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3963B1 - Image conference system - Google Patents

Image conference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3963B1
KR100943963B1 KR1020090088904A KR20090088904A KR100943963B1 KR 100943963 B1 KR100943963 B1 KR 100943963B1 KR 1020090088904 A KR1020090088904 A KR 1020090088904A KR 20090088904 A KR20090088904 A KR 20090088904A KR 100943963 B1 KR100943963 B1 KR 1009439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crophone
signal
speaker
video
k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890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조요환
Original Assignee
(주)하이엠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하이엠텍 filed Critical (주)하이엠텍
Priority to KR10200900889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3963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39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396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5Conference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3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sound input device, e.g. micropho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3Camer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PURPOSE: A video conference system for adding a microphone is provided to reduce a producing cost by increasing the number of microphones without additional installation of audio mixers. CONSTITUTION: A video conference system includes microphone devices, cameras and a video conference controller. The microphone device includes a microphone, the first amplifier, a signal sensor, a touch switch, a touch sensor, the second amplifier, a timing controller, a communicating unit, an MCU(Main Controller Unit) and a switch. The Camera is installed in different location and captures images of a designated person respectively. The video conference controller includes a key input unit(110), an audio processor(112), a video matrix(114), a conference room monitor(118), a main controller monitor(120), an MCU(122) and a memory(124).

Description

화상회의 시스템{IMAGE CONFERENCE SYSTEM}Video conferencing system {IMAGE CONFERENCE SYSTEM}

본 발명은 화상회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오디오 처리부와 비디오 처리부를 하나의 시스템으로 통합하고 발언자가 발언할 때 카메라가 발언자를 포커싱할 수 있도록 하며, 화상전환 시 싱크노이즈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고, 화상회의 도중 발언자의 음성신호가 미약할 경우 운영자가 마이크의 볼륨을 조절할 수 있는 화상회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ideoconferencing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integrate the audio processing unit and the video processing unit into one system, to enable the camera to focus the speaker when the speaker speaks, and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synchose during the video switching.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ideoconferencing system in which an operator can adjust the volume of a microphone when a speaker's voice signal is weak during a videoconference.

현재, 통신시스템이 발전함과 더불어 디지털 화상 데이터의 압축기술이 발전하여 먼 거리에 떨어져 있는 사람들이 모니터 화면에 나타난 화상을 보면서 회의를 할 수 있는 화상회의 시스템이 등장하게 되었다. 즉, 화상회의에 참석한 사람의 모습을 화상카메라로 촬영하여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한 후 엔코딩하여 전송채널을 통해 상대방측으로 송신하고, 수신단에서는 전송채널을 통해 상대방의 화상신호를 입력받아 디코딩한 후 단말기의 모니터에 출력함으로써 화상회의를 진행하는 것이다.이때, 화상회의에 참석한 사람, 즉 화자 앞에 놓여진 마이크에 음성이 입력되면 이 를 검출하여 화상카메라에 제어신호를 보내 미리 설정된 방향으로 화상카메라의 방향을 바꾸거나 화상카메라의 위치를 이동시켜 화자를 촬영하도록 되어 있다.Nowadays, with the development of communication system, the compression technology of digital video data has been developed, and the video conferencing system has appeared to allow people at a long distance to have a meeting while watching the image displayed on the monitor screen. In other words, the image of the person who attended the video conference is recorded by the video camera, converted into an electrical signal, encoded and transmitted to the other party through the transmission channel, and the receiving end receives and decodes the other party's video signal through the transmission channel. Video conference is performed by outputting to the monitor of the terminal. At this time, when a voice is inputted to the person who attended the video conference, that is, the microphone placed in front of the speaker, the video signal is detected and a control signal is sent to the video camera so that the video camera is moved in the preset direction. The speaker is photographed by changing the direction or moving the position of the image camera.

일반적으로 화상회의 시스템이란 원격지의 회의실 상호간을 화상과 음성으로 결합하여 각기 장소에서 회의를 진행하는 시스템이다. 최근 사회 경제활동의 광역화, 다양화에 맞추어 원격지와의 정보교환을 원활히 행하고, 의사결정의 신속화하기 위하여 화상회의 시스템이 요구되고 있다.In general, a video conference system is a system that conducts a meeting at each location by combining video and audio of conference rooms in remote locations. In recent years, video conferencing systems are required to facilitate the exchange of information with remote locations and to speed up decision making in accordance with the wider and diversified socio-economic activities.

화상회의 시스템은 기본적으로 각 회의실에 카메라, 모니터, 마이크, 스피커등을 설치하여 양자간을 쌍방향의 화상회선 및 음성회선으로 결합하고 있다.Video conference system basically installs cameras, monitors, microphones, speakers, etc. in each conference room and combines them into two-way video and audio lines.

도 1은 종래의 화상회의 시스템 블럭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conventional videoconferencing system.

복수의 발언자의 음성을 각각 입력하는 복수의 마이크(M1~M8)와,A plurality of microphones (M1 to M8) for inputting voices of a plurality of speakers, respectively,

상기 복수의 마이크(M1~M8)로부터 입력된 음성신호의 소리 방향 설정, 소리 크기 변경, 소리 신호의 음색 및 세기를 제어하는 오디오 믹서(10)와,An audio mixer 10 for controlling the sound direction of the voice signal input from the plurality of microphones M1 to M8, changing the sound volume, and controlling the tone and intensity of the sound signal;

복수의 발언자의 화상을 각각 촬영하는 복수의 카메라(CA1~CA4)와, With plural cameras CA1-CA4 which respectively photograph images of plural speakers,

상기 복수의 마이크(M1~M8) 중 온상태가 마이크의 위치에 해당하는 상기 복수의 카메라(CA1~CA4) 중 하나를 온시켜 상기 복수의 카메라(CA1~CA4)로부터 촬영된 화상신호를 처리하여 출력하는 비디오 메트릭스(12)와,By turning on one of the plurality of cameras CA1 to CA4 in which an on state of the plurality of microphones M1 to M8 corresponds to the position of the microphone, the image signals photographed from the plurality of cameras CA1 to CA4 are processed. Output video metrics 12,

상기 오디오 믹서(10)로부터 복수의 마이크(M1~M8) 중 하나의 마이크 온신호를 받아 해당하는 위치의 카메라 구동 제어신호를 상기 비디오 메트릭스(12)로 출력하고, 상기 오디오믹서(10)로부터 출력된 오디오 처리신호와 비디오 메트릭스(12)로부터 출력된 비디오 처리신호를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메인콘트롤러(14)와,Receives a microphone on signal of one of the plurality of microphones M1 to M8 from the audio mixer 10, and outputs a camera driving control signal of the corresponding position to the video matrix 12 and outputs from the audio mixer 10. A main controller 14 for controlling to transmit the processed audio processing signal and the video processing signal output from the video matrix 12;

상기 메인콘트롤러(14)의 제어에 의해 상기 오디오믹서(10)로부터 출력된 오디오 신호와 상기 비디오 메트릭스(12)로부터 출력된 비디오신호를 부호화하여 전송하는 비디오코덱(16)으로 구성되어 있다.The video codec 16 encodes and transmits the audio signal output from the audio mixer 10 and the video signal output from the video matrix 12 under the control of the main controller 14.

전원이 온되면 오디오 믹서(10)는 복수의 마이크(M1~M8)를 동작시켜 복수의 마이크(M1~M8)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검출하고 그 음성신호를 소정 레벨로 증폭하여 출력한다. 이때 오디오 믹서(10)는 자동모드와 수동모드로 설정할 수 있으며, 자동모드로 설정되어 있으면 복수의 마이크(M1~M8) 중 발언자가 회의를 하기 위해 발언을 하여 음성신호가 입력되는 마이크로부터 음성신호를 센싱하고 음성신호가 입력되는 마이크 감지신호를 메인콘트롤러(14)로 전송한다. 그러면 메인콘트롤러(14)는 복수의 카메라(CA1~CA4) 중 해당하는 카메라 구동 제어신호를 전송한다. 비디오 매트릭스(12)는 복수의 카메라(CA1~CA4) 중 음성신호가 입력된 마이크가 설치된 위치의 해당 카메라를 회전시켜 발언자의 화상을 촬영한다. 여기서 오디오믹서(10)는 마이크를 최대 8개까지 설치할 수 있도록 제작되어 있고 비디오 메트릭스(12)는 카메라를 최대 4개까지 설치할 수 있도록 제작되어 있다. 예를 들어 마이크가 8개가 설치되어 있다면 마이크(M1~M2)의 설치된 위치의 발언자의 화상은 카메라(CA1)가 촬영하고, 마이크(M3~M4)의 설치된 위치의 발언자의 화상은 카메라(CA2)가 촬영하며, 마이크(M5~M6)의 설치된 위치의 발언자의 화상은 카메라(CA3)가 촬영하고, 마이크(M7~M8)의 설치된 위치의 발언자의 화상은 카메라(CA4)가 촬영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마이크가 4개가 설치되어 있다면 카메라는 1개만 설치할 수도 있다. 이렇게 해당 카메라로부터 발언자의 화상을 촬영한 화상신호는 비디 오 메트릭스(12)로부터 화상처리되어 비디오 코덱(16)으로 전송된다. 비디오 코덱(16)은 메인콘트롤러(14)의 제어에 의해 오디오믹서(10)로부터 출력된 음성신호와 비디오 메트릭스(12)로부터 출력된 발언자의 화상신호를 부호화하여 인터넷망을 통해 전송한다. When the power is turned on, the audio mixer 10 operates the plurality of microphones M1 to M8 to detect voice signals input from the plurality of microphones M1 to M8, and amplifies the voice signals to a predetermined level and outputs the voice signals. At this time, the audio mixer 10 may be set to an automatic mode and a manual mode. If the automatic mixer is set to the automatic mode, a voice signal is inputted from a microphone in which a speaker speaks to make a conference among a plurality of microphones M1 to M8. Sensing and transmits a microphone detection signal to which the voice signal is input to the main controller (14). Then, the main controller 14 transmits a corresponding camera driving control signal among the plurality of cameras CA1 to CA4. The video matrix 12 rotates a corresponding camera at a position where a microphone to which a voice signal is input is installed among the plurality of cameras CA1 to CA4 to capture an image of a speaker. Here, the audio mixer 10 is manufactured to install up to eight microphones, and the video matrix 12 is manufactured to install up to four cameras. For example, if eight microphones are installed, the image of the speaker at the installed position of the microphones M1 to M2 is taken by the camera CA1, and the image of the speaker at the installed position of the microphones M3 to M4 is the camera CA2. The camera CA3 captures the image of the speaker at the installed position of the microphones M5 to M6, and the camera CA4 captures the image of the speaker at the installed position of the microphones M7 to M8. . And if you have four microphones, you can install just one camera. The image signal obtained by capturing the image of the speaker from the camera is image-processed from the video matrix 12 and transmitted to the video codec 16. The video codec 16 encodes an audio signal output from the audio mixer 10 and an image signal of a speaker output from the video matrix 12 under the control of the main controller 14 and transmits the encoded video signal through the Internet network.

