등회로 및 보호 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ED 조명 기구의 점등회로 및 보호 장치(100)는 회로 보호부(110), 정전류 제어부(120), 전압 검출부(130), 및 드라이버(140)를 포함한다.
상기 회로 보호부(110)는 LED 램프(106) 또는 상기 LED 램프(106)의 출력선에 대한 단락 여부를 감지한다. 즉, 상기 회로 보호부(110)는 상기 LED 램프(106) 설치 시, 설치자가 상기 LED 램프(106)를 잘못 연결하여 상기 LED 램프(106)가 단락(쇼트) 상태에 있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로 보호부(110)는 상기 LED 램프(106)로 구동 전원을 공급하는 출력선이 단락 상태에 있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회로 보호부(110)는 상기 LED 램프(106) 또는 상기 LED 램프(106)의 출력선이 단락된 경우, 상기 LED 램프(106)에 공급되는 구동 전원을 차단한다.
이를 위해, 상기 회로 보호부(1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비교부(210), 제2 비교부(220), 및 전원 차단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참고로, 도 2는 도 1의 회로 보호부(110)의 구성을 상세히 도시한 블록도이다.
상기 제1 비교부(210)는 상기 LED 램프(106)의 출력 전압과 미리 설정된 제1 기준 전압(reference voltage)을 비교한다. 여기서, 상기 제1 기준 전압은 0.53볼트(V)로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제1 비교부(210)는 상기 LED 램프(106)의 출력 전압이 상기 제1 기준 전압보다 큰 경우 하이 레벨(high level)의 전압을 출력하고, 상기 LED 램프(106) 의 출력 전압이 상기 제1 기준 전압보다 작은 경우 로우 레벨(low level)의 전압을 출력한다.
상기 제2 비교부(220)는 상기 제1 비교부(210)의 출력 전압과 미리 설정된 제2 기준 전압을 비교한다. 여기서, 상기 제2 기준 전압은 0.75볼트(V)로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제2 비교부(220)는 상기 제1 비교부(210)의 출력 전압이 상기 제2 기준 전압보다 큰 경우 하이 레벨의 전압을 출력하고, 상기 제1 비교부(210)의 출력 전압이 상기 제2 기준 전압보다 작은 경우 로우 레벨의 전압을 출력한다.
즉, 상기 제2 비교부(220)는 상기 제1 비교부(210)의 출력 전압이 하이 레벨인 경우 하이 레벨의 전압을 출력하고, 상기 제1 비교부(210)의 출력 전압이 로우 레벨인 경우 로우 레벨의 전압을 출력한다.
이때, 상기 회로 보호부(110)는 상기 제1 비교부(210)와 상기 제2 비교부(220)의 출력 전압을 통해 상기 LED 램프(106) 또는 상기 LED 램프(106)의 출력선에 대한 단락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즉, 상기 회로 보호부(110)는 상기 제1 비교부(210)의 출력 전압이 하이 레벨이고, 상기 제2 비교부(220)의 출력 전압이 로우 레벨인 경우, 상기 LED 램프(106) 또는 상기 LED 램프(106)의 출력선이 단락 상태에 있는 것으로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전원 차단부(230)는 상기 감지 결과, 상기 LED 램프(106) 또는 상기 LED 램프(106)의 출력선이 단락된 경우, 오프(off)되어 상기 LED 램프(106)에 공급 되는 구동 전원을 차단한다.
이와 같이, 상기 회로 보호부(110)는 상기 LED 램프(106) 또는 상기 LED 램프(106)의 출력선이 단락된 경우, 상기 LED 램프(106)에 공급되는 구동 전원을 차단함으로써, 상기 LED 램프(106)를 통해 빛을 발광시키는 조명 기구의 내부 회로, 예를 들면 PFC(Power Factor Correction)(104) 등을 과전류, 과전압 등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정전류 제어부(120)는 상기 LED 램프(106)의 점등 시, 상기 LED 램프(106)에 공급되는 구동 전원에 대해 정전류 제어를 수행한다. 이때, 상기 정전류 제어부(120)는 션트 레귤레이터(shunt regulator)를 이용하여 상기 LED 램프(106)에 공급되는 구동 전원을 정전류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정전류 제어부(120)는 상기 LED 램프(106)의 점등 시에 공급되는 구동 전원을 정전류 제어함으로써, 상기 LED 램프(106)로 과전류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션트 레귤레이터는 TL431 집적회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전압 검출부(130)는 상기 정전류 제어부(120)의 출력 전압을 검출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압 검출부(130)는 상기 정전류 제어부(120)에 포함된 트랜지스터(도 3의 "Q3" 참조)의 컬렉터 전압을 검출한다.
