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7526B1 - 손가락 움직임을 이용한 데이터 입력 장치 - Google Patents

손가락 움직임을 이용한 데이터 입력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7526B1
KR100897526B1 KR1020070095435A KR20070095435A KR100897526B1 KR 100897526 B1 KR100897526 B1 KR 100897526B1 KR 1020070095435 A KR1020070095435 A KR 1020070095435A KR 20070095435 A KR20070095435 A KR 20070095435A KR 100897526 B1 KR100897526 B1 KR 1008975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ger
input device
data input
data
mov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54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30105A (ko
Inventor
정영규
한문성
이재선
한동원
조일연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700954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7526B1/ko
Publication of KR200900301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01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75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75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06F3/014Hand-worn input/output arrangements, e.g. data glov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7Gesture based interaction, e.g. based on a set of recognized han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손가락 움직임을 이용한 데이터 입력 장치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 손가락의 움직임에 따른 손목 근육 떨림(신호)을 이용하여 음소, 숫자, 기호 등을 인식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보다 편리하게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손가락 움직임을 이용한 데이터 입력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데이터 입력 장치에 있어서, 손가락의 움직임에 따른 손목에 위치한 근육의 떨림 신호를 감지하기 위한 근육 떨림 신호 감지수단, 상기 근육 떨림 신호 감지수단에 의해 감지된 손목 근육의 떨림 신호의 발생 위치에 따라 움직임이 있는 손가락을 구분하고, 손가락의 움직임 횟수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손가락 정보 획득수단, 및 상기 손가락 정보 획득수단에 의해 획득된 손가락 정보 및 손가락의 움직임 횟수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인식하기 위한 인식수단을 포함한다.
데이터 입력, 문자 입력, 손가락 움직임, 손목 근육 떨림, 손가락 정보 획득

Description

손가락 움직임을 이용한 데이터 입력 장치{Apparatus for inputting data using finger movement}
본 발명은 손가락 움직임을 이용한 데이터 입력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 손가락의 움직임에 따른 손목 근육 떨림(신호)을 이용하여 음소, 숫자, 기호 등을 인식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보다 편리하게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손가락 움직임을 이용한 데이터 입력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처럼, 본 발명에서는 손가락 움직임을 이용한 데이터 입력 방식에 대하여 설명하나, 본 발명은 발가락 움직임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입력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정보통신부의 IT신성장동력핵심기술개발사업의 일환으로 수행한 연구로부터 도출된 것이다[과제관리번호: 2005-S-065-03, 과제명: 웨어러블 퍼스널 스테이션 개발].
유비쿼터스 컴퓨팅 환경으로 컴퓨터 환경이 변환되면서 다양한 휴대용 데이터 입력 장치가 개발되어 왔다. 이러한 휴대용 데이터 입력 장치의 기술 변화는 키보드 휴대형에서 몸의 일부를 이용한 데이터 입력 장치로 진화되고 있다.
여기서, 키보드 휴대형 데이터 입력 장치에 대한 대표적인 개발의 예로는 트위들러(Twiddler)가 있으며, 몸의 일부를 이용한 데이터 입력 장치에 대한 과도기적인 기술 개발의 예로는 장갑을 이용한 데이터 입력 장치가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은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쥐거나, 손에 착용하여 동작시키기 때문에 손이 자유롭지 못하고, 무게 또는 부피가 커서 사용자가 휴대하기에 불편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이 본 발명의 과제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사용자 손가락의 움직임에 따른 손목 근육 떨림(신호)을 이용하여 음소, 숫자, 기호 등을 인식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보다 편리하게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손가락 움직임을 이용한 데이터 입력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 발가락의 움직임에 따른 발목 근육 떨림(신호)을 이용하여 음소, 숫자, 기호 등을 인식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보다 편리하게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발가락 움직임을 이용한 데이터 입력 장치를 제 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장치는, 데이터 입력 장치에 있어서, 손가락의 움직임에 따른 손목에 위치한 근육의 떨림 신호를 감지하기 위한 근육 떨림 신호 감지수단, 상기 근육 떨림 신호 감지수단에 의해 감지된 손목 근육의 떨림 신호의 발생 위치에 따라 움직임이 있는 손가락을 구분하고, 손가락의 움직임 횟수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손가락 정보 획득수단, 및 상기 손가락 정보 획득수단에 의해 획득된 손가락 정보 및 손가락의 움직임 횟수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인식하기 위한 인식수단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장치는, 입력가능한 데이터를 손가락 각 마디에 표시하기 위한 음소 디스플레이수단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장치는, 데이터 입력 대상인 외부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관리하고, 상기 인식수단에 의해 인식된 데이터를 상기 외부 디바이스로 전송하기 위한 무선 전송수단을 더 포함한다.
