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0030B1 - Apparatus and method for searching a record data position using status display bars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for searching a record data position using status display bar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0030B1
KR100940030B1 KR1020030049874A KR20030049874A KR100940030B1 KR 100940030 B1 KR100940030 B1 KR 100940030B1 KR 1020030049874 A KR1020030049874 A KR 1020030049874A KR 20030049874 A KR20030049874 A KR 20030049874A KR 100940030 B1 KR100940030 B1 KR 1009400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status display
bar
status
key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4987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50011035A (en
Inventor
노승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498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0030B1/en
Publication of KR200500110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1103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00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003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17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controlling playback functions for recorded or on-demand content, e.g. using progress bars, mode or play-point indicators or bookmark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08Magnetic discs
    • G11B2220/2516Hard disk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37Optical dis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dexing, Searching, Synchronizing, And The Amount Of Synchronization Travel Of Record Carri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태 표시 바를 이용한 데이터 기록위치 탐색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광디스크 장치 또는 하드 디스크 장치 등과 같은 다양한 데이터 재생 장치에서, 사전에 설정된 복수의 상태 표시 바들 중, 사용자의 키 입력에 상응하는 임의의 한 특정 상태 표시 바를 선택 표시함과 아울러, 이후 사용자의 키 입력에 따라, 상기 복수의 상태 표시 바들 중, 상기 특정 상태 표시 바와는 상이한 임의의 한 상태 표시 바를 선택 표시함으로써, 프로그램, 챕터, 타이틀, 북 마크, 타임 등을 기준으로 각기 다른 점프 간격을 갖는 상태 표시 바들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데이터의 기록위치를 보다 신속하고 간편하게 탐색 및 재생할 수 있게 되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ata recording position searching apparatus and method using a status display bar. In various data reproducing apparatuses such as an optical disk device or a hard disk device, a plurality of preset status display bars correspond to a user's key input. By selecting and displaying any one specific status bar, and subsequently selecting and displaying any one of the status bar different from the specific status bar among the plurality of status bar according to a user's key input. By using status bar having different jump intervals based on title, book mark, time, etc., it is a very useful invention that the user can search and reproduce the recording position of desired data more quickly and simply.

복수의 상태 표시 바, 점프 간격, 커서, 오에스디 영상, 서치 포인트 Multiple status bar, jump interval, cursor, OSD video, search point

Description

상태 표시 바를 이용한 데이터 기록위치 탐색 장치 및 방법 {Apparatus and method for searching a record data position using status display bars}Apparatus and method for searching a record data position using status display bars}

도 1은 일반적인 광디스크 장치에 대한 구성을 도시한 것이고,1 shows a configuration of a general optical disk device,

도 2는 일반적인 광디스크 장치에서의 데이터 기록위치 탐색 과정을 도식화한 것이고,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ata recording position searching process in a general optical disk device.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상태 표시 바를 이용한 데이터 기록위치 탐색방법에 의해 선택 표시되는 상태 표시 바들에 대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3 to 6 show an embodiment of status display bars that are selectively displayed by the data recording position search method using the status display b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code for main part of drawing

10 : 광디스크 11 : 광픽업10: optical disc 11: optical pickup

12 : VDP 시스템 13 : 마이컴12: VDP system 13: micom

14 : 메모리 15 : 오에스디 발생부14: memory 15: OSD generator

본 발명은, 광디스크 장치 또는 하드 디스크 장치 등과 같은 다양한 데이터 재생 장치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데이터의 기록위치를 간편하게 탐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상태 표시 바를 이용한 데이터 기록위치 탐색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ata recording position searching apparatus and method using a status bar for easily searching for a recording position of data desired by a user in various data reproducing apparatuses such as an optical disk apparatus or a hard disk apparatus.

최근에는, 대용량의 비디오 및 오디오 데이터를 장시간 동안 기록 저장할 수 있는 광디스크(Optical Disc) 또는 하드 디스크(Hard Disc) 등과 같은 기록매체가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또한 상기 기록매체에 기록된 비디오 및 오디오 데이터를 독출 재생하기 위한 광디스크 장치 또는 하드 디스크 장치와 같은 다양한 데이터 재생 장치가 개발 출시되어 상용화되고 있다. Recently, recording media such as an optical disc or a hard disc capable of recording and storing a large amount of video and audio data for a long time are widely used, and also reading video and audio data recorded on the recording medium. Various data reproduction apparatuses such as an optical disc apparatus or a hard disc apparatus for reproducing have been developed and commercialized.

