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4192B1 - Manufacturing method of semiconductor package - Google Patents

Manufacturing method of semiconductor packag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4192B1
KR100884192B1 KR1020070072843A KR20070072843A KR100884192B1 KR 100884192 B1 KR100884192 B1 KR 100884192B1 KR 1020070072843 A KR1020070072843 A KR 1020070072843A KR 20070072843 A KR20070072843 A KR 20070072843A KR 100884192 B1 KR100884192 B1 KR 1008841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fer
semi
circuit board
underfill
semicondu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284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90009506A (en
Inventor
정운갑
정지영
이준엽
Original Assignee
앰코 테크놀로지 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앰코 테크놀로지 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앰코 테크놀로지 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728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4192B1/en
Publication of KR200900095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950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41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419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4/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Methods or apparatus related thereto
    • H01L24/80Methods for connecting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bodies using 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 H01L24/81Methods for connecting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bodies using 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using a bump connec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10Bump connecto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15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ump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16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ump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bump connec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73Means for bonding being of different types provided for in two or more of groups H01L2224/10, H01L2224/18, H01L2224/26, H01L2224/34, H01L2224/42, H01L2224/50, H01L2224/63, H01L2224/71
    • H01L2224/731Location prior to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73101Location prior to the connecting process on the same surface
    • H01L2224/73103Bump and layer connectors
    • H01L2224/73104Bump and layer connectors the bump connector being embedded into the layer connec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80Methods for connecting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bodies using 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 H01L2224/81Methods for connecting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bodies using 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using a bump connector
    • H01L2224/818Bonding techniques
    • H01L2224/81801Soldering or alloy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1Chemical elements
    • H01L2924/01006Carbon [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1Chemical elements
    • H01L2924/01033Arsenic [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1Chemical elements
    • H01L2924/01047Silver [A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1Chemical elements
    • H01L2924/0105Tin [S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1Chemical elements
    • H01L2924/01075Rhenium [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1Chemical elements
    • H01L2924/01078Platinum [P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1Chemical elements
    • H01L2924/01082Lead [Pb]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Treatment Of Semiconductor (AREA)
  • Encapsulation Of And Coatings For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AREA)
  • Wire Bo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도체 패키지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반도체 다이의 백그라인딩시 사용되는 백그라인딩 필름에 필름형 언더필 또는 반경화 언더필을 함께 부착함으로써, 추후 언더필 공정을 불량없이 용이하게 수행하는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semiconductor package, the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attaching a film-type underfill or semi-hardened underfill together to the backgrinding film used in the backgrinding of the semiconductor die, to easily perform the subsequent underfill process without defect To do.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본드패드와 본드 패드의 외주연에 패시베이션층을 형성하여 반도체 다이를 준비하는 웨이퍼 준비 단계와, 반도체 다이의 본드패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도전성 범프를 형성하는 웨이퍼 범핑 단계와, 반도체 다이와 도전성 범프에 반경화 언더필 또는 필름 언더필과 백그라인딩 필름을 갖는 테이프를 부착하는 웨이퍼 테이핑 단계와, 반도체 다이 중 자신의 본드 패드가 형성된 면의 반대면을 그라인딩하는 백그라인딩 단계 및 웨이퍼 테이핑 단계에서 부착하였던 테이프 중 백그라인딩 필름을 제거하는 웨이퍼 디테이핑 단계를 포함하는 반도체 패키지의 제조 방법을 개시한다.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wafer preparation step of preparing a semiconductor die by forming a passivation layer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bond pad and the bond pad, a wafer bumping step of forming a conductive bump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bond pad of the semiconductor die, and a semiconductor A wafer taping step of attaching a tape having a semi-hardened underfill or film underfill and a backgrinding film to the die and the conductive bump, and a backgrinding step and a wafer taping step of grinding the opposite side of the surface where the bond pads of the semiconductor die are formed. Disclosed is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emiconductor package comprising a wafer detapping step of removing a backgrinding film from a tape.

반도체 패키지, 플립칩, 언더필, 플럭스, 필름 Semiconductor Package, Flip Chip, Underfill, Flux, Film

Description

반도체 패키지의 제조 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SEMICONDUCTOR PACKAGE}Manufacturing method of semiconductor package {MANUFACTURING METHOD OF SEMICONDUCTOR PACKAGE}

본 발명은 반도체 패키지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반도체 다이의 백그라인딩시 사용되는 백그라인딩 필름에 필름형 언더필 또는 반경화 언더필을 함께 부착함으로써, 추후 언더필 공정을 불량없이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반도체 패키지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semiconductor package, and more particularly, by attaching a film type underfill or a semi-cured underfill together to a backgrinding film used for backgrinding of a semiconductor die, the subsequent underfill process can be easily performed without defect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semiconductor package.

통상적으로 반도체 패키지는 실장 방법에 따라, DIP(Dual In-line Package), PGA(Pin Grid Array)와 같은 삽입 방식과, QFP(Quad Flat Package), PLCC(Plastic Leaded Chip Arrary), CLCC(Ceramic Leaded Chip Carrier), BGA(Ball Grid Array)와 같은 표면 실장(Surface Mount Technology, SMT) 방식으로 구분된다.In general, semiconductor packages have an insertion method such as dual in-line package (DIP) and pin grid array (PGA), quad flat package (QFP), plastic leaded chip array (PLCC), and ceramic leaded (CLCC), depending on the mounting method. It is classified into a surface mount technology (SMT) method such as a chip carrier and a ball grid array (BGA).

특히, 표면 실장형 패키지는 전자 장치의 소형화에 유리하여 삽입형 패키지보다 널리 사용된다. 이러한 표면 실장형 패키지에서 반도체 칩과 회로 기판의 접속방법으로는 반도체 칩의 고성능화에 의해 증가된 단자의 수를 제한된 회로기판에 모두 수용하기 위해 주로 플립칩(flip chip) 패키지 제조 공정이 사용된다.In particular, surface mount packages are more widely used than insert packages because they are advantageous for miniaturization of electronic devices. In such a surface-mount package, a method of connecting a semiconductor chip and a circuit board is mainly used to manufacture a flip chip package in order to accommodate all of the increased number of terminals on a limited circuit board due to high performance of the semiconductor chip.

이러한 플립칩 패키지 제조공정에서는, 일반적으로 반도체 칩과 회로기판 사이의 공간에 언더필(underfill)이 제공된다. 상기 언더필은 기계적 충격 및 접합부의 부식과 같은 외부의 영향으로부터 패키지 구조를 보호하고, 칩과 기판의 열팽창 계수차이로 인한 응력을 최소함으로써 패키지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In such a flip chip package manufacturing process, underfill is generally provided in the space between the semiconductor chip and the circuit board. The underfill serves to protect the package structure from external influences such as mechanical shock and corrosion of the joint, and to improve the reliability of the packaged product by minimizing the stress caused by the difference in thermal expansion coefficient between the chip and the substrate.