그러나 원격회의가 필요없고 한 회의실 내에서 회의가 진행될 경우 수동모드로 설정하게 되어 발언자의 화상을 외부로 보낼 필요가 없기 때문에 설치되어 있는 카메라를 모두 오프시키거나 하나의 카메라만을 구동시켜 줌기능에 의해 회의실내 전체의 화상이 표시될 수 있도록 한다.However, if there is no need for a teleconference and a meeting is conducted in one conference room, it is set to manual mode and there is no need to send the speaker's image to the outside. Therefore, by turning off all installed cameras or driving only one camera The entire image in the conference room can be displayed.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화상회의 시스템은 오디오 믹서(10)와 비디오 매트릭스(12) 및 메인콘트롤러(14)가 개별적인 별도의 제품으로 각기 이루어져 있으므로, 오디오 믹서(10)와 비디오 매트릭스(12) 및 메인콘트롤러(14)를 각각 구매하여 화상회의 시스템을 제작하게 되고, 하나의 오디오믹서(10)에는 최대 8개의 마이크(M1~M8)를 장착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어 8개 이상의 마이크가 필요로 하는 경우 마이크 8개 당 하나의 오디오믹서를 추가로 설치하여야 하므로 제조비용이 높아지는 문제가 있었다.However, the conventional video conferencing system as described above has the audio mixer 10, the video matrix 12, and the main controller 14 as separate and separate products. Each controller 14 is purchased to produce a video conferencing system, and one audio mixer 10 is designed to be equipped with up to eight microphones (M1 to M8). Since one audio mixer must be installed for every eight microphones, manufacturing cost increases.

그리고 상기와 같은 종래의 화상회의 시스템은 화상회의 도중에 운영자가 화상회의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없기 때문에 화상회의 도중 발언자의 음성신호가 미약할 경우 마이크의 볼륨을 조절할 수 없어 상대방이 발언내용을 잘 듣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In the conventional video conferencing system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operator cannot monitor the video conferencing status during the video conferencing, when the speaker's voice signal is weak during the video conferencing, the volume of the microphone cannot be adjusted so that the other party cannot hear the contents well. There was a problem.

또한 종래의 화상회의 시스템은 마이크 온/오프 기능이 없어 발언자가 자신 의 마이크가 켜져 있는지 커져 있는지 확인할 수 없고, 발언자의 화상이 전환될 때마다 싱크노이즈(화면 튀는 현상: 화면이 오프상태처럼 순간흑색으로 변하거나 일시 찌지직거리는 화면상태)가 발생되어 회의참여자에게 눈의 피로감을 주고 불쾌감을 주는 문제가 있다. In addition, the conventional video conferencing system has no microphone on / off function, so the speaker cannot check whether the microphone is turned on or enlarged, and whenever the speaker's image is switched, the noise is generated. Or a temporary fluttering screen state) occurs, giving the participants a feeling of tiredness and discomfort.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오디오믹서 및 비디오 메트릭스와 메인콘트롤러를 일체형으로 통합하여 콤팩트하게 할 수 있고, 오디오믹서 추가설치 없이 발언자의 증가에 대응하여 마이크를 증설할 수 있어 제조비용을 현저히 절감할 수 있는 화상회의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tegrate the audio mixer and video matrix and the main controll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can be compactly integrated, and to increase the microphone in response to the increase in the speaker without the additional installation of the audio mixer to manufacture It is to provide a video conferencing system that can significantly reduce the cost.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화상회의 도중에 운영자가 화상회의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하여 화상회의 도중 발언자의 음성신호가 미약할 경우 운영자가 마이크의 볼륨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원격지의 상대방이 발언내용을 잘 듣을 수 있도록 하는 화상회의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nable the operator to monitor the status of the video conferencing during video conferencing, so that the operator can adjust the volume of the microphone when the speaker's voice signal is weak during the video conferencing, the remote party to listen to the contents well To provide a video conferencing system that allows.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마이크 온/오프 기능을 추가하여 발언자가 자신의 마이크가 켜져 있는지 커져 있는지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발언자의 마이크 외에 다른 마이크를 자동으로 오프시켜 주위 잡음을 제거하는 화상회의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dd a microphone on / off function so that a speaker can check whether his microphone is turned on or enlarged, and a video conferencing system that automatically turns off another microphone besides the speaker's microphone to remove ambient noise. In providing.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발언자의 화상이 전환될 때마다 싱크노이즈(화면 튀는 현상: 화면이 오프상태처럼 순간흑색으로 변하거나 일시 찌지직거리는 화면상태)를 방지하여 회의참여자에게 눈의 피로감과 불쾌감을 주지않는 화상회의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vent synchro noise (screen splashing: the screen turns black or temporarily flutters like an off state) whenever the speaker's image is switched, thereby causing eye fatigue and discomfort to the meeting participants. To provide a video conferencing system that does not giv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화상회의 시스템은,The video conferenc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음성신호를 입력하여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마이크(MIC)와, 상기 마이크(MIC)로부터 전기적신호로 변환된 음성신호를 증폭하는 제1 증폭기(AMP1)와, 상기 제1 증폭기(AMP1)로부터 증폭된 음성신호를 센싱하는 시그널센서(101)와, 마이크를 온/오프하기 위한 터치스위치(102)와, 상기 터치스위치(102)로부터 입력되는 터치신호를 센싱하는 터치센서(103)와, 상기 제1 증폭기(AMP1)로부터 출력되는 발언자의 음성신호를 2차증폭하여 출력하는 제2 증폭기(AMP2)와, 설정된 시간을 카운팅하는 타이밍 컨트롤부(108)와, 사용마이크 감지신호와 음성볼륨조절신호를 RS485통신방식으로 인터페이싱하는 RS485통신부(107)와, 상기 시그널센서(101)로부터 사용마이크 감지신호를 받아 상기 RS485통신부(107)로 출력되도록 하고, 상기 터치센서(103)으로부터 마이크 온/오프신호를 받아 해당 마이크 온/오프 상태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터치센서(103)로부터 마이크 온/오프신호가 감지될 시 스위칭 온/오프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RS485통신부(107)로부터 발언자 음성신호 볼륨조절신호를 받아 볼륨이득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마이크(MIC)로부터 음성신호가 설정시간동안 입력되지 않을 시 마이크 온/오프 표시 및 음성신호 차단을 위한 스위칭 오프신호를 출력하는 MCU(106)와, 상기 MCU(106)의 스위칭 온/오프 신호에 의해 온/오프되어 상기 제2 증폭기(AMP2)로부터 출력되는 발언자 음성신호를 출력하거나 차단하는 스위치(109)로 각각 이루어진 복수의 마이크장치와;A microphone (MIC) for inputting a voice signal and converting the signal into an electrical signal, a first amplifier (AMP1) for amplifying the voice signal converted from the microphone (MIC) into an electrical signal, and amplified from the first amplifier (AMP1) A signal sensor 101 for sensing a voice signal, a touch switch 102 for turning on / off a microphone, a touch sensor 103 for sensing a touch signal input from the touch switch 102, and the first The second amplifier AMP2 for amplifying and outputting the voice signal of the speaker output from the amplifier AMP1, the timing control unit 108 for counting the set time, the microphone detection signal and the voice volume control signal are RS485. RS485 communication unit 107 for interfacing with the communication method, and receives the use microphone detection signal from the signal sensor 101 to be output to the RS485 communication unit 107, and receives the microphone on / off signal from the touch sensor 103 year Controls to display the microphone on / off status, outputs a switching on / off signal when the microphone on / off signal is detected from the touch sensor 103, and outputs a speaker voice signal volume control signal from the RS485 communication unit 107. And a MCU 106 for outputting a volume gain control signal and outputting a microphone on / off indication and a switching off signal for blocking the voice signal when the voice signal is not input from the microphone for a predetermined time period. A plurality of microphone devices each composed of a switch 109 which is turned on / off by a switching on / off signal of 106 and outputs or cuts off a speaker voice signal output from the second amplifier AMP2;

서로 다른 위치에 설치되어 각각 지정된 복수의 발언자의 화상을 촬영하기 위한 복수의 카메라와; 및 A plurality of cameras installed at different positions and configured to capture images of a plurality of speakers each designated; And

마이크모드키, 업/다운키, 자동/수동모드 선택키, 회의모드선택키, 메모리키를 구비하는 키입력부(110)와, 복수의 마이크장치(MIC1~MICn)로부터 입력된 발언자 음성신호를 소정레벨로 증폭하여 출력하는 오디오 처리부(112)와, 소정의 제어신호에 복수의 카메라(CAM1~CAM4)를 선택 구동하여 복수의 카메라(CAM1~CAM4)의 채널이 선택된 발언자 화상신호를 받아 비디오 처리하여 출력하는 비디오 메트릭스(114)와, 회의실에 설치되어 상기 싱크제너레이터(116)로부터 출력된 발언자 화상신호를 표시하는 회의실용 모니터(118)와, 방송실에 설치되어 상기 싱크제너레이터(116)로부터 출력된 발언자 화상신호를 표시하는 메인콘트롤러 본체 모니터(120)와, 상기 키입력부(110)의 마이크모드키, 업/다운키, 자동/수동모드 선택키, 회의모드선택키, 메모리키 신호를 입력받아 마이크 수량 및 카메라 수량 설정과 마이크 자동/수동모드 설정하고, 자동모드로 설정될 시 복수의 마이크장치 중 온되는 마이크에 지정된 카메라를 구동시켜 화상을 전환하도록 제어하며, 자동모드로 설정될 시 온되어 있는 마이크로부터 음성신호가 설정된 시간동안 입력되지 않을 시 마이크를 오프시키도록 제어하고, 특정마이크 볼륨제어요구신호가 입력될 시 마이크 볼륨조정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MCU(122)와, 상기 MCU(122)에 연결되어 마이크 및 카메라 수량 설정값과 마이크 자동/수동모드 설정값, 본 발명의 프로그램 등을 저장하는 메모리(124)로 이루어진 화상회의용 콘트롤러; 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Predetermined speaker voice signals input from a key input unit 110 including a microphone mode key, an up / down key, an auto / manual mode selection key, a conference mode selection key, and a memory key, and a plurality of microphone devices MIC1 to MICn. The audio processing unit 112 outputs the amplified signal at a level, and selects and drives the plurality of cameras CAM1 to CAM4 based on a predetermined control signal to receive video signals of the selected speakers. The video matrix 114 to be output, the conference room monitor 118 installed in the conference room to display the speaker image signal output from the sink generator 116, and the speaker installed in the broadcasting room and output from the sink generator 116. The main controller main body 120 for displaying an image signal and the microphone mode key, up / down key, auto / manual mode selection key, conference mode selection key, and memory key signals of the key input unit 110 are received. Set the number of cameras and the number of cameras and set the microphone auto / manual mode, and when it is set to auto mode, it controls to switch the image by driving the camera assigned to the microphone which is turned on among a plurality of microphone devices. The MCU 122 controls to turn off the microphone when a voice signal is not input for a predetermined time from the microphone, and outputs a microphone volume adjustment control signal when a specific microphone volume control request signal is input, and the MCU 122. A video conferencing controller, which is connected to a microphone and camera quantity setting value, a microphone auto / manual mode setting value, and a memory 124 for storing a program of the present invention; Characterized by including.

