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6177B1 - Apparatus and method transmitting - receivering data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transmitting - receivering data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6177B1
KR100946177B1 KR1020080003364A KR20080003364A KR100946177B1 KR 100946177 B1 KR100946177 B1 KR 100946177B1 KR 1020080003364 A KR1020080003364 A KR 1020080003364A KR 20080003364 A KR20080003364 A KR 20080003364A KR 100946177 B1 KR100946177 B1 KR 1009461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msb
coding
coded
o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336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90077414A (en
Inventor
유회준
김주영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0800033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6177B1/en
Publication of KR200900774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741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61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617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9/00Parallel/series conversion or vice versa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10/00Energy efficient computing, e.g. low power processors, power management or thermal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c Digital Transmiss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데이터 송수신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트랜스미터는 병렬 데이터의 MSB가 0인 경우에는 LSB로부터 병렬 데이터의 값만큼 1을 가지도록 하고, MSB가 1인 경우에는 LSB로부터 MSB를 제외한 병렬 데이터의 값만큼 0을 가지도록 함으로써 트랜지션수를 0이나 1이 되도록 트랜지션 코딩하는 인코딩부를 포함하고, 리시버는 상기 트랜지션 코딩된 데이터의 MSB가 0인 경우는 코딩된 데이터에서 1의 개수를 더하고, MSB가 1인 경우는 코딩된 데이터에서 1의 개수를 더한 수를 2의 보수에서 마이너스(-)를 취함으로써 디코딩하는 디코딩부를 포함하여, N비트의 병렬 데이터를 직렬화하여 전송할 때 데이터 트랜지션(transition)이 한 번만 일어 일어나도록 코딩하여줌으로써, 데이터 전송 시 발생하는 데이터 트랜지션의 수를 줄여 저전력 데이터 전송을 가능하게 하며, 데이터 직렬화 효과로 데이터 전송에 필요한 링크의 개수를 줄이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wherein the transmitter has a value equal to 1 from the LSB when the MSB of the parallel data is 0, and when the MSB is 1, the parallel data excluding the MSB is excluded from the LSB. An encoding unit for transition coding the number of transitions to be 0 or 1 by having a value equal to zero, the receiver adds the number of 1s in the coded data when the MSB of the transition coded data is 0, and the MSB is 1 Is a decoding unit that decodes the number of 1s from the coded data by taking a minus (-) in 2's complement, and the data transition is performed only once when serializing and transmitting N-bit parallel data. By coding to occur, low power data transmission is possible by reducing the number of data transitions that occur during data transmission. In addition, data serialization effects reduce the number of links required for data transmission.

트랜스미터, 리시버, 버스 코딩, OST 코딩 Transmitter, Receiver, Bus Coding, OST Coding

Description

데이터 송수신 장치 및 방법 {APPARATUS AND METHOD TRANSMITTING - RECEIVERING DATA}Devic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APPARATUS AND METHOD TRANSMITTING-RECEIVERING DATA}

본 발명은 데이터 송수신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병렬 데이터를 직렬전송 시에 데이터 트랜지션(transition)이 한 번만 일어 일어나도록 코딩하여 데이터 전송 시 발생하는 데이터 트랜지션의 수를 줄여 저전력 데이터 전송을 가능하게 하며, 데이터 전송에 필요한 링크의 개수를 줄일 수 있는 데이터 송수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and in particular, to code low-speed data by reducing the number of data transitions that occur during data transmission by coding data transitions to occur only once in serial transmiss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apparatus capable of reducing the number of links required for data transmission.

기존의 온-칩, 혹은 오프-칩 병렬통신은 도선의 수를 많이 필요로 하며, 도선사이의 혼선, 지연차등의 문제 때문에, 전기 제품간의 유선통신, 혹은 컴퓨터간의 인터넷 통신 그리고 칩 내부 기능 블록간의 통신등에 직렬통신을 널리 사용해오고 있다.Conventional on-chip or off-chip parallel communication requires a large number of wires, and due to problems such as crosstalk and delay differences between wires, wired communication between electrical products, Internet communication between computers, and communication between functional blocks within the chip Serial communication has been widely used.

한편, 최근 공정이 발달하면서 트랜지스터의 성능이 좋아지는 것에 비하여 링크 와이어의 성능이 좋아지는 정도가 작아 상대적으로 링크 와이어의 가격은 점 점 높아지고 있다. On the other hand, in recent years, as the performance of transistors improves, the performance of the link wires is smaller than that of the transistors.

또한, SoC 내의 집적도가 높아지면서 집적되는 모듈의 개수가 늘어 모듈 사이의 통신이 중요해지고 있으며, 또 그에 필요한 링크가 점점 복잡해지고 있다. 따라서 링크에서 소모되는 자원과 소모되는 전력이 문제가 되고 있다.In addition, as the degree of integration in the SoC increases, the number of modules to be integrated increases, and communication between modules becomes important, and the necessary links thereof become more and more complicated. Therefore, resources consumed by the link and power consumed are problematic.

그 대책의 한가지로, 예전부터 많은 비트 수를 가지는 병렬 데이터를 전송을 효율적으로 보내기 위하여, 데이터의 트랜지션(transition) 수를 줄이는 버스 인버트 코딩(bus invert coding), 그레이 코딩(gray coding), T0 코딩 등과 같은 버스 코딩 방법이 많이 사용되어져 왔다. One of the countermeasures is that bus invert coding, gray coding, and T0 coding reduce the number of transitions of data in order to efficiently transmit transmission of parallel data having a large number of bits in the past. Bus coding methods such as the above have been used a lot.

