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3392B1 - Apparatus for displaying three-dimensional image and method for controlling location of display in the apparatus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displaying three-dimensional image and method for controlling location of display in the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3392B1
KR100943392B1 KR1020080002550A KR20080002550A KR100943392B1 KR 100943392 B1 KR100943392 B1 KR 100943392B1 KR 1020080002550 A KR1020080002550 A KR 1020080002550A KR 20080002550 A KR20080002550 A KR 20080002550A KR 100943392 B1 KR100943392 B1 KR 1009433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display unit
display
distance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255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90076539A (en
Inventor
서나미
정원석
양승모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025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3392B1/en
Publication of KR200900765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653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33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3392B1/en

Links

Im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상 재생 장치로부터 출력되는 영상 신호를 디스플레이하는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표시부 위치 조절 명령이 입력되면, 광을 발생하는 발광부, 좌측 눈용 영상과 우측 눈용 영상을 각각 출력하는 제1 표시부 및 제2 표시부, 상기 발광부에 의해 발생된 광의 반사광을 렌즈를 통해 수신하여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광전 변환부, 상기 광전 변환부로부터 전송된 전기 신호를 이용하여 좌우측 눈에 대한 굴절률을 각각 구하고, 상기 구해진 굴절률을 이용하여 동공간 거리를 구한 후 상기 동공간 거리를 포함하는 위치 조절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는 동공거리 측정부 및 상기 동공거리 측정부로부터 위치 조절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메시지에 포함된 동공간 거리에 따라 상기 제1 표시부 및 제2 표시부의 위치를 조절하는 표시부 위치 조절부로 구성된 것으로서, 동공간 거리 조절 문제를 해결하여 HMD의 장시간 착용감 및 몰입감을 증진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tereoscopic image display apparatus displaying an image signal output from an image reproducing apparatus includes: a light emitting unit for generating light, a first display unit for outputting a left eye image and a right eye image, respectively, when a display unit position adjustment command is input; And a second display unit, a photoelectric conversion unit for receiving reflected light of the light generated by the light emitting unit through a lens and converting the light into an electrical signal, and obtaining refractive indices for the left and right eyes using the electrica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photoelectric conversion unit, respectively. After obtaining the pupillary distance using the obtained refractive index and receiving a positional adjustment request message from the pupillary distance measuring unit and the pupillary distance measuring unit that generate a positional control request message including the pupillary distance, the message is included in the message. Display unit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first display unit and the second display unit according to the interspace distance It is composed of a position adjusting unit,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long-term wearing and immersion of the HMD by solving the gap distance control problem.

입체 영상, 동공거리, 표시부, 굴절 Stereoscopic Image, Pupil Distance, Display, Refraction

Description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에서의 표시부 위치 조절 방법{Apparatus for displaying three-dimensional image and method for controlling location of display in the apparatus}Apparatus for displaying three-dimensional image and method for controlling location of display in the apparatus}

본 발명은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에서의 표시부 위치 조절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발광부가 구비된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표시부 위치 조절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발광부에 의해 발생된 광을 이용하여 좌우측 안구의 굴절률을 각각 구하고, 상기 구해진 굴절률을 이용하여 동공간 거리를 구한 후 상기 구해진 동공간 거리에 맞도록 좌우측 표시부의 위치를 조절하여 영상신호가 출력되게 하는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에서의 표시부 위치 조절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ereoscopic image display apparatus and a display unit position adjusting method in the stereoscopic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when a display unit position adjustment command is input in a stereoscopic image display apparatus equipped with a light emitting unit, the light emitting unit generates the display unit. A three-dimensional image display device that obtains the refractive indices of the left and right eyes using the obtained light, and obtains the interpupillary distance using the obtained refractive indices, and then adjusts the positions of the left and right display units to match the obtained interpupillary distance. And a display unit position adjusting method in the stereoscopic image display apparatus.

집적 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다양한 휴대 기기들이 등장하게 되었다. The development of integrated technology has led to the emergence of various portable devices.

테이프 재생 장치, CD 플레이어 등의 음향 재생 장치로 시작하여 휴대 전화 및 MP3 플레이어가 널리 보급되고 있고, 휴대용 게임기도 등장하게 되었다.Beginning with sound playback devices such as tape playback devices and CD players, mobile phones and MP3 players have become widespread, and portable game machines have also emerged.

특히, 휴대 전화의 경우 통신 수단으로서의 용도를 넘어서 다양한 수단으로 이용되기도 하는데, 그 중 시계, 디지털 카메라 및 MP3 플레이어로서의 역할이 대표적이다.In particular, the mobile phone may be used in various ways beyond the use as a communication means, of which the role as a watch, a digital camera and an MP3 player is representative.

가상 현실(Virtual Reality)이란,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축한 가상 공간에서 인간 감각계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공간적, 물리적 제약에 의해 현실 세계에서는 직접 경험하지 못하는 상황을 간접적으로 체험할 수 있도록 만든 정보 활동 분야의 새로운 패러다임 중의 하나이다. Virtual Reality is the field of information activities that indirectly experiences situations that cannot be experienced directly in the real world due to spatial and physical constraints through interactions with the human sensory system in virtual spaces built using computers. Is one of the new paradigms.

가상 현실의 궁극적인 목표는 다양한 입출력 방법을 사용하여 컴퓨터와 인간과의 대화 능력을 높임으로써 컴퓨터와 좀 더 현실적인 통신을 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 데 있다. 컴퓨터와 인간과의 입출력 방법으로는 HMD(Head-Mounted Display), 데이터 글러브(Data Glove) 및 모션 캡쳐(Motion Capture)와 같은 장치가 사용된다. The ultimate goal of virtual reality is to provide a more realistic communication environment with computers by increasing the ability of computers to communicate with humans using various input / output methods. As a method of input / output between a computer and a human, devices such as a head-mounted display (HMD), a data glove, and a motion capture are used.

HMD는 사용자의 머리 움직임에 따른 위치 변화 데이터를 컴퓨터에 송신하여 컴퓨터로 하여금 사용자의 시야에 있을 대상의 크기 및 깊이를 계산하여 시뮬레이션하도록 한다.The HMD transmits position change data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user's head to the computer so that the computer calculates and simulates the size and depth of the object in the user's field of view.

데이터 글러브는 사용자 손의 위치와 방향을 감지하는데, 사용자가 3차원 공간에서 손을 움직이면 데이터 글러브가 데이터의 흐름을 3차원 좌표 형식으로 컴퓨터에 보내고, 컴퓨터는 그 데이터에 대응하는 대상을 조작한다.The data glove detects the position and direction of the user's hand. When the user moves the hand in three-dimensional space, the data glove sends the data flow to the computer in the form of three-dimensional coordinates, and the computer manipulates an object corresponding to the data.

