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54332B1 - 무선 인터넷에서의 개인 메뉴 페이지 제공 방법 및 그시스템 - Google Patents

무선 인터넷에서의 개인 메뉴 페이지 제공 방법 및 그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54332B1
KR100854332B1 KR1020067012981A KR20067012981A KR100854332B1 KR 100854332 B1 KR100854332 B1 KR 100854332B1 KR 1020067012981 A KR1020067012981 A KR 1020067012981A KR 20067012981 A KR20067012981 A KR 20067012981A KR 100854332 B1 KR100854332 B1 KR 1008543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nu
user
menu page
page
perso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129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16216A (ko
Inventor
전성훈
고정환
Original Assignee
리얼네트웍스아시아퍼시픽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리얼네트웍스아시아퍼시픽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리얼네트웍스아시아퍼시픽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601162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62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43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43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3Querying, e.g. by the use of web search engines
    • G06F16/9537Spatial or temporal dependent retrieval, e.g. spatiotemporal quer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7Browsing optimisation, e.g. caching or content distillation
    • G06F16/9577Optimising the visualization of content, e.g. distillation of HTML documents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를 사용하여 무선 인터넷에 접속하는 경우, 시간 정보 및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파악하여 사용자가 해당 시간에 해당 위치에서 많이 사용한 메뉴에 대해서는 접근성이 높도록 구성한 개인 메뉴 페이지를 제공하는 개인 메뉴 페이지 제공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시스템에 대한 것이다.

Description

무선 인터넷에서의 개인 메뉴 페이지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Personalized Menu page in Wireless Internet}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무선 인터넷에서 개인 메뉴 페이지를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이동 통신 단말기를 사용하여 무선 인터넷에 접속하는 경우, 시간 정보 및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파악하여 사용자가 해당 시간에 해당 위치에서 많이 사용한 메뉴에 대한 접근성을 높인 개인 메뉴 페이지를 제공하는 개인 메뉴 페이지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있어서, 셀룰러 폰, PCS, PDA, 스마트폰, 핸드셋, 웹 TV와 같은 이동 통신 단말기는 휴대하고 다니면서 무선 인터넷에 접속하여 다양한 정보들을 문자나 이미지 형태로 제공받는 데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다. 또한, 최근 무선 인터넷 서비스는 CDMA-2000 망이나 IMT-2000 망이 상용화되어 보급됨으로써, 문자나 이미지 형태의 정보 제공 이외에도 동영상 등의 멀티미디어 정보의 제공도 이루어지고 있다.
현재 이동 통신 사업자 및 컨텐츠 제공 업체(CP : Contents Provider)들이 제공하는 각종 데이터 서비스의 대부분은 무선 애플리케이션 프로토콜(WAP : Wireless Application Protocol)을 기반으로 한 무선 인터넷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 다. 현재 무선 인터넷을 이용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는 음성 통신 위주의 목적으로 최적화되어 디스플레이의 크기가 작기 때문에 소량의 정보만을 일시에 표시할 수 있으며, 작은 키패드 또는 터치 스크린이 유일한 입력 수단이므로 사용이 불편하다. 따라서, 무선 인터넷의 정보 검색은 디렉토리 기반의 메뉴 방식에 의존하게 된다.
특히, 언급한 바와 같이 이동 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와 키패드가 작음을 고려하여, 컨텐츠 제공 업체가 디렉토리 기반의 계층적 메뉴를 구성함에 있어서는 각 메뉴에 포함되는 선택 항목들의 수는 적게 하여, 여러 단계에 걸쳐 원하는 컨텐츠에 접근하도록 하는 것이 통례이다.
도 1a는 무선 인터넷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계층적 메뉴 구성을 나타내는 구조도이다.
도 1a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무선 인터넷 메뉴는 다수의 메뉴 노드가 계층적 구조로 배열된 형태로 되어있다. 여기서 메뉴 노드란, 전체적인 메뉴 트리 내에서의 한 위치에 해당하는 것으로서, 사용자가 원하는 컨텐츠로 가기 위한 중간 단계의 메뉴 선택 페이지를 의미한다. 각 메뉴 노드는 하위 노드를 가지고 있으며, 최하위 노드는 컨텐츠 메뉴를 포함하고 있다. 그림에서 D1, E1, E2, F1, F2 및 G1은 컨텐츠 메뉴를 의미하며, A, B, C, D, E, F 및 G는 메뉴 노드를 의미한다. 또한, E2와 같이 일부 컨텐츠 메뉴는 접근을 위한 다양한 메뉴 노드를 가지고 있는 경우도 있다. 사용자는 원하는 컨텐츠에 접근하기 위하여 A 내지 G의 메뉴 노드를 거쳐야 한다. 각 메뉴 노드는 A에서 B와 C로, B에서 D와 E로, C에서는 F와 G로 순 차적으로 메뉴 노드가 분리되는 구조를 가진다.
도 1b는 무선 인터넷에서의 일반적인 계층적 메뉴 구성을 통하여 컨텐츠로 접근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화면이다.
사용자는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인터넷 접속 메뉴, 예컨대 SK 텔레콤의 'NATE', KTF의 'Magic-N', LG 텔레콤의 'Ez-i' 등을 통하여 무선 인터넷에 접속한다. 화면에 1A와 같이 첫번째 메뉴 노드에 의한 메뉴 화면이 나타나면, 사용자는 원하는 컨텐츠를 포함하고 있는 디렉토리를 이동 통신 단말기의 키패드를 이용하여 선택한다. 첫번째 메뉴 노드를 통하여 원하는 디렉토리가 선택되면, 그 하위에 있는 메뉴 노드에 의한 메뉴 화면이 나타난다. 예로서, 첫번째 메뉴 화면 1A에서 '3. 그림/포토/방송'을 선택하면, 1B와 같이 하위 메뉴 화면이 나타난다. 사용자가 두번째 메뉴 화면에서 '3. 그림 친구'를 선택하면, 그 하위의 메뉴 노드에 의한 메뉴 화면이 나타난다. 그리고, 만일 현재의 메뉴 노드가 최하위 메뉴 노드라면, 최하위 메뉴 노드에 연결되어 있는 각 컨텐츠가 디스플레이 된다.
도 1b에서 1C는 최하위 메뉴 노드에 의한 화면이고, 그림과 같이 '2. 새 그림'이 선택되면, 해당하는 컨텐츠가 문자, 그림 또는 동영상으로 디스플레이된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된 문자, 그림 또는 통영상 중 원하는 것을 선택하면 해당되는 컨텐츠가 이동 통신 단말기 상에서 실행된다.
이와 같은 메뉴 체계에 따르면, 사용자는 자신이 특정 컨텐츠를 이용하기 위해서, 매번 동일하게 제공되는 메뉴 체계에 따라 다단계의 메뉴 선택/확인 절차를 거쳐 원하는 컨텐츠로 접근하게 된다. 특히, 빈번하게 이용하는 컨텐츠가 여러 개 인 경우에는 상위 메뉴로 되돌아가 다시 메뉴 선택/확인 과정을 반복하게 된다.
이러한 반복되는 과정을 생략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하여, 무선 인터넷의 메뉴 구성 방식으로 숏컷 방식과 링크 순위 방식이 개발, 이용되고 있다.
숏컷은 사용자가 컨텐츠를 사용하는 빈도와 시간에 따라서 상위의 메뉴 노드에 컨텐츠로 직접 연결되는 경로를 추가로 제공하는 것을 말한다. 숏컷은 무선 서비스를 통하여 자동으로 생성될 수도 있으며, 사용자가 자신이 주로 이용하는 컨텐츠를 등록하여 연결하는 My page 또는 바로 가기를 통해 수동으로 등록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2a는 무선 인터넷에서 숏컷 방식에 의한 메뉴 구성을 나타내는 구조도이다.
도에서 보여지듯이, 도 2a의 숏컷 방식에 의한 구조는 도 1a의 일반적인 구조와 동일한 형태로 배열되지만, 몇 개의 메뉴 노드에는 숏컷 경로가 포함되기도 한다. 도 2a에서는 A의 메뉴 노드에 E2, G1으로 가는 숏컷 경로가 연결되어 있으며, B의 메뉴 노드에는 E2로의 숏컷 경로가, C의 메뉴 노드에는 G1으로의 숏컷 경로가 연결되어 있다. A와 같이 각 메뉴 노드는 다수 개의 숏컷을 가질 수도 있다.
도 2b는 무선 인터넷에서의 숏컷 메뉴 구성을 통하여 컨텐츠로 접근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화면이다.
사용자가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무선 인터넷에 접속하면, 화면에 2A와 같이 첫번째 메뉴 노드에 의한 메뉴 화면이 나타난다. 이 때, 숏컷 경로도 포함 되어 나타난다. 2A에서는 '3. 그림/포토/방송'의 메뉴에 '새 그림'과 '라이브 방송'으로 가는 숏컷이 포함되어 있다.
사용자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키패드를 이용하여 컨텐츠로 바로 연결되는 숏컷을 선택하거나, 원하는 컨텐츠를 포함하는 하위 디렉토리를 선택한다. 2A에서는 하위 디렉토리인 '3. 그림/포토/방송'을 선택하면, 2B와 같이 하위 메뉴 노드에 의한 화면이 나타난다. 사용자가 2B에 나타난 것과 같이 숏컷 메뉴인 '새 그림'을 선택하면, 2C와 같이 '새 그림'에 해당하는 컨텐츠가 화면에 디스플레이된다. 이와 같이 숏컷 방식을 통하여 사용자는 원하는 컨텐츠를 바로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다.
링크 순위 방식은 사용자의 선호도에 따라, 접속 횟수, 사용 시간, 사용 주기, 사용 금액 등에 따라 그 순서를 변경하는 방식이다.