상기 복수의 마이크장치는, 소정의 제어신호에 의해 제2 증폭기(AMP2)의 게인을 제어하는 볼륨컨트롤부(105)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 하다. Preferably, the plurality of microphone devices further include a volume controller 105 for controlling the gain of the second amplifier AMP2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control signal.

상기 화상회의용 콘트롤러는, 상기 비디오 메트릭스(114)로부터 출력된 발언 자 화상신호를 받아 소정의 제어신호에 화상전환 시 싱크노이즈를 방지하는 싱크제너레이터(116)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video conferencing controller may further include a sync generator 116 that receives the speaker image signal output from the video matrix 114 and prevents the synch noise when switching the image to a predetermined control signal.

상기 MCU(122)에 연결되어 마이크 수량 및 카메라 수량 설정과 마이크 자동/수동모드를 설정하고, 특정마이크 볼륨제어요구신호를 발생하는 운영자 단말기(126)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n operator terminal 126 connected to the MCU 122 to set the microphone number and camera quantity setting and the microphone auto / manual mode, and generate a specific microphone volume control signal.

본 발명은, 오디오믹서 및 비디오 메트릭스와 메인콘트롤러를 일체형으로 통합하여 콤팩트하게 할 수 있고, 오디오믹서 추가설치 없이 발언자의 증가에 대응하여 마이크를 증설할 수 있어 제조비용을 현저히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udio mixer, the video matrix, and the main controller can be integrated and compact, and the microphone can be expanded in response to the increase in the speaker without additional installation of the audio mixer, thereby significantly reducing the manufacturing cost. have.

또한 화상회의 도중에 운영자가 화상회의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하여 화상회의 도중 발언자의 음성신호가 미약할 경우 운영자가 마이크의 볼륨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원격지의 상대방이 발언내용을 잘 듣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during the video conference, the operator can monitor the status of the video conferencing so that if the speaker's voice signal is weak during the video conferencing, the operator can adjust the volume of the microphone so that the remote party can listen to the contents well. There is an advantage to that.

그리고 마이크장치마다 온/오프 스위치와 LED를 설치하여 발언자가 자신의 마이크가 켜져 있는지 커져 있는지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발언자의 마이크 외에 다른 마이크를 자동으로 오프시켜 주위 잡음을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by installing on / off switch and LED for each microphone device, the speaker can check whether his microphone is turned on or enlarged, and the other microphone besides the speaker's microphone can be automatically turned off to remove the ambient nois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발언자의 화상이 전환될 때마다 싱크노이즈(화면 튀는 현상: 화면이 오프상태처럼 순간흑색으로 변하거나 일시 찌지직거리는 화면상태)를 방지하여 회의참여자에게 눈의 피로감과 불쾌감을 주지않는 장점이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vent synchro noise (screen splashing: the screen turns black or temporarily flutters like an off state) whenever the speaker's image is switched, thereby causing eye fatigue and discomfort to the meeting participants. There is an advantage that does not give.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하기에 설명되는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것에 불과하다는 것에 유의하여야 하며,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당 업계의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이 생략됨에 유의하여야 한다.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which: FIG.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can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It should be noted that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below are merely for explaining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detailed descriptions of well-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 the art that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vided. Note that it is omitted.

도 2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상회의 시스템의 개략 블럭구성도이다. 2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a videoconferenc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복수의 발언자 앞에 각각 설치되어 회의진행 시 음성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복수의 마이크장치(MIC1~MICn)와, A plurality of microphone devices MIC1 to MICn, which are respectively installed in front of a plurality of speakers for inputting a voice signal during a conference;

서로 다른 위치에 설치되어 각각 지정된 복수의 발언자의 화상을 촬영하기 위한 복수의 카메라(CAM1~CAM4)와, A plurality of cameras CAM1 to CAM4 installed at different positions to capture images of a plurality of speakers each designated;

상기 복수의 마이크장치(MIC1~MICn)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신호와 상기 복수의 카메라(CAM1~CAM4)로부터 입력되는 발언자 화상신호를 처리하여 출력하는 화상회의용 콘트롤러(100)와,A video conferencing controller 100 for processing and outputting audio signals input from the plurality of microphone devices MIC1 to MICn and speaker image signals input from the plurality of cameras CAM1 to CAM4;

상기 화상회의용 콘트롤러(100)로부처 처리되어 출력되는 발언자의 음성신호와 화상신호를 부호화하여 인터넷망(300)을 통해 원격지로 전송하는 코덱(200)으로 구성되어 있다.And a codec 200 for encoding a voice signal and a video signal of a speaker processed by the video conferencing controller 100 and transmitting the encoded audio signal to a remote location through the Internet network 300.

도 3은 복수의 마이크장치(MIC1~MICn)의 상세 블럭구성도이다. 3 is a detailed block diagram of the plurality of microphone devices MIC1 to MICn.

음성신호를 입력하여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마이크(MIC)와,A microphone (MIC) for inputting a voice signal and converting it into an electrical signal;

상기 마이크(MIC)로부터 전기적신호로 변환된 음성신호를 증폭하는 제1 증폭기(AMP1)와,A first amplifier AMP1 for amplifying a voice signal converted from the microphone MIC into an electrical signal;

상기 제1 증폭기(AMP1)로부터 증폭된 음성신호를 센싱하는 시그널센서(101)와,A signal sensor 101 for sensing an amplified voice signal from the first amplifier AMP1;

마이크를 온/오프하기 위한 터치스위치(102)와,A touch switch 102 for turning the microphone on and off,

상기 터치스위치(102)로부터 입력되는 터치신호를 센싱하는 터치센서(103)와,A touch sensor 103 for sensing a touch signal input from the touch switch 102;

소정의 제어신호에 의해 마이크 온/오프 상태를 표시하는 LED(104)와,An LED 104 indicating a microphone on / off state by a predetermined control signal,

소정의 제어신호에 의해 제1 증폭기(AMP1)로부터 출력되는 발언자의 음성신호의 게인(Gain)을 제어하는 볼륨컨트롤부(105)와, A volume controller 105 for controlling the gain of the speaker's voice signal output from the first amplifier AMP1 by a predetermined control signal;

상기 볼륨컨트롤부(105)로부터 제어되는 이득에 대응하여 상기 제1 증폭기(AMP1)로부터 출력되는 발언자의 음성신호를 2차증폭하여 출력하는 제2 증폭기(AMP2)와,A second amplifier AMP2 for amplifying and outputting a voice signal of a speaker output from the first amplifier AMP1 in response to a gain controlled by the volume controller 105;

설정된 시간을 카운팅하는 타이밍 컨트롤부(108)와,A timing controller 108 for counting the set time,

사용마이크 감지신호와 음성볼륨조절신호를 RS485통신방식으로 인터페이싱하는 RS485통신부(107)와, RS485 communication unit 107 for interfacing the microphone detection signal and the voice volume control signal using the RS485 communication method,

상기 시그널센서(101)로부터 사용마이크 감지신호를 받아 상기 RS485통신부(107)로 출력되도록 하고, 상기 터치센서(103)으로부터 마이크 온/오프신호를 받아 해당 마이크 온/오프 상태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터치센서(103)로부터 마이크 온/오프신호가 감지될 시 스위칭 온/오프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RS485통신 부(107)로부터 발언자 음성신호 볼륨조절신호를 받아 볼륨이득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마이크(MIC)로부터 음성신호가 설정시간동안 입력되지 않을 시 마이크 온/오프 표시 및 음성신호 차단을 위한 스위칭 오프신호를 출력하는 MCU(Main Control Unit)(106)와, Receives the use microphone detection signal from the signal sensor 101 to be output to the RS485 communication unit 107, receives the microphone on / off signal from the touch sensor 103 and controls to display the microphone on / off status, Outputting a switching on / off signal when a microphone on / off signal is detected from the touch sensor 103, receiving a speaker voice signal volume control signal from the RS485 communication unit 107, and outputting a volume gain control signal; Main control unit (MCU) 106 for outputting a switching off signal for displaying the microphone on / off and blocking the voice signal when the voice signal is not input from the microphone for a predetermined time;

상기 MCU(106)의 스위칭 온/오프 신호에 의해 온/오프되어 상기 제2 증폭기(AMP2)로부터 출력되는 발언자 음성신호를 출력하거나 차단하는 스위치(109)로 구성되어 있다.And a switch 109 which is turned on / off by the switching on / off signal of the MCU 106 and outputs or cuts off a speaker voice signal output from the second amplifier AMP2.

복수의 마이크장치(MIC1~MICn)는 각각 도 3과 같은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The plurality of microphone devices MIC1 to MICn each have the same configuration as shown in FIG. 3.

상기 복수의 마이크장치(MIC1~MICn)는 회의실 규모에 따라 최소 1개부터 최대 99개까지 설치가 가능하다.The plurality of microphone devices (MIC1 ~ MICn) can be installed from at least one up to 99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meeting room.

도 4는 도 2의 화상회의용 콘트롤러(100)의 상세블럭구성도이다.4 is a detailed block diagram of the videoconferencing controller 100 of FIG. 2.