그러나 이러한 언더필은 액상의 상태로 디스펜서(dispenser)를 이용하여 반도체 칩과 회로 기판 사이에 주입하는 별도의 공정으로 진행되므로, 작업 수율이 떨어지게 된다. 그리고, 반도체 패키지가 소형화되어 감에 따라 반도체 칩 사이즈가 점차 줄어들게 되고 이로 인하여, 도전성 범프의 크기도 작아지고, 도전성 범프간의 거리도 짧아진다. 즉, 도전성 범프간의 거리가 파인 피치(fine pitch)화 되어간다. 이와 같이, 도전성 범프간의 거리가 파인 피치화 되면, 디스펜서(dispenser)로 언더필을 반도체 칩과 회로 기판 사이에 주입할 때, 액상의 언더필중 필러(filler)가 도전성 범프 사이의 거리보다 커서 도전성 범프 사이에 걸려 고정(settling)되거나, 보이드(void) 등과 같은 불량을 발생 시킨다. 이러한 현상으로 인하여, 일정한 두께로 언더필이 형성되지 않아 기계적 충격 및 접합부의 부식과 같은 외부의 영향으로부터 패키지 구조를 보호하고, 반도체 칩과 회로 기판의 열팽창 계수차이로 인한 응력을 최소함으로써 패키지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언더필의 역할을 수행할 수 없게 된다.However, since the underfill is a separate process of injecting between the semiconductor chip and the circuit board using a dispenser in a liquid state, the working yield is reduced. As the semiconductor package is miniaturized, the semiconductor chip size gradually decreases, thereby reducing the size of the conductive bumps and shortening the distance between the conductive bumps. That is, the distance between the conductive bumps becomes fine pitch. As such,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conductive bumps becomes fine pitch, when the underfill is injected between the semiconductor chip and the circuit board with a dispenser, the filler in the liquid underfill is larger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conductive bumps and thus the distance between the conductive bumps. It can get caught or fixed, or cause a defect such as void. Due to this phenomenon, underfill is not formed to a certain thickness, thereby protecting the package structure from external influences such as mechanical shock and corrosion of the joint, and minimizing stress due to thermal expansion coefficient difference between the semiconductor chip and the circuit board. You will not be able to play the role of an underfill to improve your performance.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필름형 언더필 또는 반경화 언더필을 사용함으로써, 필러 고정(settling)이나 보이드(void)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반도체 패키지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overcome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anufacture a semiconductor package capable of preventing filler settling or voiding by using a film type underfill or a semi-cured underfill. To provide a method.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필름형 언더필 또는 반경화 언더필을 백그라인딩 필름 부착시 함께 반도체 다이에 부착하여, 별도로 액상의 언더필을 충진하는 공정을 생략할 수 있어 생산성 및 작업 수율을 높일 수 있는 반도체 패키지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ttach the film-type underfill or semi-cured underfill to the semiconductor die when attaching the backgrinding film, it is possible to omit the step of separately filling the liquid underfill to increase the productivity and work yield It is to provide a method of manufacturing a package.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반도체 패키지의 제조 방법은본드패드와, 상기 본드 패드 외주연에 패시베이션층을 형성하여 반도체 다이를 준비하는 웨이퍼 준비 단계와, 상기 반도체 다이의 본드패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도전성 범프를 형성하는 웨이퍼 범핑 단계와, 상기 반도체 다이와 도전성 범프에 반경화 언더필과 백그라인딩 필름를 포함하는 테이프를 부착하는 웨이퍼 테이핑 단계와, 상기 반도체 다이 중 자신의 본드 패드가 형성된 면의 반대면을 그라인딩하는 백그라인딩 단계 및 상기 웨이퍼 테이핑 단계에서 부착하였던 상기 테이프 중 상기 백그라인딩 필름을 제거하는 웨이퍼 디테이핑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emiconductor pack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afer preparation step of preparing a semiconductor die by forming a passivation layer on a bond pad and an outer circumference of the bond pad; A wafer bumping step of forming a conductive bump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wafer, a tape taping step of attaching a tape including a semi-hardened underfill and a backgrinding film to the semiconductor die and the conductive bump, and an opposite side of the semiconductor die on which a bond pad is formed It may include a back grinding step of grinding the surface and a wafer detapping step of removing the back grinding film of the tape attached in the wafer taping step.

상기 웨이퍼 디테이핑 단계 이후에는 상기 반도체 다이와 상기 반경화 언더필을 소잉하여 웨이퍼에서 낱개의 반도체 칩으로 분리하는 웨이퍼 소우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After the wafer detapping step, it may further comprise a wafer sawing step of sawing the semiconductor die and the semi-cured underfill to separate from the wafer into individual semiconductor chips.

상기 웨이퍼 소우 단계 이후에는 상기 반도체 칩을 회로기판과 접착하는 반도체 칩 어태치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After the wafer sawing step may include a semiconductor chip attach step of bonding the semiconductor chip to the circuit board.

상기 회로기판은 평평한 제1면과, 상기 제1면의 반대면 으로서 평평한 제2면을 갖고, 상기 제1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1배선패턴이 형성되고, 상기 제2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2배선패턴이 형성된 절연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circuit board has a first flat surface and a second flat surface as an opposite surface of the first surface, at least one first wiring pattern is formed on the first surface, and at least one first surface on the second surface. It may be formed of an insulating layer having a two-wire pattern formed thereon.

상기 회로기판의 제1배선패턴과 제2배선패턴은 절연층에 형성된 도전성 비아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The first wiring pattern and the second wiring pattern of the circuit board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conductive vias formed in the insulating layer.

상기 회로기판의 제1배선패턴과 제2배선패턴의 외주연에는 각각 제1솔더 마스크와 제2솔더 마스크가 형성될 수 있다.A first solder mask and a second solder mask may be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first wiring pattern and the second wiring pattern of the circuit board, respectively.

상기 반도체 칩 어태치 단계 이후에는 상기 반도체 칩과 상기 회로기판을 열처리하여, 상기 반도체 칩의 도전성 범프를 상기 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리플로우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After the semiconductor chip attach step, the semiconductor chip and the circuit board may be heat-treated to further include a reflow step of electrically connecting the conductive bumps of the semiconductor chip to the circuit board.

상기 리플로우 단계에서는 상기 반도체 칩의 도전성 범프와 상기 회로기판에 형성된 배선패턴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In the reflow step, the conductive bumps of the semiconductor chip and the wiring patterns formed on the circuit board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상기 리플로우 단계에서는 상기 반경화 언더필이 완전히 경화 되는 동시에, 상기 반도체 칩의 도전성 범프가 상기 회로기판에 형성된 배선패턴에 용착될 수 있다.In the reflow step, the semi-cured underfill may be completely cured, and the conductive bumps of the semiconductor chip may be deposited on the wiring pattern formed on the circuit board.

상기 웨이퍼 테이핑 단계에서 상기 반도체 다이와 도전성 범프에 부착되는 테이프는 상기 반경화 언더필과 상기 백그라인딩 필름을 포함하며, 상기 반경화 언더필과 상기 백그라인딩 필름은 접착제로 접착될 수 있다.The tape attached to the semiconductor die and the conductive bump in the wafer taping step may include the semi-cured underfill and the backgrinding film, and the semi-cured underfill and the backgrinding film may be adhered with an adhesive.

상기 반경화 언더필과 상기 백그라인딩 필름 사이에 형성된 상기 접착제는 상기 백그라인딩 필름과의 접착력이 상기 반경화 언더필과의 접착력보다 더 강할 수 있다.The adhesive formed between the semi-cured underfill and the backgrinding film may have stronger adhesive force with the semi-cured underfill than with the semi-cured underfill.

상기 웨이퍼 디테이핑 단계에서 상기 접착제는 상기 반경화 언더필과 접착된 부분이 떨어져서 상기 백그라인딩 필름과 상기 접착제가 함께 제거될 수 있다.In the wafer detapping step, the adhesive may be removed from the backgrinding film and the adhesive together with the semi-hardened underfill attached to the adhesive.

상기 웨이퍼 테이핑 단계에서 상기 반도체 다이와 상기 도전성 범프에 부착되는 상기 테이프는 상기 반경화 언더필과 상기 백그라인딩 필름을 포함하며, 상기 반경화 언더필과 상기 백그라인딩 필름 사이에 플럭스가 개재될 수 있다.The tape attached to the semiconductor die and the conductive bump in the wafer taping step may include the semi-cured underfill and the backgrinding film, and a flux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 semi-cured underfill and the backgrinding film.

상기 웨이퍼 테이핑 단계에서 상기 플럭스와 상기 백그라인딩 필름 사이에 접착제가 개재될 수 있다.An adhesive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 flux and the backgrinding film in the wafer taping step.

상기 백그라인딩 필름과 상기 접착제 사이의 접착력이 상기 접착제와 상기 플럭스 사이의 접착력보다 더 강할 수 있다.The adhesion between the backgrinding film and the adhesive may be stronger than the adhesion between the adhesive and the flux.

상기 웨이퍼 디테이핑 단계에서 상기 접착제는 상기 플럭스와 접착된 부분이 떨어져서 상기 백그라인딩 필름과 상기 접작제는 함께 제거될 수 있다.In the wafer detapping step, the adhesive may be separated from the portion bonded to the flux so that the backgrinding film and the adhesive agent may be removed together.

상기 웨이퍼 디테이핑 단계 이후에는 상기 반도체 다이와 상기 반경화 언더필 및 상기 플럭스를 소잉하여 웨이퍼에서 낱개의 반도체 칩으로 분리하는 웨이퍼 소우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After the wafer detapping step, the semiconductor die, the semi-cured underfill and the flux may be sawed to further separate the wafer from the wafer into individual semiconductor chips.

상기 웨이퍼 소우 단계 이후에는 상기 반도체 칩을 회로기판과 접착하는 반도체 칩 어태치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After the wafer sawing step may include a semiconductor chip attach step of bonding the semiconductor chip to the circuit board.