또 다른 관점으로, 많은 비트 수를 가지는 병렬 데이터를 전송하는데 있어서 소모되는 와이어 링크 자원을 줄이기 위하여 병렬 데이터를 시분할하여 직렬 데이터로 변환하여 보내는 버스 직렬화 기법 역시 쓰여지고 있다. In another aspect, a bus serialization technique is also used in which time-splitting parallel data is converted to serial data in order to reduce wire link resources consumed in transmitting a large number of bits of parallel data.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병렬 데이터를 직렬화하는 과정에서의 트랜지션 수를 줄이는 코딩 방법을 포함한 데이터 송수신 장치를 제안하여, 직렬화와 저전력 소모를 동시에 실현하여 효율적인 데이터 전송을 가능하게 하는 데이터 송수신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refore,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apparatus including a coding method for reducing the number of transitions in the process of serializing parallel data, thereby enabling efficient data transmission by simultaneously realizing serialization and low power consump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병렬데이터를 직렬화하여 전송하는 트랜스미터와, 직렬화된 데이터를 전송하는 직렬링크부와, 직렬화된 데이터를 병렬데이터로 변환하는 리시버로 이루어진 데이터 송수신장치에 있어서, 상기 트랜스미터는 병렬 데이터의 MSB가 0인 경우에는 LSB()로부터 병렬 데이터의 값만큼 1을 가지도록 하고, MSB가 1인 경우에는 LSB로부터 MSB를 제외한 병렬 데이터의 값만큼 0을 가지도록 함으로써 데이터 트랜지션 수를 0이나 1이 되도록 트랜지션 코딩하는 인코딩부를 포함하고, 상기 리시버는 상기 트랜지션 코딩된 데이터의 MSB가 0인 경우는 코딩된 데이터에서 1의 개수를 더하고, MSB가 1인 경우는 코딩된 데이터에서 1의 개수를 더한 수를 2의 보수에서 마이너스(-)를 취함으로써 디코딩하는 디코딩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transmitter for serializing and transmitting parallel data, a serial link unit for transmitting serialized data, and a receiver for converting serialized data into parallel data. When the MSB of the parallel data is 0, the transmitter has 1 as the parallel data value from LSB (), and when the MSB is 1, the transmitter has 0 as the parallel data value except the MSB from the LSB. And an encoding unit for transition coding to be 0 or 1, wherein the receiver adds 1 to the coded data when the MSB of the transition coded data is 0, and adds 1 to the coded data when the MSB is 1 And a decoding unit that decodes the sum of the number of times by taking a minus (-) in two's complement. The.

상기 트랜스미터는 상기 인코딩부에 의하여 코딩된 데이터가 0에서 1로 변할 때 상기 코딩된 데이터가 입력되어 직렬변환되는 NMOS 다이내믹 로직과, 코딩된 데 이터가 1에서 0으로 변할 때 상기 코딩된 데이터가 입력되어 직렬변환되는 PMOS 다이내믹 로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transmitter may include NMOS dynamic logic in which the coded data is input and serialized when the data coded by the encoding unit is changed from 0 to 1, and the coded data is input when the coded data is changed from 1 to 0. And may further include PMOS dynamic logic that is serialized.

상기 디코딩부는 코딩된 직렬데이터의 1의 개수를 계산하기 위하여 복수의 전가산기(FULL ADDER) 및 반가산기(HALF ADDER)로 구성된 CSA(CARRY SAVE ADDER)를 포함할 수 있다.The decoding unit may include a CSA (CARRY SAVE ADDER) configured of a plurality of full adders and a half adder to calculate the number of 1s of coded serial data.

또한, 병렬데이터를 직렬데이터로 변환하여 송수신하는 데이터 송수신 방법에 있어서, 직렬화하기 전에 병렬 데이터의 MSB가 0인 경우에는 LSB로부터 병렬 데이터의 값만큼 1을 가지도록 하고, MSB가 1인 경우에는 LSB로부터 MSB를 제외한 병렬 데이터의 값만큼 0을 가지도록 함으로써 트랜지션수를 0이나 1이 되도록 트랜지션 코딩하여 전송하고, 직렬데이터를 수신하여 병렬화한 후에 상기 트랜지션 코딩된 데이터의 MSB가 0인 경우는 코딩된 데이터에서 1의 개수를 더하고, MSB가 1인 경우는 코딩된 데이터에서 1의 개수를 더한 수를 2의 보수에서 마이너스(-)를 취함으로써 디코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method of converting parallel data into serial data and transmitting / receiving, before serialization, if the MSB of parallel data is 0, the LSB has 1 as much as the parallel data value, and if the MSB is 1, the LSB. Transition coded the number of transitions to be 0 or 1 by having a value equal to 0 of parallel data except for MSB, and after receiving and parallelizing serial data, the MSB of the transition coded data is coded. When the number of 1s is added to the data and the MSB is 1, it is preferable to decode the number obtained by adding the number of 1s in the coded data by taking a minus (−) in two's complement.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송수신장치 및 방법에 의하면, N비트의 병렬 데이터를 직렬화하여 전송할 때 데이터 트랜지션(transistion)이 한 번만 일어 일어나도록 코딩하여줌으로써, 데이터 전송 시 발생하는 데이터 트랜지션의 수를 줄여 저전력 데이터 전송을 가능하게 하며, 데이터 직렬화 효과로 데이터 전송에 필요한 링크의 개수를 줄이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apparatus and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by coding so that the data transition occurs only once when serializing and transmitting N-bit parallel data, the number of data transitions generated during data transmission In other words, low power data transmission is possible, and the data serialization effect reduces the number of links required for data transmission.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데이터 송수신 장치 및 방법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data transmitting and receiving device and method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송수신장치의 전체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N비트 데이터에 대한 OST 코딩 테이블을 나타낸 표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송수신장치의 트랜스미터를 구성하는 NMOS 다이내믹 로직을 나타낸 회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송수신장치의 트랜스미터를 구성하는 PMOS 다이내믹 로직을 나타낸 회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송수신장치의 트랜스미터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송수신장치의 디코딩부의 구성을 나타낸 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table showing an OST coding table for N-bit dat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ircuit diagram illustrating an NMOS dynamic logic constituting a transmitter of a data transceiver, and FIG. 4 is a circuit diagram illustrating PMOS dynamic logic constituting a transmitter of a data transcei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diagram of a data transcei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transmitter, and FIG. 6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decoding unit of a data transcei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송수신장치는 병렬 데이터를 보내는 트랜스미터(100)의 인코딩부(110)와 직렬화된 데이터를 싣는 직렬 링크 부(200) 그리고 직렬화된 데이터를 다시 병렬화 시키는 리시버(300)의 디코딩 부(310)로 이루어져 있다. As shown in FIG. 1, the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rial link unit 200 carrying serialized data with an encoding unit 110 of a transmitter 100 for sending parallel data and a receiver for parallelizing serialized data again. And a decoding unit 310 of 300.

