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0518B1 - 창유리를 쌍으로 구부리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창유리를 쌍으로 구부리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0518B1
KR100870518B1 KR1020037010085A KR20037010085A KR100870518B1 KR 100870518 B1 KR100870518 B1 KR 100870518B1 KR 1020037010085 A KR1020037010085 A KR 1020037010085A KR 20037010085 A KR20037010085 A KR 20037010085A KR 100870518 B1 KR100870518 B1 KR 1008705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nding
mold
pair
pane
s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100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75171A (ko
Inventor
미카엘 발두인
미카엘 라브로트
후베르트 하베니트
Original Assignee
쌩-고벵 글래스 프랑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쌩-고벵 글래스 프랑스 filed Critical 쌩-고벵 글래스 프랑스
Publication of KR200300751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751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05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05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23/00Re-forming shaped glass
    • C03B23/02Re-forming glass sheets
    • C03B23/023Re-forming glass sheets by bending
    • C03B23/035Re-forming glass sheets by bending using a gas cushion or by changing gas pressure, e.g. by applying vacuum or blowing for supporting the glass while bend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23/00Re-forming shaped glass
    • C03B23/02Re-forming glass sheets
    • C03B23/023Re-forming glass sheets by bending
    • C03B23/035Re-forming glass sheets by bending using a gas cushion or by changing gas pressure, e.g. by applying vacuum or blowing for supporting the glass while bending
    • C03B23/0352Re-forming glass sheets by bending using a gas cushion or by changing gas pressure, e.g. by applying vacuum or blowing for supporting the glass while bending by suction or blowing out for providing the deformation force to bend the glass sheet
    • C03B23/0357Re-forming glass sheets by bending using a gas cushion or by changing gas pressure, e.g. by applying vacuum or blowing for supporting the glass while bending by suction or blowing out for providing the deformation force to bend the glass sheet by suction without blowing, e.g. with vacuum or by venturi effect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23/00Re-forming shaped glass
    • C03B23/02Re-forming glass sheets
    • C03B23/023Re-forming glass sheets by bending
    • C03B23/025Re-forming glass sheets by bending by gravity
    • C03B23/0252Re-forming glass sheets by bending by gravity by gravity only, e.g. sagg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23/00Re-forming shaped glass
    • C03B23/02Re-forming glass sheets
    • C03B23/023Re-forming glass sheets by bending
    • C03B23/03Re-forming glass sheets by bending by press-bending between shaping mould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5/00Transporting of glass products during their manufacture, e.g. hot glass lenses, prisms
    • C03B35/14Transporting hot glass sheets or ribbons, e.g. by heat-resistant conveyor belts or bands
    • C03B35/20Transporting hot glass sheets or ribbons, e.g. by heat-resistant conveyor belts or bands by gripping tongs or supporting frames
    • C03B35/202Transporting hot glass sheets or ribbons, e.g. by heat-resistant conveyor belts or bands by gripping tongs or supporting frames by supporting fram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Re-Forming, After-Treatment, Cutting And Transporting Of Glass Products (AREA)
  • Joining Of Glass To Other Materials (AREA)
  • Automobile Manufacture Line, Endless Track Vehicle, Trailer (AREA)
  • Window Of Vehicle (AREA)
  • Shaping Of Tube Ends By Bending Or Straightening (AREA)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화 온도로 가열되는 적층 창유리를 쌍으로 구부리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방법은 중력의 작용 하에서 예비 굽힘 작업을 위한 굽힘 프레임(4)에 창유리 쌍(2)을 위치시키는 단계와, 오목한 성형면이 있는 흡입 굽힘 금형(5) 위로 미리 굽혀진 창유리 쌍(2)을 이동시키는 단계로, 하부 위치에 위치된 창유리의 하부면의 압력이 적어도 상기 성형면의 주변 에지에서 만들어지는 단계와, 미리 결정된 시간 동안 진공을 가함으로써, 하부 위치에 위치된 창유리의 하부 표면과 흡입 굽힘 금형(5) 사이의 중간 공간에서 공기를 뽑고, 흡입 굽힘 금형(5)의 오목한 성형면에서 대기압으로 창유리 쌍(2)을 누르는 단계와, 진공을 가한 후에, 흡입 굽힘 금형(5)에서 완전히 성형된 창유리 쌍(2)을 이동 장치(7) 위로 이동시키고 이를 냉각시키는 단계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창유리를 쌍으로 구부리는 방법 및 장치 {METHOD AND DEVICE FOR BENDING GLASS PANES IN PAIRS}
본 발명은 창유리를 쌍으로 구부리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방법에서, 창유리 쌍은 중력의 영향하에서 굽힘 프레임에서 수평 위치로 미리 구부러지고 그 후, 상기 미리 구부러진 창유리 쌍에 작용하는 완전 굽힘 금형(full bending mold)을 사용하여 구부러진다. 본 발명은 또한 이 방법을 수행하는데 특히 적절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그 후, 쌍으로 구부러진 창유리는 전부는 아니지만, 대부분이 운송 수단용 적층 전면 유리로 만들어진다.
문서 DE-C1-43 37 559는 관련 방법을 서술하고 있는데, 여기서, 굽힘 프레임에서 구부러진 창유리 쌍은 아래로부터 단단한 상부 굽힘 금형에 적용된다. 그 후, 상부 굽힘 금형은 스커트(skirt)에 의해 그 에지가 둘려지는데, 이는 상부 굽힘 금형의 외부 에지와 환형 슬롯을 형성한다. 가열된 창유리가 굽힘 프레임에 의해 상부 굽힘 금형에 가해지면, 공기가 상기 환형 슬롯을 통해 고속으로 빨려진다. 그 결과, 2개의 창유리 전체 표면은 상부 굽힘 금형에 적용된다. 2개의 창유리는 함께 명확한 구형 형태를 갖게된다. 환형 슬롯을 통과하는 공기 흐름은 또한 2개의 창유리 사이에 임의의 공기 함유물을 만들 것으로 예상된다.
문서 EP-A2-0 531 152는 관련된 다른 방법을 서술하고 있다. 그리하여, 굽힘 프레임에서 2개의 창유리가 쌍으로 미리 굽혀진 후에, 상기 창유리는 굽힘 프레임에서 떨어져서 들어올려지고 하부의 압축-굽힘 금형으로 이동된다. 굽힘 과정 도중에, 창유리는 또한 단단한 상부 금형에서의 기계적 압축에 의해 명확한 모양으로 구부러진다. 이러한 방법은 창유리의 표면에 광학적 결함을 만들 수 있는데, 이는 압축력이 반드시 하나의 창유리에서 다른 창유리로 이동되기 때문이다.
문서 EP-B1-0 705 798은 중력의 영향하에서 쌍으로 겹쳐진 하나 이상의 창유리를 프레임에서 구부리는 방법을 서술하고 있는데, 이 방법에서 단단한 예비 굽힘 프레임에 위치된 창유리(들)는 중력의 영향 하에서 이 굽힘 프레임의 형상에 맞춰진다. 이어서 두 번째 굽힘 단계에서, 굽혀진 창유리는 외부의 예비 굽힘 프레임에서 내부에 위치된 이동하는 최종 굽힘 프레임으로 이동되는데, 이는 완전히 기계적으로 작동될 수 있다.
알려진 방법에는 불리한 점이 없지 않다. 최종 굽힘에 대해서, 하부 굽힘 금형으로서 굽힘 프레임이 사용된다면, 에지 영역 내부에 있는 중앙 영역에서 창유리가 예비 굽힘 단계 도중에 중력에 의한 굽힘에 의해 보다 뚜렷한 굽힘을 받는 것을 방지할 수 없다. 이러한 단점을 막기 위하여, 압축-굽힘 하부 금형으로서 단단한 굽힘 금형이 사용된다면, 창유리에 광학적인 변형이 생길 수 있는데, 이것은 가장 크게 휘어진 영역에서의 초기 접촉이 작은 영역에 걸쳐서 변형을 만드는데, 이것은 이어지는 압축 작업 중에도 완전히 제거될 수 없다는 사실 때문이다. 더욱이, 기계 프레스를 가지고 작업하는 이러한 특성을 갖는 알려진 방법은 일반적으로 고 비용 때문에 실행하기가 어렵다.