증강 현실(Augmented Reality)이란, 일반적으로 가상 환경 및 가상 현실에서 파생한 용어로서, 실제 환경에 컴퓨터 그래픽 영상을 삽입하여 실세계 영상과 가상의 영상을 혼합한 것을 의미한다. 실세계 정보에는 사용자가 필요로 하지 않는 정보도 있고 때로는 사용자가 필요로 한 정보가 부족할 수도 있다.Augmented Reality is generally a term derived from a virtual environment and a virtual reality, and means a mixture of a real world image and a virtual image by inserting a computer graphic image into the real environment. Real-world information may contain information that the user does not need, and sometimes the user may lack information.

그러나, 컴퓨터로 만든 가상 환경을 이용하면 필요로 하지않는 정보를 단순하게 하거나 보이지 않게 할 수도 있다. 즉, 증강 현실 시스템은 실세계와 가상 세계를 결합함으로써 실시간으로 사용자와 상호 작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However, using computer-generated virtual environments, you can simplify or hide information you don't need. In other words, the augmented reality system combines the real world and the virtual world to allow interaction with the user in real time.

증강 현실의 가장 간단한 형태로는 엔터테인먼트와 뉴스 분야 등에서 응용되고 있다. TV에서 일기예보를 하는 경우 기상캐스터 앞의 날씨 지도가 자연스럽게 바뀌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실제로는 기상 캐스트가 블루스크린(Blue-Screen) 앞에 서 있고 컴퓨터로 만들어진 가상의 영상이 가상 스튜디오 환경을 만들어 증강 현실을 이루어내는 것이다.The simplest form of augmented reality is applied in the fields of entertainment and news. If you're forecasting on TV, you'll see the weather map in front of the weather caster changing naturally. Actually, the weather cast is standing in front of the blue-screen, and the computer-generated virtual footage creates a virtual studio environment for augmented reality. To achieve.

이 밖에도, 자기 공명 영상(Magnetic Resonance Image), 단층 영상(Computed Tomography Image) 및 초음파 영상 등과 같은 간접 검사를 통해 실시간으로 환자의 3차원 데이터를 취득한 후, 취득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렌더링하여 환자와 겹쳐서 표현함으로써 의사로 하여금 환자의 수술을 원활하게 수행하도록 할 수도 있으며, 조종사 헬멧의 바이저(Visor) 또는 조종석의 방풍유리에 가상 영상을 디스플레이하여 조종사에게 조종에 필요한 많은 정보를 알려줄 수도 있다.In addition, 3D data of the patient is acquired in real time through indirect inspection such as magnetic resonance image, computed tomography image, and ultrasound image, and then the acquired data is rendered in real time and overlapped with the patient. By expressing it, the surgeon can perform a patient's operation smoothly. A virtual image can be displayed on the visor of the pilot's helmet or on the windshield of the cockpit to inform the pilot of a lot of information necessary for the operation.

이와 같이, 증강 현실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실제의 영상을 입력받을 수 있는 카메라와 실제 영상과 가상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HMD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가 필요하다. As such, in order to implement augmented reality, a display device such as a camera capable of receiving a real image and an HMD capable of displaying a real image and a virtual image are required.

HMD는 개인용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사용자가 머리에 착용한 상태에서 보다 대형 화면을 즐길 수 있고, 보다 현장감 있고 실감나는 화면을 감상할 수 있게 되었다.As a personal display device, the HMD can enjoy a larger screen while the user wears it on the head, and can enjoy a more realistic and realistic screen.

이러한 HMD 장치는 액정표시장치(LCD) 또는 CRT(Cathode Ray Tube)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가 표시해주는 영상을 정밀한 광학메커니즘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보여주게 된다. The HMD device displays an image displayed by a display device such as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or a cathode ray tube (CRT) to a user by using a precise optical mechanism.

이러한, HMD는 눈과 매우 가까운 위치에 영상 스크린이 위치하기 때문에 매우 짧은 거리에 초점을 맞추어야 함과 아울러 눈에 피로감을 주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매우 정밀한 광학 장치들이 요구된다.Since the HMD has an image screen located very close to the eyes, very precise optical devices are required to focus on a very short distance and to prevent eye fatigue.

그러나 종래의 HMD의 경우 동공간 거리를 조절하는데 있어서 수동적 방법과 인간의 감각에 의존하였기 때문에 제대로 조절되지 않는 상태의 기기를 사용한 경우가 많았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HMD, the apparatus was used in a state in which it was not properly controlled because it relies on the manual method and the human sense in controlling the interpupillary distance.

또한, HMD 표시부의 위치가 제대로 조절되지 않은 상태에서 영상을 보게 되면, 두통이나 구토 등의 부작용으로 이어져 HMD 사용에 있어 착용감, 몰입감을 크게 저하시키는 단점이 있다.In addition, when viewing the image in a state where the position of the HMD display unit is not properly adjusted, it leads to side effects such as headache or vomiting, which greatly reduces the fit and immersion in the use of the HMD.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동공간 거리 조절 문제를 해결하여 HMD의 장시간 착용감 및 몰입감을 증진시키는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에서의 표시부 위치 조절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and a display unit position adjusting method in the 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to solve the problem of coordination distance to improve the long-term wearing and immersion of the HMD.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안구의 굴절률을 이용하여 동공간 거리를 구하고, 상기 구해진 동공간 거리를 이용하여 표시부의 위치를 조절하는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에서의 표시부 위치 조절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obtain a pupillary distance by using the refractive index of the eyeball, and to provide a stereoscopic image display apparatus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display unit using the obtained pupillary distance and a display unit position adjusting method in the stereoscopic image display apparatus. It is.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에 따라 다른 동공간 거리를 이용하여 HMD 표시부의 위치 조절이 가능한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에서의 표시부 위치 조절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tereoscopic image display apparatus capable of adjusting the position of an HMD display unit using a pupil distance different according to a user, and a display unit position adjusting method in the stereoscopic image display apparatus.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영상 재생 장치로부터 출력되는 영상 신호를 디스플레이하는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표시부 위치 조절 명령이 입력되면, 광을 발생하는 발광부, 좌측 눈용 영상과 우측 눈용 영상을 각각 출력하는 제1 표시부 및 제2 표시부, 상기 발광부에 의해 발생된 광의 반사광을 렌즈를 통해 수신하여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광전 변환부, 상기 광전 변환부로부터 전송된 전기 신호를 이용하여 좌우측 눈에 대한 굴절률을 각각 구하고, 상기 구해진 굴절률을 이용하여 동공간 거리를 구한 후 상기 동공간 거리를 포함하는 위치 조절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는 동공거리 측정부 및 상기 동공거리 측정부로부터 위치 조절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메시지에 포함된 동공간 거리에 따라 상기 제1 표시부 및 제2 표시부의 위치를 조절하는 표시부 위치 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이 제공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chieve the above object, in the three-dimensional image display apparatus for displaying an image signal output from the image reproducing apparatus, the light emitting unit for generating light, the left eye image for generating a light when the display position adjustment command is input A first display unit and a second display unit for outputting an image for the right eye, and a photoelectric conversion unit for receiving the reflected light of the light generated by the light emitting unit through a lens and converting the light into an electrical signal, and an electrica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photoelectric conversion unit. Obtain a refractive index for each of the left and right eyes using the obtained refractive index, and obtain a pupillary distance using the obtained refractive index, and then adjust the position from the pupillary distance measuring unit and the pupillary distance measurement unit to generate a position adjustment request message including the pupillary distance. When a request message is received, the request message is received according to the interpupillary distance included in the message. Provided is a 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comprising a display portion position adjusting portion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first display portion and the second display portion.