여기서, 상기 트랜스미터(100)는 상기 인코딩부(110)에 의하여 코딩된 데이터가 0에서 1로 변할 때 상기 코딩된 데이터가 입력되어 직렬변환되는 NMOS 다이내믹 로직과, 코딩된 데이터가 1에서 0으로 변할 때 상기 코딩된 데이터가 입력되어 직렬변환되는 PMOS 다이내믹 로직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도 3 및 도 4 참조).Here, the transmitter 100 may include NMOS dynamic logic in which the coded data is input and serialized when the data coded by the encoding unit 110 changes from 0 to 1, and the coded data may change from 1 to 0. And further includes PMOS dynamic logic to input and serialize the coded data (see FIGS. 3 and 4).

또한, 상기 리시버(300)를 구성하는 디코딩 부(310)는 코딩된 직렬데이터의 1의 개수를 계산하기 위하여 복수의 전가산기(Full Adder) 및 반가산기(Half Adder)로 구성된 CSA(Carry Save Adder)를 포함하여 직렬데이터를 병렬데이터로 변환하여 주게 된다(도 6 참조).In addition, the decoding unit 310 constituting the receiver 300 is a Carry Save Adder (CSA)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full adders and half adders to calculate the number of 1s of coded serial data. It converts the serial data into parallel data including (see FIG. 6).

한편, N개의 병렬 데이터를 직렬화 시킨다고 했을 때 가능한 0과 1의 조합은 모두 2N경우가 있으며, 이 때 직렬화된 데이터의 트랜지션 수의 기댓값은 0.5*N 이 된다.(어떤 데이터 비트가 직렬화 된 후 그 다음 비트가 직렬화 되었을 때 그 값이 유지될 확률이 0.5, 변할 확률이 0.5이므로 기댓값이 0.5*N이 됨을 쉽게 알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ssuming that N parallel data is serialized, the possible combinations of 0 and 1 may be 2 N , where the expected value of the number of transitions of the serialized data is 0.5 * N. When the next bit is serialized, it is easy to see that the expected value is 0.5 * N because the probability that the value will be maintained is 0.5 and the probability that it will change is 0.5.)

따라서, 직렬화 된 데이터에서의 트랜지션 수를 줄이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트랜지션 수가 0이거나 1이 되도록 하는 코딩하며, 이하 이를 OST(Only Single Transition) 코딩이라 명명하기로 한다. Accordingly, in order to reduce the number of transitions in the serialized data, the present invention codes the number of transitions to be 0 or 1, and hereinafter referred to as OST (Only Single Transition) coding.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N비트 데이터에 대한 OST 코딩 테이블을 설명하자면, 트랜지션의 숫자가 0이거나 1이 되기 위해서는, 만약 0으로 직렬화가 시작된 경우에 단 한 번 1로 트랜지션 할 수 있는 기회가 있는 것이다. 즉, 0000, 0001, 0011, 0111 와 같이 한 번 1로 트랜지션 하면, 다음은 계속 1을 유지한다. As shown in FIG. 2, when describing the OST coding table for N-bit dat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for the number of transitions to be 0 or 1, only once when serialization starts with 0 There is an opportunity to transition to. That is, if 0000, 0001, 0011, and 0111 are transitioned to 1 once, the next keeps 1.

이와 반대로, 직렬화가 1로 시작되었을 경우는 1111, 1110, 1100, 1000 과 같이 한 번 0으로 트랜지션 하게 된다. 따라서 도 2의 테이블대로 코딩을 진행한 결과로 얻은 OST 코딩 값은 어느 경우에서나 0번 또는 1번 트랜지션 하게 된다. On the contrary, when serialization starts with 1, transitions to 0 are performed once, such as 1111, 1110, 1100, and 1000. Therefore, the OST coding value obtained as a result of the coding according to the table of FIG. 2 is transitioned 0 or 1 in any case.

