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9507B1 - 디지털 방송 수신 및 선호채널 관리기능을 갖는 단말기 및 디지털 방송 수신 단말기에서의 선호채널 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털 방송 수신 및 선호채널 관리기능을 갖는 단말기 및 디지털 방송 수신 단말기에서의 선호채널 관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9507B1
KR100869507B1 KR1020060038311A KR20060038311A KR100869507B1 KR 100869507 B1 KR100869507 B1 KR 100869507B1 KR 1020060038311 A KR1020060038311 A KR 1020060038311A KR 20060038311 A KR20060038311 A KR 20060038311A KR 100869507 B1 KR100869507 B1 KR 1008695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nnel
terminal
preference
information
cel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83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105753A (ko
Inventor
김준형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383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9507B1/ko
Priority to CNA2007101026780A priority patent/CN101064574A/zh
Priority to EP07008695A priority patent/EP1850586A3/en
Priority to US11/741,544 priority patent/US20070256101A1/en
Publication of KR200701057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57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95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95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4Dis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demultiplexing audio and video streams, extraction of additional data from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Disassembling of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4345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e.g. extracting service information from an MPEG stre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5End-user interface for inputting end-user data, e.g.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PIN], preference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6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66Learning process for intelligent management,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4667Processing of monitored end-user data, e.g. trend analysis based on the log file of viewer sel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5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 H04N21/4858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for modifying screen layout parameters, e.g. fonts, size of the window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508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 H04N21/4532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involving end-user characteristics, e.g. viewer profile, preferen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Abstract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방송 수신부; 사용자의 입력에 상응하는 전기적 신호를 제공하는 입력 장치; 상기 입력장치를 통해 전달된 신호에 따라 다수의 셀로 이루어진 테이블 형태의 선호채널 목록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제어신호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움직이는 포인터가 위치한 셀이 가리키는 번호에 상기 방송 수신부를 통해 현재 수신되는 방송의 채널 정보를 매핑하여 저장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선호채널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디지털 방송 수신 기능을 갖는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선호채널 관리방법.
디지털, 방송, 선호, 채널, 목록

Description

디지털 방송 수신 및 선호채널 관리기능을 갖는 단말기 및 디지털 방송 수신 단말기에서의 선호채널 관리 방법{A mobile terminal having a digital broadcasting receiving function and preference channel management function and a method of managing the preference channel in the mobile terminal having a digital broadcasting receiving function}
도 1a 내지 도 1d는 종래 기술에 따른 선호채널 목록의 설정 및 표시 형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 기능을 갖는 단말기의 개략적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 기능을 갖는 단말기를 이용한 선호채널 설정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 기능을 갖는 단말기를 이용한 선호채널 관리를 위한 메뉴 호출의 예시도이다.
도 5a 내지 도 5d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 기능을 갖는 단말기를 이용한 선호채널 설정 과정을 나타낸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 기능을 갖는 단말기를 이용한 선호채널 목록 표시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7a 내지 도 7e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 기능을 갖는 단말기를 이용한 선호채널 표시 과정을 나타낸 화면의 예시도이다.
본 발명은 디지털 방송 수신 기능 및 선호 채널 관리기능을 갖는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선호채널 관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의사에 따라 선호채널 번호를 선택하여 설정하고, 선호하는 텔레비전 방송과 라디오 방송 및/또는 데이터 채널 정보를 하나의 테이블에 서로 다른 색상으로 보여줄 수 있는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선호채널 관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채널(channel)"은 방송 프로그램을 전송하는 사업자가 사용하는 개별 서비스를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 디지털 방송의 다양한 전송규격 중 지상파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을 예로 설명한다. 6㎒의 지상파 1개의 채널은 3개의 블럭으로 나뉜다. 각 블럭은 여러 개의 비디오 채널과 오디오 채널 및 데이터 서비스 영역 즉, 이하에서 사용될 용어인 채널(channel)이 생긴다. 즉, 가드밴드와 오류정정부호를 감안한 실제 활용 가능한 대역폭인 1.2㎒를 다수 개로 분할한 비디오, 오디오 및 데이터 채널을 의미한다.
도 1a 내지 도 1d는 종래 기술에 따른 채널 목록의 설정 및 표시 형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a에서와 같이 텔레비전 방송을 수신 중 선호채널로 설정하면 도 1b와 같이 목록이 형성되고, 도 1c에서와 같이 라디오 방송을 청취 중 선호채널로 설정하면 도 1d에서와 같이 선호채널로 설정된다.