상기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영상 재생 장치로부터 출력되는 영상 신호의 싱크를 분리하는 싱크 분리부, 상기 싱크 분리부에서 출력되는 영상 신호가 상기 제1 표시부 및 제2 표시부에 디스플레이 가능하도록 처리하는 영상 신호 처리부, 상기 싱크 분리부에서 출력되는 필드신호에 따라 상기 발광부를 필드의 동기신호에 맞추어 각각 순차적으로 교번구동시켜 상기 영상 신호 처리부로부터 전송된 영상을 상기 제1 표시부 및 제2 표시부에 출력하도록 구동하는 제1 및 제2 표시부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stereoscopic image display apparatus may include a sink separator that separates the sinks of the image signals output from the image reproducing apparatus, and a video signal that processes the image signals output from the sink separators to be displayed on the first display unit and the second display unit. A processor is configured to alternately drive the light emitters sequentially in accordance with a field signal output from the sink separator to output an image transmitted from the image signal processor to the first display unit and the second display unit. It further comprises a first and second display unit driver.

상기 발광부는 착탈식, 접이식 중 하나의 방식으로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1 표시부에 대응하는 제1 발광부 및 상기 제2 표시부에 대응하는 제2 발광부로 구성된다. The light emitting unit is installed in one of a detachable and foldable manner, and includes a first light emitting unit corresponding to the first display unit and a second light emitting unit corresponding to the second display unit.

상기 제1 표시부 및 제2 표시부는 상기 표시부 위치 조절 명령이 입력되면, 화면에 눈금이 표시되고, 상기 표시부 위치 조절부의 제어에 의해 움직일 수 있다. When the display unit position adjustment command is input, the first display unit and the second display unit may display a scale on the screen, and may move under the control of the display unit position adjuster.

상기 광전 변환부는 상기 제1 표시부에 대응하는 제1 발광부에 의해 발생된 광의 반사광을 렌즈를 통해 수신하여 제1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제1 광전 변환부, 상기 제2 표시부에 대응하는 제2 발광부에 의해 발생된 광의 반사광을 렌즈를 통해 수신하여 제2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제2 광전 변환부를 포함한다. The photoelectric conversion unit receives a reflected light of light generated by the first light emitting unit corresponding to the first display unit through a lens and converts the first photoelectric conversion unit into a first electric signal, and a second light emiss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display unit. And a second photoelectric conversion unit which receives the reflected light of the light generated by the unit through the lens and converts the reflected light into a second electric signal.

상기 동공 거리 측정부는 상기 제1 광전 변환부 및 상기 제2 광전 변환부로부터 전송된 제1 전기 신호 및 제2 전기 신호를 이용하여 좌우측 눈에 대한 각각의 굴절률을 구하고, 그 구해진 굴절률을 이용하여 좌우측 눈의 중심을 각각 구한 후 상기 구해진 좌측 눈 중심과 우측 눈 중심간의 거리를 구하여 그 구해진 거리를 동공간 거리로 한다. The pupil distance measuring unit obtains respective indices of refraction for the left and right eyes using the first and second electrical signals transmitted from the first photoelectric converter and the second photoelectric converter, and uses the obtained refractive indices. After calculating the centers of the eyes, the distance between the obtained left eye center and the right eye center is obtained, and the obtained distance is defined as the interspace distance.

또한, 상기 동공 거리 측정부는 상기 구해진 좌우측 눈 각각의 굴절률에 대하여 굴절률이 가장 높은 영역을 눈의 중심이라고 판단한다. In addition, the pupil distance measuring unit determines that the region having the highest refractive index with respect to each of the obtained refractive indices of the left and right eyes is the center of the eye.

또한, 상기 동공 거리 측정부는 상기 구해진 동공간 거리가 현재 설정되어 있는 제1 표시부 및 제2 표시부간의 거리와 상응하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결과 상응하지 않으면, 상기 구해진 동공간 거리를 포함하는 위치 조절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표시부 위치 조절부에 전송한다. In addition, the pupil distance measuring unit determines whether the obtained pupillary distance corresponds to a distance between the first display unit and the second display unit currently set, and if it does not correspond to the determination result, the position adjustment request including the obtained pupillary distance. A message is generated and sent to the display position controller.

상기 표시부 위치 조절부는 스탭 모터(step motor)일 수 있다. The display part position adjusting part may be a step motor.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발광부가 구비된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좌측 눈용 영상과 우측 눈용 영상을 각각 출력하는 제1 및 제2 표시부의 위치를 조절하는 방법에 있어서, (a)표시부 위치 조절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발광부에 의해 발생된 광을 이용하여 좌우측 눈의 굴절률을 각각 구하는 단계, (b)상기 구해진 굴절률을 이용하여 동공간 거리를 구하는 단계, (c)상기 구해진 동공간 거리에 맞도록 상기 제1 및 제2 표시부의 위치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에서의 표시부 위치 조절 방법이 제공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method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first and second display unit for outputting the left eye image and the right eye image, respectively, in the three-dimensional image display device equipped with a light emitting unit, (a) display unit position adjustment command When the input, input the refractive index of the left and right eyes using the light generated by the light emitting unit, (b) calculating the interpupillary distance using the obtained refractive index, (c) fit the obtained interpupillary distance And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first and second display units so as to adjust the position of the display unit in the stereoscopic image display apparatus.

상기 (a)단계는, 상기 표시부 위치 조절 명령을 입력하면, 상기 발광부을 동작시켜 광을 발생시키는 단계, 상기 발생된 광의 반사광을 전기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전기 신호를 이용하여 좌우측 눈에 대한 굴절률을 각각 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In the step (a), when the display unit position control command is input, generating light by operating the light emitting unit, converting the reflected light of the generated light into an electric signal, and using the converted electric signal to the left and right eyes. Obtaining a refractive index for each.

상기 (b)단계는, 상기 구해진 좌우측 눈 각각의 굴절률에 대하여 굴절률이 가장 높은 영역을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된 영역을 눈의 중심이라고 판단하여 좌우측 눈 중심간의 거리를 구하고, 그 구해진 거리를 동공간 거리로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In the step (b), determining a region having the highest refractive index with respect to each of the obtained refractive indices of the left and right eyes, determining the determined area as the center of the eye, obtaining a distance between the left and right eye centers, and calculating the calculated distance. A step of making a spatial distance is included.