DE-A1-21 19 699는 오목한 형성면이 있는 흡입 굽힘 금형을 서술하고 있다. 흡입 굽힘 금형은 예를 들어, 챔버 형태의 장치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는데, 이 장치의 형성면 또는 측부는 단단한 면이 있는 굽힘 윤곽부에 의해 형성된다. 이 형성면 - 이 예에서는 오목면 - 에는 그 자체로 어느 정도 알려진 다수의 구멍이 보통 제공된다. 챔버 내부에는 상기 구멍들과 통하는 덕트 및 속이 빈 공간이 있다. 상기 덕트 및 속이 빈 공간은 연결된 흡입 파이프에 의해 진공 제너레이터 또는 진공이 걸린 저장소와 연결될 수 있다. 파이프에 있는 작동 밸브는 상기 덕트 및 속이 빈 공간이 갑자기 진공 하에 놓이도록 한다. 결과적으로, 공기가 흡입 굽힘 금형의 외부면으로부터의 구멍을 통해 흡입되는데, 이는 그 지점에서 매우 큰 압력차와 유량을 발생시킨다. 위에서 언급된 문서에 따라서, 단단한 상부 흡입 굽힘 금형에서 예비적으로 굽혀진 창유리는 오목한 하부 흡입 굽힘 금형에 떨어지게 된다. 그 에지는 먼저 하부 금형과 접촉하게 된다. 창유리는 한편으로 중력의 영향 하에서 하부 금형 위에 위치되고, 다른 한편으로는 또한 대기압과 하부 금형에서 생성되는 압력 사이의 압력차에 의해 형성면에 맞대어 압축된다.
이러한 방법은 심지어 높은 곡률인 경우에도, 2개 이상의 창유리를 동시에 구부리는데 있어서 명백히 추천되지만, 볼록한 상부 금형에서 오목한 하부 금형으로 한 쌍의 창유리가 이동하는 것은 서술되지 않았다. 더욱이, 이 방법에서, 창유리의 2개의 주요면은 금형의 면과 반드시 접촉하게 된다.
문서 US-4 894 080은 창유리 쌍을 구부리는 다른 방법을 서술하고 있는데, 여기서 창유리는 분리되고 이동가능한 형태로 제조된 프레임 형태의 예비 굽힘 금형에서 중력의 영향 하에서 예비적으로 구부러진다. 오목한 형태의 면이 있는 단단한 굽힘 금형은 프레임이 위치되고 창유리 쌍을 들어올린 후에 프레임 형태의 예비 굽힘 금형에 의해 아래에서 들어올려진다. 프레임 모양의 형성면이 있는 박스 형태의 다른 굽힘 금형을 사용하는 경우, 상기 박스 내부에서 압력이 증가될 때, 창유리 쌍의 에지는 이 증가된 압력의 영향 하에서 오목한 형성면에 접하여 압축된다. 일정한 시간이 경과된 후, 상기 증가된 압력이 다시 증가된다. 상기 창유리 쌍은 다시 한번 프레임 형태의 예비 굽힘 금형에 위치되고 거기서 냉각될 수 있도록 굽힘 스테이션(station)에서 옮겨진다.
EP-B1-0 530 211은 개별적인 창유리를 굽히기 위한 장치를 설명하고 있는데, 이 장치는 연화 온도로 가열된 창유리가 증착되는 단단한 오목형 하부 (흡입) 굽힘 금형을 포함한다. 그 후 보완적인 볼록면이 있는 상부 굽힘 프레임은 창유리의 에지로 낮추어져서 상기 에지를 하부 굽힘 금형의 에지로 압축한다. 마지막으로, 하부 굽힘 금형과 창유리 사이의 공기는 진공 펄스(pulse)를 성형 챔버에 가함으로써 빨려지게 되는데, 굽힘 프레임에 의해 에지에 가해진 하중으로 인해 외부와 봉합되는 것이 보장된다. 창유리는 그 전체면이 하부 굽힘 금형과 접촉하게되고 그리하여 명확한 구형 곡선 형태를 얻게된다. 마지막으로 인용된 문서에서는 쌍으로 창유리를 굽히는 것에 대한 논의는 없다.
다른 흡입 굽힘 금형과 예비 굽힘 금형 사이에서 개별적인 창유리를 이동시키는, 창유리를 굽히는 알려진 다른 방법(DE-C1-197 25 189)에 따라서, 이동 장치 는 세그먼트로 분리되는 굽힘 프레임을 이용한다. 상기 세그먼트는 구부러지지 않은 창유리를 수용하기 위한 단단한 볼록형 (흡입) 굽힘 금형의 컨베이어로부터의 통행을 허용하기 위해 서로 분리될 수 있다. 상기 창유리가 굽힘 금형을 사용하여 컨베이어로부터 들려지면, 세그먼트는 함께 다시 폐쇄된 성형 프레임으로 오게되는데, 상기 폐쇄된 성형 프레임은 하부의 압축 굽힘 금형에 의해서 창유리의 에지를 고체 금형에 대해 압축한다.
오목한 흡입부를 가진 오목 금형의 하나의 장점은 창유리가 금형과의 기계적인 접촉없이 흡입에 의해 창유리와 마주 대하여 구부러진다는 것이다. 이러한 결과로 인하여, 상기 유리의 표면에 금형 구조가 찍히게 되는 것이 대부분 방지된다. 이것은 광학 특성(투과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갖는다.
마지막으로, 문서 EP-B1-448 447은 개별적인 창유리를 구부리거나 몇 개의 창유리를 동시에 구부리는 방법을 서술하고 있는데, 이 방법에서 (가장 아래에 있는) 창유리는 먼저 프레임 형태의 제 1 예비 성형 금형에 제 1 주변 라인을 따라 배치되고, 중력의 영향 하에서 예비 굽힘 윤곽부 - 횡방향 굽힘 - 로 떨어진다. 다음에, 가장 아래에 있는 창유리가 제 2 주변 굽힘 라인을 따라 유지되는데, 여기서 제 2 주변 굽힘 라인은 최종 굽힘 윤곽 - 길이 방향 굽힘 - 을 만들기 위해 제 1 주변 라인을 대체한다. 이를 위하여, 프레임 형태의 제 2 굽힘 금형은 예비 굽힘 금형의 위치에 위치되는데, 이 예비 굽힘 금형은 실시예에 따라서 유리 표면의 일부 주변하고만 접촉한다. 또한 이 경우에서, 창유리는 단지 중력의 영향 하에서만 구부러지고, 예비 굽힘 금형에서 제 2 굽힘 금형으로의 이동은 비교적 신속하게 일 어난다. 지지된 가장 아래의 창유리의 면이 차례로 움직이는 2개의 굽힘 금형과 접촉하는 2개의 주변 라인은 서로 다른데, 그 이유는 차례로 움직이는 지지면 중 하나가 다른 하나 내부에 포함되거나 각각 수직한 돌출물에서 서로 평행하게 이어지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창유리 쌍을 굽히는 추가적인 방법과 이 방법을 수행하는데 적절한 장치를 나타내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서, 본 목적은 본 방법에 관한 청구항 1의 특성에 의해 달성된다. 청구항 9의 특성은 해당 장치를 나타낸다. 독립항에 각각 종속되는 종속항의 특징은 각각 이러한 목적에 대한 유리한 개선점을 개시한다.
중력에 의해 쌍으로 미리 굽혀진 2개의 창유리 사이에서, 일반적으로 최소 한계 슬롯에 대한 최소의 공기 부피가 프레임에 포집된다. 본 발명에 의한 방법은 이제 가장 아래의 창유리의 아래면과 오목한 흡입 굽힘 금형의 성형면 사이에서만 압력의 급격한 감소가 있는 경우에, 공기가 2개의 창유리 사이에서 매우 느려지게 될 수 있는 효과를 이용한다.
놀랍게도, 상부에 자유롭게 위치된 제 2 창유리의 상기 아래면과 상부면 사이에서 충분히 빠르게 만들어진 압력차는 상기 성형면 위로 2개의 창유리를 동시에 압력을 가하는데 충분하다. 자연스럽게, 어떤 경우에라도 중력은 이러한 움직임 방향을 돕는다. 어떤 경우에라도, 최상부 창유리의 면에서의 기계적인 작용이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
그 자체로 알려진 방법으로, 2개의 창유리의 분리면이 미리 분리 수단으로 덮이는 것이 이 예에서 바람직하다. 그러면, 이것은 창유리의 2개의 유연해진 면에 서로 손상을 입히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데, 상기 손상은 공통적인 성형 작업 도중에 필수적인 상대적 이동의 결과로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 인하여, 창유리는 에지 영역 및 중앙 구역 둘 모두에서 종래의 압축-굽힘 방법보다 그 형상의 정밀도가 높게된다. 유사하게, 광학적인 변형이 전체면에 걸쳐서 실질적으로 방지된다. 본 발명에 따른 단단한 오목 금형을 사용함으로써, 유리는 창유리의 중앙부에서 외측 방향으로 신장되는 반면, 볼록한 금형에서 굽힘 작업시, 굽힘은 중앙부에서 수행되는데, 이로 인해 창유리의 에지가 뒤집혀지고 주름잡히게 될 수 있다.
특히, 구형 곡률이 있는 어려운 창 모양을 제조를 위한 특히 엄격한 변형 조건의 경우에, 그리고 중요한 예비 굽힘의 경우에, 단순히 중력의 영향 하에서 창유리의 하부를 오목한 흡입 굽힘 금형의 주변 에지에 맞추는 것은 먼저 창유리의 하부와 굽힘면 사이의 공간 바깥쪽을 밀봉하기에 불충분할 것이다. 더욱이, 이러한 에지 조건에서, 창유리 하나가 다른 하나 위에 놓인, 이러한 2개의 창유리 에지 사이에 슬롯이 있을 수 있다. 가장 아래의 창유리의 면이 굽힘 작업 및 그 후의 주요 굽힘 단계 도중에 눌려지면 상기 슬롯에 공기가 들어갈 수 있다.