한편,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장치는, 데이터 입력 장치에 있어서, 발가락의 움직임에 따른 발목에 위치한 근육의 떨림 신호를 감지하기 위한 근육 떨림 신호 감지수단, 상기 근육 떨림 신호 감지수단에 의해 감지된 발목 근육의 떨림 신호의 발생 위치에 따라 움직임이 있는 발가락을 구분하고, 발가락의 움직임 횟수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발가락 정보 획득수단, 및 상기 발가락 정보 획득수단에 의해 획득된 발가락 정보 및 발가락의 움직임 횟수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인식하기 위한 인식수단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다른 장치는, 입력가능한 데이터를 발가락 각 마디에 표시하기 위한 음소 디스플레이수단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다른 장치는, 데이터 입력 대상인 외부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관리하고, 상기 인식수단에 의해 인식된 데이터를 상기 외부 디바이스로 전송하기 위한 무선 전송수단을 더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사용자의 손가락 움직임만으로 유비쿼터스 환경 내의 각종 기기에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장치와 사용자 간의 의사소통이 보다 자연스럽고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 손가락의 움직임에 따른 손목 근육 떨림(신호)을 이용하여 음소, 숫자, 기호 등을 인식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보다 편리하게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팔찌 등과 같이 크기 및 부피가 작은 데이터 입력 장치를 제안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데이터 입력 장치를 용이하게 휴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손에 착용하지 않고 데이터를 입력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손을 자유롭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발 등과 같은 신체의 다른 부위에 적용시킬 수 있으므로 다양한 분야에서 이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명확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손가락 움직임을 이용한 데이터 입력 장치의 일실시예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입력 장치(10)는, 무선 전 송부(11), 음소 디스플레이부(12), 근육 떨림 감지부(13), 손가락 정보 획득부(14), 및 음소 인식부(15)를 포함한다.
여기서, 무선 전송부(11)는 데이터 입력을 대상으로 하는 외부 디바이스(즉, PC(Personal Comput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가전 기기 등)와의 연결을 관리하고, 음소 인식부(15)에 의해 인식된 음소, 숫자, 기호 등을 외부 디바이스(20)로 전송한다. 여기서, 공지의 유선 전송 기술을 사용하는 경우에 상기 무선 전송부(11)는 본 발명에서 부가 요소이다.
그리고 음소 디스플레이부(12)는 무선 전송부(11)를 통해 외부 디바이스(20)와 연결되면 입력가능한 한글, 영어 등의 각 나라 언어에 대한 음소, 숫자, 기호 등을 레드 레이저 다이오드(RLD : Red Laser Diode) 등을 이용하여 손가락의 각 마디에 표시한다. 여기서, 상기 음소 디스플레이부(12)는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구성 요소로서, 본 발명에서는 부가 요소이다.
그리고 근육 떨림 감지부(13)는 손가락 움직임에 따른 손목에 위치한 근육의 떨림(신호)을 감지(센싱)한다. 여기서, 상기 근육 떨림 감지부(13)는 공지의 기술을 이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매칭기 정도의 민감도를 갖는 센서를 이용하여 팔찌 형태(예 : 손가락 근육 인지 팔찌)로 구현할 수 있다.
