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8973B1 - 라이센스 정보 변환장치와 방법 - Google Patents

라이센스 정보 변환장치와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8973B1
KR100878973B1 KR1020037014980A KR20037014980A KR100878973B1 KR 100878973 B1 KR100878973 B1 KR 100878973B1 KR 1020037014980 A KR1020037014980 A KR 1020037014980A KR 20037014980 A KR20037014980 A KR 20037014980A KR 100878973 B1 KR100878973 B1 KR 1008789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license information
conversion
content
licen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149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28761A (ko
Inventor
나카하라도루
히가시아키오
Original Assignee
파나소닉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19071602&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878973(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파나소닉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파나소닉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400287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87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89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89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10Protecting distributed programs or content, e.g. vending or licensing of copyrighted material ; 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10Protecting distributed programs or content, e.g. vending or licensing of copyrighted material ; 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 G06F21/107License processing; Key processing
    • G06F21/1073Conver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chnology Law (AREA)
  • Multimedia (AREA)
  • Storage Device Securit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Reverberation, Karaoke And Other Acoustic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Devices For Checking Fares Or Tickets At Control Points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라이센스 정보 변환장치에 관한 것으로, 적어도 2대의 단말장치는 각각, 자신이 가입하는 컨텐츠 신호분배 시스템에서 생성되는 라이센스 정보에 따라서 컨텐츠 데이터를 이용하고, 변환장치(Uc1)는 한쪽의 단말장치용 라이센스 정보가 저장되는 작업영역(13)과, 작업영역(13)에 저장된 라이센스 정보를, 다른쪽 단말장치용 라이센스 정보로 변환하는 중앙처리부(12)를 구비하며, 이에 의해 자신의 라이센스 정보를 타인에게 양도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변환하는 변환장치(Uc1)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라이센스 정보 변환장치와 방법{LICENSE INFORMATION CONVERTER}
본 발명은 변환장치에 관해, 보다 특정적으로는 단말장치에서의 컨덴츠 데이터의 이용을 제어하는 라이센스 정보를 변환하는 변환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인터넷으로 대표되는 네트워크의 브로드밴드화 및 상시 접속환경에 의한 컨텐츠 신호분배(배신(配信))가 친숙해 지고 있다. 이와 같은 컨텐츠 신호분배의 보다 발전된 보급에 있어서는 컨텐츠 데이터에 관련된 권리(예를 들어, 저작권 또는 판매권)의 보호가 중요한 측면으로 되어, 종래부터 여러 가지 권리 관리 기술의 연구 및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본원 명세서에서는 컨텐츠 데이터에 관련된 권리를 디지털 라이츠라고 부른다. 또한, 권리 관리 기술로서는 DRM(Digital Rights Management)가 대표적이다. 이하, DRM을 편입한 컨텐츠 신호분배 시스템에 대해서 설명한다.
종래의 컨텐츠 신호분배 시스템에는 서버와 단말장치가, 네트워크에 의해 데이터 통신 가능하게 접속된다. 서버는 컨텐츠 데이터, 컨텐츠 복호키 및 라이센스 정보의 쌍을 적어도 하나 저장하고 있다. 컨텐츠 데이터는 예를 들어 음악을 나타내는 디지털 데이터이고, 미리 정해진 방식으로 암호화된다. 컨텐츠 복호키는 암호화된 컨텐츠 데이터를 복호하기 위한 키이다. 라이센스 정보는 DRM에서는 상술 한 컨텐츠 데이터의 이용조건을 나타낸다. 이용조건으로서는 컨텐츠 데이터의 이용횟수가 대표적이다.
이상의 구성의 컨텐츠 신호분배 시스템에서는 이하와 같이 하여 컨텐츠 데이터는 신호분배된다. 우선, 단말장치는 컨텐츠 데이터의 신호분배를 서버에 요구한다. 컨텐츠 데이터의 요구는 일반적으로, 컨텐츠 식별자 및 단말고유정보를, 단말장치가 네트워크를 통하여 서버에 송신함으로써 실시된다. 컨텐츠 식별자는 상술한 컨텐츠 데이터를 일의적으로 특정하는 정보이다. 단말고유정보는 단말장치에 의해 미리 유지되어 있고, 상술한 컨텐츠 데이터의 요구원인 단말장치를 일의적으로 특정할 수 있는 정보이다.
서버는 단말장치로부터의 요구에 응답하여 상술한 컨텐츠 복호키를 이번회 수신한 단말고유정보를 사용하여 암호화한다. 그 후, 서버는 상술한 암호화된 컨텐츠 데이터와, 단말고유정보로 암호화된 컨텐츠 복호키와, 라이센스 정보를 단말장치에 송신한다. 단말장치는 서버에 의해 신호분배된 컨텐츠 데이터, 컨텐츠 복호키 및 라이센스 정보를 수신하고, 내부에 구비하는 기억장치에 저장한다.
이상의 저장 후, 단말장치의 사용자는 이번회 복호된 컨텐츠 데이터를 이용 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실제로 컨텐츠 데이터를 이용하는 경우, 사용자는 그 뜻을 단말장치에 지시한다. 상기 지시에 응답하여 단말장치는 이하와 같이 동작한다. 단말장치는 기억장치 내의 라이센스 정보에 의해 나타나는 이용조건에, 이번회의 이용이 합치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단말장치는 이용조건에 합치하는 경우에 한해 이하의 처리를 실행한다. 다음에, 기억장치 내의 컨텐츠 복호키는 암호화되어 있으므로, 단말장치는 자신이 유지하는 단말고유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컨텐츠 복호키를 복호한다. 또한, 기억장치 내의 컨텐츠 데이터도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암호화되어 있으므로, 단말장치는 복호한 컨텐츠 복호키를 사용하여 상기 컨텐츠 데이터를 복호한 후, 복호한 컨텐츠 데이터를 재생한다.
다음에, 이상의 컨텐츠 신호분배 시스템이 안고 있는 문제점에 대해서 설명한다. 단말장치의 사용자(이하, 제 1 사용자라고 부름)은 자신의 라이센스 정보, 즉 컨텐츠 데이터의 이용권을, 다른 사용자(이하, 제 2 사용자라고 부름)에게 양도하고 싶은 경우가 있다. 그러나, 제 2 사용자는 상술한 컨텐츠 신호분배 시스템에 가입하고 있는 것으로는 한정되지 않고, 다른 컨텐츠 신호분배 시스템에 가입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다. 또한, 쌍방의 컨텐츠 신호분배 시스템 사이에는 라이센스 정보의 구성에 차이가 있을 가능성도 있다. 그 결과, 제 2 사용자측의 단말장치는 설령, 제 1 사용자측의 단말장치로부터 라이센스 정보를 수취할 수 있었다고 해도, 수취한 라이센스 정보를 해석할 수 없다. 그 때문에, 종래의 컨텐츠 신호분배 시스템에서는 자신의 라이센스 정보를 타인에게 양도할 수 없다.
또한, 사용자는 서로 다른 제 1 및 제 2 컨텐츠 신호분배 시스템에 가입하고 있고, 제 1 컨텐츠 신호분배 시스템으로부터 얻은 라이센스 정보만을 해석할 수 있는 제 1 단말장치와, 제 2 컨텐츠 신호분배 시스템으로부터 얻은 라이센스 정보만을 해석할 수 있는 제 2 단말장치를 가지고 있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 컨텐츠 신호분배 시스템의 각각에서 사용되는 라이센스 정보의 구성에 차이가 있을 가능성이 있으므로, 제 2 단말장치는 제 1 컨 텐츠 신호분배 시스템의 라이센스 정보를 수취할 수 있었다고 해도 그것을 해석할 수 없다. 그 때문에, 상술한 상황하에서는 사용자가 소유하는 라이센스 정보를, 자신의 단말장치에서 이용할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한다.
그 때문에, 본 발명의 목적은 라이센스 정보를 타인이 이용할 수 있도록, 또는 다른 단말장치에서 이용할 수 있도록 변환하는 변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이하와 같은 특징을 갖고 있다. 본 발명의 제 1 국면은 제 1 단말장치용 라이센스 정보를 제 2 단말장치용으로 변환하기 위한 변환장치로서, 제 1 및 제 2 단말장치는, 서로 다른 제 1 및 제 2 암호키로 암호화된 컨텐츠 데이터를 수신 가능하고, 서로 다른 제 1 및 제 2 라이센스 정보에 따라서 수신한 컨텐츠 데이터를 이용한다. 제 1 라이센스 정보는 제 1 암호키로 암호화된 컨텐츠 데이터를 복호하기 위한 제 1 복호키를 포함하고 있다. 변환장치는 제 1 단말장치용 제 1 라이센스 정보가 저장되는 작업영역과, 작업영역에 저장된 제 1 라이센스 정보의 구성요소 중, 적어도 제 1 복호키의 변환처리가 허가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변환처리가 허가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제 1 라이센스 정보에서의 제 1 복호키를, 제 2 암호키로 암호화된 컨텐츠 데이터를 복호하기 위한 제 2 복호키로 치환함으로써, 작업영역에 저장된 제 1 라이센스 정보를 제 2 단말장치용 제 2 라이센스 정보로 변환하는 처리부를 구비한다.
제 2 국면은 제 1 국면에 종속하고 있고, 제 1 라이센스 정보는 또한 컨텐츠 데이터의 제 1 단말장치측에서의 이용을 허가하기 위한 제 1 이용허가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처리부는 또한, 제 1 라이센스 정보가 포함하는 제 1 이용허가정보를 컨텐츠 데이터의 제 2 단말장치측에서의 이용을 허가하기 위한 제 2 이용허가정보로 변환한다.
제 3 국면은 제 2 국면에 종속하고 있고, 처리부는 미리 정해진 변환비율에 따라서, 제 1 라이센스 정보가 포함하는 제 1 이용허가정보를 컨텐츠 데이터의 제 2 단말장치측에서의 이용을 허가하기 위한 제 2 이용허가정보로 변환한다.
삭제
이상의 제 1~제 3 국면에 의하면, 변환장치는 제 1 단말장치용 제 1 라이센스 정보를, 제 2 단말장치용 제 2 라이센스 정보로 변환한다. 이에 의해, 제 1 사용자는 자신의 제 1 라이센스 정보를 기초로 하여 생성되고, 또한 제 2 단말장치에서 이용 가능한 제 2 라이센스 정보를, 제 2 사용자에게 건네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 4 국면은 제 1 국면에 종속하고 있고, 제 1 및 제 2 단말장치는 제 1 및 제 2 서버와 접속되어 있다. 제 1 및 제 2 서버는 적어도, 제 1 및 제 2 라이센스 정보를 생성하여 제 1 및 제 2 단말장치에 송신한다. 또한, 제 1 및 제 2 서버는 제 1 및 제 2 라이센스 정보의 포맷을 나타내는 제 1 및 제 2 포맷 데이터를 유지하고 있다. 여기에서, 변환장치는 제 1 및 제 2 서버와 통신을 실시하고, 제 1 및 제 2 포맷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부를 추가로 구비한다. 또한, 처리부는 통신부가 수신한 제 1 및 제 2 포맷데이터에 따라서, 작업영역에 저장된 제 1 라이센스 정보를, 제 2 단말장치용 제 2 라이센스 정보로 변환한다.
제 5 국면은 제 1 국면에 종속하고 있고, 변환장치는 또한 제 1 및 제 2 라이센스 정보의 포맷을 나타내는 제 1 및 제 2 포맷 데이터를 저장하는 포맷 저장부를 구비한다. 또한, 처리부는 포맷 저장부에 저장된 제 1 및 제 2 포맷 데이터에 따라서, 작업영역에 저장된 제 1 라이센스 정보를, 제 2 단말장치용 제 2 라이센스 정보로 변환한다.
제 6 국면은 제 1 국면에 종속하고 있고 변환장치는 또한 제 1 단말장치와 통신을 실시하고, 상기 제 1 단말장치가 유지하는 제 1 라이센스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를 구비한다. 또한, 작업영역에는 통신부에 의해 수신된 제 1 라이센스 정보가 저장된다.
제 7 국면은 제 1 국면에 종속하고 있고, 변환장치는 제 1 단말장치용 제 1 라이센스 정보를 생성하는 제 1 서버와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변환장치는 제 1 서버와 통신을 실시하고, 상기 제 1 단말장치용으로 생성되는 제 1 라이센스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를 추가로 구비한다. 작업영역은 통신부에 의해 수신된 제 1 라이센스 정보를 저장한다.
제 8 국면은 제 1 국면에 종속하고 있고, 변환장치는 제 1 단말장치에 편입된다.
제 9 국면은 제 1 국면에 종속하고 있고, 처리부는 제 1 및 제 2 단말장치가 정당한 사용자인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제 1 및 제 2 단말장치의 쌍방이 정당한 사용자인 경우에, 작업영역에 저장된 제 1 라이센스 정보를, 제 2 단말장치용 제 2 라이센스 정보로 변환한다.
제 10 국면은 제 9 국면에 종속하고 있고, 처리부는 제 1 및 제 2 단말장치의 한쪽 또는 쌍방이 정당한 사용자가 아닌 경우, 작업영역에 저장된 제 1 라이센스 정보를 제 1 단말장치에 반송한다.
제 9 및 제 10 국면에 의하면 부당한 사용자로부터 라이센스 정보의 변환처리의 요구를 배제할 수 있다.
제 11 국면은 제 1 국면에 종속하고 있고, 라이센스 정보는 구성요소의 변환처리가 허가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변환가부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처리부는 작업영역에 저장된 제 1 라이센스 정보의 구성요소마다 변환처리가 허가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제 1 라이센스 정보에 포함되는 변환가부정보를 사용하여 판정한다.
제 12 국면은 제 1 국면에 종속하고 있고, 처리부는 작업영역에 저장된 제 1 라이센스 정보의 구성요소마다 변환처리가 허가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변환가부정보를 외부로부터 취득하고, 취득한 변환가부정보를 사용하여 작업영역에 저장된 제 1 라이센스 정보의 구성요소마다 변환처리가 허가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제 11 및 제 12국면에 의하면 제 1 라이센스 정보의 구성요소마다 변환처리를 컨트롤할 수 있으므로 컨텐츠 데이터의 신호분배자측의 의도를 고려한 변환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삭제
제 13 국면은 제 1 국면에 종속하고 있고, 제 1 단말장치는 제 1 서버와 접속되어 있으며, 처리부는 작업영역에 저장된 제 1 라이센스 정보 중, 변환처리가 허가되어 있지 않은 구성요소를 제 1 서버로 반송한다.
제 14 국면은 제 1 국면에 종속하고 있고, 처리부는 작업영역에 저장된 제 1 라이센스 정보 중, 변환처리가 허가되어 있지 않은 구성요소를 내부에 유지한다.
제 13 및 제 14 국면에 의하면 변환처리가 허가되어 있지 않은 제 1 라이센스 정보의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제 1 서버로 되돌리거나 내부에 유지하므로, 전형적으로는 변환후의 제 2 라이센스 정보를 제 1 라이센스 정보로 재변환할 때 사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 15 국면은 제 1 및 제 2 단말장치가 서로 다른 제 1 및 제 2 암호키로 암호화된 컨텐츠 데이터를 수신 가능하고, 서로 다른 제 1 및 제 2 라이센스 정보에 따라서, 컨텐츠 데이터를 이용하는 환경에 적용 가능한 변환방법에 있어서, 제 1 라이센스 정보는 제 1 암호키로 암호화된 컨텐츠 데이터를 복호하기 위한 제 1 복호키를 포함하고 있다. 변환방법은 제 1 단말장치용 제 1 라이센스 정보를 작업영역에 저장하는 저장 단계와, 작업영역에 저장된 제 1 라이센스 정보의 구성요소 중, 적어도 제 1 암호키의 변환처리가 허가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변환처리가 허가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제 1 라이센스 정보에서의 제 1 복호키를, 제 2 복호키로 암호화된 컨텐츠 데이터를 복호하기 위한 제 2 복호키로 치환함으로써 작업영역에 저장된 제 1 라이센스 정보를 제 2 단말장치용 제 2 라이센스 정보로 변환하는 변환단계를 구비한다.
제 16 국면은 제 15 국면에 종속하고 있고, 변환방법은 컴퓨터 장치에서 실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실현된다.