도 3a는 무선 인터넷에서의 각 컨텐츠 별로 사용자들의 이용 비율을 나타낸 표이다.
시스템에서는 각 컨텐츠 메뉴, D1, E1, E2, F1, F2 및 G1의 사용자별 이용 비율을 계산한다. 만일, 제 1 사용자는 표와 같이 D1과 E1은 이용하지 않고, F1은 10%, F2와 G1은 20%, E2는 50%의 이용 비율을 가지고, 제 2 사용자는 E1, F1, G1을 10%, D2, F2를 20%, E2를 30%의 이용 비율을 가지며, 제 3 사용자는 D1은 0%, G1은 10%, E1, E2, F2는 20%, F1은 30%를 이용하였다면, 총 사용자에 의한 각 컨텐츠의 이용 비율은, E2, F2, F1, G1, E1, D1의 순서가 된다.
이와 같이 사용자의 이용 비율에 따른 순서가 정해지면, 무선 인터넷에서는 그 이용 비율에 따른 순서대로 메뉴를 구성한다.
도 3b는 무선 인터넷에서 링크 순위 방식에 의한 메뉴 구성을 나타내는 구조도이다.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하여 앞에서 정해진 사용자의 이용 비율에 따른 순서대로 컨텐츠가 배열된다. 따라서, 컨텐츠는 E2, F1, F2, G1, E1, D1의 순으로 나열되고, 그에 접근하는 경로 또한 재배열된다. 가장 많이 이용되는 E2, F1, F2로 접근하는 F는 동일한 메뉴 노드 내의 G보다 우선하여 배치된다. 또한, 동일한 메뉴 노드 안에 위치한 E1, E2로 접근하기 위한 E는 D1으로 접근하기 위한 D보다 우선하여 배치된다. 그리고, 상위 노드 B와 C 또한 그 이용률에 따라 C와 B로 재배치된다.
도 3c는 무선 인터넷에서의 링크 순위 방식을 통하여 컨텐츠로 접근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화면이다.
사용자가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무선 인터넷에 접속하면, 화면에 3A와 같이 첫번째 메뉴 노드에 의한 메뉴 화면이 나타난다.
원래는 도 1b에서의 1A와 같이,'1. 메일/포토/채팅', '2. 마이벨/뮤직', '3. 그림/포토/방송', '4. 게임 Zone'의 순으로 이루어져 있으나, 사용자들의 이용률에 따라 3A와 같이 '1. 그림/포토/방송', '2. 게임 Zone', '3. 메일/포토/채팅', '4. 마이벨/뮤직' 순으로 순서가 변경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원하는 컨텐츠를 포함하는 '1. 그림/포토/방송'를 선택하면, 그 하부 메뉴 노드 또한 3B 및 3C와 같이 이용률에 따라 재배치된다.
따라서, 이와 같이 링크 순위 방식을 이용하면, 사용자들이 주로 사용하는 컨텐츠는 윗부분에 위치할 확률이 높아 원하는 컨텐츠를 검색하기 위하여 화면창을 아래까지 내려야 하는 번거로움이 없어져서 선택이 편리해진다.
그러나, 이와 같이 숏컷 방식과 링크 순위 방식도 여러 단계를 거쳐야 하며, 사용자 개인의 선호도에 의한 컨텐츠의 배열이 아닌, 사용자 전체의 선호도에 대하여 컨텐츠 배열이 되어 있어, 원하는 컨텐츠가 항상 윗 부분에 위치한다는 보장은 없다. 또한, 다른 사용자들이 별로 사용하지 않는 컨텐츠를 이용하는 사용자에게는 도리어 불편함으로 작용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직접 원하는 숏컷을 수동으로 생성하는 방법도 제공되고 있으나, 사용자는 일일이 숏컷 메뉴를 지정하는 것에 대하여 귀찮다는 생각을 하게 한다.
또한, 위와 같은 숏컷 방식 및 링크 순위 방식은 시간 및 장소와는 상관없이 항상 같은 컨텐츠 배열이 이루어지므로, 시간 및 장소 별로 다른 컨텐츠를 이용하는 사용자에게는 시간에 따라, 또는 장소에 따라 요구되는 특정 컨텐츠로의 접근을 편리하게 하는 새로운 방법이 요구된다.
도 1a 및 도 1b는 일반적인 무선 인터넷의 계층적 메뉴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a 및 도 2b는 무선 인터넷의 메뉴 구성에 있어서 숏컷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a, 도 3b 및 도3c는 무선 인터넷의 메뉴 구성에 있어서 링크 순위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이동 통신 단말기를 통한 무선 인터넷으로의 접속 과정을 나타낸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개인 메뉴 페이지를 제공하는 시스템의 구조를 나타낸 블럭도,
도 6은 개인화 추천 엔진부에서 생성하는 추천 링크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시간별, 위치별 메뉴 페이지의 각 메뉴의 선택 빈도를 산출하기 위한 표,
도 8a 및 도 8b는 종래의 메뉴 페이지와 본 발명에 따라 개인화되어 제공되는 개인 메뉴 페이지를 비교 설명하기 위한 단말기 화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개인 메뉴 페이지를 제공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기술적 과제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를 사용하여 무선 인터넷에 접속하는 경우, 사용자의 시간 정보, 위치 정보를 파악하여 해당 시간 및 해당 장소에서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는 메뉴에 대한 접근성을 높인 개인 메뉴 페이지를 제공하는 개인 메뉴 페이지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기술적 해결방안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사용자별로 지정 위치에 대한 지정 위치 정보 및 상기 지정 위치 정보와 연관된 개인 메뉴 페이지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를 유지하는 단계(상기 개인 메뉴 페이지는 소정의 컨텐츠를 선택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메뉴를 포함하고, 상기 메뉴의 구성은 사용자별로 결정됨), 상기 사용자가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무선 인터넷에 접속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파악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사용자가 지정 위치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판단 결과, 상기 사용자가 지정 위치에 있는 경우,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지정 위치와 연관된 개인 메뉴 페이지를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검색된 개인 메뉴 페이지를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별로 지정 시간 및 지정 위치와 연관된 개인 메뉴 페이지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를 유지하는 단계(상기 개인 메뉴 페이지는 소정의 컨텐츠를 선택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메뉴를 포함하고, 상기 메뉴의 구성은 사용자별로 결정됨), 상기 사용자가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무선 인터넷에 접속하는 경우, 상기 접속 시점 및 상기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파악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접속 시점 및 상기 현재 위치와 연관된 메뉴 페이지를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검색된 페이지를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메뉴 페이지 제공 방법을 제공한다.
발명의 실시를 위한 형태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개인 메뉴 페이지 제공 시스템은 GPS와 같은 터미널 기반, 혹은 네트워크 기반 기법 등을 사용하여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사용자가 사용했던 메뉴를 시간대별로 재구성함으로써, 사용자가 무선 인터넷을 통해 정보 검색을 하는 경우, 해당되는 시간 및 장소에서 가장 적합한 메뉴 구성을 갖는 개인 메뉴 페이지를 재구성하여 제공하는 시스템이다.
도 4는 이동 통신 단말기를 통한 무선 인터넷으로의 접속 과정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무선 인터넷 접속 시스템은 이동 통신 단말기(410), 이동 통신망(420), 인터넷(440) 및 CP 서버(450)로 이루어지며, 이동 통신망(420)은 무선 교환기(422), 망간 연동 장치(IWF : Inter-Working Function, 이하 'IWF'라 칭함)(424), WAP 게이트웨이(426) 및 무선 인터넷 게이트웨이(WIG : Wireless Internet Gateway, 이하 'WIG'라 칭함)(430)로 이루어진다.
이동 통신 단말기(410)는 이동 통신망(420)을 통하여 상대방과 음성 통화 및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단말기로서, 무선 인터넷 접속 프로토콜인 무선 어플리케이션 프로토콜(WAP : 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HTTP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HTML에 기반한 MIE(Microsoft Internet Explorer), 핸드헬드 디바이스 트랜스포트 프로토콜(HDTP : Handheld Device Transport Protocol), NTT DOKOMO사의 i-Mode 또는 SK 텔레콤사의 'NATE' 등과 같은 인터넷 접속용 브라우저를 이용하여 이동 통신망(420)을 경유하여 인터넷(440)에 접속한다. 이동 통신 단말기(110)에서 사용하는 인터넷 접속 프로토콜 중에서 MIE는 HTML을 약간 변형시켜 축약한 m-HTML을 사용하고, i-Mode의 경우에는 HTML의 서브세트인 콤팩트 HTML(c-HTML)이라는 언어를 사용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이동 통신 단말기(410)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셀룰러폰, PCS(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폰, GSM(Global System for Mobile)폰,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폰, CDMA-2000폰, MBS(Mobile Broadband System)폰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MBS폰은 현재 논의되고 있는 제 4세대 시스템에서 사용될 핸드폰을 말한다.
무선 교환기(422)는 GPS로부터 위도와 경도 등의 정보를 얻고 이를 이동 통신 단말기(410)로 순방향 링크 호출 채널의 시스템 파라미터 메시지를 통하여 전송함으로써 이동 통신 단말기(410)의 위치 정보를 확인한다. 또한, 무선 교환기(422)는 가입자 정보를 분석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410)의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하여 IWF(424)와 연결시킨다. 무선 교환기(422)는 하나의 중앙 교환기(CGS : Central Gateway Switch)와 이에 접속된 다수의 무선 교환기를 포함할 수 있지만, 간략하게 표시하기 위하여 교환기를 하나만 도시한다.