이러한 어려운 조건 하에서, 그 자체로 알려진 방법으로 2개의 창유리의 에지를 오목한 흡입 굽힘 금형의 에지 상에 기계적으로 누르는 것이 필요하다고 입증될 수 있다. 그리하여, 더욱이, 누르는 곳에 위치된 공간은 외부에 대해서 충분하 게 밀봉된다. 더욱이, 2개 창유리의 에지는 굽힘 작업 도중에 그 사이에 공기가 들어갈 수 없도록 서로 맞대어 단단히 압착된다. 이를 위하여, 최상부 창유리의 상부면은 유리의 표면으로 상부 금형을 낮추거나 오목한 하부 금형을 높임으로써 상부 금형과 접촉하도록 위치된다. 상부 금형을 통해서, 하부 금형의 에지를 보완하는 굽힘 프레임이 바람직하게 사용되므로, 창유리의 상단면에서의 기계적인 작용이 가능한 한 작은 영역에 한정된다. 창유리의 에지에서의 필연적인 광학적 결함은 바람막이 유리에 보통 제공되는 불투명한 칼라 스트립 아래에 숨겨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기계적인 밀봉이 짧은 시간 동안 작동 중에 남아있는 반면, 한편으로, 성형면, 즉 창유리 쌍의 하부와 다른 한편으로 그 상단면 사이에 압력 차가 오래도록 유지되므로 원하는 (어려운) 모양의 창유리가 확실히 달성된다. 이러한 방법으로, 기계적인 접촉으로 인한 표면 결함은 가장 높은 창유리에서 현저하게 감소된다.
이러한 대안적인 형태에서, 상부 창유리를 통하여 가장 아래있는 창유리의 (가시적인) 면에 기계적인 하중이 가해지는 것이 또한 완벽하게 방지된다.
이러한 방법은 유사한 방법보다 낮은 온도에서 수행될 수 있다는 것이 테스트를 통하여 이미 알려졌다. 이것은 심지어 코팅된 창유리라 할지라도 온도 공차의 한계점에서 열저항층 시스템을 포함할 필요없이 구부려질 수 있다는 장점을 갖게 한다. 이러한 크기가 큰 창유리는 광학적인 관점에서 매우 투명하지만, 필수적으로 적외선을 반사하는 층의 시스템이 제공되어 운송 수단의 캐빈으로 열이 방사되는 것을 현저히 줄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명백하게, 여러 층으로 된 시스템은 이미 650℃ 정도의 온도를 견딜 수 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코팅된 창유리를 굽히는 도중에 견뎌지는 최대 온도의 감소는 코팅이 손상될 위험을 줄인다.
이론적으로, 창유리 쌍은 별도의 이동 장치를 통해 예비 굽힘 프레임에서 단단한 오목 흡입 굽힘 프레임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성형 프레임 자체를 이동 수단으로 사용하는 것과 상기 창유리를 단단한 하단 금형에 놓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단단한 금형이 창유리의 면보다 약간 작다면, 성형 프레임과 단단한 금형 사이의 상대적인 움직임에서 운송이 직접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 경우에서, 단단한 금형은 성형 프레임을 통과하는데, 이 성형 프레임은 그 외부 에지를 따라서만 창유리를 지지하고 가장 낮은 창유리의 하부와 접촉하게 된다. 이것의 에지는 성형면의 외형 밖으로 약간 돌출한다. 여기서, 예비 굽힘 프레임은 적절한 변형에서 필요하다면, 예비 굽힘 금형에서 흡입 굽힘 금형으로의 이동을 최적화하기 위하여 또한 이미 언급된 방법으로 세그먼트로 분할될 수 있다.
가장 높은 창유리가 가장 낮은 창유리 위에 완전히 납작하게 놓이게 되면, 가장 높은 창유리는 이론적으로 특정 에지 주위에 또는 특정 에지를 따라서 가장 낮은 창유리보다 조금 작은 크기로 절단될 수 있다. 곡률이 상당히 큰 경우에, 이러한 더욱 많이 구부러진 내부 창유리는 심지어 구부러진 후에도 동일한 크기의 창유리의 경우와 같이 외부 창유리의 에지 밖으로 돌출되지 않는다는 이점을 갖는다. 이것은 비교적 깔끔한 외부 에지를 갖는 마무리된 적층 창유리를 제공한다.
마무리된 구부러진 창유리 쌍을 단단한 오목 금형에서 냉각 스테이션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창유리의 모양과 가능한 한 정확히 일치하는 이동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유리하다. 예비 굽힘 프레임은 마무리된 구부러진 창유리의 모양이 단순히 미리 구부러진 모양과 명백하게 차이가 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그 자체가 이에 적합하지 않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이러한 이동 장치는 또한 프레임의 형태를 갖고 예비 굽힘 프레임에 대해서 그리고 단단한 오목형 금형에 대해서 실질적으로 동축 위치에 배치된다. 달성될 수 있는 공간 절약(그리하여, 전체 굽힘 스테이션은 매우 작아진다)은 예비 굽힘 프레임에서 이동 부분 및/또는 마무리 된 창유리를 위한 이동 프레임을 최대한 포함할 수 있다. 그리하여, 이동 장치는 또한, 필요하듯이, 공간의 사용을 최적화하기 위하여, 그 자체로 알려진 방법으로 다시 세그먼트로 분리될 수 있다. 그러나, 굽힘 방법을 가장 정밀하게 수행함에 있어서, 이러한 단계는 2차적으로 중요하다.
본 방법의 특히 바람직한 다른 형태에서, 미리 굽혀진 창유리 쌍은 먼저 예비 굽힘 프레임에서 프레임 형태의 다른 굽힘 금형으로 이동되는데, 이것의 지지면은 마무리된 상태에서 구부러진 창유리 외형을 갖는다. 그러나, 이러한 추가적인 굽힘 금형이 본질적으로 또한 예비 굽힘 금형으로 간주되어야 하는데, 이는 창유리의 최종 성형이 오목한 흡입 굽힘 금형의 면에서 일어나기 때문이다. 이동은 이러한 추가적인 금형에 위치된 창유리가 다시 한번 중력의 영향 하에서 구부러지는데 충분하도록 빨리 일어난다. 이 경우에서, 상기 창유리는 각 경우에, 그 에지가 이미 최종 금형에 접근한다. 이것은 오목한 단단한 금형이 이동된 후에 (그리고 상부 금형이 제 위치에 정착된 후에), 창유리 또는 창유리들의 흡입 성형이 즉시 시작될 수 있고, 창유리가 금형의 에지를 따라 단단한 금형에 맞춰질 때까지 더 이상 기다 릴 필요가 없으며, 필요하다면 상부 금형이 완전히 사용되지 않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창유리 면과 단단한 금형 사이의 가능한 한계 슬롯은 창유리의 에지가 실질적으로 이미 그들의 최종 외형으로 표시되었다면 최소치로 한정된다.
2개의 굽힘 프레임의 모양과 지지면은 또한 2개의 지지면이 창유리의 에지에 가능한 한 가깝게, 바람직하게는 최대 10mm 폭의 좁은 밴드로, 더욱 바람직하게는 정확히 6 내지 7mm의 폭으로 창유리의 표면과 접촉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서로 맞춰진다. 2개의 굽힘 프레임 또는 그들의 지지면이 수직 돌출시 서로를 덮지만(에지에서 보이는 창유리의 "수축"은 고려되어지는 곡률의 증가하는 깊이에 따라서 조절된다) 서로 다른 높이에 위치할 때, 바람직한 개선에 따라서 이것이 가능하다. 2개의 굽힘 프레임의 이러한 실시예의 특정한 한 가지 장점은 접촉하는 창유리의 표면에서 지지면에 의해 필수적으로 남겨지는 표시 또는 표시들이 단지 그들의 가장 바깥쪽 경계 구역을 따라서만 위치된다는 것이다. 그리하여, 추가의 광학적 개선이 알려진 2개의 링 굽힘 방법에 대해서 얻어진다.
본 발명의 주제의 다른 상세한 설명과 장점은 이러한 방법을 수행할 때 또는 해당 장치에서의 굽힘 단계 내에서 다양한 단계 또는 상태의 도시된 도면과 아래의 그 상세한 설명을 통해 제공될 것이다.
도 1은 예비 굽힘 작업을 설명하는 도면.
도 2는 창유리 쌍이 오목한 단단한 흡입 굽힘 금형으로 이동하는 것을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상부 금형을 이용하여 창유리 쌍의 에지를 봉합하는 것을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함몰부(depression)에 노출하기 시작하는 것을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상부 금형의 제거를 도시하는 도면으로, 함몰부에 노출되는 동시에 흡입 굽힘 금형을 통해 동시에 유지되는 것을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마무리된 구부러진 창유리 쌍이 이동 장치로 이동되는 것을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다른 프레임의 형태인 2개의 굽힘 금형 유닛의 수직 입면도.