제 17 국면은 제 16 국면에 종속하고 있고, 변환장치는 컴퓨터 장치에서 실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기억매체에 기록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제 3 실시형태에 관한 변환장치(Uc1~Uc3)와 각각의 주변환경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의 서버(21) 및 단말장치(22)의 상세한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
도 3(a)는 도 1의 사업자α가 준비하는 암호처리된 컨텐츠 데이터(ect1)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b)는 도 2의 컨텐츠 데이터 베이스(211)의 상세한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4(a) 및 (b)는 도 2의 암호키 데이터베이스(212) 및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213)의 상세한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2의 이용권 데이터베이스(214)의 상세한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2의 서버(31) 및 단말장치(32)의 상세한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
도 7(a) 및 (b)는 도 6의 컨텐츠 데이터 베이스(311) 및 복호키 데이터베이스(312)의 상세한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8(a) 및 (b)는 도 6의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313) 및 이용권 데이터베이스(314)의 상세한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도 1의 변환장치(Uc1~Uc3)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
도 10은 도 1의 컨텐츠 신호분배 시스템(Scd1)에서의 컨텐츠 신호분배시의 서버(21) 및 단말장치(22)의 처리를 도시한 플로우차트,
도 11(a)는 도 10의 단계(S11)에서 생성되는 취득요구(Drr)를 도시한 도면,
도 11(b)는 도 10의 단계(S16)에서 판독되는 데이터세트(Dst1)를 도시한 도면,
도 12는 도 1의 컨텐츠 신호분배 시스템(Scd2)에서의 라이센스 정보 제공시의 서버(21) 및 단말장치(22)의 처리를 도시한 플로우차트의 전반부분,
도 13은 도 1의 컨텐츠 신호분배 시스템(Scd2)에서의 라이센스 정보 제공시의 서버(21) 및 단말장치(22)의 처리를 도시한 플로우차트의 후반부분,
도 14(a)는 도 12의 단계(S22)에서 생성되는 발행요구(Dir)를 도시한 도면,
도 14(b)는 도 13의 단계(S214)에서 생성되는 라이센스 정보(Dlc1)를 도시한 도면,
도 15(a)는 도 2의 포맷 저장부(218)에 저장되는 포맷데이터(Dfm1)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5(b)는 도 1의 컨텐츠 신호분배 시스템(Scd2)에서 사용되는 라이센스 정보(Dlc2)를 도시한 도면,
도 16은 도 6의 포맷 저장부(318)에 저장되는 포맷 데이터(Dfm2)를 도시한 도면,
도 17은 도 9에 도시한 변환장치(Uc1) 및 도 2의 단말장치(22)의 라이센스 변환처리시에서의 처리를 도시한 플로우차트의 전반부분,
도 18은 도 9에 도시한 변환장치(Uc1) 및 도 2의 단말장치(22)의 라이센스 변환처리시에서의 처리를 도시한 플로우차트의 후반부분,
도 19(a)는 도 17의 단계(S31)에서 생성되는 변환요구(Dcr)를 도시한 도면, 동 도 19(b) 및 도 19(c)는 도 17의 단계(S35)에서 생성되는 변환가부요구(Dcq1 및 Dcq2)를 도시한 도면, 동 도면 (d) 및 (e)는 도 17의 단계(S39)에서 생성되는 제 1 변환가부정보(Iack1 및 Iack2)를 도시한 도면이고, 동 도면(f) 및 (g)는 도 17의 단계(S35)에서 생성되는 포맷송신요구(Dfr1 및 Dfr2)를 도시한 도면,
도 20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한 변환장치(Uc2)가 라이센스 변환처리에서, 변환요구(Dcr)를 수취한 후에 실시하는 처리의 전반부분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21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한 변환장치(Uc2)가 라이센스 변환처리에서, 변환요구(Dcr)를 수취한 후에 실시하는 처리의 후반부분을 도시한 플로우차트,
도 22는 도 20의 단계(S42)에서 생성되는 포맷/복호키 송신요구(Dfd)를 도시한 도면,
도 23(a)~(c)는 제 3 실시형태에서 변환대상이 되는 라이센스 정보(Dlc1)를 도시한 도면 및
도 24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관한 변환장치(Uc3)가 라이센스 변환처리에서 변환요구(Dcr)를 수취한 후에 실시하는 처리의 전반부분을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다.
「제 1 실시형태」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변환장치(Uc1)와, 그 주변환경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1에서 변환장치(Uc1)는 컨텐츠 신호분배 시스템(Scd1 및 Scd2)과, 유선 또는 무선의 전송로(N)를 통하여, 데이터 통신 가능하게 접속된다. 또한, 컨텐츠 신호분배 시스템(Scd1)에는 적어도 하나의 서버(21)와, 적어도 하나 의 단말장치(22)가 상술한 전송로(N)를 통하여 데이터 통신 가능하게 접속된다. 여기에서, 서버(21)는 컨텐츠 신호분배의 일례로서의 음악신호분배에 관한 사업자 α측에 설치되고, 단말장치(22)는 사업자α와의 계약에 기초하여 음악신호분배를 받는 계약자β측에 설치된다. 또한, 컨텐츠 신호분배 시스템(Scd2)에는 적어도 하나의 서버(31)와, 적어도 하나의 단말장치(32)가 상술한 전송로(N)를 통하여 데이터 통신 가능하게 접속된다. 여기에서, 서버(31)는 컨텐츠 신호분배의 일례로서의 음악신호분배에 관한 사업자γ측에 설치되고, 단말장치(32)는 사업자γ와의 계약에 기초하여 음악신호분배를 받는 계약자δ측에 설치된다. 여기에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설명을 알기 쉽게 하는 관점에서, 사업자γ는 사업자α와는 다른 자이고, 또한 계약자δ는 사업자β와는 다른 자라고 가정한다. 단, 계약자δ는 계약자β와 동일인이어도 좋다. 즉, 계약자β이면서 계약자δ인 단일한 사용자가, 서로 다른 컨텐츠 신호분배 시스템(Scd1 및 Scd2)의 쌍방에 가입하고 있고, 단말장치(22) 및 단말장치(32)의 쌍방을 소요하고 있는 경우에도 본 실시형태에 관한 변환장치(Uc1)는 유효하다.
이하, 컨텐츠 신호분배 시스템(Scd1 및 Scd2) 및 변환장치(Uc1)의 순서로, 각각의 상세한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서버(21) 및 단말장치(22)의 상세한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2에서 서버(21)는 컨텐츠 데이터베이스(이하, 컨텐츠 DB라고 부름)(211), 복호키 데이터베이스(이하, 복호키 DB라고 부름)(212),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이하, 사용자 정보 DB라고 부름)(213), 이용권 데이터베이스(이하, 이용권 DB라고 부름)(214)와, 중앙처리부(215), 작업영역(216), 통신부(217) 및 포맷 저장부(218)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단말장치(22)는 식별자 저장부(221), 통신부(222), 중앙처리부(223), 작업영역(224) 및 축적장치(225)를 구비하고 있다.
다음에, 컨텐츠 신호분배 시스템(Scd1)에서 계약자β가 사업자α로부터 컨텐츠 신호분배를 받을 때까지 필요로 하는 준비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도 2의 컨텐츠 DB(211)와, 복호키DB(212)와, 사용자 정보 DB(213)가 사업자α에 의해 구축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사업자α는 도 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계약자β에 제공할 컨텐츠 데이터(Dct1)를 준비한다. 컨텐츠 데이터(Dct1)는 단말장치(22)에서 이용가능하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음악을 나타낸다. 또한, 컨텐츠 데이터(Dct1)의 각각에 사업자α는 컨텐츠 식별자(Ict1)를 할당한다. 컨텐츠 식별자(Ict1)는 컨텐츠 데이터(Dct1)의 내용을 일의적으로 특정하는 코드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컨텐츠 데이터(Dct1)가 음악을 나타내는 경우, 컨텐츠 식별자(Ict1)로서 적용 가능한 것으로, ISRC(International Standard Recording Code)가 있다. ISRC에 관해서는 2001년 7월 23일 시점에서 http://www.ifpi.org/index.html에 기재되어 있다.
또한, 사업자α는 각 컨텐츠 데이터(Dct1)에 암호키(Ke1)를 할당한다. 전용의 암호키(Ke1)에 의해 이상의 컨텐츠 데이터(Dctl)는 암호화되고, 그에 의해 암호처리된 컨텐츠 데이터(Dect1)가 생성된다. 컨텐츠 DB(211)는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상의 컨텐츠 식별자(Ict1) 및 암호처리된 컨텐츠 데이터(Dect1)의 편입의 집합이 된다. 컨텐츠 DB(211)에서 컨텐츠 식별자(Ict1)는 특히, 동일한 쌍의 암호처리된 컨텐츠 데이터(Dect1)를 일의적으로 특정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3(a)에 도시한 하나의 암호처리된 컨텐츠 데이터(Dect1)에는 컨텐츠 식별자(Ict1)로서의 「a」가 부가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또한, 그 암호처리된 컨텐츠 데이터(Dect1)는 암호키(Ke1)로서의 「b」에 의해 암호화된 것으로 가정한다.
또한, 서버(21)로부터 단말장치(22)에는 상술한 암호 처리된 컨텐츠 데이터(Dect1)가 신호분배된다. 그 때문에, 단말장치(22)에는 암호 처리된 컨텐츠 데이터(Dect1)를 복호할 수 있는 복호키(Kd1)가 제공될 필요가 있다. 그 때문에, 사업자α는 컨텐츠 DB(211)내의 각 암호키(Ke1)(도 4(a)참조)에 대응하는 복호키(Kd1)를 준비한다. 여기에서 복호키(Kd1)는 암호키(Ke1)와 동일한 비트열로 이루어져 있어도 좋고(공통키 암호화 방식), 상기 암호키(Ke1)와 다른 비트열로 이루어져 있어도 좋다(공개키 암호화 방식). 복호키 DB(212)는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술한 컨텐츠 식별자(Ict1) 및 복호키(Kd1)의 쌍의 집합이 된다. 복호키 DB(212)에서 복호키(Kd1)는 동일한 쌍의 컨텐츠 식별자(Ict1)에서 특정 가능한 암호처리된 컨텐츠 데이터(Dect1)의 복호에 사용된다.
또한, 이하의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4(a)에서 컨텐츠 식별자(Ict1)로서의 「a」와 동일한 쌍에는 복호키(Kd1)로서 「c」가 등록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상술로부터도 분명하지만, 복호키(Kd1)로서의 「c」는 암호키(Ke1)로서의 「b」에 대응하고 있다.
또한, 상술한 계약자β는 사업자α로부터 음악신호분배를 받기 위한 가입계 약을 교환한다. 가입계약에 기초하여 사업자α는 계약자β에 단말식별자(Itn1)를 할당한다. 단말 식별자(Itn1)는 컨텐츠 신호분배 시스템(Scd1)에서 계약자β의 단말장치(22)를 일의적으로 특정한다. 사용자 정보 DB(213)는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상과 같은 단말 식별자(Itn1)의 집합이 된다.
여기에서 도 2를 다시 참조한다. 이상의 단말 식별자(Itn1)는 또한, 계약자β측의 단말장치(22)에서의 식별자 저장부(221)에도 설정된다.
또한, 단말 식별자(Itn1)는 단말장치(22)의 공장 출하시에 미리, 식별자 저장부(221)에 설정되어 있어도 좋다. 이와 같은 경우, 계약자β는 상술한 가입 계약시에 단말장치(22)에 설정되어 있는 단말 식별자(Itn1)를 사업자α에 통지한다. 사업자α는 통지된 단말식별자(Itn1)를 상술한 사용자 정보 DB(213)에 등록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 정보 DB(213)에는 단말장치(22)를 위해, 하나의 단말 식별자(Itn1)로서 「x1」이 등록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이 가정하에서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식별자 저장부(221)에는 단말식별자(Itn1)로서의 「x1」이 설정된다.
또한, 도 5에는 이용권 DB(214)가 도시되어 있지만, 이에 대해서는 뒤에서 설명한다.
도 6은 도 1의 서버(31) 및 단말장치(32)의 상세한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6에서 서버(31)는 컨텐츠 데이터베이스(이하, 컨텐츠 DB라고 부름)(311), 복호키 데이터베이스(이하, 복호키 DB라고 부름)(312),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이하, 사용자 정보 DB라고 부름)(313), 이용권 데이터베이스(이하, 이용권 DB라고 부름)(314), 중앙처리부(315), 작업영역(316), 통신부(317) 및 포맷 저장부(318)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단말장치(32)는 식별자 저장부(321), 통신부(322), 중앙처리부(323), 작업영역(324) 및 축적장치(324)를 구비하고 있다.
이상의 구성을 컨텐츠 신호분배 시스템(Scd2)에서도 컨텐츠 신호분배 시스템(Scd1)과 동일하게 우선, 컨텐츠 DB(311)와, 복호키 DB(312)와, 사용자 정보 DB(313)가 사업자γ에 의해 구축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3(a)를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동일하게 사업자γ는 계약자δ에게 제공할 컨텐츠 데이터(Dct2)(도시하지 않음)를 준비한다. 여기에서, 컨텐츠 데이터(Dct2)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단말장치(32)에서 이용 가능하고 음악을 나타낸다. 또한, 컨텐츠 데이터(Dct2)의 각각에는 상술한 ISRC와 같이 그 내용을 일의적으로 특정하는 컨텐츠 식별자(Ict2)(도 7(a)참조)가 할당된다. 여기에서, 주의를 요하는 것은 사업자α 및 γ는 독자적으로 컨텐츠 데이터(Dct1 및 Dct2)를 준비하지만, 이것들은 서로 동일한 내용을 나타내는 경우가 있다. 그 일례를 들면, 컨텐츠 데이터(Dct1 및 Dct2)의 쌍방이 동일 가수에 의한 동일곡을 나타내는 경우이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컨텐츠 데이터(Dct2)는 그것이 나타내는 내용에 대해서, 컨텐츠 데이터(Dct1)와 동일성을 갖는다. 이와 같은 동일성을 갖는 컨텐츠 데이터(Dct1 및 Dct2)에는 서로 동일한 코드를 갖는 컨텐츠 식별자(Ict1 및 Ict2)가 할당된다.
또한, 각 컨텐츠 데이터(Dct2)에는 암호키(Ke2)(도 7(a)참조)가 할당된다. 전용의 암호키(Ke2)에 의해 이상의 컨텐츠 데이터(Dct2)는 암호화되고 그에 의해 암호처리된 컨텐츠 데이터(Dect2)(도 7(a) 참조)가 생성된다. 여기에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컨텐츠 신호분배 시스템(Scd1 및 Scd2)에서 암호키(Ke2)는 상술한 암호키(Ke1)와 동일한 것으로 가정한다.
컨텐츠 DB(311)는 도 7(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컨텐츠 식별자(Ict2) 및, 암호처리된 컨텐츠 데이터(Dect2)의 쌍의 집합이 된다. 여기에서 주의를 요하는 것은 이상의 컨텐츠 DB(311)에서 적어도 하나의 암호처리된 컨텐츠 데이터(Dect2)는 컨텐츠 DB(211)의 암호처리된 컨텐츠 데이터(Dect1)와, 상술한 동일성을 갖는다. 따라서, 이와 같은 동일성을 갖는 암호처리된 컨텐츠 데이터(Dect2)에는 대응하는 암호처리된 컨텐츠 데이터(Dect1)에 부가되는 컨텐츠 식별자(Ict1)와 동일한 코드를 갖는 컨텐츠 식별자(Ict2)가 부가된다.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7(a)에 도시한 하나의 암호처리된 컨텐츠 데이터(Dect2)는 암호키(Ke1)와 동일한 암호키(Ke2)로서의 「b」에서 암호화되고, 도 3(b)의 상측에 도시한 암호처리된 컨텐츠 데이터(Dect1)와 동일성을 갖는 것으로 가정한다. 상기 가정하에서는 상기 암호처리된 컨텐츠 데이터(Dect2)에는 자신과 동일성이 있는 암호처리된 컨텐츠 데이터(Dect1)의 컨텐츠 식별자(Ict1)와 동일 코드를 나타내는 「a」가 컨텐츠 식별자(Ict2)로서 부가된다.
사업자α 의 경우와 동일한 이유에서 사업자γ는 컨텐츠 DB(311) 내의 각 압호키(Ke2)에 대응하는 복호키(Kd2)를 준비한다. 여기에서, 복호키(Kd2)는 암호키(Ke2)와 동일한 비트열로 이루어져 있어도 좋고(공통키 암호화 방식), 상기 암호키(Ke2)와 다른 비트열로 이루어져 있어도 좋다(공개키 암호화 방식).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편의상, 복호키(Kd2)는 상술한 복호키(Kd1)와 동일한 것으로 가정한다. 복호키 DB(312)는 도 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술한 컨텐츠 식별자(Ict2) 및 암호키(Kd2)의 쌍의 집합이 된다.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7(b)에서 컨텐츠 식별자(Ict2)로서의 「a」와 동일한 쌍에는 복호키(Kd2)로서 「c」가 등록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상술로부터도 알 수 있지만, 복호키(Kd2)로서의 「c」는 암호키(Ke2)로서의 「b」에 의한 암호처리된 컨텐츠 데이터(Dect2)의 복호에 사용된다.
또한, 상술한 계약자δ도 또한, 사업자γ로부터 음악신호분배를 받기 위한 가입계약을 교환한다. 따라서, 사업자γ는 계약자 δ에게 단말 식별자(Itn2)를 계약자δ에게 할당하거나 상기 계약자δ로부터 수취한다. 단말식별자(Itn2)는 컨텐츠 신호분배 시스템(Scd2)에서 계약자δ의 단말장치(32)를 일의적으로 특정한다. 사용자 정보 DB(313)는 도 8(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상과 같은 단말식별자(Itn2)의 집합이 된다. 또한, 이상의 단말식별자(Itn2)는 또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말장치(32)의 식별자 저장부(321)에도 설정된다.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8(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 정보 DB(313)에는 하나의 단말식별자(Itn2)로서 「x2」가 등록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상기 가정하에서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식별자 저장부(321)에는 단말식별자(Itn2)로서의 「x2」가 설정된다.
또한, 도 8(b)에는 이용권 DB(314)가 나타나 있지만, 이에 대해서는 나중에 설명한다.
도 9는 도 1에 도시한 변환장치(Uc1)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9에서 변환장치(Uc1)는 프로그램 저장부(11), 중앙처리부(12), 작업영역(13), 통신부(14)를 구비하고 있다. 프로그램 저장부(11)는 전형적으로는 ROM 또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로 구성되고, 프로그램(Pc1)을 저장한다. 중앙 처리부(12)는 프로그램(Pc1)을 따라서 동작하고, 본 실시형태의 특징인 라이센스 정보의 변환처리(도 17 및 도 18 참조)를 실시한다. 작업영역(13)은 중앙처리부(12)가 각종 처리를 실시할 때 사용된다. 통신부(14)는 상술한 전송로(N)에 접속되어 있고, 컨텐츠 신호분배 시스템(Scd1 및 Scd2)과의 통신을 실시한다.