그리고 손가락 정보 획득부(14)는 근육 떨림 감지부(13)에 의해 감지(센싱)된 손목 근육의 떨림(신호)의 발생 위치에 따라 움직임이 있는 손가락을 구분하고 손가락의 움직임 횟수 등에 대한 정보를 획득한다.
여기서, 손가락 정보 획득부(14)는 근육 떨림 감지부(13)에 의해 감지(센싱) 된 손목 근육의 떨림(신호)에 간섭 또는 오류가 발생하였을 경우, 각 손가락마다 초기 설정된 움직임 값을 기준으로 발생된 간섭을 처리하거나 오류를 보정하여 움직임이 있는 손가락을 구분하고 해당 손가락의 움직임 횟수 등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손가락 정보 획득부(14)가 근육 떨림 감지부(13)에 의해 감지(센싱)된 손목 근육의 떨림(신호)으로부터 움직임이 있는 손가락을 구분하지 못하거나 손가락의 움직임 횟수 등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지 못할 경우에는 사용자에게 재입력을 요청하는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손가락 정보 획득부(14)는 음소 디스플레이부(12)를 통해 소정의 빛 신호(깜빡임, 다른 색으로 변경된 빛 등)를 발광하거나, 진동 모듈(도면에 도시되지 않음) 등을 통해 진동 신호를 출력하는 등으로 사용자에게 재입력을 요청할 수 있다.
그리고 음소 인식부(15)는 초기 정의된 손가락 움직임별 음소, 숫자, 기호 등의 정보를 기반으로, 손가락 정보 획득부(14)에 의해 획득된 손가락 정보 및 움직임 횟수에 해당하는 음소, 숫자, 기호 등을 인식하여 무선 전송부(11)로 전송한다.
이하, 도 2 및 도 3에서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입력 장치(10)의 데이터 입력 방법에 대해 일예를 들어,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손가락 움직임을 이용한 데이터 입력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설명도이다.
여기서, 데이터 입력 장치(10)는 손가락 근육 인지 팔찌로 가정하고, 손가락의 움직임은 손가락의 구부림으로 가정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 입력 장치(즉, 손가락 근육 인지 팔찌)(10)는 외부 디바이스(20)와의 연결을 시도하여 연결이 되면 사용자 손바닥의 검지(The Index Finger)(202), 중지(The Middle Finger)(203), 약지(The Third Finger)(204)의 각 마디에 입력 가능한 음소를 각각 표시한다.
여기서, 데이터 입력 장치(10)는 가장 자유로운 엄지(A Thumb)(201)의 구부림 횟수로 손가락의 마디를 지정하도록 한다.
이때, 엄지(201)의 구부림 횟수는 1 내지 3 사이의 값을 가지며, 이는 검지(202), 중지(203), 약지(204)의 마디 번지를 나타낸다.
즉, 엄지(201)의 구부림이 1번일 경우 검지(202)의 손가락 끝(첫 번째 마디)에 표시되어 있는 'ㅡ'와, 중지(203)의 손가락 끝(첫 번째 마디)에 표시되어 있는 'ㄷ', 'ㅌ'과, 약지(204)의 손가락 끝(첫 번째 마디)에 표시되어 있는 'ㅈ', 'ㅊ'이 입력될 수 있고, 엄지(201)의 구부림이 2번일 경우 검지(202)의 두 번째 마디에 표시되어 있는 'ㆍ'와, 중지(203)의 두 번째 마디에 표시되어 있는 'ㄴ', 'ㄹ'과, 약지(204)의 두 번째 마디에 표시되어 있는 'ㅅ', 'ㅇ', 'ㅎ'이 입력될 수 있으며, 엄지(201)의 구부림이 3번일 경우 검지(202)의 세 번째 마디에 표시되어 있는 'ㅣ'와, 중지(203)의 세 번째 마디에 표시되어 있는 'ㄱ', 'ㅋ'과, 약지(204)의 세 번째 마디에 표시되어 있는 'ㅁ', 'ㅂ', 'ㅍ'이 입력될 수 있다.