마이크모드키, 업/다운키, 자동/수동모드 선택키, 회의모드선택키, 메모리키, 볼륨조절모드 선택키를 구비하는 키입력부(110)와, A key input unit 110 having a microphone mode key, an up / down key, an automatic / manual mode selection key, a meeting mode selection key, a memory key, and a volume control mode selection key;

복수의 마이크장치(MIC1~MICn)로부터 입력된 발언자 음성신호를 소정레벨로 증폭하여 출력하는 오디오 처리부(112)와,An audio processor 112 for amplifying and outputting a speaker voice signal input from the plurality of microphone devices MIC1 to MICn to a predetermined level;

소정의 제어신호에 복수의 카메라(CAM1~CAM4)를 선택 구동하여 복수의 카메라(CAM1~CAM4)의 채널이 선택된 발언자 화상신호를 받아 비디오 처리하여 출력하는 비디오 메트릭스(114)와, A video matrix 114 for selectively driving the plurality of cameras CAM1 to CAM4 to a predetermined control signal to receive and output video signals of the selected speaker image signal, and to output the video signal 114;

상기 비디오 메트릭스(114)로부터 출력된 발언자 화상신호를 받아 소정의 제어신호에 화상전환 시 싱크노이즈를 방지하는 싱크제너레이터(116)와,A sink generator 116 that receives the speaker image signal output from the video matrix 114 and prevents the synch noise when switching the image to a predetermined control signal;

회의실에 설치되어 상기 싱크제너레이터(116)로부터 출력된 발언자 화상신호를 표시하는 회의실용 모니터(118)와,A conference room monitor 118 installed in the conference room for displaying the speaker image signal outputted from the sink generator 116;

방송실에 설치되어 상기 싱크제너레이터(116)로부터 출력된 발언자 화상신호를 표시하는 메인크트롤러 본체 모니터(120)와,A main controller main body monitor (120) installed in a broadcasting room and displaying a speaker image signal output from the sync generator (116);

상기 키입력부(110)의 마이크모드키, 업/다운키, 자동/수동모드 선택키, 회의모드선택키, 메모리키 신호를 입력받아 마이크 수량 및 카메라 수량 설정과 마이크 자동/수동모드 설정하고, 자동모드로 설정될 시 복수의 마이크장치(MIC1~MOICn) 중 온되는 마이크에 지정된 카메라를 구동시켜 화상을 전환하도록 제어하며, 자동모드로 설정될 시 온되어 있는 마이크로부터 음성신호가 설정된 시간동안 입력되지 않을 시 마이크를 오프시키도록 제어하고, 키입력부(110)나 운영자단말기(126)로부터 특정마이크 볼륨제어요구신호가 입력될 시 마이크 볼륨조정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MCU(122)와,The microphone number key, the up / down key, the auto / manual mode selection key, the conference mode selection key, and the memory key signal of the key input unit 110 are received and the microphone quantity and camera quantity setting and the microphone automatic / manual mode setting are performed. When set to the mode, it controls to switch the image by driving the camera assigned to the microphone which is turned on among the plurality of microphone devices (MIC1 to MOICn) .When the automatic mode is set, the audio signal is not input for the set time. MCU 122 which controls to turn off the microphone when the microphone is not provided, and outputs a microphone volume adjustment control signal when a specific microphone volume control request signal is input from the key input unit 110 or the operator terminal 126.

상기 MCU(122)에 연결되어 마이크 및 카메라 수량 설정값과 마이크 자동/수동모드 설정값, 본 발명의 프로그램 등을 저장하는 메모리(124)와,A memory 124 connected to the MCU 122 and storing a microphone and camera quantity setting value, a microphone auto / manual mode setting value, a program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like;

상기 MCU(122)에 연결되어 본 발명의 마이크 수량 및 카메라 수량 설정과 마이크 자동/수동모드 설정, 특정마이크 볼륨제어요구신호를 발생하는 운영자 단말기(126)로 구성되어 있다. The operator terminal 126 is connected to the MCU 122 and generates a microphone quantity and a camera quantity sett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 microphone automatic / manual mode setting, and a specific microphone volume control request signal.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상회의 진행 시 발언자의 마이크가 스위칭 온될 때마다 해당 카메라를 구동시켜 발언자의 화상을 촬영하기 위한 제어흐름도이고,5 is a control flowchart for photographing a speaker's image by driving a corresponding camera whenever a speaker's microphone is switched on during a video confere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원격지에 설치된 운영자 단말기에서 본 발명의 화상회의 시스템의 운영을 하기 위한 제어흐름도이다.6 is a control flowchart for operating the videoconferenc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n operator terminal installed at a remote location.

상술한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 2 to 6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opera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마이크의 수량은 최소 1개에서 최대 99까지 설치할 수 용량으로 구성되어 있고 카메라의 수량은 최소 1개에서 4개 까지 설치할 수 있는 용량으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8개이상의 마이크가 초과되더라도 오디오 믹서의 추가 설치없이 화상회의 시스템을 운용할 수 있어 제조비용을 현저히 절감할 수 있다. 여기서 예컨대, 99개의 마이크(MIC1~MIC99)를 하나의 카메라로 발언자의 화상을 촬영할 수도 있고, 99개의 마이크(MIC1~MIC99) 중 49개의 마이크(MIC1~MIC49)는 카메라(CAM1), 50개의 마이크(MIC50~MIC99)는 카메라(CAM2)로 각각 발언자의 화상을 촬영할 수도 있으며. 또한 3개의 카메라(CAM1~CAM3)로 99개의 마이크(MIC1~MIC99)를 할당하여 발언자의 화상을 촬영할 수도 있고, 4개의 카메라(CAM1~CAM3)로 99개의 마이크(MIC1~MIC99)를 각각 할당하여 발언자의 화상을 촬영할 수도 있다.The number of microphones of the present invention consists of a capacity to be installed from at least one to a maximum of 99 and the number of cameras is configured from a capacity to be installed from at least one to four.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more than eight microphones are exceeded, the videoconferencing system can be operated without additional installation of the audio mixer, thereby significantly reducing the manufacturing cost. Here, for example, 99 microphones MIC1 to MIC99 may be used to capture an image of a speaker using one camera, and 49 microphones MIC1 to MIC49 of the 99 microphones MIC1 to MIC99 may be cameras CAM1 and 50 microphones. The MIC50 to MIC99 can also take a picture of the speaker with the camera CAM2. In addition, three cameras (CAM1 to CAM3) can be assigned 99 microphones (MIC1 to MIC99) to capture the image of the speaker, and four cameras (CAM1 to CAM3) can be assigned to 99 microphones (MIC1 to MIC99) respectively. You can also take a picture of the speaker.

복수의 마이크장치(MIC1~MICn)는 복수의 발언자 앞에 각각 설치되어 회의진행 시 음성신호를 입력한다. 복수의 카메라(CAM1~CAM4)는 서로 다른 위치에 설치되어 각각 지정된 복수의 발언자의 화상을 촬영한다. 화상회의용 콘트롤러(100)는 상기 복수의 마이크장치(MIC1~MICn)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신호와 상기 복수의 카메라(CAM1~CAM4)로부터 입력되는 발언자 화상신호를 처리하여 출력한다. 상기 화상회 의용 콘트롤러(100)로부터 출력된 발언자의 음성신호와 화상신호는 코덱(20)을 통해 부호화되어 인터넷망(300)을 거쳐 원격지의 화상회의 시스템으로 전송된다.The plurality of microphone devices MIC1 to MICn are respectively installed in front of the plurality of speakers to input audio signals during the conference. The plurality of cameras CAM1 to CAM4 are installed at different positions to capture images of a plurality of designated speakers, respectively. The video conferencing controller 100 processes and outputs audio signals input from the plurality of microphone devices MIC1 to MICn and speaker image signals input from the plurality of cameras CAM1 to CAM4. The voice signal and the image signal of the speaker output from the videoconferencing controller 100 are encoded through the codec 20 and transmitted to the remote videoconferencing system via the Internet network 300.

예를들어 마이크장치(MIC1~MIC8)는 카메라(CAM1)가 각 발언자의 화상을 촬영하고 마이크장치(MIC9~MIC20)는 카메라(CAM2)가 각 발언자의 화상을 촬영한다고 가정하여 설명한다. 마이크장치(MIC1)의 터치스위치(103)을 터치하면 터치센서(103)는 마이크 온상태를 감지한다. 상기 터치스위치(103)는 한번 터치하면 온되고 다시 한번 터치하면 오프된다. MCU(106)는 터치센서(103)로부터 마이크 온신호가 감지되면 RS485 통신부(107)를 통해 메인 콘트롤러의 MCU(122)로 마이크장치((MIC1)의 마이크 온상태임을 통보한다. 상기 MCU(122)는 비디오 메트릭스(114)로 카메라(CAM1)의 구동제어신호를 전송한다. 비디오 메트릭스(114)는 마이크장치(MIC1) 앞에 위치한 발언자의 화상을 촬영할 수 있도록 카메라(CAM1)를 회전시킨다. 카메라(CAM1)의 회전이 완료되면 상기 카메라(CAM1)가 마이크장치(MIC1)에 위치한 발언자의 화상을 촬영하고 그 촬영된 발언자의 화상은 비디오 메트릭스(114)로 인가된다. 상기 비디오 메트릭스(114)는 카메라(CAM1)로부터 촬영된 발언자의 화상신호를 처리하여 출력한다. 상기 비디오 메트릭스(114)를 통해 처리된 발언자의 화상신호는 싱크제너레이터(116)을 거쳐 회의용 모니터(118) 및 메인콘트롤러 본체 모니터(120)으로 인가되어 각각 표시된다. 그리고 상기 비디오 메트릭스(114)를 통해 처리된 발언자의 화상신호는 싱크제너레이터(116)를 거쳐코덱((200)으로 인가된다. For example, the microphone devices MIC1 to MIC8 will be described assuming that the camera CAM1 captures an image of each speaker, and the microphone devices MIC9 to MIC20 will capture a picture of each speaker. When the touch switch 103 of the microphone device MIC1 is touched, the touch sensor 103 detects a microphone on state. The touch switch 103 is on when touched once and off when touched again. When the MCU on signal is detected from the touch sensor 103, the MCU 106 notifies the MCU 122 of the main controller through the RS485 communication unit 107 that the microphone on state of the microphone device MIC1 is on. Transmits the drive control signal of the camera CAM1 to the video matrix 114. The video matrix 114 rotates the camera CAM1 to capture an image of the speaker located in front of the microphone device MIC1. When the rotation of CAM1 is completed, the camera CAM1 captures the image of the speaker located in the microphone device MIC1, and the captured speaker's image is applied to the video matrix 114. The video matrix 114 is a camera. An image signal of the speaker photographed from the CAM1 is processed and output, and the image signal of the speaker processed through the video matrix 114 is passed through the sync generator 116 to the conference monitor 118 and the main controller main body monitor. The video signal of the speaker processed through the video matrix 114 is applied to the codec 200 via the sync generator 116.