IWF(424)는 무선 통신 시스템과 유선 통신 시스템 사이의 데이터 교환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각 망에 적합한 형태로 프로토콜, 신호 및 데이터를 변환하는 기능을 한다.
WAP 게이트웨이(426)는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프로토콜 스택을 WAP 프로토콜 스택으로 변환하고 역으로 WAP 프로토콜 스택을 HTTP 스택으로 변환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WAP 게이트웨이(426)는 WIG(430)를 통해서 유선 인터넷에 연동된다.
또한, 무선 인터넷 접속 경로를 구성함에 있어서, WAP 게이트웨이(426)을 대신하여 Proxy 서버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Proxy 서버는 무선 인터넷을 통한 정보 제공시 발생하는 정체 현상을 피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많이 이용하는 왑 사이트 정보를 따로 저장해두었다가 사용자가 접속하면 실제 왑 사이트가 있는 서버까지 가지 않고 Proxy 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를 제공하는 장치이다. Proxy 서버는 네트워크의 트래픽을 감소시켜 데이터 전송 시간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사용되며, 방화벽 기능을 이용하여 허가받지 않은 사용자의 접근을 제한하는 것도 가능하다.
WIG(430)는 도메인네임(DNS : Domain Name System) 서버(432), WAP 서버(434), 데이터베이스부(436) 및 WEB 서버(438)를 포함한다.
DNS 서버(432)는 인터넷 상의 도메인 네임과 이에 대응하는 IP 주소에 관한 데이터베이스를 유지하며, IWF(424) 또는 WAP 게이트웨이(426)가 질의하는 도메인 네임에 대한 IP 주소를 제공함으로써, IWF(424) 또는 WAP 게이트웨이(426)가 유선 인터넷을 통해 CP 서버(450)에 접속할 수 있게 해준다.
WAP 서버(434)는 무선 인터넷 접속 메뉴를 구성하여 WAP 게이트웨이(426)를 통해 이동 통신 단말기(410)에 제공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르면, WAP 서버(434)는 접속 메뉴를 구성함에 있어 데이터베이스부(436)에 저장된 정보를 토대로 각 개인에게 위치 및 시간에 따라 최적화된 개인 메뉴 페이지를 자동으로 생성하여 제공하게 된다. 이와 같이 WAP 서버(434)에서 구성된 개인 메뉴 페이지의 재구성은 관리자가 정한 주기(예컨대, 1개월 또는 1주일), 또는 사용자가 정한 주기 단위로 수행되며, 이에 따라 사용자는 자신의 사용 패턴에 따라서 지속적으로 자신에게 최적화된 개인 메뉴 페이지를 제공 받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개인 메뉴 페이지"는 소정의 컨텐츠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인 메뉴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의 사용 패턴을 지역 또는 시간별로 분석하고, 그 분석 결과를 반영하여 결정된 메뉴 구성을 갖는 메뉴 페이지를 의미한다.
이러한 개인 메뉴 페이지는, 상기 사용자가 직접 자신에게 제공되는 메뉴 페이지의 메뉴 구성을 지정한 "개인 지정 메뉴 페이지"와는 구별되는 개념이다. 개인 지정 메뉴 페이지를 생성하는 과정에서는 상기와 같은 분석 과정은 불필요하다.
데이터베이스부(436)는 사용자의 개인별 정보, 즉 사용 시간, 사용 요금, 사용 주기, 사용자의 메뉴 선호도(즉, 상기 메뉴를 선택하는 경우 제공되는 컨텐츠에 대한 선호도) 또는 사용자가 사전에 정해놓은 시간대 및 장소를 저장하고 있다.
WEB 서버(438)는 유선 클라이언트로부터 요구가 있는 경우, WIG(430)가 보유 하고 있는 컨텐츠를 HTTP 프로토콜에 따라 유선 인터넷을 통해 유선 클라이언트에게 제공한다.
인터넷(440)은 무선 인터넷 접속시 이동 통신 단말기(410)가 이동 통신망(420)을 거쳐 CP 서버(450)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접속 경로를 제공하는 통신망이다.
CP 서버(450)는 이동 통신 단말기(410)로 제공되는 대부분의 컨텐츠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일정 범위의 컨텐츠는 WIG(430)가 보유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컨텐츠는 WAP 서버(634)를 통해 이동 통신 단말기(410)로 직접 전달된다.
또한, CP 서버(450)는 컨텐츠의 제공을 위해 WAP 서버(434)와 인터넷(440)을 통해 접속되는데, 이러한 CP 서버(450) 중 일부는 전용선에 의해 직접 접속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개인 메뉴 페이지를 제공하는 시스템의 구조를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5의 데이터베이스(436)은 개인 메뉴 페이지 구성 및 제공을 위하여 채택될 수 있는 데이터 구조의 일례를 도시하고 있다.
왑 페이지 제공 시스템은 출판 및 요청 처리부(502), 개인 메뉴 페이지부(504), 관리 프로그램부(506), 개인화 추천 엔진부(508) 및 데이터베이스부(436)를 포함하며, 데이터베이스부(436)는 왑 사이트 & 컨텐츠 정보 DB(510), 메타 데이터 DB(512), 단말 프로파일 정보 DB(514), 고객 프로파일 정보 DB(516), 고객 이용 정보 DB(518), 개인화 추천 정보 DB(520) 및 위치 정보/시간 정보 DB(522)를 포함할 수 있다.
출판 및 요청 처리부(502)는 이동 통신망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컨텐츠를 선택하기 위한 메뉴를 포함하는 메뉴 페이지 처리 요청을 받아, 사용자의 이동 통신 단말기(410)의 특성과 사용자의 처리 요구에 맞게 가공된 메뉴 구성을 갖는 메뉴 페이지를 제작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기능을 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마크업 언어 등을 이용하여 상기와 같은 메뉴 페이지를 제작하는 것을 '출판'이라고 부른다. 또한, 출판 및 요청 처리부(502)는 사용자 개인의 선호도 생성과 분석에 필요한 로그 정보기록을 생성 및 저장하는 기능을 한다.
개인 메뉴 페이지부(504)는 출판 및 요청 처리부(502)의 요청에 따라 사용자의 메뉴 페이지 이용 패턴과 이동 통신 단말기(410)의 특성, 추천 정보 등을 데이터베이스부(436)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동적으로 변경되는 페이지 구조를 조합함으로써 메뉴 페이지를 구성하여 제공하는, 사용자 개인의 이용 내역과 특성에 따른 동적 개인 메뉴 페이지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사용자 요청 시 이동 통신 단말기(410)로부터 얻어온 사용자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데이터베이스부(436)에 있는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위치에 맞는 메뉴 구성을 갖는 개인 메뉴 페이지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관리 프로그램부(506)는 사용자가 검색하게 될 왑 사이트의 기본 구조를 구성하며, 내부적인 왑 사이트에 대한 페이지 정보와 링크 정보, 화면 구성 및 디자인, 컨텐츠 제공 업체(CP)와의 링크 정보를 관리하게 된다. 또한, 관리 프로그램부(506)는 사용자의 검색 기록 정보에 대한 리포트 생성 및 디스플레이 크기, 기종, 무선 인터넷 접속 속도 등과 같은 이동 통신 단말기(410) 특성과 정보의 성격에 따 라 개인화 적용 방식에 대한 옵션을 설정하도록 구성된다.
개인화 추천 엔진부(508)는 사용자의 이용 패턴과 성향을 여러 가지 분석학적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분석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추천 정보를 산출하여 추천 링크를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개인화 추천 엔진부(508)는 사용자가 무선 인터넷을 통하여 접속한 경우, 상기 접속 시점이 지정된 시간인지, 또는 상기 접속 위치가 지정된 위치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지정된 시간 또는 지정된 위치인 경우에는 개인 메뉴 페이지를, 그 외의 경우에는 일반 메뉴 페이지를 제공하도록, 출판 및 요청 처리부(502)를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왑 사이트 & 컨텐츠 정보 DB(510)는 왑 사이트를 구축하는데 필요한 왑 페이지의 주소와 유향 비순환 그래프의 형태로 이루어진 왑 사이트의 구조, 왑 페이지 명이 저장된다. 그리고, 왑 사이트 정보는 단일 서버에 위치한 페이지들뿐만 아니라 다수 서버에 분산되어 컨텐츠 제공 업체(CP)의 컨텐츠 왑 사이트로 연결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왑 사이트 & 컨텐츠 정보 DB(510)에서는 이러한 서버에 분산되어 있는 왑 페이지와 링크 정보 그리고 왑 페이지 내에 존재하는 다른 객체의 정보들이 저장된다.
메타 데이터 DB(512)는 왑 페이지에 대한 관리, 검색 및 분석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왑 페이지에 대한 설명, 분류 정보, 생성일, 수정 변경일 등이 저장된다.
단말 프로파일 정보 DB(514)는 사용자가 보유한 각 이동 통신 단말기(410)의 브라우저 정보, 디스플레이의 크기, 해상도, 지원 소프트웨어 환경 등 특성 정보를 저장하며, 개인화 정보가 제공될 때 이 특성 정보를 활용하여 해당 이동 통신 단말기(410)에 적합한 형태의 정보를 제공하도록 도와준다.
고객 프로파일 정보 DB(516)는 사용자를 인식할 수 있는 고유 번호, 즉, 이동 통신 단말기(410)의 전화 번호, 사용자 ID 또는 이동 통신 단말기(410)의 일련 번호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가입 정보와 설정 정보, 그리고 성별, 연령 직업 등 사용자의 개인 정보가 저장된다. 여기서, 단말 및 고객 정보 프로파일 정보는 CC/PP(Composite Capability and Preference Profile) 또는 UAProf(User Agent Profile) 같은 규약을 통해 전송 받을 수 있다.