한편, 상기 데이터 재생 장치, 예를 들어 광디스크 장치에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광픽업(11), VDP(Video Disc Play) 시스템(12), 마이컴(13), 메모리(14) 등이 포함 구성되며, 또한 사용자 선택 메뉴(Menu) 등의 오에스디 영상을 생성 표시하기 위한 오에스디(OSD: On Screen Display) 발생부(15)가 포함 구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data reproducing apparatus, for example, the optical disc apparatus, includes an optical pickup 11, a VDP (Video Disc Play) system 12, a microcomputer 13, a memory 14, and the like, as shown in FIG. An on-screen display (OSD) generating unit 15 for generating and displaying an OSD image such as a user selection menu is included.

그리고, 상기 마이컴(13)에서는, 장치 내에 광디스크(10)기 삽입 안착되는 경우,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광디스크의 리드인 영역(LIA: Lead In Area) 등에 기록된 네비게이션 정보(Navugation_Info)를 독출하여, 상기 메모리(14)에 임시 저 장하는 일련의 다운로드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In the microcomputer 13, when the optical disc 10 is inserted into the apparatus, as shown in FIG. 2, the navigation information (Navugation_Info) recorded in the lead-in area (LIA) of the optical disc is recorded. A read operation is performed to perform a series of download operations that are temporarily stored in the memory 14.

또한, 상기 마이컴(13)에서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오에스디 발생부(15)를 동작 제어하여, 사용자 선택 메뉴의 오에스디 영상을 출력 표시하게 되는 데,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상기 광디스크(10)에 기록 저장된 제3 프로그램(Program 3)을 선택 지정하게 되는 경우, 상기 메모리(14)에 임시 저장된 네비게이션 정보를 검색 참조하여, 그 제3 프로그램의 시작 기록위치를 탐색하게 된다.In addition, the microcomputer 13 may operate to control the OSD generator 15 to display an OSD image of a user selection menu according to a user's request, for example, as shown in FIG. 2. As described above, when the user selects and designates a third program (Program 3) recorded and stored in the optical disc 10, the navigation recording temporarily stored in the memory 14 is referred to, and the start recording of the third program is performed. You will search for a location.

그리고, 상기 마이컴(13)에서는, 사용자가 상기 광디스크(10)에 기록 저장된 제3 프로그램 중 제4 챕터(Chapter 4)를 선택 지정하게 되는 경우, 상기 네비게이션 정보를 검색 참조하여, 그 제4 챕터의 시작 기록위치를 탐색하는 일련의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In addition, when the user selects and designates the fourth chapter (Chapter 4) among the third programs recorded and stored on the optical disc 10, the microcomputer 13 searches and searches the navigation information to determine the fourth chapter. A series of operations to search the start recording position is performed.

이에 따라,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데이터의 기록위치를, 사용자 선택 메뉴의 오에스디 영상을 이용하여 편리하게 탐색할 수 있게 되는 데, 이를 위해서는 사용자가 선택 메뉴 상에서, 자신이 원하는 프로그램 및 챕터를 선택 지정하는 소정의 다단계 절차를 반드시 거쳐야만 하기 때문에, 비교적 장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Accordingly, the user can conveniently search for the recording position of the data he / she wants by using the OS image of the user selection menu. To this end, the user selects and designates the desired program and chapter on the selection menu. Since a certain multi-step procedure must be performed, a problem that takes a relatively long time occurs.

또한, 장치 내에 기록 관리되는 북 마크(Bookmark) 정보와, 소정 시간 간격(Time Interval) 등을 기준으로 하는 다양한 점프 간격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데이터의 기록위치를 보다 신속하고 편리하게 탐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효율적인 해결방안이 마련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다.