또한 상기 터치센서(103)으로부터 마이크(MIC1)의 마이크 온상태신호가 감지되면 MCU(106)는 스위칭 온신호를 스위치(109)로 전송하여 스위치(109)를 온시키 고, LED(106)를 점등하여 마이크(MIC1)가 온상태임을 표시한다. 이때 발언자가 회의진행 음성을 발성하면 마이크장치(MIC1)의 마이크(MIC)로 입력되어 음성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제1 증폭기(AMP1)는 상기 마이크(MIC)로부터 전기적신호로 변환된 음성신호를 소정 레벨로 1차 증폭하여 출력한다. 시그널센서(101)는 상기 제1 증폭기(AMP1)로부터 1차 증폭된 음성신호를 센싱하여 MCU(106)으로 인가한다. 그리고 제2 증폭기(AMP2)는 상기 볼륨컨트롤부(105)로부터 제어되는 이득에 대응하여 상기 제1 증폭기(AMP1)로부터 출력되는 발언자의 음성신호를 2차증폭하여 스위치(109)로 출력한다. 스위치(109)는 상기 MCU(106)의 스위칭 온 신호에 의해 스위칭 온되어 상기 제2 증폭기(AMP2)로부터 출력되는 발언자 음성신호를 오디오 처리부(112)로 인가된다. 상기 오디오 처리부(112)는 상기 발언자 음성신호를 소정레벨로 증폭하여 코덱(200)으로 인가한다. 코덱(200)은 상기 발언자 음성신호와 화상신호를 압축 부호화하여 인터넷망(300)을 통해 원격지 화상회의 시스템으로 전송하여 화상회의를 진행한다.In addition, when the microphone on state signal of the microphone MIC1 is detected from the touch sensor 103, the MCU 106 transmits a switching on signal to the switch 109 to turn on the switch 109 and turn on the LED 106. Lights up to indicate that the microphone (MIC1) is on. At this time, when the speaker speaks the conference proceeding voice, it is input to the microphone MIC of the microphone device MIC1, and the voice signal is converted into an electrical signal and output. The first amplifier AMP1 first amplifies and outputs an audio signal converted from the microphone MIC to an electrical signal to a predetermined level. The signal sensor 101 senses the first amplified voice signal from the first amplifier AMP1 and applies it to the MCU 106. The second amplifier AMP2 further amplifies the voice signal of the speaker output from the first amplifier AMP1 to the switch 109 in response to the gain controlled by the volume controller 105. The switch 109 is switched on by the switching on signal of the MCU 106 and applied to the audio processor 112 with a speaker voice signal output from the second amplifier AMP2. The audio processor 112 amplifies the speaker voice signal to a predetermined level and applies it to the codec 200. The codec 200 compresses and encodes the speaker voice signal and the image signal and transmits the same to the remote video conference system through the Internet network 300 to perform a video conference.

이렇게 발언자의 화상신호가 원격지로 전송되고 마이크장치(MIC9)의 터치스위치(103)을 터치하면 터치센서(103)는 마이크 온상태를 감지한다. 상기 터치스위치(103)는 한번 터치하면 온되고 다시 한번 터치하면 오프된다. MCU(106)는 터치센서(103)로부터 마이크 온신호가 감지되면 RS485 통신부(107)를 통해 메인 콘트롤러의 MCU(122)로 마이크장치((MIC1)의 마이크 온상태임을 통보한다. 상기 MCU(122)는 비디오 메트릭스(114)로 카메라(CAM2)의 구동제어신호를 전송한다. 비디오 메트릭스(114)는 마이크장치(MIC9) 앞에 위치한 발언자의 화상을 촬영할 수 있도록 카메 라(CAM2)를 회전시킨다. 카메라(CAM2)의 회전이 완료되면 상기 카메라(CAM2)가 마이크장치(MIC1)에 위치한 발언자의 화상을 촬영하고 그 촬영된 발언자의 화상은 비디오 메트릭스(114)로 인가된다. 상기 비디오 메트릭스(114)는 카메라(CAM2)로부터 촬영된 발언자의 화상신호를 처리하여 출력한다. 상기 비디오 메트릭스(114)를 통해 처리된 발언자의 화상신호는 싱크제너레이터(116)을 거쳐 회의용 모니터(118) 및 메인콘트롤러 본체 모니터(120)으로 인가되어 각각 표시된다. 그리고 상기 비디오 메트릭스(114)를 통해 처리된 발언자의 화상신호는 싱크제너레이터(116)를 거쳐코덱((200)으로 인가된다. When the speaker's image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remote location and the touch switch 103 of the microphone device MIC9 is touched, the touch sensor 103 detects the microphone on state. The touch switch 103 is on when touched once and off when touched again. When the MCU on signal is detected from the touch sensor 103, the MCU 106 notifies the MCU 122 of the main controller through the RS485 communication unit 107 that the microphone on state of the microphone device MIC1 is on. Transmits a drive control signal of the camera CAM2 to the video matrix 114. The video matrix 114 rotates the camera CAM2 to capture an image of the speaker located in front of the microphone device MIC9. When the rotation of CAM2 is completed, the camera CAM2 captures an image of the speaker located in the microphone device MIC1, and the captured speaker's image is applied to the video matrix 114. The video matrix 114 is applied to the video matrix 114. The video signal of the speaker captured by the camera CAM2 is processed and output, and the video signal of the speaker processed through the video matrix 114 is passed through the sync generator 116 to monitor the conference monitor 118 and the main controller main body. Is applied to 120 are respectively displayed, and an image signal of a speaker via the video processing matrix 114 is applied to the codec (200 via a sync generator (116).

또한 상기 터치센서(103)로부터 마이크(MIC2)의 마이크 온상태신호가 감지되면 MCU(106)는 스위칭 온신호를 스위치(109)로 전송하여 스위치(109)를 온시키고, LED(106)를 점등하여 마이크(MIC2)가 온상태임을 표시한다. 이때 발언자가 회의진행 음성을 발성하면 마이크장치(MIC1)의 마이크(MIC)로 입력되어 음성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제1 증폭기(AMP1)는 상기 마이크(MIC)로부터 전기적신호로 변환된 음성신호를 소정 레벨로 1차 증폭하여 출력한다. 시그널센서(101)는 상기 제1 증폭기(AMP1)로부터 1차 증폭된 음성신호를 센싱하여 MCU(106)으로 인가한다. 그리고 제2 증폭기(AMP2)는 상기 볼륨컨트롤부(105)로부터 제어되는 이득에 대응하여 상기 제1 증폭기(AMP1)로부터 출력되는 발언자의 음성신호를 2차증폭하여 스위치(109)로 출력한다. 스위치(109)는 상기 MCU(106)의 스위칭 온 신호에 의해 스위칭 온되어 상기 제2 증폭기(AMP2)로부터 출력되는 발언자 음성신호를 오디오 처리부(112)로 인가된다. 상기 오디오 처리부(112)는 상기 발언자 음성신호를 소정레벨로 증폭하여 코덱(200)으로 인가한다. 코덱(200)은 상기 발언자 음성신호와 화상신호를 압축 부호화하여 인터넷망(300)을 통해 원격지 화상회의 시스템으로 전송하여 화상회의를 진행한다. 이때 마이크장치(MIC1)를 온시켜 발언자가 발언을 하고 나서 마이크장치(MIC9)를 온시키면 MCU(122)는 RS485통신부(107)를 통해 마이크장치(MIC1)의 MCU(106)로 마이크 오프 제어신호를 보낸다. 그러면 마이크장치(MIC1)의 MCU(106)는 LED(104)를 소등하여 마이크장치(MIC1)가 오프된 상태를 표시한다. 그리고 마이크장치(MIC1)는 스위칭 오프신호를 스위치(109)로 출력하여 스위치(109)를 오프시킨다.In addition, when the microphone on state signal of the microphone MIC2 is detected from the touch sensor 103, the MCU 106 transmits a switching on signal to the switch 109 to turn on the switch 109 and turn on the LED 106. To indicate that the microphone MIC2 is on. At this time, when the speaker speaks the conference proceeding voice, it is input to the microphone MIC of the microphone device MIC1, and the voice signal is converted into an electrical signal and output. The first amplifier AMP1 first amplifies and outputs an audio signal converted from the microphone MIC to an electrical signal to a predetermined level. The signal sensor 101 senses the first amplified voice signal from the first amplifier AMP1 and applies it to the MCU 106. The second amplifier AMP2 further amplifies the voice signal of the speaker output from the first amplifier AMP1 to the switch 109 in response to the gain controlled by the volume controller 105. The switch 109 is switched on by the switching on signal of the MCU 106 and applied to the audio processor 112 with a speaker voice signal output from the second amplifier AMP2. The audio processor 112 amplifies the speaker voice signal to a predetermined level and applies it to the codec 200. The codec 200 compresses and encodes the speaker voice signal and the image signal and transmits the same to the remote video conference system through the Internet network 300 to perform a video conference. At this time, if the speaker speaks by turning on the microphone device MIC1 and then turns on the microphone device MIC9, the MCU 122 controls the microphone-off control signal to the MCU 106 of the microphone device MIC1 through the RS485 communication unit 107. Send it. Then, the MCU 106 of the microphone device MIC1 turns off the LED 104 to indicate a state in which the microphone device MIC1 is turned off. The microphone device MIC1 outputs a switching off signal to the switch 109 to turn off the switch 109.

복수의 마이크장치(MIC1~MICn) 중 마이크장치(1, MIC9) 이외의 또 다른 마이크장치의 마이크 온상태가 감지되면 상술한 동작과 같은 방법으로 반복 수행하여 화상회의를 진행한다. If a microphone on state of another microphone device other than the microphone devices 1 and MIC9 is detected among the plurality of microphone devices MIC1 to MICn, video conferencing is performed by repeating the same method as described above.