도 7a는 오목한 흡입 굽힘 금형 및 미리 굽혀진 창유리 쌍 부분이 있는, 도 7에서 화살표로 표시된 조망 영역을 상세하게 도시하는 도면.
도 1은 1로 단순하게 표시된 굽힘 스테이션의 내부를 도시하는 도면으로, 한 쌍의 창유리(2)가 프레임 형태인 예비 굽힘 금형(3) 위에 놓여져 있다. 일반적으로, 이 예비 굽힘 금형은 장치의 일부일 수 있는 도시되지 않은 로(furnace)에서 창유리를 연화 온도로 가열하는 동안 증착된 창유리를 이동시키는데 미리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이동은 그 자체로 알려진 다른 방법을 사용하여 몇몇 다른 방법으로도 가능하다. 2개의 창유리를 쌍으로 굽히는 처리는 항상 통상의 예비 굽힘 단계로 시작되는데, 이 단계는 예비 굽힘 금형(3)에서의 중력의 작용 하에서 수행된다. 이러한 예비 굽힘은 항상 도 1에 도시된 단계에서 수행되었다.
예비 굽힘 금형(3) 위에는 프레임 형태를 갖기도 하는 볼록한 상부 금형(4) 이 있다. 상기 상부 금형의 성형면의 외형은 예비 굽힘 금형에 의해 경계 지어지는 외형보다 조금 작다. 상부 금형(4)의 기능은 이 후에 설명될 것이다. 그러나, 이 후에 또한 논의될 특정 조건 하에서, 상부 금형(4)은 여기서 서술되는 방법에 반드시 사용되는 것은 아니다.
예비 굽힘 금형(3) 아래에는 흡입 덕트(6)가 있는 오목한 흡입 굽힘 금형(5)이 있다. 상부 금형(4)의 성형 외형은 흡입 굽힘 금형(5)의 성형면을 보완한다. 여기서 설명된 실시예에서, 흡입 굽힘 금형(5)은 도시되지 않은 작동 장치에 의해 중력 방향으로 위 아래로 이동 가능하다. 흡입 굽힘 금형의 주변은 흡입 굽힘 금형이 올려질 때, 모든 측부 주위의 작은 갭(gap)으로 예비 굽힘 금형에 의해 경계 지어지는 공간을 통과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흡입 굽힘 금형이 그 성형면에서 창유리 쌍(2)을 수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흡입 굽힘 금형(5)의 성형면은 창유리의 외부 에지로부터 약간 뒤로 물러나게 설정될 수 있다.
자연스럽게, 이동 작업은 흡입 굽힘 금형(5)이 낮춰져서 다른 금형 안으로 들어가도록 예비 굽힘 금형(3)을 흡입 굽힘 금형(5)을 향하여 각각 그 위로 낮춤으로써 다른 방법으로 쉽게 표현될 수 있다. 필요하다면, 분리되는 예비 굽힘 금형의 세그먼트는 이러한 이동 작업을 위하여 분리된다.
유리와 접촉하게 되는 모든 성형면은 기계적인 접촉에 의해 손상의 위험이 더욱 줄어드는 열 저항성 메쉬 또는 매끄러운 바탕 섬유로 통상의 방법으로 커버되는 것은 두 말할 필요가 없다.
굽힘 작업에서 예비 굽힘 단계로부터 주요 굽힘 단계로의 이동이 도 2에 도 시되어 있다. 가장 아래에 있는 창유리의 에지가 들어올려진 흡입 굽힘 금형(5)의 주변 에지에 이미 놓여져 있지만, 흡입 굽힘 금형(5)의 주변을 넘어서 약간 돌출해 있다. 미리 굽혀진 창유리 쌍(2)의 상부 창유리는 굽힘 금형과 조금도 접촉하지 않았다.
큰 반경의 곡률과 창유리의 에지 영역에서 작은 접선각(이것은 평평한 변형되지 않은 창유리의 초기 평면과 마무리된 굽혀진 창유리 각각의 에지 영역에 대한 접선 사이의 각이다)을 만드는 것이 종종 필요하다. 이제, 단순히 약간 미리 굽혀진 창유리가 흡입 굽힘 금형에 놓여질 때, 중력의 작용이 창유리의 에지를 굽힘면의 주변 에지에 잘 맞추게 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가장 아래 있는 창유리의 하부와 굽힘면 사이에 있는 갭이 외부에 대해서 이미 실질적으로 밀봉된다. 2개의 창유리의 에지 사이에도, 무시할 수 있는 공기 슬롯이 형성되는 것이 일어날 수 있는 가장 나쁜 일이다. 이제 함몰부가 흡입 굽힘 금형에 적용되어서 창유리 쌍(2)의 2개의 창유리를 누르는 동시에 굽힘면에 맞대어진다. 상부 금형(4)을 사용할 필요는 없다.
그러나, 마무리된 창유리(작은 반경, 또는 에지에서의 큰 접선각)의 복잡한 굽힘 모양으로 인하여, 흡입 굽힘 금형(5)의 주변 에지에 창유리의 하부를 맞추는 것이 이동 작업 도중에 단순히 중력 하에서 얻어질 수 있을 때, - 이 후의 단계에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 상부 금형이 사용된다. 여기서, 흡입 굽힘 금형(5)은 상부 금형(4)의 보완적인 성형면이 최상부 창유리의 상부면과 접촉할 때까지 다시 한번 올려진다. 물론, 상부 금형(4)은 흡입 굽힘 금형(5)으로 쉽게 낮춰질 수 있다. 양 경우에서, 창유리 쌍(2)은 흡입 굽힘 금형의 성형면과 맞대어지는 에지에 의해 눌려진다.
한편으로, 가장 아래에 있는 창유리 하부와 굽힘면의 주변 에지 사이에서,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 2개의 창유리 사이에서 이것이 이 에지를 밀봉한다면, 도시되지 않은 함몰부 제너레이터(generator)와 흡입 굽힘 금형(5) 사이의 연결은 도 4에 따라 개방된다. 이제 일어나는 흡입 공기 흐름은 흡입 굽힘 금형(5)의 흡입 덕트(6)에 있는, 하류를 가리키는 화살표에 의해 표시된다. 창유리 쌍(2) 위의 대기압과 창유리 쌍(2)에서 생성되는 압력차는 이제 2개의 창유리를 누르는 동시에 굽힘면과 부딪힌다. 이러한 창유리는 동시에 매우 상보적인 명확한 공간 형태를 얻는다. 가장 위의 창유리의 상단면에 있는 상부 금형(4)의 기계적인 움직임의 임의의 흔적은 외부 에지 영역에 매우 국부적으로 국한되어 유지된다.
미리 결정된 매우 짧은 시간 후에, 가장 위의 창유리의 상부면과 상부 금형(4) 사이의 접촉은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다시 한번 떨어진다. 흡입 굽힘 금형(5)는 다시 한번 낮춰져서, 함몰부가 적용된 채로 유지한다{또는, 적절하다면, 상부 금형(4)은 다시 올려진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창유리 쌍(2)을 가로지르는 압력차{흡입 덕트(6)에 있는 하류를 가리키는 화살표)는 창유리 쌍(2)의 마무리된 굽힘 외형의 복잡성에 의해 결정되는 일정 시간 동안 여전히 유지된다. 그리하여, 전체면에 걸친 접촉은 상부 금형이 제거된 후에도 가장 아래 있는 창유리의 하부와 흡입 굽힘 금형(5)의 오목한 굽힘면 사이에서 여전히 이루어질 수 있다.
먼저 언급된 바와 같이, 주요 굽힘 단계 도중에 상부 금형(4)을 사용하는 것 이 불필요하다면, 도 2에 도시된 이동 단계로부터, 자유롭게 위치된 창유리 쌍에 함몰부를 일정 시간 동안 제한되게 적용하는 도 5에 도시된 단계로 직접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하여 도 3 및 도 4의 단계는 생략이 가능하다.
적절한 굽힘 방법의 마지막 단계와 같이, 함몰부의 적용은 함몰부에 대해 제공된 시간 후에는 중단된다. 이제 마무리된 굽혀진 창유리 쌍(2)은 먼저 흡입 굽힘 금형(5)과 접촉하는 면에서 자유롭게 위치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무리된 굽혀진 창유리 쌍은 먼저 사용된 예비 굽힘 금형(3)을 대체하여 여기에 있는 이동 장치(7) 위의 금형으로 옮겨질 수 있다. 이동 장치(7)는 그 자체로 알려진 방법으로 다시 한번 프레임 형태를 갖는다. 최적의 경우에서, 이동 장치의 표면은 흡입 굽힘 금형(5)의 굽힘면의 연속적인 신장부를 형성한다. 그러므로 한정하는 자유면은 다시 한번 적어도 흡입 굽힘 금형만큼 크다. 마무리된, 그러나 여전히 뜨거운 굽혀진 창유리 쌍(2){여기서 이동은 이동 장치를 통해 흡입 굽힘 금형(5)이 낮춰짐으로써 수행된다}이 이동되는 도중에, 에지의 계획하지 않은 변형이 또한 방지된다. 이동 장치(7) 위에 위치된 창유리 쌍(2)은 이제, 오른쪽을 가리키는 화살표로 도시되는 것과 같이, 냉각 스테이션(도시되지 않음)으로 수송된다.