In addition, the user can quickly and conveniently search for a desired recording position of data at various jump intervals based on bookmark information recorded in the apparatus and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There is no effective solution for this.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 및 실정을 감안하여 창작된 것으로서, 광디스크 장치 또는 하드 디스크 장치 등과 같은 다양한 데이터 재생 장치에서, 프로그램, 챕터, 타이틀, 북 마크, 타임 등을 기준으로 각기 다른 점프 간격을 갖는 상태 표시 바들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데이터의 기록위치를 보다 신속하고 간편하게 탐색 및 재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상태 표시 바를 이용한 데이터 기록위치 탐색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circumstances, and in various data reproducing apparatuses such as an optical disc apparatus or a hard disc apparatus, different jump intervals based on programs, chapters, titles, book marks, times, etc. 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pparatus and method for searching a data recording position using a status bar for enabling a user to search and reproduce a recording position of data desired by a user more quickly and easily.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상태 표시 바를 이용한 데이터 기록위치 탐색방법은, 사전에 설정된 복수의 상태 표시 바들 중, 사용자의 키 입력에 상응하는 임의의 한 특정 상태 표시 바를 선택 표시하는 1단계; 및 사용자의 키 입력에 따라, 상기 복수의 상태 표시 바들 중, 상기 특정 상태 표시 바와는 상이한 임의의 한 상태 표시 바를 선택 표시하는 2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태 표시 바를 이용한 데이터 기록위치 탐색장치는, 기록매체의 메인 비디오 데이터를 재생하기 위한 재생수단; 상태 표시 바의 오에스디 영상을 생성하기 위한 생성수단; 사용자의 키 입력에 따라, 상기 생성수단을 동작 제어하여, 사전에 설정된 복수의 상태 표시 바들 중, 임의의 한 특정 상태 표시 바의 오에스디 영상을 생성 표시하고, 이후, 입력되는 사용자의 키에 따라, 상기 생성수단을 동작 제어하여, 상기 복수의 상태 표시 바들 중, 상기 특정 상태 표시 바와는 상이한 임의의 한 상태 표시 바의 오에스디 영상을 생성 표시하기 위한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 data recording position search method using a status display b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to select and display any one specific status display bar corresponding to a user's key input, among a plurality of preset status display bars. Stage 1; And selecting and displaying any one of the plurality of status display bars different from the specific status display bar according to a user's key input.
Also, a data recording position searching apparatus using a status b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reproducing means for reproducing main video data of a recording medium; Generating means for generating an OSD image of the status display bar; According to a user's key input, the operation means is controlled to generate and display an OSD image of any one of the predetermined status display bars among a plurality of preset status display bars, and then, according to the input key of the user. And control means for operating and controlling the generating means to generate and display an OSD image of an arbitrary state display bar that is different from the specific state display among the plurality of state display bars. .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상태 표시 바를 이용한 데이터 기록위치 탐색장치 및 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a data recording position searching apparatus and method using a status b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우선, 본 발명에 따른 상태 표시 바를 이용한 데이터 기록위치 탐색장치 및 방법은, 광디스크 장치 또는 하드 디스크 장치 등과 같은 다양한 데이터 재생 장치에 적용될 수 있으며, 또한 도 1을 참조로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광디스크 장치에 적용 가능하다. First, the data recording position searching apparatus and method using the status b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various data reproducing apparatuses such as an optical disk apparatus or a hard disk apparatus, and also an optical disk apparatus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Applicable to

한편, 본 발명이 적용되는 데이터 재생 장치, 예를 들어 광디스크 장치의 메모리(14)에는, 장치 내에 삽입 안착된 광디스크의 리드인 영역으로부터 다운로드된 네비게이션 정보(Navigation_Info)와, 상기 광디스크의 데이터 기록위치를, 서로 다른 기록단위로 점프(Jump) 및 탐색(Search)하기 위해, 사전에 설정된 복수의 상태 표시 바를 생성 표시하는 데 필요한 각종 정보 및 데이터들이 저장 관리된다.On the other hand, in the memory 14 of the data reproducing apparatus, for example, the optical disc apparatus,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navigation information (Navigation_Info) downloaded from the lead-in area of the optical disc inserted and seated in the apparatus, and the data recording position of the optical disc are provided. In order to jump and search to different recording units, various information and data necessary for generating and displaying a plurality of preset status display bars are stored and managed.

또한, 상기 마이컴(13)에서는, 광디스크 초기 동작 수행시는 물론, 메인 비디오 데이터를 독출 재생하는 도중에도, 사용자의 키 입력에 따라, 상기 오에스디 발생부(15)를 동작 제어하여, 복수의 상태 표시 바들 중, 임의의 한 특정 상태 표시 바를 오에스디 영상으로 출력 표시하게 된다.In addition, the microcomputer 13 not only performs the initial operation of the optical disc but also reads and reproduces the main video data, and controls the OSD generating unit 15 in accordance with a user's key input, thereby controlling a plurality of states. Among the display bars, any one specific status display bar is outputted and displayed as an OS image.