이와 같이 화상회의 도중에 마이크 온상태인 마이크장치로 발언자가 설정된 시간 동안 음성신호의 검출이 없을 경우 자동으로 마이크를 오프시켜 화상회의를 진행하는 동작을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As described above, an operation of automatically conducting a video conference by turning off the microphone when the speaker does not detect a voice signal for a predetermined time with the microphone device in the microphone on state during the video conferenc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

먼저 201단계에서 MPU(122)는 화상회의용 콘트롤러(100)에 구비된 파워스위치(Power)가 온되는지 검사하여 파워스위치가 온되면 122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122단계에서 MPU(122)는 마이크 수량 및 카메라 수량과 해당 마이크에 대응하여 발언자의 화상을 촬영할 수 있도록 카메라가 지정설정되어 있는 상태로 초기화한다. First, in step 201, the MPU 122 checks whether the power switch provided in the videoconferencing controller 100 is turned on and proceeds to step 122 when the power switch is turned on. In step 122, the MPU 122 initializes the camera to a state in which the camera is designated to capture the speaker's image in correspondence with the number of microphones and the number of cameras.

예를들어 마이크장치(MIC1~MIC8)는 카메라(CAM1)가 각 발언자의 화상을 촬영하고 마이크장치(MIC9~MIC20)는 카메라(CAM2)가 각 발언자의 화상을 촬영한다고 가 정하여 설명한다. 첫 번째 발언자가 마이크장치(MIC1)를 통해 발언을 한다고 가정하면 203단계에서 MPU(122)는 RS485통신부(107)을 통해 마이크장치(MIC1)의 터치스위치(102)가 터치되어 마이크 온되는지 검사한다. 상기 204단계에서 MPU(122)는 RS통신부(107)를 통해 MCU(106)로 타이머 온신호를 인가한다. 그러면 MCU(106)은 타이밍 컨트롤부((108)을 구동시켜 타이머를 온시킨다. 그리고 205단계에서 MCU(122)는 LED점등 제어신호를 RS485 통신부(107)를 통해 마이크장치(MIC1)의 MCU(106)로 인가한다. 이때 마이크장치(MIC1)의 MCU(106)는 LED(104)를 점등하여 마이크 온상태를 표시한다. 그리고 206단계에서 MCU(122)는 마이크장치(MIC1)에 위치한 발언자의 화상을 촬영하기 위해 카메라(CAM1)의 구동제어신호를 비디오 메트릭스(114)로 인가한다. 이때 비디오 메트릭스(114)는 카메라(CAM1)을 회전시켜 마이크장치(MIC1)에 위치한 발언자의 화상을 촬영하고 207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207단계에서 MPU(122)는 상기 RS485통신부(107)을 통해 타이밍 컨트롤부(108)의 타이머가 설정시간(예컨대 5분)을 경과하였는지 검사하여 설정시간이 경과하였으면 208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208단계에서 MCU(122)는 타이머 오프신호를 RS485 통신부(107)를 통해 MCU(106)전송하면, MCU(106)는 타이밍 컨트롤부(108)를 제어하여 타이머를 오프시킨다. 그리고 209단계에서 MCU(122)는 RS485통신부(107)을 통해 마이크오프제어신호를 출력하고 또한 비디오 메트릭스(114)를 통해 카메라 오프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그러면 마이크장치(MIC1)의 MCU(106)는 LED(104)를 점등하여 마이크 온상태를 표시하고, 비디오 메트릭스(114)는 카메라(CAM1)를 오프시킨다. 그러나 상기 207단계에서 설정시간이 경과되지 않았으면 210단계로 진행하여 MCU(122)는 마이크 장치(MIC1)의 발언자가 터치스위치(102)를 터치하여 마이크 오프되었는지 검사하여 마이크장치(MIC1)의 마이크 오프상태이면 208단계로 진행한다. 그러나 마이크장치(MIC1)의 마이크가 오프되지 않았으면 211단계로 진행하여 MCU(122)는 다음 발언자 마이크 스위치가 온되었는지 검사한다. 다음 발언자가 예를 들어 마이크장치(MIC9)에 위치한 발언자이라면 마이크장치(MIC9)의 터치스위치(102)가 터치되어 마이크 온되는지 검사한다. 마이크장치(MIC9)의 마이크 온되면 212단계에서 MCU(122)는 타이머 리세트신호를 RS485통신부(107)를 통해 MCU(106)로 전송한다. 그러면 MCU(106)타이밍 컨트롤부(108)을 제어하여 타이머를 리세트되도록 하여 0부터 시간을 다시 카운팅하도록 한다. 그런 후 213단계에서 MCU(122)는 LED점등 제어신호를 RS485 통신부(107)를 통해 마이크장치(MIC9)의 MCU(106)로 인가한다. 이때 마이크장치(MIC9)의 MCU(106)는 LED(104)를 점등하여 마이크 온상태를 표시한다. 그리고 214단계에서 MCU(122)는 마이크장치(MIC9)에 위치한 발언자의 화상을 촬영하기 위해 카메라(CAM9)의 구동제어신호를 비디오 메트릭스(114)로 인가한다. 이때 비디오 메트릭스(114)는 카메라(CAM9)를 회전시켜 마이크장치(MIC9)에 위치한 발언자의 화상을 촬영하고 207단계부터 다시 반복 동작한다.For example, the microphone devices MIC1 to MIC8 assume that the camera CAM1 captures an image of each speaker, and the microphone devices MIC9 to MIC20 assume that the camera CAM2 captures an image of each speaker. Assuming that the first speaker speaks through the microphone device MIC1, in step 203, the MPU 122 checks whether the touch switch 102 of the microphone device MIC1 is touched through the RS485 communication unit 107 to turn on the microphone. . In step 204, the MPU 122 applies a timer on signal to the MCU 106 through the RS communication unit 107. Then, the MCU 106 drives the timing controller 108 to turn on the timer, and in step 205, the MCU 122 transmits the LED lighting control signal to the MCU (MIC1) of the microphone device MIC1 through the RS485 communication unit 107. In this case, the MCU 106 of the microphone device MIC1 lights up the LED 104 to indicate the microphone on state, and in step 206, the MCU 122 of the speaker device located in the microphone device MIC1 is displayed. In order to capture an image, a driving control signal of the camera CAM1 is applied to the video matrix 114. At this time, the video matrix 114 rotates the camera CAM1 to capture an image of the speaker located in the microphone device MIC1. In step 207, the MPU 122 checks whether the timer of the timing controller 108 has elapsed a setting time (for example, 5 minutes) through the RS485 communication unit 107, and if the setting time has elapsed, in step 207. In step 208, the MCU 122 performs a tie. When the MCU 106 transmits an off signal through the RS485 communication unit 107, the MCU 106 controls the timing controller 108 to turn off the timer, and in step 209, the MCU 122 transmits the RS485 communication unit 107. Outputs the microphone off control signal through the video matrix 114 and the camera off control signal through the video matrix 114. Then, the MCU 106 of the microphone device MIC1 lights the LED 104 to indicate the microphone on state. The video matrix 114 turns off the camera CAM1, but if the set time has not elapsed in step 207,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210. The MCU 122 indicates that the speaker of the microphone device MIC1 has a touch switch 102. Touch to check if the microphone is off and proceed to step 208 if the microphone of MIC1 is off. switch And on that test. It determines whether the next speaker is For example, if the current speaker in the microphone device (MIC9) The touch switch 102 of the microphone device (MIC9) is a touch-on microphones. When the microphone of the microphone device MIC9 is turned on, the MCU 122 transmits a timer reset signal to the MCU 106 through the RS485 communication unit 107 in step 212. Then, the MCU 106 controls the timing control unit 108 to reset the timer to count the time from zero again. Thereafter, in step 213, the MCU 122 applies the LED lighting control signal to the MCU 106 of the microphone device MIC9 through the RS485 communication unit 107. At this time, the MCU 106 of the microphone device MIC9 turns on the LED 104 to display the microphone on state. In step 214, the MCU 122 applies the driving control signal of the camera CAM9 to the video matrix 114 to capture an image of the speaker located in the microphone device MIC9. At this time, the video matrix 114 rotates the camera CAM9 to capture the image of the speaker located in the microphone device MIC9 and repeats the operation from step 207.

또한 도 2의 화상회의용 콘트롤러(100)의 키입력부(110)을 조작하거나 운영자 단말기(126)에 장착된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마이크의 수량을 설정하고 그 설정된 마이크 수량에 대응하여 카메라를 지정하여 설정할 수 있고, 또한 모드변환과 마이크로부터 입력된 발언자의 음성신호를 볼륨조절할 수 있다. 이에 대한 동작을 도 6을 참조하여 운영자 단말기(126)를 통해 세팅하는 동작을 설명한다.In addition, the number of microphones may be set by operating the key input unit 110 of the video conferencing controller 100 of FIG. 2 or by executing a program mounted on the operator terminal 126 and specifying and setting a camera corresponding to the set number of microphones.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volume of the voice signal of the speaker input from the mode conversion and the microphone. An operation of setting the operation through the operator terminal 126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6.

먼저 운영자는 운영자 단말기(126)에 장착되어 있는 화상회의 시스템 운영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모드의 종류는 마이크 모드, 자동/수동모드, 회의모드 등이 있다. 마이크모드에는 발언자의 일정시간동안 음성신호를 발성하여 입력시키지 않으면 자동으로 마이크장치를 마이크 오프시키기 위한 시간설정을 시간설정모드와 마이크 수량을 설정하는 마이크 수량설정모드 및 마이크 수량에 대응하는 카메라 설정모드로 분류된다. 자동/수동모드는 자동모드는특정 마이크장치를 온시키면 그 마이크장치에 대응하는 카메라를 회전이동시켜 발언자의 화상을 촬영할 수 있도록 카메라를 구동시키는 동시에 설정시간내에 발언자의 음성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자동으로 마이크장치를 오프시키는 모드이다. 그리고 회의모드는 비디오 컨퍼런스모드와 오디오 컨퍼런스모드로 분류되며, 비디오 컨포런스 모드는 오디오와 발언자의 화상신호를 동시에 동작되도록 마이크와 카메라를 동작시키는 모드이고, 오디오 컨퍼런스모드는 발언자의 화상은 표시하지 않도록 카메라동작을 오프시키고 발언자 음성신호만을 처리하여 증폭하여 스피커로 출력되도록 하는 모드이다.First, the operator executes a video conferencing system operating program mounted on the operator terminal 126. Types of modes include microphone mode, auto / manual mode, and conference mode. In the microphone mode, the time setting mode for automatically turning off the microphone device is set in the time setting mode, the microphone quantity setting mode for setting the microphone quantity, and the camera setting mode corresponding to the microphone quantity, if the speaker does not input a voice signal for a predetermined time. Classified as Auto / Manual mode is the Auto mode, which turns on the camera to record the speaker's image by rotating the camera corresponding to the microphone device when the microphone unit is turned on. This mode turns off the microphone unit. The conference mode is classified into a video conference mode and an audio conference mode. The video conference mode is a mode in which a microphone and a camera are operated to simultaneously operate an audio and a speaker's video signal, and the audio conference mode does not display a speaker's video. This mode turns off the camera operation and processes only the speaker's voice signal to amplify and output the speaker.