상기 반도체 칩 어태치 단계 이후에는 상기 반도체 칩과 상기 회로기판을 열처리하여, 상기 반도체 칩의 도전성 범프를 상기 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리플로우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After the semiconductor chip attach step, the semiconductor chip and the circuit board may be heat-treated to further include a reflow step of electrically connecting the conductive bumps of the semiconductor chip to the circuit board.

상기 리플로우 단계에서는 상기 반경화 언더필은 완전히 경화됨과 동시에, 상기 플럭스는 제거되며, 상기 반도체 다이의 도전성 범프가 회로기판에 용착될 수 있다.In the reflow step, the semi-cured underfill is completely cured, and at the same time, the flux is removed, and conductive bumps of the semiconductor die may be deposited on a circuit board.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반도체 패키지의 제조 방법은 반도체 칩의 도전성 범프가 파인 피치(fine pitch)화 되어 감에 따라, 필름형 언더필 또는 반경화 언더필을 사용함으로써, 필러 고정 및 보이드 (void) 등과 같은 불량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in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semiconductor pack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the conductive bumps of the semiconductor chip become fine pitches, filler fixing and voiding are performed by using a film type underfill or a semi-cured underfill. It is possible to prevent defects such as).

또한 상기와 같이 하여 본명에 의한 반도체 패키지의 제조 방법은 필름형 언더필 또는 반경화 언더필을 백그라인딩 필름 부착시 함께 반도체 다이에 부착하여, 별도로 액상의 언더필을 충진하는 공정을 생략할 수 있음으로써 생산성 및 작업 수율이 향상 된다.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a semiconductor pack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ttaches a film type underfill or a semi-cured underfill to a semiconductor die when attaching a backgrinding film, thereby eliminating the process of separately filling a liquid underfill, thereby improving productivity and Work yield is improved.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uch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패키지의 제조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가 도시되어 있다.Referring to FIG. 1,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emiconductor pack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반도체 패키지의 제조 방법은 웨이퍼 준비 단계(S1), 웨이퍼 범핑(wafer bumping) 단계(S2), 웨이퍼 테이핑(taping) 단계(S3), 백그라인딩(back grinding) 단계(S4), 웨이퍼 디테이핑(detaping) 단계(S5), 웨이퍼 소우(saw) 단계(S6), 반도체 칩 어태치(attach) 단계(S7) 및 리플로우(reflow) 단계(S8)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1,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semiconductor pack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afer preparation step S1, a wafer bumping step S2, a wafer tapping step S3, and back grinding. A step S4, a wafer detaping step S5, a wafer saw step S6, a semiconductor chip attach step S7, and a reflow step S8. .

도 2a 내지 도 2h를 참조하면 도 1에 도시된 반도체 패키지의 제조 방법을 도시한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2A through 2H are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emiconductor package shown in FIG. 1.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웨이퍼 준비 단계(S1)에서는 대략 평평하거나 완전히 평평한 제1면(111)과, 상기 제1면(111)의 반대면으로서 대략 평평하거나 완전히 평평한 제2면(112)을 가지며, 상기 제1면(111)에는 적어도 하나의 본드 패드(115)가 형성되며, 본드 패드(115)의 외주연에 일정 두께의 패시베이션 층(116)이 형성된 반도체 다이(110)를 포함하는 웨이퍼(100a)를 준비한다. 상기 패시베이션 층(116)은 통상의 폴리이미드(Polyimide), 에폭시(epoxy), BCB(Benzo Cyclo Butene), PBO(Poly Benz Oxazole), 산화막, 질화막 및 그 등가물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형성할 수 있으나, 여기서 그 재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물론, 상기 질화막이나 산화막은 예를 들면 실리콘 가스와 질소, 실리콘 가스와 산소를 흘려주어 형성하고, 상기 폴리이미드 및 에폭시는 코팅 또는 스프레이 방식으로 형성 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2A, in the wafer preparation step S1, a first surface 111 that is substantially flat or completely flat, and a second surface 112 that is substantially flat or completely flat as an opposite surface of the first surface 111. At least one bond pad 115 is formed on the first surface 111, and a semiconductor die 110 having a passivation layer 116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ce of the bond pad 115. The wafer 100a is prepared. The passivation layer 116 may be formed of any one selected from conventional polyimide, epoxy, BCB (Benzo Cyclo Butene), PBO (Poly Benz Oxazole), oxide, nitride, and equivalents thereof. It does not limit the material. Of course, the nitride film or the oxide film may be formed by flowing silicon gas, nitrogen, silicon gas and oxygen, and the polyimide and epoxy may be formed by coating or spraying.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웨이퍼 범핑(wafer bumping) 단계(S2)에서는 상기 반도체 다이(110)의 본드 패드(115)에 도전성 범프(120)를 형성한다. 상기 도전성 범프(120)는 상기 본드 패드(115)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도전성 범프(120)는 통상의 볼 드랍(ball drop), 스크린 프린팅(screen printing), 전기도금, 진공증착, 플레이팅(plating) 및 그 등가 방법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으며, 여기서 그 방법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도전성 범프(120)는 주석/납(Pb/Sn), 납없는 주석(Leadless Sn)등의 금속재료 및 그 등가물중 선택된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으나, 여기서 그 재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As illustrated in FIG. 2B, in the wafer bumping step S2, the conductive bumps 120 are formed on the bond pads 115 of the semiconductor die 110. The conductive bumps 120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bond pads 115. The conductive bumps 120 may be formed using any one of conventional ball drop, screen printing, electroplating, vacuum deposition, plating, and the like. It does not limit the method. The conductive bumps 120 may be formed using any one selected from metal materials such as tin / lead (Pb / Sn) and leadless tin, and equivalents thereof, but the material is not limited thereto. .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웨이퍼 테이핑(taping) 단계(S3)에서는 상기 반도체 다이(110)의 패시베이션 층(116)과 도전성 범프(120)에 테이프(130)를 부착한다. 상기 테이프(130)는 반경화 언더필(131), 접착제(132) 및 백그라인딩 필름(133)을 포함한다. 상기 테이프(130)는 하기할 웨이퍼 백그라인딩 단계(S4)에서 반도체 다이(110)의 제2면(112)을 그라인딩하기 위해 제1면(111)에 부착하고, 상기 테이프(130)의 외주연에 링(ring)이 형성될 수도 있으며, 상기 테이프(130)는 하기할 백그라인딩 단계(S4)에서 반도체 다이(110)의 제1면을 보호한다. 참로로 여기서 상기 테이프(130)의 외주연에 상기 링(ring)이 형성되면, 상기 웨이퍼(100)의 핸들링이 용이해진다. 상기 반경화 언더필(131)은 플럭스 성분이 포함된 반경화 필름 형태의 언더필 부재 및 그 등가물중 선택된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반경화 언더필(131)은 열처리를 통해 반경화 상태의 필름 형태로 상기 반도체 다이(110)의 패시베이션 층(116)과 도전성 범프(120)에 부착되며, 하기할 리플로우 단계(S8)에서 리플로우 장치를 통해 상기 도전성 범프(120)를 용착할 때에 완전히 경화될 수 있다. 상기 테이프(130)는 통상적으로 웨이퍼(100a) 상에 테이프(130)를 공급한후 롤러로 테이프(130)를 밀어서 접착할 수 있으나, 여기서 그 방법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As shown in FIG. 2C, in the wafer taping step S3, the tape 130 is attached to the passivation layer 116 and the conductive bump 120 of the semiconductor die 110. The tape 130 includes a semi-cured underfill 131, an adhesive 132, and a backgrinding film 133. The tape 130 is attached to the first surface 111 to grind the second surface 112 of the semiconductor die 110 in the wafer backgrinding step S4 to be described later, and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tape 130. A ring may be formed in the tape 130, and the tape 130 protects the first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die 110 in a backgrinding step S4. Indeed, if the ring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tape 130 here, the handling of the wafer 100 is facilitated. The semi-cured underfill 131 may be formed using any one selected from an underfill member in the form of a semi-cured film including a flux component and an equivalent thereof. The semi-cured underfill 131 is attached to the passivation layer 116 and the conductive bump 120 of the semiconductor die 110 in the form of a semi-cured film through heat treatment. When the conductive bumps 120 are welded through the reflow apparatus, they may be completely cured. The tape 130 is typically supplied with the tape 130 on the wafer (100a) and then the adhesive can be adhered by pushing the tape 130 with a roller, but the method is not limited thereto.