따라서, 텔레비전을 시청하던 중 사용자가 선호하는 라디오 방송의 채널을 확인할 수 없는 불편함이 있다. 현재 시청중인 채널 정보는 사용자의 의사와 무관하게 일련의 순서를 가지고 저장된다. 또한, 현재 선호채널로 설정된 채널의 시청 또는 청취 가능 여부에 대한 정보가 없어 불필요한 시청 또는 청취 시도를 수행하는 불편함이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의사에 따라 선호채널 정보를 임의의 번호에 설정하여 설정할 수 있는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선호채널 정보 관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수의 셀로 이루어진 하나의 테이블 내에 선호 텔레비전 방송과 라디오 채널 또는 데이터 채널의 정보를 동시에 나타낼 수 있는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선호채널 정보 관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선호채널 목록에 포함된 채널의 수신 가능 여부 및 채널의 재검색시 시청 가능 여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선호채널 목록의 표시 상태에서 해당 채널로 바로 진입할 수 있는 단말기 및 선호채널 관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는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방송 수신부;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장치;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선호 채널 관리 메뉴를 표시하고, 선호 채널 관리 메뉴에서 선택된 아이콘에 따라 다수의 셀이 배열된 테이블 형태로 이루어지는 선호채널 편집 화면 또는 선호 채널 설정 화면 중 어느 하나의 메뉴를 표시하고, 현재 시청하는 채널의 정보를 선호 채널 설정 화면의 다수의 셀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셀에 상응하는 번호를 매핑하여 매핑정보를 저장하고, 선호채널 편집 화면의 다수의 셀 중 선택된 어느 하나에 상응하는 번호에 매핑된 선호 채널 정보와 연관된 선택된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의 세부적 구성의 특징은 상기 포인터가 입력장치인 키패드를 통해 입력된 방향 키 신호 혹은 숫자키 신호에 따라 그 위치를 변경하는 점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의 세부적 구성의 특징은 상기 입력장치가 터치 패널(touch panel)인 점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의 다른 세부적 구성의 특징은 상기 선호채널 정보가 현재 시청 가능 여부를 식별하기 위한 표식을 갖는 점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의 다른 세부적 구성의 특징은 상기 선호채널 목록은 하나의 테이블 내에 텔레비전 방송 및 라디오 방송 정보 또는 데이터 채널 정보를 서로 다른 색상으로 표시하는 점이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 기능을 갖는 단말기를 이용한 선호채널 관리 방법은 사용자의 입력신호에 따라 메뉴를 표시하는 과정; 선호채널 설정이 선택되면, 다수의 셀로 이루어진 테이블 형태의 선호채널 설정 화면을 표시하고, 다수의 셀 중 선택된 특정 셀에 상응하는 번호와 소정의 디지털 방송 채널 정보를 매핑하여 저장하는 선호채널 설정과정; 선호채널 편집이 선택되면, 다수의 셀로 이루어진 테이블 형태의 선호채널 편집 화면을 표시하고, 다수의 셀 중 선택되는 하나의 셀에 상응하는 번호와 매핑된 선호채널 정보에 연관되어 선택된 기능을 수행하는 선호채널 편집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점이다.