예를 들어, 상기 마이컴(13)에서는, 광디스크(10)에 기록된 메인 비디오 데이터를 독출 재생하던 도중, 사용자가 프로그램(Program) 상태 표시 바의 표시를 요청하게 되는 경우, 상기 메모리(14)에 저장된 네비게이션 정보를 검색 참조하여, 광디스크에 기록된 프로그램의 개수를 확인함과 아울러, 상기 오에스디 발생부(15)를 동작 제어하게 된다.For example, in the microcomputer 13, when a user requests display of a program status bar while reading and playing main video data recorded on the optical disc 10, the microcomputer 13 sends the memory 14 to the memory 14. The number of programs recorded on the optical disc is checked by referring to the stored navigation information, and the operation of the OSD generating unit 15 is controlled.

한편, 상기 광디스크에 제1 내지 제5 프로그램(Program 1∼5)이 기록되어 있는 경우, 상기 오에스디 발생부(15)에서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인 비디오 영상 화면 내에, 제1 내지 제5 프로그램 중 어느 하나를 선택 지정할 수 있는 프로그램 상태 표시 바를 오에스디 영상으로 출력 표시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first to fifth programs (Program 1 to 5) are recorded on the optical disc, the OSD generating unit 15, as shown in Fig. 3, in the main video video screen, the first to fifth program (Program 1 to 5) The program status display bar for selecting and designating any one of the fifth programs is outputted and displayed as an OS video.

그리고, 상기 프로그램 상태 표시 바에는, 사용자의 점프 키 입력에 따라, 프로그램 단위로 이동 표시되는 커서가 함께 표시되며, 상기 커서가 표시된 위치의 특정 프로그램,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3 프로그램에 커서가 위치하고 있는 경우, 그 제3 프로그램을 다른 나머지 프로그램들과는 상이하게 구분 표시하게 된다. In addition, the program status display bar includes a cursor that is moved and displayed in program units according to a user's jump key input, and the specific program at the location where the cursor is displayed, for example, as shown in FIG. 3 If the cursor is located in the program, the third program is displayed differently from the other programs.

또한, 상기 마이컴(13)에서는, 사용자가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제3 프로그램을 선택 지정하는 경우, 상기 메모리(14)에 저장된 네비게이션 정보를 검색 참조하여, 상기 제3 프로그램의 기록 시작위치를 확인한 후, 그 기록 시작위치를 탐색 및 재생하게 된다.In addition, when the user selects and designates the third program through the above process, the microcomputer 13 searches for navigation information stored in the memory 14 and checks the recording start position of the third program. Then, the recording start position is searched for and reproduced.

그리고, 상기 제3 프로그램이 재생되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챕터(Chapter) 상태 표시 바의 표시를 요청하게 되는 경우, 상기 마이컴(13)에서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네비게이션 정보를 검색 참조하여, 광디스크에 기록된 제3 프로그램 내의 각 챕터 개수를 확인함과 아울러, 상기 오에스디 발생부(15)를 동작 제어하게 된다. When the user requests the display of the chapter status bar while the third program is being reproduced, the microcomputer 13 searches for navigation information stored in the memory and records the information on the optical disc. The number of chapters in the third program is checked, and the operation of the OSD generating unit 15 is controlled.

한편, 상기 제3 프로그램 내에 제1 내지 제7 챕터(Chapter 1∼7)가 구분 할당되어 있는 경우, 상기 오에스디 발생부(15)에서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인 비디오 영상 화면 내에, 제1 내지 제7 챕터 중 어느 하나를 선택 지정할 수 있는 챕터 상태 표시 바를 오에스디 영상으로 출력 표시하게 되는 데, 상기 챕터 상 태 표시 바에는, 사용자의 점프 키 입력에 따라, 챕터 단위로 이동 표시되는 커서가 함께 표시되며, 상기 커서가 표시된 위치의 특정 챕터,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4 챕터에 커서가 위치하고 있는 경우, 그 제4 챕터를 다른 나머지 챕터들과는 상이하게 구분 표시하게 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first to seventh chapters (Chapter 1 to 7) are allocated to the third program, the OSD generating unit 15, as shown in Figure 4, in the main video image screen, The chapter status display bar for selecting one of the first to seventh chapters can be outputted and displayed as an OSD image. The chapter status display bar is moved and displayed in units of chapters according to a user's jump key input. The cursors are displayed together, and when the cursor is located at a specific chapter of the position where the cursor is displayed, for example, as shown in FIG. 4, the fourth chapter is to be distinguished from other chapters. do.