도 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백그라인딩(back grinding) 단계(S4)에서는 상기 반도체 다이(110)의 제2면(112)을 일정 두께만큼 그라인딩하여 불필요한 부분을 제거한다. 이러한 백그라인딩 공정은 예를 들면 다이아몬드 그라인더 및 그 등가물을 이용하여 수행할 수 있으며, 여기서 상기 그라인딩 방법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상기 백그라인딩(back grinding) 단계(S4)에서 백그라인딩 필름(133)은 상기 반도체 다이(110)의 제1면(111)에 형성된 액티브 층을 구성하는 층간절연막 및 금속선 등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As shown in FIG. 2D, in the back grinding step S4, the second surface 112 of the semiconductor die 110 is ground by a predetermined thickness to remove unnecessary portions. Such a backgrinding process can be carried out using, for example, a diamond grinder and its equivalents, but is not limited thereto. In the back grinding step S4, the back grinding film 133 may prevent the interlayer insulating layer, the metal wire, etc. constituting the active layer formed on the first surface 111 of the semiconductor die 110 from being damaged. It plays a role.

도 2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웨이퍼 디테이핑(detaping) 단계(S5)에서는 상기 웨이퍼 테이핑(taping) 단계(S3)에서 반도체 다이(110)의 제1면(111)과 상기 도전성 범프(120)에 접착된 테이프(130) 중 백그라인딩 필름(133)을 제거한다. 물론 상기 테이프(130)는 반경화 언더필(131), 접착제(132) 및 백그라인딩 필름(133)을 포함하고, 상기 접착제(132)는 상기 반경화 언더필(131)과 상기 백그라인딩 필름(133) 사이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접착제(132)는 반경화 언더필(131)과 접착된 부분보다 백그라인딩 필름(133)과 접착된 부분이 더 강하게 접착되어 백그라인딩 필름(133)을 제거할 때 반경화 언더필(131)과 접착된 부분이 떨어져 접착제(132)와 백그라인딩 필름(133)이 함께 제거 된다. 그러므로, 상기 반도체 다이(110)의 제1면(111)과 상기 도전성 범프(120)에는 반경화 언더필(131)만 남게 된다. 이로 인하여, 반도체 칩과 회로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한 후에 기계적 충격 및 접합부의 부식과 같은 외부의 영향으로부터 패키지구조를 보호하고, 반도체 칩과 회로 기판의 열팽창 계수 차이로 인한 응력을 최소함으로써 패키지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는 언더필을 형성하기 위한 별도의 공정을 진행해야 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웨이퍼 테이핑 단계(S3)과 웨이퍼 디테이핑 단계(S5)를 통해서 언더필이 이미 형성되므로, 공정시간을 단축 하여 생산성 및 작업 수율이 증가하는 이점이 있다. As shown in FIG. 2E, in the wafer detaping step S5, the first surface 111 of the semiconductor die 110 and the conductive bump 120 are formed in the wafer tapping step S3. The backgrinding film 133 is removed from the tape 130 attached to the tape 130. Of course, the tape 130 includes a semi-cured underfill 131, an adhesive 132, and a backgrinding film 133, and the adhesive 132 includes the semi-cured underfill 131 and the backgrinding film 133. It is formed between. In addition, the adhesive 132 may be more strongly bonded to the backgrinding film 133 than the portion bonded to the semi-cured underfill 131 to remove the backgrinding film 133 from the semi-cured underfill 131. The adhesive part is separated and the adhesive 132 and the backgrinding film 133 are removed together. Therefore, only the semi-cured underfill 131 remains on the first surface 111 and the conductive bump 120 of the semiconductor die 110. Thus, after the semiconductor chip and the circuit board are electrically connected, the package structure is protected from external influences such as mechanical shock and corrosion of the joint, and the stress due to the difference in thermal expansion coefficient between the semiconductor chip and the circuit board is minimized. A separate process for forming the underfill which serves to improve the reliability should be carried out, but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underfill is already formed through the wafer taping step S3 and the wafer detapping step S5, the process time is shortened. There is an advantage of increased productivity and yield.

도 2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웨이퍼 소우(saw) 단계(S6)에서는 다이아몬드 휠 또는 레이저 빔과 같은 소잉 툴(140)을 이용하여 웨이퍼(100a)에서 낱개의 반도체 칩(100)으로 소잉(sawing)한다. 예를 들면, 소잉 툴(140)로 상기 반도체 다이(110)와 반경화 언더필(131)의 일정 영역을 모두 소잉함으로써, 웨이퍼(100a)로부터 낱개의 반도체 칩(100)으로 분리되도록 한다. As shown in FIG. 2F, the sawing step S6 is sawing from the wafer 100a to the individual semiconductor chips 100 using a sawing tool 140 such as a diamond wheel or a laser beam. )do. For example, the sawing tool 140 sweeps all of a predetermined region of the semiconductor die 110 and the semi-cured underfill 131 to be separated from the wafer 100a into individual semiconductor chips 100.

도 2g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반도체 다이 어태치(attach) 단계(S7)에서는 상기 웨이퍼 소우 단계(S6)에서 형성된 반도체 칩(100)을 이송부재(300)를 이용하여 상기 회로기판(200)으로 이송한다. 이때, 상기 회로 기판(200)은 평평한 제1면(220)과, 상기 제1면(220)의 반대면으로서 평평한 제2면(230)을 갖고, 상기 제1면(220)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1배선패턴(221)이 형성되고, 상기 제2면(230)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2배선패턴(231)이 형성된 절연층(210)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배선패턴(221)과 상기 제2배선패턴(231)은 절연층(210)에 형성된 도전성 비아(240)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배선패턴(221)의 외주연에는 제1솔더 마스크(222)가 형성되고, 상기 제2배선패턴(231)의 외주연에는 제2솔더 마스크(232)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회로기판(200)의 제1면(220)에 형성된 제1배선패턴(221)과 대응되는 영역에 반도체 칩(100)의 도전성 범프(120)가 접촉되도록 이송부재(300)로 반도체 칩(100)을 이송하여 회로기판(200)에 안착시킨다. 상기 이송부재(300)는 상기 반도체 칩(100)의 제2면(112)에 밀착되어 상기 반도체 칩(100)을 흡착하여 이송할 수 있지만, 여기서 그 방법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더불어 여기서 상기 회로 기판은 경성 인쇄회로기판을 예로 하였지만, 이밖에도 연성 인쇄회로기판 또는 리드 프레임도 사용 가능하다. As shown in FIG. 2G, in the semiconductor die attach step S7, the circuit board 200 may be transferred to the semiconductor chip 100 formed in the wafer sawing step S6 using a transfer member 300. Transfer to. In this case, the circuit board 200 has a flat first surface 220 and a flat second surface 230 as an opposite surface of the first surface 220, and at least one on the first surface 220. The first wiring pattern 221 may be formed, and the second surface 230 may be formed of an insulating layer 210 having at least one second wiring pattern 231 formed thereon. The first wiring pattern 221 and the second wiring pattern 231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conductive via 240 formed in the insulating layer 210. A first solder mask 222 may be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ce of the first wiring pattern 221, and a second solder mask 232 may be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ce of the second wiring pattern 231. The semiconductor chip (eg, the transfer member 300) contacts the conductive bumps 120 of the semiconductor chip 100 to a reg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wiring pattern 221 formed on the first surface 220 of the circuit board 200. 100 is transferred and seated on the circuit board 200. The transfer member 300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second surface 112 of the semiconductor chip 100 to absorb and transfer the semiconductor chip 100, but the method is not limited thereto. In addition, although the printed circuit board is a hard printed circuit board as an example, a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or a lead frame may be used.