삭제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들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과 그 작용을 설명하며, 도면에 도시되고 또 이것에 의해서 설명되는 본 발명의 구성과 작용은 적어도 하나의 실시 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서 상기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는 않는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 기능을 갖는 단말기의 개략적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입력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전환하여 출력하는 키패드(1)와,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방송 수신부(2)와, 상기 키패드(1) 및 방송 수신부(2)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선호채널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3)와, 상기 제어부(3)의 제어신호에 따라 선호채널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4)와, 상기 제어부(3)로부터 제공된 신호에 따라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는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표시기능과,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신호를 상기 제어부(3)에 전달하기 위한 입력기능을 갖는 터치 패널(5)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예에서는 터치 패널(5)을 나타내고 있으나, 이는 바람직한 실시에 의한 것이며, 일반적인 디스플레이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방송 수신부(2)를 통해 수신되는 방송 신호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igital Video Broadcasting-Handheld (DVB-H), Forward Link Only (FLO)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전송 규격에 따라 제공되는 신호가 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선호채널은 텔레비전 채널, 라디오 채널 혹은 데이터 채널을 의미한다. 따라서,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선호채널 목록에는 텔레비전 채널 정보만 저장된 경우나, (텔레비전 + 라디오) 채널 정보 또는 (라디오+데이터) 채널 정보 혹은 (텔레비전+데이터) 채널 정보를 나타내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텔레비전과 라디오 및 데이터 채널 중 적어도 하나 이상씩 저장한 경우라면 세 가지 종류 채널 정보가 하나의 테이블에 표현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 기능을 갖는 단말기를 이용한 선호채널 설정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는 선호채널 관리를 위한 메뉴 호출의 예시 도이고, 도 5a 내지 도 5d는 선호채널 설정 과정을 나타낸 화면의 예시도이다. 선호채널의 설정은 대기화면 상태나 디지털 방송 시청 중에도 가능하나, 본 발명을 쉽게 이해하기 위해서 방송의 시청중 현재 시청하고 있는 방송을 선호채널로 설정하는 것을 실시 예로 한다.
사용자는 키패드를 이용하여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을 시청하거나 라디오를 청취 또는 데이터 채널을 통해 제공되는 서비스를 이용한다 (S301).
시청 중 또는 청취 중 사용자가 해당 채널을 나중에 찾기 쉽도록 선호채널로 설정하기 위한 신호를 입력한다. 예를 들어, 단말기 키패드의 메뉴 버튼을 이용하면 도 4에서와 같이 표시 장치에 선호채널 관리메뉴가 표시된다 (S302).
선호채널 설정을 위한 메뉴가 선택된 경우, 도 5a와 같이 다수의 셀들로 이루어진 테이블 형태의 선호채널 설정 화면을 표시한다 (S303).
이때, 사용자는 키 패드에 형성된 방향 키 또는 숫자 키를 이용하여 목록에 표시되는 포인터를 이동시킨다. 포인터는 사용자가 그 위치를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블링킹(blinking)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으며, 음영(陰影)을 갖는 등 다른 셀과 구별될 수 있도록 한다. 만일, 터치 패널을 사용하는 단말기의 경우는 터치 패널을 이용하여 포인터를 이동시킬 수 있다 (S304).
포인터가 이동되면서 셀(cell) 사이를 이동하는 포인터가 가리키는 번호에 선호채널이 설정된 경우, 도 5b와 같이 현재 설정된 채널 정보가 표시된다. 이때, 선호채널의 목록은 텔레비전 채널과 라디오 채널 및 데이터 채널이 서로 다른 색상의 형태로서 하나의 테이블 내에 표시된다. 또한, 선호채널로 설정되어 있으나 현재 검색된 채널 정보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 즉 현재의 위치에서 수신 가능하지 않은 채널은 다른 색상으로 표시함으로써 수신 가능 여부를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사용자가 선택 신호를 입력하면 (S305),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움직이는 포인터가 위치한 셀이 가리키는 번호와 현재 시청 중인 채널 정보를 매핑시켜 소정의 기억장치에 저장한다. 이와 동시에, 도 5c와 같이 화면을 통하여 다수의 셀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셀에 상응하는 번호에 설정되었음을 사용자에게 알린다. 만일 선호 채널 설정 화면의 다수의 셀 중 선택된 어느 하나에 매핑된 채널 정보가 이미 존재하면 매핑 정보를 변경할 수 있는 변경 메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한다. 변경이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도 5d와 같이 변경된 사실을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는 화면을 표시한다. 상기 선호채널 정보에는 현재 단말기가 위치한 지역의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지역별로 구분하고, 지역별 선호채널 정보를 서로 다른 테이블의 형태로 저장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의 의사에 따라 선호채널 정보를 임의의 번호에 지정하여 저장할 수 있다 (S306).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 기능을 갖는 단말기를 이용한 선호채널 처리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7a 내지 도 7e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 기능을 갖는 단말기를 이용한 선호채널 편집과정을 나타낸 화면의 예시도이다. 위 설명에서와 마찬가지로, 대기화면 중 선호채널 목록을 표시하여 처리할 수도 있으며, 아래의 설명과 같이 디지털 방송 시청 중 선호채널 목록을 표시하여 편집과정을 수행할 수도 있다.