상기 드라이버(140)는 상기 정전류 제어부(120)의 정전류 제어로 인해 발생되는 전압의 손실을 보상하기 위해, 상기 전압 검출부(130)에 의해 검출된 전압을 이용하여 PFC(104)의 출력 전압을 제어한다.
이를 위해, 상기 드라이버(140)는 상기 제2 비교부(도 2의 "210" 참조)의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PFC(104)의 출력 전압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상기 제2 비교부는 상기 전압 검출부(130)에 의해 검출된 전압과 상기 제2 기준 전압을 비교하는데, 상기 비교 결과 상기 정전류 제어로 인해 전압의 손실이 발생된 경우, 상기 드라이버(140)는 FET(Field Effect Transistor)의 스위칭(switching)을 통해 전류를 공급/차단하여 상기 PFC(104)의 출력 전압이 일정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드라이버(140)는 상기 FET의 스위칭을 매우 빠른 속도로 반복 수행하여 전류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PFC(104)의 출력 전압을 일정하게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드라이버(140)는 상기 정전류 제어로 인해 전압 손실이 발생된 경우, 상기 FET를 닫아서(close) 더 많은 전류를 상기 LED 램프(106)로 보냄으로써 상기 PFC(104)의 출력 전압을 높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드라이버(140)는 상기 PFC(104)의 출력 전압이 손실되기 전의 원래 전압에 도달하는 경우, 상기 FET를 열어서(open) 상기 LED 램프(106)로의 전류 공급을 차단함으로써, 상기 PFC(104)의 출력 전압을 일정하게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드라이버(140)는 상기 정전류 제어로 인해 전압의 손실이 발생된 경우, 상기 PFC(104)의 출력 전압을 일정하게 제어함으로써, 상기 정전류 제어로 인해 발생되는 전압의 손실을 보상할 수 있다.
참고로, 도 1에서 미 설명된 도면부호 101, 102, 103, 104, 105는 각각 전원 부, EMI 필터, 정류부, PFC, 및 평활부를 가리킨다. 상기 구성들(101, 102, 103, 104, 105)은 모두 공지의 기술에 해당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ED 조명 기구의 점등회로 및 보호 장치의 회로도이다. 참고로, 도 3의 회로도는 하나의 예시에 해당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LED 조명 기구의 점등회로 및 보호 장치는 상기 도 3의 회로도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로 보호부(110)는 IC2B(210), IC2A(220), 및 Q4(23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IC2B(210), IC2A(220), 및 Q4(230) 각각은 도 2의 제1 비교부(210), 제2 비교부(220), 및 전원 차단부(230)에 대응되는 구성이다. 이러한 회로 보호부(110)의 동작 원리는 다음과 같다.
즉, 무부하(no load) 시 IC2B(210)의 출력은 로우(low)이고 IC2A(220)의 출력은 로우(low)가 된다. 따라서, Q4(230)가 오프(off)되어 LED 램프(106)에 공급되는 구동 전원의 출력은 차단된다.
또한, 부하(load) 시 상기 IC2B(210)에는 (-) 기준 전압 이상으로 (+)에 전압이 인가되어 상기 IC2B(220)의 출력이 하이(high)가 되고, R30을 통해 상기 IC2A(220)의 (+)로 4V 출력이 들어가 상기 IC2A(220)의 출력은 하이(high)가 된다. 따라서, 상기 Q4(230)가 온(on)되어 상기 LED 램프(106)는 점등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IC2B(210)의 (-) 기준 전압은 0.53볼트(V)이고, 상기 IC2A(220)의 (-) 기준 전압은 0.74볼트(V)이다.
한편, 상기 LED 램프(106)의 출력선이 단락(쇼트)되거나 저전압용 LED 모 듈(12V, 24V)이 잘못 연결되는 경우, 상기 IC2A(220)의 (-) 기준 전압이 상승하여 상기 IC2A(220)의 출력이 로우(low)가 된다. 따라서, 상기 Q4(230)가 오프(off)되어 상기 LED 램프(106)에 공급되는 구동 전원의 출력은 차단된다.