다음에,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갖는 변환장치(Uc1) 및 컨텐츠 신호분배 시스템(Scd1 및 Scd2)에서의 동작을 설명한다.
이하, 우선 도 10을 참조하여 컨텐츠 신호분배 시스템(Scd1)에서 단말장치(22)가 서버(21)로부터 컨텐츠 신호분배를 받을 때의 각부의 처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계약자β는 단말장치(22)를 조작하여 서버(21)에 액세스하여 컨텐츠 DB(211)에 축적되어 있는 컨텐츠 데이터(Dct1) 중에서, 이번회 취득하고 싶은 것의 컨텐츠 식별자(Ict1)를 특정한다. 이후의 설명에서 이번회 특정된 컨텐츠 데이터(Dct1)를, 취득대상 컨텐츠 데이터(Dct1)라고 부른다. 또한, 계약자β는 취득대상 컨텐츠 데이터(Dct1)를 이용할 때의 이용조건(Cct1)을 지정한다.
이하, 이용조건(Cct1)에 대해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컨텐츠 데이터(Dct1)가 음악을 나타내는 경우, 이용조건(Cct1)으로서는 유효기간, 재생횟수, 최대연속 재생시간, 총재생시간 또는 재생품질이 대표적이다. 또한, 이용조건(Cct1)은 유효기간, 재생횟수, 최대연속 재생시간, 총재생시간 및 재생품질 중 2이상의 쌍이어도 좋다. 이용조건(Cct1)으로서의 유효기간은 예를 들어 2001년 6월 1일부터 2001년 8월 31일까지로 설정되고, 설정된 기간에 한해 단말장치(22)는 컨텐츠 데이터(Dct1)를 재생할 수 있다. 재생횟수는 예를 들어 5회로 설정되고, 설정된 횟수에 한해, 단말장치(22)는 컨텐츠 데이터(Dct1)를 재생할 수 있다. 최대연속 재생시간은 예를 들어 10초로 설정되고, 단말장치(22)에서의 1회의 재생에서 컨텐츠 데이터(Dct1)의 재생이 허가되는 최대의 시간이다. 이와 같은 최대연속 재생시간은 음악의 프로모션에 특히 유효하다. 총재생시간은 예를 들어 10시간으로 설정되고, 설정된 시간의 범위내이면 단말장치(22)는 컨텐츠 데이터(Dct1)를 자유롭게 재생할 수 있다. 재생품질은 예를 들어 CD(Compact Disc)의 품질로 설정되고, 단말장치(22)는 설정된 재생품질로 컨텐츠 데이터(Dct1)를 재생할 수 있다. 또한, 이용조건(Cct1)의 종류는 본 실시형태의 본질적인 사항은 아니므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편의상, 이용조건(Cct1)은 컨텐츠 데이터(Dct1)의 재생횟수로 하고 이하의 설명을 계속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계약자β는 단말장치(22)를 조작하여 컨텐츠 식별자(Ict1) 및 이용조건(Cct1)을 지정한다. 이와 같은 지정에 의해 단말장치(22)의 작업영역(224) 상에 컨텐츠 식별자(Ict1) 및 이용조건(Cct1)이 저장된다. 이들의 저장에 응답하여 중앙처리부(223)는 도 11(a)에 도시한 취득요구(Drr)를 생성한다(도 10;단계(S11)). 취득요구(Drr)는 취득대상 컨텐츠 데이터(Dct1)의 신호분배를 서버(11)에 요구하기 위한 정보이다. 단계(S11)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우 선 중앙처리부(223)는 식별자 저장부(221) 내의 단말식별자(Itn1)를 작업영역(224)에 전송한다. 그 후, 중앙처리부(223)는 작업영역(224)상의 단말식별자(Itn1), 컨텐츠 식별자(Ict1) 및 이용조건(Cct1)에, 미리 정해진 취득요구 식별자(Irr)를 부가하여 취득요구(Drr)(도 11(a) 참조)를 생성한다. 여기에서, 취득요구 식별자(Irr)는 서버(21)가 취득요구(Drr)를 특정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중앙처리부(223)는 생성한 취득요구(Drr)를 작업영역(224)로부터 통신부(222)에 전송하고, 통신부(222)는 수취한 취득요구(Drr)를 전송로(N)를 통하여 서버(21)에 송신한다(단계(S12)).
서버(21)(도 2참조)에서 통신부(217)는 전송로(N)로부터의 취득요구(Drr)를 수신하여 작업영역(216)에 전송하여 저장한다. 상기 저장에 응답하여 중앙처리부(215)는 취득요구(Drr)에 설정되어 있는 단말식별자(Itn1)에 일치하는 것이, 상술한 사용자 정보 DB(213)(도 4(b)참조)에 등록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단계(S13)). 일치하는 단말식별자(Itn1)가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 중앙처리부(215)는 이번회 취득요구(Drr)가 계약자β 이외의 것이라고 판단하여 이것을 폐기하고(단계(S14)) 처리를 종료한다. 또한, 그렇지 않은 경우, 중앙처리부(215)는 계약자β의 취득요구(Drr)를 수취했다고 판단하여 이용권 등록처리를 실시한다(단계(S15)).
단계(S15)에서 우선, 중앙처리부(215)는 우선, 그 취득요구 식별자(Irr)를 확인하고, 이번회 취득요구(Drr)를 수취한 것을 인식한다. 다음에, 중앙처리부(215)는 이번회의 취득요구(Drr)로부터 단말식별자(Itn1), 컨텐츠 식별 자(Ict1) 및 이용조건(Cct1)를 추출하고, 이들의 쌍을 이용권 DB(214)에 등록한다. 여기에서, 취득요구(Drr)에 의해 단말장치(22)는 컨텐츠 데이터(Dct1)의 취득뿐만 아니라, 취득대상 컨텐츠 데이터(Dct1)의 이용권도 요구하고 있다. 즉, 단말식별자(Itn1), 컨텐츠 식별자(Ict1) 및 이용조건(Cct1)의 쌍은 취득대상 컨텐츠 데이터(Dct1)를 단말장치(22)가 이용조건(Cct1)에 따라서 이용한다는 권리를 나타낸다. 이상의 관점으로부터 중앙처리부(215)는 취득요구(Drr)로부터 추출한 쌍을 이용권 정보(Drgt1)로서 취급한다. 즉, 이용권DB(214)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말식별자(Itn1), 컨텐츠 식별자(Ict1) 및 이용조건(Cct1)으로 구성되는 이용권 정보(Drgt1)의 쌍의 집합이 된다.
여기에서, 이상의 이용권 DB(214)에 등록되는 이용권 정보(Drgt1)의 구체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미 설명하고 있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용조건(Cct1)은 재생 횟수라고 가정되어 있다. 또한, 이번회의 취득요구(Drr)에는 단말식별자(Itn1)로서 「x1」, 컨텐츠 식별자(Ict1)로서 「a」 및 이용조건(Cct1)으로서 「재생 m회」(m은 자연수)가 설정되어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이상의 가정하에서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나의 이용권 정보(Drgt1)에는 단말식별자(Itn1)로서의 「x1」, 컨텐츠 식별자(Ict1)로서의 「a」 및 이용조건(Cct1)으로서의 「재생 m회」가 설정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기술적 특징과는 관계없지만, 단계(S15)에서 중앙처리부(215)는 이용권 정보(Drgt1)의 등록마다, 계약자β에 대한 요금부과를 실시해도 좋다.
다음에, 중앙처리부(215)는 컨텐츠 DB(211)(도 3(b)참조)에 액세스하고 이번회의 취득요구(Drr)에 의해 지정되는 컨텐츠 식별자(Ict1) 및 그것이 할당되어 있는 암호처리된 컨텐츠 데이터(Dect1)를, 도 11(b)에 도시한 바와 같은 데이터세트(Dst1)로서 작업영역(216)상에 판독한다(단계(S16)).
중앙처리부(215)는 판독한 데이터 세트(Dst1)를 작업영역(216)로부터 통신부(217)에 전송하고, 통신부(217)는 수취한 데이터 세트(Dst1)를, 전송로(N)를 통하여 단말장치(22)에 송신한다(단계(S17)).
단말장치(22)에서 통신부(222)는 전송로(N)로부터의 데이터 세트(Dst1)를 수신하여(단계(S18)), 작업영역(224)에 전송하여 저장한다. 상기 저장에 응답하여, 중앙처리부(223)는 그것에 포함되는 컨텐츠 식별자(Ict1)로부터 이번회 송신한 암호처리된 컨텐츠 데이터(Dct1)를 수신한 것을 인식한다. 그 후, 중앙처리부(223)는 컨텐츠 식별자(Ict1) 및 암호처리된 컨텐츠 데이터(Dect1)를, 축적장치(225)에 저장한다(단계(S19)).
디지털 라이츠의 보호관점으로부터, 단말장치(22)는 암호처리된 컨텐츠 데이터(Dect1)를 수신하므로, 그것을 이용하는 데에는 서버(21)에 의해 제공되는 복호키(Kd1)로, 암호처리된 컨텐츠 데이터(Dect1)를 복호할 필요가 있다. 여기서 본 컨텐츠 신호분배 시스템(Scd1)에서는 복호키(Kd1)를 단말장치(22)에 제공하기 위해 뒤에서 상술하는 라이센스 정보(Dlc1)가 사용된다.
이하,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여 단말장치(22)가 서버(21)로부터 라이센스 정보(Dlc)의 제공을 받을 때의 각부의 처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계약자β는 단말장치(22)를 조작하여 축적장치(225)에 저장되어 있는 암호처리된 컨텐츠 데이터(Dect1) 중에서, 이번회 이용하고 싶은 것을, 복호대상 컨텐츠 데이터(Dect1)로서 지정한다. 이와 같은 지정에 의해 축적장치(225)로부터 작업영역(224)에, 복호대상 컨텐츠 데이터(Dect1) 및 그 컨텐츠 식별자(Ict1)가 전송되어 저장된다(도 12; 단계(S21)). 이들의 저장에 응답하여 중앙처리부(223)는 도 14(a)에 도시한 발생요구(Dir)를 생성한다(단계(S22)). 발행요구(Dir)는 라이센스 정보(Dlc1)의 제공을 서버(21)에 요구하기 위해, 즉 복호대상 컨텐츠 데이터(Dect1)의 이용허가를 받기 위한 정보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단계(S22)를 설명하면, 우선 중앙처리부(223)는 식별자 저장부(221) 내의 단말 식별자(Itn1)를 작업영역(224)에 전송한다. 그 후, 중앙처리부(223)는 작업영역(224) 상의 단말식별자(Itn1) 및 컨텐츠 식별자(Ict1)에 미리 정해진 발행요구 식별자(Iir)를 부가하여 발행요구(Dir)(도 14(a) 참조)를 생성한다. 여기에서, 발행요구 식별자(Iir)는 서버(21)가 발행요구(Dir)를 특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중앙처리부(223)는 생성한 발행요구(Dir)를 작업영역(224)로부터 통신부(222)에 전송하고, 통신부(222)는 수취한 발행요구(Dir)를, 전송로(N)를 통하여 서버(21)에 송신한다(단계(S23)).
서버(21)(도 2참조)에서 통신부(217)는 전송로(N)로부터의 발행요구(Dir)를 수신하여 작업영역(216)에 전송하여 저장한다. 상기 저장에 응답하여 중앙처리부(215)는 발행요구(Dir)에 대해서 도 10의 단계(S13)와 동일한 처리를 실시하고(단계(S24)), 대상이 되는 단말식별자(Itn1)가 없으면 상술한 단계(S14)와 동일하게 이번회의 발행요구(Dir)를 폐기한다(단계(S25)). 반대로 대상이 되는 단말식별자(Itn1)가 있으면, 중앙처리부(215)는 우선, 상기 발행요구 식별자(Iir)를 확인하여 이번회, 발행요구(Dir)를 수취한 것을 인식한다.
이와 같이 인식하면 중앙처리부(215)는 이용권 DB(214)(도 5 참조)에 이번회의 발행요구(Dir)내의 것과 동일한 단말식별자(Itn1) 및 컨텐츠 식별자(Ict1)를 포함하는 이용권 정보(Drgt1)가 등록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S26)).
이상과 같은 이용권 정보(Drgt1)가 미등록이면, 중앙처리부(215)는 복호대상 컨텐츠 데이터(Dect1)의 이용거부를 나타내는 정보인 이용거부를 생성하고, 통신부(217) 및 전송로(N)를 통하여 단말장치(22)에 송신한다(단계(S27)). 단말장치(22)에서 중앙처리부(223)는 통신부(222)를 통하여, 이용거부를 수취한다(단계(S28)). 그러나, 이후 중앙처리부(223)는 복호대상 컨텐츠 데이터(Dect1)의 복호에 필요한 처리를 실시하지 않는다. 이상과 같이 본 컨텐츠 신호분배 시스템(Scd1)에서는 이용권 DB(214)에 이용권 정보(Drgt1)가 미등록인 경우에는 서버(21)가 단말장치(22)측에서의 복호를 거부한다. 이에 의해, 상술한 디지털 라이츠를 보호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반대로, 단계(S26)에서 이용권 정보(Drgt1)가 등록을 마쳤으면, 중앙처리부(215)는 그것에 포함되는 이용조건(Cct1)을 참조하여, 단말장치(22)에 이용 허가를 줄 수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S29)). 이용허가를 부여할 수 없으면, 중앙처리부(215)는 상술한 단계(S27)를 실행한다. 그 결과, 단말장치(22)측에서는 복호대상 컨텐츠 데이터(Dect1)의 복호에 관련된 처리가 실시되지 않는 다. 이상과 같이 본 컨텐츠 신호분배 시스템(Scd1)에서는 이용권 DB(114)에 유효한 이용권 정보(Drgt1)가 미등록인 경우에도 서버(21)는 단말장치(22)에서의 복호를 거부하므로, 상술한 바와 동일하게 디지털 라이츠를 보호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반대로, 단계(S29)에서 이용허가를 부여할 수 있으면, 중앙처리부(215)는 이용허가정보(Dlw1)를 생성하여, 작업영역(216)에 저장한다(단계(S210)). 이용허가정보(Dlw1)는 이번회의 발행요구(Dir)에 의해 특정되는 단말장치(22)에 컨텐츠 데이터(Dct1)의 이용을 허가하기 위한 정보이다. 단, 단말장치(22)에 무조건으로 이용허가를 부여하면, 상술한 디지털 라이츠를 보호하는 관점으로부터 바람직하지 않으므로, 이용허가정보(Dlw1)는 어떠한 조건으로 단말장치(22)에 이용허가를 부여할지를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이용권 정보(Drgt1)의 이용조건(Cct1)은 단말장치(22)가 컨텐츠 데이터(Dct1)를 어떠한 조건에서 이용할지를 나타낸다. 이상의 관점으로부터 본 실시형태에서 이용허가정보(Dlw1)는 이용조건(Cct1)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에서 단말장치(22)의 이용허가를 나타내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용허가정보(Dlw1)의 생성에 의해 단말장치(22)의 이용권 정보(Drgt1)의 일부 또는 모두가 사용된다. 그 때문에, 단계(S210)의 다음에, 중앙처리부(215)는 사용된 이용권 정보(Drgt1)를 갱신한다(단계(S211)).
여기에서, 이상의 단계(S26에서 S211)의 처리의 구체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제, 이용권 DB(214)에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말식별자(Itn1)로서의 「x1」, 컨텐츠 식별자(Ict1)로서의 「a」 및 이용조건(Cct1)으로서의 「재생 m회 」로 구성되는 이용권 정보(Drgt1)가 등록되어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또한, 이번회 발행요구(Dir)는 단말식별자(Itn1)로서의 「x1」 및 컨텐츠 식별자(Ict1)로서의 「a」를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이상의 가정하에서는 단계(S26)에서 단말식별자(Itn1)로서의 「x1」 및 컨텐츠 식별자(Ict1)로서의 「a」를 포함하는 이용권 정보(Drgt1)가 등록이 끝난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단계(S29)에서 상기 이용권 정보(Drgt1)에는 「재생 m회」로 설정되어 있으므로, 단말장치(22)에 이용 허가를 부여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판단된다. 이상과 같이 판단되면, 단계(S210)에서 이용허가정보(Dlw1)가 생성된다. 이 때 생성되는 이용허가정보(Dlw1)는 예를 들어 「재생 n회」를 나타낸다. 여기에서 n은 상술한 m을 초과하지 않은 자연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단말장치(22)의 처리능력에 따라서 설정된다. 예를 들어, 단말장치(22)가 상대적으로 낮은 성능의 하드웨어를 탑재하고 있는 경우이면, n은 「1」과 같이 단말장치(22)가 복호대상 컨텐츠 데이터(Dect1)를 이용할 수 있는 최저한의 값으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편의상, 본 실시형태에서는 n=1로서 설명을 계속한다.
이상의 점으로부터 단말장치(22)(단말식별자(Itn1)가 「x1」)는 컨텐츠 데이터(Dct1)(컨텐츠 식별자(Ict1)가 「a」)의 이용권을 n회 사용하는 것이 된다. 그 때문에, 단계(S211)에서 이용조건(Cct1)이 「재생 m회」부터 「재생(m-n)회」로 갱신된다.