사용자의 선택 신호에 의해 텔레비전, 라디오 방송 또는 데이터 채널 수신 모드로 진입한다 (S601).
사용자가 선호채널을 편집하고자 할 때, 도 4에서와 같이 표시되는 메뉴항목을 통해 선호채널 편집을 선택한다 (S602).
제어부(3)는 메모리(4)로부터 선호채널 정보를 읽어 들여, 도 7a에서와 같이 선호채널 편집 화면을 표시한다. 이때, 위에서도 언급한 바와 같이, 선호채널 정보는 텔레비전 채널, 라디오 채널 및 데이터 채널이 서로 다른 색상의 형태로서 하나의 테이블 내에 표시된다. 경우에 따라 서로 다른 아이콘의 형태로 구분하여 표시할 수도 있다. 또한, 선호채널로 설정되어 있으나, 추후 환경의 변화에 의해 현재 검색된 채널 정보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 즉 현재의 위치에서 수신 가능하지 않은 채널은 다른 색상으로 표시함으로써 수신 가능 여부를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표시(indication)한다. 또한, 사용자의 채널 검색에서 제외된 이유로 수신 불가로 표시되는 경우에는 재검색(re-search 또는 re-scan))시 시청 가능함을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서비스 식별자(Service Identification: SID)가 동일하고 동일한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채널은 진입 가능한 형태로 표시된다. 만일, 특별한 사정에 의해 방송 사업자가 사용하는 주파수 또는 서비스 식별자(SID)가 변경된 경우에는 진입 불가를 나타내는 색상으로 표시한다 (S603).
사용자가 키패드에 형성된 방향 키나 숫자 키 또는 터치 패널을 이용하여 입력(S604)한 신호에 따라 포인터가 이동하면(S605) 해당 번호에 설정된 채널 정보가 표시된다. 바람직하게는 선호채널에 포인터가 위치하면 화면의 하단에 채널 정보를 표시한다. 선호채널이 설정된 번호의 이동을 쉽게 하기 위해 방향 키를 조작하면 포인터는 셀(cell) 단위의 이동이 아닌 현재 채널 정보가 저장된 셀(cell) 들로만 이동할 수도 있다 (S606). 이때, 화면의 소프트 키에는 현 상태에서 가능한 기능만 제공한다. 즉, 포인터가 비어있는 번지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소프트키에는 전체 삭제 기능만 부여된다. 물론, 포인터가 위치한 번지에 설정된 채널 정보가 있는 경우에는 소프트 키에 "진입"과 "삭제" 기능이 부여된다.
만일, 사용자가 전체 삭제를 선택하면(S609), 도 7b에서와 같이 사용자에게 전체 삭제 의사가 분명한 지를 확인하는 화면을 표시한다. 이때, 사용자가 전체 삭제를 선택하면 선호채널 정보 전부를 삭제하고, 도 7c와 같이 현재 상태를 표시한다. 만일, 사용자가 전체 삭제의사를 철회하면 다시 원 상태로 복귀한다 (S611).
사용자가 키패드 또는 터치 패널을 이용하여 텔레비전 시청, 라디오 청취 또는 데이터 채널을 선택하면(S607), 현재 포인터가 위치한 번호에 매핑된 채널로 변 경하여 해당 방송을 시청 또는 청취할 수 있다 (S608).
한편, 사용자가 포인터를 이동시켜 특정 번호에 설정된 선호채널 정보를 삭제하기 위한 선택 신호를 입력한 경우(S610), 도 7d와 같이 삭제 진행에 관한 화면을 표시한다(S612). 도 7e는 삭제된 이후, 해당 번호에 설정된 채널 정보가 없음을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가 갖는 효과는 다음과 같다.
1. 사용자의 의사에 따라 원하는 번호에 선호채널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2. 하나의 테이블로 표시되는 선호채널 목록을 통해 선호하는 텔레비전, 라디오 및 데이터 채널의 정보를 동시에 볼 수 있다.