N 비트 데이터 MSB(Most Significant Bit) 값이 0인 경우에는, OST 코딩을 거친 후 얻은 값은 0으로 시작해서 1로 끝나게 되고(입력이 00...00인 경우는 00..00로 시작 끝이 0으로 동일), LSB(Least Significant Bit)로부터 1의 개수가 N 비트 데이터의 값과 같게 된다. When the N-bit data Most Significant Bit (MSB) value is 0, the value obtained after OST coding starts with 0 and ends with 1 (if the input is 00 ... 00, it starts with 00..00 Equal to 0), the number of 1s from the Least Significant Bit (LSB) is equal to the value of the N bit data.

반대로, N 비트 데이터 MSB 값이 1인 경우는 OST 코딩 된 값은 1로 시작해서 0으로 끝나게 되고 (입력이 10...00인 경우는 11...11 시작, 끝이 1로 동일) LSB로부터 0의 개수가 N 비트에서 싸인 비트인 MSB를 제외한 N-1 비트의 값과 같아진다.(또는 MSB로부터 1의 개수가 2의 보수에서의 N비트 데이터 절대값과 같다.) Conversely, if the N-bit data MSB value is 1, the OST coded value starts with 1 and ends with 0 (if the input is 10 ... 00, 11 ... 11 starts, the end is equal to 1) LSB The number of 0s is equal to the value of N-1 bits except for the MSB, which is a bit wrapped in N bits (or the number of 1s from the MSB is equal to the absolute value of N-bit data in two's complement).

이러한 방식으로 OST 코딩을 진행하면, OST 코딩 된 수의 비트수가 M이라고 하였을 때, 가능한 조합의 수는 모두 2*M개가 된다. 따라서 N비트의 수가 나타낼 수 있는 모든 조합의 가지수인 2N개를 모두 표현하기 위해서는 N과 M 사이에 다음과 같은 식(1), (2)가 성립되어야 한다.If OST coding is performed in this manner, the number of possible combinations is 2 * M, assuming that the number of bits of the OST coded number is M. Therefore, in order to express 2 N , which is the number of all combinations that can be represented by the number of N bits, the following equations (1) and (2) must be established between N and M.

2N = 2*M (1)2 N = 2 * M (1)

M = 2N-1 (2)M = 2N-1 (2)

즉, OST 코딩을 거치면 비트 수가 늘어나게 된다. 즉, N=3일 때 M=4가 되고, N=4일 때는 M=8이 된다. That is, the number of bits increases through OST coding. That is, when N = 3, M = 4, and when N = 4, M = 8.

상기의 설명을 더욱 자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N 비트의 데이터를 그냥 보낼 때와 OST 코딩을 거친 후 보낼 때 평균 트랜지션 횟수를 구해보도록 한다.To explain the above description in more detail, the average number of transitions is obtained when sending N-bit data and sending it after OST coding.

우선 위에서도 언급하였듯 N 비트 데이터를 그냥 보낼 때 트랜지션 횟수의 기댓값은 0.5*N이 된다. First of all, as mentioned above, the expected number of transitions when sending N-bit data is 0.5 * N.

OST 코딩의 경우는 N:1 코딩하였을 때, 트랜지션이 0번인 경우가 2번, 1번인 경우가 2N-2 번이 된다. 즉, 기댓값은 0*(2/2N) + 1*(2N-2)/2N = 1 - 1/2N-1 이 된다. 이 상태에서 다음 N:1 OST 코딩까지 고려하면, 다음 코딩 값이 0인지 1인지는 이번 코딩과 독립된 것이기 때문에 0*0.5 + 1*0.5 = 0.5의 트랜지션 기댓값을 가진다. 따라서 OST 코딩의 기댓값은(3/2 - 1/2N-1) 가 된다. In the case of OST coding, when the N: 1 coding is performed, the transition is 0 when the transition is 0 and the 2 is when the transition is 2N . That is, the expected value is 0 * (2/2 N ) + 1 * (2 N -2) / 2 N = 1-1/2 N-1 . Considering the next N: 1 OST coding in this state, the next coding value is 0 or 1, so the transition code is 0 * 0.5 + 1 * 0.5 = 0.5 because it is independent of this coding. Therefore, the expected value of OST coding is (3/2-1/2 N-1 ) Becomes

보통 전송과 OST 코딩 후 전송의 트랜지션 수의 비를 구하면, 아래 식 (3)If the ratio of the number of transitions of a normal transmission and a transmission after OST coding is obtained, Equation (3)

Figure 112008002410009-pat00001
(3)
Figure 112008002410009-pat00001
(3)

과 같이 주어진다. 즉, N이 충분히 커지면 OST 코딩을 거친 후 트랜지션의 기댓값은 1.5로 수렴되는 반면, 보통의 경우는 0.5*N으로 돼서 그 비율은 0에 가까워지게 된다. Is given by In other words, when N becomes large enough, the expected value of the transition after OST coding converges to 1.5, while in general, it becomes 0.5 * N, and the ratio approaches zero.

하지만, OST 코딩을 거치면, 비트수가 2N- 1으로 커지기 때문에 큰 N에 대해 사용하기는 힘들다. 다음 표[1]은 주요 N에 대하여 OST 코딩을 적용하였을 때 결과 의 비트수 M과 트랜지션 감소 정도를 %로 정리한 표이다.However, after OST coding, it is difficult to use for large N because the number of bits increases to 2 N- 1 . The following table [1] summarizes the number of bits M and the degree of transition reduction in% when OST coding is applied to main N.