또한, 상기 마이컴(13)에서는, 사용자가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제4 챕터를 선택 지정하는 경우, 상기 메모리(14)에 저장된 네비게이션 정보를 검색 참조하여, 상기 제4 챕터의 기록 시작위치를 확인한 후, 그 기록 시작위치를 탐색 및 재생하게 된다.In addition, when the user selects and designates the fourth chapter through the above process, the microcomputer 13 checks the recording start position of the fourth chapter by referring to the navigation information stored in the memory 14. Then, the recording start position is searched for and reproduced.

한편, 상기 마이컴(13)에서는, 사용자가 타임(Time) 상태 표시 바의 표시를 요청하게 되는 경우, 상기 오에스디 발생부(15)를 동작 제어하여, 사전에 설정된 소정 시간 간격, 예를 들어 제3 프로그램 내의 데이터 기록위치를 5 분 간격으로 선택 지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타임 챕터 상태 표시 바를, 오에스디 영상으로 출력 표시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in the microcomputer 13, when the user requests the display of the time status display bar, the OSD generator 15 is operated to control the predetermined time interval, for example,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3 The time chapter status display bar, which allows you to select and specify the data recording position in the program at five-minute intervals, is output and displayed as an OS video.

또한, 상기 타임 상태 표시 바에는, 사용자의 점프 키 입력에 따라, 소정 시간 간격으로 이동 표시되는 커서가 함께 표시되며, 상기 커서가 표시된 위치의 특정 시간,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30 분에 커서가 위치하고 있는 경우, 그 30 분를 다른 나머지 시간들과는 상이하게 구분 표시하게 된다. In addition, in the time status display bar, a cursor that is moved and displayed at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is displayed together with a user's jump key input, and a specific time at the location where the cursor is displayed, for example, as shown in FIG. 5, If the cursor is located at 30 minutes, the 30 minutes will be distinguished from the rest of the time.

그리고, 상기 마이컴(13)에서는, 사용자가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30 분을 선택 지정하는 경우, 상기 메모리(14)에 저장된 네비게이션 정보 중, 제3 프로그램의 전체 재생 시간 정보를 검색 참조하여, 상기 30 분에 해당하는 기록 위치를 확 인한 후, 그 기록 위치를 탐색 및 재생하게 된다. In addition, when the user selects and designates 30 minutes through the above-described process, the microcomputer 13 searches and references the total playing time information of the third program among the navigation information stored in the memory 14. After confirming the recording position corresponding to 30 minutes, the recording position is searched and reproduced.

또한, 상기 마이컴(13)에서는, 사용자가 북마크(Bookmark) 상태 표시 바의 표시를 요청하게 되는 경우, 상기 오에스디 발생부(15)를 동작 제어하여, 상기 메모리(14)에 기 저장된 북마크 정보, 예를 들어 사용자가 이전에 설정한 북마크 정보들 중, 상기 광디스크의 고유 아이디와 일치하는 디스크 아이디(Disc_ID)에 연계 저장된 다수의 북마크들을,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북마크 상태 표시 바의 오에스디 영상으로 출력 표시하게 된다.In addition, when the user requests the display of the bookmark status bar, the microcomputer 13 operates the OSD generator 15 to control bookmark information previously stored in the memory 14, For example, among the bookmark information previously set by the user, a plurality of bookmarks stored in association with a disc ID Disc_ID corresponding to a unique ID of the optical disc, as shown in FIG. The video will be displayed for output.

그리고, 상기 북마크 상태 표시 바를 통해, 사용자가 임의의 한 북마크를 선택 지정하는 경우, 예를 들어 제5 북마크를 선택 지정하는 경우, 상기 마이컴(13)에서는, 상기 메모리(14)에 저장된 북마크 정보를 검색 참조하여, 상기 제5 북마크에 대응되는 데이터 기록 위치를 확인한 후, 그 기록 위치를 탐색 및 재생하게 된다. When the user selects and designates one bookmark, for example, when selecting and designating a fifth bookmark through the bookmark status bar, the microcomputer 13 displays bookmark information stored in the memory 14. After searching and checking the data recording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fth bookmark, the recording position is searched and reproduced.