단계(S211)의 다음에, 중앙처리부(215)는 복호키 DB(212)(도 4(a) 참조)로부터 이번회의 발행요구(Dir)에 포함되는 것과 동일한 컨텐츠 식별자(Ict1)와 동일한 쌍의 복호키(Kd1)를, 작업영역(216)에 판독한다(도 13; 단계(S212)). 다음에, 중앙처리부(215)는 이번회의 발행요구(Dir)로부터, 단말식별자(Itn1) 및 컨텐츠 식별자(Ict1)를 작업영역(216)에 추출한다(단계(S213)). 이상의 단계(S213)에 의해, 작업영역(216) 상에는 단말식별자(Itn1), 컨텐츠 식별자(Ict1), 이용허가정보(Dlw1) 및 복호키(Kd1)가 갖추어진다. 중앙처리부(215)는 다음에, 작업영역(216)상의 단말식별자(Itn1), 컨텐츠 식별자(Ict1), 이용허가정보(Dlw1) 및 복호키(Kd1)를 차례로 나열하고, 도 14(b)에 도시한 라이센스 정보(Dlc1)를 생성한다(단계(S214)). 이상의 라이센스 정보(Dlc1)는 복호대상 컨텐츠 데이터(Dect1)의 단말장치(22)에서의 이용을 제어하기 위한 정보이다. 또한, 도 14(b)에서의 p1~p4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여기에서, 상술한 가정에 따르면 이번회의 라이센스 정보(Dlc1)에서 단말식별자(Itn1)는 「x1」이고, 컨텐츠 식별자(Ict1)는 「a」이고, 이용허가정보(Dlw1)는 「1」이며, 또한 복호키(Kd1)는 「c」이다.
이상과 같이 하여 생성된 라이센스 정보(Dlc1)를, 중앙처리부(215)는 작업영역(216)으로부터 통신부(217)에 전송하고, 통신부(217)는 수취한 라이센스 정보(Dlc1)를 전송로(N)를 통하여, 단말장치(22)에 송신한다(단계(S215)). 또한, 라이센스 정보(Dlc1)는 계약자β에 관계없는 자에게 이용되어서는 안되므로, 서버(21) 및 단말장치(22)는 SSL(Secure Socket Layer)로 대표되는 안전한 통신하에서 라이센스 정보(Dlc1)를 교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말장치(22)에서 통신부(222)는 전송로(N)로부터의 라이센스 정보(Dlc1)을 수신하고, 수신 라이센스 정보(Dlc1)에 기초하여 그것이 자국처의 것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단계(S216)). 수신 라이센스 정보(Dlc1)가 자국처의 것이 아니면, 중앙처리부(223)는 이후의 처리를 실시하지 않는다. 그것에 대해서, 자국처의 라이센스 정보(Dlc1)를 수신했다고 판정한 경우, 중앙처리부(223)는 그것을 작업영역(224)에 전송하여 저장한다. 상기 저장에 응답하여 중앙처리부(223)는 이번회의 라이센스 정보(Dlc1) 내의 이용허가정보(Dlw1)를 참조하고, 복호대상 컨텐츠 데이터(Dect1)의 이용허가가 부여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단계(S217)).
이용허가가 부여되어 있지 않으면 중앙처리부(223)는 이후의 처리를 실시하지 않는다. 이상과 같이 본 컨텐츠 신호분배 시스템(Scd1)에서는 서버(21)로부터 이용허가가 부여되지 않는 한, 단말장치(22)는 복호대상 컨텐츠 데이터(Dect1)의 복호를 실시할 수 없다. 이에 의해, 상술한 디지털 라이츠를 보호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반대로, 단계(S217)에서 이용허가가 부여되어 있지 않으면 중앙처리부(223)는 수취한 라이센스 정보(Dlc1)로부터 복호키(Kd1)를 추출한다(단계(S218)).
여기에서, 이상의 단계(S217 및 S218)의 구체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술한 가정하에서는 이번회의 라이센스 정보(Dlc1)의 이용허가정보(Dlw1)에 의해, 컨텐츠 데이터(Dct1)의 재생이 1회만 허가되어 있다. 이러한 경우, 중앙처리부(223)는 이용허가정보(Dlw1)에 설정되는 재생회수가 「1」이므로, 단계(S217)에서 복호대상 컨텐츠 데이터(Dect1)의 이용허가가 부여되어 있다고 판단하고, 단계(S218)에서 수취한 라이센스 정보(Dlc1)로부터 복호키(Kd1)로서의 「c」를 추출한다.
다음에, 상술한 바와 같이 작업영역(224)에는 복호대상 컨텐츠 데이터(Dect1)가 이미 저장되어 있다(도 12; 단계(S21) 참조). 상기 복호대상 컨텐츠 데이터(Dect1)를, 중앙처리부(223)는 단계(S218)에서 얻어진 복호키(Kd1)로 복호한다(단계(S219)). 이에 의해, 중앙처리부(223)는 컨텐츠 데이터(Dct1)를 얻는 것이 가능해지고, 도시하지 않는 스피커로부터 음악을 출력시킨다. 이에 의해, 계약자β는 좋아하는 음악을 들을 수 있다. 또한, 중앙처리부(223)는 본 실시형태와 같이, 이용허가정보(Dlw1)가 재생횟수를 나타낸 경우에는 이상의 컨텐츠 데이터(Dct1)의 재생이 종료될 때마다 이번회의 라이센스 정보(Dlc1)에서의 이용허가정보(Dlw1)를 「1」만큼 디크리먼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6에 도시한 컨텐츠 신호분배 시스템(Scd2)에서도 컨텐츠 신호분배 시스템(Scd1)과 동일하게 하여 단말장치(32)는 서버(31)로부터 컨텐츠 신호분배 및 라이센스 정보의 제공을 받는다. 컨텐츠 신호분배시의 양자의 처리는 도 10을 참조하면 분명하고, 라이센스 정보 제공시의 양자의 처리는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분명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라이센스 정보 제공시, 서버(31)는 도 8(b)에 도시한 이용권 DB(314)를 참조하여 라이센스 정보(Dlc1)와 동일하게, 단말장치(32)에서의, 컨텐츠 데이터(Dct2)의 이용을 제어하기 위한 라이센스 정보(Dlc2)를 생성한다.
또한, 이상의 설명에서 컨텐츠 데이터(Dct1)는 음악을 나타내는 것에만 한정되지 않고, 단말장치(22)가 이용 가능하면 어떠한 데이터이어도 좋다. 그 예로서, 텔레비전 프로그램, 영화, 라디오 프로그램, 음악, 서적 또는 인쇄물을, 컨텐츠 데 이터(Dctl)는 나타내고 있어도 좋다. 또한, 이상의 설명에서는 컨텐츠 데이터(Dct1)가 음악을 나타내는 경우의 이용조건(Cct1)에 대해서 설명했다. 그러나, 상술한 것에만 한정되지 않고 이용조건(Cct1)은 컨텐츠 데이터(Dct1)가 나타내는 내용에 따라서 적절하게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편의상, 컨텐츠 데이터(Dct1)가 음악을 나타내는 것으로부터, 단말장치(22)는 단계(S218)에서 복호된 컨텐츠 데이터(Dct1)가 나타내는 음악을 스피커로부터 출력하는 것으로서 설명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단말장치(22)는 컨텐츠 데이터(Dct1)의 종류에 따라서 텔레비전 프로그램, 영화, 서적, 및 인쇄물 및 게임 내용을 영화출력 가능한 것, 라디오 방송을 음성출력 가능한 것으로 치환되어도 좋다. 또한, 단말장치(22)는 복호된 컨텐츠 데이터(Dct1)를 외부의 기기(텔레비전 수상기, 라디오 수신기, 음악재생기, 전자북리더, 게임기기, PC, 정보휴대단말, 휴대전화, 외부기억장치 등)에 전송 가능한 인터페이스를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이상의 것은 컨텐츠 신호분배 시스템(Scd2)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그런데, 상술한 설명에서는 단말장치(22)는 서버(21)로부터 제공된 라이센스 정보(Dlc1)를 사용하여, 컨텐츠 데이터(Dct1)의 이용을 제어하도록 하고 있었다. 그것에 추가로, 계약자β는 자신의 라이센스 정보(Dlc1)를, 컨텐츠 데이터(Dctl)의 이용을 위해 사용하지 않고, 사업자γ의 컨텐츠 신호분배에 가입하고 있는 계약자δ에 양도하고 싶은 경우가 있다. 그러나, 종래 라이센스 정보(Dlc1)의 양도는 컨텐츠 신호분배 시스템(Scd1 및 Scd2)이 여러가지 면에서 정책이 서로 다른 사업자α 및 γ에 의해 관리되므로 곤란했었다. 또한, 계약자β는 계약자δ와 동일인인 경우, 사용자는 컨텐츠 신호분배 시스템(Scd1)에서 이용 가능한 라이센스 정보(Dlc1)를, 컨텐츠 신호분배 시스템(Scd2)에 대응하는 단말장치(32)로 사용하고 싶은 경우도 있다. 그러나, 종래 이와 같은 라이센스 정보(Dlc1)의 변경도 또한, 사업자α 및 γ의 서로 다른 정책에 기인하여 곤란했었다.
여기에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사업자α 및 γ의 정책의 상이가 라이센스 정보(Dlc1 및 Dlc2)의 포맷으로 나타나고 있다고 가정한다. 여기에서, 라이센스 정보(Dlc1)는 도 14(b)를 참조하여 설명했지만, 보다 구체적으로는 단말식별자(Itn1)는 라이센스 정보(Dlc1)의 선두비트부터 기산하여 p1비트까지, 컨텐츠 식별자(Ict1)는 (p1+1)비트에서 p2비트까지, 이용허가정보(Dlw1)는 (p2+1)비트로부터 p3비트까지, 또한 복호키(Kd1)는 (p3+1)비트부터 p4비트까지 설정된다. 여기에서, p1~p4는 p1<p2<p3<p4를 만족하는 자연수이다.
이상의 라이센스 정보(Dlc1)의 포맷을 나타내는 포맷 데이터(Dfm1)가 서버(21)의 포맷 저장부(218)에 저장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라이센스 정보(Dlc1)는 단말식별자(Itn1), 컨텐츠 식별자(Ict1), 이용허가정보(Dlw1) 및 복호키(Kd1)라는 구성요소로 구성된다. 이 경우, 포맷데이터(Dfm1)는 도 1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라이센스 정보(Dlc1)의 구성요소수에 상당하는 4조의 요소정보(Imt11) 및 비트위치정보(Ibp11)~요소정보(Imt14) 및 비트위치정보(Ibp14)로 구성된다. 요소정보(Imt11)는 단말식별자(Itn1)를 특정한다. 요소정보(Imt12)는 컨텐츠 식별자(Ict1)를 특정한다. 요소정보(Imt13)는 이용허가정보(Dlw1)를 특정한다. 또한, 요소정보(Imt14)는 복호키(Kd1)를 특정한다. 또한, 비트위치정보(Ibp11)는 단말식별자(Itn1)의 개시 비트 위치인 1 및 그 종료비트위치인 p1로 구성된다. 비트 위치 정보(Ibp12)는, 컨텐츠 식별자(Ict1)의 개시비트위치인 (p1+1) 및 그 종료 비트 위치인 p2로 구성된다. 비트 위치정보(Ibp13)는 이용허가정보(Dlw1)의 개시 비트 위치인 (p2+1) 및 종료 비트 위치인 p3으로 구성된다. 또한, 비트 위치 정보(Ibp14)는 복호키(Kd1)의 개시 비트 위치인 (p3+1) 및 종료 비트 위치인 p4로 구성된다.
또한, 라이센스 정보(Dlc2)는 상술한 바와 같이 서버(32)에서 생성되는 정보이고, 도 1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말식별자(Itn2), 컨텐츠 식별자(Ict2), 이용허가정보(Dlw2) 및 복호키(Kd2)를 포함하고 있다. 여기에서, 이용허가정보(Dlw2)는 단말장치(32)에서의 컨텐츠 데이터(Dct2)의 이용을 제어하기 위한 정보이다. 단말식별자(Itn2)는 라이센스 정보(Dlc2)의 선두 비트부터 기산하여 q1비트까지, 컨텐츠 식별자(Ict2)는 (q1+1) 비트에서 q2비트까지, 이용허가정보(Dlw2)는 (q2+1) 비트에서 q3비트까지, 또한 복호키(Kd2)는 (q3+1)비트부터 q4비트까지 설정된다. 여기에서, q1~q4는 q1<q2<q3<q4를 만족하는 자연수이다.
여기에서 주의를 요하는 것은 상술한 바와 같이 라이센스 정보(Dlc1)는 컨텐츠 식별자(Ict1)에 의해 특정되는 컨텐츠 데이터(Dct1)의 이용을 제어하는 정보이다. 따라서, 라이센스 정보(Dlc2)에서 컨텐츠 식별자(Ict2)는 라이센스 정보(Dlc1)에 의해 이용 가능한 컨텐츠 데이터(Dct1)와 동일성을 갖는 컨텐츠 데이터(Dct2)의 것이어야 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서로 동일성이 있는 컨텐츠 데이터(Dct1 및 Dct2)에는 동일한 코드의 컨텐츠 식별자(Ict1 및 Ict2)가 할당된 다. 이상의 것으로부터, 상술한 p1 및 q1은 동일한 값으로 하고, 이후의 설명을 계속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복호키(Kd1 및 Kd2)는 서로 동일한 것으로 가정되어 있다. 이상의 것으로부터 (p3-p2) 및 (q3-q2)는 동일한 값으로서 이후의 설명을 계속한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단말식별자(Itn1) 및 단말식별자(Itn2)를 표현하기 위한 비트수와, 이용허가정보(Dlw1 및 Dlw2)를 표현하기 위한 비트수가 상위하다.
이상의 라이센스 정보(Dlc2)의 포맷을 나타내는 포맷데이터(Dfm2)가 서버(31)의 포맷저장부(318)에 저장된다. 포맷데이터(Dfm2)는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라이센스 정보(Dlc2)의 구성요소에 관련하여, 4조의 요소정보(Imt21) 및 비트위치정보(Ibp21)~요소정보(Imt24) 및 비트위치정보(Ibp24)로 구성된다. 요소정보(Imt21)는 단말식별자(Itn2)를 특정한다. 요소정보(Imt22)는 컨텐츠 식별자(Ict2)를 특정한다. 요소정보(Imt23)는 이용허가정보(Dlw2)를 특정한다. 또한, 요소정보(Imt24)는 복호키(Kd2)를 특정한다. 또한, 비트위치정보(Ibp21)는 단말식별자(Itn2)의 개시비트위치인 1 및 그 종료비트위치(q1)로 구성된다. 비트위치정보(Ibp22)는 컨텐츠 식별자(Ict2)의 개시비트위치인 (q1+1) 및 그 종료비트위치(q2)로 구성된다. 비트위치정보(Ibp23)는 이용허가정보(Dlw2)의 개시비트위치(q2+1) 및 종료비트위치(q3)로 구성된다. 또한, 비트위치정보(Ibp24)는 복호키(Kd2)의 개시비트위치(q3+1) 및 종료비트위치(q4)로 구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계약자δ측의 단말장치(32)는 라이센스 정보(Dlc2)를 해석할 수 있지만, 라이센스 정보(Dlc1)를 그대로 수취해도 해석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래서, 변환장치(Uc1)는 라이센스의 변환처리를 실시하고, 라이센스 정보(Dlc1)의 포맷을 단말장치(32)에서 이용할 수 있도록 변환한다.
이하, 도 17 및 도 18을 참조하여 라이센스 변환시에서의 변환장치(Uc1) 및 단말장치(22)의 처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계약자β는 단말장치(22)를 조작하여 이번회 변환대상이 되는 라이센스 정보(Dlc1)를 지정한다. 또한, 계약자β는 단말장치(22)를 조작하여 변환대상이 되는 라이센스 정보(Dlc1)를 최종적으로 이용하는 단말식별자(Itn2)를 지정한다. 또한, 계약자β는 단말장치(22)를 조작하고, 변환원(元)의 라이센스 정보(Dlc1)가 사용 가능한 컨텐츠 신호분배 시스템(Scd1)과, 포맷 변환처의 컨텐츠 신호분배 시스템(Scd2)을 지정한다. 이와 같은 지정에 의해, 작업영역(224) 상에 라이센스 정보(Dlc1)와, 단말식별자(Itn2)와, 변환원 특정정보(Ici) 및 변환처 특정정보 Idi(도 19(a) 참조)가 저장된다. 여기에서, 변환원 특정정보(Ici)라는 것은 컨텐츠 신호분배 시스템(Scd1)의 서버(21)를 특정하는 정보이고, 변환처 특정정보(Idi)라는 것은 컨텐츠 신호분배 시스템(Scd2)의 서버(31)를 특정하는 정보이다.
이상의 저장에 응답하여 중앙처리부(223)는 도 19(a)에 도시한 바와 같은 변환요구(Dcr)를, 작업영역(224) 상에서 생성한다(도 17; 단계(S31)). 변환요구(Dcr)는 상술한 라이센스 정보(Dlc1)의 변환을 변환장치(Uc1)에 요구하기 위한 정보이고, 도 19(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말식별자(Itn2)와, 상술한 변환원 특정정보(Ici) 및 변환처 특정정보(Idi)를 포함하고 있다.