고객 이용 기록 DB(518)는 사용자의 이동 통신 단말기(410)를 통해 검색한 왑 페이지 사용 기록을 분석하여 개인화에 적합한 형태로 저장하여 보관하는 역할을 한다.
개인화 추천 정보 DB(520)는 개인화 추천 엔진부(508)를 통해 고객이용 기록 DB(518)에서 생성된 개인화 정보를 저장하고, 저장된 개인화 정보를 개인 메뉴 페이지부(504)에 제공하는 기능을 한다.
위치 정보/시간 정보 DB(522)는 위치 정보를 나타내기 위한 LID(Location ID)와 시간 정보를 나타내기 위한 TID(Time ID)를 관리하는 부분이다. LID와 TID는 시스템 지정 값과 사용자 지정 값으로 나뉘어 관리되는데, 시스템 지정 LID는 전국을 의미 있는 최소 단위로 분할한 값이며, 사용자 지정 LID는 각 사용자가 자신에게 의미 있다고 판단되는 지역을 저장해 놓은 값이다. 또한, 시스템 지정 TID는 24 시간을 의미 있는 최소 단위로 분할한 값이며, 사용자 지정 TID는 사용자가 관리하고자 설정해 놓은 시간 값을 말한다.
도 6a는 개인화 추천 엔진부(508)에서 생성하는 추천 링크 방식에 의한 메뉴 구성을 나타내는 구조도이다.
추천 링크의 생성은 사용자들이 소정의 컨텐츠를 제공 받기 위한 메뉴의 선택의 동시 발생 횟수를 분석하거나, 해당되는 메뉴를 선택한 동질적인 다른 사용자들이 주로 사용하는 다른 메뉴를 찾고 이를 분석하여 상기 메뉴에 우선권을 부여하여 메뉴 구성을 하는 방식으로 될 수 있다.
개인화 추천 엔진부(508)에서는 페이지 링크간의 유사성, 사용자간의 유사성 등을 고려한 규칙 기반 필터링 또는 협업 필터링 등의 정보 필터링 알고리즘, 사례 기반 추론, 규칙 기반 추론 등의 추론 알고리즘, 연관성 분석, 클러스터링 등의 데이터 마이닝 알고리즘 등의 여러 가지의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선호도나 사용 패턴을 분석한다.
도 6a에서 보여지듯이 추천 링크는 직접적인 링크를 갖고 있지 않은 D와 F 사이에 새로운 링크가 연결되어, D의 메뉴 화면이 출력될 때 F로 연결되는 링크가 메뉴 화면에 추가되어 나타나며, 반대로 F의 메뉴 화면이 출력되는 경우에도 D로 연결되는 링크가 나타나게 된다.
그리고, 추천 링크는 D와 F처럼 두 메뉴 노드 간에 쌍방향으로 생성되어야 하는 것만은 아니며, E와 G의 관계에서 보여지듯이 단방향 링크가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E에서 G로만 전개되는 단방향 링크가 형성되어 있어서, E의 메 뉴 화면이 출력될 때에서는 G로의 링크가 메뉴 화면에 추가되어 나타나지만, G의 메뉴 화면이 출력되는 경우에는 E로의 링크가 출력되지 않는다.
도 6b는 무선 인터넷에서 추천 링크 방식에 의해 컨텐츠로 접근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화면이다.
사용자가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무선 인터넷에 접속하면, 화면에 6A와 같이 첫번째 메뉴 노드에 의한 메뉴 화면이 나타나고, 사용자는 원하는 컨텐츠를 포함하고 있는 디렉토리를 이동 통신 단말기의 키패드를 이용하여 선택한다. 예로서, 첫번째 메뉴 화면 6A에서 '4. 게임 Zone'을 선택하면, 6B와 같이 '4. 게임 Zone'의 하위 메뉴 화면이 나타난다. 또한, 메뉴 화면의 하단에는 '4. 게임 Zone'의 하위 메뉴는 아니지만, '4. 게임 Zone'과 연관된 추천 메뉴인 '게임 뉴스' 및 '게임 커뮤니티'가 디스플레이된다. 사용자는 추천 메뉴인 '게임 뉴스'나 '게임 커뮤니티'를 이용하여 해당하는 컨텐츠로 접근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7의 6B와 같이 연관된 추천 메뉴를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며, '4. 게임 Zone'를 많이 이용한 사용자들을 분석하여, 해당되는 사용자들이 많이 이용한 메뉴를 추천 메뉴로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개인화 추천 엔진부(508)에서 생성하는 추천 링크 방식에 의해 메뉴 페이지를 구성함에 있어서, 다른 사용자들을 분석한 추천 링크 방식만을 이용하여 메뉴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추천 링크 방식에 의한 메뉴, 사용자 개인이 자주 접속하는 선호 메뉴, 사용자가 미리 지정해 놓은 개인별 숏컷 메뉴를 모두 포함한 메뉴 페이지를 구성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시간별, 위치별 메뉴 페이지의 각 메뉴의 선택 빈도를 산출하기 위한 표이다.
앞에서 언급한 위치 구분자 LID 및 시간 구분자 TID와 더불어, 사용자의 아이디를 UID라고 하고, 사용자가 선택된 메뉴 정보를 PID라고 하면, 본 발명에 따른 개인 메뉴 페이지를 제공하는 시스템은 과거 사용자들이 사용한 PID의 사용 선호도를 TID, UID, LID 별로 누적해둔다.
도 7의 표에서 각 페이지는 시간 구분자 TID에 의해 시간 별로 T1, T2, T3의 페이지로 구분되어 있으며, 각 TID에 의한 페이지의 가로 행은 위치 구분자 LID에 의해 분류되어 있으며, 세로 열은 사용자가 선택된 메뉴 PID에 의해 분류되어 있다.
일정 시간 T1에 사용자는 L1의 위치에서 메뉴 P1은 1번, P2는 2번, P3는 4번 사용하였고, P4는 사용하지 않았다. 이에 대한 사용 비율은 아래쪽의 표에서와 같이 각각 10%, 30%, 60%, 0%이다.
L2의 위치에서 각 메뉴 사용 현황은 P1이 1번, P2는 0번, P3가 5번, P4가 4번이며, 사용 비율은 10%, 0%, 50%, 40%이다. 이와 같이 각각의 위치 구분자 LID에 대하여 각 메뉴 PID의 사용 횟수 또는 사용 비율을 구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가 유의미한 장소 및 시간대를 지정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L2 장소를 특정 장소로 지정하면, 지정한 L2 장소에서 T1 시간에 무선 인터넷을 접속한 경우에는 개인 메뉴 페이지는 사용자가 주로 이용하는 P3, P4, P1, P2의 순으로 배열된다. 여기서 사용자가 지정할 수 있는 유 의미한 장소는 하나로 국한되지 않는다. 사용자가 L2를 거주지, L3를 근무지로 지정하여 사용자가 거주지에 있는 경우에는 L2에 따른 개인 메뉴 페이지를, 근무지에 있는 경우에는 L3에 따른 개인 메뉴 페이지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지정된 장소 이외에서의 메뉴 페이지는 개인화 추천 엔진부에서 생성하는 추천 링크 구성 방식에 따르는 일반 메뉴 페이지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일반 메뉴 페이지라는 용어는, 사용자별로 소정의 시간대 또는 위치에서의 상기 사용자의 메뉴 선택 성향을 고려하여 생성되는 개인 메뉴 페이지와는 달리, 복수의 사용자들 또는 전체 사용자들에게 공통적인 메뉴 구성을 갖는 메뉴 페이지를 의미한다.
또한, 사용자가 장소를 지정하는 방법 외에도, 사용자가 접속을 한 장소에서는 사용 비율에 따라 메뉴를 구성한 개인 메뉴 페이지를 제공하고, 사용자가 접속했던 기록이 없는 장소에서는 일반 메뉴 페이지를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메뉴 노드 구성은 도 3b와 유사하다. 그러나, 메뉴 노드 구조는 도 3b와 같은 하나의 구조로 되어있는 것이 아니고, 시간별, 장소별로 여러 개의 메뉴 노드 구조를 가진다. 따라서, 한 개인에게 도 3b와 같은 메뉴 노드 구조를 시간과 장소에 따라 여러 개 가지고 있다. 예를 들면, 한 개인에 대해 '(지정된 시간의 수×지정된 위치의 수)+지정된 시간의 수+지정된 위치의 수+1'개의 메뉴 노드를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 여기서 '지정된 시간의 수×지정된 위치의 수'는 사용자가 지정된 시간에 지정된 위치에 있는 경우 제공되는 개인 메뉴 페이지의 수이다. 또한, '지정된 시간의 수'는 시간은 지정된 시간이지만 위치는 지정된 곳 이 아닌 경우에 제공되는 개인 메뉴 페이지의 수이며, '지정된 위치의 수'는 미지정된 시간에 지정된 위치에 있는 경우 제공되는 개인 메뉴 페이지의 수이며, '1'은 추천 링크 방식에 의해 제공되는 메뉴 페이지를 의미한다. 여기서 각 시간과 장소에 따라 구성되는 메뉴 페이지는 미리 생성되어 저장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의 접속 상황을 반영하여 개인 메뉴 페이지부(504)에서 동적으로 생성된다.
도 8a는 종래의 메뉴 페이지 구성에 따라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음식점을 찾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의 예이다.