그리고 데이터 입력 장치(10)는 엄지(201)의 다음으로 자유로운 검지(202)의 구부림으로 많이 사용되는 모음을 입력하도록 하고, 중지(203)와 약지(204)의 구부림으로 자음을 입력하도록 한다.
이때, 검지(202), 중지(203), 약지(204)의 구부림 횟수는 해당 손가락의 각 마디 내에 있는 음소의 번지를 나타낸다.
즉, 검지(202)의 구부림이 1번일 경우 'ㅣ', 'ㆍ', 'ㅡ'가 입력될 수 있다.
또한, 중지(203)의 구부림이 1번일 경우 'ㄱ', 'ㄴ', 'ㄷ'이 입력될 수 있고, 중지(203)의 구부림이 2번일 경우 'ㅋ', 'ㄹ', 'ㅌ'이 입력될 수 있다.
또한, 약지(204)의 구부림이 1번일 경우 'ㅁ', 'ㅅ', 'ㅈ'이 입력될 수 있고, 약지(204)의 구부림이 2번일 경우 'ㅂ', 'ㅇ', 'ㅊ'이 입력될 수 있으며, 약지(204)의 구부림이 3번일 경우 'ㅍ', 'ㅎ'이 입력될 수 있다.
그리고 데이터 입력 장치(10)는 소지(A Little Finger)(205)의 구부림으로 입력 값의 취소를 처리하도록 한다.
이때, 소지(205)는 직전에 입력된 한 음소의 입력 또는 직전에 입력된 한 문자의 입력을 취소할 수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와 같이, 데이터 입력 장치(10)는 사용자의 엄지(201), 검지(202), 중지(203), 약지(204)의 움직임의 조합으로 데이터를 인식할 수 있는데 그 일예는 하기의 [표 1]과 같다.
Figure 112007067988368-pat00001
이상, 도 2에서는 데이터 입력 장치(10)를 링(Ring) 타입의 손가락 근육 인지 팔찌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 2에서는 데이터 입력 장치(10)가 사용자의 손가락의 손바닥 방향에 음소를 표시하는 것으로 살펴보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도 2에서는 음소가 표시되는 손가락 또한 검지(202), 중지(203), 약지(204)로 살펴보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 2에서는 손가락의 마디를 지정하는 손가락을 엄지(201)로, 다양한 음소를 입력하는 손가락을 검지(202), 중지(203), 및 약지(204)로, 입력을 취소하는 손가락을 소지(205)로 살펴보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여기서, 데이터 입력 장치(10)는 사용자의 손가락에 입력 가능한 한글의 음소뿐만 아니라, 영어 등의 각 나라 언어의 음소, 숫자, 기호 등도 표시할 수 있음이 자명하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손가락 움직임을 이용한 데이터 입력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로서, 도 2의 데이터 입력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먼저, 데이터 입력 장치(10)는 외부 디바이스(20)와의 연결을 시도하여 연결이 되면 레드 레이저 다이오드(RLD : Red Laser Diode)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손가락 각 마디에 입력 가능한 음소를 표시하고(301), 데이터의 입력을 초기화한다(302).
이후, 데이터 입력 장치(10)는 엄지의 움직임이 감지되었는지를 확인한다(303). 즉, 데이터 입력 장치(10)는 음소를 입력할 손가락의 마디가 지정되었는지를 확인한다.
상기 확인 결과(303), 엄지의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으면(음소를 입력할 손가락의 마디가 지정되지 않으면) 데이터 입력 장치(10)는 "303" 과정으로 진행하여 엄지의 움직임이 감지될 때까지 대기하고, 엄지의 움직임이 감지되면(음소를 입력할 손가락의 마디가 지정되면) 데이터 입력 장치(10)는 엄지의 움직임 횟수를 증가시킨다(304).
이때, 엄지의 최대 움직임 횟수는 최대 손가락 마디의 수 즉, 3이 될 수 있다.
이후, 데이터 입력 장치(10)는 엄지의 움직임이 정지되었는지를 확인한다(305). 즉, 데이터 입력 장치(10)는 음소를 입력할 손가락의 마디가 지정 완료되었는지 확인한다.