도 2h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리플로우(reflow) 단계(S8)에서는 상기 회로기판(200)의 제1배선패턴(221)에 안착된 상기 반도체 칩(100)의 도전성 범프(120)을 일정 온도(150 내지 250℃)를 갖는 리플로우 장치를 통해 상기 도전성 범프(120)가 상기 회로기판(200)의 제1배선패턴(221)에 용착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반경화 언더필(131)도 용융되어 반도체 칩(100)과 회로 기판(200) 사이의 공간에 고르게 분포된 다음 완전 경화되어 반도체 칩(100)과 회로 기판(200) 사이에 고착되도록 한다. 상기 반경화 언더필(131)은 반도체 칩(100)과 회로 기판(200)의 서로 다른 열팽창계수에 의한 힘을 견딜 수 있을 정도로 충분히 단단하게 경화된다. 상기 리플로우는 가열원에 따라 적외선 리플로우, 열풍 리플로우, 적외선+열풍 리플로우, 불활성 용제의 기화잠열에 의한 방식 및 이의 등가방법을 이용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As shown in FIG. 2H, in the reflow step S8, the conductive bumps 120 of the semiconductor chip 100 seated on the first wiring pattern 221 of the circuit board 200 are fixed. The conductive bumps 120 are welded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wiring patterns 221 of the circuit board 200 through a reflow device having a temperature (150 to 250 ° C.), and the semi-cured underfill 131 is also provided. It is melted and evenly distributed in the space between the semiconductor chip 100 and the circuit board 200 and then completely cured to adhere to the semiconductor chip 100 and the circuit board 200. The semi-cured underfill 131 is cured hard enough to withstand the forces due to different thermal expansion coefficients of the semiconductor chip 100 and the circuit board 200. The reflow may be based on an infrared reflow, hot air reflow, infrared + hot air reflow, latent heat of vaporization of an inert solvent, and an equivalent method thereof according to a heating sourc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이러한 반도체 패키지(1000) 제조 방법은 백그라인딩 시 반도체 다이의 제1면을 보호하기 위하여 부착되는 백그라인딩 필름과 반경화 언더필을 함께 반도체 다이에 부착하여, 백그라인딩 공정 후에 백그라인딩 필름은 제거하고, 반경화 언더필만 남게 된다. 이는 추후에 진행하여야 하는 별도의 액상 언더필 충진 공정을 생략할 수 있게 되므로 종래의 반도체 패키지 공정에 비하여 단순화 되어 생산성 및 작업 수율이 증가하게 된다. 또한, 상기 반경화 언더필을 필름으로 부착하게 되므로, 종래의 액상형 언더필을 주입할 때 언더필의 충전제(filler)가 도전성 범프의 거리보다 커서 발생되는 고착(setting)이나 보이드(void)등과 같은 불량 현상을 제거 할 수 있으므로, 일정한 두께의 언더필을 형성하여, 기계적 충격 및 접합부의 부식과 같은 외부의 영향으로부터 패키지구조를 보호하고, 반도체 칩과 회로 기판의 열팽창 계수차이로 인한 응력을 최소함으로써 패키지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In th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emiconductor package 1000, the backgrinding film and the semi-cured underfill attached together to protect the first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die are attached to the semiconductor die together to remove the backgrinding film after the backgrinding process. Only the semi-hardened underfill remains. Since it is possible to omit a separate liquid underfill filling process to be carried out in the future it is simplified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semiconductor package process to increase the productivity and work yield. In addition, since the semi-hardened underfill is attached to the film, the filler of the underfill is larger than the distance of the conductive bump when the conventional liquid underfill is injected. It can be removed, forming underfill of a certain thickness, protecting the package structure from external influences such as mechanical shock and corrosion of the joint, and minimizing the stress caused by thermal expansion coefficient difference between semiconductor chip and circuit board Serves to improve

도 3a 내지 도 3h를 참조하면 도 1에 도시된 반도체 패키지의 제조 방법을 도시한 또 다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3A through 3H, another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emiconductor package illustrated in FIG. 1 is illustrated.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웨이퍼 준비 단계(S1)에서는 대략 평평하거나 완전히 평평한 제1면(111)과, 상기 제1면(111)의 반대면으로서 대략 평평하거나 완전히 평평한 제2면(112)을 가지며, 상기 제1면(111)에는 적어도 하나의 본드 패드(115)가 형성되며, 본드 패드(115)의 외주연에 일정 두께의 패시베이션 층(116)이 형성된 반도체 다이(110)를 포함하는 웨이퍼(100a)를 준비한다. 상기 패시베이션 층(116)은 통상의 폴리이미드(Polyimide), 에폭시(epoxy), BCB(Benzo Cyclo Butene), PBO(Poly Benz Oxazole), 산화막, 질화막 및 그 등가물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형성할 수 있으나, 여기서 그 재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물론, 상기 질화막이나 산화막은 예를 들면 실리콘 가스와 질소, 실리콘 가스와 산소를 흘려주어 형성하고, 상기 폴리이미드 및 에폭시는 코팅 또는 스프레이 방식으로 형성 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3A, in the wafer preparation step S1, the first surface 111 that is approximately flat or completely flat, and the second surface 112 that is approximately flat or completely flat as an opposite surface of the first surface 111. At least one bond pad 115 is formed on the first surface 111, and a semiconductor die 110 having a passivation layer 116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ce of the bond pad 115. The wafer 100a is prepared. The passivation layer 116 may be formed of any one selected from conventional polyimide, epoxy, BCB (Benzo Cyclo Butene), PBO (Poly Benz Oxazole), oxide, nitride, and equivalents thereof. It does not limit the material. Of course, the nitride film or the oxide film may be formed by flowing silicon gas, nitrogen, silicon gas and oxygen, and the polyimide and epoxy may be formed by coating or spraying.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웨이퍼 범핑(wafer bumping) 단계(S2)에서는 상기 반도체 다이(110)의 본드 패드(115)에 도전성 범프(120)를 형성한다. 상기 도전성 범프(120)는 상기 본드 패드(115)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도전성 범프(120)는 통상의 볼 드랍(ball drop), 스크린 프린팅(screen printing), 전기도금, 진공증착, 플레이팅 및 그 등가 방법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으며, 여기서 그 방법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도전성 범프(120)는 주석/납(Pb/Sn), 납없는 주석(Leadless Sn)등의 금속재료 및 그 등가물중 선택된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으나, 여기서 그 재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As shown in FIG. 3B, in the wafer bumping step S2, the conductive bumps 120 are formed on the bond pads 115 of the semiconductor die 110. The conductive bumps 120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bond pads 115. The conductive bumps 120 may be formed using any one of conventional ball drop, screen printing, electroplating, vacuum deposition, plating, and the like, and the method may be used. It is not limited. The conductive bumps 120 may be formed using any one selected from metal materials such as tin / lead (Pb / Sn) and leadless tin, and equivalents thereof, but the material is not limited thereto. .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웨이퍼 테이핑(taping) 단계(S3)에서는 상기 반도체 다이(110)의 패시베이션 층(116)과 도전성 범프(120)에 테이프(130)를 부착한다. 상기 테이프(130)는 반경화 언더필(131), 접착제(132), 백그라인딩 필름(133) 및 플럭스(134)를 포함한다. 상기 테이프(130)는 반경화 언더필(131), 플럭스(134), 접착제(132), 백그라인딩 필름(133) 순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테이프(130)는 상기 반도체 다이(110)의 제1면(111)에 상기 반경화 언더필(131)이 부착되어 있다. 상기 테이프(130)는 하기할 웨이퍼 백그라인딩 단계(S4)에서 반도체 다이(110)의 제2면(112)을 그라인딩 하기 위해 제1면(111)에 부착하고, 상기 테이프(130)의 외주연에 링(ring)이 형성될 수도 있으며, 상기 테이프(130)는 하기할 백그라인딩 단계(S4)에서 반도체 다이(110)의 제1면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기 링(ring)이 형성되면, 상기 웨이퍼(100)의 핸들링이 용이해진다. 상기 반경화 언더필(131)은 반경화 필름 형태의 언더필 부재 및 그 등가물중 선택된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반경화 언더필(131)은 열처리를 통 해 반경화 상태의 필름형태로 상기 반도체 다이(110)의 패시베이션 층(116)과 도전성 범프(120)에 부착되며, 하기할 리플로우 단계(S8)에서 리플로우 장치를 통해 상기 도전성 범프(120)를 용착할 때에 완전히 경화 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플럭스(134)는 공정 중 상기 도전성 범프(120)의 표면을 세정하고, 재산화를 방지하며, 표면장력을 낮추는 등의 역할을 한다. 상기 테이프(130)는 통상적으로 웨이퍼(100a) 상에 테이프(130)를 공급한후 롤러로 테이프(130)를 밀어서 접착할 수 있으나, 여기서 그 방법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As shown in FIG. 3C, in the wafer taping step S3, the tape 130 is attached to the passivation layer 116 and the conductive bump 120 of the semiconductor die 110. The tape 130 includes a semi-cured underfill 131, an adhesive 132, a backgrinding film 133, and a flux 134. The tape 130 is formed of a semi-cured underfill 131, a flux 134, an adhesive 132, and a backgrinding film 133, and the tape 130 is formed on the first die of the semiconductor die 110. The semi-cured underfill 131 is attached to the surface 111. The tape 130 is attached to the first surface 111 to grind the second surface 112 of the semiconductor die 110 in the wafer backgrinding step S4 to be described later, and the outer periphery of the tape 130. A ring may be formed in the tape 130, and the tape 130 protects the first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die 110 in the backgrinding step S4. Here, when the ring is formed, handling of the wafer 100 is facilitated. The semi-cured underfill 131 may be formed using any one selected from the underfill member and its equivalent in the form of a semi-cured film. In addition, the semi-cured underfill 131 is attached to the passivation layer 116 and the conductive bump 120 of the semiconductor die 110 in a semi-cured film form through heat treatment. In the case of welding the conductive bumps 120 through the reflow device can be completely cured. Here, the flux 134 cleans the surface of the conductive bump 120 during the process, prevents reoxidation, lowers the surface tension, and the like. The tape 130 is typically supplied with the tape 130 on the wafer (100a) and then the adhesive can be adhered by pushing the tape 130 with a roller, but the method is not limited thereto.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백그라인딩(back grinding) 단계(S4)에서는 상기 반도체 다이(110)의 제2면(112)을 일정 두께만큼 그라인딩하여 불필요한 부분을 제거한다. 이러한 백그라인딩 공정은 예를 들면 다이아몬드 그라인더 및 그 등가물을 이용하여 수행할 수 있으며, 여기서 상기 그라인딩 방법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백그라인딩(back grinding) 단계(S4)에서 백그라인딩 필름(133)은 상기 반도체 다이(110)의 제1면(111)에 형성된 액티브 층을 구성하는 층간절연막 및 금속선 등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As shown in FIG. 3D, in the back grinding step S4, the second surface 112 of the semiconductor die 110 is ground by a predetermined thickness to remove unnecessary portions. Such a backgrinding process can be carried out using, for example, a diamond grinder and its equivalents, but is not limited thereto. In addition, in the back grinding step S4, the back grinding film 133 may prevent the interlayer insulating film, metal wire, etc. constituting the active layer formed on the first surface 111 of the semiconductor die 110 from being damaged. Play a role.