3. 선호채널 목록을 통해 현재 시청 가능 여부 및 재검색시 시청 가능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Claims (32)

  1.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방송 수신부;
    사용자의 입력신호를 수신하는 입력장치;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메뉴에서 선택된 신호에 따라 다수의 셀이 테이블 형태를 이루는 선호 채널 설정 또는 선호 채널 편집 중 어느 하나의 화면을 표시하고, 소정의 디지털 방송 채널의 정보를 선호 채널 설정 화면의 다수의 셀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셀에 상응하는 번호에 매핑하여 저장하거나, 선호 채널 편집 화면의 다수의 셀 중 선택된 어느 하나에 상응하는 번호와 매핑되는 선호 채널 정보에 대해 편집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디지털 방송 수신 및 선호채널 관리 기능을 갖는 단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입력장치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에 응답하여 움직이는 포인터에 따라 선호 채널 편집 화면과 선호채널 설정 화면의 다수의 셀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 및 선호채널 관리 기능을 갖는 단말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장치는 키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 및 선호채널 관리 기능을 갖는 단말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키패드는 방향키 또는 숫자 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 및 선호채널 관리 기능을 갖는 단말기.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장치는 터치 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 및 선호채널 관리 기능을 갖는 단말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선호채널 설정 화면의 다수의 셀 중 선택된 어느 하나에 상응하는 번호와 매핑되는 채널 정보를 표시장치를 통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 및 선호채널 관리 기능을 갖는 단말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만일 선호 채널 설정 화면의 다수의 셀 중 선택된 어느 하나에 매핑된 채널 정보가 이미 존재하면 매핑 정보를 변경할 수 있는 변경 메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 및 선호채널 관리 기능을 갖는 단말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선호채널 정보는 텔레비전 방송, 라디오 방송 및 데이터 채널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채널 정보가 하나의 테이블 내에 다수의 셀 들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 및 선호채널 관리 기능을 갖는 단말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텔레비전 방송, 라디오 방송 및 데이터 채널 정보를 서로 다른 색상으로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 및 선호채널 관리 기능을 갖는 단말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테이블에 다수의 셀들로 배열된 선호채널 정보는 단말기의 현재 위치에 해당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 및 선호채널 관리 기능을 갖는 단말기.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수신부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igital Video Broadcasting-Handheld (DVB-H), Forward Link Only (FLO)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전송 규격에 따라 제공되는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 및 선호채널 관리 기능을 갖는 단말기.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편집 기능은 선호채널 편집 화면의 다수의 셀 중 선택된 하나에 상응하는 번호에 매핑된 선호 채널 정보에 따른 채널의 방송을 수신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 및 선호채널 관리 기능을 갖는 단말기.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편집 기능은 선호채널 편집 화면의 다수의 셀 중 선택된 하나에 상응하는 번호에 매핑된 선호 채널 정보를 삭제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 및 선호채널 관리 기능을 갖는 단말기.
  14. 제 1 항에 있어서, 하나의 테이블에 다수의 셀들로 배열된 선호채널 정보는 현재 시청 가능성에 대한 표시(indication)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 및 선호채널 관리 기능을 갖는 단말기.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시청 가능성의 표시(indication)는 색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 및 선호채널 관리 기능을 갖는 단말기.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현재 시청 불가능한 채널이라도 채널 재검색(re-search)을 통해 시청 가능함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도록 표시장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 및 선호채널 관리 기능을 갖는 단말기.
  17. 사용자의 입력신호에 따라 메뉴를 표시하는 과정;
    선호채널 설정이 선택되면, 다수의 셀로 이루어진 테이블 형태의 선호채널 설정 화면을 표시하고, 다수의 셀 중 선택된 특정 셀에 상응하는 번호와 소정의 디지털 방송 채널 정보를 매핑하여 저장하는 선호채널 설정과정;
    선호채널 편집이 선택되면, 다수의 셀로 이루어진 테이블 형태의 선호채널 편집 화면을 표시하고, 다수의 셀 중 선택되는 하나의 셀에 상응하는 번호와 매핑된 선호채널 정보에 연관되어 선택된 기능을 수행하는 선호채널 편집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디지털 방송 수신 단말기에서의 선호채널 관리 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셀 중 어느 하나의 셀에 대한 선택은 테이블 상에서 움직이는 포인터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 단말기에서의 선호채널 관리 방법.
  19. 제 17 항에 있어서, 매핑된 채널 정보를 표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 단말기에서의 선호채널 관리 방법.
  20.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선호채널 설정과정 중 다수의 셀 들 중에서 선택된 셀에 매핑된 채널 정보가 있는 경우, 매핑 정보를 변경할 수 있는 변경 메뉴를 표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 단말기에서의 선호채널 관리 방법.