상기 구해진 동공간 거리에 맞도록 상기 제1 및 제2 표시부의 위치를 조절하는 것은, 상기 제1 및 제2 표시부의 중앙이 굴절률이 가장 높은 영역이 되도록 위치를 조절하는 것을 말한다.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first and second display units to match the obtained interpupillary distance means adjusting the position such that the center of the first and second display units is the region having the highest refractive index.

따라서, 본 발명은 동공간 거리 조절 문제를 해결하여 HMD의 장시간 착용감 및 몰입감을 증진시키는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에서의 표시부 위치 조절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that improves the long-term wearing and immersion of the HMD by solving the space distance adjustment problem, and a method of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display unit in the 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또한, 안구의 굴절률을 이용하여 동공간 거리를 구하고, 상기 구해진 동공간 거리를 이용하여 표시부의 위치를 조절하는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에서의 표시부 위치 조절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A stereoscopic image display apparatus for obtaining a pupillary distance using the refractive index of an eyeball and adjusting a position of a display unit using the obtained pupillary distance and a display unit position adjusting method in the stereoscopic image display apparatus can be provided.

또한, 사용자에 따라 다른 동공간 거리를 이용하여 HMD 표시부의 위치 조절 이 가능한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에서의 표시부 위치 조절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tereoscopic image display apparatus capable of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HMD display unit using a pupil space distance according to a user, and a display unit position adjusting method in the stereoscopic image display apparatus.

본 발명의 전술한 목적과 기술적 구성 및 그에 따른 작용 효과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본 발명의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에 의거한 이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Details of the above-described objects and technical configur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effects thereof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more clearly understood by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based on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표시부 위치 조절 명령 선택에 의해 표시부에 출력되는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stereoscopic image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reen output to a display unit by selecting a display unit position adjustment comm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는 영상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영상 신호의 싱크를 분리하는 싱크(sync) 분리부(100), 상기 싱크 분리부(100)에서 출력되는 영상 신호를 디스플레이 가능하도록 처리하는 영상 신호 처리부(110), 상기 영상 신호 처리부(110)에서 처리된 영상 신호를 디스플레이하는 제1 및 제2 표시부(120a, 120b), 상기 제1 및 제2 표시부(120a, 120b) 각각에 대응되는 발광부(150a, 150b), 상기 싱크 분리부(100)에서 출력되는 각 필드신호에 따라 상기 두개의 발광부(150a, 150b)를 필드의 동기신호에 맞추어 각각 순차적으로 교번구동시켜 상기 영상 신호 처리부(110)로부터 전송된 영상을 표시하도록 구동하는 제1 및 제2 표시부 구동부(180a, 180b), 상기 발광부(150a, 150b)에 의해 발광된 광을 이용하여 동공간의 거리를 구하는 동공 거리 측정부(190), 상기 동공 거리 측정부(190)에 의해 측정된 동공 거리에 맞도록 상기 제1 및 제2 표시부(120a, 120b)의 위치를 조정하는 제1 및 제2 표시부 위치 조절부(200a, 200b)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when a video signal is input, the 3D image display apparatus may display a sync separation unit 100 separating the sync of the video signal and an image signal output from the sync separating unit 100. The image signal processor 110, the first and second display units 120a and 120b that display the image signal processed by the image signal processor 110, and the first and second display units 120a and 120b, respectively. The light emitting units 150a and 150b corresponding to the light emitting units 150a and 150b alternately drive the two light emitting units 150a and 150b in order to match the field synchronization signals. Using the light emitted by the first and second display unit drivers 180a and 180b and the light emitters 150a and 150b to display the image transmitted from the image signal processor 110, the distance of the pupil space is obtained. Pupil distance measuring unit 190, phase And first and second display unit position adjusting units 200a and 200b for adjusting posi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display units 120a and 120b to fit the pupil distance measured by the pupil distance measuring unit 190. .

상기 제1 및 제2 표시부(120a, 120b)에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은 제1 접안 광학계(130a) 및 제2 접안 광학계(130b)에 의한 상으로서, 좌측 눈(140a)과 우측 눈(140b)을 통해 사용자에게 인식되도록 이루어진다. The images displayed on the first and second display units 120a and 120b are images of the first eyepiece system 130a and the second eyepiece system 130b and are provided through the left eye 140a and the right eye 140b. It is made to be recognized by the user.

상기 발광부(150a, 150b)는 LED, 적외선 등의 발광 장치를 말하는 것으로서, 접이식 또는 착탈식의 형태일 수 있다.The light emitting units 150a and 150b refer to light emitting devices such as LEDs and infrared rays, and may be of a folding type or a removable type.

또한, 상기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발광부(150a, 150b)에 의해 발광된 투사광의 반사광을 렌즈(160a, 160b)를 통해 수광하는 광전 변환부(170a, 170b)를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stereoscopic image display apparatus includes photoelectric conversion units 170a and 170b for receiving the reflected light of the projection light emitted by the light emitting units 150a and 150b through the lenses 160a and 160b.

상기 광전 변환부(170a, 170b)는 상기 렌즈(160a, 160b)를 통해 수광하는 반사광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동공 거리 측정부(190)에 전송한다. The photoelectric converters 170a and 170b convert the reflected light received through the lenses 160a and 160b into electrical signals and transmit the converted light to the pupil distance measuring unit 190.

즉, 상기 광전 변환부(170a, 170b)는 상기 제1 표시부(120a)에 대응하는 제1 발광부(150a)에 의해 발생된 광의 반사광을 제1 렌즈(160a)를 통해 수신하여 제1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제1 광전 변환부(170a), 상기 제2 표시부(120b)에 대응하는 제2 발광부(150b)에 의해 발생된 광의 반사광을 제2 렌즈(160b)를 통해 수신하여 제2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제2 광전 변환부(170b)를 포함한다. That is, the photoelectric converters 170a and 170b receive the reflected light of the light generated by the first light emitting unit 150a corresponding to the first display unit 120a through the first lens 160a to receive the first electrical signal. A second electrical signal by receiving the reflected light of the light generated by the first photoelectric conversion unit 170a and the second light emitting unit 150b corresponding to the second display unit 120b through the second lens 160b. The second photoelectric converter 170b to convert to.

따라서, 제1 광전 변환부(170a)는 상기 제1 렌즈(160a)를 통해 수광하는 반사광을 제1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동공 거리 측정부(190)에 전송한다. 또한, 제2 광전 변환부(170b)는 상기 제2 렌즈(160b)를 통해 수광하는 반사광을 제2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동공 거리 측정부(190)에 전송한다. Accordingly, the first photoelectric converter 170a converts the reflected light received through the first lens 160a into a first electric signal and transmits the converted light to the pupil distance measuring unit 190. In addition, the second photoelectric converter 170b converts the reflected light received through the second lens 160b into a second electric signal and transmits the converted light to the pupil distance measuring unit 190.