상기 정전류 제어부(120)는 상기 LED 램프(106)의 점등 시, Q2를 이용하여 정전류 제어를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Q2는 션트 레귤레이터인 TL431 집적회로로 구현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LED 램프(106)는 내부 저항이 낮아서 전압이 조금만 변해도 전류 변화가 심하며, 이에 따라 과전류가 흐를 위험이 많다. 또한, 상기 LED 램프(106)는 다이오드(diode)의 일종으로 온도가 올라가면 VF(순방향 전압 강하)가 낮아져 전류가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LED 램프(106)는 정전류로 구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압 검출부(R26, R27)(130)는 상기 정전류 제어부(120)에 포함된 Q3의 컬렉터 전압을 검출한다.
상기 전압 검출부(R26, R27)(130)를 통해 검출된 전압은 상기 IC2A(220)에서 상기 (-) 기준 전압과 비교되고, 상기 IC2A(220)에서 상기 비교 결과를 R36으로 보내면, PC1이 동작(도통)한다. 이에 따라, 상기 드라이버(IC1)(140)는 FET를 닫아서 더 많은 전류를 보내고, D5의 전류 흐름이 증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드라이버(IC1)(140)는 매우 빠른 속도로 상기 FET의 스위칭을 반복하여, 상기 정전류 제어부(120)의 정전류 제어로 인해 발생되는 전압 손실을 보상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ED 조명 기구의 점등 및 보호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흐름도이다. 상기 LED 조명 기구의 점등 및 보호 방법은 도 1의 LED 조명 기구의 점등회로 및 보호 장치(1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단계(410)에서 상기 회로 보호부(110)는 상기 LED 램프(106) 또는 상기 LED 램프(106)의 출력선에 대한 단락 여부를 감지한다.
상기 LED 램프(106) 또는 상기 LED 램프(106)의 출력선이 단락된 경우(410의 "예" 방향), 단계(420)에서 상기 회로 보호부(110)는 상기 LED 램프(106)에 공급되는 구동 전원을 차단한다.
상기 회로 보호부(110)에 대해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제1 비교부(210)는 상기 LED 램프(106)의 출력 전압과 미리 설정된 제1 기준 전압(reference voltage)을 비교한다. 여기서, 상기 제1 기준 전압은 0.53볼트(V)로 미리 설정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2 비교부(220)는 상기 제1 비교부(210)의 출력 전압과 미리 설정된 제2 기준 전압을 비교한다. 여기서, 상기 제2 기준 전압은 0.75볼트(V)로 미리 설정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전원 차단부(230)는 상기 제1 비교부(210)와 상기 제2 비교부(220)의 출력 전압에 기초하여, 상기 LED 램프(106) 또는 상기 LED 램프(106)의 출력선에 대한 단락 여부를 감지하고, 상기 LED 램프(106) 또는 상기 LED 램프(106)의 출력선이 단락 상태에 있는 것으로 감지된 경우, 오프(off)되어 상기 LED 램프(106)에 공급되는 구동 전원을 차단한다.
즉, 상기 전원 차단부(230)는 상기 제1 비교부(210)의 출력 전압이 하이 레벨이고, 상기 제2 비교부(220)의 출력 전압이 로우 레벨인 경우, 오프(off)되어 상기 LED 램프(106)에 공급되는 구동 전원을 차단한다.
이와 같이, 상기 회로 보호부(110)는 상기 LED 램프(106) 또는 상기 LED 램프(106)의 출력선이 단락된 경우, 상기 LED 램프(106)에 공급되는 구동 전원을 차단함으로써, 상기 LED 램프(106)를 통해 빛을 발광시키는 조명 기구의 내부 회로, 예를 들면 PFC(Power Factor Correction)(104) 등을 과전류, 과전압 등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반면, 상기 LED 램프(106) 또는 상기 LED 램프(106)의 출력선이 단락되지 않은 경우(410의 "아니오" 방향), 상기 회로 보호부(110)는 상기 LED 램프(106) 또는 상기 LED 램프(106)의 출력선이 단락될 때까지 대기 상태를 유지한다.
다시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다음으로, 단계(430)에서 상기 정전류 제어부(120)는 상기 LED 램프(106)의 점등 시, 상기 LED 램프(106)에 공급되는 구동 전원에 대해 정전류 제어를 수행한다.