중앙처리부(223)는 생성한 변환요구(Dcr) 및 라이센스 정보(Dlc1)를 작업영 역(224)로부터 통신부(222)에 전송하고, 통신부(222)는 수취한 변환요구(Dcr) 및 라이센스 정보(Dlc1)를, 전송로(N)를 통하여 변환장치(Uc1)에 송신한다(단계(S32)). 또한, 라이센스 정보(Dlc1)는 계약자β에 관계없는 자에게 이용되어서는 안되므로, 변환장치(Uc1) 및 단말장치(22)는 SSL(Secure Socket Layer)로 대표되는 안전한 통신하에서 적어도 라이센스 정보(Dlc1)를 교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변환장치(Uc1)(도 9 참조)에서 통신부(14)는 전송로(N)로부터의 변환요구(Dcr) 및 라이센스 정보(Dlc1)를 수신하고, 작업영역(13)에 전송하여 저장한다(단계(S33)). 상기 저장에 응답하여 중앙처리부(12)는 프로그램 저장부(11)내의 프로그램(Pc1)에 따라서 동작하고, 우선 이번회의 변환요구(Dcr)로부터 단말식별자(Itn2), 변환처 특정정보(Ici) 및 변환처 특정정보(Idi)를 추출한다(단계(S34)). 그 후, 중앙처리부(12)는 도 19(b) 및 (c)에 도시한 바와 같은, 변환가부요구(Dcq1 및 Dcq2)를 작업영역(13) 상에서 생성한다(단계(S35)). 여기에서, 변환가부요구(Dcq1)는 변환대상이 되는 라이센스 정보(Dlc1)를 보내 온 단말장치(22)가 컨텐츠 신호분배 시스템(Scd1)의 정당한 계약자β인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제 1 변환가부정보(Iack1)의 송신을 서버(21)에 요구하기 위한 정보이고, 도 19(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적어도 단말장치(22)의 단말식별자(Itn1) 및 변환원 특정정보(Ici)를 포함하고 있다. 여기에서, 주의를 요구하는 것은 변환장치(Uc1)는 단말장치(22)와 안전한 통신을 위해 커넥션을 확립하고 있으므로 변환요구(Dcr)에 단말식별자(Itn1)을 설정하지 않아도 단말식별자(Itn1)를 취득할 수 있는 점이 다. 또한, 변환가부요구(Dcq2)는 변환후의 라이센스 정보(Dlc2)를 사용하는 단말장치(32)가 컨텐츠 신호분배 시스템(Scd2)의 정당한 계약자δ인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제 1 변환가부정보(Iack2)의 송신을 서버(32)에 요구하기 위한 정보이고, 도 19(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적어도 단말장치(32)의 단말식별자(Itn2) 및 변환처 특정정보(Idi)를 포함하고 있다.
중앙처리부(12)는 생성한 변환가부요구(Dcq1 및 Dcq2)를 작업영역(13)으로부터 통신부(14)에 전송하고, 통신부(14)는 수취한 변환가부요구(Dcq1 및 Dcr2)를 전송로(N)를 통하여 서버(21 및 31)에 송신한다(단계(S36)).
서버(21 및 31)(도 2 및 도 6 참조)에서 통신부(217 및 317)는 전송로(N)로부터의 변환가부요구(Dcq1 및 Dcq2)를 수신하고, 작업영역(216 및 316)에 전송하여 저장한다(단계(S37)). 저장된 변환가부요구(Dcq1 및 Dcq2)를 해석한 후 중앙처리부(215 및 315)는 각각에 설정되는 단말식별자(Itn1 및 Itn2)가 컨텐츠 신호분배 시스템(Scd1 및 Scd2)의 사용자 리스트(도시하지 않음)에 등록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체크한다(단계(S38)).
그 후, 중앙처리부(215 및 315)의 쌍방은 단계(S38)의 체크결과에 따라서, 도 19(d) 및 (e)에 도시한 바와 같은 제 1 변환가부정보(Iack1 및 Iack2)를 작업영역(216 및 316) 상에서 작성한다(단계(S39)). 제 1 변환가부정보(Iack1)는 서버(21)에 의한 단계(S38)의 체크결과, 즉 단말장치(22)가 컨텐츠 신호분배 시스템(Scd1)의 정당한 사용자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제 1 변환가부정보(Iack2)는 단말장치(32)가 컨텐츠 신호분배 시스템(Scd2)의 정당한 사용자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중앙처리부(215 및 315)는 생성한 제 1 변환가부정보(Iack1 및 Iack2)를, 작업영역(216 및 316)으로부터 통신부(217 및 317)에 전송하고, 통신부(217 및 317)는 수취한 제 1 변환가부정보(Iack1 및 Iack2)를, 전송로(N)를 통하여, 변환장치(Uc1)에 송신한다(단계(S310)).
변환장치(Uc1)(도 9 참조)에서 통신부(14)는 전송로(N)로부터의 제 1 변환가부정보(Iack1 및 Iack2)를 수신하여 작업영역(13)에 저장한다(단계(S311)). 그 후, 중앙처리부(12)는 저장된 제 1 변환가부정보(Iack1 및 Iack2)를 해석하고, 단말장치(22 및 32)가 컨텐츠 신호분배 시스템(Scd 1 및 Scd2)의 정당한 사용자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단계(S312)).
중앙처리부(12)는 단말장치(22 및 23) 중 어느 한쪽에서도 정당한 사용자가 아니라고 판단한 경우, 이번회의 라이센스 정보(Dlc1)를 단말장치(22)로 반송한다(단계(S313)). 그 후, 도 17 및 도 18의 처리는 종료된다. 그것에 대해서 단계(S312)에서 단말장치(22 및 23)의 쌍방이 정당한 사용자라고 판단된 경우에는 중앙처리부(12)는 도 19(f) 및 (g)에 도시한 바와 같은 포맷 송신요구(Dfr1 및 Dfr2)를 작업영역(13) 상에서 생성한다(도 18; 단계(S314)). 여기에서, 포맷 송신요구(Dfr1 및 Dfr2)는 변환원 특정정보(Ici) 및 변환처 특정정보(Idi)로 특정되는 서버(21 및 31)에 포맷데이터(Dfmi 및 Dfm2)의 송신을 요구하기 위한 정보이다.
중앙처리부(12)는 생성한 포맷송신요구(Dfm1 및 Dfm2)를 작업영역(13)으로부터 통신부(14)에 전송하고, 통신부(14)는 수취한 포맷송신요구(Dfr1 및 Dfr2)를 전송로(N)를 통하여 서버(21 및 31)에 송신한다(단계(S315)).
서버(21 및 31)(도 2 및 도 6 참조)에서 통신부(217 및 317)는 전송로(N)로부터의 포맷송신요구(Dfr1 및 Dfr2)를 수신하고, 작업영역(216 및 316)에 전송하여 저장한다(단계(S316)). 저장된 포맷송신요구(Dfr1 및 Dfr2)를 해석한 후, 중앙처리부(215 및 315)는 포맷 저장부(218 및 318)에 저장되어 있는 포맷 데이터(Dfm1 및 Dfm2)를 작업영역(216 및 316)에 추출한다(단계(S317)).
중앙처리부(215 및 315)는 추출한 포맷 데이터(Dfm1 및 Dfm2)를 작업영역(216 및 316)으로부터 통신부(217 및 317)에 전송하고, 통신부(217 및 317)는 수취한 포맷 데이터(Dfm1 및 Dfm2)를 전송로(N)를 통하여 변환장치(Uc1)에 송신한다(단계(S318)).
변환장치(Uc1)(도 9 참조)에서 통신부(14)는 전송로(N)로부터의 포맷데이터(Dfm1 및 Dfm2)를 수신하고 작업영역(13)에 전송하여 저장한다(단계(S319)). 다음에 중앙처리부(12)는 포맷데이터(Dfm1 및 Dfm2)를 참조하여 라이센스 정보(Dlc1)를 라이센스 정보(Dlc2)로 변환한다(단계(S320)).
단계(S320)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술한 가정하에서는 포맷 데이터(Dfm1 및 Dfm2)를 비교함으로써 중앙처리부(12)는 이용허가정보(Dlw1) 및 이용허가정보(Dlw2)에 사용되는 비트수가 상위하다고 인식한다. 그 때문에, 중앙처리부(12)는 라이센스 정보(Dlc1)로부터 이용허가정보(Dlw1)를 추출하고 그것을 해석한다. 그 후, 중앙처리부(12)는 이와 같은 해석결과에 상당하는(q2-q1) 비트의 이용허가정보(Dlw2)에 추출한 이용허가정보(Dlw1)를 변환한다(단계(S321)).
또한, 중앙처리부(12)는 이번회의 변환요구(Dcr)로부터, 단말식별자(Itn2)를 추출한다(단계(S322)). 여기에서 주의를 요하는 것은 상술한 바와 같이 컨텐츠 식별자(Ict1 및 Ict2)에서 코드 및 비트수의 쌍방은 동일하고, 복호키(Kd1 및 Kd2)는 서로 동일한 것으로 가정되어 있다. 그 때문에, 중앙처리부(12)는 라이센스 정보(Dlc1)의 컨텐츠 식별자(Ict1) 및 복호키(Kd1)를 라이센스 정보(Dlw2)의 컨텐츠 식별자(Ict2) 및 복호키(Kd2)로서 그대로 사용한다.
이상의 처리에 의해, 작업영역(13) 상에는 라이센스 정보(Dlc2)의 구성요소인 단말식별자(Itn2), 컨텐츠 식별자(Ict2), 이용허가정보(Dlw2) 및 복호키(Kd2)가 갖추어진다. 다음에 중앙처리부(12)는 포맷데이터(Dfm2)에 나타나는 비트위치에 따라서 이들 구성요소를 나열하고, 도 15(b)에 도시한 라이센스 정보(Dlc2)를 조립한다(단계(S323)). 상술한 가정하에서는 중앙처리부(12)는 단말식별자(Itn2), 컨텐츠 식별자(Ict2), 이용허가정보(Dlw2) 및 복호키(Kd2)의 순서로 나열한다.
이상의 단계(S323)까지의 처리에 의해, 작업영역(13) 상에는 라이센스 정보(Dlc1)로부터 변환된 라이센스 정보(Dlc2)가 완성된다. 다음에, 중앙처리부(12)는 작업영역(13)상의 라이센스 정보(Dlc2)를 통신부(14)에 전송하고, 통신부(14)는 수취한 라이센스 정보(Dlc2)를 전송로(N)를 통하여 단말장치(22)에 송신한다(단계(S324)). 또한, 라이센스 정보(Dlc2)는 계약자β에 관계없는 자에게 이용되어서는 안되므로, 변환장치(Uc1) 및 단말장치(22)는 SSL(Secure Socket Layer)로 대표되는 안전한 통신하에서, 라이센스 정보(Dlc2)를 교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말장치(22)(도 2 참조)에서 통신부(222)는 전송로(N)로부터의 라이센스 정보(Dlc2)를 수신한다(단계(S325)).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한 변환장치(Uc1)는 계약자β의 단말장치(22)용 라이센스 정보(Dlc1)를 계약자 δ의 단말장치(32)용 라이센스 정보(Dlc2)로 변환하고, 상기 단말장치(22)로 돌아간다. 이에 의해, 계약자β는 자신의 라이센스 정보(Dlc1)로부터 변환되고, 또한 단말장치(32)측에서 올바르게 사용할 수 있는 라이센스 정보(Dcl2)를 수취할 수 있다. 계약자β는 이상의 라이센스 정보(Dlc2)를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으로 계약자δ에게 건네진다. 여기에서, 단말장치(32)는 계약자δ의 조작에 따라서 수취한 라이센스 정보(Dlc2)내의 컨텐츠 식별자(Ict2)를 포함하는 컨텐츠 취득요구를 서버(31)에 송신한다. 그 결과 얻어지는 암호처리된 컨텐츠 데이터(Dect2)를, 단말장치(32)는 라이센스 정보(Dlc2)를 사용하여 복호하여 이용한다. 이상의 변환장치(Uc1)를 전송로(N)상에 설치함으로써 종래의 컨텐츠 신호분배 시스템이 안고 있었던 문제점을 해결하고, 자신의 라이센스 정보(Dlc1)를, 타인에게 간단하게 양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이상의 라이센스 정보의 변환처리자체는 단말장치(22)에서 실행되는 것은 아니고, 전송로(N)상의 변환장치(Uc1)에서 실행된다. 이에 의해, 단말장치(22)측에서의 변환처리를 위한 처리부담을 가볍게 할 수 있다.
또한, 이상의 제 1 실시형태에서는 단계(S35~S312)에 의해 변환장치(Uc1)는 서버(21 및 31)와의 통신에 의해 취득한 제 1 변환가부정보(Iack1 및 Iack2)를 사용하여, 단말장치(22 및 32)가 정당한 사용자인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있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변환장치(Uc1)는 서버(21 및 31) 이외로부터 취득한 제 1 변환가부정보(Iack1 및 Iack2)를 사용하여, 단계(S312)의 판정을 실시해도 좋고, 미리 로컬의 보조기억장치에 유지하는 제 1 변환가부정보(Iack1 및 Iack2)를 사용하여 단계(S312)의 판정을 실시해도좋다.
「제 2 실시형태」
그런데, 상술한 제 1 실시형태에서는 서로 동일성이 있는 컨텐츠 데이터(Dct1 및 Dct2)는 동일한 암호키(Ke1 및 Ke2)에 의해 암호화되어 있었다. 그 때문에, 단말장치(22 및 32)는 서로 동일한 복호키(Kd1 및 Kd2)를 사용하여 암호화 컨텐츠 데이터(Dect1 및 Dect2)를 복호한다. 그러나, 사업자α 및 γ의 정책의 상이로부터, 컨텐츠 신호분배 시스템(Scd1 및 Scd2)의 사이에서는, 다른 암호화 방식이 사용되고, 그 결과 단말장치(22 및 32)는 서로 다른 복호키(Kd1 및 Kd2)를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변환장치(Uc1)에서 변환된 라이센스 정보(Dlc2)를 사용하여 암호처리된 컨텐츠 데이터(Dect2)를, 단말장치(32)는 복호할 수 없다는 문제점을 상정할 수 있다. 그래서, 제 2 실시형태에서는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 컨텐츠 신호분배 시스템(Scd1 및 Scd2) 사이에서 다른 암호화 방식이 채용되고 있었다고 해도 단말장치(22)의 라이세스 정보(Dlc1)를, 단말장치(32)를 올바르게 사용할 수 있는 라이센스 정보(Dlc2)로 변환하는 변환장치(Uc2)를 제공하는 것이다.
여기에서, 변환장치(Uc2)의 블럭구성은 도 9에 도시한 변환장치(Uc1)의 구성과 동일하다. 또한, 변환장치(Uc2)의 주변환경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다. 그 때문에, 변환장치(Uc2)에서 변환장치(Uc1)의 구성에 상당하는 것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인다. 단, 변환장치(Uc2)의 프로그램 저장부(11)에는 프로그램(Pc1)이 아니라 프로그램(Pc2)이 저장되는 점에는 주의를 요한다.
이하, 라이센스 변환시에서의 변환장치(Uc2) 및 단말장치(22)의 처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단말장치(22)측에서는 도 17의 단계(S31 및 32)를 실시하고 변환요구(Dcr) 및 라이센스 정보(Dlc1)를 전송로(N)를 통하여 변환장치(Uc2)에 송신한다.
변환장치(Uc2)(도 9 참조)에서는 전송로(N)를 통하여 변환요구(Dcr) 및 라이센스 정보(Dlc1)가 도착하면, 프로그램(Pc2)의 실행이 개시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중앙처리부(12)는 프로그램(Pc2)을 따라서 도 20 및 도 21에 도시한 처리순서를 실행한다 도 20 및 도 21은 도 18과 비교하면 부분적으로 동일한 단계를 갖고 있다. 그 때문에, 도 20 및 도 21에서 도 18의 플로우차트의 단계에 상당하는 것에는 동일한 단계번호를 붙여 그 설명을 간소화한다.
우선, 중앙처리부(12)는 변환요구(Dcr) 및 라이센스 정보(Dlc1)의 도착후, 도 17의 단계(S312)에서, 단말장치(22 및 23)가 컨텐츠 신호분배 시스템(Scd1 및 Scd2)의 정당한 사용자라고 판단한 후,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변환원 특정정보(Ici)만을 사용하여 단계(S314~S315)와 동일한 처리를 실시하고, 포맷송신요구(Dfr1)를 생성하여 서버(21)에 송신한다. 그 결과, 변환장치(Uc2)의 작업영역(13)에는 서버(21)에 의해 송신된 포맷데이터(Dfm1)만이 저장된다(단계(S316~S319참조).
또한, 중앙처리부(12)는 이번회의 라이센스 정보(Dlc1)로부터 컨텐츠 식별자(Ict1)를 추출한다(도 21; 단계(S41)). 그 후, 중앙처리부(12)는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컨텐츠 식별자(Ict1)를 포함하는 포맷/복호키 송신요구(Dfd)를 작업영역(13)상에서 생성한다(단계(S42)). 여기에서, 포맷/복호키 송신요구(Dfd)는 변환처 특정정보(Idi)로 특정되는 서버(31)에 포맷데이터(Dfm2) 및 복호키(Kd2)의 송신을 요구하기 위한 정보이다.
중앙처리부(12)는 생성한 포맷/복호키 송신요구(Dfd)를 작업영역(13)으로부터 통신부(14)에 전송하고, 통신부(14)는 수취한 포맷/복호키 송신요구(Dfd)를, 전송로(N)를 통하여 서버(31)에 송신한다(단계(S43)).
서버(31)(도 6 참조)에서 통신부(317)는 전송로(N)로부터의 포맷/복호키 송신요구(Dfd)를 수신하여 작업영역(316)에 전송하여 저장한다(단계(S44)). 저장된 포맷/복호키 송신요구(Dfd)를 해석한 후, 중앙처리부(315)는 우선 포맷저장부(318)에 저장되어 있는 포맷 데이터(Dfm2)를 작업영역(316)에 추출한다(단계(S45)).