[표1]Table 1

N (직렬화할 데이터 길이)N (length of data to serialize) M(OST 코딩 후 데이터 길이)M (data length after OST coding) 트랜지션 감소 (%)Transition Reduction (%) 33 44 -16.7 %-16.7% 44 88 -31.25 %-31.25% 55 1616 -42.5 %-42.5%

N이 커질수록 M의 값이 2배로 커지기 때문에 N=6이상은 실제 구현이 어려운 것을 알 수 있다. 하지만 N=4 정도일 때에도 트랜지션의 숫자가 31.25%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고, 이것은 4:1 직렬화를 진행하여 사용되는 와이어 자원을 1/4로 줄이면서, 동시에 데이터 전송 시 링크에서 소모되는 파워 역시 31.25% 감소시킬 수 있는 획기적인 효과가 있게 된다.As N increases, M becomes twice as large, and it can be seen that actual implementation of N = 6 or more is difficult. However, even when N = 4, we can see that the number of transitions is reduced by 31.25%, which reduces the wire resources used by 1/4 by serializing 4: 1 serialization, while simultaneously consuming 31.25 of the power consumed by the link during data transmission. There is a significant effect that can be reduced by%.

이하에서는, 위와 같이 링크 자원의 수와 소모되는 전력을 동시에 줄일 수 있는 OST 코딩을 구현하기 위한 트랜스미터와 리시버를 구성하는 구현회로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an implementation circuit for configuring a transmitter and a receiver for implementing OST coding that can simultaneously reduce the number of link resources and power consumption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일반적으로 주로 전송하는 병렬 데이터의 비트 위드스(bit width)는 8, 16, 32 등이므로, 이 수들을 나누기 좋은 N=4인 경우에 대한 실시 예를 고려하기로 한다. In general, since the bit widths of the parallel data to be mainly transmitted are 8, 16, 32, and the like, an embodiment of the case where N = 4 which is good to divide these numbers will be considered.

일단 상기에서 설명한 도 2를 참조하여, N이 4인 경우에서 OST 코딩 테이블은 다음 표[2]와 같다.Referring to FIG. 2 described above, in the case where N is 4, the OST coding table is shown in the following table [2].

[표2][Table 2]

N([D3:D0])N ([D3: D0]) OST 코딩([O7:O0]OST coding ([O7: O0] 00000000 0000000000000000 00010001 0000000100000001 00100010 0000001100000011 00110011 0000011100000111 01000100 0000111100001111 01010101 0001111100011111 01100110 0011111100111111 01110111 0111111101111111 10001000 1111111111111111 10011001 1111111011111110 10101010 1111110011111100 10111011 1111100011111000 11001100 1111000011110000 11011101 1110000011100000 11101110 1100000011000000 11111111 1000000010000000

따라서 OST 코딩 데이터의 각 비트는 입력 데이터로부터 간단한 조합회로로 얻을 수 있으며, 그것은 다음과 같다. (입력 데이터 D3, D2, D1, D0 -> OST 데이터 O7, O6, O5, O4, O3, O2, O1, O0 / D3,O7-MSB / D0,O0-LSB)Thus, each bit of OST coded data can be obtained from the input data in a simple combination circuit, as follows. (Input data D3, D2, D1, D0-> OST data O7, O6, O5, O4, O3, O2, O1, O0 / D3, O7-MSB / D0, O0-LSB)

O7 = D3O7 = D3

O6 = D3

Figure 112008002410009-pat00002
(D2 · D1 · D0)O6 = D3
Figure 112008002410009-pat00002
(D2D1D0)

O5 = D3

Figure 112008002410009-pat00003
(D2 · D1)O5 = D3
Figure 112008002410009-pat00003
(D2D1)

O4 = D3

Figure 112008002410009-pat00004
(D2 · (D1 + D0))O4 = D3
Figure 112008002410009-pat00004
(D2 (D1 + D0))

O3 = D3

Figure 112008002410009-pat00005
D2O3 = D3
Figure 112008002410009-pat00005
D2

O2 = D3

Figure 112008002410009-pat00006
(D2 + D1 · D0)O2 = D3
Figure 112008002410009-pat00006
(D2 + D1D0)

O1 = D3

Figure 112008002410009-pat00007
(D2 + D1)O1 = D3
Figure 112008002410009-pat00007
(D2 + D1)

O0 = D3

Figure 112008002410009-pat00008
(D2 + D1 + D0)O0 = D3
Figure 112008002410009-pat00008
(D2 + D1 + D0)

OST 코딩 후에는 이것을 직렬화된 데이터로 바꾸어야 한다. OST 코딩이 한 번의 트랜지션만 일어나는 것에 착안하여, 빠른 동작이 가능한 다이내믹 회로를 이용할 수 있다. After OST coding, you need to replace this with serialized data. By focusing on OST coding taking only one transition, we can use a dynamic circuit that enables fast opera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송수신장치의 트랜스미터를 구성하는 NMOS 다이내믹 로직을 나타낸 회로로서, MSB가 0인 경우, 즉, OST 코딩된 데이터가 0->1로 한 번 변하는 경우에 대한 직렬 변환 회로를 보여주고 있다. 3 is a circuit diagram illustrating an NMOS dynamic logic constituting a transmitter of a data transcei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MSB is 0, that is, a serial conversion circuit for a case where an OST coded data changes from 0 to 1 once. Is showing.