이때, 상기 정전류 제어부(120)는 션트 레귤레이터(shunt regulator)를 이용하여 상기 LED 램프(106)에 공급되는 구동 전원을 정전류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션트 레귤레이터는 TL431 집적회로로 구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정전류 제어부(120)는 상기 LED 램프(106)의 점등 시에 공급되는 구동 전원을 정전류 제어함으로써, 상기 LED 램프(106)로 과전류가 유입되 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440)에서 상기 전압 검출부(130)는 상기 정전류 제어부(120)의 출력 전압을 검출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압 검출부(130)는 상기 정전류 제어부(120)에 포함된 트랜지스터(도 3의 "Q3" 참조)의 컬렉터 전압을 검출한다.
다음으로, 단계(450)에서 상기 드라이버(140)는 상기 정전류 제어부(120)의 정전류 제어로 인해 발생되는 전압의 손실을 보상하기 위해, 상기 전압 검출부(130)에 의해 검출된 전압을 이용하여 PFC(104)의 출력 전압을 제어한다.
이를 위해, 상기 드라이버(140)는 상기 제2 비교부(도 2의 "210" 참조)의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PFC(104)의 출력 전압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상기 제2 비교부는 상기 전압 검출부(130)에 의해 검출된 전압과 상기 제2 기준 전압을 비교하는데, 상기 비교 결과 상기 정전류 제어로 인해 전압의 손실이 발생된 경우, 상기 드라이버(140)는 FET(Field Effect Transistor)의 스위칭(switching)을 통해 전류를 공급/차단하여 상기 PFC(104)의 출력 전압이 일정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드라이버(140)는 상기 FET의 스위칭을 매우 빠른 속도로 반복 수행하여 전류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PFC(104)의 출력 전압을 일정하게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드라이버(140)는 상기 정전류 제어로 인해 전압의 손실이 발생된 경우, 상기 PFC(104)의 출력 전압을 일정하게 제어함으로써, 상기 정전류 제어로 인해 발생되는 전압의 손실을 보상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의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 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ED 조명 기구의 점등회로 및 보호 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회로 보호부(110)의 구성을 상세히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ED 조명 기구의 점등회로 및 보호 장치의 회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ED 조명 기구의 점등 및 보호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회로 보호부
120: 정전류 제어부
130: 전압 검출부
140: 드라이버
210: 제1 비교부
220: 제2 비교부
230: 전원 차단부

Claims (10)

  1. LED 또는 상기 LED의 출력선에 대한 단락 여부를 감지하고, 상기 LED 또는 상기 LED의 출력선이 단락된 경우, 상기 LED에 공급되는 구동 전원을 차단하는 회로 보호부;
    상기 LED의 점등 시, 상기 구동 전원에 대해 정전류 제어를 수행하는 정전류 제어부;
    상기 정전류 제어부의 출력 전압을 검출하는 전압 검출부; 및
    상기 정전류 제어로 인해 발생되는 전압의 손실을 보상하기 위해, 상기 검출된 전압을 이용하여 PFC(Power Factor Correction)의 출력 전압을 제어하는 드라이버
    를 포함하는 LED 조명 기구의 점등회로 및 보호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 보호부는
    상기 LED의 출력 전압과 미리 설정된 제1 기준 전압을 비교하는 제1 비교부;
    상기 제1 비교부의 출력 전압과 미리 설정된 제2 기준 전압을 비교하는 제2 비교부; 및
    상기 제1 비교부의 출력 전압이 하이(high)이고, 상기 제2 비교부의 출력 전압이 로우(low)인 경우, 오프(off)되어 상기 구동 전원을 차단하는 전원 차단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조명 기구의 점등회로 및 보호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비교부는
    상기 전압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전압과 상기 제2 기준 전압을 비교하고,
    상기 드라이버는
    상기 비교 결과, 상기 정전류 제어로 인해 전압의 손실이 발생된 경우, FET의 스위칭을 통해 전류를 공급/차단하여 상기 PFC의 출력 전압이 일정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조명 기구의 점등회로 및 보호 장치.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준 전압은 0.53V이고,
    상기 제2 기준 전압은 0.75V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조명 기구의 점등회로 및 보호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전류 제어부는
    션트 레귤레이터(shunt regulator)를 이용하여 상기 정전류 제어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조명 기구의 점등회로 및 보호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션트 레귤레이터는
    TL431 집적회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조명 기구의 점등회로 및 보호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검출부는
    상기 정전류 제어부에 포함된 트랜지스터의 컬렉터 전압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조명 기구의 점등회로 및 보호 장치.