도 3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웨이퍼 디테이핑(detaping) 단계(S5)에서는 상기 웨이퍼 테이핑(taping) 단계(S3)에서 반도체 다이(110)의 제1면(111)과 상기 도전성 범프(120)에 접착된 테이프(130) 중 백그라인딩 필름(133)을 제거한다. 물론 상기 테이프(130)는 반경화 언더필(131), 플럭스(134), 접착제(132) 및 백그라 인딩 필름(133)을 포함하고, 상기 접착제(132)는 상기 플럭스(134)와 상기 백그라인딩 필름(133)사이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접착제(132)는 플럭스(134)와 접착된 부분보다 백그라인딩 필름(133)과 접착된 부분이 더 강하게 접착되어 백그라인딩 필름(133)을 제거할 때 플럭스(134)와 접착된 부분이 떨어져 접착제(132)와 백그라인딩 필름(133)이 함께 제거된다. 그러므로, 상기 반도체 다이(110)의 제1면(111)과 상기 도전성 범프(120)에는 반경화 언더필(131)과 플럭스(134)만 남게 된다. 이로 인하여, 반도체 칩과 회로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한 후에 기계적 충격 및 접합부의 부식과 같은 외부의 영향으로부터 패키지구조를 보호하고, 반도체 칩과 회로 기판의 열팽창 계수차이로 인한 응력을 최소함으로써 패키지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는 언더필과 플럭스를 형성하기 위한 별도의 공정을 진행해야 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웨이퍼 테이핑 단계(S3)과 웨이퍼 디테이핑 단계(S5)를 통해서 언더필과 플럭스가 이미 형성되므로, 공정시간을 단축 하여 생산성 및 작업 수율이 증가하는 이점이 있다. As shown in FIG. 3E, in the wafer detaping step S5, the first surface 111 of the semiconductor die 110 and the conductive bump 120 are formed in the wafer tapping step S3. The backgrinding film 133 is removed from the tape 130 attached to the tape 130. Of course, the tape 130 includes a semi-cured underfill 131, a flux 134, an adhesive 132, and a backgrinding film 133, and the adhesive 132 includes the flux 134 and the backgrinding. It is formed between the films (133). The adhesive 132 is more strongly bonded to the backgrinding film 133 than the portion bonded to the flux 134 so that the portion bonded to the flux 134 is removed when the backgrinding film 133 is removed. The adhesive 132 and the backgrinding film 133 are removed together. Therefore, only the semi-hardened underfill 131 and the flux 134 remain on the first surface 111 and the conductive bump 120 of the semiconductor die 110. Thus, after the semiconductor chip and the circuit board are electrically connected, the package structure is protected from external influences such as mechanical shock and corrosion of the joint, and the stress caused by the difference in thermal expansion coefficient difference between the semiconductor chip and the circuit board is minimized. A separate process for forming the underfill and the flux, which serves to improve the reliability, should be carried out, but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underfill and the flux are already formed through the wafer taping step S3 and the wafer detapping step S5, the process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time and productivity are increased by shortening the time.

도 3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웨이퍼 소우(saw) 단계(S6)에서는 다이아몬드 휠 또는 레이저 빔과 같은 소잉 툴(140)을 이용하여 웨이퍼(100a)에서 낱개의 반도체 칩(100)으로 소잉(sawing)한다. 예를 들면, 소잉 툴(140)로 상기 반도체 다이(110)와 반경화 언더필(131) 및 플럭스(134)의 일정 영역을 모두 소잉함으로써, 웨이퍼(100a)로부터 낱개의 반도체 칩(100)으로 분리되도록 한다. As shown in FIG. 3F, in the wafer sawing step S6, sawing from the wafer 100a to the individual semiconductor chips 100 is performed using a sawing tool 140 such as a diamond wheel or a laser beam. )do. For example, the sawing tool 140 is used to saw all of a predetermined area of the semiconductor die 110, the semi-cured underfill 131, and the flux 134, thereby separating the semiconductor chip 100 from the wafer 100a into individual semiconductor chips 100. Be sure to

도 3g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반도체 다이 어태치(attach) 단계(S7)에서는 상기 웨이퍼 소우 단계(S6)에서 형성된 반도체 칩(100)을 이송부재(300)를 이용하여 상기 회로기판(200)으로 이송한다. 이때, 상기 회로 기판(200)은 평평한 제1면(220)과, 상기 제1면(220)의 반대면으로서 평평한 제2면(230)을 갖고, 상기 제1면(220)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1배선패턴(221)이 형성되고, 상기 제2면(230)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2배선패턴(231)이 형성된 절연층(210)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배선패턴(221)과 상기 제2배선패턴(231)은 절연층(210)에 형성된 도전성 비아(240)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배선패턴(221)의 외주연에는 제1솔더 마스크(222)가 형성되고, 상기 제2배선패턴(231)의 외주연에는 제2솔더 마스크(232)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회로기판(200)의 제1면(220)에 형성된 제1배선패턴(221)과 대응되는 영역에 반도체 칩(100)의 도전성 범프(120)가 접촉되도록 이송부재(300)로 반도체 칩(100)을 이송하여 회로기판(200)에 안착 시킨다. 상기 이송부재(300)는 상기 반도체 칩(100)의 제2면(112)에 밀착되어 상기 반도체 칩(100)을 흡착하여 이송할 수 있지만, 여기서 그 방법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더불어 여기서 상기 회로 기판(200)은 경성 인쇄회로기판을 예로 하였지만, 이밖에도 연성 인쇄회로기판 또는 리드 프레임도 사용 가능하다. As shown in FIG. 3G, in the semiconductor die attach step S7, the circuit board 200 may be transferred to the semiconductor chip 100 formed in the wafer sawing step S6 using a transfer member 300. Transfer to. In this case, the circuit board 200 has a flat first surface 220 and a flat second surface 230 as an opposite surface of the first surface 220, and at least one on the first surface 220. The first wiring pattern 221 may be formed, and the second surface 230 may be formed of an insulating layer 210 having at least one second wiring pattern 231 formed thereon. The first wiring pattern 221 and the second wiring pattern 231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conductive vias 240 formed in the insulating layer 210. A first solder mask 222 may be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ce of the first wiring pattern 221, and a second solder mask 232 may be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ce of the second wiring pattern 231. The semiconductor chip (eg, the transfer member 300) contacts the conductive bumps 120 of the semiconductor chip 100 to a reg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wiring pattern 221 formed on the first surface 220 of the circuit board 200. 100 is transferred and seated on the circuit board 200. The transfer member 300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second surface 112 of the semiconductor chip 100 to absorb and transfer the semiconductor chip 100, but the method is not limited thereto. In addition, although the printed circuit board 200 is a hard printed circuit board as an example, a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or a lead frame may also be used.