사용자가 강남 지역의 양식 음식점을 찾으려는 경우, 이동 통신 단말기(410)를 통하여 무선 인터넷에 접속하면, 도 8의 8A와 같은 메뉴 화면이 나타나고, 메뉴 중 '4. 교통/위치'를 통해 사용자는 해당 지역의 교통/위치 정보 검색창에 들어간다. 도 8의 8B의 화면에서 사용자는 음식점을 찾기 위하여 '상가 찾기' 메뉴로 들어가면, 도 8의 8C와 같이 해당 지역을 선택하는 메뉴 화면이 나타난다. 사용자는 먼저 대단위 지역 '서울'을 선택하고, 도 8의 8D와 같은 단계를 거쳐 상세 지역 '강남구'를 선택한다. 상세 지역까지의 입력이 완료되면, 도 8의 8E의 화면을 통하여 원하는 음식점의 종류를 선택하게 된다. 사용자가 '2. 양식' 음식점을 선택하면, 양식 음식점이 도 8의 8F와 같이 차례로 나타나게 되고, 사용자는 정보를 원하는 음식점을 선택하여 해당 음식점에 대한 컨텐츠 정보를 얻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르면 메뉴 페이지 구성은 도 8b와 같이 단순해진다.
사용자가 미리 지정된 해당 장소, '강남구'에서 무선 인터넷에 접속하면, 도8의 8G와 같은 메뉴 구성이 이루어진다. 메뉴 구성은 사용자가 특정 시간 TID에 특 정 장소 LID에서 주로 사용하던 메뉴에 우선권을 부여한다.
본 발명에 따른 메뉴 페이지 제공 방법은, 지정 장소에서 상기 사용자가 소정의 메뉴를 선택하는 성향을 고려하여 개인 메뉴 페이지를 생성한다.
상기 성향은 사용자 선호도로 측정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선호도는 상기 지정 장소에서 상기 사용자가 상기 개인 메뉴 페이지에 포함된 메뉴를 선택한 빈도, 상기 메뉴를 선택하여 소정의 서비스(예를 들면, 게임 서비스, 음악 서비스 또는 검색 서비스 등)를 제공 받는 경우 상기 서비스 이용 시간, 상기 서비스를 제공 받는 경우 상기 사용자가 지불하는 서비스 이용 요금 등을 반영하여 산출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빈도, 상기 서비스 이용 시간, 상기 서비스 이용 요금 중 어느 하나만을 반영하여 사용자 선호도를 산출할 수 있고, 상기 빈도 등을 복합적으로 고려하여 사용자 선호도를 산출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개인 메뉴 페이지부(504)는 일정 기간 동안 상기 지정 장소에서 소정의 메뉴에 대해 상기 빈도, 상기 서비스 이용 시간, 또는 상기 서비스 이용 요금을 각각 산출하고, 상기 빈도 등에 가중치를 부여하여, 상기 지정 장소에서 상기 메뉴에 대한 사용자 선호도를 산출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가중치는 소정의 메뉴에 대해 다른 메뉴와의 관계에서 상대적인 빈도, 상대적인 서비스 이용 시간, 상대적인 서비스 이용 요금 등을 산출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소정의 메뉴 페이지가 제1 메뉴, 제2 메뉴 및 제3 메뉴라는 3개의 메뉴를 제공하는 경우, 상기 사용 자가 단위 기간 동안 상기 제1 메뉴를 3번, 상기 제2 메뉴를 2번, 상기 제3 메뉴를 5번 선택했다고 하면, 상기 각 메뉴에 대한 상대적인 빈도는 제1 메뉴에 대해서는 3/(3+2+5)=0.3, 제2 메뉴에 대해서는 2/(3+2+5)=0.2, 제3 메뉴에 대해서는 5/(3+2+5)=0.5가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가중치는 빈도, 이용 시간, 이용 요금간의 단위 차이를 조정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기중치는 빈도, 이용 시간 이용 요금 중에서 어느 하나를 사용자 선호도에 더 반영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개인 메뉴 페이지부(504)는 상기 사용자가 메뉴를 선택하는 최근의 성향을 반영하기 위해 단위 기간별로 단위 기간 사용자 선호도를 이용하여 사용자 선호도를 산출할 수도 있다. 이하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개인 메뉴 페이지부(504)는 각 메뉴별로 단위 기간 사용자 선호도를 산출한다. "단위 기간 사용자 선호도"는 단위 기간 동안의 빈도, 서비스 이용 시간, 또는 서비스 이용 비용을 이용하여 산출된 사용자 선호도를 의미한다. 단위 기간을 1일로 설정하는 경우, 개인 메뉴 페이지부(504)는 매일 단위 기간 사용자 선호도를 선출한다. 따라서, 오늘의 단위 기간 사용자 선호도는, 오늘 하루 동안 상기 사용자가 상기 지정 장소에서 해당 메뉴를 선택한 횟수, 상기 메뉴를 선택하여 제공된 서비스를 이용한 시간, 상기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지불하는 요금을 각각 반영하여 산출될 수 있다.
또한, 개인 메뉴 페이지부(504)는 단위 기간마다 매번 산출되는 단위 기간 사용자 선호도를 이용하여, 사용자 선호도 역시 단위 기간마다 산출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단위 기간으로 1일을 설정하고 오늘이 12월 30일인 경우, 소정의 메뉴에 대해 매일 산출된 단위 기간 사용자 선호도가 각각, …, 12월 28일에 0.8, 12월 29일에 0.7, 12월 30일에 0.5였다고 가정한다.
이때, 12월 29일에 상기 메뉴에 대해 산출된 바 있는 사용자 선호도가 0.8이었다고 하면, 개인 메뉴 페이지부(504)는 "12월 29일의 사용자 선호도"와 "12월 30일에 대해 산출된 단위 기간 사용자 선호도'를 이용하여 "12월 30일의 사용자 선호도"를 산출할 수 있다. 이때, 개인 메뉴 페이지부(504)는 12월 30일의 단위 기간 사용자 선호도에 더 큰 가중치를 부여하여, 상기 사용자의 최신 메뉴 선택 성향이 더 반영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현재 산출되는 사용자 선호도를 "현재 사용자 선호도"라고 칭하고, 그 직전에 산출된 사용자 선호도를 "이전 사용자 선호도"라고 칭하면, 현재 사용자 선호도는 아래와 같이 산출될 수 있다.
현재 사용자 선호도 = (이전 사용자 선호도 x a) + (가장 최근의 단위기간 사용자 선호도 x b)
상기와 같이 산출된 현재 사용자 선호도는 상기 단위 기간이 경과한 후에는 이전 사용자 선호도로서, 다음의 현재 사용자 선호도를 산출하기 위해 이용된다. 개인 메뉴 페이지부(504)는 상기 사용자에게 메뉴 페이지를 제공해야 하는 시점을 기준으로 가장 마지막에 산출된 현재 사용자 선호도를, 상술한 바와 같은 사용자 선호도로 결정한다.
상기 a 및 b는 가중치이고, 개인 메뉴 페이지부(504)는 a에 비해 b의 값을 크게 선정하여 최근의 메뉴 선택 성향이 사용자 선호도에 더 반영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개인 메뉴 페이지부(504)는 사용자 선호도를 메뉴별로 각각 산출하고, 상기와 같이 산출된 사용자 선호도를 반영하여 각 메뉴에 우선권을 부여한다. 예를 들면, 사용자 선호도가 높은 메뉴일수록 더 높은 우선 순위를 부여한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지정 장소에서의 각 메뉴의 사용자 선호도를 산출하는 경우를 설명했으나,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개인 메뉴 페이지부(504)는 지정 장소 및 지정 시간에서의 각 메뉴의 사용자 선호도를 산출할 수도 있다.
또한, 개인 메뉴 페이지부(504)는 상기 우선권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개인 메뉴 페이지의 메뉴를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개인 메뉴 페이지부(504)는 우선권이 높은 메뉴일수록 동일 메뉴 페이지의 상위에 배열되도록 할 수 있다. 개인 메뉴 페이지부(504)는 "메일/포토/채팅" 메뉴가 "마이벨/뮤직" 메뉴에 비해 우선 순위가 높은 경우, 도 6의 6A와 같이 "메일/포토/채팅" 메뉴가 "마이벨/뮤직" 메뉴에 비해 상위에 배열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개인 메뉴 페이지부(504)는 우선권이 높은 메뉴일수록 상기 메뉴가 깊이가 낮은 메뉴 페이지에 위치하도록 개인 메뉴 페이지를 생성할 수도 있다. 개인 메뉴 페이지가 깊이가 2이상인 하나 이상의 서브 메뉴 페이지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6의 6B는 6A의 서브 메뉴 페이지 중의 하나이고, 6B는 6A에 비해 그 깊이가 1만큼 더 깊다. 개인 메뉴 페이지부(504)는 우선권이 높은 메뉴를 그 깊이가 낮은 메뉴 페이지에 배치하여, 사용자가 상기 메뉴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개인 메뉴 페이지부(504)는, 우선권이 높은 메뉴에 대해서는, 상기 메뉴의 기존 위치보다 깊이가 낮은 메뉴 페이지에 상기 메뉴에 대한 숏컷을 추가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개인 메뉴 페이지부(504)는, 상기 메뉴가 깊이가 3인 서브 메뉴 페이지에 위치한 경우, 깊이가 1인 서브 메뉴 페이지에 상기 메뉴에 대한 숏컷을 추가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깊이가 1인 서브 메뉴 페이지에 마련된 숏컷, 또는 깊이가 3인 서브 메뉴 페이지에 마련된 상기 메뉴를 선택하여 상기 메뉴에 대응하는 컨텐츠의 제공 요청을 할 수 있다.
또한, 개인 메뉴 페이지부(504)는 우선권이 높은 메뉴를, 우선권이 낮은 메뉴와 다른 형태로 표시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개인 메뉴 페이지부(504)는 동일한 개인 메뉴 페이지에서 우선권이 높은 메뉴는 붉은색으로, 우선권이 낮은 메뉴는 검은색으로 표시되도록 상기 개인 메뉴 페이지를 생성할 수 있다.