  8. 회로 보호부에서, LED 또는 상기 LED의 출력선에 대한 단락 여부를 감지하고, 상기 LED 또는 상기 LED의 출력선이 단락된 경우, 상기 LED에 공급되는 구동 전원을 차단하는 단계;
    정전류 제어부에서, 상기 LED의 점등 시, 상기 구동 전원에 대해 정전류 제어를 수행하는 단계;
    전압 검출부에서, 상기 정전류 제어부의 출력 전압을 검출하는 단계; 및
    드라이버에서, 상기 정전류 제어로 인해 발생되는 전압의 손실을 보상하기 위해, 상기 검출된 전압을 이용하여 PFC의 출력 전압을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LED 조명 기구의 점등 및 보호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LED에 공급되는 구동 전원을 차단하는 단계는
    제1 비교부에서, 상기 LED의 출력 전압과 미리 설정된 제1 기준 전압을 비교하는 단계;
    제2 비교부에서, 상기 제1 비교부의 출력 전압과 미리 설정된 제2 기준 전압을 비교하는 단계; 및
    전원 차단부에서, 상기 제1 비교부의 출력 전압이 하이(high)이고, 상기 제2 비교부의 출력 전압이 로우(low)인 경우, 오프(off)되어 상기 구동 전원을 차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조명 기구의 점등 및 보호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비교부에서, 상기 전압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전압과 상기 제2 기준 전압을 비교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PFC의 출력 전압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비교 결과, 상기 정전류 제어로 인해 전압의 손실이 발생된 경우, FET의 스위칭을 통해 전류를 공급/차단하여 상기 PFC의 출력 전압이 일정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조명 기구의 점등 및 보호 방법.
KR1020090092661A 2009-09-29 2009-09-29 Led 조명 기구의 점등회로 및 보호 장치와 방법 KR1009480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2661A KR100948098B1 (ko) 2009-09-29 2009-09-29 Led 조명 기구의 점등회로 및 보호 장치와 방법
JP2010211578A JP2011077037A (ja) 2009-09-29 2010-09-22 Led照明器具の点灯回路及び保護装置並びにその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2661A KR100948098B1 (ko) 2009-09-29 2009-09-29 Led 조명 기구의 점등회로 및 보호 장치와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48098B1 true KR100948098B1 (ko) 2010-03-16

Family

ID=421834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2661A KR100948098B1 (ko) 2009-09-29 2009-09-29 Led 조명 기구의 점등회로 및 보호 장치와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11077037A (ko)
KR (1) KR10094809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1513B1 (ko) 2010-05-07 2012-08-06 삼성전기주식회사 발광 구동 장치
KR101256866B1 (ko) * 2010-07-15 2013-04-22 윤영일 해조류 재배용 led 장치
KR101338326B1 (ko) 2011-12-29 2014-01-06 한국공항공사 정전류를 입력받는 항공등화의 역률개선 구동장치
KR20220157662A (ko) * 2021-05-21 2022-11-29 (주)링크일렉트로닉스 Led광원의 정격전력에 적응적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led광원분리형 스마트 led 전원공급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1762B1 (ko) * 2011-05-04 2013-02-08 (주)골든칩스 Led 부하의 단락에 의한 내장 부품 및 부하의 파손 방지 기능을 제공하는 led 조명용 전원공급장치
WO2013005652A1 (ja) 2011-07-04 2013-01-10 Necライティング株式会社 発光素子故障検出器及び発光素子故障検出方法
WO2013005655A1 (ja) 2011-07-05 2013-01-10 Necライティング株式会社 発光素子故障検出器及び発光素子故障検出方法
CN102291902A (zh) * 2011-10-09 2011-12-21 黄淮学院 通用照明调控控制器
CN102291903A (zh) * 2011-10-09 2011-12-21 黄淮学院 Led照明节能控制器
JP5992197B2 (ja) * 2012-04-10 2016-09-14 新電元工業株式会社 Led点灯装置及びこれを備える表示装置
CN103179756B (zh) * 2013-03-19 2015-06-24 深圳市明微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具有宽输入电压范围的led线性恒流驱动控制器
JP6358526B2 (ja) 2013-10-01 2018-07-18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点灯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照明器具
KR102168326B1 (ko) * 2013-10-04 2020-10-23 서울반도체 주식회사 조광이 가능한 교류구동 발광소자 조명장치 및 이의 발광소자 구동회로