상기 동공 거리 측정부(190)는 상기 발광부(150a, 150b)에 의해 발광된 광에 의해 안구의 굴절률을 구하고, 상기 구해진 굴절률을 이용하여 동공간 거리를 구한다.The pupil distance measuring unit 190 obtains the refractive index of the eye by the light emitted by the light emitting units 150a and 150b, and obtains the pupillary distance using the obtained refractive index.

즉, 상기 동공 거리 측정부(190)는 상기 제1 광전 변환부(170a)로부터 전송된 제1 전기 신호를 이용하여 좌측 눈(140a)의 굴절률을 구하고, 그 구해진 굴절률을 이용하여 좌측 눈(140a)의 중심을 구한다. 그리고, 상기 동공 거리 측정부(190)는 상기 제2 광전 변환부(170b)로부터 전송된 제2 전기 신호를 이용하여 우측 눈(140b)의 굴절률을 구하고, 그 구해진 굴절률을 이용하여 우측 눈(140b)의 중심을 구한다. 여기서, 굴절률이 높으면 눈의 중심을 말하고, 그 주변은 눈 중심의 굴절률보다 낮다. 따라서, 상기 동공 거리 측정부(190)는 상기 좌우 눈 각각에 대하여 굴절률이 가장 높은 영역을 각 눈의 중심이라고 판단한다. That is, the pupil distance measuring unit 190 obtains the refractive index of the left eye 140a by using the first electrica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first photoelectric converter 170a, and uses the obtained refractive index to determine the left eye 140a. Find the center of The pupil distance measuring unit 190 obtains a refractive index of the right eye 140b using the second electrica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econd photoelectric converter 170b, and uses the obtained refractive index to right eye 140b. Find the center of Here, when the refractive index is high, it refers to the center of the eye, and the periphery thereof is lower than the refractive index of the center of the eye. Therefore, the pupil distance measuring unit 190 determines that the region having the highest refractive index with respect to each of the left and right eyes is the center of each eye.

그런 다음 상기 동공 거리 측정부(190)는 상기 구해진 좌측 눈(140a)의 중심과 우측 눈(140b)의 중심간의 거리를 구한다. 상기 구해진 좌우 눈 중심간의 거리가 동공간 거리일 수 있다. Then, the pupil distance measuring unit 190 obtains a distance between the center of the obtained left eye 140a and the center of the right eye 140b. The distance between the obtained left and right eye centers may be a pupil space distance.

상기와 같이 상기 동공 거리 측정부(190)는 좌우 눈(140a, 140b) 각각에 대하여 굴절률을 계산하여 동공간 거리를 구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pupil distance measuring unit 190 calculates a refractive index for each of the left and right eyes 140a and 140b to obtain the pupillary distance.

그런 다음 상기 동공 거리 측정부(190)는 상기 구해진 동공간 거리에 맞도록 상기 제1 및 제2 표시부 위치 조절부(200a, 200b)에 위치 조절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 상기 위치 조절 요청 메시지는 동공간 거리를 포함한다.Then, the pupil distance measuring unit 190 transmits a position adjustment request message to the first and second display unit position adjusting units 200a and 200b to fit the obtained pupil space distance. The position adjustment request message includes a pupil space distance.

또한, 상기 동공 거리 측정부(190)는 상기 구해진 동공간 거리가 현재 설정되어 제1 및 제2 표시부(120a, 120b)간의 거리와 상응하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판 단결과 상응하지 않으면, 상기 구해진 동공간 거리를 포함하는 위치 조절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제1 및 제2 표시부 위치 조절부(200a, 200b)에 전송한다.Also, the pupil distance measuring unit 190 determines whether the obtained pupillary distance is currently set to correspond to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display units 120a and 120b. If the pupil distance measuring unit 190 does not correspond to the determination result, the pupil pupil is determined. A position adjustment request message including a space distance is generated and transmitted to the first and second display unit position adjusting units 200a and 200b.

그러면, 상기 제1 및 제2 표시부 위치 조절부(200a, 200b)는 상기 위치 조절 메시지에 포함된 동공간 거리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표시부(120a, 120b)의 위치를 조절한다. 상기 제1 및 제2 표시부 위치 조절부(200a, 200b)는 step motor일 수 있다. Then, the first and second display unit position adjusting units 200a and 200b adjust the posi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display unit 120a and 120b according to the interspace distance included in the position adjusting message. The first and second display unit position adjusting units 200a and 200b may be step motors.

상기 제1 및 제2 표시부(120a, 120b)는 상기 제1 및 제2 표시부 위치 조절부(200a, 200b)의 제어에 의해 움직일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다.The first and second display units 120a and 120b are provided to be moved by the control of the first and second display unit position adjusting units 200a and 200b.

상기와 같이 구성된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에 의해 표시부 위치 조절 명령이 입력되면, 동공간 거리를 구하기 위하여 상기 제1 및 제2 표시부(120a, 120b)에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눈금으로 표시된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도록 한다.In the stereoscopic image display apparatus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hen a display position adjustment command is input by a user, a screen displayed in scale on the first and second display units 120a and 120b as shown in FIG. To be displayed.

도 2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를 쓴 상태에서 표시부 위치 조절 명령을 선택하면, 제1 및 제2 표시부(120a, 120b) 각각에 눈금이 있는 화면이 디스플레이되고, 상기 동공 거리 측정부(190)는 상기 제1 및 제2 표시부(120a, 120b)에 출력된 눈금을 이용하여 동공간 거리를 구하게 된다. Referring to FIG. 2, when a user selects a display unit position adjustment command while using a stereoscopic image display apparatus, a screen having a scale is displayed on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display units 120a and 120b, and the pupil distance measuring unit is displayed. In operation 190, the interspace distance is obtained using the scales output to the first and second display units 120a and 120b.

상기와 같이 제1 및 제2 표시부(120a, 120b)의 위치가 조절되면, 상기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는 순차적으로 기록된 영상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싱크 분리부(100)를 통해 싱크 신호를 분리한다.When the posi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display units 120a and 120b are adjusted as described above, the stereoscopic image display apparatus receives the sequentially recorded image signals and separates the sync signals through the sink separator 100.

그리고 상기 싱크 분리부(100)에서 출력되는 영상 신호는 상기 제1 및 제2 표시부(120a, 120b)를 구동하는 제1 및 제2 표시부 구동부(180a, 180b)에 입력되어 영상을 표시하게 된다. The image signal output from the sink separating unit 100 is input to the first and second display unit drivers 180a and 180b driving the first and second display units 120a and 120b to display an image.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에 존재하는 제1 표시부 위치 조절부(200a)와 제2 표시부 위치 조절부(200b)를 하나의 표시부 위치 조절부로 하여 상기 동공 거리 측정부(190)로부터 전송된 위치 조절 요청 메시지의 동공 거리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표시부(120a, 120b)의 위치를 조절할 수도 있다.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upil distance measuring unit using the first display unit position adjusting unit 200a and the second display unit position adjusting unit 200b existing in the stereoscopic image display apparatus as one display unit position adjusting unit. The posi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display units 120a and 120b may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pupil distance of the position adjustment request message transmitted from 190.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가 표시부의 위치를 조절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adjusting a position of a display unit in the stereoscopic image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에 의해 표시부 위치 조절 명령이 입력되면(S300), 발광부에 의해 발광된 광을 이용하여 좌우 눈 각각에 대한 안구의 굴절률을 구한다(S302). Referring to FIG. 3, when the display unit position control command is input by the user (S300), the stereoscopic image display apparatus obtains the refractive index of each of the left and right eyes using the light emitted by the light emitting unit (S302).