도 7은 여기서 설명되는 장치의 다른 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프레임 형태인 예비 굽힘 금형(3)에 더하여, 이제 추가의 굽힘 프레임(37)이 존재한다. 프레임 형태의 2개의 굽힘 금형(3,37)은 굽힘 처리 중에 그리고 필요하다면, 가열 및 냉각 중에 창유리를 이동하는데 또한 사용되는 기계적인 연결 유닛(박스 10으로 표시됨)을 형성한다.
도 7에 도시되는 수직 입면도에서, 굽힘 금형(37)의 지지면이 있는 수직 돌출부에서 예비 굽힘 금형(3)의 (구형 곡률의) 지지면은 다른 부분과 겹치는 것이 보여질 수 있고 지지면은 네 개의 코너 영역에만 다른 것들 옆에서 하나가 돌출될 수 있다. 이 예에서, 코너 영역의 굽힘 금형(37)의 외형은 예비 굽힘 금형(3)의 외형과 비교하면, 측부 영역이 매우 큰데, 이는 창유리가 일반적으로 이러한 금형에서 (특히 운송수단의 바람막이 유리의 경우에)구형과 아주 유사하게 구부러지기 때문이다. 더욱이, 곡률의 깊이가 증가할 때, 창유리의 가시적인 가장 큰 수축은 코너에 정확하게 맞는다. 훨씬 더 두드러진 함몰이 중력의 영향 하에서 굽힘 프레임(37)에 얻어진다.
예비 굽힘 금형(3)은 여기서 창유리의 각 에지에 대해 하나씩 4개의 세그먼트로 분리된다. 명료함을 위해서, 이러한 세그먼트를 서로 분리시키는 비교적 큰 공간은 이 금형의 코너 영역에 남겨졌다. 그러나 이것은 세그먼트의 분리부를 배열하는 유일한 방법도, 유일한 위치도 아니다.
실제로, 예비 굽힘 금형(3)의 이러한 분할은 예비 굽힘 금형(3)으로부터 그 자체로 단단한 예비 굽힘 프레임(37)에 미리 굽혀진 창유리 쌍을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예비 굽힘 프레임은 창유리를 ("능동" 위치로)여전히 운반할 때 예비 굽힘 금형 아래에 위치된다. 그 자체로 알려진 탈착 작업을 통하여, 예비 굽힘 금형(3)의 세그먼트는 옆길 아래로 선회되거나 기울어진다("수동" 위치). 그 후, 지지된 창유리의 하부는 먼저 굽힘 프레임(37)의 비교적 긴 코너 영역과 접촉하게 된다. 그 후, 창유리 쌍(아직도 연화 온도로 가열되어 있음)은 중력의 영향하에서 아래로 내려가는데, 유리 하부는 그 에지를 따라서 그리고 넓은 범위로 굽힘 프레임(37)의 지지면에 맞대어서 위치된다. 적어도 이들 에지에서, 창유리 쌍(2)은 본질적으로 그 최종 굽혀진 외형을 갖는다. 이러한 작업은 중간 단계를 나타내는데, 이 단계는 일시적으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상태 사이에 존재한다. 그러나, 유리의 면의 동일한 영역은 예비 굽힘 금형(3)과 맞대어지기 전에 위치되는 것처럼 굽힘 프레임(37)과 접촉한다.
예비 굽힘 금형(3)의 세그먼트를 이동시키기 위하여 수평으로 이어지는 스핀들(spindle)을 제공할 수 있는데, 이러한 스핀들은 그 자체로 알려진 적절한 방법으로 박스(10)에 위치되어야 한다. 더욱이, 움직임은 예비 굽힘 금형(3)의 지지면과 예비 굽힘 금형에 놓이게 되는 유리면의 상대적인 슬라이딩 움직임이 가능한 한 적게되는 방식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a의 부분적인 묘사가 도시되는 방향이 점선과 위 방향을 가리키는 2개의 화살표가 있는 도 7에 표시된다. 이것은 위에서 이미 언급된 절차를 보다 명백하게 설명한다.
예비 굽힘 금형(3) 또는 그 지지면은 굽힘 프레임(37)보다 초기에는 더 높은(점선으로 표시됨) 가시적인 개별 세그먼트의 구획된 영역 내에 위치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수직 돌출물에서 굽힘 프레임(37)을 커버한다. 또한 지지 영역에서 비교적 조금 미리 굽혀져 도시된 창유리 쌍(2)의 굽힘 외형이 점선으로 도시된다. 이러한 개략적인 도시에서 창유리의 실제 굽힘은 기껏해야 근사적으로 도시될 수 있음이 지적되어야 한다.
아래 방향을 가리키는 곡선 화살표(P1)는 선회 움직임을 나타내는데 이에 의하여 예비 굽힘 금형(3)의 관련된 세그먼트(동시에 모든 다른 세그먼트도 마찬가지로)는 "수동" 위치에 위치된다. 창유리 쌍(2)은 굽힘 프레임(37)에 위치되고 굽힘 처리된 후 최종 공간 모양에 대체적으로 부합하는 굽힘 외형으로 미리 함몰된다.
아래 방향을 가리키는 2개의 평행한 화살표(P2)는 도 2에서 또한 나타나는 바와 같이 오목한 흡입 굽힘 금형(5)으로의 이동 작업을 나타낸다. 여기서 또한, 굽힘 프레임(37)의 지지면이 가능한 한 작은 연결부로 흡입 굽힘 금형의 성형면과 만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굽힘 프레임(37)은 또한 도 5 및 도 6에 역시 도시된 이동 장치(7)의 위치로 들어온다. 다음에, 흡입 굽힘 금형(5)에 있는 굽혀진 마무리된 창유리는 함몰이 중지되면, 다시 한번 굽힘 프레임(37) 위로 이동될 수 있고, 그 후 냉각 스테이션으로 이동된다. 자연스럽게, 예비 굽힘 금형(3) 또는 그의 세그먼트는 다른 창유리 쌍이 적재되기 전에 먼저 능동 위치(도 7a에서 점선으로 표시됨)로 복귀한다.
여기서 서술되는 구성의 다른 중요한 장점은 흡입 굽힘 금형(5)의 성형면 위로 창유리(2)가 필연적으로 돌출하는 것이 최소 크기로 제한될 수 있기 때문에, 육안으로 감지할 수 있는 불규칙성이 또한 여기서 최소화될 수 있다는 사실이다.
앞선 실시예와는 다르게, 하나가 다른 하나에 포함된 굽힘 프레임(3,37)의 2개의 지지면을 몇 개의 작은 지지면 또는 서로 오프셋되는 몇 개의 작은 지지점으로 분리하여서, 2개의 지지면이 벌집과 같은 방식으로 하나가 다른 하나의 내부에 완전히 위치될 수 있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그리하여, 금형의 지지면 각각의 상 대적인 슬라이딩 움직임과 유리면 각각의 상대적인 슬라이딩 움직임이 방지될 수 있다. 2개의 굽힘 프레임은 높이에 대해서는 제외하고 서로에 대해서 더 이상 조절될 필요가 없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창유리를 쌍으로 구부리는 방법 및 이 방법을 수행하는데 적절한 장치에 이용 가능하다.