CN104968070B (zh) * 2015-03-18 2017-07-28 盐城工学院 一种led驱动电路
CN105870896B (zh) * 2016-05-20 2019-01-25 上海晶丰明源半导体股份有限公司 一种输出短路保护电路、负载驱动系统及方法
CN106325156A (zh) * 2016-08-25 2017-01-11 东莞市诗玛电子有限公司 一种总线式红外反射传感装置
CN114189962A (zh) * 2021-12-17 2022-03-15 深圳民爆光电股份有限公司 一种高精度led恒流驱动电路及其驱动电源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38962A (ko) * 2004-07-14 2007-04-11 로무 가부시키가이샤 전원 장치
KR20080027076A (ko) * 2006-09-22 2008-03-26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조기의 직류전원 공급 장치 및 방법
KR100877521B1 (ko) 2008-08-26 2009-01-07 엔 하이테크 주식회사 엘이디 조명 구동회로
KR100916851B1 (ko) 2009-04-06 2009-09-21 주식회사 케이투엘 정전력형 led 점등회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38962A (ko) * 2004-07-14 2007-04-11 로무 가부시키가이샤 전원 장치
KR20080027076A (ko) * 2006-09-22 2008-03-26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조기의 직류전원 공급 장치 및 방법
KR100877521B1 (ko) 2008-08-26 2009-01-07 엔 하이테크 주식회사 엘이디 조명 구동회로
KR100916851B1 (ko) 2009-04-06 2009-09-21 주식회사 케이투엘 정전력형 led 점등회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1513B1 (ko) 2010-05-07 2012-08-06 삼성전기주식회사 발광 구동 장치
KR101256866B1 (ko) * 2010-07-15 2013-04-22 윤영일 해조류 재배용 led 장치
KR101338326B1 (ko) 2011-12-29 2014-01-06 한국공항공사 정전류를 입력받는 항공등화의 역률개선 구동장치
KR20220157662A (ko) * 2021-05-21 2022-11-29 (주)링크일렉트로닉스 Led광원의 정격전력에 적응적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led광원분리형 스마트 led 전원공급장치
KR102661094B1 (ko) * 2021-05-21 2024-04-26 (주)링크일렉트로닉스 Led광원의 정격전력에 적응적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led광원분리형 스마트 led 전원공급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1077037A (ja) 2011-04-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8098B1 (ko) Led 조명 기구의 점등회로 및 보호 장치와 방법
US8461769B2 (en) LED driving circuit, LED driving control unit and transistor switch module thereof
US9860958B2 (en) Dimming drive circuit of alternating current directly-driven LED module
JP5275450B2 (ja) 直流電源照明システム用の低損失型入力チャネル検出装置
US7825599B2 (en) Lighting control apparatus of vehicle-purpose lighting device
KR101027446B1 (ko) 과전압 차단기를 구비한 등기구
KR101657474B1 (ko) 주변 밝기에 따라 자동으로 조도가 조절되는 led 장치
KR101002600B1 (ko) 엘이디 조명 제어 회로
US5532894A (en) Overvoltage protection circuit
US9107271B2 (en) LED driving circuit
US20200107417A1 (en) Led current ripple elimination circuit applicable to very low triac dimming depth
WO2014108870A2 (en) Lighting unit, lighting driver and system for detecting signaling transitions on line voltage and controlling dimming level of light source
KR101771986B1 (ko) 엘이디 조명등 잔불 방지장치
US20150048751A1 (en) Bi-level dimming controller for led light fixture
CN116916489A (zh) 一种led灯光智能控制器
KR102023873B1 (ko) Led 발광부에서의 미세 점등 방지용 발전소 경보장치
KR101305035B1 (ko) 단락전류 차단기능이 구비된 엘이디 조명용 컨버터의 정전류 회로
KR101474075B1 (ko) 발광 다이오드 구동 장치
KR101512727B1 (ko) 발광다이오드 구동 회로
CN105960058B (zh) 发光二极管调光开关保护电路
KR101597149B1 (ko) 엘이디 조명등 지연 소등장치
KR20160115237A (ko) Led 점멸 구동 장치
KR200474702Y1 (ko) 발광다이오드 램프 구동 장치
KR20160042230A (ko) 차량용 led 램프의 구동장치
JP6754241B2 (ja) Led光射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3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