또한, 중앙처리부(315)는 복호키(DB312) 중에서 이번회의 포맷/복호키 송신요구(Dfd)에 포함되는 컨텐츠 식별자(Ict1)와 동일한 코드를 갖는 컨텐츠 식별자(Ict2)를 검색하고, 또한 검색한 컨텐츠 식별자(Ict2)와 동일한 쌍의 복호키(Kd2)를 작업영역(324)에 판독한다(단계(S46)). 그 후, 중앙처리부(315)는 작업영역(316)상의 포맷 데이터(Dfm2) 및 복호키(Kd2)를 데이터 세트(Dst2)로서 통신부(317)에 전송한다. 통신부(317)는 수취한 데이터 세트(Dst2)를, 전송로(N)를 통하여 변환장치(Uc2)에 송신한다(단계(S47)). 변환장치(Uc2)(도 9 참조)에서 통신부(14)는 전송로(N)로부터의 데이터 세트(Dst2)를 수신하고 작업영역(13)에 전송 하여 저장한다(단계(S48)).
다음에, 중앙처리부(12)는 포맷 데이터(Dfm1 및 Dfm2)를 참조하고, 라이센스 정보(Dlc1)를 라이센스 정보(Dlc2)로 변환한다(단계(S49)).
단계(S49)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우선 중앙처리부(12)는 상술한 단계(S321)를 실시함으로써 이용허가정보(Dlw1)를 이용허가정보(Dlw2)로 변환하고, 또한 단계(S322)를 실시함으로써 단말식별자(Itn2)를 추출한다. 또한, 중앙처리부(2)는 단계(S48)에서 얻어진 데이터 세트(Dst2)로부터, 복호키(Kd2)를 추출한다(단계(S410)).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중앙처리부(12)는 라이센스 정보(Dlc1)의 컨텐츠 식별자(Ict1)를, 라이센스 정보(Dlw2)의 컨텐츠 식별자(Ict2)로서 그대로 사용한다.
이상의 처리에 의해, 작업영역(13) 상에는 라이센스 정보(Dlc2)의 구성요소인 컨텐츠 식별자(Ict2), 이용허가정보(Dlw2) 및 복호키(Kd2)가 갖추어진다. 다음에 중앙처리부(12)는 도 15(b)에 도시한 라이센스 정보(Dlc2)를 조립한다(단계(S411)). 여기서 단계(S410 및 S411)에 의해, 라이센스 정보(Dlc1)의 복호키(Kd1)는 복호키(Kd2)로 치환된다. 다음에 중앙처리부(12)는 단계(S324)를 실행하고, 통신부(14) 및 전송로(N)를 통하여 조립한 라이센스 정보(Dlc2)를, 단말장치(22)에 송신한다. 단말장치(22)(도 2 참조)에서 통신부(222)는 단계(S325)를 실행하고, 전송로(N)로부터의 라이센스 정보(Dlc2)를 수신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한 변환장치(Uc2)는 변환장치(Uc1)와 동일하게, 단말장치(32)용 라이센스 정보(Dlc2)를 단말장치(22)로 되돌린다. 특히, 변환장치(Uc2)는 라이센스 정보(Dlc1)의 컨텐츠 식별자(Ict1)를 사용하여 서버(32)와 데이터 통신을 실시하고, 그것에 대응하는 컨텐츠 식별자(Ict2)에 부가된 복호키(Kd2)를 얻는다. 변환장치(Uc2)는, 얻어진 복호키(Kd2)를 라이센스 정보(Dlc2)로 설정한다. 이에 의해, 컨텐츠 신호분배 시스템(Scd1 및 Scd2) 사이에서 다른 암호화 방식이 채용되어 있었다고 해도, 단말장치(22)의 라이센스 정보(Dlc1)를, 단말장치(32)가 올바르게 사용할 수 있는 라이센스 정보(Dlc2)로 변환하는 변환장치(Uc2)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상의 제 2 실시형태에서는 단계(S47 및 48)에 의해 변환장치(Uc2)는 서버(31)와의 통신에 의해 복호키(Kd2)를 취득하도록 하고 있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변환장치(Uc2)는 복호키(Kd2)를, 서버(31) 이외로부터 취득한 복호키(Kd2)를 사용하여, 라이센스 정보(Dlc2)를 작성해도 좋고, 미리 로컬 보조기억장치에 유지하는 복호키(Kd2)를 사용하여 라이센스 정보( Dlc2)를 작성하도록 해도 좋다.
「제 3 실시형태」
그런데, 종전의 실시형태에서는 변환장치(Uc1 및 Uc2)의 쌍방은 단말장치(22)로부터의 변환요구(Dcr)에 응답하여 라이센스 정보의 변환처리를 무조건으로 실시하고 있었다. 그러나, 사업자α의 정책에 따라서는 라이센스 정보의 변환처리의 대상으로부터 제외하고 싶은 이용조건(Cct1)이 있는 경우도 있다. 그래서, 제 3 실시형태에서는 라이센스 정보의 변환처리에 제한을 가하는 것이 가능한 변환장치(Uc3)를 제공하는 것이다.
여기서, 변환장치(Uc3)의 블럭구성은 도 9에 도시한 변환장치(Uc1)의 구성과 동일하다. 또한, 변환장치(Uc3)의 주변환경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다. 그 때문에, 변환장치(Uc3)에서 변환장치(Uc1)의 구성에 상당하는 것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인다. 단, 변환장치(Uc3)의 프로그램 저장부(11)에는 프로그램(Pc1)이 아니라, 프로그램(Pc3)이 저장되는 점에는 주의를 요한다.
이하, 라이센스 변환시에서의 변환장치(Uc3) 및 단말장치(22)의 처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단말장치(22)측에서는 도 17의 단계(S31 및 S32)를 실시하고, 변환요구(Dcr) 및 라이센스 정보(Dlc1)를, 전송로(N)를 통하여 변환장치(Uc3)에 송신한다. 여기에서, 본 실시형태에서 라이센스 정보(Dlc1)는 도 14(b)에 도시한 것과 비교하면, 도 2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2 변환가부정보(Ica1)가 부가되는 점에서 상위하다. 그 이외에 두 라이센스 정보(Dlc1)의 사이에 상위점은 없으므로, 도 23(a)에서 도 14(b)에 도시한 정보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이고, 각각의 설명을 생략한다. 제 2 변환가부정보(Ica1)는 사업자α의 정책에 의해 부가되고, 동일한 라이센스 정보(Dlc1)에 포함되는 이용허가정보(Dlw1)의 변환처리를 인정할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다음에, 도 23(b) 및 동 도면(c)를 참조하여 제 2 변환가부정보(Ica1)의 구체예를 두개 들 수 있다. 우선, 도 23(b)에서 라이센스 정보(Dlc1)는 단말식별자(Itn1), 컨텐츠 식별자(Ict1), 제 2 변환가부정보(Ica1), 복수의 이용허가정보(Dlw1)의 일례로서 이용허가정보(Dlw11 및 Dlw12), 및 복호키(Kd1)를 포함하고 있다. 이용허가정보(Dlw11)는 예를 들어 재생횟수를 나타내고 있고, 이용허가 정보(Dlw12)는 예를 들어 인쇄횟수를 나타낸다. 제 2 변환가부정보(Ica1)는 이와 같은 모든 이용허가정보(Dlw11 및 Dlw12)의 변환처리를 인정할지의 여부를 나타낸다. 또한, 도 23(c)에서 라이센스 정보(Dlc1)는 단말식별자(Itn1), 컨텐츠 식별자(Ict1), 하나 또는 복수의 제 2 변환가부정보(Ica1) 및 이용허가정보(Dlw1)의 쌍의 일례로서, 제 2 변환가부정보(Ica11) 및 이용허가정보(Dlw11), 제 2 변환가부정보(Ica12) 및 이용허가정보(Dlw12) 및 복호키(Kd1)를 포함하고 있다. 이용허가정보(Dlw11 및 Dlw12)는 상술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재생횟수 및 인쇄횟수를 나타내고 있다. 제 2 변환가부정보(Ica11)는 동일한 쌍의 이용허가정보(Dlw11)의 변환처리를 인정할지의 여부를 나타내고, 제 2 변환가부정보(Ica12)는 동일한 쌍의 이용허가정보(Dlw12)의 변환처리를 인정할지의 여부를 나타낸다.
변환장치(Uc3)(도 9 참조)에서는 전송로(N)를 통하여 단말장치(22)로부터의 변환요구(Dcr) 및 라이센스 정보(Dlc1)가 도착하면, 프로그램(Pc3)의 실행이 개시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중앙처리부(12)는 프로그램(Pc3)에 따라서 도 24에 도시한 처리순서를 실행한다. 도 24는 도 17과 비교하면 부분적으로 동일한 단계를 갖고 있다. 그 때문에, 도 24에서 도 17의 플로우차트의 단계에 상당하는 것에는 동일한 단계번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간소화한다.
우선, 중앙처리부(12)는 변환요구(Dcr) 및 라이센스 정보(Dlc1)의 도착후, 제 2 변환가부정보(Ica1)를 체크하고, 모든 이용허가정보(Dlw1)의 변환처리가 인정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S51)). 전체 이용허가정보(Dlw1)의 변환처리가 인정되어 있지 않으면, 중앙처리부(12)는 이번회의 수신 라이센스 정보(Dlc1)를 단말장치(22)에 반송하고(단계(S52)) 도 24의 처리를 종료한다. 또한, 변환장치(Uc3)는 단계(S51)의 전에, 단계(S35 및 S36)(도 17 참조)를 실시하고, 서버(21 및 31)로부터 제 1 변환가부정보(Iack1 및 Iack2)를 취득한 후, 단말장치(22 및 32)가 컨텐츠 신호분배 시스템(Scd1 및 Scd2)의 정당한 사용자인지의 여부를 판정한 후에 단계(S51)를 실시해도 좋다.
그에 대해서, 단계(S51)에서 일부 또는 모든 이용허가정보(Dlw1)의 변환처리가 인정되고 있다고 판단한 경우, 중앙처리부(12)는 제 1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변환요구(Dcr) 및 라이센스 정보(Dlc1)를 저장한다(단계(S33)). 그 후, 중앙처리부(12)는 제 2 변환가부정보(Ica1)에 따라서, 전 이용허가정보(Dlw1)의 변환이 인정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S53)). 전 이용허가정보(Dlc1)의 변환이 인정되어 있는 경우, 중앙처리부(12)는 단계(S34에서 S316)(도 18 참조)까지의 처리를 실시한다.
그것에 대해서, 단계(S53)에서 일부의 이용허가정보(Dlw1)의 변환처리가 인정되고 있다고 판단한 경우, 중앙처리부(12)는 제 2 변환가부정보(Ica1)에 따라서 변환처리가 인정되고 있는 이용허가정보(Dlw1)와, 그렇지 않은 것으로 분류한다(단계(S54)). 그 후, 중앙처리부(12)는 변환처리가 인정되고 있지 않은 이용허가정보(Dlw1)를 단말장치(22)에 반송하고(단계(S55)), 그 후 변환처리가 인정되고 있는 이용허가정보(Dlw1)를 대상으로 단계(S34에서 S316(도 18 참조))까지의 처리를 실시한다.
이상의 처리에 의해, 본 실시형태에 관한 변환장치(Uc3)는 제 2 변환가부정 보(Ica1)를 실시함으로써, 라이센스 정보의 변환처리에 제한을 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에 따라서, 사업자α의 정책을 반영 가능한 변환장치(Uc3)를 실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제 3 실시형태에서 제 2 변환가부정보(Ica1)는 라이센스 정보(Dlc1)에 부가되는 것으로서 설명했다. 그러나, 제 2 변환가부정보(Ica1)는 라이센스 정보(Dlc1)에 부가되어 있지 않아도 좋다. 이 경우, 변환장치(Uc3)는 예를 들어 변환요구(Dcr) 및 라이센스 정보(Dlc1)의 도착후, 전형적으로는 서버(31)에, 각 이용허가정보(Dlw1)에 대응하는 제 2 변환가부정보(Ica1)를 조회하여 취득하고, 그 후 단계(S51) 이후의 처리를 실시한다. 그 밖에도 변환장치(Uc3)는 컨텐츠 신호분배 시스템(Scd1)에서 사용되는 이용허가정보(Dlw1) 마다 제 2 변환가부정보(Ica1)를 미리 로컬 보조기억장치에 유지해 두고, 변환요구(Dcr) 및 라이센스 정보(Dlc1)의 도착후, 로컬의 제 2 변환가부정보(Ica1)를 사용하여, 단계(S51) 이후의 처리를 실시해도 좋다.
또한, 제 3 실시형태에서 중앙처리부(12)는 단계(S54)에서 변환처리가 인정되어 있는 이용허가정보(Dlw1)와 그렇지 않은 것으로 분류한다. 그 결과, 단일 이용허가정보(Dlw1)만이 단계(S34) 이후의 처리의 대상으로서 남는 경우가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이용허가정보(Dlw1)가 단독으로는 의미를 갖지 않을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이용허가정보(Dlw1)가 컨텐츠 데이터(Dect1)의 복제허가를 나타내는 경우, 변환후의 라이센스 정보(Dlc2)를 단말장치(23)가 취득했다고 해도, 단말장치(22)는 단지, 컨텐츠 데이터(Dect1)의 복제가 가능해질 뿐, 컨텐츠 데이터(Dect1)를 재생하거나 인쇄할 수 없다. 즉, 이와 같은 라이센스 정보(Dlc2)는 단독으로는 의미를 갖지 않는다. 이와 같은 무의미한 라이센스 정보의 변환처리의 실행을 피하기 위해, 중앙처리부(12)는 단계(S54)에서 남은 이용허가정보(Dlw1)의 내용을 검사하고, 그것이 의미가 있는 것인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의미를 갖지 않는 것을 단계(S34) 이후의 처리의 대상으로 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 3 실시형태에서 중앙처리부(12)는 단계(S52 및 S55)에서 변환처리가 인정되어 있지 않은 이용허가정보(Dlw1)를 단말장치(22)에 반송하도록 하고 있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중앙처리부(12)는 컨텐츠 신호분배 시스템(Scd2)이고, 라이센스 정보(Dlc1)로 설정되는 이용허가정보(Dlw1)가 이용허가정보로서 정의되어 있지 않은 경우, 변환처리가 인정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하여, 단계(S55)에서 이용허가정보(Dlw1)를 단말장치(22)에 반송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이와 같이 판단한 경우에서도 변환장치(Uc3)는 로컬 또는 원격의 보조기억장치로, 변환할 수 없는 이용권 정보(Dlw1)를 유지해도 좋고 서버(31)에 되돌리도록 해도 좋다.
또한, 이상의 제 1~제 3 실시형태에서는 계약자β가 계약자δ에 자신의 라이센스 정보(Dlc1)를 양도하기 위해, 변환장치(Uc1~Uc3)가 사용되고 있었다. 그러나, 변환장치(Uc1~Uc3)는 다른 상황, 예를 들어 계약자β가 제 2 컨텐츠 신호분배 시스템(Scd2)에서 사용 가능한 라이센스 정보(Dlc2)를 어떤 방법으로 입수하고, 입수한 라이센스 정보(Dlc2)를 자신이 가입하는 컨텐츠 신호분배 시스템(Scd1)에서 이용 가능한 라이센스 정보(Dlc1)로 변환하는 상황에도 응용할 수 있다. 또한, 입 수한 라이센스 정보(Dlc2)를 자신이 가입하지 않은 다른 컨텐츠 신호분배 시스템에서 이용 가능한 것으로 변환하는 경우에도 변환장치(Uc1~Uc3)를 응용할 수 있다.
또한, 이상의 제 1~제 3 실시형태에서는 단계(S314(도 18, 도 21참조))에서, 변환장치(Uc1~Uc3)는 단말장치(22)에 변환후의 라이센스 정보(Dlc2)를 되돌리고 있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단말장치(22)는 변환요구(Dcr)와 함께, 라이센스 정보(Dlc2)의 양도처가 되는 단말장치(32)를 일의적으로 특정하는 정보를 변환장치(Uc1~Uc3)에 송신한다. 또한, 변환장치(Uc1~Uc3)는 수취한 정보에 기초하여, 변환후의 라이센스 정보(Dlc2)를 단말장치(32)에 송신하도록 해도 좋다. 포괄적으로 설명하면 변환후의 라이센스 정보(Dlc2)가 어떤 방법으로 단말장치(32)에 건네어져도 좋다.
또한, 제 1 실시형태에서는 변환장치(Uc1)가 라이센스 정보의 변환처리를 실시하고 있었다. 그러나, 그 대신 단말장치(22)에, 상술한 단계(S314에서 S323)까지의 처리(도 18 참조)로 구성되는 프로그램을 저장해 두어도 좋다. 또한, 제 2 실시형태에서는 변환장치(Uc2)가 라이센스 정보의 변환처리를 실시하고 있었다. 그러나, 그 대신 단말장치(22)에 상술한 단계(S314부터 S411까지)의 처리(도 20 및 도 21 참조)로 구성되는 프로그램을 저장해 두어도 좋다. 또한, 제 3 실시형태에서는 변환장치(Uc3)가 라이센스 정보의 변환처리를 실시하고 있었다. 그러나, 그 대신 단말장치(22)에 상술한 단계(S51)(도 24 참조) 이후의 처리를 실시하도록 해도 좋다. 이에 의해, 단말장치(22)는 자기자신이 자신용 라이센스 정보(Dlc1)를, 단말장치(32)용 라이센스 정보(Dlc2)로 변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에 의해, 단 말장치(22)는 변환장치(Uc1~Uc3)와 데이터 통신을 실시할 필요가 없어지므로, 통신 비용 등을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해지고, 또한 빠르게 단말장치(32)용 라이센스 정보(Dlc2)를 얻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이상의 제 1~제 3 실시형태에서는 변환장치(Uc1~Uc3)는 단말장치(22)에 대해서 발행되는 라이센스 정보(Dlc1)를, 단말장치(23)에서 이용할 수 있도록 라이센스 정보(Dlc2)로 변환하고 있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변환장치(Uc1~Uc3)는 예를 들어 계약자β에게 할당된 이용권 정보(Drgt1)(도 5 참조)를 변환하고, 다른 계약자δ를 위한 이용권 정보(Drgt2)를 작성해도 좋다. 즉, 라이센스 정보(Dlc1)에는 제 1~제 3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것에 한정되지 않고, 도 5에 도시한 이용권 정보(Drgt1)도 포함된다. 또한, 이 때의 전형적인 처리로서 변환장치(Uc1~Uc3)는 이용권 정보(Drgt1)에 설정되는 계약자β를 특정하기 위한 식별자(도 5에 도시하지 않음)를 계약자δ를 특정하기 위한 식별자로 변환한다.