상기 확인 결과(305), 엄지의 움직임이 정지되지 않으면(음소를 입력할 손가락 마디의 지정이 완료되지 않으면) 데이터 입력 장치(10)는 엄지의 움직임 횟수를 더 증가시키고(304), 엄지의 움직임이 정지되면(음소를 입력할 손가락 마디의 지정이 완료되면) 데이터 입력 장치(10)는 소지의 움직임이 감지되었는지 확인한다(306). 즉, 엄지의 움직임이 정지되면 데이터 입력 장치(1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행위(즉, 음소를 입력할 손가락 마디의 지정)가 취소(삭제) 요청되었는지를 확인한다.
상기 확인 결과(306), 소지의 움직임이 감지되면(사용자로부터 입력된 행위에 대한 취소(삭제)가 요청되면) 데이터 입력 장치(10)는 "304" 과정에서 획득된(감지된) 엄지의 움직임 횟수 정보를 취소(삭제)하고(307), 새로운 음소를 입력받기 위해 "303" 과정으로 진행한다.
한편, 상기 확인 결과(306), 소지의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으면(사용자로부터 입력된 행위에 대한 취소(삭제)가 요청되지 않으면) 데이터 입력 장치(10)는 소정의 시간 동안 검지, 중지, 및 약지 중 어느 하나의 손가락의 움직임이 감지되었는지를 확인한다(308). 즉,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행위에 대한 취소(삭제)가 요청되지 않으면 데이터 입력 장치(10)는 음소가 입력되는지를 확인한다.
상기 확인 결과(308), 소정의 시간 동안 검지, 중지, 및 약지 중 어느 하나의 손가락의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으면(음소가 입력되지 않으면) 데이터 입력 장치(10)는 사용자에게 재입력을 요청한다(309).
이때, 데이터 입력 장치(10)는 사용자의 손가락에 빛을 깜빡이거나, 다른 색의 빛을 발광하거나, 또는 진동 신호를 출력시키는 등으로 사용자에게 재입력을 요청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확인 결과(308), 소정의 시간 내에 검지, 중지, 및 약지 중 어느 하나의 손가락의 움직임이 감지되면(음소가 입력되면) 데이터 입력 장치(10)는 움직임이 감지된 손가락의 움직임 횟수를 증가시킨다(310).
이후, 데이터 입력 장치(10)는 움직임이 감지된 손가락의 움직임이 정지되었는지 확인한다(311). 즉, 데이터 입력 장치(10)는 음소의 입력이 완료되었는지를 확인한다.
상기 확인 결과(311), 움직임이 감지된 손가락의 움직임이 정지되지 않으면(음소의 입력이 완료되지 않으면) 데이터 입력 장치(10)는 움직임이 감지된 손가락의 움직임 횟수를 더 증가시키고(310), 움직임이 감지된 손가락의 움직임이 정지되면(음소의 입력이 완료되면) 상기 감지된 손가락의 움직임 횟수에 따라 해당 음소를 인식한다(312).
그리고 데이터 입력 장치(10)는 소지의 움직임이 감지되었는지를 확인한다(313), 즉, 데이터 입력 장치(1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행위(즉, 음소의 입력)가 취소(삭제) 요청되었는지를 확인한다.
상기 확인 결과(313), 소지의 움직임이 감지되면(사용자로부터 입력된 행위에 대한 취소(삭제)가 요청되면) 마지막으로 입력된 음소 또는 마지막으로 입력된 문자를 취소(삭제)시키고(314), 입력에 대한 취소가 재요청되었는지 확인하기 위해 "313" 과정으로 진행한다.
한편, 상기 확인 결과(313), 소지의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으면(사용자로부터 입력된 행위에 대한 취소(삭제)가 요청되지 않으면) 데이터 입력 장치(10)는 새로운 음소를 입력하기 위해 "303" 과정으로 진행한다.