따라서 301단계에서 상기와 같은 현재모드를 설정한다. 그리고 302단계에서 마이크 수량을 설정한다. 예를 들어 마이크가 10개 필요하면 마이크 수량드를 선택하여 마이크의 수량을 10개로 설정하여 저장한다. 그리고 303단계에서 마이크의 수향이 설정되면 카메라의 수량을 설정한 후 마이크의 수량에 대응하여 카메라를 지정설정한다. 즉 99개의 마이크(MIC1~MIC99)를 하나의 카메라로 발언자의 화상을 촬영할 수도 있고, 99개의 마이크(MIC1~MIC99) 중 49개의 마이크(MIC1~MIC49)는 카메라(CAM1), 50개의 마이크(MIC50~MIC99)는 카메라(CAM2)로 각각 발언자의 화상을 촬 영할 수도 있으며. 또한 3개의 카메라(CAM1~CAM3)로 99개의 마이크(MIC1~MIC99)를 할당하여 발언자의 화상을 촬영할 수도 있고, 4개의 카메라(CAM1~CAM3)로 99개의 있다. Therefore, the current mode as described above is set in step 301. In step 302, the microphone quantity is set. For example, if you need 10 microphones, select the microphone quantity and set the number of microphones to 10. If the microphone orientation is set in step 303, the number of cameras is set, and then the camera is designat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microphones. That is, 99 microphones (MIC1 to MIC99) can be used to capture an image of a speaker using one camera. Among the 99 microphones (MIC1 to MIC99), 49 microphones (MIC1 to MIC49) are cameras (CAM1) and 50 microphones (MIC50). MIC99) can also take a picture of the speaker with the camera CAM2. In addition, 99 microphones MIC1 to MIC99 can be allocated to the three cameras CAM1 to CAM3 to capture the image of the speaker, and there are 99 to four cameras CAM1 to CAM3.

상기와 같이 모드를 설정하고 304단계에서 저장된 프리셋이 있는지 검사하여 저장된 프리셋이 있으면 306단계로 진행한다. 그리고 특정 마이크장치의 터치스위치(102)가 스위칭 온되는지 검사하여 스위칭 온되면 306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306단계에서 해당 카메라 프리셋으로 이동하도록 하고 307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307단계에서 카메라 채널을 선택하도록 MCU(122)는 비디오 메트릭스(114)로 지정된 카메라를 선택하도록 한 후 308단계에서 스위칭 온된 마이크장치의 LED(104)가 점등되도록 제어한다. The mode is set as described above, and if there is a stored preset in step 304, the flow proceeds to step 306. In addition, when the touch switch 102 of the specific microphone device is switched on and is switched on,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306. In step 306, the camera moves to the corresponding camera preset and the flow proceeds to step 307. In step 307, the MCU 122 selects the camera designated by the video matrix 114 so as to select the camera channel, and in step 308, the LED 104 of the switched-on microphone device is controlled to turn on.

그리고 화상회의 도중에 특정 마이크장치의 볼륨을 조절하기위해 309단계에서 볼륨조절 모드가 선택되었는지 검사하여 볼륨조절 모드가 선택되었으면 310단계에서 볼륨조절한 마이크장치를 선택한다. 그런 후 311단계에서 마이크 볼륨 레벨을 설정하고 312 단계에서 그 설정된 볼륨값이 메모리(124)에 저장되도록 한다. In step 309, if the volume control mode is selected to adjust the volume of the specific microphone device during the video conference, the volume control mode is selected in step 310. Thereafter, the microphone volume level is set in step 311, and the set volume value is stored in the memory 124 in step 312.

또한 마이크 모드, 자동/수동모드, 회의모드 중 해당 모드를 변환하기 위해 313단계에서 모드변환모드가 선택되었는지 검사하여 모드변환모드가 선택되면 314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314단계에서 해당 모드를 선택하여 설정하고 315단계에서 변환된 모드를 메모리(124)에 저장되도록 한다.In addition, to change the mode among the microphone mode, the auto / manual mode, and the conference mode, it is checked whether the mode conversion mode is selected in step 313. If the mode conversion mode is selected, the flow proceeds to step 314. In operation 314, the corresponding mode is selected and set, and the converted mode is stored in the memory 124 in operation 315.

한편 화상회의용 콘트롤러(100)에 구비된 키입력부(110)에 의해 모드를 설정하는 동작을 설명하면, 모드선택키를 누르면 마이크모드, 자동/수동모드, 회의모드 를 선택하기 위한 메뉴가 메인 콘트롤러 본체 모니터(120)에 표시되고, 그 표시된 모드 중 업/다운키에 의해 선택하도록 한다. 마이크 모드를 선택한 엔터키를 누르면 타임설정, 마이크 수량설정이 표시되며 다시 업/다운키에 의해 타임설정이나 마이크 수량설정모드를 선택한 후 엔터키를 누른 후 업/다운키에 의해 숫자를 선택하고 엔터키를 누른 후 메모리키를 누르면 타임설정시간이나 마이크 수량에 관련하여 선택된 숫자가 저장된다. 자동/수동모드를 선택한 후 엔터키를 누르면 자동과 수동모드를 업/다운키에 의해 선택되고 엔터키를 누른 후 메모리키를 누르면 자동모드나 수동모드가 설정된다. 회의모드는 회의모드를 선택한 후 엔터키를 누르면 비디오컨퍼런스 또는 오디오 컨퍼런스 모드를 업/다운키에 의해 선택하고 엔터키를 누르고 저장키를 누르면 비디오 컨포런스 또는 오디오 컨퍼런스 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볼륨조절키를 누르면 복수의 마이크채널이 표시되고 그 표시된 복수의 마이크채널 중한 하는 업/다운키에 의해 선택한 후 볼륨레벨을 다시 업/다운키에 의해 선택한 후 엔터키를 누르고 메모리키를 누르면 해당하는 마이크장치의 볼륨레벨값을 저장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operation of setting the mode by the key input unit 110 provided in the controller 100 for video conferencing, when the mode selection key is pressed, a menu for selecting a microphone mode, an auto / manual mode and a conference mode is displayed. It is displayed on the monitor 120, and it is selected by the up / down key among the displayed modes. Pressing the Enter key after selecting the microphone mode displays the time setting and the microphone quantity setting.Then select the time setting or the microphone quantity setting mode with the up / down keys, press the enter key, select the number with the up / down keys, and press the enter key. After pressing the key, press the memory key to store the selected number in relation to the time setting time or the number of microphones. After selecting auto / manual mode, press enter key to select auto or manual mode by up / down key, press enter key and press memory key to set auto mode or manual mode. In conference mode, press the Enter key after selecting the conference mode to select the video conference or audio conference mode by up / down key, press the Enter key and press the save key to set the video conference or audio conference mode. When the volume control key is pressed, a plurality of microphone channels are displayed, and one of the displayed microphone channels is selected by the up / down key, and the volume level is selected by the up / down key again, then press the Enter key and the memory key is pressed. Stores the volume level of the microphone device.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Brief descrip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도 1은 종래의 화상회의 시스템 블럭도.1 is a block diagram of a conventional videoconferencing system.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상회의 시스템의 개략 블럭구성도이다. 2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a videoconferenc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복수의 마이크장치(MIC1~MICn)의 상세 블럭구성도.3 is a detailed block diagram of a plurality of microphone devices MIC1 to MICn.

도 4는 도 2의 화상회의용 콘트롤러(100)의 상세블럭구성도이다.4 is a detailed block diagram of the videoconferencing controller 100 of FIG. 2.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상회의 진행 시 발언자의 마이크가 스위칭 온될 때마다 해당 카메라를 구동시켜 발언자의 화상을 촬영하기 위한 제어흐름도.FIG. 5 is a control flowchart for photographing a speaker's image by driving a corresponding camera whenever a speaker's microphone is switched on during a video conferen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원격지에 설치된 운영자 단말기에서 본 발명의 화상회의 시스템의 운영을 하기 위한 제어흐름도.6 is a control flow diagram for operating the videoconferenc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n operator terminal installed at a remote loca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Brief descrip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화상회의용 콘트롤러 200: 코덱 100: video conferencing controller 200: codec

300: 인터넷망 300: Internet network

110: 키입력부 112: 오디오 처리부110: key input unit 112: audio processing unit

114: 비디오 메트릭스 116: 싱크제너레이터114: Video Metrics 116: Sync Generator

118: 회으실용 모니터 120: 메인콘트롤러 본체 모니터118: meeting room monitor 120: main controller main body monitor

122: MCU 124: 메모리122: MCU 124: memory

126: 운영자 단말기봉 126: operator terminal rod

Claims (4)