사용자가 원하는 메뉴, 즉 '2. 상가 찾기'를 선택하면, 개인 메뉴 페이지 제공 시스템에서는 해당되는 장소의 음식점 종류 선택 화면을 도 8의 8H와 같이 구성하여 선택하도록 한다. 음식점 종류 선택 화면 또한 이전에 사용자가 메뉴를 선택했던 비율에 따라 배열된다.
사용자가 원하는 음식점을 선택하면, 사용자가 선택했던 메뉴의 선택 비율에 따라 해당 지역의 음식점 목록이 차례대로 나열되며, 사용자는 원하는 음식점을 선택하여 컨텐츠 정보를 검색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을 통하면,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무선 인터넷을 통한 정보 검색 시 그 단계를 줄일 수 있으며, 사용자의 과거 사용 정보에 의해 많이 이용했던 메뉴가 개인 메뉴 페이지의 위쪽에 배치되어 보여지므로, 컨텐츠 선택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메뉴의 사용 비율은 사용자 개인의 과거 사용 정보에만 의존하는 것도 가능하나, 사용자와 비슷한 성향을 갖는 사용자 집단, 또는 전체 사용자가 특정 시간대에 특정 지역에서 이용했던 과거 사용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설정한 곳이 아닌 지역에서는 추천 서비스 형태로 일반 메뉴 페이지를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개인 메뉴 페이지를 제공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사용자는 이동 통신 단말기(410)를 통하여 정보 획득을 목적으로 이동 통신망(420)을 통해 무선 인터넷에 접속한다(S902). 사용자가 이동 통신망(420)에 접속하면, GPS를 통하여 위도와 경도 등의 정보를 얻어 이동 통신 단말기(410)의 위치 정보를 확인하고, 무선 교환기(422)를 통하여 시간 정보를 파악한다(S904).
시간 정보가 확인되면, 사용자가 사전에 지정한 시간대에 해당하는가의 여부를 확인한다(S906). 시간대 확인이 끝나면 해당되는 시간대를 선택하고, 사용자의 위치가 사전에 지정된 위치에 있는가의 여부를 확인한다(S908).
사용자가 지정된 시간에 지정된 위치에서 정보를 검색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해당 시간에 해당 위치에서 소정의 컨텐츠를 제공 받기 위해 선택했던 메뉴의 선택 빈도에 의거하여 결정된 메뉴 구성을 갖는 개인 메뉴 페이지를 생성하고(S910), 지정된 시간이지만 지정된 위치가 아닌 곳에서 정보 검색 요청을 하는 경우에는, 위치의 구별 없이 해당 시간에서의 메뉴 선택 빈도를 반영하여 개인 메뉴 페이지를 생성한다(S912). 메뉴 선택 빈도를 반영하여 개인 메뉴 페이지의 메뉴 구성을 결정하여 상기 개인 메뉴 페이지를 생성하는 구체적인 과정은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만일 단계(S906)와 단계(S908)에서 시간과 위치를 파악한 결과, 사용자가 지정되지 않은 시간에 지정된 장소에서 정보 검색 요청을 한 경우에는(S914), 시간의 구별 없이 해당 위치에서의 메뉴 선택 빈도를 반영하여 개인 메뉴 페이지를 생성한다(S916).
위의 단계(S910, S912 및 S916)에서 생성된 개인 메뉴 페이지를 상기 사용자의 사용자의 이동 통신 단말기(410)로 전송하여 사용자의 정보검색이 용이하도록 한다(S920). 따라서, 시간 또는 장소별로 상기 사용자는 자신에게 최적화된 메뉴 페이지를 제공 받을 수 있게 된다.
그러나, 단계(S906 및 S914)에서 시간과 위치를 파악한 결과가 지정된 시간도 아니고, 지정된 위치도 아닌 경우에는 개인 메뉴 페이지가 아닌 추천 링크에 의해 생성된 메뉴 페이지, 개인 지정 메뉴 페이지 등의 일반 메뉴 페이지를 사용자의 이동 통신 단말기(410)로 제공한다(S918).
위와 같은 단계를 통하여 사용자가 무선 인터넷을 통하여 상기 개인 메뉴 페이지 또는 상기 일반 메뉴 페이지에 포함된 메뉴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메뉴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제공 받은 경우, 시스템에서는 사용자의 사용 로그 기록을 저장하여 다음 접속 요구 시 메뉴 선택 빈도를 계산하는 자료로 사용한다(S922).
시스템에서는 위의 사용자 사용 로그를 통하여 개인 및 사용자 전체의 이용 비율을 계산하고, 위치 정보 및 시간 정보를 이용하여 개인 메뉴 페이지 구성을 이룬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시간에 상관없이 사용자가 위치한 지역 정보만을 이용하여 개인 메뉴 페이지를 구성하는 경우에는 단계(S906 내지 S912)는 생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개인 메뉴 페이지 등 메뉴 페이지가 왑 페이지로 제공되는 경우를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상기 메뉴 페이지는 마크업 언어를 사용하여 웹 페이지로 구현될 수도 있는 등, 메뉴 페이지의 구현 방식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 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시간 및 장소에 따라 사용자 개인이 주로 이용하는 메뉴에 대해서는 다른 메뉴에 비해 접근성을 높인 개인 메뉴 페이지를 사용자 별로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여, 사용자 입장에서는 원하는 정보를 빠른 시간에 쉽게 찾을 수 있다.
또한, 특정 지역 및 특정 시간대에 대한 정보 사용 기록을 갖고 있지 않는 사용자도 개인의 사용 정보가 아닌 비슷한 사용성을 가진 사용자 집단 또는 전체 사용자의 사용 기록에 대한 정보를 통하여 유용한 메뉴 구성을 갖는 메뉴 페이지를 제공 받는 것이 가능하므로, 무선 인터넷을 통한 정보 검색시 원하는 정보를 손쉽게 찾을 수 있다.
또한, 동일 시간대에 동일 장소에서 자료를 검색하는 교통 정보와 같은 경우, 현재와 같은 일괄적인 서비스에서는 그 이용이 복잡하고 불편하나, 본 발명에 의한 개인화된 서비스에 의하면 시간대와 위치에 따른 필요한 정보를 손쉽게 획득함으로써 운전 중에도 간단히 사용 가능하여 위험을 줄일 수 있으며, 사용의 편리함을 누릴 수 있게 된다.

Claims (16)

  1. 개인 메뉴 페이지 제공 시스템에서의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컨텐츠를 선택하기 위한 메뉴를 포함하는 메뉴 페이지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별로 지정 위치에 대한 지정 위치 정보 및 상기 지정 위치 정보와 연관된 개인 메뉴 페이지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를 유지하는 단계 - 상기 개인 메뉴 페이지는 소정의 컨텐츠를 선택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메뉴를 포함하고, 상기 메뉴의 구성은 사용자별로 결정됨 -;
    상기 사용자가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무선 인터넷에 접속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파악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사용자가 지정 위치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판단 결과, 상기 사용자가 지정 위치에 있는 경우,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지정 위치와 연관된 개인 메뉴 페이지를 검색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가 상기 지정 위치에서 상기 개인 메뉴 페이지에 포함된 메뉴를 선택한 횟수인 메뉴 선택 횟수를 메뉴별로 산출하는 단계;
    상기 산출된 메뉴 선택 횟수를 반영하여 각 메뉴에 우선권을 부여하는 단계;
    상기 메뉴별 우선권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와 연관된 상기 개인 메뉴 페이지에 포함되는 메뉴의 구성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검색된 개인 메뉴 페이지를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뉴 페이지 제공 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 메뉴 페이지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지정 위치에서 상기 개인 메뉴 페이지에 포함된 메뉴를 선택한 빈도, 상기 메뉴를 선택하여 소정의 서비스를 제공 받은 서비스 이용 시간, 또는 상기 서비스의 제공에 따라 지불하는 서비스 이용 요금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사용자 선호도를 메뉴별로 산출하는 단계;
    상기 산출된 사용자 선호도를 반영하여 각 메뉴에 우선권을 부여하는 단계;
    상기 메뉴별 우선권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와 연관된 상기 개인 메뉴 페이지에 포함되는 메뉴의 구성을 결정하는 단계
    를 수행하여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뉴 페이지 제공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선호도를 메뉴별로 산출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빈도, 상기 서비스 이용 시간, 또는 상기 서비스 이용 요금에 각각 가 중치를 부여하여 상기 사용자 선호도를 산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뉴 페이지 제공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선호도를 메뉴별로 산출하는 상기 단계는,
    소정의 단위 기간 동안의 상기 빈도, 상기 서비스 이용 시간, 또는 상기 서비스 이용 요금을 각각 산출하는 단계;
    상기 단위 기간에 대해 산출된 상기 빈도, 상기 서비스 이용 기간, 또는 상기 서비스 이용 요금에 각각 가중치를 부여하여 단위 기간 사용자 선호도를 산출하는 단계; 및
    이전 사용자 선호도와, 상기 단위 기간 사용자 선호도에 각각 가중치를 부여하여 현재 사용자 선호도를 산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현재 사용자 선호도는 상기 단위 기간이 경과한 후에는 새로운 단위 기간에 대해 이전 사용자 선호도로 사용되고,
    상기 사용자 선호도는 가장 최근에 산출된 상기 현재 사용자 선호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뉴 페이지 제공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정 위치는 상기 사용자가 선정한 위치, 또는 상기 개인 메뉴 페이지 제공 시스템에서 선정한 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뉴 페이지 제공 방법.