즉, 상기 사용자가 표시부 위치 조절 명령을 선택하면, 상기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는 발광부을 동작시켜 광을 발생시킨 후, 상기 광을 이용하여 좌우 눈 각각에 대한 안구의 굴절률을 구한다. That is, when the user selects the display unit position control command, the stereoscopic image display apparatus generates light by operating the light emitter, and then uses the light to calculate the refractive index of each eye.

그런 다음 상기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구해진 좌우 눈에 대한 굴절률을 이용하여 동공간 거리를 구한다(S304). Then, the 3D image display apparatus obtains a pupillary distance using the obtained refractive indices for the left and right eyes (S304).

즉, 굴절률이 높으면 눈의 중심을 말하고, 주변은 눈 중심의 굴절률보다 낮다. 따라서, 상기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구해진 좌우 눈 각각에 대하 여 굴절률이 가장 높은 영역을 판단한다. In other words, when the refractive index is high, it refers to the center of the eye, and the periphery is lower than the refractive index of the center of the eye. Accordingly, the stereoscopic image display apparatus determines a region having the highest refractive index for each of the obtained left and right eyes.

그런 다음 상기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판단된 영역을 눈의 중심이라고 판단하여 좌우 눈 중심간의 거리를 구한다. 상기 구해진 좌우 눈 중심간의 거리가 동공간 거리일 수 있다. Then, the 3D image display apparatus determines the determined region as the center of the eye and calculates the distance between the left and right eye centers. The distance between the obtained left and right eye centers may be a pupil space distance.

상기 S304를 통해 동공간 거리가 구해지면, 상기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구해진 동공간 거리에 맞도록 상기 표시부의 위치를 조절한다(S306). When the pupillary distance is obtained through the step S304, the stereoscopic image display apparatus adjusts the position of the display unit to match the calculated pupillary distance (S306).

즉, 상기 표시부는 수평 및 수직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는 굴절률이 가장 높은 영역이 각 표시부의 중앙이 되도록 상기 표시부를 움직여서 그 위치를 조절한다. That is, since the display unit is installed to move i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the stereoscopic image display apparatus moves the display unit so that the region having the highest refractive index is at the center of each display unit and adjusts its position.

그런 다음 상기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영상을 디스플레이한다(S308). Then, the 3D image display apparatus displays an image selected by the user (S308).

상기와 같이 좌측 눈에 해당하는 제1 표시부와 우측 눈에 해당하는 제2 표시부의 위치를 사용자의 동공 거리를 이용하여 조절하면, HMD의 장시간 착용감 및 몰입감을 증진시킬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by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first display unit corresponding to the left eye and the second display unit corresponding to the right eye by using the user's pupil distance, the long-term wearing and immersion feeling of the HMD can be enhanced.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As such,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thereof. Therefor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to be understood as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as restric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by the following claims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o.

본 발명에 따른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에서의 표시부 위치 조절 방법은 사용자에 따라 다른 동공간 거리를 이용하여 좌우 표시부의 위치를 조절하여 사용자의 눈 위치에 맞게 영상 신호를 출력하므로, 입체 영상의 장시간 착용감 및 몰입감을 증진시키고자 하는 기술, 증강 현실 또는 가상 현실을 위한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사용자에 따라 다른 동공간 거리를 이용한 표시부의 위치 조절이 필요한 기술 등에 적용할 수 있다. In the stereoscopic image display apparatus and the method of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display unit in the stereoscopic image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position of the left and right display units are adjusted by using a pupil distance according to the user, an image signal is output according to the eye position of the us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pplied to a technique for improving long-term wearing and immersion of a stereoscopic image, a 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for augmented reality or virtual reality, and a technique requiring position adjustment of a display unit using a different pupil distance according to a use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tereoscopic image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표시부 위치 조절 명령 선택에 의해 표시부에 출력되는 화면을 나타낸 도면.2 is a view showing a screen output to the display by selecting the display position control comm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가 표시부의 위치를 조절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adjusting a position of a display unit by a stereoscopic image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 싱크 분리부 110 : 영상 처리부100: sink separation unit 110: image processing unit

120a, 120b : 표시부 130a, 130b : 접안 광학계120a, 120b: Display part 130a, 130b: Eyepiece optical system

150a, 150b : 발광부 160a, 160b : 렌즈 150a, 150b: light emitting unit 160a, 160b: lens

170a, 170b : 광전 변환부 180a, 180b : 표시부 구동부170a, 170b: photoelectric conversion unit 180a, 180b: display unit driver

190 : 동공 거리 측정부 200a, 200b : 표시부 위치 조절부190: pupil distance measuring unit 200a, 200b: display unit position adjusting unit

Claims (16)