  21.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선호채널 정보는 텔레비전 방송이나 라디오 방송 또는 데이터 방송 채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송 채널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 단말기에서의 선호채널 관리 방법.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선호채널 정보는 텔레비전 방송과 라디오 방송 및 데이터 채널의 색상을 서로 달리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 단말기에서의 선호채널 관리 방법.
  23.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선호채널 정보는 단말기의 현재 위치 정보에 상응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 단말기에서의 선호채널 관리 방법.
  24.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방송은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igital Video Broadcasting-Handheld (DVB-H), Forward Link Only (FLO)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전송 규격에 따라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 단말기에서의 선호채널 관리 방법.
  25.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선호채널 편집과정에서 선택된 기능은 매핑된 선호 채널 정보를 삭제하기 위한 삭제 기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 단말기에서의 선호채널 관리 방법.
  26.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선호채널 편집과정에서 선택된 기능은 매핑된 선호 채널 정보에 따른 채널의 방송을 수신하기 위한 수신 기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 단말기에서의 선호채널 관리 방법.
  27. 제 17 항에 있어서, 다수의 셀 들로 이루어진 상기 선호채널 정보는 현재 시청 가능성을 표시(indication)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 단말기에서의 선호채널 관리 방법.
  2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시청 가능성의 표시는 색상을 달리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 단말기에서의 선호채널 관리 방법.
  29. 제 27 항에 있어서, 현재 시청 불가한 채널이지만 채널 재검색(re-search)을 통해 시청 가능함을 표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 단말기에서의 선호채널 관리 방법.
  30.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선호채널 설정과정은 디지털 방송 수신 동작 중에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 단말기에서의 선호채널 관리 방법.
  31. 삭제
  32. 삭제
KR1020060038311A 2006-04-27 2006-04-27 디지털 방송 수신 및 선호채널 관리기능을 갖는 단말기 및 디지털 방송 수신 단말기에서의 선호채널 관리 방법 KR1008695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8311A KR100869507B1 (ko) 2006-04-27 2006-04-27 디지털 방송 수신 및 선호채널 관리기능을 갖는 단말기 및 디지털 방송 수신 단말기에서의 선호채널 관리 방법
CNA2007101026780A CN101064574A (zh) 2006-04-27 2007-04-26 用于接收数字广播和管理优选频道的方法和终端
EP07008695A EP1850586A3 (en) 2006-04-27 2007-04-27 Method and terminal for receiving digital broadcast and managing preferred channels
US11/741,544 US20070256101A1 (en) 2006-04-27 2007-04-27 Method and terminal for receiving digital broadcast and managing preferred channel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8311A KR100869507B1 (ko) 2006-04-27 2006-04-27 디지털 방송 수신 및 선호채널 관리기능을 갖는 단말기 및 디지털 방송 수신 단말기에서의 선호채널 관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5753A KR20070105753A (ko) 2007-10-31
KR100869507B1 true KR100869507B1 (ko) 2008-11-19

Family

ID=383186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8311A KR100869507B1 (ko) 2006-04-27 2006-04-27 디지털 방송 수신 및 선호채널 관리기능을 갖는 단말기 및 디지털 방송 수신 단말기에서의 선호채널 관리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070256101A1 (ko)
EP (1) EP1850586A3 (ko)
KR (1) KR100869507B1 (ko)
CN (1) CN101064574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7795B1 (ko) * 2008-05-09 2015-04-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채널 표시 방법
CN102572334A (zh) * 2011-12-13 2012-07-11 深圳市同洲电子股份有限公司 移动终端控制数字电视的方法、移动终端及系统
US10275532B2 (en) 2013-01-24 2019-04-30 Interdigital Ce Patent Holdings Method and system for content discovery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5379U (ko) * 1996-11-01 1998-08-05 배순훈 텔레비젼 채널의 단축 입출력장치
KR20030067848A (ko) * 2002-02-08 2003-08-19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채널변동정보 안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78043A (en) * 1996-08-14 1999-11-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TV graphical user interface that provides customized lists of programming
US7185355B1 (en) * 1998-03-04 2007-02-27 United Video Properties, Inc. Program guide system with preference profiles