참고로,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상태 표시 바에는, 프로그램, 챕터, 타이틀, 북 마크, 타임, 그리고 그 이외의 또다른 기록 단위를 기준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기록위치를 점프 및 탐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다양한 상태 표시 바들이 더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복수의 상태 표시 바들은, 서로 연관성을 갖고 출력 표시되거나, 또는 서로 무관하게 독립적으로 출력 표시될 수 있다.
For reference, the plurality of status b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user to jump and search the desired recording position based on a program, chapter, title, book mark, time, and other recording units. Various status display bars may be further included, and the plurality of status display bars may be output and displayed in association with each other, or may be displayed independently of each other.

이상, 전술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으로, 당업자라면 이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개시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기술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다른 실시예들을 개량, 변경, 대체 또는 부가 등이 가능할 것이다.
As mentioned abov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isclosed for purposes of illustratio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improve and change various other embodiments within the spirit and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d in the appended claims below. , Replacement or addition would be possible.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상태 표시 바를 이용한 데이터 기록위치 탐색장치 및 방법은, 광디스크 장치 또는 하드 디스크 장치 등과 같은 다양한 데이터 재생 장치에서, 사전에 설정된 복수의 상태 표시 바들 중, 사용자의 키 입력에 상응하는 임의의 한 특정 상태 표시 바를 선택 표시함과 아울러, 이후 사용자의 키 입력에 따라, 상기 복수의 상태 표시 바들 중, 상기 특정 상태 표시 바와는 상이한 임의의 한 상태 표시 바를 선택 표시함으로써, 프로그램, 챕터, 타이틀, 북 마크, 타임 등을 기준으로 각기 다른 점프 간격을 갖는 상태 표시 바들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데이터의 기록위치를 보다 신속하고 간편하게 탐색 및 재생할 수 있게 되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The data recording position searching apparatus and method using the status display b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n various data reproducing apparatus such as an optical disk device or a hard disk device, among the plurality of preset status display bars, By selecting and displaying any one specific status bar corresponding thereto, and according to a user's key input thereafter, by selecting and displaying any one status bar different from the specific status bar among the plurality of status bar, the program, It is a very useful invention that the user can quickly and easily search and reproduce the recording position of the desired data by using the status bar having different jump intervals based on chapters, titles, book marks, times, and the like.

Claims (8)

사전에 설정된 복수의 상태 표시 바들 중, 사용자의 키 입력에 상응하는 임의의 한 특정 상태 표시 바를 선택 표시하는 1단계; 및 Selecting and displaying any one specific status bar corresponding to a user's key input among a plurality of preset status bar; And 사용자의 키 입력에 따라, 상기 복수의 상태 표시 바들 중, 상기 특정 상태 표시 바와는 상이한 임의의 한 상태 표시 바를 선택 표시하는 2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In accordance with the user's key input, comprising the step of selecting and displaying any one of the plurality of status display bar, which is different from the specific status display bar, 상기 상태 표시 바에는, 사용자의 점프 키 입력에 의해 이동되는 커서가 함께 표시됨과 아울러, 그 표시 위치의 기록 단위가 구분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태 표시 바를 이용한 데이터 기록위치 탐색방법. And a cursor which is moved by a user's jump key input is displayed on the status display bar, and a recording unit of the display position is displayed separately. 제 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복수의 상태 표시 바는, 프로그램, 챕터, 타이틀, 북 마크, 타임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기준으로 하여, 서로 다른 점프 간격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태 표시 바를 이용한 데이터 기록위치 탐색방법. And the plurality of status display bars have different jump intervals based on at least one of a program, a chapter, a title, a book mark, and a time.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사용자의 키 입력에 따라, 상기 구분 표시된 기록 단위를 탐색 재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태 표시 바를 이용한 데이터 기록위치 탐색방법. And searching for and reproducing the divided displayed recording units according to a user's key input. 기록매체의 메인 비디오 데이터를 재생하기 위한 재생수단;Reproducing means for reproducing main video data of the recording medium; 상태 표시 바의 오에스디 영상을 생성하기 위한 생성수단;Generating means for generating an OSD image of the status display bar; 사용자의 키 입력에 따라, 상기 생성수단을 동작 제어하여, 사전에 설정된 복수의 상태 표시 바들 중, 임의의 한 특정 상태 표시 바의 오에스디 영상을 생성 표시하고, Operating the control means according to a user's key input to generate and display an OSD image of any one specific status display bar among a plurality of preset status display bars, 이후, 입력되는 사용자의 키에 따라, 상기 생성수단을 동작 제어하여, 상기 복수의 상태 표시 바들 중, 상기 특정 상태 표시 바와는 상이한 임의의 한 상태 표시 바의 오에스디 영상을 생성 표시하기 위한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되,Subsequently, the control means for generating and displaying an OSD image of an arbitrary state display bar which is different from the specific state display among the plurality of state display bars by operating the generating means according to the input key of the user. Consists of including 상기 상태 표시 바에는, 사용자의 점프 키 입력에 의해 이동되는 커서가 함께 표시됨과 아울러, 그 표시 위치의 기록 단위가 구분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태 표시 바를 이용한 데이터 기록위치 탐색장치. The data display position searching apparatus using the status display bar, characterized in that the cursor displayed by the user's jump key input is displayed on the status display bar, and the recording unit of the display position is displayed separately. 제 5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5, 상기 복수의 상태 표시 바는, 프로그램, 챕터, 타이틀, 북 마크, 타임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기준으로 하여, 서로 다른 점프 간격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태 표시 바를 이용한 데이터 기록위치 탐색장치. And the plurality of status display bars have different jump intervals based on at least one of a program, a chapter, a title, a book mark, and a time. 삭제delete 제 5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5, 상기 제어수단은, 사용자의 키 입력에 따라, 상기 구분 표시된 기록 단위를 탐색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태 표시 바를 이용한 데이터 기록위치 탐색장치. And the control means searches for and reproduces the divided displayed recording unit according to a user's key input.
KR1020030049874A 2003-07-21 2003-07-21 Apparatus and method for searching a record data position using status display bars KR10094003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9874A KR100940030B1 (en) 2003-07-21 2003-07-21 Apparatus and method for searching a record data position using status display bar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9874A KR100940030B1 (en) 2003-07-21 2003-07-21 Apparatus and method for searching a record data position using status display bar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1035A KR20050011035A (en) 2005-01-29
KR100940030B1 true KR100940030B1 (en) 2010-02-04