각 OST 코딩 데이터 비트는 일정 시간 간격으로 0->1로 활성화되는 STR 신호들에 의해, MSB부터 LSB로 일정 시간 간격으로 다이내믹 회로의 NOR 연결된 트랜지스터(120)로 들어간다. 즉, 어떤 OST 코딩 비트가 1이면, 프리차지(pre-charge)된 노드는 0으로 떨어지게 되고, 그 이후에 들어오는 입력에는 상관없이 계속 0이다. Each OST coded data bit enters the NOR-connected transistor 120 of the dynamic circuit at regular time intervals from MSB to LSB by STR signals activated 0-> 1 at regular time intervals. That is, if any OST coding bit is 1, the precharged node will drop to 0, and continue to be 0 regardless of incoming input thereafter.

예를 들면, OST 코딩 입력이 STR 신호와 AND 게이트(130)를 거쳐 일정시간 간격으로 0,0,1,1 으로 들어왔다면, 프리차지 되었던 노드는 처음으로 1이 입력된 시점부터 0이 되어, 1->1->0->0으로 변하게 된다. For example, if the OST coding input enters 0,0,1,1 at regular time intervals through the STR signal and the AND gate 130, the node that was precharged becomes 0 from the first time 1 is input. 1-> 1-> 0-> 0.

이 신호를 인버팅하여 직렬 변환 된 출력은 시간에 따라 0->0->1->1이 될 것이고, 이것은 원하는 출력 신호가 된다. 즉, 1로 프리챠지된 노드를 한 번만 0으로 잡아당길 수 있는 다이내믹 로직을 이용하여, 0->1로 한번만 변하는 OST 코딩을 구현한 것이다. By inverting this signal, the serialized output will be 0-> 0-> 1-> 1 over time, which is the desired output signal. In other words, the OST coding is changed only once from 0 to> 1 using dynamic logic that can pull a node precharged with 1 to 0 only once.

만약 OST 코딩이 되지 않아 입력이 0,1,0,1 과 같이 변한다면, 이것은 다이내믹 회로로 구현할 수가 없게 된다.If the input changes to 0,1,0,1 because of no OST coding, it cannot be implemented with dynamic circuits.

그러나, MSB가 1인 경우는 처음으로 0이 나오는 OST 코딩 비트 시점을 찾아야 하기 때문에 회로가 도 3과는 보수(Complementary)적으로 이루어 져야 한다. However, if the MSB is 1, the circuit must be complementary with FIG.

이는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도 3이 1로 프리챠지 되고, OST 코딩 비트 중 첫 번 째 1이 0으로 출력을 당기는 NMOS 다이내믹 로직인 반면, 도 4는 0으로 프리챠지 되고, OST 코딩 비트 중 첫 번 째 0이 1로 출력을 당기는 PMOS 다이내믹 로직으로 구성된 것을 알 수 있다.This is NMOS dynamic logic where FIG. 3 is precharged to 1 and the first 1 of the OST coding bits pulls the output to 0, as shown in FIG. 4, while FIG. 4 is precharged to 0 and the OST coding bits. You can see that the first zero consists of PMOS dynamic logic that pulls the output to 1.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송수신장치의 트랜스미터 전체를 구성하기 위해서는 위의 도 3, 도 4 회로 모두가 필요로 되며, MSB 비트에 의해 최종 출력이 결정된다. As shown in FIG. 5, in order to configure the entire transmitter of the data transcei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oth the above-described circuits of FIGS. 3 and 4 are required, and the final output is determined by the MSB bit.

여기서, 트랜스미터는 도3 및 도4에 나타난 NMOS 다이내믹 로직(160) 또는 PMOS 다이내믹 로직(170)의 출력값을 MSB신호에 의하여 동작이 제어되는 멀티플렉서(MUX., 180)에 의하여 선택하여주게 된다.Here, the transmitter selects an output value of the NMOS dynamic logic 160 or the PMOS dynamic logic 170 shown in FIGS. 3 and 4 by a multiplexer (MUX.) 180 whose operation is controlled by the MSB signal.

또한, 상기 선택된 출력값을 시분할하고 프리차지 구간에서의 트랜지션을 막기 위하여 래치(Latch)회로(190)를 이용하여 직렬데이터를 전송하여주게 된다. In addition, serial data is transmitted using a latch circuit 190 to time division the selected output value and prevent a transition in the precharge period.

한편, 상기 트랜스미터에서 전송된 직렬 데이터는 리시버(receiver, 300)에서 다시 병렬 변환 된다. On the other hand, the serial data transmitted from the transmitter is converted again in parallel in the receiver (receiver, 300).

병렬 변환은 직렬화 데이터와 같이 전송된 스트로브 신호 STR를 이용하는 것으로서, 직렬 변환 회로에서 STR 신호를 기준으로 STR1, STR2, ..., STR7, STR8 신 호가 차례로 활성화되고, 이에 맞추어 OST 코딩된 O7, O6, ..., O1, O0 신호가 전송이 되기 때문에, 병렬 변환 회로에서 역시 전송된 STR 신호만 있으면, O7, O6, ..., O1, O0 신호의 타이밍 정보를 알려 주는 STR1, STR2, ..., STR7, STR8 신호를 얻어낼 수 있다. Parallel conversion uses the strobe signal STR transmitted together with the serialized data. In the serial conversion circuit, signals STR1, STR2, ..., STR7, and STR8 are sequentially activated based on the STR signal, and accordingly, OST coded O7 and O6. Since, ..., O1, O0 signals are transmitted, STR1, STR2, which informs timing information of O7, O6, ..., O1, O0 signals as long as the STR signal is also transmitted in the parallel conversion circuit. You can obtain the .., STR7, and STR8 signals.