  7.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컨텐츠를 선택하기 위한 메뉴를 포함하는 메뉴 페이지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별로 지정 시간 및 지정 위치와 연관된 개인 메뉴 페이지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를 유지하는 단계 - 상기 개인 메뉴 페이지는 소정의 컨텐츠를 선택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메뉴를 포함하고, 상기 메뉴의 구성은 사용자별로 결정됨 -;
    상기 사용자가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무선 인터넷에 접속하는 경우, 상기 접속 시점 및 상기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파악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접속 시점 및 상기 현재 위치와 연관된 메뉴 페이지를 검색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가 상기 지정 위치 및 상기 지정 시간에서 상기 개인 메뉴 페이지에 포함된 메뉴를 선택한 빈도, 상기 메뉴를 선택하여 소정의 서비스를 제공 받은 서비스 이용 시간, 또는 상기 서비스의 제공에 따라 지불하는 서비스 이용 요금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사용자 선호도를 메뉴별로 산출하는 단계;
    상기 산출된 사용자 선호도를 반영하여 각 메뉴에 우선권을 부여하는 단계; 및
    상기 메뉴별 우선권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와 연관된 상기 개인 메뉴 페이지에 포함되는 메뉴의 구성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검색된 페이지를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뉴 페이지 제공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검색 결과 상기 접속 시점 및 상기 현재 위치와 연관된 개인 메뉴 페이지가 검색되지 않는 경우, 일반 메뉴 페이지를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일반 메뉴 페이지는 복수의 또는 전체 사용자들에게 공통적인 메뉴 구성을 갖는 메뉴 페이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뉴 페이지 제공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검색 결과 상기 접속 시점 및 상기 현재 위치와 연관된 개인 메뉴 페이지가 검색되지 않는 경우, 개인 지정 메뉴 페이지를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개인 지정 메뉴 페이지는, 상기 개인 지정 메뉴 페이지에 포함되는 메뉴의 구성을 상기 사용자가 지정한 메뉴 페이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뉴 페이지 제공 방법.
  10. 삭제
  11. 제1항, 제3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메뉴의 구성은,
    (1) 우선권이 높은 메뉴가 상위에 배열되도록 하는 구성, (2) 개인 메뉴 페이지가 2이상의 깊이를 갖는 서브 메뉴 페이지를 포함하는 계층적 메뉴 구조인 경우, 우선권이 높은 메뉴가 깊이가 낮은 페이지에 위치하도록 하는 구성, (3) 개인 메뉴 페이지가 2이상의 깊이를 갖는 서브 메뉴 페이지를 포함하는 계층적 메뉴 구조인 경우, 우선권이 높은 메뉴의 기존 위치보다 깊이가 낮은 페이지에 상기 우선권이 높은 메뉴에 대한 쇼컷을 추가하는 구성, 또는 (4) 우선권이 높은 메뉴를, 우선권이 낮은 메뉴와 다른 형태로 표시하는 구성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뉴 페이지 제공 방법.
  12. 제1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산출된 메뉴 선택 횟수를 반영하여 각 메뉴에 우선권을 부여하는 상기 단계는,
    현재 시점을 기준으로 과거의 소정 기간 동안의 상기 메뉴 선택 횟수를 각각 산출하는 제1 단계; 및
    상기 기간 동안의 메뉴 선택 횟수가 큰 메뉴에 우선권을 부여하는 제2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단계 및 상기 제2 단계는 주기적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뉴 페이지 제공 방법.
  13. 제1항, 및 제3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14.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컨텐츠를 선택하기 위한 메뉴를 포함하는 메뉴 페이지를 제공하는 메뉴 페이지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메뉴 페이지 제공 요청에 받는 경우, 개인 메뉴 페이지 또는 일반 메뉴 페이지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별적으로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에 제공하는 출판 및 요청 처리부;
    (1) 사용자 별로 소정의 지정 시간 및 소정의 지정 장소에서의 메뉴 선택 횟수를 메뉴별로 산출하고, (2) 상기 메뉴 선택 횟수에 기초하여 메뉴의 구성이 결정되는 개인 메뉴 페이지를 생성하고, (3) 상기 지정 시간 및 상기 지정 장소와 연관하여 상기 생성된 개인 메뉴 페이지를 소정의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하는 개인 메뉴 페이지부;
    (1)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현재 위치와, 상기 메뉴 페이지 제공 요청의 입력 시점을 판별하고, (2)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현재 위치 및 상기 입력 시점과 연관된 개인 메뉴 페이지를 검색하고, (3) 검색 결과 개인 메뉴 페이지가 검색되는 경우에는 상기 검색된 개인 메뉴 페이지를, 검색 결과 개인 메뉴 페 이지가 검색되지 않는 경우에는 일반 메뉴 페이지를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로 제공하도록 상기 출판 및 요청 처리부를 제어하는 개인화 추천 엔진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뉴 페이지 제공 시스템.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지정 위치 또는 상기 지정 시간은,
    상기 개인 메뉴 페이지를 제공 받는 사용자가 지정한 위치 또는 시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뉴 페이지 제공 시스템.
  16.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선호도를 메뉴별로 산출하는 상기 단계는,
    소정의 단위 기간 동안의 상기 빈도, 상기 서비스 이용 시간, 또는 상기 서비스 이용 요금을 각각 산출하는 단계;
    상기 단위 기간에 대해 산출된 상기 빈도, 상기 서비스 이용 기간, 또는 상기 서비스 이용 요금에 각각 가중치를 부여하여 단위 기간 사용자 선호도를 산출하는 단계; 및
    이전 사용자 선호도와, 상기 단위 기간 사용자 선호도에 각각 가중치를 부여하여 현재 사용자 선호도를 산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현재 사용자 선호도는 상기 단위 기간이 경과한 후에는 새로운 단위 기간에 대해 이전 사용자 선호도로 사용되고,
    상기 사용자 선호도는 가장 최근에 산출된 상기 현재 사용자 선호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뉴 페이지 제공 방법.
KR1020067012981A 2004-01-08 2005-01-05 무선 인터넷에서의 개인 메뉴 페이지 제공 방법 및 그시스템 KR10085433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1317 2004-01-08
KR1020040001317A KR20050073126A (ko) 2004-01-08 2004-01-08 무선 인터넷에서의 개인화된 웹 페이지 제공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6216A KR20060116216A (ko) 2006-11-14
KR100854332B1 true KR100854332B1 (ko) 2008-09-02

Family

ID=3474778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1317A KR20050073126A (ko) 2004-01-08 2004-01-08 무선 인터넷에서의 개인화된 웹 페이지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20067012981A KR100854332B1 (ko) 2004-01-08 2005-01-05 무선 인터넷에서의 개인 메뉴 페이지 제공 방법 및 그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1317A KR20050073126A (ko) 2004-01-08 2004-01-08 무선 인터넷에서의 개인화된 웹 페이지 제공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080052639A1 (ko)
KR (2) KR20050073126A (ko)
WO (1) WO2005066831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46382A1 (ko) * 2012-09-24 2014-03-27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마크업 언어 기반의 문맥 인식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2564511B1 (ko) * 2023-04-26 2023-08-08 티오더 주식회사 사용자 커스터마이징 기반의 메뉴판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0290B1 (ko) 2005-04-11 2006-12-20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무선 인터넷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한 메뉴 네비게이션방법
KR100738249B1 (ko) * 2005-11-01 2007-07-12 주식회사 엘지텔레콤 이동 통신 단말기에 개인 메뉴를 제공하는 무선 인터넷서버 및 방법
KR100736275B1 (ko) 2005-11-16 2007-07-06 강한구 정보통신망 내 개인전용페이지를 이용한 정보제공방법
US8490010B2 (en) * 2005-12-14 2013-07-16 Sap Ag Selective display of graphical user interface elements
JP4702231B2 (ja) * 2006-09-05 2011-06-15 株式会社デンソー 操作システム
US8966407B2 (en) 2007-01-17 2015-02-24 Google Inc. Expandable homepage modules
US8005822B2 (en) * 2007-01-17 2011-08-23 Google Inc. Location in search queries
US8326858B2 (en) 2007-01-17 2012-12-04 Google Inc. Synchronization of fixed and mobile data
US7966321B2 (en) 2007-01-17 2011-06-21 Google Inc. Presentation of local results
US7966309B2 (en) 2007-01-17 2011-06-21 Google Inc. Providing relevance-ordered categories of information
US8943018B2 (en) * 2007-03-23 2015-01-27 At&T Mobility Ii Llc Advanced contact management in communications networks
JP4898581B2 (ja) * 2007-07-12 2012-03-1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ユーザインターフェース方法、表示装置、および、ユーザインターフェースシステム
US20090063646A1 (en) * 2007-09-04 2009-03-05 Nixle, Llc System and method for collecting and organizing popular near real-time data in a virtual geographic grid
KR20090030966A (ko) * 2007-09-21 2009-03-25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에서 메뉴 리스트 순위 구성 방법 및 장치
MY173473A (en) * 2007-11-15 2020-01-28 Mimos Berhad Content filtering method and system
TWI353547B (en) * 2008-03-14 2011-12-01 Mstar Semiconductor Inc Portable device operating method
KR100970098B1 (ko) * 2008-05-28 2010-07-16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위치정보에 기반한 집단지능형 오감멀티미디어 컨텐츠 제공 시스템
WO2009148221A2 (ko) * 2008-06-04 2009-12-10 삼성전자 주식회사 연령 제한에 따라 필터링된 콘텐트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US20090307733A1 (en) * 2008-06-04 2009-12-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Downloading method and apparatus of terminal entity
US8825856B1 (en) 2008-07-07 2014-09-02 Sprint Communications Company L.P. Usage-based content filtering for bandwidth optimization
US8463896B2 (en) * 2008-08-08 2013-06-11 Sprint Communications Company L.P. Dynamic portal creation based on personal usage
CN101661367A (zh) * 2008-08-25 2010-03-03 扬智科技股份有限公司 菜单快捷方式的生成方法及使用者接口装置
US20100082594A1 (en) * 2008-09-25 2010-04-01 Yahoo!, Inc. Building a topic based webpage based on algorithmic and community interactions