Family

ID=372231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49874A KR100940030B1 (en) 2003-07-21 2003-07-21 Apparatus and method for searching a record data position using status display bar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0030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77780B2 (en) * 2008-07-31 2013-08-28 富士通株式会社 Video playback apparatus, video playback program, and video playback method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73319A (en) 1998-03-26 1999-10-08 Onkyo Corp Information reproduction control device and information reproduction method
JP2002094893A (en) 2000-09-19 2002-03-29 Pioneer Electronic Corp Program guide display device and program guide display method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73319A (en) 1998-03-26 1999-10-08 Onkyo Corp Information reproduction control device and information reproduction method
JP2002094893A (en) 2000-09-19 2002-03-29 Pioneer Electronic Corp Program guide display device and program guide display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1035A (en) 2005-0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95093B1 (en) Method for managing book mark information and method for reproducing a contents
EP1450369A2 (en) Resume mark managing method
KR100554788B1 (en) Method for managing a password in optical disc device
KR100940030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arching a record data position using status display bars
KR100589809B1 (en) Method for thumbnail picture preview in optical disc device
KR100563693B1 (en) Method for managing a playback resume information in optical disc device
KR20050001850A (en) Method for reproducing data select using a country code
JP2004079085A (en) Optical disk player
JP4100307B2 (en) Program, recording medium and playback apparatus
KR100793191B1 (en) Method for controlling title preview in digital video device
KR20040075420A (en) Method for managing a playback resume information in optical disc device
KR20050058639A (en) Method for compositing and searching index disc in optical disc device
KR101036184B1 (en) Method for editing using mark information
KR100678017B1 (en) Method for changing data unit
KR20040067348A (en) Method for controling resume play in optical disc device
KR100563692B1 (en) Method for managing play list information in optical disc device
KR20050103392A (en) System for providing imformation of audio storage media and method thereof
KR20040062315A (en) Method for controling random play for audio songs
JP4379519B2 (en) Program, recording medium, playback apparatus, and playback method
JP4557088B2 (en) Program, recording medium, playback apparatus, and playback method
KR20050001853A (en) Method for controling title summary playback of optical disc
KR20040090190A (en) Method for managing a virtual chapter information in optical disc device
KR20060134270A (en) Method for auto-setting a chapter mark in optical disc drive
KR20050021702A (en) Method for managing a record list of record medium
KR20050050865A (en) Method for reproducing multi language in optical disc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