상기와 같이, 도 3에서는 한글 음소에 대한 입력 방법을 살펴보았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영어 등의 각 나라 언어의 음소, 숫자, 기호 등에 대한 입력 방법도 적용시킬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발가락 등과 같은 신체의 다른 부위에 적용시킬 수 있으므로, 발가락을 이용한 경우도 당연히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작성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는 당해 분야의 컴퓨터 프로그래머에 의하여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작성된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정보저장매체)에 저장되고, 컴퓨터에 의하여 판독되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방법을 구현한다. 그리고 상기 기록매체는 컴퓨터가 판독할 수 있는 모든 형태의 기록매체를 포함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은 데이터 입력 장치 등에 이용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손가락 움직임을 이용한 데이터 입력 장치의 일실시예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손가락 움직임을 이용한 데이터 입력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설명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손가락 움직임을 이용한 데이터 입력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 데이터 입력 장치 20 : 외부 디바이스
11 : 무선 전송부 12 : 음소 디스플레이부
13 : 근육 떨림 감지부 14 : 손가락 정보 획득부
15 : 음소 인식부 201 : 엄지
202 : 검지 203 : 중지
204 : 약지 205 : 소지

Claims (19)

  1. 데이터 입력 장치에 있어서,
    각 손가락의 각 마이데 대응하여 입력 가능한 데이터를 상기 손가락의 각 마디에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수단;
    손목에 위치하여 각 손가락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근육의 떨림 신호를 감지하기 위한 근육 떨림 신호 감지수단;
    상기 손목 근육의 떨림 신호의 발생 위치를 이용하여 움직임이 있는 손가락 및 상기 손가락의 움직임 횟수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손가락 정보 획득수단; 및
    상기 움직임이 있는 손가락 및 상기 손가락의 움직임 횟수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인식하기 위한 인식수단
    을 포함하는 데이터 입력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가능한 데이터는,
    음소임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입력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수단은,
    레드 레이저 다이오드(RLD : Red Laser Diode)임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입력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수단은,
    사용자의 손가락 각 마디의 손바닥 방향으로 레이저를 조사함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입력 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수단에 의해 인식된 데이터를 외부 디바이스로 전송하기 위한 무선 전송수단
    을 더 포함하는 데이터 입력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손가락 정보 획득수단은,
    상기 근육 떨림 신호 감지수단에 의해 감지된 손목 근육의 떨림 신호에 간섭 또는 오류가 발생하였을 경우, 기정의된 각 손가락의 움직임 값을 기준으로 상기 발생된 간섭을 처리하거나 상기 발생된 오류를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입력 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손가락 정보 획득수단은,
    상기 근육 떨림 신호 감지수단에 의해 감지된 손목 근육의 떨림 신호로부터 움직임이 있는 손가락을 구분하지 못할 경우 재입력 요청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입력 장치.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손가락 정보 획득수단은,
    상기 근육 떨림 신호 감지수단에 의해 감지된 손목 근육의 떨림 신호로 손가락의 움직임 횟수 정보를 획득하지 못할 경우 재입력 요청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입력 장치.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수단은,
    마디 지정 손가락의 구부림 횟수를 통해 데이터를 입력할 손가락의 마디 정보를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입력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수단은,
    삭제 요청 손가락의 구부림에 따라 마지막으로 입력된 데이터를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입력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마디 지정 손가락은,
    엄지(A Thumb)이고,
    상기 삭제 요청 손가락은,
    소지(A Little Finge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입력 장치.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KR1020070095435A 2007-09-19 2007-09-19 손가락 움직임을 이용한 데이터 입력 장치 KR1008975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5435A KR100897526B1 (ko) 2007-09-19 2007-09-19 손가락 움직임을 이용한 데이터 입력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5435A KR100897526B1 (ko) 2007-09-19 2007-09-19 손가락 움직임을 이용한 데이터 입력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0105A KR20090030105A (ko) 2009-03-24
KR100897526B1 true KR100897526B1 (ko) 2009-05-15

Family

ID=406965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5435A KR100897526B1 (ko) 2007-09-19 2007-09-19 손가락 움직임을 이용한 데이터 입력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752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292833B2 (en) 2009-08-27 2012-10-23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Finger motion detecting apparatus and method