영상 재생 장치로부터 출력되는 영상 신호를 디스플레이하는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A stereoscopic image display apparatus displaying an image signal output from an image reproducing apparatus, 표시부 위치 조절 명령이 입력되면, 광을 발생하는 발광부;A light emitting unit for generating light when a display unit position control command is input; 좌측 눈용 영상과 우측 눈용 영상을 각각 출력하는 제1 표시부 및 제2 표시부;A first display unit and a second display unit for outputting a left eye image and a right eye image, respectively; 상기 발광부에 의해 발생된 광의 반사광을 렌즈를 통해 수신하여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광전 변환부;A photoelectric conversion unit receiving the reflected light of the light generated by the light emitting unit through a lens and converting the light into an electrical signal; 상기 광전 변환부로부터 전송된 전기 신호를 이용하여 좌우측 눈에 대한 굴절률을 각각 구하고, 상기 구해진 굴절률을 이용하여 좌우측 눈의 중심을 각각 구한 후 상기 구해진 좌측 눈 중심과 우측 눈 중심간의 거리 측정을 통해, 동공간 거리를 구한 후 상기 동공간 거리를 포함하는 위치 조절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는 동공거리 측정부;및By using the electrica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photoelectric conversion unit to obtain the refractive index for the left and right eyes, respectively, using the obtained refractive index to obtain the center of the left and right eyes, respectively, by measuring the distance between the obtained left eye center and the right eye center, A pupil distance measuring unit configured to obtain a pupil distance and generate a position adjustment request message including the pupil distance; and 상기 동공거리 측정부로부터 위치 조절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메시지에 포함된 동공간 거리에 따라 상기 제1 표시부 및 제2 표시부의 위치를 조절하는 표시부 위치 조절부When the position adjustment request message is received from the pupil distance measuring unit, the display unit position adjusting unit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first display unit and the second display unit according to the pupil space distance included in the message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영상 재생 장치로부터 출력되는 영상 신호의 싱크를 분리하는 싱크 분리부;A sink separator for separating the sink of the video signal output from the video reproducing apparatus; 상기 싱크 분리부에서 출력되는 영상 신호가 상기 제1 표시부 및 제2 표시부에 디스플레이 가능하도록 처리하는 영상 신호 처리부;및An image signal processor configured to process the image signal output from the sink separator to be displayed on the first display unit and the second display unit; and 상기 싱크 분리부에서 출력되는 필드신호에 따라 상기 발광부를 필드의 동기신호에 맞추어 각각 순차적으로 교번구동시켜 상기 영상 신호 처리부로부터 전송된 영상을 상기 제1 표시부 및 제2 표시부에 출력하도록 구동하는 제1 및 제2 표시부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A first driving to sequentially output the light emitting unit in accordance with the field signal output from the sink separating unit in accordance with the synchronization signal of the field to output an image transmitted from the image signal processing unit to the first display unit and the second display unit; And a second display unit driver.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발광부는 착탈식, 접이식 중 하나의 방식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The light emitting unit is a 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nstalled in one of the removable, foldable manner.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발광부는 상기 제1 표시부에 대응하는 제1 발광부; 상기 제2 표시부에 대응하는 제2 발광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The light emitting unit may include a first light emitting unit corresponding to the first display unit; And a second light emitting unit corresponding to the second display unit.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1 표시부 및 제2 표시부에는 상기 표시부 위치 조절 명령이 입력되면, 화면에 눈금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And a scale is displayed on the screen when the display position control command is input to the first display unit and the second display unit.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1 표시부 및 제2 표시부는 상기 표시부 위치 조절부의 제어에 의해 움직일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And the first display unit and the second display unit are installed to be moved by the control of the display unit position adjusting unit.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광전 변환부는 상기 제1 표시부에 대응하는 제1 발광부에 의해 발생된 광의 반사광을 렌즈를 통해 수신하여 제1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제1 광전 변환부;The photoelectric conversion unit may include a first photoelectric conversion unit receiving the reflected light of the light generated by the first light emitting unit corresponding to the first display unit through a lens and converting the light into a first electric signal; 상기 제2 표시부에 대응하는 제2 발광부에 의해 발생된 광의 반사광을 렌즈를 통해 수신하여 제2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제2 광전 변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And a second photoelectric conversion unit which receives the reflected light of the light generated by the second light emitting unit corresponding to the second display unit through a lens and converts the converted light into a second electrical signal.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동공 거리 측정부는 제1 광전 변환부 및 제2 광전 변환부로부터 전송된 제1 전기 신호 및 제2 전기 신호를 이용하여 좌우측 눈에 대한 각각의 굴절률을 구하고, 그 구해진 굴절률을 이용하여 좌우측 눈의 중심을 각각 구한 후 상기 구해진 좌측 눈 중심과 우측 눈 중심간의 거리를 구하여 동공간 거리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The pupil distance measuring unit obtains respective indices of refraction for the left and right eyes using the first and second electrical signals transmitted from the first photoelectric converter and the second photoelectric converter, and uses the obtained refractive indices for the left and right eyes. And calculating a distance between the obtained left eye center and the right eye center after obtaining the centers, respectively, to obtain a pupil space distance. 제8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동공 거리 측정부는 상기 구해진 좌우측 눈 각각의 굴절률에 대하여 굴절률이 가장 높은 영역을 눈의 중심이라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And the pupil distance measuring unit determines a region having the highest refractive index with respect to the obtained refractive indices of the left and right eyes as the center of the eye.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동공 거리 측정부는 상기 구해진 동공간 거리가 현재 설정되어 있는 제1 표시부 및 제2 표시부간의 거리와 상응하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결과 상응하지 않으면, 상기 구해진 동공간 거리를 포함하는 위치 조절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표시부 위치 조절부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The pupil distance measuring unit determines whether the obtained pupillary distance corresponds to a distance between the currently set first display part and the second display part, and if it does not correspond to the determined result, the pupil distance measurement part includes a position adjustment request message including the obtained pupillary distance. And generating and transmitting the generated image to the display position adjusting unit.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표시부 위치 조절부는 스탭 모터(step moto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And the display unit position adjusting unit is a step motor.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표시부 위치 조절부는 제1 표시부 및 제2 표시부에 각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And the display unit position adjusting unit is provided in the first display unit and the second display unit, respectively. 발광부가 구비된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좌측 눈용 영상과 우측 눈용 영상을 각각 출력하는 제1 및 제2 표시부의 위치를 조절하는 방법에 있어서, In the method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first and second display unit for outputting the left eye image and the right eye image, respectively, in the three-dimensional image display device equipped with a light emitting unit, (a)표시부 위치 조절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발광부에 의해 발생된 광을 이용하여 좌우측 눈의 굴절률을 각각 구하는 단계;(a) obtaining a refractive index of left and right eyes using light generated by the light emitter when a display position control command is input; (b)상기 구해진 굴절률을 이용하여 눈의 중심을 판단한 후, 좌우측 눈 중심간의 거리를 구하고, 그 구해진 거리를 동공간 거리로 하는 단계;및(b) determining the center of the eye using the obtained refractive indices, obtaining a distance between the left and right eye centers, and using the obtained distance as the interspace distance; and (c)상기 동공간 거리에 맞도록 상기 제1 및 제2 표시부의 위치를 조절하는 단계(c)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first and second display units to match the interspace distance;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에서의 표시부 위치 조절 방법.Position adjustment method of the display unit in the 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comprising a. 제13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3, 상기 (a)단계는, In step (a), 상기 표시부 위치 조절 명령을 입력하면, 상기 발광부을 동작시켜 광을 발생시키는 단계;When the display unit position control command is input, operating the light emitting unit to generate light; 상기 발생된 광의 반사광을 전기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전기 신호를 이용하여 좌우측 눈에 대한 굴절률을 각각 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에서의 표시부 위치 조절 방법.And converting the reflected light of the generated light into an electrical signal, and obtaining refractive indices for the left and right eyes using the converted electrical signal, respectively. 제13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3, 상기 (b)단계는, In step (b), 상기 구해진 좌우측 눈 각각의 굴절률에 대하여 굴절률이 가장 높은 영역을 판단하는 단계;Determining a region having the highest refractive index with respect to each of the obtained refractive indices of the left and right eyes; 상기 판단된 영역을 눈의 중심이라고 판단하여 좌우측 눈 중심간의 거리를 구하고, 그 구해진 거리를 동공간 거리로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에서의 표시부 위치 조절 방법.And determining the determined area as the center of the eye to obtain a distance between the left and right eye centers, and using the determined distance as the interspace distance. 제13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3, 상기 동공간 거리에 맞도록 상기 제1 및 제2 표시부의 위치를 조절하는 것은, 상기 제1 및 제2 표시부의 중앙이 굴절률이 가장 높은 영역이 되도록 위치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에서의 표시부 위치 조절 방법.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first and second display units to match the interspace distance, adjusts the position such that the center of the first and second display units is the region having the highest refractive index. How to adjust the display position in.
KR1020080002550A 2008-01-09 2008-01-09 Apparatus for displaying three-dimensional image and method for controlling location of display in the apparatus KR10094339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2550A KR100943392B1 (en) 2008-01-09 2008-01-09 Apparatus for displaying three-dimensional image and method for controlling location of display in the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2550A KR100943392B1 (en) 2008-01-09 2008-01-09 Apparatus for displaying three-dimensional image and method for controlling location of display in the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6539A KR20090076539A (en) 2009-07-13
KR100943392B1 true KR100943392B1 (en) 2010-02-18