이 스트로브 신호들을 이용하여 직렬화된 데이터에서 병렬 데이터 O7, O6, ..., O1, O0를 얻어낼 수 있다. 병렬화된 OST 코딩 신호는 다시 원래 신호로 디코딩되어야 하며, 이 과정은 OST 코딩 신호가 가지는 1의 개수를 이용한다. The strobe signals can be used to obtain parallel data O7, O6, ..., O1, O0 from the serialized data. The parallelized OST coded signal must be decoded back into the original signal, and this process uses the number of 1s of the OST coded signal.

상기의 코딩 과정에서 보았듯, MSB가 0일 때 원 데이터는 OST 코딩 데이터에서 1의 개수와 같다. 반대로 MSB가 1일 때는 원 데이터는 OST 코딩 데이터에서 1의 개수에 (2의 보수 숫자 체계에서) - 를 붙인 것과 같다. 즉, OST 코딩 데이터 1의 개수를 나타내는 숫자를 인버팅 한 후 1을 더한 것과 같게 된다. As seen in the above coding process, when the MSB is 0, the original data is equal to the number of 1s in the OST coding data. In contrast, when the MSB is 1, the original data is the same as adding-(in the two's complement number system) to the number of 1s in the OST coded data. That is, after inverting a number indicating the number of OST-coded data 1, it becomes equal to 1 plus.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송수신장치의 디코딩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OST 코딩 데이터가 가지는 1의 개수를 세기 위해 전가산기(Full adder, 320)와 반가산기(Half adder, 330)가 CSA(Carry Save Adder, 340)형태로 이용된다.6 is a block diagram of a decoding unit of a data transcei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full adder 320 and a half adder 330 are used to count the number of 1s of the OST coded data. Adder, 340).

즉, CSA(340)를 통해서 세어진 1의 개수를 이용하여 트랜지션 코딩된 데이터의 MSB가 0인 경우는 코딩된 데이터에서 1의 개수를 더하고, MSB가 1인 경우는 코딩된 데이터에서 1의 개수를 더한 수를 2의 보수에서 마이너스(-)를 취함으로써, 원 데이터인 병렬데이터로 변환하여 출력하여주게 되는 것이다.That is, when the MSB of the transition coded data is 0 using the number of 1s counted through the CSA 340, the number of 1s is added to the coded data, and when the MSB is 1, the number of 1s in the coded data. By taking the number plus minus two's complement, it converts the original data into parallel data and outputs it.

또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데이터 송수신 장치에 의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 는 방법은 우선, 직렬화하기 전에 병렬 데이터의 MSB가 0인 경우에는 LSB로부터 병렬 데이터의 값만큼 1을 가지도록 하고, MSB가 1인 경우에는 LSB로부터 MSB를 제외한 병렬 데이터의 값만큼 0을 가지도록 함으로써 트랜지션수를 0이나 1이 되도록 트랜지션 코딩하여 전송하여준다.In addition, the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by the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device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first, if the MSB of the parallel data is 0 before serialization, has 1 as the value of the parallel data from the LSB, and if the MSB is 1, Transition coding is performed so that the number of transitions is 0 or 1 by having 0 as parallel data values except for the MSB from the LSB.

그리고, 직렬데이터를 수신하여 병렬화한 후에 상기 트랜지션 코딩된 데이터의 MSB가 0인 경우는 코딩된 데이터에서 1의 개수를 더하고, MSB가 1인 경우는 코딩된 데이터에서 1의 개수를 더한 수를 2의 보수에서 마이너스(-)를 취함으로써 디코딩하여준다.After receiving and parallelizing serial data, when the MSB of the transition coded data is 0, the number of 1s is added to the coded data, and when the MSB is 1, the number of 1s is added to the coded data. Decode by taking minus (-) from the complement of.

따라서, 이와 같이 병렬 데이터를 직렬화하는 과정에서의 트랜지션 수를 줄이는 코딩 방법을 제안하여, 직렬화와 저전력 소모를 동시에 실현하여 효율적인 데이터 전송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coding method that reduces the number of transitions in the serial data serialization process, thereby realizing serialization and low power consumption, thereby enabling efficient data transmission.

이상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As described above,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Therefore, the exemplary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to be understood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in all respect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following claims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equivalent concept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송수신장치의 전체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N비트 데이터에 대한 OST 코딩 테이블을 나타낸 표, 2 is a table showing an OST coding table for N-bit dat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송수신장치의 트랜스미터를 구성하는 NMOS 다이내믹 로직을 나타낸 회로도, 3 is a circuit diagram showing an NMOS dynamic logic constituting a transmitter of a data transmitting and receiv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송수신장치의 트랜스미터를 구성하는 PMOS 다이내믹 로직을 나타낸 회로도, 4 is a circuit diagram showing PMOS dynamic logic constituting a transmitter of a data transmitting and receiv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송수신장치의 트랜스미터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5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transmitter of a data transmitting and receiv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송수신장치의 디코딩부의 구성을 나타낸 도이다. 6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decoding unit of a data transmitting and receiv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4)