Claims (22)

  1. 하나의 창유리 위에 다른 하나의 창유리가 놓여지고, 연화 온도로 가열되는 창유리를 쌍으로 구부리는 방법으로서,
    - 상기 창유리 쌍(2)이 굽힘 프레임(3) 위에 놓여지고 중력의 영향 하에서 미리 굽혀지며,
    - 상기 미리 굽혀진 창유리 쌍(2)은 굽힘 프레임(3,37)에서 오목한 성형면이 있는 흡입 굽힘 금형(5) 위로 직접 이동되는데, 가장 아래 있는 창유리의 하부측이 적어도 상기 성형면의 주변 에지에서 지지되며,
    - 미리 결정된 시간 동안 함몰부(depression)를 적용함으로써, 상기 가장 아래 있는 창유리의 하부측과 상기 흡입 굽힘 금형(5) 사이의 중간 공간에서 공기가 흡입되고, 상기 창유리 쌍(2)은 대기압에 의해서 상기 흡입 굽힘 금형(5)의 상기 오목한 성형면으로 압축되며,
    - 상기 함몰부의 적용이 끝난 후에, 마무리되고 성형된 창유리 쌍(2)은 상기 흡입 굽힘 금형의 성형면에 대해서 동일 높이인 외형을 가지고 상기 흡입 굽힘 금형(5)에서 창유리의 모양을 갖는 프레임(7,37) 위로 직접 이동되어 냉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유리를 쌍으로 구부리는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 상기 미리 굽혀진 창유리 쌍(2)은 상기 창유리의 에지에서 마지막으로 굽혀진 외형에 부합하는 외형을 가지고 상기 제 1 굽힘 프레임(3)에서 추가의 굽힘 프레임(37)으로 이동되고, 중력의 영향 하에서 다른 굽힘 작업 후에, 상기 추가의 굽힘 프레임(37)에서 상기 오목한 흡입 굽힘 금형(5)으로 이동되는, 창유리를 쌍으로 구부리는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창유리 쌍(2)은 세그먼트로 분리되는 상기 예비 굽힘 금형(3)을 선회시킴으로써 상기 추가의 굽힘 프레임(37)에 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유리를 쌍으로 구부리는 방법.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의 표면은 한편으로, 상기 예비 굽힘 금형(3)의 지지면과 접촉하게 되고, 다른 한편으로, 동일한 주변 라인을 따르는 상기 추가의 굽힘 프레임(37)의 지지면과 접촉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유리를 쌍으로 구부리는 방법.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 굽힘 금형(5)으로 이동되는 상기 창유리 쌍(2)의 에지는 상기 함몰부가 적용되기 시작하기 전에, 상기 흡입 굽힘 금형(5)을 보완하는 상부 금형(4)에 의해 상기 오목한 하부 흡입 굽힘 금형(5)의 에지로 적어도 일시적으로 압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유리를 쌍으로 구부리는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창유리의 상부면과 상기 상부 금형(4) 사이의 접촉은 상기 함몰부의 적용이 끝나기 전에 중단되고 상기 함몰부의 적용은 결정된 시간 동안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유리를 쌍으로 구부리는 방법.
  7.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 굽힘 금형(5)보다 큰 주변을 갖는 상기 굽힘 프레임(3,37)은 상기 흡입 굽힘 금형(5)을 향해서 낮추어지고, 그리하여 상기 가장 아래에 있는 창유리의 하부는 상기 흡입 굽힘 금형(5)과 접촉하게 되는, 창유리를 쌍으로 구부리는 방법.
  8.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 굽힘 금형(5)은 보다 큰 주변에 의해 만들어지는 상기 굽힘 프레임(3, 37)을 통해 위쪽으로 인도되어 상기 가장 아래에 있는 창유리의 하부와 접촉하게 되는, 창유리를 쌍으로 구부리는 방법.
  9. 하나의 창유리 위에 다른 하나의 창유리가 놓여지고, 연화 온도로 가열되는 창유리를 쌍으로 굽히기 위한 장치로서,
    - 상기 창유리를 가열하기 위한 로(furnace)와,
    - 가열되는 창유리 쌍(2)을 그 연화 온도로 올리기 위한 프레임(3,37) 형태의 예비 굽힘 금형과,
    - 상기 가장 아래에 있는 창유리의 면에 대하여 약간 뒤로 물러나게 설정되고, 상기 미리 굽혀진 창유리 쌍(2)이 이동되고 증착되는, 오목한 성형면이 있는 흡입 굽힘 금형(5)으로, 상기 예비 굽힘 금형(3)은 상기 창유리 쌍이 이동될 때 프레임 형태로 상기 흡입 굽힘 금형(5)을 둘러싸는, 흡입 굽힘 금형과,
    - 상기 오목 성형면과 상기 가장 아래 있는 창유리의 하부 사이에서 시간에 따라 한정되는 함몰부를 만드는 수단으로, 상기 함몰부로 인하여 상기 미리 굽혀진 창유리 쌍(2)에 걸쳐서 압력차가 만들어지고, 이 창유리 쌍은 상기 성형면에 대해 압축되는, 함몰부를 만드는 수단과,
    - 상기 마무리되고 굽혀진 창유리 쌍(2)을 냉각 스테이션에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 장치(7)로서, 상기 창유리 쌍은 상기 흡입 굽힘 금형(5)에서 냉각 스테이션으로 이동되는, 이동 장치를
    포함하는, 창유리를 쌍으로 굽히기 위한 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예비 굽힘 금형(3)은 프레임 형태의 추가의 굽힘 금형(37)과 합쳐지고, 상기 예비 굽힘 금형(3)은 상기 추가의 굽힘 금형(37)에 대해서 이동가능 하여서 상기 미리 굽혀진 창유리 쌍(2)이 상기 예비 굽힘 금형(3)에서 상기 추가의 굽힘 금형(37)으로 이동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유리를 쌍으로 굽히기 위한 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예비 굽힘 금형(3)의 지지면은 상기 창유리 쌍(2)을 운반하는 능동 위치(active position)에서 상기 추가의 굽힘 금형(37)의 지지면보다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유리를 쌍으로 굽히기 위한 장치.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예비 굽힘 금형(3)의 지지면은 상기 창유리 쌍(2)을 운반하는 능동 위치에서 상기 추가의 굽힘 금형(37)의 지지면을 수직 돌출물로 부분 또는 전체적으로 커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유리를 쌍으로 굽히기 위한 장치.
  13. 제 10항에 있어서, 프레임 형태의 2개의 상기 굽힘 금형(3, 37)은 유리의 에지에서 측정했을 때, 최대 10mm 너비로 좁은 주변 스트립에 대해서만 차례로 유리의 표면과 접촉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유리를 쌍으로 굽히기 위한 장치.
  14.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예비 굽힘 금형(3) 또는 그의 지지면은 상기 창유리 쌍(2)이 이동될 때, 프레임 형태의 추가의 굽힘 금형(37)에 대해서 각각 이동 가능한 몇 개의 세그먼트로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유리를 쌍으로 굽히기 위한 장치.
  15.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예비 굽힘 금형(3) 및 프레임 형태의 상기 추가의 굽힘 금형(37)은 고정물 또는 프레임(10)에 배치되고, 상기 창유리 쌍(2)을 이동시키기 위하여 결합하여 이동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유리를 쌍으로 굽히기 위한 장치.
  16.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창유리를 쌍으로 굽히기 위한 장치는 상기 흡입 굽힘 금형(5)의 성형면을 보완하는 상부 금형(4)을 더 포함하는데, 상기 상부 금형(4)은은 상기 함몰부가 상기 흡입 굽힘 금형(5)에 적용되기 전에 적어도 상기 창유리 쌍(2) 중 가장 위의 창유리의 에지와 접촉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유리를 쌍으로 굽히기 위한 장치.
  17. 창유리를 쌍으로 굽히기 위한 장치로서,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하여, 상기 흡입 굽힘 금형(5)의 성형면을 보완하는 상부 금형(4)을 더 포함하는데, 상기 상부 금형(4)은 상기 함몰부가 상기 흡입 굽힘 금형(5)에 적용되기 전에 적어도 상기 창유리 쌍(2) 중 가장 위의 창유리의 에지와 접촉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유리를 쌍으로 굽히기 위한 장치.
  1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금형(4)은 프레임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유리를 쌍으로 구부리는 방법.
  19.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창유리를 쌍으로 굽히기 위한 장치로서,
    - 상기 창유리를 가열하기 위한 로(furnace)와,
    - 가열되는 창유리 쌍(2)을 그 연화 온도로 올리기 위한 프레임(3,37) 형태의 적어도 하나의 예비 굽힘 금형과,
    - 상기 가장 아래에 있는 창유리의 면에 대하여 약간 뒤로 물러나게 설정되고, 상기 미리 굽혀진 창유리 쌍(2)이 이동되고 증착되는, 오목한 성형면이 있는 흡입 굽힘 금형(5)으로, 상기 예비 굽힘 금형은 상기 창유리 쌍이 이동될 때 프레임 형태로 상기 흡입 굽힘 금형을 둘러싸는, 흡입 굽힘 금형과,
    - 상기 오목 성형면과 상기 가장 아래 있는 창유리의 하부 사이에서 시간에 따라 한정되는 함몰부를 만드는 수단으로, 상기 함몰부로 인하여 상기 미리 굽혀진 창유리 쌍(2)에 걸쳐서 압력차가 만들어지고, 이 창유리 쌍은 상기 성형면에 대해 압축되는, 함몰부를 만드는 수단과,
    - 상기 마무리되고 굽혀진 창유리 쌍(2)을 냉각 스테이션에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 장치(37)로서, 상기 창유리 쌍은 상기 흡입 굽힘 금형(5)에서 냉각 스테이션으로 이동되는, 이동 장치를
    포함하는, 창유리를 쌍으로 굽히기 위한 장치.
  20. 제 10항에 있어서, 프레임 형태의 2개의 상기 굽힘 금형(3, 37)은 유리의 에지에서 측정했을 때, 최대 8mm미만의 너비로 좁은 주변 스트립에 대해서만 차례로 유리의 표면과 접촉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유리를 쌍으로 굽히기 위한 장치.