EP1986425B2 (en) * 1998-07-17 2019-01-30 Rovi Guides, Inc. Interactive television program guide system having multiple devices within a household
CN1181685C (zh) * 1998-07-20 2004-12-22 卡纳尔股份有限公司 多信道数字电视系统及浏览方法
US7254823B2 (en) * 1998-08-21 2007-08-07 United Video Propertie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constrained selection of favorite channels
US6182287B1 (en) * 1999-02-04 2001-01-30 Thomson Licensing S.A. Preferred service management system for a multimedia video decoder
US7137136B1 (en) * 1999-09-10 2006-11-14 Canon Kabushiki Kaisha Signal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signal processing system, and printer
US6817027B1 (en) * 2000-03-31 2004-11-09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Display interface comprising a channel matrix
US20020144281A1 (en) * 2001-03-30 2002-10-03 Yuichi Taguchi Global multi media service system and apparatus
JP4096541B2 (ja) * 2001-10-01 2008-06-0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画面表示方法
US7464392B2 (en) * 2001-11-20 2008-12-09 Starz Encore Group Llc Viewing limit controls
KR100518825B1 (ko) * 2003-04-30 2005-10-06 삼성전자주식회사 실시간 채널 그룹핑 방법 및 그 장치
JP4352797B2 (ja) * 2003-07-07 2009-10-28 ソニー株式会社 受信装置および受信方法
US20050160458A1 (en) * 2004-01-21 2005-07-21 United Video Properties, Inc. Interactive television system with custom video-on-demand menus based on personal profiles
KR100651459B1 (ko) * 2004-10-11 2006-11-29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방송 수신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에서디지털 방송 채널 등록 및 표시방법
KR100713505B1 (ko) * 2005-10-24 2007-04-30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방송 수신 단말기의 선호 채널 공유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5379U (ko) * 1996-11-01 1998-08-05 배순훈 텔레비젼 채널의 단축 입출력장치
KR20030067848A (ko) * 2002-02-08 2003-08-19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채널변동정보 안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850586A2 (en) 2007-10-31
KR20070105753A (ko) 2007-10-31
CN101064574A (zh) 2007-10-31
EP1850586A3 (en) 2009-06-17
US20070256101A1 (en) 2007-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73924B2 (en) Method of linkage-viewing TV broadcasting program between mobile communication apparatus and digital TV, and mobile communication apparatus and digital TV thereof
US8355362B2 (en) Channel management for mobile multimedia terminal
KR101345662B1 (ko) 방송 관련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방송 수신가능한 휴대 단말기
US20070143797A1 (en) Efficient streamed content delivery to portable communications device
US20070199024A1 (en) Method for outputting digital broadcast in a digital broadcast reception device
EP1734750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eiving digital broadcasting
KR100869507B1 (ko) 디지털 방송 수신 및 선호채널 관리기능을 갖는 단말기 및 디지털 방송 수신 단말기에서의 선호채널 관리 방법
KR101402626B1 (ko) 방송수신장치 및 그 제어방법
EP1496692B1 (en) Digital television and channel setting method thereof
KR100780725B1 (ko)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프로그램 안내 정보 갱신 방법
KR100265884B1 (ko) 프로그램 가이드의 채널선택방법
JP4071595B2 (ja) 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
KR20060113622A (ko) Epg정보를 이용한 디지탈방송의 프로그램 선택방법
KR100599158B1 (ko) 빠른 탐색기능을 구비한 방송수신장치 및 그 방법
KR101707868B1 (ko) 선호 채널 리스트 표시 방법 및 그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
JP2007096401A (ja) 放送受信装置
JP2001078102A (ja) 番組表示装置
KR100686138B1 (ko) 영상기기의 채널 정보 디스플레이 방법
KR20050017870A (ko) 디지털 티브이에서 채널 탐색 방법
KR20080034608A (ko) 방송 채널 전환 기능을 갖는 이동형 디지털 방송용 단말기및 이를 이용한 방송 채널 전환 방법
JP4289061B2 (ja) テレビジョン受像機、操作端末装置およびチャンネルリスト設定システム、並びにチャンネルリスト設定方法
KR100991776B1 (ko) 디지털 티브이의 방송이름 설정장치 및 그 방법
KR101276827B1 (ko) 방송용 단말기 및 이를 위한 방송채널 선국 방법
KR20090075264A (ko) 디지털 텔레비전의 시청 이력 표시 방법
KR100246794B1 (ko) 프로그램 안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3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