Family

ID=413336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2550A KR100943392B1 (en) 2008-01-09 2008-01-09 Apparatus for displaying three-dimensional image and method for controlling location of display in the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3392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23138B2 (en) 2011-12-23 2015-12-29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Pixel opacity for augmented reality
US8917453B2 (en) 2011-12-23 2014-12-23 Microsoft Corporation Reflective array waveguide
US8638498B2 (en) * 2012-01-04 2014-01-28 David D. Bohn Eyebox adjustment for interpupillary distance
US8810600B2 (en) 2012-01-23 2014-08-19 Microsoft Corporation Wearable display device calibration
US9606586B2 (en) 2012-01-23 2017-03-28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Heat transfer device
US9297996B2 (en) 2012-02-15 2016-03-29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Laser illumination scanning
US9779643B2 (en) 2012-02-15 2017-10-0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Imaging structure emitter configurations
US9726887B2 (en) 2012-02-15 2017-08-08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Imaging structure color conversion
US9368546B2 (en) 2012-02-15 2016-06-14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Imaging structure with embedded light sources
US9578318B2 (en) 2012-03-14 2017-02-2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Imaging structure emitter calibration
US11068049B2 (en) 2012-03-23 2021-07-20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Light guide display and field of view
US10191515B2 (en) 2012-03-28 2019-01-29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Mobile device light guide display
US9558590B2 (en) 2012-03-28 2017-01-3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Augmented reality light guide display
US9717981B2 (en) 2012-04-05 2017-08-0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Augmented reality and physical games
US10502876B2 (en) 2012-05-22 2019-12-10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Waveguide optics focus elements
US8989535B2 (en) 2012-06-04 2015-03-24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Multiple waveguide imaging structure
EP2699006A1 (en) 2012-08-16 2014-02-19 ESSILOR INTERNATIONAL (Compagnie Générale d'Optique) Pictures positioning on display elements
US10192358B2 (en) 2012-12-20 2019-01-29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Auto-stereoscopic augmented reality display
US9304235B2 (en) 2014-07-30 2016-04-05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Microfabrication
US10254942B2 (en) 2014-07-31 2019-04-09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Adaptive sizing and positioning of application windows
US10592080B2 (en) 2014-07-31 2020-03-17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Assisted presentation of application windows
US10678412B2 (en) 2014-07-31 2020-06-09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Dynamic joint dividers for application windows
US9423360B1 (en) 2015-02-09 2016-08-2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Optical components
US9513480B2 (en) 2015-02-09 2016-12-06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Waveguide
US9827209B2 (en) 2015-02-09 2017-11-28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Display system
US10018844B2 (en) 2015-02-09 2018-07-10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Wearable image display system
US10317677B2 (en) 2015-02-09 2019-06-1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Display system
US11086216B2 (en) 2015-02-09 2021-08-10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Generating electronic components
US9535253B2 (en) 2015-02-09 2017-01-0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Display system
US9372347B1 (en) 2015-02-09 2016-06-2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Display system
US9429692B1 (en) 2015-02-09 2016-08-30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Optical components
KR102548199B1 (en) * 2016-08-03 2023-06-28 삼성전자주식회사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tracking gaze in the electronic device
KR20190106878A (en) * 2019-08-28 2019-09-18 엘지전자 주식회사 Electronic devic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02469A (en) * 1992-09-18 1994-04-15 Yokogawa Electric Corp Head loading type device for displaying stereoscopic image
JPH07129095A (en) * 1993-11-02 1995-05-19 Shin Sangyo Souzou Center:Kk Three dimensional image information terminal device
JP2003050374A (en) 2001-06-11 2003-02-21 Eastman Kodak Co Head-mounted display
KR20080010502A (en) * 2006-07-27 2008-01-3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ace mounted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mixed reality environmen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02469A (en) * 1992-09-18 1994-04-15 Yokogawa Electric Corp Head loading type device for displaying stereoscopic image
JPH07129095A (en) * 1993-11-02 1995-05-19 Shin Sangyo Souzou Center:Kk Three dimensional image information terminal device
JP2003050374A (en) 2001-06-11 2003-02-21 Eastman Kodak Co Head-mounted display
KR20080010502A (en) * 2006-07-27 2008-01-3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ace mounted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mixed reality environ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6539A (en) 2009-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3392B1 (en) Apparatus for displaying three-dimensional image and method for controlling location of display in the apparatus
CA2820950C (en) Optimized focal area for augmented reality displays
US10055889B2 (en) Automatic focus improvement for augmented reality displays
US9588341B2 (en) Automatic variable virtual focus for augmented reality displays
CN113168007A (en) System and method for augmented reality
CN108535868B (en) Head-mounted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140368534A1 (en) Concurrent optimal viewing of virtual objects
US20130342572A1 (en) Control of displayed content in virtual environments
WO2013166362A2 (en) Collaboration environment using see through displays
JP2008033219A (en) Face-mounted display apparatus for mixed reality environment
KR100917100B1 (en) Apparatus for displaying three-dimensional image and method for controlling location of display in the apparatus
KR101378407B1 (en) Apparatus for displaying three-dimensional image and method for controlling location of display in the apparatus
CN114846434A (en) Non-uniform stereoscopic rendering
KR20170134147A (en) Display controller, electronic device, and virtual reality device
JP2017079389A (en) Display device, display device control method, and program
JP6451222B2 (en) Head-mounted display device, head-mounted display device control method, and computer program
US20230015732A1 (en) Head-mountable display systems and methods
JP6287399B2 (en) Head-mounted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head-mounted display device
JP2019004471A (en) Head-mounted type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of head-mounted type display device
EP4083754A1 (en)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motion data comprising simulated gaze informaton
KR20090105346A (en) Apparatus for displaying three-dimensional image and method for displaying image in the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4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