또한, 이상의 제 1~제 3 실시형태에서는 라이센스 정보의 변환처리로서 이용허가정보(Dlw1 및 Dlw2)의 비트수의 조정을 예로 들어 설명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라이센스 정보(Dlc1 및 Dlc2)는 서로 다른 문자세트로 생성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에는 각 변환장치(Uc1~Uc3)는 서버(21 및 31)의 쌍방과 통신을 실시하고, 컨텐츠 신호분배 시스템(Scd1 및 Scd2)에서 어떠한 문자 세트가 사용되고 있는지를 확인한다. 이와 같은 확인결과에 기초하여 각 변환장치(Uc1~Uc3)는 라이센스 정보(Dlc1)의 문자세트를, 라이센스 정보(Dlc2)의 것으로 변환하도록 해도 좋다. 그 밖에도 변환장치(Uc1~Uc3)는 컨텐츠 신호분배 시스템(Scd1 및 Scd2) 의 쌍방에서 어떤 문자세트가 사용되고 있는지가 기술된 테이블을 미리 유지하고 있는 경우에는 상기 테이블을 참조하여 라이센스 정보(Dlc1)의 문자세트를 라이센스 정보(Dlc2)의 것으로 변환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라이센스 정보(Dlc1 및 Dlc2)는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 또는 XrML(eXtensible rights Markup Language)로 대표되는 기술언어로 기술되어 있어도 좋다. 이 경우에서 변환장치(Uc1~Uc3)는 XML 또는 XrML의 태그값을 변환하거나, 기술언어 자체를 변환하여 라이센스 정보(Dlc1)로부터 라이센스 정보(Dlc2)로의 변환처리를 실시해도 좋다.
그 밖에도 라이센스 정보(Dlc1 및 Dlc2)의 구성요소가 서로 다른 경우도 있다. 라이센스 정보(Dlc1)에는 이용허가정보(Dlw1)가 있지만, 라이센스 정보(Dlc2)에는 그에 상당하는 이용허가정보(Dlw2)가 없는 경우가 그 전형예이다. 이와 같은 경우에도 변환장치(Uc1~Uc3)는 서버(21 및 31)의 쌍방과 통신을 실시하고, 컨텐츠 신호분배 시스템(Scd1 및 Scd2)의 쌍방에서 어떤 구성요소를 사용하여 라이센스 정보(Dlc1 및 Dlc2)가 구성되어 있는지를 확인한다. 이와 같은 확인의 결과에 기초하여 변환장치(Uc1~Uc3)는 라이센스 정보(Dlc1)의 구성요소를, 라이센스 정보(Dlc2)의 것에 합치하도록 변환처리를 실시해도 좋다. 그 밖에도 변환장치(Uc1~Uc3)는 컨텐츠 신호분배 시스템(Scd1 및 Scd2)의 쌍방에서 어떤 구성요소를 사용하여 라이센스 정보(Dlc1 및 Dlc2)가 구성되어 있는지가 기술된 테이블을 미리 유지하고 있는 경우에는 상기 테이블을 참조하여 라이센스 정보(Dlc1)의 구성요소를, 라이센스 정보(Dlc2)의 것에 합치하도록 변환처리를 실시해도 좋다.
그 밖에도 라이센스 정보(Dlc1 및 Dlc2)의 구성요소 자체는 동일하지만, 상기 라이센스 정보(Dlc1 및 Dlc2)에서의 구성요소의 배열이 서로 다른 경우도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도 각 변환장치(Uc1~Uc3)는 서버(21 및 31)의 쌍방과 통신을 실시하고, 컨텐츠 신호분배 시스템(Scd1 및 Scd2)의 쌍방에서 어떠한 구성요소의 배열로 라이센스 정보(Dlc1 및 Dlc2)가 구성되어 있는지를 확인한다. 이와 같은 확인의 결과에 기초하여 각 변환장치(Uc1~Uc3)는 라이센스 정보(Dlc1)의 구성요소의 배열을 라이센스 정보(Dlc2)의 것에 합치하도록 변환처리를 실시해도 좋다. 그 밖에도 각 변환장치(Uc1~Uc3)는 컨텐츠 신호분배 시스템(Scd1 및 Scd2)의 쌍방에서 어떠한 구성요소의 배열로 라이센스 정보(Dlc1 및 Dlc2)가 구성되어 있는지가 기술된 테이블을 미리 유지하고 있는 경우에는 상기 테이블을 참조하여 라이센스 정보(Dlc1)의 구성요소의 배열을 라이센스 정보(Dlc2)의 것에 합치하도록 변환처리를 실시해도 좋다.
또한, 제 1~제 3 실시형태에서는 동일성을 갖는 컨텐츠 데이터(Dct1 및 Dct2)에는 서로 동일한 코드를 갖는 컨텐츠 식별자(Ict1 및 Ict2)가 할당되는 것으로 설명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동일성을 갖는 컨텐츠 데이터(Dct1 및 Dct2)에 컨텐츠 신호분배 시스템(Scd1 및 Scd2)에서 일의적인 코드를 갖는 컨텐츠 식별자(Ict1 및 Ict2)가 할당되어도 좋다. 단, 이 경우, 각 변환장치(Uc1~Uc3)는 라이센스 정보(Dlc1)에 포함되는 컨텐츠 식별자(Ict1)를, 컨텐츠 식별자(Ict2)로 변환할 필요가 발생한다. 그 때문에, 변환장치(Uc1~Uc3)는 컨텐츠 신호분배 시스템(Scd1 및 Scd2)에서 서로 동일성을 갖는 컨텐츠 데이터(Dct1 및 Dct2)에 할당되 는 컨텐츠 식별자(Ict1 및 Ict2)의 대응관계가 기술된 테이블을 미리 유지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변환장치(Uc1~Uc3)는 이와 같은 테이블을 참조하여 라이센스 정보(Dlc1)에 포함되는 컨텐츠 식별자(Ict1)를 컨텐츠 식별자(Ict2)로 변환한다.
또한, 제 1~제 3 실시형태에서는 변환장치(Uc1~Uc3)는 변환처리의 대상이 되는 라이센스 정보(Dlc1)를 단말장치(22)로부터 수취하고 있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변환장치(Uc1~Uc3)는 서버(21)와 데이터 통신을 실시하고, 단말장치(22)용 라이센스 정보(Dlc1)를 취득해도 좋다.
또한, 제 1~제 3 실시형태에서는 서버(21)는 컨텐츠 데이터(Dct1)와, 라이센스 정보(Dlc1)를 별개의 타이밍으로 단말장치(22)에 송신하도록 하고 있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서버(21)는 라이센스 정보(Dlc1)를 일렉트로닉 워터마크로서, 컨텐츠 데이터(Dct1)에 삽입되어 상기 컨텐츠 데이터(Dct1)를 단말장치(22)에 동시에 송신해도 좋다. 이 점에 대해서는 서버(31)에 관해서도 동일하다.
또한, 제 1~제 3 실시형태에서 각 변환장치(Uc1~Uc3)는 서버(21 및 31)로부터 포맷데이터(Dfm1 및 Dfm2)를 통신에 의해 취득하도록 하고 있었다(단계(S315~S319)). 이에 의해, 각 변환장치(Uc1~Uc3)는 포맷데이터(Dfml 및 Dfm2)를 보조기억장치에 항상 둘 필요성이 없어진다. 그러나, 통신에 의한 취득에 한정되지 않고, 변환장치(Uc1~Uc3)는 포맷 데이터(Dfm1 및 Dfm2)를 로컬의 보조기억장치에 가지고 있어도 좋다. 이에 의해, 변환장치(Uc1~Uc3)는 서버(21 및 31)와 통신을 실시할 필요성이 없어지므로, 라이센스 정보의 변환처리를 고속으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제 1~제 3 실시형태에서 각 변환장치(Uc1~Uc3)는 라이센스 정보의 변환처리의 예로서 라이센스 정보(Dlc1)의 포맷을 라이센스 정보(Dlc2)의 것으로 변환하도록 하고 있었다(단계(S320)). 보다 구체적으로는 이용허가정보(Dlw1)에는 이용조건(Cct1)으로서의 재생횟수가 1회로 설정되어 있고, 변환장치(Uc1~Uc3)는 이와 같은 이용허가정보(Dlw1)를, 재생횟수가 1회로 설정된 이용허가정보(Dlw2)로 변환하고 있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포맷변환에 한정되지 않고, 변환장치(Uc1~Uc3)는 라이센스 정보(Dlc1)에 포함되는 이용조건(Cct1) 자체를 변경하고, 다른 이용조건(Cct2)을 포함하는 라이센스 정보(Dlc2)를 작성하도록 해도 좋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변환장치(Uc1)는 이용조건(Cct1 및 Cct2)의 변환비율을 사용하여, 라이센스 정보(Dlc1)의 이용조건(Cct1)을 이용조건(Cct2)으로 변경한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이용조건(Cct1)으로서의 재생횟수(n1)가 이용조건(Cct2)으로서의 재생횟수(n2)로 변경된다. 다른 예로서 컨텐츠 데이터(Dct1)가 정지화를 나타내는 경우, 이용조건(Cct1)으로서의 재생횟수(n1)이 이용조건(Cct2)으로서의 인쇄횟수(n2)로 변경된다. 또한, 이용조건(Cct1)으로서의 유효기간이, 이용조건(Cct2)으로서 이용기간 무기한으로 변경된다. 또한, 변환장치(Uc1~Uc3)는 변환비율을, 포맷 데이터(Dfm1) 등과 동일하게 외부로부터 취득해도 좋고, 로컬로 유지하고 있어도 좋다.
또한, 이상의 제 1~제 3 실시형태에서는 프로그램(Pc1~Pc3)은 변환장치(Uc1~Uc3)에 저장하고 있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프로그램(Pc1~Pc3)은 CD-ROM으로 대표되는 기록매체에 기록된 상태에서 반포되어도 좋고, 전송로(N)를 통하여 신호분배되어도 좋다.
또한, 이상의 제 1~제 3 실시형태에서 변환장치(Uc1~Uc3), 서버(21 및 31) 및 단말장치(22 및 32)에서 필요한 부분에는 내(耐)탬퍼 기술이 실장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적어도 이용허가정보(Dlw1)에는 해쉬로 대표되는 개찬(改竄) 검출에 필요한 정보가 부가되어 있어도 좋다.
본 발명에 관한 변환장치는 DRM(Digital Rights Management), 즉 권리관리기술을 편입한 시스템에 편입하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19)

  1. 컨텐츠의 이용을 허가하는 이용 허가 정보를 하나 이상 포함하는 제 1 라이센스 정보를 제 2 라이센스 정보로 변환하는 전자 기기에 있어서,
    상기 이용 허가 정보에는 상기 제 2 라이센스 정보로의 변환이 허가되어 있는 것과 허가되어 있지 않은 것이 있고,
    상기 제 1 라이센스 정보는 컨텐츠를 이용하는 제 1 시스템에서 컨텐츠의 이용을 허가하는 이용 허가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라이센스 정보는 상기 제 1 시스템과는 다른 제 2 시스템에서 컨텐츠의 이용을 허가하는 이용 허가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전자기기는,
    상기 제 1 라이센스 정보에 포함되는 이용 허가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이용 허가 정보에 대해서, 상기 제 2 라이센스 정보로의 변환이 허가되어 있는 이용 허가 정보인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변환 여부 정보를 유지하는 유지부,
    상기 유지부로부터 판독한 상기 변환 여부 정보에 따라서, 제 1 라이센스 정보 중, 상기 제 2 라이센스 정보로의 변환이 허가되어 있지 않은 이용 허가 정보를 제외한 정보를, 상기 제 2 라이센스 정보로 변환하는 변환부 및
    상기 제 2 시스템을 특정하는 시스템 정보를 취득하는 취득부를 구비하고,
    상기 변환부는 상기 제 1 라이센스 정보를, 상기 취득부에서 취득한 상기 시스템 정보가 나타내는 상기 제 2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상기 제 2 라이센스 정보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2. 삭제
  3. 전자 기기를 이용하여, 컨텐츠의 이용을 허가하는 이용 허가 정보를 하나 이상 포함하는 제 1 라이센스 정보를 제 2 라이센스 정보로 변환하는 변환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용 허가 정보에는 상기 제 2 라이센스 정보로의 변환이 허가되어 있는 것과 허가되어 있지 않은 것이 있고,
    상기 제 1 라이센스 정보는 컨텐츠를 이용하는 제 1 시스템에서 컨텐츠의 이용을 허가하는 이용 허가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라이센스 정보는 상기 제 1 시스템과는 다른 제 2 시스템에서 컨텐츠의 이용을 허가하는 이용 허가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상기 제 1 라이센스 정보에 포함되는 이용 허가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이용 허가 정보에 대해서, 상기 제 2 라이센스 정보로의 변환이 허가되어 있는 이용 허가 정보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변환 여부 정보를 유지하는 유지단계,
    상기 유지 단계에서 유지된 상기 변환 여부 정보를 판독하고, 판독한 상기 변환 여부 정보에 따라서, 제 1 라이센스 정보 중, 상기 제 2 라이센스 정보로의 변환이 허가되어 있지 않은 이용 허가 정보를 제외한 정보를, 상기 제 2 라이센스 정보로 변환하는 변환 단계 및
    상기 제 2 시스템을 특정하는 시스템 정보를 취득하는 취득 단계를 구비하고,
    상기 변환 단계는 상기 제 1 라이센스 정보를, 상기 취득 단계에서 취득한 상기 시스템 정보가 나타내는 상기 제 2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상기 제 2 라이센스 정보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환방법.