병렬데이터를 직렬화하여 전송하는 트랜스미터와, 직렬화된 데이터를 전송하는 직렬링크부와, 직렬화된 데이터를 병렬데이터로 변환하는 리시버로 이루어진 데이터 송수신장치에 있어서,In the data transmitting and receiving device comprising a transmitter for serializing and transmitting parallel data, a serial link unit for transmitting serialized data, and a receiver for converting serialized data into parallel data, 상기 트랜스미터는 병렬 데이터의 MSB가 0인 경우에는 LSB로부터 병렬 데이터의 값만큼 1을 가지도록 하고, MSB가 1인 경우에는 LSB로부터 MSB를 제외한 병렬 데이터의 값만큼 0을 가지도록 함으로써 데이터 트랜지션수를 0이나 1이 되도록 트랜지션 코딩하는 인코딩부를 포함하고,When the MSB of the parallel data is 0, the transmitter has 1 as the parallel data value from the LSB. When the MSB is 1, the transmitter has 0 as the parallel data value excluding the MSB from the LSB. An encoding unit for transition coding to be 0 or 1, 상기 리시버는 상기 트랜지션 코딩된 데이터의 MSB가 0인 경우는 코딩된 데이터에서 1의 개수를 더하고, MSB가 1인 경우는 코딩된 데이터에서 1의 개수를 더한 수를 2의 보수에서 마이너스(-)를 취함으로써 디코딩하는 디코딩부를 포함하며,The receiver adds the number of 1s in the coded data when the MSB of the transition coded data is 0, and adds the number of 1s in the coded data when the MSB is 1 and adds the number of 1s in the two's complement. A decoding unit for decoding by taking 상기 트랜스미터는 상기 인코딩부에 의하여 코딩된 데이터가 0에서 1로 변할 때 상기 코딩된 데이터가 입력되어 직렬변환되는 NMOS 다이내믹 로직과, 코딩된 데이터가 1에서 0으로 변할 때 상기 코딩된 데이터가 입력되어 직렬변환되는 PMOS 다이내믹 로직을 더 포함하는, 데이터 송수신 장치.The transmitter may include NMOS dynamic logic in which the coded data is input and serialized when the data coded by the encoding unit is changed from 0 to 1, and the coded data is input when the coded data is changed from 1 to 0. Further comprising PMOS dynamic logic to be serialized.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디코딩부는 코딩된 직렬데이터의 1의 개수 또는 그 보수를 계산하기 위하여 복수의 전가산기 및 반가산기로 구성된 CSA를 포함하는, 데이터 송수신장치.And the decoding unit comprises a CSA comprising a plurality of full adders and half adders to calculate the number of 1s or the complement of the coded serial data. 삭제delete
KR1020080003364A 2008-01-11 2008-01-11 Apparatus and method transmitting - receivering data KR10094617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3364A KR100946177B1 (en) 2008-01-11 2008-01-11 Apparatus and method transmitting - receivering data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3364A KR100946177B1 (en) 2008-01-11 2008-01-11 Apparatus and method transmitting - receivering data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7414A KR20090077414A (en) 2009-07-15
KR100946177B1 true KR100946177B1 (en) 2010-03-08

Family

ID=413359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3364A KR100946177B1 (en) 2008-01-11 2008-01-11 Apparatus and method transmitting - receivering data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6177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658643B2 (en) 2014-10-24 2017-05-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Data interface and data transmission method
US10432485B2 (en) 2016-12-15 2019-10-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data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70949A (en) * 2007-01-29 2008-08-01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receiving serial data in serial communication system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70949A (en) * 2007-01-29 2008-08-01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receiving serial data in serial communication system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658643B2 (en) 2014-10-24 2017-05-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Data interface and data transmission method
US10432485B2 (en) 2016-12-15 2019-10-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dat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7414A (en) 2009-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81755B2 (en) Multiple word data bus inversion
KR100936445B1 (en) High speed serializing-deserializing system and method
JPH0514420A (en) Serial signal transmitter
US8274311B2 (en) Data transmission system and method
KR100969748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receiving serial data in serial communication system and serial communication system thereof
US6606328B1 (en) Look ahead encoder/decoder architecture
US6489900B2 (en) Bus encoding/decoding apparatus and method
KR100946177B1 (en) Apparatus and method transmitting - receivering data
US7817068B2 (en) Low power serial link bus architecture
JP4956295B2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CN216119513U (en) Light emitting diode driver and light emitting diode driving apparatus
JP2008191792A (en) Data transmission device and data transfer device
JP2009527141A (en) Data communication method,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apparatus and system
JP2006528449A (en) Low voltage amplitude signal encoding method and apparatus
US9264155B2 (en) Apparatus and system for tracking data speed automatically
US7170431B2 (en) Data transmitting circuit and method based on differential value data encoding
CN113949388A (en) Coder-decoder and coding-decoding method for serializer/deserializer system
KR100574359B1 (en) Serial data transmitter - receiver and method thereof
JP2005286662A (en) Data transmission apparatus,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system, and data transmission method
KR20140004432A (en) Bus encoding device to minimize the switching and crosstalk delay
EP1439468A2 (en) Method and circuit system for the synchronous transmission of digital signals through a bus
Maragkoudaki et al. Energy-efficient encoding for high-speed serial interfaces
US9832010B1 (en) Signal processing device and signal processing method
KR101311617B1 (en) Method and apparatus of address bus coding/decoding for low-power very large scale integration system
KR20080064532A (en) The hybrid ternary encoding scheme to reduce both the transmission line and the wrapper circuit using the hybrid ternary encod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