화상회의 시스템에 있어서,In a video conference system, 음성신호를 입력하여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마이크(MIC)와, 상기 마이크(MIC)로부터 전기적신호로 변환된 음성신호를 증폭하는 제1 증폭기(AMP1)와, 상기 제1 증폭기(AMP1)로부터 증폭된 음성신호를 센싱하는 시그널센서(101)와, 마이크를 온/오프하기 위한 터치스위치(102)와, 상기 터치스위치(102)로부터 입력되는 터치신호를 센싱하는 터치센서(103)와, 상기 제1 증폭기(AMP1)로부터 출력되는 발언자의 음성신호를 2차증폭하여 출력하는 제2 증폭기(AMP2)와, 설정된 시간을 카운팅하는 타이밍 컨트롤부(108)와, 사용마이크 감지신호와 음성볼륨조절신호를 RS485통신방식으로 인터페이싱하는 RS485통신부(107)와, 상기 시그널센서(101)로부터 사용마이크 감지신호를 받아 상기 RS485통신부(107)로 출력되도록 하고, 상기 터치센서(103)으로부터 마이크 온/오프신호를 받아 해당 마이크 온/오프 상태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터치센서(103)로부터 마이크 온/오프신호가 감지될 시 스위칭 온/오프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RS485통신부(107)로부터 발언자 음성신호 볼륨조절신호를 받아 볼륨이득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마이크(MIC)로부터 음성신호가 설정시간동안 입력되지 않을 시 마이크 온/오프 표시 및 음성신호 차단을 위한 스위칭 오프신호를 출력하는 MCU(106)와, 상기 MCU(106)의 스위칭 온/오프 신호에 의해 온/오프되어 상기 제2 증폭기(AMP2)로부터 출력되는 발언자 음성신호를 출력하거나 차단하는 스위치(109)로 각각 이루어진 복수의 마이크장치와;A microphone (MIC) for inputting a voice signal and converting the signal into an electrical signal, a first amplifier (AMP1) for amplifying the voice signal converted from the microphone (MIC) into an electrical signal, and amplified from the first amplifier (AMP1) A signal sensor 101 for sensing a voice signal, a touch switch 102 for turning on / off a microphone, a touch sensor 103 for sensing a touch signal input from the touch switch 102, and the first The second amplifier AMP2 for amplifying and outputting the voice signal of the speaker output from the amplifier AMP1, the timing control unit 108 for counting the set time, the microphone detection signal and the voice volume control signal are RS485. RS485 communication unit 107 for interfacing with the communication method, and receives the use microphone detection signal from the signal sensor 101 to be output to the RS485 communication unit 107, and receives the microphone on / off signal from the touch sensor 103 year Controls to display the microphone on / off status, outputs a switching on / off signal when the microphone on / off signal is detected from the touch sensor 103, and outputs a speaker voice signal volume control signal from the RS485 communication unit 107. And a MCU 106 for outputting a volume gain control signal and outputting a microphone on / off indication and a switching off signal for blocking the voice signal when the voice signal is not input from the microphone for a predetermined time period. A plurality of microphone devices each composed of a switch 109 which is turned on / off by a switching on / off signal of 106 and outputs or cuts off a speaker voice signal output from the second amplifier AMP2; 서로 다른 위치에 설치되어 각각 지정된 복수의 발언자의 화상을 촬영하기 위한 복수의 카메라와; 및 A plurality of cameras installed at different positions and configured to capture images of a plurality of speakers each designated; And 마이크모드키, 업/다운키, 자동/수동모드 선택키, 회의모드선택키, 메모리키를 구비하는 키입력부(110)와, 복수의 마이크장치(MIC1~MICn)로부터 입력된 발언자 음성신호를 소정레벨로 증폭하여 출력하는 오디오 처리부(112)와, 소정의 제어신호에 복수의 카메라(CAM1~CAM4)를 선택 구동하여 복수의 카메라(CAM1~CAM4)의 채널이 선택된 발언자 화상신호를 받아 비디오 처리하여 출력하는 비디오 메트릭스(114)와, 회의실에 설치되어 싱크제너레이터(116)로부터 출력된 발언자 화상신호를 표시하는 회의실용 모니터(118)와, 방송실에 설치되어 상기 싱크제너레이터(116)로부터 출력된 발언자 화상신호를 표시하는 메인콘트롤러 본체 모니터(120)와, 상기 키입력부(110)의 마이크모드키, 업/다운키, 자동/수동모드 선택키, 회의모드선택키, 메모리키 신호를 입력받아 마이크 수량 및 카메라 수량 설정과 마이크 자동/수동모드 설정하고, 자동모드로 설정될 시 복수의 마이크장치 중 온되는 마이크에 지정된 카메라를 구동시켜 화상을 전환하도록 제어하며, 자동모드로 설정될 시 온되어 있는 마이크로부터 음성신호가 설정된 시간동안 입력되지 않을 시 마이크를 오프시키도록 제어하고, 특정마이크 볼륨제어요구신호가 입력될 시 마이크 볼륨조정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MCU(122)와, 상기 MCU(122)에 연결되어 마이크 및 카메라 수량 설정값과 마이크 자동/수동모드 설정값, 본 발명의 프로그램 등을 저장하는 메모리(124)로 이루어진 화상회의용 콘트롤러; 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회의 시스템.Predetermined speaker voice signals input from a key input unit 110 including a microphone mode key, an up / down key, an auto / manual mode selection key, a conference mode selection key, and a memory key, and a plurality of microphone devices MIC1 to MICn. The audio processing unit 112 outputs the amplified signal at a level, and selects and drives the plurality of cameras CAM1 to CAM4 based on a predetermined control signal to receive video signals of the selected speakers. The video matrix 114 to be output, the conference room monitor 118 installed in the conference room to display the speaker image signal output from the sink generator 116, and the speaker image installed in the broadcasting room and output from the sink generator 116. The main controller main body 120 displaying the signal and the microphone mode key, up / down key, automatic / manual mode selection key, conference mode selection key, and memory key of the key input unit 110 receive the number of microphones. Volume and camera quantity settings, microphone auto / manual mode setting, and when set to auto mode, controls the camera to switch the image by turning on the specified camera among the microphone devices. The MCU 122 controls the microphone to be turned off when a voice signal is not input from the microphone for a predetermined time, and outputs a microphone volume adjustment control signal when a specific microphone volume control request signal is input. A video conferencing controller connected to the memory 124, the memory 124 storing a microphone and camera quantity setting value, a microphone auto / manual mode setting value, a program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like; Video conferencing system comprising a.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마이크장치는,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lurality of microphone devices, 소정의 제어신호에 의해 제2 증폭기(AMP2)의 게인을 제어하는 볼륨컨트롤부(105)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회의 시스템. And a volume controller (105) for controlling the gain of the second amplifier (AMP2) by a predetermined control signal.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화상회의용 콘트롤러는, The videoconferencing controller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비디오 메트릭스(114)로부터 출력된 발언자 화상신호를 받아 소정의 제어신호에 화상전환 시 싱크노이즈를 방지하는 싱크제너레이터(116)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회의 시스템.And a sync generator (116) for receiving a speaker image signal output from the video matrix (114) to prevent sink noise when switching the image to a predetermined control signal.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MCU(122)에 연결되어 마이크 수량 및 카메라 수량 설정과 마이크 자동/수동모드를 설정하고, 특정마이크 볼륨제어요구신호를 발생하는 운영자 단말기(126)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회의 시스템. And an operator terminal (126) connected to the MCU (122) to set a microphone quantity, a camera quantity setting, a microphone auto / manual mode, and generate a specific microphone volume control request signal.
KR1020090088904A 2009-09-21 2009-09-21 Image conference system KR10094396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8904A KR100943963B1 (en) 2009-09-21 2009-09-21 Image conference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8904A KR100943963B1 (en) 2009-09-21 2009-09-21 Image conference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43963B1 true KR100943963B1 (en) 2010-02-26

Family

ID=420837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8904A KR100943963B1 (en) 2009-09-21 2009-09-21 Image conference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3963B1 (en)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2653B1 (en) 2011-09-09 2012-04-03 (주) 대호아이앤티 Nameplate and monitoring system for conference and method thereof
KR101299947B1 (en) 2013-07-03 2013-08-29 성준오 Video conference system with electric lamp
KR20190048291A (en) 2017-10-31 2019-05-09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System and method for video conference using image clipping
CN112540560A (en) * 2020-11-30 2021-03-23 国网四川省电力公司达州供电公司 Automatic control switch device for video conference terminal
KR102326212B1 (en) 2021-05-25 2021-11-12 김우영 Non-face-to-face online and offline video conference system
CN115278148A (en) * 2022-06-27 2022-11-01 国家电网有限公司信息通信分公司 Video conference monitoring method based on distributed matrix
KR20230131513A (en) 2022-03-07 2023-09-14 (주)스마일게이트스토브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video conferencing service based on multi-resource
KR20240035183A (en) 2022-09-08 2024-03-15 딕스비전 주식회사 Apparatus for monitoring the biological condition of pregnant breeding cattl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49331A (en) * 1999-10-26 2000-08-05 박강수 Auto pursuit microphone equipment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49331A (en) * 1999-10-26 2000-08-05 박강수 Auto pursuit microphone equipment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2653B1 (en) 2011-09-09 2012-04-03 (주) 대호아이앤티 Nameplate and monitoring system for conference and method thereof
KR101299947B1 (en) 2013-07-03 2013-08-29 성준오 Video conference system with electric lamp
KR20190048291A (en) 2017-10-31 2019-05-09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System and method for video conference using image clipping
CN112540560A (en) * 2020-11-30 2021-03-23 国网四川省电力公司达州供电公司 Automatic control switch device for video conference terminal
KR102326212B1 (en) 2021-05-25 2021-11-12 김우영 Non-face-to-face online and offline video conference system
KR20230131513A (en) 2022-03-07 2023-09-14 (주)스마일게이트스토브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video conferencing service based on multi-resource
CN115278148A (en) * 2022-06-27 2022-11-01 国家电网有限公司信息通信分公司 Video conference monitoring method based on distributed matrix
KR20240035183A (en) 2022-09-08 2024-03-15 딕스비전 주식회사 Apparatus for monitoring the biological condition of pregnant breeding catt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3963B1 (en) Image conference system
US20210142072A1 (en) Monitoring system and monitoring method
US7460150B1 (en) Using gaze detection to determine an area of interest within a scene
US8233027B2 (en) Video conference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US20120236160A1 (en) Remote studio management and control
JP6152961B1 (en) Video conferencing equipment
EP2293559A2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video call
KR20180048982A (en) Devices for video-conferences
JP4474488B1 (en) Audio receiving apparatus, audio processing method, program, and audio receiving system
KR100891449B1 (en) Video conference system with remote control of camera/wireless mic and electronic voting function and method there of
JP2009017330A (en) Video conference system, video conference method, and video conference program
JP2009246528A (en) Voice communication system with image, voice communication method with image, and program
JP2008288962A (en) Television receiver
KR101374217B1 (en) Video conference system based on video wall
CN203482320U (en) Video doorbell apparatus with a plurality of cameras
JPH09307870A (en) Camera automatic direction controller in video conference system
JP2007060015A (en) Interphone system
JP3846660B2 (en) Camera control device
WO2011087356A2 (en) Video conferencing using single panoramic camera
KR101631911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ocating the remote control using loaded PTZ camera
RU34835U1 (en) Video conferencing system
JP4966143B2 (en) Intercom system
KR100353768B1 (en) Auto pursuit microphone equipment
KR100525249B1 (en) Remote video conferrence system
KR100292569B1 (en) Portable Digital Video Monitor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6

Year of fee payment: 8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30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