  4. 전자 기기에서, 컨텐츠의 이용을 허가하는 이용 허가 정보를 하나 이상 포함하는 제 1 라이센스 정보를 제 2 라이센스 정보로 변환시키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매체에 있어서,
    상기 이용 허가 정보에는 상기 제 2 라이센스 정보로의 변환이 허가되어 있는 것과 허가되어 있지 않은 것이 있고,
    상기 제 1 라이센스 정보는 컨텐츠를 이용하는 제 1 시스템에서 컨텐츠의 이용을 허가하는 이용 허가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라이센스 정보는 상기 제 1 시스템과는 다른 제 2 시스템에서 컨텐츠의 이용을 허가하는 이용 허가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전자 기기에서,
    상기 제 1 라이센스 정보에 포함되는 이용 허가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이용 허가 정보에 대해서, 상기 제 2 라이센스 정보로의 변환이 허가되어 있는 이용 허가 정보인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변환 여부 정보를 유지하는 유지 단계,
    유지된 상기 변환 여부 정보를 판독하고, 판독한 상기 변환 여부 정보에 따라서, 제 1 라이센스 정보 중, 상기 제 2 라이센스 정보로의 변환이 허가되어 있지 않은 이용 허가 정보를 제외한 정보를, 상기 제 2 라이센스 정보로 변환하는 변환 단계 및
    상기 제 2 시스템을 특정하는 시스템 정보를 취득하는 취득 단계를 실행시키고,
    상기 변환 단계는 상기 제 1 라이센스 정보를, 상기 취득 단계에서 취득한 상기 시스템 정보가 나타내는 상기 제 2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상기 제 2 라이센스 정보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매체.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KR1020037014980A 2001-08-08 2002-08-06 라이센스 정보 변환장치와 방법 KR10087897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241095 2001-08-08
JPJP-P-2001-00241095 2001-08-08
PCT/JP2002/008009 WO2003014992A1 (fr) 2001-08-08 2002-08-06 Dispositif de conversion d'informations de permis d'utilisa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8761A KR20040028761A (ko) 2004-04-03
KR100878973B1 true KR100878973B1 (ko) 2009-01-19

Family

ID=190716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14980A KR100878973B1 (ko) 2001-08-08 2002-08-06 라이센스 정보 변환장치와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7715564B2 (ko)
EP (2) EP2043020B1 (ko)
JP (3) JP3734461B2 (ko)
KR (1) KR100878973B1 (ko)
CN (2) CN101046839B (ko)
AT (1) ATE519171T1 (ko)
ES (1) ES2371140T3 (ko)
WO (1) WO200301499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31930A (ja) * 2001-10-26 2003-05-09 Nec Corp コンテンツ変換処理装置、スタイルシート自動選択方法、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
JP2004118327A (ja) * 2002-09-24 2004-04-15 Sony Corp コンテンツ使用制御装置及びコンテンツ使用制御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04265333A (ja) * 2003-03-04 2004-09-24 Sony Corp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EP1623355A1 (en) * 2003-05-15 2006-02-08 Nokia Corporation Transferring content between digital rights management systems
US20050010531A1 (en) * 2003-07-09 2005-01-13 Kushalnagar Nandakishore R. System and method for distributing digital rights management digital content in a controlled network ensuring digital rights
WO2005010763A1 (ja) * 2003-07-25 2005-02-03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データ処理装置及びデータ配信装置
JPWO2005010762A1 (ja) * 2003-07-25 2006-09-14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データ処理装置
JP5008822B2 (ja) * 2003-10-27 2012-08-22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コンテンツ再生制御方法およびコンテンツ再生制御端末
EP1702251A2 (en) * 2004-01-08 2006-09-20 Matsushita Electric Industries Co., Ltd. Content distribution system, license distribution method and terminal device
JP4732746B2 (ja) * 2004-01-08 2011-07-2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ライセンス配信方法および端末装置
KR101254209B1 (ko) * 2004-03-22 2013-04-23 삼성전자주식회사 디바이스와 휴대용 저장장치간에 권리 객체를 이동,복사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043336B1 (ko) * 2004-03-29 2011-06-22 삼성전자주식회사 디바이스와 휴대형 저장장치간의 디지털 권리객체에 관한정보의 획득 및 제거를 위한 방법 및 장치
JP4686138B2 (ja) * 2004-05-26 2011-05-18 株式会社東芝 記憶媒体変換方法、プログラム及び機器
KR101100391B1 (ko) * 2004-06-01 2012-01-0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형 저장장치와 디바이스간에 디지털 저작권 관리를이용한 콘텐츠 재생방법 및 장치와, 이를 위한 휴대형저장장치
US8266429B2 (en) 2004-07-20 2012-09-11 Time Warner Cable, Inc. Technique for securely communicating and storing programming material in a trusted domain
US8312267B2 (en) 2004-07-20 2012-11-13 Time Warner Cable Inc. Technique for securely communicating programming content
KR100677344B1 (ko) * 2004-07-29 2007-0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권리객체 처리를 위한 메시지 및 이를 이용한 권리객체 처리 방법 및 시스템
KR100636169B1 (ko) * 2004-07-29 2006-10-18 삼성전자주식회사 서로 다른 drm이 적용된 콘텐츠의 전송 및 재생 방법
JP2006079733A (ja) * 2004-09-09 2006-03-23 Toshiba Corp 情報記録媒体、情報再生装置及び情報再生方法
JP4220448B2 (ja) * 2004-09-09 2009-02-04 株式会社東芝 情報再生装置及び情報再生方法
KR100694064B1 (ko) * 2004-10-08 2007-03-12 삼성전자주식회사 Drm 변환 방법 및 장치
EP1817687B1 (en) * 2004-10-20 2016-08-31 Inka Entwork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content exchange between different drm domains
US8156049B2 (en) * 2004-11-04 2012-04-1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Universal DRM support for devices
US8660961B2 (en) * 2004-11-18 2014-02-25 Contentguard Holdings, Inc. Method, system, and device for license-centric content consumption
US20100004938A1 (en) * 2004-12-30 2010-01-07 Abb Ab Software licensing system
WO2006092840A1 (ja) * 2005-02-28 2006-09-08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
CA2601307A1 (en) * 2005-03-15 2006-09-21 Limelight Networks, Inc. Electronic copyright license repository
JP4591143B2 (ja) * 2005-03-17 2010-12-0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債権管理システム、債権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DE102005015113A1 (de) * 2005-04-01 2006-10-05 Siemens Ag Verfahren zur Verwaltung von Nutzungsrechten an elektronischen Datenobjekten durch einen Rechteerwerber
EP1710969A1 (en) 2005-04-08 2006-10-11 Siemens Aktiengesellschaft A method and system for enabling a first party to provide a second party with personalized digital content
US7552429B2 (en) * 2005-04-21 2009-06-2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Integrated development environment for managing software licensing restrictions
DE102005033698A1 (de) 2005-07-19 2007-02-01 Siemens Ag Verfahren zum Export von Nutzungsrechten an elektronischen Datenobjekten
KR100763193B1 (ko) * 2005-10-13 2007-10-04 삼성전자주식회사 Drm 라이센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CN100486297C (zh) * 2005-12-28 2009-05-06 佳能株式会社 图像处理装置、信息处理装置及其方法
KR100813973B1 (ko) * 2006-01-03 2008-03-14 삼성전자주식회사 복수의 사용 제한 정보들을 포함하는 컨텐트를 임포트하는장치 및 방법
US20070156601A1 (en) * 2006-01-03 2007-07-0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interoperability between digital rights management systems
US20070162400A1 (en) * 2006-01-12 2007-07-1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digital content in a content management system
KR100757845B1 (ko) * 2006-02-13 2007-09-11 (주)잉카엔트웍스 클라이언트 기기로 암호화된 컨텐츠에 대응하는 라이센스를제공하는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채용한 drm 변환 시스템
US20070255659A1 (en) * 2006-05-01 2007-11-01 Wei Yen System and method for DRM translation
KR101346734B1 (ko) 2006-05-12 2014-01-03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저작권 관리를 위한 다중 인증서 철회 목록 지원방법 및 장치
KR100793022B1 (ko) 2006-07-28 2008-01-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컨텐츠 관리방법과 장치
JP4353221B2 (ja) * 2006-08-31 2009-10-28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複数機器における機能有効化のための装置、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101366277B1 (ko) * 2006-09-07 2014-02-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도메인에서 ro 이동을 위한 멤버쉽 확인 방법 및 장치
CN101165698B (zh) * 2006-10-17 2011-07-27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导出许可的方法及系统
US8520850B2 (en) 2006-10-20 2013-08-27 Time Warner Cable Enterprises Llc Downloadable security and protection methods and apparatus
US8732854B2 (en) 2006-11-01 2014-05-20 Time Warner Cable Enterprises Llc Methods and apparatus for premises content distribution
KR100948384B1 (ko) * 2006-11-29 2010-03-22 삼성전자주식회사 권리객체의 이동이 가능한 디바이스와 휴대형 저장 장치 및권리객체의 이동 방법
US8621540B2 (en) 2007-01-24 2013-12-31 Time Warner Cable Enterprises Llc Apparatus and methods for provisioning in a download-enabled system
KR20080084481A (ko) * 2007-03-16 2008-09-19 삼성전자주식회사 디바이스간의 콘텐츠 전송 방법 및 그 시스템
US7870273B2 (en) 2007-09-28 2011-01-11 Disney Enterprises, Inc. Method and system for indentifying a device implementing a digital rights management protocol
KR100988374B1 (ko) * 2007-12-14 2010-10-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사용권리 이동 방법, 사용권리의 발급권한 관리 방법 및시스템
US9043603B2 (en) 2008-01-28 2015-05-26 Seagate Technology Llc Security threshold enforcement in anchor point-based digital rights management
JP2009271780A (ja) * 2008-05-08 2009-11-19 Canon Inc 電子文書変換装置および電子文書変換方法
JP2010039567A (ja) * 2008-07-31 2010-02-18 Toshiba Corp 配布装置および管理装置
US9602864B2 (en) 2009-06-08 2017-03-21 Time Warner Cable Enterprises Llc Media bridge apparatus and methods
US9866609B2 (en) 2009-06-08 2018-01-09 Time Warner Cable Enterprises Llc Methods and apparatus for premises content distribution
CN101610256B (zh) * 2009-07-14 2012-08-22 中国联合网络通信集团有限公司 许可信息转让请求、转让及受让方法和装置
US9053472B2 (en) * 2010-02-26 2015-06-09 Red Hat, Inc. Offering additional license terms during conversion of standard software licenses for use in cloud computing environments
US10783504B2 (en) * 2010-02-26 2020-09-22 Red Hat, Inc. Converting standard software licenses for use in cloud computing environments
US10657507B2 (en) * 2010-05-17 2020-05-19 Adobe Inc. Migration between digital rights management systems without content repackaging
US9906838B2 (en) 2010-07-12 2018-02-27 Time Warner Cable Enterprises Llc Apparatus and methods for content delivery and message exchange across multiple content delivery networks
US8904173B2 (en) * 2010-12-22 2014-12-02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System and method for securely moving content
JP5572112B2 (ja) * 2011-02-24 2014-08-13 Kddi株式会社 ライセンス移譲装置、ライセンス移譲システム及びライセンス移譲方法
US9565472B2 (en) 2012-12-10 2017-02-07 Time Warner Cable Enterprises Llc Apparatus and methods for content transfer protection
US20140282786A1 (en) 2013-03-12 2014-09-18 Time Warner Cable Enterprises Llc Methods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nd uploading content to personalized network storage
US10368255B2 (en) 2017-07-25 2019-07-30 Time Warner Cable Enterprises Llc Methods and apparatus for client-based dynamic control of connections to co-existing radio access networks
US9066153B2 (en) 2013-03-15 2015-06-23 Time Warner Cable Enterprises Llc Apparatus and methods for multicast delivery of content in a content delivery network
US9313568B2 (en) 2013-07-23 2016-04-12 Chicago Custom Acoustics, Inc. Custom earphone with dome in the canal
CN103559429B (zh) * 2013-11-15 2016-08-17 北京华胜天成科技股份有限公司 软件处理的方法及系统
US9621940B2 (en) 2014-05-29 2017-04-11 Time Warner Cable Enterprises Llc Apparatus and methods for recording, accessing, and delivering packetized content
US10320757B1 (en) * 2014-06-06 2019-06-11 Amazon Technologies, Inc. Bounded access to critical data
US11540148B2 (en) 2014-06-11 2022-12-27 Time Warner Cable Enterprises Llc Methods and apparatus for access point location
US9935833B2 (en) 2014-11-05 2018-04-03 Time Warner Cable Enterprises Llc Methods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an optimized wireless interface installation configuration
US9986578B2 (en) 2015-12-04 2018-05-29 Time Warner Cable Enterprises Llc Apparatus and methods for selective data network access
US9918345B2 (en) 2016-01-20 2018-03-13 Time Warner Cable Enterprises Llc Apparatus and method for wireless network services in moving vehicles
US10492034B2 (en) 2016-03-07 2019-11-26 Time Warner Cable Enterprises Llc Apparatus and methods for dynamic open-access networks
US10164858B2 (en) 2016-06-15 2018-12-25 Time Warner Cable Enterprises Llc Apparatus and methods for monitoring and diagnosing a wireless network
US10645547B2 (en) 2017-06-02 2020-05-05 Charter Communications Operating, Llc Apparatus and methods for providing wireless service in a venue
US10638361B2 (en) 2017-06-06 2020-04-28 Charter Communications Operating, Llc Methods and apparatus for dynamic control of connections to co-existing radio access networks
KR102297425B1 (ko) * 2019-04-10 2021-09-02 주식회사 비클립 디지털 컨텐츠의 이용 권리 증서를 발행 수량 만큼 유통시키는 방법,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서버, 및 상기 방법을 실행하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US11227591B1 (en) 2019-06-04 2022-01-18 Amazon Technologies, Inc. Controlled access to data
JP7301648B2 (ja) * 2019-07-11 2023-07-03 エイベックス株式会社 認証システム、認証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0067257A2 (en) * 1999-04-28 2000-11-09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Optical disk, optical disk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method for recording, reproducing and deleting data on optical disk,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JP2000347638A (ja) 1999-06-07 2000-12-15 Hitachi Ltd Osd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符号化ビデオ復号装置並びにこの復号装置を用いたディジタル放送受信装置
WO2001035236A1 (fr) * 1999-10-25 2001-05-17 Sony Corporation Procede de gestion de donnees de contenu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268139A3 (en) 1986-11-05 1991-04-1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anipulating rights-to-execute in connection with a software copy protection mechanism
US5119465A (en) * 1989-06-19 1992-06-02 Digital Equipment Corporation System for selectively converting plurality of source data structures through corresponding source intermediate structures, and target intermediate structures into selected target structure
US5138712A (en) * 1989-10-02 1992-08-11 Sun Microsystem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licensing software on a network of computers
JP3270102B2 (ja) 1991-03-11 2002-04-02 ヒューレット・パッカード・カンパニー ライセンス付与方法及びシステム
JPH08192541A (ja) * 1995-01-18 1996-07-30 Brother Ind Ltd 多色印刷装置
JP3688356B2 (ja) * 1995-08-31 2005-08-24 富士通株式会社 ライセンシー通知システム
JP3625983B2 (ja) * 1997-03-12 2005-03-02 三菱商事株式会社 データ管理システム
US6996533B2 (en) * 1997-03-21 2006-02-07 Fujitsu Limite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US6428782B1 (en) 1997-05-23 2002-08-06 Hadasit Medical Research Services And Development Ltd. Non-myeloablative tolerogenic treatment
JP3609256B2 (ja) * 1998-05-19 2005-01-1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ネットワーク管理装置,ノード装置及びネットワーク管理システム
US6820063B1 (en) * 1998-10-26 2004-11-16 Microsoft Corporation Controlling access to content based on certificates and access predicates
JP3891721B2 (ja) 1999-02-22 2007-03-14 コロムビアミュージックエンタテインメント株式会社 記録媒体及び記録再生装置
EP1045388A1 (en) * 1999-04-16 2000-10-18 Deutsche Thomson-Brandt Gmbh Method and apparatus for preventing illegal usage of multimedia content
CN1248143C (zh) 1999-08-10 2006-03-29 富士通株式会社 存储插件
JP2001067787A (ja) 1999-08-31 2001-03-16 Victor Co Of Japan Ltd 信号処理装置、伝送方法、伝送媒体
JP4329258B2 (ja) * 1999-10-25 2009-09-09 ソニー株式会社 コンテンツデータの制御装置及び方法、並びに、記憶媒体
JP2001209312A (ja) 2000-01-26 2001-08-03 Sony Corp データ処理システム、記録デバイス、およびデータ処理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提供媒体
JP2001211162A (ja) 2000-01-26 2001-08-03 Sony Corp データ処理システム、記録デバイス、およびデータ処理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提供媒体
US7177841B2 (en) 2000-01-28 2007-02-13 Canon Kabushiki Kaisha Digital contents distribution system, digital contents distribution method, roaming server, information processor,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GB2379064A (en) * 2000-04-14 2003-02-26 Vantage Internat Inc E Method and system for delivering foreign exchange risk management advisory solutions to a designated market
JP2002169785A (ja) * 2000-08-29 2002-06-1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コンテンツ流通システムの制御方法、システム、コンテンツの流通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US20030014630A1 (en) * 2001-06-27 2003-01-16 Spencer Donald J. Secure music delivery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0067257A2 (en) * 1999-04-28 2000-11-09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Optical disk, optical disk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method for recording, reproducing and deleting data on optical disk,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JP2000347638A (ja) 1999-06-07 2000-12-15 Hitachi Ltd Osd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符号化ビデオ復号装置並びにこの復号装置を用いたディジタル放送受信装置
WO2001035236A1 (fr) * 1999-10-25 2001-05-17 Sony Corporation Procede de gestion de donnees de contenu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3014992A1 (fr) 2003-02-20
CN101046839A (zh) 2007-10-03
EP1416406A4 (en) 2008-12-03
EP2043020A2 (en) 2009-04-01
US7715564B2 (en) 2010-05-11
ATE519171T1 (de) 2011-08-15
ES2371140T3 (es) 2011-12-27
EP2043020B1 (en) 2011-08-03
JP2003162600A (ja) 2003-06-06
US20030048907A1 (en) 2003-03-13
EP2043020A3 (en) 2009-04-29
KR20040028761A (ko) 2004-04-03
JP2008108259A (ja) 2008-05-08
CN1320487C (zh) 2007-06-06
EP1416406A1 (en) 2004-05-06
JP2006031703A (ja) 2006-02-02
CN101046839B (zh) 2014-03-12
JP4729552B2 (ja) 2011-07-20
JP4076998B2 (ja) 2008-04-16
CN1514981A (zh) 2004-07-21
JP3734461B2 (ja) 2006-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78973B1 (ko) 라이센스 정보 변환장치와 방법
KR101537527B1 (ko) 도메인에 대한 개선된 액세스
KR101242140B1 (ko) 허가된 도메인을 생성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EP1581849B1 (en) Divided rights in authorized domain
EP1510071B1 (en) Digital rights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RU2419850C2 (ru) Удаленный доступ к защищенным файлам через потоковую передачу данных
US20080216177A1 (en) Contents Distribution System
KR20040007621A (ko) 이용권 관리 장치
WO2006107185A1 (en) Domain management method and domain context of users and devices based domain system
US20080021837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reating unique identifier
KR20080046253A (ko) Lan에 미디어 컨텐츠를 분배하기 위한 디지털 보안
EP1678566A1 (en) Method and devices for the control of the usage of content
KR20050028210A (ko) 콘텐츠 배신 방법, 콘텐츠 취득 장치 및 방법, 및 프로그램
KR20020089472A (ko) 콘텐츠의 배신 및 보호를 실행하는 방법 및 장치
JP5101951B2 (ja) ユーザードメインのためにデジタル権限管理をインポートする方法
KR101086420B1 (ko) 권리객체 복호방법과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콘텐츠공유방법과 장치
JP2004350320A (ja) デジタルコンテント用の安全配布システム
JP2005129058A (ja) 携帯用保存装置を用いたデジタル著作権の管理方法及び装置
JP2008525908A (ja) デジタルコンテンツ管理方法及び装置
JP2006099415A (ja) 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コンテンツ配信方法、機器認証サーバおよび機器認証サーバの制御方法
KR100619387B1 (ko) 디피-헬만 방식을 이용한 디지털 콘텐츠 암호키 공유drm 시스템 및 방법
Marušič et al. TIRAMISU: A novel approach to content representation and key management for seamless super-distribution of protected medi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