WO2017165023A1 (en) * 2016-03-21 2017-09-28 Intel Corportion Under-wrist mounted gesturing
US9946395B2 (en) 2015-02-16 2018-04-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User interface method and apparatus
KR20190121447A (ko) 2018-04-18 2019-10-28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손가락 마디 인식에 의한 숫자 또는 문자 인식 방법 및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3898B1 (ko) * 2011-12-06 2013-10-30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손가락 움직임을 이용한 의사전달 시스템 및 방법
KR102165077B1 (ko) 2013-08-21 2020-10-13 삼성전자주식회사 생체신호 인터페이스 장치 및 생체신호 인터페이스 장치의 동작 방법
KR102136836B1 (ko) 2013-09-09 2020-08-13 삼성전자주식회사 생체 신호들을 이용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착용형 기기 및 그 착용형 기기의 인증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48873A (ja) * 1994-03-08 1995-09-26 Sharp Corp 筋電信号を用いた制御装置
KR20010110615A (ko) * 2000-06-07 2001-12-13 이기방 피부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작동되는 정보입력장치와 이를이용한 이동정보처리장치와 컴퓨터와 이동통신기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48873A (ja) * 1994-03-08 1995-09-26 Sharp Corp 筋電信号を用いた制御装置
KR20010110615A (ko) * 2000-06-07 2001-12-13 이기방 피부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작동되는 정보입력장치와 이를이용한 이동정보처리장치와 컴퓨터와 이동통신기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292833B2 (en) 2009-08-27 2012-10-23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Finger motion detecting apparatus and method
US9946395B2 (en) 2015-02-16 2018-04-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User interface method and apparatus
WO2017165023A1 (en) * 2016-03-21 2017-09-28 Intel Corportion Under-wrist mounted gesturing
KR20190121447A (ko) 2018-04-18 2019-10-28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손가락 마디 인식에 의한 숫자 또는 문자 인식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0105A (ko) 2009-03-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7526B1 (ko) 손가락 움직임을 이용한 데이터 입력 장치
US10446059B2 (en) Hand motion interpretation and communication apparatus
US756529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lating hand gestures
JP5897725B2 (ja) 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装置、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方法、プログラム及びコンピュータ可読情報記憶媒体
US20160179210A1 (en) Input supporting method and input supporting device
US20100023314A1 (en) ASL Glove with 3-Axis Accelerometers
US20150084859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cognition and Response to Gesture Based Input
US10678342B2 (en) Method of virtual user interface interaction based on gesture recognition and related device
Hrabia et al. Whole hand modeling using 8 wearable sensors: Biomechanics for hand pose prediction
US20080036737A1 (en) Arm Skeleton for Capturing Arm Position and Movement
KR20140146346A (ko) 파지된 물체를 이용한 모션을 인식하는 장치 및 방법, 시스템
US11175729B2 (en) Orientation determination based on both images and inertial measurement units
Siddhpuria et al. Exploring at-your-side gestural interaction for ubiquitous environments
US20150331493A1 (en) Wearable Input Device
Ong et al. Sign-language recognition through gesture & movement analysis (SIGMA)
US10095309B2 (en) Input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finger touch interface
Aranyanak et al. A system for tracking braille readers using a Wii Remote and a refreshable braille display
JP2006502484A (ja) 急速入力装置
KR20040107515A (ko) 전자 장치로 명령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장치
US20150261301A1 (en) User interface device, user interface method, program, and computer-readable information storage medium
KR102009150B1 (ko) 수화 또는 지화 인식 장치 및 방법
JP2016045723A (ja) 電子機器
KR101596600B1 (ko) 사용자 패턴 기반의 동작 인식 보정 장치 및 그 방법
JP5774235B2 (ja) 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装置、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方法、プログラム及びコンピュータ可読情報記憶媒体
JP2016045724A (ja) 電子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