  21.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세그먼트는 선회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유리를 쌍으로 굽히기 위한 장치.
  22. 제 16항에 있어서, 상부 금형(4)이 하부 흡입 굽힘 금형(5)의 가장자리를 보완하는 프레임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유리를 쌍으로 굽히기 위한 장치.
KR1020037010085A 2001-02-06 2002-02-06 창유리를 쌍으로 구부리는 방법 및 장치 KR10087051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105200A DE10105200A1 (de) 2001-02-06 2001-02-06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paarweisen Biegen von Glasscheiben
DE10105200.6 2001-02-06
PCT/FR2002/000455 WO2002064519A1 (fr) 2001-02-06 2002-02-06 Procede et dispositif pour cintrer des vitres par pair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5171A KR20030075171A (ko) 2003-09-22
KR100870518B1 true KR100870518B1 (ko) 2008-11-26

Family

ID=76729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10085A KR100870518B1 (ko) 2001-02-06 2002-02-06 창유리를 쌍으로 구부리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US (1) US7302813B2 (ko)
EP (1) EP1358131B1 (ko)
JP (1) JP4554885B2 (ko)
KR (1) KR100870518B1 (ko)
CN (1) CN1309669C (ko)
AT (1) ATE333441T1 (ko)
BR (1) BR0207002B1 (ko)
CZ (1) CZ297663B6 (ko)
DE (2) DE10105200A1 (ko)
ES (1) ES2267984T3 (ko)
MX (1) MXPA03006683A (ko)
PL (1) PL197613B1 (ko)
PT (1) PT1358131E (ko)
TR (1) TR200301213T2 (ko)
WO (1) WO200206451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105200A1 (de) 2001-02-06 2002-08-14 Saint Gobain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paarweisen Biegen von Glasscheiben
JP4811774B2 (ja) * 2001-04-10 2011-11-09 旭硝子株式会社 ガラス板曲げ成形装置および成形方法
DE10257972B3 (de) * 2002-12-12 2004-06-17 Saint-Gobain Sekurit Deutschland Gmbh & Co. K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Erzeugen von Kantendruckspannungen in Glasscheiben
FR2852951B1 (fr) * 2003-03-26 2007-02-16 Saint Gobain Procede de bombage de feuilles de verre par pressage et aspiration
DE10314267B3 (de) * 2003-03-29 2004-08-19 Saint-Gobain Sekurit Deutschland Gmbh & Co. K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Biegen von Glasscheiben
DE10314266B3 (de) * 2003-03-29 2004-06-09 Saint-Gobain Sekurit Deutschland Gmbh & Co. K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Biegen von Glasscheiben
FR2855168B1 (fr) * 2003-05-19 2007-03-30 Saint Gobain Bombage de vitrages par gravite sur une multiplicite de supports
BE1015700A3 (fr) * 2003-10-03 2005-07-05 Glaverbel Bombage de vitrage feuillete.
WO2005121903A2 (en) 2004-06-03 2005-12-22 Board Of Regents, The University Of Texas System System and method for improvement of alignment and overlay for microlithography
WO2006001474A1 (ja) * 2004-06-29 2006-01-05 Asahi Glass Company, Limited 合わせガラス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FR2880343B1 (fr) * 2004-12-31 2007-06-22 Saint Gobain Procede de bombage de feuilles de verre par aspiration
DE102006024484B3 (de) * 2006-05-26 2007-07-19 Saint-Gobain Sekurit Deutschland Gmbh & Co. Kg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Biegen von Glasscheiben
FR2942793B1 (fr) * 2009-03-05 2012-03-23 Saint Gobain Formage d'un vitrage comprenant une ouverture
FR2945985B1 (fr) 2009-05-27 2011-05-20 Saint Gobain Vitrage a faible niveau de double image.
US8281619B2 (en) * 2009-05-29 2012-10-09 Corning Incorporated Stack progressive pressing for making shaped articles
FR2963933B1 (fr) 2010-08-20 2012-08-17 Saint Gobain Miroir bombe par pressage
FR2966147B1 (fr) 2010-10-15 2016-05-27 Saint Gobain Support de trempe thermique
EP2463248A1 (de) 2010-12-13 2012-06-13 Saint-Gobain Glass Franc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Biegen von Scheiben
EP2463247A1 (de) 2010-12-13 2012-06-13 Saint-Gobain Glass Franc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Biegen von Scheiben
US9656537B2 (en) 2010-12-13 2017-05-23 Saint Gobain Glass France Bent windowpane
CN103030262A (zh) * 2011-09-30 2013-04-10 富泰华工业(深圳)有限公司 曲面玻璃板的成型方法与其采用的成型设备
FR2981295B1 (fr) 2011-10-14 2020-02-21 Saint-Gobain Glass France Fabrication d'un vitrage feuillete
FR2996803B1 (fr) 2012-10-12 2014-11-21 Saint Gobain Fabrication d'un vitrage feuillete muni d'un conducteur electrique
ITTO20130687A1 (it) * 2013-08-12 2015-02-13 Istituto Naz Di Astrofisica Processo per la produzione di un elemento ottico mediante formatura a caldo di una lastra di vetro
FR3012072B1 (fr) 2013-10-23 2021-01-01 Saint Gobain Verre feuillete mince pour pare-brise
FR3017865A1 (fr) * 2014-02-27 2015-08-28 Saint Gobain Bombage par gravite sur double-support
CN106458686B (zh) * 2014-10-28 2019-06-18 法国圣戈班玻璃厂 用于玻璃弯曲过程的工具
PL3212584T3 (pl) 2014-10-28 2019-05-31 Saint Gobain Narzędzie gnące dla szyb szklanych
FR3034414B1 (fr) * 2015-04-03 2021-12-10 Saint Gobain Dispositif de bombage de feuilles de verre
CN104891790B (zh) * 2015-04-13 2017-07-18 东南大学 一种对称集中力与均布荷载耦合热弯成型装置及其应用
ES2720002T3 (es) 2015-08-18 2019-07-17 Saint Gobain Dispositivo y procedimiento de curvado de vidrio utilizando un ventilador
JP6501972B2 (ja) 2015-09-08 2019-04-17 サン−ゴバン グラス フランスSaint−Gobain Glass France 正圧支援される重力湾曲法およびこの方法に適した装置
PE20180975A1 (es) 2015-11-25 2018-06-14 Saint Gobain Metodo de doblado por gravedad asistido por sobrepresion y dispositivo adecuado para el mismo
WO2017129307A1 (de) 2016-01-28 2017-08-03 Saint-Gobain Glass France Überdruckunterstütztes glasbiegeverfahren und hierfür geeignete vorrichtung
CN107840563A (zh) * 2016-09-21 2018-03-27 阳程科技股份有限公司 三维玻璃成型装置及其成型方法
MA46872A (fr) 2016-11-24 2019-10-02 Saint Gobain Procédé de fabrication d'une vitre en verre feuilleté bombée au moyen d'une mince feuille de verre
JP6770201B2 (ja) 2017-02-20 2020-10-14 サン−ゴバン グラス フランス ガラスペインの熱による強化処理のための強化処理フレーム
US11572299B2 (en) 2017-03-22 2023-02-07 Saint-Gobain Glass France Device and method for picking up, shaping, and placing a thin glass pane
WO2018188887A1 (de) * 2017-04-10 2018-10-18 Saint-Gobain Glass France Schwerkraftbiegeform zum biegen von glasscheiben mit gekrümmter auflagefläche
CN109215481B (zh) * 2017-07-08 2021-09-10 汉宸国际工程设计集团有限公司 一种建筑设计用立体模型制作模具
JP7196855B2 (ja) 2017-11-10 2022-12-27 Agc株式会社 屈曲基材の製造方法及び屈曲基材の成形型
CN109896730B (zh) * 2017-12-07 2021-12-24 蓝思科技(长沙)有限公司 一种玻璃热弯成型方法及装置
CN108395081B (zh) * 2018-03-28 2019-06-14 东莞市银泰玻璃有限公司 一种玻璃自动化弯曲装置
FR3084353B1 (fr) 2018-07-27 2023-03-24 Saint Gobain Substrat emaille, dispositif vitre lumineux avec un tel substrat et sa fabrication.
FR3084355B1 (fr) 2018-07-27 2023-05-19 Saint Gobain Substrat emaille, dispositif vitre lumineux automobile avec un tel substrat et sa fabrication.