도 3h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리플로우(reflow) 단계(S8)에서는 상기 회로기판(200)의 제1배선패턴(221)에 안착된 상기 반도체 칩(100)의 도전성 범프(120)을 일정 온도를 갖는 리플로우 장치를 통해 상기 도전성 범프(120)는 상기 회로기판(200)의 제1배선패턴(221)에 용착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반경화 언더필(131)도 용융되어 반도체 칩(100)과 회로 기판(200) 사이의 공간에 고르게 분포된 다음 완전 경화되어 반도체 칩(100)과 회로 기판(200) 사이에 고착되게 된다. 물론, 이때 상기 플럭스(134)는 리플로우 장치의 열처리로 인하여 모두 휘발되어 제거된다. 여기서 상기 플럭스(134)는 공정 중 상기 도전성 범프(120)의 표면을 세정하고, 재산화를 방지하며, 표면장력을 낮추는 등의 역할을 한다. 상기 반경화 언더필(131)은 반도체 칩(100)과 회로 기판(200)의 서로 다른 열팽창계수에 의한 힘을 견딜 수 있을 정도로 충분히 단단하게 경화된다. 상기 리플로우는 가열원에 따라 적외선 리플로우, 열풍 리플로우, 적외선 + 열풍 리플로우, 불활성 용제의 기화잠열에 의한 방식 및 이의 등가방법을 이용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As shown in FIG. 3H, in the reflow step S8, the conductive bumps 120 of the semiconductor chip 100 seated on the first wiring pattern 221 of the circuit board 200 are fixed. The conductive bumps 120 are welded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wiring patterns 221 of the circuit board 200 through the reflow apparatus having a temperature, and the semi-cured underfill 131 is also melted to form the semiconductor chip 100. ) And evenly distributed in the space between the circuit board 200 and the circuit board 200, and then completely cured to adhere to the semiconductor chip 100 and the circuit board 200. Of course, at this time, the flux 134 is volatilized and removed by the heat treatment of the reflow apparatus. Here, the flux 134 cleans the surface of the conductive bump 120 during the process, prevents reoxidation, lowers the surface tension, and the like. The semi-cured underfill 131 is cured hard enough to withstand the forces due to different thermal expansion coefficients of the semiconductor chip 100 and the circuit board 200. The reflow may be based on an infrared reflow, hot air reflow, infrared + hot air reflow, a latent heat of vaporization of an inert solvent, and an equivalent method thereof,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이러한 반도체 패키지(2000) 제조 방법은 백그라인딩 시 반도체 다이의 제1면을 보호하기 위하여 부착되는 백그라인딩 필름과 반경화 언더필 및 플럭스를 함께 반도체 다이에 부착하여, 백그라인딩 공정 후에 백그라인딩 필름은 제거하고, 반경화 언더필과 플럭스만 남게 된다. 이는 추후에 진행하여야 하는 별도의 액상의 언더필 충진 공정을 생략할 수 있게 되므로 종래의 반도체 패키지 공정에 비하여 단순화 되어 생산성 및 작업 수율이 증가하게 된다. 또한, 반경화 언더필을 필름으로 부착하게 되므로, 종래의 액상형 언더필을 주입할 때 언더필의 충전제(filler)가 도전성 범프의 거리보다 커서 발생되는 고착(setting)이나, 보이드(void)등과 같은 불량 현상을 제거 할 수 있으므로, 일정한 두께의 언더필을 형성하여, 기계적 충격 및 접합부의 부식과 같은 외부의 영향으로부터 패키지구조를 보호하고, 반도체 칩과 회로 기판의 열팽창 계수차이로 인한 응력을 최소함으로써 패키지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Th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emiconductor package 2000 includes attaching a backgrinding film, a semi-cured underfill, and a flux to the semiconductor die together to protect the first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die during backgrinding, thereby removing the backgrinding film after the backgrinding process. Only the semi-hardened underfill and flux remain. Since it is possible to omit a separate liquid underfill filling process to be carried out in the future it is simplified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semiconductor package process to increase the productivity and work yield. In addition, since the semi-hardened underfill is attached to the film, the filler of the underfill is larger than the distance of the conductive bump when the conventional liquid underfill is injected, thereby preventing defects such as setting or voids. It can be removed, forming underfill of a certain thickness, protecting the package structure from external influences such as mechanical shock and corrosion of the joint, and minimizing the stress caused by thermal expansion coefficient difference between semiconductor chip and circuit board Serves to improve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의한 반도체 패키지의 제조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What has been described above is just one embodiment for carrying out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semiconductor pack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as claimed in the following clai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will have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extent that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패키지의 제조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emiconductor pack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a 내지 도 2h는 도 1에 도시된 반도체 패키지의 제조 방법을 도시한 단면도이다.2A to 2H are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emiconductor package shown in FIG. 1.

도 3a 내지 도 3h는 도 1에 도시된 반도체 패키지의 제조 방법을 도시한 또 다른 단면도이다.3A to 3H are still other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emiconductor package shown in FIG. 1.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s>

100a; 웨이퍼 100; 반도체 칩100a; Wafer 100; Semiconductor chip

110; 반도체 다이 120; 도전성 범프110; Semiconductor die 120; Conductive bump

130; 테이프 131; 반경화 언더필130; Tape 131; Semi-hardened underfill

132; 접착제 133; 백그라인딩 필름132; Adhesive 133; Backgrinding Film

134; 플럭스 140; 소잉툴134; Flux 140; Sawing tool

200; 회로기판 300; 이송부재200; Circuit board 300; Conveying member

1000; 반도체 패키지1000; Semiconductor package

Claims (20)