US8271413B2 (en) * 2008-11-25 2012-09-18 Google Inc. Providing digital content based on expected user behavior
KR20110053195A (ko) * 2009-11-13 2011-05-19 삼성전자주식회사 도메인 서비스 수행 방법, 도메인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JP2011175611A (ja) * 2010-01-29 2011-09-08 Fujitsu Toshiba Mobile Communications Ltd 携帯端末装置
US9002924B2 (en) 2010-06-17 2015-04-07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Contextual based information aggregation system
KR101811714B1 (ko) 2010-09-17 2017-12-26 삼성전자주식회사 데이터 관리 방법 및 그 장치
JP5892746B2 (ja) * 2010-09-29 2016-03-23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ーション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個別化コンテンツ・レイアウトのための方法、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個別化コンテンツ・レイアウトの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101735836B1 (ko) * 2010-12-13 2017-05-15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메뉴실행 장치 및 방법
US20120209839A1 (en) * 2011-02-15 2012-08-16 Microsoft Corporation Providing applications with personalized and contextually relevant content
KR20130041484A (ko) * 2011-10-17 2013-04-25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디바이스의 메뉴스크린 운용 방법 및 장치
KR101952219B1 (ko) 2012-04-04 2019-02-26 삼성전자 주식회사 아이콘 운용을 지원하는 단말기 및 이의 운용 방법
US9471574B2 (en) 2012-07-24 2016-10-18 Empire Technology Development Llc Property list customization
TW201413564A (zh) * 2012-09-20 2014-04-01 Hon Hai Prec Ind Co Ltd 桌面切換系統及方法
US20140359475A1 (en) * 2013-05-29 2014-12-04 Microsoft Corporation Dynamic Panel of Inlined Control Settings
US20140108978A1 (en) * 2012-10-15 2014-04-17 At&T Mobility Ii Llc System and Method For Arranging Application Icons Of A User Interface On An Event-Triggered Basis
US9411510B2 (en) * 2012-12-07 2016-08-09 Apple Inc. Techniques for preventing typographical errors on soft keyboards
US9477376B1 (en) * 2012-12-19 2016-10-25 Google Inc. Prioritizing content based on user frequency
US20140201681A1 (en) * 2013-01-16 2014-07-17 Lookout, Inc.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and displaying activity icons on a mobile device
KR102086041B1 (ko) * 2013-01-24 2020-03-06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다중 기간별 사용자 선호도를 이용한 디지털 컨텐츠 추천 방법 및 그 장치
US20190095262A1 (en) 2014-01-17 2019-03-28 Renée BUNNELL System and methods for determining character strength via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US9727209B2 (en) * 2014-03-26 2017-08-08 Sap Se Hierarchical data structure with shortcut list
US20160019309A1 (en) * 2014-07-18 2016-01-21 Oracle International Corporation Modifying digital content based upon usage patterns
KR102203221B1 (ko) * 2014-10-21 2021-01-14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사이트의 초기 화면 구성 방법
KR101582489B1 (ko) * 2014-12-03 2016-01-11 황이현 개인 맞춤형 메뉴를 표시하는 기능을 갖는 이동 통신 단말기
WO2016151582A1 (en) * 2015-03-26 2016-09-29 Yaron Chen Programmatic personalization of navigation menus in web sites and applications
US20160349961A1 (en) * 2015-06-01 2016-12-0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ynamic tidy correlated icon depending on the favorite
US10168867B2 (en) * 2015-08-28 2019-01-01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a unified menu for multiple communication channels
CN106375569A (zh) * 2016-08-31 2017-02-01 上海斐讯数据通信技术有限公司 基于无线接入点的应用排列组合方法及系统
US20180373613A1 (en) * 2017-06-24 2018-12-27 Lenovo Enterprise Solutions (Singapore) Pte. Ltd. Systems and methods for generating and presenting alternative inputs for improving efficiency of user interaction with computing devices
US11481457B2 (en) * 2017-11-28 2022-10-25 Uber Technologies, Inc. Menu personalization
CN109104524A (zh) * 2018-06-29 2018-12-28 奇酷互联网络科技(深圳)有限公司 应用程序排列方法、装置、可读存储介质及移动终端
US20200334411A1 (en) * 2019-04-22 2020-10-22 INNsight.com, Inc. Computer implemented accessibility systems and methods
CN111488525A (zh) * 2020-04-14 2020-08-04 上海电机学院 一种可定制化的智能终端交互系统
CN111538648B (zh) * 2020-04-27 2024-02-02 中国银行股份有限公司 交易菜单的处理方法、装置、可读介质以及设备
US11776020B2 (en) 2020-05-01 2023-10-03 Kpn Innovations, Llc. Methods and systems for multi-factorial physiologically informed refreshment selection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US20240045782A1 (en) * 2022-08-08 2024-02-08 Qualcomm Incorporated Suggesting a New and Easier System Function by Detecting User's Action Sequences
CN115202538B (zh) * 2022-08-26 2024-02-06 广东拓斯达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菜单配置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US11822941B2 (en) * 2023-08-28 2023-11-2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obile computing device projected visualization interactio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74382A (ko) * 2000-01-25 2001-08-04 구자홍 채널 선호도에 따른 프로그램 가이드 표시방법
KR20020078814A (ko) * 2001-04-10 2002-10-19 (주) 엘지텔레콤 이동 단말기의 무선 메뉴 자동 변경 방법
KR20020092689A (ko) * 2001-06-05 2002-12-12 유용열 이동통신단말기 사용자의 위치파악에 따른 맞춤정보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96264A (en) * 1994-01-03 1995-03-07 Motorola, Inc. Automatic menu item sequencing method
US6285999B1 (en) * 1997-01-10 2001-09-04 The Board Of Trustees Of The Leland Stanford Junior University Method for node ranking in a linked database
KR20010092538A (ko) * 2000-03-22 2001-10-26 강승우 위치정보를 이용한 커플 포탈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0405897B1 (ko) * 2000-10-12 2003-11-15 (주)싸이언소프트 사용자 요청에 따른 통합 인터페이스 변경 시스템 및방법
US20050256766A1 (en) * 2002-05-31 2005-11-17 Garcia Johann S Method and system for targeted internet search engine
US20050054381A1 (en) * 2003-09-05 2005-03-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Proactive user interface
US7273168B2 (en) * 2003-10-10 2007-09-25 Xilidev, Inc. Point-of-sale billing via hand-held device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74382A (ko) * 2000-01-25 2001-08-04 구자홍 채널 선호도에 따른 프로그램 가이드 표시방법
KR20020078814A (ko) * 2001-04-10 2002-10-19 (주) 엘지텔레콤 이동 단말기의 무선 메뉴 자동 변경 방법
KR20020092689A (ko) * 2001-06-05 2002-12-12 유용열 이동통신단말기 사용자의 위치파악에 따른 맞춤정보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46382A1 (ko) * 2012-09-24 2014-03-27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마크업 언어 기반의 문맥 인식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2564511B1 (ko) * 2023-04-26 2023-08-08 티오더 주식회사 사용자 커스터마이징 기반의 메뉴판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3126A (ko) 2005-07-13
WO2005066831A1 (en) 2005-07-21
KR20060116216A (ko) 2006-11-14
US20080052639A1 (en) 2008-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54332B1 (ko) 무선 인터넷에서의 개인 메뉴 페이지 제공 방법 및 그시스템
JP4846756B2 (ja) 無線装置を介して個別のビデオ/オーディオウェブコンテンツを対象としてアクセスする方法及び装置
KR100566686B1 (ko) 전화로 활성화된 웹 서버
US8782138B2 (en) Predictive data objects
US20080168033A1 (en) Employing mobile location to refine searches
US20090012940A1 (en) Sharing mobile search results
US20070243887A1 (en) Platform for telephone-optimized data and voice services
JP2006236285A (ja) 情報配信システム
US7768955B2 (en) Method and device for connecting wireless internet service with string
JP2011141617A (ja) webページ閲覧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中継サーバ
KR100757757B1 (ko) 무선 인터넷 정보 검색 방법 및 무선 인터넷 정보 검색장치
KR100556530B1 (ko) 무선 인터넷 정보 검색 방법
KR101421087B1 (ko) 주소록을 이용한 검색시스템 및 방법, 그 검색서버
KR100667516B1 (ko) 식별자를 이용하여 무선 웹사이트에 재접속 하는 방법 및이 방법을 구현하는 시스템
KR20030073199A (ko) 무선인터넷에서의 개인화 메뉴 생성 방법
JP2002032294A (ja) ホームページ情報の情報処理装置およびその処理方法
EP1599005B1 (en) A method and system for locating facilities in the vicinity of a user unit
KR101357610B1 (ko) 무선 인터넷 단축키 관리 장치와 이를 이용한 무선 인터넷서비스 시스템과 그 방법
KR100862514B1 (ko) 무선 인터넷 정보 검색 방법 및 무선 인터넷 정보 검색장치
WO2007058412A1 (en)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in data communication network using private page
KR20030077515A (ko) 휴대전화 문자 메시지를 특정번호로 전송 Opt-in Callback URL 답신 방식으로 WAP 사이트 검색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60013581A (ko) 무선 인터넷 정보 검색 방법
WO2007053782A2 (en) Platform for telephone optimized data and voice servi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