KR102639878B1 (ko) * 2019-01-04 2024-02-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진공열 성형장치 및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CN109987827B (zh) * 2019-05-15 2024-03-19 福耀集团(上海)汽车玻璃有限公司 一种成型装置
DE202020005522U1 (de) 2019-05-28 2021-07-01 Saint-Gobain Glass France Glasbiegevorrichtung mit Laserunterstützung
WO2021165431A1 (de) 2020-02-19 2021-08-26 Saint-Gobain Glass France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pressbiegen von glasscheiben
WO2021204468A1 (de) 2020-04-06 2021-10-14 Saint-Gobain Glass Franc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keramischen biegeform für glasscheiben
CN113784931A (zh) 2020-04-06 2021-12-10 法国圣戈班玻璃厂 用于制造用于玻璃片材的陶瓷的弯曲模具的方法
CN113905996A (zh) 2020-05-05 2022-01-07 法国圣戈班玻璃厂 用于使具有遮蔽区域和透视区域的玻璃质玻璃板弯曲的方法
DE202021004140U1 (de) 2020-09-28 2022-10-18 Saint-Gobain Glass France Vorrichtung zum Biegen von flachen Glasscheiben
CN113603343A (zh) * 2021-06-30 2021-11-05 华勤技术股份有限公司 工件热弯装置
FR3132520A1 (fr) 2022-02-08 2023-08-11 Saint-Gobain Glass France Substrat émaillé illuminable et sa fabrication
FR3132521A1 (fr) 2022-02-08 2023-08-11 Saint-Gobain Glass France Substrat émaillé illuminable et sa fabrication
WO2024037927A1 (de) 2022-08-15 2024-02-22 Saint-Gobain Glass Franc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windschutzscheibe mit verbessertem aufprallschutz und ebensolche windschutzscheibe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78244A (en) * 1970-04-23 1973-12-11 Saint Gobain Bending of flat glass on a mold with vacuum
JPS57145041A (en) * 1981-02-26 1982-09-07 Asahi Glass Co Ltd Frame ring for supporting glass plane in the device for bending and tempering
EP0363097A1 (en) * 1988-10-04 1990-04-11 Nippon Sheet Glass Co. Ltd. Method of shaping sheet glass
EP0531152A2 (en) * 1991-09-04 1993-03-10 Nippon Sheet Glass Co., Ltd. Method of and apparatus for bending sheet glass
US5660609A (en) * 1994-10-04 1997-08-26 Saint-Gobain Vitrage Method and device for the bending of glass sheets
US5893941A (en) * 1994-10-25 1999-04-13 Nikander; Risto Method and apparatus in bending and tempering of a glass sheet
US5992178A (en) * 1996-10-31 1999-11-30 Saint-Gobain Vitrage Method for stepwise bending of glass sheets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377849A (en) * 1942-08-29 1945-06-12 Libbey Owens Ford Glass Co Process for bending glass
US2550252A (en) * 1942-12-07 1951-04-24 Libbey Owens Ford Glass Co Glass bending mold
BE505637A (ko) * 1950-09-13
US4199342A (en) * 1977-12-30 1980-04-22 Bfg Glassgroup Process of imparting a permanent curvature to a sheet of glass
US4233050A (en) * 1979-03-09 1980-11-11 Ppg Industries, Inc. Shaping glass sheets by gravity sag bending followed by blow forming
US4711653A (en) * 1986-12-29 1987-12-08 Ppg Industries, Inc. Innovative press bending of thermoplastic sheets
DE3715151A1 (de) * 1987-05-07 1988-11-17 Ver Glaswerke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en zum biegen von glasscheiben
US5003694A (en) * 1987-10-30 1991-04-02 Warner-Lambert Company Flexible razor head
FR2624850B1 (fr) * 1987-12-22 1990-04-27 Saint Gobain Vitrage Procede et dispositif pour le refroidissement de feuilles de verre bombees
US5071461A (en) * 1988-07-18 1991-12-10 Asahi Glass Company,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bending overlapping glass plates to form a laminated glass structure
US4894080A (en) * 1988-09-26 1990-01-16 Ppg Industries, Inc. In-lehr glass sheet press bending using pressurized gas
JPH0629148B2 (ja) 1989-05-31 1994-04-20 セントラル硝子株式会社 ガラス板の熱処理方法
FR2659957B1 (fr) 1990-03-20 1993-07-16 Saint Gobain Vitrage Int Procede et dispositif pour le bombage de feuilles de verre.
ATE138898T1 (de) * 1990-05-22 1996-06-15 Glasstech Inc Vakuumbiegen von erhitzten glasscheiben
US5004491A (en) * 1990-05-22 1991-04-02 Glasstech, Inc. Glass sheet forming method and apparatus utilizing lower full surface vacuum mold and upper ring mold
DE4201275C1 (ko) * 1992-01-18 1993-08-19 Vegla Vereinigte Glaswerke Gmbh, 5100 Aachen, De
FR2707283B1 (fr) * 1993-07-09 1995-09-22 Saint Gobain Vitrage Int Procédé et dispositif de formage de plaques de verre et application de ce procédé à l'obtention de vitrages de formes complexes.
DE4337559C1 (de) * 1993-11-04 1995-03-23 Ver Glaswerke Gmbh Verfahren zum paarweisen Biegen von Glasscheiben
CA2141830C (en) * 1994-02-14 1999-06-01 Ppg Industries Ohio, Inc. Method and apparatus of bending glass sheets
DE4412748A1 (de) * 1994-04-15 1995-10-19 Flachglas Ag Transfervorrichtung für gebogene Glasscheiben
AU725900B2 (en) 1997-03-04 2000-10-26 Glassrobots Oy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bending of a glass in a glass bending oven
DE19725189C1 (de) 1997-06-14 1998-11-26 Sekurit Saint Gobain Deutsch Vorrichtung zum Biegen von Glasscheiben
DE10105200A1 (de) 2001-02-06 2002-08-14 Saint Gobain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paarweisen Biegen von Glasscheiben
DE10257972B3 (de) * 2002-12-12 2004-06-17 Saint-Gobain Sekurit Deutschland Gmbh & Co. K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Erzeugen von Kantendruckspannungen in Glasscheiben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78244A (en) * 1970-04-23 1973-12-11 Saint Gobain Bending of flat glass on a mold with vacuum
JPS57145041A (en) * 1981-02-26 1982-09-07 Asahi Glass Co Ltd Frame ring for supporting glass plane in the device for bending and tempering
EP0363097A1 (en) * 1988-10-04 1990-04-11 Nippon Sheet Glass Co. Ltd. Method of shaping sheet glass
EP0531152A2 (en) * 1991-09-04 1993-03-10 Nippon Sheet Glass Co., Ltd. Method of and apparatus for bending sheet glass
US5660609A (en) * 1994-10-04 1997-08-26 Saint-Gobain Vitrage Method and device for the bending of glass sheets
US5893941A (en) * 1994-10-25 1999-04-13 Nikander; Risto Method and apparatus in bending and tempering of a glass sheet
US5992178A (en) * 1996-10-31 1999-11-30 Saint-Gobain Vitrage Method for stepwise bending of glass shee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40129028A1 (en) 2004-07-08
PL370211A1 (en) 2005-05-16
DE60213201T2 (de) 2007-06-21
CZ297663B6 (cs) 2007-02-28
CN1531510A (zh) 2004-09-22
PL197613B1 (pl) 2008-04-30
BR0207002A (pt) 2004-02-17
ES2267984T3 (es) 2007-03-16
DE60213201D1 (de) 2006-08-31
EP1358131B1 (fr) 2006-07-19
BR0207002B1 (pt) 2010-10-19
JP2004527438A (ja) 2004-09-09
MXPA03006683A (es) 2003-10-24
ATE333441T1 (de) 2006-08-15
KR20030075171A (ko) 2003-09-22
TR200301213T2 (tr) 2005-01-24
EP1358131A2 (fr) 2003-11-05
WO2002064519A8 (fr) 2004-05-21
CN1309669C (zh) 2007-04-11
JP4554885B2 (ja) 2010-09-29
US7302813B2 (en) 2007-12-04
CZ20032065A3 (cs) 2004-09-15
WO2002064519A1 (fr) 2002-08-22
DE10105200A1 (de) 2002-08-14
PT1358131E (pt) 2006-1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70518B1 (ko) 창유리를 쌍으로 구부리는 방법 및 장치
KR101191259B1 (ko) 압축과 흡입에 의한 판유리의 크라우닝 방법
US8109117B2 (en) Method for cambering glass sheets by suction
CA2563902C (en) Apparatus having vacuum applying facilities and method of using vacuum to bend and/or shape one or more sheets
KR100316860B1 (ko) 유리판을성형하기위한방법및장치,및당해방법을이용하는창유리의제조방법
JP5705837B2 (ja) 二重像化をほとんど有さないグレージング
EP0613864B1 (en) Bending glass sheets
CN107001135B (zh) 夹层玻璃的制造方法
KR101911654B1 (ko) 유리 굽힘 공정용 도구
KR101122653B1 (ko) 판유리를 크라우닝하는 방법과 디바이스
AU2004226205B2 (en) Method and device for bending glass sheets
KR20160127001A (ko) 이중 지지부 상에서의 중력 굽힘
KR102248397B1 (ko) 유리판을 프레스 벤딩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A3058804C (en) Gravity bending mould for bending glass panes with curved support surface
CN114599616A (zh) 用于弯曲扁平的玻璃片材的方法和装置
CA2058729A1 (en) Bending glass sheets between a bottom outline mold and an upper vacuum press fa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3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8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