본드패드와 상기 본드 패드 외주연에 패시베이션층을 형성하여 반도체 다이를 준비하는 웨이퍼 준비 단계;A wafer preparation step of preparing a semiconductor die by forming a passivation layer on a bond pad and an outer circumference of the bond pad; 상기 반도체 다이의 본드패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도전성 범프를 형성하는 웨이퍼 범핑 단계;A wafer bumping step of forming a conductive bump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a bond pad of the semiconductor die; 상기 반도체 다이와 도전성 범프에 반경화 언더필과 백그라인딩 필름를 포함하는 테이프를 부착하는 웨이퍼 테이핑 단계;Attaching a tape including a semi-cured underfill and a backgrinding film to the semiconductor die and the conductive bumps; 상기 반도체 다이 중 상기 반도체 다이의 본드 패드가 형성된 면의 반대면을 그라인딩하는 백그라인딩 단계; 및Grinding the opposite side of the semiconductor die on which the bond pad of the semiconductor die is formed; And 상기 웨이퍼 테이핑 단계에서 부착하였던 상기 테이프 중 상기 백그라인딩 필름을 제거하는 웨이퍼 디테이핑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패키지의 제조 방법.And a wafer detapping step of removing the backgrinding film from the tape attached in the wafer taping step.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웨이퍼 디테이핑 단계 이후에는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after the wafer detapping step 상기 반도체 다이와 상기 반경화 언더필을 소잉하여 웨이퍼에서 낱개의 반도체 칩으로 분리하는 웨이퍼 소우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패키지의 제조 방법.And a sawing step of sawing the semiconductor die and the semi-cured underfill and separating the wafers into individual semiconductor chips.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웨이퍼 소우 단계 이후에는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after the wafer sawing step 상기 반도체 칩을 회로기판과 접착하는 반도체 칩 어태치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패키지의 제조 방법.And a semiconductor chip attach step of attaching the semiconductor chip to a circuit board. 제 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회로기판은 평평한 제1면과, 상기 제1면의 반대면으로서 평평한 제2면을 갖고, 상기 제1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1배선패턴이 형성되고, 상기 제2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2배선패턴이 형성된 절연층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패키지의 제조 방법.The circuit board has a first flat surface and a second flat surface opposite to the first surface, at least one first wiring pattern is formed on the first surface, and at least one first surface on the second surface.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emiconductor package, comprising an insulating layer having a double wiring pattern formed thereon. 제 4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회로기판의 제1배선패턴과 제2배선패턴은 절연층에 형성된 도전성 비아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패키지의 제조 방법.And a first wiring pattern and a second wiring pattern of the circuit board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conductive vias formed in the insulating layer. 제 4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회로기판의 제1배선패턴과 제2배선패턴의 외주연에는 각각 제1솔더 마스크와 제2솔더 마스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패키지의 제조 방법.A first solder mask and a second solder mask ar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ces of the first wiring pattern and the second wiring pattern of the circuit board, respectively.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칩 어태치 단계 이후에는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semiconductor chip attach step is performed. 상기 반도체 칩과 상기 회로기판을 열처리하여, 상기 반도체 칩의 도전성 범프를 상기 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리플로우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패키지의 제조 방법.And heat-treating the semiconductor chip and the circuit board to electrically connect conductive bumps of the semiconductor chip to the circuit board. 제 7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리플로우 단계에서는 상기 반도체 칩의 도전성 범프와 상기 회로기판에 형성된 배선패턴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패키지의 제조 방법.And in the reflowing step, the conductive bumps of the semiconductor chip and the wiring patterns formed on the circuit board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제 7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리플로우 단계에서는 상기 반도체 칩의 도전성 범프가 상기 회로기판에 형성된 배선패턴에 용착되는 동시에, 상기 반경화 언더필이 완전히 경화됨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패키지의 제조 방법.And in the reflow step, conductive bumps of the semiconductor chip are deposited on the wiring pattern formed on the circuit board, and the semi-cured underfill is completely cured.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웨이퍼 테이핑 단계에서 상기 반도체 다이와 도전성 범프에 부착되는 테이프는 상기 반경화 언더필과 상기 백그라인딩 필름을 포함하며, 상기 반경화 언더필과 상기 백그라인딩 필름은 접착제로 접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패키지의 제조 방법.The tape attached to the semiconductor die and the conductive bump in the wafer taping step includes the semi-cured underfill and the backgrinding film, wherein the semi-cured underfill and the backgrinding film are bonded with an adhesive. Way. 제 10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0, 상기 반경화 언더필과 상기 백그라인딩 필름 사이에 형성된 상기 접착제는 상기 백그라인딩 필름과의 접착력이 상기 반경화 언더필과의 접착력보다 더 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패키지의 제조 방법.And the adhesive formed between the semi-cured underfill and the backgrinding film has a stronger adhesive force with the back-grinding film than with the semi-cured underfill. 제 10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0, 상기 웨이퍼 디테이핑 단계에서 상기 접착제는 상기 반경화 언더필과 접착된 부분이 떨어져서 상기 백그라인딩 필름과 상기 접착제가 함께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패키지의 제조 방법.And the back grinding film and the adhesive are removed together with the adhesive in the wafer detapping step, wherein the adhesive portion is separated from the semi-cured underfill.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웨이퍼 테이핑 단계에서 상기 반도체 다이와 상기 도전성 범프에 부착되는 상기 테이프는 상기 반경화 언더필과, 상기 백그라인딩 필름을 포함하며, 상기 반경화 언더필과 상기 백그라인딩 필름 사이에 플럭스가 개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패키지의 제조 방법.The tape attached to the semiconductor die and the conductive bump in the wafer taping step includes the semi-cured underfill and the backgrinding film, and a flux is interposed between the semi-cured underfill and the backgrinding film. Method of manufacturing a semiconductor package. 제 1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3, 상기 웨이퍼 테이핑 단계에서 상기 플럭스와 상기 백그라인딩 필름 사이에 접착제가 개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패키지의 제조 방법.A method of manufacturing a semiconductor package, wherein an adhesive is interposed between the flux and the backgrinding film in the wafer taping step. 제 14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4, 상기 백그라인딩 필름과 상기 접착제 사이의 접착력이 상기 접착제와 상기 플럭스 사이의 접착력보다 더 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패키지의 제조 방법.Wherein the adhesion between the backgrinding film and the adhesive is stronger than the adhesion between the adhesive and the flux. 제 14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4, 상기 웨이퍼 디테이핑 단계에서 상기 접착제는 상기 플럭스와 접착된 부분이 떨어져서 상기 백그라인딩 필름과 상기 접작제는 함께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패키지의 제조 방법.And in the wafer detapping step, the adhesive adheres to the flux so that the backgrinding film and the adhesive are removed together.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웨이퍼 디테이핑 단계 이후에는 17. The method of claim 16, wherein after the wafer detapping step 상기 반도체 다이와 상기 반경화 언더필 및 상기 플럭스를 소잉하여 웨이퍼에서 낱개의 반도체 칩으로 분리하는 웨이퍼 소우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패키지의 제조 방법.And a sawing step of sawing the semiconductor die, the semi-cured underfill, and the flux and separating the semiconductor die into individual semiconductor chips from the wafer.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웨이퍼 소우 단계 이후에는18. The method of claim 17, wherein after the wafer sawing step 상기 반도체 칩을 회로기판과 접착하는 반도체 칩 어태치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패키지의 제조 방법.And a semiconductor chip attach step of attaching the semiconductor chip to a circuit board.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칩 어태치 단계 이후에는 19. The method of claim 18, wherein after the semiconductor chip attach step 상기 반도체 칩과 상기 회로기판을 열처리하여, 상기 반도체 칩의 도전성 범프를 상기 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리플로우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패키지의 제조 방법.And heat-treating the semiconductor chip and the circuit board to electrically connect conductive bumps of the semiconductor chip to the circuit board. 제 19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9, 상기 리플로우 단계에서는 상기 플럭스가 제거되며, 상기 반도체 다이의 도전성 범프가 회로기판에 용착되는 동시에 상기 반경화 언더필은 완전히 경화됨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패키지의 제조 방법.And the flux is removed in the reflow step, the conductive bumps of the semiconductor die are deposited on a circuit board, and the semi-cured underfill is completely cured.
KR1020070072843A 2007-07-20 2007-07-20 Manufacturing method of semiconductor package KR10088419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2843A KR100884192B1 (en) 2007-07-20 2007-07-20 Manufacturing method of semiconductor packag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2843A KR100884192B1 (en) 2007-07-20 2007-07-20 Manufacturing method of semiconductor packag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9506A KR20090009506A (en) 2009-01-23
KR100884192B1 true KR100884192B1 (en) 2009-02-18

Family

ID=404892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2843A KR100884192B1 (en) 2007-07-20 2007-07-20 Manufacturing method of semiconductor packag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4192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637589A (en) * 2011-02-15 2012-08-15 日东电工株式会社 Method of manufacturing semiconductor device
US9368361B2 (en) 2012-06-11 2016-06-14 Amkor Technology, Inc. Method of making a semiconductor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4134B1 (en) * 2009-10-30 2012-01-13 전자부품연구원 Method for packaging semiconductor chip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50090A (en) 1991-08-23 1999-06-02 Sony Corp Manufacture of semiconductor device
KR20080002501A (en) * 2006-06-30 2008-01-04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Flip chip type semiconductor packag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50090A (en) 1991-08-23 1999-06-02 Sony Corp Manufacture of semiconductor device
KR20080002501A (en) * 2006-06-30 2008-01-04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Flip chip type semiconductor packag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637589A (en) * 2011-02-15 2012-08-15 日东电工株式会社 Method of manufacturing semiconductor device
US9368361B2 (en) 2012-06-11 2016-06-14 Amkor Technology, Inc. Method of making a semiconductor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9506A (en) 2009-0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051893B2 (en) Electronics
US6696644B1 (en) Polymer-embedded solder bumps for reliable plastic package attachment
TWI567864B (en)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forming high routing density interconnect sites on substrate
JP5649805B2 (en) Manufacturing method of semiconductor device
US8710651B2 (en)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20080012131A1 (en) Semiconductor device, mounting construction of a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emiconductor device with the mounting construction
JP2000100851A (en) Semiconductor substrate and manufacture thereof and structure and method for mounting semiconductor parts
US20060043603A1 (en) Low temperature PB-free processing for semiconductor devices
US6310403B1 (en) Method of manufacturing components and component thereof
KR101685769B1 (en) Semiconductor packaging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011840B1 (en) Semiconductor packag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2013115336A (en) Semiconductor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US20220302079A1 (en) Tools and Systems for Processing Semiconductor Devices, and Methods of Processing Semiconductor Devices
CN106463427B (en)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0884192B1 (en) Manufacturing method of semiconductor package
EP2061072A2 (en) Flip chip wafer, flip chip die and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US8501612B2 (en) Flip chip structure and method of manufacture
TWI786491B (en) Semiconductor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20080290509A1 (en) Chip Scale Package and Method of Assembling the Same
KR100201385B1 (en) Attaching method of conductive ball, for chip size package
KR20210045597A (en) Semiconductor packag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emiconductor package
KR101081735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 flip chip package using LOC die bonder and flip chip package thereof
TW201230270A (en)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forming narrow interconnect sites on substrate with elongated mask openings
JP2000315704A (en) Manufacture of semiconductor device
JP2004179292A (en) Semiconductor device, semiconductor-device mounting body and manufacturing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0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